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0079A - 자기 잠금구 - Google Patents

자기 잠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0079A
KR20010030079A KR1020000046485A KR20000046485A KR20010030079A KR 20010030079 A KR20010030079 A KR 20010030079A KR 1020000046485 A KR1020000046485 A KR 1020000046485A KR 20000046485 A KR20000046485 A KR 20000046485A KR 20010030079 A KR20010030079 A KR 20010030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locking
magnetic
guide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6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6013B1 (ko
Inventor
모리타타마오
Original Assignee
모리타 타마오
유껜가이샤 다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타 타마오, 유껜가이샤 다모 filed Critical 모리타 타마오
Publication of KR20010030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0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41F1/002Magnetic faste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체의 강도를 강화함과 함께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사이의 차이를 방지한 자기 잠금구를 제공한다.
제1조립체는 계지수단을 가지며, 한편 제2조립체는 가이드 수단을 가진다.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될 때 계지수단은 가이드 수단의 내부를 안내할 수 있다. 조립체의 조합은 제2조립체에 설치된 계지재를 자석의 자기를 이용함으로써 자동로크될 수 있다. 또, 1방의 조립체의 흡착면의 측면에 타방의 조립체의 흡착면의 측면을 외측으로부터 덮어씌우는 연부 형상 가이드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제1조립체의 계지수단에는 확장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확장가이드부와 제2조립체의 구멍과를 조합함으로써 그들 조립체의 횡차이를 방지할 수 있다. 또, 계지재와 자석의 사이에 자기갭부재를 설치하여 계지재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기 잠금구{magnetic lock}
본 발명은 자기 잠금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석의 성질을 이용하여 닫은 상태를 자동적으로 로크할 수 있는 간이 자기 잠금구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핸드백이나 가방, 란도셀, 룩작, 벨트, 담배, 어태쉐이 케이스와 같은 각 케이스의 뚜껑을 닫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잠금구가 고안되어 있다, 자력을 이용한 자기 잠금구도 그들 중 하나다.
이와 같은 자기 잠금구의 1예가 본원 출원인 자신에 의해 출원된 일본 특허공보 제2944643호 (특원 평 10-194638호) 에 게재되어 있다. 이 자기 잠금구는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로 구성되며, 예를 들어 핸드백의 뚜껑과 본체에 각각 고정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조립체는 자기의 작용에 의해 각각이 서로 조합될 때 뚜껑과 본체를 닫은 상태로 할 수 있음과 함께, 닫은 상태를 자동적으로 로크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이들 조립체는 자기의 작용에 의해 제1조립체의 전면에 설치한 돌출부를 제2조립체의 전면에 설치한 구멍에 통하게 하면서 이들의 전면에서 서로 흡착 조합됨과 함께, 자기의 작용을 이용하여 제2조립체에 설치한 계지부재를 제1조립체의 돌출부 중간에 흡착시킴으로써,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를 떼어내려한 경우에는 제1조립체의 돌출부 선단에 설치한 돌기가 돌출부 중간에 흡착된 제2조립체의 계지부재와 충돌하도록 하여 그 조합을 로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체의 재질로서는 금속이 적당하다고 생각되지만, 제조가격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이들 금속을 예를 들어 염가의 얇은 금속판을 타발, 드로잉 또는 절곡등에 의해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얇은 금속판을 사용하는 경우는 그 강도가 큰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문제가 되는 경우로서, 예를 들면 조립체의 고정작업을 들 수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체는 핸드백등에 고정되어 사용되지만 이 고정작업에는 햄머등으로 두들김으로써 금속판의 일부를 절곡하는 작업도 포함된다. 조립체의 강도가 약하면, 조립체는 이 작업에 의해 쉽게 파괴되거나 변형되어 버린다. 따라서, 조립체의 강도의 강화가 강하게 요망된다. 그리고, 금속이외의 부재, 예를 들어 플라스틱등으로 조립체를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될 때, 제1조립체의 돌출부를 제2조립체의 구멍에 통과시키게 되지만,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될 때, 또는 그후에, 조합 방향 ( 이하, 이 방향을 상하방향으로 생각한다 ) 과 교차하는 방향 ( 횡방향으로 생각한다 )에 차이가 생길 수가 있다. 이 차이는 자기 잠금구의 양호한 움직임을 방해하게 된다. 예를 들면, 이 차이에 의해 제1조립체의 돌출부 선단에 설치된 돌기가 제2조립체의 구멍으로부터 교차방향으로 차이가 생겨버린 경우 이 차이를 바로잡지 않는 한 돌기가 제2조립체 일부에 충돌하여 버리므로 이들을 떼어내는 것이 곤란 또는 불가능하다.
상기한 본원 출원인에 의한 특허공보 제2944643호에 개시한 자기 잠금구에서는 이와 같은 차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2조립체의 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돌출하는환상 돌출부를 설치하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조합시 또는 그후에 이 환상 돌출부내에 제1조립체의 전면을 받아 넣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환상 돌출부를 설치하면, 환상 돌출부가 두껍게 되어 뚜껑을 열 때 불편하게 되며, 디자인상도 바람직하지 않으며, 장치를 뚜껍게 보이게 하는 결점도 있다. 차이방지를 위한 수단을 설치하는 것은 불가결하지만, 그 때문에 외관을 해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본원 출원인 자신이 개발한 자기 잠금구를 더욱 개량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조립체의 강도를 강화함과 함께, 외관을 손상함이 없이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 사이의 차이를 방지한 자기 잠금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 잠금구의 조립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 잠금구의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각각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된 때의 로크 동작기구의 설명도, 도 4 는 도3의 A-A 선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자기 잠금구의 사용예의 설명도,
도 6 은 본 발명의 연부 형상 가이드의 1 실시예의 설명도,
도 7 은 본 발명의 연부 형상 가이드의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도 8 은 본 발명의 연부 형상 가이드의 또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도 9 는 본 발명의 연부 형상 가이드의 또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도 10 은 본 발명의 확장 가이드부의 1 실시예의 설명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슬라이더의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제1조립체, 2 - 제2조립체,
10 - 환상 플레이트, 10a - 측면,
11 - 흡착면, 14 - 고정편,
22 - 자석, 26 - 원통 슬리이브,
27 - 확장 가이드부, 30 - 커버,
30a - 측면, 31 - 흡착면,
33 - 연부 형상 돌출부, 34 - 계지핀,
36 - 계지핀의 지주, 40 - 수용부재,
48 - 고정편, 56- 슬라이더,
65 - 계지부, 66 - 환상 프레임,
66a - 측면, 67 - 흡착면,
69 - 가이드, 75 - 연부 형상 돌출부,
80 - 보강 플레이트.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에 의하면, 서로에 대하여 잠겨져야 할 1조의 부재중 1방의 부재에 취부되는 제1조립체와, 타방의 부재에 취부되는 제2조립체로 구성되는 자기 잠금구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는 어느 1방의 조립체에 설치된 자석의 작용에 의해 그들의 흡착면에서 서로 흡착되어 조합되는 것이며, 상기 제1조립체는 자신의 흡착면으로부터 상기 제2조립체와의 조합방향을 향해 외부로 돌출된 계지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2조립체는 자신의 흡착면으로부터 상기 제1조립체와의 조합 방향과는 역방향을 향해 제2조립체의 내부로 연출된 가이드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될 때 상기 계지수단은 상기 가이드 수단의 내부를 안내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조립체는 또한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된 때 상기 계지수단에 대한 로크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조합을 로크하는 대응 계지수단과, 이 로크를 해제하는 해제수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조립체의 계지수단은 자기를 띄며, 상기 제2조립체의 대응 계지수단은 자성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된 때 상기 제2조립체의 대응 계지수단은 상기 제1조립체의 계지수단에 대한 로크위치로 상기 자기의 작용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조합을 로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조립체의 가이드 수단의 일부에 상기 대응 계지수단을 상기 제1조립체의 계지수단에 흡착시키기 위한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수단은 자성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조립체는 또한 상기 흡착면을 1방의 면에 갖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1방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과의 사이에 상기 대응 계지수단을 수용하는 수용부재와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프레임에만 설치된 가이드 수단에 의해, 또는 상기 수용부재에만 설치된 가이드 수단에 의해, 또는 상기 프레임의 가이드수단과 상기 수용부재의 가이드 수단과를 조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박판의 타발, 절곡, 드로잉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의 1방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보강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수용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대응 계지수단을 위치시키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 플레이트에 상기 가이드 수단의 주위를 덮어 상기 가이드 수단을 보강하는 보강 가이드 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서로에 대하여 잠겨져야 할 1조의 부재중 1방의 부재에 취부되는 제1조립체와, 타방의 부재에 취부되는 제2조립체로 구성되는 자기 잠금구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는 어느 1방의 조립체에 설치된 자석의 작용에 의해 그들의 흡착면에서 서로 흡착되어 조합되는 것이며, 상기 제1조립체는 자신의 흡착면으로부터 상기 제2조립체와의 조합방향을 향해 계지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2조립체는 자신의 흡착면에 구멍을 가지며, 또한 상기 제1조립체 또는 제2조립체의 어느 1방의 흡착면의 측면에,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된 때 타방의 조립체의 흡착면의 측면의 적어도 1부를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상기 조합 방향을 향해 외부로 연출된 연부 형상 가이드 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될 때 상기 제1조립체의 계지수단은 상기 제2조립체의 구멍으로 안내되며, 상기 제1조립체 또는 제2조립체의 어느 1방에 설치된 연부 형상 가이드수단은 타방의 조립체의 흡착면의 측면을 따라서 안내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조립체는 또한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된 때 상기 제1조립체의 계지수단에 대한 로크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조합을 로크하는 대응 계지수단과, 이 로크를 해제하는 해제수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의하면, 서로에 대하여 잠겨져야 할 1조의 부재중 1방의 부재에 취부되는 제1조립체와, 타방의 부재에 취부되는 제2조립체로 구성되는 자기 잠금구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는 어느 1방의 조립체에 설치된 자석의 작용에 의해 그들의 흡착면에서 서로 흡착되어 조합되는 것이며, 상기 제1조립체는 자신의 흡착면으로부터 상기 제2조립체와의 조합방향을 향해 계지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2조립체와의 조합방향에서 상기 계지수단의 후단측의 상기 조합방향과의 교차방향에서 외경이, 상기 계지수단의 선단측의 상기 조합방향과의 교차방향에서 가장 큰 외경과, 실질적으로 같든가 또는 그것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2조립체는 자신의 흡착면에 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될 때 상기 제1조립체의 계지수단은 상기 제2조립체의 구멍을 따라 안내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2조립체는 또한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된 때 상기 제1조립체의 계지수단에 대한 로크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조합을 로크하는 대응 계지수단과, 이 로크를 해제하는 해제수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의하면, 상기 제2조립체의 구멍에 상기 제2조립체의 흡착면으로부터 상기 제1조립체와의 조합방향과는 역방향을 향해 적어도 상기 조합방향에서 상기 계지수단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같은 길이까지 제2조립체의 내부로 연출된 가이드 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될 때 상기 계지수단이 상기 가이드 수단의 내부를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의하면, 서로에 대하여 잠겨져야 할 1조의 부재중 1방의 부재에 취부되는 제1조립체와, 타방의 부재에 취부되는 제2조립체로 구성되는 자기 잠금구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립체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설치된 계지부와를 적어도 구비하며, 상기 제2조립체는 상기 계지부에 대한 로크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자성체로 되는 계지재와, 상기 계지재에 작용하여 상기 로크위치로부터 로크해제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해제수단과를 적어도 구비하며, 또한 상기 제1조립체 또는 제2조립체의 어느 1방에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된 때 상기 고정판과 상기 계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자석과, 이 자석과 상기 계지재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자기갭이 설치되고, 상기 계지재는 상기 자석의 작용에 의해 상기 계지부에 대한 로크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의하면, 상기 자기갭이 비자성재 또는 비자성재로 되는 도금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의하면, 상기 고정판을 설치하지 않고 상기 자석을 제1조립체에 설치하고 그 자석에 상기 계지부를 설치하고 있다.
실시예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1에, 본 발명에 따른 자기 잠금구의 조립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기 잠금구는 제1조립체(1)와 제2조립체(2)의 조로 구성된다. 이들의 각 조립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기 잠금구를 사용하여야 할 대상물( 예를 들어, 핸드백 )의 1조의 대응부재( 예를 들어, 핸드백의 본체와 뚜껑)의 어느 1방에, 각각 도시한 방향으로 고정된다. 이들 조립체는 제1조립체에 설치된 자석의 작용에 의해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조합 방향( 도1의 화살표 가,나 방향)으로 각각의 흡착면(31,67) (후술하는 도3에 잘 도시되어 있다)에서 서로 흡착되어 조합되고, 이 조합을 통해 대상물의 대응부재를 닫은 상태로 유지할 수가 있다. 이 자기 잠금구는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조합이 자석의 작용에 의해 행해짐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로크된다. 이 로크는 제2조립체를 조작함으로써 간단히 해제될 수 있다.
도2에, 이들의 각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3에, 이들의 조립체가 조합된 때의 본 발명의 자기 잠금구의 중심선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 의해서 각 조립체를 구성하는 구성부품의 상세가 명백하게 되어 있다. 이하, 주로 도2를 참조하여 각 구성부품의 상세를 설명한다.
우선, 제1조립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2의 좌측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조립체는 환상 플레이트(10)와, 환상 플레이트(10)에 고정되는 고정편(14)과, 환상 플레이트(10)에 자착되는 링형상의 자석(22)과 원통 슬리이브(26)와, 자석(22)과 환상 플레이트(10)를 덮는 커버(30)와, 제1조립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계지핀(34)으로 구성된다. 단,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환상 플레이트(10)는 생략할 수 있다.
환상 플레이트(10)는 자성체, 예를 들어 강자성체의 철로 만들어져 있다. 따라서, 환상 플레이트는 자석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하에 설명하는 구성부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지만, 환상 플레이트와 같이 그 재질로서 철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녹방지와 장식을 위해 도금이 실시된다. 환상 플레이트(10)의 중심부에 설치된 구멍(12)은 후에 계지핀(34)을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이다.
고정편(48)은 환상 플레이트(10)의 1방의 면에 고정된다. 고정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스폿용접, 납땜, 브레이징등의 용접, 코킹, 기타의 적당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편(14)을 보다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스폿용접과 코킹을 채용하였다. 도면중의 점선으로 표시한 4개의 점(15)은 스폿용접에 의해 생긴 용융부분을 도시한다. 이들 용융부분의 위치는 고정편에 힘이 균등히 가해지도록 거의 동일한 원주상에서 등간격으로 이간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와 같이 고정편(14)과 환상 플레이트(10)를 별체로 하지 않고, 이들을 1체 성형할 수 있다. 고정편의 재질은 특히 묻지 않지만, 고정편을 환상 플레이트와 1체 성형한다고 하면 당연히 환상 플레이트와 같은 재질이 된다. 그리고, 고정편(14)에 환상 플레이트(10)로서의 효과를 갖게 하여도 좋다. 자석(22)을 플라스틱자석으로 한 때에는 환상 플레이트(10) 또는 고정편(14)의 어느 1방을, 또는 그 양방을 플라스틱자석과 1체성형하여도 좋으며, 기타 부재와 1체성형하여도 좋다. 그리고, 기타의 부재에 나사나 코킹,용접,기타의 방법으로 여러 가지 부재를 취부하여도 좋다. 또, 이 플라스틱자석에 도금을 하여도 좋다.
고정편(14)은 환상 부분(16)과, 이 환상 부분(16)의 양측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신하는 2본의 고정부분(18)로 이루어진다. 환상부분(16)은 환상 플레이트(10)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고정부분(18)은 제1조립체를 대상물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환상 부분(15)의 중심부에는 환상 플레이트(10)와 거의 같은 크기의 구멍(20)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편(16)과 환상 플레이트(10)가 서로 정렬될 때, 이 환상 부분(16)의 구멍(20)과 환상 플레이트(10)의 구멍(12)이 서로 정렬됨으로써, 계지핀(34)을 관통시키기 위한 정렬구멍이 형성된다.
링형상의 자석(22)은 고정편(14)의 취부측과는 반대측의 환상 플레이트(10)의 표면에 취부된다. 그리고, 자석(22)의 외경은 후술하는 이유로부터 환상 플레이트(10)의 외경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자석(22)은 표리면에 N극 또는 S극중 어느 1방의 극을 갖는 영구자석이다. 따라서, 자석(22)은 자신의 자력에 의해 환상 플레이트(10)에 자착될 수 있다. 자석(22)이 환상 플레이트(10)에 자착될 때 환상 플레이트는 자석에 의해 자기를 띄며 그 결과 환상 플레이트 자신도 자력을 발생시킨다. 환상 플레이트의 이 자력은 특히 원통 슬리이브(26)를 흡착시키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자석(22)은 네오디뮴 자석이라도 좋고 기타의 자석이라도 좋다. 그리고, 자석의 두께는 0.5㎜~10㎜ 가 좋지만 그 두께의 설계는 자유이며, 이들 자석에 도금을 하는 것도 좋다.
원통 슬리이브(26)는 자석(22)과 같은 측의 환상 플레이트(10)의 표면에 취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 슬리이브(26)는 환상 플레이트(10)의 중심부 부근에 배치되지만, 원통 슬리이브(28)를 환상 플레이트(10)의 중심부로부터 떨어지게 배치할 수도 있다. 원통 슬리이브(26)가 환상 플레이트(10)의 중심부 부근에 배치될 때 원통 슬리이브(26)는 자석(22)의 중공부(24)로부터 이간된 상태로, 환상 플레이트(10)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된다. 단, 원통 슬리이브(26)는 반드시 자석(22)으로부터 이간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자석(22)과 접촉하고 있어도 좋다. 다시 말하면, 환상 플레이트(10)를 설치하지 않고, 원통 슬리이브(26)를 자석(22)의 링구멍에 접촉시킨 상태로, 거기에 직접 넣도록 하여도 좋다. 그 경우에는 환상 플레이트(10)를 생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자석(22)을 플라스틱자석으로 할 때에는 원통 슬리이브(26)와 일체 성형하여도 좋다. 그리고, 원통 슬리이브(26)에 나사나,가접,기타의 방법으로 환상 플레이트(10) 또는 고정편(14)을, 그리고 그 양방을 취부하여도 좋고, 기타의 부재를 취부하여도 좋다.
원통 슬리이브(26)는 환상 플레이트(10)와 마찬가지로 자성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원통 슬리이브(26)는 자기를 띈 환상 플레이트(10)에 자착될 수 있다. 명백히, 원통 슬리이브(26)가 환상 플레이트(10)에 자착된 때 원통 슬리이브(26)는 환상 플레이트(10)와 마찬가지로 자기를 띄우며, 그 결과 원통 슬리이브(26) 자신도 자력을 발생시킨다. 원통 슬리이브(26)의 이 자력은 후술하는 계지재(56)를 흡착시키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원통 슬리이브(26)와 환상 플레이트(10)는 일체로 성형되어도 좋다.
원통 슬리이브(26)가 환상 플레이트(10)에 자착된 때 원통 슬리이브(26)의 선단 부근은 자석(22)의 상부에 돌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원통 슬리이브(26)는 제1조립체의 흡착면(31)으로부터 제2조립체와의 조합 방향( 도1의 화살표 가 방향)을 향해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이 원통 슬리이브(26)에도 그 길이 방향에 따라 고정편(14)의 구멍(20)이나 환상 플레이트(10)의 구멍(12)과 거의 같은 크기의 관통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원통 슬리이브(26)와, 환상 플레이트(10), 및 고정편(14)이 모두 정렬된 때 이들의 각 구멍에 의해 계지핀(34)을 관통시키기 위한 정렬구멍이 형성된다.
커버(30)는 자석(22)과 환상 플레이트(10)에 대하여 취부된다. 커버(30)의 형상은 링형상이다. 또, 그 크기는 자석(22)의 저부를 제한 거의 전면과 환상 플레이트(10)의 측면을 덮기에 아주 좋은 크기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와 같이, 자석(22)의 외경을 환상 플레이트(10)의 외경보다도 작게 설정하고 있는 경우에는 커버의 가장자리를 모나게 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그 가장자리에 아름답고 원활한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30)를 자석(22)과 환상 플레이트(10)에 덮어 씌운 때 이 커버(30)의 저측 원주부에 걸쳐 형성된 하방으로 연신되는 5본의 고정부(32)가 환상 플레이트(1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할 수 있다. 이들 고정부(32)를 환상 플레이트(10)의 저면을 따라서 내측으로 절곡함으로써 자석(22)과 환상 플레이트(10)를 일체로 한 상태에서, 이들에 대하여 커버(30)를 고정할 수 있다. 커버의 재질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여기서는 비자성체, 예를 들어 황동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커버(30)를 설치하는 것은 자석(22)이나 환상 플레이트(10)를 방호하며, 또 이들 사이의 결합을 보다 강고히 하기 위한 것이지만, 이것을 생략할 수도 있다. 또,자석(22)의 외경은 환상 플레이트(10)의 외경보다 작게 하여도 좋으며 크게 하여도 좋다. 또, 자석(22)의 형상도 묻지 않는다. 단, 커버(30)를 설치하지 않을 때에는 자석(22)과 환상 플레이트(10) 사이의 결합을 보다 강고히 하기 위하여 그들을 접착재 및 기타의 방법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3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2조립체의 흡착면(67)( 도1,도3 참조) 과의 흡착면은 기 커버(30)의 전측(31)이 된다. 한편, 커버(30)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 제2조립체와의 흡착면은 커버(30)의 하방에 위치하는 자석(22)의 전측(21)이 된다. 그리고, 커버(30)를 설치한 경우에도 원통 슬리이브(26)는 제1조립체의 흡착면(31)으로부터 제2조립체와의 조합 방향( 도1의 화살표 가 방향)을 향해 외부로 돌출하게 된다.
계지핀(34)은 원통 슬리이브(26)나 환상 플레이트(10), 및 고정편(14)의 각각의 구멍에 의해 형성된 정렬 구멍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계지핀(34)은 지주(36)와, 이 지주(36)의 상부에 설치된 헤드(38)로 구성된다. 정렬구멍에는 계지핀(34)의 지주(36)의 부분만 통과되며 헤드(38)의 부분은 통과되지 않는다.
이 계지핀(34)의 지주(36)의 길이는 원통 슬리이브(26)등의 구멍에 의해 형성된 정렬구멍의 총길이보다도 길다. 따라서, 계지핀(34)의 지주(36)가 정렬구멍에 관통된 때 이 정렬구멍의 가장 저측을 형성하는 고정편(14)의 구멍(20)으로부터 지주(36)의 선단부 부근이 돌출할 수 있다. 이 지주(36)의 돌출부 (도시하지 않음)를 고정편(14)의 저면에 대하여 가접함으로써, 또는 이 지주(36)의 돌출부를 용접, 나사멈춤, 기타 적당한 방법으로 고정편(14)에 대하여 고정하여, 계지핀(34)을 환상 플레이트(10)나 원통 슬리이브(26)에 대하여도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계지핀(34)이 이들에 고정된 때 계지핀(34)의 지주(36)의 선단부 부근은 고정편(14)의 저면에 대하여 평평하게 될 수도 있다.
계지핀(34)이 정렬구멍에 관통된 때 원통 슬리이브(26)의 상부로부터는 계지핀(34)의 헤드(38)가 외부로 노출된다. 적어도 이 헤드(38)의 부분은 비자성체로 형성되며, 따라서, 자석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될 때 이 헤드(38)는 제2조립체의 중심부를 관통하게 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이 헤드는 자석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헤드가 제2조립체의 어느 부분에 자착됨으로써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조합 작업이 방해되지 않는다. 그리고, 헤드이외의 부분, 즉 지주(36)는 자성체로 하여도 좋고 또는 비자성체로 하여도 좋다. 계지핀(34)의 헤드(38)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은 헤드(38)가 슬라이더(56)의 계지부(65)와 접촉한 경우에도 그들사이에 생기는 마찰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계지부(65)를 원활하게 이동시킴으로써 헤드(38)가 제2조립체의 정렬구멍에 쉽게 삽입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어서, 제2조립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의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조립체는 환상 프레임(66), 환상 프레임(66)에 수용되는 보강 플레이트(80), 보강 플레이트(80)와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재(40), 보강 플레이트(80)와 수용부재(40)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내에 유동적으로 협지되는 슬라이더(56), 및 수용부재(40)에 고정되는 고정편(48)로 구성된다.
환상 프레임(66)은 바람직하기는 철과 같은 강자성체(자성체)로 형성된다. 자성체로 형성됨으로써 다음에 열거하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일 먼저,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조합시에 제1조립체로 부터의 자력을 환상 프레임(66)에 미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조립체의 자력을 슬라이더(56)뿐만 아니라 환상 프레임(66)에도 미치는 것으로,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 사이에 보다 강한 흡착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두 번째로,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조합시에, 환상 프레임(66)을 요크로서 기능하게 하여, 슬라이더(56)의 작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환상 프레임(66)이 플라스틱, 황동, 기타의 비자성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술한 후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점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환상 프레임(66)은 비교적 얇고 평활한 금속판을 타발, 절곡, 드로잉등을 하는 것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법을 사용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염가로 할 수 있다. 단, 반드시 일체로 할 필요는 없으며, 기타의 제법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원통형상의 가이드(69)를 환상 프레임(66)이나 기타의 부분과는 별체로 설치하며, 이것을 나중에 붙이도록 하여도 좋다. 또, 환상 프레임(66)에 가이드(69)를 설치하는 대신에 수용부재(40)의 측에 가이드(69)에 상당하는 부재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 환상 프레임(66)과 수용부재(40)의 쌍방에 가이드(69)(또는 가이드에 상당하는 부재)의 일부를 설치하여 이들을 조합함으로써 완전한 가이드를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물론, 환상 프레임(66)의 재질이나 제법은 설계자의 자유다.
환상 프레임(66)은 외벽부분(68),내벽부분, 즉 가이드(69), 및 전벽부분(70)의 3방으로 둘러싸인 프레임(틀)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면으로부터는 명백하지 않지만, 환상 프레임(66)의 전면(흡착면), 즉 전벽부분(70)의 전면에는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환상 돌출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평탄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전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측 (지면측)의 면)은 제1조립체의 흡착면(31)과 흡착되는 흡착면(67)으로서 사용된다.
내벽부분, 즉 가이드(69)를 설치하고 있는 점에 주목하면, 가이드(69)는 대략 일정한 내경을 갖는 실질적으로 원통인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또 흡착면(67)( 도1,도3 참조)으로부터 제1조립체와의 조합 방향 (도1의 화살표 나 방향)과는 역방향을 향해 제2조립체의 내부의 구멍으로 연출되어 있다. 가이드(69)를 설치하는 데에는 주로 3개의 의의가 있다. 첫째는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 사이의 횡방향 차이를 방지하는 것이다.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될 때 또는 그들이 조합된 후 그들사이에 횡방향 차이를 전혀 발생시키지 않든가 또는 미소한 차이밖에 발생시키지 않는 다면 이와 같은 가이드(69)를 일부러 설치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실제에는 비교적 큰 차이가 생기는 것이 보통이므로 이와 같은 차이는 자기 잠금구의 양호한 작용을 방해한다.
가이드(69)를 설치하는 제1의 의의는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즉,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될 때 또는 그들이 조합된 후 그들이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 사이에 횡방향 차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3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조립체에 가이드(69)를 설치함으로써 제1조립체의 계지핀의 헤드(38)가 가이드(69)의 내측에 형성된 구멍(71)을 따라서 제2조립체의 내부로 안내되도록 하는 것, 또는 그들이 안내된 후는 헤드가 제2조립체의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벗어나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 1예를 들면, 슬라이더(56)를 눌러 로크를 해제하려 한 때 그 힘으로 환상 프레임(66)이 횡방향으로 눌려져 구멍(71)이 헤드(38)로부터 벗어나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가이드(69)를 설치하는 제2의 의의는 환상 프레임(66)의 상하방향의 강도를 강화하는 것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조립체는 핸드백등의 대상물에 수용부재(40)에 고정된 고정편(48)의 고정부분(54)을 각각 절곡, 그리고 햄머등으로 두들겨 붙여 고정하는 것이지만, 이 고정작업중에 고정편(48) 부근, 다시 말하면 수용부재(40)와 환상 프레임(66)의 중심부근에 상하방향에 걸쳐 상당히 큰 힘이 가해지게 된다. 이 힘은 수용부재(40)와 환상 프레임(66)(따라서, 제2조립체 자체)을 파괴, 또는 변형하는 데 충분히 큰 힘이다. 더욱이, 본 실시예와 같이 환상 프레임(66)을 비교적 강도가 약한 박판으로부터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환상 프레임(66) (제2조립체 자체)은 이 작업중에 쉽게 파괴되거나 변형되어 버려 수용되어 있는 슬라이더(56)가 유동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환상 프레임(66)의 중심부근에 가이드(69)를 설치하며, 이 환상 프레임을 보강플레이트(80)의 보강가이드(82)와 어울려 그 강도를 강화함으로써 이 문제를해결하고 있다.
가이드(69)를 설치하는 제3의 의의는 가이드(69)의 1부에 설치된 절결부(72)에 관계한다. 이 절결부(72)는 슬라이더(56), 특히 그 계지부(65)가 가이드(69)의 내측, 다시 말하면 가이드(69)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조립체의 자기를 띈 원통 슬리이브(26)에 접근 흡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절결부는 계지부(65)를 통과시키기에 필요하고 충분한 크기로 되어 있다. 역으로, 가이드(69)는 절결부(72)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연속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69)를 설치한 제3의 의의는 절결부(72) 이외의 부분에서는 슬라이더(56)에 자기를 미치지 않게 하는 것, 다시 말하면, 가이드(69)를 슬라이더(56)의 계지부(65)이외의 부분에 대한 자기 차폐로서 기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들 3개의 의의를 충분히 이룰 수 있도록 가이드(69)는 적어도 180도보다 큰 각도 범위,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약 240도의 각도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 각도범위는 슬라이더(56)의 계지부(65)에 미친 자기 작용에 의해 슬라이더(56)를 제1조립체에 흡착시키는 데 충분함과 함께,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할 때, 또는 그들이 조합된 후에, 그들 사이에 횡방향의 차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며, 환상 프레임(66)의 상하방향의 강도를 강화하는 데 충분하다. 이것을 예를 들어 180도 이하의 각도범위로 하면 가이드(69)로부터 계지핀(34)의 헤드(38)가 삐어져 나와 가이드(69)로서의 의의를 가질 수 없게 되며, 불충분한 강도밖에 가질 수 없게 된다. 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180도 이하의 각도범위로 하는 것은 설계자의 자유다. 또, 가이드(69)의 길이는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조합 방향에서 원통 슬리이브(26)와 헤드(38)에 의해 형성되는 길이와 실질적으로 같게 되어 있다. 그 내경은 헤드(38)의 외경보다도 약간 크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69)의 길이와 내경의 설계는 자유다.
보강 플레이트(80)는 환상 프레임(66)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역으로 말하면, 보강 플레이트(80)는 단지 환상 프레임(66)을 보강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므로 생략할 수도 있다. 보강 플레이트(80)는 도시한 방향으로 환상 프레임(66)의 개방된 후부로부터 그 내부에 수용된다.
보강 플레이트(80)는 환상 프레임(66)과 마찬가지로 얇은 금속 평판을 타발, 드로잉, 절곡 등을 함으로써 1체 성형되지만, 반드시 1체 성형할 필요는 없으며, 다른 제법으로 마찬가지의 형상을 형성하여도 좋다. 사용하는 판금은 환상 프레임(66)과 같은 것이라도 좋고, 또 환상 프레임(66)과 거의 같은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조비용은 대단히 염가가 된다. 단, 환상 프레임(66)과 마찬가지로 반드시 1체 성형할 필요는 없으며, 또 이것을 비자성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보강 플레이트(80)는 환상 프레임(66)의, 특히 전벽부분(70)과, 내벽부분, 즉 가이드(69)의 강도를 강화하기 위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다. 즉, 보강 플레이트(80)는 환상 프레임(66)의 전벽부분(70)에 대응하여 거의 도우넛형상을 갖는 본체부분(81)과, 환상 프레임(66)의 가이드(69)에 대응하여 본체부분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연신하는 보강 가이드부분(82)을 갖는다.
보강 플레이트(80)의 환상 프레임(66)내에 수용된 때 보강 플레이트(80)의 본체부분(81)은 환상 프레임(66)의 전벽부분(70)의 내측의 거의 전체, 즉 환상 프레임(66)의 흡착면과는 반대측의 면을 덮는다. 본체부분(81)의 외주에 형성된 돌출부(83)는 보강 플레이트(80)를 환상 프레임(66)에 수용할 때 환상 프레임(66)의 외벽부분(68)에 대응적으로 형성한 절결부(73)에 맞춰 넣어진다. 이들 돌출부(83)와 절결부(73)의 감합에 의해 보강 플레이트(80)는 환상 프레임(66)내에 소정의 방향으로 수용되며, 또 보강 플레이트(80)가 환상 프레임(66)내에 수용된 후는 보강 플레이트(80)를 환상 프레임(66)에 대하여 소정의 방향인 채 유지할 수 있다.
보강 가이드(82)는 환상 프레임(66)의 가이드(69)보다도 작은 각도범위, 예를 들어 180도에 걸쳐 형성되어 있지만, 가이드(69)와 같은 각도라도 좋다. 또, 보강 가이드(82)의 높이는 보강 플레이트(80)가 환상 프레임(66)에 수용된 때 환상 프레임(66)의 가이드(69)의 높이보다 낮게 되도록, 또는 같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단, 낮게 되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가이드(69)와의 관계에서 단차(84)(도3 참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보강 가이드(82)의 각도범위와 환상 프레임(66)의 가이드(69)의 각도범위의 관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보강 가이드(82)는 환상 프레임(66)의 가이드(69)의 전주를 포위하지는 않지만, 환상 프레임(66)을 보강하는 역할은 충분히 한다. 그리고, 환상 프레임(66)의 가이드(69)의 전주, 나아가서는 그보다 큰 각도범위에 걸친 것이라도 좋지만, 이 경우에는 슬라이더(56)의 계지부(65)를 위한 절결부를 확보하여 두지 않으면 안된다. 한편, 보강 가이드(82)의 높이와 환상 프레임(66)의 가이드(69)의 높이의 관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보강 플레이트(80)가 환상 프레임(66)에 수용된 때 이들의 가이드(69,82)에 의해 도3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상하방향의 단차(84)가 형성된다. 2개의 가이드에 의해 형성된 이 단차(84)는 수용부재(40)에 형성된 단차(47)와 상보 형상을 이룬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들의 단차(84,47)를 대응하여 배치함으로써 실질적으로 간격이 없는 정렬구멍이 형성됨과 함께 가이드(69)에 의해 형성되는 구멍을 실질적으로 연장할 수 있으며, 그 강도를 높힐 수도 있다.
보강 플레이트(80)를 철과 같은 강자성체(자성체)로 함으로써, 환상 프레임(66)과 관련하여 설명한 여러 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만약 환상 프레임(66)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만으로 보강 플레이트(80)를 설치한다면 그것을 비자성체로 형성하여도 목적은 충분히 달성된다. 그러나, 보강 플레이트(80)에 의해 환상 프레임(66)의 피흡착 기능이나 요크의 기능을 보강하기 원하는 것이라면 보강 플레이트(80)를 자성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즉, 보강 플레이트(80)를 자성체로 형성함으로써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조합시에 제1조립체의 자력을 슬라이더(56)나 환상 프레임(66)뿐만 아니라 보강 플레이트(80)에도 미쳐서,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사이에 보다 강한 흡착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환상 프레임(66)에 더하여 보강 플레이트(80)도 제1조립체로부터의 자기에 대한 요크로서 기능하게 함으로써 슬라이더(56)의 작용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의 효과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강 플레이트(80)나 환상 프레임(66)이 비자성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얻을 수 있지만, 보강 플레이트(80)와 환상 프레임(66)의 쌍방이 자성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다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슬라이더(56)는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된 때 그들사이를 자동적으로 로크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시 말하면,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된 때 제1조립체, 특히 그 원통 슬리이브(26)로부터의 자력작용에 의해 제1조립체에 당겨 붙여져 거기에 흡착된다. 이 흡착작용이, 즉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사이의 로크작용이다.
제조비용의 삭감을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56)를 타발,절곡,드로잉등에 의해 1체성형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반드시 1체성형할 필요는 없고 다른 제법이라도 좋다. 이 점은 환상 프레임(66)이나 보강 가이드(82)와 마찬가지다. 최종적으로, 슬라이더(56)는 거의 좌우대칭인 대략 열쇠형상(다른 형상이라도 좋다)을 갖는 것이다. 그 중심 부근에 형성된 구멍(64)에는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된 때 제1조립체의 계지핀(34) 및 이 계지핀(34)의 주위에 설치된 원통 슬리이브(26)가 관통되어 위치를 잡게 된다.
슬라이더(56)에는 본체부분(61)과 레버부분(60)이 형성된다. 본체부분(61)에는 다시 내측을 향해 돌출된 계지부(65)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부(65)는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된 때 제1조립체의 계지핀(34)의 주위에 배치된 원통 슬리이브(26)에 흡착되며, 이들의 조립체를 자동 로크하기 위한 중요한 작동을 한다. 이 계지부(65)는 전체로서 대략 초생달 형상(기타의 형상이라도 좋다)을 가지며, 그 단부에는 제1조립체의 계지핀(34)의 헤드(38)를 얇게 한 것에 대응하여 앞이 얇은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지만, 물론 형성되지 않아도 좋다. 계지부(65)의 형상과 계지핀(34)의 형상을 대응시킴으로써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된 때 계지부(65)와 계지핀(34)의 헤드(38)가 접촉한 때에도 그들 사이의 마찰저항을 적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원통 슬리이브(26)에 대한 흡착은 계지부(65)의 경사면의 선단 부근에서 이루어 진다. 한편, 레버부분(60)은 원통 슬리이브(26)에 흡착된 계지부(65)를 제1조립체로부터 떼어내어 로크를 해제하기 위한 때 등에 사용된다.
슬라이더(56)는 환상 프레임(66)내에 수용된 보강 플레이트(80)상에 배치되며, 그 본체부분(61)은 상측으로부터 수용부재(40)에 의해 씌워진다. 도3과 같이 수용부재(40)에는 슬라이더(56)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49)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더(56)의 본체부분(61)은 이 공간(49)내에 수용된다. 한편, 슬라이더(56)의 레버부분(60)은 수용부재(40)의 외벽부분에 형성된 절출부(4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수용부재(40)는 후에 환상 프레임(66)내에 수용되게 되지만, 여기서도 보강 플레이트(8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수용부재(40)로부터 돌출된 절출부(42)를 환상 프레임(66)의 외벽부분(68)에 대응적으로 형성된 절결부(73)에 집어넣음으로써 수용부재(40)를 환상 프레임(66)내에 소정의 방향으로 수용할 수 있으며, 수용부재(40)가 환상 프레임(66)내에 수용된 후는 수용부재(40)를 환상 프레임(66)에 대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유지할 수 있다. 수용부재(40)가 환상 프레임(66)내에 수용된 때 수용부재(40)와 보강 플레이트(80)에 의해 형성된 수용 공간, 및 수용부재(40)와 환상 프레임(66) 각각의 절출부(42)와, 그리고 절결부(73)로부터는 슬라이더(56)의 레버부분(60)만이 노출되며, 계지부(65)를 갖는 본체부분(61)은 수용공간내에 유동적으로 수용된다. 그리고, 슬라이더(56)의 유동방향은 수용부재(40)의 절출부(42)나 슬라이더(56)의 형상등으로 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수용부재(40)나 환상 프레임(66)의 외벽부분(68)에 형성된 절결부(73)에 직교하는 방향, 다시 말하면 슬라이더(56)의 길이방향( 도3의 화살표 B 방향)이다.
수용부재(40)가 환상 프레임(66)내에 수용된 후, 환상 프레임(66)의 외벽부분(68)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6개의 고정편(74)은 수용부재(40)의 대응하는 절단부(41)를 향해 각각 절곡된다. 이것에 의해 수용부재(40)를 환상 프레임(66)에 고정할 수 있다.
수용공간내의 슬라이더(56), 특히 그 계지부(65)는 레버(60)를 조작함으로써 그 위치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계지부(65)가 수용공간내에서 교착상태인 채로 될 염려는 없으며, 비록 그와 같은 상태가 된다 해도 레버부분(60)을 움직임으로써 그와 같은 상태를 간단히 해제할 수 있다. 레버 부분(60)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슬라이더(56)의 계지부(65)는 환상 프레임(66)의 가이드(69)에 설치한 절결부(72)를 통해 이 가이드(69)의 내측, 다시 말하면 가이드(69)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는 자기를 띈 제1조립체의 원통 슬리이브(26)에 접근, 또는 충돌하거나, 또는 거기로부터 멀어진다. 단, 원통 슬리이브(26)에 대한 접근, 흡착은 원통 슬리이브(26)의 자기작용에 의해 자연히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레버 부분(60)을 형성한 본래의 의미는 이 원통 슬리이브(26)로부터 계지부(65)를 멀리 하는 것에 있다. 이 슬라이더(56)의 조작을 쉽게 하기 위해 레버 부분(60)의 선단은 절곡이나 드로잉에 의해 손잡이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제1조립체의 자기를 작용시키기 위해, 슬라이더(56)는 자성체나 비자성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제2조립체의 구성부재중 자성체로 형성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은 이 슬라이더(56)의 계지부(65)뿐이다. 슬라이더(56)를 비자성체로 1체 성형한 때에는 계지부(65)에 자성체도금을 하거나, 또는 계지부(65)를 자성재로 덮고, 기타의 방법으로 계지부(65)를 실질적으로 자성체로 하여도 좋다. 슬라이더(56)를 1체 성형하지 않는 경우에는 반드시 그 전체를 자성체로 할 필요는 없다. 제1조립체에 흡착되는 계지부(65)만을 자성체로 형성하면 좋으며, 기타 부분을 비자성체인 별체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설계에 따라서는 계지부(65) 또는 본체부분(61)의 어느 1방에, 또는 그 양방에 레버부를 형성하여 이 레버부의 이동에 의해 계지부를 누른다든지 당긴다든지 하여, 원통 슬리이브(26)로부터 계지부(65)를 멀리하도록 하여도 좋다. 어떤 설계로 하는 가는 설계자의 자유다. 여기서, 슬라이더(56)의 전체를 자성체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약간 주의가 필요하다. 왜냐 하면, 그 전체가 자성체로 형성된 슬라이더(56)는 계지부이외의 모든 부분이 제1조립체에 끌어당겨져 버리기 때문이다. 계지부이외의 부분이 끌어당겨져 버리는 것은 계지부에 의한 로크는 불가능하게 되든가 또는 원활하게 될 수 없다. 따라서, 계지부(65)를 보다 확실하게 원통 슬리이브(26)에 흡착시키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여기서는 슬라이더(56)의 중심에 설치된 구멍에서 슬라이더(56)의 계지부(65)를 제1조립체의 원통 슬리이브(26)가 배치되는 측, 다시 말하면 구멍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돌출시킴과 함께, 계지부이외의 부분, 특히 계지부(65)의 대항측의 부분을 제1조립체의 원통 슬리이브(26)로부터 먼 측, 즉 구멍으로부터 먼 방향을 향해 슬라이더(56)를 보다 깊게 절입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56)는 거의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길이방향으로만 이동하므로,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함으로써 계지부(65)에 작용하는 자기를 계지부(65)이외의 부분에 작용하는 자기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 계지부(65)의 구조와 함께 전술한 환상 프레임(66)의 가이드(69)에 의한 자기차폐작용에 의해 계지부(65)를 제1조립체의 원통 슬리이브(26)에 확실히 흡착시킬 수 있다. 단, 슬라이더(56)에서 절입은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가이드(69)에 의한 자기차폐작용만으로도 계지부(65)를 원통 슬리이브(26)에 확실하게 흡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계지부나 레버부나 슬라이더의 설계는 자유다.
고정편(48)은 수용부재(40)에 고정되며, 그 형상은 환상 플레이트(10)에 고정되는 고정편(14)과 거의 같다. 즉, 고정편(48)은 환상 부분(52)과, 이 환상 부분(52)의 양측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신하는 2본의 고정 부분(54)로 구성된다. 환상 부분(52)은 수용부재(40)에 고정되기 위해 사용되며, 고정 부분(54)은 제2조립체를 핸드백등의 대상물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 고정편(48)은 환상 플레이트(10)에 고정된 고정편(14)과 마찬가지로 수용부재(40)와 1체 성형되어도 좋다. 단, 수용부재(40)에 고정되는 고정편(48)의 구멍(50)은 환상 플레이트(10)에 고정된 고정편(14)의 구멍(20)과는 그 크기가 다르다. 그리고, 수용부재(40)에 고정되는 고정편(48)의 구멍(50)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생략할 수도 있지만, 이 구멍을 형성한 경우에는 후에 계지핀(34), 특히 그 헤드(38)의 부분을 거기에 넣을 수 있도록 하여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된 때의 뚜께를 보다 얇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수용부재(40)의 작용은 이미 상술한 바와 같다. 그 재질은 자성체,비자성체를 묻지 않는다. 어느 것이라 하더라도, 수용부재(40)로서의 기능은 달성할 수 있다. 이 수용부재(40)에는 외부를 향해 환상의 돌출부(4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43)의 주위에 환상의 요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출부(43)와 요부(45)는 고정편(48)을 수용부재(40)의 소정의 위치에 자리하며, 고정편(48)의 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1 내지 도3 로 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고정편(48)을 수용부재(40)에 고정할 때 고정편(48)의 구멍(50)을 수용부재(40)의 돌출부(43)에 삽입하도록 하며 고정편(48)의 환상 부분(52)을 이 환상 부분(5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수용부재(40)의 요부(45)에 집어 넣도록 하며, 돌출부(43)를 수용부재(40)의 구멍(50)의 외측으로 코킹함으로써 고정편(48)을 확실하게 수용부재(40)의 소정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수용부재(40)에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환상 프레임(66)의 가이드(69)에 의해 형성된 단차(84)에 대응하여 환상의 단차(47)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단차(84,47)는 거의 상보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서로 맞추어짐으로써 상하방향의 강도가 높혀져 있다. 이들을 맞춤으로써 수용부재(40)의 구멍(46)과 환상프레임(66)의 가이드(69)의 내측에 형성된 구멍을 확실히 정렬시킬 수도 있다. 이들의 구멍이 정렬된 때 이들 사이의 간격은 거의 형성되지 않으며, 따라서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될 때 제1조립체의 특히 계지핀(34)의 헤드(38)가 걸리지 않고 그들의 조립체는 원활하게 조합된다.
다음에, 주로 도3을 참조하여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조합시의 로크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조합은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복수의 부품사이의 자기적 작용에 의해 달성된다.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서로 접근하여 어느 정도 거리가 단축된 때, 슬라이더(56)와 제1조립체 사이의 자기작용에 의해, 또는 환상 프레임(66)이나 보강 플레이트(80)가 자성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슬라이더(56), 환상 프레임(66), 및 보강 플레이트(80)와, 제1조립체와, 의 사이의 자기 작용에 의해 이들의 조립체는 순식간에 조합된다.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된 때 제1조립체의 커버의 전면(31)(커버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는 자석의 전면(21))이 제2조립체의 환상 프레임(66)의 전면과 흡착함과 함께 제1조립체의 상부에 돌출한 계지핀(34)과 원통 슬리이브(26)가 제2조립체의 정렬구멍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계지핀(34)의 헤드(38)의 원주부가 제2조립체의 환상 프레임(66)의 가이드(69)의 선단 부근에 도달하며, 또 원통 슬리이브(26)의 선단부가 수용부재(40)와 환상 프레임(66) 사이의 닫힌 수용공간을 거의 완전히 관통한다.
이 자기 잠금구에서는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됨과 동시에 이들 조립체의 조합을 자동적으로 로크할 수 있다. 자동로크는 정확히 말하면, 자석(22), 원통 슬리이브(26), 및 환상 프레임(66)과, 계지부(65)와의 사이의 협동 자기작용에 의한 것이지만, 주로 원통 슬리이브(26)와 계지부(65)사이의 자기 작용예 의한 것이다. 원통 슬리이브(26)에는 자석(22)에 의해 발생된 자기가 환상 플레이트(10)를 개재하여 발생된다. 이 결과, 원통 슬리이브(26)의 근방에 위치하는 슬라이더(56), 특히 그 계지부(65)가 자기를 띈 원통 슬리이브(26)의 외주에 흡착되게 된다. 원통 슬리이브(26)에 슬라이더(56)의 계지부(65)가 흡착된 때 제2조립체의 정렬구멍은 이 계지부(65)에 의해 좁혀지며, 그 결과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결합을 벗기려 하여도 계지부(65)와 계지핀(34), 특히 그 헤드(38)의 이면이 서로 충돌하여 맞추어져, 그 결합을 해제할 수 없게 된다. 즉,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는 자동로크되게 된다. 그리고, 이 점에 대해서는 도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환상 프레임(66)이나 보강 플레이트(80)가 자성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만 발휘되는 그들의 요크로서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을 추가한다. 상기한 자기작용에 의해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를 조합한 경우에는 명백한 바와 같이 제2조립체의 환상 프레임(66)이나 보강 플레이트(80)에 제1조립체의 자석(22)에 의한 자기가 발생하며, 슬라이더(56)는 원통 슬리이브(26)뿐만 아니라 환상 프레임(66)이나 보강 플레이트(80)에도 끌려 당겨지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슬라이더(56)의 계지부(65)는 원통 슬리이브(26)에 원활하게 흡착되지 않는 것은 아닌가 하는 의문도 생긴다. 그러나, 환상 프레임(66)이나 보강 플레이트(80)를 철등의 비자성체(자성체)로 형성함으로써, 다시 말하면 이들을 요크로서 기능하게 함으로써 이 문제는 극복할 수 있다.
이 원리는 대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여기서는 자석(22)의 환상 플레이트(10)측에서 자극을 S 극, 그 반대측의 자극을 N 극으로 가정한다( 역극성의 경우는 마찬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명백한 바와 같이, S 극으로부터의 자기는 요크로서 기능하는 환상 플레이트(10)와 원통 슬리이브(26)의 작용에 의해 원통 슬리이브(26)의 선단부 부근에 모여져 이들 선단부 부근에서 가장 강한 자력을 발생한다. 이에 대하여, N 극으로부터의 자기는 요크로서 기능하는 환상 프레임(66)이나 보강 플레이트(80)에 의해 이들의 부재의 외주부 부근에 모여져 이 외주부 부근으로부터 S 극을 향해 지기의 흐름이 발생한다. 따라서, 환상 프레임(66)의 외주부 부근이외의 부근, 즉 슬라이더(56)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한 환상 프레임(66)의 외주부이외의 부분에서는 외주부로 유출한 양만큼 자기가 약하게 되며, 따라서 슬라이더(56)를 끌어당기는 자기도 약하게 되어 있다. 그 결과, 자기를 거의 1점에 모은 원통 슬리이브(26)의 선단부 부근에서 자력의 방향이 자기의 흐름이 발생한 양만큼 자력이 감소하는 환상 프레임(66)에서의 자력보다도 크게 되므로, 계지부(65)는 환상 프레임(66)에서의 자력보다도 크게 되므로, 계지부(65)는 환상 프레임(66)에 끌려당겨짐에도 불구하고 보다 큰 자력을 갖는 원통 슬리이브(26)에 원활하게 흡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것은 환상 프레임(66)이나 보강 플레이트(80)가 반드시 자성체로 형성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까지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들을 자성체로 형성한 경우의 하나의 유효한 효과로서 생각할 수 있다.
다른 구조를 사용하여 슬라이더(56)를 원통 슬리이브(26)에 원활하게 흡착시킬 수도 있다. 슬라이더(56)(특히, 그 계지부(65))와 자석(22) 사이에, 비자성재로 형성된 자기갭부재를 설치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예를 들면, 자석의 강도나 그 크기, 원통 슬리이브에 대한 계지부(65)의 형상이나 면적, 그리고 이동거리나, 기타 부재와의 협동 자기 작용에도 의하지만, 0.01~10mm 의 두께를 갖는 비자성체로부터 되는 자기갭부재를 슬라이더(56)의 계지부(65)와 자석(22) 사이에 위치시킴으로써, 슬라이더(56)를 원통 슬리이브(26)에 원활하게 흡착시킬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자의 실험에 의해 실증을 마쳤다. 또, 자기갭부재를 설치하는 대신에, 슬라이더(56)자신이나, 자석(22)자신, 그리고 이 슬라이더(56)( 특히 그 계지부(65))와 자석(22)사이의 어느 부재에 비자성재의 도금을 함에 의해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금의 두께는 도금액에 침투하는 시간에 따라서 여러 가지의 두께로 조절가능하며, 따라서, 슬라이더(56)에 적당한 두께의 도금을 행하면 위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종래 이와 같은 비자성의 자기갭부재를 설치한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원 출원인 자신에 의한 일본 특허 공개 소50-112170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석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한 비자성재로 되는 자석 커버가 결과적으로 자석(22)와 슬라이더(56) 사이에 위치하여, 마치 자기갭부재와 같이 보이는 것은 있지만, 이들의 종래예에서는 이 비자성재인 자석커버를 슬라이더(56)를 원활하게 움직이기 위한 도구로서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더욱이, 위에 열거한 특개소 50-112170 호의 출원당시는 예를 들어 페라이트자석과 같은 부서지기 쉬운 자석밖에 없었기 때문에 자석을 보호할 목적으로 자석커버를 설치할 필요가 있었다. 특개소 50-112170호에 개시된 자석커버도 그와 같은 목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과 같이 슬라이더(56)를 원활하게 움직이기 위한 도구로서 이용하는 것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본원 출원인은 이번에 처음으로 이와 같은 비자성재라도 그 두께에 따라서는 슬라이더(56)를 원활하게 움직이기 위한 자기갭부재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실험에 의해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비자성의 자기갭부재를 자성체나 자성체도금과 조합시킬 수도 있다. 또, 기타의 비자성의 자기갭부재로서 도장이나 플라스틱부재, 그리고 기타도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갭부재의 대신에 공극을 이용하여도 좋다. 이들의 설계는 자유다.
전술한 원리에 관련하여, 이 자기 잠금구에서는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를 조합하기 전에 슬라이더(56)의 위치를 로크해제위치로 하는 작업은 필요하지 않다. 즉, 이 자기 잠금구에서는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를 조합할 때 슬라이더(56)의 계지부(65)가 제2조립체의 정렬구멍을 막아버리는 위치, 즉 로크위치에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도 상술한 원리에 따라서 환상 프레임(66)이나 보강 플레이트(80)나 자석(22)에 슬라이더(56)가 끌어당겨지는 힘이 적게 되어 있으므로, 또 전술한 바와 같은 계지부(65)와 계지핀(34)의 헤드(38) 사이의 마찰저항이 작게 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더(56)는 제1조립체의, 특히 그 계지핀(34)의 헤드(38)의 부분과 계지부(65)와의 충돌을 통해 로크위치로부터 자연히 쉽게 떨어진다. 이 경우, 계지부(65)는 일단 그와 같은 위치로부터 떨어진 후에, 다시 자동적으로 원통 슬리이브(26)에 흡착되어, 로크를 자동적으로 완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자기 잠금구에서는 조합을 행하기 전에 슬라이더(56)의 위치를 소정위치, 즉 로크해제위치로 하기 위한 작업은 불필요하다.
도4에, 도3의 A-A선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도면은 로크위치 및 로크해제위치에서 슬라이더(56)와 그 주변부품의 위치관계를 명백히 한 것이다. 도4의 (a)는 로크위치에서의 위치관계를, 도4의 (b)는 로크해제위치에서의 위치관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4의 (a)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로크위치에서는, 슬라이더(56)의 계지부(65)는 원통 슬리이브(26)의 외주면에 흡착된 위치에 있다. 이 결과,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조합을 해제하려 하여도( 즉, 도면에서 계지핀(34)등을 지면 수직 하방으로 이동하려 하여도), 2점 쇄선으로 표시한 계지핀(34)의 헤드(38)가 슬라이더(56)의 계지부(65)와 충돌하여 버리므로 이 로크를 해제할 수는 없다.
이 로크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b)와 같이, 계지부(65)를 적어도 계지핀(34)의 헤드(38)의 외주보다도 외측으로 이동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계지부(65)는 슬라이더(56)를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동시킬 수 있다. 슬라이더(56)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계지부(65)는 헤드(38)의 외주보다도 외측으로 밀려지며, 그 결과 계지핀(34)과 계지부(65)의 충돌이 해제된다. 즉, 로크는 해제된다. 그리고, 로크의 해제전후에 걸쳐 제1조립체로부터의 자기는 실질적으로 슬라이더(56)의 계지부(65)에 작동한다. 이것은 전술한 슬라이더(56)의 형상 및 환상 프레임(66)의 가이드(69)의 자기차폐기능에 의한 것이다.
다음에,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기 잠금구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기 잠금구는 핸드백이나 가방, 란도셀, 룩작, 벨트, 담배, 어태쉐이 케이스와 같은 각 케이스, 도어, 기타 여러 가지 대상물에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는 대표예로서 핸드백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5에 핸드백에 고정된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를 핸드백의 부분 확대도와 함께 횡측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는 핸드백의 본체(4)의 표면측 및 뚜껑(3)의 이면측에 각각 고정된다. 단, 이것과는 역으로, 제1조립체를 핸드백의 뚜껑(3)에, 제2조립체를 핸드백의 본체(4)에 각각 고정할 수도 있다.
이들의 조립체는 각 조립체에 설치된 고정구(18,54)에 의해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들 고정구는 2본의 고정 부분(18,54)(도1,도2에 잘 도시되어 있다)을 갖고 있지만, 이들 고정부분에 대응하여 본체(3)와 뚜껑(3)의 각각에, 고정 부분을 관통하기 위한 1조의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구멍에 각 고정 부분(18,54)을 완전히 눌러 넣은 후, 이들 각 고정 부분을 외측(약간은 내측)을 향해 햄머등으로 두들겨 붙여 절곡함으로써,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를 각각 본체(4)나 뚜껑(3)에 고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조립체는 환상 프레임(66)의 가이드(69)에 의해 상하방향에서의 강도가 강화되어 있으므로 이 고정작업에 의해 파괴되거나 변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일반적으로는 이들의 고정이 보다 확실하게 행해지도록 고정 부분(18)과 본체(4) 사이, 및 고정 부분(54)과 뚜껑(3)사이에 각각 와셔(6,5)가 배치된다. 이들 와셔(6,5)에는 본체(4)와 뚜껑(3)에 형성된 구멍에 대응하여 마찬가지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와셔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정구의 각 고정 부분(18,54)을 각각 본체(4)와 와셔(6)의 구멍, 또는 뚜껑(3)과 와셔(5)의 구멍에 각각 이 순번으로 관통시킨 후에 절곡하면 좋다. 또,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를 핸드백등에 고정하는 방법으로서는 고정편(14,48)을 이용하는 이외에 코킹, 나사, 기타의 방법이라도 좋다.
본체(4)와 뚜껑(3)에 각각 고정된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된 때, 즉 핸드백의 뚜껑이 로크된 때, 제1조립체나 제2조립체는 핸드백의 본체(4)와 뚜껑(3)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그리고 외부로부터는 거의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해제는 본체(4)와 뚜껑(3)의 간격에 손가락을 넣어, 제2조립체의 슬라이더의 손잡이부(62)를 누름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 조작이 쉽게 될 수 있도록 제2조립체의 손잡이부(62)는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3)의 연부(7)의 부근 또는 같은 위치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 물론이며, 연부(7)보다 나와도 좋다. 또, 다른 해제방법으로서, 제2조립체의 레버를 핸드백에 고정하고, 레버가 고정된 핸드백부분을 누르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체(4)나 뚜껑(3)은 적어도 2매의 가죽이나 포등을 겹쳐서 꿰매어 형성되며, 각 고정 부분(18,54)의 절곡부분은 바로 이들 2매의 부재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들의 고정 부분은 외부로부터는 보이지 않는다. 또, 손잡이부(62)가 뚜껑(3)의 연부(7)와 같은 위치일 때 손잡이부(62)가 방해가 되어 미싱등으로 재봉할 수가 없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정 부분(54)이 뚜껑(3)의 소정위치에 고정된 때 제2조립체만을, 즉 레버 부분(60)이나 손잡이부(62)도 포함하여 우로부터 좌로 실질적으로 90도 정도 돌릴 수 있는 구조( 도시하지 않음)로 하면 미싱등으로 재봉할 수 있다. 그리고, 그후 손잡이부(62)를 포함한 제2조립체를 소정위치로 되돌리면 좋다.
이상의 고정방법에 의하면,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된 때 이들의 조립체는 실질적으로 외부로 노출될 수 없으므로, 이 자기 잠금구는 핸드백의 바람직한 부분에 따라서 여러 가지 장식품( 도시하지 않음)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잠금구에 의해서 디자인이 결정된다든가 소비자의 기호를 충분히 반영할 수 없다는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핸드백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자기 잠금구의 사용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자기 잠금구는 핸드백에 국한되지 않고, 가방이나 란도셀, 룩작, 벨트, 담배, 어태쉐이 케이스와 같은 각 케이스, 도어의 노브 등, 로크를 필요로 하는 여러 가지 대상물에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기 잠금구를 사용하는 대상물에 대해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부품을 비자성재로 형성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자성재로 형성된 그들의 부품에 비자성재의 도금을 행함으로써 비자성재로 형성한 부품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 비자성재로 형성하여야 할 부재를 비자성재의 도금을 행한 자성부재나 비자성재로 덮은 자성부재로 치환할 수도 있다. 또, 비자성재에 자성재의 도금을 행하거나 자성재로 덮어, 자성재로서의 효과를 발휘할 수도 있다. 이과 같이 도금에는 녹방지, 장식의 외에 각 부품의 1부 및 전체의 표면을 비자성체나 자성체로 하기 위해서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그 이용법은 부재의 일부, 예를 들어 슬라이더의 계지부(65)만을 자성체로 하는 경우등에 유효하다고 생각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 자석은 반드시 제1조립체에 설치할 필요는 없고, 제2조립체에 설치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자석을 제2조립체의 환상 프레임과 보강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하는 방법이 있으며, 또 환상 프레임을 생략하고 슬라이더(56)와 환상 플레이트(10)사이에 자석(22)을 설치하여도 좋다. 그리고, 자석(22)은 플라스틱자석이나, 기타 자석이라도 좋으며 그들 자석에 도금을 해도 좋다. 그리고 기타 방법도 생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기 잠금구는 전체로서 거의 원통 형상이지만, 반드시 원통 형상으로 할 필요는 없고, 전체로서 예를 들어 직사각형으 통형상, 타원, 기타 여러 가지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기타 여러 가지 변경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또, 환상 플레이트(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자성체로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비자성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명백한 바와 같이, 환상 플레이트(10)가 비자성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자석(22)의 자기작용에 의해서는 자석이나 원통 슬리이브(26)에 대하여 고정할 수는 없지만, 이들을 용접, 접착재, 코킹, 나사, 기타 여러 가지 방법으로 고정하면 충분하다. 그리고, 자석에 고정편(14)을 붙이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그리고, 헤드(38)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비자성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비자성체로 형성할 필요는 없고 자성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 제1조립체의 원통 슬리이브(26)는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된 때 수용부재(40)와 환상 프레임(66) 사이의 닫힌 수용공간을 반드시 관통할 필요는 없고 슬라이더(56)의 근방에 도달하면 충분하다. 이 경우에도, 원통 슬리이브(26)로 부터의 자기작용에 의해 슬라이더(56)는 로크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조립체에 환상 돌출부를 설치하면 외관은 손상되지만 가이드(69)에 추가하여 이것을 설치함으로써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사이의 횡차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3에 도시한 제2조립체의 환상 프레임(66)의 원 가장자리, 다시 말하면 흡착면(67)의 측면에 제1조립체와의 조합 방향을 향해 외부로 연출된 ( 돌출하는 ) 환상 돌출부, 즉 연부 형상 가이드를 형성하여,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될 때 이 연부 형상 돌출부에 의해 제1조립체의 원 가장자리 ( 실시예의 예에서 말하자면 커버(30) 또는 커버(30)를 설치하지 않는 때에는 자석(22)의 원 가장자리)를 외부로부터 덮도록 하는 방법으로 그들을 조합함으로써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 사이의 횡방향 차이를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가이드(69)를 설치하는 대신에, 이와 같은 연부 형상 돌출부만을 설치하여,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 사이의 횡 차이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조립체에서 연부 형상 돌출부의 높이, 즉 제2조립체( 실시예의 예에서 말하자면 환상 프레임(66))의 전면과의 직교방향(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 방향)에서 연부 형상 돌출부의 돌출의 높이를, 제1조립체에서의 계지핀(34)의 높이, 즉 직교방향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 방향)에서 제1조립체( 실시예의 예에서 말하자면 커버(30) 또는 커버(30)를 설치하지 않은 때에는 자석(22))의 전면으로부터의 계지핀의 돌출 높이와, 실질적으로 같든가 또는 그것보다 크게 설정하면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되어 있는 사이는 제2조립체의 연부 형상 돌출부에 의해 제1조립체의 위치가 규정되어 있게 되므로, 가이드(69)를 설치하지 않아도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 사이의 횡차이를 방지할 수 있다. 단, 이 연부 형상 돌출부의 높이는 설계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이하, 도6 내지 도8을 참도하여, 이와 같은 연부 형상 돌출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각 도면은 자기 잠금구를 도3과 마찬가지의 중심선 단면도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면중의 부호는 도1 내지 도5에서 표시한 부호가 나타내는 부재과 같든 가 또는 그것에 상당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단, 이들 도6 내지 도8에 위에 설명한 가이드( 도2, 도3 의 (69))는 도시되지 않는다.
도6의 실시예는 제1조립체에 연부 형상 돌출부(33)를, 마찬가지로 제1조립체예 자석(22)을 설치한 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연부 형상 돌출부(33)는 커버(30)에 형성되어 있다.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될 때, 제1조립체의 흡착면(31)의 측면에 설치한 연부 형상 돌출부(33)는 그 내측에 제2조립체의 흡착면(67)을 내포한 상태로 제2조립체의 흡착면(67)의 측면(66a)을 따라서 안내된다. 또,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된 후, 제1조립체의 연부 형상 돌출부(33)는 제2조립체의 흡착면(67)의 측면(66a)의 적어도 일부를 외측으로부터 덮는다. 이 구성에 의해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을 조합할 때 또는 그들을 조합한 후,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 사이의 횡방향 차이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연부 형상 돌출부(33)는 자석 커버(30)를 타발하고 드로잉함으로써 형성된 것으로 하고 있지만, 반드시 그와 같이 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자석커버(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설치하지 않고 자석(22)의 본체에 연부 형상 돌출부(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설치하여도 좋고, 기타의 방법이라도 좋다. 또, 자석(22)은 플라스틱자석이라도 좋으며, 이 플라스틱자석에 도금을 하여도 좋다.
특히, 도6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자석(22)과 연부 형상 돌출부(33)를 같은 조립체에 설치한 경우에는 이들을 같은 조립체에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얻을 수 없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효과를 명백하게 하기 위하여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되지 않은 경우를 상정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특히 자석을 설치한 측의 조립체에 예를 들어 크레디트카드나 전철표와 같은 자기카드를 가까이 한 경우, 통상 이 자기카드는 조립체에 설치한 자석의 자기작용에 의해 파괴되어 버린다. 그러나, 조립체에 연부 형상 돌출부(33)를 설치함으로써 자기 카드가 연부 형상 돌출부(33)와 충돌한 경우에는 그 이상 자석(22)에 접근할 수 없으므로 자기카드의 파괴를 예방 또는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명백한 바와 같이 자기의 작용은 이간거리의 2승에 반비례하여 감소하므로 이와 같은 기리에서도 충분히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7의 실시예는 상기한 바와는 역으로, 제2조립체에 연부 형상 돌출부(75)와 자석(22)을 설치한 예를 도시한다. 단, 이 실시예에서는 도6 과는 달리 커버가 아니라 환상 프레임(66)에 연부 형상 돌출부(75)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도, 자석(22)과 연부 형상 돌출부(75)가 같은 조립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6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자기카드의 파괴를 유효하게 예방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 도6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 실시예에서도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될 때, 제2조립체의 흡착면(67)의 측면에 설치된 연부 형상 돌출부(75)는 그 내측에 제1조립체의 흡착면(11)의 측면(10a)을 따라서 안내되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된 후 제2조립체의 연부 형상 돌출부(75)는 제1조립체의 흡착면(11)의 측면(10a)의 적어도 일부를 외측으로부터 덮는다. 따라서,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될 때 또는 그들이 조합된 후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 사이의 횡방향 차이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시한 예에서는 연부 형상 돌출부(75)는 환상 프레임(66)을 타발 드오잉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반드시 그렇게 할 필요는 없고, 다른 방법으로 그와 같은 연부 형상 돌출부를 설치하여도 좋다. 그리고, 도7중, 참조부호 (13)으로 표시한 부재는 자기갭부재다.
이 도7 의 실시예에서는 연부 형상 돌출부(75)를 설치함으로써 횡방향 차이 방지외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즉,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될 때 이들의 조립체가 다소 벗어난 상태로 접근하여 (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기 잠금구를 핸드백의 본체와 뚜껑에 사용한 경우등에, 이와 같은 상태가 발생하는 수가 많다)제1조립체의 계지핀(34)의 헤드(38)가 환상 프레임(66)의 구멍(71)에 잘 들어가지 않으며, 환상 프레임(66)의 전면( 흡착면(67))과 충돌하는 수가 있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도 본 발명에서는 연부 형상 돌출부(7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조립체의 계지핀(34)의 헤드(38)가 이 연부 형상 돌출부(75)의 내측에 넣어져 있으면 그 후에 조립체들( 핸드백의 본체와 뚜껑들)을 다소 벗어나게 하는 것만으로 쉽게 계지핀(34)의 헤드(38)를 환상 프레임(66)의 구멍(71)에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연부 형상 돌출부(75)에는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을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8의 실시예는 도6의 실시예와 도7의 실시예를 조합한 것에 상당한다. 즉, 제2조립체에 자석(22)을 설치한 예다. 이 경우에는 도6이나 도7과는 달리 자기카드의 파괴를 예방 또는 방지한다는 이점은 없지만,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 사이의 횡방향 차이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도8의 실시예는 도7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연부 형상 돌출부(75)에 의해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조합을 용이하게 하는 이점을 갖는다.
이 도8의 실시예에서는 환상 프레임(66)을 특히 자성체로 형성한 경우, 연부 형상 돌출부(75)를 설치함으로써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흡착력을 보다 높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을 설명하기 위해 도8의 자석(22)의 상측에 N 극, 하측에 S 극이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역으로 배치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측의 N 극으로부터의 자기는 도시한 화살표 나 로 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환상 프레임(66)을 통해 S 극 측으로 유도되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에서는 연부 형상 돌출부(75)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이 N 극 측으로부터 자기는 연부 형상 돌출부(75)의 정상부(75a) 까지 유도되어, 이 정상부(75a)로부터 공기중을 전파하여 외측 하방을 향해 강하하며, 제1조립체의 환상 플레이트(10)를 통과하여 S 극 측에 도달한다. 이와 같이 연부 형상 돌출부(75)를 설치함으로써 N 극측으로부터의 자기의 흐름을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쌍방을 효과적으로 통하는 것으로 할 수 있어, 이들 사이에 보다 강력한 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부 형상 돌출부(75)를 설치함으로써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 사이의 흡착력을 보다 높힐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이 연부 형상 돌출부(75)에는 환상 프레임(66)을 보다 견고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즉, 연부 형상 돌출부(75)를 설치함으로써 환상 프레임(66)의 강도, 특히 비틂에 대한 강도를 높힐 수 있다. 환상 프레임(66)은 비교적 얇은 판으로 제조하고 있으므로, 이 효과는 대단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부 형상 돌출부(75)를 설치하는 것에는 상당한 효과가 존재하며, 다소 미관상 나쁘지만 그것을 보충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도9의 실시예는 도8의 실시예와는 역으로, 연부 형상 돌출부(33a)를 제1조립체에, 또 자석(22)을 제2조립체에 설치한 예다. 이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앞에 열거한 부재와 동일한 또는 그것에 상당한 부재에는 전과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10에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횡방향 차이를 방지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를 도6 내지 도9와 같은 방법으로 도시한다.
도10의 실시예는 제1조립체, 특히 그 원통 슬리이브(26)의 하측에, 환상의 확장 가이드부(27)를 설치한 예다. 확장 가이드부(27)의 외경, 다시 말하면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조합 방향과 직교( 교차) 방향에서 외경은 선단의 계지 헤드(38)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같은 크기이며, 또 원통 슬리이브(26)의 부분의 외경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확장 가이드부(27)에 대응하여, 제2조립체의 구멍의 외경, 특히 그 입구부근에서의 외경은 계지 헤드(38)나 확장 가이드부(27)의 외경보다도 실질적으로 약간 크게 되어 있다.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될 때 또는 그들이 조합된 후, 제1조립체의 확장 가이드부(27)는 제2조립체의 구멍의 입구부근에 끼여져 그들 조립체 사이의 횡차이를 유효하게 방지한다. 그리고, 원통 슬리이브(26)의 하측의 외경은 계지핀(34)의 외경과 반드시 실질적으로 같을 필요는 없고, 계지 헤드(38)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되면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특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원통 슬리이브(26)를 원추형상으로 하고 그 가장 큰 저면의 외경을 계지 헤드(38)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같게 하든가 또는 그것보다 크게 설정한 경우에도 위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확장 가이드부(27)는 반드시 환상으로 할 필요는 없고, 직사각형, 봉형상 기타 어느 형상이라도 좋다.
최후로, 도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슬라이더(56)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1에 도시한 슬라이더(56a)와,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슬라이더(56)는 그 레버 부분(60a)이 형상만이 다르며, 기타 부분의 형상은 전부 같다. 다시 말하면, 이 실시예의 슬라이더(56a)의 레버 부분(60a)에는 손잡이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대신 연장부재(86)를 취부하기 위한 구멍(87)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56a)에 연장부재(86)를 취부함으로써 슬라이더(56a)의 레버 부분(60a)을 실질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연장부재(86)는 예를 들면 조립체, 특히 제2조립체가 핸드백등의 본체와 뚜껑의 간격으로서 뚜껑(3)의 연부(7)보다 깊은 위치에 취부되어 있는 경우에 필요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로크의 해제는 이들 본체와 뚜껑의 간격에 손가락을 넣어 제2조립체의 레버 부분을 누름으로써 행해지지만, 제2조립체의 위치가 너무 깊으면 해제가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연장부재(86)는 2매의 판금, 즉 내판(88)과 외판(89)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판금은 얇은 금속판을 타발, 드로잉, 절곡 등 함으로써 각각 형성되며, 그후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고정된다. 이들 사이의 고정은 내판(88)의 중심구멍(93)에 외판의 내측을 향하는 돌출부(94)를 관통시키고 거기서 코킹한다. 기타 납땜, 스폿용접, 또는 기타 방법을 사용하여도 물론 좋다. 그리고, 외판의 선단부는 내측을 향해 다소 원호형상(95)으로 절단되어 있지만, 이것은 디자인상 환상 프레임(66)의 외주에 맞춘 것으로서 가타의 형상이라도 좋다.
특히, 슬라이더(56a)와의 접속부에 닿는 선단부 부근에 착목하여도 좋다. 이 부분에서는 슬라이더(56a)의 레버 부분(60a)을 받아넣기 위한 개구(90)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90)의 크기는 슬라이더(56a)의 레버 부분을 받아넣기에 충분한 크기다. 슬라이더(56a)는 이 개구(90)에 레버 부분(60a)을 눌러 넣음으로써 거기에 취부되며, 이 개구(90)로부터 레버 부분(60a)을 당겨 빼어냄으로서 거기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단, 일단 취부된 후는 거기로부터 제거할 수 없게 하여도 좋다.
개구(90)의 일부를 형성하는 내판(88)의 선단 중앙 부근에 외부로부터의 압박에 의해 형성된 돌기가 내측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 단, 도면에서는 돌기가 아니라 요부(91)로 나타나 있다). 슬라이더(56a)에 연장부재(86)를 취부할 때 이 돌기(91)는 슬라이더(56a)의 대칭부분에 형성된 구멍(87)과 계합한다.
돌기(91)를 형성한 내판(88)의 선단 중심부분은 양측에 절입부(92)를 형성함으로써 탄성 변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변위작용에 의해 내판(88)의 돌기(91)는 슬라이더(56a)의 구멍(87)에 소정의 힘으로 취부됨과 함께 거기로부터 자유롭게 떼어내어질 수 있다. 연장부재(86)의 착탈작용을 보다 유효하게 발휘시키기 위해 특히 내판(88)은 인청동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철 기타의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의 비금속을 사용할 수도 있다. 외판(89)의 재질도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강도를 고려하면 내판(88),외판(89) 모두 금속 ( 황동이나 철 및 기타)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여러 가지의 실시예의 조합을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지만 본원은 물론 그것들의 구성도 표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체의 강도가 강화되며, 또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 사이의 차이를 방지할 수 있는 자기 잠금구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자석위에서 계지재를 원활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 제공된다.

Claims (14)

  1. 서로에 대하여 잠겨져야 할 1조의 부재중 1방의 부재에 취부되는 제1조립체와, 타방의 부재에 취부되는 제2조립체로 구성되는 자기 잠금구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는 어느 1방의 조립체에 설치된 자석의 작용에 의해 그들의 흡착면에서 서로 흡착되어 조합되는 것이며, 상기 제1조립체는 자신의 흡착면으로부터 상기 제2조립체와의 조합방향을 향해 외부로 돌출된 계지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2조립체는 자신의 흡착면으로부터 상기 제1조립체와의 조합 방향과는 역방향을 향해 제2조립체의 내부로 연출된 가이드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될 때 상기 계지수단은 상기 가이드 수단의 내부를 안내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조립체는 또한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된 때 상기 계지수단에 대한 로크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조합을 로크하는 대응 계지수단과, 이 로크를 해제하는 해제수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잠금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립체의 계지수단은 자기를 띄며, 상기 제2조립체의 대응 계지수단은 자성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된 때 상기 제2조립체의 대응 계지수단은 상기 제1조립체의 계지수단에 대한 로크위치로 상기 자기의 작용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조합을 로크하는 자기 잠금구.
  3. 제 1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립체의 가이드 수단의 일부에 상기 대응 계지수단을 상기 제1조립체의 계지수단에 흡착시키기 위한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자기 잠금구.
  4. 제 1 내지 3 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자성체로 형성되어 있는 자기 잠금구.
  5. 제 1 내지 4 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조립체는 또한 상기 흡착면을 1방의 면에 갖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1방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과의 사이에 상기 대응 계지수단을 수용하는 수용부재와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프레임에만 설치된 가이드 수단에 의해, 또는 상기 수용부재에만 설치된 가이드 수단에 의해, 또는 상기 프레임의 가이드수단과 상기 수용부재의 가이드 수단과를 조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자기 잠금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박판의 타발, 절곡, 드로잉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자기 잠금구.
  7. 제 5 또는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1방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보강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수용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대응 계지수단을 위치시키는 자기 잠금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에 상기 가이드 수단의 주위를 덮어 상기 가이드 수단을 보강하는 보강 가이드 수단을 설치하고 있는 자기 잠금구.
  9. 서로에 대하여 잠겨져야 할 1조의 부재중 1방의 부재에 취부되는 제1조립체와, 타방의 부재에 취부되는 제2조립체로 구성되는 자기 잠금구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는 어느 1방의 조립체에 설치된 자석의 작용에 의해 그들의 흡착면에서 서로 흡착되어 조합되는 것이며, 상기 제1조립체는 자신의 흡착면으로부터 상기 제2조립체와의 조합방향을 향해 계지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2조립체는 자신의 흡착면에 구멍을 가지며, 또한 상기 제1조립체 또는 제2조립체의 어느 1방의 흡착면의 측면에,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된 때 타방의 조립체의 흡착면의 측면의 적어도 1부를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상기 조합 방향을 향해 외부로 연출된 연부 형상 가이드 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될 때 상기 제1조립체의 계지수단은 상기 제2조립체의 구멍으로 안내되며, 상기 제1조립체 또는 제2조립체의 어느 1방에 설치된 연부 형상 가이드수단은 타방의 조립체의 흡착면의 측면을 따라서 안내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조립체는 또한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된 때 상기 제1조립체의 계지수단에 대한 로크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조합을 로크하는 대응 계지수단과, 이 로크를 해제하는 해제수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잠금구.
  10. 서로에 대하여 잠겨져야 할 1조의 부재중 1방의 부재에 취부되는 제1조립체와, 타방의 부재에 취부되는 제2조립체로 구성되는 자기 잠금구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는 어느 1방의 조립체에 설치된 자석의 작용에 의해 그들의 흡착면에서 서로 흡착되어 조합되는 것이며, 상기 제1조립체는 자신의 흡착면으로부터 상기 제2조립체와의 조합방향을 향해 계지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2조립체와의 조합방향에서 상기 계지수단의 후단측의 상기 조합방향과의 교차방향에서 외경이, 상기 계지수단의 선단측의 상기 조합방향과의 교차방향에서 가장 큰 외경과, 실질적으로 같든가 또는 그것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2조립체는 자신의 흡착면에 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될 때 상기 제1조립체의 계지수단은 상기 제2조립체의 구멍을 따라 안내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2조립체는 또한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된 때 상기 제1조립체의 계지수단에 대한 로크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조합을 로크하는 대응 계지수단과, 이 로크를 해제하는 해제수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잠금구.
  11. 제 9 또는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립체의 구멍에 상기 제2조립체의 흡착면으로부터 상기 제1조립체와의 조합방향과는 역방향을 향해 적어도 상기 조합방향에서 상기 계지수단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같은 길이까지 제2조립체의 내부로 연출된 가이드 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될 때 상기 계지수단이 상기 가이드 수단의 내부를 안내하도록 되어 있는 자기 잠금구.
  12. 서로에 대하여 잠겨져야 할 1조의 부재중 1방의 부재에 취부되는 제1조립체와, 타방의 부재에 취부되는 제2조립체로 구성되는 자기 잠금구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립체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설치된 계지부와를 적어도 구비하며, 상기 제2조립체는 상기 계지부에 대한 로크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자성체로 되는 계지재와, 상기 계지재에 작용하여 상기 로크위치로부터 로크해제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해제수단과를 적어도 구비하며, 또한 상기 제1조립체 또는 제2조립체의 어느 1방에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가 조합된 때 상기 고정판과 상기 계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자석과, 이 자석과 상기 계지재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자기갭이 설치되고, 상기 계지재는 상기 자석의 작용에 의해 상기 계지부에 대한 로크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잠금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갭이 비자성재 또는 비자성재로 되는 도금으로 형성되어 있는 자기 잠금구.
  14. 제 12 또는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을 설치하지 않고 상기 자석을 제1조립체에 설치하고 그 자석에 상기 계지부를 설치하고 있는 자기 잠금구.
KR10-2000-0046485A 1999-09-03 2000-08-11 자기 잠금구 KR1004060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999-250400 1999-09-03
JP25040099 1999-09-03
JP2000021099 2000-01-31
JP10-2000-21099 2000-01-31
JP2000185786A JP3548503B2 (ja) 1999-09-03 2000-06-21 磁気止め具
JP10-2000-185786 2000-06-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079A true KR20010030079A (ko) 2001-04-16
KR100406013B1 KR100406013B1 (ko) 2003-11-19

Family

ID=27333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485A KR100406013B1 (ko) 1999-09-03 2000-08-11 자기 잠금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080655A3 (ko)
JP (1) JP3548503B2 (ko)
KR (1) KR100406013B1 (ko)
CN (1) CN1171550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7093A (ko) * 2016-07-12 2018-01-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드론용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94381B1 (en) * 2003-01-07 2017-09-27 Disney Enterprises, Inc. Watch strap
DE102004015873B4 (de) * 2004-03-31 2007-03-22 Joachim Fiedler Lösbare Magnethalterung
RU2415623C2 (ru) 2006-07-12 2011-04-10 Фидлок Гмбх Магнитно-механическая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US8359716B2 (en) * 2008-02-21 2013-01-29 Fidlock Gmbh Magnetomechanical connection assembly with load securing
CN102053625B (zh) * 2010-12-30 2012-06-20 厦门大学 一种用于曲面上的运动滑块控制方法
CN104470303B (zh) * 2013-09-17 2017-05-24 宏碁股份有限公司 以磁力结合的电子装置
CN105671880A (zh) * 2016-03-20 2016-06-15 许月进 卫生隔离式洗衣机机门锁扣装置
CN108006025B (zh) * 2018-01-08 2023-06-13 重庆公共运输职业学院 一种适合在垂直金属板上使用的磁性定位块及其使用方法
CN108934945A (zh) * 2018-06-25 2018-12-07 安徽徽王农业有限公司 一种蓝莓生长用定点定向的单元灌溉装置
DE202020100438U1 (de) * 2020-01-28 2021-04-29 Sudhaus Gmbh Schloss und Behälter mit einem solchen Schlos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9710B2 (ko) * 1974-02-15 1980-10-13
JPH03260409A (ja) * 1990-03-08 1991-11-20 Taamo:Kk 係合具
JPH0415001A (ja) * 1990-05-09 1992-01-20 Taamo:Kk 止具
JPH0416684A (ja) * 1990-05-09 1992-01-21 Taamo:Kk 止具
US5868445A (en) * 1995-11-02 1999-02-09 Kaufman; Eli Magnetic slide lock assembly
JP2944643B1 (ja) * 1998-07-09 1999-09-06 有限会社ターモ 磁気止め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7093A (ko) * 2016-07-12 2018-01-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드론용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1550C (zh) 2004-10-20
KR100406013B1 (ko) 2003-11-19
EP1080655A3 (en) 2002-10-16
JP2001286321A (ja) 2001-10-16
CN1286951A (zh) 2001-03-14
JP3548503B2 (ja) 2004-07-28
EP1080655A2 (en) 2001-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8521B2 (en) Magnetic fixing unit
JP2944643B1 (ja) 磁気止め具
KR100406013B1 (ko) 자기 잠금구
US5473799A (en) Magnetic closure device
EP0590206A1 (en) Fastener
CN111712156B (zh) 止件及包含该止件的拉链
US5865482A (en) Magnetic lock device
JP3055446U (ja) 磁石付止め具
JPH0638818A (ja) 留め具
JP2005230358A (ja) 係止機構付き留め具
JPH04185880A (ja) 開閉具
JPH09264306A (ja) 留め具における吸着具及び留め具における吸着具の組み付け構造
US5618071A (en) Construction for securing an attachment device of a magnetic lock device in a predetermined orientation
JPH0559861A (ja) 止 具
JP2515684Y2 (ja) マグネット式止め具
JPH0314983B2 (ko)
JPS59119804A (ja) 係合具
JPH0373103A (ja) 係合具
JPH038772Y2 (ko)
CN116634900A (zh) 磁扣
JPH01101934A (ja) カーテンの縁止具
JP2580428Y2 (ja) 磁気掛止具
JP2826758B2 (ja) 係合具
JPH0684633A (ja) 磁気掛止具
JPH07194425A (ja) 留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