KR20010101830A - 적층재의 굽힘가공방법 및 적층재 - Google Patents

적층재의 굽힘가공방법 및 적층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1830A
KR20010101830A KR1020017010005A KR20017010005A KR20010101830A KR 20010101830 A KR20010101830 A KR 20010101830A KR 1020017010005 A KR1020017010005 A KR 1020017010005A KR 20017010005 A KR20017010005 A KR 20017010005A KR 20010101830 A KR20010101830 A KR 20010101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plate
mount
core material
end side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5902B1 (ko
Inventor
오카다노리히사
요시자키기요시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도무
Publication of KR20010101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1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5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59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brakes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on one side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7/00Making rigid structural elements or units, e.g. honeycomb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02Bending or folding
    • B29C53/04Bending or folding of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02Bending or folding
    • B29C53/04Bending or folding of plates or sheets
    • B29C53/06Forming folding lines by pressing or scoring
    • B29C53/063Forming folding lines by pressing or scoring combined with folding
    • B29C53/066Forming folding lines by pressing or scoring combined with folding and joining the sides of the folding line, e.g. "Abkantschweiss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2Panels; Plate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64Tra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28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by bending, drawing or stretch forming sheet to assume shape of configured lamina while in contact therewi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43Subsequent to 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19Fold at ed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628Nonplanar uniform thickness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두께가 두껍고, 작은 반경의 곡면을 가지는 적층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코어재(183)의 양면에 면판(181, 182)을 고정하고 있고, 원호의 안쪽이 되는 면판(181)을 코어재(183)에 고정하고 있지 않은 적층재(170)를 소재로 하여 준비한다. 이 적층재(170)의 한쪽 끝측을 가대(30, 40)에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면판 (181)의 다른쪽 끝을 코어재(183)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원호형상으로 구부리고, 다음에 상기 다른쪽 끝이 83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

Description

적층재의 굽힘가공방법 및 적층재{LAMINATED MATERIAL AND METHOD OF BENDING LAMINATED MATERIAL}
종래, 굽힘반경이 작은 경우는, 일본국 특개평3-222715호 공보와 같이, 아라미드를 기재로 한 코어재를 사용한 허니컴패널을 굽힘부 형성용 지그에 얹어 구부려 고정하고, 굽힘부를 가열하고, 그리고 냉각하여 마무리한다.
또한 판을 구부리는 방법으로서, 일본국 특개평9-295050호 공보에 나타내는 것은, 곡면을 가지는 지그와 윙으로 끼워 판을 구부리고 있다. 일본국 특개평9-201624호 공보에 나타내는 것은 한쪽 끝을 고정한 판을 고정롤과 이동롤로 끼워 이동롤을 이동시켜 구부리고 있다.
또 적층판의 구부림으로 일본국 특개소57-205661호 공보는, 금속판에 단열재를 접착하여 구부림부의 단열재를 V 형상으로 커트하고, 그 후 제 2 금속판에 단열재를 접착하여 상기 V 커트부를 구부리고 있다.
일본국 실공평2-8567호 공보는, 샌드위치패널을 한쪽의 상면판으로부터 V 형상으로 커트하여 구부리고 있다. 마지막으로 V 형상으로 커트한 상면판에 L자형상의 접합재를 고정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적층재의 굽힘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굽힘가공장치에 소재인 패널을 장착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다음 상태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다음 상태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다음 상태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다음 상태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다음 상태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6의 다음 상태의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굽힘가공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우측면도,
도 10은 도 9의 좌측면도,
도 11은 도 9의 굽힘 가대의 지지부의 종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우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적층재를 구비한 차량의 종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적층재의 종단면도,
도 15는 도 13의 적층재의 이음매부의 단면도,
도 16은 적층재의 코어재의 평면도이다.
상기 일본국 특개평3-222715호 공보의 방법은 아라미드를 기재로 한 코어재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두께가 두껍고, 작은 반경의 곡면을 가지는 적층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은 코어재의 양면에 제 1 면판과 제 2 면판을 각각 고정한 적층재의 한쪽 끝측을 가대(架臺)에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판의 다른쪽 끝측을 상기 코어재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원호형상으로 구부리고,
상기 다른쪽 끝측의 상기 제 1 면판과 상기 코어재의 접촉면 중, 어느 한쪽의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코어재 및 상기 제 2 면판의 다른쪽 끝측을 상기 구부린 상기 제 1 면판을 따라 이동시켜 구부림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16에 의해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곡면적층재는, 예를 들면 철도차량의 내장재로서 사용된다. 도 13 내지 도 16에 있어서, 철도차량의 차체(160)의 창(163)의 상부로부터 천정부 (162)까지의 내장재를 본 실시예의 곡면적층재(170)로 구성하고 있다. 곡면적층재 (170)는 하단측으로부터 직선부(171), 곡면부(172), 직선부(173), 직선부(174)로 이루어진다. 직선부(173)와 직선부(174)의 사이에서 개략 90도로 구부러져 있다. 적층재(170)의 상하단부에는 브래킷(176, 177)이 있고, 나사로 차체(160)에 설치되어 있다. 브래킷(176, 176)은 적층재(170)의 끝부에 리벳 등으로 고정하고 있다. 166은 천정부의 내장재이다.
적층재(170)는 차체(16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하고 있다. 적층재 (170와 170)의 이음매에는 흑색계의 스펀지형상의 완충재(168)를 배치하고 있다. 완충재는 면판(181, 182), 코어재(183)로 이루어지는 공간에 배치된다.
적층재(170)는 2매의 면판(181, 182)과, 양자에 접착한 코어재(183)와, 코어재(183)의 셀내에 충전한 발포재(184)와, 차내측의 면판(181)(내면측의 면판이라함)에 접착한 내장재(185)로 이루어진다.
코어재(183)는 종이제이며, 한 번에 그리기와 같이 원호형상으로 구부린 리본을 적층한 것이다. 도 16에 있어서표 부분은 접착제로 접속하고 있다. △표 부분은 접착하고 있지 않다. 셀내에는 발포재(184)를 충전하고 있다. 뒤에서 설명하는 적층재(170)의 굽힘방향은 도 16에 있어서 좌우방향이다.
내장재(185)는 염화비닐제의 화장시트이고, 면판(181)에 부착되어 있다. 내장재(185)는 종이 또는 천 또는 수지계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면판(181, 182)은 금속판, 예를 들면 알루미늄합금의 판이다. 브래킷(186)은 굽힘가공 후, 설치한다.
적층재(170)의 제작순서를 설명하면, 먼저 재료, 즉 소재의 적층재를 제작한다.
먼저, 코어재(183)의 셀내에 발포수지 또는 탄성발포수지 등을 주입하여 발포시킨다.
다음으로 면판(182)의 위에 접착제를 거쳐 코어재(183)(상기에 의해 수지를 발포시키고 있음)를 얹고, 다음으로 면판(181)의 한쪽 끝측에 접착제를 도포하여상기 코어재(183)에 포개어 3자를 접착한다. 면판(182)의 전면(全面)에 접착제는 도포되어 있다. 면판(181)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범위는, 직선부(73, 74)의 범위뿐이다. 곡선부(172) 및 직선부(171)의 면판(181)은 코어재(183)에 접착하지 않는다. 면판(181)에는 내장재(185)를 부착하고 있다.
면판(181, 182), 코어재(183)의 크기를 설명한다. 예를 들면 곡면부(172)의 내면측 면판의 굽힘반경 : 150 mm, 굽힘각도 : 약 80도, 코어재(183)의 두께 : 39 mm 이다. 굽힘가공전의 코어재(183)의 크기(폭 ×길이) : 1.2 m ×2.95 m, 굽힘가공전의 면판(182)의 크기(폭 ×길이) : 1.2 m ×3.0 m, 굽힘가공전의 면판(181)의 크기(폭 ×길이) : 1.15 m ×3.0 m 이다. 상기 폭은 적층재(170)의 굽힘방향이다. 면판(181)의 굽힘방향의 길이는 면판(182), 코어재(183)의 길이보다도 짧다. 면판 (181, 182)은 알루미늄합금제이고, 판두께는 0.5 mm 이다.
직선부(174)측 끝부의 면판(181, 182), 코어재(183)의 끝면은 실질적으로 동일위치에 있다. 다른쪽 끝측[직선부(171)측] 끝부의 면판(182), 코어재의 끝면은 실질적으로 동일위치에 있다. 상기 다른쪽 끝측 면판(181)의 끝부는 코어재(183)의 끝부보다도 후퇴하고 있다. 뒤에서 설명하는 굽힘가공을 행하였을 때, 면판 (181)의 상기 다른쪽 끝은 코어재(183), 면판(182)의 끝부와 실질적으로 동일위치가 된다. 즉 면판(181)의 끝면의 위치는 굽힘가공에 의한 코어재(183)의 겉보기형상의 축소치를 고려하여 면판(182)의 끝면보다도 안쪽에 있다. 또 면판(181)의 상기 다른쪽 끝을 코어재(183)의 끝부보다도 돌출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는 이것을 고려하여 면판(181)의 길이를 정한다.
면판(181, 182)의 폭은 코어재(183)의 폭보다도 크다. 코어재(181, 182)의 중앙에 코어재(183)가 위치한다.
이하, 굽힘가공방법을 도 1 내지 도 7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내장재(185) [면판으로 말하면 면판(181)이다.]를 아래쪽으로 하여 적층재(170)를 굽힘가공장치에 얹어 놓는다. 굽힘지그(20)의 가대(21), 고정가대(30), 굴곡 굽힘용 가대(40)에 적층재(170)를 얹어 놓는다. 이 때 가대(21, 30, 40) 각각의 상면은 수평한 직선형상으로 위치하고 있다. 가대(21)는 적층재(170)의 직선부(171)의 끝부[브래킷(186)의 설치측]를 지지하고 있다. 가대(30, 40)는 직선부(173, 174)를 지탱하고 있다.
가대(21, 22, 30, 40)의 각각은 적층재(170)가 접하는 면에 진공흡착패드를 적층재(170)의 폭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설치하고 있다.
다음으로 굽힘장치(50)를 하강시켜 굽힘롤러(52), 가압롤러(53)를 하강시켜 코어재(183)가 찌그러지지 않을 정도로 가압한다. 롤러(52, 53)의 길이는 면판 (182)의 폭 이상이다.
다음으로 적층재(170)를 소정위치에 놓아은 다음에 가대(21)의 흡착패드에 의해내장재(185)를 아래쪽으로 흡착한다.
다음으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굽힘지그(20)를 굽힘 형상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켜 내장판(185)[면판(181)]을 굽힘지그(20)에 칭칭 감는다. 굽힘지그(20)의 가대(22)가 위를 향하여 내장판(185)에 접할때까지 굽힘지그(20)를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가대(22)는 적층재(170)의 직선부(173)에 접한다. 가대(22)는 가대(30, 40)와 동일평면이 된다.
이 때 가압롤러(53), 굽힘롤러(52)가 적층판(170)에 접하고 있기 때문에, 코어재(173), 면판(181)이 오른쪽으로 전도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굽힘지그(20)에 내장판(185)을 고정한 후, 굽힘지그(20)를 회전시켜 내장판 (185)[면판(181)을 포함함]을 칭칭 감고 있기(구부러져 있음)때문에 굽힘지그 (20)의 회전에 따라 적층재(170)는 회전방향(도 2에 있어서 오른쪽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동하기 쉽도록 가대(30, 40)에는 롤러를 설치하여 적층재(170)를 지지하면 좋다.
다음으로 가대(22)에 설치한 흡착패드로 내장판(185)을 아래쪽으로 흡착한다. 또 가대(30, 40)의 흡착패드에 의하여 내장판(185)을 아래쪽으로 흡착한다.
가대(22, 30, 40)로 내장판(185)[적층재(170)]을 아래쪽으로 잡아 당기고 있기 때문에 적층판(170)이 오른쪽으로 어긋나는 일은 없다.
가대(22)가 내장판(185)을 흡착하였을 때, 가대(30, 40)는 직선부(173, 174)에 각각 위치한다. 가대(30)와 가대(40) 사이가 적층판(170)의 구부림부이다.
가대(21)와 가대(22) 사이의 내장판(185)이 접한 굽힘지그(20)의 곡면(23)은 적층판(170)의 곡면부(172)의 반경과 동일반경이다. 곡면(23)은 적층재(170)의 폭방향을 따라 연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면판(181)의 코어재(183)측의 면에 도포장치의 노즐(61)에 의해 접착제를 도포한다. 이것은 노즐(161)을 면판(181)을 향하여 적층재(170)의 한쪽 끝측으로부터 다른쪽 끝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행한다.
다음으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굽힘롤러(52)와 가압롤러(53)를 굽힘지그(20)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킨다. 롤러(52, 53)의 회전량은 굽힘지그(20)의 회전량, 즉 곡면부(172)의 각도와 동일하다. 이에 의해 코어재(183)[면판(182)]는 면판(181)에 칭칭 감겨지고, 코어재(183)는 면판(181)에 접착된다.
가압롤러(53)는 굽힘롤러(52)로 칭칭 감은 부재[코어재(183), 면판(182)]가 면판(181)이나 굽힘지그(20)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있다. 가압롤러(53)는 실린더장치(54) 또는 스프링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4와 같이 회전시켜도 가압롤러(53)는 항상 면판(182)에 접한다. 또한 굽힘지그(20)의 회전축을 지나는 수직선상에 굽힘롤러(52)의 회전축이 있다. 가압롤러(53)는 이것보다도 왼쪽에 있다.
다음으로 굽힘롤러(52)가 곡면부(172)의 종료점까지 회전하면 그 선단측의 가압패드(55)를 돌출시켜 직선부(171)의 면판(182)[코어재(183)]을 굽힘지그(20)에 가압한다. 직선부(171)의 적층재(170)는 가대(21)에 가압된다. 이 상태에서 접착제가 경화완료하기까지 유지한다. 굽힘롤러(52), 가압롤러(53) 및 가압패드(55)는 하나의 회전장치에 설치하고 있다. 가압패드(55)의 길이는 적층재(170)의 폭 이상이다. 가압패드(55)는 실린더장치(56)에 의해 돌출시킨다.
이에 의하면, 면판(181)에 면판(182)을 거쳐 코어재(183)를 칭칭 감기 때문에 코어재(183) 및 셀내의 발포제(184)의 면판(181)측은 원주방향으로 압축되어 찌그러진다. 코어재(183)는 굽힘방향을 향한 부재(굽힘방향에 대하여 경사방향의 부재를 포함함)가 굽힘방향으로 찌그러진다. 이에 의해 굽힘가공시의 내외의 원주차는 흡수된다.
이 때, 코어재(183)는 두께방향으로는 찌그러지지 않기 때문에 강도저하는 생기지 않는다. 또 이것에 의하면, 면판(181)과 코어재(183) 사이에 간극을 생기게 하거나 한쪽 닿음을 일으키는 일이 없는 것이다.
실험에 의하면 면판(181, 182), 코어재(183)의 재료는 상기와 같이 셀크기 : 14 mm, 코어재(183)의 두께 : 39 mm에 있어서, 코어재(183)에 좌굴, 면판(182)측의 코어재(183)에 파단 등에 의한 품질저하를 일으키지 않는 조건으로 안 둘레측의 굽힘반경이 코어재 두께의 근방정도까지 구부림 가능하다. 이와 같이 작은 반경의 굽힘가공이 가능하다. 따라서 비교적 작은 굽힘반경으로 적층재(170)를 구부릴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삭장치(70)인 둥근톱(71)으로 적층재(170)를 V 커트한다. V 커트의 위치는 굴곡 굽힘의 위치이다. 둥근톱(71)은 면판(181)을 남기고 면판(182)과 코어재(183)를 절삭한다. 둥근톱(71)은 적층재 (170)에 대하여 경사시켜 있다. V의 한쪽 면을 절삭시킨 후, 둥근톱(71)을 회전시켜 V의 다른쪽 면을 절삭한다. 절삭장치는 구부림선을 따라 이동한다.
절삭작업은 가압패드(55)로 적층재(170)를 가압한 후에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V 커트에 의해 생긴 끝재를 위쪽으로부터 수동에 의해 제거한다. 또는 위쪽으로부터 끝재를 흡착패드에 의해 흡착하여 제거한다. 또는 적층재(170)폭방향의 한쪽 끝으로부터 푸셔(pusher)로 끝재를 가압하여 제거한다.
다음으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V 커트에 의해 생긴 공간에 도포장치(80)로 접착제를 도포한다. 도포장치(80), 적층재(170) 폭방향의 한쪽 끝으로부터 다른쪽 끝으로 이동시켜 도포한다.
다음으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굽힘가대(40)를 V 커트부의 정점 근방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 회전시켜 적층재(170)를 구부린다. 이 상태 그대로 접착제가 경화 완료하기까지 유지한다.
다음으로, 가대(21, 22, 30, 40)의 흡착을 해제한다. 다음으로, 가대(40)를 수평상태로 되돌린다. 또 적층재(170)로부터 굽힘장치(50)를 떼어낸다.
다음으로, 굽힘가공된 적층재(170)를 굽힘가공장치로부터 인출한다. 마지막으로 굽힘장치(50)를 원래의 위치로 회전시킨다.
이 적층재(170)의 브래킷(176, 177)을 설치한다.
상기한 굽힘가공방법에 있어서, 내장재(185)는 굽힘가공 후, 접착할 수 있다. 면판(181)의 끝부를 코어재(183)측으로 되접어 둘 필요가 있는 경우는 면판 (181)을 코어재(183)에 접착하기 전에 끝부를 되접어 둔다.
굽힘가공 전에 비굽힘가공부분의 2개의 면판과 코어재가 접착되어 있으나, 접착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안쪽의 면판을 구부린 후, 접착제를 도포하고, 다음에 바깥쪽의 면판을 가지는 코어재의 한쪽 끝을 안쪽의 면판에 포개어 다른쪽 끝을 구부린다.
내장재(185)로서 멜라민수지제를 사용하는 경우는, 가대(40)에서 굽힘가공하면, 굽힘부에 균열을 일으키기 쉽다. 이 경우는 구부린 후, 면판(181, 182)의 각각에 구부린 판을 접착한다.
코어재는 다른 타입의 코어재를 사용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굽힘가공을 행하는 굽힘가공장치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12에 의해 설명한다. 도 9는 도포장치(60b)를 나타내고 있지 않다.
도 8에 있어서 22a, 30a, 40a는 흡착패드이다.
굽힘지그(20)의 축(20b)에 평행한 축(20c)이 있다. 축(20c)은 축(20b)의 바로 밑에 있다. 축(20b, 20c)은 축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연결부재(20d)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재(20d)는 축(20b, 20c)에 대하여 회전 자유롭다. 연결부재 (20d)의 근방에 있어서, 축(20b)은 가대(21, 22)를 지탱하고 있다. 축(20c)의 아래쪽에는 베드(20x)가 있다. 연결부재(20d)의 하면은 시트(20y)를 거쳐 베트(20x)에 얹혀져 있다. 이에 의해 가대(21, 22)가 아래쪽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연결부재(20d)의 상면측은 가대(21)보다도 축(20b)의 가까운 쪽에 있다. 이 때문에 가대(21, 22)의 상면은 평활하게 할 수 있다.
축(20b, 20c)의 각 끝은 4개의 가대(20f, 20g, 20h, 20j)에 의해 지탱되어 있다. 축(20b)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20e)는 가대(20f)에 설치하고 있다. 구동장치(20e)는 축(20c)을 회전시키지 않는다. 구동장치(20e)는 전동기를 가진다.
굽힘장치(50)의 굽힘롤러(52), 가압롤러(53), 가압패드(55)는 거더(50b)에 매달려 있다. 거더(50b)는 승강장치(50c)를 거쳐 거더(50d)로부터 매달려 있다. 거더(50d)의 좌우 끝은 축(20b)의 각 끝에 아암(50e, 50e)에 의해 지탱되어 있다.
거더(50b)의 좌우 끝은 아암(50e, 50e)의 안쪽 면에 설치한 가이드레일에 접촉하고 있다. 이에 의해 거더(50b, 50d)가 회전하여도 굽힘롤러(52) 등의 위치가축(20b)으로부터 언제나 소정거리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아암(50e)은 축(20b)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축(20b)의 다른쪽 끝측의 가대(20j)에는 아암(50e)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50g)를 설치하고 있다. 구동장치(50g)는 전동기를 가진다. 구동장치(50g)의 출력은 기어(50h, 50j), 축 (20c), 기어(50k, 50m)을 거쳐 오른쪽의 아암(50e)에 전달한다. 기어(50j, 50k)는 축(20c)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축(20c)은 회전한다. 또 왼쪽 끝측의 축 (20c)에 설치한 기어(50n)는 축(20b)의 왼쪽 끝측의 기어(50p)를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왼쪽 끝의 아암(50e)도 회전한다. 기어(50n)는 축(20c)에 고정되어 있다.
왼쪽 아암(50e)의 축(20b) 근방에는 좌우 2개의 다리가 있다. 기어(50p)는 그 이웃한 다리(한쪽의 다리라고 함)에 고정되어 있다. 기어(50p)는 축(20b)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장치(20e)측의 다리(다른쪽 다리라 함)는 축 (20b)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아암(50e)은 기어(50p)의 회전에 의해 축(20b)에 대하여 회전한다.
오른쪽 아암(50e)의 축(20b) 근방에는 좌우 2개의 다리가 있다. 기어(50h) 측 아암(50e)의 다른쪽 다리는 축(20b)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기어(50h)는 축(20b)의 끝부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기어(50h)는 구동장치(50g)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있다. 축(20b)의 축끝은 기어(50h), 구동장치(50g)의 출력축, 및 구동장치(50g)의 본체를 차례로 거쳐 가대(20j)에 지지되어 있다. 기어(50h)와 한쪽의 다리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
기어(50m)측 다리(다른쪽측 다리라 함)는 기어(50m)에 고정되어 있다. 기어(50m)는 축(20b)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기어(50h)의 회전에 의해 기어(50j, 50k, 50m)를 거쳐 아암(50e)은 축(20b)에 대하여 회전한다.
이에 의하여 좌우의 아암(50e, 50e)은 동기하여 회전한다. 또 구동장치 (50g)의 회전의 정지에 의해 아암(50e)은 그 상태를 유지한다.
굽힘롤러(52)는 거더(50b)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분할되어 있다. 이 분할위치에 있어서 거더(50b)로부터 매달려 있다.
가압롤러(53)는 거더(50b)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분할되어 있다. 이 분할위치에 있어서 실린더장치(54)를 거쳐 거더(50b)로부터 매달려 있다. 실린더장치(54)의 로드의 선단에 롤러(53)의 축을 지지하고 있다.
가압패드(55)는 거더(50b)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소에서 실린더장치(56)를 거쳐 거더(50b)로부터 매달려 있다.
도포장치(60b)는 가대(20x)의 레일(60d)에 얹혀져 있다. 도포장치(60b)는 굽힘지그(20)의 폭방향의 한쪽 끝측으로부터 다른쪽 끝측을 향하여 이동한다.
절삭장치(70), 도포장치(80)는 프레임(70b)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 (70b)은 프레임(40d)의 레일(70x)을 따라 굽힘지그(20)의 폭방향의 한쪽 끝측으로부터 다른쪽 끝측을 향하여 이동한다. 프레임(70b)은 전도하지 않도록 레일(70x)에 지지되어 있다.
도포장치(60b), 프레임(70b)은 적층재(170)의 폭방향의 끝부에 닿지 안도록 후퇴할 수 있다.
굽힘가대(40)의 좌우의 끝에는 반원형상의 플랜지(40b)를 설치하고 있다.이 플랜지(40b)는 가대(20x)에 설치한 가대(40f)에 지지된다. 가대(40f)에는 복수개의 롤러(40g, 40h)를 설치하고 있다. 롤러(40g)는 플랜지(40b)의 하면측을 지탱한다. 롤러(40h)는 플랜지(40b)의 가이드레일(40c)의 상면에 접촉한다. 또 좌우의 플랜지(40b, 40b) 사이의 가대(40)에는 소정간격으로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를 설치하고 있다. 이 플랜지의 하면을 가대(40f)에 설치한 롤러로 지지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플랜지(40b), 가대(40)는 가대(40f)로부터 탈락하지 않고 일점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좌우의 플랜지(40b)에는 기어(40d)를 설치하고 있다. 기어(40d)는 가대(40)의 회전각만큼 있으면 좋다. 가대(40f)에는 기어(40d)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 (40j)를 설치하고 있다. 기어(40j)는 가대(40f)에 설치한 축(40k)으로 회전시킨다. 40m은 축(40k)의 회전구동장치이다.
가대(30)는 프레임(40d)에 설치하고 있다.
굽힘지그(20)의 가대(20f, 20g, 20h, 20i)를 프레임(40d)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양자의 거리를 바꾸도록 하면 적층재의 원호굽힘부와 굴곡굽힘부의 거리를 바꾼 적층재를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대(20f, 20g, 20h, 20i)를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굽힘지그(20)의 반경이 다른 경우는 이들 가대(20f, 20g, 20h, 20i)의 높이를 바꾸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기재된 문언 또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의 항에 기재된 문언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그것으로부터 용이하게 치환할 수 있는 범위에도 미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호 안쪽의 면판을 구부린 후, 코어재와 바깥쪽의 면판을 구부리고 있기 때문에 두께에 대하여 작은 반경의 적층판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6)

  1. 코어재의 양면에 제 1 면판과 제 2 면판을 각각 고정한 적층재의 한쪽 끝측을 가대에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판의 다른쪽 끝측을 상기 코어재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구부리고,
    상기 다른쪽 끝측의 상기 제 1 면판과 상기 코어재의 접촉면 중 어느 한쪽의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코어재 및 상기 제 2 면판의 다른쪽 끝측을 상기 구부린 상기 제 1 면판을 따라 이동시켜 구부려, 상기 코어재를 상기 제 2 판에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재의 굽힘가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의 도포는 상기 제 1 면판과 상기 코어재 사이를 향하여 접착제를 분무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재의 굽힘가공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의 도포는 상기 제 1 면판을 향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재의 굽힘가공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를 분무하는 수단은 상기 제 1 면판의 폭방향의 한쪽 끝으로부터 다른쪽 끝을 향하여 이동하여 상기 분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재의 굽힘가공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판의 굽힘은 상기 다른쪽 끝측을 상기 다른쪽 끝측의 가대에 흡착하고, 그 다른쪽 끝측의 가대를 이동시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재의 굽힘가공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재는 수평방향을 따른 상기 가대에 얹고, 다음으로 상기 한쪽 끝측의 상기 고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재의 굽힘가공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판의 굽힘은, 상기 다른쪽 끝측을 상기 다른쪽 끝측의 가대에 아래쪽으로 향하여 흡착하고, 그 다른쪽 끝측의 가대를 아래쪽으로 향하여 이동시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재의 굽힘가공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판의 굽힘은 상기 다른쪽 끝측을 원호형상의 가대에 고정하고,다음으로 상기 한쪽 끝측을 상기 가대에 고정한 후, 상기 다른쪽 끝측의 가대를 회전시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재의 굽힘가공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재 및 상기 제 2 면판의 굽힘은, 상기 한쪽 끝측으로부터 다른쪽 끝측을 향하여 롤러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롤러를 상기 제 1 면판을 향하여 이동시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재의 굽힘가공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판을 구부릴 때의 상기 한쪽 끝측의 상기 가대에 대한 고정은 상기 롤러로 상기 적층재를 상기 가대에 가압함으로써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재의 굽힘가공방법.
  11. 제 1 면판의 한쪽 끝측을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판의 다른쪽 끝측을 이동시켜 원호형상으로 구부리고,
    상기 다른쪽 끝측의 상기 제 1 면판과 코어재의 접촉면 중 어느 한쪽의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코어재 및 그 코어재에 접착한 제 2 면판의 한쪽 끝측을 상기 제 1 면판의 한쪽 끝측에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코어재 및 상기 제 2 면판의 다른쪽 끝측을 상기 구부린 상기 제 1 면판을 따라 이동시켜 구부려 상기 코어재를 상기제 2 판에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재의 굽힘가공방법.
  12. 제 1 면판의 한쪽 끝측을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그 제 1 면판의 다른쪽 끝측을 이동시켜 원호형상으로 구부리고,
    상기 코어재 및 그 코어재에 접착한 제 2 면판의 한쪽 끝측을 상기 제 1 면판의 한쪽 끝측에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코어재 및 상기 제 2 면판의 다른쪽 끝측을 상기 구부린 상기 제 1 면판을 따라 이동시켜 구부려 상기 코어재를 상기 제 2 판에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재의 굽힘가공방법.
  13. 제 1 면판의 한쪽 끝측을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그 제 1 면판의 다른쪽 끝측을 이동시켜 원호형상으로 구부리고,
    상기 코어재 및 그 코어재에 접착한 제 2 면판의 한쪽 끝측을 상기 제 1 면판의 한쪽 끝측에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코어재 및 상기 제 2 면판의 다른쪽 끝측을, 상기 구부린 상기 제 1 면판을 따라 구부림과 동시에, 상기 제 1 면판측의 상기 코어재를 굽힘방향으로 찌그러트려 상기 코어재를 상기 제 1 면판에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재의 굽힘가공방법.
  14. 제 1 면판의 한쪽 끝측을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그 제 1 면판의 다른쪽 끝측을 이동시켜 원호형상으로 구부리고,
    상기 코어재 및 그 코어재에 접착한 제 2 면판의 한쪽 끝측을 상기 제 1 면판의 한쪽 끝측에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코어재 및 상기 제 2 면판의 다른쪽 끝측을, 상기 구부린 상기 제 1 면판을 구부림과 동시에, 상기 제 1 면판측의 상기 코어재 및 그 코어재의 셀내의 발포재를 굽힘방향으로 찌그러트려 상기 코어재를 상기 제 1 면판에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재의 굽힘가공방법.
  15. 코어재와; 그 양 바깥면측에 접합한 2매의 면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재는 상기 면판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2개의 면판을 접합하는 판을 가지고 있고,
    이와 같은 적층재의 적어도 일부는 한쪽의 상기 면판측이 안쪽이 되는 원호형상이고,
    상기 원호형상부분의 상기 코어재는 상기 원호형상의 원호의 안쪽이 원호방향으로 찌그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재.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재의 다수의 셀내에 발포재를 가지고 있고, 상기 원호형상부분의 상기 제 1 면판측의 상기 셀내의 상기 발포재는 찌그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재.
  17. 코어재와; 그 양 외면측에 접합한 2매의 면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재의 한쪽 면의 실질적으로 전면은 한쪽의 상기 면판에 접합되어있고,
    상기 코어재의 다른쪽 면의 한쪽 끝과 다른쪽의 상기 면판의 한쪽 끝은 접합되어 있고,
    상기 코어재의 상기 다른쪽 면의 다른쪽 끝과 상기 다른쪽 면판의 다른쪽 끝은 접합되어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재.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쪽 면판의 상기 다른쪽 끝의 끝부는 상기 코어재의 상기 다른쪽 끝의 끝부보다도 상기 한쪽 끝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재.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재는 상기 면판의 면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2개의 면판을 접합하는 판을 가지고, 그 판에 병렬로 셀을 가지고 있고, 상기 셀내에 발포재를 충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재.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면판의 상면에 화장재를 접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재.
  21. 적층재를 얹어 놓는 실질적으로 수평인 제 1 가대와;
    상기 제 1 가대의 상면에 설치한 제 1 흡착패드와;
    상기 제 1 가대와 함께 적층재를 얹는 것으로서 원호형상 부분을 구비하고 적층재를 얹어 놓는 상태로부터 회전시켰을 때, 상면측이 원호형상이 되는 제 2 가대와;
    적층재를 얹어 놓는 위치인 상기 제 2 가대에 설치한 제 2 흡착패드와;
    상기 제 2 가대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그 제 2 가대의 회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롤러로 이루어지는 적층재의 굽힘가공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대를 회전시켰을 때, 실질적으로 수평인 적층재의 하면을 흡착하는 제 3 흡착패드를 상기 제 2 가대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재의 굽힘가공장치.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 2 가대의 반대측에 제 3 가대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가대의 상면에 흡착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가대는 위쪽으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 3 가대와 상기 제 2 가대 사이를 절삭위치로 하고, 상기 사이의 위쪽에 절삭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재의 굽힘가공장치.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대는 상기 제 1 가대 및 상기 제 3 가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재의 굽힘가공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대의 상기 상대적인 이동방향은 수평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재의 굽힘가공장치.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대의 상기 상대적인 이동방향은 수직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재의 굽힘가공장치.
KR10-2001-7010005A 1999-02-12 2000-02-07 적층재, 적층재의 굽힘가공방법 및 적층재의 굽힘가공장치 KR1005059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033768 1999-02-12
JP03376899A JP3569150B2 (ja) 1999-02-12 1999-02-12 積層材の曲げ加工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1830A true KR20010101830A (ko) 2001-11-14
KR100505902B1 KR100505902B1 (ko) 2005-08-04

Family

ID=12395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005A KR100505902B1 (ko) 1999-02-12 2000-02-07 적층재, 적층재의 굽힘가공방법 및 적층재의 굽힘가공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899779B1 (ko)
EP (2) EP1160078B1 (ko)
JP (1) JP3569150B2 (ko)
KR (1) KR100505902B1 (ko)
CN (1) CN1163348C (ko)
AU (1) AU767113B2 (ko)
DE (1) DE60029760T2 (ko)
ES (1) ES2267495T3 (ko)
TW (1) TW592966B (ko)
WO (1) WO200004740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652B1 (ko) * 2009-07-16 2012-05-03 주식회사 국영지앤엠 간봉 절곡 장치
WO2020242084A1 (ko) * 2019-05-31 2020-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벤딩 머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7441B2 (ja) * 2000-03-16 2004-12-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積層材の曲げ加工方法
CN1299891C (zh) * 2002-03-18 2007-02-14 桥本忠 带有弯折格线的塑料薄板及该塑料薄板用格线刀
BE1016157A3 (nl) * 2004-08-12 2006-04-04 Willem Jan Laane Trading Bv Me Werkwijze voor het aanbrengen van een vouwzone in een kunststofplaat.
JP5974324B2 (ja) * 2012-05-15 2016-08-2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金属帯部品の成形装置および成形方法
KR101462213B1 (ko) * 2013-03-11 2014-11-20 (주)토탈테크 나선형 롤벤더 장치
EP3267083B1 (en) * 2013-03-15 2020-11-04 Fran Lanciaux Method for producing clad duct, heat brake and clad duct
CN103499009B (zh) * 2013-07-18 2016-08-10 浙江中隧桥波形钢腹板有限公司 厚钢板小半径折弯构件及其挤压式成型装备
CN105437524A (zh) * 2014-05-27 2016-03-30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感应装置的电极层折弯装置
JP6069385B2 (ja) * 2015-02-27 2017-02-01 アイダ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板状金属材料の曲げ成形装置及び成形方法
KR20180050108A (ko) * 2016-11-04 2018-05-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적층필름의 제조 시스템 및 적층필름의 제조 방법
US10994876B2 (en) * 2017-06-30 2021-05-04 Divergent Technologies, Inc. Automated wrapping of components in transport structures
IT201800007100A1 (it) * 2018-07-11 2020-01-11 Procedimento per la fabbricazione di prodotti tubolari a curvatura complessa, quali bobine ELM.
CN113579013A (zh) * 2021-07-07 2021-11-02 安徽省伊锡尔重工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金属板材直角折弯的连续折弯机
CN113751543A (zh) * 2021-08-13 2021-12-07 南京蓝昊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钣金圆弧折弯方法
CN114210781B (zh) * 2021-11-29 2023-09-05 江苏盛翔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蜂窝板芯材生产的折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0108A (en) * 1973-02-09 1975-06-17 Hughes Aircraft Co Structural panel bent from laminated honeycomb
US4078959A (en) * 1976-02-13 1978-03-14 The Dow Chemical Company Curved laminate panels
JPS62196132A (ja) * 1986-02-22 1987-08-29 スズキ株式会社 ハニカム構造体の成形方法
JPH0622955B2 (ja) * 1986-03-21 1994-03-30 マツダ株式会社 ハニカムパネル構造体の製造法
US4853018A (en) * 1987-11-23 1989-08-01 Ford Mo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glass sheet
US4917747A (en) * 1989-02-24 1990-04-17 The Boeing Company Method of making crushed core molded panels
EP0424312A1 (de) * 1989-10-13 1991-04-24 Alusuisse-Lonza Services Ag Biegbare Verbundplatte
JPH03222715A (ja) * 1990-01-30 1991-10-01 Showa Aircraft Ind Co Ltd 曲面ハニカムパネルの成形方法
JPH07108634A (ja) * 1993-10-08 1995-04-25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ハニカムパネルの製造方法
JPH09295050A (ja) * 1996-04-26 1997-11-18 Sumitomo Bakelite Co Ltd 金属コア化粧板の曲げ加工方法及び装置
US6036802A (en) * 1996-09-13 2000-03-14 The Boeing Company Thermoplastic panel bend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652B1 (ko) * 2009-07-16 2012-05-03 주식회사 국영지앤엠 간봉 절곡 장치
WO2020242084A1 (ko) * 2019-05-31 2020-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벤딩 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92966B (en) 2004-06-21
EP1160078B1 (en) 2006-08-02
JP3569150B2 (ja) 2004-09-22
DE60029760T2 (de) 2007-08-02
CN1163348C (zh) 2004-08-25
EP1160078A4 (en) 2002-09-25
WO2000047409A1 (fr) 2000-08-17
ES2267495T3 (es) 2007-03-16
AU767113B2 (en) 2003-10-30
US6899779B1 (en) 2005-05-31
JP2000229352A (ja) 2000-08-22
EP1160078A1 (en) 2001-12-05
AU2326900A (en) 2000-08-29
CN1336870A (zh) 2002-02-20
EP1695773A1 (en) 2006-08-30
KR100505902B1 (ko) 2005-08-04
DE60029760D1 (de) 200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5902B1 (ko) 적층재, 적층재의 굽힘가공방법 및 적층재의 굽힘가공장치
JP3836618B2 (ja) 積層材の曲げ加工装置
US6797364B2 (en) Composite panel
CN113733291B (zh) 一种建筑板材加工用包边机
JP3828381B2 (ja) 積層材の曲げ加工装置
KR100794708B1 (ko) “ㄷ” 자 형상 부위의 테이프 부착 장치
JP2000229366A (ja) 積層材
CN111716698B (zh) 一种无废料贴膜装置及无废料自动化贴膜切膜系统
CN115008517A (zh) 一种自动切断修齐设备
JPH11268934A (ja) 真空複層ガラスの製造方法
CN110040550B (zh) 用于彩钢夹芯板制造机的限位导向装置
JP6455890B2 (ja) 塗布装置
CN112971498A (zh) 一种珍珠棉隔热杯套自动成型设备
KR101080913B1 (ko) 덕트용 압착장치
CN215548859U (zh) 一种纸板切割装置
CN218928119U (zh) 用于办公家具生产的封边装置
CN216235429U (zh) 穿料贴合裁切机
CN217554357U (zh) 一种纸箱打包机
CN218193025U (zh) 一种脉冲热压焊接机的焊接机构
CN212217575U (zh) 一种钢构焊接自动定位装置
CN116901143A (zh) 蜂窝芯板切割装置及系统
WO1996000150A1 (en) Machine for making honeycomb material
CN114180418A (zh) 穿料贴合裁切机
CN116901160A (zh) 蜂窝芯板切割机构及设备
CN118025869A (zh) 一种分步式纸带剪切拼接装置及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