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0188A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0188A
KR20010040188A KR1020000063296A KR20000063296A KR20010040188A KR 20010040188 A KR20010040188 A KR 20010040188A KR 1020000063296 A KR1020000063296 A KR 1020000063296A KR 20000063296 A KR20000063296 A KR 20000063296A KR 20010040188 A KR20010040188 A KR 20010040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flexible substrate
display device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3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5349B1 (ko
Inventor
키타무라토시야스
치하라히로유키
테라오시니치
이시다타케후미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20010040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0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3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76Coupling devices for connection between PCB and component, e.g. 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1One or more single auxiliary printed circuits mounted on a main printed circuit, e.g. modules, adap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05K2201/055Folded back on itsel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표시 디바이스와 한쪽 표면에 패턴이 형성된 가요성 기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요성 기판은 절곡부를 통해 거의 중앙 부근에서 2개로 굽혀지고, 그 내면들은 밀봉하듯이 고정되어 제 1 패턴면(관련 부품)과 제 1 패턴면 대응면에서 제 2 패턴면(인쇄 기판의 접점부)을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액정 표시 장치는 단일면 패턴을 가지는 가요성 기판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고, 액정 표시 디바이스와 인쇄 회로 기판의 조립은 용이해질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한쪽 면에 패턴이 형성된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이 대략 중앙 부근에서 2개의 부분으로 절곡되어, 제 1 패턴 표면과 제 1 패턴 표면에 마주하는 제 2 패턴 표면을 구성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기와 PHS(개인 휴대용 전화 시스템)단말기 같은 휴대 가능한 단말기 장치는 해마다 더욱 소형화하고 경량화되고 있다. 최근에 박형화와 액정 표시부의 대화면화는 제품의 상품성을 위한 중요사항이 되어 왔다.
액정 표시 장치의 종래의 유리 케이싱 대신에 플라스틱 케이싱은 경량화와 박형화에 공헌해 왔다.
그러나, 플라스틱 액정 표시 장치는 접속부에서 열압착 방법을 수용할 수 없고, 그러므로 플라스틱 액정 표시 장치는 종래의 유리 액정 표시 장치를 위해 채택된 테이프형 접착 방식을 통한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가요성 기판)을 사용할 수 없다.
표시된 문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주 인쇄 회로 기판의 접속수는 증가한다. 이러한 것은 COF(Chip On Film)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열압착 방식을 통해 접속되어 주 회로 기판과의 접속극 수를 감소시킨다.
도 4는 유닛을 구성하기 위해 조립된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가요성 기판(31, 예를 들면 COF 가요성 기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는 유닛을 형성하기 위해 지지부재(32)에 의하여 포위되도록 조립된다. 유닛에 있어서, 가요성 기판(31)에 제공된 접점부(33)는 인쇄 회로 기판(34)에 제공된 커넥터(35)와 접촉한다.
도 5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액정 표시(LCD)부는 도 5에 도시된 액정 표시 장치 아래에 배열된다. 도 5를 참고하면,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디바이스(36,LCD)와 COF 가요성 기판과 같은 가요성 기판(31)으로 구성된다. COF 가요성 기판과 같은 가요성 기판(31)은 위치 결정용 구멍(39)이 구비되고, 인쇄 회로 기판의 커넥터(35)와 접촉하는 접점부(33)와 액정 표시 동작에 관련된 관련부품(40)이 설치된다.
도 6은 유닛을 구성하도록 조립된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테이프형 접착부(41)를 가지는 액정 표시장치는 유닛 형성하기 위해 지지 부재에 의해 포위되도록 조립된다. 유닛에 있어서, 테이프형 접착부(41)에 제공된 관련부품은 접착을 통해 테이프형 접착부(41)에 부착된다.
도 7은 유닛을 구성하도록 조립된 도 4에 도시한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정 단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지지 부재(32)에 형성된 보스(42)는 인쇄 회로 기판(34)의 위치 결정용 구멍을 관통할 뿐 아니라 COF 기판 같은 가요성 기판(31)의 위치 결정용 구멍(39)내에 삽입되어, 지지부재(32)에 제공된 후크(43)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34)에 고정된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 방식이 주 인쇄 회로 기판을 결합하도록 사용되면, 주 유닛의 설계의 관점에서,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의 칩 설치면은 주 인쇄 회로 기판의 접점부와 마주하여 결합된다는 문제가 있다.
COF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은 단일면 패턴를 사용한다. 따라서 가요성 회로 기판의 칩 설치면은 주 인쇄 회로 기판의 접점부에 마주하여 결합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 단일면 패턴을 가지는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가요성 기판)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고, 기기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정 표시 장치의 조립성이 제공하도록 적합하게 용이해질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서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디바이스와 가요성 기판의 한쪽 면에 형성된 패턴을 가지는 가요성 기판으로 구성되고, 상기의 가요성 기판은 대략 중앙에서 2개로 절곡되어 내면들이 밀봉 고정되어, 제 1 패턴면과 제 1 패턴면에 마주하는 제 2 패턴면을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액정 표시 장치는 단일면의 패턴을 가지는 가요성 기판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어, 액정 표시 장치의 조립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속되는 가요성 기판을 가지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이며, 전자 부품들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인접하여 장착되고 접점부들은 가요성 기판의 한쪽 면에 있는 전자 부품들에 인접하여 제공되며, 인쇄 회로 기판에 가요성 기판을 부착하기 위하여 가요성 기판은 S 자 형상으로 굽혀져,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전자 부품 및 접점부들이 위로부터 아래로 적층되는 것으로, 액정 디스플레이면이 상부에 노출되고, 전자 부품들이 중간에 있고, 접점부들이 하부에 노출되는 것에 의하여, 가요성 기판에 있는 접점부들이 인쇄 회로 기판에 제공된 접점부들과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전자 부품과 접점부가 한쪽 면에 제공되는 가요성 기판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패널은 인쇄 회로 기판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있어서,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과 연결되는 가요성 기판, 액정 표시 패널과 가요성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수단으로 구성되며, 전자 부품은 액정 표시 패널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접점부는 가요성 기판의 한쪽 면의 전자 부품에 인접하도록 미리 제공되며, 가요성 기판은 액정 표시 패널에 연결되며 지지 수단에 부착되고 S자 형상으로 굽혀지며, 액정 표시 패널, 전자 부품 및 접점부는 위에서부터 적층되어 액정 표시 패널 유닛을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액정 표시면이 상면에 노출되고 전자 부품이 삽입되며 접점부는 바닥에 노출되면서, 액정 표시 패널 유닛을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명의 제 4 양태에 있어서,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디바이스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지지부재에 부착된 가요성 기판과, 가요성 기판에 제공된 접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인쇄 회로 기판에 제공된 커넥터를 포함하며, 가요성 기판에는 가요성 기판을 거의 중앙에서 2개로 절곡될 수 있게 하는 절곡부가 제공되며 절곡부 부근의 하나의 선에 대하여 대칭인 위치 결정용 구멍이 제공되며,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점부는 가요성 기판의 전단부의 위치 결정용 구멍 가까이 제공되며, 액정 패널을 동작하기 위한 관련 부품은 가요성 기판의 절곡부 뒤에 있는 단부의 위치 결정용 구멍 가까이 설치되며 절곡부가 굽혀진 후 위치 결정되고 지지부재에 부착되며, 이에 의하여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인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액정 표시 장치는 단일면 패턴을 포함하는 가요성 기판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고 장치의 조립은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있어서, 가요성 기판의 전단부에 위치 결정용 구멍을 포함하는 가요성 기판의 배후측에 접착되는 보강판과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점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가요성 기판에 제공된 접점부는 인쇄 회로 기판에 설치된 커넥터와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는 가요성 기판에 제공된 절곡부는 가요성 기판의 양쪽에 거의 직사각형 절반의 형상인 노치들이 설치되고 중심부에 거의 직사각형인 하나의 노치가 각각 장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절곡부는 용이하게 굽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는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점부가 가요성 기판의 전단부의 위치 결정용 구멍 외측에 제공되고, 또한 액정 패널을 동작하기 위한 관련 부품은 가요성 기판의 절곡부 뒤에 있는 단부의 위치결정용 구멍 내측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요성 기판이 굽혀질 때조차 신호 공급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잡음은 상호간에 중복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 8 양태는 가요성 기판의 절곡부 뒤에 있는 단부의 위치 결정용 구멍 내측에 제공된 액정 표시 디바이스를 동작하기 위한 관련 부품이 가요성 기판의 중앙 부근에서 중량이 균형을 이루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제 7 양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균형 방법으로 가요성 기판에 설치된 부품을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여 가요성 기판의 부하를 제거한다.
도 1은 유닛을 구성하기 위해 조립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유닛을 구성하기 위해 조립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정단면도.
도 4는 유닛을 구성하기 위해 조립된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측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유닛을 구성하기 위해 조립된 종래의 다른 액정 표시장치의 측단면도.
도 7은 유닛을 구성하기 위해 조립된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가요성 기판 12 : 지지 부재
13 : 접점부 14 : 인쇄 회로 기판
15 : 커넥터 16 : 액정 패널
18 : 절곡부 19 : 위치 결정용 구멍
21 : 관련 부품 41 : 테이프형 접착부
43 : 후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에서 도 3을 참고하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유닛을 구성하도록 조립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끝단이 절곡부에서 굽혀진 가요성 기판(예를 들면 COF 가요성 기판, 11)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는 유닛을 형성하는 지지부재(12)에 의해 싸여지도록 조립된다. 유닛에 있어서, 가요성 기판(11)에 제공된 접점부(13)는 인쇄 회로 기판(14)에 제공된 커넥터(15)와 접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패널(LCD, 16)과 COF 가요성 기판 같은 가요성 기판(11)으로 구성된다. COF 가요성 기판같은 가요성 기판(11)은 절곡부(18)와 위치 결정용 구멍(19)이 제공된다. 인쇄 회로 기판의 커넥터와 액정 표시 동작에 관련된 칩과 같은 관련 부품(21)과 접촉하는 접점부(13)는 절곡부의 전후에 설치되거나 납땜된다.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점부(13)는 가요성 기판(11)의 전단부의 위치 결정용 구멍(19)외측에 제공되며 액정 패널을 동작하기 위한 칩같은 관련 부품(21)은 절곡부(18) 뒤에 있는 단부의 위치 결정용 구멍 내측에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신호 공급원에서 발생하는 잡음은 가요성 기판이 굽혀질 때조차 상호간에 겹쳐지지 않는다.
가요성 기판의 절곡부 뒤에 있는 단부의 위치 결정용 구멍 내측에 제공된 액정 디바이스를 동작하기 위한 칩과 같은 관련 부품(21)은 가요성 기판(11)의 중앙부근에서 균형을 이룬 중량을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균형 방법으로 가요성 기판에 설치된 부품을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여 가요성 기판의 부하를 제거한다.
절곡부(18)는 COF 가요성 기판같은 가요성 기판(11)의 양측에 거의 직사각형 절반의 형상인 노치들과 중심부에 거의 직사각형인 하나의 노치가 각각 장착된다.보강판(20)은 위치 결정용 구멍을 덮도록 접점부(13)에 접착된다. 절곡부(18) 전후로 형성된 하나의 선에 대해 대칭으로 제공된 위치 결정용 구멍(19) 내측에, 가요성 기판(11)이 절곡부(18)에서 절곡되는 동안에 지지부재(도3)의 보스(22)는 삽입될 수 있다. 그 결과, 접점부(13)는 인쇄 회로 기판에 제공된 커넥터(14)와 접촉하는 곳에 위치된다.
도 3은 유닛을 구성하도록 조립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지 부재(12)에 제공된 보스(22)는 인쇄 회로 기판(14)의 위치 결정용 구멍에 관통하도록 삽입되고, 또한 COF 기판과 같은 가요성 기판(11)의 위치 결정용 구멍(19)에 삽입되기에 적합하고, 지지부재(12)에 제공된 후크(23)에 의하여 인쇄 회로 기판(14)에 고정된다.
그 결과, COF와 같은 가요성 기판(11)에 제공된 접점부(13)는 적당한 압력으로 인쇄 회로 기판(14)에 제공된 커넥터(15)와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서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디바이스와 가요성 기판의 한쪽 면에 형성된 패턴을 가지는 가요성 기판으로 구성되고, 상기의 가요성 기판은 거의 중앙에서 2개로 절곡되고 또한 내면은 밀봉 고정되어 제 1 패턴면과 제 1 패턴면의 뒷면에 제 2 패턴면을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액정 표시 장치는 단일면의 패턴을 가지는 가요성 기판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고 액정 표시 장치의 조립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서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에 연결되는 가요성 기판을 가지며, 액정 표시 장치내의 전자 부품은 액정 표시 패널과 인접하게 설치되고, 접점부는 가요성 기판의 한쪽 면의 전자부품에 인접하여 제공되며, 또한 가요성 기판은 S형상으로 굽혀지고, 인쇄 회로 기판에 가요성 기판을 부착하기 위해 액정 표시 표면은 상부에서 노출되고 전자 부품은 삽입되며 접점부는 바닥에서 노출되면서 이에 의하여 가요성 기판의 접점부를 인쇄 기판에 제공된 접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액정 표시 패널, 전자 부품 및 접점부는 위에서부터 바닥까지 적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한쪽 면에 전자 부품과 접점부를 포함하는 가요성 기판이 제공된 액정 표시 패널은 인쇄 회로 기판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있어서,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과 연결되는 가요성 기판, 액정 표시 패널과 가요성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수단으로 구성되며, 전자 부품은 액정 표시 패널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접점부는 가요성 기판의 한쪽 면의 전자 부품에 인접하도록 미리 제공되며, 가요성 기판은 액정 표시 패널에 연결되며 지지수단에 부착되고 S자 형상으로 구부려지며, 액정 표시 패널, 전자 부품 및 접점부는 위에서부터 적층되어 액정 표시 패널 유닛을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액정 표시면이 상면에 노출되고 전자 부품이 삽입되며 접점부는 바닥에 노출되면서, 액정 표시 패널 유닛을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명의 제 4 양태에 있어서,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디바이스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지지부재에 부착된 가요성 기판과, 가요성 기판에 제공된 접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인쇄 회로 기판에 제공된 커넥터를 포함하며, 가요성 기판에는 가요성 기판을 거의 중앙에서 2개로 절곡될 수 있게 하는 절곡부가 제공되며 절곡부 부근의 하나의 선에 대하여 대칭인 위치 결정용 구멍이 제공되며,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점부는 가요성 기판의 전단부의 위치 결정용 구멍 가까이 제공되며, 액정 패널을 동작하기 위한 관련 부품은 가요성 기판의 절곡부 뒤에 있는 단부의 위치 결정용 구멍 가까이 설치되며 절곡부가 굽혀진 후 위치 결정되고 지지부재에 부착되며, 이에 의하여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인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액정 표시 장치는 단일면 패턴을 포함하는 가요성 기판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고 장치의 조립은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있어서, 가요성 기판의 전단부에서 위치 결정용 구멍을 포함하는 가요성 기판의 이면에 접착되는 보강판과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접점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가요성 기판에 제공된 접점부는 인쇄 회로 기판에 설치된 커넥터와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는 가요성 기판에 제공된 절곡부는 가요성 기판의 양쪽에 거의 직사각형 절반의 형상인 노치들이 설치되고 중심부에 거의 직사각형인 하나의 노치가 각각 장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절곡부는 용이하게 굽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는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점부가 가요성 기판의 전단부의 위치 결정용 구멍 외측에 제공되고, 또한 액정 패널을 동작하기 위한 관련 부품은 가요성 기판의 절곡부 뒤에 있는 단부의 위치결정용 구멍 내측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요성 기판이 구부려질 때조차 신호 공급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잡음은 상호간에 중복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 8 양태는 가요성 기판의 절곡부 뒤에 있는 단부의 위치 결정용 구멍 내측에 제공된 액정 표시 디바이스를 동작하기 위한 관련 부품이 가요성 기판의 중앙 부근에서 중량이 균형을 이루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제 7 양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균형 방법으로 가요성 기판에 설치된 부품을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여 가요성 기판의 부하를 제거한다.

Claims (8)

  1. 액정 표시 디바이스와;
    한쪽 면에 형성된 패턴을 가지는 가요성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기판은 대략 중앙 부근에서 2개의 부분으로 절곡되어 그 내면들이 밀착 고정되어, 제 1 패턴면과 제 1 패턴면에 마주하는 제 2 패턴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액정 표시 패널과;
    상기의 액정 표시 패널과 결합된 가요성 기판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전자부품들과;
    상기의 가요성 기판의 한쪽 면에 상기 전자 부품에 인접하게 제공된 접점부와;
    접점부를 가지는 인쇄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기판은 상기 액정 표시 패널과 상기 전자 부품 및 상기 접점부들이 위로부터 아래로 적층되도록 S 형상으로 절곡되고, 상기 가요성 기판은 인쇄 회로 기판에 부착되며, 상기 전자 부품은 중간에 있으며, 상기 접점부는 바닥에 노출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가요성 기판의 상기 접점부는 인쇄 회로 기판에 제공된 상기 접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 2항 있어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과 상기 가요성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4. 액정 표시 디바이스와;
    액정 표시 디바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가요성 기판과;
    상기 가요성 기판이 부착된 지지부재와;
    상기 가요성 기판이 거의 중앙 부근에서 2개로 굽혀지도록 가요성 기판에 제공된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 부근의 하나의 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상기 가요성 기판에 제공되는 위치 결정용 구멍들과;
    상기 가요성 기판의 전단부의 상기 위치 결정용 구멍 부근에 제공되며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접점부와;
    상기 가요성 기판의 상기 절곡부 뒤에 있는 단부의 상기 위치 결정용 구멍 부근에 설치된 상기 액정 표시 디바이스를 구동하며, 상기 절곡부가 굽혀진 후에 상기 지지 부재에 위치되어 부착되는 관련 부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기판의 일부분의 배면측에 결합되는 보강판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일부분은 상기 가요성 기판 전단부의 상기 위치 결정용 구멍과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가요성 기판의 양측에 있는 대략 직사각형 절반의 형상인 노치들과 상기 중앙 부근에 있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인 하나의 노치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는 상기 가요성 기판의 전단부의 상기 위치 결정용 구멍 외측에 제공되며, 상기 관련 부품은 상기 가요성 기판의 상기 절곡부 뒤에 있는 단부의 상기 위치 결정용 구멍 내측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부품이 상기 가요성 기판의 중앙 주위에서 중량이 균형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00063296A 1999-10-26 2000-10-26 액정 표시 장치 KR1007153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459599A JP4476395B2 (ja) 1999-10-26 1999-10-26 液晶表示装置
JP99-304595 1999-10-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0188A true KR20010040188A (ko) 2001-05-15
KR100715349B1 KR100715349B1 (ko) 2007-05-08

Family

ID=17934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3296A KR100715349B1 (ko) 1999-10-26 2000-10-26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28351B1 (ko)
EP (1) EP1096300B1 (ko)
JP (1) JP4476395B2 (ko)
KR (1) KR100715349B1 (ko)
CN (1) CN1182506C (ko)
DE (1) DE60032556T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040B1 (ko) * 2000-08-29 2004-01-13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모듈과 프린트 기판의 접속 구조 및 반도체 장치,표시 모듈 및 전자 부품
KR100434788B1 (ko) * 2001-02-28 2004-06-07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가요성 기판,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9640B2 (ja) * 2000-08-28 2006-01-25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2003005667A (ja) * 2001-06-21 2003-01-08 Pioneer Electronic Corp 表示装置
JP4144436B2 (ja) 2003-06-02 2008-09-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JP2006154366A (ja) * 2004-11-30 2006-06-15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および携帯電話
CN100443973C (zh) * 2005-02-03 2008-12-17 中华映管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可拆卸式散热结构
US20090025962A1 (en) * 2005-09-30 2009-01-29 Gelardi John A Electronic Module Expansion Bridge
JP5179005B2 (ja) * 2005-10-28 2013-04-10 甲府カシオ株式会社 画像表示モジュール
KR101345172B1 (ko) * 2008-07-18 2013-12-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영동 표시소자
KR101878179B1 (ko) * 2011-11-23 2018-07-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구동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9690128B2 (en) * 2014-07-25 2017-06-27 L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20160110861A (ko) * 2015-03-13 2016-09-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E102015106518A1 (de) * 2015-04-28 2016-11-03 Johnson Electric Germany GmbH & Co. KG Elektrisches Bauteil
WO2019174748A1 (en) 2018-03-16 2019-09-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Assembly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0889A (ja) 1986-05-30 1987-12-05 シャープ株式会社 平面形表示装置
JPS6480858A (en) 1987-09-24 1989-03-27 Toyota Motor Corp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crack detection
JPH02259623A (ja) * 1989-03-30 1990-10-22 Sharp Corp 液晶表示素子
US5075824A (en) * 1990-04-30 1991-12-24 Motorola, Inc. LCD/light wedge module
JP3317996B2 (ja) * 1992-06-03 2002-08-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機器の表示装置
JPH0624182A (ja) * 1992-07-07 1994-02-01 Japan Servo Co Ltd グリーティングカード
JP3594500B2 (ja) * 1998-11-12 2004-12-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液晶表示器取付接続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040B1 (ko) * 2000-08-29 2004-01-13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모듈과 프린트 기판의 접속 구조 및 반도체 장치,표시 모듈 및 전자 부품
KR100434788B1 (ko) * 2001-02-28 2004-06-07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가요성 기판,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96300A2 (en) 2001-05-02
EP1096300A8 (en) 2001-06-27
JP4476395B2 (ja) 2010-06-09
EP1096300A3 (en) 2001-10-24
KR100715349B1 (ko) 2007-05-08
DE60032556T2 (de) 2007-04-26
EP1096300B1 (en) 2006-12-27
JP2001125128A (ja) 2001-05-11
CN1182506C (zh) 2004-12-29
DE60032556D1 (de) 2007-02-08
CN1303085A (zh) 2001-07-11
US6628351B1 (en) 2003-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5349B1 (ko) 액정 표시 장치
JP4283575B2 (ja) 液晶モジュール
US7384272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JP3630116B2 (ja) 電気光学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
US20080062661A1 (en) Display module and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having the same
US20070126971A1 (en) Dual-display device with rigid-flex printed board having bonded connection means
JPH04368785A (ja) 同軸マルチ混在コネクタ
CN111326073A (zh) 一种阵列基板、显示面板、显示装置及制备方法
US20080095394A1 (en) Integrated assembly of speaker and intenna, assembly method thereof, an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US20090153769A1 (en) Flat panel display and backlight module thereof
EP1898680A1 (en) Display module and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having the same
TW406481B (en) Mobile phone
JP2000092174A (ja) 携帯電話機
JP3653981B2 (ja) 液晶装置の実装構造及び電子機器
JP2009289923A (ja) 基板接続構造及び電子機器
JP5547410B2 (ja) 回路装置及び電子機器
JP3941280B2 (ja) 液晶表示装置
CN209805879U (zh) 一种整合fpc的新型手机
JP3043743B1 (ja) Lcdモジュ―ルの実装構造
JP2003018264A (ja) 無線通信装置
CN113436531B (zh) 显示模组及显示装置
JP2002328391A (ja) 液晶表示モジュール
JP2000066175A (ja) 小型電子機器
KR20010104072A (ko) 폴더타입 휴대폰용 인쇄회로기판과 플렉시블 프린트서킷과의 결합장치
JP4146679B2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