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0177A - 케이블 타이 인장 및 절단 툴 - Google Patents

케이블 타이 인장 및 절단 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0177A
KR20010070177A KR1020000064231A KR20000064231A KR20010070177A KR 20010070177 A KR20010070177 A KR 20010070177A KR 1020000064231 A KR1020000064231 A KR 1020000064231A KR 20000064231 A KR20000064231 A KR 20000064231A KR 20010070177 A KR20010070177 A KR 20010070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tool
cable tie
pai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4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7681B1 (ko
Inventor
래리 힐레곤즈
Original Assignee
케이브니 제랄드 더블유.
팬듀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브니 제랄드 더블유., 팬듀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케이브니 제랄드 더블유.
Publication of KR20010070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0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6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5/00Implements for fastening, connecting or tensioning of wire or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25Hand-held tools
    • B65B13/027Hand-held tools for applying straps having preformed connecting means, e.g. cable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Shearing Machines (AREA)

Abstract

인장, 절단, 작동 및 억제 기구를 갖는 케이블 타이 설치 툴이 개시되었다. 작동 기구는 원동력 지지를 인장 및 절단 기구에 동시에 적용한다. 그러나, 억제 기구는 소망하는 소정 인장이 달성될 때 까지 절단 기구의 작동을 방지한다. 볼 멈춤쇠 조립체는 원주방향 힘으로 절단 기구를 맞물림시키기 위해 적어도 억제 기구에 포함된다.

Description

케이블 타이 인장 및 절단 툴{CABLE TIE TENSIONING AND SEVERING TOOL}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휴대용 케이블 타이 인장 및 절단 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신뢰성있게 고 인장을 가요성 케이블 타이에 인가하거나 설치하고 상기 가요성 케이블 타이를 인장시키지 않고 케이블 타이 테일을 절단하기 위한 개량된 케이블 타이 인장 및 절단 툴에 관한 것이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케이블 타이 또는 스트랩은 전선 또는 케이블과 같은 물품의 그룹을 묶거나 체결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종래 구성의 케이블 타이는 케이블 타이 헤드 및 이로부터 뻗는 신장된 테일을 포함한다. 이 테일은 상기 물품의 묶은 후 헤드의 통로내부로 삽입된다. 케이블 타이의 헤드는 통상 헤드 통로로 뻗고 테일을 헤드에 체결시키기 위해 테일의 헤드와 맞물림하는 록킹 엘리먼트를 지지한다.
실제적으로, 설치자는 수동으로 묶어져야 할 물품의 둘레에 타이를 배치하고, 테일을 헤드 통로를 통하도록 삽입한 후 수동으로 타이를 물품의 둘레에 단단히 죈다. 설치자가 상기와 같은 타이를 수동으로 얼나나 단단히 인장시키는 가에 좌우되어 타이를 충분히 인장시키기 위해 한번 이상의 쥠 스트로크가 필요로 될 수 있다. 스트랩 인장이 소망하는 소정 인장 레벨에 도달하면, 툴은 타이로부터 과도한 테일부 즉, 케이블 타이의 헤드를 넘어서 뻗는 테일부를 절단한다.
종래의 툴은 인장시킨 후 케이블 타이의 잉여 테일부를 절단할 수 있을 지라도, 통상 열악한 인간공학적 배려에 기인한 조작자의 부상위험의 증대 또는 일정한 적절한 케이블 타이의 설치가 불가능하게 되는 신뢰성의 열화 또는 툴의 고장 결과중 하나 또는 이들 모두와 연관된 여러 결점을 갖는다. 예로서, 캐번리에게 특허허여된 미국특허 공보 제 3,661,187호에 개시된 주조 금속 몸체 툴(cast metal body tool)은 종래의 링키지식 인장 및 절단 조립체를 사용한다. 이 툴 하우징의 설계는 상당히 인간공학적은 아니지만 작동적으로는 내구성이 매우 높다. 주조 금속 몸체는 핀 또는 축리 장착을 위해 체결되고 다수의 링키지 암을 위해 피벗 지점을 제공하는 개구를 제공한다. 링키지 유형의 인장 및 절단 조립체는 핀 위치 및캔티레버된 적재에 높은 힘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내구성있는 주조 금속 몸체는 핀이 하우징을 왜곡시키는 것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리고 신뢰성있는 동작을 위해 필요하게 된다. 부분적으로 압축된 스프링의 축적된 에너지 원리를 이용하여, 핀이 이동불가능하고 아암이 나사산식으로 이동할 때 정확하고 예측가능한 절단 분리가 달성된다. 그러나, 내구성있는 주조 금속 몸체의 결점은 제조비용을 높이는, 상당한 수의 제조단계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기타 종래 기술의 예로서 포함되는, 다이어에게 전부 허여된 미국특허 공보 제 4,793,385호, 제 4,997,011호 및 제 5,492,156호는 개량된 인간공학적 측면을 갖는 플라스틱 몸체로 된 툴을 개시한다. 상기한 캐번리의 발명에서 개시된 것과 마찬가지인 종래의 링키지 유형이 사용되지만, 인장 조정 조립체는 툴의 최상부로 이동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에서, 조작자는 인장 조정 노브를 용이하게 볼 수 있고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더욱 깊게 만곡된 핸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 이와 함께 사용된 발포 핸들 커버는 인간공학적 측면을 많이 갖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게 된다. 이 툴의 주요한 단점은 이미 공지된 바와 같은, 플라스틱 몸체를 갖춘 높은 각력 링키지 설계의 통합에 있다. 이러한 조합의 결과로서, 이 툴은 이전 설계 에 근사할 정도로 내구적이지 못하다. 링키지 설계의 고 편심 적재 력은 플라스틱 몸체에 장착된 핀상에서 나타난다. 툴의 반복적 사용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핀 홀은 신장되고 핀이 이동가능하거나 떨릴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공통적으로링키지 유형 설계를 구별하는 명확한 절단 지점이 예측불가능하고 올바른 인장이 불가능하다. 이것은 툴 조작자에게 적절한 인장에 대한 모호한 감갇을 가져다 줄뿐만 아니라, 케이블 타이 스트랩에 대해 부정확하고 일관되지 않는 인장으로 되는 결과로 된다. 궁극적으로, 이 툴은 임의의 적절한 반복가능한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게 되고, 이후 이 툴은 사용불가능한 것으로서 반드시 폐기되어야 한다.
가장 최근의 종래 기술은 닐손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공보 제 5,915,425호에 개시된 툴로서, 종래의 툴에 의한 다수의 인간공학적 측면에서의 결점, 즉 조정가능한 그립 사이즈, 회전가능한 노우즈 및 감소된 반동 충격/진동을 해결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들 결점을 극복하려고 시도하는 한편, 플라스틱 몸체로 된 툴은 이전에 개시된 인장 및 절단 조립체상에서의 진동을 통합하였다. 그러나, 이 설계는 실제적으로 이 설계는 내구성이 없고, 툴간의 인장 부정확성에 영향을 받고, 컥오프시 명확한 절단을 제공하지 못하는 열악한 성능 툴로 되는 결과로 되고, 인장 설정을 정확히 측정할 수 없고 부서지기 쉬운 인장 설정 디바이스를 사용한다.
그러므로 종래의 기술에선, 경량의 플라스틱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명확한 컷오프 절단지점을 제공하는, 인간공학적이고, 신뢰성 및 내구성 있는 설치 툴이 요구된다.
종래의 기술에서 필요로 되는 바에 대해 중점을 둔, 본 발명은 케이블 타이의 설치 툴에 관한 발명이다. 케이블 타이는 헤드와 이로부터 뻗는 신장하는 테일을 포함한다. 상기 툴은 일반적으로 피스톨-형상 하우징이다. 이 하우징은 케이블 타이를 소정 인장 설정치로 인장하기 위한 인장 기구와 인장된 케이블 타이로부터 테일의 잉여부분을 절단하는 절단 기구를 작동적으로 지지한다. 이 하우징은고정된 핸들과 이 핸들과 협동하는 그립 또는 트리거를 포함하고 이렇게하여 핸들에 대한 트리거의 이동이 인장 및 절단 기구를 동작시킨다. 원주방향으로 억제하는 수단은 케이블 타이 인장이 소망하는 소정의 인장 설정치에 도달하기 전에 절단 기구의 작동을 방지한다. 소망하는 소정의 인장 설정치에 도달한 후, 억제 수단은 케이블 타이 테일을 케이블 타이 헤드로부터 절단하는 절단 기구를 릴리즈시킨다.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의 하나는 전선등의 묶음에 상기한 바와 같은 종류의 가요성 타이 또는 스트랩을 고속이고 경제적으로 적용하고, 그후 상기 타이의 자유단부 또는 풀린 단부를 절단하기 위한 상당히 개량된 핸드툴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 툴은 사용자에 의해 어떻게 쥐어지든 간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인체공학적 형태를 이루고, 경량인 플라스틱 하우징을 사용하여, 일정한 절단 높이로 되는, 균등한 소정의 인장으로 스트랩을 연속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상당히 개량된 기구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중요한 목적은 타이를 점진적으로 인장시키기 위한 인장 기구와, 스트랩 절단 블레이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절단 기구와, 인장 및 절단 기구 모두에 이동력을 가하기 위한 작동 기구를 갖는 스트랩 인장 및 절단 툴을 제공하는 것으로, 여기서 추가의 억제 수단이, 소정 인장이 스트랩에 가해질 때 까지 절단 기구의 블레이드 절단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절단 기구에 원주방향 힘을 가하기 위해 채용된다. 또한, 억제 수단은 스트랩에서의 소정 인장이 도달되었을 때 절단 기구상에서의 억제력을 상당히 감소 또는 해제시키기 위한 조립체를 포함하고, 이렇게하여 절단 기구는 소정 인장이 도달되었을 때 즉시 그리고 고속으로 스트랩을절단하고, 이렇게하여 적용된 스트랩이 성공적으로 고속 및 균등하게 인장되는 한편 조작자에게 절단 지점의 명확한 지시를 제공하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부품을 갖는 핸드툴에, 동심원적으로 및 동축적으로 장착된 인장 로드, 절단 기구 슬리브 및 고 편심 로드를 감소시키는 억제수단을 포함하는, 스트랩의 인장 및 절단을 가져오는 비교적 간명하고 상당히 개량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명확하고 분명한 절단이 발생되는, 소망하는 소정 인장 설정치에 도달할 때 까지 절단 기구의 이동을 방지하는 볼 멈춤쇠 조립체로 주로 이루어지는 억제수단을 갖는 케이블 타이 설치 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조하기가 비교적 저렴하고, 사용에 있어 전체적으로 신뢰성 있고, 내구성이 강하고 사용이 편리하고 및 편안한 상기한 종류의 스트랩 인장 및 절단 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케이블 타이 테일의 편평표면 또는 톱니모양표면을 쥠으로써 케이블 타이를 신뢰성있게 인장하기 위한 개량된 휴대용 타이 인장 및 절단 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기타 목적과 특징 및 이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툴의 좌측 사시도로서, 이 툴은 상기한 일반적인 종류의 케이블 타이를 수용할 준비가 되어 이고 번들 주위로 상기 케이블 타이를 인장 및 단단히 죄도록 작동되어 지려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번들 및 스트랩이 생략된, 도 1의 툴의 우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좌측 몸체 하우징이 제거된, 도 1의 툴의 측입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툴의 좌측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선 7-7을 따라 취했을 때의 툴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선 8-8을 따라 취했을 때의 툴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선 9-9를 따라 취했을 때의 툴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4의 선 10-10를 따라 취했을 때의 툴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4의 선 11-11을 따라 취했을 때의 툴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4의 선 12-12를 따라 취했을 때의 툴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3은 저 인장위치에서 정렬되어 도시된, 정밀하지 않은 인장 조정 노브 및 협동 캠의 확대, 분해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저 인장위치에서 정렬된 인장 조립체의 정밀하지 않은 인장 조정 노브를 갖추어 도시된, 도 1의 동작 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억제 기구의 일부 확대 측면도이다.
도 17은 중간 인장위치에서 정렬된 정밀하지 않은 인장 조정 노브를 갖추어 도시된, 도 1의 동작 툴의 인장 조립체의 일부 확대 측면도이다.
도 18은 중간 인장위치에서 정렬된, 정밀하지 않은 인장 조정 노브와 협동 캠의 확대분해도이다.
도 19는 고 인장위치에서 정렬된 코스 인장 조정 노브를 갖추어 도시된, 도 1의 동작 툴의 인장 조립체의 일부 확대 측면도이다.
도 20은 고 인장위치에서 정렬된, 코스 인장 조정 노브와 협동 캠의 확대 분해도이다.
도 21은 도 1의 동작 툴의 핸들의 하부의 일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개념을 구체화하는 케이블 타이를 설치하는 툴이 첨부도면에서 부재번호 20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1-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휴대용 툴(20)은핸들부(32)와 배럴부(50)를 갖는 하우징(30)을 갖는다. 하우징(30)은 핸들부(32)와 배럴부(50)를 한정하기 의해 서로 체결되는 두 개의 개별적인 상보형 측벽부(90 및 92)를 포함한다. 핸들부(32)는 저방부(36), 후방부(36), 대향 측부(38 및 39) 및 바닥부(40)를 갖는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측부(38 및 39)는 대체로 아치형상의 바람직한 인간공학적 설계로 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서로가 좌우 대칭을 이룬다. 이에 대응하여 후방부(36) 역시 툴(20)의 인간공학적인 면을 증대시키도록 포함된 깊은 오목부(37)를 포함하는 아치형상을 이룬다. 전방부(34) 역시 아치형상을 이루지만 후방부(36) 보단 덜 극적이고 조작자에게 충격 및 진동을 감소시킴으로써 툴(20)의 인간공학적인 면을 증대시키는 충격 흡수 패드(35)를 포함한다. 바닥부(40)는 반구형 구성과 유사한 곡선형 표면을 가지며, 측부(38 및 39), 전방부(34) 및 후방부(36)를 핸들의 하부 신장부상에서의 공통 지점에서 함께 결합시킨다.
배럴부(50)는 최상부(52), 바닥부(56) 및 대향 측부(60 및 62)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최상부(52)는 일반적으로 핸들부(32)로부터 원거리 단부(22) 가까이에 형성된 편평형 최상부(53)를 갖춘 툴(20)의 원거리 단부(22)로 뻗는 반원형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최상부(52)는 또한 편평형 최상부(53) 보다 바닥부(56)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승된 표면(54)을 포함하고, 이 상승된 표면(54)은 핸들부(32)와 인접한 측부(60 및 62)와 일체로 된다. 대향 측부(60 및 62)는 각각 일정간격으로 핸들(32)을 향해 툴(20)의 원거리 단부(22)로부터 뻗어서 배치된 소형 편평 엘리먼트(63)를 갖는다. 추가의 곡선형 표면(64)은 각각 편평엘리먼트(63)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된다. 바닥부(56)는 실질적으로 편평형이고 편평형 최상부(53)에 평행하다. 실질저으로 장방형 개구(58)가 절단 기구(330)의 엘리먼트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4-7에서, 하우징(30)의 한 측벽(90)이 다른 측벽(90)의 내부 부품 및 외부 부품과 기구를 나타내기 위해 절단 또는 제거되어 있다. 하우징(30)은 일반적으로 케이블 타이(10)의 타이 테일을 쥐기 위한 인장 로드(122)의 원거리 단부에 배치된 그리퍼 조립체(132)와 실린더형 인장 로드(122)로 형성된, 왕복 인장 기구(120)를 포함한다. 인장 로드(122)는 실질적으로 배럴부(50)의 길이방향축선(26)을 따라 뻗는다. 인장 기구(120)는 기계적 링키지 조립체(176)과 수동으로 조작되는 트리거(174)에 의해 작동 기구(170)에 작동적으로 결합된다. 작동 기구(170)는 또한 억제 기구(230)와 타이 절단 기구(330)에 작동적으로 결합된다.
툴(10)은 툴 배럴(50)의 전방부(66)에 고정된 블레이드 가드(70)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가드(70)는 금속제이다. 더욱 상세히는, 블레이드 가드(70)는 저비용으로 강도를 높이기 위해 금속 사 출 프로세스로 제조된다. 블레이드 가드(70)는 툴 배럴(50)과 떨어져 대면하는 전방 편평면(71)을 포함한다. 여기엔 다양한 곡선형태의 다양한 사이즈로 된 다양한 케이블 타이 헤드를 수용하기 위한 아치형상의 오목부 엘리먼트(72)가 형성되어 있다. 블레이드 가드(70)는 또한 전방 편평면(71)을 통하는 타이 슬롯(73)을 포함하고, 이를통해 툴 조작자는 테일(12)이 맨먼저 와이어 묶음(13) 주위로 전달 되고 케이블 타이 헤드(11)를 통해 걸어진 후 케이블 타이(10)의 타이 테일(12)을 통과시킨다.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툴(20)은 인장 로드(122)와 그리퍼 조립체(132)를 포함하는 인장 기구(120)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인장 로드(122)는 일반적으로 그 세로방향 길이를 따라 실린더형을 이룬다. 한 쌍의 쇼울더(124)는 근접하여 배치된 단부(123)에서 후속하여 형성된 채널(126)을 한정한다, 쓰레드의 셋트(128)는 로드(122)의 원거리 단부(127)에 마찬가지로 형성된다. 그리퍼 조립체(132)는 하우징(134), 커버(144) 및 폴(150)을 포함한다. 폴(150)은 핀 또는 축(152)에 의해 하우징(134)에 체결되고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스프링(153)에 의해 케이블 타이 테일(12)을 쥐도록 바이어싱된다. 하우징(134)은 인장 로드(122)가 개구(138)를 통해 그 단부 플레이트(137)에 삽입된 후 인장 로드(122)의 원거리 단부(127)에 배치된 한 셋트의 쓰레드(128)를 맞물림시키는 너트(129)에 의해 인장 로드(122)의 원거리 단부(127)에 체결된다. 너트(129)가 인장 로드(122)의 원거리 단부(127)에 체결되기 이전에, 그 단부 패널(146)에 배치된 개구(145)를 갖는 커버(144)는 인장 로드(122)의 원거리 단부(127)위에 장착된다. 타이 테일(12)은 폴(150)에 의해 맞물림된다. 폴(150)은 복수의 타이 테일 쥠 티쓰(154)를 갖는다. 폴(150)은 케이블 타이 가압 플레이트(139) 아래에 배치된 일반적으로 장방형 개구(140)를 통해 하우징(134)의 외부로 뻗고, 개구(140)는 커버(144)의 원거리 단부와 하우징(134)의 원거리 단부 사이에서 뻗는다. 쥠 티쓰(154)는 폴(150)로부터 이격되고 상향으로 각을 이룬다. 쥠 티쓰(154)는 또한 인장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그리퍼가 편평한 또는 톱니모양 케이블 타이 타이 테일중 하나에서 케이블 타이 테일(12)을 잡을 수 있게 한다. 폴(150)은 축(152)과 폴(150)을 맞물림시키는 비틀림 스프링(153)에 의해 축(18) 주위의 툴(20)의 원거리 단부(22)를 향하여 전방향 회전시키기 위해 바이어싱된다. 폴(150)은 타이 가압 플레이트(139)와 폴(150) 사이의 타이 통로(141)에 유지된 타이 테일(12)상에 쥠 압력을 가한다.
툴(20)은 또한 트리거(174)를 인장 로드(122)에 결합시키는 기계적 링키지 조립체(176)를 포함하는 작동 기구(170)를 더 포함한다. 툴 트리거(174)를 압착시킴으로써, 조작자는 툴(20)의 근접 단부(24)의 방향으로 인장 로드(20)에 힘을 가하고, 이렇게하여 타이 테일(12)을 근접 단부(24)를 향하여 역으로 끌고 오이어(13) 둘레로 타이(10)를 인장시킨다.
툴(20)이 그 초기 위치에 있을 때(도 7), 인장 기구(120) 및 인장 로드(122)는 핸들(32)에 위치된 복귀 스프링(172)에 의해 툴 배럴(50)내에서 그 최전방 길이로 바이어싱된다. 이 위치에서, 폴(150)은 배럴(50)의 가이드 보스(68)와 맞닿는다. 가이드 보스(68)의 후면(69)은 툴 트리거(174)가 압착된 후 풀릴 때 폴(150)의 리딩 표면(155)을 맞물림한다. 리딩 표면(155)은 가이드 보스 후면(69)의 리딩 표면과 상보형으로 구성되어 타이 테일(12)이 절단되고 인장 로드(122)가 복귀된 후의 그들의 상호작용은 리딩 표면(155)이 가이드 보스 후면(69)을 맞물림하고 이 후면상에 상승시키고 폴(150)과 타이 가압 플레이트(139) 사이의 타이 통로(141)를 개방시키기 위해 후방으로 회전하며, 이렇게하여 절단된 타이 테일(12)이 타이 통로(141)로부터 용이하게 떨어질 수 있게 한다.
배럴(50)의 우측부의 전방 단부(66)는 오목부(67)를 포함하고, 블레이드 가드(70)는 전방 편평형 표면(71)으로부터 가로 및 후방으로 뻗는 측부 엘리먼트(75)를 포함하고, 이 측부 엘리먼트(75)는 설치되었을 때 오목부(67)에 놓인다. 오목부(67)에 놓인 측부 엘리먼트(75)는 오목부(74)의 후방 배럴(50)의 우측부와 동 평면을 이룬다. 측부 엘리먼트(75)는 최상부 엘리먼트(75)와 전방 편평형 표면(71)과 일체로 된다. 최상부 엘리먼트(75)는 본 명세서에서 참조문헌으로 통합되고, 알렛토에게 특허허여되고 판듀트사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 공보 제 5,065,79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절단 기구(330)와 협동하도록 배치된 앤빌(76)을 갖는다.
인장 스트로크 동안, 폴(150)은 타이 테일(12)과 맞물림하고 타이 가압 플레이트(139)에 대해 타이 테일(12)을 밀며, 이 결과 폴(150)의 후방의 타이 테일(12) 부는 커버(144)로부터 상향으로 각을 이룬다. 타이 테일(12)을 상향 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타이 테일(12)이 툴(20) 내부로 자신의 방향을 잡고 툴(20)을 밀어붙일 가능성이 상당히 감소된다.
인장 기구(120)는 링키지 조립체(176)를 포함하는 작동 기구(170)와 작동적으로 결합된다. 작동 기구(170)는 한 쌍의 인장 링크(178), 드라이브 링크(188), 한 쌍의 내부 링크(198), 한 쌍의 그립 링크(210) 및 그립 또는 커버(220)를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동일한 인장 링크(178)의 최상향 단부(184)는 반천공, 반 관통 또는 닙 익스텐션(185)을 포함하도록 제조되고, 바람직하게는 원형 또는 실린더형 구성이고 인장 로드(122)의 근접 단부(123)에 형성된 채널(126)을 자유 부동 방식으로 위치적으로 맞물림하기 위해 서로를 향하여 내부적으로 뻗는다(도 9 및 10).채널(126)은 인장 로드(122)의 근접 단부(123)에 형성된 한 쌍의 쇼울더(124)에 의해 형성된다.
각각의 인장 링크(178)의 대향 또는 하부 단부(179)에는 인장 링크(178)에 대한 피벗 지점을 제공하기 위해 핀(182)이 각각의 하우징 측벽(90)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는 개구(180)가 배치된다. 핀(182) 보다 약간 큰 내부 직경을 갖는 슬리브 스페이서(181)는 반관통부(185)와 채널(126)과의 적절한 분리, 정밀한 맞물림을 보장하기 위해, 그리고 반관통부(185) 피벗 개구(180)사이의 소망 위치에 배치된 인장 링크(178)에 개구(186)의 또다른 셋트에 드라이브 링크(188)의 근접 단부(189)를 장착시킬 수 있게하기 위해 하부 단부(179)와 인장 링크(178) 사이에 위치된다.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192)은 드라이브 링크(188)의 근접 단부(189)를 자유로이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인장 링크에 체결시키기 위해 드라이브 링크(188)의 장착 보스(170)와 인장 링크 개구(186)를 통해 삽입된다. 드라이브 링크(188)의 대향 또는 원거리 단부(194)는 한 쌍의 내부 링크(198) 사이에 배치되고 각각의 피스에 배치된 정렬된 개구를 통해 삽입되고 회전 이동을 허용하는 축(250)으로 상기 링크에 체결된다. 내부 링크(198)상의 위치에서 드라이브 링크(188)를 우치적으로 체결시키기 위해 축(205)을 수용하는 개구(204)는 상기한 바와 같은 반천공부, 반관통부 또는 닙 익스텐션(200)을 각각 갖는 상부 단부(199)사이의 실질적으로 중앙부에 배치되고, 축(205)을 수용하기 위해 대향한 하부 단부(202)는 한 쌍의 내부 링크(198)를 그립 또는 트리거 링크(210)의 실질적으로 중앙부에 피벗식으로 체결시킨다. 그립 링크(210)는 트리거(174)의 길이만큼 뻗으며, 바람직하게는 소망하는 작은 길이로 툴 하우징(30) 내부로 뻗는다. 그립 링크(210)는 툴 하우징(30) 내부로 뻗는 그립 링크(210)의 하부 단부(212)에 형성된 증대된 사이즈의 개구(213)에 의해, 하우징 측벽(90 및 93)에 각각 피벗식으로 장착된다. 개구(213)는 측벽(90 및 93)의 각각에 형성된 포켓(93) 내부로 초음파식으로 용접되는 부싱(214)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소량의 그리스가 소망하는 양만큼 포켓(93)으로부터 뻗는 각각의 부싱(214)에 도포되어, 그립 링크(210)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부드럽게 피벗된다.
바람직하게, 일련의 상승된 돌출부(94)가 측부 하우징(90 및 92)의 각각의 내면에 구비되고 인장 링크(178)의 정렬에 조력하기 위해 그리고 링크가 이동을 통해 주행함에 따라 그 내부에서 자유로이 플레이할 수 있는 양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각각의 내부 링크(198)의 상부 단부(199)에 배치된 반관통부(200)는 동작 동안 반관통부(200)를 위치시키지만 자유로운 부동 구성을 가능케하는 자신의 한 측부상에 형성된 한 쌍의 쇼울더(340)에 의해 형성된 절단 기구 슬리브(332)에 형성된 채널(342)에 배치된다.
도 8-11 및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억제 기구(330)는 볼 멈춤쇠 조립체(232) 및 인장 조정 조립체(270)를 포함한다. 볼 멈춤쇠 조립체(232)는 일반적으로 실질적으로 컵 형태이고 컵 형태 바닥부(236)로부터 방사상으로 뻗는 플랜지부(235)를 갖고 바람직하게 환형 구성을 갖는 하우징(234)으로 이루어 진다. 개구(238)는 조립체의 기타 엘리먼트를 유지하지만, 관통하는 절경 기구 슬리브(332)의 근접표면(344)만을 수용하도록 적절히 구성된 컵 형태 바닥부(236)에 형성된다. 플랜지부(235)는 임의의 길이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환형 플랜지부(235)를 우회적으로 유지하는 각각의 측부 하우징(90 및 92)에 형성된 상보형의 반원형 슬롯(95) 내부로 삽입될 때 각각의 측부 하우징(90 및 92)에 위치적으로 체결된다. 바람직하게, 회전이동도 제어되는 데 이 제어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하우징(234) 내부에는 복수의 볼 베어링(240) 및 시트(242)가 배치된다. 볼 베어링(240)은 인장 조정 조립체(270)에서 소망하는 소정 인장 설정치가 얻어질 때 까지 타이 테일(12)의 인장 동안 슬리브(332)를 제위치에 체결시키기 위해 시트(242)와 하우징(234)의 바닥부(236) 사이에 포획된다(도 14). 이 동작에 대한 완전한 설명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시트(242)는 바람직하게 편평형이고 환형인 근접 면(243)을 갖는다. 개구(244)는 그 최종 신장부가 그 원거리 단부에서 시트(242)의 외측 직경과 거의 같은 직경의 증가로 시트(242)를 통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뻗는 곳에 배치된다. 직경 증가율은 인장 조정 조립체(270)에 저장된 힘에 대해 슬리브(332)상에서 분배된 힘을 변화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외부 억제력은 시트(242)의 각을 이룬 면 또는 원추형 면이 저장된 힘을 슬리브(332)에 분배하는 볼 베어링(240)과 접촉할 때 생성된다.
인장 조절 조립체(270)는 힘 전달 조립체(250)에 의해 볼 멈춤쇠 조립체(323)에 작동적으로 결합된다. 한 쌍의 리버싱 링크(252)는 힘 전달 조립체(250)를 포함하는 인장 조절 조립체(270)와 볼 멈춤쇠 조립체(323) 사이에피벗식으로 장착된다. 툴(20)의 원거리 단부(22)를 향하여 뻗는 하부 닙 돌출부는 시트 근접 환형 면(243)의 대향측부와 직경방향으로 접촉하도록 위치된 각각의 리버싱 링크(252)의 바닥부 또는 하부 단부(254)에 배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리버싱 링크(252)는 슬리브(332)와 그 내부에 배치된 로드(122)에 걸친다. 닙(255) 상부의 소망 위치에서, 피벗 핀(262)은 실질적으로 각각의 링크(252)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260)에 배치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262)은 툴 측벽(90 및 92)의 장착 보스(96)에 배치된다. 따라서, 리버싱 링크(252)는 위치적으로 장착되지만 피벗식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장착된다. 당업자는 핀(262)에 의해 운송된 밸런싱된 로드가 측벽(90 및 92)으로의 덜 편심된 또는 캔틸레버된 로드가 되는 결과로 된다.
각각의 리버싱 링크(252)의 상부 단부(256)에서 개구(257)에 배치된 다른 축(258)은 힘 전달 조립체(250)를 인장 조절 조립체(270)에 작동적으로 결합시킨다. 가이드 돌출부(97)는 리버싱 링크(252)의 적절한 정렬을 유지시키고 인장 조절 조립체(27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축(258)의 주행 경로를 따라 각각의 측부(90 및 92)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유연한 툴(20) 동작을 보장하기 위해 각각의 가이드 돌출부(97)에 그리스가 얇게 도포된다.
도 8은 요크(274)의 두 아암(275) 사이에 유지된 인장 스프링(222)을 포함하는 선택적인 인장 조절 조립체(27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스프링(272)은 요크 아암(275) 내부에 축방향으로 배치된 인장 축(282)을 둘러싼다. 상기한 축(258)은 요크의 원거리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개구(276)를 맞물림함으로써 요크(274)의 원거리 단부에서 요크 아암(275)을 결합시키는 한편, 요크(274) 후방부는 인장 축(282)의 통로를 수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개구(280)를 갖는 단부 플레이트(278)을 포함한다. 인장 축(282)은 나사산을 이룬 인장 너트(288)를 나사결합하는 그 원거리 단부에서 나사산부(283)를 갖는다. 인장 너트(288)는 요크 아암(275)을 따라 포획하여 상승시키고 요크 아암(275)에 대해 인장 너트(288)의 회전을 방지하는 측방향 에지(289)상에 형성된 대향 슬롯(290)을 갖는다. 초기 툴 위치에서(도 7), 인장 스프링(272)은 인장 너트(288)와 요크 단부 플레이트9278) 사이의 배치로 인해 약간의 프리로드 또는 압축에 영향을 받느다. 인장 축(282)상에서의 인장 너트(288)의 임의의 후방 이동은 스프링(272)상에서의 인장을 증가시키고, 스프링(272)이 리버싱 링크(252)에 가하는, 궁극적으로는 볼 멈춤쇠 조립체(232)를 통해 절단 기구(330)에 힘을 가하는 힘을 증대시킴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실질적으로 인장 축(282)의 중앙부에는 바람직하게 6각형 절편(285)이 배치되어 있다. 당업자가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장 축(282)의 6각형 절편(285)은 소망하는 바와 같은 임의의 수의 편평부를 가질 수 있다. 절편(285)사엥는 일반적으로 원형인 외부 직경과, 그 중심에 대하여 관통하여 배치되어 뻗고 절편(285)에 대하여 상보형 형태를 이룬 개구(292)를 갖는 정밀한 조정 노브가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캠의 근접 단부 또는 최상부를 한정하는 여러 소망 높이로 배치된 여러 쌍의 캠 표면(296, 298 및 300)을 갖는 형태의 실린더형인 캠(294)이 구비된다. 상기 여러 쌍의 캠 표면(296, 298 및 300)은 거친 조정 노브(310)과 협동하여 사용될때 툴(20)의 인장 조정이 정밀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캠(294)은 방사방향 내부로 소망하는 거리 만큼 뻗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02)와 그 원거리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캠의 벽 내부로 방사방향 외부로 뻗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304)을 갖는다. 돌출부(302)와 슬롯(304)은 바람직하게 캠을 제위치에 체결시키고 임의의 이동 또는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툴 하우징(30)상에서 각각 슬롯(98)과 돌출부(99)와 상보식으로 맞물린다. 인장 축(282)은 또한 다양한 제조 공차를 수용하는 베이스라인 인장 설정치를 조작자가 수립할 수 있게 하고 정밀하지 않은 인장 조정 노브(310)를 위치적으로 체결시키기 위한, 나산산을 이룬 교정 너트(294)를 나사 결합하는 그 근접 단부에 나사부(286)를 갖는다. 와셔(298)는 정밀하지 않은 인장 조정 노브(310)의 근접 단부에 내부적으로 배치된 일반적으로 세그먼트된 디스크 형상 플랜지(312)와 교정 너트(294)의 헤드(297) 사이에 제공되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캠 종동자(314)는 직접적인 소망하는 인장 설정치를 제공하기 위해 여러 쌍의 캠 표면(296,298 및 300)과 협동하는 각각의 세그먼트된 디스크 형상 플랜지(312)로부터 뻗는다. 커버(316)는 먼지 및 기타 오염물질이 교정 너트(294) 와 기타 내부 부품 및 기구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밀하지 않은 인장 조정 노브(310)의 근접 단부를 둘러싸도록 제공된다.
인장 스프링(272)의 압축은 조작자가 캠 종동자(314)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는 정밀하지 않은 인장 조정 노브(310)을 회전시킴으로써 선택적으로 증대된다. 저 인장 설정치에서(도 13 및 도 14), 캠 종동자(314)는 인장 스프링(272)의 프리로드 또는 미리선택된 압축을 수립하기 위해 제 1 또는 저 인장 캠 표면 쌍(296)을맞물림한다. 캠 종동자(314)가 제 1 캠 표면 쌍(296)을 맞물림할 때, 인장 너트(288) 근접면과 요크 단부 플레이트(278)간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최대이고 따라서 인장 스프링(272)상에 가해진 압축은 최소 설정치에 있다. 캠(294)은 하우징(30)에 위치적으로 체결됨으로, 정밀하지 않은 인장 조정 노브(310)가 저 인장 설정 위(도 13 및 도 14)로부터 중간 인장 위치(도 17 및 도 18)로 회전될 때, 인장 너트(288)는 제2의 캠 표면 쌍(298)에 대해 제1 캠 표면 쌍(296)의 높이에 대응하는 거리로, 거의 요크 단부 플레이트(278)(그 위치에 고정된)를 향하여 잡아당겨진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정밀하지 않은 인장 조정 노브(310)는 정밀하지 않은 인장 조정 노브(310)가 인장 축(282) 및 너트(288)를 요크 단부 플레이트(278)를 향하여 당기기 보단 인장 너트(288)를 이동시키기 위해 인장 축(282)을 회전시키지 않는다. 정밀하지 않은 인장 조정 노브(310)를 중간 인장 설정치로 회전시키는 것은 캠 종동자(314)를 제 2 캠 쌍 표면에 대한 제 1 캠 쌍 표면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 만큼에 의해(인장 너트(288)와 요크 단부 플레이트(278)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고) 스프링(272)상에서의 압축을 증대시키는 제2 쌍 또는 중간 인장 캠 표면(298)과 맞물림되어지게 한다. 당업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정밀하지 않은 인장 조정 노브(310)의 고 인장 설정치(도 19 및 도 20)로의 추가 회전은 캠 종동자(314)에 의한 제 3 캠 쌍 표면(300)의 맞물림되고, 스프링(272)의 더욱 증대된 압축과 요크 단부플레이트(278)와 인장 너트(288)간의 거리가 감소되는 결과로 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한 인장 스프링(272)의 압축의 증가는 힘 전달 조립체(250)를 통해 볼 멈춤쇠 조립체(232)에 인가된 억제력,궁극적으로는 타이 테일(12)의 인장을 증대시킨다.
제 2 또는 정밀한 인장 조정 노브(290)는 정밀하지 않은 인장 조정 노브(310)의 회전에 의해 선택된 인장 값을 정밀하게 조정 또는 "정밀한 튜닝"을 위한 수단을 조작자가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정밀한 인장 조정 노브(290)는 인장 측(282)의 중앙부(285)에 대해 상보 형태로 된 , 바람직하게는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6각형태인 축 방향으로 뻗는 개구(292)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정밀한 인장 조정 노브(290)는 축(282)과 정밀한 인장 조정 노브(290)가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인장 축 중앙부(285)에 고정 부착된다. 따라서, 축(282)의 회전은 정밀한 인장 조정 노브(290)의 회전방향에 좌우되어, 원거리 나사산을 이룬 축부(282)에 원거리로 또는 급접하여 약간의 거리로 나사산을 이룬 인장 너트(288)을 이동시킨다. 인장 축(282)은 각각 정밀하지 않은 인장 조정 노브(310)와 캠(294)의 동축 보어 구멍(305 및 318)를 통하여 축 방향으로 뻗어서, 축(282)이 정밀한 인장 조정 노브(290)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될 때, 축(282)은 정밀하지 않은 인장 조정 노브(310) 또는 캠(294)을 회전식으로 맞물림하지 않는다. 인장 축(282)의 근접 나사산 부(286)는 정밀하지 않은 인장 조정 노브(310)를 회전시키지 않고, 단순히 자유롭게 교정 너트(294)의 내부 또는 외부로 나사결합한다. 인장 축(282)의 원거리 단부(283)는 멈춤부(284)에 의해 형성된 거리만큼 나사산을 이룬다. 멈춤부(284)는 인장 축(282)의 원거리 단부(283)상에 교정 너트(294)의 주행거리를 제한하고, 대응하여 스프링(272)의 압축에 대해 정밀한 인장 조정의 양을 제한한다. 정밀한 인장 조정 노브(290)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작자는 인장너트(288)와 요크 단부 플레이트(278)간의 스프링 거리를 약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은 슬리브(332), 복귀 스프링(348), 레버 아암(350), 스프링(358), 절단 블레이드(360), 블레이드 가드(70) 및 앤빌(76)을 포함하는 절단 기구(330)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슬리브(332)는 소망하는 정렬로 인장 로드(122)를 수용 및 지지하도록 구성된 관통하여 축 방향으로 뻗는 보어(33)를 갖춘 실린더 형태이다. 상기 슬리브를 위한 동작 표면(100) 또는 베어링은 하우징(30) 및 볼 멈춤쇠 조립체(232)에 의해 제공된다. 하우징 측부(90 및 92)는 각각 최종적으로 실린더 형태로 된 베어링 표면(102)에 의해 결합된 한 쌍의 일반적으로 반원형인 돌출부(101)을 갖는다. 슬리브(332)의 원거리 베어링 표면(338)은 바람직하게 하우징 베어링 표면(102) 보다 직경이 약간 작고 결과적으로 슬리브(332)는 약간의 노력으로 베어링 표면(102)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작동된다. 슬리브 원거리 베어링 표면(338)에 인접하여 복귀 스프링(348)과 레버 아암(350)과 협동하는 슬리브(332)의 헤드(334)가 배치된다. 실린더 형태 포켓(335)은 타이 테일(12)의 절단 후에 근거리로 슬리브(332)를 바이어싱시키는, 복귀 스프링(348)을 수용 및 위치시키기 위해 슬리브(332)의 헤드(334)에 형성된다. 또한, 복귀 스프링(348)은 슬리브(332)가 해제될 때 조작자의 손에 가하지는 충격을 감소시킨다. 이 충격 흡수 효과는 툴의 인간공학적인 면을 증대시킨다. 스프링(348)의 원거리 단부는 인장 로드(122)와 그리퍼 조립체(132)에 대한 추가의 지지를 위해 관통하는 개구(107)를 갖는 대향하는 측벽(90 및 92)에 의해 형성된 벽부(106)를 맞물림한다. 포켓(335)의 외방으로 배치된 슬리브 헤드(334)의 우너거리 면은 레버 아암(350)과의 맞물림을 위해 환형 작용 면(336)을 형성하는 근접 방향에서 각을 이룬다.
원거리 베어링 표면(344)에 근접하여 슬리브(332)의 원주 둘레에 방사 방향으로 뻗는, 소정거리로 이격된 한 쌍의 쇼율더(340)로 형성된 채널(342)이 배치된다. 채널(342)은 바람직하게 자유 부동 구성으로 대향하여 배치된 내부 링크(198)의 반관통부(200)를 매우 단단히 포획한다. 반관통부(200)는 바람직하게 원형이므로, 작은 공차의 자유 부동 맞물림이 달성된다. 이 구성에서, 작동 기구(170)는 트리거(174)가 근접하게 당겨지고 타이 테일(12)이 인장되어 질 때 원거리 방향으로 일정한 힘을 인가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스무스한 외부로 형성된 홈(346)을 갖는 슬리브(332)의 근접한 베어링 표면(344)이 채널(342)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홈(346)은 소망하는 위치에서 슬리브(332)의 원주 둘레로 뻗으며, 툴(20)의 초기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볼 베어링(240)를 실질적으로 수용하는 사이즈로 된다.
볼 멈춤쇠 조립체(232)는 슬리브(332)를 지지 및 안내하고 그 이동을 제어한다. 멈춤쇠 하우징(234)은 근접 베어링 표면(344)의 스무스한 실린더형부를 위해 컵(236)의 바닥부 및 원거리에 베어링 엘리먼트를 제공한다. 볼 멈춤쇠 조립체(232)의 볼 베어링(240)은 홈(346) 내부로 원주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내부 링크(198)에 의해 가해진 일정한 힘에 대항하고 소망하는 소정 인장 설정치가 달성될 때 까지 절단 기구(330)를 작동시키기 위해 슬리브(332)의 이동을 방지한다. 또한, 이 동작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설명된다.
절단 기구 레버 아암(350) 근접 단부(352)는 형성된 아치형태 또는 라운드형태 돌출부(353)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소량의 그리스가 제공되어 슬리브 작동 면(336)에 의해 레버 아암(350)의 스무스한 피벗식 작동을 허용한다. 소망하는 인장 설정치 보다 같거나 큰 힘이 슬리브(332)에 인가됨에 따라, 볼 멈춤쇠 조립체(232)의 볼 베어링(240)은 홈(346)으로부타 방사상 외방으로 강제되고, 시트(242)를 근접하게 밀고, 이렇게하여 인장 조정 조립체(270)에 저장된 힘을 극복하고, 슬리브(332)는 원거리 방향으로 내부 링크(198)에 의해 더욱 힘이 가해질 수 있고 레버 아암(350)의 근접 단부(352)는 배럴(50)의 바닥부(56)를 향하여 강제된다. 측방향으로 뽀ㄷ는 개구(356)는 각각의 하우징 측벽(90 및 92)에 형성된 핀 보스(103)를 맞물림시키기 위해 상보형의 사이즈로 된 피벗 핀(357)을 수용하기 위해 레버 아암(350)의 중앙부에서 소망하는 위치로 제공된다. 레버 아암(350)의 원거리 단부(354)는 계단상으로 된 또는 상승된 표면(355)을 포함한다. 계단상 표면(355)은 절단 블레이드(360)의 하부 단부(362)상에 배치된다. 절단 블레이드(360)는 레버 아암(350)의 이동 동안 블레이드 가드(70)와 가이드 보스(68) 사이에 포획된 위치로 있고 타이 테일(12)을 절단한 후 최상부 엘리먼트(75)의 앤빌(76)을 맞물림한다.
조정 레벨 설정치를 시각적으로 지시하는 수단은 도 14-16, 17 및 19에 부재번호 320으로 도시되어 있다. 윈도우(104)는 인장 조정 조립체(270)에 인접한 툴 하우징(30)의 최상부 상승된 표면(54)에 제공된다. 가이드 트랙(105)은 하우징 측벽(90 및 92)에 형성되고 트랙(105)에서 미끄럼가능한 표시 플레이트(321)를 지지한다. 미끄럼가능한 표시 플레이트(321)는 일반적으로 편평형이고 한 쌍의 현수 돌출부(323)에 의해 형성된 노치(322)의 형태로 인장 조정 조립체를 맞물림하는 수단을 갖는다. 노치(322)는 인장 너트(288)의 상부 익스텐션(292)을 맞물림하고 대응하여 이동한다.
툴은 핸들(32)의 바닥부(40) 내부로 신축되거나 또는 바닥부로부터 뻗도록 배치된 신축가능한 베일(41)(도 21)을 더 포함한다.
동작시, 도 14-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타이 테일(12)은, 와이어 또는 케이블(13)의 묶음을 둘러싸고 케이블 타이 헤드(11)를 통해 삽입된 후, 타이 슬롯(73)에 인접하여 위치된 타이 헤드(11)가 있는, 정상적인, 초기의 놓인 위치에서 툴(20)과 함께 삽입되고 오목부(72)에 수용된다. 블레이드 가드(70), 가이드 보스(68) 및 커버(144)는 타이 테일(12)이 하우징(30)의 최상부(52)로부터 상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게 하도록 협동한다. 트리거(174)가 핸들(32)을 향해 조작자에 의해 눌려짐에 따라, 그립 링크(210) 및 내부 링크(198)는 부싱(214)의 중심축 둘레로 회전하고, 여기서 반관통부(200) 및 부싱(214)은 이 지점에서 동축방향에서 측방향으로 정렬된다. 트리거(174)의 이동 동안, 링키지 조립체(176)를 통해 인장 로드(122)에 힘이 인가되고 내부 링크 반관통부(200)를 통해 대향 방향으로 지향된 힘이 슬리브(332)에 인가된다. 슬리브(332)는 억제 기구(230)에 의한 인장 동안 정지되어 유지된다. 그리퍼 조립체(132)가 가이드 보스(68)로부터 잡아당겨짐에 따라, 폴(150)은 폴(150)과 가압 플레이트(139) 사이에서 타이 테일(12)을 포획하기 위해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일반적으로, 소망하는 소정 인장 설정치를 달성하기 이전에, 그립 링크(210)에 부착된 내부 링크(198)는 인장 링크(178)가 각각의 피벗핀(182) 주위로 회전되게 하기 위해 툴(20)의 근접 단부를 향해 후방으로 드라이즈링크(188)를 민다. 인장 링크(178)의 상부 단부(184)에 있는 반 관통부(185)는 인장 로드(122)상에 형성된 채널(126)을 위치적으로 맞물림하고 마찬가지로 인장 로드(122)를 선형 방식으로 툴(20)의 근접단부(24)를 향하여 또는 후방으로 끈다. 슬리브(332)는 슬리브(332)에 분배된 힘이 인장 조정 조립체(270)에 저장된 힘 보다 작은 동안 인장 조정 조립체(270)에 저장된 힘과 같은 크기로 원주방향 힘을 가하고 홈(346)을 맞물림하는 볼 베어링(240)으로 그 초기 위치에서 정지되어 유지된다. 소망하는 소정 인장 설정치가 케이블 타이(10)에 달성될 때 또는 더욱 정확하게는 인장 조정 조립체(270)에 저장된 힘을 초과하는 내부 링크에 의해 원거리 방향으로 슬리브(332)에 힘이 분배될 때, 볼 베어링(240)은 슬리브(332)의 홈(346)으로부터 밖으로 강제된다. 인장 조정 조립체(270)에 저장된 힘은 볼 베어링(240)이 홈(346)으로부터 밖으로 강제되고, 힘 전달 조립체(250)가 인장 스프링(272)을 임시적으로 더욱 압축하게 하는, 약간 후방으로 근접하여 시트를 밀 때 극복된다. 조작자가 트리거(174)를 계속적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내부 링크(198)는 계단형상 표면(355)을 상승시키고 블레이드(360)를 상향으로 절단하고 케이블 타이(10)를 절단하는 레버 아암(350)을 피벗시키는, 작동 면(336)이 레버 아암(350)상에 힘이 분배되도록 슬리브(332)를 원거리 전방향으로 민다. 툴(20)은 레버 아암 스프링(358), 슬리브 복귀 스프링(348) 및 핸들 복귀 스프링(172)의 바이어싱 작용을 통해 그 정상 위치로 재설정된다. 케이블 타이(12)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절단 후에 릴리즈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당업자에게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형성된 범위 및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케이블 타이가 비교적 간명하고 신뢰성있게 고속 및 균등하게 인장 및 절단되는 한편 조작자에게 절단 지점의 명확한 지시를 제공할 수 있고,
제조하기가 비교적 저렴하고, 사용에 있어 전체적으로 신뢰성 있고, 내구성이 강하고 사용이 편리 및 편안한 인장 및 절단 툴이 될 수 있다.

Claims (40)

  1. 타이 헤드부분과 이로부터 뻗는 신장된 타이 테일부분을 갖는 케이블 타이를 설치하기 위한 툴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타이를 소정 인장 설정치로 인장하기 위한 인장 기구와 상기 인장 케이블 타이로부터 테일의 잉여부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 기구를 작동적으로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인장 기구 및 절단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인장 기구 및 절단 기구에 작동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에 의해 작동적으로 지지되는 작동 기구; 및
    상기 케이블 타이 인장이 상기 소정 인장 설정치에 도달하기 이전에 상기 절단 기구의 이동을 방지하는 원주방향 힘을 상기 절단 기구에 가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원주방향 힘을 상기 절단 기구에 가한 결과, 상기 수단은 케이블 타이 헤드로부터 케이블 타이 테일을 절단하기 위해 상기 절단 기구를 릴리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기구는 툴의 길이방향축선을 따라 실질적으로 신장 및 수축하고 선형으로 왕복운동하는 인장 로드와, 툴 노우즈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인장 로드에 결합된 그립퍼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 조립체는 스프링 바이어싱된 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로드는 근접 단부에 배치된 간격을 이룬 쇼울더 쌍과 원거리 단부에 배치된 나사산부에 의해 형성된 채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기구는 툴의 길이방향축선을 따라 실질적으로 신장 및 수축하는, 상기 인장 기구의 선형으로 왕복운동하는 인장 로드와 동축적으로, 동심원적으로 및 작동적으로 결합하는 관통하여 뻗는 보어를 갖는 선형으로 왕복운동하고 일반적으로 실린더형인 슬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내부에 형성된 홈을 갖는 근접 베어링 표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그 위에 형성된 한 쌍의 쇼울더, 원거리 베어링 표면, 및 그위에 배치된 작동면을 갖는 확대된 헤드에 의해 한정되는 일반적으로 중심부에 배치된 채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원주방향 힘을 가하기 위해 상기 수단에 대해 상보적인 상기 근접 베어링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홈과 상기 수단의 동작적 결합은 상기 케이블 타이 인장이 상기 소정 인장 설정치에 도달하기 이전에 상기 슬리브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면은 절단 블레이드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그 원거리 단부에 계단형상 표면을 갖는 피벗식으로 배치된 레버 아암과 작동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작동면의 이동은 케이블 타이 테일을 케이블 타이 헤드로부터 절단시키기 위해 상기 절단 블레이드를 상승시키는 상기 레버 아암의 근접 단부를 원거리 방향으로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면은 실질적으로 프러스토코니컬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기구는 상기 하우징과 작동적으로 결합된 링키지 조립체 및 트리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상기 하우징에 피벗식으로 장착된 한 쌍의 그립 링크와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키지 조립체는 상기 한 쌍의 그립 링크 사이에 배치된 한 쌍의 내부 링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키지 조립체에서 상기 한 쌍의 내부 링크의 각각은 인접한 상기 핸들 링크와, 상기 한 쌍의 내부 링크와, 그리고 상기 드라이브 링크의 근접 단부에 작동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에 피벗식으로 장착된 한 쌍의 인장 링크에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내부 링크의 각각은 슬리브상에 형성된 한 쌍의 이격된 쇼울더에 의해 형성된 채널과 작동적으로 결합된 반관통 또는 반천공 닙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드라이브 링크의 각각은 인장 로드상에 형성된 한 쌍의 이격된 쇼울더에 의해 형성된 채널과 작동적으로 결합된 반관통 또는 반천공 닙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15. 제 1 항에 있어서,
    원주방향 힘을 상기 절단 기구에 가하는 상기 수단은 인장 조정 조립체, 힘 전달 조립체 및 볼 멈춤쇠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조정 조립체는 요크, 축, 인장 너트, 스프링, 정밀한 인장 조정 노브, 캠 및 정밀하지 않은 인장 조정 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조정 조립체는 인장 설정치 지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볼 멈춤쇠 조립체는 그 내부에 배치된 시트와, 복수의 볼 베어링을 갖춘, 상기 툴 하우징에 장착된 컵형태의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볼 베어링은 절단 기구 슬리브상에 형성된 홈과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상기 볼 베어링과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각을 이룬 면과 상기 힘 전달 조립체와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근접면을 더 포함하고, 이에따라 상기 인장 조정 조립체에 저장된 힘이, 상기 케이블 타이 인장이 상기 소정 인장 설정치에 도달하기 이전에 상기 절단 기구의 이동을 방지하는 절단 기구 슬리브상의 상기 볼 베어링에 의해 가해지는 원주방향 힘이 되는 상기 근접면상에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21. 타이 헤드와 이로부터 뻗는 신장된 타이 테일을 갖는 케이블 타이를 설치하기 위한 툴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타이를 소정 인장 설정치로 인장하기 위한 인장 기구와 상기 인장 케이블 타이로부터 테일의 잉여부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 기구와, 상기 케이블 타이 인장이 상기 소정 인장 설정치에 도달하기 이전에 상기 절단 기구의 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억제 기구를 작동적으로 지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인장 기구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상기 툴의 길이방향축선 주위에 배치된 선형으로 왕복운동하는 인장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 기구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실린더형인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억제 기구는 적어도 볼 멈춤쇠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볼 멈춤쇠 조립체는 상기 툴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인장 로드와 동축적으로, 동심원적으로 및 작동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관통하여 뻗는 일반적으로 실린더형인 보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기구는 툴의 길이방향축선을 따라 실질적으로 신장 및 수축하고 선형으로 왕복운동하는 인장 로드와, 툴 노우즈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인장 로드에 결합된 그립퍼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 조립체는 스프링 바이어싱된 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로드는 근접 단부에 배치된 간격을 이룬 쇼울더 쌍과 원거리 단부에 배치된 나사산부에 의해 형성된 채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으로 왕복운동하는 일반적으로 실린더형인 슬리브는 툴의 길이방향축선을 따라 실질적으로 신장 및 수축하는, 상기 인장 기구의 선형으로 왕복운동하는 인장 로드와 동축적으로, 동심원적으로 및 작동적으로 결합하는 관통하여 뻗는 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내부에 형성된 홈을 갖는 근접 베어링 표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그 위에 형성된 한 쌍의 쇼울더, 원거리 베어링 표면, 및 그 위에 배치된 작동면을 갖는 확대된 헤드에 의해 형성되는 일반적으로 중심부에 배치된 채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볼 멈춤쇠 조립체에 상보적인 상기 근접 베어링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홈과 상기 볼 멈춤쇠 조립체의 동작적 결합은 상기 케이블 타이 인장이 상기 소정 인장 설정치에 도달하기 이전에 상기 슬리브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면은 절단 블레이드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그 원거리 단부에 계단형상 표면을 갖는 피벗식으로 배치된 레버 아암과 작동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작동면의 이동은 케이블 타이 테일을 케이블 타이 헤드로부터 절단시키기 위해 상기 절단 블레이드를 상승시키는 상기 레버 아암의 근접 단부를 원거리 방향으로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면은 실질적으로 프러스토코니컬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31.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툴은 상기 하우징과 작동적으로 결합된 링키지 조립체 및 트리거를 포함하는 작동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상기 하우징에 피벗식으로 장착된 한 쌍의 그립 링크와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키지 조립체는 상기 한 쌍의 그립 링크 사이에 배치된 한 쌍의 내부 링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키지 조립체에서 상기 한 쌍의 내부 링크의 각각은 인접한 상기 핸들 링크와, 상기 한 쌍의 내부 링크와, 그리고 상기 드라이브 링크의 근접 단부에 작동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에 피벗식으로 장착된 한쌍의 인장 링크에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내부 링크의 각각은 슬리브상에 형성된 한 쌍의 이격된 쇼울더에 의해 형성된 채널과 작동적으로 결합된 반관통 또는 반천공 닙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드라이브 링크의 각각은 인장 로드상에 형성된 한 쌍의 이격된 쇼울더에 의해 형성된 채널과 작동적으로 결합된 반관통 또는 반천공 닙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3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 기구는 인장 조정 조립체 및 힘 전달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조정 조립체는 요크, 축, 인장 너트, 스프링, 정밀한 인장 조정 노브, 캠 및 정밀하지 않은 인장 조정 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조정 조립체는 인장 설정치 지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38.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볼 멈춤쇠 조립체는 그 내부에 배치된 시트와, 복수의 볼 베어링을 갖춘, 상기 툴 하우징에 장착된 컵형태의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볼 베어링은 절단 기구 슬리브상에 형성된 홈과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40.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상기 볼 베어링과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각을 이룬 면과 상기 힘 전달 조립체와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근접면을 더 포함하고, 이에따라 상기 인장 조정 조립체에 저장된 힘이, 상기 케이블 타이 인장이 상기 소정 인장 설정치에 도달하기 이전에 상기 절단 기구의 이동을 방지하는 절단 기구 슬리브상의 상기 볼 베어링에 의해 가해지는 원주방향 힘이 되는 상기 근접면상에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KR1020000064231A 1999-11-01 2000-10-31 케이블 타이 인장 및 절단 툴 KR1006676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430,910 1999-11-01
US09/430,910 US6206053B1 (en) 1999-11-01 1999-11-01 Cable tie tensioning and severing to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177A true KR20010070177A (ko) 2001-07-25
KR100667681B1 KR100667681B1 (ko) 2007-01-12

Family

ID=23709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4231A KR100667681B1 (ko) 1999-11-01 2000-10-31 케이블 타이 인장 및 절단 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206053B1 (ko)
EP (1) EP1108649B1 (ko)
JP (1) JP4724865B2 (ko)
KR (1) KR100667681B1 (ko)
CN (1) CN1230959C (ko)
DE (1) DE60027993T2 (ko)
SG (1) SG93277A1 (ko)
TW (1) TW466197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841B1 (ko) * 2010-07-13 2010-10-04 (주) 대진유압기계 호스 체결용 밴드 클램핑장치
KR20180113486A (ko) 2018-10-08 2018-10-16 최종일 밴드형 방수시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밴드형 방수시트, 그리고 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KR102267779B1 (ko) * 2020-07-20 2021-06-22 박상철 하니스 제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6045B2 (ja) * 2002-01-21 2004-06-07 タイトン株式会社 結束装置
US6840289B2 (en) 2002-10-29 2005-01-11 Panduit Corp. Pneumatic cable tie tool
US7086426B2 (en) * 2003-07-07 2006-08-08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Ergonomic cable tie installation tool
JP4657750B2 (ja) * 2004-02-13 2011-03-23 トーマス・アンド・ベッツ・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モジュラ・ツール・ヘッドを有するケーブル・タイ・ツール
ATE367965T1 (de) * 2004-02-13 2007-08-15 Thomas & Betts Int Zähler für kabelbinder-installationswerkzeug
DE602005015043D1 (de) * 2004-02-13 2009-08-06 Thomas & Betts Internat Inc A Mechanismus zum Spannen und zur Rückschlagvermeidung für ein Kabelbindewerkzeug
SE527816C8 (sv) * 2004-03-19 2006-09-12 Mekanism med varabel transmission
MXPA06013843A (es) * 2004-06-04 2007-02-02 Panduit Corp Herramienta de instalacion de cinchos para cables de corte empatado y baja tension.
DE102004029133A1 (de) * 2004-06-17 2006-01-05 TÜV Industrie Service GmbH - TÜV Rheinland Group Kraftreduziertes Messverfahren für Traktionsantriebe, insbesondere Treibscheibenantriebe von Aufzügen
US6962108B1 (en) * 2004-06-23 2005-11-08 Hsiu-Man Yu Chen Strap-guiding device for a strapping packaging apparatus
CN100411949C (zh) * 2005-05-20 2008-08-20 金子朗 捆扎器
KR100741161B1 (ko) * 2006-05-19 2007-07-20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케이블타이 절단방법 및 상기 절단방법을 수행하는케이블타이 절단기
US7591451B2 (en) * 2007-11-13 2009-09-22 Hellermanntyton Corporation Bundle tie tensioning clutch
CA2757699A1 (en) * 2009-03-19 2010-09-23 Figure 8 Surgic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ternum repair
US8460295B2 (en) 2009-03-19 2013-06-11 Figure 8 Surgic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ternum repair
IT1395470B1 (it) * 2009-07-31 2012-09-21 Mollificio Apuano S R L Utensile manuale per l'applicazione di un dispositivo di messa in posa di piastrelle e simili articoli su una superficie da rivestire
KR101078433B1 (ko) * 2009-08-26 2011-10-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체결밴드 조임장치
US9398903B2 (en) 2010-03-19 2016-07-26 William T. MCCLELLAN Knotless locking tissue fastening system and method
BRPI1002494B1 (pt) * 2010-07-12 2015-08-18 João Bosco De Oliveira Cisalha com dispositivo tensor
WO2012040449A1 (en) * 2010-09-22 2012-03-29 Band-It-Idex, Inc. Cable bundling tool
WO2012174562A1 (en) 2011-06-17 2012-12-20 Figure 8 Surgical, Inc. Sternum band tensioner device, system and method
USD692738S1 (en) 2011-06-30 2013-11-05 Hellermanntyton Corporation Cable tie tensioning and cut-off tool
EP2726229B1 (en) * 2011-06-30 2016-05-04 Hellermanntyton Corporation Cable tie tensioning and cut-off tool
WO2014024295A1 (ja) * 2012-08-09 2014-02-13 ヘラマンタイトン株式会社 手動結束工具
NO2883803T3 (ko) * 2012-08-09 2018-04-14
CN105324310B (zh) 2012-09-24 2018-03-27 信诺国际Ip控股有限责任公司 捆扎装置
US10138010B2 (en) * 2014-05-21 2018-11-27 Signode Industrial Group Llc Tensioner/cutter tool for hose clamps and/or bands and attachments for tensioner/cutter
PL3514072T3 (pl) * 2014-12-12 2021-07-12 Hellermanntyton Corporation Mechanizm do naprężania i kalibracji mechanizmu do naprężania i odcinania opasek
USD758155S1 (en) * 2015-02-13 2016-06-07 Panduit Corp. Cable tie tool
JP1564309S (ko) * 2016-04-06 2016-11-28
EP3446986A4 (en) * 2016-04-18 2019-12-11 HellermannTyton Co., Ltd. MANUAL BUNDLING TOOL
JP6640996B2 (ja) * 2016-04-18 2020-02-05 ヘラマンタイトン株式会社 手動結束工具
CN106002814B (zh) * 2016-07-11 2018-03-16 徐健民 一种扎带自动拉紧切割装置
CH712984A2 (de) * 2016-09-18 2018-03-29 Signode Ind Group Llc Umreifungsvorrichtung zur Umreifung von Packgut mit einem Umreifungsband.
CN106314846B (zh) * 2016-11-01 2023-08-08 北京小棉医药有限公司 移动式薄膜打包机器人
CN110087835B (zh) * 2017-01-12 2021-08-17 欧梯克工具公司 用于固定夹持件的工具
FR3073503B1 (fr) 2017-11-14 2019-11-22 Hellermanntyton Gmbh Appareil automatique manuel pour poser des colliers de serrage
CN111727155B (zh) * 2017-11-27 2022-05-31 丹尼尔斯制造公司 用于张紧电缆扎带设备的装置
CN107804502A (zh) * 2017-11-30 2018-03-16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扎带的切割切断机构与使用方法
CN107954082A (zh) * 2017-12-14 2018-04-24 朱凌 一种多自由度手持扎带机内部结构
CN108016645B (zh) * 2017-12-14 2023-11-21 朱凌 一种多自由度手持扎带机及其使用方法
DE102018110184A1 (de) * 2018-04-27 2019-10-31 A. Raymond Et Cie Scs Bindegerät und Verfahren zum automatisierten Bündeln von Kabelsträngen
CN108791996B (zh) * 2018-06-14 2023-12-05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多自由度手持扎带机及其使用方法
TWM575789U (zh) * 2018-12-11 2019-03-21 華偉實業股份有限公司 束帶緊固切斷工具
USD885861S1 (en) * 2018-12-13 2020-06-02 Hua Wei Industrial Co., Ltd. Cable tie tool
MA55904A (fr) * 2019-05-06 2022-03-16 Daniels Mfg Corporation Appareil permettant de tendre un dispositif de ruban d'entrelacement de câbles
US11511894B2 (en) 2019-09-26 2022-11-29 Hellermanntyton Corporation Cable tie application tool
EP3815640B1 (en) 2019-11-04 2023-08-09 Stryker European Operations Limited Surgical instrument for tightening a bone fixation member around bone
DE102021102704A1 (de) 2021-02-05 2022-08-11 Hua Wei Industrial Co., Ltd. Kabelbinderwerkzeug
USD1012641S1 (en) * 2021-10-25 2024-01-30 Aptiv Technologies Limited Tool nosepiece
TW202319030A (zh) * 2021-11-03 2023-05-16 國立成功大學 負離子產生裝置及組接裝置
CN114872952B (zh) * 2022-05-09 2024-02-23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扎带枪
CN114715457A (zh) * 2022-05-16 2022-07-08 杭州澳宇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微型手持扎带枪的机械结构及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54680A (en) 1963-12-18 1966-06-07 Panduit Corp Strap tensioning tool
US3661187A (en) 1969-07-28 1972-05-09 Panduit Corp Strap-tensioning and severing tool
US4793385A (en) 1986-08-22 1988-12-27 Tyton Corporation Handheld tensioning and cut-off tool
US4997011A (en) 1990-01-11 1991-03-05 Tyton Corporation Hand held tie tensioning and cut-off tool
US5492156A (en) 1994-03-10 1996-02-20 Tyton Corporation Hand held tie tensioning and cut-off tool
ES2219774T3 (es) 1996-08-28 2004-12-01 THOMAS & BETTS CORPORATION Herramienta de instalacion de sujecion de cables.
US5921290A (en) * 1997-04-08 1999-07-13 Tyton Hellermann Corporation Handheld tensioning and cutoff too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841B1 (ko) * 2010-07-13 2010-10-04 (주) 대진유압기계 호스 체결용 밴드 클램핑장치
KR20180113486A (ko) 2018-10-08 2018-10-16 최종일 밴드형 방수시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밴드형 방수시트, 그리고 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KR102267779B1 (ko) * 2020-07-20 2021-06-22 박상철 하니스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97270A (zh) 2001-05-30
US6206053B1 (en) 2001-03-27
SG93277A1 (en) 2002-12-17
CN1230959C (zh) 2005-12-07
JP2001206310A (ja) 2001-07-31
DE60027993T2 (de) 2007-04-26
TW466197B (en) 2001-12-01
EP1108649B1 (en) 2006-05-17
EP1108649A3 (en) 2002-08-21
JP4724865B2 (ja) 2011-07-13
KR100667681B1 (ko) 2007-01-12
EP1108649A2 (en) 2001-06-20
DE60027993D1 (de) 200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7681B1 (ko) 케이블 타이 인장 및 절단 툴
US6840289B2 (en) Pneumatic cable tie tool
US9550590B2 (en) Cable tie tensioning and cut-off tool
AU704068B2 (en) Cable tie installation tool
US4997011A (en) Hand held tie tensioning and cut-off tool
EP0465909B1 (en) Hand-held tool for scoring and severing an optical fiber
EP1344588B1 (en) Cable tie installation tool
AU712630B2 (en) Cable tie installation tool
US20240166389A1 (en) Cable tie tensioning and cut-off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