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3437B1 - 버스의 휠체어 램프용 로딩장치 - Google Patents

버스의 휠체어 램프용 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3437B1
KR100863437B1 KR1020070122816A KR20070122816A KR100863437B1 KR 100863437 B1 KR100863437 B1 KR 100863437B1 KR 1020070122816 A KR1020070122816 A KR 1020070122816A KR 20070122816 A KR20070122816 A KR 20070122816A KR 100863437 B1 KR100863437 B1 KR 100863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clamping
rod
frame
wheelchair r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2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2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34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3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3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1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r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2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lifts connected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5/00Arrangements or devices on vehicles for entrance or exit control of passengers, e.g. turns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스트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승하강유닛을 구성하고, 상기 승하강유닛에는 회전로드를 통하여 클램핑수단을 구성하여 중량물인 버스용 휠체어 램프를 이송대차로부터 클램핑하여 버스의 후문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의 휠체어 램프용 로딩장치를 제공한다.
로딩장치, 클램핑유닛, 휠체어 램프, 버스

Description

버스의 휠체어 램프용 로딩장치{A LOADING DEVICE FOR WHEELCHAIR RAMP OF BUS}
본 발명은 버스의 휠체어 램프용 로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량물인 버스용 휠체어 램프를 이송대차로부터 클램핑하여 버스의 후문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의 휠체어 램프용 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 차량의 후문 바닥면에 장착되는 휠체어 램프는 장애인이 휠체어 앉은 상태로 버스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휠체어 램프(1)는 상기 버스의 후문 바닥면에 장착되는 몸체부(3)와, 상기 몸체부(3)의 내부에 보관된 상태로, 사용시에는 몸체부(3)로부터 빠져나와 차체와 승강장 바닥면을 연결해주는 슬라이드부(5)로 구성된다.
이러한 휠체어 램프(1)는 전체 무게가 약 91Kg 정도로 중량물이며, 그 길이(l)와 폭(d)도 약 1M 전후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한 휠체어 램프를 버스의 후문 바닥면 상에 장착하기 위하여 중량물임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4명의 작업자가 휠체어 램프를 들고 직접 버스의 후문 바닥면으로 이동하여 장착함에 따라 작업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과 안전사고 및 부품파손의 위험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위험요소를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스트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승하강유닛을 구성하고, 상기 승하강유닛에는 회전로드를 통하여 클램핑수단을 구성하여 중량물인 버스용 휠체어 램프를 이송대차로부터 클램핑하여 버스의 후문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의 휠체어 램프용 로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의 휠체어 램프용 로딩장치는 작업장 바닥면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통하여 세워져 설치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회전 프레임; 상기 회전 프레임의 일측에 2개의 가이드 암과 하나의 작동 실린더가 연결되어 승하강 암을 승하강 작동시키는 승하강유닛; 상기 승하강유닛의 승하강 암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로드; 상기 회전로드의 타단에 회전축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버스의 후문 바닥면에 장착할 휠체어 램프를 클램핑하는 클램핑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상기 승하강유닛은 상기 회전 프레임의 일측 하부에 일단이 힌지 체결되는 제1가이드 암; 상기 회전 프레임의 일측 중앙에 일단이 힌지 체결되는 제2가이드 암; 상기 회전 프레임의 일측 상부에 후단이 힌지 체결되는 작동 실린더; 상기 제1가이드 암과 제2가이드 암의 각 타단에 일측과 타측이 힌지 체결되는 승하강 암; 상기 작동 실린더의 작동로드 선단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가이드 암의 타단과 함께 승하강 암의 타측에 힌지 연결되는 연결링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가이드 암과 제2가이드 암 및 작동 실린더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로드는 그 일단이 상기 승하강 암의 하단에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회전축은 그 상단이 상기 회전로드의 타단에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클램핑유닛은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 4개의 스프링봉과 스프링을 구성되는 쿠션수단; 상기 쿠션수단의 각 스프링봉에 연결되는 클램핑 프레임; 상기 클램핑 프레임의 전후방 양측 하부면에 각각 가이드 레일을 통하여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램퍼; 상기 클램핑 프레임의 전후방 하부면 중앙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각 클램퍼의 후단에 작동로드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각 클램퍼를 전후진 구동시키는 클램핑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쿠션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 구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클램핑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4개의 스프 링봉; 상기 각 스프링봉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플랜지와 클램핑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4개의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버스의 휠체어 램프용 로딩장치에 의하면, 포스트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승하강유닛을 구성하고, 상기 승하강유닛에는 회전로드를 통하여 클램핑수단을 구성하여 중량물인 버스용 휠체어 램프를 이송대차로부터 클램핑하여 버스의 후문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공급함으로써, 휠체어 램프의 안정적인 조립작업을 가능하게 하며, 이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의 휠체어 램프용 로딩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의 휠체어 램프용 로딩장치에 적용되는 클램핑유닛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버스의 휠체어 램프용 로딩장치의 구성은, 작업장 바닥면(F)에 베이스 플레이트(11)를 통하여 포스트(13)가 세워져 설치된다.
상기 포스트(13)의 상부에는 회전 프레임(15)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 프레임(15)의 일측에는 2개의 가이드 암(A1,A2)과 하나의 작동 실린더(17)가 연결되어 승하강 암(19)을 승하강 작동시키는 승하강유닛(20)이 구성된 다.
상기 승하강유닛(20)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회전 프레임(15)의 일측 하부에 제1가이드 암(A1)이 그 일단을 통하여 힌지 체결되고, 상기 회전 프레임(15)의 일측 중앙에는 상기 제2가이드 암(A2)이 그 일단을 통하여 힌지 체결된다.
또한, 상기 회전 프레임(15)의 일측 상부에는 작동 실린더(17)가 그 후단을 통하여 힌지 체결되고, 상기 제1가이드 암(A1)과 제2가이드 암(A2)의 각 타단에는 승하강 암(19)이 그 일측과 타측이 힌지 체결되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작동 실린더(17)의 작동로드(21) 선단에는 연결링크(23)가 그 일단을 통하여 힌지 연결되는데, 상기 연결링크(23)의 타단은 상기 제2가이드 암(A2)의 타단과 함께 승하강 암의 타측에 힌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가이드 암과 제2가이드 암 및 작동 실린더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유닛(20)의 승하강 암(19)에는 회전로드(25)가 그 일단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회전로드(25)는 그 일단이 상기 승하강 암(19)의 하단에 베어링(B)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로드(25)의 타단에는 회전축(27)을 통하여 클램핑유닛(3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버스의 후문 바닥면(미도시)에 장착할 휠체어 램프(1)를 클램핑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27)은 그 상단이 상기 회전로드(25)의 타단에 베어 링(B)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램핑유닛(3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3과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27)의 하단에 4개의 스프링봉(41)과 스프링(43)을 구성되는 쿠션수단(40)이 구비된다.
상기 쿠션수단(40)의 각 스프링봉(41)에는 클램핑 프레임(31)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쿠션수단(40)은 상기 회전축(27)의 하단에 구성되는 플랜지(29)와 상기 클램핑 프레임(31) 사이에 4개의 스프링봉(41)이 설치되고, 상기 각 스프링봉(41)에는 스프링(43)이 하나씩 끼워진 상태로, 상기 플랜지(29)와 클램핑 프레임(31) 사이에 쿠션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클램핑 프레임(31)의 전후방 양측 하부면에는 각각 가이드 레일(33)을 통하여 클램퍼(35)가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클램핑 프레임(31)의 전후방 하부면 중앙에는 클램핑 실린더(37)가 각각 장착되며, 상기 클램핑 실린더(37)의 각 작동로드(39)는 상기 각 클램퍼(35)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각 클램퍼(35)를 전후진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버스의 휠체어 램프용 로딩장치의 작동을, 도 5 내지 도 7을 통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 파레트(50)를 통하여 공급된 휠체어 램프(1)를 클램핑유닛(30)의 클램핑 실린더(37)를 전진시켜 각 클램퍼(35)를 통하여 클램핑한다.
이어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포스트(13)에 대하여 회전 프레 임(15)을 회전시켜 상기 휠체어 램프(1)를 버스(60)의 일측으로 이동시킨 후,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 실린더(17)를 전진시켜 휠체어 램프(1)를 하강시키면서, 버스(60)의 후문 바닥면(70)에 대하여 휠체어 램프(1)를 공급하여 작업자에 의해 장착작업을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버스의 휠체어 램프용 로딩장치는 그 클램핑유닛(30)이 중량물인 휠체어 램프(1)를 규제한 상태로, 버스(60)의 후문 바닥면(70)에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최소화하며, 안전사고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버스에 장착되는 휠체어 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의 휠체어 램프용 로딩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의 휠체어 램프용 로딩장치에 적용되는 클램핑유닛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클램핑유닛의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의 휠체어 램프용 로딩장치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Claims (7)

  1. 작업장 바닥면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통하여 세워져 설치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회전 프레임;
    상기 회전 프레임의 일측에 2개의 가이드 암과 하나의 작동 실린더가 연결되어 승하강 암을 승하강 작동시키는 승하강유닛;
    상기 승하강유닛의 승하강 암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로드;
    상기 회전로드의 타단에 회전축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버스의 후문 바닥면에 장착할 휠체어 램프를 클램핑하는 클램핑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휠체어 램프용 로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유닛은
    상기 회전 프레임의 일측 하부에 일단이 힌지 체결되는 제1가이드 암;
    상기 회전 프레임의 일측 중앙에 일단이 힌지 체결되는 제2가이드 암;
    상기 회전 프레임의 일측 상부에 후단이 힌지 체결되는 작동 실린더;
    상기 제1가이드 암과 제2가이드 암의 각 타단에 일측과 타측이 힌지 체결되는 승하강 암;
    상기 작동 실린더의 작동로드 선단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가이드 암의 타단과 함께 승하강 암의 타측에 힌지 연결되는 연결링크로 이루어지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휠체어 램프용 로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 암과 제2가이드 암 및 작동 실린더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휠체어 램프용 로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로드는
    그 일단이 상기 승하강 암의 하단에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휠체어 램프용 로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그 상단이 상기 회전로드의 타단에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휠체어 램프용 로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유닛은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 4개의 스프링봉과 스프링을 구성되는 쿠션수단;
    상기 쿠션수단의 각 스프링봉에 연결되는 클램핑 프레임;
    상기 클램핑 프레임의 전후방 양측 하부면에 각각 가이드 레일을 통하여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램퍼;
    상기 클램핑 프레임의 전후방 하부면 중앙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각 클램퍼의 후단에 작동로드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각 클램퍼를 전후진 구동시키는 클램핑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휠체어 램프용 로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 구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클램핑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4개의 스프링봉;
    상기 각 스프링봉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플랜지와 클램핑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4개의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휠체어 램프용 로딩장치.
KR1020070122816A 2007-11-29 2007-11-29 버스의 휠체어 램프용 로딩장치 KR100863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816A KR100863437B1 (ko) 2007-11-29 2007-11-29 버스의 휠체어 램프용 로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816A KR100863437B1 (ko) 2007-11-29 2007-11-29 버스의 휠체어 램프용 로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3437B1 true KR100863437B1 (ko) 2008-10-16

Family

ID=40177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2816A KR100863437B1 (ko) 2007-11-29 2007-11-29 버스의 휠체어 램프용 로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34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2293A (zh) * 2017-03-06 2019-10-25 宝贝旗股份有限公司 可安装在车上的儿童保护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6909A (ja) 1999-05-14 2000-11-21 Honda Motor Co Ltd 車両用車椅子昇降キャリヤ装置
JP2003112628A (ja) 2001-10-05 2003-04-15 Kayaba Ind Co Ltd 鉄道車両用の車椅子リフタ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6909A (ja) 1999-05-14 2000-11-21 Honda Motor Co Ltd 車両用車椅子昇降キャリヤ装置
JP2003112628A (ja) 2001-10-05 2003-04-15 Kayaba Ind Co Ltd 鉄道車両用の車椅子リフ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2293A (zh) * 2017-03-06 2019-10-25 宝贝旗股份有限公司 可安装在车上的儿童保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75183B2 (ja) 組付用台車
CN212799488U (zh) 一种便携式油桶搬运叉车
KR100931044B1 (ko) 버스의 휠 체어 램프용 이송장치
KR20120121960A (ko) 철도차량의 차체 용접용 회전장치
KR100863437B1 (ko) 버스의 휠체어 램프용 로딩장치
CN106698209B (zh) 车载吊运装置
CN108483287A (zh) 一种家电的搬运装置
CN111844045A (zh) 一种双机协同重载码垛机器人
GB2226006A (en) Mobile platform lift
CN109606439A (zh) 一种动力电池搬运车
JP2012210989A (ja) 把持装置
KR101266028B1 (ko) 횡방향 구동 타입의 세미시져형 차량용 리프트
JP6031307B2 (ja) 高所作業車
JP3282763B2 (ja) 物品ハンドリング機械
JP3236509U (ja) タイヤ脱着補助装置
GB2280664A (en) Portable vehicle lifting device
CN217702037U (zh) 一种支架焊接工装
CN211254358U (zh) 搬运装置
CN210656005U (zh) 一种移动式敞车下侧门拆装机
JP4022503B2 (ja) フォークリフト装置
CN216477196U (zh) 小修作业设备及小修作业系统
JP2023054518A (ja) スペアタイヤ搭載補助装置
JPH07197640A (ja) 天井材張り付け作業車
KR100558919B1 (ko) 프론트 엔드 모듈 공급 리프터
JPS5889443A (ja) 自動車の車体移動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