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3693A - 경질 캅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경질 캅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3693A
KR20010033693A KR1020007007216A KR20007007216A KR20010033693A KR 20010033693 A KR20010033693 A KR 20010033693A KR 1020007007216 A KR1020007007216 A KR 1020007007216A KR 20007007216 A KR20007007216 A KR 20007007216A KR 20010033693 A KR20010033693 A KR 20010033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apsule
cellulose derivative
soluble cellulose
hydrochlo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7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0826B1 (ko
Inventor
야마모토다이조
나가타순지
마츠우라세이노스케
Original Assignee
후지나가 노부유키
시오노기쿠오리카프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나가 노부유키, 시오노기쿠오리카프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나가 노부유키
Publication of KR20010033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3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0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08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16Wall or shell material

Abstract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열수에 분산하고, 이것을 냉각하여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물에 용해시킨 후, 이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수용액에 겔화제를 첨가, 용해시켜, 얻어진 캅셀 조제액에 캅셀 형성용 핀을 소정온도에서 침지하고 뒤이어 그 핀을 끌어올려서, 그 핀에 부착된 캅셀 조제액을 겔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 캅셀의 제조방법.

Description

경질 캅셀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ODUCING HARD CAPSULE}
종래, HPMC 등의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기제로 하는 경질 캅셀은 일본 특개평 3-279325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다. 이 경질 캅셀은 겔화제로서 카라기난을 사용하고 겔화 보조제로서 칼륨이온이나 암모늄이온을 사용하여 HPMC 등의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겔화하는 것으로, 그 제조방법은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겔화제 및 겔화 보조제를 포함하는 캅셀 기제 수용액을 조제하고, 그 기제 수용액에 캅셀 성형용 핀을 침지하고, 뒤이어 그 성형용 핀을 기제 수용액으로부터 끌어올려, 이 성형용 핀의 외표면에 부착된 그 기제 수용액을 실온하에 겔화시키고, 상기 성형용 핀의 외표면에 캅셀 피막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약 70℃의 정제수에 겔화제 및 겔화 보조제를 용해함과 동시에, 이에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분산시켜, 이것을 50∼52℃로 냉각하고, 핀을 침지하고 끌어올려 캅셀 조제를 행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고, 침지액의 온도가 50∼52℃로부터 벗어나면 그 침지액의 젤리 점도가 미묘하게 변화하고, 침지 성형시에 있어서 성형 핀에의 침지액의 부착이 양호하게 행해지지 않고, 그 결과, 균일한 캅셀 피막을 얻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고 한다.
그러나, 젤리를 이와같은 고온으로 엄밀히 온도 콘트롤하고, 균질한 캅셀을 얻기 위해서는 장치면 등에서 다대한 부담이 걸리고, 작업 관리도 귀찮아진다.
본 발명은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HPMC) 등의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기제로 하는 경질 캅셀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HPMC 용액의 방냉, 승온에 의한 점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경질 캅셀의 제조방법에서, 원료로서는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겔화제를 사용한다.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로서는 알킬기, 특히 C1∼C4의 저급 알킬기 및/또는 히드록시 알킬기, 특히 C1∼C4의 히드록시 저급 알킬기로 치환된 셀룰로오스 에테르가 알맞고, 구체적으로는 히드록시 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 히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 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 에틸메틸셀룰로오스 등을 들수 있다. 특히 55℃ 이상의 고온에서 40℃ 이하의 온도로 냉각후, 재가열 할때, 45∼50℃ 정도까지 점도 변화가 적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거동을 갖는 HPMC 등이 유효하게 사용된다.
또, 겔화제로서는 상기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겔화시키는 것이면 충분하고, 카라기난, 타마린드 종자 다당, 펙틴, 커드란, 젤라틴, 푸르셀라란, 한천, 젤란검 등을 예시할 수가 있고, 특히, 카라기난, 젤란검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겔화제는 이들의 일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더욱이, 카라기난으로서는 카파 카라기난, 이오타 카라기난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더욱이, 필요에 의하여 겔화 보조제를 사용할 수가 있다. 겔화 보조제로서는 상기 겔화제의 종류에 따라 선정되지만, 특히 겔화제로서 카파 카라기난을 사용하는 경우는 칼륨이온, 암모늄이온, 칼슘이온을 부여하는 수용성 화합물, 예를들면 염화칼륨, 염화암모늄, 아세트산 암모늄, 염화칼슘 등을 사용할 수가 있고, 이오타 카라기난을 사용하는 경우는 염화칼슘 등의 칼슘이온을 부여하는 수용성 화합물을 사용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사용량은 캅셀 조제액중의 농도로 10∼35중량%, 특히 18∼28중량%인 것이 작업성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고, 또 겔화제의 농도는 캅셀 조제액중 0.01∼0.5중량%, 특히 0.05∼0.3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더, 겔화 보조제는 캅셀 조제액중 0.05∼0.6중량%, 특히, 0.06∼0.2중량%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색소, 안료 등의 경질 캅셀에 통상 사용되는 첨가제를 적당량 첨가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우선 상기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열수로 분산시킨다. 여기서, 열수온도는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종류에 따라 적당히 선정되지만, 55℃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85℃,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65∼80℃이다.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상기 소정온도의 열수에 투입하고,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소정온도 보다 저온에서 투입하고, 그후 소정온도로 가열하여도 좋다.
이와같이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열수로 분산시킨 후에는 교반하에 냉각을 행한다. 냉각은 자연냉각이거나 강제냉각이어도 되고, 요컨데, 냉각에 의하여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물에 실질적으로 완전 용해시키면 된다. 냉각온도도 이와같은 점에서 선정되지만, 통상 35℃ 이하로 냉각하면 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이고, 실온(15∼25℃)으로 까지 내려도 된다.
냉각에 의하여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용해시킨 후는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수용액을 여과하고, 고형 불순물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뒤이어 캅셀 형성용 핀의 소정의 침지온도로 조정한다. 이경우, 이 침지온도는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종류에 따라 선정될 수 있지만, 35℃를 초과 50℃ 이하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를 초과 45℃,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38∼43℃이다. 더욱이 고온으로 지나치게 가열하면,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수용액의 점도가 급상승하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침지온도의 상한은 이와같은 불리가 생기지 않는 점도가 급상승 하기 전의 온도가 선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냉각 후의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수용액에 겔화제를 첨가, 용해시키지만, 겔화제의 첨가시기는 특히 제한되지 않고, 냉각후,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수용액을 승온(昇溫)하기 전 또는 승온 도상에 첨가하여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캅셀 형성용 핀 침지 온도로 승온되기 직전 내지 승온된 직후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겔화제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겔화제를 물에 용해한 것을 상기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수용액에 첨가하는 것이, 겔화제의 용해를 용이하고 동시에 균일로 하는 점에서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겔화제를 물에 용해하지 않고, 그대로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수용액중에 첨가할 수가 있다. 이와같이,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수용액에 겔화제를 첨가, 용해하여 얻어지는 캅셀 조제액(젤리액)에 상기 침지온도에서 캅셀 형성용 핀을 침지하고, 뒤이어 이것을 끌어올려 핀에 부착된 조제액을 겔화, 건조시켜 경질 캅셀을 얻는 것이다.
이경우, 겔화는 방냉(放冷)하므로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가열에 의하여 캅셀 조제액이 고점도로 되고, 겔화하는 경우는 핀을 끌어올린 후, 예를들면 50∼80℃로 가열하도록 하여도 된다.
여기서, 캅셀 조제액(젤리액)의 점도는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캅셀 침지온도에서 100∼10000mPa·s 특히 1000∼8000mPa·s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이 점도는 B형 회전 점도계에 의한 값이다. 점도가 낮으면 핀에 부착하는 캅셀 원료가 적어져, 캅셀의 막두께가 얇아지고, 점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캅셀의 형상의 제어가 곤란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조제액에는 필요에 따라 겔화 보조제나 색소, 안료 등의 첨가제를 배합할 수가 있지만, 이들의 성분은 어느 단계에서나 첨가하여도 관계가 없고, 예를들면 열수에 첨가하거나 혹은 겔화제 첨가시에 첨가하도록 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캅셀은 의약품이나 식품을 비롯하여, 동물 또는 식물용 의약품이나 비료 등에 적용가능하다. 특히 의약품으로서는 경구투여되는 약제용, 흡입제용의 용기 또는 좌약 등으로서도 적용가능하다. 더욱이, 의치, 안경, 콘택트렌즈 등의 소독·세정 등을 목적으로 하는 소위 의약부외품으로서도 적용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HPMC 경질 캅셀에 충전 가능한 충전 성분으로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분말, 과립상 및 정제 이외에 알코올, 다가알코올류로서 스테아릴알코올, 세탄올, 폴리에틸렌글리콜 600, 800, 1000, 1500, 2000, 3000, 4000, 6000, 8000, 20,000 등을 들 수 있고, 유지류로서는 참기름, 대두유, 낙화생유, 옥수수유, 경화유, 파라핀유, 표백 밀납등을 들수 있고, 지방산 및 그 유도체로서는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미리스트산, 시트르산트리에틸, 트리아세틴,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등을 들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캅셀 중에 충전되는 생리활성물질로서는 의약품이나 식품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독성이 없으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매우 폭넓은 약물이 충전가능하다. 예를들면 비타민류, 해열제, 진통제, 소염제, 항괴양제, 강심제, 항응고제, 지혈제, 골흡수억제제, 혈관신생억제제, 항울제, 항종양제, 진해거담제, 근이완제, 항간질제, 항알레르기제, 부정맥치료제, 혈관확장제, 강압이뇨제, 당뇨병치료제, 항결핵제, 호르몬제, 마약 길항제 등을 들수 있다.
비타민류로서는 예를들면 비타민 A유,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B12, 니코틴산아미드, 판토텐산 칼슘, 비타민 C, 비타민 D2, 비타민 E, 비타민 K 등을 들수 있다.
더욱더, 에이코사펜타에이토에틸, 악티노마이신 D, 아시클로비어, 아지멕손, 아스피린, 아즈트레오남, 아세타졸아미드나트륨, 아세트아미노펜, 아세토헥사미드, 아세토메나프톤, 아드레노크롬모노아미노구아니딘메탄술폰산, 아미카신, ε-아미노카프로산, 아미노필린, 알프로스타딜, 알릴이소프로필아세틸요소, 알트레타민, 암페낙, 암피실린, 이소니아지드, 이소프로필안티피린, 이부프로펜, 이포스프아미드, 이미프라민, 인도메타신, 우리나스타틴, 에토숙시미드, 에난토산에메다스틴, 에스트리올, 에리트로마이신, 에탐부톨, 염화산투보쿠라린, 염산알프레놀올, 염산알로크라미드, 염산이소프로테렌올, 염산에틸레프린, 염산에포니디핀, 염산옥시테트라사이클린, 염산옥시페드린, 염산옥스프레놀올, 염산온단세트론, 염산에카라진, 염산에페드린, 염산그라니세트론, 염산클레미졸, 염산클로코나졸, 염산클로니딘, 염산클로페다놀, 염산클로르디아제폭시드, 염산클로르프로마진, 염산코카인, 염산디사이클로민, 염산디세티아민, 염산디페닐피랄린, 염산디펜히드라민, 염산딜티아젬, 염산다우노루비신, 염산툴로부테롤, 염산테트라사이클린, 염산델라프릴, 염산독시사이클린, 염산독소루비신, 염산도파민, 염산도부타민, 염산톨라졸린, 염산트리펠레나민, 염산날록손, 염산날로르핀, 염산니카르디핀, 염산노스카핀, 염산반코마이신, 염산히스티딘, 염산피라루비신, 염산펜포르민, 염산부포르민, 염산플라복세이트, 염산프로토킬올, 염산프로프라놀올, 염산프로메타진, 염산베넥세이트베타덱스, 염산피코페리다민, 염산부페톨올, 염산페티딘, 염산마프로틸린, 염산메카밀아민, 염산메틸에페드린, 염산메톡시페나민, 염산메트딜라진, 염산모르핀, 염산릴마자폰, 염산레보메프로마진, 염산로메플록사신, 옥사프로진, 옥시모르핀, 옥시메톨론, 옥센돌론, 오자그렐, 오플록사신, 카넨도마이신, 카르바조크롬술폰산나트륨, 건조 수산화 알루미늄겔, 감마-오리자놀, 시트르산 클로미펜, 시트르산나트륨, 글리세오풀빈, 글리시르리진, 글리피지드, 글리미딘나트륨, 크레스틴, 크레졸술폰산나트륨, 클로미프라민, 클로피브레이트, 클로페라스틴, 클로르프로파미드, 케토프로펜, 합성 히드로탈사이트, 숙신산 프레드니솔론나트륨, 콜치신, 아세트산클로르프로마진, 아세트산 클로르마디닌, 아세트산코르티손, 아세트산 프레드니솔론, 아세트산 헥세스트롤, 아세트산 베타메타손, 살리실아미드, 살리실산나트륨, 산화마그네슘, 디아족시드, 디아제팜, 디기톡신, 디클로페낙나트륨, 시클로포스파미드, 시소마이신, 시녹사신, 디베카신, 디피리다몰, 디플루니살, 디프로피온산베타메타손, 브롬화수소산 덱스트로메토르판, 브롬화 네오스티그민, 브롬화판쿠로늄, 브롬화메틸스코폴라민, 타르타르산 레보르판올, 타르타르산 레발로르판, 질산이소소르비드, 질산미코나졸, 시토신아라비노시드, 실로스타졸, 신나리진, 심바스타틴, 수프로펜, 술피린, 술파제신, 술파메톡사졸, 술핀피라존, 술린닥, 세파클로르, 세파졸린, 세팔렉신, 세팔로틴, 세팔로리딘, 디폭시틴, 세포탁심, 세포티암, 세포페라존, 세프술로딘, 세프티족심, 세프티부텐, 세프메녹심, 세프메타졸, 조테핀, 티에나마이신, 티오테파, 티카르실린, 티클로피딘, 틸락타아제, 티오필린, 티오필롤, 테가푸르, 덱사메타손, 데스토스테론, 테세로이킨, 테트라히드로피푸르일-5-플루오로우라실, 테르페나딘, 토브라마이신, 톨라자미드, 트라니라스트, 트라피딜, 트란섹삼산, 트랜스피옥소캄퍼, 트리클로로메티아지드, 트리플루오페라진, 트리메토프림, 톨페남산, 트롬보플라스틴, 나프록센, 니트라제팜, 니트로글리세린, 니페디핀, 네다브라틴, 녹시프틸린, 노레에티스테론, 노르플록사신, 바이카레인, 파라아미노살리실산나트륨, 바미코그렐, 할로페리돌, 판테놀, 판토덴산칼슘, 피시바닐, 피페라실린, 피록시캄, 핀돌올, 페니토인나트륨, 페나세틴, 페노발린, 페노바르비탈, 페노프로펜칼슘, 페놀프탈린산클로르프로마진, 펜부펜, 푸트라풀, 푸마길린, 플루오로우라실, 프라디오마이신, 플루페남산나트륨, 프라바스타틴, 플루코나졸, 플루토프라제팜, 플루르비프로펜, 블레오마이신, 프로스타글란딘류, 프로게스테론, 프로피온산알클로메타손, 프로피온산드로모스타놀론, 프로페리시아진, 플로목세프나트륨, 푸란카르복시산모메타손, 헥사메토늄브로마이드, 헥소벤딘, 베스타틴, 헤파린나트륨, 베라프로스트, 벤즈브로마론, 펜토리늄, 포스포마이신, 마이토마이신 C, 말레산클로르페니라민, 말레산트리미프라민, 말레산프로클로르페라진, 말레산레보메프로마진, 무수카페인, 메실산가벡세이트, 메실산디메토티아진, 메실산프로클로로페라진, 메실산브로모크립틴, 메스트란올, 메스나, 메토트렉세이트, 메다제팜, 메탄술폰산 프리딘올, 메티마졸, 메틸도바, 메틸렌디살리실산프로메다진, 메틸황산네오스티그민, 메토클로프라미드, 메토포르민, 메트로니다졸, 메나디온아황산수소나트륨, 메피티오스탄, 메페남산, 목솔락탐, 발레르산 베타메타손, 리피도마이신, 인산코데인, 라우릴황산프로피온산 에리트로마이신, 라타목세프나트륨, 리시노프릴, 리팜피신, 리마프로스트, 황산아트로핀, 황산 살부타몰, 황산 세프피롬, 황산테르부탈린, 황산 바메탄, 황산 페넬진, 황산 프라디오마이신, 황산 모르핀, 인산 디히드로코데인, 인산코데인, 인산헥세스트롤, 인산 베타메타손 나트륨, 레바미솔, 렌티난, 록소프로펜나트륨, 롤리테트라사이클린 등을 들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이한 작업관리로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기제로 하는 고품질의 경질 캅셀을 제조할 수가 있다.
이하 실험예 및 실시예를 도시하고,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반드시 엄밀한 온도 콘트롤을 필요로 하지 않고, 온도 콘트롤에 다소의 편차가 있더라도 균질한 HPMC 등의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로부터 이루어지는 경질 캅셀을 얻을 수 있는 경질 캅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열수에 분산하고, 이것을 냉각하여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물에 용해시킨 후, 이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수용액에 겔화제를 첨가, 용해시켜, 얻어진 캅셀 조제액에 캅셀 형성용 핀을 소정온도에서 침지하고, 뒤이어 그 핀을 끌어올려, 그 핀에 부착된 캅셀 조제액을 겔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 캅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HPMC 등의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열수로 분산시킨 후, 이것을 냉각하므로서,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물에 완전히 용해시킴과 동시에, 그후에 카라기난 등의 겔화제를 용해시켜, 예를들면 35∼50℃의 온도에서 핀의 침지, 끌어올림을 행하므로서, 핀에 부착된 캅셀 조제액을 양호하게 겔화시키는 것이다.
이 점에 대하여 더욱더 상술하면, 후기하는 실험예에서 표시하는대로, 도 1은 HPMC 용액의 냉각, 가열상태와 점도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것이지만,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들면 HPMC는 70℃ 정도의 열수에 분산시킨 상태에서는 열수에 거의 용해되지 않고, HPMC 분산액은 매우 저점도이지만, 이를 냉각하면, 60∼55℃ 정도의 온도에서 점도가 상승하고, 약 45∼40℃의 온도에서 점도가 최대에 도달한다. (도면중 선분 A). 더욱이, 도 1에서는 pH조정을 특히 하지 않았고, HPMC 등의 점도는 pH나 이온 강도 등에 영향을 받는 것은 곧 잘 알려져 있고 도 1은 하나의 모델이다.
더욱이, 종래의 HPMC 경질 캅셀의 제조방법은 미리 카라기난 등의 겔화제, 겔화 보조제를 용해한 약 70℃의 열수에 HPMC를 투입, 분산하고, 이를 냉각하여, 상기 점도 상승 도중의 52∼50℃ (도면중 X로 표시)에서 성형용 핀을 침지하고, 그후의 냉각에 의한 겔화제의 겔화작용과 함께, HPMC의 점도 상승을 이용하여 캅셀조제를 행하고 있었던 것이다.
상기와 같이 최대 점도에 도달한 후, 다시 HPMC 용액을 냉각해가면, 도면중 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점도가 저하하고, 통상 30∼40℃ 이하에서 물에 완전히 용해한다. 다음에 HPMC가 물에 충분히 용해한 상태에서 가열하더라도, 도면중 C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45℃ 정도 까지는 점도는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다만,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약 45∼50℃ 이상이 되면 점도가 급상승한다). 여기서, 점도가 급상승 하기 전의 온도 (예를들면, 도면중 Y로 표시하는 40℃ 부근의 온도)에서 카라기난을 첨가, 용해시킨다. 더욱이, 도면에서는 카라기난의 첨가에 의하여 점도가 저하되고 있지만, 이는 카라기난을 물에 용해한 것을 첨가한 것으로, HPMC 수용액이 이 카라기난 수용액으로 희석되기 때문이다. 이와같이 겔화제를 용해한 HPMC 수용액을 냉각하면, 도면중 D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점도가 상승하고, 특히 35℃ 전후에서 점도가 급상승(즉, 겔화한다)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점도 변화에서, 최대 점도에 도달한 후의 냉각과 HPMC 등의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물에의 용해, 그후의 겔화제의 첨가·용해와 소정온도에서의 핀의 침지, 더욱더 이 겔화제를 용해한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수용액의 냉각 또는 가열과정에서 점도 상승·겔화를 사용하여 캅셀 조제를 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상과 같이, 핀의 침지는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수용액(젤리)의 점도 변화가 적은 온도 영역 상태에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핀의 침지온도가 소정 설정온도와 약간 어긋나 있더라도, 젤리 점도에 거의 변화는 생기지 않고, 이 때문에,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가 물에 충분하게 완전히 용해되고 있는 것과 아울러, 엄밀한 젤리 온도 콘트롤을 행하지 않더라도, 내지는 온도 콘트롤에 다소의 편차가 있더라도 균질한 캅셀을 안정되게 확실히 제조할 수가 있고, 고품질의 캅셀이 비교적 완화된 작업관리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더욱더,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수용액으로부터 이물질을 여과 제거하는 경우, 저온에서 조작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도 좋고, 게다가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저온에서 완전 용해상태로 되므로, 이물질의 여과 제거를 확실히 행할 수가 있다.
또,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열수중에서 분산후, 이를 냉각하고, 그후 겔화제를 가하는 방법에 의하면, 신구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끼리, 예를들면 한번 캅셀로 성형한 HPMC와 새로운 HPMC가 균질하게 용해, 혼합하고, 이와같은 젤리로부터 제조한 캅셀 피막은 균질이므로, 한번 성형된 캅셀의 재생,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재이용이 품질을 손상하는 일 없이 가능하다.
80℃의 열수 285L에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PMC) 75㎏ 및 염화칼륨 230g를 첨가하고 냉각하면서, 소정온도에서 점도를 B형 점도계(로터 NO. 3,6rpm)로 측정하였다. 또, 27℃로 냉각후, 승온하여 동일하게 점도를 측정하였다. 41℃로 승온한 시점에서 온수 39㎏에 염화칼륨 70g와 카라기난 377g를 첨가한 수용액을 투입하고, 점도를 측정함과 동시에, 이를 방냉하고, 소정온도에서 동일하게 점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및 도 1에 도시하다.
온도(℃) 점도(mpa·s) 액외관 비고
605550454027 5001660916018000209507360 유백색유백색유백색유백색유백색투명 냉각냉각냉각냉각냉각냉각
303541 573059406480 투명투명투명 승온승온승온
413836353230 31503300405045001400013600 투명투명투명투명투명투명 카라기난첨가냉각냉각냉각냉각냉각
(실시예 1)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50㎏를 80℃의 물 170L로 분산시킨 후, 25℃로 냉각하여 용해하였다. 이것을 45℃로 가온하고, 카라기난 200g를 45℃의 물 20L로 용해한 것을 가하였다. 또 겔화보조제로서 염화칼륨을 276g 가하였다.
이것을 침지액으로 하고, 핀을 투입후 꺼내고, 실온 또는 60℃에서 건조시켜 캅셀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75㎏를 80℃의 물 170L로 분산시킨 후, 19℃로 냉각하고 용해하였다. 이것을 41℃로 가온하고 카라기난 300g를 41℃의 물 30L에 용해한 것을 가하였다. 또 겔화보조제로서 염화칼륨을 300g 가하였다.
이것을 침지액으로 하고, 핀을 투입후 꺼내고, 실온 또는 60℃에서 건조시켜 캅셀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3)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75㎏를 80℃의 물 230L로 분산시킨 후, 25℃로 냉각하여 용해하였다. 이것을 41℃로 가온하고, 카라기난 377g를 41℃의 물 39L로 용해한 것을 가하였다. 또 겔화보조제로서 염화칼륨을 300g 가하였다.
이것을 침지액으로 하고, 핀을 투입후 꺼내고, 실온 또는 60℃에서 건조시켜 캅셀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4)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75㎏를 80℃의 물 240L로 분산시킨 후, 25℃로 냉각하고 용해하였다. 이것을 41℃로 가온하고 카라기난 377g를 41℃의 물 39L에 용해한 것을 가하였다. 또 겔화보조제로서 염화칼륨을 300g 가하였다. 이것을 침지액으로 하고, 핀을 투입후 꺼내고, 실온 또는 60℃에서 건조시켜 캅셀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5)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75㎏를 80℃의 물 240L로 분산시킨 후, 25℃로 냉각하여 용해하였다. 이것을 50℃로 가온하였다. 한편, 한천 0.4g를 95℃의 물 50mL로 용해하여 50℃로 냉각한 후,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의 용액에 가하였다.
이것을 침지액으로 하고, 핀을 투입후 꺼내고, 실온 또는 60℃에서 건조시켜 캅셀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6)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40g를 80℃의 물 130mL로 분산시킨 후, 20℃로 냉각하고 용해하였다. 이것을 41℃로 가온하고 카라기난 0.2g를 41℃의 물 30mL에 용해한 것을 가하였다. 또 겔화보조제로서 염화칼륨을 0.14g와 아세트산암모늄 0.2g를 가하였다.
이것을 침지액으로 하고, 핀을 투입후 꺼내고, 실온 또는 60℃에서 건조시켜 캅셀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7)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75㎏를 80℃의 물 244L로 분산시킨 후, 25℃로 냉각하여 용해하였다. 이것을 41℃로 가온하고, 카라기난 327g를 41℃의 물 30L로 용해한 것을 가하였다. 또 겔화보조제로서 염화칼륨을 227g 가하였다.
이것을 침지액으로 하고, 핀을 투입후 꺼내고, 실온에서 몇초 방치후, 다시 핀을 투입하여 꺼냈다. 이것을 실온 또는 60℃로 건조시켜, 캅셀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8)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75㎏와 염화칼륨 1.5g를 80℃의 물 230mL로 분산시킨 후, 25℃로 냉각하였다. 이것을 45℃로 가온하고 카라기난 1.6g를 가하였다.
이것을 침지액으로 하고, 핀을 투입후 꺼내고, 실온 또는 60℃에서 건조시켜 캅셀을 제작하였다.
상기 실시예 1∼8에서 제작한 캅셀에 대하여 일본 약국방 규정의 표준 조건에서 37℃±1℃로 가온한 정제수를 사용하여, 용해상태 시험을 행한 결과, 어느 캅셀도 10분 이내에 용해하였다.

Claims (6)

  1.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열수에 분산하고, 이것을 냉각하여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물에 용해시킨 후, 이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수용액에 겔화제를 첨가, 용해시켜, 얻어진 캅셀 조제액에 캅셀 형성용 핀을 소정온도에서 침지하고, 뒤이어 그 핀을 끌어올려서, 그 핀에 부착된 캅셀 조제액을 겔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 캅셀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가 알킬기 및/또는 히드록시 알킬기로 치환된 셀룰로오스 에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셀룰로오스 에테르가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분산하는 열수온도가 55℃ 이상이고, 이것을 35℃ 이하로 냉각함과 동시에, 캅셀 형성용 핀의 캅셀 조제액에의 침지온도가 35℃를 초과 50℃ 이하로 점도 급상승전의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겔화제가 카라기난, 타마린드 종자 다당, 펙틴, 커드란, 젤라틴, 푸르셀라란, 한천 및 젤란검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캅셀 조제액이 더욱더 겔화보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007007216A 1998-10-29 1999-10-25 경질 캅셀의 제조방법 KR1005808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820498A JP3449253B2 (ja) 1998-10-29 1998-10-29 硬質カプセルの製造方法
JP98308204 1998-10-29
PCT/JP1999/005874 WO2000025760A1 (fr) 1998-10-29 1999-10-25 Procede de fabrication d'une capsule d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3693A true KR20010033693A (ko) 2001-04-25
KR100580826B1 KR100580826B1 (ko) 2006-05-16

Family

ID=17978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7216A KR100580826B1 (ko) 1998-10-29 1999-10-25 경질 캅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413463B1 (ko)
EP (1) EP1044682A4 (ko)
JP (1) JP3449253B2 (ko)
KR (1) KR100580826B1 (ko)
CA (1) CA2316947C (ko)
TW (1) TW592731B (ko)
WO (1) WO2000025760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665B1 (ko) * 2008-02-04 2010-07-15 삼일제약주식회사 알푸조신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서방성 정제
WO2014088176A1 (ko) * 2012-12-05 2014-06-12 삼성정밀화학(주) 경질 캡슐
WO2014088178A1 (ko) * 2012-12-05 2014-06-12 삼성정밀화학(주) 두께 균일성이 개선된 경질 캡슐
KR20150078673A (ko) * 2013-12-31 2015-07-08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경질 캡슐용 수성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경질 캡슐
KR20150078675A (ko) * 2013-12-31 2015-07-08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경질 캡슐용 수성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경질 캡슐
KR20150078674A (ko) * 2013-12-31 2015-07-08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경질 캡슐용 수성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경질 캡슐
US11312878B2 (en) 2012-07-23 2022-04-26 Lotte Fine Chemical Co., Ltd. Aqueous composition for preparing hard capsule, preparation method therefor, hard capsule, and method for recycling hard capsule scrap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008B1 (ko) * 1997-12-26 2006-08-01 워너-램버트 캄파니 엘엘씨 젤라틴 조성물
CN100408029C (zh) * 2001-09-28 2008-08-06 麦克内尔-Ppc股份有限公司 有镶嵌部分的组合剂型
US20040202698A1 (en) * 2003-04-02 2004-10-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rug delivery systems comprising an encapsulated active ingredient
US8075910B2 (en) * 2004-05-20 2011-12-13 Pbm Pharmaceuticals, Inc. Oral compositions comprising edible oils and vitamins and/or minerals and methods for making oral compositions
US20070298095A1 (en) * 2004-05-24 2007-12-27 Shionogi Qualicaps Co., Ltd. Surface-Modified and Solubility-Improved Hard Capsule
JP5563735B2 (ja) 2004-06-16 2014-07-30 タケダ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ユー.エス.エー.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Ppi多回剤形
US20070161942A1 (en) * 2006-01-06 2007-07-12 Pharmaphil Inc. Biodegradable tampon applicator and method of making
JP5253162B2 (ja) * 2006-01-24 2013-07-31 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低水分硬質カプ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
HUE029572T2 (en) 2006-02-03 2017-03-28 Opko Renal Llc Treatment of Vitamin D Insufficiency and Deficiency with 25-Hydroxy-D2 and 25-Hydroxy-D3
US20070264346A1 (en) * 2006-02-16 2007-11-15 Flamel Technologies Multimicroparticulate pharmaceutical forms for oral administration
FR2897267A1 (fr) * 2006-02-16 2007-08-17 Flamel Technologies Sa Formes pharmaceutiques multimicroparticulaires pour administration per os
EP1849461A1 (en) * 2006-04-21 2007-10-31 Pfizer Products Inc. Process for manufacturing films
US8329677B2 (en) 2006-06-21 2012-12-11 Cytochroma, Inc. Method of treating and preventing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JPWO2008081835A1 (ja) * 2006-12-28 2010-04-30 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水濡れインジケーターおよびタイムインジケーター
WO2008134523A1 (en) 2007-04-25 2008-11-06 Proventiv Therapeutics, Llc Method of safely and effectively treating and preventing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in chronic kidney disease
KR101495578B1 (ko) 2007-04-25 2015-02-25 사이토크로마 인코포레이티드 비타민 d 부족 및 결핍의 치료 방법
EP3542792B1 (en) 2007-04-25 2023-06-28 EirGen Pharma Ltd. Controlled release 25-hydroxyvitamin d
WO2008156027A1 (ja) * 2007-06-20 2008-12-24 Qualicaps Co., Ltd. 非透明皮膜組成物
US8173158B2 (en) 2007-10-12 2012-05-08 Takeda Pharmaceuticals U.S.A., Inc. Methods of treating gastrointestinal disorders independent of the intake of food
KR101852042B1 (ko) 2008-04-02 2018-04-25 사이토크로마 인코포레이티드 비타민 d 결핍 및 관련 장애에 유용한 방법, 조성물, 용도 및 키트
JP5253235B2 (ja) * 2009-03-02 2013-07-31 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腸溶性カプセル
JP2011068636A (ja) * 2009-07-30 2011-04-07 Kowa Co 液体充填カプセル剤
ES2804779T3 (es) 2009-09-24 2021-02-09 Capsugel Belgium Nv Cápsulas resistentes a los ácidos
CA2778181A1 (en) * 2009-10-26 2011-05-05 Thomas Julius Borody Therapy for enteric infections
LT2552484T (lt) 2010-03-29 2020-04-27 Opko Ireland Global Holdings, Ltd. Būdai ir kompozicijos, skirti paratiroidų lygiams sumažinti
KR101182827B1 (ko) * 2010-06-11 2012-09-14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장용성 경질 캡슐의 제조방법 및 장용성 경질 캡슐
KR102013296B1 (ko) * 2012-07-23 2019-08-22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경질 캡슐용 수성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및 상기 수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경질 캡슐
KR101847947B1 (ko) 2013-03-15 2018-05-28 옵코 아이피 홀딩스 Ⅱ 인코포레이티드 안정화되고 변형된 비타민 d 방출 제형
CN114681468A (zh) 2014-08-07 2022-07-01 欧普科爱尔兰环球控股有限公司 利用25-羟基维生素d的辅助疗法
EA201791982A1 (ru) 2015-03-09 2020-02-17 Интекрин Терапьютикс, Инк. Способы лечения неалкогольной жировой болезни печени и/или липодистрофии
JP6412853B2 (ja) 2015-12-16 2018-10-2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フィルム成型用組成物
TW202214257A (zh) 2016-03-28 2022-04-16 愛爾蘭商歐科愛爾蘭全球控股股份有限公司 維生素d治療之方法
CA3058806A1 (en) 2017-04-03 2018-10-11 Coherus Biosciences Inc. Ppar.gamma. agonist for treatment of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EP4008320A4 (en) 2019-08-02 2023-08-09 Qualicaps Co., Ltd. HARD CAPSULE FORMULATION SEALED WITH SEALING STRIP INCLUDING LABEL
JPWO2022244713A1 (ko) * 2021-05-18 2022-11-24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6666A (en) * 1972-07-20 1974-07-30 Parke Davis & Co Enteric capsules
US4138013A (en) * 1976-08-27 1979-02-06 Parke, Davis & Company Enteric capsules
JPS58138458A (ja) 1982-02-10 1983-08-1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腸溶性カプセルの製造方法
KR900000254B1 (ko) * 1986-05-12 1990-01-24 신에쯔까 가가꾸 고우교우 가부시끼가이샤 의약용 경질 캅셀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장치
JPH0634807B2 (ja) * 1989-06-08 1994-05-1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医薬用硬質カプセルの製造方法
JP2552937B2 (ja) 1990-03-29 1996-11-13 日本エランコ株式会社 医薬用硬質カプセ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264223A (en) * 1990-03-29 1993-11-23 Japan Elanco Company, Ltd. Hard capsule for pharmaceutical drug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3116602B2 (ja) 1992-10-06 2000-12-11 シオノギ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硬質カプセル
US5431917A (en) 1992-10-08 1995-07-11 Japan Elanco Company, Ltd. Hard capsule for pharmaceutical drug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959423B2 (ja) * 1994-12-01 1999-10-06 シオノギ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カプセル用皮膜組成物
US5756123A (en) 1994-12-01 1998-05-26 Japan Elanco Co., Ltd. Capsule shell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665B1 (ko) * 2008-02-04 2010-07-15 삼일제약주식회사 알푸조신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서방성 정제
US11312878B2 (en) 2012-07-23 2022-04-26 Lotte Fine Chemical Co., Ltd. Aqueous composition for preparing hard capsule, preparation method therefor, hard capsule, and method for recycling hard capsule scraps
WO2014088176A1 (ko) * 2012-12-05 2014-06-12 삼성정밀화학(주) 경질 캡슐
WO2014088178A1 (ko) * 2012-12-05 2014-06-12 삼성정밀화학(주) 두께 균일성이 개선된 경질 캡슐
KR20140072717A (ko) * 2012-12-05 2014-06-13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두께 균일성이 개선된 경질 캡슐
US10793687B2 (en) 2012-12-05 2020-10-06 Lotte Fine Chemical Co., Ltd. Hard capsule having improved thickness uniformity
KR20150078673A (ko) * 2013-12-31 2015-07-08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경질 캡슐용 수성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경질 캡슐
KR20150078675A (ko) * 2013-12-31 2015-07-08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경질 캡슐용 수성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경질 캡슐
KR20150078674A (ko) * 2013-12-31 2015-07-08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경질 캡슐용 수성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경질 캡슐
WO2015102197A1 (ko) * 2013-12-31 2015-07-09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경질 캡슐용 수성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경질 캡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44682A1 (en) 2000-10-18
CA2316947C (en) 2008-04-01
JP3449253B2 (ja) 2003-09-22
WO2000025760A1 (fr) 2000-05-11
CA2316947A1 (en) 2000-05-11
US6413463B1 (en) 2002-07-02
TW592731B (en) 2004-06-21
EP1044682A4 (en) 2006-01-04
JP2000136126A (ja) 2000-05-16
KR100580826B1 (ko) 200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0826B1 (ko) 경질 캅셀의 제조방법
EP1545475B1 (en) Enteric composition for the manufacture of soft capsule wall
JPWO2006070578A1 (ja) 硬カプセルのバンドシール
KR101705204B1 (ko) 장용성 경질 캡슐용 수성 조성물, 장용성 경질 캡슐의 제조방법 및 장용성 경질 캡슐
MXPA06012623A (es) Capsulas de pululano mejoradas.
TWI793141B (zh) 腸溶性硬質膠囊
US20210220285A1 (en) Acid resistant capsules
JP2006016372A (ja) 腸溶性硬カプセル剤
JP4471647B2 (ja) 硬質カプセル剤の製造方法
KR102335455B1 (ko) 장용성 경캡슐용 조성물 및 장용성 경캡슐의 제조 방법
JP2000044465A (ja) 軟カプセル剤
CA1062613A (en) Enteric capsules
JP5705206B2 (ja) 硬カプセ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2123274A (ja) 腸溶性硬質カプセル
US20160106682A1 (en) Enteric Soft Capsu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