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4841B1 - 호스 체결용 밴드 클램핑장치 - Google Patents

호스 체결용 밴드 클램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4841B1
KR100984841B1 KR1020100067465A KR20100067465A KR100984841B1 KR 100984841 B1 KR100984841 B1 KR 100984841B1 KR 1020100067465 A KR1020100067465 A KR 1020100067465A KR 20100067465 A KR20100067465 A KR 20100067465A KR 100984841 B1 KR100984841 B1 KR 100984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oil
holder
cylinder body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봉
김태걸
함석범
최애진
이선화
Original Assignee
(주) 대진유압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진유압기계 filed Critical (주) 대진유압기계
Priority to KR1020100067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48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1/00Hand tools for applying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1/00Combination or multi-purpose hand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스 체결용 밴드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홀더가이드에 설치되어서 이를 따라 왕복 이동되고 밴드가이드부에 삽입된 밴드의 단부가 파지되며 파지된 밴드의 단부를 당겨서 밴드를 호스의 둘레에 조이는 밴드홀더; 내부에 구동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구동공간의 중간부분을 거치지 않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오일을 공급하도록 오일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바디와, 일단이 실린더바디의 구동공간 내부에 삽입되고 타단이 밴드홀더에 연결되며 구동공간을 따라 왕복 이동되면서 밴드홀더를 당기거나 미는 로드를 포함하는 실린더; 일측이 실린더바디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측에 오일탱크가 결합되며 오일탱크의 오일을 실린더바디로 공급하여서 로드가 실린더 내측으로 당겨지도록 하고 로드가 리턴될 시 실린더바디의 오일이 오일탱크로 회수되도록 안내하는 메인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메인바디와 실린더를 순환하는 오일라인이 실린더바디의 내부에 형성되므로 메인바디나 실린더바디 외부에 별도의 오일호스가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클램핑장치의 전체 외관이 심플하고 호스 클램핑 작업시 노출된 오일호스에 의해 작업이 방해되는 일이 없으며 오일라인이 파손될 우려가 방지된다.

Description

호스 체결용 밴드 클램핑장치{Band clamping device for hose join}
본 발명은 호스 체결용 밴드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호스 둘레에 결합된 밴드 단부를 간편하게 당겨서 클램핑할 수 있고, 메인바디나 실린더바디의 외측으로 별도의 오일호스가 노출되지 않으며, 밴드의 단부를 밴드홀더에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는 호스 체결용 밴드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압클램핑장치는 일반적으로 공작물을 절단하거나 가공할 시 이를 적절히 파지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유압클램핑장치에는 별도로 구비된 유압펌프에 내압호스를 연결하여서 유압펌프에서 발생된 유압을 이용하는 것이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유압클램핑장치는 유압펌프에서 발생된 큰 힘의 유압에 의해 공작물을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으며, 내압호스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한다면 유압펌프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진 장소에서도 유압클램핑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유압펌프를 내장한 파지형식의 유압클램핑장치도 알려진 바 있다. 이 유압펌프 내장형 유압클램핑장치는 작업자가 조작레버를 손으로 반복적으로 눌러서 유압펌프를 작동시키는 것이며, 이와 같이 유압펌프를 작동시키는 동안 공구헤드가 이송되면서 공작물을 파지하는 형식이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유압클램핑장치 중 전자의 것은, 유압클램핑장치와 별도로 구비된 유압펌프 사이에 내압호스를 연결하여서 사용하는 것으로써, 길게 연장된 내압호스에 의해 작업자의 이동이 방해되었고, 내압호스로 인해 작업자가 유압공구를 신속하게 이송시키기가 어려웠으며, 작업 장소를 바꿀 때마다 별도로 설치된 중량의 유압펌프를 운반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대단히 저하되었다.
후자의 유압클램핑장치는 내압호스 및 유압펌프에 의한 상술한 문제는 해결되었으나, 작업자가 조작레버를 손으로 반복적으로 눌러서 유압펌프를 작동시켜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번잡하였으며, 작업이 반복될수록 작업자의 피로를 가중시키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유압클램핑장치는 오일탱크에서 실린더로 오일을 공급하기 위해 별도의 오일호스가 구비되는데, 이 오일호스가 유압클램핑장치의 실린더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구비되므로 유압클램핑장치의 외관이 심플하지 못하였고, 작업시 외부로 노출된 오일호스가 다른 부품이나 작업자에게 걸리면서 작업성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발생하며, 오일호스의 일부가 파손되기도 하였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호스 둘레에 결합된 밴드 단부를 간편하게 당겨서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한 호스 체결용 밴드 클램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인바디나 실린더바디의 외측으로 별도의 오일호스가 노출되지 않도록 한 호스 체결용 밴드 클램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밴드의 단부가 밴드홀더에 확실하게 파지되도록 한 호스 체결용 밴드 클램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호스에 결합된 밴드 단부의 길이가 달라도 밴드 단부를 밴드홀더에 안정적으로 파지시킬 수 있도록 한 호스 체결용 밴드 클램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클램핑된 밴드의 단부가 일정한 길이만 유지되도록 한 호스 체결용 밴드 클램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호스 체결용 밴드 클램핑장치는, 홀더가이드; 홀더가이드의 일측에 설치되고 호스에 감겨진 밴드의 단부가 내부로 삽입되는 밴드가이드부; 홀더가이드에 설치되어서 이를 따라 왕복 이동되고 밴드가이드부에 삽입된 밴드의 단부가 파지되며 파지된 밴드의 단부를 당겨서 밴드를 호스의 둘레에 조이는 밴드홀더; 홀더가이드의 타측에 설치되는 결합블록; 결합블록의 일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구동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바디와, 일단이 실린더바디의 구동공간 내부에 삽입되고 타단이 밴드홀더에 연결되며 구동공간을 따라 왕복 이동되면서 밴드홀더를 당기거나 미는 로드와, 실린더바디의 타측 내부에 결합되어서 구동공간을 밀폐하는 내부커버와, 일단이 로드에 지지되고 타단이 내부커버에 지지되어서 로드를 실린더바디의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로드에 공급되는 유압이 제거되면 실린더바디의 내측으로 당겨진 로드를 실린더바디의 외측으로 리턴시키는 리턴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실린더; 일측이 실린더바디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측에 오일탱크가 결합되며 오일탱크의 오일을 실린더바디로 공급하여서 로드가 실린더 내측으로 당겨지도록 하고 로드가 리턴될 시 실린더바디의 오일이 오일탱크로 회수되도록 안내하는 메인바디; 메인바디의 내부에 설치되고 직선왕복이동하면서 오일탱크 내부의 오일을 실린더바디 측으로 펌핑하는 펌핑부; 펌핑부에 연결되어서 펌핑부를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호스 체결용 밴드 클램핑장치의 다른 특징은, 밴드홀더는, 홀더가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도록 홀더가이드에 슬라이드 결합되고 밴드가이드부에 삽입된 밴드의 단부가 진입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홀더몸체와, 일측 단부가 홀더몸체에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있고 가이드홈에 삽입된 밴드 단부를 가압하여서 홀더몸체에 고정시키며 밴드 단부와의 마찰저항이 되도록 일측 단부 둘레에 다수의 압착돌기들이 형성되는 작동레버와, 일단이 홀더몸체에 지지되고 타단이 작동레버의 일측 단부에 지지되어서 작동레버의 일측 단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가압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호스 체결용 밴드 클램핑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밴드홀더와 실린더의 로드 사이에는, 밴드홀더와 로드를 결합시키고 이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결합볼트가 체결된다.
본 발명의 호스 체결용 밴드 클램핑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실린더바디에는, 구동공간의 일측 내주면에 로드의 대응 단부가 지지되도록 로드지지단턱이 형성되어 있고, 구동공간의 타측 내주면에 내부커버가 지지되도록 커버지지단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커버측 구동공간의 일측으로 공급된 오일이 구동공간의 중간부분을 통과하지 않고 구동공간 타측으로 공급되도록 하여서 공급되는 오일압에 의해 로드가 실린더바디의 내측으로 당겨지도록, 실린더바디의 내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오일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호스 체결용 밴드 클램핑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메인바디의 내부에는, 오일탱크에 연결되어 있고 오일흡입밸브가 설치되어서 오일탱크 측의 오일이 실린더바디 측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제1오일공급통로와, 제1오일공급통로에 연결되어 있고 내부에 펌핑부가 설치되어서 제1오일공급통로 측의 오일이 실린더바디 측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펌핑공간과, 펌핑공간 및 내부커버측 구동공간에 연결되어 있고 내부에 오일공급밸브가 설치되어서 펌핑부에 의해 펌핑되는 오일이 구동공간 측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제2오일공급통로와, 일측이 구동공간에 연결되어서 로드가 리턴스프링에 의해 리턴될 시 구동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이 오일탱크 측으로 회수되도록 안내하는 오일회수통로와, 오일회수통로의 타측 및 오일탱크에 연결되어 있고 내부에 오일회수밸브가 설치되어서 오일회수통로로 회수되는 오일이 오일탱크 측으로 회수되도록 안내하는 회수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호스 체결용 밴드 클램핑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밴드가이드부의 상부에는, 클램핑된 밴드 단부의 상부면을 가압하여서 절곡시키도록 절곡부가 구비되되, 절곡부는, 밴드가이드부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편과, 일단이 고정편에 제1힌지축으로 결합되어 있고 밴드 단부에 접촉되는 타단에 밴드 단부를 가압하여서 절곡시킬 위치에 자국을 형성시키도록 첨예부가 형성되어 있는 누름편과, 일단이 고정편에 제2힌지축으로 결합되어 있고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젖힐 시 누름편의 단부를 밴드 단부 측으로 눌러서 첨예부가 밴드 단부를 가압하도록 하는 절곡레버로 이루어진 절곡부가 구비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작동레버를 젖힌 후 밴드 단부를 밴드가이드부 및 밴드홀더에 끼우고 작동레버를 놓으면 가압스프링이 복원되면서 작동레버의 단부와 가이드홈 사이에 밴드 단부가 물리게 되며, 밴드 단부가 파지된 후 모터를 구동시키면 오일탱크의 오일이 실린더바디의 오일통로를 통해 로드의 단부 측으로 공급되어서 로드를 실린더바디의 내측으로 당기게 되므로 밴드의 단부가 당겨지면서 호스의 둘레가 조여진다. 따라서 밴드 단부를 밴드홀더에 끼우고 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동작으로 호스에 체결된 밴드를 조일 수 있으므로 밴드 클램핑 작업을 자동으로 할 수 있으며 그 작업이 매우 간편하다.
본 발명은 메인바디와 실린더를 순환하는 오일라인이 실린더바디의 내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메인바디나 실린더바디 외부에 별도의 오일호스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전체 외관이 심플하고, 호스 클램핑 작업시 노출된 오일호스에 의해 작업이 방해되는 일이 없으며, 오일라인이 파손될 우려가 방지된다.
또한, 작동레버의 일측 단부 둘레에는 다수의 압착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밴드 단부가 압착돌기에 가압될 시 이들 사이에 마찰저항이 증대되며 이에 따라 밴드 단부를 당겨서 클램핑 할 시 밴드홀더에 파지된 밴드 단부가 이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밴드홀더와 실린더로드 사이에는 결합볼트가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체결볼트를 회전시켜서 밴드홀더와 실린더로드 사이의 간격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호스 둘레에 체결된 밴드의 단부 길이가 짧거나 길 경우 결합볼트를 회전시켜서 밴드홀더의 위치를 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호스의 둘레에 체결된 밴드 단부 길이가 달라도 밴드 단부를 밴드홀더에 안정적으로 파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밴드가이드부의 상부에는, 클램핑된 밴드 단부의 상부면을 가압하여서 절곡시키도록 절곡부가 구비된다. 따라서 밴드를 호스의 둘레에 클램핑한 후 절곡레버를 젖히면 절곡레버의 단부가 누름편의 단부를 밴드 단부 측으로 눌러서 첨예부가 밴드 단부를 가압하도록 하므로 밴드의 단부에 절곡 위치나 절단 위치를 형성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클램핑된 밴드의 단부가 일정한 길이만 유지되도록 절곡시키거나 절단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호스 체결용 밴드 클램핑장치의 외관을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략적 부분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개략적 부분 저단면도
도 4는 오일의 공급 회로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오일의 회수 회로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은 실린더바디의 측단면도 및 저단면도
도 7은 메인바디의 측단면도 및 부분 저단면도
도 8a 내지 도 8d는 밴드의 단부를 파지하기 위해 밴드홀더의 작동레버를 당긴 상태를 보인 부분 측면도, 밴드 단부가 밴드홀더에 파지된 상태를 보인 부분 측면도, 밴드 단부가 당겨진 상태를 보인 부분 측면도, 절곡레버가 젖혀진 상태를 보인 개략적 부분 측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호스 체결용 밴드 클램핑장치의 외관을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 부분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개략적 부분 저단면도이다. 도 4는 오일의 공급 회로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오일의 회수 회로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실린더바디의 측단면도 및 저단면도이고, 도 7은 메인바디의 측단면도 및 부분 저단면도이며,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부분 측면도들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호스 체결용 밴드 클램핑장치는, 일측면의 상하부에 수평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1)이 형성된 홀더가이드(10)가 구비된다.
이 홀더가이드(10)의 전방에는 밴드가이드부(20)가 구비되어 있으며, 호스(1)에 감겨진 밴드(2)의 단부(2a)가 내부로 삽입된다.
이러한 밴드가이드부(20)는, 일측이 홀더가이드(10)에 고정되고 저면에 제1상부가이드홈(22)이 형성된 제1상부가이드(21)와, 일측이 홀더가이드(10)에 고정되고 상부면에 제1상부가이드홈(22)에 대향되도록 제1하부가이드홈(24)이 형성된 제1하부가이드(23)가 구비된다. 제1상부가이드(21)의 일측 상부에는 저면에 제1상부가이드홈(22)과 평행선상에 위치되도록 제1상부가이드편홈(26)이 형성된 제1상부가이드편(25)이 결합되고, 제1하부가이드(23)이 일측 하부에는 제1상부가이드편(25)의 제1상부가이드편홈(22)으로 진입되는 밴드(2)의 단부(2a)를 안내하도록 제1하부가이드편(27)이 결합된다.
밴드가이드부(20)의 상부에는, 클램핑된 밴드(2) 단부(2a)의 상부면을 가압하여서 절곡시키도록 절곡부(30)가 구비된다.
이 절곡부(30)는, 밴드가이드부(20)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편(31)과, 일단이 고정편(31)에 제1힌지축(34)으로 결합되어 있고 밴드(2) 단부(2a)에 접촉되는 타단에 밴드(2) 단부(2a)를 가압하여서 절곡시킬 위치에 자국을 형성시키도록 첨예부(33)가 형성되어 있는 누름편(32)과, 일단이 고정편(31)에 제2힌지축(36)으로 결합되어 있고 제2힌지축(36)을 중심으로 젖힐 시 누름편(32)의 첨예부(33)를 밴드(2) 단부(2a) 측으로 눌러서 첨예부(33)가 밴드(2) 단부(2a)를 가압하도록 하는 절곡레버(35)로 이루어진 절곡부(30)가 구비된다.
홀더가이드(10)에는 밴드홀더(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밴드홀더(40)는 홀더가이드(10)에 설치되어서 이를 따라 왕복 이동되고 밴드가이드부(20)에 삽입된 밴드(2)의 단부(2a)가 파지되며 파지된 밴드(2)의 단부(2a)를 당겨서 밴드(2)를 호스(1)의 둘레에 조인다.
이러한 밴드홀더(40)는, 홀더몸체(41), 작동레버(43), 가압스프링(46)으로 이루어진다. 홀더몸체(41)는, 홀더가이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도록 홀더가이드(10)에 슬라이드 결합되고, 밴드가이드부(20)에 삽입된 밴드(2)의 단부(2a)가 진입되도록 가이드홈(42)이 형성되어 있다.
작동레버(43)는, 일측 단부가 홀더몸체(41)에 힌지축(45)으로 결합되어 있고, 가이드홈(42)에 삽입된 밴드(2) 단부(2a)를 가압하여서 홀더몸체(41)에 고정시키며 밴드(2) 단부(2a)와의 마찰저항이 되도록 일측 단부 둘레에 다수의 압착돌기(44)들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스프링(46)은, 일단이 홀더몸체(41)에 지지되고 타단이 작동레버(43)의 일측 단부에 지지되어서 작동레버(43)의 일측 단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밴드(2)의 단부(2a)가 작동레버(43)의 압착돌기(44)들과 가이드홈(42)의 일측면 사이에 밀착지지되도록 한다.
홀더가이드(10)의 타측 단부에는 결합블록(50)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결합블록(50)에는 실린더(60)가 설치되어 있으며, 실린더(60)의 로드(66)가 왕복이동되도록 관통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60)는, 실린더바디(61), 로드(66), 내부커버(67), 리턴스프링(68)으로 이루어진다.
실린더바디(61)는 일단이 결합블록(50)의 일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그 중앙을 관통하도록 구동공간(6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린더바디(61)에는, 구동공간(62)의 일측 내주면에 실린더바디(61)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로드(66)가 더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로드(66)의 대응 단부가 지지되는 로드지지단턱(63)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공간(62)의 타측 내주면에는 내부커버(67)가 지지되도록 커버지지단턱(64)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바디(61)의 내부에는 구동공간과 평행을 이루고 구동공간(62)의 양측단부가 연결되도록 오일통로(6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일통로(65)는 내부커버(67)측 구동공간(62)의 일측으로 공급된 오일이 구동공간(62)의 중간부분을 통과하지 않고 구동공간(62) 타측으로 공급되도록 하여서 공급되는 오일압에 의해 로드(66)가 실린더바디(61)의 내측으로 당겨지도록 한다.
로드(66)는, 일단이 실린더바디(61)의 구동공간(62)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타단이 결합블록(50)의 관통구멍(51)을 통과한 후 밴드홀더(40)에 연결되며, 구동공간(62)을 따라 왕복 이동되면서 밴드홀더(40)를 당기거나 민다.
내부커버(67)는 실린더바디(61)의 타측 내부에 결합되어서 구동공간(62)을 밀폐하며 커버지지단턱(64)에 지지되어 있다.
리턴스프링(68)은 일단이 로드(66)에 지지되고 타단이 내부커버(67)에 지지되어서 로드(66)를 실린더바디(61)의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로드(66)에 공급되는 유압이 제거되면 실린더바디(61)의 내측으로 당겨진 로드(66)를 실린더바디(61)의 외측으로 리턴시킨다.
밴드홀더(40)와 실린더(60)의 로드(66) 사이에는, 밴드홀더(40)와 로드(66)를 결합시키고 이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결합볼트(70)가 체결되어 있다.
실린더바디(61)의 타측 단부에는 메인바디(80)가 결합되어 있다.
이 메인바디(80)는, 일측이 실린더바디(61)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측에 오일탱크(90)가 결합되며 오일탱크(90)의 오일을 실린더바디(61)로 공급하여서 로드(66)가 실린더 내측으로 당겨지도록 하고 로드(66)가 리턴될 시 실린더바디(61)의 오일이 오일탱크(90)로 회수되도록 안내한다.
이러한 메인바디(80)의 내부에는, 제1오일공급통로(81), 펌핑공간(82), 제2오일공급통로(83), 오일회수통로(84), 회수공간(85)이 형성되어 있다.
제1오일공급통로(81)는, 오일탱크(90)에 연결되어 있고 오일흡입밸브(100)가 설치되어서 오일탱크(90) 측의 오일이 실린더바디(61) 측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한다.
펌핑공간(82)은, 제1오일공급통로(81)에 연결되어 있고 내부에 펌핑부(130)가 설치되어서 제1오일공급통로(81) 측의 오일이 실린더바디(61) 측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한다.
제2오일공급통로(83)는, 펌핑공간(82) 및 내부커버(67)측 구동공간(62)에 연결되어 있고 내부에 오일공급밸브(110)가 설치되어서 펌핑부(130)에 의해 펌핑되는 오일이 구동공간(62) 측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한다.
오일회수통로(84)는, 일측이 구동공간(62)에 연결되어서 로드(66)가 리턴스프링(68)에 의해 리턴될 시 구동공간(62)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이 오일탱크(90) 측으로 회수되도록 안내한다.
회수공간(85)은, 오일회수통로(84)의 타측 및 오일탱크(90)에 연결되어 있고 내부에 오일회수밸브(120)가 설치되어서 오일회수통로(84)로 회수되는 오일이 오일탱크(90) 측으로 회수되도록 안내한다.
여기서, 오일흡입밸브(100)는, 내부가 관통되고 일단이 제1오일공급통로(81)에 결합되고 타단이 오일탱크(90) 내에 위치되는 멀티베이스(101)와, 내부가 관통되고 멀티베이스(101)의 일단 내부에 고정되는 스프링케이싱(102)과, 멀티베이스(101)의 내부에 구비되고 이를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멀티베이스(101)의 병목부분을 개폐하는 스틸볼(103)과, 스프링케이싱(102) 및 스틸볼(103) 사이에 설치되고 스틸볼(103)을 병목부분 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여서 스틸볼(103)이 병목부분을 탄성적으로 밀폐하도록 하는 볼스프링(104)과, 멀티베이스(101)의 타단 내부에 설치되어서 이를 통과하는 오일 내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스트레이너(105)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오일흡입밸브(100)는 오일탱크(90) 내의 오일이 실린더바디(61)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그 역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는 체크밸브 역할을 한다. 즉, 제1오일공급통로(81)에 흡입력이 발생되면 그 흡입력에 의해 스틸볼(103)이 당겨지면서 볼스프링(104)이 압축되고 이에 따라 체크바디(111)의 병목부분이 열리게 되므로 오일탱크(90) 내의 오일이 제1오일공급통로(81)로 유입된다. 제1오일공급통로(81) 내의 흡입력이 제거되면 볼스프링(104)의 복원력에 의해 스틸볼(103)이 밀리면서 체크바디(111)의 병목부분이 닫히게 되므로 실린더바디(61) 내의 오일이 제1오일공급통로(81)를 통해 오일탱크(90)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오일공급밸브(110)는, 내부가 관통되고 제2오일공급통로(83)에 결합되는 체크바디(111)와, 체크바디(111)에 결합되고 내부가 병목부분을 갖도록 관통되며 병목부분이 펌핑공간(82)에 연결되는 볼케이싱(112)과, 체크바디(111) 및 볼케이싱(112)의 내부에 구비되어서 볼케이싱의 병목부분을 개폐하는 스틸볼(113)과, 체크바디(121) 및 스틸볼(113) 사이에 설치되어서 스틸볼(113)을 병목부분 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볼스프링(114)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오일공급밸브(110)는 펌핑공간(82) 내의 오일이 실린더바디(61)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그 역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는 체크밸브 역할을 한다. 즉, 펌핑공간(82)에 펌핑압이 발생되면 그 펌핑압에 의해 스틸볼(113)이 밀리면서 볼스프링(114)이 압축되고 이에 따라 체크바디(111)의 병목부분이 열리게 되므로 펌핑공간(82) 내의 오일이 제2오일공급통로(83)로 유입된다. 펌핑공간(82) 내의 펌핑압이 제거되면 볼스프링(114)의 복원력에 의해 스틸볼(113)이 밀리면서 체크바디(111)의 병목부분이 닫히게 되므로 실린더바디(61) 내의 오일이 펌핑공간(82) 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오일회수밸브(120)는, 회수공간(85) 내에 설치되고 오일회수통로(84)와 회수공간(85)이 연결하도록 내부에 통로가 형성된 릴리프페이스(121)와, 회수공간(85)의 내부를 따라 승강되도록 그 내부에 설치되고 릴리프페이스(121)의 통로를 개폐하도록 하는 밸브포스트(122)와, 회수공간(85)에 결합되고 밸브포스트(122)의 이송을 안내하는 릴리프로드(123)와, 릴리프페이스(121) 및 릴리프로드(123) 사이의 회수공간(85) 내에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되며 밸브포스트(122)의 이송시 이와 함께 이송되는 슬라이더(124)와, 릴리프로드(123) 및 슬라이더(124) 사이에 설치되어서 슬라이더(124)를 릴리프페이스(121) 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릴리프스프링(125)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오일회수밸브(120)는 실린더바디(61) 내부의 오일이 오일탱크(90)로 회수되도록 하고 그 역방향으로는 흐르지 않도록 하는 체크밸브 역할을 한다. 즉, 로드(66)가 실린더바디(61)의 내측으로 리턴되면서 실린더바디(61) 내부의 오일이 오일회수통로(84)로 가압되면, 슬라이더(124)를 상측으로 밀고 릴리프스프링(125)을 압축시키면서 릴리프페이스(121)의 통로를 통해 회수공간(85)으로 유입된 후 오일탱크(90)로 회수된다.
로드(66)가 실린더바디(61)의 외측으로 전질할 때에는 오일회수통로(84)에 오일압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릴리프스프링(125)의 스프링압에 의해 슬라이더(124) 및 밸브포스트(122)가 하측으로 이동되며, 밸브포스트(122)가 릴리프페이스(121)의 통로를 막아서 오일탱크(90) 내의 오일이 실린더바디(61)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메인바디(80)의 펌핑공간(82)에는 펌핑부(1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펌핑부(130)는 펌핑공간(82) 내에서 직선왕복이동하면서 오일탱크(90) 내부의 오일을 실린더바디(61) 측으로 펌핑한다.
이러한 펌핑부(130)는, 메인바디(80)의 펌핑공간(82) 내에 위치되고 구동부(140)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하는 플런저(132)와, 펌핑공간(82)의 입구에 체결되어서 플런저(132)의 승강을 안내하는 플런저포스트(131)와, 플런저(132)의 타단에 결합되고 펌핑공간(82)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되어서 플런저(132)의 승강시 이와 함께 승강되는 스프링캡(133)과, 펌핑공간(82)의 내측 및 스프링캡(133) 사이에 설치되어서 플런저(132)를 후술할 구동부(140)의 작동베어링(145) 측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플런저스프링(134)으로 이루어진다.
구동부(140)는, 펌핑부(130)에 연결되어서 펌핑부(130)를 직선 왕복이동시킨다.
이러한 구동부(140)는, 모터(141)와, 모터(141)에 연결되어서 모터축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감속기(142)와, 감속기(142)의 회전축(143)에 설치되는 캠(144)과, 캠(144)의 둘레에 설치되는 작동베어링(145)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구동부(140)의 모터(141)가 구동되면 감속기(142)의 회전축(143)이 회전되고 이에 따라 캠(144) 및 작동베어링(145)이 회전되면서 펌핑부(130)의 플런저(132)를 승강시킨다.
캠(144)이 180°회전되어서 플런저(132)가 상승되면 플런저스프링(134)이 압축되면서 스프링캡(133)이 플런저(132)와 함께 상승되고 캠(144)이 다시 180°회전되어서 플런저(132)를 밀던 힘이 제거되면 압축된 플런저스프링(134)의 복원력에 의해 플런저(132) 및 스프링캡(133)이 하강된다. 이때 펌핑공간(82) 내부에는 진공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제1오일공급통로(81)에도 진공압이 형성되면서 스틸볼(103)을 당기게 되며, 오일탱크(90) 내의 오일이 제1오일공급통로(81)를 통해 펌핑공간(82) 내부로 유입된다.
캠(144)이 또 다시 180°회전되면서 플런저(132) 및 스프링캡(133)을 상승시키면 오일흡입밸브(100)는 닫히게 되므로 펌핑공간(82) 내부의 오일은 제2오일공급통로(83) 측으로 가압되며, 이 펌핑압에 의해 오일공급밸브(110)가 열리면서 실린더바디(61) 측으로 펌핑된다.
구동부(140)의 하부에는 베터리부(150)가 설치되어 있으며 구동부(140)의 모터(141)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호스 체결용 밴드 클램핑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작동레버(43)를 젖힌 후 밴드(2) 단부(2a)를 밴드가이드부(20) 및 밴드홀더(40)에 끼우고 작동레버(43)를 놓으면 가압스프링(46)이 복원되면서 작동레버(43)의 단부와 가이드홈(42) 사이에 밴드(2) 단부(2a)가 물리게 된다.
밴드(2) 단부(2a)가 파지된 후 모터(141)를 구동시키면 오일탱크(90)의 오일이 제1오일공급통로(81), 펌핑공간(82), 제2오일공급통로(83), 내부커버(67) 및 메인바디(80) 단부 사이의 구동공간(62)으로 유입된다.
구동공간(62)으로 유입된 오일은 실린더바디(61)의 오일통로(65)를 통해 로드(66)의 단부 측으로 공급되어서 로드(66)를 실린더바디(61)의 내측으로 당기게 되므로 밴드(2)의 단부(2a)가 당겨지면서 호스(1)의 둘레가 조여진다.
따라서 밴드(2) 단부(2a)를 밴드홀더(40)에 끼우고 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동작으로 호스(1)에 체결된 밴드(2)를 조일 수 있으므로 밴드(2) 클램핑 작업을 자동으로 할 수 있으며 그 작업이 매우 간편하다.
둘째, 본 발명은 메인바디(80)와 실린더(60)를 순환하는 오일라인이 실린더바디(61)의 내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메인바디(80)나 실린더바디(61) 외부에 별도의 오일호스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전체 외관이 심플하고, 호스 클램핑 작업시 노출된 오일호스에 의해 작업이 방해되는 일이 없으며, 오일라인이 파손될 우려가 방지된다.
셋째, 작동레버(43)의 일측 단부 둘레에는 다수의 압착돌기(4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밴드(2) 단부(2a)가 압착돌기(44)에 가압될 시 이들 사이에 마찰저항이 증대되며 이에 따라 밴드(2) 단부(2a)를 당겨서 클램핑 할 시 밴드홀더(40)에 파지된 밴드(2) 단부(2a)가 이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넷째, 밴드홀더(40)와 실린더로드(66) 사이에는 결합볼트(70)가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볼트(70)를 회전시켜서 밴드홀더(40)와 실린더로드(66) 사이의 간격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호스(1) 둘레에 체결된 밴드(2)의 단부(2a) 길이가 짧거나 길 경우 결합볼트(70)를 회전시켜서 밴드홀더(40)의 위치를 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호스(1)의 둘레에 체결된 밴드(2) 단부(2a) 길이가 달라도 밴드(2) 단부(2a)를 밴드홀더(40)에 안정적으로 파지시킬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의 밴드가이드부(20)의 상부에는, 클램핑된 밴드(2) 단부(2a)의 상부면을 가압하여서 절곡시키도록 절곡부(30)가 구비된다.
따라서 밴드(2)를 호스(1)의 둘레에 클램핑한 후 절곡레버(35)를 젖히면 절곡레버(35)의 단부가 누름편(32)의 단부를 밴드(2) 단부(2a) 측으로 눌러서 첨예부(33)가 밴드(2) 단부(2a)를 가압하도록 하므로 밴드(2)의 단부(2a)에 절곡 위치나 절단 위치를 형성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클램핑된 밴드(2)의 단부(2a)가 일정한 길이만 유지되도록 절곡시키거나 절단시킬 수 있다.
1 : 호스 1 : 밴드
2a : 단부 10 : 홀더가이드
11 : 가이드홈 20 : 밴드가이드부
21 : 제1상부가이드 22 : 제1상부가이드홈
23 : 제1하부가이드 24 : 제1하부가이드홈
25 : 제1상부가이드편 26 : 제1상부가이드편홈
27 : 제1하부가이드편
30 : 절곡부 31 : 고정편
32 : 누름편 33 : 첨예부
34 : 제1힌지축 35 : 절곡레버
36 : 제2힌지축 40 : 밴드홀더
41 : 홀더몸체 42 : 가이드홈
43 : 작동레버 44 : 압착돌기
45 : 힌지축 46 : 가압스프링
50 : 결합블록 51 : 관통구멍
60 : 실린더 61 : 실린더바디
62 : 구동공간 63 : 로드지지단턱
64 : 커버지지단턱 65 : 오일통로
66 : 로드 67 : 내부커버
68 : 리턴스프링 70 : 결합볼트
80 : 메인바디 81 : 제1오일공급통로
82 : 펌핑공간 83 : 제2오일공급통로
84 : 오일회수통로 85 : 회수공간
90 : 오일탱크 100 : 오일흡입밸브
101 : 멀티베이스 102 : 스프링케이싱
103,113 : 스틸볼 104,114 : 볼스프링
105 : 스트레이너 110 : 오일공급밸브
111 : 체크바디 112 : 볼케이싱
120 : 오일회수밸브 121 : 릴리프페이스
122 : 밸브포스트 123 : 릴리프로드
124 : 슬라이더 125 : 릴리프스프링
130 : 펌핑부 131 : 플런저포스트
132 : 플런저 133 : 스프링캡
134 : 플런저스프링 140 : 구동부
141 : 모터 142 : 감속기
143 : 회전축 144 : 캠
145 : 작동베어링 150 : 베터리부

Claims (6)

  1. 홀더가이드(10);
    홀더가이드(10)의 일측에 설치되고 호스(1)에 감겨진 밴드(2)의 단부(2a)가 내부로 삽입되는 밴드가이드부(20);
    홀더가이드(10)에 설치되어서 이를 따라 왕복 이동되고 밴드가이드부(20)에 삽입된 밴드(2)의 단부(2a)가 파지되며 파지된 밴드(2)의 단부(2a)를 당겨서 밴드(2)를 호스(1)의 둘레에 조이는 밴드홀더(40);
    홀더가이드(10)의 타측에 설치되는 결합블록(50);
    결합블록(50)의 일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구동공간(62)이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바디(61)와, 일단이 실린더바디(61)의 구동공간(62) 내부에 삽입되고 타단이 밴드홀더(40)에 연결되며 구동공간(62)을 따라 왕복 이동되면서 밴드홀더(40)를 당기거나 미는 로드(66)와, 실린더바디(61)의 타측 내부에 결합되어서 구동공간(62)을 밀폐하는 내부커버(67)와, 일단이 로드(66)에 지지되고 타단이 내부커버(67)에 지지되어서 로드(66)를 실린더바디(61)의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로드(66)에 공급되는 유압이 제거되면 실린더바디(61)의 내측으로 당겨진 로드(66)를 실린더바디(61)의 외측으로 리턴시키는 리턴스프링(68)으로 이루어진 실린더(60);
    일측이 실린더바디(61)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측에 오일탱크(90)가 결합되며 오일탱크(90)의 오일을 실린더바디(61)로 공급하여서 로드(66)가 실린더 내측으로 당겨지도록 하고 로드(66)가 리턴될 시 실린더바디(61)의 오일이 오일탱크(90)로 회수되도록 안내하는 메인바디(80);
    메인바디(80)의 내부에 설치되고 직선왕복이동하면서 오일탱크(90) 내부의 오일을 실린더바디(61) 측으로 펌핑하는 펌핑부(130);
    펌핑부(130)에 연결되어서 펌핑부(130)를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체결용 밴드 클램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밴드홀더(40)는,
    홀더가이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도록 홀더가이드(10)에 슬라이드 결합되고 밴드가이드부(20)에 삽입된 밴드(2)의 단부(2a)가 진입되도록 가이드홈(42)이 형성되어 있는 홀더몸체(41)와, 일측 단부가 홀더몸체(41)에 힌지축(45)으로 결합되어 있고 가이드홈(42)에 삽입된 밴드(2) 단부(2a)를 가압하여서 홀더몸체(41)에 고정시키며 밴드(2) 단부(2a)와의 마찰저항이 되도록 일측 단부 둘레에 다수의 압착돌기(44)들이 형성되는 작동레버(43)와, 일단이 홀더몸체(41)에 지지되고 타단이 작동레버(43)의 일측 단부에 지지되어서 작동레버(43)의 일측 단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가압스프링(4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체결용 밴드 클램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밴드홀더(40)와 실린더(60)의 로드(66) 사이에는,
    밴드홀더(40)와 로드(66)를 결합시키고 이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결합볼트(70)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체결용 밴드 클램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실린더바디(61)에는,
    구동공간(62)의 일측 내주면에 로드(66)의 대응 단부가 지지되도록 로드지지단턱(63)이 형성되어 있고, 구동공간(62)의 타측 내주면에 내부커버(67)가 지지되도록 커버지지단턱(64)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커버(67)측 구동공간(62)의 일측으로 공급된 오일이 구동공간(62)의 중간부분을 통과하지 않고 구동공간(62) 타측으로 공급되도록 하여서 공급되는 오일압에 의해 로드(66)가 실린더바디(61)의 내측으로 당겨지도록, 실린더바디(61)의 내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오일통로(6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체결용 밴드 클램핑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메인바디(80)의 내부에는,
    오일탱크(90)에 연결되어 있고 오일흡입밸브(100)가 설치되어서 오일탱크(90) 측의 오일이 실린더바디(61) 측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제1오일공급통로(81)와,
    제1오일공급통로(81)에 연결되어 있고 내부에 펌핑부(130)가 설치되어서 제1오일공급통로(81) 측의 오일이 실린더바디(61) 측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펌핑공간(82)과,
    펌핑공간(82) 및 내부커버(67)측 구동공간(62)에 연결되어 있고 내부에 오일공급밸브(110)가 설치되어서 펌핑부(130)에 의해 펌핑되는 오일이 구동공간(62) 측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제2오일공급통로(83)와,
    일측이 구동공간(62)에 연결되어서 로드(66)가 리턴스프링(68)에 의해 리턴될 시 구동공간(62)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이 오일탱크(90) 측으로 회수되도록 안내하는 오일회수통로(84)와,
    오일회수통로(84)의 타측 및 오일탱크(90)에 연결되어 있고 내부에 오일회수밸브(120)가 설치되어서 오일회수통로(84)로 회수되는 오일이 오일탱크(90) 측으로 회수되도록 안내하는 회수공간(8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체결용 밴드 클램핑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밴드가이드부(20)의 상부에는,
    클램핑된 밴드(2) 단부(2a)의 상부면을 가압하여서 절곡시키도록 절곡부(30)가 구비되되,
    절곡부(30)는,
    밴드가이드부(20)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편(31)과, 일단이 고정편(31)에 제1힌지축(34)으로 결합되어 있고 밴드(2) 단부(2a)에 접촉되는 타단에 밴드(2) 단부(2a)를 가압하여서 절곡시킬 위치에 자국을 형성시키도록 첨예부(33)가 형성되어 있는 누름편(32)과, 일단이 고정편(31)에 제2힌지축(36)으로 결합되어 있고 제2힌지축(36)을 중심으로 젖힐 시 누름편(32)의 첨예부(33)를 밴드(2) 단부(2a) 측으로 눌러서 첨예부(33)가 밴드(2) 단부(2a)를 가압하도록 하는 절곡레버(35)로 이루어진 절곡부(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체결용 밴드 클램핑장치.
KR1020100067465A 2010-07-13 2010-07-13 호스 체결용 밴드 클램핑장치 KR100984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465A KR100984841B1 (ko) 2010-07-13 2010-07-13 호스 체결용 밴드 클램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465A KR100984841B1 (ko) 2010-07-13 2010-07-13 호스 체결용 밴드 클램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4841B1 true KR100984841B1 (ko) 2010-10-04

Family

ID=43134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465A KR100984841B1 (ko) 2010-07-13 2010-07-13 호스 체결용 밴드 클램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48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442B1 (ko) * 2014-12-22 2015-11-04 (주) 대진유압기계 케이블 결속용 텐션 툴
KR20190117590A (ko) * 2017-03-14 2019-10-16 외티커 슈비츠 아게 체결 클램프 고정시 힘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4796A (ko) 1974-11-25 1976-06-28 Amp Inc
JPS61166768U (ko) 1985-04-01 1986-10-16
KR20010070177A (ko) * 1999-11-01 2001-07-25 케이브니 제랄드 더블유. 케이블 타이 인장 및 절단 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4796A (ko) 1974-11-25 1976-06-28 Amp Inc
JPS61166768U (ko) 1985-04-01 1986-10-16
KR20010070177A (ko) * 1999-11-01 2001-07-25 케이브니 제랄드 더블유. 케이블 타이 인장 및 절단 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442B1 (ko) * 2014-12-22 2015-11-04 (주) 대진유압기계 케이블 결속용 텐션 툴
KR20190117590A (ko) * 2017-03-14 2019-10-16 외티커 슈비츠 아게 체결 클램프 고정시 힘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
KR102378792B1 (ko) 2017-03-14 2022-03-28 외티커 슈비츠 아게 체결 클램프 고정시 힘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9963B2 (en) Clamp apparatus
US10160068B2 (en) Device for positioning and supplying fixing elements
KR100984841B1 (ko) 호스 체결용 밴드 클램핑장치
KR20140022744A (ko)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
WO2015100687A1 (zh) 一种动力头式钻机的钻杆夹持器
US6105482A (en) Self-adjusting clamping device
CN108644105B (zh) 一种用于液压工具的单向阀及液压工具
CN113799033B (zh) 弹簧扣锁紧定位工装
CN110744825A (zh) 塑胶件插针装置
JP6855072B2 (ja) クランプ装置
CN105945843A (zh) 一种用于装配的硬油管夹紧装置
CN210754376U (zh) 一种减径机的导向机构
CN212603729U (zh) 一种提拉手线自动压头机夹线机构
JP5805964B2 (ja) 固定冶具
CN209379709U (zh) 半自动扳弯机
KR100639413B1 (ko) 퀵 체인지 척
CN201446432U (zh) 数控平面钻床工件压紧油缸结构
JP4602924B2 (ja) ポンプ装置
CN209665269U (zh) 一种电动液压钳
JPH07653U (ja) 携帯用油圧式圧縮機
KR20100008046U (ko) 휴대용 파이프 포밍기
CN113263443B (zh) 一种锁紧装置
CN210615002U (zh) 一种用于门厅组件安装的气动铆接手钳
CN210189133U (zh) 一种中空式双活塞气动双动送料卡盘
CN220936932U (zh) 一种穿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