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170A - 오일 고함유 세정제의 거품력을 향상시킨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일 고함유 세정제의 거품력을 향상시킨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170A
KR20180133170A KR1020170069813A KR20170069813A KR20180133170A KR 20180133170 A KR20180133170 A KR 20180133170A KR 1020170069813 A KR1020170069813 A KR 1020170069813A KR 20170069813 A KR20170069813 A KR 20170069813A KR 20180133170 A KR20180133170 A KR 20180133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
butter
oil
fatty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4167B1 (ko
Inventor
최새롬
김은종
정민우
최승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70069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167B1/ko
Publication of KR20180133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4Preser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올인원(All-in-one)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에 대한 자극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1 회의 세안만으로도 메이크업 클렌징 효과는 높이고 오일 잔여감은 낮추며, 세안 후 보습력을 향상시키는 식물성 버터; 및 비-설페이트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클렌징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미치는 자극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이중세안 없이 1회의 세안만으로도 메이크업 클렌징 효과가 우수하고 세정성이 우수하여 별도의 추가 세안이 필요하지 않으며, 세안 후 보습효과가 우수하여, 올인원(All-in-one)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일 고함유 세정제의 거품력을 향상시킨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 Having Foam Boosting and Makeup Cleansing Properties}
본 발명은 오일 고함유 세정제의 거품력을 향상시킨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에 대한 자극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1 회의 세안만으로도 메이크업 클렌징 효과는 높이고 오일 잔여감은 낮추며, 세안 후 보습력을 향상시키는 식물성 버터; 및 비-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올인원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래 생활 패턴의 변화로 인해 간편한 세안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별도의 2차 세안 과정 없이 세안을 마무리하고자 하는 니즈(needs)들이 나타남에 따라 메이크업뿐만 아니라 피지와 노폐물까지 한번에 제거할 수 있는 올인원(All-in-one) 세정제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메이크업을 지우기 위한 1차 세안은 메이크업 화장료의 성분과 유사한 유성 성분을 이용하여 메이크업을 제거하지만, 1차 세안제의 주요 성분인 오일이 다 씻겨나가지 못하고 피부에 남아 있어 추가적인 2차 세안을 필요로 하게 된다. 2차 세안제는 음이온성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세정력이 우수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산뜻한 세정효과를 경험하게 한다.
그러나, 이렇게 여러 단계의 세안 과정을 거치는 동안 피부 장벽이 손상되어 건조함을 느끼기 쉽고, 피부에 주는 자극이 크며, 심한 경우 수분 손실이 야기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현재 오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여 메이크업 제거력을 높임과 동시에 거품력 및 씻김성이 우수한 클렌징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오일은 메이크업 성분의 분산을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거품을 꺼뜨리는 성질이 있어, 오일을 함유하는 제품이 거품을 발생시키는 속성을 포함하도록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하기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특히, 2차 세안제로 널리 사용되는 설페이트(sulfate) 계열의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다량으로 사용하게 되면 세정력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피부에 미치는 자극이 높다는 문제점 또한 존재한다.
특히, 최근 이중 세안에 의한 피부상태를 확인한 여러 결과에서, 이중 세안은 두 번에 걸친 강한 피부 마찰에 의해 장벽 손상을 야기하여 피부 보습효과를 저해하고 있음이 확인된 바 있다. 이에 따라, 피부 손상을 방지하고자 2차 세안제인 클렌징 폼 성분 내에 보습성분을 추가하여 피부 보습 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세안 중에 보습 성분이 함께 물에 씻겨나가 피부에 남아있지 않게 되어 결국 손상된 장벽에 보습 효과를 부여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공개공보 제10-2015-0076477호는 식물성 오일을 포함하는 세안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발명은 오일 제형 또는 젤 제형으로 명시하고 있어 1차 세안인 메이크업 클렌징에만 국한하고 있으며, 식물성 버터를 필수 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추가 세안이 필요하지 않은 올인원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식물성 버터; 및 비-설페이트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특정 비율로 배합하면, 오일 성분인 식물성 버터가 메이크업을 분산시키고 피지 성분을 제거하는 동시에 거품을 꺼트리지 않아 종래보다 월등히 우수한 거품력을 가지게 되고, 거기에 비-설페이트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제형을 안정화시키면서 설페이트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비해 피부에 대한 자극을 감소시키며, 그와 동시에 1차 및 2차 세안 기능을 동시에 부여하여 1회의 세안만으로도 피부 보습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성 버터; 비-설페이트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올인원(All-in-one)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식물성 버터; 비-설페이트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올인원(All-in-one)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메이크업"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는 화장품이나 도구를 사용하여 신체의 장점을 부각하고 단점은 수정 및 보완하는 미적 제행위일체를 의미한다. 특히, 메이크업은 외부의 먼지나 자외선, 대기오염 및 온도 변화에 대해서 피부를 보호하고, 생활의 편의를 도모하며 궁극적으로는 얼굴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부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클렌징(cleansing)"은 얼굴의 화장을 깨끗이 닦아 내는 일이나, 또는 그렇게 하는 데에 사용하는 화장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식물성 버터"는 식물에서 추출한 버터류를 의미하는 것으로, 시중에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직접 추출해서 사용하는 것을 다 포함한다. 상기 식물성 버터는 보습 및 유연 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본 발명의 1차 세안과 2차 세안의 결합된 속성 중 메이크업 제거력과 거품력 형성에 중요한 성분이다. 상기 식물성 버터는 특별히 제한된 것은 아니나, 구체적으로는, 쉐어 버터(shea butter), 코코아 버터(cocoa butter), 망고 버터 (mango butter), 쿠푸아수 버터(cupuacu butter), 바바수 버터(babassu butter), 아보카도 버터(avocado butter), 호호바 버터(jojoba butter), 마카다미아 씨 버터(macadamia seed butter)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쉐어버터, 코코아버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식물성 버터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된 것은 아니나, 구체적으로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기포력 유지 및 유화 안정성 유지를 위해 10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식물성 버터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제품의 경도 유지와 클렌징 제거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유화 안정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계면활성제"는 묽은 용액 속에서 계면에 흡착하여 그 표면장력을 감소시키는 물질로, 보통 1분자 속에 친유기와 친수기가 함께 들어 있는 양쪽 친매성(親媒性)인 물질은 계면활성제가 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친수 부분의 특성으로 구분하는데 크게 음이온성, 비이온성, 양쪽성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 구분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친수성 부분이 음이온 원자단인 계면 활성제를 의미하고,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동일 분자 내에 양이온기와 음이온기 양쪽을 갖는 계면활성제로, 양이온기로서는 제4급 질소, 음이온기로서는 카복실산기, 설폰산기, 황산기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공업적으로는 이미다졸린(imidazoline)형, 베테인(beteine)형이 많고, 음이온 계면활성제와의 사이에서 분자간 화합물을 형성하여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성능을 돕는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상,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설페이트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제외한 비-설페이트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설페이트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일반적으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많이 포함되는 세정력이 강한 물질로, 피부나 두피에 자극을 주는 유해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용어, "비-설페이트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설페이트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아닌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SLS(Sodium lauryl sulfate)와 SLES(sodium laureth sulfate)등을 제외한 계면활성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설페이트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을 안정화시키면서 설페이트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비해 피부에 대한 자극을 감소시킨다. 상기 비-설페이트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특별히 제한된 것은 아니나, 알킬에테르카복실산염, 지방산 아미드에테르카복실산염, 알킬이세치온산염, 아실이세치온산염,알킬글리시딜에테르술폰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염, 지방산 알칸올아미드황산염,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알킬에테르인산염, 지방산 아미드에테르인산염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소듐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 소듐라우릴설포아세테이트, 또는 소듐 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일 수 있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듐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 소듐라우릴설포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소듐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sodium cocoyl isethionate)"는 비-설페이트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코코넛에서 유래된 약산성 음이온 계면활성제여서 자극이 적고 마일드하면서 풍부한 거품을 형성하고 우수한 세정력을 제공하는 계면활성제를 의미한다. 또한, "소듐라우릴설포아세테이트(Sodium Lauryl Sulfoacetate)"는 복합성 피부를 위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순한 성질을 가진 천연 계면활성제를 의미하며,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Sodium Stearoyl Glutamate) "는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로 되어 있고 이 원료를 건조한 것은 정량할 때 질소(N : 14.01) 2.8~3.2%를 함유하는 계면활성제를 의미한다.
상기 비-설페이트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특별히 함량이 제한된 것은 아니나,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35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설페이트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거품력과 씻김성이 나빠지며 계면활성제의 탄소 체인과 식물성 버터의 상호작용이 약화되어 안정성이 떨어지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계면활성제의 용해성이 떨어져 석출의 가능성이 생기는 단점이 생기게 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올인원((All-in-one))"은 2개 이상의 기능이 하나로 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1차 세안이 가지는 메이크업을 지우기 위한 기능과 상기 1차 세안에서 제거되지 않은 오일 등을 제거하기 위한 2차 세안이 가지는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올인원(All-in-one)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1차 세안 및 2차 세안이 가지고 있는 기능을 하나로 하여, 이중 세안 없이 1회 세안만으로도 메이크업을 클렌징함과 동시에 개운한 세안이 가능하며 피부 보습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쉐어버터 및/또는 코코아버터의 식물성 버터와 비-설페이트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속한 소듐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 소듐라우릴설포아세테이트, 및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을 포함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이 거품 형성력이 매우 우수하면서 동시에, 1회만으로도 현저히 우수한 세정력을 가지고, 세안 후 보습력을 유지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그 중에서도 쉐어버터 및 코코아버터를 모두 포함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거품 형성력이 더 우수하고, 헤드 구조가 동일한 소듐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와 소듐라우릴설포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경우,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미치는 자극을 최소화하고, 이중 세안 없이 1회 세안만으로 메이크업을 제거하면서 동시에 세안을 마무리할 수 있는 올인원(All-in-one)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식물성 오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식물성 오일"은 식물 유래의 오일 성분을 지칭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식물에서 추출한 오일 성분을 의미하며, 특별히 제한된 것은 아니나, 시중에서 판매되는 것을 이용하거나,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직접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물성 오일은 올리브유, 호호바유, 경화야자유, 아보카드유, 아몬드유, 코코넛유, 마카다미아넛유, 메도우폼유, 팜유, 야자유, 피마자유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유화능과 사용감을 고려하여 단독 혹은 혼합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식물성 오일은 본 발명의 목적상 소량 첨가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는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쉐어버터 및/또는 코코아버터와 비-설페이트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소량의 식물성 오일이 첨가된 경우, 식물성 버터와 비-설페이트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만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비하여 거품 형성력이 더 우수함을 확인하였다(표 2). 또한, 식물성 버터 대신 식물성 오일로만 조성을 이룬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는 거품 형성력이 현저히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쉐어버터 및/또는 코코아버터와 비-설페이트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구성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이 거품 형성력이 현저히 좋음을 확인하였는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를 자극하는 정도가 월등히 낮음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비이온활성제 또는 비이온 표면활성제라고도 하며, 소수성(疏水性) 단위체와 친수성(親水性) 단위체와의 블록중합 또는 그래프트 중합에 의하여 합성된 고분자 활성제를 의미한다. 특별히 제한된 것은 아니나, 구체적으로는,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POE-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POE-지방산 에스테르, POE-알킬 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용매, 보습제, 염 또는 점증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염"은 산과 염기가 반응을 일으킬 때 물과 함께 생성되는 물질로서 산의 음이온과 염기의 양이온으로 만들어지는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다고 당업자에게 공지된 화합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점증제"는 용액 따위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증점제 또는 증점 안정제(增粘安定劑)라고도 한다. 겉보기에 끈적거리게 되므로 마치 농축된 것과 같아서 농화제(濃化劑)라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고 당업자에게 공지된 점증제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특별히 제한 없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방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방부제"는 보존을 목적으로 방부하기 위해서 첨가하는 약제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페녹시에탄올, 에칠헥실글리세린,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소듐벤조에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쉐어버터 및/또는 코코아버터의 식물성 버터와 비-설페이트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모두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이 거품 형성력이 매우 우수함과 동시에, 1회만으로도 현저히 우수한 세정력을 가지고, 세안 후 보습력을 유지시킴을 확인하였다. 특히, 그 중에서도 쉐어버터 및 코코아버터를 모두 포함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거품 형성력이 더 우수하고, 헤드 구조가 동일한 소듐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와 소듐라우릴설포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경우,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미치는 자극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1회의 세안만으로도 메이크업 클렌징 효과가 우수하고 세정성이 우수하여 별도의 추가 세안이 필요하지 않으며, 발림성을 포함한 사용감과 제형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고, 세안 후 보습효과가 현저하여, 올인원(All-in-one)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미치는 자극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이중세안 없이 1회의 세안만으로도 메이크업 클렌징 효과가 우수하고 세정성이 우수하여 별도의 추가 세안이 필요하지 않으며, 세안 후 보습효과가 우수하여, 올인원(All-in-one)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제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클렌징력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거품력, 제형의 안정성, 세정력 및 보습 평가를 측정하기 위해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내지 2의 성분은 하기 표 1의 조성비를 가지는 조성물로 각각 동일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1.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수상부, 세제상부, 유상부를 각각 계량하여 75℃에서 용해시켰다.
2. 그 다음, 수상 성분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혼합시키고 용해시킨 후, 메인 믹서로 이송시켰다.
3. 다음으로, 식물성 버터, 식물성 오일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상기 메인 믹서에 조금씩 투입하면서, 호모믹서로 75℃를 유지시키면서 7분간 교반하였다.
4. 그 후, 55℃까지 냉각 시킨 다음 3분간 교반한 후, 30℃까지 냉각시켜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w/w%)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수상성분 WATER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GLYCERIN 10 10 10 10 10 10
DIPROPYLENE GLYCOL 5 5 5 5 5 5
CELLULOSE GUM 0.5 0.5 0.5 0.5 0.5 0.5
SODIUM CHLORIDE 1 1 1 1 1 1
비-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SODIUM COCOYL ISETHIONATE 15 15 15 12 15 15
SODIUM LAURYL SULFOACETATE 3 3 3 - 3 3
SODIUM STEAROYL GLUTAMATE - - - 3 - -
식물성 버터 SHEA BUTTER 15 15 15 15 - -
COCOA SEED BUTTER - 5 5 5 - -
식물성 오일 CAPRYLIC/CAPRIC TRIGLYCERIDE 2 2 2 2 2
CETYL ETHYLHEXANOATE - - - - 10
PENTAERYTHRITYL
TETRAETHYLHEXANOATE
- - - - - 10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SUCROSE POLYSTEARATE 2 2 2 2 2 2
SORBITAN OLIVATE 2.3 2.3 2.3 2.3 2.3 2.3
방부제 PHENOXY ETHANOL 0.2 0.2 0.2 0.2 0.2 0.2
실험예 :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평가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거품 형성력, 제형 안정성, 메이크업 클렌징력 및 보습력을 평가하였다. 상세한 평가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예 1: 거품 형성력 평가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화장료 조성물의 거품 형성력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테스트 튜브에 각 조성물을 1g씩 담고 정제수를 20g 넣어준 뒤, 볼텍스(vortex)로 30초간 교반시킨 후, 거품의 높이를 측정하였다. 하기 표 2에 표현한 높이는 거품 생성 후 최종 높이(H2)에서 교반 전의 높이(H1)를 뺀 값(△H)이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H
(cm)
5.7 7.8 6.2 6.0 1.1 2.3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식물성 버터로 쉐어버터 및 코코아버터, 비-설페이트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소듐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 및 소듐라우릴설포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실시예 2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이 거품 형성력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대적으로 식물성 버터 대신 식물성 오일만 포함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인 비교예 1 내지 2는 실시예 2의 조성물 대비 거품 형성력이 현저히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1 내지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식물성 오일 성분이 소량 첨가되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거품 형성력이 조금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것은 쉐어버터 단독보다는 코코아버터를 추가하는 것이 거품 형성에 더 좋음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는 쉐어버터보다 코코아버터의 경도가 더 높아 거품 형성에 도움을 주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한,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2의 조성물을 비교해 보면, 식물성 버터 대신 식물성 오일로만 조성을 이룬 경우 거품 형성력이 현저히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분자량이 더 작고 선형에 가까운 에스테르류 오일로 구성된 비교예 1의 조성물이 거품이 잘 형성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설페이트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에서도 주 계면활성제인 소듐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와 구조적으로 유사성이 높은 소듐라우릴설포아세테이트를 추가한 경우가 식물성 버터와의 혼화성이 증가하여 거품 형성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반면, 주 계면활성제와 구조가 상이한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를 추가한 경우는 소듐라우릴설포아세테이트를 추가한 경우보다 거품 형성력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구조가 유사한 비-설페이트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하는 것이 피부에 미치는 자극을 더 감소시킬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종합하면, 상기 결과는 식물성 오일 없이 식물성 버터; 비-설페이트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거품 형성력이 가장 우수함을 나타내는 것이며, 특히, 식물성 버터 중 쉐어버터로만 구성된 경우보다 쉐어버터에 코코아버터가 추가되고, 헤드 구조가 유사한 음이온성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포함되는 것이 유화 안정성 및 거품 형성력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제형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을 시험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화장료 조성물을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조건과 0℃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냉장고에서 완전히 차광 시킨 후, 1개월 동안 보관하여 제형의 변리 혹은 변색의 변화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3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인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평가 기준]
○: 변화 없음 또는 양호
△: 조금 분리/석출 혹은 변색
X: 심하게 분리/석출 혹은 변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45℃ 분리 X X
변색
0℃ 분리 X X
변색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식물성 버터와 비-설페이트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실시예 2 및 3의 화장료 조성물은 45℃와 0℃에서 변색이나 분리 현상이 없어 제형이 안정한 상태로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식물성 버터 중 쉐어버터만을 포함하고 식물성 오일을 소량 포함하는 실시예 1의 조성물은 융점이 높고 더 높은 경도를 형성시키는 코코아 버터가 없어 완전히 분리되지는 않았으나, 45℃와 0℃에서 약간의 석출 현상이 확인되었다.
쉐어버터 및 코코아버터를 포함하고는 있으나, 헤드구조가 상이한 비-설페이트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있는 실시예 4의 조성물은 45℃에서 안정성이 조금 떨어지는 결과가 나왔으나 냉장 조건에서는 안정하게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물이 안정적인 제형으로 존재하는 반면, 식물성 버터 없이 식물성 오일로만 구성된 비교예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은 초기 제형 제조는 가능하였으나, 에스테르류 오일과 주 계면활성제와의 결합이 불안정하고 상용성이 좋지 않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유화되지 못하여 분리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식물성 버터와 비-설페이트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가장 안정적인 제형을 가짐을 시사하는 것이며, 그 중에서도 식물성 오일의 첨가 없이 식물성 버터로만 구성되고 동시에 헤드 구조가 동일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가장 안정적인 제형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세정성 평가
상기 실험예 1 및 2에서 거품 형성력과 제형 안정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의 세정성을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상세한 평가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폴리우레탄 재질의 인조피혁 위 0.5cm x 0.5cm의 영역을 표시한 후, W/O 파운데이션 제품을 도포한 것과 도포하지 않은 것으로 나누어 각각 정제수를 동일한 양으로 떨어뜨리고, 나타나는 물방울의 모양과 각도를 확인한 후 도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의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같은 양의 정제수를 떨어뜨렸을 때, 파운데이션이 도포되지 않은 표면에서보다 도포된 표면에서 물방울이 표시 영역 밖으로 넓게 퍼져 인조피혁과 물방울의 각도가 더 낮게 형성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상기의 경우를 피부가 오염된 상태 또는 메이크업의 잔여물이 남아있는 상태로 설정한 후, 파운데이션을 도포한 영역을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로 10회 부드럽게 문질러 준 후 흐르는 물로 세척하고, 미 도포 영역은 바로 흐르는 물로 세척하여 각각을 휴지로 가볍게 물기를 닦아내었다.
이 후, 다시 같은 양의 정제수를 떨어뜨렸을 때,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표면과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로 파운데이션을 세정한 표면을 비교한 결과, 도 1의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표시된 영역 밖으로 물방울이 퍼지지 않았으며, 도 1의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접촉 각도 역시 오염되거나 화장이 남아있는 상태와는 다르게 초기 상태로 회복되는 것이 확인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이 메이크업에 대하여 우수한 세정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보습력 평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미치는 이중 세안 대비 피부 보습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1 및 2에서 거품 형성력 및 제형 안정성이 가장 우수하다고 확인된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그 보습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1회 세안한 경우와 일반적인 형태의 클렌징 오일과 클렌징 폼을 사용하는 이중 세안 방법의 보습력을 비교 평가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팔 안 쪽에 3cm x 3cm에 제품을 도포하여 동일한 횟수로 문지른 후 미온수로 헹궈 내어 세정 전과 세정 후의 변화를 항온/항습 조건 25℃/ 습도 40%의 조건에서 Corneometer®와 Tewameter®로 보습 변화율 및 TEWL의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항목 실시예 2 이중 세안
보습 변화율 (%) 4.45 -5.31
TEWL 변화율 (%) 0.93 8.35
그 결과,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1회 세안한 경우가 일반적인 이중 세안에 비하여 보습 효과와 수분 손실에 대한 방어가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를 모두 종합하면, 본 발명의 식물성 버터; 및 비-설페이트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거품 형성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메이크업을 이중 세안 없이 1회만으로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세안 후의 피부 보습 방어 효과 또한 현저히 우수하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식물성 버터; 및 비-설페이트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올인원(All-in-one)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버터는 쉐어 버터, 코코아 버터, 망고 버터, 쿠푸아수 버터, 바바수 버터, 아보카도 버터, 호호바 버터 및 마카다미아 씨 버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버터는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30 중량%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설페이트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에테르카복실산염, 지방산 아미드에테르카복실산염, 알킬이세치온산염, 아실이세치온산염, 알킬글리시딜에테르술폰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염, 지방산 알칸올아미드황산염,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알킬에테르인산염, 지방산 아미드에테르인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설페이트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35 중량%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이중세안 없이 1회의 클렌징으로 오일 잔여감이 없도록 한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물성 오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은 올리브유, 호호바유, 경화야자유, 아보카드유, 아몬드유, 코코넛유, 마카다미아넛유, 메도우폼유, 팜유, 야자유, 및 피마자유로 구성된 군에서 1 이상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 내지 10 중량%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POE-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POE-지방산 에스테르, POE-알킬 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매, 보습제, 염 및 점증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내지 70 중량%의 용매, 5 내지 30 중량%의 보습제, 0.1 내지 3 중량%의 1가 염, 및 0.1 내지 2 중량%의 점증제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방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부제는 페녹시에탄올, 에칠헥실글리세린,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소듐벤조에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69813A 2017-06-05 2017-06-05 오일 고함유 세정제의 거품력을 향상시킨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2504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813A KR102504167B1 (ko) 2017-06-05 2017-06-05 오일 고함유 세정제의 거품력을 향상시킨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813A KR102504167B1 (ko) 2017-06-05 2017-06-05 오일 고함유 세정제의 거품력을 향상시킨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170A true KR20180133170A (ko) 2018-12-13
KR102504167B1 KR102504167B1 (ko) 2023-02-27

Family

ID=64671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813A KR102504167B1 (ko) 2017-06-05 2017-06-05 오일 고함유 세정제의 거품력을 향상시킨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16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530B1 (ko) 2020-07-24 2020-11-03 이도연 클렌징 오일 제조방법
KR20210031078A (ko) * 2019-09-11 2021-03-19 코스맥스 주식회사 다량의 유상을 함유하는 크림 타입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210267856A1 (en) * 2020-02-28 2021-09-02 Conopco, Inc., D/B/A Unilever High polyol wash composition
CN115190791A (zh) * 2020-02-28 2022-10-14 联合利华知识产权控股有限公司 高多元醇洗涤组合物
KR20230166654A (ko) 2022-05-31 2023-12-07 (주)그린에너지랩 고밀도의 볼륨감이 풍부하고 3중 레이어 거품 생성이 가능하며 세정력이 우수한 인체 세정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189B1 (ko) 2023-10-05 2024-02-23 다에크(주) 피부도포력, 세정력 및 피부개선 효과가 우수한 고체형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3504B1 (ko) * 1995-08-08 1998-12-01 성재갑 메이크업 제거용 클린싱비누 조성물
KR20090030470A (ko) * 2007-09-20 2009-03-25 코스맥스 주식회사 다가알콜과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비수계 세안제 조성물
KR20150076477A (ko) * 2013-12-27 2015-07-07 코웨이 주식회사 지속적인 보습 효능을 갖는 오일 세안료 조성물
KR20150082791A (ko) * 2014-01-08 2015-07-16 코웨이 주식회사 다기능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20150128792A (ko) * 2013-03-08 2015-11-18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케라틴성 기재로부터 실리콘 침적의 손실을 완화시키는 폴리머 및 방법
KR20160043758A (ko) * 2014-10-14 2016-04-2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보습력이 우수한 저자극성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54347A (ko) * 2014-11-06 2016-05-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인-샤워 피부 보습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3504B1 (ko) * 1995-08-08 1998-12-01 성재갑 메이크업 제거용 클린싱비누 조성물
KR20090030470A (ko) * 2007-09-20 2009-03-25 코스맥스 주식회사 다가알콜과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비수계 세안제 조성물
KR20150128792A (ko) * 2013-03-08 2015-11-18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케라틴성 기재로부터 실리콘 침적의 손실을 완화시키는 폴리머 및 방법
KR20150076477A (ko) * 2013-12-27 2015-07-07 코웨이 주식회사 지속적인 보습 효능을 갖는 오일 세안료 조성물
KR20150082791A (ko) * 2014-01-08 2015-07-16 코웨이 주식회사 다기능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20160043758A (ko) * 2014-10-14 2016-04-2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보습력이 우수한 저자극성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54347A (ko) * 2014-11-06 2016-05-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인-샤워 피부 보습용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1078A (ko) * 2019-09-11 2021-03-19 코스맥스 주식회사 다량의 유상을 함유하는 크림 타입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210267856A1 (en) * 2020-02-28 2021-09-02 Conopco, Inc., D/B/A Unilever High polyol wash composition
US11382847B2 (en) * 2020-02-28 2022-07-12 Conopco, Inc. High polyol wash composition
CN115190791A (zh) * 2020-02-28 2022-10-14 联合利华知识产权控股有限公司 高多元醇洗涤组合物
KR102173530B1 (ko) 2020-07-24 2020-11-03 이도연 클렌징 오일 제조방법
KR20230166654A (ko) 2022-05-31 2023-12-07 (주)그린에너지랩 고밀도의 볼륨감이 풍부하고 3중 레이어 거품 생성이 가능하며 세정력이 우수한 인체 세정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4167B1 (ko) 202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3170A (ko) 오일 고함유 세정제의 거품력을 향상시킨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US11648193B2 (en) Personal care compositions
KR20060113907A (ko) 높은 알코올 함량의 겔-유사 및 포옴 조성물
KR101687599B1 (ko) 보습력이 우수한 저자극성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US6548463B2 (en) Cleansing agents
US20060128579A1 (en) Cleansing foaming lotion
KR101895875B1 (ko) 고함량의 오일을 함유한 에멀젼 폼 타입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4446B1 (ko) 투명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EP2839827B1 (en) Composition for skin hygiene and/or hydration
KR102099325B1 (ko) 피부 세정제 조성물
US20220110846A1 (en) Emollient and cleansing agent
US20050025731A1 (en) Cleansing foaming lotion
KR101966185B1 (ko) 보습 활성을 갖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KR101105810B1 (ko) 인체 세정제 조성물
KR20100072811A (ko) 황기종자 스크럽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74530B1 (ko) 셔벗 상태로 토출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용 물품
KR102646479B1 (ko) 살리실산 가용화 조성물
US11540980B2 (en) Personal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same
KR102505131B1 (ko)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WO2022125358A1 (en) Personal care rinse off composition with composite opacifier particles
KR20230149558A (ko) 고함량 폴리머를 안정화한 세정용 조성물
JP2002029963A (ja) 皮膚洗浄剤組成物
KR101778273B1 (ko) 메이크업 제거와 개운한 세안이 가능한 버블폼 타입 세안제
JPH07215841A (ja) 皮膚洗浄料
JPH08269481A (ja) 界面活性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