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8276A - 안료조성물, 그 제조방법, 착색제 및 착색물품 - Google Patents

안료조성물, 그 제조방법, 착색제 및 착색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8276A
KR20010078276A KR1020010005028A KR20010005028A KR20010078276A KR 20010078276 A KR20010078276 A KR 20010078276A KR 1020010005028 A KR1020010005028 A KR 1020010005028A KR 20010005028 A KR20010005028 A KR 20010005028A KR 20010078276 A KR20010078276 A KR 20010078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pigment
pigment composition
parts
copper phthalocyan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5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4162B1 (ko
Inventor
와다노부토
아오키가즈타카
나카가와유타카
다카미쇼토쿠
나카무라미치에이
Original Assignee
고지마 아키로
다이니치 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지마 아키로, 다이니치 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지마 아키로
Publication of KR20010078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8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1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25Crystal modifications; Special X-ray patterns
    • C09B67/0026Crystal modifications; Special X-ray patterns of phthalocyanine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01Post-treatment of organic pigments or dyes
    • C09B67/0022Wet grinding of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33Blends of pigments; Mixtured crystals; Solid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33Blends of pigments; Mixtured crystals; Solid solutions
    • C09B67/0034Mixtures of two or more pigments or dyes of the same type
    • C09B67/0035Mixtures of phthalocyan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안료조성물은 ε형 동프탈로시아닌(성분 A)과, 축합다환계색소 및 아조계색소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색소(성분 B)를 혼합습식 마쇄하여 이루어진다. 성분 A와 성분 B와의 중량비율이 A:B=100:0.1∼50이다. 안료조성물은 α형 동프탈로시아닌(성분 A-1)과 성분 B를, 그 중량비율이 A-1:B= 100:0.1∼50의 비율로, 비방향족계 용매중에서 습식 마쇄하여 제조될 수 있다. 착색제는 안료조성물과 피막형성용수지 및 액매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착색물품은 착색제를 사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안료조성물, 그 제조방법, 착색제 및 착색물품{PIGMENT COMPOSITIONS, PRODUCTION PROCESS THEREOF, COLORANTS, AND COLORED ARTICLES}
본 발명은, 안료조성물, 그 제조방법, 착색제 및 착색물품에 관한 것이며, 더욱 자세하게는 각종 착색용도에 알맞은 붉은 빛 선명한 ε형 동프탈로시아닌(이하 「성분 A」 또는 「ε형」으로 칭한다)를 주성분으로 하는 안료조성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동프탈로시아닌 블루안료는, 모든 안료 중에서도 특히 안정적이며, 각종 내성이 뛰어나고, 많은 결정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 안에서 실제로 공업화되어 있는 주된 것으로서는, α형 동프탈로시아닌안료(이하 「성분 A-1」 또는 「α형」으로칭한다), β형 동프탈로시아닌안료(이하 「β형」으로 칭한다) 및 ε형이 알려져 있다. 초록빛이 블루로 착색하기 위한 용도에는 β형을, 붉은 빛의 블루로 착색하기 위한 용도에는 α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α형보다도 더욱 붉은 빛의 블루로 착색하는 것이 요구될 때에는 ε형이 사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여러 가지의 착색용도에 있어서, ε형보다도 더욱 한층 더 붉은 빛의 블루로 착색하는 것이 요구될 경우가 있고, 이러한 붉은 빛이 강한 색조는 단독의 동프탈로시아닌안료로는 실현할 수 없다. 그 때문에, 통상, 동프탈로시아닌과 동프탈로시아닌보다 붉은 빛의 안료와의 혼합물 사용에 의지하지 않을 수가 없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2종 이상의 안료끼리를 분체나 착색제의 상태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감색혼합이 되어, 아무래도, 얻어지는 색조에 있어서 색상이나 선명성의 저하나 투과율의 감소를 피할 수가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량하기 위해서, 안료를 컨디셔닝하는 과정에서 2종 이상의 안료를 혼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안료혼합물이 단독의 안료와 유사한 거동을 나타내는 것 같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예컨대, 동프탈로시아닌안료와 그 이외의 안료를 건식 마쇄하여 안료혼합물을 얻는 방법이 있다. 그렇지만, 이 방법으로 얻어진 안료혼합물에는, 또한 착색력이나 선명성이 부족하였다.
상기 건식 마쇄의 결점을 보충하여, 얻어지는 혼합안료에 의해 뛰어 난 균질성을 갖게 하는 방법으로서, 습식 마쇄에 의한 안료혼합물의 제조방법도 제안되어있다.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진 안료혼합물은, 분산성 및 선명성은 모두 우수하지만, 내열성, 내용제성, 내광성, 내후성에 있어서 특히 뛰어난 성질은 나타내지 않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마쇄에 의한 안료의 처리방법이나 다른 처리방법을 행한다고 하여도, 기본이 되는 처리후의 동프탈로시아닌안료의 결정형은, 적자색을 띤 블루의 색조를 나타내는 ε형의 결정형만을 생성하는 방법이 아니면, 상기한 한층 더 붉은 빛의 블루를 발색하는 안료혼합물은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동프탈로시아닌안료와 그 이외의 안료를 황산 중에 용해하고, 수중에 공침(共沈)시켜 안료조성물로 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지만, 이 방법으로 얻어진 안료조성물중의 동프탈로시아닌안료는 모두 α형이 되어 버리기 때문에, 기본이 되는 동프탈로시아닌안료 그 자체의 색조가 ε형보다 초록빛을 띤 색이 되기 때문에, 상기의 한층 더 붉은 빛의 블루를 발색하는 안료혼합물은 얻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소하고, 보다 붉은 빛의 ε형과 그 이외의 안료와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붉은 빛으로 선명한 블루를 발색하는 동프탈로시아닌안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예의 연구의 결과, α형과 그 이외의 안료와의 안료혼합물 중에서, α형을 ε형으로 결정전이시킴으로써, ε형을 주성분으로 하는, 보다 균질한 혼합물인 안료조성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도 1은, 실시예16, 비교예4 및 5에 있어서의 프리베이크막의 분광커브를 나타내는 도면.
상기의 목적은 이하의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된다. 즉, 본 발명은, ε형과, 축합다환계색소 및 아조계색소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색소(이하 「성분 B」라고 칭한다)를 혼합습식 마쇄하여 이루어지며, 성분 A와 성분 B와의 중량비율이 A:B= 100:0.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안료조성물의 제 1 제조방법은, α형과 성분 B를, 그 중량비율이 A-1:B= 100:0.1∼50의 비율로, 비방향족계 용매 속에서 습식 마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안료조성물의 제 2 제조방법은, 상기 성분 A-1과 성분 B를, 그 중량비율이 A-1:B= 100:0.1∼50의 비율로, 건식 마쇄하고, 이어서 얻어진 건식 마쇄물을 비방향족계 용매속에서 습식 마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안료조성물의 제 3 제조방법은, 결정형을 묻지 않은 동프탈로시아닌(성분 A-2)과 성분 B를, 그 중량비율이 A-2:B= 100:0.1∼50의 비율로 60중량% 이상의 황산수용액에 첨가하고, 얻어진 황산수용액을 수중에 주입하여 상기 성분 A-2를 α형으로 결정전이 시키고, 얻어진 α형과 성분 B와의 혼합물을, 비방향족계 용매속에서 습식 마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다음에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안료조성물은, 성분 A(ε형)과 성분 B(성분 A 이외의 안료)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료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성분 A-1(α형) 또는 성분 A-2(결정형을 불문하는 동프탈로시아닌)과 성분 B와의 혼합계 중에서, 성분 A-1 또는 성분 A-2를 결정전이시켜 성분 A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안료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에 관해서 설명한다. 성분 A 자체는 공지이다. 성분 A에 혼합하는 성분 B는, 축합다환계색소 및 아조계색소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색소이다. 축합다환계색소로서는, 예컨대, 펠리렌안료, 펠리논안료, 퀴나크리돈안료, 디옥사딘안료, 디케토피로로피롤안료, 안트라퀴논안료, 키노프탈론안료, 인디고안료, 티오인디고안료, 메틴안료, 아조메틴안료, 금속착체안료 및 그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아조계색소로서는, 예컨대, 불용성아조안료, 폴리아조안료 및 그들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바람직한 것은, 청자색, 자색, 적자색, 홍색, 적색의 색조를 갖는 안료이며, 특히 바람직한 것은 색조가 블루에 가까운 청자색 내지 자색의 안료이다.
또, 상기 안료의 유도체란, 상기 각 안료에 니트로기, 제1급, 제2급 또는 제3급아미노기, 술폰기 또는 그의 염, 프탈이미드메틸기, 카르복시벤즈아미드메틸기, 제1급, 제2급 또는 제3급아미노기를 갖는 메틸기, 카르보닐메틸기, 술폰아미드기, 제1급, 제2급 또는 제3급아미노기를 갖는 술폰아미드기, 페닐아세틸기나 카르복실기 또는 그의 염 등의 치환기를 1개 내지 수개 가지는 것이다. 이들 안에서, 바람직한 것은, 청자색, 자색, 적자색, 홍색, 적색의 색조를 갖는 안료유도체이며, 특히 바람직한 것은 색조가 블루에 가까운 청자색 내지 자색의 안료유도체이다.
본 발명의 안료조성물은, 상기 성분 A와 성분 B를 필수성분으로 하지만, 또한 성분 C로서, 벤젠환에 치환기를 갖는 동프탈로시아닌유도체(성분 C-1), 및 방향족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과 적어도 한 개의 제2급 또는 제3급아미노기를 갖는 지방족 제1급 또는 제2급아민에서 얻어지는 화합물(성분 C)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C-1으로서는, 벤젠환에, 예컨대, 니트로기, 제1급, 제2급 또는 제3급아미노기, 술폰기 또는 그의 염, 프탈이미드메틸기, 카르복시벤즈아미드메틸기, 제1급, 제2급 또는 제3급아미노기를 갖는 메틸기, 카르보닐메틸기, 술폰아미드기, 제1급, 제2급 또는 제3급아미노기를 갖는 술폰아미드기, 페닐아세틸기나 카르복실기 또는 그의 염 등의 치환기를 1개 내지 몇 개 가지는 동프탈로시아닌유도체를 들 수 있다. 해당 유도체는, 종래부터, 동프탈로시아닌계안료를 도료나 잉크의 비히클 중에 분산시키었을 때의 점도나 유동성 등의 레오로지컬한 성질이나, 안료의 색분리, 안료분산입자의 플로큐레이션 등의 액상착색제에서의 안정성을 개량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래 공지의 이러한 유도체가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하다. 특히 바람직한 성분 C-1의 일예를 하기 식(A)으로 나타낸다.
R= 수소원자 또는 임의의 치환기 n= l∼2
상기 식에 있어서 임의의 치환기로서는 할로겐원자가 바람직하다.
성분 C-2는, 이것과 성분 A-1을 습식 마쇄 함으로써 성분 A-1을 성분 A로 변화시키는 화합물로서도 공지(일본 특허공고 평2-54868호 공보)이며, 종래 공지의 이러한 화합물은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하다. 성분 C-2는, 예컨대,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리딘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디이소시아네이트 혹은 이들 디이소시아네이트 2몰에 대하여 제1의 각종 디아민(해당 디아민은 또한 제2급 또는 제3급아미노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을 1몰의 비율로 반응시켜 얻어지는 디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에, 또한 제2의 아민으로서, N-알킬아민 혹은 N,N-디알킬알킬렌디아민, 폴리알킬렌폴리아민, 스펠민, 스펠미딘 등의 적어도 1개의 제2급 또는 제3급아미노기를 갖는 지방족 제1급 또는 제2급아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것이다. 바람직한 것은 적어도 2개의 제2급 또는 제3급아미노기를 갖는 것이며, 특히 바람직한 것은 3개 이상의 제2급 또는 제3급아미노기를 갖는 것이다. 예컨대, N,N-비스(아미노알킬)아민, N,N-비스(아미노알킬)알킬렌아민 등으로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을 1:2의 몰비로 반응시키고, 이어서 이 생성물과 N-알킬아민 또는 N,N-디알킬알킬렌디아민을 1:2의 몰비로 반응시켜 얻어지는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성분 C-2의 일예를 하기 식(B)으로 나타낸다.
R1∼R5= 수소원자 또는 C1∼C4의 알킬기
R6, R7= -NH- 또는 -NR1-를 포함하여도 좋은 C2∼C6의 알킬렌기
R8= 알릴렌기
본 발명의 안료조성물은, 상기 성분 A와 성분 B와로 이루어지고, 성분 A와 성분 B와의 중량비율이 A:B= 100:0.1∼50, 바람직하게는 100:0.1∼2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성분 C-1 및 /또는 성분 C-2를, 성분 A와 성분 C와의 중량비율이 A:C= 100:0.1∼30, 바람직하게는 100:0.1∼30, 더욱 바람직하게는 0.5∼20으로 포함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안료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1)제1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방법으로 사용하는 성분 A-1은, 조제 동프탈로시아닌을 산페이스트법, 산슬러리법 등의 습식 마쇄나, 솔트미링법 등의 건식 마쇄 등의 종래 공지의 방법으로 처리하여 얻어지는 것이며, 성분 A-1의 제조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성분 A-1과 성분 B와의 혼합물의 마쇄시에 사용하는 비방향족계용매로서는,예컨대,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카르비톨계용매, 셀로솔브계용매, 케톤계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용매는 방향족성이 강해질수록 성분 A-1로부터 성분 A로의 결정전이는 용이하게 되지만, 용매의 방향족성이 너무 강해지면 결정전이의 제어가 곤란하게 되고, β형이 발생되어 버리므로, 주의가 필요하게 된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디에틸렌글리콜 등의 점성이 높은 다가알콜이다. 비방향족계용매는, 통상, 성분 A-1과 성분 B와의 합계량, 경우에 따라서는 성분 C를 가한 합계량의 5∼10중량배 정도의 양으로 사용되지만, 이 양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습식 마쇄에 있어서의 각 성분의 사용비율은, 상기의 안료조성물의 설명한 바와 같다. 성분 A-1에 대한 성분 B 및 성분 C의 사용비율이 적어질수록, 성분 A-1의 성분 A로의 결정형태의 전이는 용이하게 되며, 성분 A-1에 대한 성분 B, 성분 C의 사용비율이 많아질수록, 상기 결정형태의 전이는 곤란하게 된다. 여기서 결정형태의 전이가 곤란하다는 것은, 결정형태의 전이에 고온이나 장시간을 요하는 것이며, 결정형태의 전이가 용이하다는 것은, 전이가 저온 혹은 단시간에 종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결정형태의 전이가 용이하다는 것은, 전이가 너무 진행되어, 결정형이 α형으로부터 β형으로 되어 버릴 위험성도 크다는 점에서, 결정형태 전이의 용이함, 결정형태의 안정성에 있어서는, 성분 B 및/또는 성분 C의 양에 의해서 밸런스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습식 마쇄에 있어서, 상기 성분 중에 소량의 성분 A를 시드(결정종)로서 가하면, 결정형태의 전이의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시드로서의 성분 A의 사용비율은, 상기 각 성분의 합계량에 대하여 약 0.5∼ 20중량%가 바람직하다.
습식 마쇄에는, 예컨대, 볼밀, 비드밀, 샌드밀, 종형 혹은 횡형의 연속매체분산기, 니더, 애트라이터 등의 종래부터 안료의 습식 마쇄에 사용되고 있는 장치의 어떤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마쇄장치는 온도조절을 할 수 있고, 강력한 전단력을 걸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장치로도 좋다.
습식 마쇄에 있어서 특히 중요한 것은, 마쇄계에 β형이 조금이라도 혼재하면, α형으로부터 가장 안정적인 β형으로의 결정전이가 급속히 일어나기 때문에, ε형이 안정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이 때문에 양의 다소에 상관없이, β형의 혼입은 피해야한다.
습식 마쇄에 있어서는, 마쇄조제는 사용하지 않더라도 좋지만, 최종적인 안료조성물의 입자를 조정하기 위해서 필요하면 사용하여도 지장이 없다. 마쇄조제로서는, 종래 공지의 식염, 중탄산소다, 망초(芒硝) 등의 수용성무기염이 사용가능하다. 습식 마쇄는, 통상, 60∼180℃, 바람직하게는 80∼150℃에서 행하여진다.
(2)제2의 제조방법
우선, 상기의 성분 A-1과 성분 B를, 경우에 따라서는 더욱 성분 C를 건식 마쇄하고, 이어서 얻어진 건식 마쇄물을 비방향족용매속에서 습식 마쇄한다. 건식 및 습식 마쇄를 병용함으로써, 습식 마쇄만의 본 발명의 제 1 제조방법보다 각 성분의 혼합이 보다 완전하게 이루어져, 성분 A-1의 성분 A로의 결정형태의 전이시간이 단축된다.
일반적으로 건식 마쇄는, β형을 마쇄하여 α형과 β형과의 혼합물을 제조할 때에 사용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처음부터 α형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α형 및 β형의 혼합물로는 될 수가 없다. 따라서, 건식 마쇄가 β형의 발생의 요인이 되는 일은 없고, 보다 단시간에 성분 A-1의 성분 A로의 결정전이를 완결시키는데 뛰어난 방법이다.
제2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상기 성분 A-1에 대한 상기의 성분 B 및 성분 C의 사용비율은, 제1의 제조방법의 경우와 동일하다. 우선, 이들 성분을 건식 마쇄하는데, 각 성분의 사용전량을 일괄하여 마쇄하는 것이, α형으로부터 ε형으로의 결정형태의 전이를 효과적으로 행하는 데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각 성분은 그 전사용량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건식 마쇄할 수도 있다. 예컨대, 성분 A-1의 전량과 다른 성분의 일부를 사용하는 양태나, 각 성분의 일부만을 사용하는 등의 사용양태를 들 수 있지만, 이들 이외의 각 성분의 사용양태이더라도 상관없다. 성분의 사용전량의 일부를 건식 마쇄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성분의 전량에 대한 사용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0.1∼99.9 중량%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30∼70중량% 이다. 사용하는 마쇄장치는, 제1의 방법의 습식 마쇄에서 사용하는 마쇄장치와 동일하다. 건식 마쇄는, 통상, 20∼100℃, 바람직하게는 30∼70℃의 온도로 행하여진다. 건식 마쇄에는, 예컨대, 볼밀, 진동밀, 애트라이터 등의 공지의 건식 마쇄장치가 사용된다. 또한, 건식 마쇄에 있어서도 상기 의 마쇄조제를 사용할 수가 있다.
이어서, 얻어진 건식 마쇄물을 습식 마쇄하지만, 어느 쪽의 성분의 일부를건식 마쇄한 경우에는, 그 성분의 나머지와 동시에 습식 마쇄한다. 용매는 제1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경우와 같은 비방향족계용매를 사용한다. 습식 마쇄의 실제는, 제1의 제조방법의 경우와 완전히 동일하다. 또한, ε형을, 필요에 따라 시드로서 첨가하는 것도 제1의 제조방법의 경우 와 동일하며, α형으로부터 ε형으로의 결정형태의 전이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3)제3의 제조방법
동프탈로시아닌으로서 결정형태를 불문하는, 즉, 어떤 결정형태이어도 좋은 동프탈로시아닌(성분 A-2)을 사용하고, 제1단계에서 산페이스트법이나 산슬러리법에 준하여 성분 B 및/또는 성분 C의 존재하에, 형성시킨 미세한 α형을 사용하는 점에서, 상기의 제1 또는 제2의 제조방법과는 상위하다. 제2단계에서는 습식 마쇄를 하지만, 이 점은 제1 또는 제2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성분 A-2로서는, 통상, 제법이 여하에 상관없는 조제동프탈로시아닌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3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성분 A-2에 대한 성분 B, 성분 C의 사용비율은, 제1 또는 제2의 제조방법의 경우와 동일하다. 우선, 제1단계의 α형의 형성에 있어서는, 성분 A-2와, 성분 B 및/또는 성분 C를 농도가 60중량% 이상의 황산수용액에 첨가한다. 각 성분의 사용의 양태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전성분을 전량 사용하는, 성분 A-2의 전량과 동시에 성분 B의 전량 또는 일부와 성분 C의 일부를 사용하는 등의 사용양태를 들 수 있지만, 성분 A-2와 동시에 성분 B의 전량 또는 일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B나 성분 C의 일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전량에 대한 사용비율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0.1∼99.9중량%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30∼70중량% 이다.
황산수용액의 사용량은, 통상, 성분 A-2의 사용량의 5∼30중량배 정도이다. 상기 각 성분을 첨가할 때의 황산수용액의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10∼80℃의 범위이다. 각 성분의 첨가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미리 각 성분을 혼합하고 나서 첨가하여도, 동시에 첨가하여도, 혹은 임의의 순서로 각각을 별도로 첨가하여도 상관없다. 또, 성분 B 및/또는 C는, 그것들이 황산수용액에 용해되지 않은 경우에는, 가능한한 미세하게 분산할 수 있도록 미리 미세화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성분 B는 황산에 용해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성분이, 황산으로 변질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성분은 황산수용액에는 첨가하지 않고서, 후술의 습식 마쇄시에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의 황산수용액을 다량의 수중에 주입하고, 수중에 성분 A-2를 α형에 결정전이시켜 석출시킨다. 즉, 황산수용액중에 용해한 성분 A-2와 성분 B, C는, 미세하고 균질한 혼합물로서 석출한다. 이 때, 성분 A-2는 성분 A-1로 결정전이한다. 이것을 여과 등의 종래 공지의 분리수단으로 수용액으로부터 분리하여, 충분히 세정한 뒤, 건조한다.
제2단계에서는, 상기의 제1단계에서 얻어진 α형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비방향족계 용매속에서 습식 마쇄한다. 제1단계에서 성분 B 및/또는 C의 일부를 사용한 경우에는, 이들 잔부와 함께 습식 마쇄한다. 습식 마쇄의 실시 및 비방향족계용매는, 상기 제1의 제조방법의 경우와 완전히 동일하다. 시드로서의 ε형의 사용 및 마쇄조제의 사용도 같다.
이상 설명한 제1∼3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습식 마쇄에 의해 형성된 ε형과 성분 B 및 필요에 따라 성분 C를 포함하는 안료조성물은, 비방향족계용매 및 분산 매디아(이것을 사용한 경우)로부터 종래 공지방법으로 분리되어, 수세, 건조된다. 또, 본 발명의 안료조성물에 있어서는, 상기의 각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어느 한 공정에서, 로딘, 지방족아민, 상기 안료유도체,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폴리에스테르나 1,2-히드록시올레인산폴리에스테르 등 및 그것들의 아미노알킬아미드류, 그것들의 염류, 상기 폴리에스테르류의 나프틸옥시알킬에스테르 등의 고분자분산제 등의 종래 공지의 안료처리제, 계면활성제 혹은 분산제를 첨가할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방법에서 얻어지는 안료조성물(X)은, 각 성분을, 본 발명의 안료조성물과 동일배합비로 단지 혼합(예컨대, 건식 마쇄나 조색시와 동일한 조작에 의한 혼합 등)하여 제작한 안료조성물(Y)과는, 열적거동이 다르고, 양자를 명확히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가열감량도 동시에 측정가능한 시차열분석(TG/DTA)장치를 사용하여, 상기한 2종의 안료조성물(X) 및 (Y)를 측정하면, 이들의 안료조성물에 있어서의 성분 B 유래의 감량에 따른 약한 발열 피크의 온도역이 상위하고, 본 발명방법에 의한 안료조성물(X)과 단순한 혼합으로 제작한 안료조성물(Y)은 명료히 구별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안료조성물(X)은, 종래의 ε형안료조성물(Y)보다도 광학적으로 저파장측(420∼440 nm)에서의 투과율이 높고, 더구나 종래의 ε형안료조성물(Y) 본래의 투과율의 감소를 초래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이 때문에 색조가 붉은 빛 선명한 블루이며, 이러한 색조가 요구되는 칼라필터의 착색제로서 특히 유용하다.
용도에 의해서 착색제를 구성하는 성분은 상위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착색제로서의 본 발명의 안료조성물 이외의 성분(예컨대, 바인더수지, 분산제, 유기용매, 물, 왁스, 플라스틱, 조제 등)은 착색제의 용도에 적합한 것이 사용되고,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착색제 중에 있어서의 상기 안료조성물의 함유량도 특히 한정되지 않고, 착색제의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정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 비교예 및 사용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 글 중, 부 또는 %로 되어 있는 것은 특별히 언급되어 있지 않는 한 중량기준이다. 또, 이하의 실시예로 제조된 안료조성물중의 동프탈로시아닌이 ε형인 것은, X선회절의 블랙 각에서 확인하였다.
비교예1
공지방법으로 얻은 α형 100부, 벤젠환에 1∼2몰의 프탈이미드메틸기가 결합한 동프탈로시아닌유도체(이하 「PIM」이라 생략한다.)「하기 식 (Ⅰ)으로 나타내어진다) 3부, 시드로서 ε형(C.I. 피그먼트 블루 15:6, 이하 동일) 10부, 식염 300부, 및 디에틸렌글리콜(이하, 「DEG」라 약칭함) 110부를 니더 중에서, 내용물의 온도를 100∼110℃으로 유지하여 15시간 습식 마쇄하였다. 얻어진 내용물을 2%의 묽은 황산수용액 속에서 가열처리하고, 여과, 수세, 건조함으로써 ε형을 포함하는비교예의 안료조성물을 얻었다.
TG/DTA 측정장치(세이코전자공업사제 SSC5200열분석시스템)를 사용하여, 승온스피드 10℃/분의 조건에서 상기의 안료조성물을 분석하면, 450℃ 부근에서 감량에 따른 동프탈로시아닌에 특유한 강대한 발열 피크가 관측되었다.
실시예1
공지방법에서 얻은 α형 100부, 퀴나크리돈 바이올렛안료(C.I. 피그먼트바이오렛 19, 이하 동일) 10부, 시드로서 ε형 10부, 식염 300부, 및 DEG 110부를 니이더속에서 내용물의 온도를 110∼120℃로 유지하여 5시간 습식 마쇄하였다. 얻어진 내용물을 2%의 묽은 황산수용액속에서 가열처리하고, 여과, 수세, 및 건조하여, 본 발명의 안료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2
공지방법으로 얻은 α형 100부, 트리렌디인소시아네이트와 N,N-비스(3-아미노프로필) 메틸아민을 2:1의 몰비로 초산에틸 속에서 반응시켜 얻어지는 화합물 1몰에, 더욱 2몰의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렌디아민을 반응시켜 얻어진 화합물[하기식(Ⅱ)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5부, 퀴나크리돈 바이올렛안료 3부, 식염 300부, 및 DEG 110부를 니이더속에서 내용물의 온도를 100∼110℃로 유지하여 30시간 습식 마쇄하였다. 얻어진 내용물을 2%의 묽은 황산수용액 속에서 가열처리하여, 여과, 수세, 및 건조하여, 본 발명의 안료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3
공지방법으로 얻은 α형 100부, PIM 3부, 디옥사이딘바이올렛안료(C.I. 피그먼트 바이올렛 23, 이하 같음) 3부, 시드로서 ε형 10부, 식염 300부, 및 DEG 110부를 니이더 중에서 내용물의 온도를 100∼110℃로 유지하여 15시간 습식 마쇄하였다. 얻어진 내용물을 2%의 묽은 황산수용액 중에서 가열처리하고, 여과, 수세, 및 건조하여, 본 발명의 안료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4
공지방법에 의한 α형 100부, PIM 3부 및 디옥사딘바이올렛안료 3부를 애트라이터 중에서 1시간 건식 마쇄하여, 얻어진 혼합물, 시드로서, ε형 10부, 식염 300부, 및 DEG 110부를 니이더 속에 내용물의 온도를 100∼110℃로 유지하여 7시간 습식 마쇄하였다. 얻어진 내용물을 2%의 묽은 황산수용액 중에서 가열처리하여,여과, 수세, 및 건조하여, 본 발명의 안료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5
공지방법에 의한 α형 100부, 상기 식 Ⅱ에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3부, 인던스렌블루안료(C.I.피그먼트 블루 60, 이하 동일) 10부를 애트라이터 속에서 1시간 건식 마쇄하였다. 얻어진 혼합물, 시드로서 ε형 10부, 식염 300부, 및 DEG 110부를 니이더 속에서 내용물의 온도를 100∼110℃로 유지하여 7시간 습식 마쇄하였다. 얻어진 내용물을 2%의 묽은 황산수용액 속에서 가열처리하고, 여과, 수세, 및 건조하여, 본 발명의 안료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6
공지방법에 의한 α형 100부, PIM 3부 및 퀴나크리돈바이올렛안료 3부를 애트라이터 속에서 1시간 건식 마쇄하였다. 얻어진 혼합물, 시드로서 ε형 10부, 식염 300부, 및 DEG 110부를 니이더속에서 내용물의 온도를 80∼90℃에 유지하여 40시간 습식 마쇄하였다. 얻어진 내용물을 2%의 묽은 황산수용액 속에서 가열처리하고, 여과, 수세, 및 건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안료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7
공지방법에 의한 α형 100부, PIM 10부 및 퀴나크리돈 바이올렛안료 3부를 애트라이터 속에서 1시간 건식 마쇄 하였다. 얻어진 혼합물, 시드로서 ε형 10부, 식염 300부, 및 DEG 110부를 니이더 속에서 110∼120℃에서 30시간 습식 마쇄하였다. 얻어진 내용물을 2%의 묽은 황산수용액 중에서 가열처리하여 여과, 수세 및 건조하여, 본 발명의 안료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8
공지방법에 의한 조제동프탈로시아닌 블루 100부 및 퀴나크리돈 바이올렛안료 3부를 800부의 98% 황산속에서 용해한 뒤, 얻어진 용액을 3200부의 물에 주입하여 α형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석출시켜, 여과, 수세, 및 건조하였다. 얻어진 α형을 포함하는 혼합물, PIM 3부, 시드로서 ε형 10부, 식염 300부, 및 DEG 110부를 니이더속에서 100∼110℃에서 10시간 습식 마쇄하였다. 얻어진 내용물을 2%의 묽은 황산수용액 속에서 가열처리하여, 여과, 수세, 및 건조하여, 본 발명의 안료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9
공지방법에 의한 조제동프탈로시아닌 블루 100부 및 디옥사딘바이올렛안료 3부를 2000부의 81% 황산 속에서 용해한 뒤, 얻어진 용액을 6000부의 수중에 가하여 α형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석출시켜, 여과, 수세, 및 건조하였다. 얻어진 α형을 포함하는 혼합물, PIM 3부, 시드로서 ε형 10부, 식염 300부, 및 DEG 110부를 니이더 속에서 100∼110℃에서 10시간 습식 마쇄하였다. 얻어진 내용물을 2%의 묽은 황산수용액 속에서 가열처리하고, 여과, 수세, 및 건조하여, 본 발명의 안료조성물을 얻었다. 이 안료조성물을 비교예1과 같이 하여 시차열분석을 한 바, 395℃ 부근에 감량을 수반한 약한 발열 피크와, 450℃ 부근에서 감량을 수반한 강대한 발열 피크가 관측되었다.
실시예10
공지방법에 의한 조제동프탈로시아닌 블루 100부 및 디옥사딘바이올렛안료10부를 2000부의 98% 황산 중에 용해한 후, 얻어진 용액을 6000도의 물에 주입하여 α형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석출시켜, 여과, 수세, 및 건조하였다. 얻어진 α형을 포함하는 혼합물, PIM 3부, 시드로서 ε형 10부 및 식염 300부, 및 DEG 110부를 니이더 속에서 100∼l10℃로 10시간 습식 마쇄하였다. 얻어진 내용물을 2%의 묽은 황산수용액 속에서 가열처리하고, 여과, 수세, 및 건조하여, 본 발명의 안료조성물을 얻었다. 이 안료조성물을 비교예1과 동일하게 하여 시차열분석을 한 바, 405℃ 부근에 감량을 수반한 약한 발열피크와, 450℃ 부근에서 감량을 수반한 강대한 발열 피크가 관측되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안료조성물을 포함하는 착색제 및 그 사용예를 나타낸다. 또, 본 발명의 안료조성물이 하기 예시 이외의 어떠한 용도에 있어서도 착색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실시예11
안료조성물로서 실시예6에서 제작한 안료조성물을 사용하여, 소형비드밀을 사용하여, 표 1에 기재된 배합처방에 따라 짙은 색 에나멜을, 또한, 표 2에 기재된 배합처방에 따라서 백색 에나멜을 얻었다. 얻어진 짙은 색 에나멜과 백색 에나멜을, 짙은 색 에나멜/백색 에나멜=1/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청색담채색 도료를 얻었다.
표 1짙은 색 에나멜배합처방:
안료조성물 10.0부
알키드왁스(고형분 60%) 88.9부
멜라민왁스(고형분 60%) 22.2부
크실롤/n-부탄올= 8/2(중량비) 20.0부
표 2백색 에나멜배합처방:
산화티타늄 30.0부
알키드왁스(고형분 60%) 80.0부
멜라민왁스(고형분 60%) 20.0부
크실롤/n-부탄올= 8/2(중량비) 20.0부
실시예12
실시예6의 안료조성물 대신에, 실시예8에서 제작한 안료조성물을 사용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청색담채색도료를 얻었다.
비교예2
실시예6의 안료조성물 대신에, 비교예1에서 제작한 안료조성물과, 퀴나크리돈 바이올렛안료를 실시예6의 안료조성물과 동비율이 되도록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11과 같은 방법으로 청색담채색도료를 얻었다.
실시예11, 12 및 비교예2의 청색담채색도료의 각각을 스프레이점도(포드컵 NO.4로써 14초)까지 신나로 희석하고, 에어스프레이건으로 하지(下地)처리를 실시한 스틸패널에 뿜어 도장을 행하였다. 15분간 실온에서 건조 후, 140℃, 30분간 베이킹하고 경화시켜 스틸패널을 작성하였다.
실시예11 및 12에 의한 패널의 색조는, 비교예2의 패널의 색조와 비교하여 보다 붉은 빛이 선명하며, 색상 및 착색력이 우수하였다. 이들 패널의 채도 및 착색력에 대하여, 스가시험기사제의 광전색채계 SM칼라컴퓨터(모델 SM-4)에서 측정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색상은 C*=「(a*)2+ (b*)21/2
착색력은 TS=「1-(Vyex-Vys)]×100
의 계산치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Vyex는 실시예11 및 12의 y치, Vys는 비교예2의 y값이다.
표 3채도 및 착색력 측정 결과:
채도증가분(ΔC * ) 착색력
실시예11 1.0 104
실시예12 1.2 105
비교예2 0.0 100
실시예13
안료조성물로서 실시예3에서 제작한 안료조성물을 사용하여, 표 4에 기재된 배합처방에 따라 DOP(디옥틸프탈레이트)와 3개 로울 상에서 40℃ 이하에서 혼련하여, 안료분 50%의 칼라페이스트를 제작한다. 이 칼라페이스트를 2개 로울 상에서 160∼165℃에서, 겔화한 폴리염화비닐 컴파운드와 혼련하여, 꺼낸 혼련물을 165∼175℃에서 150 kg/cm2의 하중을 걸어 시트화하고, 냉각하여 1mm 두께의 짙은 색 시트를 제작하였다.
표 4짙은 색 시트배합 처방:
안료조성물 0.5부
DOP 0.5부
폴리염화비닐 컴파운드 100.0부
다음에 얻어진 짙은 색 시트와 백색 폴리염화비닐 컴파운드를 표 5에 기재된 배합처방에 따라서 2개 로울 상에서 160∼165℃로 혼련하고, 꺼낸 혼련물을 160∼165℃에서 150 kg/cm2의 하중을 걸어 시트화하고, 냉각하여 1mm 두께의 담색시트를 제작하였다.
표 5담색 시트 배합처방:
짙은 색 시트 25.0부
백색 폴리염화비닐 컴파운드 75.0부
(산화티타늄분 2.6%)
실시예14 및 15
실시예3의 안료조성물 대신에, 각각 실시예4 및 9로 제작한 안료조성물을 사용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13와 동일한 방법으로 짙은 색 시트 및 담색시트를 작성하였다.
비교예3
실시예3의 안료조성물 대신에, 비교예1에서 작성한 안료조성물과 디옥사이딘바이올렛을 실시예3의 안료조성물과 동비율이 되도록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이외는실시예13과 같은 방법으로 짙은 색 시트 및 담색시트를 작성하였다.
실시예13, 14, 15 및 비교예3의 짙은 색 시트에 대하여, 색조의 선명성 및 투명성을 목시로써 판정하였다. 또한, 실시예 13, 14, 15 및 비교예3의 담색시트에 있어서는, 그 착색력을 상기와 같은 장치로써 측정하여, 같은 계산치로써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표 6색조 및 착색력 측정결과:
선명성 투명성 착색력
실시예13 ○ ○ 104
실시예14 ◎ ○ 105
실시예15 ◎ ◎ 106
비교예3 △ △ 100
△:보통, ○:우수하다, ◎:지극히 우수하다.
실시예16
안료조성물로서 실시예9로 제작한 안료조성물을 사용하여, 표 7의 배합처방으로써 분산시켜, 칼라필터용착색제(베이스컬러)를 제작하였다.
표 7베이스컬러 배합처방:
안료조성물 15.0부
아크릴수지용액 22.5부
분산제용액 2.5부
PGMAc* 및 그 외 용제 60.0부
*PGMAc: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비교예4
실시예9에서 제작한 안료조성물 대신에, 비교예1에서 제작한 안료조성물을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16과 같은 방법으로 베이스컬러를 제작하였다.
비교예5
실시예9에서 제작한 안료조성물 대신에, 비교예1에서 제작한 안료조성물과 디옥사딘바이올렛안료를 실시예9의 안료조성물과 동비율이 되도록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16과 같은 방법으로 베이스컬러를 제작하였다.
실시예16, 비교예4 및 5의 베이스컬러 각각을 스핀코터로써 유리기판에 도포하여, 프리베이크하였다. 이 도포패널을 다이이치세이카공업사제 칼라콤(C)으로 광투과특성을 측색한 바, 표 8에 나타내는 값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이들 프리베이크막의 분광광도계로 측정한 분광커브를 도 1에 나타낸다.
표 8청색베이스컬러 도포패널의 광투과성:
Y x y
실시예16 20.8 0.142 0.154
비교예4 20.8 0.140 0.154
비교예5 19.5 0.143 0.154
도포패널의 내열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상기의 각 도포패널을 250℃의 가열분위기 중에 1시간 방치 후, 측색하였다. 내열성의 지표로서 내열성시험 전후의 색차「ΔEab* (내열성)」을 구하였다. 또한, 도포패널의 내광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실시예16, 비교예4 및 5의 베이스컬러 각각을 스핀코터로 유리기판에 도포하고, 프리베이크 후, 측색하였다. 그 각 도포패널을 메탈할라이드램프 90 mW 분위기에서 12시간 방치 후, 측색하였다. 내광성의 지표로서 메탈할라이드램프 조사전후의 색차「ΔEab*(내광성)」을 구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표 9청색 베이스칼라도포패널의 내열성 및 내광성:
ΔEab* ΔEab*
실시예16 1.0 0.4
비교예4 3.2 1.0
비교예5 3.9 1.3
실시예16에서 얻어지는 청색베이스컬러는, 비교예4 및 5의 청색베이스칼라에 비교하여, 내열성 및 내광성에 대해서 분명한 우위가 인정되었다.
실시예17
블루(B)의 칼라필터막을 얻기 위해서, 실시예16의 블루베이스칼라를 사용하여, 표10의 배합처방으로써 B의 감광성안료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18
레드(R)의 칼라필터막을 얻기 위해서, 실시예16에 있어서, 안료로서 실시예9에서 제작한 안료조성물을 사용하는 대신에 적색안료(C.I. 피그먼트레드 177)를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16과 같은 방법으로 제작한 레드베이스칼라를 사용하여, 표 10의 배합처방으로써 R의 감광성 안료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19
그린(G)의 칼라필터막을 얻기 위하여, 실시예16에 있어서, 안료로서 실시예9에서 제작한 안료조성물을 사용하는 대신 녹색안료(C.I. 피그먼트그린 36)를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16과 같은 방법으로 제작한 그린베이스칼라를 사용하고, 표 10의 배합처방으로써 G의 감광성 안료분산액을 얻었다.
표 10 감광성 수지안료분산액 R, G, B의 배합처방
R G B
레드베이스칼라 75 - -
그린베이스칼라 - 85 -
실시예16의 블루베이스칼라 - - 100
아크릴수지 50 50 50
트리메티롤프로판아크릴레이트 10 10 10
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놀 2 2 2
2,2-디에톡시아세트페논 1 1 1
PGMAc 37 37 37
합계 175 185 200
실시예20
액정 칼라디스플레이의 R, G, B의 칼라필터를 얻기 위해서, 실란커플링제 처리를 한 유리기판을 스핀코터로 세트하고, 상기 R의 칼라필터용 감광성 안료분산액을 최초 300 rpm으로 5초간, 이어서 1,200 rpm으로 5초간의 조건에서 스핀코트하였다. 이어서 80℃에서 10분간 프리베이크를 하여, 모자이크형상의 패턴을 갖는 포토마스크를 밀착시키고, 초고압수은등을 사용하여, 100 mJ/cm2의 광량으로 노광을 하였다. 이어서 전용현상액 및 전용린스로 현상 및 세정을 하고, 유리기판 상에 적색의 모자이크형상패턴을 형성시키었다.
이어서 녹색 모자이크형상패턴 및 청색 모자이크형상패턴을 상기의 G 및 B의칼라필터용 감광성 안료분산액을 사용하여 상기의 방법에 준하여 도포 및 베이킹을 행하여 형성하고, RGB의 칼라필터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칼라필터는, 뛰어난 분광커브특성을 가지며, 내광성, 내열성 등의 견뢰성이 우수하고, 또한 빛의 투과성에도 뛰어난 성질을 갖고, 특히 청색이 선명한 붉은 빛을 띠는 청색의 색조 및 고투과성의 특징을 가지는 액정칼라필터로서 뛰어난 성질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의 안료조성물은, 모든 용도, 예컨대, 플라스틱용착색제, 도료, 인쇄잉크, 날염제, 전자사진토너, 칼라필터용칼라, 잉크젯용 잉크, 열전사 잉크 등의 착색에 있어서, 채도, 선명성의 저하, 투과율의 감소를 일으키는 일없이, 종래의 동프탈로시아닌안료 보다 붉은 빛이 선명한 색조를 띰과 동시에, 내열성, 내용제성, 내광성, 내후성이 향상한 착색제로서 유용하다.

Claims (22)

  1. ε형 동프탈로시아닌(성분 A)과, 축합다환계색소 및 아조계색소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색소(성분 B)를 혼합습식 마쇄하여 이루어지며, 성분 A와 성분 B와의 중량비율이 A:B=100:0.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A:B=100:0.1∼20인 안료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B가, 펠리렌안료, 펠리논안료, 퀴나크리돈안료, 디옥사딘안료, 디케토피로로피롤안료, 안트라퀴논안료, 키노프탈론안료, 인디고안료, 티오인디고안료, 메틴안료, 아조메틴안료, 금속착체안료 및 그것들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안료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B가, 블루에 가까운 청자색 내지 자색의 안료 또는 그 유도체인 안료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B가, C.I.피그먼트 바이올렛 19, C.I.피그먼트 바이올렛 23 및 C.I.피그먼트 블루 60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안료조성물.
  6. 벤젠환에 치환기를 가지는 동프탈로시아닌유도체(성분 C-1), 및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과 적어도 한 개의 제2급 또는 제3급아미노기를 가지는 지방족 제1급 또는 제2급아민에서 얻어지는 화합물(성분 C-2)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성분 C)을 더욱 포함하고, 성분 A와 성분 C와의 중량비율이 A:C= 100:0.1 ∼30인 안료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A:C=100:0.5∼20인 안료조성물.
  8. 제 6 항에 있어서, 성분 C-1이, 하기 구조식(A)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인 안료조성물.
    R= 수소원자 또는 임의의 치환기 n=1∼2
  9. 제 6 항에 있어서, 성분 C-2가, 하기 구조식(B)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인안료조성물.
    R1∼R5= 수소원자 또는 C1∼C4의 알킬기
    R6, R7= -NH- 또는 -NR1-를 포함하여도 좋은 C2∼C6의 알킬렌기
    R8= 알릴렌기
  10. α형 동프탈로시아닌(성분 A-1)과 성분 B를, 그 중량비율이 A-1:B= 100:0.1∼50의 비율로, 비방향족계 용매중에서 습식 마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성분 A-1과 성분 B를, 그 중량비율이 A-1:B= 100:0.1∼50의 비율로, 건식 마쇄하고, 이어서 얻어진 건식 마쇄물을 비방향족계 용매 중에서 습식 마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조성물의 제조방법.
  12. 결정형을 불문하는 동프탈로시아닌(성분 A-2)과 성분 B를, 그 중량비율이 A-2:B= 100:0.1∼50의 비율로 60중량% 이상의 황산수용액에 첨가하고, 얻어진 황산수용액을 물속에 주입하여 상기 성분 A-2를 성분 A-1로 결정전이시키고, 얻어진 성분 A-1과 성분 B와의 혼합물을, 비방향족계 용매속에서 습식 마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C를 더욱 포함하고, 성분 A와 성분 C의 중량비율이 A:C= 100:0.1∼30인 제조방법.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습식 마쇄를, 60∼180℃에서 행하는 제조방법.
  15.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를, 결정종(시드)로서 가하여 습식 마쇄하는 제조방법.
  16. 제 10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습식 마쇄를, 마쇄조제의 존재하에서 행하는 제조방법.
  17. 제 10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습식 마쇄를, 다가알콜의 존재하에서 행하는 제조방법.
  18. 제 10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서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조성물.
  19.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C/DTA 분석에 의한 감량을 수반하는 약한 피크를 390∼420℃의 온도역에 가지며, 또한 감량을 수반하는 강대한 피크를 450℃ 이상의 온도영역에 가지는 안료조성물.
  20. 안료와 피막형성용수지, 또는 이들과 액매체로 이루어지며, 안료가 제 1 항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안료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제.
  21. 물품을 착색하는 방법에 있어서, 착색제로서 제 20 항에 기재된 착색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착색방법.
  22. 제 21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 착색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물품.
KR10-2001-0005028A 2000-02-04 2001-02-02 안료조성물, 그 제조방법, 착색제 및 착색물품 KR1005141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28411 2000-02-04
JP28411 2000-02-04
JP2000186722 2000-06-21
JP186722 2000-06-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276A true KR20010078276A (ko) 2001-08-20
KR100514162B1 KR100514162B1 (ko) 2005-09-13

Family

ID=26584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028A KR100514162B1 (ko) 2000-02-04 2001-02-02 안료조성물, 그 제조방법, 착색제 및 착색물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468341B2 (ko)
EP (1) EP1130065B1 (ko)
KR (1) KR100514162B1 (ko)
CN (1) CN100427551C (ko)
DE (1) DE60117627T8 (ko)
ES (1) ES2259630T3 (ko)
IL (1) IL141149A (ko)
MY (1) MY127360A (ko)
TW (1) TWI28958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3816A (ko) * 2011-07-22 2014-04-10 다이니치 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녹미 청색 안료, 상기 안료를 포함하는 착색제 조성물 및 화상 기록제
KR101455122B1 (ko) * 2006-02-17 2014-10-28 시바 홀딩 인크 콘트라스트가 향상된 청색 컬러 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907878D0 (en) * 1999-04-08 1999-06-02 Ciba Geigy Ag Process of shading
KR20040047933A (ko) * 2001-10-19 2004-06-05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크. 컬러 필터 및 lcd용으로 유용한 녹색 안료 조성물의제조방법
US7349155B2 (en) * 2002-10-28 2008-03-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creen having a layer of reflectors
US7189284B2 (en) * 2002-10-28 2007-03-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k with bragg reflectors
US20050080189A1 (en) * 2003-08-19 2005-04-14 John Waters Polymeric colorants
EP2447327B1 (en) * 2003-11-28 2013-07-31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Dispers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colored organic solid particle
DE102004010284A1 (de) 2004-03-03 2005-09-22 Clariant Gmbh Pigmentzubereitungen auf Basis Phthalocyaninpigment
JP2005306840A (ja) * 2004-03-26 2005-11-04 Toyo Ink Mfg Co Ltd 銅フタロシアニン・ヨウ素分子間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法
US7211664B2 (en) 2004-03-26 2007-05-01 Toyo Ink Mfg. Co., Lt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epsilon crystal form copper phthalocyanine
US7384465B2 (en) * 2004-06-25 2008-06-10 E.I. Du Pont De Nemours & Co. Pigmented blue inkjet ink color reproduction
JP2007002114A (ja) * 2005-06-24 2007-01-11 Toyo Ink Mfg Co Ltd ε型フタロシアニン顔料の製造方法
JP5205715B2 (ja) * 2006-06-16 2013-06-05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ε型銅フタロシアニン顔料、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着色組成物
DE102007001851A1 (de) * 2007-01-12 2008-07-17 Clariant International Ltd. Feinteilige Epsilon-Kupferphthalocyanin-Komposition (Pigment Blau 15:6) zur Verwendung als Pigment
CN101627089B (zh) 2007-02-07 2013-08-21 西巴控股有限公司 蓝色酞菁颜料组合物及其制备
KR101494476B1 (ko) 2007-02-19 2015-02-17 바스프 에스이 피그먼트 레드 149의 제조
DE102007033191A1 (de) 2007-07-17 2009-01-22 Clariant International Ltd. Feinteilige epsilon-Kupferphthalocyanin-Pigmentzubereitung
EP2039727A1 (en) * 2007-09-18 2009-03-25 SOLVAY (Société Anonyme) Preparation of epsilon copper phthalocyanine of small primary particle size and narrow particle size distribution
EP2060608A1 (en) * 2007-11-15 2009-05-20 SOLVAY (Société Anonyme) Preparation of epsilon copper phthalocyanine of small primary particle size and narrow particle size distribution by kneading
CN102356130B (zh) * 2009-03-18 2014-01-08 索尔维公司 制备呈现α晶形的酞菁铜颗粒的方法
US9309399B2 (en) 2009-03-31 2016-04-12 Dnp Fine Chemicals Co., Ltd. Pigment dispersion liquid, a method for producing the pigment dispersion liquid, a photosensitive color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pigment dispersion liquid, an ink-jet ink comprising the pigment dispersion liquid, a toner for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comprising the pigment dispersion liquid, and color filter
JP6347534B2 (ja) * 2013-04-26 2018-06-27 クラリアント・ファイナンス・(ビーブイアイ)・リミテッド 顔料組成物及び顔料樹脂混合物
JP6808542B2 (ja) * 2016-03-18 2021-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及びトナーの製造方法
CN111164157B (zh) * 2017-12-14 2021-09-07 Dic株式会社 着色组合物和滤色器
WO2023208924A1 (en) * 2022-04-26 2023-11-02 Sun Chemical Corporation Mixed crystal composition of quinacridones with diketopyrrolopyrroles and manufacturing proces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60793C3 (de) * 1973-12-06 1980-11-06 Hoechst Ag, 6000 Frankfur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upferphthalocyaninpigmenten der a -Modifikation und deren Verwendung
DE2516054C3 (de) * 1975-04-12 1979-05-10 Basf Ag, 6700 Ludwigshafen Gegen Rekristallisation und Modifikationsumwandlung stabilisierte Phthalocyaninzubereitungen und deren Verwendung
DE2742066A1 (de) * 1976-09-21 1978-03-23 Ciba Geigy Ag Kupferphthalocyanin-pigmentzusammensetzung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S5880368A (ja) 1981-11-07 1983-05-14 Sakura Color Prod Corp 筆記具用顔料水性インキ組成物
US4386966A (en) * 1981-12-14 1983-06-0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pper phthalocyanine pigment process
DE3207330A1 (de) * 1982-03-02 1983-09-08 Basf Ag, 6700 Ludwigshafen Neue zubereitungen von phthalocyaninen und deren verwendung
JPS59116755A (ja) * 1982-12-24 1984-07-05 Toyo Ink Mfg Co Ltd 電子写真感光体
GB8515600D0 (en) * 1985-06-20 1985-07-24 Ciba Geigy Ag Pigmentary copper phthalocyanine
JPS6254774A (ja) * 1985-09-04 1987-03-10 Toyo Ink Mfg Co Ltd カラ−フイルタ用インキ組成物
US4709021A (en) * 1985-11-06 1987-11-24 Basf Corporation Copper phthalocyanine pigments
GB2231166B (en) * 1989-04-13 1993-05-05 Ind Tech Res Inst Organic photoreceptor for use in electrophotography
JPH04163503A (ja) * 1990-10-29 1992-06-09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ー製造方法
JPH0572810A (ja) * 1991-04-16 1993-03-26 Dainippon Ink & Chem Inc 2成分シアン色現像剤用トナー及び2成分シアン色現像剤
JPH08295820A (ja) * 1995-04-25 1996-11-12 Mitsubishi Chem Corp カラーフィルター用顔料分散液
JPH0959531A (ja) * 1995-08-29 1997-03-04 Dainippon Ink & Chem Inc α型銅フタロシアニン顔料組成物の製造法
JPH0995638A (ja) * 1995-09-28 1997-04-08 Nippon Steel Chem Co Ltd 青色画像形成用材料並びにその硬化物を構成成分とするカラーフィルター
DE19538140A1 (de) * 1995-10-13 1997-04-17 Basf Ag Verfahren zum Färben oder Bedrucken von Melamin-Formaldehyd-Kondensationsprodukten mittels Pigmenten
JPH09197663A (ja) * 1996-01-17 1997-07-31 Nippon Steel Chem Co Ltd 青色画像形成用材料ならびにその硬化物を構成成分とするカラーフィルター
JPH10120931A (ja) * 1996-10-15 1998-05-12 Idemitsu Petrochem Co Ltd シンジオタクチック構造を有するスチレン系重合体(sps)着色用有機系顔料、sps着色用色材及び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US5869929A (en) * 1997-02-04 1999-02-09 Idemitsu Kosan Co., Ltd. Multicolor luminescent device
JPH11256061A (ja) * 1998-03-10 1999-09-21 Mitsubishi Paper Mills Ltd フタロシアニンの新規な混晶体、並びにそれを用いた電子写真感光体の製造方法
GB9907878D0 (en) * 1999-04-08 1999-06-02 Ciba Geigy Ag Process of shading
JP4075286B2 (ja) * 1999-06-21 2008-04-16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ハロゲンを含有しない緑色顔料組成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122B1 (ko) * 2006-02-17 2014-10-28 시바 홀딩 인크 콘트라스트가 향상된 청색 컬러 필터
KR20140043816A (ko) * 2011-07-22 2014-04-10 다이니치 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녹미 청색 안료, 상기 안료를 포함하는 착색제 조성물 및 화상 기록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4162B1 (ko) 2005-09-13
EP1130065B1 (en) 2006-03-08
ES2259630T3 (es) 2006-10-16
CN100427551C (zh) 2008-10-22
IL141149A (en) 2006-08-20
DE60117627T8 (de) 2006-12-07
DE60117627T2 (de) 2006-08-10
US6468341B2 (en) 2002-10-22
IL141149A0 (en) 2002-02-10
CN1323857A (zh) 2001-11-28
MY127360A (en) 2006-11-30
DE60117627D1 (de) 2006-05-04
US20010047740A1 (en) 2001-12-06
TWI289588B (en) 2007-11-11
EP1130065A2 (en) 2001-09-05
EP1130065A3 (en) 2001-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4162B1 (ko) 안료조성물, 그 제조방법, 착색제 및 착색물품
KR100445555B1 (ko) 칼라필터용 안료분산액, 칼라필터의 제조방법 및 칼라필터
KR100303697B1 (ko) 안료분산제,안료분산액,및칼라필터용안료분산액
US20060189726A1 (en) Preparation of yellow pigment
EP1118641B1 (en) Pigment dispersants and pigment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CN1847326B (zh) 像素形成用着色剂及其使用
JP6196370B2 (ja) 近赤外線反射・透過性アゾ顔料、近赤外線反射・透過性アゾ顔料の製造方法、これらのアゾ顔料を用いた着色剤組成物、物品の着色方法及び着色物品
JP4398101B2 (ja) カラーフィルター用青色インキ組成物、それ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ー
KR20100031617A (ko) 미세 입자 엡실론 구리 프탈로시아닌 안료 제제
JP2002020647A (ja) 黒色顔料組成物
JPS6326784B2 (ko)
JP4361676B2 (ja) 顔料組成物の製造方法
JPS61246261A (ja) 顔料分散剤
JP5796145B1 (ja) 顔料分散剤、顔料組成物、及び顔料着色剤
US6926768B2 (en) Treatment of high performance pigments
JP6421131B2 (ja) 顔料分散剤、顔料組成物、及び顔料着色剤
JP5796144B1 (ja) 顔料分散剤、顔料組成物、及び顔料着色剤
JP5730221B2 (ja) 顔料分散剤、顔料組成物、及び顔料着色剤
JP6421132B2 (ja) 顔料分散剤、顔料組成物、及び顔料着色剤
JP6746455B2 (ja) ピリミドキナゾリン顔料、ピリミドキナゾリン顔料の製造方法、及び顔料着色剤
JP5705754B2 (ja) 顔料分散剤、顔料組成物、及び顔料着色剤
BRPI0611255A2 (pt) pigmento azo finamente dividido e processos para a produÇço do mesmo
KR20160129086A (ko) 피리돈 염료 조성물
JP2013142115A (ja) 顔料分散剤、顔料組成物、及び顔料着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