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9568A - 고정될 수 있는 단일층 재료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정될 수 있는 단일층 재료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9568A
KR20010039568A KR1020000019221A KR20000019221A KR20010039568A KR 20010039568 A KR20010039568 A KR 20010039568A KR 1020000019221 A KR1020000019221 A KR 1020000019221A KR 20000019221 A KR20000019221 A KR 20000019221A KR 20010039568 A KR20010039568 A KR 20010039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particles
monolayer
single layer
re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9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9691B1 (ko
Inventor
에리히 슈미트
페터 그리노우스
토마스 큄펠
Original Assignee
볼프강 셰플러, 헤르베르트 몰덴하우어
칼 프로이덴베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90438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3956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볼프강 셰플러, 헤르베르트 몰덴하우어, 칼 프로이덴베르크 filed Critical 볼프강 셰플러, 헤르베르트 몰덴하우어
Publication of KR20010039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6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1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an adhesive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41D27/06Stiffening-pie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93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particulat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Manufacturing Of Multi-Layer Textile Fabr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될 수 있는 단일층 재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표면에 단속적으로 코팅된 반응성 접착제(2)가 단일층 재료(1)에 압축되고, 상기 반응성 접착제(2) 위에 입자형 용융 접착물(3)이 제공된다. 다음 단계에서 입자(3.1)가 압축되고, 이어서 용융 접착물(3)의 초과량의 입자(3.2)는 제거된다.

Description

고정될 수 있는 단일층 재료의 제조 방법 {A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FIXABLE MONOLAYER}
본 발명은 고정될 수 있는 단일층 재료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정될 수 있는 단일층 재료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코팅층으로 사용될 수 있는, 고정될 수 있는 단일층 재료에 관한 것이다.
절대적인 파괴 및 타격이 없는 고정층에 따른 단층 몰더의 요구는 상이한 프로세스 공학의 이노베이션을 가져온다. 따라서, 층 형태로 형성된, 다시 말해 타격을 방지하는 기본층 및 상부층과의 접착 결합에 영향을 미치는 비파괴성 커버링층으로 이루어진 접착제 포인트가 생성되어야만 한다. 이중층으로 형성된 접착제 포인트를 달성하기 위해, 상이한 방법, 예컨대 이중 분말 포인트 방법 또는 이중 플라스틱 포인트 방법이 실행될 수 있다.
이중 포인트 코팅을 갖는 단일층 재료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DP 2 214 236 비교). 여기서, 회전 스크린 인쇄법에 따라, 상이한 용융 접착물의 페이스트를 바로 연속해서 동일한 스크린 홀을 통해 밀어 붙이는, 내부에 놓인 두 개의 독더판이 작동함으로써, 층 형태의 구조를 가진 페이스트 포인트가 생긴다.
그러나, 비양자성 이중 포인트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트(분산 용융 접착물)는 하부 포인트로서 코팅되고, 물이 증발되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평균적인 소결 온도가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단일층 재료의 낮은 기본 중량에서 역전될 위험의 소지가 존재한다.
또한, 가교성 아크릴 하부 포인트(예컨대, 아크릴을 원료로 하는 바인더 분산)를 갖는 이중 포인트는, 아크릴의 가교 및 코팅된 중합체 분말을 하부 포인트로 소결하기 위한 높은 온도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 기술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고정될 수 있는 단일층 재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방법은 감지성 단일층 재료에 적합해야 한다. 상기 방법은 경제적이고 간단하게 실행될 수 있어야 한다. 그렇게 제조된 단일층 재료는 접착되지 않고 감겨질 수 있어야 한다. 상기 단일층 재료는 무한히 저장될 수 있어야 한다.
도 1은 반응성 접착제 및 용융 접착물을 갖는 단일층 재료의 개략적인 조망도.
도 2는 반응성 접착제 및 용융 접착물을 갖는 단일층 재료의 개략적인 단면 도.
도 2a는 도 2에 따른, 닙을 통과한 후의 단일층 재료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박막 및 제 2 웨브로 이루어진 라미네이트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단일층 재료 및 웨브로 이루어진 라미네이트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단일층 재료의 제조 과정.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단일층 재료 2: 접착제 포인트
3, 3.1, 3.2, 3.3: 입자 3.4: 용융 지대
4: 웨브 5: 라미네이트
12: 스프레딩 장치 13: 롤러
14: 발진 제어 장치 15: 흡입 장치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단일층 재료를 반응성 접착제에 의해 평면에 단속적으로 압축시키고, 상기 반응성 접착제 위에 입자형 용융 접착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될 수 있는 단일층 재료의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반응성 접착제로 이루어진 하부 포인트에 의해, 낮은 코팅 온도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기판은 열 부하를 적게 받는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고정될 수 있는 단일층 재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우선 습윤 가교성 PU 와 같은 반응성 접착제가, 공지된 고온 용융 방식에 따라, 예컨대 Roto-Therm/Meltprint 또는 스크린 인쇄법 또는 예컨대 Porous Coat에 비교될 수 있는 단속적인 표면 코팅에 의해 온도 감지 단일층 재료위에서 코팅된다.
상기 반응성 접착제를 갖는 영역 위에 복구가능한 용융 접착물의 입자가 코팅된다. 상기 영역은 접착된 영역위에서 접착성 접착제와 결합되며, 상기 접착제는 상기 입자를 직접 단일층 재료에 결합시킨다.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라, 아직 반응이 끝나지 않은 및/또는 응고되지 않은 접착제 내로 입자를 압착시킴으로써, 접착제와 입자의 결합이 개선된다. 이어서, 초과량의 중합체 분말은 예컨대 진동이나 흡입과 같은 적합한 처리에 의해, 단일층 재료로부터 제거된다.
프로세스의 가속도를 위해, 증기의 공급이 후속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반응성 접착제에 의해 코팅된 표면이 단일층 재료에 대해 반응하지 않고 및 상기 단일층 재료에 접착되지 않는 용융 접착물의 분말형 입자에 의해 완전히 코팅된다는 사실에 의해, 감겨질 때 층의 접착이 피해진다. 상기 접착제는 저장시 완전히 반응하여, 입자와의 결합을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방식의 코팅된 단일층 재료는 무한히 저장될 수 있고, 임의의 시점에 이에 상응하는 상부 재료에 열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임의의 고온 용융제가 접착제로 사용될 수 있다. 이것에 대한 예는 습윤 가교성 고온 용융제, 특히 습윤 가교성 폴리우레탄이다.
열가소성 용융 접착물의 입자는 접착제가 제공된 후에 바로 코팅된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는 아직 완전히 반응이 끝나지 않았으며, 여전히 접착성이라는 것이 중요하다.
사용된 용융 접착물은 열가소성 고정 분말이며, 특별한 제한이 없다. 용융 접착물의 재료는 Co-폴리에스터(Co-PES), Co-폴리아이드(Co-PA),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또는 폴리에틸렌(PE)으로 바람직하게 이루어진다. 선택은 최종 응용, 예컨대 상부 재료 또는 섬유 복원성에 대한 요구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 임의의 단일층 재료가 처리될 수 있다. 이것에 대한 예는 부직포, 편물 또는 직물이다. 상기 단일층 재료는 단일층 재료용으로서 통상적인 섬유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것에 대한 예는 PES, PA6 또는 PA66, 비스코스, 면직, 아크릴 및 그 혼합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재료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더 자세히 설명된다.
실시예 1:
35 g/m2 의 부직포(포인트 캘린더에 의해 열적으로 결합된, 100 % PA6-섬유)는 CP 52의 템플레이트에 의한 스크린 인쇄 방법에 따라, 80 ℃에서 3 g/m2의 습윤 가교성 PU(Ceca의 제품)에 의해 압축된다. 바로 다음에, 반응성 고온 용융제가 완전한 틈을 유지할 동안, 14 g/m2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터 분말이 80-160 μ의 스크린 파단면의 평면에 산포된다. 상기 산포된 중합체 입자는 접착성 고온 용융재 포인트에 점착된다(경우에 따라 가벼운 압축에 의해 결합이 지지된다.). 초과량의 분말 입자는 흡입에 의해 제거됨으로써, 전체적으로 7 g/m2 의 중합체 분말이 반응성 접착물과 결합되어 남아있다. 코팅된 단일층 재료는 감겨진다. 상기 방식의 용융 접착물을 갖는 단일층 재료는 140 ℃의 순환 압축기에서 적합한 상부 재료로 라미네이팅될 수 있다.
실시예 2:
25 g/m2의 부직포는 CP 37의 인쇄 롤러(37 포인트/㎝2)에 의한 Rototherm 방식에 따라, 4 g/m2 의 습윤 가교성 폴리우레탄(H.B Fuller의 제품)에 의해 95 ℃에서 압축된다. 바로 이어서, 반응성 고온 용융제가 틈을 유지할 동안, 24 g/m2의 열가소성 폴리메이드 분말(Platamid H106. ATOCHEM 제품)이 분말 건(gun)(Nordson System)에 의한 송풍에 의해, 0-160 μ의 스크린 파단면에 제공된다. 산포된 중합체 입자는 접착성 고온 용융제 포인트에 점착된다(경우에 따라 가벼운 압축에 의해 결합이 지지된다). 그러나, 초과량의 분말 입자는 타격/진동에 의해 제거됨으로써, 전체적으로 8 g/m2의 중합체 분말이 반응성 접착제와 결합되어 남아있다. 가교를 가속화하기 위해, 직물의 발진이 제어된다. 코팅된 단일층 재료는 감겨진다. 용융 접착물을 갖는 상기 방식의 단일층 재료는 130 ℃의 밴드 캘린더 내에서 적합한 상부 재료로 라미네이팅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단일층 재료(1)는 접착제 포인트(2)의 형태로 반응성 접착제에 의해 코팅된다. 상기 접착제 포인트(2)는 실시예에서 다수의 열(a, b, c)로 나란히 분포된다.
상기 접착제 포인트(2)는 열(a)에 배치된 접착제 포인트를 제외하고는, 단일층 재료(1)에 산포된 용융 접착물의 입자(3)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두 가지 원리, 즉 중력 방향으로 또는 중력 반대 방향으로, 산포 및 송풍에 의한 코팅을 피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는 단일층 재료(1)의 이동을 통해, 입자(3)가 스스로 상기 단일층 재료(1)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입자(3)는 접착제 포인트(2)에 이르게 되어, 상기 포인트(2)와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은 상기 접착제 포인트(2)의 재료 특성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입자(3)는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단일층 재료(1)와는 달리, 무반응성 및 비접착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열(c)의 단면도이다. 단일층 재료(1)는 거기에 있는 접착제 포인트(2) 및 용융 접착물의 입자(3)와 함께 검출될 수 있다. 상기 입자(3)는 한편으로는 상기 접착제 포인트(2)와 결합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박막(1)위에 떨어져 놓인다. 떨어져 놓인 입자(3.2)는 상기 접착제 포인트(2)가 완전히 채워지자마자, 박막으로부터 제거된다.
도 2a는 닙을 통과한 후에 응집된 접착제 포인트(2) 및 입자(3)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닙은 원래 높이의 0.95 내지 0.5 배까지 감소된 높이로 제공된다. 이는, 한편으로는 입자(3.2)가 아직 경화되지 않은 접착제 포인트(2)속으로 파고 들어감으로써, 다른 한편으로는 입자(3.3)가 변형됨으로써 일어난다. 이를 위해, 닙에 의해 상응하는 압축이 실행되어야만 한다.
용융 접착물의 입자(3.1)에 의해 완전히 덮인 접착제 포인트(2)에서, 상이한 박막이 서로 접착되지 않고 겹쳐진 모습이 개략도에 나타난다. 여기서, 상기 용융 접착물의 입자(3)는 단일층 재료(1)와는 달리 무반응성 및 비접착성을 지니게 된다.
도 3은 단일층 재료(1) 및 웨브(4)로 이루어진 라미네이트(5)를 나타낸다. 상기 라미네이트(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박막(1)이 열과 압력에 의해 단일층 재료(1)와 결합됨으로써 얻어지며, 용융 접착물의 입자(3)는 용융 지대(3.4)로 융화된다. 반응성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제 포인트(2)는 상기 용융 접착물의 입자와는 달리 변형없이 남아있다.
반응성 접착제로는 반응성 고온 융해제 조직이 고려되며, 상기 조직은 비교적 낮은 용융 온도에서 정밀한 박막, 특히 매우 얇은 막으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용융 접착물, 특히 열가소성 중합체의 입자와의 결합에 의해, 압력 및/또는 온도의 작용하에 웨브와의 결합이 가능해진다.
분말형 용융 접착물의 코팅 및 초과량의 접착물의 코팅은, 중력 방향으로 또는 중력 반대 방향으로, 한편으로는 산포 및 적하(滴下)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는 송풍 및 흡입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헤드위로 제공된 박막위에서 송풍에 의한 중력 반대 방향으로의 코팅은 초과량의 입자의 적하를 가능하게 한다. 이에 반해서, 진동에 의한 중력 방향으로의 코팅은, 초과량의 입자가 흡입되기 전에 입자를 이리 저리 움직이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투과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압축 롤러(11)에 의해, 습윤 가교성 폴리우레탄이 접착제 포인트(2)로서 단일층 재료(1)위에 코팅된다. 바로 그 다음 단계에서, 용융 접착물로서 중합체 분말 입자(3)가 스프레딩 장치(12)에 의해 접착제 포인트(2)에 의해 코팅된 단일층 재료(1)위에 중력 방향으로 코팅된다. 롤러(13)에 의해, 상기 접착체 포인트 위의 입자(3)는 파워 프레스를 통해 내부적으로 결합된다.
습윤 가교성 폴리우레탄의 반응을 가속하기 위해, 단일층 재료의 구조가 이를 허용할 경우, 수증기용 발진(發振) 제어 장치(14)가 제공될 수 있다.
흡입 장치(15)에 의해, 용융 접착물의 초과량의 입자(3.2)가 단일층 재료(1)로부터 제거됨으로써, 상기 단일층 재료(1)위에는 단지 거기에 점착된 입자(3.1)를 가진 접착제 포인트(2)만이 남아있게 된다.
최종 생산물은 열가소성 코팅에 의해 반응이 끝난 반응성 접착제 포인트를 갖는 박막이다.
본 발명에 의해, 선행 기술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고정될 수 있는 단일층 재료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감지성 단일층 재료에 적합하고, 경제적이고 간단하게 실행되며, 이렇게 제조된 단일층 재료는 접착되지 않고 감겨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일층 재료는 무한히 저장될 수 있다.

Claims (9)

  1. 고정될 수 있는 단일층 재료(1)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단일층 재료(1)에 반응성 접착제(2)가 표면에 단속적으로 제공되고, 상기 반응성 접착제(2) 위에 분말형 용융 접착물(3)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접착제(2)와 결합되는 분말형 용융 접착물(3)의 입자(3.1)가 아직 반응이 끝나지 않은 및/또는 응고되지 않은 접착제(2)속으로 침투되며, 상기 용융 접착물(3)의 초과량의 입자(3.2)는 바람직하게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2)가 습윤 가교성, 특히 습윤 가교성 폴리우레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접착물(3)이 Co-PES, Co-PA, EVA, TPU 또는 PE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2)가 원래 공지된 방법에 따라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층 재료(1)가 부직포, 편물 또는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층 재료(1)가 PES, PA6 또는 PA66, 비스코스, 면직, 아크릴 및 그 혼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방법.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될 수 있는 단일층 재료.
  9. 코팅층 제조를 위한, 청구항 제 8항에 따른 고정될 수 있는 단일층 재료의 용도.
KR10-2000-0019221A 1999-04-13 2000-04-12 고정가능한 심재의 제조 방법 KR1004496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16628.5 1999-04-13
DE19916628A DE19916628C2 (de) 1999-04-13 1999-04-13 Verfahren zur Herstellung fixierbarer Einlagestoff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568A true KR20010039568A (ko) 2001-05-15
KR100449691B1 KR100449691B1 (ko) 2004-09-22

Family

ID=7904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9221A KR100449691B1 (ko) 1999-04-13 2000-04-12 고정가능한 심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344238B1 (ko)
EP (1) EP1044617B1 (ko)
JP (1) JP3540979B2 (ko)
KR (1) KR100449691B1 (ko)
CN (1) CN1159997C (ko)
AT (1) ATE240056T1 (ko)
DE (2) DE19916628C2 (ko)
PL (1) PL339587A1 (ko)
TW (1) TW5068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9491B2 (ja) * 2000-08-01 2011-08-03 ダイワボウ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機能性繊維シート状物及びその製造方法
DE10050231A1 (de) * 2000-10-11 2002-04-25 Degussa Vernetzende Basisschicht für Fixiereinlagen nach dem Doppelpunkt- und Pastenverfahren
AU2003208875A1 (en) * 2003-02-19 2004-09-09 Hansel Textil Gmbh Fixable interlining material,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DE10307602A1 (de) * 2003-02-22 2004-09-16 Lentjes, Carsten Gegenstand der zur Verklebung vorgesehen ist
DE102004012269A1 (de) * 2004-03-13 2005-09-29 Carl Freudenberg Kg Textile Flächengebilde mit rasterförmiger Beschichtung,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102005006470B4 (de) * 2005-02-12 2013-12-05 Carl Freudenberg Kg Textile Flächengebilde mit verbesserter Beschichtung,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602006020704D1 (de) * 2005-03-16 2011-04-28 Stuart Press Hydrophobes isoliermaterial
EP1749451A1 (fr) * 2005-08-05 2007-02-07 Arkema France Procédé de collage de textiles à l'aide de colle thermofusible
DE102006036830A1 (de) * 2006-08-07 2008-02-21 Eswegee Vliesstoff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ixierbaren Einlagestoffes, textile Fixiereinlage sowie Verwendung einer textilen Fixiereinlage
US20080166939A1 (en) * 2007-01-09 2008-07-10 Freudenberg Nonwovens L.P. Acoustical Substrate
DE102007028263A1 (de) 2007-06-15 2008-12-18 Carl Freudenberg Kg Verbund zur Verwendung in Kleidungsstücken
DE102008012160B3 (de) * 2008-03-01 2009-10-08 Hänsel Textil GmbH Leichter textiler Einlagestoff
KR101290924B1 (ko) 2010-10-18 2013-07-29 박성호 Uv 반응형 핫멜트 점착제를 사용한 통기성 테이프 제조방법
CN102658715B (zh) * 2012-05-15 2014-05-28 上海美声服饰辅料有限公司 一种热转印标签制作设备
JP6175918B2 (ja) * 2012-07-04 2017-08-09 日東紡績株式会社 接着芯地の製造方法、及び接着芯地
DE102015005495A1 (de) * 2015-04-30 2016-11-03 Klebchemie M.G. Becker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trukturierten Oberflächen und derart strukturierte Gegenstände
JP6755604B2 (ja) * 2017-06-08 2020-09-16 株式会社ユタックス 芯材入り衣類の製造方法および芯材入り衣類
WO2019104520A1 (zh) * 2017-11-29 2019-06-06 台湾科德宝宝翎不织布股份有限公司 复合材料结构及其制造方法
WO2020179172A1 (ja) 2019-03-05 2020-09-10 日東紡績株式会社 接着芯地
KR102104745B1 (ko) * 2019-04-29 2020-04-24 이은진 유아용 턱받이 및 그 제조방법
IT201900022143A1 (it) * 2019-11-26 2021-05-26 Calzedonia S P A Metodo per la produzione di un indumento di biancheria intima, in particolare un reggiseno.
CN112853610B (zh) * 2020-12-29 2022-09-13 东华大学 一种高强耐磨黄麻非织造布及其制备方法
CN115318543B (zh) * 2022-09-05 2023-03-24 浙江长兴维美丝特衬布有限公司 一种保温型吸湿防潮无纺粘合衬布的生产设备及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14236C3 (de) * 1972-03-23 1983-11-10 Kufner Textilwerke KG, 8000 München Rasterförmige Beschichtung aus Heißsiegelklebern auf Flächengebilden
US4923555A (en) * 1986-09-10 1990-05-08 As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steam lamination
FR2636986B1 (fr) * 1988-09-28 1991-03-01 Picardie Lainiere Procede de fabrication d'un produit textile thermocollant bireactif et produit resultant
JPH037778A (ja) * 1989-06-06 1991-01-14 T & M Kk 圧着再剥離性接着シート
JPH0711585A (ja) * 1993-04-30 1995-01-13 Kotec Kk 接着芯地及びその製造方法
DE59403876D1 (de) * 1994-03-30 1997-10-02 Kufner Textilwerke Gmbh Verfahren zum rasterförmigen Beschichten von Flächengebilden mit Schmelzklebern
JPH08120231A (ja) * 1994-10-21 1996-05-14 Toyo Cloth Kk 接着シート
DE19510315A1 (de) * 1995-03-22 1996-09-26 Huels Chemische Werke Ag Schmelzklebermasse zur Beschichtung von Einlagenstoff
KR19990022919A (ko) * 1995-06-13 1999-03-25 데이비드 엠 모이어 접착제 테이프 및 그의 제조방법
FR2745595B1 (fr) * 1996-02-29 1998-05-22 Picardie Lainiere Entoilage thermocollant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ATE251252T1 (de) * 1997-02-26 2003-10-15 Solipat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schichten eines bahnförmigen flächengebildes
JP3619714B2 (ja) * 1999-02-26 2005-02-16 名古屋油化株式会社 スプレー塗布用ホットメルト接着剤粉末分散液、熱接着性シート、内装材、熱成形性繊維シート及びカーペ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44617A2 (de) 2000-10-18
EP1044617A3 (de) 2000-12-06
US6344238B1 (en) 2002-02-05
JP3540979B2 (ja) 2004-07-07
CN1159997C (zh) 2004-08-04
EP1044617B1 (de) 2003-05-14
TW506822B (en) 2002-10-21
DE19916628C2 (de) 2001-07-19
KR100449691B1 (ko) 2004-09-22
ATE240056T1 (de) 2003-05-15
JP2000345475A (ja) 2000-12-12
PL339587A1 (en) 2000-10-23
CN1271551A (zh) 2000-11-01
DE50002139D1 (de) 2003-06-18
DE19916628A1 (de) 2000-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39568A (ko) 고정될 수 있는 단일층 재료의 제조 방법
US4894277A (en) Application method and products that use a foamed hot melt adhesive
CN1081693C (zh) 热融衬的制造方法
JPH0444568B2 (ko)
KR102038779B1 (ko) 열접착이 가능한 투습방수성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US11135809B2 (en) Thermally-bondable multi-layered composite film for manufacturing outdoor cloth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189111C (zh) 用于制造易熔衬里的方法
KR20010014724A (ko) 표면에 단속적으로 코팅된 반응성 접착제를 가진 박막 및그 제조 방법
JP2012510536A (ja) 熱溶融性自己固着粒子組成物およびかかる組成物を使用した接着方法
TWI672406B (zh) 具自黏透氣不織布製程及其成品
KR20110009617A (ko) 핫멜트 필름과 피착제를 접착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핫멜트 필름이 접착된 피착제
CN1181964C (zh) 具有远红外线放射性薄膜的制法及其产品
KR101629735B1 (ko) 열융착 부직포, 그 제조방법 및 그 부착 방법
TWI705896B (zh) 彈性不織布及其製造方法
JPH0393526A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複合体の製造方法
CN109594343B (zh) 一种高透气性无纺布及生产该无纺布的生产工艺
CN108611009A (zh) 胶层转移结构及其制造方法
RU2228692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термоклеевого прокладо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JPH04179545A (ja) ヒートシール性通気包装材料の製造方法
JP3098333U6 (ja) 表面に断続的にならぶ領域に反応型接着剤を塗布されてなるフィルム
JPH08309899A (ja) 処理シートおよび該処理シートの製造方法
HU187183B (en) Flexible structural material of losse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S60190270A (ja) コンクリ−ト型枠用板の製造方法
JPH08267691A (ja) 接着積層品の製造方法
JPS60131299A (ja) 転写用構造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転写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