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0250A - 체지방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체지방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0250A
KR20010040250A KR1020007003078A KR20007003078A KR20010040250A KR 20010040250 A KR20010040250 A KR 20010040250A KR 1020007003078 A KR1020007003078 A KR 1020007003078A KR 20007003078 A KR20007003078 A KR 20007003078A KR 20010040250 A KR20010040250 A KR 20010040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body fat
measuring device
fat measuring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3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5169B1 (ko
Inventor
히로요시 이노우에
야스도시 마스다
Original Assignee
야마도세이고오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도세이고오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도세이고오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40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0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1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7Measuring body composition by impedance, e.g. tissue hydration or fat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Abstract

체지방율의 측정을 위해 피검자의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도록 제1 전류통로형성 전극, 제1 측정용 전극, 제2 전류통로형성 전극 및 제2 측정용 전극이 전자회로기판에 형성된다.

Description

체지방 측정장치{Body Fat Meter}
종래에는 건강유지의 관점에서 체내 지방량의 기준으로 되는 체지방율이 주목되어 왔고, 성인병의 예방을 위해 체지방율을 측정하여 왔다. 체지방율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체지방 측정장치가 있는데, 이 체지방 측정장치는 개략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체지방 측정장치에는 생체 임피던스(impedance)라고 불리는 피검자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해 4개의 전극이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일정 전류를 유입하여 인체의 2점간에 전류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1쌍의 전류통로형성 전극과, 형성된 전류통로 중의 2점간에 대한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1쌍의 측정용 전극이 구비되어 있어 피검자의 손에 의한 접촉 등에 의해 생체 임피던스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체지방 측정장치에는 피검자의 신장과 체중 등의 개인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필요한 조작스위치와, 이러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와, 상기 생체 임피던스와 개인 데이터로부터 체지방율을 구하는 연산 등을 실행하기 위한 CPU 등의 회로소자가 구비된다.
이러한 회로소자와 상기 4개의 전극(이하, 「전극군」이라 칭함)이 회로로서 연결되어 상기 전극을 통해 측정된 생체 임피던스를 체지방율을 구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처리하므로써, 체지방 측정장치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여기서, 종래의 체지방 측정장치로서, 상기 전극군 이외의 회로소자가 인쇄기판 등의 전자회로기판에 장착되고, 상기 전극군의 각각의 전극은 이러한 전자회로기판과는 물리적으로 독립된 별개의 부재로서 설치된 것이 있다. 이러한 체지방 측정장치에 있어서, 각 전극과 다른 회로소자로는, 케이블 등의 배선을 통해 전자회로기판의 필요부분에 접속된다.
따라서, 이러한 체지방 측정장치에서는, 체지방 측정장치로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회로소자를 장착시킨 전자회로기판에 더하여 상기 전극군을 독립한 부재로서 설치하여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전극군을 설치할 공간을 필요로 하는 한편, 전극군과 다른 회로소자를 접속하기 위한 배선과, 전극군을 체지방 측정장치에 대하여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 등도 필요하였다. 또한, 체지방 측정장치를 제작하는 작업을 할 때에도 이러한 많은 부재가 설치되어야 하고, 전극군과 다른 회로소자를 배선에 의해 접속하기 위한 작업인력과 시간이 필요하였다. 그 결과로 체지방 측정장치의 제작비용도 증가되었다.
본 발명은 체지방 측정장치를 구성하는 부재에 대한 소요공간을 감소시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제작하는 데에 따른 작업인력과 시간, 그리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체지방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소형화가 가능한 체지방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체지방 측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체지방 측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체지방 측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d는 도 2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a는 전극이 형성된 인쇄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전극이 형성된 인쇄기판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체지방 측정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5a는 전극형상 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전극형상 등의 또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전자회로기판을 다층으로 적층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몰드에 의해 패키지화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지방 측정장치는, 제1 전류통로형성 전극, 상기 제1 전류통로형성 전극과의 사이에서 전류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 2전류통로형성 전극, 제1 측정용 전극 및 상기 제1 측정용 전극과의 사이에서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제2 측정용 전극으로 이루어진 전극군과, 회로소자가 설치된 전자회로기판과, 본체케이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전극군에 포함된 전극은 상기 전자회로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전극군은 피검자가 접촉하여 피검자의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도록 피검자와의 접촉면이 상기 본체케이스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체지방 측정장치에 의하면, 전극을 상기 전자회로기판에 대하여 물리적으로 독립한 부재로서 설치할 필요가 없다. 즉, 상기 전자회로는 일반적으로 회로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도체부분과 절연성 재료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회로기판의 상기 전극군을 형성할 부분에 대하여 도체부분을 피복한 절연성 재료를 긁어내어 도체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키므로써, 노출된 도체부분이 전자회로기판 상의 전극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극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며, 상기 전극과 다른 회로소자를 접속하기 위한 배선 및 전극을 체지방 측정장치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 등을 제거할 수 있어 체지방 측정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체지방 측정장치를 제조함에 따른 작업인력과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고, 제작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극이 형성된 전자회로기판을 체지방 측정장치를 구성하는 회로소자가 설치된 전자회로기판으로 하는 경우에는 체지방 측정장치의 소형화를 보다 더 도모할 수 있고, 부재수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이 형성된 전자회로기판과, 상기 전극 이외의 체지방 측정장치를 구성하는 기타 회로소자가 설치된 또다른 전자회로기판이 다층구조를 이루게 되면 상기 전자회로기판과 또다른 전자회로기판과의 사이의 공간에 필요한 회로소자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체지방 측정장치를 전자회로기판의 소자가 설치된 면을 따라 횡방향으로 크게 할 수 없는 경우에, 전자회로기판과 다른 전자회로기판을 다층으로 겹쳐 높이방향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필요한 소자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극군에 포함되는 전극에 피검자가 접촉하는 접촉면을 체지방 측정장치의 외면에 대하여 움푹 들어간 형상으로 구성하게 되면, 피검자가 상기 전극에 접촉하여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함에 있어서 움푹 들어간 곳을 따라 안정되게 접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체지방율을 측정할 때마다 전극에 접촉하는 면적의 변동에 따른 측정의 재현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생체 임피던스를 안정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지방 측정장치를 한쪽면과 그 반대측의 타측면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전극군에 포함된 전극의 전부를 한쪽면 또는 그 타측면의 어느 곳에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제1 전류통로형성 전극과 제2 전류통로형성 전극을 상기 체지방 측정장치의 한쪽면에 설치하고, 상기 제1 측정용 전극과 제2 측정용 전극을 상기 체지방 측정장치의 타측면에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전류통로형성 전극과 제1 측정용 전극을 상기 한쪽면에 설치하고, 상기 제2 전류통로형성 전극과 제2 측정용 전극을 상기 타측면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지방 측정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피검자의 개인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스위치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전극군에 포함된 전극의 전부 또는 일부와 겸용으로 된 경우에는, 체지방 측정장치를 구성하는 부재 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체지방 측정장치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군에 포함된 전극이 형성된 전자회로기판과, 이 전자회로기판에 형성된 전극을 제외한 회로소자를 몰드에 의해 패키지화한 경우에는 상기 회로소자 등이 몰드에 모여있게 되므로, 체지방 측정장치가 소형화, 경량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지방 측정장치가 카드형식으로 구성된 경우, 상기 피검자의 개인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스위치를 카드형식으로 되는 체지방 측정장치의 상기 한쪽면에 형성하게 되면 카드처럼 쉽게 휴대하여 소지할 수 있는 휴대형 체지방 측정장치가 될 수 있고, 체지방율을 일상적으로 쉽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군이 형성된 전자회로기판으로서 인쇄기판을 이용할 수 있으며 플렉시블 인쇄회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인 카드식 체지방 측정장치(15)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체지방 측정장치(15)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체지방 측정장치(15)의 정면도이고, 도 2c는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d는 B-B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체지방 측정장치(15)는 카드형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체지방 측정장치(15)의 표면측을 구성하는 본체케이스(8a)와, 체지방 측정장치(15)의 이면측을 구성하는 본체케이스(8b)와의 사이에, 후술할 인쇄기판(9)이 구비되어 있다. 그래서, 인쇄회로기판(9)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체지방 측정장치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종 회로소자가 장착되어 있다.
체지방 측정장치(15)의 표면에는 온/오프(ON/OFF)스위치(3)가 설치되어 있다. 온/오프 스위치(3)는 체지방율을 측정할 수 있도록 체지방 측정장치(15)를 동작 가능한 상태로 만들기 위하여 전원을 온하거나, 또는 체지방 측정장치(15)의 동작을 종료하는 경우, 전원을 오프하기 위한 동작스위치이다.
또한, 체지방 측정장치(15)의 표면에는, 체지방율을 구하는데 필요한 피검자의 개인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선택스위치(5)와, 상승키(6)와, 하강키(7)가 설치되어 있다.
선택스위치(5)는 개인 데이터의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스위치이다. 개인 데이터는 신장, 체중, 연령, 성별 등이 있는데, 선택 스위치(5)의 조작에 의해 입력하고자 하는 개인 데이터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개인 데이터를 입력할 때, 상승키(6)는 데이터의 수치를 증가시키기 위한 키이고, 하강키(7)는 데이터의 수치를 감소시키기 위한 키이다. 상기 선택스위치(5), 상승키(6) 및 하강키(7)의 조작을 조합하여 개인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체지방 측정장치(15)의 표면에는 입력된 상기 개인 데이터와 최종적으로 구해진 체지방율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0)가 설치된다. 상기 표시부(10)에 의해 개인 데이터의 입력을 확인할 수 있고, 측정결과인 체지방율을 알 수 있다. 상기 체지방 측정장치(15)에 있어서, 액정표시소자(LCD)를 이용하여 표시부(10)를 구성한다.
또한, 체지방 측정장치(15)의 표면에는 생체 임피던스의 측정을 개시하기 위한 측정스위치(4)가 설치되어 있다. 체지방율을 구하기 위해서는 나중에 설명하는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할 필요가 있는데, 상기 측정스위치(4)를 온으로 하여 본체 케이스(8a)(8b)의 내부에 구비되는 LCD 측정하기 위한 각 소자(도시되지 않음)가 동작을 개시하게 된다.
또한, 체지방율을 구하기 위하여, 상기 체지방 측정장치(15)는 상기 개인 데이터와 더불어 필요로 하는 생체 임피던스를 구하기 위한 4개의 전극으로 이루어진 전극군을 구비한다. 상기 전극군은 피검자 신체의 2점 사이에 전류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1 전류통로형성 전극(1a)과 제2 전류통로형성 전극(2a), 상기 전류통로내의 2점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제1 측정용 전극(1b)과 제2 측정용 전극(2b)을 구비한다. 상기 체지방 측정장치(15)에 있어서, 제1 전류통로형성 전극(1a)과 제2 전류통로형성 전극(2a)은 체지방 측정장치(15)의 이면측에 설치되고, 제1 측정용 전극(1b)과 제2 측정용 전극(2b)은 체지방 측정장치(15)의 표면측에 설치된다. 즉, 상기 체지방 측정장치(15)에 있어서는 제1 전류통로형성 전극(1a)이 제1 측정용 전극(1b)의 이면에 위치하고, 제2 전류통로형성 전극(2a)이 제2 측정용 전극(2b)의 이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피검자의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해서, 피검자는 도 1의 점선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전류통로형성 전극(1a)에 왼손 검지손가락을 누르고, 제1 측정용 전극(1b)에 왼손 엄지손가락을 누르며, 제2 전류통로형성 전극(2a)에 오른손 검지손가락을 누르고, 제2 측정용 전극(2b)에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눌러 접촉하게 된다.
그래서, 이 전극을 통해 피검자의 생체 임피던스는 본체케이스(8a)(8b)의 내부에 설치된 주지의 임피던스 측정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측정된다. 즉, 본체케이스(8a)(8b)의 내부에는 상기 전류통로를 형성하도록 일정전류를 출력하는 정전류원을 구성하는 소자와, 상기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전압계를 구성하는 소자와, 임피던스를 연산하기 위한 CPU 등의 각 소자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1a, 1b, 2a, 2b)은 상기 피검자가 접촉하는 표면이 본체 케이스(8a)(8b)에 대하여 움푹 들어간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피검자가 움푹 들어간 곳을 따라 안정되게 전극에 손가락을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체지방율의 측정을 할 때마다 전극에 접촉하는 손가락의 면적이 변동함에 따른 측정의 재현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측정의 재현성을 높여 생체 임피던스의 측정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전극(1a, 1b, 2a, 2b)은 인쇄기판(9)에 형성된다. 상기 인쇄기판(9)은 에폭시수지판 등으로 구성된 인쇄회로기판이다. 따라서, 인쇄기판(9)에서 전극은, 인쇄기판(9)의 전극을 형성할 소정부분의 커버를 제거하여, 인쇄기판(9)의 도체를 노출시키므로써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생체 임피던스의 측정에 필요한 전극을 인쇄회로기판(9)에 포함된 도체를 이용하여 형성하므로써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즉, 전극 자체만을 특별히 설치할 필요가 없고, 전극을 지지하기 위한 특별한 지지부재와 배선 등도 필요하지 않다. 이것에 의해 체지방 측정장치를 구성하는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어 체지방 측정장치의 소형화와 체지방 측정장치를 제작하는데 따른 작업인력과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로, 체지방 측정장치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전극을 다른 회로소자와 접속하기 위한 배선이 불필요하므로 배선을 설치함에 따른 그 배선 및 접촉불량으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아 체지방 측정장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인쇄기판(9)에는 체지방 측정장치(15)에 구비될 각종 회로소자도 장착된다. 전극(1a, 1b, 2a, 2b)은 인쇄기판(9)에 형성된 회로패턴을 통해 상기 임피던스 측정수단을 구성하는 각 소자와 접속된다.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회로기판으로서 인쇄기판을 이용하므로써, 체지방 측정장치의 소형화 및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인쇄기판(9)의 일례를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였다. 도 3a는 인쇄기판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인쇄기판의 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를 구성하는 LCD와, 체지방 측정장치(15)의 동작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집적회로(IC)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인쇄기판(9)에 장착된 구체적인 소자의 일부는 도 2c 및 도 2d에 도시되어 있다.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LCD(10), 상승키(6), 하강키(7)가 인쇄기판(9)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오프 스위치(3), 측정스위치(4)가 인쇄기판(9)에 장착되어 있다.
도 4에는 체지방 측정장치(15)에 있어서, 체지방율의 측정을 위한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기능키에는 구체적으로는 선택키(5), 상승키(6) 및 하강키(7) 등이 포함되어 있다. 기억장치(21)에는 체지방율을 구하는데 필요한 각종 연산식과 계수 등이 기억될 뿐만 아니라, 기능키의 조작을 통해 입력된 개인 데이터와, 전극군을 통해 얻어진 생체 임피던스의 측정치 등도 기억된다. 체지방율을 구하는 연산은 중앙처리장치(CPU)(22)의 동장에 의하여 기억장치(21)에 기억된 개인 데이터와 연산식 등에 따라 실행된다. 또한, 체지방 측정장치(15)의 전원이 온으로 된 후, 체지방율을 구하기 위한 각 데이터처리과정에 있어서, 각부분간의 상기 데이터의 입출력은 입출력장치(I/O)(23)를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체지방 측정장치(15)에 있어서 전극이 설치될 부분의 형상 등에 대해서는 상기 도 1,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형상 이외에도,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전극(1b, 2b) 형상도 가능하다. 즉, 전극을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성하거나, 또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도 5b는 전극을 형성하는 위치를, 도 1과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지방 측정장치(15)의 끝단부분을 포함하는 위치로 하지 않고, 그 이외의 위치에 형성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b에 나타낸 위치에 전극을 형성하는 경우, 피검자의 접촉하는 각 전극의 표면을 본체 케이스(8a)(8b)에 대하여 움푹 들어간 형상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지방 측정장치(15)에 있어서는 제1 전류통로형성 전극(1a)과 제2 전류통로형성 전극(2a)을 체지방 측정장치(15)의 이면측에 설치하고, 제1 측정용 전극(1b)과 제2 측정용 전극(2b)을 표면측에 설치했지만, 제1 전류통로형성 전극(1a)과 제2 전류통로형성 전극(2a)을 체지방 측정장치(15)의 표면측에 설치하고, 제1 측정용 전극(1b)과 제2 측정용 전극(2b)을 이면측에 설치해도 무방하다. 또한, 제1 전류통로형성 전극(1a)과 제1 측정용 전극(1b)을 표면측에 설치하고, 제2 전류통로형성 전극(2a)과 제2 측정용 전극(2b)을 이면측에 설치해도 무방하다.
더욱이, 전극(1a, 1b, 2a, 2b) 전부를 체지방 측정장치(15)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에 설치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 대해서도, 각 전극에 있어서 피검자가 접촉하는 각 전극의 표면을 본체 케이스(8a)(8b)에 대하여 움푹 들어간 형상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승키(6)와 하강키(7) 등의 조작용 스위치 등과 전극을 겸용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승키(6) 등에 대하여 측정스위치(4)의 조작을 통해 개인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역할을 하거나,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역할을 하는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승키(6) 등을 개인 데이터 입력을 위한 조작스위치와 생체 임피던스 측정용 전극 모두의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극이 형성된 인쇄기판(9)을 전극 이외의 다른 소자가 장착된 또다른 기판과 별개로 하여, 이 다른 기판과 인쇄기판(9)을 인쇄기판용 플랫커넥터(flat connector)를 이용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접속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전극이 형성된 인쇄기판(9)을 체지방 측정장치(15)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인쇄기판(9)과, 전극 이외의 회로소자를 장착하기 위해 또다른 인쇄기판인 기판(11)을 설치하고, 체지방 측정장치의 본체케이스(8a)(8b)의 내부에서, 인쇄기판(9)과 인쇄기판(11)을 높이방향으로 다층 적층해도 무방하다. 이처럼 다층으로 적층된 구조에 의하면, 인쇄기판(9)과 인쇄기판(11)의 사이 공간에 인쇄기판(11)에 장착된 IC(13)와 칩저항(14)등의 소자를 배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간을 이용하므로써 소자를 장착하기 위한 공간의 횡방향(지면의 좌우방향 및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확장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므로써 체지방 측정장치의 횡방향의 확장을 억제하여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인쇄기판(9)에 전극 이외의 다른 소자를 장착해도 무방하다.
또한, 이처럼 인쇄기판(9)과 다른 소자를 장착한 인쇄기판(11)을 높이방향으로 적층한 경우에는, 기판(9)의 전극(2a, 2b)등의 일부와 기판(11)의 소요부분이 봉형의 도체물(12)에 의해 단락된다. 또한, 이처럼 전극이 형성된 인쇄기판(9)과 다른 소자가 장착된 기판(11)을 높이방향으로 적층한 경우도 생체 임피던스의 측정에 필요한 전극 전부를 1개의 인쇄기판(9)의 일부면에 형성해도 무방하다.
또한, 전극이 형성된 인쇄기판(9)을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몰드(20)에 의해 패키지화해도 무방하다. 도 7은 몰드(20)의 사시도로서, 도 7에 도시된 전극(1b)(2b)이 형성된 인쇄기판(9)은 몰드(20)에 설치된 전극 이외의 다른 소자와 함께 몰드(20)에 의해 패키지화된다. 몰드(20)에 의해 패키지화하므로써 전극이 형성된 인쇄기판(9)과 전극 이외의 다른 소자를 덮어 수집 가능하여 체지방 측정장치로서 소형화,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 대해서는 생체 임피던스의 측정에 필요한 전극을 인쇄기판에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 전극을 전자회로기판이 1개인 플렉시블 인쇄회로(FPC)에 형성해도 무방하다. 전극을 플렉시블 인쇄회로에 형성한 경우에는 인쇄회로가 플렉시블하기 때문에, 체지방 측정장치를 제작하는데 따른 가공 등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인쇄회로에 전극을 형성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그 표면의 절연성재료부분을 긁어내어 도체부분을 노출시켜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체지방 측정장치는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전극군을 전자회로기판에 형성하므로써 체지방 측정장치를 구성하는 부품 수를 줄여 체지방 측정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제작하는데 따른 작업인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체지방 측정장치의 제작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전극군이 형성된 전자회로기판을 전극군 이외의 체지방 측정장치를 구성하는 회로소자가 장착된 전자회로기판으로 하므로써 체지방 측정장치를 더욱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체지방 측정장치에 구비된 각종 조작스위치와 전극군에 포함된 전극을 겸용하므로써 체지방 측정장치를 더욱 더 소형화할 수 있다.

Claims (12)

  1. 제1 전류통로형성 전극, 상기 제1 전류통로형성 전극과의 사이에서 전류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2 전류통로형성 전극, 제1 측정용 전극 및 상기 제1 측정용 전극과의 사이에서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제2 측정용 전극으로 된 전극군과;
    회로소자가 설치된 전자회로기판과;
    본체케이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전극군에 포함된 전극이 상기 전자회로기판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극군은, 피검자의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도록, 피검자가 접촉하는 면이 상기 본체케이스의 외부에 노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이 형성된 전자회로기판에는, 체지방 측정장치를 구성하는 회로소자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체지방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이 형성된 전자회로기판과, 상기 전자회로기판에 형성된 전극 이외의 회로소자가 설치된 또다른 전자회로기판이 다층구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 측정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군에 포함된 전극에는, 피검자가 접촉하는 면이 체지방 측정장치의 외면에 대하여 움푹 들어간 형상으로 된 부분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 측정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체지방 측정장치는 한쪽면과 그 반대쪽의 타측면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극군에 포함되는 전극의 전부가 한쪽면 또는 타측면의 어느 한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 측정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체지방 측정장치는 한쪽면과 그 반대쪽의 타측면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전류통로형성 전극과 제2 전류통로형성 전극이 상기 체지방 측정장치의 한쪽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측정용 전극과 제2 측정용 전극이 상기 체지방 측정장치의 타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 측정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체지방 측정장치는 한쪽면과 그 반대쪽의 타측면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전류통로형성 전극과 제1 측정용 전극이 상기 체지방 측정장치의 한쪽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전류통로형성 전극과 제2 측정용 전극이 상기 체지방 측정장치의 타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 측정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체지방 측정장치에 구비된 피검자의 개인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스위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전극군에 포함된 전극의 전부 또는 일부와 겸용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 측정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이 형성된 전자회로기판과, 상기 전자회로기판에 형성된 전극 이외의 회로소자가 몰드에 의해 패키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 측정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체지방 측정장치가 카드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검자의 개인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스위치가 상기 체지방 측정장치의 상기 한쪽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 측정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이 형성된 전자회로기판은 인쇄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 측정장치.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이 형성된 전자회로기판은 플렉시블 인쇄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 측정장치.
KR10-2000-7003078A 1998-07-23 1999-07-19 체지방 측정장치 KR1003751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207641 1998-07-23
JP20764198A JP3939443B2 (ja) 1998-07-23 1998-07-23 体脂肪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0250A true KR20010040250A (ko) 2001-05-15
KR100375169B1 KR100375169B1 (ko) 2003-03-08

Family

ID=16543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3078A KR100375169B1 (ko) 1998-07-23 1999-07-19 체지방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456873B1 (ko)
EP (1) EP1021987B1 (ko)
JP (1) JP3939443B2 (ko)
KR (1) KR100375169B1 (ko)
CN (1) CN1256916C (ko)
CA (1) CA2337538C (ko)
DE (1) DE69924348T2 (ko)
HK (1) HK1030347A1 (ko)
TW (1) TW414704B (ko)
WO (1) WO20000048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5660B2 (ja) * 1999-02-22 2005-07-27 株式会社タニタ カード型体脂肪計
TW529930B (en) * 1999-08-27 2003-05-01 Yamato Scale Co Ltd Health condition judging/displaying device
JP3792489B2 (ja) 2000-06-30 2006-07-05 株式会社タニタ 生体インピーダンス測定装置
KR20030025749A (ko) * 2001-09-24 2003-03-29 주식회사 엘바이오 체지방계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JP3653519B2 (ja) * 2002-06-12 2005-05-25 ヤーマン株式会社 体内構成測定装置
US7103407B2 (en) * 2002-06-28 2006-09-05 Nokia Corporation Body fa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employing mobile terminal
US20060129060A1 (en) * 2002-07-02 2006-06-15 Healthpia America Management method of fat mass and management device of fat mass using mobile phone
US20040260196A1 (en) * 2003-06-18 2004-12-23 Chih-Cheng Lu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local body fat by using bioelectrical impedance technology
CN1316840C (zh) * 2003-07-28 2007-05-16 明基电通股份有限公司 具有测脂功能的移动电话及其测脂方法
JP2004041818A (ja) * 2003-11-26 2004-02-12 Ya Man Ltd 体脂肪測定装置
JP2004041819A (ja) * 2003-11-26 2004-02-12 Ya Man Ltd 体脂肪測定装置
JP2004041820A (ja) * 2003-11-26 2004-02-12 Ya Man Ltd 体脂肪測定装置
TWI328193B (en) 2005-07-04 2010-08-01 Ind Tech Res Inst Display-card electronic device
JP5196830B2 (ja) * 2007-04-04 2013-05-15 株式会社タニタ 生体測定装置
JP5055035B2 (ja) * 2007-06-19 2012-10-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オイル劣化検出装置
TWI489973B (zh) * 2009-07-10 2015-07-01 Fih Hong Kong Ltd 多功能可攜式電子裝置及其體脂測量方法
JP2011062546A (ja) * 2010-11-26 2011-03-31 Ya Man Ltd 体脂肪測定装置
KR102212064B1 (ko) 2013-12-06 2021-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에 의해 헬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냉장고
KR101662636B1 (ko) * 2014-07-14 2016-10-07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영상 몰입 유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몰입 유도 방법
JP6915830B2 (ja) * 2016-09-28 2021-08-04 学校法人北里研究所 センサ装置、保険証、会員証
CN109350056A (zh) * 2018-12-04 2019-02-19 芯海科技(深圳)股份有限公司 用于体脂测量的移动终端及基于该终端的体脂测量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46866A1 (de) * 1983-12-23 1985-07-11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Vorrichtung zur applikation von ekg-elektroden
JPS60156436A (ja) * 1984-01-25 1985-08-16 株式会社名古屋電元社 体表面電位記録計
JPH052164Y2 (ko) * 1987-05-27 1993-01-20
JPH01119614A (ja) 1987-10-30 1989-05-11 Kawasaki Refract Co Ltd 転炉出鋼孔の補修装置
JPH01119614U (ko) * 1988-02-02 1989-08-14
JPH052164A (ja) 1991-01-28 1993-01-08 Toshiba Corp Lcdモジユール
US5415176A (en) * 1991-11-29 1995-05-16 Tanita Corporation Apparatus for measuring body fat
US5372141A (en) * 1992-07-01 1994-12-13 Body Composition Analyzers, Inc. Body composition analyzer
JPH07108039A (ja) * 1993-10-14 1995-04-25 Hitachi Ltd 身体情報検出装置
JP2773706B2 (ja) * 1995-10-20 1998-07-09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気回路内蔵型生体用表面電極
JP3297987B2 (ja) * 1996-12-17 2002-07-02 オムロン株式会社 健康管理指針アドバイス装置
JPH10179535A (ja) * 1996-12-20 1998-07-07 Omron Corp 健康管理指針アドバイス装置
DE69838263T2 (de) * 1997-12-25 2008-05-08 Yamato Scale Co. Ltd., Akashi Körperfettmessgerä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21987A4 (en) 2002-04-17
KR100375169B1 (ko) 2003-03-08
DE69924348T2 (de) 2006-01-12
CA2337538C (en) 2003-06-10
JP3939443B2 (ja) 2007-07-04
EP1021987A1 (en) 2000-07-26
CN1274271A (zh) 2000-11-22
DE69924348D1 (de) 2005-04-28
CN1256916C (zh) 2006-05-24
JP2000037364A (ja) 2000-02-08
US6456873B1 (en) 2002-09-24
TW414704B (en) 2000-12-11
HK1030347A1 (en) 2001-05-04
WO2000004826A1 (fr) 2000-02-03
CA2337538A1 (en) 2000-02-03
EP1021987B1 (en) 2005-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5169B1 (ko) 체지방 측정장치
EP0926488B1 (en) Body fat determining device
US6982930B1 (en) Wristwatch with the function of sensing heart pulses
US6526315B1 (en) Portable bioelectrical impedance measuring instrument
EP1125550B1 (en) Living body measuring apparatus with built-in weight meter
KR100427625B1 (ko) 분리가능형 생체 임피던스 계측장치
KR960009972A (ko) 생체전기 임피던스법을 이용한 인체 성분 분석 장치 및 그 분석 방법
US6243651B1 (en) Healthcare data acquisition device
EP0877250A3 (en) Dispensing instrument for fluid monitoring sensors
JP4065062B2 (ja) 体脂肪率測定器
KR20010099267A (ko)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
US20030073924A1 (en) Body fat measuring device
JP3780197B2 (ja) 弾性表面波デバイスを用いた液体の特性値測定装置
JP3917741B2 (ja) 体内脂肪計
CN212368966U (zh) 可穿戴设备
JP2001029322A (ja) 体重計付き体脂肪計
JP3917738B2 (ja) 体内脂肪計
JPH10179535A (ja) 健康管理指針アドバイス装置
JPH08332278A (ja) 麻雀用点棒及びこれを演算する点棒演算装置
JP2000135204A (ja) 体内脂肪計
KR20010110245A (ko)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
JP2003198087A (ja) 配線板及びこれを用いた情報処理装置
JP2003019123A (ja) 電極一体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