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5012A - 인체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체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5012A
KR20050095012A KR1020040019991A KR20040019991A KR20050095012A KR 20050095012 A KR20050095012 A KR 20050095012A KR 1020040019991 A KR1020040019991 A KR 1020040019991A KR 20040019991 A KR20040019991 A KR 20040019991A KR 20050095012 A KR20050095012 A KR 20050095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mposition
weight
human
surf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9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5810B1 (ko
Inventor
정재수
노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40019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5810B1/ko
Publication of KR20050095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8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7/00Luggage carriers
    • B62J7/02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 B62J7/04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arranged above or behind the rear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 1 내지 45 중량%, 계면활성제 2 내지 25 중량%, 오일 0.01 내지 25 중량%, 수용성 폴리머 0.001 내지 5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인체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체 세정제 조성물은 보습성, 유연성, 상 안정성, 기포력 및 사용감이 우수하고 피부 자극성이 매우 낮은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인체 세정제 조성물{BODY CLEANSE COMPOSITIOM}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인체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습성, 유연성, 상 안정성, 기포력 및 사용감이 우수하고 피부 자극성이 매우 낮은 특징을 갖는 인체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인체 세정제는 냉수 및 온수에서 적당한 기포력을 가지고, 피부에 부착된 유성 및 수성오염을 깨끗이 제거하고, 피부에 자극이 적고, 과도한 탈지를 막고, 세정시 빼앗기기 쉬운 피부의 수분을 공급함과 동시에 수분이 증발되지 않도록 피부 보습력이 우수하여 피부 거침을 예방하고, 피부 유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제품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인체 세정제는 계면활성제, 세정보조기제, 천연보습성분 및 천연 식물성오일 등의 보습제, 기능성을 추구하기 위한 유효성분 및 아로마 효과를 가미한 향 등을 포함하고 있는데, 계면활성제 및 기타 성분들의 적절한 혼합으로 제품에 보습력, 세정력 및 기포력을 부여하고 있다. 계면활성제에 따른 제품 특징을 살펴보면,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지방산 비누 성분만을 사용하는 경우 기포력 및 세정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세정력이 지나친 경우 피부를 약하게 하거나 거칠게 할 수 있으며, 반면에 지방산 비누 성분을 제외한 계면활성제의 경우 기포력은 적당하나 계면활성제의 피부흡착과 헹굼성의 미흡으로 미끈거리는 감이 남으며, 간혹 계면활성제로 인한 피부자극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유효성분의 함량을 증대시켜 보습력 및 유연성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계면활성제 흡착으로 인한 인체 자극성을 최소화하는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천연 보습성분 및 동, 식물성 오일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유화 및 가용화 기술을 응용한 제형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오일성 보습성분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경우 헹굼성이 낮아지고, 오일성분 및 유화제 성분이 소포작용을 함으로써 기포력이 현저히 떨어질 뿐만 아니라, 과량의 오일성분 함유로 상이 분리되는 등의 경시안정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여전히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목적은 보습성, 유연성, 상 안정성, 기포력 및 사용감이 우수한 피부 저자극성 인체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 1 내지 45 중량%, 계면활성제 2 내지 20 중량%, 오일 0.01 내지 25 중량%, 수용성 폴리머 0.005 내지 5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인체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보습성, 기포력 및 사용감이 우수하면서 동시에 피부 자극성이 거의 없으며 상 안정성을 갖는 인체 세정제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연구하던 중, 모노글리세라이드설포네이트, 계면활성제, 오일 및 수용성 폴리머를 일정비율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한 효과를 이룰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 1 내지 45 중량%, 계면활성제 2 내지 20 중량%, 오일 0.01 내지 25 중량%, 수용성 폴리머 0.005 내지 5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인체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우지 및 돈지 등의 동물유와, 야자유, 팜유, 팜핵유 등의 식물유로부터 유도되는 지방산을 1종이상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탄소수 7 내지 21의 알킬기이고, M은 나트륨, 칼륨,트리에탄올아민 또는 암모니아이다.
예컨대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는 탄소수 12의 알킬기가 최소 40 중량부 이상 함유된 야자유, 탄소수 12의 알킬기가 최소 40 중량부 이상 함유된 팜핵유 및 라우릭산으로 유도되는 지방산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모노글리세라이드설포네이트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하며, 일예로 에피클로로히드린과 환원제 예컨대 소디움 설페이트을 반응시켜 중간체인 소디움 클로로 히드록시 설포네이트염을 제조한 다음 고급지방산의 알칼리염을 이용하여 치환 에스테르화 반응을 시켜 제조될 수 있다.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는 한 분자내에 에스테르기를 함유하고 있어 인체에 대한 피부 자극이 낮고, 다른 계면활성제에 비해 용해도가 낮다. 이는 히드록시기와 설포네이트의 음전하간 수소결합에 의한 영향일 것이다.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는 인체 세정제 조성물에 1 내지 45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3 내지 35 중량%로 포함된다. 이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 제형의 물성 및 안정성이 좋지 않을 수 있으며, 이의 함량이 45 중량% 초과하는 경우 기포력, 피부 유연성 및 피부 보습력은 향상되나 경화현상로 인하여 물성 및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감도 좋지 않아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는 통상의 음이온성, 비이온성, 양이온성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이상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일예로, 세트리모니움클로라이드, 스테아린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및 디세틸디메틸암모니움클로라이드가 있으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일예로, 소듐라우레서설포네이트, 아실라우릴설포네이트, 소듐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 디소듐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라우릴 황산나트륨, 라우릴 황산암모늄,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나트륨 및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암모늄이 있으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일예로, 라우릴산 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및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가 있으며,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일예로, 베테인류, 코카미도프로필베테인, 알킬글리시네이트 및 알킬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계면활성제는 인체 세정제 조성물에 2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3 내지 20 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2 중량% 미만인 경우 기포의 표면장력이 낮아져 기포의 형성이 어렵고 기포가 쉽게 없어지는 단점이 있어 풍성한 기포력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오염제거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25 중량% 초과하는 경우 기포력은 좋으나 헹굼성이 좋지 않고, 피부에 미끈거리는 느낌이 강하며 전체적인 사용감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오일은 보습용도로 사용되는 통상의 오일로, 식물성 오일 또는 유동파라핀을 사용할 수 있다. 식물성 오일의 예로는 소이빈오일, 마카데미아오일, 마누카오일 및 선플라워오일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오일은 인체 세정제 조성물에 0.01 내지 25 중량%로,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된다. 오일의 함량인 0.01 중량% 미만인 경우 제품의 물성 및 안정성은 향상되지만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피부자극성, 피부유연성 및 피부 보습력에는 효과가 거의 없으며, 25 중량% 초과하는 경우 우수한 보습효과를 나타내지만 제형의 물성 및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고, 소포작용이 있어 기포력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수용성 폴리머는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스티렌/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인체 세정제 조성물에 0.0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01 내지 3 중량%로 포함된다. 수용성 폴리머는 사용감, 기포안정성 및 제품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므로, 이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인 경우 제품의 물성 및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어려우며 5 중량% 초과하는 경우 고점도의 젤상이 형성되어 사용시 발림성, 퍼짐성 등의 사용성이 좋지 않고, 사용후 건조시 피부가 거칠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체 세정제 조성물은 상기한 유효성분 이외에 통상이 화장료 또는 세정제에 사용되는 물질, 예컨대 착색료, 착향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및 금속이온 봉쇄제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26
표 1a 내지 1c(단위: 중량%)의 조성 및 조성비로 혼합하고, 이를 실온 또는 가온하여 균일하게 분산 및 용해시켜 인체 세정제를 제조하였다. 또한 필요한 경우 중화제로 인체 세정제의 pH를 5 - 8로 중화하였다.
(표 1a)
실시예
구 분 1 2 3 4 5 6 7 8 9
모노글리세라이드설포네이트 3.0 3.0 3.0 3.0 5.0 10.0 20.0 35.0 40.0
소듐라우레서설포네이트 3.0 - - - 3.0 3.0 3.0 3.0 3.0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 3.0 3.0 3.0 - - - - -
코카미드DEA 3.0 3.0 3.0 3.0 3.0 3.0 3.0 3.0 3.0
이소스테아레이트 0.5 0.5 0.5 0.5 0.5 0.5 0.5 0.5 0.5
폴리에칠렌글리콜 2.0 2.0 2.0 2.0 2.0 2.0 2.0 2.0 2.0
아크릴레이트/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소이빈오일 0.1 0.1 - 0.05 0.1 0.1 0.1 0.1 0.1
유동파라핀 - - 0.1 0.05 - - - - -
향료 1.0 1.0 1.0 1.0 1.0 1.0 1.0 1.0 1.0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1.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 R은 탄소수 7-21의 알킬기, M은 나트륨, 칼륨,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암모니아2. 아크릴레이트/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 폴리머: R은 탄소수 10-30의 알킬기3. DEA: Diethanolamide
(표 1b)
구 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모노글리세라이드설포네이트 3.0 3.0 3.0 10.0 20.0 10.0 10.0 10.0 10.0
소듐라우레서설포네이트 5.0 5.0 - 5.0 5.0 5.0 5.0 5.0 5.0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5.0 20.0 10.0 10.0 10.0 10.0 10.0 10.0
코카미드DEA 3.0 3.0 3.0 3.0 3.0 3.0 3.0 3.0 3.0
이소스테아레이트 0.5 0.5 0.5 0.5 0.5 0.5 0.5 0.5 0.5
폴리에칠렌글리콜 2.0 2.0 2.0 2.0 2.0 2.0 2.0 2.0 2.0
아크릴레이트/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01 0.01 0.01 0.01 0.01 0.01 0.5 1.0 3.0
소이빈오일 0.1 0.1 0.1 0.1 0.1 0.1 0.1 0.1 0.1
유동파라핀 - - - - - - - - -
향료 1.0 1.0 1.0 1.0 1.0 1.0 1.0 1.0 1.0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표 1c)
구 분 19 20 21 22 23 24 25 26
모노글리세라이드설포네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소듐라우레서설포네이트 5.0 5.0 5.0 5.0 5.0 5.0 5.0 5.0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코카미드DEA 3.0 3.0 3.0 3.0 3.0 3.0 3.0 3.0
이소스테아레이트 0.5 0.5 0.5 0.5 0.5 0.5 0.5 0.5
폴리에칠렌글리콜 2.0 2.0 2.0 2.0 2.0 2.0 2.0 2.0
아크릴레이트/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3.5 0.5 0.5 0.5 0.5 0.5 0.5 0.5
소이빈오일 0.1 0.05 - 0.5 1.0 5.0 10.0 -
유동파라핀 - 0.05 0.1 - 5.0 1.0 5.0 15.0
향료 1.0 1.0 1.0 1.0 1.0 1.0 1.0 1.0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비교예 1 내지 4
하기 표 2(단위: 중량%)의 조성으로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체 세정제를 제조하였다.
(표 2)
구 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모노글리세라이드설포네이트 2.5 2.5 2.5 2.5
소듐라우레서설포네이트 2.5 - - -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 2.5 2.5 2.5
코카미드DEA 3.0 3.0 3.0 3.0
이소스테아레이트 0.5 0.5 0.5 0.5
폴리에칠렌글리콜 2.0 2.0 2.0 2.0
아크릴레이트/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009 0.009 0.009 0.009
소이빈오일 0.005 - - 0.003
유동파라핀 - - 0.005 0.002
향료 1.0 1.0 1.0 1.0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1.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 R은 탄소수 7-21의 알킬기, M은 나트륨, 칼륨,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암모니아2. 아크릴레이트/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 폴리머: R은 탄소수 10-30의 알킬기3. DEA: Diethanolamide
실험예
상기 실시예 1-26 및 비교예 1-4의 인체 세정제에 대한 기포력, 사용감, 자극성, 유연성 및 보습력을 평가하였다.
1. 기포력 및 전체적인 사용감 평가
남, 여 각 120명을 20명씩 6개 그룹으로 나누고, 1명당 2개씩의 견본을 1주일간 사용하게 한 후, 5점 척도로 점수를 부여하게 하였다. 이후 그 평균값을 취하고 그 결과는 하기 표 3a 및 3b에 나타내었다.
- 기포력 -
1점: 기포량이 아주 적음, 2점: 기포량이 적음, 3점: 기포량이 보통, 4 점: 기포량이 조금 풍부함, 5 점: 기포량이 매우 풍부함
- 사용감 -
1 점: 매우 불만족, 2 점: 약간 불만족, 3 점: 보통, 4 점: 만족함, 5 점: 매우 만족함
2. 피부 자극성 평가
건강한 성인 남, 여 100명을 20명씩 5개 그룹으로 나누고, 피시험자의 팔에 상기의 인체 세정제 1.0% 희석액을 24시간 첩포한 다음 제거한 후 1시간 30분 경과시 홍반 발생 정도 및 자극 정도를 관찰하였다. 관찰결과는 5점 척도로 평가한 후 이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a 및 3b에 나타내었다.
- 자극성 -
1점: 자극이 심함, 2점: 자극이 조금 있음, 3: 그저 그렇다, 4점: 자극이 거의 없음, 5: 자극이 전혀 없음
3. 피부 보습력(유연성) 평가
건강한 성인 남, 여 100명을 20명씩 5개 그룹으로 나누고, 피시험자의 팔에 상기의 인체 세정제 10.0% 희석액 0.5ml을 문질러서 거품을 낸 후 30초 후에 흐르는 물에 10초간 세척한 다음 항온 항습조건에서 30분간 안정을 취한 후 각질층의 수분함량을 측정하였다(측정기기 및 조건: Skicon-200, 온도 25℃, 상대습도 50%의 항온 항습실). 관찰결과는 5점 척도로 평가한 후 이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a 및 3b에 나타내었다.
- 보습력 -
1점: 매우 건조함, 2점: 약간 건조함, 3: 보통, 4점: 촉촉함, 5점: 매우 촉촉함
(표 3a)
항목 실시예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기포력 3.0 3.0 3.5 3.0 4.0 4.5 5.0 5.0 5.0 3.5 4.5 4.0 4.5 5.0 5.0 5.0
피부자극성 3.0 3.5 3.0 3.5 3.5 4.0 4.0 3.5 3.5 3.5 4.0 4.0 4.0 4.0 4.5 4.0
보습력 2.0 2.5 2.5 2.0 3.0 3.5 3.5 3.5 3.0 3.5 4.0 4.5 4.0 3.5 4.5 4.5
사용감 2.5 2.0 2.5 2.5 3.5 3.5 4.5 4.0 2.0 3.5 4.0 3.5 4.0 3.5 4.5 4.0
(표 3b)
항목 실시예 비교예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1 2 3 4
기포력 5.0 4.0 3.0 5.0 5.0 5.0 5.0 4.5 4.0 4.5 1.5 1.0 1.0 1.0
피부자극성 4.0 4.0 3.5 4.5 4.0 4.0 5.0 5.0 5.0 4.5 3.5 3.0 3.0 3.5
보습력 4.0 4.0 3.5 4.0 4.5 4.5 5.0 5.0 5.0 5.0 1.0 1.5 1.5 1.0
사용감 4.0 3.5 3.0 4.5 4.0 4.5 4.5 4.5 4.0 4.0 1.0 1.0 1.5 1.0
표 3a 및 3b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16의 인체 세정제는 비교예 1 내지 4의 인체 세정제와 유사하거나 보다 우수한 피부 저자극성을 가지며, 동시에 기포력, 보습력 및 사용감에 있어 현저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비교예 1 내지 4의 인체 세정제는 기포력, 보습력 및 사용감에서 매우 미비한 결과를 보였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체 세정제 조성물은 피부 보습력(유연성), 피부 저자극성, 풍부한 기포력 및 전체적인 사용감에 있어서 탁월한 개선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6)

  1.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 1 내지 45 중량%;
    계면활성제 2 내지 25.0 중량%;
    오일 0.01 내지 25.0 중량%;
    수용성 폴리머 0.001 내지 5.0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인체 세정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조성물: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탄소수 7 내지 21의 알킬기이고, M은 나트륨, 칼륨,트리에탄올아민 또는 암모니아이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소듐라우레서설포네이트, 아실라우릴설포네이트, 소듐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 코카미도프로필베테인, 디소듐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소이빈오일, 유동파라핀, 마카데미아오일, 마누카오일, 선플라워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폴리머는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스티렌/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액상, 젤상 및 페이스트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형인 것인 조성물.
KR1020040019991A 2004-03-24 2004-03-24 인체 세정제 조성물 KR101105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991A KR101105810B1 (ko) 2004-03-24 2004-03-24 인체 세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991A KR101105810B1 (ko) 2004-03-24 2004-03-24 인체 세정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012A true KR20050095012A (ko) 2005-09-29
KR101105810B1 KR101105810B1 (ko) 2012-01-17

Family

ID=37275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9991A KR101105810B1 (ko) 2004-03-24 2004-03-24 인체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58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859B1 (ko) * 2007-01-03 2013-12-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저점성 유액타입의 수성세안제 조성물
WO2017057874A1 (ko) * 2015-09-30 2017-04-06 (주)아모레퍼시픽 고함량의 지용성 성분이 함유된 세정제 조성물
KR101966185B1 (ko) * 2017-10-27 2019-04-05 주식회사 서울화장품 보습 활성을 갖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252B1 (ko) * 2014-08-25 2016-06-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고온 안정성이 우수한 페이스트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46441C (zh) 1998-12-03 2006-03-22 Lg化学株式会社 含有单酸甘油酯磺酸盐的复合皂条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4982017B2 (ja) 2001-09-28 2012-07-25 東邦化学工業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859B1 (ko) * 2007-01-03 2013-12-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저점성 유액타입의 수성세안제 조성물
WO2017057874A1 (ko) * 2015-09-30 2017-04-06 (주)아모레퍼시픽 고함량의 지용성 성분이 함유된 세정제 조성물
KR20170038381A (ko) * 2015-09-30 2017-04-07 (주)아모레퍼시픽 고함량의 지용성 성분이 함유된 세정제 조성물
KR101966185B1 (ko) * 2017-10-27 2019-04-05 주식회사 서울화장품 보습 활성을 갖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5810B1 (ko) 201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7961B2 (en) Wash composition
KR101045901B1 (ko) 증점 조성물
JP3346420B2 (ja) 洗浄剤組成物
KR20180133170A (ko) 오일 고함유 세정제의 거품력을 향상시킨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CN113197790A (zh) 一种三合一氨基酸净澈慕斯及其制备方法
KR101105810B1 (ko) 인체 세정제 조성물
KR101042717B1 (ko) 클렌징 조성물
JP3375833B2 (ja) 皮膚洗浄剤
JPH01294797A (ja) 洗浄剤組成物
KR101966185B1 (ko) 보습 활성을 갖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KR20180017722A (ko) 오일을 고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
KR100981600B1 (ko) 세안제 조성물
JP2844495B2 (ja) 洗浄剤組成物
KR101062626B1 (ko) 세정제 조성물
JP3631080B2 (ja) 皮膚洗浄剤組成物
KR930007227B1 (ko) 세제와 로션 성분이 균형을 이룬 에멀젼 형태의 중성 액체 피부 세정 조성물
KR100532698B1 (ko) 미네랄복합체를 함유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JP2005281622A (ja) 洗浄剤組成物
JP3130373B2 (ja) 洗浄剤組成物
KR20200118725A (ko) 젤상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JPH0542998B2 (ko)
KR100456505B1 (ko) 순한액상세안제조성물
JP3091256B2 (ja) メイクアップ汚れ洗浄剤組成物
JP2002356417A (ja) 液体身体洗浄料
JPH0776514A (ja) 皮膚洗浄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