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1380A - 2층 메이크업 화장품 - Google Patents

2층 메이크업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1380A
KR20010101380A KR1020017008524A KR20017008524A KR20010101380A KR 20010101380 A KR20010101380 A KR 20010101380A KR 1020017008524 A KR1020017008524 A KR 1020017008524A KR 20017008524 A KR20017008524 A KR 20017008524A KR 20010101380 A KR20010101380 A KR 20010101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layer
group
base compositi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8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9548B1 (ko
Inventor
구로사와마리
가쓰야마도모유키
히네노데루히코
Original Assignee
겜마 아키라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겜마 아키라,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겜마 아키라
Publication of KR20010101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1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9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95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4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 polyoxyalkylene group, e.g. cetyl dimethicone copoly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5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e.g. vin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4Specific forms not provided for by any of groups A61K8/0208 - A61K8/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75Containing agglomerated particu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3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4Phosphoro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61K8/315Halogenated 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romatic olefines, e.g. polystyr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8Poly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제1 층용 하지 재료와 제2 층용 마무리 재료를 조합하여 이루어진 2층 메이크업 화장품에서, 제1 층용 하지 재료와 제2 층용 마무리 재료가 각각 하기의 조성물인 2층 메이크업 화장품이 제공된다. 제1 층용 하지 재료: (1) 25℃에서의 점도가 1500만cps 이하인 실리콘유와 분말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 (2) 실리콘화 다당 화합물 및 저점도 실리콘유 및/또는 분말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 또는 (3) 실리콘유(i), 특정한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ii), 물(iii) 및 소수성 분말(iv)을 함유하는 조성물. 제2 층용 마무리 재료: 정반사와 확산반사가 둘 다 억제되어 있는 분말을 마무리 재료에 대하여 1 내지 100중량% 함유하는 조성물.

Description

2층 메이크업 화장품{Double-layered makeup cosmetics}
기술분야
본 발명은 메이크업 화장품, 특히 제1 층용 하지(下地) 재료와 제2 층용 마무리 재료를 조합하여 이루어진 2층 메이크업 화장품에 관한 발명이다.
배경기술
2층 메이크업 화장품은 통상적인 메이크업 목적에 추가하여 피부의 주름, 모공(毛孔), 거친 살결 등의 소위 형태 트러블을 효과적으로 은폐할 목적으로 특별히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6-128122호에는 주름 은폐용 중층 화장품(이하, 종래의 중층 화장품이라고 함)으로서 「점착성 물질을 함유하는 제1 층용 메이크업 하지 재료와 빛을 확산반사하는 분말을 함유하는 제2 층용 메이크업 마무리 재료를 조합한 주름 은폐용 중층 화장품」에 관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중층 화장품에서는 제1 층의 점착물질이 점착성을 가지며 그 위에 제2 층의 메이크업 마무리 재료를 중첩시켜 도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2 층은 확산반사 분말을 함유하므로 피부의 주름, 모공, 거친 살결 등을 은폐하는 효과가 확인된다(참조: 상기 공개공보 제3면 단락번호 0024의 란).
그러나, 종래의 중층 화장품에도 새로운 과제가 확인된다. 즉, 종래의 중층 화장품의 제1 층으로서 사용되는 메이크업 하지 재료는 전적으로 제2 층을 안정하게 피부 위에 중층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조성으로 되어 있으며(구체적으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등의 점착성 물질을 함유함), 그 자체에 피부의 주름이나 모공 등을 은폐하는 기능이 부여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종래의 중층 화장품에서 모공 등의 은폐는 거의 제2 층의 메이크업 마무리 재료에 함유된 「분말」의 기능에만 의존하여 수득된다.
즉, 종래의 중층 화장품은 제2 층의 메이크업 마무리 재료에 함유된 「분말」의 빛의 확산반사능에 의해 모공 등에 부딪힌 빛을 확산반사함으로써 모공 등을 평활화하는 것을 주제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품이다(또한, 빛의 반사능에는 확산반사능 이외에 「정반사능」이 있지만, 정반사능이 강하면 모공에 부딪힌 빛이 그대로 분말에 의해 반사되어 오히려 모공 등의 존재가 눈에 띄게 된다. 따라서, 분말에서 빛의 정반사능은 모공 등의 은폐를 도모하는 데는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은 기능이다).
그러나, 빛을 확산반사하는 분말이 메이크업 표면에 존재하면 확산반사된 빛에 의해 마무리가 흰 빛을 띠며 가루같은 느낌이 들어 자연스러운 마무리와는 상당히 멀어지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예를 들면, 모공은 단순히 구멍이 피부 위에 점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구멍 주변부가 솟아 오르고 중심 부분이 우묵하게 들어간 것 같은 형태를 취하고 있어 붉은 빛, 거무스름한 빛 등으로 모공 주변부에 비해 명백하게 색차가 확인된다. 그러므로, 모공 등을 은폐하기 위해서는 제2 층에확산반사능이 큰 고(高)은폐성 안료(산화티타늄 등)를 대량으로 배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종래의 중층 화장품의 사용자는 모공 등을 은폐하는 것을 대신하여 가루같은 느낌을 주위의 사람에게 주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특히, 메이크업의 자연스러운 감각이 중요시되고 있는 지금에 있어서는 모공 등을 완벽하게 은폐할 수 있고 마무리가 자연스러운 신규한 중층 메이크업 화장품이 제공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란 쉽지 않다. 그 이유는, 빛의 정반사능은 물론 확산반사능도 억제되어 있는 분말을 제2 층의 메이크업 마무리 재료에 사용하면 종래의 중층 화장품으로는 분말의 기능에 의해 적극적으로 모공을 은폐할 수 없게 되어 중층 화장품의 원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이 해결해야 할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중층 메이크업 화장품에서의 문제점을 극복하여 모공 등의 은폐력이 우수하고 마무리가 자연스러운 메이크업 화장품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연스러운 마무리를 제공할 수 있는 「빛의 정반사와 확산반사의 두가지 광반사가 억제되어 있는 분말」을 사용해도 모공 등을 은폐할 수 있는 수단에 관해 검토했다.
그 결과, 제1 층의 메이크업 하지 재료로서, 모공 등에 밀착하여 모공 등의 요철을 평활화할 수 있는 특정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목적하는 기능을 갖는 중층 메이크업 화장품을 수득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즉, 본 발명은
제 1 층용 하지 재료와 제2 층용 마무리 재료를 조합하여 이루어진 2층 메이크업 화장품(본 발명에서는 중층 화장품이라고 함)에 있어서,
제1 층용 하지 재료가 (1) 25℃에서의 점도가 1500만cps 이하인 실리콘유와 분말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 (2) 실리콘화 다당 화합물 및 저점도 실리콘유 및/또는 분말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 또는 (3) 실리콘유(ⅰ), 다음 화학식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ii) , 물(iii) 및 소수성 분말(iv)을 함유하는 조성물이고,
제2 층용 마무리 재료가 정반사와 확산반사가 둘 다 억제되어 있는 분말을 마무리 재료에 대하여 1 내지 100중량% 함유하는 조성물인 2층 메이크업 화장품을 제공하는 발명이다.
위의 화학식에서,
B는 메틸 그룹, 페닐 그룹 또는 화학식 -C3H6O(C2H4O)b(C3H60)cR13의 폴리옥시알킬렌 그룹(여기서, R13은 수소원자, 아실 그룹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그룹이고, b 및 c는 각각 독립적으로 5 내지 50의 정수이다)이고,
R12는 메틸 그룹 또는 페닐 그룹이며,
m은 50 내지 1000의 정수이고,
n은 1 내지 40의 정수이며,
단 분자 중에 하나 이상의 폴리옥시알킬렌 그룹을 갖는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광량계(光量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하기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층 화장품은 제1 층용 하지 재료(A)와 제2 층용 마무리 재료(B)로 구성된다.
(A) 제1 층용 하지 재료에 관해
제1 층용 하지 재료는, 25℃에서 점도가 1500만cps 이하인 실리콘유와 분말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1), 실리콘화 다당 화합물 및 저점도 실리콘유 및/또는 분말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2), 또는 (i) 실리콘유, (ii) 상기 화학식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iii) 물 및 (iv) 소수성 분말을 함유하는 조성물(3)이다. 이러한 조성물들은 모두 모공, 피부의 주름, 거친 살결, 상처 자국 등의 소위 형태 트러블(본 명세서에서는 「모공 등」 또는 「형태 트러블」이라고 함)에 밀착하여 평탄화 보정할 수 있는 조성물이다. 하기에 각각의 조성물에 관해 설명한다.
(1) 25℃에서 점도가 1500만cps 이하인 실리콘유와 분말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하, 제1 하지 조성물이라고 함)에 관해:
제1 하지 조성물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1-60445호에 기재되어 있는 「요철 보정용 조성물」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조성물이다.
제1 하지 조성물에 배합될 수 있는 실리콘유의 점도는 1500만cps 이하이지만, 제1 하지 조성물의 피부에 대한 부착 용이성을 가능한 한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1만 내지 100만cps가 바람직하며, 특히 1만 내지 10만cps 이하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실리콘유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의 디메틸폴리실록산을 비롯하여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사이클로폴리실록산, 알킬 변성 실리콘, 아미노 변성 실리콘, 에폭시 변성 실리콘, 카복실 변성 실리콘, 클로로알킬 변성 실리콘, 알킬 고급 알콜 에스테르 변성 실리콘, 알콜 변성 실리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불소 변성 실리콘 등의 오가노폴리실록산을 들 수 있지만, 특히 하기 화학식의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또는 메틸페닐폴리실록산을 선택하여 제1 하지 조성물에 배합하는 것이 피부에 대한 제1 하지 조성물의 안전성, 투명성 또는 현시점에서의 입수용이성을 고려하면바람직하다.
위의 화학식에서,
R1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메틸 그룹 또는 하이드록실 그룹이며,
n은 평균 중합도수로서 500 내지 20000이다.
상기한 실리콘유는 통상적으로 공지된 제법에 따라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시판품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실리콘유 중에서 1종류의 실리콘유를 제1 하지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지만, 이들을 필요에 따라 2종류 이상 조합하여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점도가 상이한 실리콘유를 조합하여 점도가 1만 내지 1500만cps, 바람직하게는 1만 내지 100만cps, 특히 바람직하게는 1만 내지 10만cps의 범위로 되도록 제조한 실리콘유의 혼합물을 배합함으로써 피부 상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끈적거리는 사용감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평균 점도가 1 내지 1만cps 미만인 저점도 실리콘유[예를 들면, SH 200C(1 내지 5000cps, 제조원; 도레이다우코닝실리콘)], 평균 점도가 1만 내지 100만cps 미만인 중점도 실리콘유[예를 들면, SH 200(10000cps 내지 100만cps, 제조원; 도레이다우코닝실리콘)] 및 평균 점도가 200만 내지 1500만cps인 고점도 실리콘유 중의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혼합하고 목적하는 점도로 되도록 제조함으로써 상기한 「밀착성의 향상 및 끈적거리는 사용감의 억제」라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제1 하지 조성물 중의 실리콘유의 배합량은 기도(企圖)하는 조성물의 성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며, 또한 구체적인 실리콘유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대체로 조성물의 총 중량에서 분말 성분의 중량을 뺀 중량에 대하여 80.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하지 조성물 중의 실리콘유의 배합량이 상기한 범위보다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하지 조성물이 불투명해지고 피부에 도포할 때에 눈에 띄게 되는 경향이 강하다.
또한, 실리콘유를 대신하여 탄화수소계 고분자를 배합하면, 이를 배합한 조성물의 밀착성이 과도해지며 사용후에 제거하기가 곤란해지는 경향이 대단히 강하므로, 이는 제1 하지 조성물에서 배합 성분으로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제1 하지 조성물 중에는 상기한 실리콘유와 함께 분말 성분이 배합된다.
이러한 분말 성분의 배합에 의해, 실리콘유가 뉴톤 유체인 것에 기인하는 늘어뜨려지는 결점이 방지되고 피부 상의 요철의 보정도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제1 하지 조성물에 배합될 수 있는 분말 성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활석, 카올린, 운모, 견운모(세리사이트), 백운모, 금운모, 합성 운모, 홍운모, 흑운모, 리티아 운모, 버미큘라이트,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바륨,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 금속염, 마그네슘, 이산화규소, 제올라이트, 황산바륨, 소성 황산칼슘(소석고), 인산칼슘, 불소아파타이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세라믹 파우더, 금속 비누(미리스트산아연, 팔미트산칼슘, 스테아르산알루미늄), 질화붕소 등의 무기 분말; 폴리아미드 수지 분말(나일론 분말),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분말, 폴리스티렌 분말, 스티렌과 아크릴산과의 공중합체 수지 분말, 벤조구아나민 수지 분말, 실리콘 수지 분말, 실리콘 고무 분말, 폴리테트라플루오로화에틸렌 분말, 셀룰로스 분말 등의 유기 분말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분말 성분을 실리콘 화합물, 불소 변성 실리콘 화합물, 불소 화합물,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금속 비누, 아미노산 또는 알킬포스페이트 등으로 표면처리한 분말 성분을 필요에 따라 제1 하지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분말 성분 중에서, 굴절율이 대략 1.3 내지 1.5인 분말 성분을 선택하여 제1 하지 조성물에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범위의 굴절율은 또다른 배합 성분인 실리콘유의 굴절율과 거의 중첩되며 이들을 조합하여 배합함으로써 실리콘유의 투명성을 손상하지 않으면서 제1 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범위의 굴절율을 갖는 분말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산화규소 분말, 실리콘 수지 분말, 실리콘 고무 분말을 들 수 있다.
이산화규소 분말은 소위 실리카 분말로서 시판되고 있으며[예를 들면, 케미세렌(제조원; 스미토모가가쿠), 구상 실리카 P-1500(제조원; 쇼쿠바이가세이고교가부시키가이샤), 아에로질 #200(제조원; 데구사(Deggusa)), 아에로질 R972, 실텍스 L-51(제조원; 아사히가라스가부시키가이샤) 등],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이산화규소 분말을 제1 하지 조성물에 배합함으로써 제1 하지 조성물의 피부에 대한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리콘 수지 분말은 다관능성 실록산 성분을 공중합시켜 이루어진 실리콘 수지를 분말화한 것이며 다양한 실리콘 수지 분말이 시판되고 있다.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시바실리콘에서 제조한 토스펄 시리즈(토스펄 145A 등)를 들 수 있다.
이들 실리콘 수지 분말은 굴절율이 실리콘유와 거의 동일하므로 실리콘유와 혼합하는 경우에 투명한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
실리콘 고무 분말은 오가노폴리실록산 탄성중합체 조성물 또는 오가노폴리실록산 수지 조성물을 원료로 하는 오가노폴리실록산 분말이며 다양한 실리콘 고무 분말이 시판되고 있다.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레이다우코닝실리콘에서 제조한 토레필 시리즈(토레필 E505C, 토레필 E506C, 토레필 E505W 등)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이들 실리콘 고무 분말은 다른 분말 성분과 비교하여 탄성이 크며, 이를 제1 하지 조성물에 배합함으로써 제1 하지 조성물의 탄성을 피부의 탄성에 근사시켜 실제 피부의 상태에 보다 근접시킬 수 있다.
또한, 이들 분말 성분의 형상을 가능한 한 구상으로 함으로써 제1 하지 조성물을 피부에 보다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산화규소분말, 실리콘 수지 분말 및/또는 실리콘 고무 분말의 구상 분말(예를 들면, 상기한 도시바실리콘에서 제조한 토스펄 시리즈 등)을 제1 하지 조성물에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분말 성분 중의 1종류를 제1 하지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지만, 이들을 필요에 따라 2종류 이상 조합하여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분말과 미립자 이산화규소 분말을 조합하여 제1 하지 조성물에 배합하면 피부로의 부착 용이성과 피부에 대한 밀착성을 둘 다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하지 조성물의 투명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굴절율(1.3 내지 1.5)의 분말 성분을 분말 성분 전체의 90중량% 이상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범위 이외의 굴절율을 갖는 분말 성분이 분말 성분 전체의 10중량%를 초과하는 양으로 제1 하지 조성물에 배합되면 제1 하지 조성물이 착색되며 투명성을 상실하게 되는 경향이 강하다.
제1 하지 조성물 중의 상기한 분말 성분의 배합량은 배합되는 분말 성분의 종류 또는 비표면적(배합하는 분말 성분의 비표면적이 커질수록 분말 성분의 적절한 배합량은 소량으로 된다)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되어야 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대략 조성물 전체의 10.0 내지 8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합량이 조성물 전체의 10.0중량% 미만이면 제1 하지 조성물을 피부 상에 사용하는 경우에 늘어뜨려지는 결점이 충분하게 억지되지 않는 경향이 강해져 바람직하지 않으며, 반면에 80.0중량%를 초과하는 양으로 배합하면 제1 하지 조성물의 성상이 페이스트상을 유지하기가 곤란해지는 경향이 강해져 바람직하지 않다.
이렇게 하여 점도가 1500만cps 이하인 실리콘유와 분말 성분을 조합하여 배합함으로써 목적하는 제1 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2) 실리콘화 다당 화합물 및 저점도 실리콘유 및/또는 분말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하, 제2 하지 조성물이라고 함)에 관해:
제2 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실리콘화 다당 화합물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0-29910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위의 화학식 I에서,
Glc는 다당 화합물의 당 잔기이고,
X는 2가 결합 그룹이며,
Y는 2가 지방족 그룹이고,
R3은 탄소수 1 내지 8의 1가 유기 그룹이며,
R4, R5및 R6은 각각 탄소수 1 내지 8의 1가 유기 그룹 또는 -OSiR7R8R9의 실록산 그룹(여기서, R7, R8및 R9는 각각 탄소수 1 내지 8의 1가 유기 그룹이다)이고,
a는 0, 1 또는 2이다.
화학식 I에서, Glc는 다당 화합물의 당 잔기이며, 다당 화합물로서는 공지된 각종 다당 화합물, 예를 들면, 셀룰로스, 헤미셀룰로스, 아라비아 검, 트라간트 검, 타마린드 검, 펙틴, 전분, 만난, 구아 검, 로커스트빈 검, 퀸스시드 검, 알긴산, 카라기난, 한천, 크산탄 검, 덱스트란, 플루란, 키틴, 키토산,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황산 등 이외에 이들 다당 화합물의 유도체, 예를 들면, 카복시메틸화 유도체, 황산화 유도체, 인산화 유도체, 메틸화 유도체, 에틸화 유도체, 에틸렌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옥사이드 등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 유도체, 아실화 유도체, 카티온화 유도체, 저분자량화 유도체 등의 다당 화합물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이들 다당 화합물 중에서, 에틸셀룰로스 또는 플루란을 다당 화합물로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플루란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당 화합물의 분자량은 다당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지만, 대략 1,000 내지 5,000,000이다.
이들 다당 화합물은 이의 종류에 따라 하이드록실 그룹, 카복실 그룹 등의 반응성 관능 그룹의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하나 이상 함유한다. X로 나타낸 2가 결합 그룹은 이러한 다당 화합물에 함유된 반응성 관능 그룹과 하기 화학식 II의 실리콘 화합물을 반응시켜 형성되는 A로부터 유도되는 2가 결합 그룹이다.
위의 화학식 II에서,
Y, R3, R4, R5, R6및 a는 화학식 I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A는 다당 화합물의 반응성 관능 그룹과 반응할 수 있는 관능 그룹,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 그룹, 에폭시 그룹, 비닐 그룹, 아크릴로일 그룹, 메타크릴로일 그룹, 아미노 그룹, 이미노 그룹, 하이드록실 그룹, 카복실 그룹, 머캅토 그룹 등이다.
또한, 이러한 다당 화합물과 실리콘 화합물과의 반응에는 종래부터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형성되는 2가 결합 그룹 X로서는, 예를 들면, 카바모일 그룹, -CH2CH(OH)-, 카보닐 그룹, 아미노 그룹, 에테르 그룹 등을 들 수 있지만, 반응성 측면에서, A가 이소시아네트 그룹(0=C=N-)인 화학식 II의 화합물과 다당 화합물의 반응성 관능 그룹인 하이드록실 그룹을 반응시켜 형성되는 카바모일 그룹(-CONH-)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경우의 다당 화합물의 당 잔기 Glc는 이소시아네이트그룹과 반응하는 하이드록실 그룹의 수소원자를 제거한 다당 화합물의 나머지 부분을 의미한다. 기타 반응의 경우에도 다당 화합물의 당 잔기란 이에 준하는 것을 의미한다.
Y는 2가 지방족 그룹이다. 2가 지방족 그룹으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렌 그룹, 주쇄에 산소원자, 질소원자, 황원자 등을 갖는 알킬렌 그룹. 주쇄에 페닐렌 그룹 등의 아릴렌 그룹을 갖는 알킬렌 그룹, 주쇄에 카보닐옥시 그룹 또는 옥시카보닐 그룹을 갖는 알킬렌 그룹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2가 지방족 그룹은 하이드록시 그룹, 알콕시 그룹, 알킬 그룹 등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지방족 그룹의 말단 원자가 산소원자, 질소원자, 황원자 등의 헤테로 원자일 수 있다. Y의 예로는, -(CH2)2-, -(CH2)3-, -(CH2)4-, -(CH2)6-, -(CH2)8-, -[CH2CH(CH3)]-, -(CH2)20(CH2)3, -CH2CH(OH)-CH2-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중에서 -(CH2)3-의 프로필렌 그룹이 바람직하다.
R3, R7, R8및 R9는 탄소수 1 내지 8의 1가 유기 그룹이며, R4, R5및 R6은 탄소수 1 내지 8의 1가 유기 그룹일 수 있다. 이러한 1가 유기 그룹으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 그룹, 에틸 그룹, 프로필 그룹, 부틸 그룹 등의 알킬 그룹; 사이클로펜틸 그룹, 사이클로헥실 그룹 등의 사이클로알킬 그룹; 페닐 그룹 등의 아릴 그룹; 벤질 그룹 등의 아르알킬 그룹; 비닐 그룹, 알릴 그룹 등의 알케닐 그룹;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 그룹 등의 플루오로화알킬 그룹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R4, R5및 R6은 각각 -0SiR7R8R9의 실록시 그룹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실록시 그룹으로서는 트리메틸실록시 그룹, 에틸디메틸실록시 그룹, 페닐디메틸실록시 그룹, 비닐디메틸실록시 그룹,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디메틸실록시 그룹 등을 들 수 있다.
R3, R4, R5, R6, R7, R8및 R9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지만, R4, R5및 R6이 모두 메틸 그룹인 것이 바람직하다.
a는 0, 1 또는 2이지만, 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실리콘화 다당 화합물로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화학식 III의 실리콘화 플루란[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3-134103호]이다.
위의 화학식 III에서,
R은 수소원자 또는 [(CH3)3SiO]3Si(CH3)3NHCO의 그룹이고,
r은 양수이다.
또한, 제2 하지 조성물에 배합되는 실리콘화 다당 화합물에서의 다당 화합물의 반응성 관능 그룹에 대한 실리콘 화합물의 결합 비율은 반드시 100%일 필요는없지만, 다당 화합물에 대한 실리콘 화합물의 결합 비율이 너무 낮으면 본 발명의 효과가 충분하게 발휘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결합 비율은 구체적으로는 실리콘 화합물 및 다당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지만 다당 화합물을 구성하는 당(糖) 1단위당 실리콘 화합물의 평균 결합수(치환도)가 0.5 내지 2.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치환도는 실리콘화 다당 화합물 중의 Si 함유량(중량%)으로부터 환산한 것이다.
제2 하지 조성물에서 실리콘화 다당 화합물은 통상적으로 공지된 제법에 따라 제조한 것을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시판품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배합할 수 있다.
제2 하지 조성물 중의 실리콘화 다당 화합물의 배합량은 기도하는 제2 하지 조성물의 양태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며, 구체적으로 선택되는 실리콘화 다당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1 내지 4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화 다당 화합물의 배합량이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수득되는 조성물을 피부 위에 도포해도 피부 상의 요철을 메꾸는데 필요한 두께가 수득되지 않고 피부에 대한 밀착성이나 강인함이 결핍되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40.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득되는 조성물을 피부 상에 도포할 수 없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제2 하지 조성물에는 상기한 실리콘화 다당 화합물 이외에 저점도 실리콘유를 추가로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저점도 실리콘유로서는, 예를 들면, 화학식 IV 또는 화학식 V의 저분자량 실리콘유, 예를 들면, 화학식 IV에서 R10및 R11이 메틸 그룹인 디메틸폴리실록산을 들 수 있다.
위의 화학식 IV 및 V에서,
R10및 R11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메틸 그룹 또는 하이드록실 그룹이며,
p는 0 내지 5의 정수이고,
q는 3 내지 7의 정수이다.
또한, 이러한 실리콘유로서는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사이클로폴리실록산, 알킬 변성 실리콘, 아미노 변성 실리콘, 에폭시 변성 실리콘, 카복실 변성 실리콘, 클로로알킬 변성 실리콘, 알킬 고급 알콜 에스테르 변성 실리콘, 알콜 변성 실리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불소 변성 실리콘 등의 오가노폴리실록산을 들 수 있다.
이들 실리콘유 중에서,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또는 메틸페닐폴리실록산을 선택하여 제2 하지 조성물에 배합하는 것이 피부에 대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안전성, 투명성 또는 현시점에서의 입수용이성을 고려하면 바람직하다.
상기한 저점도 실리콘유로서, 바람직하게는 25℃에서 점도가 1 내지 1000mPa·s,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mPa·s인 실리콘유를 선택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들 제2 하지 조성물에 배합될 수 있는 저점도 실리콘유로서는 통상적으로 공지된 제법에 따라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시판품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배합할 수 있다.
제2 하지 조성물 중에는 상기한 실리콘화 다당 화합물 이외에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분말 성분을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하지 조성물에 배합될 수 있는 분말 성분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활석, 카올린, 운모, 견운모(세리사이트), 백운모, 금운모, 합성 운모, 홍운모, 흑운모, 리티아 운모, 버미큘라이트,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바륨,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 금속염, 마그네슘, 이산화규소, 제올라이트, 황산바륨, 소성 황산칼슘(소석고), 인산칼슘, 불소아파타이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세라믹 파우더, 금속 비누(미리스트산아연, 팔미트산칼슘, 스테아르산알루미늄 등), 질화붕소 등의 무기 성분을 기본으로 하는 분말 성분;
폴리아미드 수지 분말(나일론 분말),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분말, 폴리스티렌 분말, 스티렌과 아크릴산과의 공중합체 수지 분말, 벤조구아나민 수지 분말, 실리콘 수지 분말, 실리콘 고무 분말, 실리콘 수지 피복 고무 분말, 폴리테트라플루오로화 에틸렌 분말, 셀룰로스 분말 등의 유기 분말 성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분말 성분을 실리콘 화합물, 불소 변성 실리콘 화합물, 불소 화합물,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금속 비누, 아미노산 또는 알킬포스페이트 등으로 표면처리한 분말 성분을 필요에 따라 제2 하지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다.
이들 분말 성분 중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굴절율(본 발명에서는 스넬 법칙에 따라 산출되는 굴절율을 의미함)이 대략 1.3 내지 1.5인 분말 성분으로 하여 제2 하지 조성물에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범위의 굴절율은 다른 배합 성분인 실리콘화 다당 화합물 및 저점도 실리콘유의 굴절율과 거의 중첩되며, 이러한 범위의 굴절율을 갖는 분말 성분을 조합하여 제2 하지 조성물에 배합함으로써 실리콘화 다당 화합물 및 저점도 실리콘유의 투명성이 목적하는 범위에서 손상되지 않는 제2 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범위의 굴절율을 갖는 분말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산화규소 분말, 실리콘 수지 분말, 실리콘 고무 분말, 실리콘 수지 피복 고무 분말 등을 들 수 있다.
이산화규소 분말은 소위 실리카 분말로서 시판되고 있으며[예를 들면, 케미세렌(제조원; 스미토모가가쿠), 구상 실리카 P-1500(제조원; 쇼쿠바이가세이고교가부시키가이샤), 아에로질 #200(제조원; 데구사), 아에로질 R972, 실텍스 L-51(제조원; 아사히가라스가부시키가이샤) 등], 제2 하지 조성물에 이들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이산화규소 분말을 제2 하지 조성물에 배합함으로써 제2 하지 조성물의 피부에 대한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리콘 수지 분말은 다관능성 실록산 성분을 공중합시킴으로써 이루어진 실리콘 수지를 분말화한 것이며, 다양한 실리콘 수지 분말이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시바실리콘에서 제조한 토스펄 시리즈(토스펄 145A 등)를 들 수 있다. 이들 실리콘 수지 분말은 굴절율이 실리콘화 다당 화합물 및 저점도 실리콘유와 거의 동일하므로 이들과 혼합하는 경우에 시스템을 투명하게 유지할 수 있다.
실리콘 고무 분말은 오가노폴리실록산 탄성중합체 조성물 또는 오가노폴리실록산 수지 조성물을 원료로 하는 오가노폴리실록산 분말, 예를 들면, 입자 직경이 100마이크론 이하인 오가노폴리실록산 경화물 분말[참조: 일본 특허공보 제(평)4-17162호] 등이 예시되어 있으며, 다양한 실리콘 고무 분말이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레이다우코닝실리콘에서 제조한 토레필 시리즈(토레필 E506W, 토레필 E505C, 토레필 E506C, 토레필 E505W 등)를 들 수 있다. 특히, 이들 실리콘 고무 분말은 다른 분말 성분과 비교하여 탄력성이 크기 때문에, 이를 제2 하지 조성물에 배합함으로써 제2 하지 조성물의 탄력성을 피부의 탄력성에 근사시켜 실제 피부의 상태에 보다 근접시킬 수 있다.
실리콘 수지 피복 고무 분말은 실리콘 고무 구상 미립자에 폴리오가노실세스퀴옥산 수지를 피복한 것이며[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7-196815호],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신에쓰가가쿠에서 제조한 X-52-1139K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 수지 피복 고무 분말을 제2 하지 조성물에 배합함으로써 제2 하지 조성물의 피부 상에서의 도포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하지 조성물에 배합될 수 있는 분말 성분의 구체적인 종류나 조합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말 성분의 적어도 일부로서 분말 입자의 경도가 평균 고무 경도[본 발명에서, 「평균 고무 경도」란 가황 고무 및 열가소성 고무의 경도 시험방법(JIS K6253)의 듀로미터 경도 시험의 타입 A(중경도용 시험)의 점수를 의미한다]가 50 미만인 고무 분말 성분(고무 분말 성분의 전형적인 예로서, 상기한 실리콘 고무 분말과 실리콘 수지 피복 고무 분말을 들 수 있다)을 선택하여 제2 하지 조성물에 배합함으로써 제2 하지 조성물에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고무 분말 성분으로서 분말 입자의 경도가 평균 고무 경도 50 이상인 것만을 선택하여 제2 하지 조성물에 배합하면 수득되는 조성물이 너무 굳어져서 피부에 바르기 어려우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제2 하지 조성물 중에 분말 성분으로서 분말 입자의 경도가 평균 고무 경도 50 미만인 고무 분말 성분과 이외의 분말 성분,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평균 고무 경도 50 이상인 고무 분말 성분이나 이산화규소 분말 등의 무기 분말의 양쪽을 조합하여 함유시킴으로써 경시적인 화장 지탱력(살결이 뜨지 않음)이 양호한 제2 하지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다.
그리고, 분말 성분의 입자 형상에는 주로 구상, 판상 또는 무정형 등이 있지만, 상이한 2종류 이상의 입자 형상을 갖는 분말 성분, 예를 들면, 입자 형상이 구상인 분말 성분(예를 들면, 고무 분말 성분)과 무정형의 분말 성분(예를 들면, 무정형 분말입자의 이산화규소 분말 등의 무기 분말 성분)을 조합하여 제2 하지 조성물에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이한 2종류 이상의 입자 형상의 분말 성분, 특히 분말 입자가 구상인 평균 고무 경도 50 미만의 고무 분말 성분과 무정형 분말 입자의 무기 분말 성분을 조합하여 배합하면 본 발명의 중층 화장품에서 경시적인 화장 지탱력(살결이 뜨지 않음)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분말 성분으로서 무정형 분말 입자의 분말 성분을 함유시킴으로써 제2 하지 조성물의 틱소트로피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조성물의 경시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요컨대, 제2 하지 조성물의 피부 상의 도포 두께를 적극적으로 조정하여(특히, 제2 하지 조성물이 「메이크업용 조성물」인 경우가 해당된다) 조성물의 경시적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분말 성분으로서 무정형 분말 입자인 분말 성분을 함유시킴으로써 이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2 하지 조성물에 입자 형상이 상이한 분말 성분을 조합하여 배합하는 경우, 입자 형상이 구상인 분말 성분, 특히 입자 형상이 구상인 고무 분말 성분과 입자 형상이 구상 이외, 예를 들면, 판상 또는 무정형인 분말 성분의 배합 비율은 구체적인 제2 하지 조성물의 형태나 목적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2 하지 조성물에 배합되는 분말 성분 전체의 대부분을 어떠한 형상(무정형 포함)의 분말 입자인 분말 성분으로 할 수 있으며 서로 길항된 양의 비로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하지 조성물에 입자 형상이 무정형인 분말 성분을 다른 입자 형상의 분말 성분과 함께 배합하는 경우, 입자 형상이 무정형인 분말 성분은 일반적으로 배합되는 분말 성분 전체의 약 10 내지 90중량% 정도(이러한 배합 비율의 수치 범위는 일단 목표이다)의 대단히 넓은 범위로 배합 비율을 선택할 수 있다.
입자 형상이 무정형인 분말 성분의 배합량이 상대적으로 너무 적으면(상기한 예에서는 분말 성분 전체의 약 10중량% 미만 정도), ① 제2 하지 조성물이 특히 피부 위의 큰 요철(예를 들면, 화상 흔적이나 상처 자국)의 평활화 보정을 기도하는 경우에는 경시적인 화장 지탱력(살결이 뜨지 않음)이 결핍되고, ② 제2 하지 조성물이 모공이나 주름 등의 비교적 작은 피부 위의 요철의 평활화 보정을 기도하는 경우에는 그 효과를 충분하게 발휘하기가 곤란해진다. 반대로, 입자 형상이 무정형인 분말 성분의 배합량이 상대적으로 너무 많으면(상기한 예에서는 분말 성분 전체의 약 90중량%를 초과하는 정도), ① 제2 하지 조성물이 특히 피부 위의 큰요철(예를 들면, 화상 흔적이나 상처 자국)의 평활화 보정을 기도하는 경우에는 수득되는 조성물의 유연성·강인함이 결핍되어 피부에 도포할 때에 피부의 움직임에 따라 조각조각으로 분리되기 쉬워지고, ② 제2 하지 조성물이 모공이나 주름 등의 비교적 작은 피부 위의 요철의 평활화 보정을 기도하는 경우에는 조성물의 경시적인 안정성이 악화되는 경향이 강해진다.
제2 하지 조성물 중의 분말 성분 전체의 배합량은 배합되는 분말 성분의 종류나 비표면적(배합되는 분말 성분의 비표면적이 커질수록 분말 성분의 적절한 배합량은 소량으로 된다)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되어야 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대체로 조성물 전체의 5.0 내지 8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합량이 조성물 전체의 5.0중량% 미만이면 제2 하지 조성물을 피부에 사용하는 경우에 늘어뜨려지는 결점이 충분하게 억제되지 않는 경향이 강해지며, 80.0중량%를 초과하여 배합하면 제2 하지 조성물의 성상을 페이스트상으로 유지하는 것조차 곤란해지는 경향이 강해진다.
제2 하지 조성물에는 상기한 제반 성분과 함께, 필요에 따라, 휘발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휘발 성분으로서는 화장품 등의 외용 조성물에 상용되는 휘발 성분을 선택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휘발성 실리콘유, 물, 저급 알콜 등(이들의 혼합물도 가능함)을 들 수 있다. 이들 휘발 성분은 제2 하지 조성물의 구체적인 양태나 제형(예를 들면, 오일계 또는 유화계 등)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들 휘발 성분을 배합함으로써, 특히, 제2 하지 조성물을 사용할 때의 제품으로서의 점도를 조정하여 조성물의 피부 상의 도포 두께를 조정할 수 있다.
휘발성 실리콘유로서는, 화장품 등의 외용 조성물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휘발성 실리콘유를 사용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헥사메틸디실록산, 옥타메틸트리실록산 등의 저비점 쇄상 실리콘유,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사이클로헥사실록산, 테트라데카메틸사이클로헵타실록산 등의 저비점 환상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저급 알콜로서는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제2 하지 조성물의 구체적인 양태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하지 조성물은 주로 ① 특히 피부 위의 큰 요철(예를 들면, 화상 흔적이나 상처 자국)의 평활화 보정을 기도하는 경우(요철 보정용) 및 ② 모공이나 주름 등의 비교적 작은 피부 위의 요철의 평활화 보정을 기도하는 경우(메이크업용)의 양태로 크게 분류된다.
「요철 보정용」인 경우
이 경우에는, ① 여드름 등에 의해 「크레이터상」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피부 위의 요철이 현저해진 것, ② 열상(熱傷)에 의한 켈로이드 흔적이나 피부 이식 흔적, ③ 수술 흔적, ④ 깊은 주름, ⑤ 깊은 상처 자국 등의 비교적 큰 피부 위의 요철을 적극적으로 보정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피부 위에 비교적 두껍게 도포할 수 있는 특성(1 내지 3mm 정도의 도포층)과 투명성이 우수한 등의 특성을 갖는 것이 통상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두껍게 도포하는」 것과 「투명성을 유지하는 것」을 적절하게 실시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2 하지 조성물에는 하기와 같은 요소를 가미할 수 있다.
즉, 제2 하지 조성물 중의 저점도 실리콘유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요철 보정용 조성물에서는 실리콘화 다당 화합물과 조합하여 점도가 25℃에서 1 내지 1500만mPa·s,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만mPa·s,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만mPa·s의 범위로 되도록 저점도 실리콘유를 배합함으로써 제2 하지 조성물을 피부 위에 두껍게 도포할 수 있고, 피부에 대한 밀착성 및 피부 상의 도포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또한, 본 발명에서, 「점도」라고 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단정하지 않는 한, 시바우라시스템가부시키가이샤에서 제조한 시바우라 비스메트론을 사용하여 로타 No.7에서 회전수 0.5rpm으로 측정한 점도를 의미한다(측정은 25℃의 항온조 속에서 실시한다)].
이러한 경우, 제2 하지 조성물 중의 실리콘화 다당 화합물 및 실리콘유를 병용한 배합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으로부터 상기한 분말 성분의 중량(제2 하지 조성물에 휘발 성분을 배합하는 경우에는 분말 성분과 휘발 성분의 중량)을 제외한 중량에 대하여 70.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수득되는 조성물의 투명성이 매우 높아지므로 피부 위의 요철의 대소, 심천(深淺)에 관계없이 시각적으로 이러한 요철이 보이지 않도록 보다 균일하게 피복할 수 있다.
또한, 특히 제2 하지 조성물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구체적으로는, △L이 20 이상: 미놀타에서 제조한 CM-1000으로 은폐율 시험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수득한 값을 「L치」로 하고 은폐율 시험지의 흰 부분을 배경(back)으로 하여 의도한 색의 헌터 Lab의 L치(백색 배경)과 검은 부분을 배경으로 하여 의도한 색의 헌터 Lab의 L치(흑색 배경)의 차이(피시험 조성물은 두께를 2mm로 하여 측정함)를 취하여 이를 「△L」이라고 함], 굴절율이 1.3 내지 1.5인 분말 성분을 분말 성분 전체의 90.0중량% 이상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범위 이외의 굴절율을 갖는 분말 성분이 분말 성분 전체의 10.0중량%를 초과하는 양으로 제2 하지 조성물에 배합되면 제2 하지 조성물이 착색되며 투명성을 상실하는 경향이 강해진다.
「메이크업용」인 경우
이 경우에는, 보다 일반적인 메이크업을 실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이러한 경우에 제2 하지 조성물은 기존의 메이크업용 조성물(메이크업 화장품 등)로는 자연스럽게 은폐시키기가 곤란했던 큰 모공(예를 들면, 여드름 등의 종기의 흔적에서의 모공: 깊이가 150μm 정도인 모공)이나 작은 주름을 자연스럽게 위화감없이 은폐할 수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를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피부 위의 조성물의 도포 두께를 적극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므로(구체적으로는, 평균 약 20μm 정도로 도포 두께를 설정함), 이것이 가능한 특성과 피부 위의 비교적 큰 모공이나 작은 주름 등을 마치 모공이나 작은 주름 등이 원래부터 없던 것 같은 상태로 자연스럽게 은폐할 수 있는 등의 특성을 갖는 것을 통상적으로 요구한다.
이러한 「도포 두께를 조정한다」는 것과 「큰 모공이나 작은 주름을 자연스럽게 은폐하는 것」을 적절하게 실시할 수 있기 위해, 이 경우에 제2 하지 조성물에 하기와 같은 요소를 가미할 수 있다.
즉, 제2 하지 조성물이 메이크업용 조성물인 경우에는 실리콘화 다당 화합물과 조합하여 점도가 25℃에서 1 내지 1000만mPa·s,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만mPa·s의 범위로 되도록 필수성분으로서 휘발 성분을 저점도 실리콘유에 가하여 배합함으로써 제2 하지 조성물의 피부 상의 도포 두께를 조정할 수 있으며[요철 보정용보다 얇음(약 20μm 정도)], 피부에 대한 밀착성 및 피부 위에서의 도포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휘발 성분을 제2 하지 조성물의 배합 성분으로 함으로써, 도포할 때에는 조성물을 피부 위에 용이하면서 얇게 도포할 수 있지만 도포 후에는 조성물 중의 휘발 성분이 휘발되어 피부 위에 어느 정도 견고한 피막이 빠르게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제2 하지 조성물이 메이크업용인 경우에 실리콘화 다당 화합물 및 저점도 실리콘유를 병용한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중량으로부터 상기한 분말 성분과 휘발 성분의 중량을 제외한 양에 대하여 60.0중량% 이상인 것이 피부 위에서 조성물의 도포 두께를 목적하는 두께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특히, 제2 하지 조성물이 메이크업용인 경우에는 굴절율이 1.3 내지1.5인 분말 성분을 분말 성분 전체의 20.0중량% 이상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합량이 분말 성분 전체의 20.0중량% 미만이면 제2 하지 조성물로 큰 모공이나 작은 주름을 은폐하더라도 마무리를 자연스럽게 유지하기가 곤란해진다.
(3) 실리콘유(i),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ii), 물(iii) 및 소수성 분말(iv)을 함유하는 조성물(이하, 제3 하지 조성물이라고 함)에 관해:
제3 하지 조성물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9-194323호에 기재되어 있는 「겔상 화장품」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조성물이다. .
(i) 제3 하지 조성물에 배합된 실리콘유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디메틸실록산·메틸페닐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저점도에서 고점도까지의 디오가노폴리실록산;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테트라메틸테트라페닐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등의 환상 폴리실록산: 고중합도의 검상 디메틸폴리실록산, 검상 디메틸실록산·메틸페닐실록산 공중합체, 검상 디메틸폴리실록산의 환상 실록산 용액; 트리메틸실록시규산 등; 트리메틸실록시규산의 환상 실록산 용액 등이 예시되며, 또한 탄소수 6 내지 50의 알킬 그룹을 갖는 디오가노폴리실록산, 아미노 변성 실리콘, 고급 알콕시 변성 실리콘, 고급 지방산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불소 변성 실리콘 등이 예시된다. 이들 중에서, 환상 폴리실록산, 특히 환상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사용하는 경우에 제3 하지 조성물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제3 하지 조성물 중의 상기한 실리콘유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조성물의 20.0 내지 8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ii) 제3 하지 조성물에 배합된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은 하기 화학식의 폴리옥시알킬렌 그룹을 갖는 오가노폴리실록산 그라프트 중합체이다.
위의 화학식에서,
B는 메틸 그룹, 페닐 그룹 또는 화학식 -C3H6O(C2H4O)b(C3H60)cR13의 폴리옥시알킬렌 그룹(여기서, R13은 수소원자, 아실 그룹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그룹이고, b 및 c는 각각 독립적으로 5 내지 50의 정수이다)이고,
R12는 메틸 그룹 또는 페닐 그룹이며,
m은 50 내지 1000의 정수이고,
n은 1 내지 40의 정수이며,
단 분자 중에 1개 이상의 폴리옥시알킬렌 그룹을 갖는다.
R13의 아실 그룹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포르밀 그룹, 아세틸 그룹, 프로피오닐 그룹, 부틸릴 그룹, 아크릴로일 그룹, 벤조일 그룹, 톨루오일 그룹 등이 예시된다.또한,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그룹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메틸 그룹, 에틸 그룹, i-프로필 그룹, n-프로필 그룹, t-부틸 그룹, n-부틸 그룹 등이 예시된다.
또한, 폴리옥시알킬렌 그룹에서, b 또는 c가 5 미만인 경우에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이 충분한 증점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반대로 5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3 하지 조성물에서 끈적거리는 사용감이 확인되는 경향이 강해진다.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중의 폴리옥시알킬렌 그룹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0 내지 70.0중량%(단, 20.0중량%는 포함되지 않음)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알킬렌 그룹의 함유량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의 20.0중량% 이하인 경우에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의 증점효과가 현저하게 저하되고, 70.0중량%를 초과하면 실리콘유와의 상용성이 저하된다.
또한, m은 50 내지 1000,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600의 정수이다. 또한, n은 1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의 정수이다. m이 50 미만이고 n이 0인 경우에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의 증점효과가 불충분해진다. 또한, m이 1000을 초과하고 n이 4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3 하지 조성물에 끈적거리는 사용감이 확인되는 경향이 강해진다.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의 25℃에서의 점도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특히 안정성있는 겔을 형성하여 제3 하지 조성물에 보송보송한 느낌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을 옥타메틸테트라실록산의 50.0중량% 용액으로 할 때의 점도가 1000 내지 100000cst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자량은 50000 내지 8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3 하지 조성물 중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의 배합량은 조성물의 2.0 내지 30.0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중량%이다. 이러한 배합량이 조성물의 2.0중량% 미만이면 하지 조성물에서 안정성이 결여되고, 30.0중량%를 초과하면 하지 조성물이 끈적거리는 사용감을 수반하게 된다.
(iii) 제3 하지 조성물 중의 물의 배합량은 조성물의 0.2 내지 8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2.0 내지 6.0중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합량이 조성물의 0.2중량% 미만이거나 80.0중량%를 초과해도 하지 조성물에 안정성이 결여된다.
(iv) 제3 하지 조성물에서 소수성 분말은 특별히 한정되지만 않지만, 폴리아미드 수지 분말(나일론 분말),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분말, 폴리스티렌 분말, 스티렌과 아크릴산과의 공중합체 수지 분말, 벤조구아나민 수지 분말, 폴리테트라플루오로화 에틸렌 분말, 셀룰로스 분말 등의 유기 수지 분말;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분말 등의 실리콘 수지 분말; 폴리디메틸실록산 가교 탄성체 등의 실리콘 고무 분말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수화 처리 분말, 예를 들면, 디메틸실릴화 무수규산, 트리메틸실릴화 무수규산 등을 소수성 분말로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이들 소수화 처리 분말과 상기와 같은 실리콘 고무 분말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하지 조성물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소수성 분말 이외의 분말을 사용할 수 있지만, 하지 조성물에서 이의 배합량은 전체 분말량의 5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수성 분말 입자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상 입자를 선택함으로써 하지 조성물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하지 조성물 중의 소수성 분말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조성물의 1.0 내지 60.0중량%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중량%이다. 또한,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1중량부에 대해 소수성 분말이 3 내지 8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제1 하지 조성물 내지 제3 하지 조성물에서는 모두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소기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한, 다른 성분을 보조 성분으로서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일 성분으로서 유동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스쿠알렌 등의 탄화수소유; 올리브유, 팜유, 야자유, 마카다미아 너트유, 호호바유 등의 유지; 이소스테아릴알콜 등의 고급 알콜; 고급 지방산;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등의 에스테르유; 벤조페논 유도체, 파라아미노벤조산 유도체, 파라메톡시신남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등의 자외선 흡수제; 보습(保濕)제, 혈행(血行) 촉진제, 청량제, 제한(制汗)제, 살균제, 피부 부활(賦活)제, 소염제, 비타민, 산화방지제, 산화방지 조제, 색재, 방부제, 향료 등을 보조 성분으로서 하지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다.
특히, 색재는 모공 등의 어느 정도 착색이 확인되는 형태 트러블(예를 들면, 하기하는 바와 같이 모공은 붉은 빛, 거무스름한 빛 등으로 모공 주변부에 비해 명백하게 색차가 확인된다)을 은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제1 하지 조성물 내지 제3 하지 조성물에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하지 조성물은 상기한 필수 성분 및 경우에 따라 상기한 보조 성분을 혼련기, 뇌괴기, 로울러, 믹서 등을 사용하여 혼합, 혼련 등을 실시함으로써 목적하는점성 페이스트로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분말 성분은 통상적인 혼합기를 사용하여 혼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가능한 한 고전단력을 갖는 혼합기를 사용하여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제2 층용 마무리 재료에 관해
제2 층용 마무리 재료는 필수 성분으로서 「빛의 정반사와 확산반사의 두가지 광반사가 억제되는 분말」(이하, 반사 억제 분말이라고 함)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중층 화장품은 제1 층용 하지 재료를 피부 위에 도포한 다음, 그 위에 제2 층용 마무리 재료를 중층하여 사용하는 메이크업 화장품이다. 이는 모공 등을 완전히 은폐한 다음, 자연스러운 마무리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면, 모공은 단순히 피부 위에 구멍이 점재하는 것이 아니라 구멍 주변부가 부풀어오르고 중심 부분이 우묵하게 들어가는 것 같은 형태를 취하고 있다[모공 부분의 크기는 0.3 내지 1.5mm이고 깊이는 0.1 내지 0.5mm이다. 또한, 색조는 붉은 빛, 거무스름한 색 등으로 모공 주변부에 비해 명백하게 색차가 확인된다].
따라서, 모공을 보정하여 피부 표면을 완전하게 평활화하는 데는 수mm의 두께를 만드는 퍼티(putty)와 같은 소재를 다량으로 피부에 바르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통상적인 화장 두께가 커서 20μm 정도이지만, 일상적인 화장법을 생각하면 현실적인 해결방법이라고는 할 수 없다.
이외에, 제1 층용 하지 재료만을 통상적인 화장품의 사용 형태에 따라 사용해도 육안상 모공의 존재를 충분하게 은폐하기가 곤란하다.
즉, 본 발명의 중층 화장품의 제1 층용 하지 재료만을 사용해도 도포전과 비교하여 피부 위의 매끈매끈함은 각별히 향상되지만 그래도 완전한 평활에 도달하게 하는 것은 곤란하며, 그 결과, 육안상 모공을 충분히 은폐하기는 어렵다. 이는 피부 위의 제1 층 표면과 공기 계면에서 생기는 표면 반사의 영향에 따르는 바가 크다고 생각된다. 이것은 편광 필터를 렌즈의 앞과 광원 앞에 편광면이 교차되도록 장착하여 표면 반사광을 소거함으로써 모공의 요철감이 거의 확인되지 않는 사진상을 수득할 수 있는 점으로부터도 뒷받침되는 사실이다.
따라서, 제1 층 표면의 표면 반사를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으면 모공이 잘 보이지 않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중층 화장품에서는 제2 층에 표면 반사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분말을 존재시킴으로써 이러한 「제1 층 표면의 표면 반사의 감소」라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표면 반사에 관해 다시 검토하여 생각해 본다. 미시적으로 보면, 표면 반사는 공기 계면과 매체의 굴절율 차이에 의해 생기는 광학 현상이며, 반사 방향은 스넬의 법칙에 따라 그리고 이의 크기는 프레넬의 공식에 따라 기재되어 있다. 피부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하는 거시적인 입장에서 말하면, 피부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피부에 대한 입사각에 대하여 정반사 방향으로 반사하는 빛(정반사광)과 이외의 각도에서 반사하는 빛(확산반사광)으로 대별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미세한 요철을 표면 구조로서 갖는 피부 표면에서 조사면에 평행하는 광학적으로 매끄러운면이 상대적으로 많이 존재하면 정반사광은 확산반사광보다 강해진다. 그 결과, 음영이 되기 쉬워지며 모공 등의 형태를 쉽게 알아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모공 등의 요철이 잘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특히 정반사광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분말에 관해 말하면, 입자 표면에 평활면을 갖는 운모나 세리사이트 등은 이들 평활면이 피부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향되기 쉬우며 결과적으로 강한 정반사광을 발생시키므로 중층 화장품의 제2 층에 배합하면 모공 등을 오히려 두드러지게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정반사광을 감소시키는 데에는 배향면이 피부에 대하여 완전히 랜덤하게 향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형태로서 가장 일반적인 것은 구형 분말이다. 따라서, 구형 분말을 중층 화장품의 제2 층의 배합 성분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표면 반사를 감소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지금까지는 종래의 중층 화장품에서도 동일한 사고방식을 하고 있다).
또한, 표면 반사의 또 하나의 측면인 확산반사광에 관해 생각해 본다. 거시적으로 볼 때, 확산반사광은 입사광에 대해 정반사광을 제거하는 방향으로 반사되는 빛이다. 조사면의 미세면이 완전히 랜덤하게 향하고 있으면 완전 확산반사면으로 되고 일정 면적의 밝기는 어떤 각도에서 보더라도 동일해져 형태를 판별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모공 등의 요철을 은폐하기 위해 제1 층 표면에 제2 층으로서 확산반사하는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이론적으로는 적합하다. 그러나, 하기의 이유에 의해 화장품으로서 제2 층에 확산반사능을 부여하는 것은 문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확산반사를 표면에 존재하는 미세 구조로부터 생각하면, 일부는 조사면과 평행하게 향하고 있지 않은 면에 의해 반사된 빛이고, 또다른 일부는 최표면을 투과한 빛이 다시 입자 계면에서 반사를 반복하여 되돌아오는 빛이다. 빛이 닿는 대상의 파장 선택적 흡수를 받지 않으면 확산반사광은 백색광으로서 인식된다. 빛이 닿는 대상을 분말상으로서 생각하면 분말이 적층되고 입자 계면이 증가할수록 반사하는 빛이 증가된다. 따라서, 확산반사광이 강해지며 백색이 두드러지게 된다. 이러한 백색은 분말의 존재를 직접적으로 느끼게 하는 것이며 메이크업에서는 소위 「분을 바른 것 같은 마무리」로서 일반적으로는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종래의 중층 화장품에서는 제1 층이 오로지 제2 층을 피부 위에 점착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며 모공 등을 평활화 보정하는 효과는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그 결과, 제1 층만으로는 원래의 모공 등의 형상이나 색이 완전히 그대로 잔류되므로 제2 층에서 확산반사광을 유지하지 않으면 모공 등을 효과적으로 은폐하기가 곤란하였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중층 화장품의 제1 층은 그 자체가 우수한 모공 등의 평활·보정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모든 표면 반사, 즉, 정반사광과 확산반사광이 둘 다 억제된 분말을 제2 층의 분말로서 사용해도 충분히 모공 등을 은폐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중층 화장품의 제2 층의 분말로서 사용되는 반사 억제 분말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반사 억제 분말로서의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분말 입자가 구상이며 스폰지, 브러시, 퍼프 등의 일반적인 화장 행위에 의해 제1층 표면에 도포할 때에 응집 등에 의해 분말끼리 적층되지 않고 입자 1 내지 2개분의 최소한의 두께로 도포되며 또한 제1 층 표면을 용이하게 피복할 수 있어야 한다. 즉, 반사 억제 분말이란, 분말 입자가 주로 구상이며 피부 위에 도포하는 경우에 매우 얇게 막상(膜狀)으로 도포할 수 있는 분말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서 반사 억제 분말은 광학 특성으로서 분말을 흑색 겔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하는 경우에 정반사가 석영판에서의 정반사에 대하여 1% 이하로 억제되며(이하, 이러한 정반사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를 「정반사율」이라고 함), 또한, 동일하게 분말을 흑색 겔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하는 경우에 확산반사가 표준 백색판[황산바륨(BaSO4)으로 제조함]에서의 확산반사에 대하여 1% 이하로 억제되어 있는 분말(이하, 이러한 확산반사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를 「확산반사율」이라고 함)을 의미한다(보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의 란에 기재함).
구체적인 반사 억제 분말은 정반사율과 확산반사율에서의 조건을 만족하는 한, 특별히 입자 직경, 형상, 굴절율 등이 한정되지 않으며 각종 소재의 비처리 분말이나, 필요에 따라, 표면처리된 처리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반사 억제 분말입자의 소재로서는, 표 1a에 기재된 바와 같이,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에틸렌, 나일론, 실리카, 실리콘 고무, 실리콘 수지(메틸실록산 중합체), 실리콘 수지 피복 실리콘 고무, 폴리스티렌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에 상기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반사 억제 분말의 입자 직경(입자 형상), 굴절율의 표준을 나타낸다(어디까지나 표준일 뿐 엄밀한 것은 아니다).
반사 억제 분말 입자의 입자 직경은 분말 입자가 구상인 경우에는 0.1 내지 50μm 정도,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20μm 정도라고 생각된다. 또한, 구상 이외(예를 들면, 부정형)의 경우에는 0.01 내지 10μm 정도라고 생각된다.
또한, 반사 억제 분말의 굴절율은 분말 입자의 형상이나 입자 직경에 관계없이 1.3 내지 2.0 정도라고 생각된다.
또한, 가시광선 파장의 1/2 이하의 미세한 요철의 반복 구조는 유효 굴절율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모스아이의 원리). 이러한 구조를 분말의 도포 표면에 설치하기 위해 분말의 입자 직경을 100 내지 200mm로 하면 분말 입자끼리 응집력이 커져 오히려 확산반사를 증대시키는 경향이 확인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입자 직경이 50μm를 초과하면 정반사광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약해지는 경향이 확인된다.
제2 층용 마무리 재료 중의 반사 억제 분말의 배합량은 마무리 재료에 대하여 1.0 내지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중량%의 범위이다. 이러한 배합량이 마무리 재료에 대하여 1.0중량% 미만이면 제2 층으로서 모공 등의 은폐효과를 충분하게 발휘하기가 곤란하다.
제2 층용 마무리 재료에 정반사율 또는 확산반사율이 1%를 초과하는 분말을 배합하는 경우에도(예를 들면, 제제의 강도가 요구되는 제형의 경우에는 판상 분말이나 미립자 분말을 배합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가능한 한, 정반사율과 확산반사율이 둘 다 5% 이하인 분말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본 발명에서는 정반사율과 확산반사율이 둘 다 5% 이하이며, 또한, 반사 억제 분말의 정의로부터 벗어나는(정반사율 및/또는 확산반사율이 1%를 초과하는) 분말을 「준반사 억제 분말」이라고 한다. 그리고, 반사 억제 분말과 준반사 억제 분말 이외의 분말을 「반사 분말」이라고 한다].
특히, 자연스러운 마무리를 목표로 하는 경우, 산화티타늄 분말과 같은 반사 분말의 배합량을 가능한 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제2 층용 마무리 재료 중의 반사 분말의 배합량은 마무리 재료에 대하여 10.0중량% 미만이 바람직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하이다. 반사 분말이 마무리 재료의 10.0중량% 이상이면 반사 분말에 기인하는 가루같은 느낌이나 흰 빛을 띠는 현상이 현저해져 마무리에 자연감을 부여한다는 본 발명의 중층 화장품의 원래의 목적을 달성하기가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이상을 정리하면, 반사 억제 분말의 배합량은 마무리 재료에 대하여 1.0 내지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중량%의 범위이고, 반사 억제 분말 이외의 분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능한 한 준반사 억제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단, 반사 억제 분말 이외의 분말 중에 준반사 억제 분말이 차지하는 비율은 반사 억제 분말 이외의 분말에 대하여 0 내지 100중량%의 범위로 허용된다), 반사 분말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이의 배합량은 마무리 재료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0.0중량%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하에 머물러야 한다.
제2 층용 마무리 재료에는 본 발명의 소기의 효과, 특히 「반사 억제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통상적인 메이크업 화장품에 사용할 수 있는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즉, 오일 성분, 계면활성제, 분산제, 가소제, 향료, 방부제, 일반적인 분말 성분이나 안료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C) 작용적인 기재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층 화장품은 우선 제1 층용 하지 재료에 의해 형태 트러블을 평활화 보정하고 그 위에 제2 층용 마무리 재료를 중첩시켜 도포하여 사용한다.
제1 층용 하지 재료가 모공 등에 밀착하여 이들 형태 트러블이 평활화 보정되기 때문에, 제2 층용 마무리 재료에 확산반사 분말을 배합하여 형태 트러블을 빛의 확산반사에 의해 은폐하지 않아도 충분하게 형태 트러블을 은폐할 수 있다. 즉, 제1 층 하지 재료로서 상기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제2 층용 마무리 재료의 분말로서 반사 억제 분말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며 형태 트러블을 은폐하기 위해 자연스러운 마무리를 희생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중층 화장품은 제1 층용 하지 재료와 제2 층용 마무리 재료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형태를 채용하는 한, 모든 상품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즉, 제1 층용 하지 재료와 제2 층용 마무리 재료가 일체화된 용기 속에 들어가 있어도 양쪽이 따로따로 「중층 메이크업용 키트」일 수 있다.
실시예
하기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별히 단정하지 않는 한, 배합량은 배합 대상에 대한 중량%이다.
반사 억제 분말의 선정
흑색 실리콘 겔(상품명: 겔·0K·팩킹, 제조원; 오바고키)의 표면에 각종 분말을 브러시(시세이도 틱 브러시301, 제조원; (주)시세이도)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이어서 하향시켜도 분말이 낙하하지 않게 될 때까지 가볍게 어루만진다(빛을 입사시키는 평면 벡터방향으로 어루만진다). 이러한 상태의 것을 측정시료로 하여 측정시료를 작성한 다음, 1일 이내에 정반사율과 확산반사율을 측정한다. 또한, 이러한 측정은 하기 구성의 광량계(10)를 사용하여 실시한다.
<광량계의 구성 등>
광원(1)에 의한 빛을 광원 도입 섬유(2) 및 광원측 렌즈(3)를 개재시켜 시료(4)에 조사하고 이러한 반사광을 수광측(受光側) 렌즈(5) 및 분광장치 도입 섬유(6)를 개재시켜 분광장치(7)로 분광처리를 실시하고 이를 검지기(8)로 검지하여 처리 소프트웨어에 의해 파장 546nm의 빛에서 정반사율 및 확산반사율을 산출한다(도 1 참조: 도면에서, 화살표는 빛 내지 측정 정보의 진행방향을 나타냄).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 내용의 광량계를 사용한다.
광원(1): 할로겐 램프(제조원; OSRAM, BELLAPHOT 12V 30W)
광원 광도입 섬유(2): 제조원; 미쓰비시덴센고교(주), 원-원 배열
Φ200μm×61개
광원측 렌즈(3): 렌즈 10mm(촛점거리 60mm)
수광측 렌즈(5): 렌즈 10mm(촛점거리 60mm)
분광장치 도입 섬유(6): 제조원; 미쓰비시덴센고교(주), 분광장치 7측 세로
3열, 시료 4측 원 Φ200×31개
분광장치(7): MD-10TP형, 제조원; 니혼분코(주), 회절 격자 200개/mm 조리개
0.25mm, 필터 L-37(390 내지 680nm), 중심 파장 546nm
검출기(8): C5964-0911, 제조원; 하마마쓰포토닉스
처리 소프트웨어: WINDOWS ver. 2.4용 ATLAS
① 정반사율의 산출:
조사면 법선에 대하여 45°방향에서 제1 편광 필터를 통과한 광원을 측정 시료 표면에 조사하고 이의 정반사광을 제1 편광 필터와 편광면을 동일하게 한 제2 편광 필터를 통과시켜 수광시킨 경우의 광량(루멘: 이하, 동일하다)의 대조로서 사용하는 두께 5mm의 석영판의 반사 광량에 대한 비율(백분률)을 구하여, 이를 정반사량의 기준(정반사율)으로 한다.
② 확산반사율의 산출:
조사면 법선에 대하여 45°방향에서 제1 편광 필터를 통과한 광원을 측정 시료 표면에 조사하고 법선에 대하여 0°방향으로 반사하는 빛을 제1 편광 필터와 편광면을 교차하는 제2 편광 필터를 통과시켜 수광시킨 경우의 광량의 대조로서 사용하는 황산바륨(BaSO4)으로 만든 백색 표준판[제조원; (주)히타치세이사쿠쇼]의 반사광량에 대한 비율(백분률)을 구하여, 이를 확산반사량의 기준(확산반사율)으로 한다.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한다[여기서, 표 1a에는 반사 억제 분말에 해당하는 것을 열거하고, 표 1b에는 준반사 억제 분말에 해당하는 것을 열거하며, 표 1c에는 반사 분말에 해당하는 것을 열거한다].
분말의 내용 확산반사율 정반사율
메틸실록산 공중합체(입자 직경; 4.5㎛, 굴절율 1.4, 입자 형상; 구상)메틸실록산 공중합체(입자 직경; 12㎛, 굴절율 1.4, 입자 형상; 구상)폴리에틸렌(입자 직경; 10㎛, 굴절율 1.52, 입자 형상; 구상)나일론(입자 직경; 4.0㎛, 굴절율 1.53, 입자 형상; 구상)폴리메타크릴산메틸(입자 직경; 10㎛, 굴절율 1.49, 입자 형상; 구상)실리카(입자 직경; 5.0㎛, 굴절율 1.46, 입자 형상; 구상)실리콘 수지 피복 고무 분말(입자 직경; 5.0㎛, 굴절율 1.4, 입자 형상; 구상)폴리스티렌(입자 직경; 6.6㎛, 굴절율 1.6, 입자 형상; 구상)실리카(미립자)(입자 직경; 0.016㎛, 굴절율 1.46, 입자 형상; 무정형) 0.480.390.790.920.280.20.510.660.94 0.340.50.790.660.470.330.340.440.64
분말의 내용 확산반사율 정반사율
메틸실록산 공중합체(입자 직경; 0.5㎛, 굴절율; 1.4, 입자 형상; 구상)산화아연(미립자)(입자 직경; 0.04㎛, 굴절율; 2.0, 입자 형상; 무정형)폴리에틸렌(입자 직경; 9.3㎛, 굴절율; 1.5, 입자 형상; 무정형)전분(입자 직경; 10.2㎛, 굴절율; 1.5, 입자 형상; 다각형상)아로펜(입자 직경; 5.0㎛, 굴절율; 1.6, 입자 형상; 구상(중공))염화비닐리덴(굴절율; 1.6, 입자 형상; 구상(중공))실리카(입자 직경; 10㎛, 굴절율; 1.5, 입자 형상; 구상(중공))실리카(입자 직경; 10㎛, 굴절율; 1.5, 입자 형상; 판상)활석(입자 직경; 5㎛, 굴절율; 1.57, 입자 형상; 판상)황산바륨(입자 직경; 0.7㎛, 굴절율; 1.64, 입자 형상; 괴상)카올린(입자 직경; 1.4㎛, 굴절율; 1.56, 입자 형상; 판상) 2.642.340.792.041.033.153.341.062.161.933.61 1.01.850.790.870.861.51.41.223.450.490.61
분말의 내용 확산반사율 정반사율
인산칼슘(입자 직경; 20㎛, 굴절율; 1.59, 입자 형상; 괴상)셀룰로스(입자 직경; 15㎛, 굴절율; 1.5, 입자 형상; 구상)마이카(입자 직경; 2.6㎛, 굴절율; 1.52, 입자 형상; 판상)산화티타늄(루타일형)(입자 직경; 0.4㎛, 굴절율; 2.7, 입자 형상; 괴상)산화티타늄(미립자)(입자 직경; 0.03㎛, 굴절율; 1.6, 입자 형상; 괴상)세리사이트(입자 직경; 3.9㎛, 굴절율; 1.57, 입자 형상; 판상)산화아연(입자 직경; 0.5㎛, 굴절율; 2.0, 입자 형상; 괴상)황산바륨(입자 직경; 5.0㎛, 굴절율; 1.64, 입자 형상; 판상) 6.456.190.428.662.675.83.46.92 1.051.111.398.725.240.510.210.34
상기한 결과로부터, 반사 억제 분말, 준반사 억제 분말 및 반사 분말의 구체적인 표준이 기재된다.
본 발명의 중층 화장품에 대한 검토
얼굴에 모공이나 여드름 흔적 등의 요철이 눈에 띄는 여성 20명을 패널로 하여 각 패널은 사전에 얼굴을 화장수와 유액으로 정리하고 제1 층의 시료를 얼굴 전체에 손가락으로 도포한 다음 제2 층의 시료를 퍼프로 얼굴 전체에 도포한다. 그 결과, 얼굴 요철의 은폐 정도 및 마무리의 자연스러움을 전문 패널 5명에 의해 시감(視感) 평가를 실시한다.
(1) 시험 항목과 평가 기준
① 요철 은폐효과에 관한 시험
<평가 기준>
◎: 요철이 대단히 잘 은폐되며 요철의 존재를 알 수 없다.
○: 요철이 잘 은폐되며 요철의 존재를 거의 알 수 없다.
△: 요철이 약간 은폐되며 요철을 알기 어렵다.
×: 요철이 은폐되지 않으며 요철의 존재를 분명히 알 수 있다.
② 마무리의 자연스러움(가루같은 느낌의 정도를 지표로 함)에 관한 시험
<평가 기준>
◎: 가루같은 느낌이 전혀 없으며 마무리가 대단히 자연스럽다.
○: 가루같은 느낌이 거의 없으며 마무리가 자연스럽다.
△: 가루같은 느낌이 약간 확인되며 마무리가 약간 부자연스럽다.
×: 가루같은 느낌이며 마무리가 부자연스럽다.
(2) 제1 층의 처방
본 발명품으로서 사용되는 처방을 표 2에 실시예(L첨부 번호)로서 기재한다.
L실시예1 L실시예 2 L실시예 3 L실시예 4 L실시예 5 L실시예 6 L실시예7
괴상 실리콘 고무 분말(5㎛, 굴절율 1.392, 고무 경도 30)괴상 실리콘 수지 분말(5㎛, 굴절율 1.392, 고무 경도 30)트리메틸실릴화 무수규산 분말(0.016㎛, 굴절율 1.46)디메틸실릴화 무수규산 분말(0.016㎛, 굴절율 1.46)소수화처리 산화티타늄 분말소수화처리 산화철 분말디메틸폴리실록산(10만mPa·s/25℃)실리콘화 다당 화합물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디메틸폴리실록산(6mPa·s/25℃)유동 파라핀이소스테아릴산데가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이온교환수에탄올 4.6-6.4-1336--27--40-- 4.6-6.4-133-6-27--40-- 4.6-6.4-133-6-275134-- --9-133--72--5628 ---9133--72--5628 7-3-133--72--5528 130--133--72--3428
요철 은폐효과
마무리의 자연스러움
비교품으로서 사용되는 처방을 표 2에 비교예(L첨부 번호)로서 기재한다.
L 비교예 1 L 비교예 2
에탄올1,3-부틸렌글리콜이온교환수메틸파라핀아크릴계 공중합체휘발성 실리콘유(1cs)디메틸폴리실록산(20cs)3차원 망상 실리콘 10336.80.250000 0000050248
합계 100 100
본 발명품의 제1 층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요철 은폐효과가 확인되지만(표 5 참조), 비교품의 제1 층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혀 요철 은폐효과가 확인되지 않으며 사용전과 요철의 외견이 전혀 변하지 않았다.
(3) 제2 층의 처방
본 발명품 및 비교품으로서 사용되는 처방을 표 4에 실시예 및 비교예(P첨부 번호)로서 기재한다.
P 비교예1 P 비교예2 P 비교예3 P 실시예1 P 실시예2
구상 나일론 분말구상 실리카 분말구상 폴리에틸렌 분말구상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분말산화티타늄 분말미립자 산화티타늄 분말세리사이트 분말활석카올린판상 실리카 분말황산바륨(괴상) 분말마이카산화철 분말파라핀스쿠알렌합계 25---20--30---1050.29.8100 -20---10455---550.29.8100 -0.5-----94.3----10.24100 -5--3--86.8----10.24100 25---6---63.8---10.24100
요철 은폐효과 △(음영) △(음영) X(색) X(색) X(색)
마무리의 자연스러움(가루같은 느낌이 없음) X X
P 실시예3 P 실시예4 P 비교예5 P 실시예6
구상 나일론 분말구상 실리카 분말구상 폴리에틸렌 분말구상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분말산화티타늄 분말미립자 산화티타늄 분말세리사이트 분말활석카올린판상 실리카 분말황산바륨(괴상) 분말마이카산화철 분말파라핀스쿠알렌합계 --30------65.6--0.20.24100 -30--1-----63.8-10.24100 -67.8--1--30----10.2-100 -100-------------100
요철 은폐효과 X(색) X(색) X(색) X(색)
마무리의 자연스러움(가루같은 느낌이 없음)
표에서, ① 구상 나일론 분말은 입자 직경이 4.0μm이고 굴절율이 1.53인 것을 사용한다. ② 구상 실리카 분말은 입자 직경이 5.0μm이고 굴절율이 1.46인 것을 사용한다. ③ 구상 폴리에틸렌 분말은 입자 직경이 10μm이고 굴절율이 1.52인 것을 사용한다. ④ 구상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분말은 입자 직경이 10μm이고 굴절율이 1.49인 것을 사용한다. ⑤ 산화티타늄 분말은 루타일형으로 입자 직경이 0.4μm(입자형상은 괴상)이고 굴절율이 2.7인 것을 사용한다. ⑥ 미립자 산화티타늄 분말은 입자 직경이 0.03μm(입자 형상은 괴상)이고 굴절율이 1.6인 것을 사용한다.
또한, 이러한 표 4에서의 평가는 제2 층을 도포하기 전에 통상적인 화장 하지[배합 성분: 트리메틸실록시규산(10중량%),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80중량%), 디메틸폴리실록산(6mPa·s)(10중량%)]를 사용하여 그 위에 제2 층을 도포하여 실시한다.
비교품은 확산반사에 의해 어느 정도의 요철 은폐효과는 확인되지만 메이크업의 마무리는 흰빛을 띠며 뜨고 부자연스럽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품은 정반사와 확산반사가 억제되므로 마무리는 자연스럽지만 요철 은폐효과는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또한, 평가란에서, 「색」이란 것은 요철 부분이 착색되어 보이는 것을 나타내며, 이와 동일하게 「그림자」라는 것은 요철이 음영으로서 확인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하, 동일하다).
(4) 제1 층과 제2 층의 조합 사용에 따른 효과
제1 층과 제2 층의 조합 사용(제1 층을 도포한 위에 제2 층을 도포함)에 따른 효과를 검토한다(비교예로서, 제1 층 또는 제2 층의 단독 사용예를 포함함. 이의 구체적인 조합과 결과를 표 5에 기재한다(표에서, *은 당해 조합에서 사용하는 제1 층·제2 층을 나타낸다).
조합예1 조합예2 조합예3 조합예4 조합예5 조합예6 조합예 7 조합예8 조합예9 조합예10 조합예11
L비교예 1,2L실시예 1~7P비교에 1,2P비교예 3P실시예 1,2P실시예 3,4P실시예 5,6 ** ** ** ** ** ** ** ** ** * **
요철 은폐효과 △(음영) X(음영, 색) X(색) X(색) X(색)
마무리의자연스러움(가루같은 느낌이없음) X X
(4) 결과
표 5에 의해 하기의 사실이 명백해진다.
① 본 발명품에서도 제1 층 단독 사용(조합 10)시에는 요철 은폐효과가 평범하다. ② 제1 층을 비교품으로 하는 경우(조합 1 내지 5)에는 어느 경우에도 명백하게 요철 은폐효과가 떨어진다. ③ 제1 층을 본 발명품으로 하고, 제2 층을 비교품으로 하는 경우(조합 6, 7)에는 요철 은폐효과는 확인되지만 마무리가 가루같은 느낌이 들며 메이크업의 마무리가 부자연스러운 경향이 강하다. ④ 제1 층, 제2 층 모두 본 발명품인 경우(조합 8, 9, 12)에는 요철 은폐효과와 마무리의 자연스러움이 둘 다 우수하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본 발명의 중층 화장품에서는 종래에는 볼 수 없었던 형태 트러블에 대한 유용성이 분명해졌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라 「광의 정반사와 확산반사의 두가지 광반사가 억제되어 있는 분말」을 사용함으로써 모공 등을 은폐하고 메이크업의 마무리가 자연스러운 메이크업 화장품이 제공된다.

Claims (3)

  1. 제1 층용 하지 재료와 제2 층용 마무리 재료를 조합하여 이루어진 2층 메이크업 화장품에 있어서,
    제1 층용 하지 재료가 (1) 25℃에서의 점도가 1500만cps 이하인 실리콘유와 분말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 (2) 실리콘화 다당 화합물 및 저점도 실리콘유 및/또는 분말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 또는 (3) 실리콘유(i), 다음 화학식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ii), 물(iii) 및 소수성 분말(iv)을 함유하는 조성물이고,
    제2 층용 마무리 재료가 정반사와 확산반사가 둘 다 억제되어 있는 분말을 마무리 재료에 대하여 1 내지 100중량% 함유하는 조성물인 2층 메이크업 화장품.
    위의 화학식에서,
    B는 메틸 그룹, 페닐 그룹 또는 화학식 -C3H6O(C2H4O)b(C3H60)cR13의 폴리옥시알킬렌 그룹(여기서, R13은 수소원자, 아실 그룹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그룹이고, b 및 c는 각각 독립적으로 5 내지 50의 정수이다)이고,
    R12는 메틸 그룹 또는 페닐 그룹이며,
    m은 50 내지 1000의 정수이고,
    n은 1 내지 40의 정수이며,
    단 분자 중에 하나 이상의 폴리옥시알킬렌 그룹을 갖는다.
  2. 제1항에 있어서, 제2 층용 마무리 재료 중의 정반사와 확산반사가 둘 다 억제되어 있는 분말의 함유량이 마무리 재료에 대하여 10 내지 100중량%인 2층 메이크업 화장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정반사와 확산반사가 둘 다 억제되어 있는 분말이 정반사율과 확산반사율이 모두 1% 이하인 분말인 2층 메이크업 화장품.
KR1020017008524A 1999-11-05 2000-11-06 2층 메이크업 화장품 KR1007295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315972 1999-11-05
JP31597299A JP4090162B2 (ja) 1999-11-05 1999-11-05 二層メーキャップ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1380A true KR20010101380A (ko) 2001-11-14
KR100729548B1 KR100729548B1 (ko) 2007-06-19

Family

ID=18071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8524A KR100729548B1 (ko) 1999-11-05 2000-11-06 2층 메이크업 화장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50129649A1 (ko)
EP (1) EP1142551A4 (ko)
JP (1) JP4090162B2 (ko)
KR (1) KR100729548B1 (ko)
TW (1) TW550083B (ko)
WO (1) WO20010341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3102B1 (fr) * 2001-04-10 2004-03-05 Oreal Produit de maquillage bicouche, ses utilisations et kit de maquillage contenant ce produit
FR2823101B1 (fr) * 2001-04-10 2004-02-06 Oreal Produit de maquillage bi-couche, ses utilisations et kit de maquillage contenant ce produit
JP2003300831A (ja) * 2002-04-10 2003-10-21 Kao Corp 重層メイクアップ化粧料
US20040086474A1 (en) * 2002-06-17 2004-05-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step cosmetic benefit foundation kit and associated methods
US20040086473A1 (en) * 2002-06-17 2004-05-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step sebum and perspiration absorption foundation kit and associated methods
US7122174B2 (en) 2002-09-30 2006-10-17 L'oreal S.A. Compositions comprising at least one silicone compound and at least one amine compound,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20060005325A1 (en) * 2004-07-01 2006-01-12 Henri Samain Leave-i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elastomeric film-forming polymer and use thereof for conditioning keratin materials
US20060002877A1 (en) * 2004-07-01 2006-01-05 Isabelle Rollat-Corvo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ermanently reshaping hair using elastomeric film-forming polymers
US20060000485A1 (en) * 2004-07-01 2006-01-05 Henri Samain Pressurized hair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elastomeric film-forming polymer
US20060005326A1 (en) * 2004-07-01 2006-01-12 Isabelle Rollat-Corvol Dyeing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elastomeric film-forming polymer and at least one dyestuff
US20060002882A1 (en) * 2004-07-01 2006-01-05 Isabelle Rollat-Corvol Rinse-out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lastomeric film-forming polymers, use thereof for conditioning keratin materials
FR2873030A1 (fr) * 2004-07-16 2006-01-20 Oreal Produit cosmetique bicouche comprenant un polymere de silicone
FR2876902B1 (fr) * 2004-10-21 2007-04-27 Oreal Produit de maquillage bicouche de tenue amelioree, ses utilisations et kit de maquillage contenant ce produit
EP1637125A3 (fr) * 2004-08-24 2009-08-05 L'oreal Produit de maquillage bicouche de tenue améliorée, ses utilisations et kit de maquillage contenant ce produit
FR2886545B1 (fr) * 2005-06-01 2007-07-20 Oreal Produit cosmetique bicomposition, ses utilisations, et kit de maquillage contenant ce produit
KR101212905B1 (ko) * 2005-11-11 2012-12-14 (주)아모레퍼시픽 간섭색 안료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WO2008149919A1 (ja) * 2007-06-05 2008-12-11 Asahi Kasei E-Materials Corporation 反射シート
US20080317867A1 (en) * 2007-06-20 2008-12-25 Singer Matthew A Cosmetic System, and Method for Disguising Skin Defects
US9186315B2 (en) 2007-06-20 2015-11-17 Silicone Arts Laboratories, Inc. Methods for disguising dermatological blemishes
KR20100028107A (ko) * 2007-06-29 2010-03-11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실리콘을 함유하는 화장료
US20090148393A1 (en) * 2007-12-11 2009-06-11 Avon Products, Inc. Multistep Cosmetic Compositions
US20090155586A1 (en) * 2007-12-12 2009-06-18 Avon Products, Inc. Method of Improving Skin Appearance Using Treated Macroscopic Particles
JP2009173653A (ja) * 2007-12-28 2009-08-06 Rohto Pharmaceut Co Ltd 化粧方法及び皮膚外用剤
JP2010047495A (ja) * 2008-08-20 2010-03-04 Shiseido Co Ltd 凹凸補正用組成物
JP4562791B2 (ja) * 2008-10-30 2010-10-13 株式会社資生堂 油性固形化粧料
JP6517512B2 (ja) * 2011-12-23 2019-05-22 ロレアル メイクアップ方法
FR2984726B1 (fr) * 2011-12-23 2014-08-29 Oreal Procede de maquillage
JP5741519B2 (ja) * 2012-04-25 2015-07-0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油性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6169899B2 (ja) * 2013-06-14 2017-07-26 株式会社 資生堂 凹凸補正用化粧料
US20160346189A1 (en) * 2015-05-28 2016-12-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Component Products and Multi-Step Regimen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r Feel Of Human Skin
JP7465055B2 (ja) * 2018-05-22 2024-04-10 株式会社 資生堂 二層状油性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3208A (ja) * 1985-02-08 1986-08-15 Kobayashi Kooc:Kk スプレ−式仕上用メ−クアツプ化粧料
JPS61207318A (ja) * 1985-03-12 1986-09-13 Shiseido Co Ltd メ−キヤツプ化粧料
JP2919523B2 (ja) * 1989-12-28 1999-07-12 株式会社資生堂 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H041117A (ja) * 1990-04-18 1992-01-06 Pola Chem Ind Inc 塗布化粧料及び多重化粧膜の形成方法
US5238678A (en) * 1991-07-19 1993-08-24 Pola Chemical Industries, Inc. Double-coat type make-up cosmetic product containing aluminum powder
JP3051584B2 (ja) * 1992-10-20 2000-06-12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シワ隠し用重層化粧料
JP3456674B2 (ja) * 1994-09-14 2003-10-14 株式会社資生堂 着色雲母チタンおよびこれを配合した肌色調整用組成物
DE69600059T2 (de) * 1995-06-21 1998-02-05 Oreal Kosmetisches Mittel enthaltend eine Dispersion von Polymerenteilchen
JP3719540B2 (ja) * 1996-01-12 2005-11-24 株式会社資生堂 ゲル状化粧料
JP3515872B2 (ja) * 1996-05-16 2004-04-05 株式会社資生堂 化粧料
JP3650679B2 (ja) * 1996-09-06 2005-05-25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メークアップ化粧料
JP3702072B2 (ja) * 1997-06-10 2005-10-05 株式会社資生堂 シリカ/酸化亜鉛複合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3652843B2 (ja) * 1997-08-08 2005-05-25 株式会社資生堂 凹凸補正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31024A (ja) 2001-05-15
WO2001034101A1 (fr) 2001-05-17
US20050129649A1 (en) 2005-06-16
JP4090162B2 (ja) 2008-05-28
KR100729548B1 (ko) 2007-06-19
EP1142551A4 (en) 2008-07-23
EP1142551A1 (en) 2001-10-10
TW550083B (en) 200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9548B1 (ko) 2층 메이크업 화장품
KR100635952B1 (ko) 외용 조성물
JP6639052B2 (ja) 油を調節する化粧用粉末
EP2229142B1 (en) Gel technology suitable for use in cosmetic compositions
BRPI0719598B1 (pt) composição cosmética para aplicação a um substrato biológico e método para melhorar a aparência estética da pele
TW200927186A (en) Optical blurring pigment composition suitable for use in cosmetics
US20110014138A1 (en) Cosmetic water-in-oil emulsion compositions
WO2013158844A2 (en) Color correct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160038384A1 (en) Gel Technology Suitable for Use in Cosmetic Compositions
JP2014129261A (ja) 凹凸補正用油中水型化粧料
JP2008137953A (ja) 化粧料組成物
JP3689588B2 (ja) 外用組成物
JP2005041795A (ja) 凹凸補正用油性化粧料
JP2003055134A (ja) 外用組成物
US7935358B2 (en) Cosmetic skin preparation
JP6942714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CA2316445A1 (en) Nail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microspheres
JP4878435B2 (ja) 皮膚化粧料
JP4209056B2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5080075B2 (ja) 皮膚のたるみの改善方法及び皮膚のたるみの改善キット
JP3652843B2 (ja) 凹凸補正用組成物
JP2010047495A (ja) 凹凸補正用組成物
JP2019151564A (ja) シリコーン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皮膚化粧料
JP2001002522A (ja) 化粧料
JP2006219425A (ja) 皮膚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