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2936A - 웨브 이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웨브 이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2936A
KR20010052936A KR1020007014305A KR20007014305A KR20010052936A KR 20010052936 A KR20010052936 A KR 20010052936A KR 1020007014305 A KR1020007014305 A KR 1020007014305A KR 20007014305 A KR20007014305 A KR 20007014305A KR 20010052936 A KR20010052936 A KR 20010052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hump
air
blowing
table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4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9479B1 (ko
Inventor
쿨만하인즈
피들러엑케하드
Original Assignee
메리 이. 보울러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리 이. 보울러,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메리 이. 보울러
Publication of KR20010052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2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4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fluid action, e.g. to retard the running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10Means using fluid made only for exhausting gaseous medium
    • B65H2406/11Means using fluid made only for exhausting gaseous medium producing fluidised bed
    • B65H2406/112Means using fluid made only for exhausting gaseous medium producing fluidised bed for handling material along preferably rectilinear path, e.g. nozzle bed for web

Landscapes

  • Advancing Webs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브의 이송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경사진 송풍 수단(4a 내지 4d)과, 적어도 하나의 둥근 험프(8)와, 상기 송풍 수단과 돌출 험프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흡입 수단(6a 내지 6c)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요소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둥근 험프는 웨브의 파단 또는 파손의 어떠한 위험도 없이 공기의 흡입을 허용한다. 공기의 제한된 양은 높은 이송력과 이송 시스템의 증가된 효율을 보장한다.

Description

웨브 이송 시스템 {WEB TRANSPORT SYSTEM}
예를 들어 텐더 오븐(tender oven) 또는 코팅 시스템의 출구에서, 또는 오븐의 내부에서도, 또는 권취 스테이션으로 웨브를 보내기 위하여, 웨브를 이송하기 위한 시스템이 요구된다. 종래의 웨브 이송 시스템은 공기의 유동이 테이블의 상류 엣지에서 테이블의 표면과 평행하게 주입되는 콘다 시스템(Coanda system)을 포함한다. 웨브는 이러한 공기의 유동에 의해 테이블 상의 하류에서 흡입 및 이송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 첫째, 이는 비교적 짧은 거리에 대해서 적절히 작동하기는 한다. 사실상, 일정 거리 이후에, 웨브는 상승하여 요동하기 쉬워, 테이블을 따르지 않는다. 둘째, 이들 시스템은 웨브의 전체 폭에 대해서만 작동하고, 웨브의 일부 또는 단편에 대해서는 작동하지 않는다. 셋째, 이는 높은 공기 체적을 필요로 하고 작은 힘(약 1 N/m2) 및 비교적 낮은 압력을 얻는 것을 허용할 뿐이다.
이러한 종래의 시스템은 롤의 원주를 따라 웨브를 이송하기 위한 콘다 시스템을 또한 포함한다. 이들 시스템은 테이블의 평탄한 표면이 롤의 원통형 표면에 의해 대체된 전술된 콘다 시스템과 같이 작동한다. 이들 시스템은 동일한 단점을 갖는다.
공기가 테이블 상에 분포된 구멍으로부터 송풍되는 콘다 시스템이 존재하는 데, 이러한 시스템은 예를 들어 독일 크레펠트(Krefeld)의 하인 앤드 레만(Hein & Lehmann)에 의해 판매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공기의 속도는 웨브 속도의 약 3배인 한편, 압력은 약 2000 Pa이다. 구멍의 크기대 활성 표면적의 크기의 비는 9 % 이상이다. 유동은 테이블에 평행하다. 이 시스템은 공기의 높은 체적을 포함할 때 매우 효율적이지 못하고 공기가 날카로운 엣지를 타격하기 때문에 상당한 소음을 일으킨다.
더욱이, 이들 종래의 이송 시스템은, 예를 들어 1 미크론 이하의 웨브와 같은, 극히 얇은 웨브를 이송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이러한 두께에서, 웨브는 종래 기술이 사용될 수 없도록 단지 작은 기계적 강도를 갖거나 또는 기계적 강도를 갖지 못하여, 웨브의 요동은 웨브에 높은 기계적 응력을 일으켜 웨브를 파손시킨다.
그러므로, 웨브 상에 분포된 높은 힘을 제공하고, 긴 거리에 걸쳐 웨브를 이송시키고, 낮은 체적을 사용하고, 최소의 소음을 일으킬 수 있는 웨브 이송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또한, 웨브의 다양한 폭과 1 미크론 이하의 웨브로부터 36 ㎛의 웨브까지 범위의 상이한 두께의 웨브를 수용할 수 있는 웨브 이송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이러한 이송 시스템은 완전한 웨브뿐만 아니라 조각편도 이송할 수 있어야 하고, 이송 속도가 500 m/min 또는 그 이상만큼 높을 수 있고, 이러한 시스템은 어떤 주어진 방향으로 안정된 이송을 보장하고, 자체 정렬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시스템은 평탄한 표면 (테이블) 상에서 작동할 것이고, 원형 단면 또는 그와 다른, 예를 들어 다각형, 단면을 갖는 관을 따라서 이송하도록 작동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는 이송 방향을 따라서 기본적으로 연속하는 어떤 표면 상에 웨브를 이송하도록 작동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PET, PEN, 이들의 공중합체 및 다른 폴리머의 웨브와 같은 웨브의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는 플라스틱 웨브, 적층 또는 공압출된 플라스틱 웨브, 종이 웨브, 알루미늄 웨브와 같은 금속 웨브, 직포 또는 부직포 웨브의 모든 종류에 적용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시스템의 일부 단면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이송 시스템의 하나의 송풍 개구의 단면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일부에 대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4는 이송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이송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6은 오븐의 출구에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전술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데, 이는 전술된 장점 및 특징 모두를 갖는 이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경사진 송풍 수단과, 적어도 하나의 돌출 험프와, 상기 송풍 수단과 돌출 험프 사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흡입 수단을 포함하는, 웨브를 이송하는 테이블 요소가 마련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돌출 험프는 웨브가 돌출 험프의 상류에서 테이블 요소로부터 들어올려지는 것을 보장한다. 바람직하게도, 돌출 험프의 형상은, 험프의 상류에서, 송풍 수단에 의해 송풍된 공기의 부분적인 차단을 보장한다.
또한, 돌출 험프의 형상은, 험프의 하류에서, 험프 위로 유동하는 공기의 가속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송풍 수단은 오프셋 구멍들의 라인들을 포함한다. 흡입 수단은 오프셋 구멍들의 라인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송풍 수단의 송풍 방향과 테이블 요소에 직각인 방향 사이의 각이 10도 내지 90도 사이에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약 30도이다.
송풍 수단의 송풍 방향의 상기 테이블 상의 돌출부가 이송 방향과 각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송풍 수단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속도는 웨브의 고려된 속도의 적어도 8배이고, 바람직하게는 웨브 속도의 10배 내지 15배이다.
바람직하게도, 송풍 수단의 면적대 송풍 수단을 포함하는 테이블 섹션의 면적비는 1 %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0.5 %보다 작다.
유리하게도, 흡입 수단은 험프가 웨브를 상승되게 하는 섹션에서 험프의 상류에 위치된다.
돌출 험프는 둥근 험프인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둥근 험프는 이송될 웨브와 테이블 사이의 공기층의 두께의 적어도 8배인 직경을 갖는 원형 단면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테이블 요소를 포함하는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 방향에 횡단하는 방향으로 떨어져 이격된 적어도 2개 세트의 테이블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이송 테이블 요소의 세트들은 하나가 다른 나머지로부터 멀리 또는 그 쪽으로 이동되도록 양호하게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 시스템의 각 측부 상의 테이블 요소는 송풍 수단을 갖는 데, 이 송풍 수단의 송풍 방향은 이송 시스템의 측부 쪽으로 향해진다.
또한, 흡입 수단으로부터 송풍 수단으로 공기를 펌핑하는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흡입 수단으로부터의 공기 유동대 송풍 수단으로의 공기 유동의 비는 0.5와 1 사이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0.7이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둥근 험프를 갖는 테이블의 표면 상에 웨브를 이송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이 공정은
(a) 테이블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험프의 상류에 공기를 송풍하는 단계와,
(b) 둥근 험프의 바로 상류에 공기를 흡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도, 공기를 송풍하는 단계는 테이블의 표면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웨브가 테이블의 표면을 따라서 공기의 유동에 의해 이송되는 웨브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 웨브 이송 시스템은 험프를 포함하고, 험프는 험프 위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부분적인 차단을 보장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돌출된 험프의 형상은 험프의 하류에서 험프 위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가속을 보장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웨브가 테이블 요소의 표면을 따라서 공기의 유동에 의해 이송되는 웨브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 웨브 이송 시스템은 웨브의 고려된 속도의 적어도 8배, 바람직하게는 웨브 속도의 10배 내지 15배의 속도로, 공기가 테이블의 표면 위에 분포된 송풍 수단에 의해 송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리하게도, 송풍 수단의 송풍 방향과 테이블 요소에 직각인 방향 사이의 각은 10도 내지 90도 사이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30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송풍 수단의 송풍 방향의 테이블 상의 돌출부는 이송 방향과 각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송풍 수단의 면적대 송풍 수단을 포함하는 테이블 섹션의 면적비가 1 %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0.5 %보다 작다.
이제,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이송 시스템이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제한하는 것은 아닌, 예들에 의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평탄한 테이블에 관하여 양호한 실시예로 설명된다. 이러한 평탄한 테이블에만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어떤 가능한 단면을 갖는 통형 또는 각주형 표면 상에 동일하게 잘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표면은 실제로 둥근형 또는 각주형 테이블이다.
도1은 이송 방향에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이송 시스템 일부의 수직 단면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1의 이송 시스템은 테이블(1)을 포함하고, 그 표면(2) 상에 웨브(3)가 이송될 수 있다. 테이블은 개구 또는 슬롯(4a 내지 4d)과 같은 일련의 송풍 수단을 포함하는 데, 송풍 수단을 통하여 공기 또는 다른 기체가 송풍 수단 아래에 위치된 공기 압력 캐비닛 또는 상자(5)로부터 송풍되고, 공기를 송풍하기 위하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팬 또는 다른 타입의 공기 변위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 압력 상자는 대기압 이상 0.01 바아와 0.5 바아 (1,000 Pa과 50,000 Pa) 사이로 이루어져 있다. 송풍 수단(4a 내지 4d)은 테이블의 표면에 직각인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어서, 공기가 웨브의 이송 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송풍된다. 송풍 수단은 테이블을 따라서 웨브의 순조롭고 효율적인 이송을 보장하고, 웨브 내에 장력을 제공하며, 일련의 송풍 수단으로 인한 웨브 상의 다중 임펄스는 송풍된 공기의 양이 제한되는 것을 허용한다. 송풍 수단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이 아래에 주어진다. 송풍 수단을 포함하는 테이블 섹션의 길이는 도1에서 Li로 표시된다. 또한, 이송 시스템의 이 섹션을 이 설명에서 임펄스 섹션으로 부른다.
송풍 수단으로부터의 공기 유동은 테이블을 따라서 웨브를 들어올려 이동시킨다. 웨브 아래에 공기의 적층을 방지하고 필름이 테이블에서 들어 올려지지 않는 것을 보장하도록, 본 발명은 송풍 수단의 하류에 흡입 수단을 구비하고, 이 설명에서 하류는 흡입 수단이 웨브 이송 방향에서 또는 공기 유동 방향에서 송풍 수단 다음에 위치되는 것을 의미하고, 도1의 실시예에서, 흡입 수단은 개구 또는 슬롯(6a 내지 6c)을 포함하고, 이들 흡입 수단은 흡입 수단 아래에 위치된 진공 캐비닛 또는 상자(7)에 연결되고, 진공 상자(7)의 진공은 바람직하게는 10 Pa 내지 500 Pa의 범위 내에 있다. 진공 상자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하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팬, 펌프 등과 같은 어떤 종류의 공기 추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송풍 수단으로부터 송풍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흡입 수단으로 흡입되고, 이는 웨브 아래의 공기 필름의 두께를 이송 테이블을 따라서 사실상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보장한다. 흡입 수단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 주어진다. 흡입 수단을 포함하는 테이블 섹션의 길이는 도1에서 Lv로 표시된다. 이 섹션을 흡입 섹션으로 부른다.
본 발명에 따라, 웨브가 송풍 수단의 흡입 작동 하에서 테이블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흡입 수단의 하류에 테이블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한 긴 험프(hump; 8)가 구비되어 있고, 이 험프는 웨브 이송 방향을 가로질러 연장하고, 이들 험프는 흡입 공간이, 험프의 상류에서, 테이블과 웨브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보장하여, 테이블 상으로 웨브가 흡입되는 어떠한 위험도 없이 흡입 수단은 과잉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또한, 험프는 웨브의 적절한 장력과 웨브 장력의 감쇠를 보장하여, 이송 시스템은 웨브 장력의 진동과 웨브의 입력과 출력 비의 작은 차이를 흡수할 수 있다. 험프의 형상 및 치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설명된다. 험프를 포함하는 테이블 섹션의 길이는 도1에서 Lh로 표시되고, 테이블 위에 돌출한 험프의 높이는 도1에서 h로 표시된다.
도1의 이송 시스템의 전체 길이(Lh + Li + Lv)는 LT로 표시된다. 바람직하게도,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시스템에서, 다음 조건들의 하나 또는 몇몇이 만족된다.
0.70LT≤ Li ≤ 0.85LT(1)
0.05LT≤ Lv ≤ 0.10LT(2)
0.10LT≤ Lh ≤ 0.20LT(3)
h ≤ Lh (4)
도1과 같은 타입의 직사각형 테이블의 경우에 각 섹션의 길이에 관한 이들 조건은 테이블의 각 섹션의 표면에 관한 조건들에 실제로 상응한다. 제1 조건은 이송 시스템의 임펄스 섹션이 적절한 웨브의 이송 및 정확한 웨브의 장력을 확실히 하기에 충분히 긴 것을 보장한다. 제2 조건은 흡입 수단이 공기의 흡입을 허용하기에 충분히 긴 것을 간단히 보장한다. 험프 섹션의 길이는 콘다 시스템의 순조로운 이송 및 운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결정된다. 그 길이는 가능한 작고, 바람직하게는 웨브를 들어올리기에 충분히 높아야 하고 흡입 수단의 흡입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상승력과 충분한 흡입 공간을 제공하여야 함을 알아야 한다.
도1의 실시예에서, 송풍 수단을 포함하는 테이블 섹션의 전체 길이는 0.515 m인데, 흡입 수단을 포함하는 테이블 섹션의 길이는 40 ㎜이고, 험프를 포함하는 테이블 섹션의 전체 길이는 80 m여서, 송풍 수단을 포함하는 테이블의 면적과 험프를 포함한 테이블의 전체 면적 사이의 비는 약 81 %이고, 바람직하게는 70 % 내지 85 %의 범위 내에 있다. 흡입 수단을 포함하는 테이블의 면적과 테이블의 전체 면적 사이의 비는 약 6 %이고, 바람직하게는 5 % 내지 10 %의 범위 내에 있다. 흡입 수단을 포함하는 테이블의 면적과 테이블의 전체 면적 사이의 비는 약 12 %이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의 범위 내에 있다.
이제 송풍 수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1의 실시예에서, 송풍 수단은 이송 시스템의 임펄스 섹션의 전체 표면 위에 분포된 일련의 구멍, 노즐, 개구, 또는 슬롯을 포함한다. 이는 바람직하게도 이송 시스템의 임펄스 섹션의 표면 위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어서, 웨브의 폭을 가로질러 웨브의 규칙적인 장력 및 당김을 보장한다. 도3 및 아래의 설명을 참조하라.
이러한 송풍 수단의 분포는 공기의 단일 유동이 테이블에 평행하게 송풍되는 기존의 콘다 시스템보다 높은 이송력을 보장하는 데, 이러한 시스템에서, 공기의 속도는 웨브 속도의 2배이고, 약 1000 Pa의 압력을 갖는다. 이는 큰 소음을 갖고서 많은 양의 공기가 송풍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넓은 개구를 갖는 기존의 송풍 시스템보다 더 효율적이다.
송풍 수단의 방향과 테이블에 직각인 방향 사이의 각에 대한 바람직한 범위는 10 내지 90도인데, 도1의 실시예에서, 송풍 수단은 그의 종방향이 테이블 표면의 방향과 사실상 30도의 각을 형성하는 구멍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테이블과 개구 사이의 각은 20 내지 40도의 범위에 있다. 도2는 주변의 테이블 및 웨브와 함께 하나의 구멍(4c)에 대한 확대도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4c)의 하류에 제2 유동이 형성되고, 이 유동은 저압을 갖는 체적(9)을 국부적으로 생성하고, 공기는 참조 부호 10으로 표시된 저압을 갖는 체적의 하류로 가속된다. 임펄스는 웨브 상의 공기 유동의 변동에 의해 웨브에 전달되는 한편, 웨브는 제2 유동에 의한 국부적인 함몰부에 의해 테이블로 이송된다.
송풍 수단의 면적과 이송 시스템의 임펄스 섹션의 면적 사이의 비는 0.5 % 또는 1 %보다 바람직하게는 작다. 원형 개구가 1 ㎜의 직경을 갖는 경우 0.13 %의 값은 적절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너무 높은 값은 테이블의 효율을 낮게 한다. 너무 낮은 값은 송풍된 공기의 속도를 높게 하는 데, 이는 웨브에 불리하게 할 수 있다. 공기의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고려된 웨브 속도의 적어도 8배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웨브 속도의 10 내지 15배이다. 압력은 약 0.5 바아(50,000 Pa)이지만, 압력은 이송 시스템의 기계적 저항과 음향 조건에 따라서 자유로이 선택될 수 있다.
압력뿐만 아니라 개구의 크기 및 분포는 필요에 따라 적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얇은 웨브에 대하여, 개구의 수는 개구들 사이의 공간을 감소시키도록 증가될 수 있는 한편, 개구의 크기는 감소된다.
이는 본 발명의 시스템이 다수의 구멍을 갖는 종래 시스템보다 더 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낮고, 공기의 양은 더 제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시스템에서 웨브 상의 힘은 보다 높고 더 규칙적으로 분포된다.
도1의 실시예에서의 흡입 수단은 도3에 도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련의 구멍을 포함하는 데, 이들 구멍은 5 ㎜의 직경을 갖는다. 송풍 수단으로의 그리고 흡입 수단으로부터의 유동은 흡입된 공기의 양대 송풍된 공기의 양의 비가 0.5와 1 사이에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약 0.7이 되도록, 선택된다. 이들 양은 우수한 이송력을 보장하는 한편, 웨브와 이송 테이블의 어떠한 접촉도 피한다.
이제, 이송 시스템용 험프가 설명된다. 도1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험프의 단면은 원형이고, 150 ㎜의 직경을 갖는다. 이는 테이블 위로 돌출하고, 테이블 위로 그의 높이는 약 20 ㎜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험프는 험프의 상류에서 공기 차단 섹션을 생성하고, 이 섹션에서 웨브는 테이블의 표면으로부터 들어올려져, 축적된 공기는 웨브를 흡입하지 않고서 흡입될 수 있다. 실제로, 험프 상에 막 다다른 공기 유동은 부분적으로 차단되고 험프의 상류에 축적되어, 그에 의해 공기 축적실(air accumulation room)을 형성하고, 그로부터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험프의 하류에서, 공기는 다시 가속되어, 가속된 공기 유동은 웨브를 당긴다.
이러한 공기 축적 섹션을 형성하는 데 더하여, 험프는 웨브 내에 장력을 생성하고, 실제로 험프의 하류에서 공기의 가속은 웨브를 당기고 장력을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험프는 또 이송 시스템을 위한 감쇠 수단으로서의 역할도 하고, 험프 전방의 공기 축적과 험프 위의 웨브의 연장된 경로는 본 발명의 이송 시스템에 이어서 절단 유닛 또는 이송 유닛의 갑작스러운 이동에 의해 생성된 웨브 장력의 급격한 증가와 같은 웨브의 장력을 험프가 흡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험프의 단면은 도1의 예에 제한되지 않고, 원형의 경우 험프의 직경은 변할 수 있으며 그 크기에 한정되지 않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하며, 험프 단면의 바람직한 직경의 범위는 0.05 m 내지 0.5 m이다. 험프 섹션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공기의 흡입이 없고 웨브가 없이 생성되는 고려된 공기층의 두께의 적어도 8배이다. 또한, 험프의 단면은 예를 들어 타원형 아크, 포물선형 아크 등과 같이 원이 아닌 형상일 수 있다.
이상적으로, 험프는 비행기 날개의 상부와 유사한 공기 역학적 프로파일을 가져서, 험프의 웨브 상류를 들어올리고, 공기의 축적 체적을 생성하고, 웨브 하류에서 공기 유동을 가속시킨다. 실제로, 험프의 형상은 공기 상류의 차단을 성취하도록 선택되어, 웨브의 단지 일부만이 이송되더라도 웨브의 이송을 중단시키지 않는다. 험프의 상류에서, 이송 시스템과 험프의 접선 사이의 각은 바람직하게는 30도와 150도 사이에 있어서, 공기의 차단을 보장한다.
험프의 형상은 어떤 문제없이 웨브가 웨브 위를 지나가는 것을 허용하도록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험프의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둥근형이어서 테이블과 웨브 사이의 공기층에서 어떠한 공기의 난류도 피한다. 험프는 테이블 위로 돌출하여, 험프의 높이, 즉 테이블의 평면과 험프 상부 사이의 거리는 험프 단면이 원형인 경우 반경의 약 반이고, 도1의 실시예에서 험프의 높이는 약 20 ㎜이다. 험프의 높이는 험프가 웨브 상에 어떤 효과를 미치고 흡입 수단 내에 공기가 흡입하도록 허용하는 것을 보장하고, 그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웨브가 험프 위를 지나갈 수 있을 것을 보장하기에 충분히 낮아야 하고, 너무 높은 값은 웨브가 험프의 전방에서 차단되게 할 수 있다. 험프는 테이블의 흡입 수단과 웨브 사이에 항상 충분한 거리가 있도록 분명히 하여, 웨브를 흡입하는 어떠한 위험도 없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이 거리는 위에서 주어진 흡입 함몰부의 값에 대해, 도1의 실시예에서, 험프 높이의 대략 2/3이다.
도3은 도1의 이송 시스템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1을 참고로 이미 설명된 요소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 수단은 테이블 표면의 일련의 구멍들을 포함하며, 특히 송풍 수단은 17개의 구멍들 또는 노즐들이 12 라인으로 구성되고, 각 라인은 인접한 라인에 대해 오프셋되어 있으며, 각 구멍의 직경은 약 1 ㎜이다. 흡입 수단은 3개 라인의 구멍들을 포함하고, 각 라인은 인접한 라인에 대해 오프셋되어 있으며, 각 구멍의 직경은 약 5 ㎜이다. 도3의 테이블은 도3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웨브의 이송을 위해 사용될 것으로 예정되고, 상기 방향은 테이블의 종방향이다.
도3의 실시예에서, 흡입 수단에 의해 덮인 면적은 험프 면적의 약 50 %를 나타낸다. 흡입 수단의 위치와 그 크기는 험프의 상류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선택되는 데, 험프는 웨브가 테이블로부터 상승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도3의 테이블은 다른 테이블과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는 테이블을 지지부 상에 나사 결합 또는 조립하기 위한 많은 구멍을 포함한다. 더욱이, 험프는 또한 테이블을 따라 연장하여, 인접하는 테이블의 일부를 덮고, 이는 도3에서 좌측에 있는 테이블의 섹션이 어떤 송풍 수단 또는 개구를 포함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고, 이 섹션은 인접한 테이블의 험프에 의해 사실상 덮인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4의 이송 시스템은 도1 및 도3과 유사한 2개 세트의 테이블을 포함하고, 테이블의 각 세트는 화살표(17)의 방향으로 이송되는 웨브(15)의 하나의 종방향 엣지를 이송하도록 예정된다. 웨브의 좌측 엣지(19)에 대한 테이블의 세트들은, 2개씩 5열의 테이블인, 도3의 것들과 유사한 10개의 테이블로 이루어진다. 유사하게, 웨브의 우측 엣지(21)에 대한 테이블의 세트들은 2개씩 5열의 테이블로 이루어진다. 테이블의 2열은 떨어져 이격되어, 웨브(15)의 엣지만이 테이블에 의해 유지 또는 지지되고, 웨브의 중간 부분은 지지되지 않는다. 즉, 이송 시스템의 단부에서, 각 세트의 테이블의 마지막 열의 하류에는, 웨브의 전체 폭을 따라서, 테이블의 하나의 세트로부터 다른 하나로 연장하는 둥근 험프(23)가 구비된다. 웨브는, 예를 들어 권취 장치 또는 어떤 다른 장치에서, 추가의 공정을 위하여 이 험프로부터 취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도4의 이송 시스템의 테이블의 송풍 수단은 이송 방향(17)으로부터 약간 발산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하여, 웨브를 횡방향으로 펴지거나 또는 평평하게 한다. 도4는 각 세트에서 테이블 하나의 송풍 방향의 수평면 내의 돌출부를 도시한다. 도4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송풍 방향은 이송 방향(17)과 각을 형성하여, 이송 시스템은 횡방향으로 10 N/m의 당김력을 웨브로 전달한다. 바람직하게도, (도4의 배치 내에서의 수평면인) 테이블 평면 내의 이송 방향과 송풍 방향 사이의 각은 5도와 30도 사이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4의 이송 시스템의 테이블 세트는 이송 방향을 가로질러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이는 이송 시스템을 상이한 크기의 웨브에 단순히 적합하도록 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특성을 얻는 하나의 방법은 테이블이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는 가요성 호스를 갖는 진공 수단 및 공기 변위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도4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테이블의 우측 엣지 세트에 대한 공기 압력 도관(25)에는 테이블의 각 열에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출력부가 구비되어 있다. 다른 나머지 엣지 상의 테이블에 대한 공기 압력 도관과 양 엣지의 테이블에 대한 진공 도관은 도4에 도시되어 있지 않고, 이들은 공기 압력 도관(25)의 것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이송 시스템의 평면도로서, 도5의 이송 시스템은 웨브를 접거나 후퇴시키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데, 웨브를, 예를 들어 나이프 또는 초퍼와 같은 장치로 가져갈 수 있다. 도5의 이송 시스템은 도1 및 도2를 참고로 설명되는 것과 유사한 24개의 테이블을 포함한다. 테이블은 5개의 열로 배치되고, 이송 방향(31)으로 2개의 제1 열(27, 29)은 각각 6개의 테이블을 포함하고, 제3열(33), 제4열(35) 및 제5열(37)은 각각 5개, 4개 및 3개의 테이블을 포함한다. 각 테이블 상에서, 화살표는 테이블의 평면 내에서 송풍 방향을 나타내고, 도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테이블의 2개의 제1 열에서, 2개의 중심 테이블의 송풍 방향은 이송 방향에 평행하며, 도4의 이송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엣지 상에서의 2개 테이블의 송풍 방향은 약간 발산하여 웨브는 횡방향으로 펴지게 된다. 제3 열에서, 중심 테이블의 송풍 방향은 이송 방향에 평행하며, 엣지 상에서의 2개 테이블의 송풍 방향은 약간 수렴하여, 웨브는, 더 이상 분명히 펴지지 않더라도, 이송 시스템 상에서 완전히 유지된다. 제4 열에서, 각 측부 상의 2개 테이블의 송풍 방향은 다시 수렴하고, 제5 열에서, 중심 테이블의 송풍 방향은 이송 방향에 평행하며, 각 측부 상의 측 테이블 각각의 송풍 방향은 다시 수렴한다. 이는 웨브가 도5의 이송 시스템의 출력부에서 감소된 폭 상에 들어 올려져 이송되는 것을 보장한다. 도4에서와 같이, 도5는 테이블의 각 열과 연결된 출력부(41 내지 45)를 갖는 모든 테이블에 대한 공기 압력 도관(39)을 도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웨브 폭의 정확한 제어와 함께 웨브의 이송을 허용한다. 도4를 참고로 설명된 바와 같이, 웨브가 적절히 펴지는 것을 보장하도록 웨브의 횡방향 확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5를 참고로 설명된 바와 같이, 추가의 공정을 허용하도록 감소된 폭 상에 웨브를 포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송 시스템은 일 편의 웨브에 대해서 사용될 수 있고 전체 웨브에 대해서 반드시 사용될 필요는 없는 데, 예를 들어 도5의 이송 시스템은, 오븐의 출구에서 웨브로부터 절단된 엣지와 같은, 파손된 웨브의 일부를 이송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또한 유의하여야 한다. 이 경우, 도6은 도4 및 도5의 이송 시스템의 가능한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6의 이송 시스템은 오븐의 출구에서 사용되도록 의도된다. 이는 도4의 타입인 수평 이송 시스템(47)을 포함하고, 이 테이블은 오븐의 출구에서 웨브를 취하여 이를 수평 테이블의 하류에 위치된 표준 콘다 효과 장치(49)로 이송한다. 콘다 시스템으로부터 나온 웨브는 화살표(51)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권취 장치로 향할 수 있거나, 또는 도5에 표시된 타입의 수직 이송 시스템(53)으로 향할 수 있다. 수직 이송 시스템의 개시부는 표준 콘다 효과 장치(49)의 출력부에 있다. 이 이송 시스템은 그 단부에 위치된 나이프 또는 절단 장치(55)로 웨브 또는 웨브 엣지를 가져온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시스템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다양한 타입과 다수의 테이블을 단순히 선택하고 조립함으로써 상이한 용도들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면을 참고로 설명된 예시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송 시스템의 다양한 가능한 용도를 나타낼 뿐이다.
본 발명은 웨브 폭에 대해 15 N/m까지의 힘을 인가하는 웨브 이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송풍 수단의 배열로 인해, 이 힘은 극히 얇은 웨브에 대해서도 파손의 위험 없이 인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행 길이에 걸쳐 웨브 아래의 공기 양의 증가 없이 20 m 내지 30 m와 같은 긴 길이에 걸친 웨브의 이송을 허용하고, 본 발명은 낮은 공기 체적을 사용하고, 흡입 수단으로부터 흡입된 공기의 일부는 송풍 수단으로 피드될 수 있다.
도4 및 도5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송 시스템은 다양한 폭의 웨브와, 1 미크론 이하의 웨브로부터 36 ㎛의 웨브 또는 더 두꺼운 웨브까지의 범위에서 상이한 두께의 웨브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플라스틱 웨브 이외의 재료에 대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6)

  1. 웨브를 이송하는 테이블 요소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경사진 송풍 수단(4a 내지 4d)과,
    적어도 하나의 돌출 험프(8)와,
    상기 송풍 수단과 돌출 험프 사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흡입 수단(6a 내지 6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험프는 웨브가 돌출 험프의 상류에서 테이블 요소로부터 들어올려지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요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험프의 형상은, 험프의 상류에서, 송풍 수단에 의해 송풍된 공기의 부분적인 차단을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요소.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험프의 형상은, 험프의 하류에서, 험프 위로 유동하는 공기의 가속을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요소.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수단은 오프셋 구멍들의 라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요소.
  6.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수단은 오프셋 구멍들의 라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요소.
  7.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수단의 송풍 방향과 테이블 요소에 직각인 방향 사이의 각이 10도 내지 90도 사이에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3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요소.
  8.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수단의 송풍 방향의 상기 테이블 상의 돌출부는 이송 방향과 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요소
  9. 제1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수단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속도는 웨브의 고려된 속도의 적어도 8배이고, 바람직하게는 웨브 속도의 10배 내지 1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요소.
  10. 제1항 내지 제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수단의 면적대 송풍 수단을 포함하는 테이블 섹션의 면적비는 1 %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0.5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요소.
  11. 제1항 내지 제10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수단은 험프가 웨브를 상승되게 하는 섹션에서 험프의 상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요소.
  12. 제1항 내지 제11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험프는 둥근 험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요소.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둥근 험프는 이송될 웨브와 테이블 사이의 공기층의 두께의 적어도 8배인 직경을 갖는 원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요소.
  14. 제1항 내지 제13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이송 방향에 횡단하는 방향으로 떨어져 이격된 적어도 2개 세트의 테이블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이송 테이블 요소의 세트들은 하나가 다른 하나로부터 멀리 또는 다른 하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
  17. 제14항 내지 제1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시스템의 각 측부 상의 테이블 요소는 송풍 수단을 갖는 데, 이 송풍 수단의 송풍 방향은 이송 시스템의 측부 쪽으로 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
  18. 제14항 내지 제1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기를 송풍 수단으로, 그리고 흡입 수단으로부터 펌핑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며, 흡입 수단으로부터의 공기 유동대 송풍 수단으로의 공기 유동의 비는 0.5와 1 사이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0.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
  19. 적어도 하나의 둥근 험프를 갖는 테이블의 표면 상에 웨브를 이송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a) 테이블을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험프의 상류에서 공기를 송풍하는 단계와,
    (b) 둥근 험프의 바로 상류에 공기를 흡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를 송풍하는 단계는 테이블의 표면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21. 웨브가 테이블의 표면을 따라서 공기의 유동에 의해 이송되는 웨브 이송 시스템에 있어서,
    험프를 포함하고,
    상기 험프는 험프 위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부분적인 차단을 보장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 이송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험프의 형상은 험프의 하류에서 험프 위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가속을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 이송 시스템.
  23. 웨브가 테이블 요소의 표면을 따라서 공기의 유동에 의해 이송되는 웨브 이송 시스템에 있어서,
    웨브의 고려된 속도의 적어도 8배, 바람직하게는 웨브 속도의 10배 내지 15배의 속도로, 공기가 테이블의 표면 위에 분포된 송풍 수단에 의해 송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 이송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수단의 송풍 방향과 테이블 요소에 직각인 방향 사이의 각이 10도 내지 90도 사이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3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 이송 시스템.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송풍 수단의 송풍 방향의 테이블 상의 돌출부는 이송 방향과 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 이송 시스템.
  26. 제23항,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송풍 수단의 면적대 송풍 수단을 포함하는 테이블 섹션의 면적비가 1 %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0.5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 이송 시스템.
KR1020007014305A 1998-06-17 1999-06-15 테이블 요소, 테이블 요소를 포함하는 웨브 이송 시스템, 및 테이블 요소를 이용하여 웨브를 이송시키는 방법 KR1005494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8401481.1 1998-06-17
EP98401481A EP0965546A1 (en) 1998-06-17 1998-06-17 Web transpor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2936A true KR20010052936A (ko) 2001-06-25
KR100549479B1 KR100549479B1 (ko) 2006-02-08

Family

ID=8235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4305A KR100549479B1 (ko) 1998-06-17 1999-06-15 테이블 요소, 테이블 요소를 포함하는 웨브 이송 시스템, 및 테이블 요소를 이용하여 웨브를 이송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43662B1 (ko)
EP (2) EP0965546A1 (ko)
JP (1) JP4327359B2 (ko)
KR (1) KR100549479B1 (ko)
CN (1) CN1113800C (ko)
DE (1) DE69905045T2 (ko)
TW (1) TW455564B (ko)
WO (1) WO19990658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22423B (en) * 2001-12-27 2004-10-21 Orbotech Ltd System and methods for conveying and transporting levitated articles
DE10331626B3 (de) * 2003-07-12 2005-01-13 Nexpress Solutions Llc Bedruckstoffführung
DE102007037923A1 (de) * 2007-08-10 2009-02-12 Giesecke & Devrient Gmbh Optischer Sensor zur Erfassung von Wertdokumenten und Verfahren zur Reinhaltung eines Sensorfensters des Sensors
FI124219B (fi) 2007-11-14 2014-05-15 Valmet Technologies Inc Kaavinlaitteisto päänvientinauhan irrottamiseksi liikkuvasta pinnasta kuiturainakoneella
CN103738765B (zh) * 2013-12-26 2016-01-13 桂林橡胶机械有限公司 轮胎成型机胎体层胶料纠偏装置
US9670616B2 (en) 2014-12-11 2017-06-06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Active web spreading and stabilization shower
KR20210076939A (ko) * 2018-10-10 2021-06-24 카티바, 인크. 기판을 지지하고 운반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3473C (de) * 1926-08-31 Siemens Schuckertwerke G M B H Leitungsklemme mit einer verschiebbaren Klemmenplatte
US2848820A (en) * 1952-10-08 1958-08-26 Svenska Flaektfabriken Ab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nd conveying web-like material
US3070901A (en) * 1956-02-01 1963-01-01 Svenska Flaektfabriken Ab Guiding air-borne webs
GB990103A (en) * 1962-07-03 1965-04-22 Svenska Flaektfabriken Ab Dust-separating apparatus
CH511123A (de) * 1969-08-01 1971-08-15 Roland Offsetmaschf Vorrichtung an Druckmaschinen zum Führen von Bogen oder einer Bahn
DE1951002C3 (de) * 1969-10-09 1974-02-07 Vits-Maschinenbau Gmbh, 4018 Langenfeld Einrichtung zur berührungslosen Stabilisierung einer in ihrer Längsrichtung gespannten und bewegten Warenbahn
US3705676A (en) * 1970-03-16 1972-12-12 Overly Inc Air foil conveyor
DE2556442C2 (de) * 1975-12-15 1984-09-06 Gerhardt, Hans-Joachim, Prof. M.Sc. Dipl.-Ing., 5100 Aachen Vorrichtung zur schwebend Führung von Warenbahnen
US4698914A (en) * 1986-05-29 1987-10-1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etting/drying process for flexible web coating
DE3715533C2 (de) * 1987-05-09 1997-07-17 Krieger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chwebendführen von Materialbahnen
US5209387A (en) * 1990-09-20 1993-05-11 Eastman Kodak Company Gas film conveyor for elongated strips of web material
US5317817A (en) * 1992-04-30 1994-06-07 W. R. Grace & Co.-Conn. Trailing sheet assembly for an air turn
DE4334473C2 (de) * 1993-10-11 1997-07-03 Krieger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chwebendführen einer laufenden Bah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05045D1 (de) 2003-02-27
WO1999065807A1 (en) 1999-12-23
JP2002518273A (ja) 2002-06-25
CN1113800C (zh) 2003-07-09
KR100549479B1 (ko) 2006-02-08
TW455564B (en) 2001-09-21
EP1093436A1 (en) 2001-04-25
JP4327359B2 (ja) 2009-09-09
DE69905045T2 (de) 2004-03-25
CN1313826A (zh) 2001-09-19
EP0965546A1 (en) 1999-12-22
EP1093436B1 (en) 2003-01-22
US6543662B1 (en) 200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05676A (en) Air foil conveyor
US6443389B1 (en) Self threading air bar
JP5495024B2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549479B1 (ko) 테이블 요소, 테이블 요소를 포함하는 웨브 이송 시스템, 및 테이블 요소를 이용하여 웨브를 이송시키는 방법
JPH0517144B2 (ko)
US4597573A (en) System for handling discrete sheets
US5472310A (en) Separating device
US5671918A (en) Sheet delivery for a sheet-processing machine
EP3362388B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handling paper elements
KR101888614B1 (ko) 식품 포장용 필름 이물질 흡입장치
JP4954439B2 (ja) 空気圧式の枚葉紙案内装置を備える枚葉紙処理機械
JP2002137845A (ja) 枚葉紙処理機械
FI115233B (fi) Laitteisto päänvientinauhan kuljettamiseksi paperikoneessa
EP1276921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veying planar ribbon of crimped fiber using air jets
JPH05124746A (ja) シート状物用エアコンベア装置
JPS6216944A (ja) 給紙装置
US20040003475A1 (en) Sheet and web cleaner on suction hood
JP2007245719A (ja) 枚葉紙搬送装置
JP7299559B2 (ja) 異物除去装置及び異物除去方法
JP7374473B2 (ja) 紙葉類搬送装置
JPH01308355A (ja) 紙葉類振り分け機構
JPH07196197A (ja) シート材の浮遊搬送方法および装置
CN116457113A (zh) 除尘装置
GB2088694A (en) Pneumatic tobacco transport
JP2000072334A (ja) 糸端の口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