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3072A - 요오드프로피닐 화합물과 포름알데히드 도너의 안정화된 혼합물 - Google Patents

요오드프로피닐 화합물과 포름알데히드 도너의 안정화된 혼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3072A
KR20010023072A KR1020007001691A KR20007001691A KR20010023072A KR 20010023072 A KR20010023072 A KR 20010023072A KR 1020007001691 A KR1020007001691 A KR 1020007001691A KR 20007001691 A KR20007001691 A KR 20007001691A KR 20010023072 A KR20010023072 A KR 20010023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thylhydantoin
iodine
stabilizer
hydantoin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1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7171B1 (ko
Inventor
패트릭제이. 루츠
수잔알콘 밴
토마스이. 파리나
Original Assignee
도볼 존
론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볼 존, 론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도볼 존
Publication of KR20010023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3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7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71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10Carbamic acid derivatives, i.e. containing the group —O—CO—N<; Thio analogues thereof
    • A01N47/12Carbamic acid derivatives, i.e. containing the group —O—CO—N<; Thio analogues thereof containing a —O—CO—N< group, or a thio analogue thereof, neither directly attached to a ring nor the nitrogen atom being a member of a heterocyclic r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디알칸올치환 DMH, 요오드프로피닐 화합물, 히단토인, 우레아 또는 그 유도체의 안정제, 및 히드록실 용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광역항균스펙트럼 방부특성을 가지는 매우 안정한 액체제제. 바람직하게는 그 구성요소는 디메틸올디메틸히단토인, 3-요오드-2-프로피닐부틸 카바메이트, 디메틸히단토인, 및 글리콜 용매이다. 방부제는 바람직하게는 총포름알데히드함량이 5%이고 유리 포름알데히드함량이 0.2%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물은 디알칸올치환 디메틸히단토인과 안정제, 히드록실용매, 및 요오드프로피닐 화합물을 연속적으로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또한 안정제로서 디메틸히단토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 안정화된 요오드프로피닐 화합물도 기재된다.

Description

요오드프로피닐 화합물과 포름알데히드 도너의 안정화된 혼합물{Stabilized mixtures of an iodopropynyl compound and a formaldehyde donor}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방부제 조성물에 대한 필요성은 잘 알려져 있다. 미생물의 성장을 저해하는 것이 필요한 분야, 예를 들면 샴푸, 크림, 로션, 화장품, 비누와 같은 신체관리용품과 세탁용 세제, 청소용 세제, 및 섬유유연제와 같은 가정용품에서 매우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들의 저장수명은 미생물에 의한 부패에 대한 그들의 저항성에 달려있다.
또한 많은 산업적 응용분야에서, 항균제는 페인트, 나무, 직물, 접착제, 방수제, 가죽, 로프, 종이 펄프, 플라스틱, 연료, 오일, 및 고무와 금속작동유체에서 유용하다. 펄프와 종이제조기 및 냉각탑에서 박테리아와 진균류의 점액생성을 제어하는 것은 상당한 상업적 중요성이 있는 문제이다.
상기 응용분야에 대해서, 안정한 광역항균스펙트럼 방부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여 왔다. 최근 수년동안, 이러한 요구는 고체제제로 충족되어 왔다. 예를 들면, 포름알데히드 도너(formaldehyde donor){예를 들면, 디메틸올디메틸히단토인(dimethyloldimethylhydantoin, 이하 "DMDMH"라 함)}와 할로프로피닐 화합물(halopropynyl compound){예를 들면, 3-요오드-2-프로피닐부틸 카바메이트(3-iodo-2-propynylbutyl carbamate, 이하 "IPBC"라 함}의 조합은 상당한 상업적 성공을 얻었다. 그러한 상승적인 조합이 미합중국특허 제4,844,891호에 개시되어 있다.
게다가 정부의 규제요구 때문에, 낮은 유리 포름알데히드 제품이 요구된다. 이 분야에서의 연구도 유익하다는 것이 알려져 왔다. 예를 들어 DMDMH의 경우, 제제와 가공성을 개선한 결과로, 0.1% 이하의 유리 포름알데히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얻어졌다(미합중국특허 제5,405,862호 참조). 이와 반대로 DMDMH의 더 이전 제제는 1% 이상의 유리 포름알데히드를 포함하였다(미합중국특허 제3,987,184호 참조).
현재, 상기 기준을 충족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산업계에서는 자동 액체균일혼합 시스템의 사용이 보다 대중화됨에 따라 액체형태의 방부제를 요구하고 있다. 불행히도 액체형태이고, 매우 안정하며, 광역항균스펙트럼을 가지고, 유리 포름알데히드가 낮은 방부제는 발견되지 않았다.
[발명의 요약]
알칸올치환 디메틸히단토인(alkanol-substituted dimethylhydantoins), 요오드프로피닐 화합물(iodopropynyl compound), 안정제 및 용매를 혼합하여 매우 안정한 액체제제인 광역항균스펙트럼 방부제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요오드프로피닐 화합물이 디메틸히단토인과 같은 히단토인형 안정제를 첨가함으로써 고온에서 안정화될 수 있다는 것을 예기치 않게 발견한 것에 일부 근거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저온에서 대단히 우수한 물리적 안정성과 매우 농축된 혼합물을 쉽게 만들 수 있는 증진된 용해성을 가진다. 자동 액체혼합시스템에서 유용한 그러한 매우 농축된 방부제는 지금까지는 제조될 수 없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액체제제와 DMDMH 및 IPBC의 고체제제의 8가지 박테리아에 대한 48시간 최소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시험을 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액체제제와 DMDMH 및 IPBC의 고체제제의 4가지 진균류에 대한 72시간 최소저해농도시험을 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광범위한 중량% 바람직한 중량%
디알칸올치환 DMH(Dialkanol-substituted DMH) 20-95 75-85
요오드프로피닐 화합물 0.2-20 1-5
안정제 1-30 5-20
히드록실 용매(hydroxyl Solvent) 0-60 2-20
안정제와 요오드프로피닐 화합물의 비는 넓게는 약 150:1 내지 0.05:1, 바람직하게는 20:1 내지 1:1,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1 내지 2:1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알칸올치환 DMH 화합물은 공지이고 전체 내용이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삽입된 미합중국특허 제3,987,184호와 제4,172,140호에 규정된 화합물들을 포함한다. 이들은 5,5-디메틸히단토인과 1, 2, 또는 그 이상 몰의 포름알데히드와의 농축산물{예를 들면, 1,3-디메틸올-5,5-디메틸히단토인(1,3-dimethylol-5,5-dimethylhydantoin), 1-메틸올-5,5-디메틸히단토인(1-methylol-5,5-dimethylhydantoin), 또는 3-메틸올-5,5-디메틸히단토인(3-methylol-5,5-dimethylhydantoin), 1-메틸올-3-메틸올옥시메틸렌-5,5-디메틸히단토인(1-methyloloxymethylene-5,5-dimethylhydantoin) 및 1,3-디메틸올옥시메틸렌-5,5-디메틸히단토인(1,3-dimethyloloxymethylene-5,5-dimethylhydantoin), 및 그들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요오드프로피닐 화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들의 예는 살균활성이 있는 요오드프로피닐 유도체(iodopropynyl derivatives)이다. 이들에는 에스테르(esters), 에테르(ethers), 아세탈(acetals), 카바메이트(carbamates)와 카보네이트(carbonates)와 같은 프로피닐(propynyl) 또는 요오드프로피닐(iodopropynyl) 알콜에서 유도된 화합물과 피리미딘(pyrimidines), 트리아졸리논(triazolinones), 테트라졸(tetrazoles), 트리아지논(triazinones), 설파미드(sulfamides), 벤조티아졸(benzothiazoles), 암모늄염(ammonium salts), 카복사미드(carboxamides), 히드록사메이트(hydroxamates) 및 우레아(ureas)의 요오드프로피닐 유도체가 포함된다. 이러한 화합물들 중 바람직한 것은 3-요오드-2-프로피닐부틸 카바메이트(3-iodo-2-propynylbutyl carbamate, IPBC)이다. 이 화합물들은 하기 화학식 1과 2에서와 같은 일반식을 가지는 널리 유용한 종에 포함된다.
상기 식에서 R은 1 내지 20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알킬(alkyl), 아릴(aryl), 및 알킬아릴(alkylaryl)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고;
m과 n은 1 내지 3의 독립된 정수이다.
상기 식에서 R1과 R2는 하기 R3와 R4로 정의되거나 시클로알킬(cycloalkyl), 시클로알케닐(cycloalkenyl), 방향성(aromatic) 또는 산소, 질소 또는 황원자를 포함하는 헤테로시클릭(heterocyclic) 링 또는 그들의 알콕시(alkoxy), 아미노(amino), 카보닐(carbonyl), 카르복실(carboxyl), 할로(halo), 히드록실(hydroxyl), 케토(keto) 또는 티오카르복실(thiocarboxyl)-치환 유도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결합되고;
R3, R4및 R5는 (A)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알케닐, 시클로알케닐, 아릴, 산소, 질소 또는 황원자, 알콕시, 아미노, 카보닐, 카르복실, 할로, 히드록실, 케토 또는 티오카르복실을 포함하는 헤테로시클릭 링 및 (B)알킬, 시클로알킬, 알케닐, 시클로알케닐, 아릴, 알콕시, 아미노, 카르복실, 할로, 히드록실, 케토 또는 티오카르복실로 치환된 알킬, 시클로알킬, 알케닐, 시클로알케닐, 아릴 및 헤테로시클릭 링의 치환된 유도체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a는 0 내지 16이다.
W는 단일결합, 산소, NR6, 또는 (CR7R8)m일 수 있고, R6는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알케닐, 시클로알케닐, 아릴, 또는 산소, 질소 또는 황원자를 함유하는 헤테로시클릭 링, 또는 알킬, 시클로알킬, 알케닐, 시클로알케닐, 아릴, 알콕시, 아미노, 카보닐, 카르복실, 할로, 히드록실, 케토, 또는 티오카르복실로 치환된 알킬, 시클로알킬, 알케닐, 시클로알케닐 또는 아릴그룹의 치환된 유도체이며, R6, R7및 R8은 상기 R3와 R4로 정의되고, m은 1 내지 12의 정수이다. 상기 정의 R6는 특히 아미노알킬그룹을 포함한다.
상기 정의에서 언급된 헤테로시클릭 링은 5 내지 8개의 원소를 포함할 수 있고, 1 내지 18개 원자의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 그룹, 2 내지 18개 탄소원자의 알케닐 또는 시클로알케닐그룹, 그리고 6 내지 10개 원소의 아릴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에서, R1과 R2는 수소이고, R3와 R4는 카보닐이며, R5는 -CH=CH-CO2H이고; a는 0이며; W가 산소일 때, 그 화합물은 요오드프로피닐 말레이트(iodopropynyl malate)이다.
다른 화합물로는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이무수물(ethylenediamine tetraacetic dianhydride), 3,3-디메틸글루타르산 무수물(3,3-dimethylglutaric anhydride), S-아세틸멜캡토숙신산 무수물(S-acetylmercaptosuccinic anhydride), 디클로로말레산 무수물(dicloromaleic anhydride), 2-도데센-1-일 숙신산 무수물(2-dodecen-1-yl succinic anhydride) 및 시스-5-노보넨-엔도-2,3-디카르복실산 무수물(cis-5-norbornene-endo-2,3-dicarboxylic anhydride)과 같은 무수물(anhydride)뿐만 아니라 숙신산 및 프탈산과 같은 무수물의 모노-요오드프로피닐 에스테르도 포함된다. 친수성이 요구되면, 물에 대한 용해도가 극히 높은 나트륨염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카르복실산 무수물에는 숙신산, 이타콘산(itoconic), 프탈산(phthalic), 테트라클로로프탈산(tetrachlorophthalic) 및 디글리콜산(diglycolic) 무수물이 포함된다. 그러한 화합물들은 미합중국특허 제4,844,891호와 제5,073,570호에 규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안정제는 히단토인과 우레아 및 그 유도체이고, 가장 바람직한 것은 5,5-디메틸히단토인이다.
히단토인과 그 유도체는 화학식 3, 4 및 5로 나타내 질 수 있다:
상기 식에서 R1내지 R4는 H, C1내지 C22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N,N"-메틸렌비스[N'-2,5-디옥소-4-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N,N"-methylenebis[N'-2,5-dioxo-4-imidazolidinyl]urea} 및 그 유도체:
상기 식에서 R1내지 R5는 H, 또는 C1내지 C22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2,5-디옥소-4-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5-우레이도히단토인) {2,5-dioxo-4-imidazolidinyl urea (5-ureidohydantoin)}과 그 유도체:
상기 식에서 R1내지 R7은 H, CH3, C2H5또는 C3H7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우레아와 그 유도체는 화학식 6으로 나타내진다.
상기 식에서 R1내지 R4는 H, C1내지 C12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R그룹이 모두 H라면, 그 화합물은 우레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용매에는 모노-, 디-, 및 폴리히드록실 알콜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약 1 내지 5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모노히드록실 알콜,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탄올과 프로판올이 사용될 수 있다.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과 부틸렌 글리콜(bytlene glycol)과 같은 C2내지 C8디올과 같은 디히드록실 알콜(즉, 글리콜)이 유리하다. 1,3-부틸렌 글리콜이 특히 바람직하다.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화합물에는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 디글리세린(diglycerin), PPG-9, PPG-2-부테트-2(PPG-2-buteth-2), 부톡시프로판올(butoxypropanol), 부톡시디글리콜(butoxy야glycol), PPG-2 부틸 에테르, 글리세레트-7(glycereth-7), 소르비톨(sorbitol), 이소펜틸디올(isopentyldiol),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myristyl myristate), 및 페녹시 에탄올(phenoxy ethanol)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방부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공정에 따라 쉽게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공정은 먼저 30℃ 내지 50℃ 범위의 온도에서 안정제를 디알칸올치환 디메틸히단토인과 혼합하는 것이다. 이 혼합물을 30℃에서 5분간 교반한다. 용해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50℃까지 가열할 수도 있다. 그 다음에 히드록실릭 용매를 첨가하고 전체 혼합물을 5분 이상 교반한다. 마지막으로 요오드프로피닐 화합물을 첨가하고 다시 15분간 혼합하여 균일한 용액을 형성한다. 전체 혼합시간은 약 30분이다.
본 발명의 액체 방부제 조성물은 1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이하의 유리 포름알데히드농도를 가진다. 총 포름알데히드 농도는 5중량% 내지 25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12중량% 내지 14중량%이다.
본 발명의 방부제는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활성화합물로 사용될 수 있고, 특히 화장품, 신체관리용품, 가정용품, 및 접착제, 옷감용 풀, 종이와 마분지, 직물, 가죽, 나무, 페인트 및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물품, 냉각 윤활제와 같은 산업물질 및 미생물에 의해 공격당하거나 부패될 수 있는 다른 물질들의 보존을 위한 활성화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미생물의 증식에 의해 손상될 수 있는, 예를 들면 냉각수와 같은 생산공장의 구성요소도 유익하게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수영장 및 온천과 같은 다른 물을 함유한 시스템도 본 발명의 방부제를 사용함으로써 보존될 수 있다. 게다가, 집, 공공시설 및 병원에 설치된 바와 같은 표면의 소독 및 살균에 의해 미생물을 억제하고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산업환경과 물질에서의 오염, 분해, 또는 변화를 초래할 수 있는 미생물들의 예로는 박테리아, 진균류(fungi), 효모(yeast), 조류(algae) 및 점액생물체(slime organisms)가 있다. 본 발명의 활성화합물은 진균류, 특히 곰팡이균, 나무를 퇴색시키고 파괴하는 진균류{바시디오마이세테스(Basidiomycetes)}, 및 점액생물체 및 조류에 대해 작용한다.
다음 속의 미생물들은 그 예이다: 알터나리아 테누이스(Alternaria tenuis)와 같은 알터나리아(Alternaria),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와 같은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 케토뮴 글로보슘(Chaetomium globosum)과 같은 케토뮴(Chaetomium),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와 같은 칸디다(Candida), 렌티누스 티그리누스(Lentinus tigrinus)와 같은 렌티누스(Lentinus), 페니실리움 글라우쿰(Penicillium glaucum)과 같은 페니실리움(Penicillium), 트리코피톤 멘타글로피테스(Trichophyton mentagrophytes)와 같은 트리코피톤(Trichophyton), 아우레오바시듐 풀루란스(Aureobasidium pullulans)와 같은 아우레오바시듐(Aureobasidium), 엔테로박터 거고비애(Enterobacter gergoviae)와 같은 엔테로박터(Enterobacter), 트리코더마 비리드(Trichoderma viride)와 같은 트리코더마(Trichoderma), 에스케리챠 콜리(Escherichia coli)와 같은 에스케리챠(Escherichia), 슈도모나스 에어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와 슈도모나스 세파시아(Pseudomonas cepacia)와 같은 슈도모나스(Pseudomonas), 및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와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다스(Staphylococcus epidermidas)와 같은 스타필로코커스(Staphylococcus).
본 발명에 따른 활성화합물의 사용농도는 제거되는 미생물의 특성 및 발생빈도와, 보존되는 물질의 조성에 의존한다. 적용되는 최적양은 일련의 시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사용농도는 일반적으로 보존될 물질에 대하여 0.00005(0.5ppm)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중량%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액체조성물은 희석하지 않고 제조된 대로 바로 사용된다. 생산의 어느 시점에서 생산물을 소량의 용기(1 내지 수천파운드)에 부을 수 있다. 또한 액체조성물은 계량기에서 중간크기의 용기(수천 내지 수만파운드)로 퍼올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부제는 최종포장기에 채우는 것과 거의 동일한 속도로 최종산물의 모든 구성요소를 지속적으로 혼합하도록 맞춤디자인된 시스템에서 저장탱크로부터 대형생산량(수만 내지 수백만파운드)으로 연속적으로 계량될 수 있다. 연속혼합기의 혼합요소들은 대부분 나선 또는 나사의 형태를 가져서, 회전에 의해 생산조성물의 혼합과 수송을 효과적으로 한다.
조업개시가 매우 노동집약적이기 때문에, 모든 계량기구가 적절하게 측정한다는 것을 보증하기 위하여, 이러한 시스템들은 매우 대용량, 장시간 및 연속생산조업에서만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다음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글리단트 II(Glydant II, 론자사의 상표) 81중량부, 디메틸히단토인 12중량부, 부틸렌 글리콜 4.5중량부 및 요오드프로피닐 부틸 카바메이트 2.5중량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방부제를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글리단트 II는 65% DMDMH, 30% MMDMH, 및 5% DMH를 포함한다. 총포름알데히트함량은 17%이다.
처음에는 DMH와 글리단트 II를 30℃에서 혼합한다. 온도가 50℃까지 증가하는 동안인 5분간 계속 혼합한다. 그 다음에 부틸렌 글리콜을 첨가하고 10분간 계속 교반한다. 마지막으로 IPBC를 첨가하고 15분간 다른 구성성분들과 혼합하여 최종용액을 형성한다.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면, 맑고 균일한 액체용액이 얻어진다. 그 용액은 14중량%의 총포름알데히드함량, 0.05중량%의 유리 포름알데히드함량, 및 2.3중량%의 IPBC함량을 가진다. 50℃에서 1달 동안 보관하면, 혼합물은 총포름알데히드함량의 92%가 회수되고 IPBC함량이 >99% 회수된 맑은 무색의 액체로 남는다.
이 용액은 햇빛이 쬐는 실온에서 2개월 보관한 후에도 맑고 무색으로 남아 있다. 총포름알데히드와 IPBC의 양적으로 상당히 회수된다. 유리 포름알데히드함량은 0.06%이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액체방부제의 자동화된 액체혼합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적합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실시예 1에 기재된 제제의 점도와 비중을 측정한다. 점도는 브룩필드 모델(Brookfield Model) RVT 점도계 3번축을 사용하여 50rpm에서 측정한다. 다음 결과가 얻어진다.
온도 비중 점도(cps)
5℃ 120
15℃ 1.2043 -
25℃ 1.1992 40
30℃ 1.1960 -
35℃ 1.1954 -
45℃ 30
65℃ 1.1625 20
85℃ 1.1500 10
본 발명의 액체방부제에 대한 표 1에 나타낸 점도값과 비중치는 자동화된 혼합시스템에 사용되는 액체의 전형이다. 이러한 이상적인 매개변수는 적용된 개개의 시스템에 의존한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기재된 액체방부제의 활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8가지 박테리아에 대하여 48시간 최소저해농도시험을 행하였다. 이 시험에서 100% 활성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액체방부제를 고체방부제와 비교했다. 고체방부제의 조성은 95% DMDMH와 5% IPBC였다.
상기 시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도 1에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액체제제에서 얻어진 결과는, 고체제제와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어떤 경우에는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ii),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 epidermidis) 및 에스케리챠 콜리(E. coli)의 경우에서와 같이 액체제제가 우수하다. 이 데이터는 본 발명의 액체제제가 넓은 범위의 박테리아에 대해 광역항균스펙트럼을 가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기재된 액체방부제와 실시예 2에 규정된 고체방부제에 대하여 4가지 진균에 대한 최소저해농도시험(72시간)을 행하였다. 100% 활성을 기초로 하여 비교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액체방부제가 행해진 모든 시험에서 고체방부제만큼 효과가 있고 이 물질들이 다양한 진균에 대하여 광역항균스펙트럼을 가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5)
디메틸히단토인이 없는 조성물과 비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용해도, 유리 포름알데히드농도, 및 물리적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일련의 제제를 제조하였다. 그 제제들은 표 2에 나타내었다.
액체글리단트 플러스 비교챠트
성분(%) A5503-84-1 B5503-84-2 C5503-90-1 D5503-111-1 E5503-111-2 F5503-115-1 G5503-115-2
IPBC(폴리P-100) 2.50 2.50 2.50 2.50 2.50 2.50 2.50
글리단트 II 74.70 72.85 74.70 81.00 81.00 81.00 81.00
프로필렌글리콜 22.80 12.80 4.50 16.50 4.50
부틸렌글리콜 24.65 4.50
DMH 10.00 12.00 12.00
증류수 12.00
용해도 OK OK OK OK OK 나쁜 침전
물리적용해도 3차 동결/해동 후 침전 3차 동결/해동 후 OK 3차 동결/해동 후 OK 3차 동결/해동 후 OK 3차 동결/해동 후 OK 3차 동결/해동 후 침전
% 유리HCHO- 초기 0.20 0.24 0.07 0.03 0.05 0.17
% 유리HCHO-1개월@40℃ 0.19 0.19 0.19 0.02 0.03
% 유리HCHO-2개월@40℃ 0.21 0.25 0.06
% 유리HCHO-1개월@50℃ 0.24 0.23 0.11 0.05 0.05
코멘트 불안정,너무 높은%유리HCHO 안정,그러나너무 높은%유리HCHO 안정,우수한 %유리HCHO,그러나 그리 충분하지 않은%총HCHO 안정,낮은 %유리HCHO,우수한 %총HCHO 안정,낮은 %유리HCHO,우수한 %총HCHO,부틸렌 글리콜과 조화 불안정,너무 높은%유리HCHO 불용성
상기 데이터는 본 발명의 액체조성물, 즉, 제제 90-1, 111-1, 및 111-2가, DMH가 없는 제제, 즉 제제 84-1, 84-2, 115-1, 및 115-2와 비교할 때, 높은 용해도, 우수한 물리적 안정성, 및 매우 낮은 유리 포름알데히드를 가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제제 111-1 및 111-2는 총포름알데히드 농도가 더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실시예 5)
표 3에 나타낸 제제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액체방부제를 시험하여 40℃와 50℃에서 1개월 동안 안전성시험을 한 후 유리 포름알데히드, 총포름알데히드, 및 퍼센트 IPBC를 각각 측정하였다. 기록된 바와 같이, 제제들은 10, 12 및 15 중량부의 디메틸히단토인을 포함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에 기재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수성액체시스템의 화학적 안전성 결과
제제중량부:글리단트 IIIPBC프로필렌 글리콜부틸렌 글리콜DMH A5503-109-1812.56.5-10 B5503-109-2812.5-6.510 C5503-111-1812.54.5-12 D5503-111-2812.5-4.512 E5503-111-3812.51.5-15
% 유리HCHO (유리 HCHO에 대한 기준은 <0.19%)
최초 0.05 0.07 0.03 0.05 0.02
40℃안전성 1개월 0.05 0.05 0.02 0.03 0.03
50℃안전성 1개월 0.07 0.05 0.05 0.05 0.02
% 전체 HCHO(전체 HCHO에 대한 기준은 90% 회수)
최초 14.08 14.05 14.07 14.09 14.11
40℃안전성 1개월 13.04 13.10 12.33 13.16 13.19
50℃안전성 1개월 12.83 13.07 12.80 12.91 12.84
50℃안전성 후 %회수 91.0 93.0 91.0 92.0 91.0
% IPBC (IPBC에 대한 기준은 90% 회수)
최초 2.41 2.32 2.34 2.28 2.46
40℃안전성 1개월 2.38 2.38 2.48 2.42 2.43
50℃안전성 1개월 2.23 2.20 2.24 2.27 2.26
50℃안전성 후 %회수 93.0 95.0 96.0 99.6 92.0
상기 데이터는 1개월 동안 보관한 후에도, 모든 안정화된 조성물은 90% 이상의 안전성을 가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데이터는 부틸렌 글리콜이 바람직한 용매라는 것을 입증한다.
액체방부제시스템과 비교하여, 안정제인 DMH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는, 45℃에서 4주간 저장한 후의 IPBC의 회수가 단지 약 60%이어서, 그 제품에 방부제를 사용하는 산업의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 기재된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하여 유리 및 고농도 폴리에틸렌 용기 속에서 높은 온도 및 햇빛이 쬐는 곳에서의 화학적 안정성을 시험하였다. 1, 2, 및 3개월 후 조성물에서의 퍼센트 총포름알데히드, 퍼센트 유리 포름알데히드, 및 퍼센트 IPBC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의 표에 나타낸다.
1개월 2개월 3개월
#5503-125 초기 유리 HDPE 유리 HDPE 유리 HDPE
%총HCHO 13.02
RT 13.60 13.40 13.90 12.80 13.11 13.21
40℃ 13.40 13.60 13.10 13.10 12.76 12.87
50℃ 13.10 13.10 -- -- -- --
햇빛 13.60 13.60 13.50 13.20 12.95 13.13
실험실빛 -- -- -- -- 12.93 13.13
%유리HCHO 0.09
RT 0.05 0.04 0.04 0.04 0.02 0.04
40℃ 0.04 0.06 0.06 0.05 0.04 0.06
50℃ 0.06 0.05 -- -- -- --
햇빛 0.05 0.06 0.09 0.06 0.07 0.07
실험실빛 -- -- -- -- 0.03 0.03
% IPBC 2.49
RT 2.50 2.50 2.30 2.30 2.30 2.30
40℃ 2.49 2.45 2.50 2.50 2.40 2.40
50℃ 2.26 2.25 -- -- -- --
햇빛 2.46 2.49 2.30 2.50 2.30 2.30
실험실빛 -- -- -- -- 2.30 2.30
상기 데이터는 조성물이 모든 조건하, 즉 실온, 40℃, 및 50℃에서, 그리고 햇빛이나 실험실빛의 존재 하에서도 여전히 안정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보여준다.

Claims (15)

  1. 약 20 내지 95중량부의 디알칸올치환 디메틸히단토인, 약 0.2 내지 20중량부의 요오드프로피닐화합물, 약 1 내지 30중량부의 요오드프로피닐 화합물용 안정제 및 약 0 내지 60중량부의 히드록실 용매를 포함하는 광역항균스펙트럼 액체방부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디알칸올치환 디메틸히단토인은 1,3-디메틸올-5,5-디메틸히단토인, 1-메틸올-5,5-디메틸히단토인, 3-메틸올-5,5-디메틸히단토인, 1-메틸올-3-메틸올옥시메틸렌-5,5-디메틸히단토인과 1,3-디메틸올옥시메틸렌-5,5-디메틸히단토인 및 그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방부제제.
  3. 제1항에 있어서, 디알칸올 이치환(disubstituted) 디메틸히단토인은 1,3-디메틸올-5,5-디메틸히단토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방부제제.
  4. 제1항에 있어서, 요오드프로피닐 화합물은 3-요오드-2-프로피닐부틸 카바메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방부제제.
  5. 제1항에 있어서, 안정제는 히단토인, 우레아, 또는 그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방부제제.
  6. 제5항에 있어서, 안정제는 디메틸히단토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방부제제.
  7. 제1항에 있어서, 히드록실 용매는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부틸렌 글리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방부제제.
  8. 제6항에 있어서, 디메틸히단토인과 요오드프로피닐화합물의 비는 150:1 내지 0.0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방부제제.
  9. 제1항에 있어서, 유리 포름알데히드 농도는 1% 미만이고, 총포름알데히드 농도는 적어도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방부제제.
  10. 디알칸올치환 디메틸히단토인과 히단토인, 우레아 또는 그 유도체의 안정제를 혼합하여 균일한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히드록실 용매와 요오드프로피닐 화합물을 상기 혼합물과 혼합하여 적어도 2%의 총포름알데히드 함량과 0.2% 미만의 유리 포름알데히드를 함유하는 균일한 용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체방부제제의 제조방법.
  11. 요오드프로피닐화합물과 안정화시키는 양의 히단토인, 우레아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안정화된 요오드프로피닐용액.
  12. 제11항에 있어서, 안정제는 디메틸히단토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13. 제11항에 있어서, 요오드프로피닐 화합물은 요오드-2-프로피닐부틸 카바메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14. 제1항의 조성물을 미생물이 성장하기 쉬운 용액에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생물을 사멸시키거나 미생물의 성장을 지연시키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디알칸올치환 디메틸히단토인, 히단토인, 우레아 또는 그 유도체의 안정제, 히드록실 용매 및 요오드프로피닐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0-7001691A 1998-06-19 1999-06-18 요오드프로피닐 화합물과 포름알데히드 도너의 안정화된 혼합물 KR100397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99,726 US6143204A (en) 1998-06-19 1998-06-19 Stabilization of iodopropynl compounds
US09/099,726 1998-06-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3072A true KR20010023072A (ko) 2001-03-26
KR100397171B1 KR100397171B1 (ko) 2003-09-06

Family

ID=22276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1691A KR100397171B1 (ko) 1998-06-19 1999-06-18 요오드프로피닐 화합물과 포름알데히드 도너의 안정화된 혼합물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2) US6143204A (ko)
EP (1) EP1022950B1 (ko)
JP (1) JP3625768B2 (ko)
KR (1) KR100397171B1 (ko)
CN (1) CN1272765A (ko)
AR (1) AR019681A1 (ko)
AT (1) ATE247383T1 (ko)
AU (1) AU731844B2 (ko)
BR (1) BRPI9908371B1 (ko)
CA (1) CA2300932C (ko)
CO (1) CO5050338A1 (ko)
CZ (1) CZ299425B6 (ko)
DE (1) DE69910535T2 (ko)
DK (1) DK1022950T3 (ko)
ES (1) ES2207243T3 (ko)
HK (1) HK1031299A1 (ko)
ID (1) ID26492A (ko)
IL (1) IL134478A0 (ko)
NZ (1) NZ502822A (ko)
PE (1) PE20001169A1 (ko)
RU (1) RU2176522C2 (ko)
TW (1) TWI252733B (ko)
WO (1) WO1999065316A1 (ko)
ZA (1) ZA20000058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3552A (ko) * 2013-09-24 2015-04-01 미쓰비시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가습 여과재 및 가습 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5594A (en) * 1998-03-30 1999-10-12 Mcintyre Group, Ltd. Antimicrobial liquid preservative solution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DE19961621C2 (de) * 1999-12-13 2002-11-14 Schuelke & Mayr Gmbh Bakterizide und fungizide flüssige Zubereitungen für technische Produkte
WO2002067685A1 (en) * 2001-02-26 2002-09-06 Lonza Inc. Stable preservative formulations comprising halopropynyl compounds and butoxydiglycol solvent
CN100456932C (zh) * 2002-08-20 2009-02-04 隆萨股份有限公司 游离甲醛低的稳定的醛供体和脱氢乙酸的增效抗菌组合物
DE10239238A1 (de) * 2002-08-27 2004-03-18 Schülke & Mayr GmbH Flüssigkonzentrat zur Konservierung von kosmetischen und pharmazeutischen Produkten
DE10340609A1 (de) * 2003-08-29 2005-04-07 Infineon Technologies Ag Polymerformulier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ielektrikumsschicht
DE10340608A1 (de) 2003-08-29 2005-03-24 Infineon Technologies Ag Polymerformulier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ielektrikumsschicht
WO2005027635A1 (en) * 2003-09-19 2005-03-31 Arch Chemicals, Inc. Stabilized halopropynyl compositions as preservatives
AU2005208914A1 (en) * 2004-01-28 2005-08-1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Osteoblast factor(s) that regulates human prostate cancer migration to and invasion of bone
DE102004037366A1 (de) * 2004-07-30 2006-03-23 Lanxess Deutschland Gmbh 5-Iodtetrazole
US7666827B2 (en) * 2004-09-15 2010-02-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t wipe lotions comprising particulate material
CN100415203C (zh) * 2004-11-01 2008-09-03 江苏隆力奇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护发素
CN100391341C (zh) * 2004-11-15 2008-06-04 北京桑普生物化学技术有限公司 一种含碘代丙炔基化合物的防腐剂组合物
DE102004059041A1 (de) * 2004-12-07 2006-06-08 Schülke & Mayr GmbH Verwendung von Formaldehyd und Formaldehyd freisetzenden Verbindungen in einer Zusammensetzung zur Bekämpfung von Mykobakterien
DE102006010199A1 (de) * 2006-03-06 2007-09-13 Lanxess Deutschland Gmbh Stabilisierung Iod-haltiger Biozide durch spezielle Azolverbindungen
CN101617661B (zh) * 2008-07-03 2012-11-21 广东迪美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日化产品的复合防腐剂
JP5229734B2 (ja) * 2008-11-26 2013-07-03 住化エンビロサイエンス株式会社 木材保存組成物
CN101897338A (zh) * 2010-07-14 2010-12-01 铜陵高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水溶性防霉剂及其制备方法
JP2015196745A (ja) * 2014-03-31 2015-11-09 シヤチハタ株式会社 水性インキ
KR101905673B1 (ko) * 2018-04-11 2018-10-11 대한민국 카바메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살생물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7184A (en) * 1974-06-07 1976-10-19 Glyco Chemicals, Inc. Dimethylol dimethylhydantoin solution
US4172140A (en) * 1977-08-19 1979-10-23 Glyco Chemicals, Inc. Antimicrobial hydantoin derivative compositions and method of use
US4163797A (en) * 1977-12-14 1979-08-07 The Dow Chemical Company Stabilized aqueous amide antimicrobial composition
US4844891A (en) * 1988-02-03 1989-07-04 Lonza, Inc. Admixtures of iodopropargyl compounds and a formaldehyde donor
US5073570A (en) * 1988-09-14 1991-12-17 Lonza Inc. Mono-iodopropargyl esters of dicarboxylic anhydrides and their use as antimicrobial agents
ZA933464B (en) * 1992-05-21 1993-12-20 Lonza Ag A method for preparing low free formaldehyde methylolhydantoins and compositions thereof
US5346913A (en) * 1992-05-26 1994-09-13 Rohm And Haas Company N-iodopropargyl hydantoin compounds, compositions, preparation, and use as antimicrobial agents
US5428050A (en) * 1994-04-28 1995-06-27 Isp Chemicals Inc. Synergistic water soluble preservative compositions of biocidal mixtures
US5552425A (en) * 1994-04-28 1996-09-03 Isp Chemicals Inc. Synergistic water soluble preservative compositions of biocidal mixtures
US6017955A (en) * 1995-06-07 2000-01-25 Troy Technology Corporation, Inc. Method of stabilizing biocidal compositions of haloalkynyl compounds
JPH10158110A (ja) * 1996-11-29 1998-06-16 Mitsui Chem Inc 防菌防黴剤組成物
US5886031A (en) * 1997-01-27 1999-03-23 Pacific Corporation Hair-care cosmetic compositions having dandruff formation-suppressing effect
US5840323A (en) * 1997-08-25 1998-11-24 Colgate-Palmolive Co. Agglomerated carrier containing a soil release polymer and an antibacterial agent for laundry applications
US5965594A (en) 1998-03-30 1999-10-12 Mcintyre Group, Ltd. Antimicrobial liquid preservative solution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3552A (ko) * 2013-09-24 2015-04-01 미쓰비시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가습 여과재 및 가습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82627B1 (en) 2003-06-24
WO1999065316A9 (en) 2000-03-23
DE69910535D1 (de) 2003-09-25
EP1022950A1 (en) 2000-08-02
NZ502822A (en) 2001-08-31
ZA200000580B (en) 2001-01-02
CZ2000573A3 (cs) 2000-08-16
RU2000106600A (ru) 2004-03-20
CO5050338A1 (es) 2001-06-27
AU731844B2 (en) 2001-04-05
KR100397171B1 (ko) 2003-09-06
WO1999065316A1 (en) 1999-12-23
TWI252733B (en) 2006-04-11
CZ299425B6 (cs) 2008-07-23
CN1272765A (zh) 2000-11-08
ID26492A (id) 2001-01-11
CA2300932A1 (en) 1999-12-23
PE20001169A1 (es) 2000-10-26
DE69910535T2 (de) 2004-06-24
AR019681A1 (es) 2002-03-13
JP3625768B2 (ja) 2005-03-02
ES2207243T3 (es) 2004-05-16
RU2176522C2 (ru) 2001-12-10
BR9908371A (pt) 2005-10-11
DK1022950T3 (da) 2003-12-15
CA2300932C (en) 2009-05-26
IL134478A0 (en) 2001-04-30
HK1031299A1 (en) 2001-06-15
JP2002518305A (ja) 2002-06-25
US6143204A (en) 2000-11-07
ATE247383T1 (de) 2003-09-15
BRPI9908371B1 (pt) 2016-04-12
EP1022950B1 (en) 2003-08-20
AU4708899A (en) 2000-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7171B1 (ko) 요오드프로피닐 화합물과 포름알데히드 도너의 안정화된 혼합물
US5670160A (en) Preservatives and their use
US3689660A (en) Stable liquid antimicrobial composition
US20040151742A1 (en) Alcohol-free liquid concentrate for preserving cosmetics, household and technical products
EP1363497A1 (en) Combination of an iodopropynyl derivative with a ketone acid or its salt and/or with an aromatic carboxylic acid or its salt
AU2002255639A1 (en) Combination of an iodopropynyl derivative with a ketone acid or its salt and/or with an aromatic carboxylic acid or its salt
EP1545210B1 (en) Stable, low free formaldehyde, synergistic antimicrobial compositions of aldehyde donors and dehydroacetic acid
US6121302A (en) Stabilization of isothiazolone
CA1180852A (en) Liquid antimicrobial compositions
JP5372311B2 (ja) モノアルキルグリセロールエーテルおよび芳香族アルコールに基づく安定化剤組成物
DE10340829A1 (de) Salzarme oder salzfreie mikrobizide Zusammensetzung auf Basis von Isothiazolon-Derivaten und Pyriondisulfid
US20060105007A1 (en) Stable matrix emulsion concentrates and stable aqueous and/or organic solvent compositions containing biocides
US20030039580A1 (en) Stable preservative formulations comprising halopropynyl compounds and butoxydiglycol solvent
DE1297813B (de) Antimikrobielle Mittel
MXPA00001754A (en) Stabilized mixtures of an iodopropargyl compound and a formaldehyde donor
GB2225944A (en) Stable biocide composition for industrial use
EP0439130A1 (de) Bakterizide, virizide und fungizide Mischung
AT213832B (de) Verfahren zum Schützen von organischen Materialien aller Art vor Befall und Schädigung durch Mikroorganismen
DE1668195A1 (de) Antimikrobielle Mitt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