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0245A -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0245A
KR20010110245A KR1020010068413A KR20010068413A KR20010110245A KR 20010110245 A KR20010110245 A KR 20010110245A KR 1020010068413 A KR1020010068413 A KR 1020010068413A KR 20010068413 A KR20010068413 A KR 20010068413A KR 20010110245 A KR20010110245 A KR 20010110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ody fat
unit
portable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을철
Original Assignee
변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을철 filed Critical 변을철
Priority to KR1020010068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10245A/ko
Publication of KR20010110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024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7Measuring body composition by impedance, e.g. tissue hydration or fat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쉽고 간편하게 자신의 체지방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10)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체지방을 측정할 수 있도록 특별히 제작된 체지방 측정장치를 액서사리류(열쇠고리, 목걸이 등)와 같은 가벼운 휴대용품 등에 부착시켜 사용상의 편리함과 경제적 잇점을 충분히 살린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10)에 관한 것이다.
생활의 향상으로 식생활의 패턴이 점점 인스턴트화와 육류화로 변화되어 비만 인구가 날로 늘어나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특히 비만시기도 점점 소아기로 낮아져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체내 지방량의 기준이 되는 체지방율이 주목되어 왔고, 비만에 관심을 가지는 대상도 늘어가고 있으나 현재 시판되고 있는 체지방 측정기들은 일반인이 사용하기에 아주 취약하다.
현재의 체지방 측정기는 부피가 커고 고가로 판매가 되어져 일반인의 구입이 어렵고 특정 업체(병원, 비만클리닉센터 등)에 직접 찾아가야 하는 번거로움과 측정비용이 상당해 경제적인 부담 또한 크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누구나 쉽고 간편히 사용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은 체지방 측정기(10)를 구성하는 부재에 대한 소요공간을 감소시켜 소형화를 도모함과 아울러 제작하는 데에 따른 불필요한 것을 배제함과 아울러 제작비용을 절감하여 저렴한 가격이 되도록 특별히 발명된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10)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a portable body fat measurement}
경제가 윤택해지면서 식생활문화가 향상됨에 따라 비만 인구도 점점 늘어가고, 비만이 사회적인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바, 비만증상은 성인, 노년은 물론 특히 아동들의 비만율이 늘어가고 있다.
이에 자신의 체지방을 측정하고자 하는 계층과 측정하고 싶어하는 계층이 증가일로에 있다. 통상의 체지방 측정기는 부피가 커고 상당히 고가로 판매되어 일반인의 구입이 어렵고 특정업체(병원, 비만클리닉센터 등)에서 체지방 측정을 하고 있어 이용자가 직접 찾아가야 하는 번거로움과 상당한 비용의 지출이 생기므로 경제적인 부담 또한 크다.
체지방율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체지방 측정기가 있는데, 체지방 측정기에는 사용자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해 4개의 전극이 구비되어 있다.
일정 전류를 유입하여 인체에 전류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1쌍의 전류통로 전극과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1쌍의 측정용 전극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이나 발등에 의한 접촉등에 의해 임피던스를 검출하여 체지방을 측정한다.
체지방 측정기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의 신체정보(성별, 연령, 신장, 체중)등의 개인 데이터가 입력되는 데이터입력부와 이러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임피던스와 개인 데이터로부터 체지방율을 처리하는 데이터처리부와 그 데이터처리부에서 연산등을 실행하기 위한 CPU등의 회로소자로 구비된다.
이러한 회로소자와 상기 4개의 전극이 회로로서 연결되어 상기 전극을 통해 측정된 임피던스를 체지방율을 구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처리함으로써, 체지방 측정기의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전극군 이외의 회로소자가 인쇄기판등의 전자회로기판에 장착되고, 상기 4개의 전극의 각각의 전극은 이러한 전자회로기판과는 물리적으로 독립된 별개의 부재로서 설치된 것이다.
이러한 체지방 측정기에 있어서, 각 전극과 다른 회로소자로는 케이블등의 배선을 통해 전자회로기판의 필요부분에 접속된다.
따라서, 이러한 체지방 측정기에서는, 체지방 측정기로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회로소자를 장착시킨 전자회로기판에 더하여 상기 4개의 전극을 독립한 부재로서 설치하여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4개의 전극을 설치할 공간을 필요로 하는 한편, 4개의 전극과 다른 회로소자를 접속하기 위한 배선과, 4개의 전극을 체지방 측정기에 대하여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등도 필요로 하였다. 또한, 체지방 측정기를 제작하는 작업을 할 때에도 이러한 많은 부재가 설치되어야 하고, 4개의 전극과 다른 회로소자를 배선에 의해 접속하기 위한 작업량과 시간이 필요하였다. 그 결과로 체지방 측정기의 제작비용도 증가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불필요한 부재의 감소와 소형화를 도모함과 아울러, 제작비용의 절감으로 아주 경제적인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체지방 측정기의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액서사리류(열쇠고리, 목걸이 등)와 같은 가벼운 휴대용품 등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언제 어디서나 쉽고 간편하게 자신의 체지방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하여 과다한 비용의지출이 없는 경제적 잇점을 충분히 살릴 수 있도록 함에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한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10)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동작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체지방 측정기(본체)
11 : 전자회로기판
12a : 체지방 측정기의 앞면
12b : 체지방 측정기의 뒷면
13 : 표시창(LCD)
20 : 온/오프(ON/OFF) 스위치
21 : 측정스위치
22 : 상승키
23 : 하강키
24 : 선택스위치
25: 전류통로
25a : 제 1전류통로형성 전극
25b : 제 2전류통로형성 전극
26 : 측정전극
26a : 제 1측정용 전극
26b : 제 2측정용 전극
30 : 마이크로프로세서 수단(MPU)
33 : 데이터입력부
34 : 통전제어부
35 : 측정제어부
36 : 데이터처리부
37 : 데이터저장부
38 : 디스플레이부
39 : 데이터비교부
40 : 데이터출력부
50 : 중앙처리장치(CPU)
도 1내지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10)가 여러 다각형의 한 부분인 사각의 모양으로 액서사리류(열쇠고리, 목걸이 등)와 같은 가벼운 휴대용품 등에 부착되어 있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체(10)의 앞면(12a)과 뒷면(12b)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체(10)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체(10)의 블록도이다.
도 5는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10)의 동작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10)는 한쪽면(이하 '앞면'이라 칭함; 12a)과 그 반대측의 타측면(이하 '뒷면'이라 칭함; 12b)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제 1전류통로형성 전극(25a), 상기 제 1전류통로형성 전극(25a)과의 사이에서 전류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 2전류통로형성 전극(25b), 제 1측정용 전극(26a)과의 사이에서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제 2측정용 전극(26b)으로 이루어진 전극군과, 회로소자(미 도시됨.)가 설치된 전자회로기판(11)과 본체(10)를 구비하고 있으며,상기 4개의 전극(25a, 25b, 26a, 26b)에 포함된 전극은 상기 전자회로기판(11)에 형성되며, 상기 4개의 전극(25a, 25b, 26a, 26b)은 사용자가 접촉하여 사용자의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와의 접촉면이 상기 본체(10)의 양면(12a, 12b)의 외부에 불쑥 튀어나온 블록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4개의 전극(25a, 25b, 26a, 26b)에 포함된 전극의 전부를 앞면(12a) 또는 그 뒷면(12b)의 어느 곳에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제 1전류통로형성 전극(25a)과 제 2전류통로형성 전극(25b)을 상기 본체(10)의 앞면(12a)에 설치하고, 상기 제 1측정용 전극(26a)과 제 2측정용 전극(26b)을 상기 본체(10)의 뒷면(12b)에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전류통로형성 전극(25a)과 제 1측정용 전극(26a)을 상기 본체(10)의 앞면(12a)에 설치하고, 상기 제 2전류통로형성 전극(25b)과 제 2측정용 전극(26b)을 상기 본체(10)의 뒷면(12b)에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10)에 의하면, 전극을 상기 전자회로기판(11)에 대하여 물리적으로 독립한 부재로서 설치할 필요가 없다.
즉, 상기 전자회로는 일반적으로 회로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도체부분과 절연체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회로기판(11)의 상기 4개의 전극(25a, 25b, 26a, 26b)을 형성할 부분에 대하여 도체부분을 피복한 절연성 재료를 긁어내어 도체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키므로써, 노출된 도체부분이 전자회로기판(11)상의 전극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극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며, 상기 전극과 다른 회로소자를 접속하기 위한 배선 및 전극을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10)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 등을 제거할 수 있어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10)를 제조함에 따른 작업량과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제작비용도 절감할 수가 있다.
특히, 상기 전극이 형성된 전자회로기판(11)을 본체(10)를 구성하는 회로소자(미 도시됨.)가 설치된 전자회로기판(11)으로 하는 경우에는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10)의 소형화를 보다 더 도모하여, 부재수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4개의 전극(25a, 25b, 26a, 26b)에 포함되는 전극에 사용자가 접촉하는 접촉면을 본체의 양면(12a, 12b)에 대하여 불쑥 튀어나온 블록형상으로 구성하게 되면, 사용자가 상기 4개의 전극(25a, 25b, 26a, 26b)에 접촉하여 임피던스를 측정함에 있어서, 튀어나온 형상에 의하여 안정되게 접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체지방율을 측정할 때마다 전극에 접촉하는 면적의 변동에 따른 측정의 재현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임피던스를 안정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10)에 구비되어 있는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성별, 연령, 신장, 체중)를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부(33)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4개의 전극(25a, 25b, 26a, 26b)에 포함된 전극의 전부 또는 일부와 겸용으로 되는 경우에는,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10)를 구성하는 부재 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소형화, 경량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양면(12a, 12b)을 여러 다각형의 형태로 만들 수가 있어, 상기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입력부(33)를 여러 다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본체(10)의 상기 뒷면(12b)에 형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성별, 연령, 신장, 체중)가 출력되어 표시창(LCD; 13)에 나타내어지도록 고안되었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수단(MPU; 30)은 사용자의 신체정보(성별, 연령, 신장, 체중)와 같은 외부 데이터가 입력되는 데이터입력부(33)와, 통전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통전제어부(34)와, 4개의 전극(25a, 25b, 26a, 26b)의 통전수단 간을 경유하여 전류의 속도를 측정해주기 위한 측정제어부(35)와, 데이터입력부(33)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와 측정제어부(35)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가공하기 위한 데이터처리부(36)와, 데이터처리부(36)에 의해 가공된 데이터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부(38)에 장착된 표시창(LCD; 13)에 나타내어 진다.
상기 데이터처리부(36)는 사용자의 신체정보(성별, 연령, 신장, 체중)별로 설정된 전류의 정상 속도값을 기준으로 하여 정상 속도값과 그 이상 및 이하가 되는 속도값을 순차적으로 나열한 체지방 조견데이터가 입력되는 데이터저장부(37)와, 측정제어부(35)에서 측정된 전류의 속도값과 데이터저장부(37)에 입력되어 있는 데이터를 상호비교하여 가장 근사치를 이루는 체지방 데이터를 도출해주기 위한 데이터비교부(38)와, 비교에 따른 체지방 데이터를 문자 또는 도형의 형태로 출력해주기 위한 데이터출력부(39)로 구성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38)에 장착된 표시창(LCD; 13)으로 액서사리류(열쇠고리, 목걸이 등)와 같은 가벼운 휴대용품 등에 장착되어 사용되어 나타내어 진다.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10)는 여러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지나, 그 중 한부분인 사각의 형태로 형성되어져 액서사리류(열쇠고리, 목걸이 등)와 같은 가벼운 휴대용품 등에 부착되어 실시된 예를 설명한다.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를 구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양면(12a, 12b)을 구성하는 본체(10)와의 사이에 전자회로기판(11)이 구비되어 있다. 그래서, 전자회로기판(11)에는 체지방 측정장치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종 회로서자(미 도시됨.)가 장착되어 있다.
본체(10)의 뒷면(12b)에는 온/오프(ON/OFF) 스위치(20)가 설치되어 있다. 온/오프(ON/OFF) 스위치(20)는 체지방율을 측정할 수 있도록 체지방 측정기를 동작 가능한 상태로 만들기 위하여 전원을 온(ON)하거나, 또는 체지방 측정기의 동작을 종료하는 경우, 전원을 오프(OFF)하기 위한 동작 스위치이다.
또한, 본체(10)의 뒷면(12b)에는, 체지방율을 구하는데 필요한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선택스위치(24)와, 측정스위치(21)와, 상승키22)와 하강키(23)가 설치되어 있다.
선택스위치(24)는 개인 데이터의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데이터입력부(33)의 조작버튼이다. 개인 데이터는 성별, 연령, 신장, 체중 등의 사용자의 신체정보등이 있는데, 선택스위치(24)의 조작에 의해 입력하고자 하는 개인 데이터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개인 데이터를 입력할 때, 상승키(22)는 데이터의 수치를 증가시키기 위한 키이고, 하강키(23)는 데이터의 수치를 감소시키기 위한 키이다. 상기 선택스위치(24), 상승키(22) 및 하강키(23)의 조작을 조합하여 개인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측정스위치(21)를 통해 사용자의 체지방율을 구하게 된다.
또한, 본체(10)의 앞면(12a)에는 입력된 상기 개인 데이터와 최종적으로 구해진 체지방율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38)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8)에 의해 개인 데이터의 입력을 확인할 수 있고, 측정 결과인 체지방율을 알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10)에 있어서, 표시창(LCD; 13)을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38)를 구성한다.
또한, 본체(10)의 양면(12a, 12b)에는 임피던스를 측정을 하기위한 4개의 전극(25a, 25b, 26a, 26b)이 설치되어 있다. 체지방율을 구하기 위해서는 임피던스를 측정할 필요가 있는데, 상기 4개의 전극(25a, 25b, 26a, 26b)을 온(ON)으로 하여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표시창(LCD; 13)에 측정하기 위한 각 소자(미 도시됨.)가 동작을 개시하게 된다.
또한, 체지방율을 구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10)는 상기 개인 데이터와 더불어 필요로 하는 임피던스를 구하기 위한 4개의 전극(25a, 25b, 26a, 26b)은 사용자 신체의 2점 사이에 전류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 1전류통로 형성 전극(25a)과 제 2전류통로형성 전극(25b), 상기 전류통로내의 2점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제 1측정용 전극(26a)과 제 2측정용 전극(26b)을 구비한다.
상기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10)의 전류통로(25)에 있어서, 제 1전류통로형성 전극(25a)과 제 2전류통로형성 전극(25b)은 본체(10)의 앞면(12a)에 설치되고, 제 1측정용 전극(26a)과 제 2측정용 전극(26b)은 본체(10)의 뒷면(12b)에 설치된다.
즉, 상기 제 1전류통로형성 전극(25a)이 제 1측정용 전극(26a)의 이면에 위치하고, 제 2전류통로형성 전극(25b)이 제 2측정용 전극(26b)의 이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지는 것이다. 그래서, 이 4개의 전극(25a,25b, 26a, 26b)을 통해 사용자의 임피던스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주지의 임피던스 측정수단인 마이크로프로세서 수단(MPU; 30)등과 기타 측정수단등(미 도시됨.)에 의해 측정된다.
즉, 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전류통로를 형성하도록 일정전류를 출력하는정전류원을 구성하는 소자(미 도시됨.)와, 상기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전압계를 구성하는 소자(미 도시됨.)와, 임피던스를 연산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CPU; 50)등의 각 소자(미 도시됨.)가 설치되어 있다.
도 1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전극중 제 1측정용 전극(26a) 및 제 2측정용 전극(26b)은 상기 사용자가 접촉하는 본체(10)에 대하여 불쑥 튀어나온 블록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불쑥 튀어나온 곳을 따라 안정되게 손가락을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체지방율의 측정을 할 때마다 접촉하는 손가락의 면적이 변동함에 따른 측정의 재현성 저하를 방지하여 임피던스의 측정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전류통로형성 전극(26a, 26b)은 전자회로기판(11)에 형성된다. 상기 전자회로기판(11)은 에폭시수지판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전자회로기판(11)에서 전류통로형성 전극(26a, 26b)은, 전자회로기판(11)의 전극을 형성할 소정부분의 커버를 제거하여 전자회로기판(11)의 도체를 노출시키므로써 형성된다. 이와 같이 임피던스의 측정에 필요한 전극을 전자회로기판(11)에 포함된 도체를 이용하여 형성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즉, 전극 자체만을 특별히 설치할 필요가 없고, 전극을 지지하기 위한 특별한 지지부재와 배선등도 필요하지 않다. 이것에 의해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10)를 구성하는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어 소형화, 경량화와 제작하는데 따른 작업량과 시간을 감소시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전극을 다른 회로소자와 접속하기 위한 배선이 불필요함으로 배선을 설치함에 따른 그 배선 및 접촉불량으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아 체지방 측정장치(미 도시됨.)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자회로기판(11)에는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10)에 구비될 각종 회로소자(미 도시됨.)도 장착된다. 4개의 전극(25a, 25b, 26a, 26b)은 전자회로기판(11)에 형성된 회로패턴(미 도시됨.)을 통해 상기 임피던스 측정수단을 구성하는 각 소자와 접속(미 도시됨.)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10)의 소형화, 경량화 및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도 4에는 체지방율의 측정을 위한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데이터입력부(33)에는 구체적으로는 온/오프(ON/OFF)스위치(20)와 선택스위치(24)와 측정스위치(21), 상승키(22) 및 하강키(23) 등이 포함되어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 수단(MPU; 30)에는 체지방율을 구하는데 필요한 각종 연산식과 계수 등이 기억될 뿐만 아니라, 데이터입력부(33)의 조작을 통해 입력된 개인 데이터와, 4개의 전극(25a, 25b, 26a, 26b)을 통해 얻어진 임피던스의 측정치도 기억된다. 체지방율을 구하는 연산은 중앙처리장치(CPU; 50)의 동작에 의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 수단(MPU; 30)에 기억된 개인 데이터와 연산식 등에 따라 실행된다. 또한,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10)의 전원이 온(ON)으로 된 후, 체지방율을 구하기 위한 각 데이터 처리과정에 있어서, 각 부분간의 상기 데이터의 입출력은 데이터입력부(33)와 디스플레이부(38)를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도 4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10)의 블록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전, 측정, 데이터의 입력, 데이터의 출력, 데이터의 전송 등과 같은 각각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수단(MPU; 30)에 데이터입력부(33)와 디스플레이부(38) 등이 마련되도록 하여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10)가 데이터입력부(33) 및 디스플레이부(38)에 의해 액서사리류(열쇠고리, 목걸이 등)와 같은 가벼운 휴대용품 등에 장착되어 데이터의 출력을 위한 표시창(LCD; 13) 및 외부 데이터의 입력수단을 갖는 각종 장비의 중앙처리장치(CPU; 50)에 연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수단(MPU; 30)은 사용자의 신체정보(성별, 연령, 신장, 체중)와 같은 외부 데이터가 입력되는 데이터입력부(33)와, 통전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통전제어부(34)와, 통전수단간을 경유하여 전류의 속도를 측정해주기 위한 측정제어부(35)와, 데이터입력부(33)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와 측정제어부(35)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가공하기 위한 데이터처리부(36)와, 데이터처리부(36)에 의해 가공된 데이터를 출력하여, 액서사리류(열쇠고리, 목걸이 등)와 같은 가벼운 휴대용품 등에 특별히 장착된 장비의 표시창(LCD; 13)에 표시해주기 위한 디스플레이부(38)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처리부(36)는 사용자의 신체정보(성별, 연령, 신장, 체중)로 설정된 전류의 정상 속도값을 기준으로 하여 정상 속도값과 그 이상 및 이하가 되는 속도값을 순차적으로 나열한 체지방 조견데이터가 입력되는 데이터저장부(37)와, 측정제어부(35)에서 측정된 전류의 속도값과 데이터저장부(37)에 입력되어 있는 데이터를 상호비교하여 가장 근사치를 이루는 체지방 데이터를 도출해주기 위한 데이터비교부(39)와, 비교에 따른 체지방 데이터를 문자 또는 도형의 형태로 출력해주기 위한 데이터출력부(40)로 구성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액서사리류(열쇠고리, 목걸이 등)와 같은 가벼운 휴대용품 등에 데이터입력부(33)를 이용하여 사용자정보(성별, 연령, 신장, 체중)를 입력한 상태에서 4개의 전극(25a, 25b, 26a, 26b)에 신체의 일부(양측 손가락 등)를 접촉시켜 신체를 통과하는 전류의 속도를 측정하여 체지방율을 측정하는 것으로 이하 도 5에 예시되는 동작순서도를 통해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이 설치된 액서사리류(열쇠고리, 목걸이 등)와 같은 가벼운 휴대용품 등에 온/오프(ON/OFF)스위치(20)에 전원을 온(ON)시킨 상태에서 데이터입력부(33)의 조작버튼등을 조작하여 장비의 상태를 체지방 측정모드로 전환하고(A단계), 데이터입력부(33)의 조작버튼등을 조작하여 사용자 정보(성별, 연령, 신장, 체중)를 입력한다(B단계). 입력된 사용자 정보(성별, 연령, 신장, 체중)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수단(MPU; 30)의 데이터처리부(36)에 의해 가공되어 데이터입력부(33)에 입력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4개의 전극(25a, 25b, 26a, 26b)에 신체의 일부(양측 손가락 등)를 접촉시키면, 4개의 전극(25a, 25b, 26a, 26b)에서 출발한 전류가 사용자의 신체를 통과하여 다시 4개의 전극(25a, 25b, 26a, 26b)으로 통전하는데(C단계), 이때, 측정제어부(35)에서는 통전된 전류의 속도값을 측정(D단계)하여 되고, 데이터비교부(39)에서는 데이터입력부(33)에 입력되어 있는 사용자의 정보(성별, 연령, 신장, 체중) 및 측정된 전류의 속도값을 데이터저장부(37)에 입력되어 있는 체지방 조견데이터와 비교하여 가장 근사치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가를 검색하게 된다(E단계).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검색된 데이터는 데이터출력부(40)에 의해 가공되어디스플레이부(38)로 전송되며(F단계), 디스플레이부(38)는 검색된 데이터를 문자나 도형과 같은 형태로 장비의 표시창(LCD; 13)에 나타내어 주게 되고(G단계), 사용자는 각각의 과정을 통해 장비의 표시창(LCD; 13)에 나타난 문자나 도형을 통해 자신의 체지방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10)는 가장 대중적으로 보급되어 있는 액서사리류(열쇠고리, 목걸이 등)와 같은 가벼운 휴대용품 등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쉽고 간편하게 자신의 체지방을 측정하여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공중의 건강증진에 일조함은 물론이거니와 구성되는 부품 수를 줄여 소형화, 경량화 및 제작하는데 따른 작업량과 시간을 절약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되어져 누구나 쉽게 구입할 수 있도록 하여 체지방 측정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10)가 그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장비의 사용가치를 극대화시켜 제품경쟁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실로 다대한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8)

  1. 통전, 측정, 데이터의 출력, 데이터의 전송 등과 같은 각각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수단(MPU; 30)에 제 1전류통로형성 전극(25a), 제 2전류통로형성 전극(25b)과 제 1측정용 전극(26a), 제 2측정용 전극(26b)이 마련되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수단(MPU; 30)은 사용자 정보(성별, 연령, 신장, 체중)가 입력되는 데이터입력부(33)와, 통전의 제어를 위한 통전부(34), 통전수단(35)을 경유하게 되는 전류의 속도를 측정해주기 위한 측정부(36)와, 데이터입력부(33)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와 측정부(36)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가공하기 위한 데이터처리부(37)와, 데이터처리부(37)에 의해 가공된 데이터를 출력해주기 위한 디스플레이부(38)로 구성하고;
    상기 데이터처리부(37)는 사용자의 신체정보(성별, 연령, 신장, 체중)로 설정된 전류의 정상 속도값을 기준으로 하여 정상 속도값의 이상 및 이하되는 속도값에 따른 순차적인 조견데이터가 입력된 데이터저장부(39)와, 측정부(36)에서 측정된 전류의 속도값과 데이터저장부(39)에 입력되어 있는 데이터를 상호비교하여 가장 근사치를 이루는 체지방 데이터를 도출해주기 위한 비교부(40)와, 비교데이터를 가공하여 디스플레이부(38)로 전송해주기 위한 데이터출력부(41)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1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전극(25a, 25b, 26a, 26b)은 사용자의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접촉하는 면이 상기 본체(10)의 양면(12a, 12b)의 외부에 불쑥 튀어나온 블록형태를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10).
  3. 제 1항,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앞면(12a)과 뒷면(12b)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10).
  4. 제 1항, 제 2항,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앞면(12a)과 뒷면(12b)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4개의 전극(25a, 25b, 26a, 26b)의 전극군이 각각 앞면(12a)과 뒷면(12b)에 이면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10).
  5. 제 1항, 제 2항, 제 3항,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사용자의 신체정보(성별, 연령, 신장, 체중)의 개인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입력부(33)가 앞면(12a)에 설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10).
  6. 제 1항, 제 2항, 제 3항,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측정된 데이터가 가공 처리되어 뒷면(12b)의 디스플레이부(38)로 전송되어 표시창(LCD; 13)으로 나타내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10).
  7. 제 1항 내지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앞면(12a)과 뒷면(12b)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여러 다각형의 형상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10).
  8. 제 1항 내지 제 7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 수단(MPU; 30)에 마련되는 데이터입력부(33) 및 디스플레이부(38)가 액서사리류(열쇠고리, 목걸이 등)와 같은 가벼운 휴대용품 등에 장착되어 중앙처리장치(CPU; 50)가 장착된 전자회로기판(11)에 연계되어 상호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10).
KR1020010068413A 2001-11-05 2001-11-05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 KR200101102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413A KR20010110245A (ko) 2001-11-05 2001-11-05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413A KR20010110245A (ko) 2001-11-05 2001-11-05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245A true KR20010110245A (ko) 2001-12-12

Family

ID=45928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413A KR20010110245A (ko) 2001-11-05 2001-11-05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1024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26488B1 (en) Body fat determining device
US4949727A (en) Portable physical checker
US7087016B2 (en) Health management device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KR970000189A (ko) 생체전기 임피던스법을 이용한 인체 성분분석 및 그 분석방법
KR100374890B1 (ko) 휴대용 바이오일렉트릭 임피던스 측정장치
EP1021987B1 (en) Body fat meter
EP1371326A1 (en) Living body measurement apparatus
US20010034491A1 (en) Portable body fat monitor
KR100330746B1 (ko) 체지방 측정용 손목시계
KR20010110245A (ko)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
JP3975000B2 (ja) 体脂肪計
JP3133109B2 (ja) デジタルマルチメータ
JP2000051173A (ja) 腕時計型体脂肪測定器
US20030009109A1 (en) Bioelectrical impedance measuring apparatus
JP4010674B2 (ja) 体内脂肪計
KR200305405Y1 (ko) 블루투스 체지방 측정기
JP3917741B2 (ja) 体内脂肪計
KR20020024640A (ko) 체지방 측정장치
JPH1119059A (ja) 体内脂肪計
JP2000093400A (ja) パソコンを利用した体脂肪測定器
KR20030056292A (ko) 체지방 측정 키보드
JP2001137208A (ja) 体脂肪計
JP2001104275A (ja) 体脂肪計
JP2002017698A (ja) 体脂肪測定装置
KR20040103106A (ko) 신체 분석 저울용 측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