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1953A - 가열매체 및 그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가열매체 및 그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1953A
KR20010081953A KR1020000065142A KR20000065142A KR20010081953A KR 20010081953 A KR20010081953 A KR 20010081953A KR 1020000065142 A KR1020000065142 A KR 1020000065142A KR 20000065142 A KR20000065142 A KR 20000065142A KR 20010081953 A KR20010081953 A KR 20010081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heating medium
calcium oxide
powder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5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7582B1 (ko
Inventor
나카지마교코
Original Assignee
추후보정
가부시키가이샤 교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856288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8195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추후보정, 가부시키가이샤 교도 filed Critical 추후보정
Publication of KR20010081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1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5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8Materials not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14Solid materials, e.g. powdery or gran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16Materials undergoing chemical reactions when used
    • C09K5/18Non-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매체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70 내지 85%의 분말 알루미늄 및 15 내지 30%의 분말 산화칼슘을 포함하는 가열매체 35g을 80㎖의 물과 접촉시켜서 제1 반응단계에서 분말 칼슘과 물이 반응하여 반응열 및 수산화칼슘을 발생시키고 이후, 제2 반응단계에서 수산화칼슘이 분말 알루미늄과 반응하여 반응열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제1 반응단계와 제2 반응단계에서 발생된 전체 반응열이 약 3886 ㎈/g이 생산되어서, 단시간에 약 100℃의 온도에 도달하고 적어도 20분 동안 이 온도를 유지하는 가열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가열매체는 가열조리 용기의 무게 및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가열조리 용기의 가열장치 내에 설치된다.

Description

가열매체 및 그 사용방법 {HEATING MEDIUM AND USE OF THE SAME}
본 발명은 가열매체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분말 알루미늄 및 분말 산화칼슘을 특정 혼합 비율로 포함하는 가열매체 및 이 가열매체를 물과 접촉시켜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열매체는 적어도 20분동안 약 100℃의 온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 장치에 유용한 것으로, 예를 들면 비상 식품 또는 야전용 휴대식량의 가열조리 용기의 가열장치에 유용한 것이다.
최근, 비상식량, 청주(sake) 등과 같은 액체식품 또는 도시락 등과 같은 다양한 야전용 휴대식품이 가열조리 용기에 설치된 가열장치에 의해 그 자리에서 가열되고 가온되는 음식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화학적 화합물의 발열반응을 이용한 여러 종류의 가열장치가 제안되고 있고, 이것은 3가지 타입으로 대략 분류할 수 있다: 제1 타입은 물을 산화물에 부가하는 반응을 이용하는 것이고, 제2 타입은 금속과 산의 반응을 이용하는 것이고, 제3 타입은 물을 무수염에 부가하는 반응을 이용하는 것이다.
일본 식품위생법에 따르면, 업계에서 사용되는 장치 및 식품 포장용기는 청결하고 위생이여야 하고(제8조), 유해하고 독성 물질을 함유하며, 식품과의 접촉에의해 사람의 건강에 나쁜 영향을 끼치는 장치 및 식품 포장용기는 사용해서는 안된다(제9조)고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산과 금속의 반응 또는 마그네슘-철 합금에 물을 부가하는 반응을 이용하는 타입은 특유한 냄새(peculiar smell)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한 것으로 간주된다. 이것은 일본 이외의 다른 나라에서도 사실로 간주된다.
식품위생법의 규정 외에도, 휴대용 식품 또는 야전식량으로 그 자리에서 가열하고 가온되는 야전용 휴대식량에 대한 필요조건이 있다. 즉, 경량이고 소형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가열장치를 가열조리 용기에 통합하는 경우, 가열조리 용기의 무게 및/또는 부피가 크게 증가하여서는 안된다. 또한, 가열장치는 휴대자가 가는 곳 어디에나 언제라도 간단한 조작으로 단시간동안 열을 발생해야만 한다.
식품위생법의 규정은 경량 및 소형, 작동의 용이성, 효율 등의 상기에서 언급된 이유 때문에 물을 산화칼슘에 부가하는 반응의 반응열을 이용하는 타입이 가열조리 용기에 설치되는 가열매체의 주류로 떠오르고 있다.
한편, 최소 약 200 ㎤부터 최대 약 2000 ㎤의 다양한 형태와 부피를 가진 가열조리 용기가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비교적 소형의 청주와 철도역에서 판매하는 비교적 대형인 박스 도시락에 대해 휴대식량을 개방한 때부터 먹거나 마시는 것을 종료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에 대해 조사한 결과 약 20분이 걸린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또한, 휴대용 박스 도시락 또는 식품은 그 내용물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약 90℃ 이상으로 가열해야만 완전히 가열되고 가온된다는 것을 알게되었다.가열조리 용기 자체의 소재 열용량은 매우 낮기 때문에, 보온효과는 가열조리 용기 자체에 대해 기대할 수 없다. 또한, 가열장치 자체에 사용된 가열매체는 발열반응이 최대온도에 도달해야하고 최대온도에서 적어도 실온으로 떨어지는데 필요한 시간, 즉 온도 유지시간의 최대화에 효과적이여야 한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산화칼슘에 물을 부가하는 반응의 반응열을 이용하는 타입은 가열조리 용기에 내장된 가열매체의 주류로 떠오르고 있다. 산화칼슘에 물을 부가하는 반응에서 반응열을 이용하는 가열매체는 일본식품위생법의 요구사항은 충족시키고 있지만, 물과 산화칼슘 반응의 발열량이 작기 때문에 반응직후 90℃ 이상의 온도에 도달하고 적어도 20분 이상 이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산화칼슘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가열조리 용기의 무게 및 부피를 증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가열조리 용기의 무게 및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고 또한 가열조리 용기의 가열장치에 다량의 가열매체를 사용하지 않고도 가열매체의 온도를 90℃ 이상의 온도까지 빠르게 상승시키고 적어도 20분 동안 이 온도를 유지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가열조리 용기의 무게 및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고 또한 가열조리 용기의 가열장치에 다량의 가열매체를 사용하지 않고도 가열조리 용기의 가열장치에 사용되는 물과 산화칼슘의 반응을 이용하는 가열매체의 온도를 상기 반응 직후 90℃ 이상의 온도까지 빠르게 상승시키고 적어도 20분 동안이 온도를 유지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가열매체 총중량을 기준으로 70 내지 85 중량%의 분말 알루미늄 및 15 내지 30 중량%의 분말 산화칼슘을 포함하는 가열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가열매체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70 내지 85 %의 분말 알루미늄 및 15 내지 30%의 분말 산화칼슘을 포함하는 가열매체의 사용방법으로, 가열매체를 소정량의 물에 접촉시켜 분말 산화칼슘과 물이 반응하여 반응열을 발생시키고 수산화칼슘을 형성하는 제1 반응단계, 및 분말 알루미늄과 제1 반응단계에서 형성된 수산화칼슘을 반응시켜서 반응열을 발생시키는 제2 반응단계를 포함하여, 그 자리에서 연속적으로 실행되는 제1 및 제2 반응단계에서 발생하는 전체 반응열을 이용하는 가열매체의 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로, 본 발명은 산화칼슘과 혼합된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상기 언급된 문제가 해소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 발견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특정한 이론에 집착하지는 않았지만, 제1 반응단계로 산화칼슘과 물과의 반응메카니즘 및 제2 반응단계로 산화칼슘과 물이 반응하는 제1 반응단계에서 형성된 수산화칼슘과 알루미늄과의 반응메카니즘에 따른 설명이 이하에 제공되어 있다.
산화칼슘은 다음의 반응식(1)에 따라 물과 반응하여 다량의 열을 발생하는한편 수산화칼슘을 형성한다:
CaO + H2O = Ca(OH)2+ 15.2 ㎉ (1)
발열량 15.2 ㎉는 CaO의 분자량인 56.08로 나누어 271 ㎈/g이 된다.
반응(1)의 결과로, 수용액은 형성된 수산화칼슘의 가수분해에 의해 강한 알칼리성이 된다.
한편, 분말의 알루미늄은 다음의 식(2)에 따라 수산화칼슘과 빠르게 반응하여 알루미늄산칼슘 및 수소를 형성한다:
2 Al + 3 Ca(OH)2= 3CaO·Al2O3+ 3H2↑ (2)
반응 (2)에서 발생된 반응열은 47 ㎉로, Al의 분자량인 13으로 나누어 3615 ㎈/g이 된다.
따라서, 1g의 분말 산화칼슘과 1g의 분말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경우 약 3886 ㎈의 열량이 얻어질 수 있다. 산화칼슘 없이 전적으로 분말 알루미늄만을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반응온도가 100℃ 이상으로 상승하지 않는다면 산화칼슘없이 알루미늄만으로는 물과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물과 칼슘의 반응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반응단계에서 산화칼슘과 물이 반응하고, 이어서 제1 반응단계에서 형성된 수산화칼슘과 분말 알루미늄이 반응하는 2단계 반응이 실행된다. 즉, 100℃이하의 온도에서는 산화칼슘과 물의 반응으로 형성된 수산화칼슘이 분말 알루미늄의 반응을 위한 일종의 개시제로 작용한다.
반응 (2)에서 형성된 알루미늄산칼슘은 단일 화학식으로 설명될 수 없고, CaO·Al2O3, Ca3[Al(OH)6]2, 2Ca(OH)2·Al(OH)3·5/2 H2O, CaO·2Al2O3등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반응식 (2)는 알루미늄과 수산화칼슘의 대표적인 반응 중 하나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가열매체의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제1 단계반응, 즉 산화칼슘과 물과의 반응 직후에 90℃ 이상의 온도까지 반응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키고 이 온도로 적어도 20분 동안 유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가열매체의 두 번째 중요한 사항은 가열조리 용기에 내장되는 가열장치의 무게 및 부피를 증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분말 산화칼슘 및 분말 알루미늄의 함량을, 상기 효과를 내기 위한 여러 가지 조건을 만족시키는 특정 범위로 제한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분말 알루미늄의 발열량이 산화칼슘의 13배라는 사실에 주목하여 반응온도를 90℃까지 빠르게 상승시키고 적어도 20분 동안 이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분말 알루미늄을 본 발명에 따른 가열매체의 주요성분으로 사용하고 산화칼슘을 보조성분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했다.
여러 등급의 산화칼슘이 시판되고 있지만, 반응속도를 가속하고 가능한 다량의 반응열을 얻기 위해서 가능한 한 소량의 불순물을 가진 산화칼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된 산화칼슘은 90% 이상의 CaO 함량, 3.2%이하의 불순물, 및 2.0% 이하의 CO2로 이루어진 산화칼슘이고, 93% 이상의 CaO 함량, 3.2% 이하의 불순물, 및 2.0%이하의 CO2를 가지는 산화칼슘이 더욱 바람직하고, 95% 이상의 CaO 함량, 1.8% 이하의 불순물, 및 0.9%이하의 CO2를 가지는 산화칼슘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된 산화칼슘의 입경은 작을수록 반응속도는 더욱 빨라지지만, 산화칼슘의 입경이 작을수록 취급이 더욱 어려워진다. 따라서 가장 바람직한 산화칼슘의 입경은 100 메쉬(-150㎛이 90% 이상) 내지 200 메쉬(-750㎛이 95% 이상)의 범주내이다.
본 발명에서는 타입 Ⅰ, Ⅱ, 및 Ⅲ의 알루미늄을 사용할 수 있다. 즉, 타입 Ⅰ은 99.7% 이상의 Al 금속 순도, 0.8 내지 1.1 g/㎤의 겉보기 밀도, 및 -330 메쉬(-45 ㎛)가 35 내지 60%, +330 메쉬(+45 ㎛)가 15 내지 30%, +235 메쉬(+63 ㎛)가 5 내지 15%이고 +140 메쉬(+106 ㎛)가 7% 미만인 입경 분포이고, 타입 Ⅱ는 99.7% 이상의 Al 금속 순도, 0.8 내지 1.1 g/㎤의 겉보기 밀도, 및 -330 메쉬(-45 ㎛)가 40 내지 60%, +330 메쉬(+45 ㎛)가 15 내지 30%, +235 메쉬(+63 ㎛)가 5 내지 15%이고 +200 메쉬(+75 ㎛)가 10% 미만인 입경 분포이고, 타입 Ⅲ는 99.7% 이상의 Al 금속 순도, 0.8 내지 1.1 g/㎤의 겉보기 밀도, 및 -330 메쉬(-45 ㎛)가 70 내지 90%, +330 메쉬(+45 ㎛)가 30% 미만, +235 메쉬(+63 ㎛)가 3% 미만이고 +200 메쉬(+75 ㎛)가 2% 미만인 입경 분포이다. 반응속도, 취급용이성, 및 가격을 고려해 볼 때 타입 Ⅱ가 본 발명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분말 산화칼슘 및 분말 알루미늄의 각 함량을 특정화하는데 필요한 조건은 발열반응에 도달하는 시간이 짧고 전체 발열량이 크고, 90℃ 이상의 온도가 적어도 20분 이상 유지되고, 본 발명의 가열매체가 설치되는 가열조리 용기의 무게 및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고 첨가되는 물의 함량이 가능한 한 적아야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분말 산화칼슘 및 분말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가열매체의 총중량의 2배로 물의 함량을 설정하고, 반응속도론에 따르는 상기 여러 가지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분말 산화칼슘 및 분말 알루미늄의 함량을 산출하였다. 이러한 사항은 실험으로 설명되고 있다. 결과로, 분말 산화칼슘 및 분말 알루미늄의 함량은 이들을 포함하는 가열매체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15 내지 30% 및 70 내지 85%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분말 산화칼슘과 분말 알루미늄의 함량, 반응속도, 최고 온도, 최고온도의 유지시간, 및 반응에 첨가된 물의 함량 사이에 상관성이 있다는 것을 알게될 것이다.
본 발명의 분말 산화칼슘 및 분말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가열매체는 부직포, 일본지(Japanese paper), 합성지 등의 ㎡당 주어진 중량을 가지고 알루미늄 포일 등으로 제조된 비투수성 백에 충전되어서 분말 산화칼슘이 대기중의 수분을 흡수하지 못하게 하여 이들 사이의 반응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가열매체를 사용하는 경우, 비투수성 백에 충전된 본 발명의 가열매체는 물이 가열매체의 질량에 대해 최대 2배 정도의 함량으로 첨가된 적합한 용기에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체로 가열매체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70 내지 85%의 분말 알루미늄 및 15 내지 30% 분말 산화칼슘을 포함하는 가열매체 및 가열매체의 중량의 최대 2배 정도의 함량의 물을 가열매체에 접촉하여 이용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열매체는 휴대식량의 가열조리 용기 내에 넣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열매체가 들어간 가열조리 용기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나일론, 폴리메틸펜텐 등과 같은 합성 수지, 합성수지 처리된 알루미늄, 합성수지 처리된 종이, 금속캔, 금속 및 합성 수지 알루미늄의 복합 재료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제1 반응단계에서 가열매체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70 내지 85%의 분말 알루미늄 및 15 내지 30%의 분말 산화칼슘을 포함하는 가열매체를 가열매체 중량의 최대 2배 가량의 물과 접촉시켜서 반응열과 수산화칼슘을 발생시키고, 제2 반응단계에서는 분말 알루미늄과 제1 반응단계에서 형성된 수산화칼슘을 반응시켜서 반응열을 발생시키고, 제1 및 제2 반응단계에서 발생된 반응열의 총량을 이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 실험예, 및 비교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나, 이것은 설명을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이하의 실시예, 실험예 및 비교예에서는 YAMAISHI METAL CO., LTD.에서 시판하는 99.7% 이상의 Al 금속 순도, 0.8 내지 1.1 g/㎤의 겉보기 밀도, 및 -330 메쉬(-45 ㎛)가 40 내지 60%, +330 메쉬(+45 ㎛)가 15 내지 30%, +235 메쉬(+63 ㎛)가 15% 미만이고 +200 메쉬(+75 ㎛)가 10% 미만인 입경 분포를 가진 "ATIMIZ-ALUMI VA-200"(상표명)을 사용하였다.
이하의 실시예, 실험예 및 비교예에서는 ARIGAKI MINING INDUSTRY CO. LTD.에서 제조된 200 메쉬(-75 ㎛이 95% 이상)의 분말 칼슘을 사용하였다.
이하의 실시예, 실험예 및 비교예에서는 60 g/㎡의 중량, 0.14 ㎜의 두께, 20 cc/㎠의 투기량 및 6.0 ㎏의 가열접합 강도를 가진 부직포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140 ㎜(길이) × 750 ㎜(폭) × 115 ㎜(깊이)의 1000 cc 유리 용기를 알루미늄 포일로 포장하고 2개의 온도센서를 삽입하였다. 이중 하나의 온도센서의 상부가 용기의 깊이중간 근방에 위치하도록 하였고, 다른 온도센서의 상부는 가열매체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하였다. 상기 분말 알루미늄 75g 및 상기 분말 산화칼슘 30g을 완전히 혼합하여 가열매체를 제조하였다. 이후 가열매체 35 g을 140 ㎜(길이) × 450 ㎜(폭) × 4 ㎜(두께)의 부직포 백에 담았다. 가열매체가 담긴 백을 상기 용기의 바닥에 놓고 80 ㎖의 물을 첨가하였다. 30초 후에, 발열반응이 시작하였다. 발생된 스팀의 온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스팀의 최고 온도, 스팀의 최고 온도에서 80 ℃까지 떨어지는 데 걸리는 시간, 즉 유지시간, 및 가열매체 중간부의 최고 온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2
85g의 분말 알루미늄 및 25g의 분말 산화칼슘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였다.
실시예 3
95g의 분말 알루미늄 및 20g의 분말 산화칼슘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였다.
실시예 1, 2, 및 3에서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알루미늄 (g) 75 85 95
산화칼슘 (g) 30 25 20
사용된 가열매체의 중량(g) 35 35 35
물의 첨가량(cc) 80 80 80
스팀의 최고 온도(℃) 92.7 92.8 92.5
가열매체의 중간부의최고 온도(℃) 105.5 105.5 105.5
유지시간(분) 22.0 23.75 25.5
실온(℃) 17.6 17.7 17.8
가열매체 및 물의 중량(g)(*1) 65.8 63.7 61.2
(*1) 가열매체를 사용하고나서 12시간 방치한 후의 가열매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의 중량
실험예
실시예 1, 2, 및 3에서 발생된 스팀을 분석을 위해 냉각하고 수집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측정의 하한치
혼탁도 (*2) 검출안됨 2
pH (*3) 9.6 (19.9 ℃)
잔류량(㎖/ℓ) (*4) 검출안됨 50
비소 (㎖/ℓ) (*5) 검출안됨 0.2
카드뮴 (㎖/ℓ) (*6) 검출안됨 0.5
납 (㎖/ℓ) (*7) 검출안됨 5
(*2) 물의 검사방법 Ⅳ 3
(*3) 유리전극 pH미터
(*4) 물의 검사방법 Ⅳ 11.2
(*5) 수화물 원자-흡광 분석기
(*6) 불꽃 원자-흡광 분석기
(*7) 불꽃 원자-흡광 분석기
본 발명의 가열매체는 분말 알루미늄 및 분말 산화칼슘에서 유도된 Cd, Pb 등과 같은 불순물을 함유하지 않았다는 것은 표 2에 도시된 결과로부터 검증되었다.
비교예 1, 2, 및 3
분말 알루미늄 및 분말 산화칼슘을 표 3에 도시된 함량으로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 2, 및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 2, 및 3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알루미늄 (g) 55 60 65
산화칼슘 (g) 36 32 30
사용된 가열매체의 중량(g) 35 35 35
물의 첨가량(cc) 80 80 80
스팀의 최고 온도(℃) 80.7 84.8 82.5
가열매체의 중간부의 최고온도(℃) 83.5 86.5 84.7
유지시간(분) 22.0 23.75 25.5
실온(℃) 17.5 17.7 17.8
가열매체 및 물의 중량(g)(*1) 62.8 61.7 61.9
(*1) 가열매체를 사용하고나서 12시간 방치한 후의 가열매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의 중량
비교예 1, 2, 및 3의 결과에서 분말 알루미늄 60∼68 중량% 및 분말 산화칼슘 32∼40 중량%를 포함하는 가열매체는 본 발명의 가열매체에 의해 얻어진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지 못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하에 예시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1)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반응단계에서 높은 발열량을 가진 분말 알루미늄 및 분말 산화칼슘을 특정 혼합비율로 포함한 가열매체를 물과 접촉하여 분말 산화칼슘과 물을 반응하여 반응열을 발생시키고, 제2 반응단계에서 분말 알루미늄을 제1 반응단계에서 형성된 수산화칼슘과 반응하여 반응열을 발생시켜, 결과적으로 제1 및 제2 반응단계에서 발생된 전체의 반응열은 산화칼슘 단일 성분만을 포함하는 종래의 가열매체와 비교하여 높은 효율로 사용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가열매체는 상대적으로 소량인 물과 가열매체, 예를 들면70cc의 물 및 35 g의 가열매체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가열매체는 30초의 반응속도로 약 100℃의 최고 온도에 도달할 수 있고, 상기 최고 온도를 20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가열매체는 약 100℃의 온도에서 20분 이상 동안 유지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량이고 부피가 크지 않기 때문에, 비상식량 또는 야전용 휴대식량에서 불편을 유발하였던 가열조리 용기의 무게 및 부피를 현저하게 증가시키지 않는다.

Claims (3)

  1. 가열매체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70 내지 85 %의 분말 알루미늄 및 15 내지 30%의 분말 산화칼륨을 포함하는 가열매체.
  2. 가열매체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70 내지 85 %의 분말 알루미늄 및 15 내지 30%의 분말 산화칼륨을 포함하는 가열매체의 사용방법으로,
    가열매체를 물의 소정 함량에 접촉시켜 분말 산화칼슘과 물이 반응하여 반응열을 발생하고 수산화칼슘을 형성하는 제1 반응단계, 및
    분말 알루미늄과 제1단계에서 형성된 수산화칼슘을 반응시켜서 반응열을 발생하는 제2 반응단계를 포함하며,
    그 자리에서 연속적으로 실행되는 제1 및 제2 반응단계에서 발생하는 전체의 반응열을 이용하는 가열매체의 사용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의 소정 함량이 가열매체의 중량의 최대 2배인 가열매체의 사용방법.
KR10-2000-0065142A 2000-02-17 2000-11-03 발열제 및 그 사용방법 KR1004075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9298 2000-02-17
JP2000039298A JP3467729B2 (ja) 2000-02-17 2000-02-17 発熱剤及び発熱剤を使用する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953A true KR20010081953A (ko) 2001-08-29
KR100407582B1 KR100407582B1 (ko) 2003-12-01

Family

ID=18562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5142A KR100407582B1 (ko) 2000-02-17 2000-11-03 발열제 및 그 사용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00357B1 (ko)
EP (1) EP1126004B1 (ko)
JP (1) JP3467729B2 (ko)
KR (1) KR100407582B1 (ko)
DE (1) DE60005784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560B1 (ko) * 2001-02-06 2004-07-30 유웅상 즉석 가열식 식품용 발열 조성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08524A2 (en) * 2004-05-04 2005-11-17 Candle Corporation Of America Heater product, system and composition
JP2006152090A (ja) * 2004-11-26 2006-06-15 Harumi Handa 発熱剤
KR100740783B1 (ko) * 2005-05-27 2007-07-20 (주) 에스앤지테크놀로지 식품가열용 발열체 조성물
WO2007023611A1 (ja) * 2005-08-22 2007-03-01 Mycoal Co., Ltd. 発熱体及び物品加熱装置
JP3921550B1 (ja) 2006-04-21 2007-05-30 マイコール株式会社 食品加熱装置
KR100804257B1 (ko) 2006-07-10 2008-02-18 (주)유티앤케미칼 발열체 조성물 및 발열체 조성물에 의한 식품 가열기구
JP4008490B1 (ja) * 2006-10-02 2007-11-14 株式会社エネルダイン 発熱剤
US8490615B2 (en) * 2008-08-05 2013-07-23 GHT Global Heating Technologies, GmbH Heated field rations and assemblies
JP2014007964A (ja) * 2012-06-27 2014-01-20 Nissen Co Ltd 発熱剤を含む米飯調理キット
EP2710941B1 (de) 2012-09-19 2015-07-08 Uwe Arnold Transportable Vorrichtung zum Erhitzen von Lebensmitteln
CN104555116A (zh) * 2014-12-10 2015-04-29 中国农业科学院农产品加工研究所 一种能够自加热的防灾应急食品包装及其加热方法
CN107499725B (zh) * 2017-09-20 2020-05-15 俞明富 一种用于食品的无火焰自动加热剂及其应用方法
CN108278788A (zh) * 2018-01-25 2018-07-13 龚宇 一种能够产热发热的部件
DE202019001285U1 (de) 2019-03-15 2019-06-19 Ronja Carlotta Schaefer Flammenlos, stromlos erwärmende Brotdos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0768A (en) * 1908-07-31 1911-12-05 Abraham S Isaacs Heat-producing compound.
US1019377A (en) * 1909-01-07 1912-03-05 Henry J Haber Heat-producing compound.
US1488656A (en) * 1923-02-17 1924-04-01 Wallace George Hugh Chemical heater
US2289007A (en) * 1939-06-14 1942-07-07 Interchem Corp Heating mixture for food containers
US3077455A (en) * 1958-08-11 1963-02-12 Drackett Co Heat-producing compositions
US3353937A (en) * 1964-06-08 1967-11-21 Olin Mathieson Coated aluminum composition and process
US3489689A (en) * 1967-02-10 1970-01-13 Simoniz Co Heat producing package
US3766079A (en) * 1970-10-13 1973-10-16 Smith Inland A O Exothermic composition
DE2321745A1 (de) * 1973-04-30 1974-11-21 Marl Christen Konservendose
IT995140B (it) * 1973-08-03 1975-11-10 Grosso A Contenitore autoscaldante per cibi precotti
JPS52116599A (en) * 1976-03-26 1977-09-30 Katsuya Miyamori Underwater exothermic device
US4114591A (en) * 1977-01-10 1978-09-19 Hiroshi Nakagawa Exothermic metallic composition
JPS5620450A (en) * 1979-07-30 1981-02-26 Mitsubishi Rayon Co Exothermic composition
JPS5634781A (en) * 1979-08-31 1981-04-07 Toyo Ink Mfg Co Ltd Heat producing composition
JPS61199822A (ja) * 1985-03-01 1986-09-04 イワツクス株式会社 化学発熱体
JPS6443594A (en) * 1987-08-10 1989-02-15 Yoshikazu Munakata Heat-generating composition
JPH03179080A (ja) * 1989-12-08 1991-08-05 Paudaatec Kk 発熱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560B1 (ko) * 2001-02-06 2004-07-30 유웅상 즉석 가열식 식품용 발열 조성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226668A (ja) 2001-08-21
EP1126004B1 (en) 2003-10-08
DE60005784T2 (de) 2004-08-19
EP1126004A1 (en) 2001-08-22
JP3467729B2 (ja) 2003-11-17
DE60005784D1 (de) 2003-11-13
US6200357B1 (en) 2001-03-13
KR100407582B1 (ko) 200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7582B1 (ko) 발열제 및 그 사용방법
KR100576185B1 (ko) 휴대용 열원
US7537002B2 (en) Exothermic agent
US5542418A (en) Acid-base fuels for self heating food containers
EP2011846A1 (en) Apparatus for heating food
CN101200630A (zh) 一种新型食品自加热剂
JP2011092921A (ja) 酸素吸収剤及び酸素吸収性樹脂組成物ならびに酸素吸収性フィルム
US6309598B1 (en) Electrochemical heater and method for sterilizing
KR100442560B1 (ko) 즉석 가열식 식품용 발열 조성체
JP2006241418A (ja) 発熱剤
US9592310B1 (en) Reactive gas solutions and devices
KR100960811B1 (ko) 4 성분계 발열제
JP2003342558A (ja) 発熱剤
EP1381549A1 (en) A self-cooling container, particularly for beverages
JPS6045172A (ja) 加熱具付包装体
KR100804257B1 (ko) 발열체 조성물 및 발열체 조성물에 의한 식품 가열기구
CN107384331B (zh) 一种非燃烧型卷烟用自发热材料及方法和应用
JP2007131689A (ja) 発熱剤
CA2200586A1 (en) Acid-base fuels for self-heating food containers
JP7223407B2 (ja) 加熱剤
CN1648197A (zh) 新型食品用自发热剂及其使用方法
JPH11146835A (ja) レトルト食品加熱剤
CN102675708B (zh) 一种吸水薄膜用树脂组合物、包装用吸水薄膜及其制造方法
KR102237429B1 (ko) 발포성 발열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4331281A (ja) 容器発熱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