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626B1 -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626B1
KR101062626B1 KR1020040032282A KR20040032282A KR101062626B1 KR 101062626 B1 KR101062626 B1 KR 101062626B1 KR 1020040032282 A KR1020040032282 A KR 1020040032282A KR 20040032282 A KR20040032282 A KR 20040032282A KR 101062626 B1 KR101062626 B1 KR 101062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alanine
acyl
feeling
fatty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5728A (ko
Inventor
야마토나오야
사이토마사토시
Original Assignee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5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5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6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02Preparation of oxy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A)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와 (B) N-아실알라닌 또는 이의 염을 적어도 함유하며, (A)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와 (B) N-아실알라닌 또는 이의 염과의 배합 비율[(A)/(B)]이 99/1 내지 40/6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또는 모발용의 세정제 조성물이며, (B) N-아실알라닌 또는 이의 염은 바람직하게는 N-아실-L-알라닌 또는 이의 염이며, 또한 (B) N-아실알라닌 또는 이의 염은 바람직하게는 N-아실알라닌 알칼리 금속염이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세정할 때에 거품이 일어나는 것이 빠르며 거품량, 거품의 증가 및 거품 유지에 우수하며 헹굴 때의 감촉은 피부 및 모발에 대하여 잔류감, 뻣뻣거리는 느낌을 주지 않으며 건조후의 감촉은 피부에 대해서는 촉촉하면서 산뜻하게 하는 사용감을 부여하며 모발에 대하여는 촉촉한 느낌을 주면서 동시에 부드러움과 가벼움을 부여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 N-아실-α-알라닌, N-아실-α-알라닌 알칼리 금속염, 장쇄 지방산, 세정제 조성물

Description

세정제 조성물 {Cleaner composition}
본 발명은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와, N-아실-α-알라닌 또는 이의 염을 필수성분으로 하는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세정할 때에 거품이 일어나는 것이 빠르며 거품량, 거품의 증가, 거품 유지에 우수하며 헹굴 때의 감촉은 피부 및 모발에 대하여 잔류감, 뻣뻣거리는 느낌을 주지 않으며 건조후의 감촉은 피부에 대해서는 촉촉하면서 산뜻하게 하는 사용감을 부여하며 모발에 대하여는 촉촉한 느낌을 부여하는 동시에 부드러움과 가벼움을 부여할 수 있는 세정제 조성물이다.
종래부터 알킬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장쇄 지방산 비누,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로 대표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나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이의 거품량, 세정력의 높이로부터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조성물)에서의 세정 성분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세정제(조성물)에서는 피부에 대하여는 헹굴 때에 잔류감이 있거나 뻣뻣거리는 느낌이 강하고, 건조할 때에는 버스럭거리는 느낌을 부여한다는 결점이 있으며, 모발에 대하여는 헹굴 때에 잔류감이 있거나 뻣뻣거리는 느낌이 강하고, 건조할 때에는 버스럭거리는 느낌이 강하고, 모발이 정리되기 어려워지는 등의 결점이 있다.
헹굴 때에 뻣뻣함의 완화, 컨디셔닝 효과 부여 등의 목적으로 양이온화 셀룰로스와 같은 양이온성 고분자 컨디셔닝제가 세정제에 사용되고 있지만, 양이온성 고분자는 충분한 효과를 내기 위해서 대량으로 배합하면 세정제의 거품질을 악화시키며 또한 헹굴 때 및 건조후에 잔류감을 느끼게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락트산나트륨 등은 보습제로 공지되어 있지만, 이들 보습제를 단순히 세정제에 조합할 뿐의 피부 및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피부에 대하여 촉촉한 느낌을 충분하게 향상시킬 수 없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265191호에는 N-아실-α-알라닌염을 배합한 선택 세정기능을 갖는 세정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당해 문헌에서 「선택 세정기능」이란 피부상의 오염, 불필요한 각질, 단백질 및 피지선 유래 지질을 잘 씻어 내고, 또한 피부의 차단 기능에 있어서 필요한 콜레스테롤, 세라미드 등의 표피세포 유래 지질을 취하기 어려운 성질로 이야기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 등의 연구에 따르면 당해 문헌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는 세정제 조성물은 거품량, 거품 유지라는 세정제의 기본 성능이 떨어지거나 피부에 대해 건조후의 산뜻한 느낌이 떨어진다는 결점을 갖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04-l98125호에는 알킬로일알킬타우릴염과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와 N-아실아미노산염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N-아실아미노산염의 구체적인 예로서, 야자유지방산아실글루타민산트리에탄올아민을 들 수 있으며, 라우릴인산나트륨과 야자유지방산아실글루타민산트리에탄올아민의 배합된 예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등의 연구에 따르면, 당해 문헌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는 세정제 조성물은 거품 발생의 신속성이나 거품량이라는 세정제의 기본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으며, 피부 및 모발에 대하여 잔류감을 주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건조후의 감촉은 피부에 대해 충분하게 산뜻한 느낌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모발에 대하여는 충분한 부드러움 및 가벼움이라는 감촉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충분하게 만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08-003585호에는 N-아실알라닌염과 고급 지방산과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으며, 이중에서 라우로일알라닌나트륨 20 중량%와 라우르산나트륨 5 중량%, 또한 라우릴인산나트륨 5 중량%를 배합한 세안 크림의 처방예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등의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처방예의 세안 크림은 거품량과 거품 유지성이 결핍되며, 또한 피부에 대해 건조후의 산뜻한 느낌이 결핍된다는 결점을 가졌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08-165235호에는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와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으며, 이중에서, 2-헥실데실인산칼륨염과 N-라우로일-β-알라닌트리에탄올아민염과 라우르산트리에탄올아민염의 배합예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등의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배합예의 세정제 조성물은 거품 발생의 신속성이라는 세정제의 기본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나 피부 및 모발에 대하여 잔류감이나 뻣뻣거리는 느낌을 주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건조후의 감촉은 피부에 대해 충분하게 촉촉한 느낌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모발에 대하여는 충분하게 촉촉한 느낌과 부드러움 및 가벼움이라는 감촉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어 충분하게 만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05-156286호에는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와 2급 아미드형 N-아실아미노산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으며, 이중에서 라우릴인산트리에탄올아민염과 라우로일글리신나트륨염 등과의 배합예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등의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세정제 조성물은 거품 발생의 신속성이나 피부 및 모발에 대하여 잔류감이나 뻣뻣거리는 느낌을 주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건조후의 감촉은 피부에 대해 충분하게 촉촉한 느낌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모발에 대하여는 충분하게 촉촉한 느낌과, 부드러움 및 가벼움이라는 감촉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어서, 충분하게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세정할 때에 거품이 일어나는 것이 빠르며, 거품량, 거품의 증가 및 거품 유지에 우수하며, 헹굴 때의 감촉은 피부 및 모발에 대해 잔류감이나 뻣뻣거리는 느낌을 주지 않으며, 건조후의 감촉은 피부에 대해서는 촉촉하면서 산뜻하게 하는 사용감을 부여하며, 모발에 대하여는 촉촉한 느낌을 주면서 동시에 부드러움과 가벼움을 부여할 수 있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등은 예의 연구한 결과,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성분(A)]와 N-아실-α-알라닌 또는 이의 염[성분(B)]을 특정한 배합량비로 조합함으로써 거품 발생, 거품량, 거품의 증가 및 거품 유지라는 세정제의 기본 성능과, 헹굴 때 및 건조후의 피부 또는/및 모발에서의 우수한 감촉을 양립할 수 있는 것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1) (A)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와, (B) 하기 화학식 1의 N-아실-α-알라닌 또는 이의 염을 적어도 함유하며, (A)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와 (B) N-아실-α-알라닌 또는 이의 염의 배합 비율 [(A)/(B)]이 99/1 내지 40/60(중량% 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Figure 112004019301440-pat00001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 8 내지 26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아실기이다.
(2) (B) N-아실-α-알라닌 또는 이의 염이 N-아실-L-알라닌 또는 이의 염인, 상기 (1)에 기재된 세정제 조성물,
(3) (B) N-아실-α-알라닌 또는 이의 염이 N-아실-α-알라닌 알칼리 금속염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세정제 조성물, 및
(4) (C) 장쇄 지방산 또는 이의 염을 추가로 함유하는, 상기 (1) 내지 (3)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세정제 조성물,
(5) (C) 장쇄 지방산 또는 이의 염의 함유량이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1 내지 60 중량%인, 상기 (4)에 기재된 세정제 조성물, 및
(6) 상기 (1) 내지 (5)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세정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세정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정할 때에 거품이 일어나는 것이 빠르며, 거품량, 거품의 증가, 거품 유지에 우수하며, 또한 헹굴 때의 감촉은 피부 및 모발에 대하여 잔류감, 뻣뻣거리는 느낌을 주지 않으며, 또한, 건조후의 감촉은 피부에 대해서는 촉촉하면서 산뜻하게 하는 사용감을 부여하며, 모발에 대해서는 촉촉한 느낌을 주는 동시에 부드러움과 가벼움을 부여할 수 있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성분(A)]와 N-아실-α-알라닌[성분(B)]을 포함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전술한 특허 문헌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세정제의 세정 성분으로서 N-아실 중성 아미노산 (또는 이의 염)은 여러가지가 공지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 중에서도 N-아실-α-알라닌 또는 이의 염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본 발명은 이러한 N-아실-α-알라닌(염)[성분(B)]을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성분(A)]와 함께 양자의 배합 비율 [(A)/(B)]을 99/1 내지 40/60(중량% 비)로 하여 사용함으로써 거품 발생, 거품량, 거품의 신도 및 거품 유지라는 세정제의 기본 성능과, 헹굴 때 및 건조후의 피부 또는/및 모발에서의 우수한 감촉을 양립시킬 수 있는 세정제 조성물을 달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성분(A)의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란 인산과 탄소수 8 내지 22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8)의 알콜과의 에스테르(모노, 디 또는 트리 알킬에스테르) 또는 당해 에스테르 유래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이다. 디 또는 트리알킬에스테르에 있어서는 알콜 유래의 2 또는 3개의 알킬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또한, 모노 또는 디알킬에스테르에 있어서는 미중화의 산 타입 또는 나트륨, 칼륨, 칼슘 등의 금속 또는 트리에탄올아민, 아르기닌, 라이신, 콜린 등의 약염기 등과의 염일 수 있다. 또한, 당해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는 에틸렌옥사이드기가 1 내지 20몰 부가된 것일 수 있다.
당해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는 모노에스테르 또는 이의 염이 바람직하며, 이의 구체적인 예로는, 예를 들면, 모노-라우릴인산나트륨, 모노-라우릴인산디에탄올아민, 모노-라우릴인산트리에탄올아민, 모노-라우릴인산칼륨, 모노-미리스틸인산나트륨, 모노-미리스틸인산칼륨, 모노-미리스틸인산디에탄올아민, 모노-미리스틸인산트리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모노-라우릴인산나트륨, 모노-라우릴인산디에탄올아민, 모노-라우릴인산트리에탄올아민, 모노-라우릴인산칼륨이 특히 바람직하다.
당해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성분(A)]은 하나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이의 배합량은 목적 제품(즉, 세정제 조성물의 구체적 용도)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되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조성물 전체당 0.1 내지 50 중량%가 바람직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 중량%이다. 배합량이 0.1 중량%를 하회하는 경우, 거품량, 거품의 증가, 거품 유지라는 세정제의 기본 성능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배합량이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헹굴 때에 바람직하지 않은 뻣뻣거리는 느낌을 주거나 건조후의 촉촉하게 하는 감촉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성분 (B)의 N-아실-α-알라닌 또는 이의 염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염으로 이루어지며, N-아실-D-알라닌, N-아실-L-알라닌(염) 또는 N-아실-DL-알라닌(염)이거나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둘 이상의 혼합체일 수 있다.
화학식 1 중에서 R의 탄소수 8 내지 26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아실기는 측쇄 또는 직쇄라도 양호하며, 예를 들면, 카프릴로일기, 카프리노일기, 라우로일기, 미리스토일기, 팔미토일기, 스테아로일기, 올레오일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당해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이의 화학식 내의 R의 아실기가 동일한 단일 화합물 또는 당해 아실기가 상이한 화합물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러한 혼합물로는 야자유지방산, 우지지방산, 경화 우지지방산, 피마자유지방산, 올리브유, 팜유지방산 등의 천연에서 수득되는 혼합물 지방산 또는 합성에 의해 수득되는 지방산(측쇄 지방산을 포함한다) 유래의 아실기를 갖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당해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내의 R은 혼합 지방산 유래의 아실기이며, 그 경우, 아실기(즉 R)의 평균 탄소수는 8 내지 26,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8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혼합 지방산 유래의 아실기는 야자유지방산 유래의 아실기이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염으로서는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마그네슘, 칼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등의 유기 아민, 암모니아 등의 무기 아민, 라이신, 오르니틴, 아르기닌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 등을 염기 성분으로 하는 염을 들 수 있다. 당해 염에서는 제품 형태의 안정성 등에서 알칼리 금속염이 바람직하며, 거품의 증가이나 거품 유지라는 관점에서 나트륨염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성분(B)의 N-아실-α-알라닌 또는 이의 염은 이의 입수 용이성에서 N-아실-DL-알라닌 또는 이의 염, N-아실-L-알라닌 또는 이의 염이 바람직하며, N-아실-L-알라닌 또는 이의 염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세정제 조성물의 헹굴 때의 잔류감이 적은 등의 관점에서, N-아실-L-알라닌 또는 이의 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구체적인 예로는, 예를 들면, N-야자유지방산아실-DL-알라닌나트륨염, N-야자유지방산아실-L-알라닌나트륨염, N-야자유지방산아실-DL-알라닌칼륨염, N-야자유지방산아실-L-알라닌칼륨염, N-야자유지방산아실-DL-알라닌트리에탄올아민염, N-야자유지방산아실-L-알라닌트리에탄올아민염, N-야자유지방산아실-DL-알라닌라이신염, N-야자유지방산아실-L-알라닌라이신염, N-야자유지방산아실-DL-알라닌아르기닌염, N-야자유지방산아실-L-알라닌아르기닌염, N-라우로일-DL-알라닌나트륨염, N-라우로일-L-알라닌나트륨염, N-라우로일-DL-알라닌칼륨염, N-라우로일-L-알라닌칼륨염, N-라우로일-DL-알라닌트리에탄올아민염, N-라우로일-L-알라닌트리에탄올아민염, N-라우로일-DL-알라닌라이신염, N-라우로일-L-알라닌라이신염, N-라우로일-DL-알라닌아르기닌염, N-라우로일-L-알라닌아르기닌염, N-미리스토일-DL-알라닌나트륨염, N-미리스토일-L-알라닌나트륨염, N-미리스토일-DL-알라닌칼륨염, N-미리스토일-L-알라닌칼륨염, N-미리스토일-DL-알라닌트리에탄올아민염, N-미리스토일-L-알라닌트리에탄올아민염, N-미리스토일-DL-알라닌라이신염, N-미리스토일-L-알라닌라이신염, N-미리스토일-DL-알라닌아르기닌염, N-미리스토일-L-알라닌아르기닌염, N-팔미토일-DL-알라닌나트륨염, N-팔미토일-L-알라닌나트륨염, N-팔미토일-DL-알라닌칼륨염, N-팔미토일-L-알라닌칼륨염, N-팔미토일-DL-알라닌트리에탄올아민염, N-팔미토일-L-알라닌트리에탄올아민염, N-팔미토일-DL-알라닌라이신염, N-팔미토일-L-알라닌라이신염, N-팔미토일-DL-알라닌아르기닌염, N-팔미토일-L-알라닌아르기닌염, N-스테아로일-DL-알라닌나트륨염, N-스테아로일-L-알라닌나트륨염, N-스테아로일-DL-알라닌칼륨염, N-스테아로일-L-알라닌칼륨염, N-스테아로일-DL-알라닌트리에탄올아민염, N-스테아로일-L-알라닌트리에탄올아민염, N-스테아로일-DL-알라닌라이신염, N-스테아로일-L-알라닌라이신염, N-스테아로일-DL-알라닌아르기닌염, N-스테아로일-L-알라닌아르기닌염, N-스테아로일-DL-알라닌나트륨염, N-스테아로일-L-알라닌나트륨염, N-스테아로일-DL-알라닌칼륨염, N-스테아로일-L-알라닌칼륨염, N-스테아로일-DL-알라닌트리에탄올아민염, N-스테아로일-L-알라닌트리에탄올아민염, N-스테아로일-DL-알라닌라이신염, N-스테아로일-L-알라닌라이신염, N-스테아로일-DL-알라닌아르기닌염, N-스테아로일-L-알라닌아르기닌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아실기가 야자유지방산아실 타입의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N-야자유지방산아실-L-알라닌나트륨염이다.
본 발명에서 성분(B)의 N-아실-α-알라닌 또는 이의 염은 1종류를 사용하거나 둘 이상을 병용할 수 있으며, 이의 배합량은 목적하는 제품(즉, 세정제 조성물의 구체적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조성물 전체당 통상적으로 0.03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중량%이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성분 (A)의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와 성분 (B)의 N-아실-α-알라닌 또는 이의 염과의 배합 비율이 99/1 내지 40/60(중량% 비)인 것이 중요하다. 이의 배합 비율을 벗어나서 성 분(A)의 비율이 많아지면, 거품 발생의 신속성이라는 세정제의 기본 성능이 떨어지거나, 피부에 대하여는 건조후의 촉촉한 느낌, 모발에 대하여는 건조후의 촉촉한 느낌이나 모발의 부드러움 및 가벼움이라는 점에서 떨어지는 경우가 있으며 한편, 성분 (B)의 비율이 많아지면 거품량이나 거품 유지라는 세정제의 기본 성능이 떨어지거나 피부에 대하여는 건조후의 산뜻한 느낌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 성분(A)와 성분(B)의 배합 비율[(A)/(B)]은 바람직하게는 99/1 내지 50/50(중량% 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0/10 내지 75/25(중량% 비), 특히 바람직하게는 85/15 내지 75/25(중량% 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성분 (C)의 장쇄 지방산 또는 이의 염은 직쇄 또는 측쇄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 또는 이의 염이며, 탄소수가 동일한 단일 화합물 또는 탄소수가 상이한 화합물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소위, 고급 지방산 비누류이다. 염의 염기 성분으로서는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마그네슘, 칼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등의 유기 아민, 암모니아 등의 무기 아민, 라이신, 오르니틴, 아르기닌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 등을 들 수 있다. 당해 장쇄 지방산 또는 이의 염에서, 탄소수가 동일한 단일 화합물인 경우에 탄소수는 8 내지 26이 바람직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8이며, 또한 탄소수가 상이한 화합물의 혼합물인 경우에 평균 탄소수는 8 내지 26이 바람직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8이다. 당해 장쇄 지방산 또는 이의 염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로서는,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야자유지방산, 경화 우지지방산, 팜유지방산, 경화 팜유지방산, 사프라와유지방산, 우지지방산, 베헤닌산, 올레산, 이소스테아르산 등이나 이들의 염을 들 수 있으며, 이중에서도 라우르산(염), 미리스트산(염), 팔미트산(염), 스테아르산(염), 야자유지방산(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성분(A) 및 성분(B)과 함께 성분(C)를 병용함으로써 특히 거품의 발생, 거품 유지라는 세정제의 기본 성능이 보다 한층 향상되는 동시에 피부나 모발에서의 헹굴 때의 잔류감을 보다 한층 감소시킬 수 있다.
당해 성분(C)의 장쇄 지방산 또는 이의 염은 1종류를 사용하거나 둘 이상을 병용할 수 있으며, 이의 배합량은 목적하는 제품(즉, 세정제 조성물의 구체적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되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조성물 전체당 0.1 내지 60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중량%이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목적(효과)을 억제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통상적인 화장품에 사용되는 유제, 분체(안료, 색소, 수지), 불소 화합물, 수지, 점성제, 고분자, 방부제, 향료, 자외선 흡수제, 보습제, 다가 알콜, 생리활성 성분, 염류, 용매, 산화방지제, 항균제, 제한제, 킬레이트제, 중화제, pH 조정제 등의 성분을 동시에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약산성으로부터 약알칼리성까지 광범위한 조성물로 조제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피부에 대한 자극이 낮은 등의 관점에서 pH 5.0 내지 8.0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의 제형(형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액체상, 페이스트상, 겔상, 고체상, 분말상 등의 임의의 제형(형태)로 할 수 있지만, 거품 발생의 속도 등의 관점에서 액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샴푸, 컨디셔닝 샴푸 등의 각종 모발 세정제 및 세안료, 클렌징 제제, 클렌징 크림, 보디 샴푸, 핸드 소프, 고형 비누, 쉐이빙 폼, 면도용 크림 등의 각종 피부 세정제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치약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조예 1 (N-야자유지방산아실-L-알라닌나트륨염의 합성)
L-알라닌 30.0g에 물 167g을 가하며, pH 10.98 내지 11.02, 반응 온도 33 내지 37℃를 유지하면서, 야자유지방산클로라이드 73.68g과 27중량%-NaOH 수용액을 교반하면서 1시간에 걸쳐 동시에 적가하였다. 1시간 동안 숙성한 후, 반응액을 승온하고 75중량% 황산을 첨가하여 pH를 2.0으로 조정하였다. 또한, 80℃까지 승온하여, 약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 10분 동안 정치하면, 유기층과 수층으로 분층되어서 수층 약 200g을 용기의 하부에서 제거하였다. 남은 유기층에 열수를 가하여, 다시 80℃로 한 후, 10분 동안 교반하고, 10분 동안 정치하여, 분층한 수층을 제거하여서 유기층을 수득하였다. 유기층에 27%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및 물을 가하고, pH 6.8로 되도록 조정하여, 목적물 (N-야자유지방산아실-L-알라닌나트륨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 (N-야자유지방산아실-DL-알라닌나트륨염의 합성)
L-알라닌 대신에 DL-알라닌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목적물 (N-야자유지방산아실-L-알라닌나트륨염)을 수득하였다.
하기의 표 1에 기재된 조성의 세정제 조성물(실시예 1 내지 6, 비교예 1 내지 5)를 조제하여, 하기의 평가시험을 실시한다. 또한, 표에 기재된 각 배합 성분의 양(표 중의 수치)는 조성물 전체(잔여의 물을 포함한다)를 100으로 할 때의 중량 분률(%)이다.
[평가 시험]
① 거품의 발생, 거품량, 거품의 증가 및 거품 유지 등의 세정제로서의 기본 성능의 평가
5명의 전문 패널리스트에 의한 손 닦기 평가로 실시하였다. 평가는 하기 채점표로부터 환산되는 평균점이 4.1 이상의 경우를 ◎, 3.5 내지 4.0을 ○, 3.0 내지 3.4를 ▲, 2.9 이하를 ×로 하였다.
(거품의 발생)
5: 빠름
4: 약간 빠름
3: 보통
2: 약간 느림
1: 느림
(거품량)
5: 풍부
4: 약간 풍부
3: 보통
2: 약간 부족
1: 부족
(거품의 증가)
5: 양호
4: 약간 양호
3: 보통
2: 약간 바람직하지 않음
1: 바람직하지 않음
(거품 유지)
5: 양호
4: 약간 양호
3: 보통
2: 약간 바람직하지 않음
1: 바람직하지 않음
② 손 닦기 시험 및 모발 세정시험에 의한 관능 평가
손 닦기 시험에서는 헹굴 때의 잔류감과 뻣뻣거리는 느낌, 건조후의 촉촉한 느낌과 산뜻한 느낌을 평가한다.
모발 세정 시험에서는 헹굴 때의 잔류감과 뻣뻣거리는 느낌, 건조후의 촉촉한 느낌, 및 부드러움 및 가벼움(부드러움 & 가벼움)을 5명의 전문 패널리스트가 평가하였다.
평가는 1점(나쁘다) 내지 5점(양호)의 5단계로 평가하며, 5명의 평균점을 산출하여 평균점이 4.1 이상을 ◎, 3.5 내지 4.0을 ○, 3.0 내지 3.4를 ▲, 2.9 이하를 ×로서 평가하였다.
배합성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1 2 3 4 5
라우릴인산나트륨 10 10 10 10 4.8 10 10 10 3 10
라우릴인산트리에탄올아민염 8
N-야자유지방산아실-DL-알라닌나트륨염 2
N-야자유지방산아실-L-알라닌나트륨염 2 2 4 7.2 9
N-라우로일-DL-알라닌칼륨염 2
N-야자유지방산아실글루탐산나트륨염*1 2
N-야자유지방산아실자르코신나트륨염*2 2
N-야자유지방산아실-N-메틸-β-알라닌나트륨염*3 2
야자유지방산나트륨염 1 1 2 1 1 1 2 2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잔여
(기본성능)
거품의 발생
거품량 O O O O
거품의 증가 O O O O O
거품 유지 O O O O O O O
(피부)
헹굴 때의 잔류감 O O O O O O O
헹굴 때의 뻣뻣거림 O O
건조 후의 촉촉함 O
건조 후의 산뜻함 O O O O O
(모발)
헹굴 때의 잔류감 O O O O O O O O
헹굴 때의 산뜻함 O
건조 후의 촉촉함
건조 후의 부드러움 & 가벼움
상기 표 중에서,
*1: 「아미소프트」CS-22 아지노모토사 제조
*2: 「소이폰」SC 카와도구 파인 케미칼사 제조
*3: 「아라논」ACE 카와도구 파인 케미칼사 제조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세정제 조성물은 거품의 기본 성능의 모든 항목(거품의 발생, 거품량, 거품의 증가, 거품 유지)에 있어서 양호하고, 헹굴 때의 감촉은 피부 및 모발에 대하여 잔류감, 뻣뻣거리는 느낌을 주지 않으며, 건조후의 감촉은 피부에 대해서는 촉촉하면서 산뜻하게 하는 사용감을 부여하며, 모발에 대하여는 촉촉한 느낌을 주는 동시에 부드러움과 가벼움을 주는 것을 알았다.
실시예 7, 8
하기의 표에 기재된 처방으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세안 폼(실시예 7) 및 보디 샴푸(실시예 8)를 조제하였다. 이들은 모두 거품의 발생, 거품량, 거품의 증가 및 거품 유지로 이루어지는 기본 성능은 양호하며, 또한, 사용감에서도 우수한 것이었다. 또한, 각 표에 기재된 각 배합 성분의 양(표 중의 수치)는 조성물 전체를 100으로 할 때의 중량 분률(%)이다.
(세안 폼)
배합물 배합량 (중량%)
32.25
라우릴인산K 25
글리세린 25
탈크 3
N-야자유지방산아실-L-알라닌 나트륨염 3
소르비톨 1.5
라우르아미드프로필베타인 1.5
카프릴산글리세린 1.5
알콜 1
라우르산 1
시트르산 0.05
데실글루코시드 1
라우릴하이드록시설타인 1
미리스트산 1
스테아르산 1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0.5
프로필렌글리콜 0.5
벤조산염 0.2
(보디 샴푸)
배합물 배합량 (중량%)
74.2
라우릴인산 10.0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황산염 2.0
데실글루코시드 2.0
N-야자유지방산아실-L-알라닌 나트륨염 3.
카프르산글리세린 1.0
디스테아르산글리콜 1.0
라우르아미드프로필베타인 1.0
라우르산폴리글리셀린 1.0
코카미드MEA 1.0
DPG 1
라우르산 0.8
라우레스-4 0.8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0.5
시트르산 0.05
프로필렌글리콜 0.5
에테르산염 0.2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의 효과는 기존의 세정제 조성물과 비교하여 세정할 때에 거품이 일어나는 것이 빠르며 거품량, 거품의 증가 및 거품 유지에 우수하고 헹굴 때의 감촉은 피부 및 모발에 대해 잔류감이나 뻣뻣거리는 느낌을 주지 않으며, 건조후의 감촉은 피부에 대해서는 촉촉하면서 산뜻하게 하는 사용감을 부여하고 모발에 대하여는 촉촉한 느낌을 주면서 동시에 부드러움과 가벼움을 부여하는 것이다.

Claims (6)

  1. (A)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와, (B) 하기 화학식 1의 N-아실-α-알라닌 또는 이의 염을 적어도 함유하며, (A)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와 (B) N-아실-α-알라닌 또는 이의 염의 배합 비율[(A)/(B)]이 99/1 내지 40/60(중량% 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4019301440-pat00002
    상기식에서,
    R은 탄소수 8 내지 26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아실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B) N-아실-α-알라닌 또는 이의 염이 N-아실-L-알라닌 또는 이의 염인 세정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B) N-아실-α-알라닌 또는 이의 염이 N-아실-α-알라닌 알칼리 금속염인 세정제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C) 장쇄 지방산 또는 이의 염을 추가로 함유하 는 세정제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C) 장쇄 지방산 또는 이의 염의 함유량이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1 내지 60 중량%인 세정제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세정제.
KR1020040032282A 2003-05-07 2004-05-07 세정제 조성물 KR101062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29553A JP4059134B2 (ja) 2003-05-07 2003-05-07 洗浄剤組成物
JPJP-P-2003-00129553 2003-05-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728A KR20040095728A (ko) 2004-11-15
KR101062626B1 true KR101062626B1 (ko) 2011-09-07

Family

ID=33505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282A KR101062626B1 (ko) 2003-05-07 2004-05-07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059134B2 (ko)
KR (1) KR101062626B1 (ko)
CN (1) CN10040801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34382B2 (ja) * 2014-04-09 2019-06-26 ライオン株式会社 フォーマー容器入り液体洗浄剤組成物
US11540993B2 (en) 2018-06-04 2023-01-03 Suzhou Oulit Biopharm Co., Ltd Self-assembled amino acid supramolecular polymer,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application thereof
JP2021527117A (ja) * 2018-06-04 2021-10-11 ▲蘇▼州欧▲麗▼特生物医▲薬▼有限公司 アミノ酸自己組織化超分子ポリマーおよびその製造と使用
CN108451783A (zh) * 2018-06-04 2018-08-28 苏州欧丽特生物医药有限公司 一种皮肤护理组合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7148A (ja) * 2000-08-03 2002-02-12 Noevir Co Ltd シャンプー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3890A (ja) * 1991-08-13 1993-02-23 Kao Corp 洗浄剤組成物
JP3087398B2 (ja) * 1991-12-04 2000-09-11 味の素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JPH08165235A (ja) * 1994-12-15 1996-06-25 Kao Corp 皮膚洗浄用品
JP4542279B2 (ja) * 2001-03-30 2010-09-08 株式会社ファンケル 洗浄用組成物
JP2002322491A (ja) * 2001-04-23 2002-11-08 Fancl Corp 洗浄用組成物
JP2003034623A (ja) * 2001-07-19 2003-02-07 Nikko Seiyaku Kk シャンプー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7148A (ja) * 2000-08-03 2002-02-12 Noevir Co Ltd シャンプー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59134B2 (ja) 2008-03-12
JP2004331568A (ja) 2004-11-25
CN1572279A (zh) 2005-02-02
KR20040095728A (ko) 2004-11-15
CN100408019C (zh) 2008-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7961B2 (en) Wash composition
US20060019844A1 (en) Foaming cleansing composition
WO2004092315A1 (ja) 洗浄剤組成物
KR20060009896A (ko) 세정제 조성물
EP1577373B1 (en) Detergent composition
KR101168434B1 (ko) 세정제 조성물
JPH0853693A (ja) 洗浄剤組成物
US20100093583A1 (en) Foaming cleansing composition
KR101062626B1 (ko) 세정제 조성물
KR100346315B1 (ko) 세정제조성물
KR101042717B1 (ko) 클렌징 조성물
KR20080063898A (ko) 저점성 유액타입의 수성세안제 조성물
CN110354014B (zh) 皮肤用清洗剂组合物
JPH07309742A (ja) クリーム状皮膚洗浄剤
JP5946416B2 (ja) 皮膚洗浄用化粧料
JP2956268B2 (ja) 洗浄剤組成物
KR101105810B1 (ko) 인체 세정제 조성물
CN113873988A (zh) 用于清洁角蛋白材料的组合物
KR20210032799A (ko)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제
US20060018865A1 (en) Foaming cleansing composition
JP2001031560A (ja) 皮膚洗浄料
JP4101827B2 (ja) 起泡性クレンジング組成物
JP2004331942A (ja) 洗浄剤組成物
KR102311379B1 (ko) 기포감이 우수한 저자극 샴푸 조성물
JPH0232008A (ja) 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