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2170A - 발포성 오일 제제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발포성 오일 제제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2170A
KR20010072170A KR1020017001377A KR20017001377A KR20010072170A KR 20010072170 A KR20010072170 A KR 20010072170A KR 1020017001377 A KR1020017001377 A KR 1020017001377A KR 20017001377 A KR20017001377 A KR 20017001377A KR 20010072170 A KR20010072170 A KR 20010072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oil
group
alkyl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1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토르크안야
폰슈테텐옷토
Original Assignee
존슨앤드존슨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앤드존슨게엠베하 filed Critical 존슨앤드존슨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10072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217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2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substituted by amido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uric acid derivatives, e.g. sodium lauryl sulf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6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14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derived from aliphatic hydrocarbons or mono-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83Mixtures of non-ionic with anio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성 또는 양쪽 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알킬 포스페이트 성분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 혼합물과 오일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성분은 피부, 점막 및 눈에 매우 안정적이며 우수한 기포 형성 특성을 갖는다.

Description

발포성 오일 제제 및 이의 용도{Foaming oil preparation and its use}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와 오일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피부를 세정하면 첨가되는 계면활성제와는 관계없이, 각질 층이 팽윤되고 수용성 때 성분이 세척 분리되며 피부 내생 성분이 세척되어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피부 지방 또한 용해 제거되므로 피부에 이들 또는 보조적 보호 성분을 보충해야 할 필요성을 낳게 된다.
이를 위해, 목욕용 또는 샤워용 제제로 오일 제제가 당업계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들은 물과 접촉시 두 상으로 분리, 예를 들면 물 표면 위로 오일 상이 분리되기 보다는 바람직하게는 에멀젼 또는 완전 용해물을 형성하는 단일-상 시스템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에멀젼 형성 결과, 피부, 특히 건성 피부는 세정 과정 동안 두 상 시스템에서 보다 바람직한 오일로 보다 잘 보호된다.
계면활성제를 갖거나 갖지 않는 오일 제제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향장용 또는 외피용 샤워 오일로 사용하기 위한 계면활성제 함유 오일 제제가 DE 44 24 210 C2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오일 제제는 계면활성제 55% 이하, 선택된 오일 성분 45% 이상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기술된 오일 제제는 무수성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지방 알코올 에톡실레이트, 지방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 알코올 설페이트의 아미드, 지방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지방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의 아미드,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및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오일 성분의 종류가 제한되지는 않지만, 또한 상기 공보에서 트리글리세라이드가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언급되어 있지만, 당업자들은 지금까지 통상 계면활성제 함유 제제용으로, 특히 오일 제제 중의 오일 성분이 모두 식물성일 경우, 파라핀 오일이나 피마자 오일이 필수적으로 사용됨을 인지하고 있으며, 이는 상기 공보의 실시예에서도 나타나 있다.
오일 제제의 제조시, 아토피성 습진을 앓고 있는 사람들 및 예를 들면, 환경, 자극, 광손상 및 피부 노화에 의한 손상의 결과 피부에 특별한 주의를 요하는 사람들에게 사용될 경우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일 성분 선택에 제한을 가하지 않으면서, 발포성이 우수하고 피부, 점막 및 눈에 특히 안정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계면활성제의 함량을 가능한한 낮게 유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 혼합물 및 오일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계면활성제 혼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성 또는 양쪽 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알킬 포스페이트 성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성물의 총 함량을 기준으로 계면활성제의 함량비가 15 내지 50%, 오일 성분의 함량비가 50 내지 85%인 것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필수적으로 무수이고(이거나) 양장용 및/또는의약용 보조제, 첨가제 및 활성 성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실시태양에서, 음이온성 및/또는 양쪽 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함량은 총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30%이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음이온성 및/또는 양쪽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3 내지 20%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음이온성 및/또는 양쪽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5 내지 15%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실시태양에서, 음이온성 및/또는 양쪽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알코올 설페이트, 에톡실화된 알킬 알코올 설페이트 및 알킬 아미도프로필베타인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알코올 설페이트 및/또는 에톡실화된 알킬 알코올 설페이트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위의 화학식 1에서,
a는 0 내지 10의 정수이고,
R1은 탄소수 8 내지 24의 직쇄 또는 분지쇄,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 그룹이며,
X+는 알칼리 금속 이온, 알칼리 토금속 이온 및 암모늄 이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여기서, 암모늄 이온은 0개 이상의 알킬 그룹 및/또는 0개 이상의 하이드록시알킬 그룹에 의해 치환되고, 상기 알킬 및/또는 하이드록시 알킬 그룹은 분지쇄 또는 직쇄, 포화 또는 불포화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a는 1 내지 6의 정수이다.
또한,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알킬 및/또는 하이드록시 알킬 그룹은 탄소수 1 내지 8의 쇄 길이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1 내지 28%이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5 내지 25%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7 내지 23%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지방 알코올 에톡실레이트, 알킬 지방산 아미드, 에톡실화된 지방산 아미드 및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지방 알코올 에톡실레이트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지방 알코올 에톡실레이트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위의 화학식 2에서,
R2는 탄소수 8 내지 24의 분지쇄 및 직쇄, 포화 및 불포화 알킬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m은 1 내지 40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지방산 아미드는 다음과 같은 구조(화학식 3a)를 가지며/거나, 에톡실화된 지방산 아미드는 다음과 같은 구조(화학식 3b 및/또는 화학식 3c)를 가진다.
위의 화학식 3에서,
R3은 탄소수 8 내지 24의 분지쇄 및 직쇄, 포화 및 불포화 알킬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n 및 o는 각 경우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8의 정수이며,
R4및 R5는 각 경우 서로 독립적으로 H, 알킬 그룹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그룹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중합체는 분자당 에틸렌 옥시드 그룹 4 내지 40 및/또는 분자당 프로필렌 옥시드 그룹 10 내지 50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알킬 포스페이트 성분의 함량은 0.5 내지 25%이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알킬 포스페이트 성분의 함량은 1.5 내지 20%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알킬 포스페이트 성분의 함량은 1.8 내지 18%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실시태양에서, 알킬 포스페이트 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다음 구조를 가진다.
위의 화학식 4에서,
R7은 탄소수 8 내지 24의 직쇄 및 분지쇄, 포화 및 불포화 알킬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8및 R9는 각 경우 서로 독립적으로 H 및 탄소수 8 내지 24의 직쇄 및 분지쇄, 포화 및 불포화 알킬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Y1및 Y2는 각 경우 서로 독립적으로 알칼리 금속 이온, 알칼리 토금속 이온 및 암모늄 이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여기서, 암모늄 이온의 질소원자는 0개 이상의 알킬 그룹 및/또는 0개 이상의 하이드록시알킬 그룹에 의해 치환된다),
p, q 및 r은 각 경우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10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R4, R5및 Y1과 Y2중의 N 상의 치환체는 각 경우 서로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 포화 또는 불포화 및/또는 쇄 길이가 탄소수 1 내지 8인 알킬 및/또는 하이드록시알킬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알킬 포스페이트 성분이 두 개 이상의 상기 언급된 알킬 포스페이트 및/또는 이의 염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오일 성분은 고 함량의 트리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는 천연 오일, 모노- 및 디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변형 오일, 파라핀 오일, 에스테르 오일 및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글리세라이드는 분지쇄, 직쇄, 포화 및 불포화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지방산을 포함한다. 여기서, 탄소수 8 내지 24의 지방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천연 오일을 포함하는 오일 성분은 리놀레산 대 α-리놀렌산의 비가 15:1 내지 5:1인 고 함량의 다가불포화 지방산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비가 13:1 내지 7:1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비가 11:1 내지 9:1인 조성물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실시태양에서, 상기 오일 성분은 파라핀 오일, 변형된 코코넛 오일, 대두유, 해바라기유, 배아유, 아마씨유, 엉겅퀴(thistle)유 및 포도씨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변형된 코코넛 오일은 5℃ 미만의 클라우드 포인트(cloud point)를 갖는다.
본 발명 조성물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각 경우, 제제의 총량을 기준으로, 계면활성제 성분이 15 내지 35중량%로 구성되며(여기서, 상기 계면활성제 성분은 TIPA 라우레스 설페이트 5 내지 15%, 라우레스-3 10 내지 25% 및 칼륨 데세스-4 포스페이트 1.5 내지 15%이다), 오일 성분은 대두유 5 내지 55%, 해바라기유 0 내지 25% 및 파라핀 오일 0 내지 30%이다.
본 발명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발포성 오일 제제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향장용 및/또는 의약적 용도로 사용됨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오일 배스(oil bath), 샤워 제제, 세안 용액, 메이크-업 리무버 또는 바디 워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건성 피부 상태 및 아토피성 습진 치료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치료 중단 기간(therapy-free interval) 동안 사용되기에 특히 좋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 혼합물 및 오일 성분을 갖는 조성물의경우, 맑은 단일 상 및 특히 발포성인 오일 제제가 계면활성제 혼합물이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성 또는 양쪽 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알킬 포스페이트 성분을 포함할 경우 가능하다는 놀라운 발견에 기초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오일 성분의 선택에 제한이 없다는 점에서도 유익하다. 따라서, 조성물이 피마자 오일을 함유하지 않고도 오일 성분이 순전히 식물성으로부터 기원하는 제품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점막 및 눈에 특히 안정하며 세정 과정동안 또는 그 이후 이의 특별한 부드러움 덕분에 피부의 천연 지방 층을 거의 손상시키지 않는다. 이러한 놀라운 효과는 또한 향장용이나 의약적 용도로 사용되므로 소위 치료 중단 기간 동안인 건성 피부 상태 및 아토피성 습진의 치료용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하기 위한 기초가 된다. 여기서, 치료 중단 기간이란 일반적으로 코르티손을 포함하며 아토피성 습진 치료에 사용되는, 특히 심각한 상태의 치료 동안 또는 직후에 사용되는 약품을 심각한 상태가 사라짐으로 인해 중단하거나 중단했던 기간을 의미한다.
목욕용 또는 샤워용 제제로서 또는 세안 용액, 메이크-업 리무버 또는 바디 워시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제제의 용도는 우수한 안정성 및 피부 상태의 상당한 개선과 관련되며, 이는 일련의 실험을 통해 측정되었다. 단 한번의 사용 후의 측정으로부터 장기간의 효과, 예를 들면 24 시간에 걸쳐 피부 수분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눈에 대한 안정성 또한 유사하게 실험되어졌으며, 여기에 기술된 실시예에서, 계면활성제의 양이 약 30%임에도 불구하고,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제제는 눈에 자극을 유발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본원에 채택된 용어에 대해, 알킬 포스페이트 성분은 이의 다양한 변형 가능성에 따라 비이온성 또는 음이온성/양쪽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각 경우에서, 각각의 알킬 포스페이트 성분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상이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마찬가지로 하나의 상이한 음이온성 또는 양쪽 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또한 각 경우에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 기술된 계면활성제에서, 라디칼 R1, R2, R3, R7, R8및 R9는 구체적으로 H, 탄소수 8 내지 24의 직쇄 및 분지쇄, 포화 및 불포화 알킬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또한 이들 알킬 그룹 형태의 복합물, 예로 직쇄 포화 알킬 그룹, 직쇄 불포화 알킬 그룹, 분지쇄 포화 알킬 그룹 및 분지쇄 불포화 알킬 그룹을 포함하며, 여기서 탄소 원자로 이루어지는 탄소 주쇄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내지 24를 포함한다.
따라서, 계면활성제의 알킬 그룹은 또한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리시놀레산, 올레산, 베헨산, 아라키돈산 및 엘라이드산을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들은 코코넛 부분(주로 분지쇄 알킬 라디칼 및 리놀레산 및 리놀렌산을 포함하는 C8내지 C22), 팜 부분 또는 수지(tallow) 부분에 존재하는 알킬 라디칼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계면활성제의 알킬 그룹은C12내지 C15지방 알코올의 알킬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옥소 알코올 및 분지쇄 알코올 포함).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암모늄 이온에 대한 치환체로서 본원에 존재하거나 아미드화 질소와 결합된 알킬 및 하이드록시알킬 그룹은 특히 탄소수 1 내지 8의 분지쇄 및 직쇄, 포화 및 불포화 알킬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알킬 그룹은 분지쇄-포화, 분지쇄-불포화, 직쇄-포화 또는 직쇄-불포화가 될 수 있다.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 알킬 그룹은 특히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아밀, 헥실, 이소아밀, 옥틸,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디이소프로판올, 이소부탄올 등을 포함한다.
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그룹의 이러한 유형으로, 하이드록시알킬-치환 암모늄 이온, 예를 들면 트리이소프로판올암모늄, 트리에탄올암모늄, 모노이소프로판올암모늄 또는 모노에탄올암모늄 이온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원칙적으로, 상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가 알칸 라디칼에 대한 일반 명명법으로서의 알킬의 정의가 엄격한 의미로 본원에 사용되지 않으며, 불포화 알킬 그룹 및 OH 그룹을 갖는 기들에 모두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원에 사용된 적어도 몇몇의 계면활성제는 시판되고 있다. 예를 들면, 지방 알코올 설페이트는 쉬머 앤드 슈바르쯔(Zschimmer & Schwarz) 사에 의한 상품명 "제테솔(Zetesol) TP 200" 하에 시판되고 있다. "제테솔 TP 200"은 TIPA 라우레스 설페이트와 프로필렌 글리콜이 94% 대 6% 비로 혼합된 혼합물이다. TIPA 라우레스설페이트는 트리이소프로필암모늄 라우릴 PEG 설페이트의 INCI에 따른 명명이며, 상기 명명법은 본원에서 참고화하고 있다.
본원에 언급된 알킬 포스페이트의 시판 제품의 하나는 "포스페탈 (Phosphetal) 201 K"이며, 이 또한 쉬머 앤드 슈바르쯔 사의 시판 제품으로 단일- 및 이중치환된 인산 혼합물이다. 알킬 알코올 성분은 이 경우 데실 PEG-4이며, 상기 포스페이트는 칼륨염의 형태이다. INCI 명명법에 따른 이들 알킬 포스페이트의 명명은 칼륨 데세스-4- 포스페이트이다.
알킬 포스페이트에 대해,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이들 또한 에톡실화된 알킬 포스페이트 형태일 수 있으며, 에톡실화도는 일반적으로 1 내지 10일 수 있음을 지적해야 한다. 알킬 포스페이트는 넓은 의미로 에톡실화도에 관계없이 모노-, 디- 또는 트리알킬 포스페이트 또는 이의 염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관해, 오일 성분은 제한 없이 선택될 수 있다. 오일 중의 알킬 라디칼 또한 코코넛 부분(리놀레산 및 리놀렌산을 포함하여 주로 직쇄의 C8내지 C22),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리시놀레산, 올레산, 베헨산, 아라키돈산 및 엘라이드산에 존재하는 것에 대응할 수 있다.
변형된 코코넛 오일은 헨켈(Henkel) KGaA 사의 상품명 "미리톨(Myritol) 331"이 가능하며 코코넛 오일로부터 유래한 모노-, 디- 및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실리콘 오일은 특히 본원에 참고로 혼입된 문헌["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dbook", 7판, 1997, 편집: 미국, 워싱턴.D.C., The Cosmetic Toiletry and Frangrance Association]의 디메티콘 및 사이클로메티콘 부분에 기술된 것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에스테르 오일은 화장품 분야의 당업자에 공지된 에스테르 오일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는 중량%이며 각 제제의 총량을 기준으로 한다.
리놀레산 대 α-리놀렌산의 비는 중량비이다.
상기 발명은 다음 실시예를 통해 제시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할 의도는 아니다.
본원에 언급된 화합물은 INCI 명명법에 따른다. INCI라 함은 "화장품 성분의 국제 명명법"이며 화장품 분야의 숙련가들에게는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명명법은 문헌["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dbook", 7판, 1997, 편집: 미국, 워싱턴.D.C., 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에 수록되어 있으며 이에 관한 기재는 본원에 참고 자료로 혼입되어 있다.
하기 오일 제제는 스테인레스 스틸 용기에 각 성분을 함께 혼합함으로써 제조되었다.
실시예 1: 하기 성분으로 이루어진 발포성 오일 제제(중량%로 표현)
TIPA 라우레스 설페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9.30%
라우레스-3 15.90%
칼륨 데세스-4 포스페이트 3.00%
파라핀 오일 23.30%
대두유 35.40%
해바라기유 12.60%
향수 0.50%
실시예 2: 하기 성분으로 이루어진 발포성 오일 제제(중량%로 표현)
TIPA 라우레스 설페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7.40%
라우레스-3 15.80%
칼륨 데세스-4 포스페이트 3.00%
코크아미드-DEA 3.00%
파라핀 오일 22.30%
대두유 35.40%
해바라기유 12.60%
향수 0.50%
실시예 3: 하기 성분으로 이루어진 발포성 오일 제제(중량%로 표현)
TIPA 라우레스 설페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2.20%
라우레스-3 20.90%
칼륨 데세스-4 포스페이트 3.90%
대두유 35.40%
해바라기유 27.60%
실시예 4: 하기 성분으로 이루어진 발포성 오일 제제(중량%로 표현)
TIPA 라우레스 설페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6.30%
라우레스-3 10.70%
칼륨 데세스-4 포스페이트 2.00%
파라핀 오일 61.00%
변형된 코코넛 오일 20.00%
실시예 5: 하기 성분으로 이루어진 발포성 오일 제제(중량%로 표현)
TIPA 라우레스 설페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7.30%
라우레스-3 13.60%
칼륨 데세스-4 포스페이트 2.60%
파라핀 오일 25.10%
대두유 37.60%
해바라기유 13.30%
향수 0.50%
실시예 6: 하기 성분으로 이루어진 발포성 오일 제제(중량%로 표현)
TIPA 라우레스 설페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8.30%
라우레스-3 14.10%
칼륨 데세스-4 포스페이트 2.70%
대두유 42.80%
해바라기유 9.80%
변형된 코코넛 오일 15.00%
배아유 7.50%
실시예 7: 하기 성분으로 이루어진 발포성 오일 제제(중량%로 표현)
TIPA 라우레스 설페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1.60%
라우레스-3 19.80%
칼륨 데세스-4 포스페이트 3.70%
변형된 코코넛 오일 15.00%
배아유 50.00%
실시예를 포함하여 상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특징 및 청구범위는 개별적으로든 임의 조합으로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태양으로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해 중요할 수 있다.

Claims (38)

  1.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 혼합물 및 오일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계면활성제 혼합물이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성 또는 양쪽 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알킬 포스페이트 성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계면활성제의 비가 15 내지 50%이고 오일 성분의 비가 50 내지 85%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실질적으로 무수이고/이거나 향장용 및/또는 의약적 보조제, 첨가제 및 활성 성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성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이온성 및/또는 양쪽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30%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음이온성 및/또는 양쪽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3 내지 20%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음이온성 및/또는 양쪽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5 내지 15%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이온성 및/또는 양쪽 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알킬 알코올 설포네이트, 에톡실화된 알킬 알코올 설페이트 및 알킬아미도프로필베타인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알킬 알코올 설페이트 및/또는 에톡실화된 알킬 알코올 설페이트가 다음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화학식 1>
    위의 화학식 1에서,
    a는 0 내지 10의 정수이고,
    R1은 탄소수 8 내지 24의 직쇄 또는 분지쇄,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 그룹이며,
    X+는 알칼리 금속 이온, 알칼리 토금속 이온 및 암모늄 이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여기서, 암모늄 이온은 0개 이상의 알킬 그룹 및/또는 0개이상의 하이드록시알킬 그룹에 의해 치환되며, 상기 알킬 및/또는 하이드록시알킬 그룹은 분지쇄 또는 직쇄, 포화 또는 불포화이다).
  9. 제8항에 있어서, a가 1 내지 6의 정수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알킬 및/또는 하이드록시알킬 그룹이 탄소수 1 내지 8의 쇄 길이를 갖는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8%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5 내지 25%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7 내지 23%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지방 알코올 에톡실레이트, 알킬 지방산 아미드, 에톡실화된 지방산 아미드 및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지방 알코올 에톡실레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지방 알코올 에톡실레이트가다음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화학식 2>
    위의 화학식 2에서,
    R2는 탄소수 8 내지 24의 분지쇄 및 직쇄, 포화 및 불포화 알킬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m은 1 내지 40의 정수이다.
  17. 제14항에 있어서, 지방산 아미드가 다음 구조(화학식 3a)를 가지고/거나 에톡실화된 지방산 아미드가 다음 구조(화학식 3b 및/또는 화학식 3c)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화학식 3a>
    <화학식 3b>
    <화학식 3c>
    위의 화학식 3에서,
    R3은 탄소수 8 내지 24의 분지쇄 및 직쇄, 포화 및 불포화 알킬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n 및 o는 각 경우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8의 정수이며,
    R4및 R5는 각 경우 서로 독립적으로 H, 알킬 그룹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그룹이다.
  18. 제14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중합체가 분자당 에틸렌 옥시드 그룹 4 내지 40 및/또는 분자당 프로필렌 옥시드 그룹 10 내지 50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킬 포스페이트 성분의 함량이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5%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0. 제19항에 있어서, 함량이 1.5 내지 20%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1. 제20항에 있어서, 함량이 1.8 내지 18%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킬 포스페이트 성분이 적어도 하나의 다음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화학식 4a>
    <화학식 4b>
    <화학식 4c>
    위의 화학식 4에서,
    R7은 탄소수 8 내지 24의 직쇄 및 분지쇄, 포화 및 불포화 알킬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8및 R9는 각 경우 서로 독립적으로 H 및 탄소수 8 내지 24의 직쇄 및 분지쇄, 포화 및 불포화 알킬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Y1및 Y2는 각 경우 서로 독립적으로 알칼리 금속 이온, 알칼리 토금속 이온 및 암모늄 이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암모늄 이온의 질소원자가 0개 이상의 알킬 그룹 및/또는 0개 이상의 하이드록시알킬 그룹에 의해 치환되고,
    p, q 및 r은 각 경우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10의 정수이다.
  23. 제17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R4, R5및 Y1과 Y2중의 N 원자 상의 치환체가 각 경우 서로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 포화 또는 불포화이고/이거나 탄소수 1 내지 8의 쇄 길이를 갖는 알킬 및/또는 하이드록시알킬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킬 포스페이트 성분이 둘 이상의 제22항의 화합물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일 성분이 고 함량의 트리글리세라이드를 갖는 천연 오일, 모노- 및 디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변형 오일, 파라핀 오일, 에스테르 오일 및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6. 제25항에 있어서, 글리세라이드가 분지쇄, 직쇄, 포화 및 불포화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지방산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7. 제26항에 있어서, 지방산이 탄소수 8 내지 24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천연 오일을 포함하는 오일 성분이 리놀레산 대 α-리놀렌산의 비가 15:1 내지 5:1인 고 함량의 다가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9. 제28항에 있어서, 비가 13:1 내지 7:1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0. 제29항에 있어서, 비가 11:1 내지 9:1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1. 제1항 내지 제3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일 성분이 파라핀 오일, 변형 코코넛 오일, 대두유, 해바라기유, 배아유, 아마씨유, 엉겅퀴(thistle)유 및 포도씨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2. 제31항에 있어서, 변형 코코넛 오일이 5℃ 미만의 클라우드 포인트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3. 제1항 내지 제3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경우 제제의 총량을 기준으로
    a) TIPA 라우레스 설페이트 5 내지 15%, 라우레스-3 10 내지 25%, 칼륨 데세스-4 포스페이트 1.5 내지 15%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성분이 15 내지 35중량%로 구성되고
    b) 오일 성분이 대두유 5 내지 55%, 해바라기유 0 내지 25% 및 파라핀 오일 0 내지 3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4. 발포성 오일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3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35. 향장용 및/또는 의약적 목적을 위한 제1항 내지 제3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36. 오일 배스(oil bath), 샤워 제제, 세안 용액, 메이크-업 리무버 또는 바디 워시로서 제1항 내지 제3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37. 건성 피부 상태 및 아토피성 습진을 치료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3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38. 치료 중단 기간(therapy-free interval)에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37항의 용도.
KR1020017001377A 1998-08-04 1999-08-03 발포성 오일 제제 및 이의 용도 KR200100721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35239A DE19835239A1 (de) 1998-08-04 1998-08-04 Schäumende Ölzubereitung und deren Verwendung
DE19835239.5 1998-08-04
PCT/EP1999/005627 WO2000007564A1 (en) 1998-08-04 1999-08-03 Foaming oil preparation and its 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2170A true KR20010072170A (ko) 2001-07-31

Family

ID=7876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1377A KR20010072170A (ko) 1998-08-04 1999-08-03 발포성 오일 제제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6620773B1 (ko)
EP (1) EP1100459B1 (ko)
JP (1) JP2002522372A (ko)
KR (1) KR20010072170A (ko)
CN (1) CN1314808A (ko)
AR (1) AR019996A1 (ko)
AT (1) ATE251892T1 (ko)
AU (1) AU764835B2 (ko)
CO (1) CO5090843A1 (ko)
DE (2) DE19835239A1 (ko)
DK (1) DK1100459T3 (ko)
ES (1) ES2209484T3 (ko)
MY (1) MY126782A (ko)
PT (1) PT1100459E (ko)
TW (1) TW592724B (ko)
WO (1) WO20000075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12718B2 (en) 2000-07-03 2013-08-20 Foamix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opical application
EP1313429A1 (en) * 2000-08-31 2003-05-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e-shampoo conditioning composition
DE10120825A1 (de) * 2001-04-30 2002-10-31 Beiersdorf Ag Zwei-Phasen-Reinigungszubereitungen mit hohem Ölgehalt
IL152486A0 (en) 2002-10-25 2003-05-29 Meir Eini Alcohol-free cosmetic and pharmaceutical foam carrier
US7820145B2 (en) 2003-08-04 2010-10-26 Foamix Ltd. Oleaginous pharmaceutical and cosmetic foam
US9668972B2 (en) 2002-10-25 2017-06-06 Foamix Pharmaceuticals Ltd. Nonsteroidal immunomodulating kit and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US9211259B2 (en) 2002-11-29 2015-12-15 Foamix Pharmaceuticals Ltd. Antibiotic kit and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US7704518B2 (en) 2003-08-04 2010-04-27 Foamix, Ltd. Foamable vehicl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US8119109B2 (en) 2002-10-25 2012-02-21 Foamix Ltd. Foamable compositions, kits and methods for hyperhidrosis
US8900554B2 (en) 2002-10-25 2014-12-02 Foamix Pharmaceuticals Ltd. Foamable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US8119150B2 (en) * 2002-10-25 2012-02-21 Foamix Ltd. Non-flammable insecticide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US7700076B2 (en) 2002-10-25 2010-04-20 Foamix, Ltd. Penetrating pharmaceutical foam
US10117812B2 (en) 2002-10-25 2018-11-06 Foamix Pharmaceuticals Ltd. Foamable composition combining a polar solvent and a hydrophobic carrier
US20080138296A1 (en) 2002-10-25 2008-06-12 Foamix Ltd. Foam prepared from nanoemulsions and uses
US9265725B2 (en) 2002-10-25 2016-02-23 Foamix Pharmaceuticals Ltd. Dicarboxylic acid foamable vehicl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CA2502986C (en) 2002-10-25 2011-08-23 Foamix Ltd. Cosmetic and pharmaceutical foam
US8486376B2 (en) 2002-10-25 2013-07-16 Foamix Ltd. Moisturizing foam containing lanolin
US7575739B2 (en) 2003-04-28 2009-08-18 Foamix Ltd. Foamable iodine composition
US7875582B2 (en) * 2003-05-22 2011-01-25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Nonbar personal product compositions comprising crystalline wax structured benefit agent premix or delivery vehicle
ITTO20030555A1 (it) * 2003-07-17 2005-01-18 Zschimmer & Schwarz Italiana S P A Composizione detergente a base di sostanze oleose.
US8486374B2 (en) 2003-08-04 2013-07-16 Foamix Ltd. Hydrophilic, non-aqueous pharmaceutical carriers and compositions and uses
US8795693B2 (en) 2003-08-04 2014-08-05 Foamix Ltd. Compositions with modulating agents
DE10344956A1 (de) * 2003-09-27 2005-07-21 Beiersdorf Ag Transparente Zwei-Phasen-Reinigungszubereitungen mit wechselnden Viskositäten
DE10352371A1 (de) * 2003-11-10 2005-06-09 Beiersdorf Ag Verwendung von hydrierten Sojaglyceriden in kosmetischen Zubereitungen
US8211449B2 (en) * 2004-06-24 2012-07-03 Dpt Laboratories, Ltd. Pharmaceutically elegant, topical anhydrous aerosol foam
BRPI0612428A2 (pt) 2005-05-09 2010-11-09 Foamix Ltd composição farmacêutica higroscópica, veìculo farmacêutico espumoso e composição farmacêutica espumosa
EP1842526A1 (en) 2006-03-31 2007-10-10 Johnson & Johnson Consumer France SAS Clear cleansing composition
US20080260655A1 (en) 2006-11-14 2008-10-23 Dov Tamarkin Substantially non-aqueous foamable petrolatum based pharmaceutical and cosmetic compositions and their uses
EP2152844B1 (en) * 2007-06-12 2019-04-24 Solvay USA Inc. Mono-di-and polyol phosphate esters in personal care formulations
US8636982B2 (en) 2007-08-07 2014-01-28 Foamix Ltd. Wax foamable vehicl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WO2009069006A2 (en) 2007-11-30 2009-06-04 Foamix Ltd. Foam containing benzoyl peroxide
WO2009090495A2 (en) 2007-12-07 2009-07-23 Foamix Ltd. Oil and liquid silicone foamable carriers and formulations
US8518376B2 (en) 2007-12-07 2013-08-27 Foamix Ltd. Oil-based foamable carriers and formulations
AU2009205314A1 (en) 2008-01-14 2009-07-23 Foamix Ltd. Poloxamer foam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with active agents and/or therapeutic cells and uses
CA2760186C (en) 2009-04-28 2019-10-29 Foamix Ltd. Foamable vehicl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aprotic polar solvents and uses thereof
CA2769677A1 (en) 2009-07-29 2011-02-03 Foamix Ltd. Non surface active agent non polymeric agent hydro-alcoholic foamable compositions, breakable foams and their uses
WO2011013009A2 (en) 2009-07-29 2011-02-03 Foamix Ltd. Non surfactant hydro-alcoholic foamable compositions, breakable foams and their uses
CA2776366C (en) 2009-10-02 2017-07-18 Foamix Ltd. Surfactant-free water-free foamable compositions, breakable foams and gels and their uses
US9849142B2 (en) 2009-10-02 2017-12-26 Foamix Pharmaceuticals Ltd. Methods for accelerated return of skin integrity and for the treatment of impetigo
CN107847409B (zh) 2015-07-16 2021-06-11 荷兰联合利华有限公司 用于制备在油组合物中的小颗粒窄分布脂肪酰基羟乙基磺酸盐的原位方法
MX2017011630A (es) 2016-09-08 2018-09-25 Foamix Pharmaceuticals Ltd Composiciones y metodos para tratar rosacea y acne.
US10639270B2 (en) 2018-02-27 2020-05-05 L'oreal Foaming oil cleanser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5306A (en) * 1976-05-08 1977-11-12 Nippon Packaging Kk Lubricant for sawing
GB1538174A (en) * 1976-11-05 1979-01-10 Unilever Ltd Cleaning composition
US4536519A (en) * 1981-06-15 1985-08-20 Kao Soap Co., Ltd. Emulsifying agent and emulsified cosmetics
JPS58126184A (ja) * 1982-01-25 1983-07-27 Takahashi Ink Kagaku Kogyosho:Kk 顕色インキ
LU86756A1 (fr) 1987-02-03 1988-11-17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non agressives contenant un tensio-actif moussant et un tensio-actif non ionique a deux chaines grasses
JPH0725778B2 (ja) * 1987-10-21 1995-03-22 花王株式会社 リン酸エステル、その製造法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洗浄剤組成物
US4939179A (en) * 1989-06-22 1990-07-03 Chesebrough-Pond's Inc. Cosmetic emulsions with hydrocarbon thickening agents
US5334325A (en) * 1991-01-23 1994-08-02 S. C. Johnson & Son, Inc. Delayed-gelling, post-foaming composition based upon alkoxylated alkyl phosphate ester surfactants
US5776872A (en) * 1992-03-25 1998-07-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sing compositions technical field
GB9302130D0 (en) 1993-02-03 1993-03-24 Unilever Plc Cleasing composition
GB2283755B (en) * 1993-11-11 1998-01-28 Procter & Gamble Cleansing compositions
DE19501185A1 (de) * 1995-01-17 1996-07-18 Henkel Kgaa Detergensgemische mit verbesserter Reinigungsleistung
GB9510833D0 (en) * 1995-05-27 1995-07-19 Procter & Gamble Cleansing compositions
JPH09110617A (ja) * 1995-10-13 1997-04-28 Sankyo Co Ltd 松類の枯損防止用組成物
FR2745716B1 (fr) * 1996-03-07 1998-04-17 Oreal Emulsions huile-dans-eau moussantes pressurisables ultrafines
GB9613968D0 (en) * 1996-07-03 1996-09-04 Procter & Gamble Cleansing compositions
DE19633057C1 (de) * 1996-08-16 1998-03-12 Boelling Bernd Albert Willi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Wannen, die bei Betriebsbedingungen Flüssigkeit enthalten
WO1998027937A1 (en) * 1996-12-20 1998-07-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ckaged personal cleansing product
GB9626463D0 (en) 1996-12-20 1997-02-05 Procter & Gamble Packaged personal cleansing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1100459T3 (da) 2004-01-05
EP1100459B1 (en) 2003-10-15
WO2000007564A1 (en) 2000-02-17
JP2002522372A (ja) 2002-07-23
US6620773B1 (en) 2003-09-16
AU764835B2 (en) 2003-09-04
TW592724B (en) 2004-06-21
MY126782A (en) 2006-10-31
CN1314808A (zh) 2001-09-26
ES2209484T3 (es) 2004-06-16
PT1100459E (pt) 2004-02-27
DE69912133D1 (de) 2003-11-20
AU5419199A (en) 2000-02-28
AR019996A1 (es) 2002-03-27
DE69912133T2 (de) 2005-04-28
CO5090843A1 (es) 2001-10-30
ATE251892T1 (de) 2003-11-15
DE19835239A1 (de) 2000-02-24
EP1100459A1 (en) 2001-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72170A (ko) 발포성 오일 제제 및 이의 용도
JP3644960B2 (ja) 洗浄用組成物
AU631721B2 (en) Topical composition
US5576279A (en) Stable conditioning shampoo containing an anionic surfactant a fatty alcohol, and polyethyleneimine
US5211941A (en) Hair cleansing composition
US9138429B2 (en) Process of forming crystals for use in a personal care composition
JPH0460572B2 (ko)
KR930007915B1 (ko) 국소용 조성물
JPH0460573B2 (ko)
JPH0826974A (ja) シヤワー配合物
JPH0532538A (ja) 洗浄剤組成物
JPH08505875A (ja) クレンジング組成物
JP2001509162A (ja) 洗浄製品
JP2011503167A (ja) 組成物
GB2556356A (en) Stable cosmetic cleansing compositions containing cold cream
JP2012167035A (ja) クリーム状皮膚洗浄料
CZ104299A3 (cs) Tekutý čistící prostředek
JP2844495B2 (ja) 洗浄剤組成物
KR100981600B1 (ko) 세안제 조성물
JP2002536388A (ja) 硫酸アルキル及び/又は硫酸アルキルポリアルキレングリコールエーテルのアルカノールアンモニウム塩を含むマイクロエマルジョン
JP3526355B2 (ja) 化粧料
JP7312529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KR20050095012A (ko) 인체 세정제 조성물
JP7176912B2 (ja) 化粧料用組成物とそれを使用した化粧料
JPH054299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