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9735B1 - 열융착 부직포, 그 제조방법 및 그 부착 방법 - Google Patents

열융착 부직포, 그 제조방법 및 그 부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9735B1
KR101629735B1 KR1020140147669A KR20140147669A KR101629735B1 KR 101629735 B1 KR101629735 B1 KR 101629735B1 KR 1020140147669 A KR1020140147669 A KR 1020140147669A KR 20140147669 A KR20140147669 A KR 20140147669A KR 101629735 B1 KR101629735 B1 KR 101629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weight
fibrous web
nonwoven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7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9891A (ko
Inventor
하종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도에프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도에프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도에프앤씨
Priority to KR1020140147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735B1/ko
Publication of KR20160049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 D04H1/48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in combination with weld-bond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D04H1/55Polyesters

Abstract

열융착에 의하여 기재에 부착될 수 있는 자동차 부품용, 의류용 및 산업용 열융착 부직포, 그 제조방법 및 그 부착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열융착 부직포는, 부착층의 역할을 하며, 접착 섬유 웹(52)을 포함하는 접착 섬유층(50); 및 상기 접착 섬유층(50)의 상부에 형성되어 표면 및 부직포층의 역할을 하며, 부직포 섬유 웹(62) 및 이를 결합시키기 위한 케미칼 바인더(64)를 포함하는 부직포 섬유층(60)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 섬유 웹(52)은 10 내지 90 중량%의 로우멜트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10 내지 90 중량%의 부직포 형성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부직포 섬유 웹(62)은 60 내지 100 중량%의 부직포 형성 섬유 및 0 내지 40 중량%의 로우멜트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로우멜트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상기 부직포 형성 섬유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용융되어 기재에 접착된다.

Description

열융착 부직포, 그 제조방법 및 그 부착 방법{Heat-welding nonwoven fabric,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method of weld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융착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융착에 의하여 기재에 부착될 수 있는 자동차 부품용, 의류용 및 산업용 열융착 부직포, 그 제조방법 및 그 부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직포는, 일정한 길이와 굵기를 가진 섬유를 카딩(carding)하여 시이트(sheet) 또는 웹(web)을 형성한 후, 니들 펀칭, 수류(water zet) 결합 등의 물리적 방법으로 결합시키거나, 케미칼 본딩(chemical bonding)에 의한 화학적 방법으로 결합시킨 펠트(felt) 형태의 섬유 제품을 말한다. 부직포는, 자동차 부품용, 의류용, 산업용 등의 여러 용도로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케미칼 본딩에 의한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침지식(浸漬式)과 건식(乾式)으로 분류될 수 있다. 침지식은 초지식(抄紙式)이라고도 하며, 섬유 시이트 또는 웹을 합성수지 바인더 용액에 침지시킨 후, 열을 가하여 섬유를 결합시키는 방법이고, 건식은 섬유 시이트 또는 웹에 합성수지 바인더를 분사하고, 열을 가하여 섬유를 결합시키는 방법이다.
한편, 이와 같이 제조된 케미칼 본딩 부직포를 기재(substrate)에 부착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 후드, 헤드라이너, 배터리 커버 등의 자동차 내외장 부품의 제조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기재의 표면에 부직포를 부착하여, 제품에 쿠션감을 제공하거나, 제품을 고급화할 필요가 있다. 도 1은 기재의 표면에 케미칼 본딩 부직포를 부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미칼 본딩 부직포(20)를 기재(10)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부직포(20) 표면에 핫멜트 파우더(22)를 도포하고, 핫멜트 파우더(22) 도포면과 기재(10)를 맞댄 다음, 가열 및 압착하여, 부직포(20)를 기재(10)에 열융착시키는 방법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핫멜트 파우더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핫멜트 파우더(22)를 이용하여 부직포(20)와 기재(10)를 열 압착시키면, 부직포(20)와 기재(10)가 결합하여, 부직포(20)가 기재(10)의 표피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핫멜트 파우더(22)의 도포는, 케미칼 본딩 부직포(20)의 생산 후, 별도로 핫멜트 파우더(22)를 부직포(20)의 일면에 도포하고 열처리하거나, 부직포(20)를 생산하면서, 웹(web)에 케미칼 바인더와 핫멜트 파우더(22)를 도포하고, 동시에 열처리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케미칼 본딩 부직포(20)의 경우, 케미칼 바인더를 사용하며 카딩된 웹(web)의 섬유들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케미칼 바인더의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이와 같이 열처리 공정을 통해 제조된 케미칼 본딩 부직포(20)에 다시 핫멜트 파우더(22)를 도포하고 열처리하면, 열처리 공정을 2중으로 수행하므로,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에너지 사용량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핫멜트 파우더 도포에 별도의 설비와 작업 인원이 소요되므로, 생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부직포(20)에 미세한 입자 상태의 핫멜트 파우더(22)를 도포하는 경우, 약 2 내지 5 중량%의 핫멜트 파우더(22)가 부직포(20)의 외부로 비산되어 손실될 뿐만 아니라, 핫멜트 파우더(22)가 부직포(20)에 균일하게 도포되지 못하고, 산포 또는 응집되어, 부직포(20)와 기재(10)의 접착 불량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핫멜트 파우더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기재와 균일하게 접착될 수 있는 케미칼 본딩 부직포, 그 제조방법 및 그 부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속 공정 및 1회의 열처리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이 단순하고 경제적인 열융착 부직포, 그 제조방법 및 그 부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착층의 역할을 하며, 접착 섬유 웹(52)을 포함하는 접착 섬유층(50); 및 상기 접착 섬유층(50)의 상부에 형성되어 표면 및 부직포층의 역할을 하며, 부직포 섬유 웹(62) 및 이를 결합시키기 위한 케미칼 바인더(64)를 포함하는 부직포 섬유층(60)을 포함하는 열융착 부직포로서, 상기 접착 섬유 웹(52)은 10 내지 90 중량%의 로우멜트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10 내지 90 중량%의 부직포 형성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부직포 섬유 웹(62)은 60 내지 100 중량%의 부직포 형성 섬유 및 0 내지 40 중량%의 로우멜트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로우멜트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상기 부직포 형성 섬유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용융되어 기재에 접착되는 것인, 열융착 부직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제1 카딩기(100)를 이용하여, 10 내지 90 중량%의 로우멜트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10 내지 90 중량%의 부직포 형성 섬유를 포함하는 접착 섬유 웹(52)을 형성하는 단계; 제2 카딩기(110)를 이용하여, 70 내지 100 중량%의 부직포 형성 섬유 및 0 내지 30 중량%의 로우멜트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섬유 웹(62)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카딩기(100)에서 형성된 접착 섬유 웹(52) 및 상기 제2 카딩기(110)에서 형성된 부직포 섬유 웹(62)을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부직포 섬유 웹(62)의 형성 후, 상기 부직포 섬유 웹(62)에 케미칼 바인더(64)를 적용시키거나, 상기 접착 섬유 웹(52) 및 부직포 섬유 웹(62)을 적층한 후, 적층된 접착 섬유 웹(52) 및 부직포 섬유 웹(62) 전체에 케미칼 바인더(64)를 적용시키고, 가열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융착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열융착 부직포의 접착 섬유층(50)을,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열융착 부직포의 접착 섬유 웹(52)에 포함된 로우멜트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가열 및 압착되어, 상기 로우멜트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용융되어 기재에 접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융착 부직포의 부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융착 부직포는 핫멜트 파우더를 사용하지 않아, 기재와 보다 균일하게 접착될 수 있으며, 연속 공정 및 1회의 열처리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이 단순하고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도 1은 기재의 표면에 케미칼 본딩 부직포를 부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융착 부직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융착 부직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융착 부직포가 표면에 부착된 자동차 배터리 커버의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융착 부직포가 표면에 부착된 터널 아웃터의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융착 부직포는, 표면층과 부착층이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진 복합 소재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융착 부직포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융착 부직포는, 부착면 또는 부착층의 역할을 하는 접착 섬유층(50) 및 상기 접착 섬유층(50)의 상부에 형성되어 표면 및 부직포층의 역할을 하는 부직포 섬유층(60)을 포함한다. 상기 부직포 섬유층(60)은 부직포 섬유 웹(62) 및 이를 결합시키기 위한 케미칼 바인더(64)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 섬유층(50)은 접착 섬유 웹(52) 및 필요에 따라 케미칼 바인더(64)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 섬유 웹(52)은 10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중량%의 로우멜트 폴리에스테르 섬유(Low-melt polyester fiber, LM PET Fiber) 및 10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중량%의 부직포 형성 섬유를 포함한다. 상기 부직포 섬유 웹(62)은 60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 중량%의 부직포 형성 섬유 및 0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 중량%의 로우멜트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 섬유 웹(52)에서 로우멜트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함량이 너무 작으면, 열융착 부직포와 기재와의 접착력이 불충분할 수 있으며, 로우멜트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상기 접착 섬유 웹(52)의 기계적 강도가 너무 낮아져, 열융착 부직포와 기재가 불균일하게 접착될 우려가 있다. 상기 부직포 섬유 웹(62)은 부직포 형성 섬유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부직포 형성 섬유 사이의 결합력 향상을 위하여, 소량의 로우멜트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우멜트 폴리에스테르 섬유(LM PET Fiber)는 소정의 낮은(low) 온도, 구체적으로는 상기 부직포 형성 섬유의 융점 보다 낮은 온도에서 용융되어(melt) 접착제로서 작용하는 섬유를 의미하고, 상기 부직포 형성 섬유는 상기 로우멜트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용융되는 온도에서 녹지 않아, 부직포를 형성하는 섬유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로우멜트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부직포 형성 섬유는 특정 온도에서 용융되고, 용융되지 않는 서로 상대적인 개념의 섬유이다. 예를 들면, 상기 로우멜트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융점은 70 내지 120 ℃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부직포 형성 섬유의 융점은 120 ℃, 바람직하게는 130 ℃를 초과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로우멜트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융점이 80 내지 100 ℃이면, 상기 부직포 형성 섬유의 융점은 100 ℃, 바람직하게는 110 ℃를 초과하여야 한다.
상기 부직포 형성 섬유로는, 일반 폴리에스테르(PET) 섬유, 폴리프로필렌(PP) 섬유, 레이온 섬유 등의 통상의 부직포 형성 섬유를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 형성 섬유는, 로우멜트 폴리에스테르 섬유와의 상용성을 고려하면, 폴리에스테르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접착 섬유 웹(52)의 부직포 형성 섬유는 10 내지 90 중량%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10 내지 90 중량%의 폴리프로필렌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부직포 섬유 웹(62)의 부직포 형성 섬유는 60 내지 100 중량%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0 내지 20 중량%의 폴리프로필렌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부직포 섬유 웹(62) 및/또는 접착 섬유 웹(52)을 결합시키는 케미칼 바인더(64)로는 통상의 부직포 제조용 케미칼 바인더를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케미칼 바인더(64)의 예로는 수용성 라텍스(latex), 합성 또는 천연 고무, 전분(starch), 열가소성 수지(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아크릴 중합체, 비닐 중합체 등)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융착 부직포에 있어서, 상기 케미칼 바인더(64)는 부직포 섬유 웹(62)에만 적용되면 충분하지만, 공정의 효율성이나 부직포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접착 섬유 웹(52)에도 적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케미칼 바인더(64)는 다양한 방법으로 부직포 섬유 웹(62) 및/또는 접착 섬유 웹(52)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미칼 바인더(64)가 분산된 수용액에 부직포 섬유 웹(62) 및/또는 접착 섬유 웹(52)을 침지시킨 후 가열 및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거나, 케미칼 바인더(64)가 분산된 수용액을 거품(foam) 형태로 섬유 웹(62, 52)에 적용시키거나, 분무하거나(spray), 인쇄하는 등의 방법으로 부직포 섬유 웹(62) 및/또는 접착 섬유 웹(52)에 적용하고 가열 및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 섬유층(60)에 있어서, 부직포 섬유 웹(62)의 함량은 10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 중량%이고, 상기 케미칼 바인더(64)의 함량은 5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중량%이다. 또한, 상기 접착 섬유층(50)에 있어서, 접착 섬유 웹(52)의 함량은 10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 중량%이고, 상기 케미칼 바인더(64)의 함량은 5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융착 부직포의 단위 중량은 예를 들면 20 내지 150 g/㎡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융착 부직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융착 부직포의 제조 방법은 2 이상의 서로 다른 섬유를 동시에 카딩(carding)하여 웹을 형성하는 멀티카딩 방식을 이용한다. 본 발명에 따라 열융착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카딩기(100, carding machine)를 이용하여, 10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중량%의 로우멜트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10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중량%의 부직포 형성 섬유를 포함하는 접착 섬유 웹(52)을 형성한다. 동시에, 제2 카딩기(110)를 이용하여, 70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 중량%의 부직포 형성 섬유 및 0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 중량%의 로우멜트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섬유 웹(62)을 형성한다. 상기 카딩기(100, 110)는 원섬유를 풀고(disentangle), 균일하게 정렬 및 혼합하여(intermix), 섬유 웹(web) 또는 슬라이버(sliver, 섬유 집합체)를 형성하는 통상의 카딩 장치이다. 이때, 필요에 따라, 제3 카딩기(120)를 이용하여, 다른 부직포 섬유 웹(72)을 더욱 형성하여, 상기 부직포 섬유 웹(62) 상부에 적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카딩기(100)에서 형성된 접착 섬유 웹(52) 및 상기 제2 카딩기(110)에서 형성된 부직포 섬유 웹(62)을 적층(합포)한다. 이때, 상기 부직포 섬유 웹(62)의 형성 후, 상기 부직포 섬유 웹(62)에 케미칼 바인더(64)를 적용시키거나, 상기 접착 섬유 웹(52) 및 부직포 섬유 웹(62)을 적층한 후, 적층된 접착 섬유 웹(52) 및 부직포 섬유 웹(62) 전체에 케미칼 바인더(64)를 적용시키고, 가열 및 건조하여, 케미칼 바인더(64) 적용 시 투입된 수분을 제거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열융착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열융착 부직포의 접착 섬유층(50)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등의 합성수지, 목재, 금속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 기재에 부착하고, 상기 접착 섬유 웹(52)에 포함된 로우멜트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용융되는 온도로 가열 및 압착되면, 상기 접착 섬유 웹(52)의 로우멜트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용융되어 기재에 접착됨으로써, 열융착 부직포가 기재에 부착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융착 부직포가 표면에 부착된 자동차 배터리 커버의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융착 부직포가 표면에 부착된 터널 아웃터의 사진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케미칼 부직포 부착 공정에 있어서는, 케미칼 부직포(20) 제작 시 바인더의 수분 건조 및 제거 공정에서 1회의 열처리를 수행하고, 핫멜트 파우더(22)를 부직포(20)에 열융착시키는 공정에서 다시 열처리를 수행하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열융착 부직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바인더의 수분 건조 및 제거 공정에서 1회만 열처리를 수행하므로, 생산 에너지를 절감하고, 생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용 절감을 통하여 경쟁력을 확보함으로서, 국내 및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에 경쟁력 있는 부품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융착 부직포는, 본네트 후드(hood), 헤드라이너(headliner), 배터리커버, 터널, 아웃터 등의 자동차 내외장 부품, 의류용 부직포, 산업용 부직포 등, 열융착에 의한 접착이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서, 핫멜트 파우더 처리 케미칼 부직포를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융착 부직포의 구조 및 제조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하기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6)

  1. 부착층의 역할을 하며, 접착 섬유 웹(52) 10 내지 95 중량% 및 케미칼 바인더(64) 5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접착 섬유층(50); 및
    상기 접착 섬유층(50)의 상부에 형성되어 표면 및 부직포층의 역할을 하며, 부직포 섬유 웹(62) 10 내지 95 중량% 및 이를 결합시키기 위한 케미칼 바인더(64) 5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부직포 섬유층(60)을 포함하는 열융착 부직포로서,
    상기 접착 섬유 웹(52)은 10 내지 90 중량%의 로우멜트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10 내지 90 중량%의 부직포 형성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부직포 섬유 웹(62)은 60 내지 100 중량%의 부직포 형성 섬유 및 0 내지 40 중량%의 로우멜트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로우멜트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상기 부직포 형성 섬유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용융되어 기재에 접착되며, 상기 로우멜트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융점은 70 내지 120 ℃이고, 상기 부직포 형성 섬유의 융점은 120 ℃를 초과하는 것인, 열융착 부직포.
  2. 삭제
  3. 삭제
  4. 제1 카딩기(100)를 이용하여, 10 내지 90 중량%의 로우멜트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10 내지 90 중량%의 부직포 형성 섬유를 포함하는 접착 섬유 웹(52)을 형성하는 단계;
    제2 카딩기(110)를 이용하여, 70 내지 100 중량%의 부직포 형성 섬유 및 0 내지 30 중량%의 로우멜트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섬유 웹(62)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카딩기(100)에서 형성된 접착 섬유 웹(52) 및 상기 제2 카딩기(110)에서 형성된 부직포 섬유 웹(62)을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부직포 섬유 웹(62)의 형성 후, 상기 부직포 섬유 웹(62) 10 내지 95 중량%에 케미칼 바인더(64) 5 내지 90 중량%를 적용시키거나, 상기 접착 섬유 웹(52) 10 내지 95 중량% 및 부직포 섬유 웹(62) 10 내지 95 중량%를 적층한 후, 적층된 접착 섬유 웹(52) 및 부직포 섬유 웹(62) 전체에 케미칼 바인더(64)를 각 층 대비 5 내지 10 중량%를 적용시키고, 가열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로우멜트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융점은 70 내지 120 ℃이고, 상기 부직포 형성 섬유의 융점은 120 ℃를 초과하는 것인, 열융착 부직포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따른 열융착 부직포의 접착 섬유층(50)을,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열융착 부직포의 접착 섬유 웹(52)에 포함된 로우멜트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가열 및 압착되어, 상기 로우멜트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용융되어 기재에 접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융착 부직포의 부착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합성수지인 것인, 열융착 부직포의 부착 방법.
KR1020140147669A 2014-10-28 2014-10-28 열융착 부직포, 그 제조방법 및 그 부착 방법 KR101629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669A KR101629735B1 (ko) 2014-10-28 2014-10-28 열융착 부직포, 그 제조방법 및 그 부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669A KR101629735B1 (ko) 2014-10-28 2014-10-28 열융착 부직포, 그 제조방법 및 그 부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891A KR20160049891A (ko) 2016-05-10
KR101629735B1 true KR101629735B1 (ko) 2016-06-21

Family

ID=56021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7669A KR101629735B1 (ko) 2014-10-28 2014-10-28 열융착 부직포, 그 제조방법 및 그 부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7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843B1 (ko) 2019-11-22 2021-07-08 주식회사 하도에프앤씨 부직포 보드 제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674B1 (ko) * 2012-06-04 2014-06-03 주식회사 금토일산업 자동차용 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바닥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260B1 (ko) * 1995-04-04 1998-04-16 양지현 쿠션 내장재용 부직포 중첩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92437A (ko) * 2008-02-27 2009-09-01 동진이공(주) 흡음재와 표피재가 결합된 섬유기재 및 이것의 제조방법
KR101480975B1 (ko) * 2012-02-13 2015-01-21 주식회사 금호 엔.티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674B1 (ko) * 2012-06-04 2014-06-03 주식회사 금토일산업 자동차용 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바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891A (ko) 201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6251B2 (ja) 熱接着性不織布芯地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
US4474846A (en) Moldable fibrous mat and product molded therefrom
CA1176422A (en) Moldable fibrous ma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and product molded therefrom
US20110250420A1 (en) Composite stiffener materials
KR101342046B1 (ko) 자동차용 바닥재 및 그의 제조방법
JP5208861B2 (ja) 吸音性積層材および吸音性積層材成形物
KR101629735B1 (ko) 열융착 부직포, 그 제조방법 및 그 부착 방법
DE50207253D1 (de) Verbundvliesstoffmateria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CN103501984B (zh) 可热塑性变形的复合材料
KR101104725B1 (ko) 심실링 테이프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127565A (ko) 열에 의해 융착성을 가지는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무 봉재형 폴리우레탄 인공 피혁
KR101446261B1 (ko) 흡음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바닥재
JP4361201B2 (ja) メルトブローン不織布を含む吸音材
KR20150110104A (ko) 닥나무를 이용한 매트재의 제조방법
GB2024099A (en) Manufacture of laminated fabrics
JP2018111407A (ja) 車両用フロアカーペ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867019B2 (ja) 透気防水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8192764A (ja) 積層構造体
JP2001315239A (ja) ヒートシール用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73120B1 (ko) 친환경 복합 방수 부직포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방수 구조체
JP3474044B2 (ja) 積層体
JP2010188894A (ja) 自動車内装材用基材及び自動車内装材
JP6910055B2 (ja) 熱成型不織布の製造方法
JPS638040A (ja) ガラス繊維成形天井の製造方法
JP2003251730A (ja) 積層材料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