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0298A - 비수성 전해질 전지용 양극 활성 물질 및 이를 이용한비수성 전해질 전지 - Google Patents

비수성 전해질 전지용 양극 활성 물질 및 이를 이용한비수성 전해질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0298A
KR20010030298A KR1020000052959A KR20000052959A KR20010030298A KR 20010030298 A KR20010030298 A KR 20010030298A KR 1020000052959 A KR1020000052959 A KR 1020000052959A KR 20000052959 A KR20000052959 A KR 20000052959A KR 20010030298 A KR20010030298 A KR 20010030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ithium
aqueous electrolyt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2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지 구야마
마사유끼 나가미네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10030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29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5/00Compounds of manganese
    • C01G45/12Manganates manganites or permanganates
    • C01G45/1221Manganates or manganites with a manganese oxidation state of Mn(III), Mn(IV) or mixtures thereof
    • C01G45/1242Manganates or manganites with a manganese oxidation state of Mn(III), Mn(IV) or mixtures thereof of the type [Mn2O4]-, e.g. LiMn2O4, Li[MxMn2-x]O4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9/00Compounds of iron
    • C01G49/0018Mixed oxides or hydroxides
    • C01G49/0072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1/00Compounds of cobalt
    • C01G51/40Cobaltates
    • C01G51/42Cobaltates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CoO2
    • C01G51/44Cobaltates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CoO2 containing manganese
    • C01G51/54Cobaltates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CoO2 containing manganese of the type [Mn2O4]-, e.g. Li(CoxMn2-x)04, Li(MyCoxMn2-x-y)O4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3/00Compounds of nickel
    • C01G53/40Nickelates
    • C01G53/42Nickelates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NiO2
    • C01G53/44Nickelates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NiO2 containing manganese
    • C01G53/54Nickelates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NiO2 containing manganese of the type [Mn2O4]-, e.g. Li(NixMn2-x)O4, Li(MyNixMn2-x-y)O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9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30Three-dimensional structures
    • C01P2002/32Three-dimensional structures spinel-type (AB2O4)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50Solid solutions
    • C01P2002/52Solid solutions containing elements as dopants
    • C01P2002/54Solid solutions containing elements as dopants one element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50Agglomerated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1Micrometer sized, i.e. from 1-100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2Submicrometer sized, i.e. from 0.1-1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2Surface a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0Electric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48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Ti2O4 or LiTi2OxF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클 특성 및 고부하 특성을 모두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스피넬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망간 산화물을 함유하는 비수성 전해질 전지용 양극 활성 물질 및 상기 물질을 이용한 비수성 전해질 전지를 개시한다. 스피넬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망간 산화물은 그 일차 입자 직경이 0.05 μm 내지 10 μm이며, 응집체를 형성하고, BET법에 의해 측정되는 비표면적이 0.2 m2/g 내지 2 m2/g의 범위에 있다.

Description

비수성 전해질 전지용 양극 활성 물질 및 이를 이용한 비수성 전해질 전지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a Non-aqueous Electrolyte Cell and Non-aqueous Electrolyte Cel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수성 전해질 전지용 양극 및 비수성 전해질 전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활성 물질로서 스피넬형의 리튬 복합 망간 산화물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의 고성능화, 소형화, 휴대가능화에 따라, 이들 전자기기의 구동용 전원으로서 보다 에너지 밀도가 높은 이차 전지가 요구된다. 이들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이차 전지로서 니켈-카드뮴 이차 전지, 납 축전지, 니켈-수소 이차전지,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중에서 리튬 이온 이차 전지가 높은 전압과 고에너지 밀도를 가지며 자기방전도가 적고 메모리 효과가 없는 등의 특징을 갖는다.
현재, 리튬 이온 전지로서 양극에 층형 구조를 갖는 코발트산리튬 (LixCoO2, 0≤x≤1) 및 음극에 층형 구조의 탄소가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코발트산리튬은 4 V 이상의 높은 전압 특성을 보이며, 리튬 이온의 도핑 및 탈도핑에 대해 비교적 안정한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재료이지만, 코발트는 자원으로서 제한되고 비싸기 때문에 코발트를 함유하지 않는 양극 재료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다.
코발트를 포함하지 않는 양극 재료의 후보로 층형 구조의 니켈산리튬 (LixNiO2, 0≤x≤1)이나 스피넬 구조를 갖는 망간산리튬(LiMn2O4)을 들 수 있다. 특히, 망간산리튬은 저렴하고 안전성이 높기 때문에, 차세대 양극 물질로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망간산리튬은 고온 보존 및 사이클시에 망간이 전해액에 용출되어 전지 특성을 열화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실용화를 위해서는 망간 용출을 억제함으로써 전지 특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망간이 전해액에 용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보 평9-147859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양극 활성 물질의 비표면적을 작게 하여 전해액과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비표면적을 작게 하면 망간 용출은 감소되지만, 비표면적을 작게 하면 입자 직경을 증가시켜 리튬 도핑 및 탈도핑시에 반응성이 나빠져, 고부하에서 충방전 특성이 나빠진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이 반응성의 악화는 입자 직경이 증가될 때 리튬이온의 확산이 늦어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리튬의 확산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결정 입자 직경이 작아야 한다. 따라서, 입자 직경의 제어만으로는 사이클 특성 및 고부하 특성을 모두 달성할 수는 없다.
도 1은 원통형 비수성 전해질 전지의 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성분〉
1. 비수성 전해질 전지
2. 양극(正極)
3. 음극(負極)
4. 세퍼레이터
5. 전지캔
6. 절연판
7. 음극 도선
8. 양극 도선
9. 전류 차단용 박판
10. 전지 덮개
11. 절연 밀봉 가스켓
12. 센터 핀
13. 안전 밸브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이며, 사이클 특성 및 고부하 특성을 모두 얻을 수 있는 비수성 전해질 전지용 양극 활성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또한 그의 제조 방법 및 비수성 전해질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양극 재료 물질의 물리적 특성 및 망간 용출에 의한 전지 열화의 문제를 연구한 결과, 망간 용출량은 BET법으로 얻어진 비표면적의 값에 의존하며, BET법으로 얻어진 비표면적이 감소할수록 망간 용출량이 감소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BET법으로 얻어진 비표면적은 입자 직경이 작은 일차 입자가 응집체를 형성할 때 더 작아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소성 조건 및 분쇄 조건을 최적화하고 일차 입자 크기와 BET법으로 얻어진 비표면적의 값을 조절함으로써 완성되었다. 여기서, "응집체"란 화학적 결합력에 의해 집합된 수 개의 단위 입자(일차 입자)가 복합 입자(이차 입자)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비수성 전해질 전지용 양극 활성 물질은, 스피넬 구조를 가지며 그 일차 입자 직경이 0.05 μm 내지 10 μm이며 응집체를 형성하고 BET법으로 측정된 비표면적이 0.2 m2/g 내지 2 m2/g의 범위에 있는 리튬 복합 망간 산화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는, 스피넬 구조를 가지며 그 일차 입자 직경이 0.05 μm 내지 10 μm로 응집체를 형성하며 BET법으로 측정된 비표면적이 0.2 m2/g 내지 2 m2/g의 범위인 리튬 복합 망간 산화물을 양극 활성 물질로서 포함하는 양극, 음극 및 전해질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비수성 전해질 전지용 양극 활성 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비수성 전해질 전지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양극 활성 물질로서 스피넬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망간 산화물을 이용하며, 그 일차 입자 직경을 0.05 μm 내지 10 μm로 규정하였다. 일차 입자 직경이 1O μm보다 커지면 고비율의 방전 특성이 악화되며, 0.05 μm보다 작으면 응집에 의한 충분한 망간 용출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바람직한 일차 입자 직경은 0.1 μm 내지 5 μm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5 μm 내지 3 μm이다.
또한, 상기의 일차 입자 직경을 갖는 물질은 응집될 때 비표면적 값을 0.2 m2/g 내지 2 m2/g로 규정하였다. 이와 같이 규정한 이유는 비표면적이 0.2 m2/g보다 작으면 고비율 방전 특성이 악화되며 비표면적이 2 m2/g보다 커지면 응집에 의해서도 망간 용출이 억제되지 않기 때문이다.
비표면적의 규정 범위 중, 바람직한 범위는 0.2 m2/g 내지 1 m2/g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25 m2/g 내지 0.6 m2/g이다.
상기 스피넬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망간 산화물(스피넬형 망간산리튬)은 Ti, V, Cr, Fe, Co, Ni 및 Al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 원소를 원자비 0.3 이하까지 함유할 수 있다. 첨가 원소의 함유량을 0.3 이하의 원자비로 규정한 이유는 첨가 원소의 함유량이 0.3보다 많아지면 스피넬 구조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져 전지 특성이 현저히 저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리튬 복합 망간 활성 물질은 일반식 LixMn2-yMyO4(여기서, 0.90≤x≤1.4, y≤0.30이고, M은 Ti, V, Cr, Fe, Co, Ni 및 Al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나타냄)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한 첨가 원소의 함유량은 0.15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 10 이하이다.
상기 리튬 복합 망간 산화물을 얻기 위해서는, 리튬 복합 망간 산화물의 출발 원료를 소정의 조성으로 혼합하여 가압 성형한 후, 600℃ 내지 900℃의 온도에서 소성한다.
본 발명에서, 소성 온도는 600℃ 내지 900℃의 온도로 규정된다. 소성 온도가 600℃ 미만일 때, 비표면적을 감소시키는 일차 입자의 충분한 응집체를 얻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소성 온도가 900℃를 초과할 경우, 일차 입자 크기는 규정치보다 크게 증가된다. 소성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600℃ 이상 850℃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650℃ 내지 850℃이다.
이상과 같이 생성되는 망간염리튬은 하기의 음극 및 전해액과 함께 양극 활성 물질로서 비수성 전해질 전지(예를 들어,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에 적용될 수 있다.
음극에는, 리튬을 가역적으로 도핑 및 탈도핑 가능한 것, 예를 들어 피로탄소류(pyrocarbon), 코크류(피치 코크, 니들 코크, 석유 코크 등), 흑연류, 유리상 탄소류, 유기 중합체 화합물 소성체(적절한 온도에서 소성시켜 탄소화된 페놀 수지, 푸란 수지 등), 탄소 섬유, 활성탄 및 기타 탄소 물질 또는 금속 리튬, 리튬 합금 및 폴리아센, 폴리피롤 등과 같은 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전해액에는 유기 용매에 용해된 전해질로서 리튬염이 이용된다. 여기서 유기 용매는 특히 한정된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1,2-디메톡시에탄, γ-부티로락톤, 테트라히드로푸란, 2-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1,3-디옥솔란, 술폴란, 아세토니트릴, 디에틸 카르보네이트, 디프로필 카르보네이트 등의 단독 혹은 2 종류 이상의 혼합 용매가 사용 가능하다.
전해질에는 LiClO4, LiAsF6, LiPF6, LiBF4, LiB(C6H5)4, LiCl, LiBr, CH3SO3Li, CF3SO3Li 등이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비수성 용매에 용해된 전해질을 포함하는 비수성 전해액을 이용한 비수성 전해액 전지 뿐 아니라, 매트릭스 중합체에 전해질이 분산된 고체 전해질을 이용한 전지나, 팽윤 용매를 함유하는 겔형의 고체 전해질을 이용한 전지에 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차 전지 뿐 아니라 일차 전지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전지는 원통형, 뿔형, 코인형, 버튼형 등 특별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전지는 박형, 대형 등이 될 수 있으며 특정 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적용한 비수성 전해질 전지의 구체적 구조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것은 원통형의 비수성 전해질 전지의 예이다. 이러한 비수성 전해질 전지 (1)은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양극 (2)는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양극 활성 물질(스피넬 형 리튬 복합 망간 산화물) 및 결합제를 포함하는 양극 복합제는 양극 집전체로서 기능하는 금속박, 예를 들어 알루미늄박 상에 균일하게 도포, 건조되어 양극 활성 물질층을 형성한다. 상기 양극 복합제의 결합제는 공지된 결합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양극 복합제에 공지된 첨가물 등이 첨가될 수 있다.
음극 (3)은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음극 활성 물질로서의 탄소 물질 및 결합제를 포함하는 음극 복합제는 음극 집전체로서 기능하는 금속박, 예를 들어 구리박 상에 균일하게 도포, 건조되어 음극 활성 물질층을 형성한다. 상기 음극 복합제의 결합제는 공지된 결합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음극 복합제에 공지된 첨가물 등이 첨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얻어지는 양극 (2) 및 음극 (3)을, 예를 들어 미공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형성된 세퍼레이터 (4)를 통해 서로 밀착시켜, 회오리형으로 수차례 감아 권층체를 형성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내측이 니켈로 도금된 철제 전지캔 (5)에 절연판 (6)을 삽입하고, 권층체를 전지캔 (5)에 넣는다. 이어서, 음극의 집전을 위해, 예를 들어 니켈로 형성된 음극 도선 (7)의 한 말단을 음극 (3)에 부착시키고 다른 말단을 전지캔 (5)에 용접시킨다. 따라서, 전지캔 (5)는 음극 (3)에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비수성 전해질 전지 (1)의 외부 음극으로 기능한다. 또한, 양극 (2)의 집전을 위해,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양극 도선 (8)의 한 말단을 양극 (2)에 부착시키고, 다른 말단을 전류 차단용 박판 (9)를 통해 전지 덮개 (1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이 전류 차단 박판 (9)는 전지 내부 전압에 따라 전류를 차단시킨다. 따라서 전지 덮개 (10)은 전기적으로 양극 (2)에 연결되어 비수성 전해질 전지 (1)의 외부 양극으로 기능한다.
다음으로, 비수성 전해액을 상기 전지 캔 (5)에 주입한다. 이 비수성 전해액은 전해질을 비수성 용매에 용해시켜 제조된다.
다음으로, 아스팔트로 도포된 절연 밀봉 가스켓 (11)을 통해 전지캔 (5)를 밀봉하여 전지 덮개 (10)을 고정시켜 원통형의 비수성 전해질 전지 (1)을 제조한다.
또한, 이 비수성 전해질 전지 (1)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극 도관 (7) 및 양극 도관 (8)에 연결되는 센터 핀 (12)가 설치되고, 전지 내부의 압력이 소정의 값보다 높을 때 내부의 기체를 배출하기 위한 안전 밸브 (13) 및 전지 내부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PTC 소자 (14)가 설치된다.
〈실시예〉
이하,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험 1〉
Li 원료, Mn 원료 및 부가적인 원소 원료를 소정의 조성으로 총 2 kg이 되도록 계량하여 회전식 볼밀로 5시간 동안 혼합하였다. 혼합한 원료를 가압 정제 성형기로 400 kgf/cm2의 압력으로 성형하고, 이어서 800℃에서 15시간 동안 소성시켰다. 소성된 활성 물질은 진동형 볼밀로 10분간 분쇄하였다.
비교예로서, 원료 물질 혼합물을 회전식 볼밀로 5시간 혼합한 후, 가압 성형시키지 않고 800℃에서 15시간 동안 소성시켰다. 이어서, 진동형 볼밀로 5분간 분쇄및 10분간 분쇄하여 비교용 물질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양극 활성 물질은 SEM으로 조직 관찰하고 BET법으로 비표면적을 측정하여, 일차 입자 직경 및 비표면적의 값을 구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활성 물질의 일차 입자 직경 및 비표면적의 값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조성 일차 입자 직경(μm) 비표면적(m2/g)
실시예1-1 Li1.01Mn204 2.5 0.80
실시예1-2 Li1.02Mn1.98Co0.0204 1.6 0.52
실시예1-3 Li0.96Mn1.90V0.1004 4.0 1.36
실시예1-4 Li1.0Mn1.8Ni0.204 3.1 1.45
실시예1-5 Li1.00Mn1.85Fe0.1504 8.2 1.95
실시예1-6 Li1.1OMn1.75Cr0.2504 3.6 0.84
비교예1-1 Li1.03Mn0.96Ni0.04O4 0.8 2.24
비교예1-2 Li0.99Mn0.70Al0.3004 2.3 3.58
비교예1-3 Li1.08Mn1.85Co0.1504 5.5 0.17
상기 양극 활성 물질을 사용하여 이하에 기술하는 방법으로 원통형 전지를 제조하여 전지 특성을 평가하였다.
양극 제조를 위해, 활성 물질 분말 86 중량%, 전도제로서 흑연 10 중량%, 결합제로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리드(PVdF) 4 중량%를 혼합하여 N-메틸-2-피롤리돈 (NMP)에 분산시켜 양극 혼합물 슬러리를 얻었다. 이 슬러리를 두께 20 μm의 벨트형 알루미늄박의 양면에 균일하게 도포, 건조시킨 후, 롤러 프레스기로 압축하여 벨트형 양극을 얻었다. 이 양극의 충전 밀도를 측정한 바 2.8 g/cm3이었다.
다음으로, 음극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분말형의 인조 흑연 분말 90 중량%에 PVdF 10 중량%를 혼합하고 NMP에 분산시켜 음극 혼합물 슬러리를 얻었다. 이 혼합물 슬러리를 두께 10 μm의 구리박의 양면에 균일하게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에 롤러 프레스기로 압축하여 벨트형 음극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제작된 벨트형 양극 및 벨트형 음극을 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으로 여러 차례 감아 회오리형으로 감긴 전극체를 얻었다. 이 전극체를 니켈 도금된 철제 전지캔에 넣고 상기 전극체의 상하면에 절연판을 배치하였다. 다음으로, 알루미늄 양극 도관을 양극 집전체로부터 도출시켜 전지캔의 바닥부에 용접하였다.
한편, 전해액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체적 혼합비가 1:1인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및 메틸에틸 카르보네이트의 혼합 용액에 1 mo1/cm3의 농도가 되도록 LiPF6을 용해시켜 비수성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에 언급된 전극체를 포함하는 전지캔 내에 전해액을 주입한 후, 절연 밀봉 가스켓을 통해 전지캔을 밀봉하고 안전 밸브, PTC 소자 및 전지 덮개를 고정하여, 외부 직경 18 mm 및 높이 65 mm의 원통형 전지를 제작하였다.
양극에서 용출되는 망간의 지표로서 초기 용량에 대한 200 사이클 후의 용량비를 얻었다. 또한, 고비율 방전 특성으로서 방전 전류 750 mA와 방전 전류 4500 mA 사이의 방전 용량비를 구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2OO 사이클후 용량비(%) 3C/0.5C 고비율 방전 용량비(%)
실시예 1-1 88 72
실시예 1-2 82 73
실시예 1-3 91 78
실시예 1-4 86 74
실시예 1-5 83 71
실시예 1-6 81 73
비교예 1-1 71 74
비교예 1-2 65 82
비교예 1-3 85 38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1 내지 1-6과 같이 분쇄, 혼합, 가압성형 및 소성을 수행하여 일차 입자 직경 및 비표면적이 본 발명의 범위 내가 될 경우, 전지의 사이클 용량비와 고비율 방전 용량비는 바람직한 값을 보인다. 그러나, 비교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쇄, 혼합 및 소성만을 행하여 일차 입자 직경 또는 비표면적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 있으면, 사이클 용량비 또는 고비율 방전 용량비가 저하되었다.
〈실험 2〉
Li 원료, Mn 원료 및 Ni 원료를 Li1.0Mn1.8Ni0.2O4의 조성으로 총 2 kg이 되도록 계량하여 회전식 볼밀로 5시간 동안 혼합하였다. 혼합한 원료를 가압 정제 성형기로 400 kgf/cm2의 압력으로 성형하고, 이어서 여러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소성시켰다. 소성된 활성 물질은 진동형 볼밀로 10분간 분쇄하였다.
얻어진 활성 물질은 조직 관찰하고 BET법으로 비표면적을 측정하여 일차 입자 직경 및 비표면적의 값을 구하였다.
표 3에 얻어진 값을 나타내었다.
소성 온도(℃) 일차 입자 직경(μm) 비표면적 (m2/g)
실시예2-1 600 0.2 1.88
실시예2-2 780 3.5 1.34
실시예2-3 800 3.1 1.45
실시예2-4 900 8.2 0.39
비교예2-1 560 0.04 2.47
비교예2-2 920 13.8 0.18
상기 양극 활성 물질을 양극 재료로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원통형 전지를 제작하고 전지 특성을 평가하였다. 양극에서 망간 용출의 지표로서 초기 용량에 대한 200 사이클 후의 용량비를 구하고, 고비율 방전 특성으로는 방전 전류 750 mA와 4500 mA 사이의 방전 용량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200 사이클후용량비(%) 3C/0.5C 고비율 방전용량비(%)
실시예 2-1 87 73
실시예 2-2 84 75
실시예 2-3 86 74
실시예 2-4 83 72
비교예 2-1 62 75
비교예 2-2 88 32
표 4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범위 내의 온도로 소성하고 일차 입자 직경 및 비표면적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는 사이클후 용량비와 고비율 방전 용량비가 양호한 값을 보였다. 그러나, 소성 온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있지 않고, 일차 입자 직경 또는 비표면적이 본 발명의 범위에 있지 않을 때, 사이클 용량비 또는 고비율 방전 용량비가 저하되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피넬형 리튬 복합 망간 산화물의 일차 입자 직경 및 비표면적을 규정하여 비수성 전해질 전지용 양극 활성 물질 및 망간 용출에 의한 전지 열화가 적고 고비율 방전 특성이 우수한 비수성 전해질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스피넬 구조를 갖고 일차 입자 직경이 0.05 μm 내지 10 μm이고, 응집체를 형성하며, BET법에 의해 측정된 비표면적이 0.2 m2/g 내지 2 m2/g인 리튬 복합 망간 산화물을 함유하는 비수성 전해질 전지용 양극(正極) 활성 물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복합 망간 활성 물질이 일반식 LixMn2-yMyO4(여기서, 0.90≤x≤1.4, y≤0.30이고, M은 Ti, V, Cr, Fe, Co, Ni 및 Al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나타냄)으로 표현되는 것인 비수성 전해질 전지용 양극 활성 물질.
  3. 리튬 복합 망간 산화물의 출발 원료를 소정의 조성으로 혼합하고, 가압 성형한 후, 600℃ 내지 900℃의 온도에서 소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수성 전해질 전지용 양극 활성 물질의 제조 방법.
  4. 스피넬 구조를 갖고, 일차 입자 직경이 0.05 μm 내지 10 μm이고, 응집체를 형성하며, BET법에 의해 측정된 비표면적이 0.2 m2/g 내지 2 m2/g인 리튬 복합 망간 산화물을 양극 활성 물질로서 포함하는 양극, 음극(負極)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5. 제4항에 있어서, 음극이 리튬을 가역적으로 도핑 및 탈도핑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6. 제5항에 있어서, 리튬을 가역적으로 도핑 및 탈도핑할 수 있는 물질이 탄소 물질, 금속 리튬, 리튬 합금, 폴리아센 및 폴리피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인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7. 제6항에 있어서, 탄소 물질이 피로탄소류(pyrocarbon), 코크류, 유리상 탄소, 유기 중합체 화합물 소성체 및 탄소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인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8. 제4항에 있어서, 전해질이 LiClO4, LiAsF6, LiPF6, LiBF4, LiB(C6H5)4, LiCl, LiBr, CH3SO3Li 및 CF3SO3L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인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9. 제4항에 있어서, 전해질이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1, 2-디메톡시에탄, γ-부티로락톤, 테트라히드로푸란, 2-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1, 3-디옥솔란, 술폴란, 아세토니트릴, 디에틸 카르보네이트 및 디프로필 카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에 용해된 것인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KR1020000052959A 1999-09-08 2000-09-07 비수성 전해질 전지용 양극 활성 물질 및 이를 이용한비수성 전해질 전지 KR200100302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458999A JP2001076727A (ja) 1999-09-08 1999-09-08 非水電解質電池用正極活物質及び非水電解質電池
JP99-254589 1999-09-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298A true KR20010030298A (ko) 2001-04-16

Family

ID=17267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2959A KR20010030298A (ko) 1999-09-08 2000-09-07 비수성 전해질 전지용 양극 활성 물질 및 이를 이용한비수성 전해질 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48800B1 (ko)
EP (1) EP1083615A2 (ko)
JP (1) JP2001076727A (ko)
KR (1) KR20010030298A (ko)
CN (1) CN1287390A (ko)
TW (1) TW47820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231A (ko) * 2001-01-18 2001-06-05 선양국 졸-겔법을 이용한 리튬2차전지용 층상망간 양극물질 합성법
US9077023B2 (en) 2011-01-12 2015-07-07 Samsung Sdi Co., Ltd. Cathode active material having manganese oxide and boron, cathode and lithium battery including cathode active material, and method of preparing the cathode active materi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8845A (ja) * 2001-03-30 2002-10-11 Sony Corp 正極活物質及びその合成方法、並びに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4649801B2 (ja) * 2001-08-24 2011-03-16 株式会社Gsユアサ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及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JP2003203632A (ja) * 2002-01-09 2003-07-18 Hitachi Ltd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とその製造法及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並びに組電池モジュール
JP4740409B2 (ja) * 2003-06-11 2011-08-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自動車或いはハイブリット自動車用リチウム二次電池
CN100438195C (zh) * 2004-05-22 2008-11-2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二次电池
JP2006222072A (ja) * 2005-01-14 2006-08-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4868759B2 (ja) * 2005-03-30 2012-02-01 三洋電機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7021087A1 (en) * 2005-08-16 2007-02-22 Lg Chem, Ltd. Cathode active material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the same
US8895187B2 (en) 2005-08-16 2014-11-25 Lg Chem, Ltd. Cathode active material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the same
BRPI1007247A2 (pt) * 2009-01-20 2019-02-26 Toda Kogyo Corp material ativo de eletrodo positivo para baterias secundárias como solução eletrolítica não aquosa, processo para a produção do material ativo e das baterias secundárias com solução eletrolítica não aquosa.
JP5436896B2 (ja) * 2009-03-17 2014-03-05 日本化学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リン系複合酸化物炭素複合体、その製造方法、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KR20100117895A (ko) * 2009-04-27 2010-11-04 대정이엠(주) 리튬 이차전지용 올리빈형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JP5568886B2 (ja) * 2009-05-07 2014-08-13 ソニー株式会社 活物質、電池および電極の製造方法
CN102195035A (zh) * 2010-03-19 2011-09-21 江西省福斯特新能源有限公司 锂离子电池正极材料及使用此材料的锂离子电池
JP6428192B2 (ja) * 2014-11-20 2018-11-28 戸田工業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粒子粉末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EP3258521B1 (de) * 2016-06-14 2020-11-04 VARTA Microbattery GmbH Lithium-primärzelle mit dme-freiem elektrolyten
JP2018113130A (ja) * 2017-01-10 2018-07-19 日揮触媒化成株式会社 マンガン酸リチウム、該マンガン酸リチウムを含む正極、及び該正極を備える非水電解質二次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4968B2 (ja) * 1992-09-01 2003-01-08 株式会社デンソー 電 池
ATE171012T1 (de) * 1994-06-10 1998-09-15 Danionics As Kathodenmaterial für li-sekundärbatterien und verfahren und vorläufermaterial zu deren herstellung
US5773168A (en) * 1995-08-23 1998-06-30 Kabushiki Kaisha Toshiba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09129236A (ja) * 1995-08-25 1997-05-16 Furukawa Battery Co Ltd:The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並びにリチウム二次電池
EP0872905B1 (en) * 1995-12-26 2005-04-27 Kao Corporation Anode active material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JPH09245836A (ja) * 1996-03-08 1997-09-19 Fuji Photo Film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6083646A (en) * 1996-08-29 2000-07-04 Sony Corporatio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cathode material
TW434187B (en) * 1997-05-07 2001-05-16 Fuji Chem Ind Co Ltd A process for preparing a spinel type of lithium manganese complex oxide
CA2240805C (en) * 1997-06-19 2005-07-26 Tosoh Corporation Spinel-type lithium-manganese oxide containing heteroelements, preparation process and use thereof
US5962166A (en) * 1997-08-18 1999-10-05 Covalent Associates, Inc. Ultrahigh voltage mixed valence materials
US6267943B1 (en) * 1998-10-15 2001-07-31 Fmc Corporation Lithium manganese oxide spinel compound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JP3634694B2 (ja) * 1998-12-18 2005-03-30 三洋電機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231A (ko) * 2001-01-18 2001-06-05 선양국 졸-겔법을 이용한 리튬2차전지용 층상망간 양극물질 합성법
US9077023B2 (en) 2011-01-12 2015-07-07 Samsung Sdi Co., Ltd. Cathode active material having manganese oxide and boron, cathode and lithium battery including cathode active material, and method of preparing the cathode active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076727A (ja) 2001-03-23
CN1287390A (zh) 2001-03-14
TW478200B (en) 2002-03-01
EP1083615A2 (en) 2001-03-14
US7648800B1 (en) 2010-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3699B1 (ko) 리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US8298707B2 (en) Positive active material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US7214449B2 (en) Cathode active material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KR101455663B1 (ko) 리튬 이온 2차 배터리
KR101165836B1 (ko) 정극 활물질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비수성 전해질 2차전지
US8586246B2 (en)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positive electrode using the same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KR101568418B1 (ko) 부극 및 이차 전지
US20030134200A1 (en)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cell
US20040170898A1 (en)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JPH0935715A (ja) 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及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
US7648800B1 (en)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a non-aqueous electrode cell and non-aqueous electrode cell using the same
KR20030081160A (ko) 전지
JP4595145B2 (ja) 非水電解質電池
JP4032744B2 (ja) 正極活物質及びこれを用いた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02279956A (ja) 非水電解質電池
KR101084080B1 (ko)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
JP2001085009A (ja) 正極活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16567A (ja) 非水電解液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180878A (ja) リチウム二次電池
EP1376731A1 (en) Nonaqueous electrolytic cel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02203600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3104264B2 (ja) コイン型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H11219707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H07296794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H04215252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