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0121A - 색 재현 단말 장치, 네트워크 색 재현 시스템 및 색 재현방법 - Google Patents

색 재현 단말 장치, 네트워크 색 재현 시스템 및 색 재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0121A
KR20010030121A KR1020000048897A KR20000048897A KR20010030121A KR 20010030121 A KR20010030121 A KR 20010030121A KR 1020000048897 A KR1020000048897 A KR 1020000048897A KR 20000048897 A KR20000048897 A KR 20000048897A KR 20010030121 A KR20010030121 A KR 20010030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color conversion
network
reproduction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8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나모리가츠히로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30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12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83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factors external to the apparatus
    • H04N1/6088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factors external to the apparatus by viewing conditions, i.e. conditions at picture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3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signal generator or the picture reproducer
    • H04N1/6052Matching two or more picture signal generators or two or more picture repro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색 재현 단말 장치, 네트워크 색 재현 시스템 및 색 재현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정확한 색 재현을 하는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각 사용자가 자신이 갖고 있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색을 서버에 의해 프로파일을 작성하는 것에 의해서 정확하게 보정하고, 색 재현 단말 장치를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접속부, 컬러 영상을 표시하는 컬러 영상 표시기, 컬러 영상 표시기의 재현 특성과 관찰 조명 조건을 취득하는 컬러 카메라 또는 센서, 네트워크를 거쳐서 취득한 컬러 영상에 색변환을 실시하여 컬러 영상 표시기로 출력하는 색변환부를 구비해서 구성하고, 또 네트워크를 거쳐서 취득한 컬러 영상에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다운로드한 색변환 프로파일과 색변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색변환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대화적으로 상호의 안색을 상호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는 네트워크 색 재현이 완성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색 재현 단말 장치, 네트워크 색 재현 시스템 및 색 재현 방법{TERMINAL UNIT, SYSTEM AND METHOD FOR REPRODUCING COLORS ON THE NETWORK}
본 발명은 컬러 디스플레이 단말 및 상기 단말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색 재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컬러 매니지먼트 기술 분야에서는 스캐너, 디스플레이, 프린터 등의 컬러 기기 사이의 컬러 매칭(matching)을 도모하기 위해서, 컴퓨터의 오퍼레이팅 시스템(OS) 레벨로 소프트웨어적인 구조가 조립되게 되고 있다. 이 컬러 매니지먼트 시스템(이하, CMS라고 기재한다)에서는 미리 각 컬러 기기마다 색변환 프로파일이라고 불리는 기기 색변환 특성 정보를 준비해 두고, 퍼스널 컴퓨터(PC)의 OS에 색변환부로서 조립한다. 그 색변환부가 컬러 영상을 색 변환 프로파일에 따라 색변환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색채값을 기기값으로 변환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특성의 측정과 장치의 모델화를 이후 「캐릭터라이제이션(characterization)」이라고 부른다. 컬러 기기의 색 변환 프로파일은 컬러 기기 제조업체에 의해 기기 측정과 계산 알고리즘에서 생성되고, 기기 구입시에 기기와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그러나, 현재의 시점에서 컬러 매니지먼트가 실용적으로 유효하게 기능하고 있는 분야는 이하와 같은 이유에 의해 매우 적다.
제 1 이유는 컬러 기기와 그것을 사용하는 기기에는 일반적으로 개체 차나 경시 변화가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이 컬러 기기를 특징지으려(캐릭터라이즈하고자) 할 때에 제조업체가 제공하는 평균적인 색 재현 프로파일을 사용해도 색 재현 정밀도가 나빠진다. 또, 컬러 디스플레이의 색 재현 특성은 디스플레이 자체만이 아니라 PC에 내장된 디스플레이 카드의 특성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자 자신의 컬러 기기의 캐릭터라이제이션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0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디스플레이의 캐릭터라이제이션 또는 캘리브레이션의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색채계(2001)를 디스플레이(2005)에 흡착시켜 색신호가 판독(read)되고, 측정기 인터페이스(2002)와 케이블(2003)을 거쳐서 PC(2004)에 색신호 데이터가 입력된다. 그리고, PC내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프로파일이 작성되거나 또는 경시 변화에 대한 미세 조정이 실행된다. 그러나, 이 조정을 위해서는 본래 불필요한 측정 장치를 입수하는 것과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기 전의 매회 측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것은 일반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번거로워 실용적이지 못하다.
제 2 이유는 컬러 매니지먼트를 서포트하고 있지 않은 PC가 있는 것이다. 최근의 PC는 컬러 매니지먼트를 OS의 레벨로 실현할 수 있지만, 네트워크로 접속된 불특정 다수의 PC중에는 컬러 매니지먼트 자체를 OS가 서포트하고 있지 않은 PC도 다수 있다. 이들 PC는 컬러 매니지먼트 자체를 실행할 수가 없다.
제 3 이유는 최근에 특히 문제시되고 있는 크로스 미디어 색 재현의 문제가 있는 것이다. 다른 조명 조건에서의 색 재현이나 다른 미디어(디스플레이나 프린터)에 의한 색 재현은 종래의 측색적(測色的)인 색 재현 방법으로는 달성할 수 없다. 조명이 다르면 조명의 디스플레이의 색의 보임(co1or appearance; 컬러 어피어런스)으로의 영향이 다르기 때문에, 색이 보이는 방법이 다르다. 이 경우의 색 변환 방법은 아직 해결하지 못했다.
도 1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색 재현 단말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색 재현 단말 장치의 외관도,
도 3은 색 재현 단말 장치의 카메라 헤드의 3종류의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프로젝터를 이용한 색 재현 단말 장치의 외관도,
도 5는 컬러 매니지먼트를 서포트하는 색 재현 단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컬러 매니지먼트를 서포트하지 않는 색 재현 단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색 재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 프로파일 작성의 흐름도,
도 9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색 재현 단말 장치의 구성도,
도 10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색 재현 단말 장치의 외관도,
도 11은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전자 쇼핑에서의 네트워크 색 재현 시스템의 구성도,
도 12는 전자 쇼핑에서의 네트워크 색 재현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13은 조명/색순응/콘트라스트 보정 처리의 흐름도,
도 14는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색 재현 단말 장치의 조명/색순응/콘트라스트 보정처리의 흐름도,
도 15는 실시예 5에 있어서의 전자 쇼핑에서의 네트워크 색 재현 시스템의 구성도,
도 16은 실시예 5에 있어서의 전자 쇼핑에서의 네트워크 색 재현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17은 네트워크 색 재현 시스템의 다차원 원색 변환 처리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실시예 6에 있어서의 원격 의료에서의 네트워크 색 재현 시스템의 구성도,
도 19는 원격 의료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색 재현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20은 종래의 색 재현 단말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컬러 카메라 102 : 조명광 센서
107 : 네트워크 I/F 112 : 네트워크
본 발명의 색 재현 단말 장치는 특성이 이미 알려져 있는 컬러 카메라를 부속하고, 이것을 사용해서 떨어진 위치에서 디스플레이면을 항상 또는 적절히 촬상하여 디스플레이의 색 재현 특성을 측정하고, 사용자의 컬러 디스플레이에 최적한 디스플레이 프로파일을 자동적으로 작성한다. 쌍방향의 TV 회의나 원격 의료 시스템 등의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는 사용자측에 디스플레이와 컬러 카메라가 통상 존재하기 때문에, 추가의 컬러 카메라를 새로운 장치로서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 IEC/TC100(국제 전기 표준 회의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등으로 정해져 있는 디스플레이 측정 방법에는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고 기재한다)의 경우, 일정 거리로부터의 측정이 규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색 재현 단말 장치는 이러한 측정에의 대응도 가능하다. 프로파일의 작성부는 알고리즘의 자유도를 높이기 위해서, 사용자 단말 내에는 존재하지 않고 네트워크 상의 색 재현 서버에 존재한다. 사용자 단말은 디스플레이 특성의 측정에 사용하는 컬러 카메라의 특성 데이터와 디스플레이 특성의 측정에 이용하는 컬러 색표 데이터를 색 재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다. 그 후, 사용자 단말은 디스플레이 특성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색 재현 서버로 송부한다. 색 재현 서버는 이 측정 결과에 따라서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프로파일을 작성하므로, 사용자 단말은 자신의 디스플레이 용도로 최적화된 색 변환 프로파일을 자동적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네트워크 색 재현 시스템에 있어서, 색 재현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실행가능한 색 변환 프로그램을 축적한다. 사용자 단말은 이 프로그램을 자동 다운로드하여 컬러 매니지먼트를 실행한다. 이것은 현재의 인터넷에 있어서의 WWW 브라우저와 자바(JAVA) 어플렛 등으로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색 재현 단말은 간단한 조명광 센서를 구비하고, 이 센서는 단말에서의 컬러 카메라에 의한 촬상과 디스플레이의 관찰시의 주위의 조명광을 관측한다. 이 조명광 정보에 의해서 사용자 단말에 표현되는 측색값을 보정한다. 그리고, 암실내, 일반실내, 또 옥외와 같은 다양한 환경 하에서 디스플레이의 재현색이 정확하게 보정된다.
또, 본 발명의 색 재현 시스템에서의 색 재현 방법에서는 종래의 XYZ값(3자극값; tristimulus values)을 일치시킬 뿐만 아니라, 색의 보임(어피어런스)의 일치, 분광분포의 일치가 고려되고 있다.
(실시예 1)
도 1에 실시예 1에 따른 색 재현 단말 장치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1의 색 재현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다운로드된 컬러 영상을 컬러 디스플레이 상에서 정확하게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단말 장치는 CPU(106),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 메모리(108), 하드디스크(109), 컬러 디스플레이/프로젝터(105), 컬러 카메라(101), 조명광 센서(102), 입력 수단(110), 출력 수단(111)으로 구성된다.
컬러 카메라(101)는 원격 의료/TV 회의에 있어서의 대화적인 영상이나 영상의 촬상과 또 컬러 매니지먼트를 위한 디스플레이(105) 면의 측정에 사용된다. 또, 조명광 센서(102)는 컬러 매니지먼트를 위해서, 카메라(101)의 촬상 환경 정보와 디스플레이(105)가 배치되어 있는 관찰 환경에서의 조명 정보를 취득한다. 이러한 컴퓨터 시스템은 OS가 CMS를 내장한 것과 내장하고 있지 않은 것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양쪽을 고려하여 특별히 제한은 하지 않는다.
또, 이 단말 장치는 사용자 디스플레이면의 측정을 위해서, 특수한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통상 TV 회의에 사용되는 저렴하고 간단한 컬러 카메라를 사용한다. 컬러 카메라의 지지나 카메라 헤드를 연구하여 카메라의 방향과 위치를 가동식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상의 표시색을 관찰자의 시점에 가까운 위치에서 측정할 수가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색 재현 단말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컬러 카메라(203)는 카메라 암(204)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카메라 암(204)은 디스플레이 대(205)에 접속되어 가동(이동가능)하며, 카메라 헤드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이 기구에 의해, 컬러 카메라(203)는 디스플레이면(202)에 대해서 자유로운 위치에 고정된다. 도 2는 개념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 예 이외에도 다양한 실제 기구가 고려된다. 또,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카메라(203)로부터의 신호는 디스플레이 대(205)를 경유하여 컴퓨터 시스템(201)에 입력된다. 이 신호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의 영상 신호이다. 조명광 센서(206)는 디스플레이 면(202)과 컬러 카메라(203)의 관찰 조명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또한, 조명광 센서(206)는 컬러 카메라(203)의 렌즈에 필터를 장착하고 신호 처리를 부가하는 것에 의해 대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색 재현 단말 장치의 3종류의 동작에 있어서의 컬러 카메라(203)의 설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예(301)는 디스플레이(202)의 캐릭터라이제이션 또는 캘리브레이션을 위해, 디스플레이(202)의 색 재현 특성을 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컬러 카메라(203)를 디스플레이(202)를 향해서 표시색 또는 색표(302)를 촬상하고, 그 촬상 신호가 컴퓨터 시스템(201)에 페치(입력)된다. 이 때, 실내 조명은 통상 암실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컬러 카메라(203)는 디스플레이(202)와 정면으로 대향해서 사용자가 통상 사용하는 거리에 세트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카메라 암(204)은 그것을 위한 자유도를 구비한다.
예(310)는 전자 쇼핑이나 전자 미술관 등 컬러 영상을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디스플레이(202)에 표시시켜 관찰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본 실시예의 색 재현 단말 장치의 설정을 나타낸다. 이 경우, 컬러 카메라(203)는 불필요하며, 디스플레이 앞면에 있으면 방해로 되기 때문에 접어두는 위치에 있다. 그러나, 컬러 카메라(203)는 항상 관면을 촬상하여 디스플레이(202)의 컬러 매니지먼트를 실행해도 무방하다.
예(320)에서는 원격 의료나 TV 회의 등의 애플리케이션이 상정되고 있다. 사용자(322)의 얼굴을 컬러 카메라(203)에 의해 촬상한 정지 또는 동영상(움직임영상)을 여러 명의 사용자 사이에서 서로 전송하기 위해서, 컬러 카메라(203)는 그의 헤드가 회전시켜져 사용자(322)의 얼굴을 촬상하는 위치에 설정된다.
이상, 도 3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로서 음극 선관(Cathode Ray Tube; CRT)이나 LCD가 이용되었다. 도 4는 프로젝터를 이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장치는 CRT 또는 LCD 디스플레이 대신에 접속된 프로젝터(401)와 스크린(402)으로 구성된다. 예(404)는 카메라 헤드를 스크린을 향해서 투영된 컬러 영상(403)의 측색을 실시하는 경우의 상태를 나타낸다. 예(405)는 사용자 자신을 촬상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후, 디스플레이에는 프로젝터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색 재현 단말 장치의 CMS의 처리의 개념도이다. 현재의 대부분의 컴퓨터에서는 OS에 CMS가 조립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애플리케이션의 차이에 의한 재현색의 차이를 없앨 수가 있다.
CMS는 컬러 영상의 색 변환 처리를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인 색변환부(506)에 디스플레이 등의 컬러 기기의 색 재현 특성 파일인 디스플레이 프로파일(504)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프로파일(504)은 컬러카메라, 컬러 디스플레이 등 컬러 기기를 만든 제조업체로부터 공급받는다. CMS에 있어서 소스측 컬러 기기의 색 변환 프로파일에 의해 기기 의존의 색공간이 기기 비의존의 색 공간으로 변환되고, 다음에 수신자(destination)측 컬러 기기의 색 변환 프로파일에 의해 기기 비의존의 색공간이 기기 의존의 색공간으로 변환된다.
예를 들면, 인터넷 상의 컬러 영상을 자신의 디스플레이에 의해 관찰하는 경우, 인터넷 상의 컬러 영상은 표준의 RGB형식인 sRGB 색공간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네트워크(501)를 경유하여 송신되어 온 컬러 영상(502)은 사용자 PC상의 색변환부(506)에 있어서 sRGB 프로파일(503)을 이용하여 XYZ 색공간으로 변환되고,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프로파일(504)을 이용하여 XYZ 색공간에서 RGB 색공간으로 변환되며, 디스플레이(508)에 정확한 RGB 값으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XYZ를 일치시켜 색 재현을 실행하는 방법은 비교적 간단한 시스템에 의해 실현되어 다용되고 있지만, 정말로 정확하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이 방법에서는 이하와 같은 불합리(문제점)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1] 동일한 XYZ를 표시하려고 해도, 디스플레이마다 출력할 수 있는 최대 휘도나 색영역이 달라 색영역 매칭을 실행하기 때문에 색어긋남을 일으킨다.
[2] XYZ 값을 동일하게 하는 방법에 의한 색 재현은 동일한 조명 하에서 동일한 종류의 미디어를 관찰할 때에만 성립하고, 조명이 다른 경우나 실제의 피사체와 디스플레이 상의 영상을 비교해 보는 경우에는 성립하지 않는다. 특히, 컬러 어피어런스(색의 「보임」)의 모델이 「크로스 미디어간 색 재현」으로서 연구되어 표준화가 한창 진행되고 있으며, 알고리즘은 발전 도상(途上)에 있다.
이상과 같은 불합리를 고려한 상태에서 더욱더 고정밀도인 색 재현을 실행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의 색 재현 단말 장치는 사용자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되어 있는 환경의 조명광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한다. 또, 본 장치는 이 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작성되는 색 변환 프로파일과 이 색 변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실제의 색 재현을 실행하는 색변환부가 고정적인 모듈로서 구성된다. 또, 금후의 컬러 어피어런스 모델의 연구 성과가 잇달아 표준화될 것을 예상하여 네트워크 상에 마련된 독자적인 색 재현 서버로부터 색 변환 소프트웨어 모듈을 다운로드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도 5와 도 6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색 재현 단말 장치 내부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색 재현 단말의 OS에 CMS가 조립되어 있는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CMS가 조립되어 있지 않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네트워크(601)에서 색 변환 소프트웨어 모듈을 색변환부(604)로 다운로드한 경우를 상정해서 설명한다. 도 6에서는 CMS 기능은 OS 레벨이 아니라 네트워크/브라우저 등의 애플리케이션(606) 레벨로 실현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색 재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네트워크(707) 상에 사용자 단말인 색 재현 단말 장치(705)와 색 재현 서버(706)가 존재한다. 서버(706)에는 (a) 색표 데이터(701), (b)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의 색 변환 프로파일을 축적하는 카메라 프로파일 데이터 베이스(702), (c)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프로파일을 작성하기 위한 프로파일 작성 프로그램(703) 및 (d) 사용자 단말에 다운로드되어 색변환을 실행하는 색변환부 프로그램(704)이 축적되고, 이들은 단말 장치(705)의 디스플레이의 캐릭터라이제이션을 실행할 때에 필요하게 된다.
여기서, 색표 데이터(701)는 RGB 데이터로 표현된 수십 개의 컬러 패치 데이터로서, 디스플레이 색 재현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카메라 프로파일 데이터 베이스(702)는 기본적으로 카메라 제조업체가 각 제품마다 작성한다. 사용자 단말측의 색 재현 단말 장치(705)에서 사용되고 있는 카메라의 형태 번호 등의 정보에 따라서, 사용자는 카메라의 촬상 특성을 네트워크(707)를 거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프로파일 작성 프로그램(703)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프로파일을 작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색변환부 프로그램(704)은 색 재현 서버(706) 상이 아니라 사용자 단말측의 색 변환 단말 장치(705)로 보내져서 단말 장치(705) 상에서 색변환을 실행하는 모듈이다.
이 네트워크 색 재현 시스템에서 색 재현을 실행하는 수순을 설명한다. 최초에, 사용자는 자신의 색 재현 단말 장치(705)의 기기를 캘리브레이션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캘리브레이션을 이하와 같이 실현한다.
[1] 사용자 단말측에 비치된 컬러 카메라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면을 촬영한다.
[2] 촬영 데이터를 색 재현 서버로 보내고, 서버가 디스플레이 프로파일을 작성한다.
[3] 이 프로파일을 다운로드한다.
이들 수순을 도 8에 도시한다.
스텝(801)에서는 색 재현 단말 장치(705)의 요구에 의해 복수(複數) 색의 색표 데이터(701)가 색 재현 서버(706)에서 RGB 데이터 형식으로 송출된다. 스텝(802)에서는 단말 장치(705)가 네트워크(707)를 거쳐서 색표 데이터(701)를 취득하고, 스텝(803)에서는 단말 장치(705)는 디스플레이(202)에 색표 데이터(701)를 표시한다.
그리고, 단말 장치(705)에서는 스텝(804)에 있어서 사용자가 카메라(203)를 도 3의 예(301)로 나타낸 위치에 설정하고, 디스플레이(202) 상의 색표 영상을 카메라(203)에 의해 촬상한다. 촬상된 컬러 색표 영상은 데이터량 삭감을 위해, 영상에서 각 색표의 대표 복수 화소의 평균값을 계산하는 등의 처리를 실행한 후 RGB 데이터로서 취득한다. 이 RGB 데이터값은 색표 데이터를 카메라로 판독한 것으로서, 색표의 원래의 RGB 데이터값과는 달리 디스플레이(202)의 발색 특성과 카메라(203)의 촬상 특성의 2가지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스텝(805)과 스텝(806)에 있어서 이 색표를 촬상한 RGB 데이터는 색 재현 서버(706)로 송출된다. 스텝(807)에서는 단말 장치(705)에서 이 색표 데이터(701)의 촬상에 이용한 카메라(203)의 기종 등의 카메라 정보가 색 재현 서버(706)로 송출된다.
스텝(808)에서는 서버(706)가 취득한 카메라 정보에 따라서 카메라 프로파일 데이터 베이스(702)를 검색하여 카메라 프로파일을 선택한다. 스텝(809)과 스텝(810)에 있어서 단말 장치(705)는 선택된 카메라 프로파일을 취득한다. 여기서, 카메라 정보라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사용하고 있는 카메라의 제품 번호 등이다. 카메라의 CCD나 색 필터의 특성에 대해서 경시변화 또는 동일 기종에서의 개체 차는 비교적 적다고 고려된다.
스텝(811)에 있어서 서버(706)는 카메라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색표 데이터(701)를 RGB 데이터에서 XYZ 데이터로 변환한다. 스텝(812)에서는 서버(706)는 그의 XYZ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705)의 디스플레이 프로파일을 구한다. 이 XYZ 데이터가 나타내는 색은 디스플레이(202)에 의해 색표 데이터(701)를 발색했을 때에 재현된 색이기 때문에, 카메라(203)의 촬상 특성을 알 수 있으면 디스플레이(202)의 색 재현 특성을 계산할 수 있다.
또, 스텝(812)에 있어서 서버(706)가 산출한 디스플레이 프로파일은 단말 장치(705)로 송출되고, 스텝(813)에 있어서 단말 장치(705)는 자신의 디스플레이 프로파일을 취득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프로파일 작성 알고리즘은 사용자 단말 이외의 색 재현 서버 상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자유롭게 버전업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있어서 다양한 이점이 있다. 이들 수순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 기록되고, 하드디스크 또는 가반형(운반가능형) 기억 매체에 기록되어 단말 장치(705)와 서버(706)내에서 실행된다.
(실시예 2)
도 9에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색 재현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실시예 1의 도 1과의 차이는 인물 촬상 카메라(901)와 디스플레이 관측 카메라(902)를 구비하는 점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물 촬상 카메라(1001)는 이 색 재현 단말 장치의 사용자의 얼굴을 촬상하고, 디스플레이 관측 카메라(1002)는 디스플레이(202) 상의 색표 영역(1003)을 항상 또는 간헐적으로 관측한다.
이 구성에 있어서 카메라는 1대 증가하지만, 후술하는 원격 의료 등 사용자끼리가 대화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색 재현 단말 장치의 CMS가 항상 동작하여 관찰 환경의 광(빛)의 시간적인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 8에 도시한 흐름도가 적용되지만, 실시예 1과는 달리 도 8의 프로세스는 일정한 간격(인터벌)을 두고 항상 실시된다.
(실시예 3)
도 11에 네트워크 상에서의 전자 쇼핑을 상정한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색 재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본 시스템의 목적은 전자 쇼핑의 콘텐츠인 상품의 컬러 영상을 사용자 단말측의 색 재현 단말 장치 상에서 정확한 색으로 재현하는 것이다. 여기서, 정확한 색이라는 것은 실제로 상품을 사용자의 환경에 두었을 때 보이는 색이라고 정의한다. 이 때문에, 색 재현 단말 장치에서는 조명/색순응 보정 등의 처리가 필요하다.
도 11의 네트워크 색 재현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707)에는 (a) 사용자 단말측의 색 재현 단말 장치(705), (b) 색 재현 서버(706) 및 (c) 전자 쇼핑의 콘텐츠 영상 데이터(1102)와 촬상 조명 정보A(1104)를 제공하는 전자 쇼핑용 영상 서버(1101)가 접속된다. 촬상 조명 정보라는 것은 전자 쇼핑의 상품을 촬상했을 때의 조명의 분광 분포 정보 Es(λ) 또는 색도 정보 (Xs, Yx, Zs) 중의 어느 한쪽이다. 색 재현 서버(706)는 색변환부 프로그램(704)과 sRGB 프로파일(1103)을 축적하고, 그들을 단말 장치(705)로 보내며, 단말 장치 상에서 색 변환이 실행된다.
sRGB 프로파일(1103)은 sRGB 색공간과 XYZ 색공간의 변환 특성이 기술되어 있는 파일로서, 고정된 계산식에 의해 작성되기 때문에 기기에 의존하지 않는다. 이 sRGB 프로파일은 색 재현 서버 상에 있을 필요는 없고 사용자 단말측에 있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서버 상의 각 컬러 영상의 색표현은 현재 네트워크 세계에서 사실상의 표준으로 되어 있는 sRGB 공간상의 것으로 규정한다.
이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미리 도 7과 도 8에서 설명한 동작에 의해, 단말 장치(705)는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프로파일을 색 재현 서버(706)의 기능에 따라서 취득한다.
도 12는 전자 쇼핑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색 재현 시스템의 색 변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스텝(1201)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측의 색 재현 단말 장치(705)의 요구에 따라 영상 서버(110)가 sRGB 형식의 영상 데이터를 단말 장치(705)로 송출한다. 스텝(1202)에 있어서 단말 장치(705)는 영상 데이터를 수취(취득)한다.
다음에, 단말 장치(705)는 스텝(1203), (1204)에 있어서 색 재현 서버(706)로부터 색변환부(색 변환 소프트웨어 모듈)를 취득한다. 이 색변환부는 프로그램으로서 단말 장치(705)에 의해 실행되는 모듈이다. 스텝(1205), 스텝(1206)에 있어서 단말 장치(705)는 sRGB 프로파일을 색 재현 서버(706)로부터 취득한다.
스텝(1207)에 있어서 단말 장치(705)의 색변환부는 sRGB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의 형식을 sRGB에서 XYZ로 변환한다.
스텝(1208)에 있어서 영상 서버(1101)는 촬영 조명 정보 A(1104)를 단말 장치(705)로 송출한다. 단말 장치(705)는 스텝(1209)에 있어서 정보 A(1104)를 취득하고, 스텝(1210)에 있어서 단말 장치(705) 상의 조명 센서에 의해서 사용자가 영상을 관찰할 때의 조명의 관찰 조명 정보 B(1105)를 취득한다
스텝(1211)에 있어서 단말 장치(705)는 촬영 조명 정보 A(l104)와 관찰 조명 정보 B(l105)에 따라서 영상 데이터인 XYZ 값의 조명/색순응/콘트라스트 보정을 실시한다. 이 보정은 조명이나 흰색(화이트)의 색도에 따라 색의 보임(어피어런스)이 다르다고 하는 종래의 CMS의 미비점(불비)을 보완하여, XYZ 값과 색의 보임을 일치시킨다.
스텝(1212)에 있어서 단말 장치(705)는 이미 얻은 자신의 디스플레이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조명이 보정된 XYZ 값을 디스플레이 기기값인 RGB 값으로 변환하고, 스텝(1213)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상에 컬러 영상을 표시한다.
도 13 및 도 14를 이용하여 스텝(1211)의 조명/색순응/콘트라스트 보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에 있어서 XA, YA, ZA는 도 12의 스텝(1207)에 있어서의 영상 데이터의 촬상시의 3자극값 XYZ이다. 이 촬영이 실행되었을 때의 조명광을 촬영 조명 정보 A라고 한다. XA, YA, ZA는 Hunt-Pointer-Estevez Transformation(예를 들면, Naoya katoh:“Practical Method for appearance match between soft copy and hard copy”, SPIE Vo1.2170, 1994 등에 기재됨)에 의해 뿔형 상체 응답값(cone response)(L M S )으로 변환된다(스텝(1302)).
다음에, 촬영 조명 정보 A에서 관찰 조명 정보 B로의 색 순응 변환이 실행된다. 그리고, 변환된 (L′M′ S′)를 XYZ으로 재차 변환해서(스텝(1303), (1304)), 조명광 B에서의 (XB YB ZB)를 얻는다(스텝(1305)). 이 변환은 폰크리에(Von-Kries)법칙에 따라서 이하의 식으로 한번에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LmaxA, LmaxB는 조명 정보 A, B 각각의 환경하에서의 L의 최대값이며, 마찬가지로 MmaxA, MmaxB는 M의 최대값이고 SmaxA, SmaxB는 S의 최대값을 나타낸다.
다음에, 콘트라스트 변환이 실행된다. 이것은 조명의 변화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외관상의 감마값이 변화해 버리는 현상의 보정이다(스텝(1306)).
콘트라스트 변환을 실행한 결과인 (XB′YB′ZB′)를 출력한다(스텝(1307)).
이상의 수순에 의해, 촬영된 콘텐츠의 피사체와 동일한 색의 보임이 단말 장치 상에서 재현된다. 여기서 설명된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 라이트(기록)되고, 서버(706)와 서버(1101)와 단말 장치(705)내의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실행된다.
(실시예 4)
도 14에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전자 쇼핑 등의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색 재현 단말 장치의 조명/색순응/콘트라스트 보정 처리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실시예 3과 다른 점은 도 12의 스텝(1211)의 조명/색순응/콘트라스트 보정의 부분이며, 이하 다른 점을 설명한다.
또, 실시예 4에서는 사용자 단말측의 색 재현 단말 장치의 조명광 센서가 조명광의 분광 분포를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또, 실시예 3의 시스템에서는 얻어진 XYZ에서 뿔형 상체 응답값 LMS를 구하고, 폰크리에(Von-Kries)법칙을 이용하여 색순응을 예측하고 콘트라스트 변환을 실행하여 XYZ값을 보정하였다. 이것은 주로 인간의 시각 특성을 이용하여 컬러 어피어런스를 접근시키는 방법으로서, 컬러 어피어런스 매칭(color appearance matching)이라고 불린다. 본 실시예에서는 피사체의 분광 분포를 추정하고, 관찰 조명 하에서의 3자극값이 재현된다.
조명/색순응/콘트라스트 보정 처리에 대해 도 14를 사용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스텝(1401)의 처리를 설명한다.
촬영 조명 조건 A(Es(λ))에 관해서 산출된 3자극값인 (XA YA ZA)는 피사체 분광 분포를 f(λ)로 하면, 이하의 적분에 의해 표현된다.
상기 수학식 4는 무한 차원의 양 f(λ)가 적분에 의해 3차원의 양으로 변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무한 차원의 양 f(λ)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이 식을 반대로 풀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서 2가지 방법이 이용된다.
제 1 방법은 무한 차원의 양 f(λ)를 P차원의 벡터로 고려하여 3차원의 양에서 P차원의 양을 직접 추정하는 방법이다. 우선, 식을 이산화해서 행렬 표현한다. 적분은 광의 가시파장 범위인 λ=380㎚∼780㎚ 사이에서 실행하지만, λ의 함수를 모두 P차원의 벡터로 표현하면,
로 된다.
여기서,
여기서, 3×P 행렬 T는 등색 함수(color matching function) x(λ), y(λ), z(λ)의 이산 형식이다. xj, yj, zj와 촬영 조명 Esj에서 생성되는 기지(旣知)의 행렬이다. 따라서, 관측량 벡터 X와 3×P 행렬T에서 미지(未知) 벡터 f를 풀면 좋지만, 미지 벡터 f의 차원 P는 X의 차원 3보다 크기 때문에 정확하게는 풀 수 없다. 추정값으로서의 벡터 f는 의사 역행렬 해로서,
또는 위너 추정해로서,
을 얻는다. 위너 추정해에서는 자기 상관행열 E{fft}가 사전 정보를 얻는 것에 의해서, 벡터 f가 추정된다.
제 2 방법에서는 무한 차원의 양 f(λ)의 주성분 분석 등의 방법에 의해, f(λ)가 기지의 R차원의 기저(基底) ei(λ)와 하중 계수 ai의 곱합에 의해 전개 표현된다고 가정하고 f(λ)를 추정한다.
이 식을 행렬 표현하면,
여기서,
여기서, ej i는 j번째의 기저 벡터 ej(λ)를 이산 표현한 I성분이다. 상기 수학식 10을 수학식 5에 대입하면, 3×P 행렬 T와 P×R 행렬 e의 곱인 3×R 행렬 U를 이용하여
로 표현된다. 이 식에서 벡터a를 추정하는 것은 3차원 벡터에서 R차원 벡터의 추정으로서, R이 4∼5 정도인 경우에는 충분히 실용적이며 제 1 방법보다는 정밀도(정확도)가 높다. 추정 방법은 제 1 방법과 마찬가지로 의사 역행렬 해에서는
또는 위너 추정해로서
로서 얻어진다. 벡터 a가 얻어진 후에 상기 수학식 9를 이용하여 벡터 f를 구한다. 여기까지가 스텝(1401)에서의 처리이다.
피사체 분광 분포 벡터 f, 즉 무한 차원의 f(λ)를 추정할 수 있으면 그 후에는 조명광 센서로부터의 관찰 조명 정보 B(E0(λ))를 얻고, f(λ)와 E0(λ)의 적분에 의해서 관찰 조명 하에서의 3자극 값 XYZ(XA′YA′ZA′)를 계산한다(스텝(1402)).
(실시예 5)
도 15에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있어서의 전자 쇼핑 등의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색 재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피사체 영상의 분광 분포를 추정하고, 그것을 출력 단말에서는 다원색 프로젝터나 다원색 디스플레이에 의해 재생하기 위한 색 재현을 실시한다. 다원색 색 재현에는 2가지 이점이 있다. 제 1 이점은 3자극 값XYZ만을 합치시키는 재현과는 달리, 분광적 색 재현을 실행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는 것이다. 분광적 색 재현을 실현할 수 있으면, 종래 있었던 XYZ값이 동일하더라도 조명에 따라 색이 보이는 방법이 달라진다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제2의 이점은 3원색 재현보다 넓은 색영역(Gamut) 재현을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5에 도시한 전자 쇼핑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색 재현 시스템은 색 재현 서버(706), 전자 쇼핑용 영상 서버(1101) 및 색 재현 단말 장치(1506)로 구성되어 있다. 색 재현 서버(706)에는 피사체 분광 분포 추정 프로그램(1501)이 축적되어 있다. 이 프로그램은 서버(706)에서 단말 장치(1506)로 전송되어 동작한다. 이 프로그램이 서버(706) 상에서 동작하면, 거대한 분광 특성 영상 데이터를 네트워크(707)를 거쳐서 단말 장치(1506)로 전송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이 시스템은 이 프로그램을 단말 장치에 의해 동작시킨다. 영상 서버(1101)에는 콘텐츠인 영상 데이터(1102)가 축적되어 있다. 영상 데이터(1102)의 축적 형태는 본 실시예에서는 통상의 컬러 카메라 또는 멀티 스펙트럼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N밴드 컬러 영상으로 한다. N=3일 때, 통상의 컬러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RGB 영상으로 된다. 축적 형태는 그밖에도 분광 분포 데이터 또는 압축 분광 데이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피사체인 자연물의 분광 분포는 무한 차원이지만, 이산적으로는 M차원의 데이터로 한다(M〉N). 이 M차원의 데이터는 통상 가시영역인 380㎚∼780㎚의 약400㎚ 스펙트럼 범위를 4㎚ 간격으로 샘플링한 10차원 정도의 값이다. 그러나, 실제의 분광 분포는 100차원이라는 많은 자유도는 갖고 있지 않으며, 통상 비교적 적은 기저 벡터에 의해 충분히 표현 가능하다.
영상 서버(1101)는 (a) 콘텐츠로서 축적하는 영상의 분석에서 주성분 분석에 의해 특정 영상마다 채취된 R개의 기저 벡터인 피사체 분광 분포 기저 정보(1503), (b) 콘텐츠 영상이 촬상되었을 때의 촬영 조명 분광 정보(1504) 및 (c) 콘텐츠를 촬상한 컬러 카메라의 필터특성 정보(1505)를 축적하고 있다. 또, 단말 장치(1506)는 원색을 용이하게 3개 이상으로 확장할 수 있는 프로젝터를 구비하고, 이 프로젝터를 암실에서 관찰하는 것으로 한다.
도 16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네트워크 색 재현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단말 장치(1506)의 요구에 따라 스텝(1601) 및 스텝(1602)에 있어서 단말 장치(1506)는 영상 서버(1101)로부터 영상 데이터(1102)를 취득(수취)한다. 스텝(1603)에 있어서 단말 장치(1506)는 영상 서버(1101)로부터 영상 데이터(1102)를 촬상한 카메라의 카메라 필터 특성 정보(1505)와 촬영시의 촬영 조명 정보(1504)를 취득한다. 스텝(1604)에 있어서 단말 장치(1506)는 영상 데이터(1102)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분광 분포의 R개의 기저 벡터인 분광 분포 기저 정보(1503)를 취득한다.
다음에, 스텝(1605)에 있어서 색 재현 서버(706)가 피사체 분광 분포 추정 프로그램(1501)을 단말 장치(1506)로 송출한다. 스텝(1606)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1102)의 분광 분포 추정이 실행된다. 이 분광 분포의 추정은 N밴드의 컬러 신호에서 R개의 기저에 대한 R개의 하중 계수 ai를 추정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기저 벡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분광 분포의 추정은 일반적으로 N밴드에서 P차원의 분광 데이터(50차원 정도)의 변수를 추정한다는 곤란이 많은 작업으로 되어 정밀도가 나빠진다. 그러나, 기저 벡터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추정 정밀도가 높아진다. 이 추정 방법으로서는 의사 역행렬 해 또는 위너 추정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N밴드 중 k번째의 센서 출력 gk는 센서 분광 특성 Sk(λ) , 조명 Es(λ) , 피사체 분광 반사율 f(λ)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f(λ)가 그의 통계적인 성질에 따라 R개의 기저에 의해 상기 수학식 9와 같이 전개된다고 하면, 상기 수학식 16은 이하와 같이 된다.
이것을 이산화하여 행렬 표현하면,
여기서,
결국, 상기 수학식 12와 동일한 형식으로 되기 때문에, 상기 수학식 13과 수학식 14와 같이 의사 역행렬 해 또는 위너 추정해에 의해 벡터 a가 추정되어 f(λ)가 구해진다.
다음에, 스텝(1609)에 있어서 구한 분광 분포를 그대로 재현하기 위해서 다원색 변환을 실행한다. 이 변환은 구한 기저 벡터의 차원과 최종적으로 재현되는 원색의 수가 다른 일반의 경우에 있어서 필요하다. 스텝(1610)에 있어서는 다원색 변환된 데이터를 다원색 프로젝터에 의해 표시한다.
다음에, 도 17에 스텝(1609)에서 설명한 다원색 변환처리에 대해 2가지 처리계통을 도시한다.
처리 계통 1은 색 재현 목표로서 분광적 색 재현을 목표로 한다. 추정된 컬러 영상의 P밴드(차원) 분광 분포 데이터(1700)에서 관찰 조명 조건(1703)을 고려하여 재현 목표값 분광 분포(1701)를 구한다. 분광 분포(1701)에 가능한 한 가깝게 되도록, (1702)에 있어서 P밴드에서 Q개의 원색으로 P차원에서 Q차원으로의 색 변환(1701)이 실행된다(P≥Q).
만약, 관찰 조명 조건이 암실이면, 재현 목표값 분광 분포(1701)는 분광 분포(1700) 그 자체로 된다. Q개의 원색의 분광 분포를 이용하여 분광 분포(1701)가 재생된다. Q개의 원색의 분광 특성을 Li(λ)(1≤i≤Q)로 하고, 하중계수 wi를 이용하여 무한 차원의 양 f(λ)의 근사값을 만든다.
이것을 행렬 표현하면,
여기서,
로 된다. 벡터 f의 평가 기준으로서 최소 이승 오차 J를 이용하면,
로 된다. 이것을 풀면 벡터 W는 이하의 의사 역행렬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분광 데이터 벡터 f가 상기 수학식 9와 같이 R차원의 기저의 합으로 표현되고 있는 경우에는 P차원에서 Q차원으로의 변환을 실행할 필요는 없다. R차원에서 Q차원으로의 변환(1707)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다원색 변환(1609)이 더욱 간단하게 표현된다. 이 경우, 상기 수학식 11의 행렬 e와 벡터 a를 이용하여 벡터 W는 이하와 같이 표현된다.
처리 계통 2는 다원색 재현을 이용하고는 있지만 3차극 값을 합치시키는 방법이다. 추정된 분광 분포(1700)에서 촬영 조명 조건과 관찰 조명 조건(1706)을 이용하여 재현 목표 XYZ값(1704)을 계산한다. 다음에, 3차원의 XYZ값을 Q원색으로 변환한다(Q〉3). 목표 XYZ값(1704)은 분광 분포에 등색 함수를 곱해서 적분하여 구할 수 있고, 또 조명 조건에서 보정된다. 이 보정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방법 중의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동일 XYZ값을 생성하는 Q원색으로의 변환의 해(解)는 무한개 있지만, 이하와 같이 해서 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 한다. 여기서, 벡터 X는 목표로 하는 3자극 값, 행렬 S는 등색 함수 x(λ), y(λ), z(λ)를 이산값화한 행렬이다.
여기에서 벡터 W를 구하면, 의사 역행렬 해로서
로 된다.
위너 추정해로서
로 된다. 단, 벡터W의 자기 상관 행렬은 미리 부여하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6)
도 18은 실시예 6에 있어서의 원격 의료 시스템 또는 TV 회의 시스템에 적용된 네트워크 색 재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서 다루고 있는 영상은 전자 쇼핑과는 일반적으로 다른 동화(움직임 영상)이다.
네트워크(707) 상에는 사용자 A 측의 색 재현 단말 장치 A(1801), 사용자 B 측의 색 재현 단말 장치B(1802) 및 색 재현 서버(706)가 존재한다. 서버(706) 상에는 색변환부 프로그램(704)이 존재한다. 단말 장치(1801, 1802)는 카메라 위치를 도 3의 예(320)의 상태로 해서 각각의 사용자의 얼굴을 촬상하고 있다. 원격 의료 시스템에서는 반드시 양자가 정확한 색을 볼 필요는 없고, 의료측의 색 재현을 정확하게 하면 좋다. 이 시스템의 목적은 단말 B 측이 상대방의 안색이나 환부의 색을 정확하게 보는 것이다.
전제로서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A, B는 카메라 프로파일, 디스플레이 프로파일, sRGB 프로파일 및 색변환부 프로그램(704)을 색 재현 서버(706)에서 취득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9에 있어서 스텝(1900)에서 사용자 A 측의 색 재현 단말 장치 A(1801) 부속의 조명센서가 단말 장치 A(1801) 주위의 조명 정보 A를 취득한다. 스텝(1901)에 있어서 사용자 A를 카메라에 의해 촬상하고, 촬상 데이터 A를 얻는다. 스텝(1902)에 있어서 색변환부 프로그램(704)에 의해 촬상 데이터 A는 카메라 프로파일 A를 이용하여 XYZ공간으로 일단 변환되고, 계속해서 스텝(1903)에 있어서 sRGB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sRGB 형식으로 변환된다. 스텝(1904)에 있어서 sRGB형식의 촬상 데이터 A와 조명 정보 A가 네트워크(707)로 송출된다.
사용자 B 측의 색 재현 단말 장치 B(1802)는 스텝(1905)에 있어서 촬상 데이터 A와 조명 정보 A를 취득한다. 스텝(1906)에 있어서 단말 장치 B(1802)는 촬상 데이터 A를 sRGB 형식에서 색변환부 프로그램(704)의 sRGB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XYZ 형식으로 변환한다. 스텝(1907)에서는 단말 장치 B(1802)는 촬상 데이터 A(XYZ)를 조명 정보A를 이용하여 조명/색순응/콘트라스트 보정을 실행하여 촬상 데이터A(X′Y′Z′)로 변환한다. 단말 장치 B(1802)는 스텝(1908)에 있어서 촬상 데이터 A(X′Y′Z′)를 모니터 프로파일 B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B의 RGB로 변환하고, 스텝(1909)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B에 사용자 A의 영상을 표시한다. 사용자 A 측의 촬상 데이터 A가 단말 장치 B(1802) 상에서 정확하게 색 재현된다.
이번에는 단말 장치B(1802)의 촬상 데이터B를 단말 장치 A(1801)로 송출하여 색 재현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스텝(1900) 내지 스텝(1909)을 반복하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스텝(1910)에 있어서 단말 장치 B(1802) 주위의 촬영 조명 정보 B를 취득하고, 스텝(1911)에 있어서 사용자 B를 촬상하여 촬상 데이터 B를 얻는다. 스텝(1912)에 있어서 색변환부 프로그램(704)에 의해 촬상 데이터 B를 XYZ 형식으로 변환하고, 스텝(1913)에 있어서 sRGB 형식으로 변환한다.
스텝(1914)에 있어서 변환된 sRGB형식 촬상 데이터B와 조명 정보 B가 네트워크 상으로 송출되고, 스텝(1915)에 있어서 단말 장치 A(1801)에 취득된다. 단말 장치 A(1801)는 스텝(1916)에 있어서 sRGB형식의 촬상 데이터 B를 XYZ형식으로 변환하고, 스텝(1917)에 있어서 촬상 데이터 B(XYZ)에 대해 조명/색순응/콘트라스트 보정을 실행하고, 스텝(1918)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A의 RGB로 변환하고, 스텝(1919)에 있어서 단말 장치 A(1801)에 이 RGB를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 B의 안색이 디스플레이 A 상에 정확하게 재현된다.
이상의 프로세스가 반복되는 것에 의해, 대화적으로 상호의 안색을 상호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는 네트워크 색 재현이 완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화적으로 상호의 안색을 상호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는 네트워크 색 재현이 완성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29)

  1. 컬러 영상을 표시하는 컬러 영상 표시 수단과,
    컬러 카메라와 센서 중의 적어도 1개에 의해 상기 컬러 영상 표시 수단의 재현 특성과 관찰 조명 조건을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네트워크를 거쳐서 취득한 컬러 영상에 상기 재현 특성과 상기 관찰 조명 조건을 이용하여 색변환을 실시하고, 상기 컬러 영상 표시 수단으로 색변환을 실시한 컬러 영상을 출력하는 색 변환 수단
    을 포함한 색 재현 단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색 변환 수단은 상기 컬러 영상에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다운로드한 색 변환 프로파일과 색 변환 프로그램 중의 적어도 1개, 상기 재현 특성 및 상기 관찰 조명 조건을 이용하여 색변환을 실시하는 색 재현 단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수단은 디스플레이 관측 카메라, 인물 촬상 카메라 및 조명광 센서 중의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색 재현 단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영상 표시 수단은 액정 디스플레이, CRT 디스플레이 및 프로젝터 중의 적어도 1개인 색 재현 단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카메라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및 멀티 스펙트럼 카메라 중의 적어도 1개인 색 재현 단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수단은 상기 컬러 카메라를 조작자 자신과 상기 컬러 영상 표시 수단의 표면을 촬상할 수 있도록 이동시킬 수 있는 카메라 헤드 위치 이동 기구를 포함하는 색 재현 단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카메라와 상기 센서는 항상 또는 간헐적으로 상기 컬러 영상 표시 수단의 표시면 중의 적어도 일부를 촬상하여 관측하는 색 재현 단말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색 변환 수단은
    촬상 카메라의 분광 특성과 촬영 조명 분광 정보에서 피사체의 분광 분포를 추정하는 수단과,
    상기 관찰 조명 조건에 의해 상기 피사체의 3자극 값을 추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색 재현 단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색 변환 수단은
    색표 데이터, 여러 개의 카메라 프로파일, 프로파일 작성 프로그램 및 색변환부 프로그램에 의해서 상기 컬러 영상 표시 수단의 디스플레이 프로파일을 작성 또는 변경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색 재현 단말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색 변환 수단은
    색표 데이터, 여러 개의 카메라 프로파일, 프로파일 작성 프로그램 및 색변환부 프로그램 중의 적어도 1개를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다운로드하고, 상기 컬러 영상 표시 수단의 디스플레이 프로파일을 작성 또는 변경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색 재현 단말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영상은 동영상인 색 재현 단말 장치.
  12. 색 변환 프로파일과 색 변환 프로그램을 축적하는 수단과,
    상기 색 변환 프로파일과 상기 색 변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색변환을 실시하는 색 재현 단말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프로파일과 상기 프로그램을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공급하는 수단
    을 포함한 색 재현 서버 장치.
  13. 색 재현 단말 장치와 색 재현 서버 장치를 구비한 네트워크 색 재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색 재현 단말 장치는
    (a-1) 컬러 영상을 표시하는 컬러 영상 표시 수단과,
    (a-2) 컬러 카메라와 센서 중의 적어도 1개에 의해 상기 컬러 영상 표시 수단의 재현 특성과 관찰 조명 조건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a-3)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취득한 컬러 영상에 상기 재현 특성과 상기 관찰 조명 조건을 이용하여 색변환을 실시하고 상기 컬러 영상 표시 수단으로 출력하는 색 변환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색 재현 서버 장치는
    (b-1) 색 변환 프로파일과 색 변환 프로그램을 축적하는 수단,
    (b-2) 상기 색 재현 단말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색 변환 프로파일과 상기 색 변환 프로그램을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색 재현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색 재현 서버 장치는
    (c-1) 색표 데이터, 여러 개의 카메라 프로파일, sRGB 프로파일, 색 변환 프로그램 및 색 변환 프로파일 작성 프로그램 중의 적어도 1개를 축적하는 수단과,
    (c-2) 상기 색 재현 단말 장치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색표 데이터, 상기 여러 개의 카메라 프로파일, 상기 sRGB 프로파일, 상기 색 변환 프로그램중의 적어도 1개를 상기 색 재현 단말 장치로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공급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색 재현 단말 장치는
    (d-1)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색표 데이터, 상기 여러 개의 카메라 프로파일, 상기 sRGB 프로파일 및 상기 색 변환 프로그램 중의 적어도 1개를 다운로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색 재현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영상 서버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영상 서버 장치는
    (e-1) 영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수단과,
    (e-2) 상기 색 재현 단말 장치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영상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색 재현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서버 장치는
    복수 밴드로 이루어지는 컬러 영상, 상기 컬러 영상의 촬상시 조명의 분광 분포 정보, 촬상에 이용한 컬러 카메라의 필터 분광 특성 정보 및 상기 컬러 영상의 분광 분포의 기저 벡터 정보 중의 적어도 1개를 축적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색 재현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색 재현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다운로드된 상기 컬러 영상에서 원래의 분광 분포를 추정하는 추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색 재현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색 재현 단말 장치는
    상기 추정 수단에 있어서 사용될 프로그램을 상기 색 재현 서버 장치에서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다운로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색 재현 시스템.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영상은 동영상인 네트워크 색 재현 시스템.
  20. P밴드로 이루어지는 멀티 스펙트럼 컬러 영상을 입력하는 수단과,
    재현할 목표 분광 분포를 결정하는 수단과,
    P차원 색공간을 Q차원 색공간으로 변환하는 색 변환 수단과,
    Q개의 원색을 이용하여 컬러 영상을 출력하는 수단
    으로 구성된 색 재현 단말 장치.
  21. P밴드로 이루어지는 멀티 스펙트럼 컬러 영상을 입력하는 수단과,
    분광 분포를 근사하는 R개의 기저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컬러 영상을 R차원 벡터로 변환하고(P≥R), 다음에 P차원 벡터를 Q개의 원색으로 변환하는 색 변환 수단으로 구성된 색 재현 단말 장치.
  22. P밴드로 이루어지는 멀티 스펙트럼 컬러 영상을 입력하는 수단과,
    촬영 조명 조건과 관찰 조명 조건에서 재현 목표의 컬러 어피어런스 모델의 복수의 속성값을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속성값을 Q개의 원색으로 변환하는 수단과,
    Q개의 원색을 이용하여 컬러 영상을 출력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색 재현 단말 장치.
  23. 제 20 항, 제 21 항 또는 제 22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영상은 동영상인 색 재현 단말 장치.
  24.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다운로드한 색 변환 프로파일과 색 변환 프로그램 중의 적어도 1개를 이용하는 색 변환 방법에 있어서,
    컬러 카메라와 센서 중의 어느 1개에 의해 컬러 영상 표시기의 재현 특성과 관찰 조명 조건을 취득하는 단계와,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취득한 컬러 영상에 상기 색 변환 프로파일과 상기 색 변환 프로그램 중의 적어도 1개, 상기 재현 특성 및 상기 관찰 조명 조건을 이용하여 색을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하는 단계에서 변환된 컬러 영상을 상기 컬러 영상 표시기로 출력하는 스텝으로 구성되는 색 변환 방법.
  25. 색 변환 프로파일과 색 변환 프로그램을 축적하는 단계와,
    상기 색 변환 프로파일과 상기 색 변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색변환을 실행하는 색 재현 단말 장치로 상기 색 변환 프로파일과 상기 색 변환 프로그램을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색 재현 단말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공급하는 스텝으로 구성되는 색 재현 방법.
  26. 컴퓨터에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다운로드한 색 변환 프로파일과 색 변환 프로그램 중의 적어도 1개를 이용하는 색 변환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리드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색 변환 방법은
    컬러 카메라와 센서 중의 적어도 1개에 의해 컬러 영상 표시기의 재현 특성과 관찰 조명 조건을 취득하는 단계와,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취득한 컬러 영상에 상기 색 변환 프로파일과 상기 색 변환 프로그램 중의 적어도 1개, 상기 재현 특성 및 상기 관찰 조명 조건을 이용하여 색을 변환하는 스텝 및
    상기 변환하는 스텝에서 변환된 컬러 영상을 상기 컬러 영상 표시기로 출력하는 스텝으로 구성되는 기록매체.
  27. 컴퓨터에 색 재현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리드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색 재현 방법은
    색 변환 프로파일과 색 변환 프로그램을 축적하는 단계와,
    상기 색 변환 프로파일과 상기 색 변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색변환을 실행하는 색 재현 단말 장치로 상기 색 변환 프로파일과 상기 색 변환 프로그램을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색 재현 단말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공급하는 스텝으로 구성되는 기록 매체.
  28. 컴퓨터에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다운로드한 색 변환 프로파일과 색 변환 프로그램 중의 적어도 1개를 이용하는 색 변환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색 변환 방법은
    카메라와 센서 중의 적어도 1개에 의해 컬러 영상 표시기의 재현 특성과 관찰 조명 조건을 취득하는 스텝,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취득한 컬러 영상에 상기 색 변환 프로파일과 상기 색 변환 프로그램 중의 적어도 1개, 상기 재현 특성 및 상기 관찰 조명 조건을 이용하여 색을 변환하는 스텝 및
    상기 변환하는 스텝에서 변환된 컬러 영상을 상기 컬러 영상 표시기로 출력하는 스텝으로 구성되는 프로그램.
  29. 컴퓨터에 색 재현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색 재현 방법은
    색 변환 프로파일과 색 변환 프로그램을 축적하는 단계와,
    상기 색 변환 프로파일과 상기 색 변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색변환을 실행하는 색 재현 단말 장치로 상기 색 변환 프로파일과 상기 색 변환 프로그램을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색 재현 단말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공급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프로그램.
KR1020000048897A 1999-08-24 2000-08-23 색 재현 단말 장치, 네트워크 색 재현 시스템 및 색 재현방법 KR200100301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36730A JP2001060082A (ja) 1999-08-24 1999-08-24 色再現端末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色再現システム
JP99-236730 1999-08-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121A true KR20010030121A (ko) 2001-04-16

Family

ID=17004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8897A KR20010030121A (ko) 1999-08-24 2000-08-23 색 재현 단말 장치, 네트워크 색 재현 시스템 및 색 재현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079605A3 (ko)
JP (1) JP2001060082A (ko)
KR (1) KR2001003012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961B1 (ko) * 2005-05-27 2007-04-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화상 신호 캘리브레이션 장치, 화상 출력 장치 및 디지털카메라
KR100905555B1 (ko) * 2006-11-09 2009-07-02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의 광 출력 제어 장치
US8885104B2 (en) 2010-08-10 2014-1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video signal reducing crosstalk between lightness signal and chrominance sig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1461B2 (en) * 2000-05-17 2005-11-01 Tidal Phot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ement, encoding and displaying of object color for digital imaging
JP4605987B2 (ja) * 2000-08-28 2011-01-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画像処理方法および情報記憶媒体
JP3744778B2 (ja) * 2000-08-28 2006-02-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投写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情報記憶媒体
JP3707371B2 (ja) * 2000-08-28 2005-10-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および情報記憶媒体
JP3692989B2 (ja) * 2000-11-13 2005-09-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KR100396683B1 (ko) * 2001-01-08 2003-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브이의 화면밝기/색도 보정장치 및 방법
JP2002262304A (ja) 2001-03-06 2002-09-13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2344761A (ja) * 2001-03-16 2002-11-29 Seiko Epson Corp 環境適応型の画像表示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3729252B2 (ja) * 2001-03-26 2005-12-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DE10121984B4 (de) * 2001-04-27 2012-09-13 Color Aixpert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isuell optimierten Darstellung von Farbbildern auf Bildschirmen und/oder deren Vergleich mit Originalen oder gedruckten Bildern
US6956580B2 (en) * 2001-05-29 2005-10-18 Kodak Polychrome Graphics, Llc Color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color matching processor
CN100430996C (zh) * 2001-06-26 2008-11-05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图像显示系统、投影机与图像处理方法
US7595811B2 (en) 2001-07-26 2009-09-29 Seiko Epson Corporation Environment-complaint image display system, projector, and program
JP3705180B2 (ja) * 2001-09-27 2005-10-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画像処理方法
KR100513759B1 (ko) 2001-11-28 2005-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원색 디스플레이의 색신호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JP3894302B2 (ja) 2002-03-25 2007-03-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JP4445693B2 (ja) * 2002-05-17 2010-04-07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の投射面色補正方法、プロジェクタの投射面色補正システムおよびプロジェクタの投射面色補正用プログラム
JP2004093731A (ja) * 2002-08-30 2004-03-25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EP1515300A1 (en) * 2003-09-09 2005-03-16 Dialog Semiconductor GmbH Display color adjustment
JP2005117612A (ja) 2003-09-18 2005-04-28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20050071293A (ko) * 2004-01-03 2005-07-07 (주)인터정보 웹을 통한 색각 장애의 자동 진단 및 색상 자동 보정 방법및 그 장치
JP5120762B2 (ja) * 2004-09-22 2013-01-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子色見本出力システム
JP5135724B2 (ja) * 2005-08-11 2013-02-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色評価方法
KR100866486B1 (ko) * 2007-01-04 2008-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주변광 적응적인 색 보정 장치 및 방법
JP4588044B2 (ja) * 2007-03-31 2010-11-24 株式会社ナナオ 液晶表示装置の測光装置並びに液晶表示装置
WO2008143173A1 (ja) * 2007-05-18 2008-11-27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カラーマッチング方法とカラーマッチングシステム
JP5122920B2 (ja) 2007-11-19 2013-01-1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色再現システム、色再現装置、色再現方法、および、色再現プログラム
WO2009130952A1 (ja) * 2008-04-23 2009-10-2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出力装置
JP5085618B2 (ja) * 2008-08-27 2012-11-28 ミツミ電機株式会社 画質調整装置、画質調整方法、及び画質調整プログラム
WO2010023966A1 (ja) * 2008-08-27 2010-03-0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画質調整装置、画質調整方法、及び画質調整プログラム
JP5724202B2 (ja) 2010-04-02 2015-05-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及び画像表示方法
US8736674B2 (en) 2010-09-23 2014-05-27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3D display calibration with feedback determined by a camera device
US8994714B2 (en) 2010-09-23 2015-03-31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 calibration with feedback determined by a camera device
CN102564577B (zh) * 2010-12-16 2016-01-06 财团法人资讯工业策进会 照度感测系统及方法
EP2688033B1 (en) 2011-03-18 2017-12-2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train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train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advertisement display results assessment method
JP5994270B2 (ja) 2012-02-09 2016-09-2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補正装置、画像補正システム、画像補正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25423B2 (ja) * 2013-01-07 2017-11-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分光測定装置、カラーマネージメントシステム、及びプロファイル作成方法
JP6316074B2 (ja) * 2013-10-22 2018-04-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47296B2 (ja) * 2014-12-26 2019-07-24 凸版印刷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
CN104902153B (zh) * 2015-05-25 2017-11-28 北京空间机电研究所 一种多光谱相机色彩校正方法
US10872582B2 (en) 2018-02-27 2020-12-22 Vid Sca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ed color accuracy of display by compensating for observer's color vision properties
CN108680535A (zh) * 2018-04-02 2018-10-19 西安建筑科技大学 基于改进r矩阵的光谱反射率重建方法
JP6737383B2 (ja) * 2019-06-27 2020-08-05 凸版印刷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及びプログラム
WO2023074897A1 (ja) * 2021-11-01 2023-05-04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WO2023074477A1 (ja) * 2021-11-01 2023-05-04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23077358A (ja) * 2021-11-24 2023-06-05 一誠 藤池 メーカの表現の仕組みを表すアプリケーションソフト
WO2023095742A1 (ja) * 2021-11-29 2023-06-01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7506A (en) * 1990-08-29 1992-10-20 Savitar, Inc. Standardized color calibration of electronic imagery
US5459678A (en) * 1992-07-02 1995-10-17 Feasey; Michael F. Method and calibration apparatus for calibrating computer monitors used in the printing and textile industries
US6061153A (en) * 1993-12-09 2000-05-0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H08149322A (ja) * 1994-11-16 1996-06-07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US5793884A (en) * 1995-12-19 1998-08-11 Hewlett-Packard Company Spectral based color image editing
JP3713321B2 (ja) * 1995-12-19 2005-11-0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ラー画像記録再生システム及び画像カラー画像記録再生方法
JPH09233352A (ja) * 1996-02-20 1997-09-05 Toyo Ink Mfg Co Ltd 色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JP3869925B2 (ja) * 1997-01-31 2007-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US5918192A (en) * 1997-01-23 1999-06-29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calibrating a digital camera to a PC monitor to enhance picture quality of a picture captured by the digital camera and displayed on the PC monitor
EP0907283A4 (en) * 1997-02-21 2002-09-11 Sony Corp TRANSMISSION AND RECEIVING METHOD AND DEVICE,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IMAGE DATA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DISTRIBU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961B1 (ko) * 2005-05-27 2007-04-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화상 신호 캘리브레이션 장치, 화상 출력 장치 및 디지털카메라
KR100905555B1 (ko) * 2006-11-09 2009-07-02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의 광 출력 제어 장치
US8885104B2 (en) 2010-08-10 2014-1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video signal reducing crosstalk between lightness signal and chrominance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79605A3 (en) 2004-06-23
JP2001060082A (ja) 2001-03-06
EP1079605A2 (en) 2001-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30121A (ko) 색 재현 단말 장치, 네트워크 색 재현 시스템 및 색 재현방법
US6466334B1 (en) Color reproducing device
JP3713321B2 (ja) カラー画像記録再生システム及び画像カラー画像記録再生方法
US663962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color images
JP2003346137A (ja) 色再現装置
JPH1196333A (ja) カラー画像処理装置
JP2000152269A (ja) 色再現システム
JP2004534491A (ja) イメージの品質を修正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3348501A (ja) 画像表示装置
US20050225814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obtain a substantially accurate digital color image of a subject in a moveable enclosure which provides a controlled lighting environment
JP2001258044A (ja) 医療用画像処理装置
JP2978615B2 (ja) カラーバランス調整装置及び方法
JP4557478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と記録媒体
US7782367B2 (en) Direct calibration of color imaging devices
JP2008206163A (ja) カラー画像処理装置
US200500995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accurate image content
CN114584752B (zh) 图像颜色还原方法及相关设备
JP4403224B2 (ja) 色変換システム、色変換方法及び色変換プログラム
Nikkanen et al. Subjective effects of white-balancing errors in digital photography
WO2022249599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3942626B2 (ja) 撮影側装置、画像の記録方法、再生側装置、及び画像の再生方法
JP6517766B2 (ja) 色変換テーブル作成装置、色変換装置、色変換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WO2023074477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20240029442A (ko)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보정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JP2004145773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商品画像の色再現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