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0104A - 데이터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기록매체 판별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기록매체 판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0104A
KR20010070104A KR1020000056615A KR20000056615A KR20010070104A KR 20010070104 A KR20010070104 A KR 20010070104A KR 1020000056615 A KR1020000056615 A KR 1020000056615A KR 20000056615 A KR20000056615 A KR 20000056615A KR 20010070104 A KR20010070104 A KR 20010070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recorded
area
data recording
bin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6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0624B1 (ko
Inventor
카와시마테츠지
토야마카츠미
사코요이치로
이노쿠치타츠야
츠카타니시게키
시시도유키오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10070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0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0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06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063Subc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4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sensing features on the record carrier other than the transducing track ; sensing signals or marks recorded by another method than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45Methods for initialising servos, start-up sequen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11B2020/1267Address data
    • G11B2020/1268Address in pregroove [ADIP]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9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serves a specific purpose
    • G11B2020/1292Enhancement of the total storage capacit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3Read-only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8Write-onc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11B2220/2575DVD-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어드레스의 표현을 바이너리로 행함으로써 고용량화에 대응한다.
미리 광디스크상에 워블링그루브가 형성되고, 워블링그루브의 워블정보로서 어드레스가 기록된다. 기존의 광디스크에서는, BCD에 의해 분초 프레임의 어드레스가 표현되어 있다(도 4a). 그 때문에 24비트의 어드레스 표기부분이 사용된다. 이 어드레스 표기부분에 바이너리표현의 어드레스를 기록한다(도 4b). 그것에 의해, BCD에 의한 어드레스표현에 비교하여, 보다 많은 어드레스를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디스크의 용량을 증대시키는 것에 대응할 수 있다. 어드레스 표기부분의 MSB 등의 특정의 1비트 혹은 복수 비트에 의해, 또는 어드레스의 변화의 방법에 의거하여, 고밀도 디스크와 기존의 디스크와의 식별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데이터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기록매체 판별방법 {Data recording medium, dat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for discriminating a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기록가능한 데이터 기록매체 및 데이터 기록장치 및 방법, 특히, 기존의 매체와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매체의 고밀도화에 대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근래, 대용량의 기록매체로서 광디스크의 개발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예를 들면 음악정보가 기록된 CD(Compact Disc), 컴퓨터용의 데이터가 기록되는 CD-ROM, 영상정보를 취급하는 DVD(Digital Versatile Disc 또는 Digital Video Disc) 등이 알려져 있다. 여기에 든 디스크는, 독출전용의 디스크이다. 최근에는, CD-R(CD-Recordable), CD-RW(CD-Re Writable), DVD-R(DVD-Recordable), DVD+RW, DVD-RAM(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이 데이터의 추기나, 고쳐쓰기가 가능한 광디스크가 실용화되고 있다. 이들의 추기 또는 고쳐쓰기가 가능한 디스크에서는, 재생전용의 광디스크와는 다르고, 데이터가 미기록상태에서는, 신호가 기입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디스크의 위치정보(어드레스정보)를 미리 디스크상에 기록하여 놓을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CD-R 또는 CD-RW에서는, 어드레스정보를 연속적으로 프리포맷하기 위해, 레이저빔의 안내홈(그루브라고 칭함)을 워블시키고, 워블정보로서 위치정보 혹은 시간정보를 연속적으로 기록하고 있다. CD-R/CD-RW에서는, 워블정보에 의해 얻어지는 어드레스정보를 참조하여 데이터를 디스크에 기입한다. CD-R/CD-RW에 있어서는, 이 워블데이터는, 실제로는, 22.05kHz의 반송파로 주파수 변조된 신호가 들어가 있고, 이 신호를 복조함으로써 어드레스정보를 얻도록 하고 있다. 이 어드레스정보는, ATIP(Absolute Time In Pre-groove)라고 칭하고, 시간정보에의해 디스크상의 절대어드레스를 나타내는 것이다.
절대어드레스는, 분, 초, 프레임이라는 시간정보에서 구성되는 형식(MSF형식)이다. 또, 분, 초, 프레임의 각각의 10진수를 2진화 10진수(BCD:Binary Coded Decimal)에 의해 표현하고 있다. 1초가 75프레임이고, 00분 00초 00프레임에서 99분 59초 74프레임까지의 어드레스를 표현가능으로 하고 있다. BCD는, 10진수의 1행을 2진수의 4비트로 각각 표시하는 방법이며, ATIP의 경우에는, 24비트가 필요하게 된다.
CD-R, CD-RW의 기록용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비트의 형성기술, 기록 및/또는 재생기술의 향상, 사용하는 레이저의 단파장화 등의 개량에 의해, 고밀도화(고용량화)가 가능하다. 그렇지만, 현상의 CD-R, CD-RW의 용량(약 650MB)를 2배로 하면, 100분을 초과하는 시간을 표현할 수 없는 현상의 ATIP가 대응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데이터 기록매체와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고밀도화에 대응한 어드레스 정보를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고, 컴퓨터 용도의 사용에 적절한 데이터 기록매체, 및 데이터 기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디스크 드라이브의 전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워블링그루브를 나타내는 약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워블링그루브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약선도이다.
도 4는 기존의 어드레스 포맷과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포맷을 나타내는 약선도이다.
도 5는 기존의 어드레스 포맷에 있어서의 최상위 비트에 의해 나타내는 정보의 내용을 나타내는 약선도이다.
도 6은 기존의 어드레스 포맷에 있어서의 리드인영역의 연속하는 프레임의 내용을 나타내는 약선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디스크 판별의 제 1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디스크 판별의 제 3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특별한 식별정보를 가하지 않고 디스크 판별을 행하는 방법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어드레스정보의 구체예의 설명에 이용하는 약선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어드레스정보가 식별하는 엑스트라정보의 설명에 이용하는 약선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어드레스정보가 식별하는 엑스트라정보의 시퀀스의 설명에 이용하는 약선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헤더의 어드레스정보 및 서브코드의 설명에 이용하는 약선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광디스크 3. 광픽업
7. 레이저 드라이버 10. 외부의 호스트 컴퓨터
11. RF신호 처리블록 12. ATIP복조기
13. 제어용 마이콘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발명은, 분초프레임을 표시하는 시간정보를 2진화 10진수로 표현가능하도록, 소정 비트수의 어드레스 표기영역을가지는 데이터 기록매체에 있어서,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2진화 10진수에 대신해서 2진수로 표현되는 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매체이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소정 비트수의 어드레스 표기영역을 가지며,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분초프레임을 표시하는 시간정보가 2진화 10진수로 기록된 제 1데이터 기록매체와,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2진화 10진수에 대신하여 2진수로 어드레스가 기록되는 동시에, 어드레스 표기영역의 미리 정한 1 또는 복수의 비트가 미리 정한 값 또는 패턴으로 되는 제 2데이터 기록매체가 사용 가능한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이며,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수단과, 재생된 데이터중의 미리 정한 1 또는 복수의 비트가 미리 정한 값 또는 패턴일 때에, 사용하는 디스크가 제 2데이터 기록매체라고 판별하는 판별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이다.
청구항 14의 발명은, 소정 비트수의 어드레스 표기영역을 가지며,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분초프레임을 표시하는 시간정보가 2진화 10진수로 기록된 제 1데이터 기록매체와,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2진화 10진수에 대신하여 2진수로 어드레스가 기록된 제 2데이터 기록매체가 사용 가능한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이며,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어드레스를 재생하는 수단과, 재생된 어드레스의 변화를 검출하고, 어드레스의 변화의 방법에 의거하여 사용하는 디스크가 제 1 및 제 2데이터 기록매체의 어느 것인지를 판별하는 수단을 지득한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이다.
청구항 16의 발명은, 소정 비트수의 어드레스 표기영역을 가지며,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분초프레임을 표시하는 시간정보가 2진화 10진수로 제 1데이터 기록매체와,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2진화 10진수에 대신하여 2진수로 어드레스가 기록되는 동시에, 어드레스 표기영역의 미리 정한 1 또는 복수의 비트가 미리 정한 값 또는 패턴이 되는 제 2데이터 기록매체를 판별하기 위한 방법이며,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고, 재생된 데이터 중의 미리 정한 1 또는 복수의 비트가 미리 정한 값 또는 패턴일 때에, 사용하는 디스크가 제 2데이터 기록매체라고 판별하는 판별방법이다.
청구항 18의 발명은, 소정 비트수의 어드레스 표기영역을 가지며,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분초프레임을 표시하는 시간정보가 기록된 제 1데이터 기록매체와,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2진화 10진수에 대신하여 2진수로 어드레스가 기록된 제 2데이터 기록매체를 판별하는 방법이며,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어드레스를 재생하고, 재생된 어드레스의 변화를 검출하고, 어드레스의 변화의 방법에 의거하여 사용하는 디스크가 제 1 및 제 2데이터 기록매체의 어느 것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방법이다.
본 발명에서는, 어드레스를 표현하는데 BCD 대신에 바이너리를 사용하므로, 보다 많은 어드레스를 필요로 하는 고밀도화(고용량화) 기록매체에 대응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기록장치는, 어드레스의 표기방법의 상위에 의해 기록매체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고, 이 판별결과에 의해 서보, RF이퀄라이저의 특성을디스크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일 실시형태는, CD-RW 또는 CD-R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예이다. 도 1을 참조하여, CD-RW의 드라이브의 일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부호(1)가 광디스크 예를 들면 CD-RW를 나타낸다. 광디스크(1)는 스핀들모터(2)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광디스크(1)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또 데이터를 광디스크(1)에서 재생하기 위해, 광픽업(3)이 설치되어 있다. 광픽업(3)이 이송모터(4)에 의해 디스크 지름방향으로 보내진다.
이 일 실시형태의 광디스크(1)는, 레이저광에서 기록가능하고, 반사광량차를 검출함으로써 재생 가능한 상변화형 디스크이다. 기록막이 피착되는 기판의 재질은, 폴리카보네이트이고, 사출성형에 의해, 기판상에 그루브라고 불리우는 트랙 안내홈이 미리 형성되어 있다. 미리 형성하는 의미로 프리그루브라고도 불리운다. 그루브의 사이는, 랜드라고 불리운다. 그루브는, 내주에서 외주에 스파이럴형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 가능하다면, 광자기디스크, 유기색소를 기록재료로서 사용하는 추기형 디스크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루브는 디스크의 회전제어용과 기록시의 기준신호로 하기 위해 꿉불꾸불(워블이라고 칭함)가고 있다. 데이터는, 그루브내, 또는 그루브 및 랜드에 기록된다. 또한, 그루브의 워블정보로서 시간정보를 연속적으로 기록하고 있다. CD-R, CD-RW에서는, 워블정보에 의해 얻어지는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소망의 기입위치에 광픽업을 위치시키고, 데이터를 디스크에 기입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에 되돌아 오면, 외부의 호스트 컴퓨터(10)로부터의 데이터가 인터페이스(8)를 거쳐서 드라이브에 공급된다. 인터페이스(8)에는, 인코더/디코더블록(5)이 접속되고, 인코더/디코더블록(5)에는, 버퍼메모리(6)가 접속되어 있다. 버퍼메모리(6)는, 라이트데이터 또는 리드데이터를 유지한다. 라이트데이터가 인터페이스(8)에서 인코더/디코더블록(5)에 공급된다. 인코더/디코더블록(5)에서는, 라이트데이터가 섹터구조로 변환되고, 또, 에러정정부호의 부호화가 되고, 또한, EFM변조의 처리 및 프레임 동기신호의 부가의 처리가 된다.
어드레스는, ATIP 이외에 인코더/디코더블록(5)에 있어서, 서브코드로서 부가되고, 또, 데이터중의 헤더에 대해서도 부가된다. 이들의 어드레스는, ATIP와 동일하게 어드레스를 표시하는 것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ATIP의 어드레스 표기부분을 바이너리(2진수)로 표현하는 것이다. 서브코드에 의한 어드레스 및 데이터중의 어드레스는, BCD인 채로도 좋고, 또는 바이너리로 표현하도록 해도 좋다.
인코더/디코더블록(5)으로부터의 프레임구조의 데이터가 레이저 드라이버(7)에 공급된다. 레이저 드라이버(7)에서는, 광디스크(1)에 대하여 기록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소정의 레벨을 가지는 드라이브파형이 생성된다. 레이저 드라이버(7)의 출력이 광픽업(3)에 대하여 공급되고, 데이터가 기록된다. 레이저 드라이버(7)는, RF신호 처리블록(11)내의 APC(Automatic Power Control)에 의해 레이저출력이 적절한 것으로 제어된다.
광디스크(1)상의 데이터를 광픽업(3)이 재생하고, 4분할 포토디텍터에 의해 검출된 신호가 RF신호 처리블록(11)에 공급된다. RF신호 처리블록(11)에서는, 매트릭스앰프가 포토디텍터의 검출신호를 연산함으로써, 재생(RF)신호, 워블신호, 트랙킹 에러신호(TE), 포커스 에러신호(FE)를 생성한다. RF신호가 인코더/디코더블록(5)에 공급되고, 푸시풀신호로서 얻어지는 워블신호가 ATIP복조기(12)에 공급되고, 트랙킹 에러신호, 포커스 에러신호가 서보블록(14)에 공급된다.
인코더/디코더블록(5)에서는, EFM의 복조, 에러정정신호의 복호(즉, 에러정정), 섹터구조에 재생데이터를 분해하는 처리 등이 행해진다. 인코더/디코더블록(5)에서는, 재생데이터가 버퍼메모리(6)에 격납된다. 호스트 컴퓨터(10)로부터의 리드코맨드가 접수되면, 리드데이터가 인터페이스(8)를 거쳐서 호스트 컴퓨터(10)에 대하여 전송된다.
ATIP복조기(12)에서는, 워블신호를 캐리어주파수(22.05kHz)부근만을 통과시키는 밴드 패스필터를 거쳐서 FM복조기에 공급하고, 바이페이스신호를 얻는다. 또한, 바이페이스신호에서 취출한 클럭을 스핀들모터(2)의 제어에 이용하는 동시에, 그 클럭에서 바이페이스 신호중의 어드레스데이터를 뽑는다. ATIP 복조기(12)로부터의 어드레스가 제어용 마이콘(13)에 공급되고, 제어용 마이콘(13)이 이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시크동작을 제어한다. 제어용 마이콘(13)은, 인터페이스(8), 인코더/디코더블록(5), RF신호 처리블록(11), 서보블록(14)을 제어한다.
RF신호 처리블록(11)으로부터의 프레임 동기신호, 트랙킹 에러신호 및 포커스 에러신호와, ATIP 복조기(12)로부터의 클럭이 서보블록(14)에 공급된다. 서보블록(14)은, 광픽업(3)에 대한 트랙킹서보 및 포커스서보와, 스핀들모터(2)에 대한 스핀들서보와, 이송모터(4)에 대한 슬레이드서보를 행한다.
상술한 일 실시형태에 의한 광디스크장치에서는, 광디스크(1)가 기존의 CD-R, CD-RW 및 기존의 것보다 고밀도화 된 디스크(고밀도 디스크라고 칭함)의 어느 것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의 종류를 판별하는 처리가 되고,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서보의 특성 등의 조정 또는 전환이 행해진다. 디스크판별은, 디스크에서 독해한 ATIP 데이터에서 제어용 마이콘(13)이 행한다.
CD-R, CD-RW에 있어서는, 그루브의 워블링은, 22.05kHz를 캐리어로 한 ±1kHz의 FM(FSK)에서 행해지고 있고, 이 FM을 복조하면, 클럭이 6.3kHz의 바이페이스신호가 얻어진다. 또한, 바이페이스신호가 복조함으로써, 3150비트/총의 데이터가 얻어진다. 1초가 75프레임이므로, ATIP데이터의 1프레임이 42비트에 의해 구성된다.
도 4a는, 기존의 CD-R, CD-RW에 있어서의 ATIP의 1프레임의 데이터구성을 나타낸다. 선두의 4비트가 동기신호, 다음의 24비트가 어드레스 표기부분, 최후의 14비트가 CRC(Cyclic Redundancy Check code)이다. 동기신호는, 바이페이스 마크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패턴의 것으로 되어 있다. 24비트의 각 8비트에 의해, 어드레스(시간정보)의 분, 초, 프레임의 10진수가 BCD로 표현되고, 최대로 99분 59초 74프레임까지의 어드레스를 표현할 수 있다. 이 어드레스는 1프레임의 데이터량을 2K바이트로 하면, 약 900M바이트의 데이터에 상당한다.
본 발명의 일 실형태에서는, 고밀도 디스크에 있어서는,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4비트의 어드레스 표기부분을 바이너리(2진수)로 표현하는 것이다. 24비트를 모두 바이너리로 어드레스를 표현하면, 224=16777216이므로, 1프레임의 데이터량을 2K바이트로 하면, 약 33G바이트까지의 데이터의 어드레싱이 가능하게 되고, 고밀도화에 대응할 수 있다.
바이너리로 어드레스를 표기한 경우, 23비트를 사용하였을 때에는, 약 16.778G바이트의 어드레싱이 가능하고, 22비트를 사용하였을 때에는, 약 8.39G바이트의 어드레싱이 가능하고, 21비트를 사용하였을 때에는, 약 4.19G바이트의 어드레싱이 가능하고, 20비트를 사용하였을 때에는, 약 2.10G바이트의 어드레싱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24비트의 모두를 사용하지 않아도, 고밀도화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기존의 CD-R, CD-RW의 포맷에서는, 실제로는, 사용하지 않고(즉, 항상 "0") 있다. M, S, F의 각각의 상위측의 4비트의 상위비트의 조합에 의해, 어드레스 이외의 정보(엑스트라정보라고 칭함)를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M(분)의 최상위 비트에 관해서는, 99분까지 대응하면, "1"이 될적이 있을 수 있다. 그렇지만, 실제로는, 80분 미만의 디스크밖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 비트가 "1"이 되는 적은 없었다. 엑스트라정보는, 리드인영역에 기록된다. 프로그램영역 및 리드아웃영역에서는, 어드레스만이 기록된다.
도 5는, MSF의 각각의 최상위의 비트를 M1, S1, F1으로 표기하였을 때에, 이3비트의 조합에 의해 표현되는 정보의 내용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M1, S1, F1=000)은, 프로그램영역 및 리드아웃영역의 어드레스를 표시한다. 이 최상위 비트(M1, S1, F1)와 프로그램영역 및 리드아웃영역의 어드레스(M, S, F)가 조합된다. (M1, S1, F1=100)은, 리드인영역의 어드레스를 표시하고, (M1, S1, F1=101)은, 스페셜정보(1)(기준속도에서의 기록파워)를 표시한 것이라고 규정되어 있다. 또한, 부가정보(1), 부가정보(2), 부가정보(3)도 규정되어 있다. 현행의 포맷에서는, 부가정보(1)만이 정의되어 있다. 스페셜정보는, M1="1"인 것에 대하여, 부가정보는, M1="0"이다. 이들의 스페셜정보와 부가정보가 엑스트라정보이다.
또, CD-R, CD-RW에서는, 리드인영역내의 연속하는 프레임의 시퀀스가 도 6에 표시하는 것이라고 규정되어 있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40프레임을 주기로서 시퀀스가 규정되어 있다. 10프레임마다의 프레임번호의 N, N+10, N+20에 스페셜정보(1), 스페셜정보(2), 스페셜정보(3)가 나타나고, N+30에 부가정보(1)가 나타나고, 그 이외의 통상의 어드레스가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리드인영역내에서는, 40프레임에 1회만 (M1="0")이 된다.
상술의 최상위 비트(M1, S1, F1)에 의해 표시되는 엑스트라정보는, CD-R, CD-RW를 확장한 고용량의 디스크라도, 기존의 디스크와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그 때문에, 고밀도 디스크에서는, 24비트중, 미리 정한 1 또는 복수의 비트가 미리 정한 값이 될 경우에, 리드인영역의 어드레스 및 엑스트라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라고 규정한다.
CD-R, CD-RW와 동일의 규정으로 하기 위해서는, 24비트의 최상위 비트가 "0"일 경우는, 프로그램영역 및 리드아웃영역의 어드레스를 표시하고, 이것이 "1"의 경우는, 리드인영역의 어드레스 및 엑스트라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라고 규정한다. 최상위 비트가 "1"인 경우에는, 나머지 23비트를 정보의 종류와 정보의 내용을 표시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어드레스의 표현에 사용할 수 있는 비트수가 1비트 감소하고, 23비트가 된다. 23비트에 의해 표현 가능한 어드레스는, 16.5GB가 되는바, 기존의 디스크용량(650MB)와 비교하여 10배 이상의 용량이며, 디스크의 고밀도화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22비트, 21비트, 20비트를 사용하여 어드레스 표기하도록 하여도, 현행의 용량의 2배 이상의 용량을 커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ATIP의 독출에 있어서, 그 디스크가 기존의 CD-R, CD-RW인지, 또는 그들을 확장한 고밀도 디스크인지가 이미 알려져 있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고밀도 디스크의 기록/재생이 가능한 디스크의 드라이브로서는, 기존의 CD-R, CD-RW를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고밀도 디스크의 서보에 관한 물리적인 특성(트랙피치 등)을 CD-R, CD-RW와 동일하게 하고, 또, 어드레스 표기부분의 비트수, 어드레스 표기부분의 전의 동기신호, 에러검출용의 CRC를 기존의 CD-R, CD-RW에 있어서의 것과 동일하게 하고, ATIP에 관한 포맷이 어드레스의 표현방식 이외는, CD-R, CD-RW와 동일하게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드라이브도, 그와 같은 고려가 된 것이다. 이러한 드라이브에 있어서는, 디스크 판별이 필요하게 된다.
디스크 판별의 하나의 방법은, CD-R, CD-RW와 고밀도 디스크를 판별하는데,어드레스 표기부분(24비트)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하, 어드레스 표기부분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디스크 판별의 몇개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디스크 판별방법은, 어드레스 표기부분의 데이터의 최상위 비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CD-R, CD-RW에서는, 리드인영역에서는, 엑스트라정보와 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고, 어드레스 표기부분의 최상위 비트(M1)가 부가정보(1)를 제외하고 "1"이다(도 5참조). 또, 프로그램영역 및 리드아웃영역에서는, M1이 "0"이다. 따라서, 고밀도 디스크의 경우에는, 최상위 비트의 값을 기존의 것과 역으로 한다. 즉, 리드인영역 내에서는, 어드레스부의 최상위 비트를 "0"으로 하고, 프로그램영역 및 리드아웃영역에서는, 최상위 비트를 "1"로 한다. 이와 같은 관계로 정함으로써, 별도로 디스크 판별수단을 갖지 않아도, 어드레스 표기부분에서 독해한 데이터의 최상위 비트의 체크에 의해 디스크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CD-R, CD-RW에 있어서도, 부가정보(1)의 경우에서는 어드레스부의 최상위 비트가 "0"이 되므로, 복수 프레임에 걸쳐서 어드레스부의 최상위 비트를 체크한다. 예를 들면 2프레임 연속하여 최상위 비트가 "0"이 되지 않으면, 기존의 CD-R, CD-RW라고 식별할 수 있다.
도 7은, 제 1디스크 판별방법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 처리는, 도 1에 나타내는 드라이브의 제어용 마이콘(13)에 의해 된다. 제어용 마이콘(13)에는, ATIP복조기(12)로부터의 어드레스가 공급되고, 이 어드레스에서 디스크 판별을 행하는 처리를 행한다.
도 7에 있어서, 디스크를 드라이브에 장착하면, 또는 전원이 온이 되면, 디스크 판별의 처리가 개시된다. 스텝(S1)에 있어서, 광픽업(3)을 광디스크의 최내주영역(리드인영역)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스텝(S2)에 있어서, 포커스, 트랙킹, 스핀들의 서보가 온되고, ATIP를 독출 가능한 상태가 되고, 스텝(S3)에 있어서, 리드인영역내의 ATIP가 독출되고, ATIP복조기(12)에서 제어용 마이콘(13)에 독출된 ATIP의 데이터가 제어용 마이콘(13)에 공급된다.
독출된 ATIP의 CRC의 체크가 행해진다(스텝(S4)). CRC체크가 OK(에러없음)라면, 스텝(S5)에 있어서, 독출한 ATIP의 MSB(최상위 비트)가 "1"인지 어떤지가 조사된다. MSB="1"이라면, 디스크가 CD-R, CD-RW라고 결정된다(스텝(S6)). MSB="0"이라면, 디스크가 고밀도 디스크라고 결정된다(스텝(S7)). 이와 같이하여 디스크 판별이 행해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가 CD-R, CD-RW의 경우라도, 부가정보(1)의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MSB가 "0"이 되므로, 스텝(S5)을 2프레임 연속하여 최상위 비트가 "0"이 되지 않는 것을 검출하고, 그것에 의해, 기존의 CD-R, CD-RW라고 식별하도록 해도 좋다.
또, 프로그램영역에 있어서는, 독해한 ATIP의 MSB="0"이라면, CD-R, CD-RW라고 판단하고, MSB="1"이라면, 고밀도 디스크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프로그램영역에 있어서도 디스크의 판별이 가능하게 된다. 이 판별의 결과에 따라서, 제어용 마이콘(13)이 서보블록(14) 등을 제어하고, 서보의 파라미터, RF이퀄라이저의 특성 등을 디스크 종류에 따른 것으로 조정, 또는 선택한다.
디스크 판별방법의 제 2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예는, 제 1예의 변형이다. 즉, 프로그램영역에 있어서의 디스크 판별을 할 수 없는 것을 허용하고, 프로그램영역에서는, MSB를 "0"으로 한다. 또, 리드인영역에서는, 고밀도 디스크의 경우, MSB를 어드레스에 관해서는 "0"으로 하고, 엑스트라정보에 관해서는, "1"로 한다. 리드인영역에 있어서는, 엑스트라정보를 표시하는 것은, 10프레임에 1회뿐이므로, 고밀도 디스크의 경우에서는, 리드인영역의 MSB를 거의 "0"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리드인영역의 ATIP를 독해하고, CRC가 OK인 ATIP의 MSB가 거의 "1"이라면, CR-R, CD-RW라고 판별할 수 있고, 이것이 거의 "0"이라면, 고밀도 디스크라고 판별할 수 있다.
제 2의 예는, 프로그램영역에서는 양쪽의 디스크와 함께, 어드레스의 MSB가 "0"이기 때문에, 디스크판별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렇지만, 디스크를 드라이브에 삽입하였을 때에는, 광픽업을 내주측에 가동시키고, 리드인영역을 최초로 읽어가는 것이 보통이고, 리드인영역에 있어서 디스크의 판별을 행함으로써, 그후의 동작을 지장없이 행해진다. 또, 디스크의 종류를 판별할 때에, 10프레임 이상에 걸쳐서 어드레스 표기부분의 데이터의 MSB를 감시하고, 혹시, 10프레임 이상 "0"이 계속될 때에는, 프로그램영역에 광픽업이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광픽업을 리드인영역으로 이동시켜서, 새삼스럽게 디스크의 판별작업을 행하도록 할 수 있다.
어드레스 표기부분을 사용한 디스크의 종류의 판별방법의 제 3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3예에서는, 리드인영역의 어드레스의 MSB가 CD-R, CD-RW에서는,부가정보(1)를 제외한 "1"이고, 고밀도 디스크에서는, MSB가 "0"인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제 3방법은, 물리적인 디스크종류의 판별을 가한 것이고, 처리의 플로차트를 도 8에 나타낸다.
도 8에 있어서, 드라이브에 디스크의 삽입, 또는 전원의 온에서 디스크 판별의 처리가 개시한다. 스텝(S11)에서는, 물리적인 디스크 판별을 행한다. 즉, 디스크의 물리적 성질에 의거하여 이루는 디스크의 종류의 판별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트랙피치의 상위 또는 선밀도의 상위에 의거하여 디스크의 종류를 판별한다. 판별결과가 유지되는 동시에, 판별결과에 따라서 서보의 게인 등의 서보조정을 행한다(스텝(S12)).
다음의 스텝(S13)에 있어서, 광픽업을 디스크의 최내주영역(리드인영역)으로 이동한다. 스텝(S14)에 있어서, 포커스, 트랙킹, 스핀들의 서보가 온되고, ATIP를 독출 가능한 상태가 되고, 스텝(S15)에 있어서, 리드인영역내의 ATIP(어드레스 표기부분의 데이터)가 독출된다.
독출된 ATIP의 CRC의 체크가 행해진다(스텝(S16)). CRC체크가 OK(에러없음)라면, 스텝(S17)에 있어서, 독출한 ATIP의 MSB(최상위 비트)의 체크에 의한 디스크 판별이 행해진다. 이 디스크판별은, 상술한 제 1예와 동일한 것이다. 즉, MSB="1"이라면, 디스크가 CD-R, CD-RW이라고 결정되고, MSB="0"이면, 디스크가 고밀도 디스크라고 결정된다.
스텝(S17)에서 얻어진 판별결과가, 물리적 디스크 판별의 결과가 스텝(S18)에 있어서 조합된다. 양자의 판별결과가 일치하고 있으면, 판별이 바르게 되었다고 하여 처리가 종료한다. 만약, 판별결과가 일치하지 않을 때는, 스텝(S19)으로 처리가 이동하고, 서보가 오프되어 스텝(S12)로 되돌아간다. 스텝(S12)에서는, 스텝(S17)에 있어서 얻어진 판별결과(MSB의 체크의 결과)에 의거하여 서보조정이 재차 행해진다. 스텝(S12)에서 뒤의 처리는, 상술한 것과 동일하다.
또한, 상술한 디스크 판별의 제 1, 제 2 및 제 3예 이외에, 고밀도 디스크의 바이너리표현의 24비트의 어드레스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를 CD-R, CD-RW에서는 있을 수 없는 특수한 패턴에, 계속하여 혹은 일시적으로 설정함으로써, 디스크 종류의 판별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에 기술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프로그램영역의 어드레스의 LSB(최하위 비트)를 "1" 또는 "0"으로 고정한다. CD-R, CD-RW에서는, "1"과 "0"이 교대로 나타난다. 따라서, LSB에 의해 디스크의 종류를 구별할 수 있다.
리드인영역에서는, LSB를 "1"로 고정하고, 프로그램영역에서는, LSB를 "0"으로 고정한다. 또는, "1"과 "0"을 역으로 설정한다. 그것에 의해 디스크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고, 또, 리드인영역과 프로그램영역을 구별할 수 있다.
또, LSB 이외의 특정의 위치의 비트를 동일하게 사용하여 디스크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정기적으로 특정의 패턴, 예를 들면 모두 "0"의 패턴이 나타나도록 한다. 액세스성능이 떨어지는바, 정기적으로 미리 알고 있는 패턴이 나타나는지 어떤지를 검출함으로써, CD-R, CD-RW로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정기적으로 나타나는 패턴은, 24비트의 일부의 비트로 형성해도 좋다.
다음에, 어드레스 표기부분(24비트)의 데이터에 대해서, 특히 식별정보를 부가하지 않아도 디스크의 종류를 판별하도록 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방법은, 어드레스 표기부분에 기록되어 있는 어드레스를 재생하고, 재생된 어드레스의 변화를 검출하고, 어드레스의 변화의 방법에 의거하여 디스크 종류를 판별하는 것이다.
도 9는, 이러한 디스크 판별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방법은, 최하위 비트에서 4비트가 BCD라면, 「9」의 다음이 「0」이 되는데 대하여, 바이너리라면, 「9」의 다음에 「A」가 되는 것을 이용하여 디스크의 종류를 판별하는 것이다. 또한, 체크하는 4비트는, 최하위는 아니고, 일반적으로 비트위치 번호로 나타내면, 비트(4n)에서 비트(4n+3)(n은 0에서 5의 정수로, 비트 0이 최하위 비트)라면 좋다. 그렇지만, n이 커지면, 갱신의 빈도가 낮게 되므로, 신속한 처리를 위해서는, 최하위에서 4비트를 이용하여 판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서보가 걸려서 ATIP가 독해 가능한 상태로 되고서, 디스크의 종류를 판별하기까지의 처리를 나타내는 것이다. 스텝(S21)에 있어서 동기신호를 검출하고, 스텝(S22)에 있어서, CRC체크가 행해진다. CRC체크가 OK(즉, 에러없음)라면, 스텝(S23)에 있어서, 최하위에서 4비트의 데이터(어드레스)를 독출하고, 그 값이 「9」인지 어떤지가 판단된다. 값이 「9」가 되기까지, 스텝(S21)에서 (S23)의 처리가 반복된다.
4비트의 값이 「9」가 되면, 스텝(S24)에 있어서, 회수(N)가 0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동기검출(스텝(S25))이 되어, CRC체크가 행해진다(스텝(S26)).CRC체크가 OK라면, 스텝(S28)에 있어서, N<6인지 어떤지가 결정된다. N=0이므로, 스텝(S29)으로 처리가 이동한다.
스텝(S29)에서는, 어드레스 표기부분의 하위 4비트의 데이터의 값이 A(=1010)에서 F(=1111)의 사이의 값이 어떤지가 조사된다. 어드레스가 바이너리일 때에는, 「9」의 다음의 값이 A가 되므로, 스텝(S30)에 있어서, 디스크가 고밀도 디스크라고 결정된다. 만약, BCD의 어드레스 표현이라면, 「9」의 다음이 「0」이 되므로, 스텝(S31)에 있어서, 디스크가 CD-R, CD-RW라고 결정된다.
회수(N)의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것은, 「9」의 값을 검출한 다음의 프레임의 어드레스를 독해하지 않은 사태에 대처하기 위해서이다. 스텝(S26)에 있어서의 CRC체크의 결과가 에러있음일 경우에는, 스텝(S27)에 있어서, 회수(N)가 +1되고, 스텝(S25)으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재차 스텝(S25)(동기검출) 및 CRC체크(스텝(S26))가 행해진다. 6회의 처리가 이루어져도, CRC체크의 결과가 OK가 되지 않으면, 스텝(S28)에 있어서, N=6이 되고, 처리가 스텝(S21)으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재차 스텝(S21) 이후의 상술한 처리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특별한 식별정보를 부가하지 않아도 디스크의 종류를 판별하는 방법은, 판별에 시간이 걸리지만, 디스크의 종류의 판별을 위해 특수한 패턴을 할당하지 않아도 좋은 점이 있다.
다음에, 도 10,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ATIP(어드레스정보)의 구체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바이너리로 표기되는 24비트의 각 비트를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M0∼M23으로 표시한다. M0가 최하위 비트이고, M23이 촤상위 비트이다. 이 24비트내의 상위측의 3비트(M23, M22, M21)를 식별자로서 사용한다. 비트(M20)는 리드인영역에 있어서는, 식별자로서 사용된다. 또한,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비트의 프레임 동기신호가 부가되고, 14비트의 CRC코드에서 에러검출 부호화되고, 전체로서 42비트의 ATIP프레임이 구성된다.
도 11은, 상위의 4비트(M23, M22, M21, M20)에 의해 식별되는 정보의 내용을 나타내는 표이다. 프로그램영역 및 리드아웃영역에는, 통상의 어드레스(절대어드레스)만이 기록된다. 이 통상의 어드레스의 경우에는, (M23, M22, M21, M20=000x)(x는, 0 및 1의 어느 것이라도 좋은 것을 의미한다)가 된다.
기록 가능한 고밀도 디스크에 있어서, 일예로서 리드인영역의 개시위치의 어드레스가 A370h(서브코드의 시간정보에서는, 0시 09분 30초 50프레임)이 되고, 프로그램영역의 개시위치의 어드레스가 D2F0h(서브코드의 시간정보에서는, 0시 12분 00초 00프레임)이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디스크의 최내주위치에서 단조로히 증가하는 어드레스정보가 ATIP로서 기록되어 있다. 환언하면, 리드인영역에서 부(負)의 어드레스가 발생하지 않고, 어드레스에 관해서는 리드인영역과 프로그램영역(리드아웃영역)을 구별할 필요가 없다.
리드인영역에 있어서는, 연속하는 ATIP프레임이 도 12에 나타내는 시퀀스로 기록되어 있다. 10프레임마다 주기적으로 표시되는 프레임(N, N+10, N+20, …)에 엑스트라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리드인영역에 기록되는 엑스트라정보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M23, M22, M21, M20=101x): 스페셜정보 1
스페셜정보 1은, 기준속도에 있어서의 타겟기입 레이저파워, 기준속도, 디스크의 목적을 나타내는 디스크 어플리케이션, 디스크종별 등의 정보이다. 식별용을 제외하고 남은 21비트에 의해, 이들의 정보가 기술된다.
(M23, M22, M21, M20=110x): 스페셜정보 2
스페셜정보 2는, 리드인영역의 개시위치의 어드레스를 특정하는 정보이다. 예를 들면 상술한 A370h의 어드레스가 기록된다. 이 예에서는 21비트가 (000001010001101110000)으로 된다.
(M23, M22, M21, M20=111x): 스페셜정보 3
스페셜정보 3은, 리드아웃영역의 개시위치의 어드레스를 특정하는 정보이다. 예를 들면 50000h의 어드레스가 기록된다. 이 예에서는 21비트가 (001010000000000000000)이 된다.
(M23, M22, M21, M20=0010): 스페셜정보 4
스페셜정보 4는, 미디어 제조자코드, 재질 등의 정보이다.
(M23, M22, M21, M20=010x): 부가정보 1
부가정보 1은, CLV제어에 있어서의 사용 가능한 최저속도 및 최고속도, 기준속도에 있어서의 기입 레이저파워를 규정하는 함수 등의 정보이다.
(M23, M22, M21, M20=011x): 부가정보 2
부가정보 2는, 기입 레이저파워 등의 기록시의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이다.
(M23, M22, M21, M20=0011): 보충정보
보충정보는, 기록밀도, 디스크직경, 관성모맨트 등에 관한 정보이다. 이보충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크의 종별(통상의 밀도인지, 고밀도인지)을 판별하도록 하여도 좋다.
(M23, M22, M21, M20=1000): 저작권 제어정보 1
(M23, M22, M21, M20=1001): 저작권 제어정보 2
저작권제어정보 1 및 2는, 저작권에 관한 정보이다. 전자투과정보, 저작권의 보호를 위해, 암호화를 실시하고 있을 때의 암호화의 종류, 복호를 위한 키의 정보 등이 기록된다. (M23, M22, M21=100)은 도 5의 예에서는, 리드인영역의 어드레스의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고밀도 디스크에서는, 어드레스가 디스크상에서 단조롭게 증가하도록 기록되어 있으므로, 리드인영역의 어드레스인 것을 식별할 필요가 없다. 그래서, 이 것(100)을 사용하여 저작권 제어정보 1 및 2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어드레스정보(ATIP)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고밀도 디스크에서는, 데이터가 예를 들면 CD-ROM 포맷으로 기록된다. CD-ROM 포맷에서는, 헤더로서 어드레스정보가 기록된다. 기존의 CD-ROM에 있어서의 헤더부는, 모드 0, 모드 1, 모드 2에 불구하고,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즉, 헤더부는, 프레임의 절대어드레스를 분(MIN), 초(SEC), 프레임번호(FRAME)라는 시간정보로 표시한 24비트로 이루는 절대어드레스부(ADDRESS)와, 상술한 모드를 나타내는 8비트로 이루는 모드부(MODE)에 의해 구성된다.
절대어드레스부(ADDRESS)는, 절대어드레스 분성분부(MIN)와, 절대어드레스 초성분부(SEC), 절대어드레스 프레임번호 성분부(FRAME)에 의해 구성되고, 이들은,각각 8비트로 이룬다. 이 절대어드레스부(ADDRESS)는, CD-DA에 있어서의 서브코드의 Q채널의 시간정보와 등가(1대 1에 대응)한 것이고, 절대어드레스 분성분부(MIN)와, 절대어드레스 초성분부(SEC), 절대어드레스 프레임번호 성분부(FRAME)는, 각각 2디지트의 BCD에 의해 표현된다.
또한, CD-ROM에 있어서도,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술한 서브코드부가 별도 설치되어 있고, 이 Q채널에도 상술한 "MIN", "SEC", "FRAME"로 표시되는 절대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된 고밀도 CD-ROM에 있어서는, 80분 또는 100분을 초과하는 디지털 데이터의 시간정보를 표현가능으로 하기 위해,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더부의 "MIN", "SEC", "FRAME"의 영역 모두를 24비트의 2진수로 표현한다. 이 24비트는, 상술한 ATIP와 대응한 어드레스정보이다.
CD-ROM의 재생데이터 중의 서브코드의 Q채널 중의 시간정보는, 서브코드의 시간정보를 부분적으로 수정함으로써, 기존의 것보다 긴 시간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즉, 서브코드의 시간정보 중에는, 8비트 모두가 "0"인 제로부(ZERO)가 존재한다. 이 제로부를 이용하는 것으로, 시간정보를 확장할 수 있다. 도 13c는 제로부를 이용하여 시간의 정보를 기록하도록 한 서브코드의 포맷을 나타낸다. 제로부의 8비트가 4비트씩 분할되고, 전반의 4비트의 영역(40a)이 상대시간의 「시간」의 행(HOUR)에 대해서 할당되고, 그 후반의 4비트의 영역(40b)이 절대시간의 「시간」의 행(AHOUR)에 대해서 할당된다. 절대시간의 정보의 중요도가 낮으므로, 고밀도 디스크의 경우에서는, 실제에는 시간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고, 이들의 영역은, FF FF FF Fh에 세트되어 있다. 절대시간의 「시간」의 행(AHOUR)은 0∼9의 BCD표현으로 된다. 고밀도 디스크에 있어서는, 일예로서, 절대시간은, 리드인영역의 개시위치에서 0시 09분 30초 50프레임으로 세트되고, 프로그램영역의 개시위치에서 0시·u。원w)2분 00초 00프레임으로 세트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디스크에 한하지 않고, 다른 데이터 기록매체 예를 들면 메모리카드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어드레스를 표현하는데 BCD 대신에 바이너리를 사용하므로, 보다 많은 어드레스를 필요로 하는 고밀도화(고용량화) 기록매체에 대응할 수 있다. 또, 어드레스 표기부분의 비트수, 어드레스 표기부분의 전의 동기신호, 에러검출용의 CRC를 기존의 기록매체에 있어서의 것과 동일로 함으로써, 어드레스를 얻기 위한 회로, 소프트웨어의 변경이 적어도 좋고, 기존의 기록매체와의 호환성을 취하기 쉬운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기록장치는, 어드레스의 표기방법의 상위에 의해 기록매체의 종류를 판별할 수있고, 이 판별결과에 의해 서보, RF이퀄라이저의 특성을 디스크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다.

Claims (19)

  1. 분초프레임을 표시하는 시간정보를 2진화 10진수로 표현 가능하도록, 소정비비트수의 어드레스 표기영역을 가지는 데이터 기록매체에 있어서,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2진화 10진수에 대신해서 2진수로 표현되는 어드레스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매체.
  2. 제 1항에 있어서,
    반경방향으로 워블링된 그루브가 미리 형성되고, 상기 그루브의 워블링정보로서 상기 어드레스가 기록된 광학적으로 기록 가능한 데이터 기록매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표기영역이 24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매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표기영역은, 미리 정해진 값 또는 패턴을 가지는 1 또는 복수의 비트를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매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표기영역의 미리 정해진 값 또는 패턴은, 상기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가 어드레스 이외의 정보인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매체.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값은, 상기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기록되는 복수 비트 중의 최상위 비트의 값인 데이터 기록매체.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값은, 상기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기록되는 복수비트 중의 최하위 비트의 값인 데이터 기록매체.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값 또는 패턴은, 2진화 10진수 표현으로는 생기지 않는 것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매체.
  9. 제 2항에 있어서,
    리드인영역과 프로그램영역을 가지며, 상기 리드인영역에 2진수로 표현한 어드레스와 어드레스 이외의 정보가 워블링정보로서 미리 기록되고, 상기 프로그램영역에 2진수로 표현한 어드레스가 미리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매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인영역에 기록되는 상기 어드레스의 최상위 비트와, 리드인영역에 기록되고, 2진화 10진수로 표현되는 어드레스의 최상위 비트의 규정된 값이 다른값으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매체.
  11. 제 10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프로그램영역에 기록되는 상기 어드레스의 최상위 비트와, 프로그램영역에 기록되고, 2진화 10진수로 표현되는 어드레스의 최상위 비트의 규정된 값이 다른 값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매체.
  12. 소정 비트수의 어드레스 표기영역을 가지며, 상기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분초프레임을 표시하는 시간정보가 2진화 10진수로 기록된 제 1데이터 기록매체와, 상기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2진화 10진수에 대신하여 2진수로 어드레스가 기록되는 동시에, 상기 어드레스 표기영역의 미리 정한 1 또는 복수의 비트가 미리 정한 값 또는 패턴으로 되는 제 2데이터 기록매체가 사용 가능한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이며,
    상기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수단과, 재생된 데이터 중의 상기 미리 정한 1 또는 복수의 비트가 상기 미리 정한 값 또는 패턴일 때에, 사용하는 디스크가 상기 제 2데이터 기록매체라고 판별하는 판별수단을 갖춘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데이터 기록매체는, 반경방향으로 워블링된 그루브가 미리 형성되고, 상기 그루브의 워블링정보로서 상기 어드레스가 기록되고, 상기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분초프레임의 시간정보가 2진화 10진수로 기록된 제 1광디스크이며,
    상기 제 2데이터 기록매체는, 상기 제 1광디스크의 상기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2진화 10진수에 대신하여 2진수로 표현한 어드레스가 기록된 제 2광디스크인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4. 소정 비트수의 어드레스 표기영역을 가지며, 상기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분초프레임을 표시하는 시간정보가 2진화 10진수로 기록된 제 1데이터 기록매체와, 상기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2진화 10진수에 대신하여 2진수로 어드레스가 기록된 제 2데이터 기록매체가 사용 가능한 데이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이며,
    상기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어드레스를 재생하는 수단과, 재생된 어드레스의 변화를 검출하고, 어드레스의 변화의 방법에 의거하여 사용하는 디스크가 상기 제 1 및 제 2데이터 기록매체의 어느 것인지를 판별하는 수단을 지득한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데이터 기록매체는, 반경방향으로 워블링된 그루브가 미리 형성되고, 상기 그루브의 워블링정보로서 상기 어드레스가 기록되고, 상기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분초프레임의 시간정보가 2진화 10진수로 기록된 제 1광디스크이며,
    상기 제 2데이터 기록매체는, 상기 제 1광디스크의 상기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2진화 10진수에 대신하여 2진수로 표현한 어드레스가 기록된 제 2광디스크인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6. 소정 비트수의 어드레스 표기영역을 가지며, 상기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분초프레임을 나타내는 시간정보가 2진화 10진수로 제 1데이터 기록매체와, 상기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2진화 10진수에 대신하여 2진수로 어드레스가 기록되는 동시에, 상기 어드레스 표기영역의 미리 정한 1 또는 복수의 비트가 미리 정한 값 또는 패턴으로 되는 제 2데이터 기록매체를 판별하기 위한 방법이며,
    상기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고, 재생된 데이터 중의 상기 미리 정한 1 또는 복수의 비트가 상기 미리 정한 값 또는 패턴일 때에, 사용하는 디스크가 상기 제 2데이터 기록매체라고 판별하는 판별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데이터 기록매체는, 반경방향으로 워블링된 그루브가 미리 형성되고, 상기 그루브의 워블링정보로서 상기 어드레스가 기록되고, 상기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분초프레임의 시간정보가 2진화 10진수로 기록된 제 1광디스크이며,
    상기 제 2데이터 기록매체는, 상기 제 1광디스크의 상기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2진화 10진수에 대신하여 2진수로 표현한 어드레스가 기록된 제 2광디스크인 판별방법.
  18. 소정 비트수의 어드레스 표기영역을 가지며, 상기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분초프레임을 표시하는 시간정보가 기록된 제 1데이터 기록매체와, 상기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2진화 10진수에 대신하여 2진수로 어드레스가 기록된 제 2데이터 기록매체를 판별하는 방법이며,
    상기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어드레스를 재생하고, 재생된 어드레스의 변화를 검출하고, 어드레스의 변화의 방법에 의거하여 사용하는 디스크가 상기 제 1 및 제 2데이터 기록매체의 어느 것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데이터 기록매체는, 반경방향으로 워블링된 그루브가 미리 형성되고, 상기 그루브의 워블링정보로서 상기 어드레스가 기록되고, 상기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분초프레임의 시간정보가 2진화 10진수로 기록된 제 1광디스크이며,
    상기 제 2데이터 기록매체는, 상기 제 1광디스크의 상기 어드레스 표기영역에 2진화 10진수에 대신하여 2진수로 표현한 어드레스가 기록된 제 2광디스크인 판별방법.
KR1020000056615A 1999-09-29 2000-09-27 데이터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기록매체 판별방법 KR1007506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77428 1999-09-29
JP27742899 1999-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104A true KR20010070104A (ko) 2001-07-25
KR100750624B1 KR100750624B1 (ko) 2007-08-20

Family

ID=17583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6615A KR100750624B1 (ko) 1999-09-29 2000-09-27 데이터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기록매체 판별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519217B1 (ko)
EP (1) EP1089281A3 (ko)
JP (1) JP2001167562A (ko)
KR (1) KR100750624B1 (ko)
CN (1) CN1327438C (ko)
AU (1) AU6137900A (ko)
HK (1) HK1037896A1 (ko)
ID (1) ID27148A (ko)
MY (1) MY126056A (ko)
SG (1) SG102593A1 (ko)
TW (1) TW51231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602A (ko) * 2001-09-04 2003-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기록 매체의 종류 판별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26615A (en) 1999-09-29 2006-10-31 Sony Corp Data record medium, recording apparatus, reproducing apparatus, and reproducing method
US7016279B2 (en) 2000-02-10 2006-03-21 Sony Corporation Method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on/from recording/recorded medium, 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 medium, method for recogizing recording/recorded medium, and method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for apparatus using recording/recorded medium
SG99889A1 (en) * 2000-02-25 2003-11-27 Sony Corp Recording medium, recording apparatus and reading apparatus
JP4374698B2 (ja) * 2000-02-25 2009-12-02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
EP1139209A1 (de) * 2000-03-25 2001-10-04 Deutsche Thomson-Brandt Gmbh Speichermedium mit verschiedenen Speicherbereichen für verschiedene Verarbeitungsformen
JP2002032922A (ja) * 2000-05-12 2002-01-31 Sony Corp 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2025199A (ja) * 2000-07-11 2002-01-25 Sony Corp 記録装置、記録媒体、再生装置、記録媒体の判別方法
KR100869279B1 (ko) * 2000-12-11 2008-11-18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광학형 기록매체와 이 기록매체에 사용되는 기록 및/또는재생 장치
JP2002329367A (ja) * 2001-04-27 2002-11-15 Sony Corp データ記録方法および装置、データ再生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データ記録媒体
JP3711902B2 (ja) * 2001-07-30 2005-11-02 ヤマハ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における記録密度決定方法
JP3960061B2 (ja) * 2002-01-31 2007-08-15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記録媒体、データ記録方法および装置、データ再生方法および装置、データ送信方法およびデータ受信方法
US20030206501A1 (en) 2002-05-02 2003-11-06 Hubert Song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igh speed recording on an optical medium
KR101292728B1 (ko) * 2006-11-17 2013-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기록 매체, 광 기록 매체 성형 장치 및 방법, 기록 재생장치 및 방법
JP4966336B2 (ja) * 2009-05-27 2012-07-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ディスク、並びに情報記録及び再生方法
JP5119285B2 (ja) * 2010-03-05 2013-01-16 日立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記録媒体、再生及び記録方法、再生及び記録装置
JP5119284B2 (ja) * 2010-03-05 2013-01-16 日立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記録媒体、再生及び記録方法、再生及び記録装置
JP5119286B2 (ja) * 2010-03-05 2013-01-16 日立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記録媒体、再生及び記録方法、再生及び記録装置
JP5119283B2 (ja) * 2010-03-05 2013-01-16 日立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記録媒体、再生及び記録方法、再生及び記録装置
JP2012212501A (ja) * 2012-05-29 2012-11-01 Hitachi Ltd 情報記録媒体、アドレス生成及び検出方法、再生及び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9666A (ja) * 1990-09-30 1992-05-13 Ricoh Co Ltd 追記型光デイスクの信号処理用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半導体装置
JP3163686B2 (ja) * 1991-10-08 2001-05-08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
JPH07211048A (ja) * 1994-01-14 1995-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及び光学的記録再生装置
JPH07262754A (ja) * 1994-02-04 1995-10-13 Sanyo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再生装置
US5850382A (en) * 1996-04-11 1998-12-15 Matsushita Electrical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k having a rewritable area and a read-only area
JPH1196689A (ja) * 1997-09-18 1999-04-09 Sanyo Electric Co Ltd 記録媒体およびその再生装置
JPH11120707A (ja) * 1997-10-16 1999-04-30 Sanyo Electric Co Ltd ディスク媒体、ディスク再生装置およびディスク再生方法
JP3887915B2 (ja) * 1997-12-01 2007-02-28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駆動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3419296B2 (ja) * 1998-01-29 2003-06-23 ヤマハ株式会社 光ディスク
EP0939398B1 (en) * 1998-02-26 2008-01-02 Victor Company of Japan, Ltd. Optical disc record carrier with wobbled grooves that permit recording on the grooves and lands,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uch a record carrier, and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for such a record carri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602A (ko) * 2001-09-04 2003-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기록 매체의 종류 판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137900A (en) 2001-04-05
KR100750624B1 (ko) 2007-08-20
EP1089281A3 (en) 2002-08-07
CN1290010A (zh) 2001-04-04
EP1089281A2 (en) 2001-04-04
US6519217B1 (en) 2003-02-11
MY126056A (en) 2006-09-29
TW512315B (en) 2002-12-01
CN1327438C (zh) 2007-07-18
SG102593A1 (en) 2004-03-26
HK1037896A1 (en) 2002-02-22
ID27148A (id) 2001-03-08
JP2001167562A (ja) 200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0624B1 (ko) 데이터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기록매체 판별방법
JPH09198779A (ja) ディスク判別装置
US5757752A (en) Method for recording/reproducing data with a plurality of sector formats on record medium and apparatus thereof
US6693855B2 (en) Optical disc and optical disc apparatus
US7151720B2 (en) Recording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optically readable discs
US7302588B2 (en) Data recording method, data record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KR100801508B1 (ko) 데이터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방법 및 장치
US6804188B1 (en) Data recording medium,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data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4515876A (ja) 光学式記録担体及び記録担体用の記録再生装置
JP4802439B2 (ja) 記録媒体の記録および/または再生方法、並びに記録媒体の記録および/または再生装置
KR20040094293A (ko)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 및 디스크 기록 재생 방법
US6657938B1 (en) Disk having expanded elapsed time information
JP2005536002A (ja) 高密度光ディスク、高密度光ディスクへのアドレスまたは/及びサーボ情報記録方法、高密度光ディスクに記録されたデータの再生方法
EP1609137B1 (en) Multilayer optical disc having pregroove modulation
JP2002025064A (ja) 記録装置、方法及び媒体
ZA200507677B (en) Optical disc having focus offset area
JP4271442B2 (ja) 光学的な型式の記録担体並びに斯かる記録担体に使用する記録及び/又は再生のための装置
AU765318B2 (en) Method for recording/reproducing data with a plurality of sector formats on record medium and apparatus thereof
JP2001167561A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データ再生装置
JP2001344755A (ja) 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方法、並びに光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