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5197A -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 Google Patents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5197A
KR20010095197A KR1020010017084A KR20010017084A KR20010095197A KR 20010095197 A KR20010095197 A KR 20010095197A KR 1020010017084 A KR1020010017084 A KR 1020010017084A KR 20010017084 A KR20010017084 A KR 20010017084A KR 20010095197 A KR20010095197 A KR 20010095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avity
resin
layer
polyest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7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1960B1 (ko
Inventor
니시무쯔오
이토가쯔야
야마다코지
사사키야스시
Original Assignee
시바타 미노루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00888A external-priority patent/JP355112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64629A external-priority patent/JP4441838B2/ja
Application filed by 시바타 미노루,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바타 미노루
Publication of KR20010095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5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9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808Mirrors having a single reflecting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4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6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8Weight, e.g. weight per square 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207/00Coding scheme for general features or characteristics of optical elements and systems of subclass G02B, but not including elements and systems which would be classified in G02B6/00 and subgroups
    • G02B2207/107Porous materials, e.g. for reducing the refractive inde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82Recycling of unreacted starting or intermediat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78Voids specified as micro
    • Y10T428/249979Specified thickness of void-containing component [absolute or relative] or numerical cell dimen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6Void-containing component contains also a solid fiber or solid part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7With nonvoid component of specified composition
    • Y10T428/249991Synthetic resin or natural rub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주원료로 하고, 그 내부에 공동을 함유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있어서, 함유시키는 공동발현제의 용융점도를 최적의 것으로 함으로써, 공동적층수 밀도를 0.20개/㎛ 이상으로 하여, 가시광선에 대한 반사능을 향상시킴으로써, 경량이고 높은 강도를 가지며 또한 가공성도 우수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대해서, 가시광선에 대한 높은 반사능을 갖는, 각종 반사판의 재료로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Porous polyester film}
본 발명은,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관한 것이다. 특히, 가시광선에 대한 높은 반사능을 가져 각종 반사판으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필름 및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과 별도의 폴리에스테르층과의 공동 함유 복합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나 워드프로세서, 휴대전화 등의 정보처리장치의 고성능화 ·소형 경량화가 진행됨에 따라, 지금까지 다용되어 온 브라운관 ·LED 판넬에 대용할표시장치로서 액정 디스플레이의 보급이 진행되고 있다. 이들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소형화 휴대성 향상을 위해 각부의 구성부픔 하나 하나에 대해 경량화의 요구가 있어, 액정 디스플레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보다 소형 경량화를 실현하기 위한 검토가 계속되고 있다. 이 흐름 속에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액정 판넬의 백라이트에 반사판 ·확산판으로서 사용되어, 유리나 금속 등 다른 재료에 없는 경량이고 튼튼하며 또한 높은 가공적성을 갖는 재료로서 주목되고 있다.
액정 백라이트에 있어서의 반사판의 역할은,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도광판(導光板)을 통해 다른 쪽으로부터 이끌어진 빛을 앞쪽으로 반사함으로써 이 역할을 다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반사판에는 가시광선에 대한 높은 반사율이 요구되어짐과 동시에, 모든 파장에 있어서 균일한 반사광을 부여하는 것이 요구되어지고 있어, 여러 기술이 검토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불투명하게 하여, 가시광선에 대한 반사능을 부여하는 수단으로서는, 필름중에 백색안료를 첨가 ·분산시키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 방법에 관해서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인쇄 · 표시재료 등으로 사용하는 기술로서 이미 검토가 많이 이루지고 있어, 탄산칼슘이나 이산화티탄, 황산바륨이라는 다종 다양한 무기 ·유기계 백색안료의 첨가가 시도되고 있다. 현재, 이 기술에 의해 어느 정도의 반사율을 갖는 것이 이미 얻어지고 있어, 실제 액정 판넬의 제조에 사용되고 있지만, 현재 상태에서는 몇 가지 문제점이 미해결 문제로 남아 있다.
이 미해결 문제의 하나로서, 필름비중의 문제가 있다. 본래, 반사판에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사용하는 목적은 소형 경량화로서, 가능한 한 얇고 가벼운 필름에 있어서, 높은 반사능을 얻는 것을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백색안료는 많은 경우에 있어서 필름 자신의 수지 보다도 현저히 비중이 높은 물질로서, 반사능을 높이기 위해 이들을 다량으로 첨가하는 것은 필름 자신의 비중을 올리는 결과가 된다. 이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반사판에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 경량성을 상쇄한다는 것으로, 중요한 개선해야 할 과제이다. 또한, 또 하나의 미해결 문제로서 생산성 ·비용의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안료는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에 비해 고가로서, 이들 안료를 첨가함으로써 필름은 고가인 것으로 된다. 또한, 백색안료를 첨가한 필름의 생산에서는, 필름성형시의 파단이나 안료에 의한 공정오염 등을 낳는 경우가 많아, 일반적으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이것 또한 필름가격을 올리는 요인으로서, 안료의 첨가에 의한 방법의 또 하나의 과제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해, 백색안료 첨가에 상관 없이 필름에 반사능을 부여하는 수단으로서, 필름중에 미세한 공동을 함유시키는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미세 공동을 필름중에 함유시키는 대표적인 방법의 하나로서, 필름의 베이스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非相溶) 열가소성 수지를 첨가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방법에 관해서도,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인쇄 ·표시재료 등에 사용하기 위한 기술로서 이미 검토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어, 지금까지 폴리스티렌이나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등의 수지를 단독으로, 또는 조합시켜 사용하는 것이 제안(예를 들면, 특개소49-134755호 공보, 특공소 54-29550호 공보, 특개평8-143692호 공보 등)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특개평8-143692호 공보 등에서는, 필름기재가 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중에 폴리올레핀계 또는 폴리스티렌계 수지를 2종류 함유시킴으로써 공동을 미분산시켜, 열 주름이나 열 컬을 방지하는 방법이 보고되고 있어, 이것에 의해 종래에 비해 공동의 분산성이 크게 향상되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 나타내어진 방법으로 얻어지는 필름이더라도, 반사판재료로서 사용하기에는 공동의 미분산이 불충분하여, 가시광선에 대한 반사능의 향상에 필요한 공동적층수밀도는 달성되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이, 각종 반사판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아직 얻어지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경량이고 높은 강도를 가지며 또한 가공성도 우수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대해서, 공동의 분산상태를 개선함으로써 가시광선에 대한 반사능을 향상시켜, 각종 반사판의 재료로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2목적은, 경량이고 높은 강도를 가지며 또한 가공성도 우수한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대해서, 공동의 분산상태를 개선함으로써, 가시광선에 대한 높은 반사능을 가지고, 또한 필름의 양면에 있어서의 반사율의 차이를 극력 억제한, 각종 반사판의 재료로서 바람직한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합성 수지를 주원료로 하는 공동 함유 필름은, 그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독립공동(보이드)에 의해 필름 자체를 경량화할 수 있는 점이나, 필기성이나 선명한 인쇄 ·전사성이 얻어지는 것으로부터, 합성지(종이 대체물)로서의 활용이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대표되는 폴리에스테르를 주체로 하는 공동 함유 필름(폴리에스테르계 공동 함유 필름)은, 우수한 내열성과 강도특성을 함께 갖기 때문에, 감열전사기록을 비롯한 각종 기록재료용, 배송전표용, 라벨용 등으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공동 함유 필름의 제조방법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 열가소성 수지를 첨가하여 2축연신한 것(예를 들면, 특개소49-134755호 공보, 특공소54-29550호 공보, 특개평4-296819호 공보, 특개평8-143692호 공보 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복합구조를 갖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그 감열전사기록재료용 기재로서의 적용예(특공평6-96281호 공보, 특개평11-240972호 공보)도 개시되어 있다.
더욱이, 감열전사기록에 있어서의 감도특성, 예를 들면 승화전사기록에 있어서의 계조(階調)표현능력은, 기재에 사용되는 공동 함유 필름의 쿠션성이 향상되면 될 수록(바꿔 말하면, 공동 함유율이 커질 수록) 향상되는 것은 잘 알려져 있지만, 반면 필름의 핸들링성(내절주름성 등)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높은 공동 함유율을 유지하면서 필름의 핸들링성(내절주름성 등)을 개량하는 것은 매우 곤란한 과제로서,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그 유도체를 폴리에스테르중에 첨가함으로써, 공동형성제인 폴리올레핀을 미분산화시켜, 필름을 소프트화하는 방법(특허 제2952918호 공보), 공동형성제로서 폴리스티렌과 2종의 폴리올레핀을 특정 혼합비로 병용첨가하는 방법(특개평10-338763호 공보), 필름 전체의 공동 함유율(쿠션성)을 충분한 핸들링성을 확보할 수 있는 범위내로 억제하면서, 공압출법을 사용하여 고감도화를 꾀하는 방법(특개평11-240972호 공보) 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에 있어서도, 필름의 핸들링성과 고감도화를 고도로 만족시키는 것은 곤란하여, 한층 더, 핸들링특성과 감도특성이 우수한 필름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합성지로서의 우수한 특성(인쇄성, 백색도 재현성, 은폐성 등)을 가지고, 또한 핸들링성이 개량된 공동 함유 복합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더욱이, 핸들링성 및 감도특성이 고도로 우수한 감열전사기록 재료용 기재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4목적은, 밀폐 모터(hermetic motor)용 절연재료로서 바람직한 저올리고머성, 고온고압 냉매가스중에서의 장기사용중의 무름화방지성, 저유전성 및 양호한 핸들링성을 갖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5목적은, 특히 세라믹시트 다층 적층공정에 있어서, 관통홀 펀칭시의 끝말림(bur 또는 burr)의 발생을 억제하고, 또한 펀칭성이 양호한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이형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1은 재단된 필름으로, 파선은 접어 꺾는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도중 1은 절연필름으로, 길이의 단위는 ㎜이다.
도2는 도1의 필름을 파선으로 접어 꺾어, u자형으로 구부린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중 2는 절연필름을 접어 구부린 것이다.
도3은 도2의 필름을 삽입하는 모터슬롯의 일례이다. 또한 도중 4는 필름을 삽입할 패인 부분을 나타내고, 길이의 단위는 ㎜이다. 또한 도중 3은 모터슬롯이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관한 것이다.
(1) 미세 공동 함유층(A층)을 갖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으로서 A층의 공동적층수 밀도가 0.20개/㎛ 이상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2) (1)에 있어서, A층의 한쪽면 또는 양면에, 백색 안료입자를 층중 5~45중량%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층(B층)이 공압출에 의해 적층된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3) (1) 또는 (2)에 있어서, 필름전체의 겉보기비중(apparent specific gravity)이 1.25 이하, 또는 0.85 이상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4) (2)에 있어서, B층 표면의 다이나믹 경도가 5.0 gf/㎠ 이하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5) (2)에 있어서, B층 표면의 60도 경면 광택도가 20% 이상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6) (1)에 있어서, 미세 공동 함유층에 비상용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7) (6)에 있어서, 비상용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스티렌 수지, 또는 폴리스티렌 수지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혼합물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8) (7)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주성분 수지가 폴리메틸펜텐 수지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9) (7)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주성분 수지의 용융점도 ηo와 해당 폴리스티렌 수지의 용융점도 ηs가 관계식 (1)
ηos≤0.8 (1)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10) (2)에 있어서, 백색 안료미립자로서 산화티탄을 사용한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11) (10)에 있어서, 비상용 열가소성 수지 함유량이 이하의 관계식 (3) 및 (4)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0.01≤Ps/Pm≤1 ···(3)
2≤Pt≤15 ···(4)
단, 여기에서 Pm 및 Ps는 폴리메틸펜텐 수지 및 폴리스티렌 수지의 필름 전체에 대한 함유율(단위:중량%), Pt는 해당 비상용 열가소성 수지의 필름 전체에 대한 함유율(단위:중량%)
(12) (1)에 있어서, A층중에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지 않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13) (1)에 있어서, 파장 450 ㎚의 빛에 대한 분광반사율이 98%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14) (1)에 있어서, 필름의 한쪽면과 그 양면에 있어서의, 파장 450 ㎚의 빛에 대한 분광반사율차의 절대값이 6.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15) (1)에 있어서, 미세 공동 함유층에 있어서의 백색 안료입자의 함유율이 5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16) (1)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반사판의 구성부재로서 사용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17) (1)에 있어서, 자기회수원료를 20중량% 이상 함유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18) (1)에 있어서, 필름의 한쪽면 또는 양면에, 경화형 실리콘 수지로 주로 구성된 이형층이 설치된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19) (1)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되어,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중에 미립자상으로 분산된 비상용 열가소성 수지에 기인하는 공동을 필름내부에 다수 함유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으로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하기 (a)를 만족하고, 또한 상기 필름이 하기 (b) 및 (c)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a) 고리상 3량체의 함유량:필름 전체중량에 대해 0.5중량% 이하
(b) 겉보기비중:0.95~1.30 g/㎤
(c) 열처리(140℃×1000시간) 후의 파단신도 잔존율:필름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 모두 20% 이상
(20) (19)에 있어서, 전기절연용도로 사용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즉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주된 원료로 하여, 그 내부에 공동울 함유하는 필름으로서, 그 공동적층수 밀도가 0.20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다.
여기에서, 공동적층수 밀도란, 필름의 연신방향 단면의 두께방향의 공동수(적층수)를 필름의 두께(㎛)로 나눈 값(개/㎛)이다.
상기의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경량이고 높은 강도를 가지며 또한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으로서, 공동의 분산상태가 양호하고, 가시광선에 대한 반사능이 우수하여, 각종 반사판의 재료로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하기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 바람직하다.
1) 파장 450 ㎚의 전자파에 대한 분광반사율이 98% 이상인 필름.
2)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비상용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필름.
3) 2)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비상용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스티렌계 수지인 필름.
4) 2)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비상용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스티렌계 수지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필름.
5) 4)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메틸펜텐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
6) 4)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용융점도 η0와 폴리스티렌계 수지의용융점도 ηs가 이하의 관계식 (1)을 만족하는 필름.
0.1≤η0s≤0.8 ···(1)
7) 필름의 겉보기비중이 0.85~1.25인 필름.
8) 백색 안료입자의 함유량이 5% 이하인 필름.
또한,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다른 태양으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된 공동 함유층(A층)과, A층의 적어도 한쪽면에 공압출법에 의해 적층된, 백색 무기 미립자를 5~45중량%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층(B층)으로 된 복합필름으로서, 필름 전체의 겉보기비중이 0.85~1.35이고, 또한 A층이, 식:
필름 두께방향의 공동수(개)/필름 두께(㎛)
로 정의되는 공동적층수 밀도(개/㎛)가 0.20개/㎛ 이상인 공동 함유 복합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하기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 바람직하다.
9) 상기 A층중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올레핀 및/또는 폴리스티렌을 포함하고, 또한 A층중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그 유도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복합 필름.
10) 상기 A층중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메틸펜텐 및 폴리스티렌을 함유함과 동시에, 하기식 (3) 및 (4)를 만족하는 복합 필름.
0.01≤Ps/Po≤1.0 ···(3)
2≤Pt≤15 ···(4)
[식중, Po 및 Ps는 각각 폴리메틸펜텐 및 폴리스티렌 필름 전체중량에 대한 함유량(단위:중량%), Pt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 열가소성 수지 전체 필름의 전체 중량에 대한 함유량(단위:중량%)을 나타낸다.]
11) B층중에 함유되는 백색 무기 미립자가 산화티탄인 복합 필름.
12) 상기 공동 함유 복합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에,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 된 수지성분을 포함하는 피복층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피복층이 적어도 1축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는 복합 필름.
13) 상기 A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이, 자기회수원료를 20중량% 이상 함유하는 복합 필름.
14) 상기 필름의 B층 표면의 다이나믹 경도가 5.0 gf/㎛2이하이고, 또한 상기 표면의 광택도가 20% 이상인 복합 필름.
이 필름은 특히 감열전사기록 재료용 기재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식:
필름 두께방향의 공동수(개)/필름 두께(㎛)
으로 정의되는 공동적층수 밀도(개/㎛)가 0.20개/㎛ 이상일 필요가 있고, 0.25개/㎛ 이상이 바람직하며, 0.30개/㎛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공동적층수 밀도가 본 발명의 요건에 충족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의 목적인 가시광선에 대한 높은 반사능이 발현되지 않거나, 핸들링성을 개선할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한은 0.8개/㎛가 바람직하고, 0.55개/㎛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각종 반사판에 사용하기에는, 파장 450nm의 전자파(즉 청색 가시광)에 대한 반사율이 9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O2%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20%가 바람직하다. 반사율이 98%에 못미치는 경우, 본 발명의 목적인 가시광선에 대한 높은 반사능이 발현되지 않는 경우도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겉보기비중으로서 상한이 1.35, 하한이 0.70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디스플레이 반사판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겉보기비중이 0.7O∼1.25인 것이 바람직하고, 0.80∼1.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85∼1.1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겉보기비중이 0.70 미만에서는 필름의 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또한 제조중 연신공정에 있어서 파단이 다발하여 생산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겉보기비중이 1.25를 초과한 경우에는 공동 함유량이 충분하지 않아, 가시광선에 대한 반사능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감열전사기록 재료용 기재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필름 전체의 겉보기비중 0.85∼1.35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90∼1.33, 더욱 바람직하게는 0.95∼1.30,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1.25이다. 필름 전체의 겉보기비중이 1.3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으로서의 우수한 특성을얻을 수 없다. 반대로, 필름 전체의 겉보기비중이 0.85를 밑도는 경우에는,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특징인 유연성(flexibility)을 확보할 수 없어, 필름의 핸들링성(내절 주름성)이 불량으로 된다.
폴리에스테르로서,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과 같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와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과 같은 글리콜을 중축합시켜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폴리에스테르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글리콜을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시킨 후 중축합시키는 방법 외에,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알킬에스테르와 글리콜을 에스테르교환 반응시킨 후 중축합시키던가, 또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디글리콜에스테르를 중축합시키는 등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의 대표예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 폴리에스테르는 호모폴리머이더라도 좋고, 제3성분을 공중합한 것이더라도 좋다. 어떤 것으로 하더라도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단위, 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단위, 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단위 또는 에틸렌-2,6-나프탈레이트단위가 70mol% 이상, 바람직하게는 80mol%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mol% 이상인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단독으로 사용하더라도 좋고,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중에 이것과 비상용 열가소성 수지를 분산시켜 연신함으로써, 필름중에 공동을 함유시키고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필름의 2축연신공정에 있어서 매트릭스중합체인 폴리에스테르와의 계면에 공동 형성 가능한 수지이라면 조금도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폴리메틸펜텐이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등이 예시된다. 이들 수지는 호모폴리머이더라도 공중합성분을 갖는 중합체이더라도 좋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중에서도, 폴리스티렌계 수지 또는 상기 수지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하는 폴리스티렌계 수지는 반드시 호모폴리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성분을 공중합한 공중합중합체이더라도 좋다. 공중합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 공중합성분이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사용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메틸펜텐 등을 들 수 있지만, 고온하에서도 연화되기 어려워, 우수한 공동발현성을 나타내는 것으로부터 폴리메틸펜텐 수지가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주성분으로서 폴리메틸펜텐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단독으로 사용할 필요는 없고, 다른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부성분으로서 첨가하더라도 좋다. 부성분으로서 사용하는 수지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나 이들에 여러 성분을 공중합시킨 것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성분으로서 첨가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점도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첨가량은 주성분으로서 첨가하는 수지의 첨가량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여기서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폴리스티렌계 수지를 병용하는 경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용융점도 ηo(poise)와 폴리스티렌계 수지의 용융점도 ηs(poise)의 비(ηos)가 0.1 이상 0.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이상 0.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25 이상 0.5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의 용융점도의 비가 0.1 보다 작아지면 용융상태로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변형에 폴리스티렌계 수지의 변형이 따라갈 수 없게 되어, 수지의 상(相)구조가 불안정해진다. 또한 동 점도비가 0.8을 초과하면 폴리스티렌계 수지의 분포가 불균일해져, 마찬가지로 상구조가 불안정해진다. 어느 경우도 필름을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비상용 열가소성 수지(이하, 공동발현제라고도 한다)의 분산상태를 악화시켜, 본 발명에 규정하는 공동의 분산상태를 재현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필름의 은폐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기 또는 유기의 백색 안료입자를 필요에 따라 함유시키더라도 좋다. 사용 가능한 입자로서는, 실리카, 고령토, 탈크, 탄산칼슘, 제올라이트, 알루미나, 황산바륨, 카본블랙, 산화아연, 산화티탄, 황화아연, 유기 백색안료 등이 예시되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입자는, 미리 폴리에스테르 수지중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 열가소성 수지중에 함유시켜 놓음으로써, 필름내에 함유시킬 수 있다.
그 함유량은, 특히 디스플레이판 반사판의 경우는, 필름중 5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중량%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에 규정하는 양을 초과하여 백색 안료입자를 첨가한 경우에는, 공동에 의한 빛의 반사를 안료입자가 가로막아, 반사율이 현저히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원료비용의 상승이나 연신공정에 있어서의 파단의 발생 등을 초래하는 것으로부터도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미끄럼성의 개선이나 그 밖의 목적을 위해, 그 어떤 한쪽면 또는 양면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된 층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대한 접착성을 갖는 수지층을 공압출에 의해 적층하더라도 좋다. 적층하는 수지중에는, 상기한 공동발현제와 동종 또는 이종의 공동발현제를 함유하고 있더라도 상관 없다. 단, 공동을 함유하지 않는 층을 적층한 경우에, 필름 전체두께에 대한 이 층의 두께비율을 현저히 증가시키면, 당연히 반사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표면에 도포층을 갖고 있더라도 상관 없다. 도포층을 설치함으로써, 접착성이나 대전방지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포층을 구성하는 화합물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바람직하지만, 이 밖에도,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우레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등,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접착성 ·대전방지성을 향상시키는 화합물 등이 적용 가능하다.
도포층을 설치하는 방법으로서는, 그라비아코팅방식, 키스코팅방식, 딥방식,스프레이코팅방식, 커텐코팅방식, 에어나이프코팅방식, 블레이드코팅방식, 리버스롤코팅방식 등 통상 사용되고 있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도포하는 단계로서는, 필름 연신전에 도포하는 방법, 종연신후에 도포하는 방법, 배향처리가 종료된 필름 표면에 도포하는 방법 등 어느 방법도 가능하다.
또한,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표면에 금속박층을 갖고 있더라도 상관 없다. 금속박층을 설치함으로써, 반사율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금속박층을 설치하는 수단으로서는, 증착이나 스펏팅코팅 등 통상 사용되는 방법이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어느 한쪽면 또는 양면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된 층을 공압출에 의해 적층하는 경우, 상기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A층)의 적어도 한쪽면에 공압출 성형된, 백색 무기 미립자를 5∼45중량%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층(B층)을 갖는 공동 함유 복합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B층을 공압출하여 성형함으로써, 필름의 은폐성이나 백도, 감열전사기록시의 우수한 감도특성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백색 무기 입자로서, 아나타제형 또는 루틸형 산화티탄, 황산바륨, 탄산칼슘, 황화아연이 예시되지만, 아나타제형 또는 루틸형 산화티탄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들은 필름에 은폐성을 부여하는데 효과적으로, 그 결과, A층의 색조가 다소 변동되더라도 필름 표면의 안정된 색조가 얻어지고, 또 감열전사기록시의 감도특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백색 무기 미립자의 보다 바람직한 함유량은, 그 용도에 따라 다르다. 본 발명의 공동 함유 복합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감열전사기록 재료용 기재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B층에 대한 백색 무기 미립자의 함유량이 20∼4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3∼40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5∼37중량%이다. 백색 무기 입자의 B층에 대한 함유량이 20중량% 미만에서는, 감열전사기록시의 감도특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라벨, 전표, 상업인쇄 등의 일반용도로 본 발명의 공동 함유 복합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B층에 대한 백색 무기 미립자의 함유량이 5∼3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8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3∼25중량%이다. 백색 무기 입자의 B층에 대한 함유량이 30중량%를 초과하면, 필름의 표면강도가 크게 저하된다.
여기서, 상기 일반용도에 있어서, B층에 대한 백색 무기 미립자 함유량의 상한값이 감열전사기록용도 보다도 낮은 이유는 이하와 같다. 즉, 승화전사기록 등의 감열전사기록재료로는, 일반적으로 수상면표층에 이형성이 부여되어, 이형가공이 행해지지 않는 일반용도 보다도 표면의 박리(delamination)는 생기기 어렵다. 그 때문에, 승화전사기록 등의 감열전사기록 재료용도 보다도, 일반용도 쪽이 필름의 표면강도에 대한 요구레벨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B층에는 복수 종류의 무기 입자를 조합시켜 사용하더라도 좋고, 무기 입자 이외의 첨가제, 예를 들면 형광증백제나 대전방지제, 자외선흡수제, 산화방지제 등을 첨가하더라도 상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공동 함유 복합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승화전사기록 등의 감열전사기록 재료용 기재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상면으로 되는 B층 표면의 다이나믹 경도를 5.0 gf/㎛2이하로 하고, 또한 상기 표면의 광택도를 2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층 표면의 다이나믹 경도가 5.0 gf/㎛2를 초과하면, 감열전사기록감도(승화전사 계조표현성)가 불충분해지고, 또 상기 표면의 광택도가 20% 미만이면, 감열전사기록재료의 표면광택이 불충분해진다.
여기서, B층 표면의 다이나믹 경도와 B층 표면의 광택도를 본 발명의 범위내로 하기 위한 방법은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이지만, B층에 대한 백색 무기 미립자의 함유량을 상기와 같이 5∼45중량%로 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필름의 연신성형 프로세스에 있어서, 특수한 종연신법을 채용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달성수단에 대해서는, 연신성형법에 관한 설명중에서 상술한다.
또한, B층은 A층의 한쪽면에 적층하더라도 좋고, A층의 양면에 적층하더라도 좋지만, 상기 일반용도에 있어서는 A층의 양면에 B층을 거의 동일한 두께(A층의 표면에 적층된 B층의 두께와 이면에 적층된 B층의 두께의 차≤양 B층의 평균두께의 5O%)로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감열전사기록 재료용도에 있어서는, A층의 한쪽면에만 B층을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제조방법은 임의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상술한 조성으로 된 혼합물을 용융시켜 필름상으로 압출 성형하여 미연신필름으로 한 후, 이 미연신필름을 연신한다고 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조방법의 한 실시태양으로서, 원료를 용융하여 압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중에 이것과 비상용 열가소성 수지를 분산시키는 방법이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이것에 혼합시키는 수지는 펠릿형상으로 공급되더라도 좋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름상으로 용융 성형하기 위해 압출기에 투입하는 원료는, 원하는 조성에 따라 이들 수지를 펠릿 혼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일반적으로 비중이 크게 달라, 한번 혼합한 펠릿이 압출기에 공급되는 과정에서 재분리되지 않는 고안을 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사전에 원료수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조합시켜 혼련 펠릿타이즈하여, 마스터배치(masterbatch) 펠릿으로서 준비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의 비상용 수지의 혼합계 압출에 있어서는, 용융상태로 혼합하여 미분산시킨 후에도, 수지의 계면에너지를 감소시키려고 하는 작용으로부터 재응집하는 성질이 있다. 이것은 미연신필름을 압출 성형할 때에 공동발현제를 조분산화시켜, 구하는 물성 발현의 방해가 되는 현상이다. 이를 막기 위해서, 보다 혼련효과가 높은 2축압출기를 사용하여, 공동발현제를 미리 미분산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보조적인 수단으로서, 압출기로부터 토출되는 수지를 정적 혼합기에 통과시킴으로써 공동발현제를 미분산시킨 후, 피드블록 또는 다이에 공급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용하는 정적 혼합기로서는, 스타틱믹서(static mixer)나 오리피스(orific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단, 이들 방법을 취한 경우에는 멜트라인중에 열 열화된 수지를 체류시키는 경우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용융상태의 비상용 수지의 재응집은 저전단상태에서 시간과 함께 진행하는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에, 압출기에서 다이에 이르는 멜트라인중에 머무는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이 된다. 이 시간은 30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분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얻은 미연신필름을 연신 ·배향처리하는 조건은, 필름의 물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하에서는, 가장 즐겨 사용되는 축차(逐次) 2축연신방법, 특히 미연신필름을 길이방향에 이어 폭방향으로 연신하는 방법을 예로 들어, 연신 ·배향조건을 설명한다. 종연신공정에서는, 주속이 다른 2개 또는 여러 개의 롤 사이에서 연신한다. 이 때의 가열수단으로서는, 가열롤을 사용하는 방법이더라도 비접촉 가열방법을 사용하는 방법이더라도 좋고, 그들을 병용하더라도 좋다. 이어서 1축연신필름을 텐터에 도입하여, 폭방향으로 Tm-10℃ 이하의 온도에서 2.5∼5배로 연신한다. (단, Tm은 폴리에스테르의 융점.)
얻어진 2축연신필름에는, 필요에 따라, 열처리를 행한다. 열처리는 텐터속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Tm-60℃∼Tm의 범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중에 분산된 미세공동이 가시광선에 대한 높은 반사능을 발휘하여, 각종 반사판의 재료로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것이다.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태양으로서, 이하의 방법도 있다.
즉, (a) A층중에 함유되는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 열가소성 수지로서, 특정 수지를 특정한 혼합비율로 사용하고, 또한 (b) 중합체 멜트라인의 특정 부위에 특정 정적 혼합기를 설치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먼저, A층중에 함유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메틸펜텐 및 폴리스티렌을 함유하고, 하기식 (3) 및 (4)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Ps/Po≤1.0 ···(3)
2≤Pt≤15 ···(4)
[여기에서, Po 및 Ps는 각각 폴리메틸펜텐 및 폴리스티렌필름 전체에 대한 함유량(단위:중량%), Pt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 열가소성 수지 전체의 필름 전체중량에 대한 함유량(단위:중량%)을 나타낸다.]
상기 폴리스티렌으로서는, 혼성배열(atactic)폴리스티렌, 규칙배열(syndiotactic)폴리스티렌, 동일배열(isotactic)폴리스티렌, 또 이들 수지를 말레산이나 아크릴산 등에 의해 변성한 것도 포함된다. 이러한 폴리스티렌은 용융점도 ηs가 1,000∼10,000 poise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0∼7,000 poise이다.
또한, 상기 폴리메틸펜텐으로서는, 호모폴리머이더라도 좋고, 또는 폴리메틸펜텐을 주성분으로 하여, 그 특성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폴리올레핀을 부성분으로서 혼합 또는 공중합(그래프트공중합, 블록공중합)하더라도 좋다. 여기에서, 부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폴리올레핀으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나 이들에 여러 성분을 공중합시킨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부성분으로서의 폴리올레핀의 양은, 폴리메틸펜텐의 양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메틸펜텐은 용융점도 ηm이 3,500 poise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0 poise 이하이다.
상기(2)식은, A층중에 병용 첨가하는 폴리메틸펜텐과 폴리스티렌의 용융점도비(ηms)에 관하여, 바람직한 범위를 규제한 식이다. 또한, 보다 바람직한 ηms의 범위는 0.8 이하, 특히 바람직한 범위는 0.5 이하이다. 그리고, ηms를 1.O 이하로 함으로써, 멜트라인에 설치된 정적 혼합기와의 상승효과가 커져, 폴리에스테르 수지중에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의 분산성을 현저히 향상시켜, A층의 공동적층수 밀도를 O.2O개/㎛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반대로, ηms가 1.O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중에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의 분산이 불충분해져, 공동적층수 밀도를 본 발명의 범위내로 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ηms가 1.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멜트라인중의 정적 혼합기에서 발생하는 전단(shear)응력의 완충재로서 폴리스티렌이 작용하기 시작하여, 폴리메틸펜텐의 분산이 충분히 진행하지 않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상기(3)식은, 폴리스티렌과 폴리메틸펜텐 함유량의 중량비(Ps/Po)에 관하여, 바람직한 범위를 규제한 식이다. 또한, 보다 바람직한 Ps/Po의 범위는 0.05∼0.7이고, 특히 바람직한 범위는 0.1∼0.5이다. 그리고, Ps/Po가 O.01 미만, 즉 폴리스티렌이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는, 폴리메틸펜텐이 현저히 조립분산된다. 반대로 Ps/Po가 1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시킴으로써 발현되는 공동형성 능력이 현저히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A층중에는, 상기 폴리스티렌과 폴리메틸펜텐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도 병용하여 함유시킬 수 있다. 특히 소량의 폴리프로필렌을 병용하는 것은, 필름의 제조안정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유효하다. 이 경우, 상기 (2)∼(4)식의 범위내에서 폴리프로필렌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당연하지만, 폴리프로필렌의 함유량은 폴리메틸펜텐의 함유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4)식은, A층중에 함유되는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 열가소성 수지 전체(폴리스티렌과 폴리메틸펜텐 및 폴리프로필렌 등을 포함한다)의 필름 전체중량에 대한 총함유량(Pt)에 관하여, 바람직한 범위를 규제한 식이다. 또한, 보다 바람직한 Pt의 범위는 3∼15중량%, 특히 바람직한 범위는 5∼10중량%이다. 그리고, Pt가 2중량% 미만인 경우, 필름내부에 형성되는 공동의 양이 지나치게 적어, 필름 전체의 겉보기비중을 1.35 이하로 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반대로, Pt가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름 전체의 겉보기비중이 0.85 미만으로 되어, 핸들링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중합체 멜트라인에 설치되는 정적 혼합기로서는, 스타틱믹서나 오리피스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연신성형방법에 의해 얻어진다. 연신성형방법은 임의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먼저,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와의 혼합은, 예비적으로 펠릿 혼합하여 압출기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펠릿을 교반, 혼합하는 방법으로서는, 원료 공송(空送)계에서의 자연교반, 인라인믹서를 사용한 연속교반, 패치처리의 믹서를 사용하는 방법을 단독 또는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원료펠릿을 예비 혼합함으로써, 후속 압출기 스크류부에서의 무효공간(dead space)를 줄이는 것이 가능해져, 멜트라인중에서의 중합체의 열화가 억제된다. 반대로, 펠릿 혼합 없이 압출기에 원료를 공급한 경우에는, 원료조성의 불균질화에 의해, 용융중합체의 부분적인 체류를 낳는 결과, 필름 품질이 불균질화될 우려가 있다.
이어서, 펠릿 혼합한 원료를 압출기에 공급한다. 압출기는 단축압출기 또는 2축압출기 등이 사용 가능하지만, 공업생산에 있어서는 토출능력의 안정성으로부터 단축압출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단축압출기를 사용하는 경우, 그 스크류형상은 임의이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더블 플라이트(double flite)형 스크류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체의 토출능력면에서는 통상의 싱글플라이트 스크류가 우수하지만, 불균질 펠릿 혼합물의 압출에 있어서는, 무효공간을 배제하여, 필름 품질의 안정화를 꾀하기 위해, 더블플라이트 스크류의 채용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압출기에 의해 용융 ·혼합된 중합체는, 정량 공급장치 및 필터를 사이에 두고, 공압출 유닛(피드블록 또는 멀티 마니폴드 다이(multi manifold die))에 공급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름 전체의 겉보기비중과 A층의 공동적층수 밀도를 본 발명의 범위내로 하기 위해, 용융중합체를 상기 공압출 유닛에 공급하기 직전에 스타틱믹서 또는 오리피스 등의 정적 혼합기를 설치하여, 용융중합체를 재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공업생산 스케일로 본 방법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가능한 한 작은 압력손실로 우수한 분산효과를 얻는 것이 필요해진다. 일반적으로, 오리피스를 사용하여 용융중합체에 고전단을 가한 경우에는 우수한 분산효과가 얻어지고 있는 것은 알려져 있지만, 그 효과에 비례하여 압력손실도 커져 설비부하가 증대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적 혼합기로서 5∼2O 엘리먼트(보다 바람직하게는 8∼16 엘리먼트)의 교반날개을 갖는 스타틱믹서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설비부하의 증대를(고작 1 MPa∼5 MPa 정도의 압력손실로) 억제하면서, 상기 원료조성과의 우수한 상승효과를 발현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필름 전체의 겉보기비중과 A층의 공동적층수 밀도를 본 발명의 범위내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B층원료는 A층과는 별도의 압출기로부터 공급되어, 정량 공급장치, 필터를 사이에 두고 상기의 공압출 유닛(피드블록 또는 멀티 마니폴드 다이)에 공급되어, 공압출 유닛내에서 A층의 한쪽면 또는 양면에 접합된다.
이렇게 하여 접합된 용융중합체를, 단일 플랫 다이(flat die)로부터 압출하여 냉각 드럼상에 캐스팅하여, 미연신필름을 제조한다. 냉각 드럼으로의 캐스팅시에는, 정전밀착법이나 에어나이프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한 미연신필름을, 2축연신 및 열처리한다. 제1단의 종연신공정에서는, 주속이 다른 2개 또는 여러 개의 롤 사이에서 연신한다. 이 때의 가열수단으로서는, 가열롤을 사용하는 방법이더라도 비접촉 가열방법을 사용하는 방법이더라도 좋고, 그것들을 병용하더라도 좋다.
단, 폴리에스테르와 비상용성 수지와의 계면에 균일하게 공동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가열롤을 사용하여 미연신필름을 폴리에스테르의 2차 전이온도 이하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50∼70℃로 균일 가열한 후, 미연신필름의 한쪽면 또는 양면에서 적외선 가열히터를 사용하여 가열하고, 균일 연신에 필요 충분한 열량을 공급하여 순간적으로 연신을 개시 ·완료시키는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바람직한 종연신배율은, 2.8∼4.0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3.6배이다.
또한, B층 표면의 다이나믹 경도를 5.O gf/㎛2이하로 제어하여 감열전사기록 재료용 기재필름으로서 우수한 특성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종연신 적외선 가열히터의 출력을 필름의 표리에서 독립 제어하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B층이 A층의 한쪽면에 적층되는 경우에는 B층쪽을 보다 저온으로 가열하여 연신하면 좋고,또한 B층이 A층의 양면에 적층되는 경우에는, 감열전사기록면쪽을 보다 저온으로 가열하여 연신하면 좋다.
이어서, 세로 1축연신필름을 텐터에 도입하여, 필름을 가로방향으로 연신한다. 바람직한 연신온도는 100∼l60℃이지만, 상기 온도범위내에서 가열승온하면서 연신처리를 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한 횡연신배율은 3.2∼4.2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5∼4.0배의 범위이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2축연신필름에 대해, 텐터내에서 열처리를 행한다. 열처리온도의 설정은, 200∼24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210∼230℃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의 치수안정성을 향상(열수축률을 저하)시키기 위해, 필름의 제조공정중 또는 필름 제조후에 가열 이완처리를 필름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으로 행하더라도 상관 없다. 이완처리의 방법으로서는, (a) 텐터내에서 클립을 개방 또는 단부를 절단하여 이완처리하는 방법, (b) 텐터를 나온 후 필름을 권취하기까지의 사이에 필름을 재가열하여 이완시키는 방법, (c) 필름 권취후에 별도 공정에서 어닐링처리를 실시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완처리온도는 15O℃ 이상 또한 상기의 열처리온도 미만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190℃이다.
본 발명의 공동 함유 복합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열수축률(l50℃×30분)은, 2%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미만이다.
본 발명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500 ㎛가 바람직하고, 용도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40∼250 ㎛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공동 함유 복합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두께도 임의이지만, 20∼5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절연용, 반사판용, 감열전사용 및 이형용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이들 필름의 두께는 15∼500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기절연용 필름으로서는 50∼500 ㎛, 반사판용 필름은 50∼350 ㎛, 감열전사용 필름은 20∼300 ㎛ 및 이형용 필름은 15∼300 ㎛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전기절연용 필름으로서는 100∼300 ㎛, 반사판용 필름은 75∼250 ㎛, 감열전사용 필름은 25∼200 ㎛ 및 이형용 필름은 25∼200 ㎛이다.
공동 함유 복합 폴리에스테르계 필름도, 잉크나 코팅제 등의 도성(塗性)이나 접착성을 개량하기 위해, 그 적어도 한쪽면에 도포층을 설치하더라도 상관 없다. 도포층을 구성하는 화합물로서는, 상술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서 기술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도포층을 설치하는 방법도 상기한 바와 같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특성의 평가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1)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고유점도
페놀 60중량%와 1,1,2,2-테트라클로로에탄 40중량%의 혼합용매에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용해하여, 고형분을 유리필터로 여과한 후, 30℃에서 측정했다.
(2)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폴리스티렌 수지의 용융점도(ηos)
수지온도 285℃, 전단속도 100/초에 있어서의 용융점도를, 시마즈제작소제 플로테스터(CFT-500)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또한, 전단속도 100/초에서의 용융점도의 측정은, 전단속도를 100/초로 고정하여 행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적당한 하중을 사용하여, 100/초 미만의 임의의 전단속도 및 해당속도 보다도 큰 임의의 전단속도로 용융점도를 측정하여, 세로축에 용융점도, 가로축에 전단속도를 취해, 양대수(log-log)그래프에 나타냈다. 상기의 2점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내삽(內揷)에 의해 전단속도 100/초에서의 용융점도(η:poise)를 구했다.
(3) 필름 전체의 겉보기비중
JlS K-7112 기재의 부침법(sink-and-flot method)에 의한다.
(4) 공동적층수 밀도
주사형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필름 샘플의 다른 부위 5개소에 있어서, 필름의 종연신방향과 평행하고 또한 필름면에 수직인 절단면을 관찰했다. 상기 절단면을 300∼3,000배의 적절한 배율로 관찰하여, 필름 전체 두께중에 있어서의 공동의 분포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사진을 촬영했다. 사진 화상상 임의의 장소에서 필름 표면에 수직으로 직선을 그어, 이 직선에 교차하는 공동수 N(적층수)을 계수(計數)했다. 또한, 이 직선을 따라 필름의 전체 두께 T(㎛)를 측정하여, 공동의 적층수 N(개)를 필름의 전체 두께 T(㎛)로 나눠 공동적층수 밀도 N/T(개/㎛)를 구했다. 또한, 측정은 사진 1장당 5개소에서 행하여, 총계 25개소의 공동적층수 밀도를 평균내어, 샘플의 공동적층수 밀도(개/㎛)로 했다.
(5) 필름 표면의 다이나믹 경도
시마즈제작소제 다이나믹 초 미소경도계(DUH-201)를 사용하여, 115°의 삼각압자(conical indenter)에 0.2 gf의 하중을 주어, 하중과 압자의 밀어넣기 깊이로부터 다이나믹 경도를 다음식에 의해 구했다.
DH=37.838P/h2
DH=다이나믹 경도(gf/㎛2)
P=시험하중(gf)
h=밀어넣기 깊이(㎛)
(6) 표면 광택도
니폰덴쇼쿠공업사제 VGS-1001DP를 사용하여, JlS Z 8741(방법 3)에 따라 60도 경면광택을 측정했다.
(7) 열전사 감도특성(상대 화상농도)
하기 조성의 도공액을 건조후 중량이 4 g/m2가 되도록 필름의 한쪽면에 도공하고, 필름을 치수 고정하고 160℃에서 30초간 열처리하여 기록층을 형성하여, 열전사 수상시트를 작성한다.
수분산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 2.0중량부
수분산성 아크릴 ·스티렌공중합 수지: 5.0중량부
수분산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 0. 5중량부
물 : 67.4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 25.0중량부
계면활성제 : O.1중량부
이렇게 하여 얻은 열전사 수상시트를 A6 사이즈로 컷팅한 샘플에 대해서, 시판의 잉크리본(주식회사 캬라벨데이터시스템제, 승화전사 프린터용 프린트세트 P-PS100) 및 시판의 열전사 프린터(본전기주식회사제, 열전사형 라벨프린터 BLP-323)를 사용하여, 인자스피드 100 mm/초, 헤드전압 18V로 인자(印字)한다. 인자패턴에는, C(시아노겐), M(마젠타), Y(옐로우) 및 그들을 겹쳐 인자한 K(블랙)의 4색에 대해, 각색 9 mm×9 mm의 정방형 베타문자를 7개씩(계 28개) A6 시트내에 배치한 패턴을 사용한다.
인자후, 멕베스농도계(TR-927)를 사용하여, CMYK 각색의 반사농도를 계측하여, 4색(계 28개소)의 평균농도를 구한다.
마찬가지로, 시판의 수상지(주식회사 캬라벨데이터시스템제, 승화전사 프린터용 프린트세트 P-PS100:천연지의 양면에 발포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라미네이트하여, 기록층을 형성한 것)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평균농도를 구하여, 시판의 수상지 농도에 대한 샘플의 농도비율(%)로 열전사 감도특성을 평가한다.
(8) 핸들링성
필름 길이방향으로 길이 5cm, 직각방향으로 폭 1cm의 단편상으로 잘라내어, 직경 1.4 mm의 금속핀으로 훑는다. 이 때, 필름에 생긴 꺾임, 주름의 상태를 3단계로 평가했다. 평가기준은 이하와 같다.
O: 꺾임 ·주름은, 거의 발생하지 않음
△: 강하게 훑으면, 약간 꺾임 ·주름이 발생함
×: 쉽게 주름 ·꺽임이 발생함
(9) B층의 두께
필름의 절단면을 전자현미경으로 사진촬영하여, 스케일로부터 실측했다.
(1O) 은폐성
JlS K-7105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전체 광선투과율(단위:%)을 측정하여, 은폐성의 지표로 했다. 이 값이 작을 수록, 은폐성이 큰 것을 나타낸다.
(11) 색조
JIS Z8729-1994에 준하여, L값 및 b값으로 평가했다. L값이 높을 수록, 또한 b값이 낮을 수록, 백도가 높다고 판단한다.
(12) 인쇄성
UV 경화 잉크(주식회사 세이코어드밴스제, UVA 710 블랙)를 인쇄후, 조사에너지 50OmJ/cm2로 자외선 조사처리를 행하여 인쇄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샘플을 눈으로 직접 봐서 아래와 같이 판정했다.
O: 고품위로 인쇄할 수 있음
△: 품위는 떨어지지만, 실용상 문제 없음
×: 인쇄얼룩이 있고, 실용상 문제도 있음
(13) 대전방지성
23℃, 65% RH에서 24시간 시즈닝(seasoning)한 후, 그 분위기하에서 고저항율계(미쓰비시유화주식회사제, 하이레스터 IP)를 사용하여 인가전압 500V에서 필름 표면의 표면저항율(Ω/□)을 측정했다.
실시예 1
(공동형성제의 제조)
용융점도(ηm) 1,300 poise의 폴리메틸펜텐(PMP) 수지 60중량%, 용융점도 2,000 poise의 폴리프로필렌(PP) 수지 20중량% 및 용융점도(ηs) 3,900 poise의 폴리스티렌(PS) 수지 20중량%를 펠릿 혼합하여, 285℃로 온도 조절한 벤트식 2축압출기에 공급, 혼련하여 공동형성제(원료 a)를 제조했다.
(폴리에스테르의 제조)
실리카입자 함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를 다음 방법으로 얻었다. 에스테르화 반응관을 승온시켜, 200℃에 도달한 시점에서, 테레프탈산을 86.4중량부 및 에틸렌글리콜을 64.4중량부로 된 슬러리를 넣어, 교반하면서 촉매로서 3산화안티몬을 0.03중량부 및 초산마그네슘 4수화물을 0.088중량부, 트리에틸아민을 0.16중량부 첨가했다.
이어서, 가압승온을 행하여 게이지압 0.343 MPa, 240℃의 조건으로, 가압에스테르화 반응을 행했다. 그 후, 에스테르화 반응관내를 상압으로 되돌리고, 인산트리메틸 0.040중량부를 첨가했다. 더욱이 260℃로 승온하여, 인산트리메틸을 첨가하고 15분 후에, 평균입자경(시마즈제작소제, SA-CP3)이 1.O ㎛인 응집체 실리카입자의 에틸렌글리콜 슬러리(슬러리농도: 140 g/L)를, 생성 폴리에스테르에 대해, 50O ppm이 되도록 첨가했다. 15분 후, 얻어진 에스테르화 반응생성물을 중축합반응관으로 이송하여, 280℃의 감압하에서 중축합반응을 행했다. 중축합반응 종료후 95% 컷팅지름이 28 ㎛인 나스론제 필터로 여과처리를 행하여, 고유점도가 0.62 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원료 b)를 제조했다.
(산화티탄입자 함유 마스터배치의 제조)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원료 b)와 표면에 실록산처리를 행한 평균입경 0.2 ㎛인 아나타제형 이산화티탄입자(사카이화학공업주식회사제)를 중량비 50/50로 혼합하고, 벤트식 혼련기로 혼련하여, 이산화티탄입자 함유 마스터배치(원료 c)를 제조했다.
(필름의 제조)
가열 진공건조를 행한 상기 원료를 a/b/c=7/88/5(중량비)가 되도록 연속계량 ·연속교반하여 A층의 원료로 했다. 다음에, 이 원료를 더블플라이트의 단축압출기에 공급하여 용융 혼련하고, 기어펌프, 필터, 직경 50 mm의 단관내부에 장착된 12 엘리먼트의 스타틱믹서를 경유하여, 바로 피드블록(공압출 접합기)에 공급했다. 이 때, 정적 혼합기부에서 생긴 압손은 3.7 MPa였다.
한편, B층의 원료에는 상기 원료를 b/c=60/40(중량비)이 되도록 연속계량한 것을 사용하여, 벤트식 2축압출기에 공급하여 용융 혼련하고, 기어펌프, 필터를 경유하여 상기 피드블록에 공급했다.
피드블록에서는, 상기 A층의 양면에 상기 B층을 동일한 두께가 되도록 접합했다. 이 때, 연신전의 각층의 두께비율이 B/A/B=10/80/10이 되도록, A층쪽 및 B층쪽 압출기 및 기어펌프의 회전수를 제어했다.
이어서, 피드블록에 접합한 용융중합체를, 피드블록 바로 아래에 연결된 코트 행거 다이(coat hanger die)에 공급하여, 표면온도 30℃의 냉각 드럼상에 캐스트하여, 두께 0.71 mm의 미연신필름을 제조했다.
다음에, 상기의 방법으로 얻어진 미연신필름을, 가열롤을 사용하여 65℃로 가열한 후, 주속이 다른 롤 사이에서 3. 1배로 연신했다. 이 때, 저속롤과 고속롤의 중간부에, 필름을 끼워 마주보는 위치에 집광 IR 히터를 설치하여, 필름을 균일하게 연신하기 위해 필요 충분한 열량을 필름의 양면에서 균등하게 주었다.
다음에, 얻어진 1연신필름을 텐터에 도입하여, 120℃에서 150℃로 가열승온하면서 폭방향으로 3.9배의 연신을 행했다. 더욱이, 텐터내에서, 230℃에서 7초간의 열처리를 행하여, 두께 75 ㎛인 공동 함유 복합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조했다. 얻어진 필름의 특성값을 표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정적 혼합기를 해체했다.
이것 이외의 제조조건은 실시예 1에 따라, 두께 74 ㎛인 공동 함유 복합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조했다. 얻어진 필름의 특성값을 표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용융점도(ηo) 1,300 poise의 폴리메틸펜텐(PMP) 대신에, 용융점도(ηo) 4,300 poise의 폴리메틸펜텐(PMP)을 사용하여, 공동형성제(원료 d)를 제조했다. 또한, A층의 원료 혼합비율은, d/b/c=11/84/5(중량비)로 했다.
이것 이외의 제조조건은 실시예 1에 따라, 두께 75 ㎛인 공동 함유 복합 폴리에스테르계 필름(비교예 1)을 제조했다. 이 때, 정적 혼합기부에서 생긴 압손은 3.8 MPa였다. 얻어진 필름의 특성값을 표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정적 혼합기를 해체함과 동시에, 비교예 1과 동일한 원료조성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에 따라, 두께 74 ㎛인 공동 함유 복합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조했다. 얻어진 필름의 특성값을 표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종연신 종료후, 와이어 바(No.5)를 사용하여 하기 조성의 코팅액을 필름의 양면에 도포 ·건조하고, 바로 텐터에 도입하여 횡연신했다.
횡연신 이후의 제조조건은 실시예 1에 따라, 두께 78 ㎛인 피복층을 갖는 공동 함유 복합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조했다. 얻어진 필름의 특성값을 표2에 나타낸다.
또한, 사용한 코팅액의 조성(단위:중량%)은, 이하와 같다.
1. 수분산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2.5
2. 말단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친수성기로 블록한 수용성 우레탄 수지: 4.0
3. 제4급암모늄염계 대전방지제: O.5
4. 평균입경 0.45 ㎛인 실리카입자: 6.0
5. 평균입경 0.8 ㎛인 탄산칼슘입자: 2.0
7. 물: 60
8. 이소프로필렌알코올: 25
실시예 4
실시예 3에서 얻어진 필름을 재단하여 플러프상(fluffy shape)으로 한 후, 단축 벤트식 압출기(플러프엑스톨더)에 공급하고 압출하여, 재생펠릿(자기회수원료)(원료 e)을 제조했다. 다음에, A층의 원료조성을 a/b/e=4/46/5O(중량비)으로 한 것 이외의 제조조건은, 실시예 3에 따라, 자기회수원료를 함유하고, 또한 피복층을 갖는 두께 77 ㎛인 공동 함유 복합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조했다. 이 때, 정적 혼합기부에서 생긴 압손은 3.2 MPa였다. 얻어진 필름의 특성값을 표2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피드블록(2종 3층용)을 해체하고, 대신에 2종 2층용 피드블록을 설치했다. 또한, A층의 원료조성은 a/b/c=8/87/5(중량비)로 했다. 한편, B층의 원료조성은, b/c/[형광증백제(OB-1)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중에 5중량% 함유하는 마스터배치]=30/65/5(중량비)로 했다.
A층의 한쪽면에 B층을 적층하고, 연신전 각층의 두께비율이 A/B=93/7이 되도록, A층쪽 및 B층쪽의 압출기 및 기어펌프의 회전수를 제어했다. 이어서, 피드블록에 접합한 용융중합체를 피드블록 바로 아래에 연결한 코트 행거 다이에 공급하고, 표면온도 30℃의 냉각 드럼상에, A층면이 드럼면이 되도록 캐스트하여, 두께 0.47mm인 미연신필름을 제조했다. 이 때, 정적 혼합기부에서 생긴 압손은 3.9 MPa였다.
다음에, 얻어진 미연신필름을, 가열롤을 사용하여 72℃로 가열한 후, 주속이 다른 롤 사이에서 3.4배로 연신했다. 이 때, 저속롤과 고속롤의 중간부에 설치한 집광적외선 히터를 사용하여, 필름의 A층면쪽만을 가열하여, 균일 연신하기 위해 필요충분한 열량을 주었다.
얻어진 1축연신필름을 텐터에 도입하여, 120℃에서 150℃로 가열승온하면서 폭방향으로 3.9배의 연신을 행했다. 더욱이, 텐터내에서, 220℃에서 5초간 열처리를 행하여, 두께 50 ㎛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조했다. 얻어진 필름의 특성값을 표3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실시예 5에서 사용한 정적 혼합기를 해체했다. 또한, A층의 원료조성을 a/b/c=11/84/5(중량비)로 변경했다. 더욱이, 종연신시에, 미연신필름의 가열에는 집광 IR 히트를 사용하지 않고, 가열롤을 사용하여 83℃로 가열하여 3.2배로 연신했다.
이것 이외의 제조조건은 실시예 5에 따라, 두께 52 ㎛인 공동 함유 복합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조했다. 얻어진 필름의 특성값을 표3에 나타낸다.
표로부터, 아래와 같이 고찰할 수 있다.
실시예 1∼5의 공동 함유 복합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본 발명에서 규정되는 요건을 만족하고 있기 때문에, 합성지로서의 우수한 특성(인쇄성, 백색도 재현성, 은폐성 등)을 갖고, 또한 우수한 핸들링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해, 표1로부터, A층의 공동적층수 밀도가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하지않는 경우(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는, 필름의 핸들링성이 불충분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3으로부터, B층 표면의 다이나믹 경도와 광택도가 본 발명에서 규정되는 바람직한 요건을 만족하는 경우(실시예 5)에는, 감열전사기록 재료용 기재필름으로서, 우수한 감열전사 감도특성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중심층(A층)인 공동 함유층에 있어서의 공동의 분산상태가 우수하기 때문에, 공동 함유층(A층)의 공동적층수 밀도(필름 두께에 대한 필름 두께방향의 공동수)가 많다. 더욱이, 필름 전체의 겉보기비중을 특정화하고 있기 때문에, 합성지로서의 우수한 특성(인쇄성, 백색도 재현성, 은폐성 등)을 유지하면서, 필름의 핸들링성(내절 주름성)을 개량할 수가 있다. 또한, 표면층(B층)을 설치함으로써 필름 표면강도가 향상되고, 또한 B층중에 백색 무기 미립자를 특정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필름의 은폐성과 백색도(색조)가 우수하다. 더욱이, 표층의 B층 표면의 경도나 광택이 적정화되어 있기 때문에, 감열전사기록시의 감도특성도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동 복합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라벨, 전표, 상업인쇄 등의 일반용은 물론, 감열기록재료용 기재필름으로서 특히 바람직하다.
(14) 공동수
상기(4)에서 촬영한 전자현미경 사진에 대해서, 필름 단면에 관찰되는 공동수를 계수했다. 이것을 관찰부의 면적으로 나눠 규격화(단위면정당 수로 환산)한 후, 2500배하여 50 ㎛ 사방에 포함되는 공동수로 환산했다. 또한, 측정은 샘플의다른 부위 5개소의 사진을 사용하여, 사진 1장당 5개소에서 행하고, 총계 25개소의 평균값을 구하여 샘플의 공동수(개/2,500 ㎛2)로 했다.
(15) 분광반사율
분광광도계(히타치 Spectrophotometer U-3500)에 적분구(integrating sphere)를 장착하여, 파장 450 ㎚의 빛에 대한 분광반사율을 측정했다. 표준반사판으로서 알루미나백판(히타치계측기기서비스 210-0740)을 사용하여, 이 반사율을 100%로 하여 샘플의 분광반사율을 측정했다. 샘플 필름을 1장∼5장까지 겹쳐서 측정하여, 두께와 반사율의 관계를 구했다. 이것으로부터 두께 188 ㎛에 있어서의 반사율을 내삽에 의해 구하여 샘플의 반사율로 했다. 이 값이 높을 수록 가시광선에 대한 반사능이 높은 것으로 평가했다.
(16) 필름 두께와 겉보기비중
필름을 사방이 5.00cm인 정방형으로 4장 잘라내어 시료로 했다. 이것을 4장 겹쳐 그 두께를 10점에 있어서 마이크로미터를 사용하여 유효숫자 4자리로 측정하여, 겹침두께의 평균값을 구했다. 이 평균값을 4로 나눠 유효숫자 3자리로 반올림하여, 한장당 평균 필름 두께(t:㎛)로 했다. 또한 동 시료 4장의 중량(w:g)을 유효숫자 4자리에서 자동 상명천칭(druggist's scales)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다음식으로 겉보기비중을 구했다. 또한 겉보기비중은 유효숫자 3자리수로 반올림했다.
겉보기비중=(w×104)/(5.00×5.00×t×4)
실시예 6
(마스터펠릿의 조정)
용융점도(ηm)가 1300 poise인 폴리메틸펜텐 수지(미쓰비시화학사제 DX820) 60중량%, 용융점도(ηs)가 3900 poise인 폴리스티렌 수지(일본폴리스티사제 G797N) 20중량% 및 용융점도가 200O poise인 폴리프로필렌 수지(그랜드폴리머사제 Jl04WC) 20중량%를 펠릿 혼합한 것을 285℃로 온도 조절한 벤트식 2축압출기에 공급하여, 예비혼련했다. 이 용융수지를 연속적으로 벤트식 단축혼련기에 공급, 혼련하고 압출하여, 얻어진 스트랜드를 냉각, 절단하여 공동발현제 마스터펠릿(A)을 조정했다.
(필름원료의 조정)
140℃에서 8시간의 진공건조를 행한 고유점도 0.62 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이하, 건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91.O중량%와 90℃에서 4시간의 진공건조를 행한 상기 마스터펠릿(A) 9.0중량%를 펠릿 혼합하여 필름원료(I)로 했다.
(미연신필름의 제작)
상기의 필름원료(I)를 285℃로 온도 조절한 2축압출기에 공급하여 혼련했다. 25℃로 온도 조절한 냉각롤상에 T다이로부터 압출하여, 두께 480 ㎛인 미연신필름을 제작했다. 이 때 용융수지가 멜트라인에 체류하는 시간은 약 3분, T다이로부터 받는 전단의 속도는 약 1OOsec-1였다.
(2축연신필름의 제작)
얻어진 미연신필름을, 가열롤을 사용하여 65℃로 균일 가열하여, 주속이 다른 2쌍의 닙롤 사이에서 3.4배로 종연신했다. 이 때, 필름의 보조가열장치로서, 닙롤 중간부에 금반사막을 갖춘 적외선 가열히터(정격출력 20W/cm)를 필름의 양면을 마주보고 필름면으로부터 2cm의 위치에 설치하여 가열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1축연신필름을 텐터에 이끌어, 150℃로 가열하여 3.7배로 횡연신하고, 폭고정하여 220℃에서 5초간의 열처리를 행하고, 200℃에서 폭방향으로 4% 더 완화시킴으로써, 두께 약 47 ㎛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7
건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86.0중량%와 90℃에서 4시간의 진공건조를 행한 상기 마스터펠릿(A) 14.0중량%를 펠릿 혼합하여 필름원료(l)로 했다. 이 필름원료(I)를 285℃로 온도 조절한 2축압출기에 공급하여 혼련했다. 25℃로 온도 조절한 냉각롤상에 T다이로부터 압출하여, 두께 620 ㎛인 미연신필름을 제작했다.
이 밖의 조건은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약 74 ㎛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8
실시예 6에서 사용한 필름원료(I)를 285℃로 온도 조절한 단축압출기에, 건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단독으로 290℃로 온도 조절한 2축압출기에 각각 따로 공급했다. 단축압출기로부터 토출되는 용융수지는 오리피스를 사이에 두고, 2축압출기로부터 토출되는 수지는 정적 혼합기를 사이에 두고 피드블록으로 이끌어, 필름원료(l)로 된 층(B층)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된 층(A층)을 A층/B층/A층의 순으로 적층했다. 이것을 25℃로 온도 조절한 냉각롤상에 T다이로부터 공압출했다. 각 압출기의 토출량을 각층의 두께비가 1:8:1이 되도록 조정하여, 두께 580 ㎛인 미연신필름을 제작했다. 이 때 원료(I)의 용융수지가 멜트라인에 체류하는 시간은 약 12분, T다이로부터 받는 전단속도는 약 15Osec-1였다.
이 밖의 조건은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약 58 ㎛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4
용융점도(ηo)가 2000 poise인 폴리프로필렌 수지(그랜드폴리머사제 J104WC)를 285℃로 온도 조절한 벤트식 2축압출기에 공급하여, 예비혼련했다. 이 용융수지를 연속적으로 벤트식 단축압출기에 공급, 혼련하고 압출하여, 얻어진 스트랜드를 냉각, 절단하여 공동발현제 마스터펠릿(A)을 조정했다. 또한, 건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50중량%와 평균입경 0.3 ㎛인 아나타제형 이산화티탄입자 50중량%를 혼합한 것을 마스터펠릿(A)과 마찬가지로 예비혼련하고, 압출 ·절단하여 백색안료 마스터펠릿(B)을 조정했다. 다음에, 건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87중량%와 140℃에서 8시간의 진공건조를 행한 상기 마스터펠릿(B) 4중량%, 90℃에서 4시간의 진공건조를 행한 상기 마스터펠릿(A) 9중량%를 펠릿 혼합하여 필름원료(I)로 했다. 또한, 건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7O중량%와 마스터펠릿(B) 30중량%를 펠릿 혼합하여 필름원료(Ⅱ)로 했다. 이 필름원료(I)를 285℃로 온도 조절한 단축압출기에, 필름원료(Ⅱ)를 290℃로 온도 조절한 2축압출기에 각각 따로 공급했다. 용융한 각각 원료를 피드블록에 이끌어, 필름원료(I)로 된 층(B층)과 필름원료(Ⅱ)로 된 층(A층)을 A층/B층/A층의 순으로 적층했다. 이 밖의 조건은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600 ㎛인 미연신필름을 제작 연신하여, 두께 약 53 ㎛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5
비교예 4에 있어서, 사용하는 백색 안료입자를 평균입경 0.7 ㎛인 탄산칼슘입자로 변경하여 백색안료 함유 마스터펠릿(B)을 조정했다. 이 밖의 조건은 비교예 4와 동일하게 하여, 두께 650 ㎛인 미연신필름을 제작 연신하여, 두께 약 55 ㎛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얻었다.
상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아래와 같이 고찰할 수 있다. 실시예 1∼3에서는, 최적화한 공동발현제 수지의 효과와 2축압출기의 효과, 정적 혼합기의 효과에 의해, 필름의 공동적층수 밀도가 0.26∼0.37개/㎛로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요건을 충족시키는, 높은 반사능을 갖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 얻어졌다. 이에 대해, 비교예 4 및 5에서는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공동적층밀도의 요건을 충족시키지 않아, 가시광선에 대한 충분한 반사능을 갖는, 각종 반사판의 재료로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얻어지지 않았다.
본 발명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의하면, 경량이고 높은 강도를 가지며, 또한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으로서, 공동의 분산상태가 양호하고 가시광선에 대한 반사능이 우수하여, 각종 반사판으로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하다.
실시예 9
(마스터펠릿의 조정)
용융점도(ηo)가 1,300 poise인 폴리메틸펜텐 수지(미쓰비시화학사제, DX820) 60.0중량%, 용융점도(ηs)가 3,900 poise인 폴리스티렌 수지(일본폴리스티사제, G797N) 20.0중량% 및 용융점도가 2,000 poise인 폴리프로필렌 수지(그랜드폴리머사제, J104WC) 20.0중량%를 펠릿 혼합한 것을 285℃로 온도 조절한 벤트식 2축압출기에 공급하여, 예비혼련했다. 이 용융수지를 연속적으로 벤트식 단축혼련기에 공급, 혼련하고 압출하여, 얻어진 스트랜드를 냉각, 절단하여 공동발현제 마스터펠릿(M1)을 조정했다.
(폴리에스테르원료의 제조)
먼저, 2차 응집입자경이 1.5 ㎛인 응집체 실리카입자를 에틸렌글리콜중에 혼합하고, 상기 슬러리를 고압식 균질분산기에 의해 500 kg/cm2로 5파스 상당시간 순환처리하고, 95% 컷팅지름이 30 ㎛인 비스코스레이온(viscose rayon)제 필터로 여과처리를 더 행하여, 평균입자경이 1.O ㎛인 응집체 실리카입자의 에틸렌글리콜 슬러리를 얻었다. 슬러리농도는 140 g/L였다.
실리카입자 함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다음 방법으로 얻었다. 에스테르화 반응관을 승온하여, 200℃에 도달한 시점에서, 테레프탈산을 86.4중량부 및 에틸렌글리콜을 64.4중량부로 된 슬러리를 넣고, 교반하면서 촉매로서 3산화안티몬을 0.03중량부 및 초산마그네슘 4수화물을 O.O88중량부, 트리에틸아민을 0.16중량부 첨가했다. 이어서, 가압승온을 행하여 게이지압 0.343 MPa, 240℃의 조건에서, 가압에스테르화 반응을 행했다. 그 후, 에스테르화 반응관내를 상압으로되돌리고, 인산트리메틸 0.040중량부를 첨가했다. 더욱이, 260℃로 승온하여, 인산 트리메틸을 첨가하고 15분 후에, 상기 실리카입자의 에틸렌글리콜 슬러리를, 생성 폴리에스테르에 대해, 500 ppm이 되도록 첨가했다. 15분 후, 얻어진 에스테르화 반응생성물을 중축합반응관에 이송하여, 280℃의 감압하에서 중축합반응을 행했다. 중축합반응 종료후, 95% 컷팅지름이 28 ㎛인 나슬론제 필터로 여과처리를 행하여, 고유점도가 0.62 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제조했다.
(필름원료의 조정)
140℃에서 8시간의 진공건조를 행한 고유점도 0.62 dl/g의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91.0중량%와 90℃에서 4시간의 진공건조를 행한 상기 마스터펠릿(M1) 9.0중량%를 펠릿 혼합하여, 필름원료(C1)로 했다.
(미연신필름의 제작)
상기의 필름원료(C1)를 285℃로 온도 조절한 2축압출기에 공급하여 용융 혼련했다. 이 용융수지를, 25℃로 온도 조절한 냉각롤상에 T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 정전인가법으로 밀착고화시켜, 두께 48O ㎛인 미연신필름을 제작했다. 이 때 용융수지가 멜트라인에 체류하는 시간은 약 3분, T다이로부터 받는 전단속도는 약 100/초였다.
(2축연신필름의 제작)
얻어진 미연신필름을, 가열롤을 사용하여 65℃로 균일 가열하여, 주속이 다른 2쌍의 닙롤(저속롤: 2m/분, 고속롤: 6.8m/분)사이에서 3.4배로 종연신했다. 이 때, 필름의 보조가열장치로서, 닙롤 중간부에 금반사막을 갖춘 적외선 가열히터(정격출력: 20W/cm)를 필름의 양면을 마주보게 필름면으로부터 1cm의 위치에 설치하여 가열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1축연신필름을 텐터에 이끌어, 150℃로 가열하고 3.7배로 횡연신하여, 폭고정하고 220℃에서 5초간의 열처리를 행하고, 200℃에서 폭방향으로 4% 더 완화시킴으로써, 두께 약 47 ㎛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0
140℃에서 8시간의 진공건조를 행한 고유점도 0.62 dl/g의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86.0중량%와 90℃에서 4시간의 진공건조를 행한 상기 마스터펠릿(M1) 14.0중량%를 펠릿 혼합하여 필름원료(C2)로 했다. 이 필름원료(C2)를 285℃로 온도 조절한 2축압출기에 공급하여 용융 혼련했다. 이 용융수지를, 25℃로 온도 조절한 냉각롤상에 T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 정전인가법으로 밀착고화시켜, 두께 620 ㎛인 미연신필름을 제작했다. 그 이외의 조건은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두께 약 74 ㎛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1
미연신필름의 두께를 1150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약 151 ㎛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2
상기 필름원료(C1;원료I)를 285℃로 온도 조절한 단축압출기에, 필름원료(C1)로 사용한 것과 동일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원료II)를 단독으로 290℃로 온도 조절한 2축압출기에 각각 따로 공급했다. 단축압출기로부터토출되는 용융수지는 오리피스를 사이에 두고, 2축압출기로부터 토출되는 수지는 정적 혼합기를 사이에 두고 피드블록으로 이끌어, 필름원료(C1)로 된 층(B층)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된 층(A층)을 A층/B층/A층의 순으로 적층했다. 각 압출기의 토출량을 각층의 두께비가 1:8:1이 되도록 조정하여, 25℃로 온도 조절한 냉각롤상에 T다이로부터 공압출하고, 정전인가법으로 밀착고화시켜, 두께 580 ㎛인 미연신필름을 제작했다. 이 때, 필름원료(C1)의 용융수지가 멜트라인에 체류하는 시간은 약 12분, T다이로부터 받는 전단속도는 약 150/초였다. 그 이외의 조건은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두께 약 58 ㎛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3
실시예 9에 있어서, 마스터펠릿에 사용하는 폴리메틸펜텐 수지를 용융점도(ηo) 4,300 poise인 것(미쓰비시화학사제, DX845)으로 변경했다. 그 이외의 조건은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두께 620 ㎛인 미연신필름을 제작 연신하여, 두께 약 53 ㎛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6
실시예 12에 있어서, 압출기로부터 토출되는 수지를 정적 혼합기를 사이에 두고 않고, 직접 피드블록에 이끌어 적층했다. 그 이외의 조건은 실시예 12와 동일하게 하여, 두께 약 650 ㎛인 미연신필름을 제작여 연신하여, 두께 약 67 ㎛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7
비교예 6에 있어서, 마스터펠릿에 사용하는 폴리메틸펜텐 수지를 용융점도(ηo) 4,300 poise인 것(미쓰비시화학사제, DX845)으로 변경했다. 그 이외의 조건은 비교예 9와 동일하게 하여, 두께 약 58O ㎛인 미연신필름을 제작 연신하여, 두께 약 56 ㎛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9∼13에서는, 최적화한 공동발현제의 용융점도의 효과와 2축압출기 및 정적 혼합기의 효과에 의해, 공동의 미분산화를 달성하여, 파장 450nm의 전자파에 대한 필름의 평균 분광반사율이 98.0% 이상이고, 또한 필름의 한쪽면 및 그 반대쪽면에서의 분광반사율차의 절대값이 6.0% 미만이라는, 본 발명의 요건을 충족하는 필름을 얻었다. 이것에 의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된 필름에 있어서, 높은 반사능을 갖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 얻어졌다. 이에 대해, 비교예 6 및 7의 필름에서는, 본 발명의 요건인 분광반사율이 얻어지지 않아, 가시광선에 대해 충분한 반사능을 갖는, 각종 반사판의 재료로서 바람직한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얻어지지 않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필름중에 있어서의 공동의 분산상태가 우수하기 때문에, 파장 450nm의 전자파에 대한 분광반사율이 98.0% 이상으로 높고, 또한 필름의 한쪽면 및 그 반대쪽면에서의 분광반사율차의 절대값이 6.O% 미만으로 작다. 그 결과, 가시광선에 대한 반사능을 향상시킨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경량이고 높은 강도를 가지며 또한 가공성 및 생산성이 우수하여, 각종 반사판의 재료로서 바람직하다.
(17) 필름의 두께 t
Sony Precision Technology Inc,제 Digital Micrometer M-30을 사용하여, 랜덤하게 20점 필름의 두께를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필름의 두께 t(mm)로 했다.
(18) 필름의 핸들링성(저압 유도전동기 슬롯 절연부분으로의 실장성(實裝性))
각 샘플을 도1에 나타내는 크기로 100장 잘라내어, 이를 각각 도2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꺾어 구부리고, 도3에 나타내는 모터슬롯 모델로 삽입하여, 실장성을 평가했다. 판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O: 100매중에서 찌그러져, 꺾여 구부러짐에 의한 삽입불량 없음
△: 100매중에서 찌그러져, 꺾여 구부러짐에 의한 삽입불량이 1회 이상 5회 미만
×: 100매중에서 찌그러져, 꺾여 구부러짐에 의한 삽입불량이 5회 이상
(19) 폴리에스테르 수지중의 고리상 3량체(이하 CT로 약칭한다)의 함유량
시료 300 mg을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클로로포름혼합액(용량비:2/3) 3 ㎖에 용해하고, 클로로프롬 30 ㎖를 더 가하여 희석한다. 이것에 메탄올 15 ㎖를 가하여 중합체를 침전시킨 후, 여과한다. 여과액을 증발건고하고, 디메틸포름아미드 1O ㎖에서 정용(定容)으로 하여,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프법에 의해 CT를 정량했다.
(20) 열처리(140℃×1000시간) 후의 신도(伸度)잔존율
사용냉매로서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 혼합냉매(아사히가라스사제, R410A)를 20 g, 사용 오일로서 폴리올에테르계 합성 오일 50 g을 사용하여, 140℃, 40기압의 120cc 오토클레이브중에 측정시료를 넣어 1000시간 처리했다.
또한, 냉매 및 오일의 투입에 앞서, 측정시료를 오토클레이브내에서 140℃, 26.7 Pa(0.2 Torr)의 진공하에서 3시간의 탈수처리를 행했다. 또한, 사용 오일에 대해서도 미리 탈수처리를 행해, 수분율을 5O ppm 미만으로 제어한 것을 사용했다.
다음에, 상기 시험전후에서의 필름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파단신도를 측정하여, 시험전의 필름 파단신도에 대한 시험후의 필름 파단신도의 비율(유지율)을 구하여 신도잔존율로 했다. 신도잔존율은 %로 나타내고, %단위의 소수 첫째자리는 반올림했다. 또한, 파단신도의 측정은, JIS-C2318에 규정된 방법에 준거하여 행했다.
(21) 유전율
JIS-C2151-1990 「전기용 플라스틱필름 시험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22) 열수축률
JIS-C2318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 샘플을 준비했다. 이어서, 열처리온도와 시간을 변경(160℃±0.5℃, 120분간)하여, 필름 길이방향의 치수변화율(열수축률)을 하기식에 의해 측정했다.
열수축률(%)=[(A-B)/A]×100
또한, A는 열처리전의 필름 길이방향의 치수(mm), B는 열처리후의 필름 길이방향의 치수(mm)를 나타낸다.
실시예 14
(공동형성제의 조정)
용융점도(ηo) 1300 poise인 폴리메틸펜텐 수지 60중량%, 용융점도 2000 poise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20중량% 및 용융점도(ηs) 3900 poise인 폴리스티렌 수지 20중량%를 펠렛 혼합하여, 285℃로 온도 조절한 벤트식 2축압출기에 공급, 혼련하여 공동형성제(A)를 조정했다.
(폴리에스테르원료의 제조)
먼저, 2차 응집입자경이 1.5 ㎛인 응집체 실리카입자를 에틸렌글리콜중에 혼합하여, 상기 슬러리를 고압식 균질분산기에 의해 49.0 MPa에서 5 pass 상당시간순환처리하고, 95% 컷팅지름이 30 ㎛인 비스코스레이온제 필터로 여과처리를 더 행하여, 평균입자경이 1.O ㎛인 응집체 실리카입자의 에틸렌글리콜 슬러리를 얻었다. 슬러리농도는 140 g/L였다.
실리카입자 함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A)를 다음 방법으로 얻었다. 에스테르화 반응관을 승온하여, 200℃에 도달한 시점에서, 테레프탈산을 86.4중량부 및 에틸렌글리콜을 64.4중량부로 된 슬러리를 넣어, 교반하면서 촉매로서 3산화안티몬을 0.03중량부 및 초산마그네슘 4수화물을 0.088중량부, 트리에틸아민을 0.16중량부 첨가했다. 이어서, 가압승온을 행하여 게이지압 0.34 MPa, 240℃의 조건으로, 가압에스테르화 반응을 행했다. 그 후, 에스테르화 반응관내를 상압으로 되돌리고, 인산트리메틸 O.040중량부를 첨가했다. 더욱이, 260℃로 승온하여, 인산트리메틸을 첨가하고 15분 후에, 상기 실리카입자의 에틸렌글리콜 슬러리를, 생성 폴리에스테르에 대해, 500 ppm이 되도록 첨가했다. 15분후, 얻어진 에스테르화 반응생성물을 중축합반응관에 이송하여, 280℃의 감압하에서 중축합반응을 행했다. 중축합반응 종료후 95% 컷팅지름이 28 ㎛인 나슬론제 필터로 여과처리를 행하여, 극한점도가 0.63 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펠릿을 제조했다. 얻어진 PET중의 CT 함유량은 0.90중량%였다.
다음에, 얻어진 PET 수지 펠릿을 밀봉용기내에 봉입하여 질소파지하고, 220℃로 가열, 교반하면서 48시간의 열처리를 행하여, 원료 PET 수지 펠릿(B)을 얻었다. 얻어진 PET 수지 펠릿(B)의 극한점도는 0.64 dl/g, PET중의 CT 함유량은 0.26중량%였다.
(필름의 제조)
상기의 공동형성제(A)와 PET 수지 펠릿(B)을 따로따로 가열, 진공건조하여, 개개의 호퍼에 공급했다. 이어서, 호퍼 하부에 설치한 스크류 피더를 사용하여, A/B=7/93의 중량비가 되도록 연속계량하고, 인라인믹서를 사용하여 연속교반한 후, 더블플라이트 스크류를 갖춘 단축압출기에 공급했다. 이하, 상기 혼합원료(A/B=7/93;중량비)를 코어층원료로 약칭한다.
다음에, 압출기에 의해 용융, 혼합된 상기의 코어층원료를 기어펌프, 필터, 직경 50 mm의 단관내부에 장착된 10 엘리먼트의 인라인 정적 혼합기를 경유하여 피드블록(공압출 접합기)에 공급했다.
한편, 상기 PET 수지 펠릿(B)을 단독으로 스킨층원료로서 사용하여, 진공건조를 행하고, 상기 코어층과는 별도의 단축압출기에 공급하고, 용융 압출, 기어펌프, 필터의 공정을 경유하여, 상기 피드블록에 공급했다.
피드블록에서는, 상기 코어층의 양면에 상기 스킨층을 균등하게 접합했다. 이 때, 스킨층/코어층/스킨층의 두께비율이 10/80/10이 되도록, 코어층쪽 및 스킨층쪽의 압출기 및 기어펌프의 회전수를 제어했다.
이어서, 피드블록에 접합한 용융중합체를, 피드블록 바로 아래에 설치한 코트 행거 다이에 공급하여, 표면온도 30℃의 냉각 드럼상에 캐스트했다. 동시에, 냉각 드럼면의 반대쪽면으로부터도 에어나이프법을 사용하여 강제 냉각하여, 두께 2.3 mm인 미연신필름을 제조했다.
이 때, 냉각 드럼의 주속은 6.45 m/분, 상기 코어층쪽 필터의 여과압력 손실은 9.2 MPa, 인라인 정적 혼합기를 통과시키는데 필요한 압력 손실은 2.9 MPa이며, 압출기 스크류에서 다이까지의 멜트라인 용적을 중합체 유속으로 제산하여 구한 평균 용융체류시간은 7.5분이었다. 한편, 상기 스킨층쪽 필터의 여과압력 손실은 8.8 MPa, 평균 용융체류시간은 10분이었다.
다음에, 상기의 방법으로 얻어진 미연신필름을, 여러 개의 가열롤을 사용하여 65℃로 가열한 후, 주속이 다른 롤 사이에서 3.1배로 연신하여, 바로 냉각했다. 이 때, 저속롤(최종 가열롤)과 고속롤(제1 냉각롤)의 중간부에, 금반사막을 갖춘 적외선 가열히터를, 필름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하여 필름의 양면에서 가열하여, 균일 연신에 필요충분한 열량을 공급하여 순간적으로 연신을 개시, 완료시켜, 1축연신필름을 제조했다.
다음에, 얻어진 1축연신필름을 텐터에 도입하여, 120℃에서 150℃로 승온가열하면서 폭방향으로 3.8배의 연신을 행했다. 더욱이, 텐터내에서, 205℃에서 30초간의 열처리를 행해, 냉각, 양단부(클립 파지부(把持部))를 절제했다.
다음에, 클립 파지부를 절제한 필름을 열풍(180℃)으로 재가열하고, 필름 길이방향으로 1.5%의 완화처리를 행하여, 냉각후, 롤상으로 권취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특성값을 표8에 나타낸다.
실시예 15
실시예 14와 동일 원료, 동일 토출조건으로, 용융중합체를 냉각 드럼상에 캐스트했다. 단, 냉각 드럼의 주속을 4.61m/분으로 하여, 두께가 3.2 mm인 미연신필름을 작성했다. 다음에, 필름의 종연신 및 횡연신은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했다. 계속해서, 텐터내에서, 200℃에서 40초간의 열처리를 행한 후, 냉각하고, 양단부(클립 파지부)를 절제하여, 필름 길이방향의 완화처리를 행하지 않고, 롤상으로 권취했다.
다음에, 얻어진 필름 롤을 폭 1.3m로 슬릿하여 되감은 후, 플로팅 드라이어를 사용하여 완화처리를 행했다. 완화조건은, 열풍온도 190℃, 필름 주행속도를 10m/분으로 하여,완화량이 2.0%가 되도록 주행 텐션을 제어했다. 얻어진 필름의 특성값을 표8에 나타냈다.
비교예 8
(폴리에스테르원료의 제조)
실시예 14와 마찬가지로, 응집체 실리카입자를 0.05중량% 함유하는 PET 수지 펠릿(극한점도 0.63 dl/g, CT 함유량 0.9중량%)을 출발원료로서 사용했다. 단, 탈 올리고머(탈 CT) 처리시에, 실시예 14에서 사용한 질소파지법 대신에, 하기 기재의 고상(固相)중합법을 사용했다.
즉, 상기 출발원료를 진공용기내에서 220℃로 가열, 교반하면서 48시간의 열처리를 행하여, 원료 PET 수지 펠릿(C)을 얻었다. 얻어진 PET 수지 펠릿(C)의 극한점도는 0.76 dl/g, PET중의 CT 함유량은 0.25중량%였다.
(필름의 제조)
실시예 14에서 사용한 PET 수지 펠릿(B) 대신에, 상기 고상중합을 행한 PET 수지 펠릿(C)을 사용했다.
또한, 실시예 14와 동일한 제조조건에서는, 압출기의 부하전류가 현저히 커지고, 또한 필터 여과압력도 현저히 상승되기 때문에, 필름의 제조가 불가능했다. 그 때문에, 코어층원료 및 스킨층원료의 토출량(압출기 및 기어펌프 회전수)을 적절히 조절하여 두께 2.3 mm인 미연신필름을 제조했다.
이 때, 냉각 드럼의 주속은 3.13m/분, 상기 코어층쪽 필터의 여과 압력손실은 9.5 MPa, 인라인 정적 혼합기를 통과시키는데 필요한 압력손실은 3.0 MPa이며, 압출기 스크류에서 다이까지의 멜트라인 용적을 중합체 유속으로 제산하여 구한 평균 용융체류시간은 15.5분이었다.
다음에, 상기의 방법으로 얻어진 미연신필름을,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여러 개의 가열롤을 사용해 85℃로 가열하고, 2.9배로 종연신했다.
얻어진 1축연신필름을 계속해서 텐터에 도입하고, 120℃로 가열승온하여 폭방향으로 3.7배의 연신을 행했다. 이어서, 텐터내에서, 230℃에서 60초간의 열처리를 행하여, 2축연신필름을 얻었다. 또한, 본 비교예 11에서는, 완화처리는 행하지 않았다. 얻어진 필름의 특성값을 표8에 나타낸다.
표8로부터, 실시예 14 및 15의 필름은 본 발명에서 규정되는 요건을 만족하고 있어, 밀폐 모터용 절연재료로서 바람직한 저올리고머성, 고온고압 냉매가스중에서의 장기 사용중의 무름화 방지성, 저유전성, 양호한 핸들링성을 갖는 필름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원료 PET 수지에 고상중합을 행하여, PET를 고분자량화 및 저올리고머화 하고, 또한 종래 공지의 연신, 열처리조건으로 제조한 필름(비교예 11)에서는, 중합체의 멜트라인중에서의 체류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공동적층수 밀도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해, 필름의 핸들링성이 현저히 불량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올리고머성분이 멜트라인속에서 재석출되기 때문에 실시예 14 및 15와 비교하여 저올리고머성이 부족해지는 것, 더욱이 140℃에서 1000시간 처리후의 신도잔존율도 부족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올리고머의 재석출이 적고, 고온에서 장시간(140℃×1000시간) 처리해도 신도의 저하가 작으며, 또한 균일한 공동 함유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저유전성 및 핸들링성(꺾어 굽어짐, 찌부러짐 등)이 우수하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 때문에, 냉장고 또는 공기조절기 등에 짜넣어지는, 대체 프레온가스를 냉매로 하여, 유극성 오일을 사용하는 고온도하에서의 사용에 적합한 내열성 냉매압축기용 전동기 절연필름, 특히 밀폐 모터용 절연재료로서 바람직하다. 또한, 플렉시블(flexible) 인쇄회로, 플랫 케이블(flat cable), 절연테이프, 점착테이프, 라벨 등의 기재로서도 유용하다.
(23) 상태(常態)박리력 평가
필름의 이형층면에 폴리에스테르 점착테이프(닛토 31B)를 붙이고, 폭 5 kgf/50 mm인 압착롤러로 압착하여, 실온에서 20시간 방치후, 이형층과 점착테이프와의 박리력을 인장시험기(박리각도: 90도)로 측정하여, 하기 3개의 기준으로 판정했다. 박리력의 바람직한 범위는, 8 gf/50 mm 폭 이상, 17 gf/50 mm 폭 미만으로, 박리력이 지나치게 강해도, 지나치게 약해도 바람직하지 않다.
A 8 gf/50 mm 폭 이상, 17 gf/50 mm 폭 미만
B 17 gf/50 mm 폭 이상
C 8 gf/50 mm 폭 미만
(24) 끝말림의 높이
페이퍼 컷터(UCHIDA사제, 세이프티 NS형 1호)를 사용하여, 시료필름을 재단하고, 재단부의 수염부(재단 진행방향으로 늘어난 끝말림)의 길이를 광학현미경(니콘사제, OPTIPHOT HFX-II)으로 200배로 측정하여, 하기 평가로 판정했다.
A 10 ㎛ 이하
B 10 ㎛ 보다 길고, 15 ㎛ 이하(실용상 사용 가능)
C 15 ㎛ 보다 길다(실용상 문제 있음)
실시예 16
(마스터펠릿의 조정)
용융점도(ηo)가 1,300 poise인 폴리메틸펜텐 수지(미쓰비시화학사제, DX820) 60중량%, 용융점도(ηs)가 3,900 poise인 폴리스티렌 수지(일본폴리스티사제, G797N) 20중량% 및 용융점도가 2,000 poise인 폴리프로필렌 수지(그랜드폴리머사제, J104WC) 20중량%를 펠릿 혼합한 것을 285℃로 온도 조절한 벤트식 2축압출기에 공급하여, 예비혼련했다. 이 용융수지를 연속적으로 벤트식 단축혼련기에 공급, 혼련하고 압출, 얻어진 스트랜드를 냉각, 절단하여 공동발현제 마스터펠릿(M1)을 조정했다.
(폴리에스테르원료의 제조)
먼저, 2차 응집입자경이 1.5 ㎛인 응집체 실리카입자를 에틸렌글리콜중에 혼합하여, 상기 슬러리를 고압식 균질분산기에 의해 49.0 MPa에서 5 pass 상당시간순환처리하고, 95% 컷팅지름이 30 ㎛인 비스코스레이온제 필터로 여과처리를 더 행하여, 평균입자경이 1.O ㎛인 응집체 실리카입자의 에틸렌글리콜 슬러리를 얻었다. 슬러리농도는 140 g/L였다.
실리카입자 함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다음 방법으로 얻었다. 에스테르화 반응관을 승온하여, 200℃에 도달한 시점에서, 테레프탈산을 86.4중량부 및 에틸렌글리콜을 64.4중량부로 된 슬러리를 넣어, 교반하면서 촉매로서 3산화안티몬을 0.03중량부 및 초산마그네슘 4수화물을 0.088중량부, 트리에틸아민을 0.16중량부 첨가했다. 이어서, 가압승온을 행하여 게이지압 0.343 MPa, 240℃의 조건으로, 가압 에스테르화반응을 행했다. 그 후, 에스테르화 반응관내를 상압으로 되돌리고, 인산트리메틸 O.040중량부를 첨가했다. 더욱이, 260℃로 승온하여, 인산트리메틸을 첨가하고 15분 후에, 상기 실리카입자의 에틸렌글리콜 슬러리를, 생성 폴리에스테르에 대해, 500 ppm이 되도록 첨가했다. 15분후, 얻어진 에스테르화 반응생성물을 중축합반응관에 이송하여, 280℃의 감압하에서 중축합반응을 행했다. 중축합반응 종료후, 95% 컷팅지름이 28 ㎛인 나슬론제 필터로 여과처리를 행하여, 고유점도가 0.62 dl/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제조했다.
(필름원료의 조정)
140℃에서 8시간의 진공건조를 행한 고유점도 0.62 dl/g의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91중량%와 90℃에서 4시간의 진공건조를 행한 상기 마스터펠릿(M1) 9중량%를 펠릿 혼합하여, 필름원료(C1)로 했다.
(미연신필름의 제작)
상기의 필름원료(C1)를 285℃로 온도 조절한 2축압출기에 공급하여 용융 혼련했다. 이 용융수지를, 25℃로 온도 조절한 냉각롤상에 T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정전인가법으로 밀착고화시켜, 두께 480 ㎛인 미연신필름을 제작했다. 이 때 용융수지가 멜트라인에 체류하는 시간은 약 3분, T다이로부터 받는 전단속도는 약 100/초였다.
(2축연신필름의 제작)
얻어진 미연신필름을, 가열롤을 사용하여 65℃로 균일 가열하고, 주속이 다른 2쌍의 닙롤(저속롤: 2m/분, 고속롤: 6.8m/분)사이에서 3.4배로 종연신했다. 이 때, 필름의 보조가열장치로서, 닙롤 중간부에 금반사막을 갖춘 적외선 가열히터(정격출력: 20W/cm)를 필름의 양면을 마주보고 필름면으로부터 1cm의 위치에 설치하여 가열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1축연신필름을 텐터에 이끌어, 150℃로 가열하여 3.7배로 횡연신하고, 폭고정하여 220℃에서 5초간의 열처리를 행하고, 200℃에서 폭방향으로 4% 더 완화시킴으로써, 두께 47 ㎛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얻었다.
(이형필름의 제작)
얻어진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기재로서, 부가중합 반응형 실리콘 수지(도시바실리콘사제, TPR-6721)를 용제희석하고, 상기 실리콘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백금촉매를 1중량부 첨가하여, 수지고형분 농도가 3중량%인 실리콘 수지 도공액을 조정하고, 와이어 바로 실리콘 도공액을 기재필름의 한쪽면에 도포하여, 140℃에서 30초간, 건조, 경화시켜,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이형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이형층은, 필름 표면의 건조 고형분량이 O.15 g/m2였다.
실시예 17
140℃에서 8시간의 진공건조를 행한 고유점도 0.62 dl/g의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86중량%와 90℃에서 4시간의 진공건조를 행한 상기 마스터펠릿(M1) 14중량%를 펠릿 혼합하여 필름원료(C2)로 했다. 이 필름원료(C2)를 285℃로 온도 조절한 2축압출기에 공급하여 용융 혼련했다. 이 용융수지를, 25℃로 온도 조절한 냉각롤상에 T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정전인가법으로 밀착고화시켜, 두께 620 ㎛인 미연신필름을 제작했다. 그 이외의 조건은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74 ㎛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이형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8
상기 필름원료(C1:원료I)를 285℃로 온도 조절한 단축압출기에, 필름원료(C1)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원료II)를 단독으로 290℃로 온도 조절한 2축압출기에 각각 따로 공급했다. 단축압출기로부터 토출되는 용융 수지는 오리피스를 사이에 두고, 2축압출기로부터 토출되는 수지는 정적 혼합기를 사이에 두고 피드블록에 이끌어, 필름원료(C1)로 된 층(B층)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된 층(A층)을 A층/B층/A층의 순으로 적층했다. 각 압출기의 토출량을 각층의 두께비가 1:8:1이 되도록 조정하여, 25℃로 온도 조절한 냉각롤상에 T다이로부터 공압출하고, 정전인가법으로 밀착고화시켜, 두께 58O ㎛인 미연신필름을 제작했다. 이 때, 필름원료(C1)의 용융 수지가 멜트라인에 체류하는시간은 약 12분, T다이로부터 받는 전단속도는 약 150/초였다. 그 이외의 조건은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58 ㎛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이형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9
실시예 16에 있어서, 마스터펠릿에 사용하는 폴리메틸펜텐 수지를 용융점도(ηo) 4,300 poise인 것(미쓰비시화학사제, DX845)으로 변경했다. 그 이외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620 ㎛인 미연신필름을 제작 연신하여, 두께 53 ㎛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이형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9
실시예 18에 있어서, 압출기로부터 토출되는 수지를 정적 혼합기를 사이에 두고 않고, 직접 피드블록에 이끌어 적층했다. 그 이외의 조건은 실시예 19와 동일하게 하여, 두께 650 ㎛인 미연신필름을 제작 연신하여, 두께 67 ㎛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이형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0
비교예 9에 있어서, 마스터펠릿에 사용하는 폴리메틸펜텐 수지를 용융점도(ηo) 4,300 poise인 것(미쓰비시화학사제, DX845)으로 변경했다. 그 이외의 조건은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580 ㎛인 미연신필름을 제작 연신하여, 두께 56 ㎛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이형 필름을 얻었다.
본 발명의 구성요건을 만족하는 실시예 16 및 17의 필름은, 관통홀 펀칭시의 끝말림의 높이가 작아, 펀칭성이 양호했다. 이에 대해, 비교예 9 및 10의 필름은, 공동적층수 밀도가 본 발명의 범위 밖이기 때문에, 관통홀 펀칭시의 끝말림이 높아, 펀칭성이 불충분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이형 필름은, 기재필름중에 있어서의 공동의 분산상태가 우수하고, 기재필름의 두께에 대한 기재필름의 두께방향의 공동수가 많이 때문에, 관통홀 펀칭시의 끝말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이형 필름은, 특히 세라믹성형용 이형 공정지로서 바람직하다. 또한, 카드용, 라벨용, 점착용 이형 공정지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주원료로 하여 내부에 공동을 함유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있어서, 그 공동적층수 밀도가 0.20개/㎛ 이상인, 가시광선에 대한 높은 반사능을 갖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 얻어졌다. 본 발명에 의해, 경량이고 높은 강도를 가지며 또한 가공성 ·생산성이 우수한, 각종 반사판의 재료로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 얻어졌다.
본 출원은 일본에서 출원된 특허출원 2000-164629, 특허출원 2000-100888, 특허출원 2000-143726, 특허출원 2000-149929, 특허출원 2000-168964를 기초로 하고 있어,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22)

  1. 미세 공동 함유층(A층)을 갖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으로서, A층의 공동적층수 밀도가 0.20개/㎛ 이상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A층의 한쪽면 또는 양면에, 백색 안료입자를 층중 5~45중량%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층(B층)이 공압출에 의해 적층된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필름 전체의 겉보기비중이 1.2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필름 전체의 겉보기비중이 0.8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5. 제2항에 있어서, B층 표면의 다이나믹 경도가 5.0 gf/㎠ 이하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6. 제2항에 있어서, B층 표면의 60도 경면 광택도가 20% 이상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미세 공동 함유층에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8. 제7항에 있어서, 비상용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스티렌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9. 제7항에 있어서, 비상용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스티렌 수지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10. 제9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주성분 수지가 폴리메틸펜텐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11. 제9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주성분 수지의 용융점도 ηo와 해당 폴리스티렌 수지의 용융점도 ηS가 관계식(1)
    ηoS≤0.8 (1)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12. 제2항에 있어서, 백색 안료입자로서 산화티탄을 사용한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13. 제10항에 있어서, 비상용 열가소성 수지 함유량이 이하의 관계식(3) 및 (4)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0.01≤Ps/Pm≤1 ···(3)
    2≤Pt≤15···(4)
    단, 여기에서 Pm 및 Ps는 폴리메틸펜텐 수지 및 폴리스티렌 수지의 필름 전체에 대한 함유율(단위:중량%), Pt는 해당 비상용 열가소성 수지의 필름 전체에 대한 함유율(단위:중량%)
  14. 제1항에 있어서, A층중에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그의 유도체를 함유하지 않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15. 제1항에 있어서, 파장 450 ㎚의 빛에 대한 분광반사율이 98%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16. 제1항에 있어서, 필름의 한쪽면과 그 반대쪽면에 있어서의 파장 450 ㎚의 빛에 대한 분광반사율차의 절대값이 6.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17. 제1항에 있어서, 미세 공동 함유층에 있어서의 백색 안료입자의 함유율이 5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18.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반사판의 구성부재로서 사용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19. 제1항에 있어서, 자기회수원료를 20중량% 이상 함유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20. 제1항에 있어서, 필름의 한쪽면 또는 양면에, 경화형 실리콘 수지로 주로 구성된 이형층이 설치된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21.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중에 미립자상으로 분산된 비상용 열가소성 수지에 기인하는 공동을 필름내부에 다수 함유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으로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하기(1)을 만족하고, 또한 상기 필름이 하기(2) 및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1) 고리상 3량체의 함유량:필름 전체중량에 대해 0.5중량% 이하
    (2) 겉보기밀도:0.95~1.30 g/㎤
    (3) 열처리(140℃×1000시간)후의 파단신도 잔존율:필름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 모두 20% 이상
  22. 제21항에 있어서, 전기절연용도로 사용하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KR1020010017084A 2000-04-03 2001-03-31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KR1005619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00888A JP3551120B2 (ja) 2000-04-03 2000-04-03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2000-100888 2000-04-03
JP2000164629A JP4441838B2 (ja) 2000-06-01 2000-06-01 空洞含有複合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及び感熱転写記録材料用基材フィルム
JP2000-164629 2000-06-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197A true KR20010095197A (ko) 2001-11-03
KR100561960B1 KR100561960B1 (ko) 2006-03-21

Family

ID=26589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7084A KR100561960B1 (ko) 2000-04-03 2001-03-31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20010036545A1 (ko)
EP (1) EP1142937B1 (ko)
KR (1) KR100561960B1 (ko)
DE (1) DE60113327T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7144A (ko) * 2015-07-10 2018-02-20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138957A (ko) 2018-06-07 2019-12-1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반사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1046A (ja) * 2000-09-20 2002-03-27 Fuji Xerox Co Ltd 電子写真用転写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カラー画像形成装置
CN1269154C (zh) * 2000-11-29 2006-08-09 帝人株式会社 电容器用聚酯薄膜
DE60215341T3 (de) * 2001-04-19 2013-01-31 Toray Industries, Inc. Weisses polyesterlaminat und bildempfangsschicht für thermotransfer-aufzeichungsverfahren
JP2003114764A (ja) * 2001-10-04 2003-04-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タッチパネ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EP1666637A4 (en) * 2003-08-04 2009-05-27 Sakata Inx Corp COATING MATERIAL COMPOSITION WITH GAS BARRIER PROPERTY, MANUFACTURING METHOD AND GAS BARRIER PACKAGING CONTAINER OBTAINED THEREFROM
JP4275138B2 (ja) * 2003-09-11 2009-06-10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反射板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20050119359A1 (en) * 2003-12-02 2005-06-02 Shelby Marcus D. Void-containing polyester shrink film
US20050266215A1 (en) * 2004-05-28 2005-12-01 Eastman Kodak Company Curl and thickness control for white reflector film
KR101334535B1 (ko) * 2004-06-17 2013-11-28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반사판용 적층 필름
US20070004813A1 (en) * 2004-09-16 2007-01-04 Eastman Chemical Company Compositions for the preparation of void-containing articles
KR101527777B1 (ko) * 2004-11-12 2015-06-12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백색필름 및 이를 사용한 백라이트
US20060121219A1 (en) * 2004-12-07 2006-06-08 Eastman Chemical Co. Void-containing polyester shrink film with improved density retention
US20060272766A1 (en) * 2005-06-03 2006-12-07 Hebrink Timothy J Optical bodies and method of making optical bodies including acrylate blend layers
EP1908587A4 (en) * 2005-07-11 2012-08-15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LAMINATE FILM
WO2007030603A2 (en) * 2005-09-08 2007-03-15 Wms Gaming Inc. Gaming machine having display with sensory feedback
JP5155541B2 (ja) * 2006-09-22 2013-03-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絶縁膜形成用組成物の製造方法、該製造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絶縁膜形成用組成物、絶縁膜および電子デバイス
US20100239845A1 (en) * 2006-09-29 2010-09-23 Tomofumi Maekaw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amed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2008127738A1 (en) * 2007-04-16 2008-10-2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Reflective article
US20090227735A1 (en) * 2008-03-07 2009-09-10 Eastman Chemical Company Miscible polyester blends and shrinkable films prepared therefrom
US8911836B2 (en) * 2009-05-29 2014-12-16 The Boeing Company Spectrally selective coatings and associated methods for minimizing the effects of lightning strikes
FR2947384B1 (fr) * 2009-06-25 2012-03-30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 realisation d'un transistor a source et drain metalliques
KR101117125B1 (ko) * 2009-08-20 2012-02-2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EP2484716B1 (en) * 2009-09-29 2018-02-21 Toyobo Co., Ltd. Polyester film for solar cells
JP4947194B2 (ja) * 2009-09-30 2012-06-06 東洋紡績株式会社 太陽電池裏面保護膜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614287B2 (ja) * 2009-10-28 2014-10-29 東レ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12008488A1 (ja) * 2010-07-14 2012-01-19 東洋紡績株式会社 太陽電池裏面封止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929597B1 (ko) * 2011-03-22 2018-12-14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필름의 연신 방법
US8637146B2 (en) * 2011-11-17 2014-01-28 Dupont Teijin Films U.S. Limited Partnership Metallized opaque films with robust metal layer attachment
US9676000B2 (en) * 2012-04-19 2017-06-13 GE Lighting Solutions, LLC Lighting system with reflective coating having cross-linked polymeric powder and a pigment
US10329393B2 (en) 2012-12-12 2019-06-25 Eastman Chemical Company Copolysters plasticized with polymeric plasticizer for shrink film applications
JP6965508B2 (ja) * 2016-03-29 2021-11-10 東洋紡株式会社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500613B1 (en) 2016-08-18 2021-05-05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ester compositions which comprise tetramethyl cyclobutanediol and ethylene glycol, with improved catalyst system
EP3500614A1 (en) 2016-08-18 2019-06-26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ester compositions which comprise tetramethylcyclobutanediol and ethylene glycol for calendering
WO2018035337A1 (en) 2016-08-18 2018-02-22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ester compositions which comprise tetramethylcyclobutandiol and ethylene glycol, with improved catalyst system
CN110325363B (zh) * 2017-03-02 2022-09-06 三菱化学株式会社 层叠白色薄膜和被记录材料
WO2019089535A2 (en) 2017-10-30 2019-05-09 Eastman Chemical Company Low density void containing films
CN111712532A (zh) 2017-12-15 2020-09-25 荷兰颜料股份有限公司 用于聚酯类材料的浓缩物
CN108761592A (zh) * 2017-12-27 2018-11-06 宁波长阳科技股份有限公司 反射结构及其应用
CN111629900B (zh) 2017-12-29 2022-07-01 佩恩颜色公司 聚酯包装材料
US10543656B2 (en) 2018-01-11 2020-01-28 Eastman Chemical Company Tough shrinkable films
WO2020076747A1 (en) 2018-10-08 2020-04-16 Eastman Chemical Company Crystallizable shrinkable and thermoformable sheets made from reactor grade resins
MX2021003703A (es) 2018-10-08 2021-06-04 Eastman Chem Co Peliculas contraibles cristalizables y laminas termoformables hechas de mezclas de resina.
WO2021072016A1 (en) 2019-10-08 2021-04-15 Eastman Chemical Company Catalyst systems for crystallizable reactor grade resins
EP4041797A1 (en) 2019-10-08 2022-08-17 Eastman Chemical Company Catalyst systems for crystallizable reactor grade resins with recycled content
CN114787255A (zh) 2019-10-25 2022-07-22 伊士曼化工公司 由具有回收内容物的反应器级树脂制成的可结晶可收缩膜和可热成型膜和片材
CN115698127A (zh) 2020-04-06 2023-02-03 伊士曼化工公司 可结晶可收缩膜和由树脂共混物制成的可热成型片材
WO2022076765A1 (en) 2020-10-08 2022-04-14 Eastman Chemical Company Shrinkable polyester films
TW202315906A (zh) 2021-10-08 2023-04-16 美商伊士曼化學公司 具有減少收縮之可收縮聚酯膜
WO2023091544A1 (en) 2021-11-22 2023-05-25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making recyclable copolyesters articles with living hinges
WO2023091539A1 (en) 2021-11-22 2023-05-25 Eastman Chemical Company Recyclable copolyesters articles with living hinges
CN118284564A (zh) 2021-11-22 2024-07-02 伊士曼化工公司 具有活动铰链的可回收共聚酯制品
CN118284642A (zh) 2021-11-22 2024-07-02 伊士曼化工公司 制造具有活动铰链的可回收共聚酯制品的方法
WO2023178221A1 (en) 2022-03-18 2023-09-21 Eastman Chemical Company Multilayer crystallizable shrinkable film and sheet
WO2023196829A1 (en) 2022-04-06 2023-10-12 Eastman Chemical Company Multilayer shrinkable polyester films with improved toughnes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4699A (en) * 1972-10-24 1976-03-16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Limited Opaque molecularly oriented and heat set linear polyester film and process for making same
JPS5327756A (en) * 1976-08-26 1978-03-15 Aisin Seiki Co Ltd Dry clutch facing
EP0496323B2 (en) * 1991-01-22 2002-12-11 Toray Industries, Inc. Reflector for a surface light source
US5698489A (en) * 1994-02-25 1997-12-16 Dai Nippon Printing Co., Ltd. Thermal transfer image-receiving sheet
DE69825818T2 (de) * 1997-06-09 2005-09-01 Toyo Boseki K.K. Poröser Polyesterfilm und thermisches Übertragungsbildempfangsschicht
TWI249548B (en) * 1998-12-08 2006-02-21 Toyo Boseki Void-containing polyester-based fil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7144A (ko) * 2015-07-10 2018-02-20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138957A (ko) 2018-06-07 2019-12-1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반사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US11602926B2 (en) 2018-06-07 2023-03-14 Toray Advanced Materials Korea Inc. Biaxial oriented polyester reflection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1960B1 (ko) 2006-03-21
US20010036545A1 (en) 2001-11-01
DE60113327T2 (de) 2006-06-14
EP1142937A3 (en) 2001-10-17
US20040266930A1 (en) 2004-12-30
DE60113327D1 (de) 2005-10-20
US20060286363A1 (en) 2006-12-21
EP1142937A2 (en) 2001-10-10
EP1142937B1 (en) 2005-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1960B1 (ko)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KR100576087B1 (ko)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JP7392770B2 (ja)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樹脂フィルム
JP2009212432A (ja) 太陽電池裏面保護膜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577540B2 (ja)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離型フィルム
JP3731720B2 (ja)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4441838B2 (ja) 空洞含有複合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及び感熱転写記録材料用基材フィルム
JP2008309975A (ja) 反射板用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010034245A (ko) 안료 함량이 낮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JP4441837B2 (ja) フォーム印刷用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積層フィルム
JP3551120B2 (ja)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2001010002A (ja) 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3326033B2 (ja) 印画紙用微細気泡含有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834172B2 (ja)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3962979B2 (ja)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積層フィルムロール
JP4178570B2 (ja) 積層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0094615A (ja) 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296022B2 (ja) 白色フィルム
JPH09239883A (ja) 微細気泡含有積層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及び当該フイルムから成るカラープリンター用受像紙
JP3636346B2 (ja)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4131452B2 (ja)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WO2023199792A1 (ja)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樹脂組成物、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1247702A (ja)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H09235398A (ja) 微細気泡含有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及び当該フイルムから成るレーザープリンター用受像紙
KR0173021B1 (ko) 백색 고분자 필름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