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0942A - 분말 함유 합성 수지로 형성된 댐퍼 및 이것을 장착한건반 악기 - Google Patents

분말 함유 합성 수지로 형성된 댐퍼 및 이것을 장착한건반 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0942A
KR20010100942A KR1020010023506A KR20010023506A KR20010100942A KR 20010100942 A KR20010100942 A KR 20010100942A KR 1020010023506 A KR1020010023506 A KR 1020010023506A KR 20010023506 A KR20010023506 A KR 20010023506A KR 20010100942 A KR20010100942 A KR 20010100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key
lever
string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3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3171B1 (ko
Inventor
후루키후미요시
Original Assignee
우에시마 세이스케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에시마 세이스케,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에시마 세이스케
Publication of KR20010100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0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3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31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6Ac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F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0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2Pianofortes with keyboar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6Actions
    • G10C3/166Actions for damping the str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1/00General design of 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1/02General design of 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of upright piano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1/00General design of 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1/04General design of 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of grand piano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6Actions
    • G10C3/18Hamm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26Pedals or pedal mechanisms; Manually operated sound modification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9/00Methods, tools or 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musical instrument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댐퍼(21)는 피아노 음을 한정하기 위해 연결된 현(23) 세트와 이격되어 접촉하게 되며, 진동 흡수 능력은 중량을 조절함으로써 댐퍼(21)간에 일정하게 되며, 댐퍼 헤드(39) 및 댐퍼 레버(31) 중 적어도 하나가 분말 함유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댐퍼(21)는 경제적이고, 내구성이 있으며 환경 오염이 없다.

Description

분말 함유 합성 수지로 형성된 댐퍼 및 이것을 장착한 건반 악기{DAMPER FORMED OF POWDER-CONTAINING SYNTHETIC RESIN AND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건반 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반 악기에 적합한 댐퍼 및 현의 진동을 멈추기 위해 댐퍼를 장착한 건반 악기에 관한 것이다.
댐퍼는 어쿠스틱 피아노의 주요 성분이다. 댐퍼는 키와 결합되어 있다. 키는 댐퍼 헤드 조립체를 역방향으로 운동시킨다. 키가 정지하고 있는 동안, 댐퍼 헤드 조립체는 현 세트와 접촉 유지되며, 현 세트가 진동 현과 공명하는 것을 방지한다. 피아나스트가 피아노 음을 발생시키기 위해 키를 누른다고 가정하자. 눌려진 키는 댐퍼 헤드 조립체를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따라서, 댐퍼 헤드 조립체는 연결된 현 세트로부터 이격된다. 현 세트는 진동할 준비를 한다. 해머는 현 세트를 타격하고, 현 세트는 피아노 음을 발생시키기 위해 진동한다. 피아니스트가 눌려진 키를 해제할 때, 키는 정지 위치로 이동되어, 댐퍼 헤드 조립체를 진동 현과 접촉되게 한다. 진동은 댐퍼 헤드 조립체로 흡수되어, 피아노 음이 쇠퇴된다. 따라서, 댐퍼는 피아노 음의 길이에 깊이 관여한다.
도 1은 표준 그랜드 피아노에 결합된 댐퍼의 전형예를 도시한다. 도 1에서,우측이 좌측보다 표준 그랜드 피아노 앞의 피아니스트 좌석에 근접하여, 이하 "전면" 이라고 한다. 반대로, 좌측은 "후면" 이라고 한다.
종래 기술의 댐퍼는 전체로서 참조 부호 1로 지정된다. 종래 기술의 댐퍼(1)는 키(2) 및 현(3) 세트에 연결된다. 작동 기구(2a) 및 해머 조립체(3a)가 키(2)에 제공되더라도, 작동 기구(2a) 및 해머 조립체(3a)는 표준 그랜드 피아노의 것과 유사하여, 이하 더 이상의 설명은 포함되지 않는다.
음계의 음표가 키(2)에 할당되어, 현(3) 세트가 키(2)에 할당된 것과 동일한 음표로 피아노 음을 발생시킨다. 키(2)가 정지하고 있는 동안, 종래 기술의 댐퍼(1)는 현 세트(3)와 접촉 유지하게 되어, 현(3) 세트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피아니스트가 피아노 음을 발생시킬 때, 그 또는 그녀는 키(2)를 누르고, 키(2)는 종래 기술의 댐퍼(1)를 작동시킨다. 종래 기술의 댐퍼(1)는 현(3) 세트를 방치하여, 현(3) 세트가 피아노 음을 발생시키기 위해 진동하게 한다. 눌려진 키(2)는 작동 기구(2a)를 작동시키고, 작동 기구(2a)의 잭은 해머 조립체(3a)로부터 이탈한다. 이탈은 해머 조립체(3)를 자유롭게 회전시키어, 현(3) 세트가 해머 조립체(3a)에 의해 타격된다. 현(3) 세트는 피아노 음을 발생시키도록 진동한다. 따라서, 현(3) 세트는 종래 기술의 댐퍼(1)가 그것으로부터 이격되는 동안 진동하게 된다. 이하 종래 기술의 댐퍼(1)가 현(3) 세트의 진동을 방지하는 위치를 "정지 위치" 라고 하고, 이하 종래 기술의 댐퍼(1)가 현 세트의 진동을 허용하는 위치를 "발음(tone generation) 위치" 라고 한다.
종래 기술의 댐퍼(1)는 댐퍼 레버 플랜지(4), 댐퍼 블록(5), 댐퍼와이어(6), 댐퍼 헤드(7A) 및 한 쌍의 댐퍼 펠트(8)를 포함하는 댐퍼 헤드 조립체(7), 및 댐퍼 플랜지(9)를 포함한다. 댐퍼 레버(4)는 댐퍼 레버 플랜지(9)에 의해 스웨이징 가능하게 지지되고, 거기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다. 댐퍼 레버(4)는 나무로 형성되며, 홀이 댐퍼 레버(4)내에 형성된다. 댐퍼 블록(5)은 핀에 의해 댐퍼 레버(2)에 접속되고, 댐퍼 레버(2)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한다. 댐퍼 블록(5)은 핀 주위를 회전 가능하다. 댐퍼 와이어(6)는 댐퍼 블록(5)에 고정되고, 거기서부터 위쪽으로 돌출한다. 가이드 레일(10)은 댐퍼 플랜지(9) 위에 위치되고, 홀이 가이드 레일(10)내에 형성된다. 댐퍼 와이어(6)는 홀을 관통하고, 가이드 홀(10) 위로 돌출한다. 홀은 그것을 통해서 댐퍼 와이어(6)를 수월하게 이동시킬 정도로 넓다. 댐퍼 헤드 조립체(7)는 댐퍼 와이어(6)의 상단에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댐퍼 헤드(7A) 및 한 쌍의 댐퍼 펠트(8)는 전체로서 댐퍼 헤드 조립체(7)를 구성한다. 댐퍼 헤드(7A)는 나무로 형성되고, 댐퍼 펠트(8)는 펠트로 형성된다. 단단한 나무가 댐퍼 헤드(7A)에 바람직하다. 이스노키 또는 오노레는 비중량이 커서, 일반적으로 댐퍼 헤드(7A)는 이런 종류의 단단한 나무 중 하나로 형성된다. 이스노키 또는 오노레는 일본 이름이다. 이들의 식물학 이름은 "distylium racemosum" 및 "betula schmidtii regel" 이다. 이스노키는 영어 이름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오노레는 일반적으로 "birch" 또는 "Onoore birch"로서 영어로 번역된다. 댐퍼 펠트(8)는 댐퍼 헤드(7A)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키(2)가 정지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동안, 키(2)의 후면부는 댐퍼 레버(2)로부터 이격되고, 댐퍼 헤드 조립체(7)는 자체 중량에 기인하여 댐퍼 와이어(6)를 아래쪽으로 가압한다. 이어서 댐퍼 와이어(6)는 댐퍼 레버 플랜지(9)의 주위에서 시계방향으로 댐퍼 레버(2)를 가압한다. 그러나, 한 쌍의 댐퍼 펠트(8)는 현(3) 세트와 접촉 유지되어, 댐퍼 레버(4)를 키(2)의 후면부와 계속 이격하게 된다.
피아니스트가 키(2)의 전면부를 누를 때, 키(2)의 전면부는 프론트 레일쪽으로 하강하고, 따라서, 키(2)의 후면부는 위쪽으로 상승된다. 키(2)의 후면부는 댐퍼 레버(4)와 접촉하게 되고, 시계 반대방향으로 댐퍼 플랜지(9)의 주위에서 댐퍼 레버(4)를 회전시킨다. 댐퍼 블록(5) 및 댐퍼 와이어(6)가 댐퍼 레버(4)와 함께 댐퍼 플랜지(9)의 주위를 회전하게 되더라도, 가이드 레일(10)은 댐퍼 와이어(6), 따라서, 댐퍼 블록(5)이 댐퍼 플랜지(9) 주위를 회전되게 한다. 가이드 레일(10) 및 댐퍼 레버(4)와 댐퍼 블록(5) 사이의 핀은 댐퍼 와이어(6) 및 댐퍼 블록(5)의 회전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한다. 그 결과, 댐퍼 블록(5), 따라서, 댐퍼 와이어(6)가 화살표 A1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댐퍼 와이어(6)는 댐퍼 헤드 조립체(7)를 위로 밀고, 따라서, 한 쌍의 댐퍼 펠트(8)가 현(3) 세트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댐퍼(1)는 발음 위치로 들어가고, 현(3)을 진동시켜 피아노 음을 발생시킨다. 또한 눌려진 키(2)는 작동 기구(2a)를 작동시키고, 잭을 해머 조립체(3a)로부터 이탈시킨다. 이탈은 해머 조립체(3a)를 자유롭게 회전시키고, 현(3) 세트가 해머 조립체(3a)에 의해 타격된다. 따라서, 발음 위치에서의 종래 기술의 댐퍼(1)는 피아노 음을 발생시키기 위해 현(3) 세트를 진동시킨다.
페달 기구(11)가 종래 기술의 댐퍼(1)에 제공된다. 페달 기구(11)는 풋페달(12), 리프팅 로드(13) 및 리프팅 레일(14)을 포함한다. 풋 페달(12)은 리라(lyre) 박스(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리프팅 로드(13)는 풋 페달(12)의 후면부에 접속된다. 리프팅 로드(13)는 위쪽으로 연장하여, 피아노 케이스로 돌출한다. 리프팅 레일(14)은 댐퍼 레버 플랜지(9)에 의해 스웨이징 가능하게 지지되고, 댐퍼 레버(4) 아래에 위치된다. 비록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페달 기구(11)는 다른 키(2)(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종래 기술의 댐퍼와 공유되고, 리프팅 레일(14)은 모든 댐퍼 레버 또는 선택된 하나의 댐퍼 레버를 측방향으로 연장한다.
피아니스트가 피아노 음 또는 음들을 연장하고자 할 때, 그 또는 그녀는 페달(12)을 밟는다. 페달(12)이 하강하고, 따라서, 리프팅 로드(13)가 위쪽으로 이동된다. 리프팅 로드(13)는 리프팅 레버(4)를 밀어, 반시계 방향으로 댐퍼 레버 플랜지(9)의 주위를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리프팅 레일(14)은 댐퍼 레버(4)의 하부면과 접촉하게 되고, 댐퍼 레버(4)는 반시계 방향으로 댐퍼 레버 플랜지(9) 주위를 회전하게 된다. 이 때문에 댐퍼 헤드 조립체(7)가 현(3) 세트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페달 기구(11)는 키 위치에 상관없이 댐퍼 헤드 조립체(7)를 연결된 현(3) 세트로부터 계속 이격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피아니스트가 키(2)를 해제하더라도, 페달 기구(11)는 댐퍼 헤드 조립체(7)의 자체 중량을 지지하여, 현(3) 세트를 진동하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계의 음표는 키(2)에 할당되고, 연결된 현(3) 세트는 주어진 음표로 피아노 음을 발생시킨다. 일반적으로 피아노 음은 낮은 피치부, 중간 피치부 및 높은 피치부로 분할되고, 현(3)은 서로 직경, 길이 및 수가 다르다. 단일 또는 2개의 현(3)이 낮은 피치부의 각 음표에 할당되고, 2 또는 3개의 현(3)이 중간 피치부의 각 음표에 할당되며, 3현이 높은 피치부의 각 음계에 할당된다. 낮은 피치음에 할당된 현은 높은 피치음에 할당된 현보다 두껍고 길고, 높은 피치음에 할당된 현보다 크게 진동한다. 이것은 진동 에너지가 현(3)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댐퍼 헤드 조립체(7)는 현(3)의 크기에 상관 없이 동등하게 진동을 흡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진동 흡수 능력을 동일하게 만들기 위해서, 종래 기술의 댐퍼(1)는 서로 중량이 다르게 설계된다. 종래 기술의 댐퍼(1)의 중량은 가장 낮은 피치음으로부터 가장 높은 피치음을 향해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댐퍼 헤드(7A)의 크기만을 변경함으로써 중량을 조절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납의 금속편(15)이 적절히 중량을 조절하기 위해 댐퍼 레버(4)에 매립된다. 금속편(15)의 총 중량은 가장 낮은 피치음으로부터 가장 높은 피치음을 향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댐퍼(1)의 진동 흡수 능력을 적절히 조절하기 위해서 댐퍼 헤드(7A) 뿐만 아니라 금속편(15)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종래 기술의 댐퍼(1)에서는 다음의 문제들을 직면하게 된다. 먼저, 댐퍼 헤드(7A)의 중량이 제품마다 달라지기 쉽다. 이것은 단단한 나무의 비중량이 나무의 나이 및 나무가 자라는 지역에 따라 변화된다는 사실 때문이다. 이 환경하에서, 제작자가 다른 음계에 할당된 현을 위한 종래 기술의 댐퍼(1)를 면밀하게 설계하더라도, 제품마다 달라지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다른 문제는 제조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단단한 나무가 고갈되어 가고 있기 때문에, 이런 종류의 단단한 나무를 안정하고 경제적으로 확보하기가 어렵다. 그 결과, 생산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다른 요소는 댐퍼 레버(4)의 낮은 생산성이다. 제작자는 홀의 치수를 결정하여, 각 댐퍼 레버(4)내에 홀을 형성한다. 금속편은 맞춤 제작되어, 댐퍼 레버(4)내에 매립된다. 따라서, 댐퍼 레버(4)는 일련의 단계를 통해 중량이 조절되고, 복잡한 단계가 높은 제조 비용을 야기한다.
또 다른 문제는 댐퍼 레버(4)의 내구성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댐퍼 레버(4)는 나무로 형성되고, 금속편(15)이 댐퍼 레버(4)내에 매립된다. 금속편(15)이 댐퍼 레버(4)내에 형성된 홀에 꼭 맞게 수용되더라도, 나무의 댐퍼 레버(4)는 건조하게 되어, 홀이 변형된다. 댐퍼 레버(4)와 금속편(15) 사이에 갭이 생긴다. 갭은 잡음의 원인이며, 금속편(15)이 댐퍼 레버(4)로부터 빠지기 쉽게 된다.
또 다른 문제는 환경 오염이다. 금속편(15)은 납으로 형성되어, 환경에 직접 노출되어 있다. 납이 비중량이 크고 가공하기 쉽다고 하더라도, 납은 환경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댐퍼 레버(4)가 마모될 때, 납의 금속편(15)은 조심스럽게 다루어지지 않는 한 환경 오염을 일으킨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중량이 면밀하게 조절 가능하고, 경제적이고, 내구성이 있으며 환경 오염이 없는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주 목적은 댐퍼를 장착하는 건반 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분말 함유 합성 수지의 성분을 형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키에 의한 회전을 위해 작동되는 댐퍼 레버, 댐퍼 헤드 및 상기 댐퍼 헤드에 고정된 진동 흡수 부재를 가지며, 상기 진동 흡수 부재가 현에 접촉 유지되는 정지 위치와 상기 진동 흡수 부재가 상기 현으로부터 이격되는 발음 위치 사이에서 변동되는 댐퍼 조립체, 및 상기 댐퍼 레버에서 상기 댐퍼 조립체로 힘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댐퍼 레버와 상기 댐퍼 헤드 사이에 접속되는 링크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 레버 및 상기 댐퍼 헤드 중 적어도 하나가 분말 함유 합성 수지로 형성되는, 현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댐퍼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힘이 발휘될 때 정지 부재에 대해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키, 상기 힘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에 발휘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 기구, 상기 힘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에 발휘된 후에 상기 작동 부재에 결합되며 자유 회전을 의해 구동되는 해머, 자유 회전의 마지막에 상기 해머로 타격되는 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에 의해 작동되는 댐퍼 레버, 댐퍼 헤드, 상기 댐퍼 헤드에 부착되며 진동 흡수 부재가 상기 현과 접촉 유지되는 정지 위치와 상기 진동 흡수 부재가 상기 현으로부터 이격되는 발음 위치 사이에서 변동되는 상기 진동 흡수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 레버 및 상기 댐퍼 헤드 중 하나가 분말 함유 합성 수지로 형성되는 건반 악기가 제공된다.
댐퍼 및 건반 악기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함께 다음 설명으로부터 보다 확실히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그랜드 피아노에 결합된 종래 기술의 댐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반 악기에 결합된 댐퍼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댐퍼에 결합된 댐퍼 레버를 부분적으로 잘라내어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댐퍼에 결합된 댐퍼 헤드를 부분적으로 잘라내어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크기가 다른 댐퍼 헤드를 위해 분말 함유 합성 수지의 블록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일런트 피아노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연주 피아노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21 : 댐퍼 22 : 키
23 : 현 25 : 가이드 레일
26 : 댐퍼 레버 레일 27 : 대그(dag)
31 : 댐퍼 레버 32 : 댐퍼 레버 플랜지
33 : 댐퍼 블록 35 : 댐퍼 헤드 조립체
36 : 리프팅 레일 37 : 핀
38 : 댐퍼 펠트 39 : 댐퍼 헤드
도 2의 도면을 참조하면, 댐퍼(21)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어쿠스틱 그랜드 피아노에 결합된다. 댐퍼(21)는 키(22) 및 현(23) 세트에 연결된다. 음계의 음표는 키(22)에 할당되고, 현(23) 세트는 음표에 따라 피아노 음을 발생시키게 설계된다. 다수의 키(22)가 연결된 댐퍼(20) 및 연결된 현(23) 세트와 함께 어쿠스틱 그랜드 피아노에 결합되지만, 한 세트의 건, 댐퍼 및 현(22/21/23)만이 도 2에 도시된다. 다른 키, 댐퍼 및 현은 경사지게 그려진 점선으로 나타내어 진다. 88개의 키(22)가 결합하여 건반을 형성하고, 피아니스트가 선택적으로 키(22)를 누르고 해제한다. 건반상에 핑거링(fingering)은 키(22)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키(22)는 키 벤드(bend)(도시되지 않음)에 대해 각을 이루고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작동 기구(2a) 및 해머 조립체(3a)는 본 발명에 따른 어쿠스틱 그랜드 피아노에 결합된다. 그러나,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이들은 도 1에서 생략된다. 작동 기구 및 해머 조립체는 다음 설명에서 언급될 때, 참조 부호 "2a" 및 "3a"를 붙여 명시된다. 작동 기구(2a)는 눌려진 키(22)에 의해 작동되고, 작동 기구(2a)의 잭은 연결된 해머 조립체(3a)로부터 이탈한다. 이탈은 해머 조립체(3a)를 자유롭게 회전시키고, 현 세트는 자유 회전의 마지막에 해머 조립체(3a)로 타격된다.
리트팅 레일(24), 가이드 레일(25), 댐퍼 레버 레일(26) 및 대그(dag)(27)는 피아노 케이스(도시되지 않음) 안에 제공되고, 댐퍼(21)와 관계가 있다. 리프팅 레일(24), 가이드 레일(25), 댐퍼 레버 레일(26) 및 대그(27)는 피아노 케이스(도시되지 않음)의 일부에 고정되거나 또는 형성되어, 키 베드에 대해 정지된다.
댐퍼(21)는 댐퍼 레버(31), 댐퍼 레버 플랜지(32), 댐퍼 블록(33), 댐퍼 와이어(34) 및 댐퍼 헤드 조립체(35)를 포함한다. 댐퍼 레버 플랜지(32)는 댐퍼 레버 레일(26)상에 직립하고, 거기에 고정된다. 댐퍼 레버(31)는 댐퍼 레버 플랜지(32)에 의해 스웨징 가능하게 지지되며, 리프팅 레일(36) 위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다. 리프팅 레일(36)은 댐퍼 페달 기구의 일부를 형성한다. 댐퍼 페달 기구는 표준 그랜드 피아노에 결합되는 것과 유사하고, 단순화하기 위해 이하 더 이상 설명되지 않는다.
댐퍼 레버(31)의 형상 및 치수는 댐퍼 레버(4)와 유사하다 하더라도, 댐퍼 레버(3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말 함유 합성 수지로 형성된다. 분말은 참조 번호 31a로 표시되어 있다. 어떤 금속편도 댐퍼 레버(31)에 매립되지 않고, 따라서, 댐퍼 레버(4)가 내구력이 있다. 댐퍼 레버(4)는 이후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댐퍼 레버(31)의 선행단은 연결된 키(22)의 후면부 위의 공간에 도달한다. 댐퍼 블록(33)은 핀(37)에 의해 댐퍼 레버(31)에 접속되고, 거기서부터 위쪽으로 돌출한다. 댐퍼 블록(33)은 핀(7) 주위를 회전 가능하다. 댐퍼 와이어(34)는 댐퍼 블록(33)에 고정되고, 거기서부터 위쪽으로 돌출한다. 홀이 가이드 레일(25) 내에 형성되고, 댐퍼 와이어(34)가 이 홀을 관통한다. 홀은 이를 통해서 댐퍼 와이어(34)가 수월하게 이동시킬 정도로 넓다. 댐퍼 헤드 조립체(35)는 댐퍼 와이어(34)의 상단에 고정된다. 댐퍼 레버 플랜지(32), 댐퍼 블록(33) 및 댐퍼 와이어(34)는 표준 그랜드 피아노의 댐퍼 페버 플랜지, 댐퍼 블록 및 댐퍼 와이어와 유사하다. 댐퍼 레버 플랜지(32) 및 댐퍼 블록(33)은 나무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댐퍼 펠트(38) 및 댐퍼 헤드(39)는 결합하여 댐퍼 헤드 조립체(35)를 형성한다. 댐퍼 헤드(39)의 형태와 치수는 종래 기술의 댐퍼 헤드(7A)와 유사하다 하더라도, 댐퍼 헤드(39)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말 함유 합성 수지로 형성된다. 분말은 참조 번호 39a로 표시되어 있다. 댐퍼 헤드(39)가 이후 댐퍼 레버(31)와 함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키(22)가 정지하고 있는 동안, 키(22)의 후면부는 댐퍼 레버(31)로부터 이격되고, 댐퍼 헤드 조립체(35)는 자체 중량에 기인하여 아래쪽으로 댐퍼 와이어(34)를 가압한다. 이어서 댐퍼 와이어(34)는 댐퍼 레버 플랜지(32) 주위에서 시계 방향으로 댐퍼 레버(31)를 가압한다. 그러나, 한 쌍의 댐퍼 펠트(38)는 현(23) 세트와 접촉 유지되고, 댐퍼 레버(31)를 키(22)의 후면부로부터 이격을 유지하고 있다.
피아니스트가 키(22)의 전면부를 누를 때, 키(22)의 전면부는 프론트 레일(도시되지 않음)쪽으로 하강하고, 따라서, 키(22)의 후면부는 위쪽으로 상승된다. 키(22)의 후면부는 댐퍼 레버(31)의 하부면과 접촉하게 되고, 시계 반대 방향으로 댐퍼 플랜지(32) 주위에서 댐퍼 레버(31)를 회전시킨다. 댐퍼 블록(33) 및 댐퍼 와이어(34)가 댐퍼 레버(31)와 함께 댐퍼 플랜지(32) 주위를 회전하게 되더라도, 가이드 레일(25)은 댐퍼 와이어(34), 따라서, 댐퍼 블록(33)을 댐퍼 플랜지(32) 주위에서 회전되게 한다. 가이드 레일(25) 및 핀(37)은 댐퍼 와이어(34) 및 댐퍼 블록(33)의 회전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한다. 그 결과, 댐퍼 블록(33), 따라서, 댐퍼 와이어(34)가 윗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댐퍼 와이어(34)는 댐퍼 헤드 조립체(34)를 밀어 올리고, 따라서, 한 쌍의 댐퍼 펠트(38)가 현(23) 세트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댐퍼(21)가 발음 위치로 들어가고, 피아노 음을 발생시키기 위해 현(23) 세트를 진동시킨다. 또한 눌려진 키(22)는 작동 기구(2a)를 작동시키고, 잭을 해머 조립체(3a)로부터 이탈하게 한다. 이탈은 해머 조립체(3a)를 자유롭게 회전시키고, 현(23) 세트가 해머 조립체(3a)에 의해 타격된다. 따라서, 발음 위치에서의 댐퍼(21)는 피아노 음을 발생시키기 위해 현(23) 세트를 진동하게 한다.
이하 댐퍼 레버(31) 및 댐퍼 헤드(39)가 상세히 설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댐퍼 레버(31) 및 댐퍼 헤드(39)는 분말 함유 합성 수지로 형성된다. 합성 수지는 비교적 큰 비중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에서, 댐퍼 레버(4)는 나일론계의 합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분말도 큰 비중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말이 나무보다 큰 비중량을 가지는 한 어떠한 종류의 분말이라도 댐퍼 레버(31) 및 댐퍼 헤드(39)에 사용될 수 있다. 철 분말, 텅스텐 분말 및 구리 분말은 비중량이 큰 분말의 예이다. 분말은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댐퍼 레버/댐퍼 헤드(31/39)의 표면에 노출되는 분말이 적고, 환경에 거의 확산되지 않는다. 합성 수지에 대한 분말의 혼합비는 댐퍼(21)의 진동 흡수 능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분말의 종류 및/또는 합성 수지의 종류는 댐퍼(21)의 중량을 조절하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 국부적인 불균형이 댐퍼 레버/댐퍼 헤드(31/39)의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 한 금속 입자가 합성 수지에 분산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 단어 "분말"은 분말과 입자 모두를 포함한다.
적절하게 댐퍼(21)의 총 중량을 조절하기 위해서, 댐퍼 레버(31) 및/또는 댐퍼 헤드(39)는 연결된 현(23) 세트에 따라 중량이 변경된다. 댐퍼(31)는 피치부, 즉, 낮은 피치부, 중간 피치부 및 높은 피치부, 또는 현의 음표가 속하는 옥타브에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댐퍼의 총 중량은 각 댐퍼(21)에 가장 적절한 진동 흡수 능력을 주도록 가장 낮은 피치음으로부터 가장 높은 피치음을 향해 연속해서 감소된다. 총 중량은 크기 및/또는 비중량을 변경함으로써 조절 가능하다. 크기가 다른 댐퍼 레버/댐퍼 헤드(31/39)에 다수의 몰딩 다이(molding die)가 요구되지만, 댐퍼 레버/댐퍼 헤드(31/39)가 비중량이 다른 분말 함유 합성 수지로 형성되는 한 하나의 몰딩 다이만이 댐퍼 레버/댐퍼 헤드(31/39)에 사용된다.
이하, 댐퍼 헤드 조립체(39)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이 설명된다. 댐퍼 헤드 조립체(39)는 각기 댐퍼(21)에 결합되며, 결합하여 건반을 형성하는 키(22)에 의해 작동된다. 이 때문에, 댐퍼 헤드 조립체(39)는 연결된 현(23) 세트의 진동을 흡수하는 것이 기대된다. 댐퍼(21)간에 진동 흡수 능력을 일정하게 만들기 위해서, 댐퍼(21)는 가장 낮은 피치음으로부터 가장 높은 피치음을 향해 중량이 연속적으로 감소되고, 댐퍼 헤드(39)의 중량이 변동된다. 댐퍼 헤드 조립체(39)는 분말 함유 합성 수지로 형성되므로 비중량이 같다. 그러나, 댐퍼 헤드(39)의 크기 또는 치수는 다르다.
몰딩 다이(도시되지 않음), 금속 분말 및 합성 수지의 태블릿의 제조부터 공정이 시작한다. 몰딩 다이는 88개의 댐퍼 헤드(39)의 배열에 대응하는 홈을 가지고 있다. 홈은 점차 확대되는 단면을 가지고 있다. 단면은 윤곽이 해머 헤드(39)의 측면과 유사하다. 홈은 댐퍼 헤드(39)의 배열보다 짧지 않다. 몰딩 다이는 사출기(도시되지 않음)에 부착되어 있다.
금속 분말 및 합성 수지의 태블릿은 소정 비율로 조절된다. 합성 수지의 태블릿은 사출기에서 용융되고, 금속 분말은 용융된 합성 수지에 잘 혼합된다. 따라서, 분말 함유 합성 수지는 몰딩을 위해 준비된다.
분말 함유 합성 수지가 몰딩 다이에 주입되고, 몰딩 다이에서 굳어진다. 분말 함유 합성 수지의 고형체(41)가 몰딩 다이에서 꺼내진다. 분말 함유 합성 수지의 고형체(41)는 도 5의 점과 띠선(42)으로 나타내어지는 것과 같이 윤곽이 댐퍼 헤드(39)의 측면과 유사한 단면을 가지며, 단면은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해 넓게 된다.
다음에, 분말 함유 합성 수지의 고형체는 점과 띠선(43)을 따라서 절단되고, 따라서, 88개의 댐퍼 헤드(39)로 분리된다. 가장 큰 댐퍼 헤드(39)는 가장 낮은 피치음에 할당된 현(23)의 댐퍼(21)에 사용되고, 가장 작은 댐퍼 헤드(39)는 가장 높은 피치음에 할당된 현(23) 세트의 댐퍼(21)에 사용된다.
한 쌍의 댐퍼 펠트(38)는 댐퍼 헤드(39)의 하부면에 각기 고정되고, 댐퍼 헤드 조립체(35), 댐퍼 레버 플랜지(32), 댐퍼 레버(31), 댐퍼 블록(33) 및 댐퍼 와이어(34)는 어쿠스틱 피아노에서 댐퍼(21)에 조립된다.
연결된 현(23)에 할당된 음표가 속하는 피치부에 따라 댐퍼 헤드(39)가 크기가 다른 경우에, 금형틀에는 계단식으로 좁아지는 홈이 형성된다. 즉, 홈은 낮은 피치부를 위한 댐퍼 헤드(39)에 할당된 지역, 중간 피지부를 위한 댐퍼 헤드(39)에 할당된 지역 및 높은 피치부를 위한 댐퍼 헤드(39)에 할당된 지역을 가지고 있고, 홈은 인접 지역 사이의 경계에서 계단식으로 좁아진다. 연결된 현(23)에 할당된 음표가 속하는 옥타브에 따라 댐퍼 헤드(39)의 크기가 다르면, 홈은 옥타브에 할당된다수의 지역으로 분할되고, 홈은 지역 사이의 경계에서 계단식으로 좁아진다.
댐퍼 레버(31)는 댐퍼 헤드(39)와 유사한 몰딩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동시에 형성된다.
전술한 설명에서 알게 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댐퍼(21)는 분말 함유 합성 수지로 형성된 댐퍼 헤드/뎀퍼 레버(39/31)를 포함한다. 분말 및 합성 수지는 비중량이 일정하고, 시중에서 낮은 가격으로 안정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조자는 중량의 목표값으로 댐퍼(21)를 쉽게 조절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다.
또한, 댐퍼 레버(31)는 단일체를 가지고 있다. 다수부가 결코 댐퍼 레버(31)에 결합되지 않는다. 이것은 댐퍼 레버(31)가 조각들로 거의 해체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댐퍼 레버(31)는 내구력이 있다. 댐퍼(21)는 납을 포함하지 않고, 분말은 합성 수지에 분산된다. 분말은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댐퍼 펠트(38)가 진동 흡수 부재 역할을 한다. 댐퍼 블록(33), 핀(37) 및 댐퍼 와이어(34)는 전체로서 링크 기구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당분야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의도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각종 변화 및 변형이 실시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댐퍼 레버(31) 및 댐퍼 헤드(39) 모두의 크기가 변경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댐퍼 레버(31) 및 댐퍼 헤드(39) 중 하나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댐퍼 레버(31) 및 댐퍼 헤드(39)는 어쿠스틱 업라이트 피아노에 결합된 댐퍼부품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댐퍼가 건반 악기의 부품을 형성하는 한 다른 종류의 건반 악기에 적용 가능하다. 이들 건반 악기 중 하나가 일렉트릭 피아노이다. 일렉트릭 피아노는 어쿠스틱 피아노를 기초로 하여 제작되고, 압전 소자의 배열 등의 픽업 유닛이 그안에 결합된다. 현의 진동은 픽업 유닛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전기 음이 전기 신호로부터 이퀄라이저를 통해 발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댐퍼는 진동의 흡수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다른 종류의 건반 악기는 도 6에 도시된 사일런트 피아노이다. 사일런트 피아노도 어쿠스틱 피아노(70)를 기초로 하여 제작되고, 방음 시스템(71a) 및 전자 음향 발생 시스템(72)이 그안에 결합된다. 방음 시스템(71)은 현(74) 세트와 해머 섕크(75) 사이에 제공된 해머 스토퍼(73)를 가지고 있고, 자유 위치와 차단 위치 사이에서 변동된다. 피아니스트가 피아노 음을 통해 음을 연주하기를 바랄 때, 해머 스토퍼(73)는 자유 위치로 변동된다. 자유 위치에서의 해머 스토퍼는 해머 섕크(75)의 궤적에서 이탈한다. 피아니스트가 음을 연주하는 동안, 해머(76)는 연결된 현(74) 세트를 타격하고, 현(74)에 반동한다. 한편, 피아니스트가 어쿠스틱 음 없이 핑거링을 실행하기를 바랄 때, 피아니스트는 해머 스토퍼(73)를 차단 위치로 변동시킨다. 차단 위치에서의 해머 스토퍼(73)는 해머 섕크(75)의 궤적 위에 있다. 작동 기구(77)가 해머(76)로부터 이탈하더라도, 현(74) 세트를 타격하기 전에 해머(76)가 해머 스토퍼(73)에 반동되고, 어쿠스틱 음이 현으로부터 발생된다. 그러나, 전자 음향 생성 시스템(72)은 키/해머 이동을 모니터링하고, 헤드폰(78)을 통해 전자 음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피아니스트는 이웃을 방해하지 않고 핑거링을 체크할 수 있다. 사일런트 피아노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79)가 또한 현(74)의 진동 흡수에 사용된다.
또 다른 종류의 건반 악기는 도 7에 도시된 자동 연주 피아노이다. 자동 연주 피아노도 어쿠스틱 피아노(80)를 기초로 하여 제작된다. 자동 연주 피아노는 키 베드(82)에 매립되는 솔레노이드 동작 키 액츄에이터(81)의 배열을 가지고 있고, 컨트롤러(83)는 건반(85)상의 핑거링 없이 작동 기구(84)를 작동시키기 위해 솔레노이드 작동 키 액츄에이터(81)에 구동 신호를 공급한다. 음악 데이터 코드의 세트는 컨트롤러(83)에 실리고, 컨트롤러(83)는 검은/흰 키(86), 검은/흰 키(86)를 이동하는 시간 및 음악 데이터 코드를 기초로 하여 키 속도의 세기를 결정한다. 콘트롤러(83)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구동 신호를 솔레노이드 작동 키 액츄에이터(81)에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솔레노이드 작동 키 액츄에이터(81)는 선택적으로 구동 신호로 에너지가 주입되고, 연결된 검은/흰 키(86)가 이동하도록 플런저(87)가 돌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댐퍼(88)는 자동 연주 피아노(80)에 제공되어, 현(89)의 진동을 흡수한다. 또한 자동 연주 피아노는 방음 시스템을 장착할 수 있다.

Claims (10)

  1. 키(22)에 의한 회전을 위해 작동되는 댐퍼 레버(31);
    댐퍼 헤드(39) 및 상기 댐퍼 헤드(39)에 고정된 진동 흡수 부재(38)를 가지며, 상기 진동 흡수 부재(38)가 상기 현(23)과 접촉 유지되는 정지 위치와 상기 진동 흡수 부재(38)가 상기 현(23)으로부터 이격되는 발음 위치 사이에서 변동되는 댐퍼 조립체(35); 및
    상기 댐퍼 레버(31)에서 상기 댐퍼 조립체(35)로 힘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댐퍼 레버(31)와 상기 댐퍼 헤드(39) 사이에 접속되는 링크 기구(33/34/37)를 구비하며, 현(23)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댐퍼(21)에 있어서,
    상기 댐퍼 레버(31) 및 상기 댐퍼 헤드(39) 중 적어도 하나는 분말 함유 합성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함유 합성 수지에서 분말(31a; 39a)은 나무의 비중량보다 큰 비중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31a; 39a)은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함유 합성 수지에서 합성 수지는 나일론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5. 힘이 발휘될 때 정지 부재에 대해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키(22),
    상기 힘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22)에 발휘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22)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 기구(2a),
    상기 힘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22)에 발휘된 후에 상기 작동 기구(2a)와 결합되며 자유 회전을 위해 구동되는 해머(3a),
    어쿠스틱 음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자유 회전의 마지막에 상기 해머(3a)로 타격되는 현(23),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22)에 의해 작동되는 댐퍼 레버(31), 댐퍼 헤드(39), 상기 댐퍼 헤드(39)에 부착되며 진동 흡수 부재(38)가 상기 현(23)과 접촉 유지하는 정지 위치와 상기 진동 흡수 부재(38)가 상기 현(23)으로부터 이격되는 발음 위치 사이에서 변동되는 상기 진동 흡수 부재(38)를 포함하는 댐퍼(35)를 구비하는 건반 악기에 있어서,
    상기 댐퍼 레버(31) 및 상기 댐퍼 헤드(39) 중 적어도 하나가 분말 함유 합성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6.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키(22)는 다른 키와 함께 건반을 형성하고, 다른 작동 기구, 다른 해머 및 상기 댐퍼(21)와 구조가 유사한 다른 댐퍼는 피치가 서로 다른 음을 발생시키기 위해 다른 현을 선택적으로 타격하도록 상기 다른 키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21) 및 상기 다른 댐퍼는 목표 진동 흡수 능력을 나타내기 위해 목표 중량에 선택적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8. 제5항에 있어서,
    자유 위치와 차단 위치 사이에서 변동되는 스토퍼를 가지며, 상기 자유 위치에서의 상기 스토퍼가 상기 헤머의 궤적에서 이탈되어 상기 해머가 아무런 방해없이 상기 현을 타격하고, 상기 차단 위치에서의 상기 스토퍼가 상기 해머의 상기 궤적 위에 있어 상기 해머가 상기 현을 타격하기 전에 상기 스토퍼에 반동하는 방음 시스템, 및
    상기 어쿠스틱 음 없이 전자 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자 음향 발생 시스템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와 접촉 유지되며 플레이어에 의해 발휘되는 힘없이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를 이동시키기 위해 에너지가 주입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에 접속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에 선택적으로 에너지를 주입하기 위해 음악 데이터 정보에 응답하는 콘트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10. 제9항에 있어서,
    자유 위치와 차단 위치 사이에서 변동되는 스토퍼를 가지며, 상기 자유 위치에서의 상기 스토퍼가 상기 헤머의 궤적에서 이탈되어 상기 해머가 아무런 방해없이 상기 현을 타격하고, 상기 차단 위치에서의 상기 스토퍼가 상기 해머의 상기 궤적 위에 있어 상기 해머가 상기 현을 타격하기 전에 상기 스토퍼에 반동되는 방음 시스템, 및
    상기 어쿠스틱 음 없이 전자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자 음향 발생 시스템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KR10-2001-0023506A 2000-05-01 2001-04-30 분말 함유 합성 수지로 형성된 댐퍼 및 이것을 장착한건반 악기 KR100413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32814A JP3598942B2 (ja) 2000-05-01 2000-05-01 ピアノのダンパー機構
JP2000-132814 2000-05-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942A true KR20010100942A (ko) 2001-11-14
KR100413171B1 KR100413171B1 (ko) 2003-12-31

Family

ID=18641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3506A KR100413171B1 (ko) 2000-05-01 2001-04-30 분말 함유 합성 수지로 형성된 댐퍼 및 이것을 장착한건반 악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17440B2 (ko)
EP (1) EP1152391B1 (ko)
JP (1) JP3598942B2 (ko)
KR (1) KR100413171B1 (ko)
CN (1) CN1132142C (ko)
DE (1) DE60141663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38817C (zh) * 2003-10-14 2009-09-09 株式会社河合乐器制作所 大钢琴的震奏杆
JP4572092B2 (ja) * 2004-06-16 2010-10-27 響 稲本 音色変更装置、及び、音色変更装置を備えたピアノ
JP2008164760A (ja) * 2006-12-27 2008-07-17 Yamaha Corp 電子鍵盤楽器の鍵盤構造におけるハンマ部材の加工方法及びそのハンマ部材を備えた電子鍵盤楽器の鍵盤構造
US7687693B2 (en) * 2007-06-14 2010-03-30 Wessell, Nickel & Gross Grand piano composite piano action
WO2009108437A1 (en) 2008-02-27 2009-09-03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DE102008013293B4 (de) 2008-03-07 2010-11-04 Udo Elliger Dämpferhebel für eine Dämpferanordnung für Flügel sowie Dämpferanordnung
US8148620B2 (en) * 2009-04-24 2012-04-03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Hammer stoppers and use thereof in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US8541673B2 (en) 2009-04-24 2013-09-24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Hammer stoppers for pianos having acoustic and silent modes
EP2618327B1 (en) 2012-01-18 2016-03-30 Yamaha Corporation Damper drive device for musical instrument, and musical instrument
JP2014206575A (ja) * 2013-04-11 2014-10-30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の鍵ダンパハーフ領域特定方法及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6064758B2 (ja) * 2013-04-11 2017-01-25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
JP6111807B2 (ja) 2013-04-11 2017-04-12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
CN104064164A (zh) * 2014-07-08 2014-09-24 森鹤乐器股份有限公司 一种钢琴击弦机制音杆润滑处理方法
JP6918732B2 (ja) * 2018-03-05 2021-08-11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ピアノのダンパー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53644A (en) * 1919-09-09 1920-09-21 Frank L George Damper for upright-piano actions
JPS5815978Y2 (ja) * 1977-04-26 1983-03-31 ヤマハ株式会社 ピアノのダンパ−機構
US4306483A (en) * 1978-10-24 1981-12-22 Nippon Gakki Seizo Kabushiki Kaisha Damper assembly for pianos
JPS58127994A (ja) * 1982-01-26 1983-07-30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の鍵盤装置
FR2599880B1 (fr) * 1986-06-06 1988-09-23 Rochefordiere Denis De La Nouveau procede musical pour instruments a cordes frappees ou instruments similaires et mecanisme a pedale adapte a ce nouveau procede
US4879939A (en) * 1986-09-04 1989-11-14 Wall Paul G Action for upright piano
FR2643489B1 (fr) * 1989-02-22 1993-10-15 Guyon Vincent Mecanisme pour piano droit
JP2969039B2 (ja) * 1994-03-22 1999-11-02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ピアノの止音装置
JPH07334150A (ja) * 1994-06-13 1995-12-22 Yamaha Corp 鍵盤楽器
JP2743862B2 (ja) * 1994-08-30 1998-04-22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
KR970005870B1 (ko) * 1994-10-21 1997-04-21 삼성건설 주식회사 폴리머수지를 결합재로 사용한 세라믹 흡음 · 방진판 및 그 제조방법
JP3533777B2 (ja) * 1995-09-25 2004-05-31 ヤマハ株式会社 ピアノ用ハンマーおよびその成形方法
JPH09258721A (ja) * 1996-03-21 1997-10-03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ピアノのダンパー装置
JP3170208B2 (ja) 1996-11-01 2001-05-28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グランドピアノのダンパーレバー
JPH11219165A (ja) * 1998-01-30 1999-08-10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ピアノのダンパ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41663D1 (de) 2010-05-12
KR100413171B1 (ko) 2003-12-31
JP3598942B2 (ja) 2004-12-08
US20010035089A1 (en) 2001-11-01
EP1152391A2 (en) 2001-11-07
JP2001312272A (ja) 2001-11-09
US6417440B2 (en) 2002-07-09
CN1132142C (zh) 2003-12-24
CN1333531A (zh) 2002-01-30
EP1152391A3 (en) 2009-04-01
EP1152391B1 (en) 201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3171B1 (ko) 분말 함유 합성 수지로 형성된 댐퍼 및 이것을 장착한건반 악기
US6683242B2 (en) Composit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ilent system for performance without acoustic tones and regulating button mechanism for changing escape timing depending upon mode of operation
US4879939A (en) Action for upright piano
JP2743862B2 (ja) 鍵盤楽器
US6649821B2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key-touch regulator provided between keys and stationery member
JP3430638B2 (ja) 鍵盤楽器
US6777605B2 (en) Keyboard instrument
KR100321930B1 (ko) 음 발생없이 피아노와 같은 키이 타치를 위한 조절되는 중력 중심을 갖는 더미 해머를 구비한 건반악기
US5763799A (en) Simulated escapement apparatus for electronic keyboard
US5583306A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jacks changeable in escape speed between acoustic sound mode and silent mode
US6448481B2 (en) Pedal mechanisms assembled into unit and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the same
US8664497B2 (en) Double keyboard piano system
KR100412026B1 (ko) 해머 스톱퍼를 변환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수리가능한전환기구가 장착된 건반악기
KR100193781B1 (ko) 건반악기의헤머 어셈블리및그제조방법
JP3861906B2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
JP6606313B1 (ja) スロープ付きジャックを用いたピアノアクション機構
US6054641A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for practicing fingering on keyboard without acoustic sounds
JP3448948B2 (ja) 鍵盤楽器およびその消音装置
JP3823999B2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および鍵盤楽器
JP3693047B2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
JP3438741B2 (ja) 鍵盤楽器
JP4572092B2 (ja) 音色変更装置、及び、音色変更装置を備えたピアノ
JP3654268B2 (ja) 鍵盤楽器
US7687692B2 (en) Hammer shank and shank butt for piano
JP3413931B2 (ja) 竪型鍵盤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