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1743A - 모터구동시스템을 구비한 대차 - Google Patents

모터구동시스템을 구비한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1743A
KR20010061743A KR1019990064277A KR19990064277A KR20010061743A KR 20010061743 A KR20010061743 A KR 20010061743A KR 1019990064277 A KR1019990064277 A KR 1019990064277A KR 19990064277 A KR19990064277 A KR 19990064277A KR 20010061743 A KR20010061743 A KR 20010061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power
unit
drive system
tro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4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5841B1 (ko
Inventor
김장호
Original Assignee
에릭 발리베
발레오만도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릭 발리베, 발레오만도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릭 발리베
Priority to KR10-1999-0064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5841B1/ko
Publication of KR20010061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1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8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3/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systems o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61C17/12Control gea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locomotives from remote points in the train or when operating in multiple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3/00Electric locomotives or rail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9/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ransmission system used;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 B61C9/38Transmission systems in or for 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with electric mot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7/00Loading or unloading devices combined with vehicles, e.g. loading platforms, doors convertible into loading and unloading r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70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loading or unloading
    • B62B2203/74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loading or unloading rolling means, e.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구동시스템을 구비한 대차에 관한 것으로, 모든 동작이나 작동이 조작버튼과 센서의 신호에 의해 이루어져 조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대차의 전·후·상·하이동 및 회전운동이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게 되어 작업자의 노동력이 저감될 뿐만 아니라 열처리된 부품에 의한 화상과 과중한 무게에 의한 신체부상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노동 생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부품을 적재한 팔레트를 이동하는 대차(1)가 모터 구동되는 롤러(2a1,2a2)와 센서(2e)를 구비한 워크적재부(2)와, 이 워크적재부(2)를 선택적으로 경사시키도록 실린더(3c,3c')와 스토퍼(3d,3d') 및 센서(3b)를 구비한 베이스부재(3), 이 베이스부재(3)를 지지하면서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된 지지프레임(4), 이 지지프레임(4)의 하부에 구비되어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재(5)로 구성되되,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워크적재부(2)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동력부(6)와 이동부재(5)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부(7) 및 이 제1·2동력부(6,7)를 제어하는 콘트롤부(8)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모터구동시스템을 구비한 대차{A cart having a motor driven system}
본 발명은 모터구동시스템을 구비한 대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와 센서를 매개로 전· 후 및 승·하강 작동되어져 생산성 향상은 물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모터구동시스템을 구비한 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 특성에 따른 여러 공정들을 거쳐 하나의 완성품을 제조하거나 생산하게 되는 제조라인들은 통상 순차적인 단계를 거치면서 부품들을 조립하게 되므로, 조립되어질 부품이나 중간단계인 미완성 부품들을 롤러구동되는 콘베이어를 이용하여 이송하거나 대차와 같은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각각의 공정 단계로 이송시켜 주게 된다.
특히, 열처리를 해야만 되는 부품의 경우 생상성이나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해 팔레트에 여러 부품들을 적층시킨 다음 이를 대차에 얹어 열처리 장치로 이송시키게 되는데, 이를 위한 대차(1)는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워크가 적재된 팔레트(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얹혀져 작업대(A)로의 이송이 용이하도록 자유 회전되는 원형 롤러(2a)로 이루어진 워크적재부(2)와, 이 워크적재부(2)가 지지되도록 하단으로 구비된 베이스부재(3), 이 베이스부재(3)를 지지 하면서 워크적재부(2)로부터떨어지는 오일등을 수거하는 오일수거함(B)이 구비된 지지프레임(4) 및 이 지지프레임(4)의 하부로 장착되어 바닥의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축을 매개로 연결된 바퀴로 이루어진 이동부재(5)로 구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열처리될 부품들을 적재한 팔레트를 크레인이나 호스트등을 이용하여 대차(1)의 워크적재부(2)에 올려 놓은 다음 손잡이 부위를 잡고 밀어 이동부재(5)를 작업라인을 따라 설치된 레일위로 이동시켜 열처리로 부위에 기 설치된 작업대(A)에 근접시킨 다음, 상기 워크적재부(2)에 얹혀진 팔레트를 작업자가 밀어 팔레트를 작업대(A)에 안착시켜 주게 된다.
또는, 열처리가 끝난 부품들이 적재된 팔레트를 대차(1)에 얹어 조립라인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부품이 적재된 무거운 팔레트를 이송하는데 이용되는 대차(1)는 단순히 워크적재부(2)에 팔레트를 얹어 작업자가 자신의 힘만으로 밀어 작업대(A)로 이동시킨 다음, 작업자 자신의 힘만으로 팔레트를 작업대(A)로 밀어주게 되어 작업자에게 과도한 노동강도를 요구할 뿐 만 아니라 열처리된 부품을 이동할 경우 잔존하는 높은 온도로 인해 화상을 입거나 작업자의 조그만 부주의로 인해 부상을 입는 등의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항상 존재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간단한 조작으로 작동되는 모터를 이용하여 대차를 전·후 이동시켜 작업자의 노동력이 저감될 뿐만 아니라 팔레트의 이동이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기계적인 수단으로 이루어져 열처리된 부품에 의한 화상 위험을 완전히 제거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노동 생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부품을 적재한 팔레트를 이송하는 대차가 모터 구동되는 롤러와 센서를 구비한 워크적재부와, 이 워크적재부를 선택적으로 경사시키도록 실린더와 스토퍼 및 센서를 구비한 베이스부재, 이 베이스부재를 지지하면서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된 지지프레임, 이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어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워크적재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동력부와 이동부재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부 및 이 제1·2동력부를 제어하는 콘트롤부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대차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구동시스템을 구비한 대차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워크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4 가는 본 발명에 따른 워크이동부를 좌측으로 경사시킨 상태도
도 4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워크이동부를 좌측으로 경사시킨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대차 2 : 워크적재부
2a : 롤러 2a1 : 제1롤러
2a1',2a2',5a,6b,7b : 동력전달부 2a2 : 제2롤러
2b,2b',6a,7a : 동력전달부재 2c : 보강플레이트
2d : 힌지축 2e,3b : 센서
3 : 베이스부재 3a : 지지편
3c,3c' : 좌·우실린더 3d,3d' : 좌·우스토퍼
3d1,3d1' : 접촉부재 3d2,3d2' : 조절부재
4 : 지지프레임 5 : 이동부재
6 : 제1동력부 6c,7c : 모터
7 : 제2동력부 8 : 제어부
8a : 콘트롤박스 8b : 조정기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근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구동시스템을 구비한 대차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인바, 대차(1)가 워크가 적재된 팔레트(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얹혀져 작업대(A)로의 이송이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구비된 원형 롤러로 이루어진 워크적재부(2)와, 이 워크적재부(2)가 지지되도록 하단으로 구비된 베이스부재(3), 이 베이스부재(3)를 지지 하면서 워크적재부(2)로부터 떨어지는 오일등을 수거하는 오일수거함(B)이 구비된 지지프레임(4), 이 지지프레임(4)의 하부로 장착되어 바닥의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축을 매개로 연결된 바퀴로 이루어진 이동부재(5) 및 상기 워크적재부(2)와 이동부재(5)를 구동시켜는 동력전달수단으로 구성 된다.
여기서, 상기 워크적재부(2)는 한 쪽 끝단이 자유회전 되도록 취부되면서 반대쪽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동력전달부(2a1')를 구비한 제1롤러(2a1)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그 반대쪽으로 동력전달부(2a2')를 구비한 제2롤러(2a2)가 배열되어 동력전달부(2a1',2a2')를 연결한 동력전달부재(2b,2b')를 매개로 제1·2롤러(2a1,2a2)가 회전되도록 구성된 상부부위와, 상기 제1·2롤러(2a1,2a2)를 선택적으로 자동조작하기 위한 센서(3b)와 상기 워크적재부(2)를 지지하는 베이스부재(3)와 힌지축(2d)을 매개로 결합되도록 돌출된 보강플레이트(2c)가 구비된 하부부위로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워크적재부(2)의 하부로 위치되는 베이스부재(3)는 힌지축(2d)을 양 단에서 지지하는 지지편(3a)과, 작업대(A,A')에 위치된 상태를 인식하여 대차(1)의 이동을 멈추기 위해 측면부위의 양쪽으로 구비된 센서(3b) 및 상기 힌지핀(2d)을 매개로 워크적재부(2)를 좌·우 선택적으로 경사시켜주는 경사작동수단으로 구성되되; 이 경사작동수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3)과 워크적재부(2)사이에 개재된 좌·우측실린더(3c,3c')와, 상기 워크적재부(2)의 센서(2e)에 접촉되는 위치에 구비됨과 더불어 경사되는 워크적재부(2)의 경사각도를 한정하면서 그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외주면에 나사형성된 접촉부재(3d1,3d1')와 시계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접촉부재(3d1,3d1')를 승·하강시키는 조절부재(3d2,3d2')로 이루어진 좌·우측스토퍼(3d,3d')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부(2a1',2a2')는 동일한 효과를 얻도록 여러 방식을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스프라켓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결합되는 동력전달부재(2b,2b')는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워크적재부(2)와 베이스부재(3)에 구비된 센서(2e,3b)는 동일한 효과를 얻도록 여러 방식을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리미트스위치로 이루어 진다.
도면의 미설명부호 C는 상기 워크적재부(2)와 베이스부재(3)의 측면을 감싸주기 위한 커버이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4)에 구비되어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수단은 워크적재부(2)를 구동하는 제1동력부(6)와 지지프레임(4)의 하부로 구비된 이동부재(5)를 구동하는 제2동력부(7) 및 이 제1·2동력부(6,7)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부(8)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동력부(6)는 상기 워크적재부(2)에 구비된 제2롤러(2a2)의 동력전달부(2a2')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6a)를 매개로 연결되는 동력전달부(6b)를 축단에 구비한 모터(6c)로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제2동력부(7)는 이동부재(5)의 동력전달부(5a)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7a)를 매개로 연결되는 동력전달부(7b)를 축단에 구비한 모터(7c)로 구성되는 한편, 이 제1·2동력부(6,7)를 제어하는 제어부(8)는 센서(2e,3b)와 모터(6c,7c)의 배선이 집결됨과 더불어 입력신호를 처리하는 콘트롤박스(8a)와 상기 센서(2e,3b)의 신호나 작업자에 의해 모터(6c,7c)의 회전방향이나 온·오프를 조작하는 조정기(8b)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구성하는 콘트롤박스(8a)는 조정기(8b)의 조작신호와 센서(2e,3b)의 작동신호에 의해서 제1·2동력부(6,7)와 경사작동수단의 좌·우측실린더(3c,3c')의 전원이 온·오프되도록 콘트롤박스(8a)에서 일반적인 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5)는 바닥에 구비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바퀴가 양 단에 연결된 축에 제2동력부(7)의 동력전달부재(7a)와 결합되어 회전되는 동력전달부(5a)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부(5a,6a,7a)는 동일한 효과를 얻도록 여러 방식을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스프라켓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결합되는 동력전달부재(6b,7b)는 체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공급되는 전원의 연결은 일반적인 구성 즉, 전원소스와 케이블을 매개로 연결되어짐은 물론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가 열처리될 부품을 적재한 팔레트를 호이스트등을 이용하여 대차(1)의 워크적재부(2)에 올린 후 동력전달수단을 구성하는 콘트롤부(8)의 조정기(8b)의 전진 또는 후진 버튼을 조작하면 제2동력부(7)의 모터(7c)에 구비된 동력전달부(7b)가 회전하여 동력전달부재(7a)를 매개로 동력전달부(5a)가 구비된 이동부재(5)가 전진 또는 후진되어 진다.
이어, 제2동력부(7)에 의해 회전되는 이동부재(5)가 레일을 따라 이동되어 베이스부재(3)의 좌·우측에 구비된 센서(3b)가 좌·우측 작업대(A,A')와 접촉하게 되면, 이 센서(3b)의 접점이 이어져 즉, 리미트스위치의 접점이 연결되어 콘트롤박스(8a)내의 전원 연결접점을 끊어 모터(7c)의 전원을 차단하게 되므로 이동부재(5)의 회전이 멈춰 대차(1)가 정지되어 진다.
이와같이 작업대 부위로 대차(1)가 이동되고 나면 좌측작업대(A)로 팔레트(D)를 이송시키는 도 4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조정기(8b)의 조작버튼을 조작하여 경사작동수단의 우측실린더(3c')를 상승시켜 워크적재부(2)를 경사시키면, 경사된 워크적재부(2)의 하면에 위치한 센서(2e)인 리미트스위치가 좌측스토퍼(3d)의 접촉부재(3d1)에 접촉되면 즉시 우측실린더(3c')의 동작이 멈추면서 콘트롤박스(8a)의 회로에 따라 제1동력부(6)에 전원이 공급되어 진다.
이어, 전원이 공급된 제1동력부(6)의 모터(6c)가 회전하여 동력전달부(6b)와 결합된 동력전달부재(6a)를 매개로 연결된 워크적재부(2)의 제2롤러(2a2)와 제1롤러(2a1)가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되는 제1·2롤러(2a1,2a2)에 의해 팔레트(D)가 화살표방향으로 이동되어 좌측작업대(A)로 이송되어 진다.
도 4나는 우측작업대(A')를 이용하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인바, 작동과정이나 방법등은 좌측부위에서 우측부위로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어, 열처린된 부품을 적재한 팔레트를 대차(1)로 옮겨 작업라인으로 이동시키기위한 과정과 동작을 설명하면, 고온이 잔존하는 팔레트를 호이스트(작업라인의 천장을 따라 구비되어 물체를 들어올려 이동하는 일반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워크적재부(2)에 얹게 되면 작업자가 조정기(8b)를 조작하여 제2동력부(7)의 모터(7c)를 작동시켜 동력전달부재(7a)를 매개로 이동부재(5)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작업대(A,A')로 이동 한다.
이와같이 작업대부위로 대차(1)가 이동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3b)에 의해 이동부재(5)의 회전이 멈춰지고, 이어 작업자가 조정기(8b)의 조작버튼을 조작하여 경사작동수단의 좌측측실린더(3c)나 우측실린더(3c')를 상승시킨 다음 좌측스토퍼(3d)나 우측스토퍼(3d')에 접촉되는 센서(2e)를 매개로 제1동력부(6)에 전원이 공급되어, 이에 따라 워크적재부(2)의 회전되는 제1·2롤러(2a1,2a2)에 의해 팔레트(D)가 좌측작업대(A)나 우측작업대(A')로 이송되어 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모든 동작이나 작동이 조작버튼과 센서의 신호에 의해 이루어져 조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대차의 전·후·상·하이동 및 회전운동이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게 되어 작업자의 노동력이 저감될 뿐만 아니라 열처리된 부품에 의한 화상과 과중한 무게에 의한 신체부상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노동 생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 청구될 청구범위를 통해 상세히 언급되어지나, 청구범위에 언급되지 않을 경우라도 동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변형이나 변경될 수 있는 사항들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 한정되어짐은 물론이다.

Claims (7)

  1. 롤러로 이루어진 워크적재부(2)와, 이 워크적재부(2)가 지지되도록 하단으로 구비된 베이스부재(3), 이 베이스부재(3)를 지지 하면서 워크적재부(2)로부터 떨어지는 오일등을 수거하는 오일수거함(B)이 구비된 지지프레임(4), 이 지지프레임(4)의 하부로 장착되어 바닥의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축을 매개로 연결된 바퀴로 이루어진 이동부재(5)로 이루어진 대차에 있어서,
    상기 워크적재부(2)와 이동부재(5)가 모터구동되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구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구동시스템을 구비한 대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동력전달부재(6a,7a)를 매개로 연결되는 동력전달부(6b,7b)를 축단에 구비한 모터(6c,7c)로 구성된 제1·2동력부(6,7)와 이 제1·2동력부(6,7)를 제어하도록 배선이 집결됨과 더불어 입력신호를 처리하는 콘트롤박스(8a)에 연결된 조정기(8b)로 구성되되; 상기 제1동력부(6)는 상부부위에서 한 쪽 끝단이 자유회전 되도록 취부되면서 반대쪽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동력전달부(2a1')를 구비한 제1롤러(2a1)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그 반대쪽으로 동력전달부(2a2')를 구비한 제2롤러(2a2)가 배열되어 동력전달부(2a1',2a2')를 연결한 동력전달부재(2b,2b')를 매개로 제1·2롤러(2a1,2a2)가 회전되도록 구비됨과 더불어 하부부위에서 상기 베이스부재(3)의 양 단에 형성된 지지편(3a)을 매개로결합된 힌지축(2d)을 감싸는 보강플레이트(2c)가 구비된 워크적재부(2)에 동력전달부재(6a)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제2동력부(7)는 바닥에 구비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바퀴가 양 단에 연결된 축에 동력전달부(5a)가 구비된 이동부재(5)에 동력전달부재(7a)를 매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구동시스템을 구비한 대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5a,6a,7a)가 스프라켓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결합되는 동력전달부재(6b,7b)는 체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구동시스템을 구비한 대차.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적재부(2)와 베이스부재(3)사이에는 힌지핀(2d)을 매개로 워크적재부(2)가 좌·우 선택적으로 경사되도록 동력전달수단의 콘트롤부(8)에 의해 조작되는 좌·우측실린더(3c,3c')와, 경사되는 워크적재부(2)의 경사각도를 한정하면서 그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외주면에 나사형성된 접촉부재(3d1,3d1')와 시계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접촉부재(3d1,3d1')를 승·하강시키는 조절부재(3d2,3d2')로 이루어진 좌·우측스토퍼(3d,3d')로 구성된 경사작동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구동시스템을 구비한 대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적재부(2)의 하부부위에는 좌·우측스토퍼 (3d,3d')의 접촉부재(3d1,3d1')에 접촉시 좌·우측실린더(3c,3c')의 동작을 중단함과 더불어 제1동력부(6)가 작동되어 제1·2롤러(2a1,2a2)가 회전되도록 동력전달수단의 콘트롤부(8)에 연결된 센서(2e)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구동시스템을 구비한 대차.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3)에는 작업대(A,A')에 위치된 상태를 인식하여 이동부재(5)를 회전시키는 제2동력부(7)의 전원을 차단하여 이동을 멈추도록 측면 부위의 양쪽으로 센서(3b)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구동시스템을 구비한 대차.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2e,3b)가 리미트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구동시스템을 구비한 대차.
KR10-1999-0064277A 1999-12-29 1999-12-29 모터구동시스템을 구비한 대차 KR100375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277A KR100375841B1 (ko) 1999-12-29 1999-12-29 모터구동시스템을 구비한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277A KR100375841B1 (ko) 1999-12-29 1999-12-29 모터구동시스템을 구비한 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1743A true KR20010061743A (ko) 2001-07-07
KR100375841B1 KR100375841B1 (ko) 2003-03-15

Family

ID=19631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4277A KR100375841B1 (ko) 1999-12-29 1999-12-29 모터구동시스템을 구비한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5841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4026A (zh) * 2012-06-05 2012-09-19 贵港瑞康饲料有限公司 发货口流水装卸设备
CN105946931A (zh) * 2016-06-12 2016-09-21 华伟纳精密工具(昆山)有限公司 送料小车
CN109532988A (zh) * 2018-12-06 2019-03-29 湖州平坦物流有限公司 一种物流输送货物装卸推车
CN109625047A (zh) * 2018-12-25 2019-04-16 亚杰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多功能物流运输车
KR102146550B1 (ko) * 2019-10-08 2020-08-20 주식회사 나인티시스템 가축 운반용 카트
KR102257314B1 (ko) * 2020-10-13 2021-05-31 에스엠스틸 주식회사 대차, 지능형 분기처리용 대차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263750B1 (ko) * 2020-11-03 2021-06-11 에스엠스틸 주식회사 대차, 지능형 분할처리용 대차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114132372A (zh) * 2022-01-06 2022-03-04 沭阳县晟一建筑垃圾处理有限公司 一种便于快速装卸多孔砖设备
CN114162585A (zh) * 2021-11-19 2022-03-11 上海科钛众联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滑块式料盒回盒装置
KR102451035B1 (ko) * 2022-02-28 2022-10-06 부성정밀(주) 생활폐기물 전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212B1 (ko) * 2001-12-18 2005-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화 작업 보조 대차
KR200447704Y1 (ko) * 2009-04-03 2010-02-12 최종묵 이송이 가능한 반죽기
KR101291369B1 (ko) * 2012-03-29 2013-07-30 한화테크엠주식회사 열처리로의 롤러 회전감지장치
KR102045679B1 (ko) * 2018-06-28 2019-11-15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형상 교정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4026A (zh) * 2012-06-05 2012-09-19 贵港瑞康饲料有限公司 发货口流水装卸设备
CN105946931A (zh) * 2016-06-12 2016-09-21 华伟纳精密工具(昆山)有限公司 送料小车
CN109532988A (zh) * 2018-12-06 2019-03-29 湖州平坦物流有限公司 一种物流输送货物装卸推车
CN109625047B (zh) * 2018-12-25 2021-07-27 亚杰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多功能物流运输车
CN109625047A (zh) * 2018-12-25 2019-04-16 亚杰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多功能物流运输车
KR102146550B1 (ko) * 2019-10-08 2020-08-20 주식회사 나인티시스템 가축 운반용 카트
KR102257314B1 (ko) * 2020-10-13 2021-05-31 에스엠스틸 주식회사 대차, 지능형 분기처리용 대차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263750B1 (ko) * 2020-11-03 2021-06-11 에스엠스틸 주식회사 대차, 지능형 분할처리용 대차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114162585A (zh) * 2021-11-19 2022-03-11 上海科钛众联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滑块式料盒回盒装置
CN114162585B (zh) * 2021-11-19 2024-03-08 上海科钛众联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滑块式料盒回盒装置
CN114132372A (zh) * 2022-01-06 2022-03-04 沭阳县晟一建筑垃圾处理有限公司 一种便于快速装卸多孔砖设备
CN114132372B (zh) * 2022-01-06 2022-07-26 沭阳县晟一建筑垃圾处理有限公司 一种便于快速装卸多孔砖设备
KR102451035B1 (ko) * 2022-02-28 2022-10-06 부성정밀(주) 생활폐기물 전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5841B1 (ko) 200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5841B1 (ko) 모터구동시스템을 구비한 대차
US5366431A (en) Automated press brake die transfer system
US5636728A (en) Expandable conveyor with power module
JP3210118U (ja) 移動昇降装置
KR100931044B1 (ko) 버스의 휠 체어 램프용 이송장치
US4787801A (en) Transport unit for flexible assembly system
EP1546016B1 (en) Lifting device
JP3151698B2 (ja) 搬送車両
JP3388422B2 (ja) 台車段積装置
JP3610412B2 (ja) 自走式台車
JP3108751B2 (ja) 搬送車
CN219636409U (zh) 周转箱提升翻转工装
JP4071592B2 (ja) 荷の移載装置
JP2580328B2 (ja) 昇降作業台付き搬送装置
KR100863437B1 (ko) 버스의 휠체어 램프용 로딩장치
US20050254934A1 (en) Lifting forks
JP2574793Y2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結合装置
KR100458897B1 (ko) 지게차의 구조
KR200297451Y1 (ko) 지게차의 구조
JPH07223536A (ja) 自走台車
JP3662430B2 (ja) ワーク搬送装置
JPH0630590Y2 (ja) 切出し走行台車設備
JPH0735407U (ja) タイヤ等の棚への積み卸し装置
JP2001180805A (ja) 搬出入装置
JP2534314Y2 (ja) 天井走行式ワーク移載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