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2977A - 디스크 장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영상음성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크 장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영상음성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2977A
KR20010022977A KR1020007001585A KR20007001585A KR20010022977A KR 20010022977 A KR20010022977 A KR 20010022977A KR 1020007001585 A KR1020007001585 A KR 1020007001585A KR 20007001585 A KR20007001585 A KR 20007001585A KR 20010022977 A KR20010022977 A KR 20010022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ideo
recording
video audio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1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5181B1 (ko
Inventor
고시노도시하루
야마무라도시키
나가이시유지
요시우라쓰카사
아야키야스시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20010022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2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5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51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3Extrac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117Interconnection of audio or video/imaging de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25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frame, i.e. a subunit of a sector containing user data, e.g. a sync fram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11B2020/1267Address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08Magnetic discs
    • G11B2220/2516Hard dis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장치 및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는, 스트림 데이터의 처리기능을 가지며, 디지털 VCR에 있어서의 각 커맨드의 처리기능을 가상적으로 구비하여 외부 기기로부터의 각종 처리요구에 대응가능한 장치이며,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상음성 프레임경계를 검출하고, 검출한 영상음성 프레임경계에 따라 외부로부터 연속하여 수신한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분할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 분할된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의 데이터가 디스크매체에 격납되어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영상음성 제어 방법은,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상음성 프레임경계를 검출하고, 검출한 영상음성 프레임경계에 따라 외부로부터 연속하여 수신한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분할하여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디스크 장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영상음성 제어 방법{DISK APPARATUS, VIDEO/AUDIO DATA PROCESSOR, AND VIDEO/AUDIO CONTROL METHOD}
최근, 자기디스크 장치나 광디스크 장치 등의 디스크 장치는, 기록용량 및 전송속도에 관한 성능이 급속하게 향상하고 있고, 동영상 데이터인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재생에 이용되고 있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특히 하드디스크 장치의 성능 향상이 현저하고, 영상음성 데이터의 축적·전달 등을 행하는 영상서버 등에 하드디스크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영상음성 데이터(aduiovisual data)는, 컴퓨터에서 취급되는 프로그램 등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끊어짐 없이 연속된 데이터[이하, 스트림 데이터(stream data)로 약칭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자기디스크 장치에 있어서는, 소정의 사이즈를 가지는 데이터의 덩어리(이하, 블록 데이터로 약칭함) 단위로 기입 처리(writing processing)를 해야했다. 또, 종래의 자기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판독 처리(reading processing)에 있어서도, 기입 처리와 같이 자기디스크상의 블록 데이터(block data) 단위로 해야했다.
따라서, 스트림 데이터를 종래의 자기디스크 장치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외부 기기에 있어서 스트림 데이터를 분할하여 기입해야할 블록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블록 데이터 단위로 자기디스크 장치로 송신된다. 또한 블록 데이터를 기입해야할 자기디스크 상의 기록 어드레스에 대해서도, 외부 기기가 선택되어 자기디스크 장치에 통지하고 있었다.
종래의 자기디스크 장치는, 외부 기기로부터의 데이터 기입 요구에 따라서 외부 기기로부터 통지된 기록어드레스에 따라 순서대로, 후속의 기록영역에 외부 기기의 데이터를 기입하고 있었다.
최근,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개발이 진행되어, 디지털 VCR 기기에 IEEE 1394규격의 디지털 인터페이스가 표준 탑재되도록 되고 있다. IEEE 1394규격에서는, 스트림 데이터를 디지털 기기 사이에서 전송하는 방식으로서 ISOCHRONOUS 전송방식이 규정되어 있다. IEEE1394를 이용한 전송방식에 있어서는, 예컨대 IEC61883에서 디지털 VCR 포맷의 영상음성 데이터에 대한 전송방식이 규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IEEE 1394 인터페이스를 표준 장비한 디지털 VCR 등의 디지털 기기는, 호스트 기기(버스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를 제어하는 기기) 없이 접속되고, 상호 스트림 데이터를 전송하는 형태가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하드디스크 장치에 IEEE 1394규격인 ISOCHRONOUS 전송기능을 실장한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탑재한 장치는 없고, 스트림 데이터는 외부 기기로부터 종래의 하드디스크 장치에 전송하는 경우에는 외부 기기 있어서 스트림 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하는 종래의 전송방식이 채용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IEEE 1394규격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장비한 디지털 VCR을 하드디스크 장치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가지는 특별한 장치를 부가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디지털 VCR에 있어서의 스트림 데이터의 처리기능으로서는, 통상, 기록개시 커맨드(record start command :이하, REC 커맨드로 약칭함), 재생개시 커맨드(playback start command :이하, PLAY 커맨드로 약칭함) 등의 커맨드가 이용되고 있으나, 종래의 하드디스크 장치에 있어서는 이들의 커맨드를 처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또한, PLAY 커맨드에는 재생속도 혹은 재생방향 등의 정보가 부가되어 송신되지만, 이들 정보에 대응한 처리를 실행하는 수단을 종래의 하드디스크 장치는 구비하고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은, 하드디스크 장치와 같은 디스크 장치에 관하여, 상세하게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속하여 입력되는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기록 재생가능한 디스크 장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는 영상음성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AV데이터 처리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수단에 있어서의 데이터입력 타이밍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수단의 논리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송수신 데이터량 산출수단의 논리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프레임 어드레스 관리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프레임 어드레스 관리수단의 프레임 어드레스 기억수단의 회로도,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프레임 어드레스 관리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액세스 어드레스 제어수단의 논리회로도,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액세스 어드레스 제어수단의 어드레스 기억수단의 회로도,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액세스 어드레스 제어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액세스 어드레스 제어수단의 버퍼메모리에 대한 액세스어드레스를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데이터 출력타이밍 제어수단을 설명하는 논리회로도,
도 15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버퍼메모리 제어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6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버퍼메모리 제어회로에 실장된 어드레스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7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버퍼메모리 제어회로내의 출력데이터카운터수단의 설명도,
도 18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기록영역 관리수단이 관리하는 자기디스크상의 어드레스정보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9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초기화처리후의 어드레스 포인터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0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의 커맨드접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2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의 기록시의 초기화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22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기록시에 버퍼메모리상에 격납된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에 대한 판독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3은 본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에 있어서의 기록 정지시, FF 커맨드 수신시의 어드레스 포인터 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4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부가 기록을 실행하는 경우의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25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부가 기록을 실행하는 경우의 기록개시시의 어드레스 포인터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6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기록계속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27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의 REC 커맨드 처리중에 STOP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28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부가 기록을 한 때의 어드레스정보의 설명도,
도 29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부가 기록후의 어드레스정보갱신시의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30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부가 기록을 실행하여 갱신된 어드레스정보의 설명도,
도 3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기록 종료시에 어드레스정보가 갱신되지 않은 경우의 설명도,
도 32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의 PLAY 커맨드에 따른 미리읽기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33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버퍼메모리에 대하여 자기디스크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격납하는 순서를 나타낸 설명도,
도 34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의 PLAY 커맨드에 따른 재생계속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35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의 재생처리중에 수신한 STOP 커맨드에 따른 송신정지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36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순방향/노멀속도 재생시의 재생처리의 설명도,
도 37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재생시에 버퍼메모리상에 격납된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에 대한 판독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8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고속재생시의 버퍼메모리상의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배치의 설명도,
도 39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순방향/고속재생시의 재생처리의 설명도,
도 40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역방향/노멀속도 재생시의 재생처리의 설명도,
도 4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역방향/고속재생시의 재생처리의 설명도,
도 42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어드레스 포인터가 기록영역 종단에 도달한 것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43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어드레스 포인터가 기록영역 종단에 도달한 경우에 있어서의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44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어드레스 포인터를 고정한 경우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5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어드레스 포인터가 기록영역 종단에 도달한 것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46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어드레스 포인터가 기록영역 종단에 도달한 경우에 있어서의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47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어드레스 포인터가 기록영역 종단 도달시에 어드레스 포인터를 갱신한 경우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8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어드레스 포인터가 기록영역 종단에 도달한 것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49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FF가 지시되어 어드레스 포인터가 갱신된 경우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0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REW가 지시되어 어드레스 포인터가 갱신된 경우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소거가 지시되기 전의 어드레스 정보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2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소거가 지시된 경우의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53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소거가 지시된 경우에 기록되는 어드레스정보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4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소거가 지시된 경우에 기록되는 어드레스정보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5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소거가 지시된 경우의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56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소거취소가 지시된 경우의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57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소거취소실행후의 어드레스정보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8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절대 트랙번호 검색 또는 타임코드검색이 지시된 경우의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59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소거가 지시된 검색위치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0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영상음성 데이터의 불연속점 검출의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6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일련의 불연속점 정보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2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마크부가가 지시된 경우의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63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마크부가가 지시된 시점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4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마크정보갱신시의 분류한 것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65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외부로부터 마크정보를 수신하였을 때의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66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마크정보갱신의 설명도,
도 67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마크정보취득요구가 지시된 경우의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68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마크정보송신시의 포맷의 설명도,
도 69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2의 자기디스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0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2의 데이터부가회로를 나타내는 논리회로도,
도 7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2의 데이터부가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도 72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2의 버퍼메모리상에 형성된 기록프레임의 설명도,
도 73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3의 자기디스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4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3의 버퍼메모리의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75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3의 데이터부가회로의 입출력데이터의 설명도,
도 76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4의 버퍼메모리의 프레임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77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5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8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6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9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7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0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하드디스크 장치의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8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2의 하드디스크 장치의 기록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82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하드디스크 장치의 영상음성 데이터의 재생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83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2의 하드디스크 장치의 영상음성 데이터의 재생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84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고속재생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비추어, 하드디스크 장치에 스트림 데이터의 처리기능을 새롭게 부가함과 동시에, 디지털 VCR에 있어서의 각 커맨드의 처리기능을 가상적으로 구비하고, 외부 기기로부터의 각종 처리 요구에 대응가능한 디스크 장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영상음성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장치는,
데이터를 기록 재생가능한 디스크매체,
영상음성 데이터를 일단 격납하는 버퍼메모리,
상기 버퍼메모리에 대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버퍼메모리 제어수단,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로부터 영상음성 프레임경계를 검출하고, 또한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수단,
상기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한 데이터의 관리정보를 형성하는 데이터 분할 관리수단, 및
상기 관리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상기 디스크매체에 기입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는,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상음성 프레임경계를 검출하고, 검출한 영상음성 프레임경계에 따라 외부로부터 연속하여 수신한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분할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크매체에 대한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입을 분할된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는,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경계를 검출한 타이밍으로부터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디스크매체에 기입할 수 있으며, 영상음성 프레임을 주기적으로 수신한 경우(IEEE 1394버스상에 전송되어 있는 DV 데이터 등)에는, 디스크매체에 대한 영상음성 프레임의 기록을 주기적으로 행할 수 있다.
다른 관점의 발명에 있어서의 디스크 장치는,
데이터를 기록 재생가능한 디스크매체,
영상음성 데이터를 일단 격납하는 버퍼메모리,
상기 디스크매체에 기록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중에서 외부에 대하여 출력하는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선택하는 재생데이터 선택수단,
상기 재생데이터 선택수단에 의하여 선택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상기 디스크매체로부터 판독하는 판독 수단,
상기 디스크매체로부터 판독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상기 버퍼메모리에 격납하는 버퍼메모리 제어수단, 및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격납 데이터를 결합하여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연속하여 외부에 출력하는 스트림 데이터 생성수단을 구비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는, 디스크 장치에 접속된 외부 VCR 기기에 대한 재생개시 커맨드와 같은 순서로 디스크매체에 격납된 영상음성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고, 외부 기기 대하여 VCR 기기와 같은 조작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관점의 발명에 있어서의 디스크 장치는,
데이터를 기록 재생가능한 디스크매체,
상기 디스크매체에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행하는 기록재생 수단,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일단 격납하는 버퍼메모리,
상기 버퍼메모리에 대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버퍼메모리 제어수단,
외부에 대한 출력데이터를 선택하는 재생데이터 선택수단,
상기 재생데이터 선택수단에 의하여 선택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상기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수단을 통하여 상기 디스크 장치로부터 상기 버퍼메모리에 판독하는 판독 수단,
상기 디스크매체로부터 판독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중에서 외부로 출력하는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수단, 및
상기 데이터 추출수단에 의하여 추출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결합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스트림 데이터 생성수단을 구비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는, 디스크매체로부터 판독된 영상음성 데이터중에서 외부로 송신해야하는 영상음성 데이터를 추출하는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디스크매체에 대한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입 혹은 판독 단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디스크매체에 대한 기입/판독 제어를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다른 관점의 발명에 관한 디스크 장치는,
데이터를 기록 재생가능한 디스크매체,
상기 디스크매체에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행하는 기록재생 수단,
상기 기록재생 수단과 외부와의 인터페이스사이에 배치되고 영상음성 데이터를 일단 격납하는 버퍼메모리,
상기 버퍼메모리에 대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버퍼메모리 제어수단, 및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로부터 영상음성 프레임경계를 검출하고, 또한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수단을 구비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는,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수단이 출력하는 검출신호에 의하여,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시간 단위로 파악할 수 있고, 데이터전송 제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는, 버퍼메모리내의 영상음성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액세스하여 특수 재생 등이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다른 관점의 발명에 있어서의 디스크 장치는,
데이터를 기록 재생가능한 디스크매체,
상기 디스크매체에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행하는 기록재생 수단, 및
기록이 완료된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영역 정보를 관리, 갱신하는 기록영역 관리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기록재생수단과 상기 디스크매체상의 어드레스 순으로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하고,
상기 기록영역 관리수단이, 상기 기록이 완료된 영상음성 데이터의 선두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정보와, 상기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정보와, 상기 디스크매체상의 미기록 영역 선두어드레스 정보를 관리, 갱신하고, 상기 디스크매체상의 소정의 영역에 기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는, 복잡한 관리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디스크매체에 기록한 영상음성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는, 어드레스 정보를 바탕으로, 디스크매체상의 영상음성 데이터를 재생함으로써, 디스크매체상의 영상음성 데이터 미기록부의 재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는, 어드레스정보를 바탕으로, 디스크 매체상에 영상음성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미기록영역을 발생시키지 않고, 연속적으로 부가 기록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는,
디스크 장치에 대한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제어하는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수단,
영상음성 기기에 대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제어하는 외부 영상음성 기기 인터페이스수단,
상기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수단과 상기 영상음성 기기 인터페이스수단 사이에 있고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일단 격납하는 버퍼메모리,
상기 버퍼메모리에 대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버퍼메모리 제어수단,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로부터 영상음성 프레임경계를 검출하고, 또한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수단, 및
상기 영상음성 프레임경계에 따라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한 데이터의 관리정보를 형성하는 데이터분할 관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수단은, 상기 관리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상기 디스크 장치에 데이터를 송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는,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상음성 프레임경계를 검출하고, 검출한 영상음성 프레임경계에 따라 외부로부터 연속하여 수신한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분할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크매체에 대한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입을 분할된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는,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경계를 검출한 타이밍으로부터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디스크매체에 기입할 수 있으며, 영상음성 프레임을 주기적으로 수신한 경우(IEEE 1394버스상에 전송되어 있는 DV 데이터 등)에는, 디스크매체에 대한 영상음성 프레임의 기록을 주기적으로 행할 수 있다.
다른 관점의 발명에 있어서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는,
디스크 장치에 대한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제어하는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수단,
영상음성 기기에 대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제어하는 외부 영상음성 기기 인터페이스수단,
상기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수단과 상기 영상음성 기기 인터페이스수단 사이에 있고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일단 격납하는 버퍼메모리,
상기 버퍼메모리에 대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버퍼메모리 제어수단,
상기 디스크 장치에 기록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중에서 상기 외부 영상음성 기기 인터페이스수단에 대하여 송출하는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선택하는 재생데이터 선택수단,
상기 재생데이터 선택수단에 의하여 선택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상기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수단을 통하여 상기 디스크 장치로부터 상기 버퍼메모리에 판독하는 판독 수단, 및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격납데이터를 결합하여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외부 영상음성 기기 인터페이스수단을 통하여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연속하여 외부 기기 송출하는 스트림 데이터 생성수단을 구비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는,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에 접속된 외부 VCR 기기에 대한 재생개시 커맨드와 같은 순서로 디스크매체에 격납된 영상음성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고, 외부 기기에 대하여 VCR 기기와 같은 조작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관점의 발명에 있어서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는,
외부의 디스크 장치에 대한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제어하는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수단,
외부의 영상음성 기기에 대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제어하는 외부 영상음성 기기 인터페이스수단,
상기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수단과 상기 외부 영상음성 기기 인터페이스수단 사이에 배설되고,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일단 격납하는 버퍼메모리,
상기 버퍼메모리에 대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버퍼메모리 제어수단,
상기 디스크 장치에 기록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중에서 상기 외부 영상음성 기기 인터페이스수단에 대하여 송출하는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선택하는 재생데이터 선택수단,
상기 재생데이터 선택수단에 의하여 선택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상기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수단을 통하여 상기 디스크 장치로부터 상기 버퍼메모리로 판독하는 판독 수단,
상기 디스크 장치에서 판독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중에서 외부로 출력하는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수단, 및
상기 데이터 추출수단에 의하여 추출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결합하여 외부에 출력하는 스트림 데이터 생성수단을 구비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는, 디스크매체로부터 판독된 영상음성 데이터중에서 외부에 송신해야하는 영상음성 데이터를 추출하는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디스크매체에 대한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입 혹은 판독 단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디스크매체에 대한 기입/판독 제어를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다른 관점의 발명에 관한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는,
외부의 디스크 장치에 대한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제어하는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수단,
외부의 영상 음성 기기에 대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제어하는 외부 영상음성 기기 인터페이스수단,
상기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수단과 상기 외부 영상음성 기기 인터페이스수단 사이에 배설되고,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일단 격납하는 버퍼메모리,
상기 버퍼메모리에 대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버퍼메모리 제어수단, 및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로부터 영상음성 프레임경계를 검출하고, 또한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수단을 구비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는,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수단이 출력하는 검출신호에 의하여,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시간 단위로 파악할 수 있고, 데이터전송 제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는, 버퍼메모리내의 영상음성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액세스하여 특수 재생 등이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다른 관점의 발명에 있어서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는,
외부의 디스크 장치에 대한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제어하는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수단,
외부의 영상 음성 기기에 대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제어하는 외부 영상음성 기기 인터페이스수단, 및
상기 디스크 장치에 기록된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역정보로서, 상기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선두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정보와, 상기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정보와, 상기 디스크 장치의 미기록 영역 선두 어드레스정보를 관리, 갱신하고, 상기 디스크 장치의 소정의 영역에 기입하는 기록영역 관리수단을 구비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는, 복잡한 관리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디스크매체에 기록한 영상음성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는, 어드레스정보를 바탕으로, 디스크매체상의 영상음성 데이터를 재생함으로써, 디스크매체상의 영상음성 데이터 미기록부의 재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는, 어드레스정보를 바탕으로, 디스크매체상에 영상음성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미기록영역을 발생시키지 않고, 연속적으로 부가 기록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영상음성 제어 방법은,
영상음성 데이터를 일단 버퍼메모리에 격납하는 스텝,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상음성 프레임경계를 검출하는 스텝,
검출한 상기 영상음성 프레임경계에 따라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한 영상음성 데이터의 관리정보를 형성하는 스텝, 및
상기 관리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디스크매체에 송출하는 스텝을 가진다.
상기의 스텝을 가지는 본 발명의 영상음성 제어 방법은,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상음성 프레임경계를 검출하고, 검출한 영상음성 프레임경계에 따라 외부로부터 연속하여 수신한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분할하기 때문에, 디스크매체에 대한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입을 분할된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음성 제어 방법은,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경계를 검출한 타이밍으로부터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디스크매체에 기입할 수 있으며, 영상음성 프레임을 주기적으로 수신한 경우(IEEE1394버스상에 전송되어 있는 DV데이터 등)에는, 디스크매체에 대한 영상음성 프레임의 기록을 주기적으로 행할 수 있다.
다른 관점의 발명에 있어서의 영상음성 제어 방법은,
선택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상기 디스크매체로부터 판독 스텝,
판독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로부터 버퍼메모리에 격납하는 스텝,
격납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결합하여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연속하여 외부에 출력하는 스텝을 가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영상음성 제어 방법은,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에 접속된 외부 VCR 기기에 대한 재생개시 커맨드와 같은 순서로 디스크매체에 격납된 영상음성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고, 외부 기기에 대하여 VCR 기기와 같은 조작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관점의 발명에 있어서의 영상음성 제어 방법은,
디스크매체에 기록한 영상음성 데이터를 선택하는 스텝,
선택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상기 디스크매체로부터 판독 스텝,
판독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로부터 외부로 출력하는 영상음성 데이터를 추출하는 스텝,
추출한 영상음성 데이터를 버퍼메모리에 격납하는 스텝,
격납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결합하여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텝, 및
생성한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외부에 출력하는 스텝을 가진다.
데이터의 기록 재생가능한 디스크매체,
외부로부터의 기록 또는 재생 요구에 따라, 기록 또는 재생동작을 개시하고, 또한 외부로부터의 정지 또는 대기 요구에 따라, 기록 또는 재생동작을 종료시키기 위한 기록재생수단, 및
현재기록 또는 재생하고 있는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 혹은 다음에 기록 또는 기록 또는 재생해야할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어느 하나에 데이터의 디스크매체상의 선두어드레스를 관리하기 위한 어드레스 관리수단을 구비한다.
상기의 스텝을 가지는 본 발명의 영상음성 제어 방법은, 디스크매체로부터 판독된 영상음성 데이터중에서 외부로 송신해야할 영상음성 데이터를 추출하는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디스크매체에 대한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입 혹은 판독 단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디스크매체에 대한 기입/판독 제어를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다른 관점의 발명에 있어서의 영상음성 제어 방법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음성 데이터 및 외부로 출력되는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디스크매체로 기록 재생하는 기록재생 처리스텝, 및
상기 디스크 매체상에 기록된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역정보로서, 상기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선두 영상음성 프레임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정보와, 상기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정보와, 상기 디스크매체상의 미기록영역 선두 어드레스정보를 관리, 갱신하고, 상기 디스크매체상의 소정의 영역으로 기입하는 기록영역 관리 스텝을 가진다.
상기 스텝을 가지는 본 발명의 영상음성 제어 방법은, 복잡한 관리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디스크매체에 기록한 영상음성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음성 제어 방법은, 어드레스정보를 바탕으로, 디스크매체상의 영상음성 데이터를 재생함으로써, 디스크매체상의 영상음성 데이터 미기록부의 재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음성 제어 방법은, 어드레스정보를 바탕으로, 디스크매체상에 영상음성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미기록영역을 발생시키지 않고, 연속적으로 부가 기록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의 한 실시형태인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1>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인 하드디스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는, 외부 기기(도시하지 않음)에서의 커맨드 및 데이터를 전송하는 입출력버스(104)에 접속되어 있고, 이 입출력버스(104)를 통하여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코멘트, 데이터, 및 파라미터를 송수신하는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회로(105)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는, CPU(106)와, 이 CPU(106)에서 커맨드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CPU 인터페이스회로(107)와, 일시 기억 회로(temporary storage circuit)인 버퍼메모리(108)와, 버퍼메모리에 대한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버퍼메모리 제어수단으로서의 버퍼메모리 제어회로(109)를 가지고 있다.
CPU(106)는, 부가데이터 생성수단으로서 버퍼메모리(108)에 격납된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상음성 프레임에 소정 사이즈의 더미데이터를 부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CPU(106)는,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한 PLAY 커맨드에 따른 재생방향 및 재생속도 정보 등의 부가정보를 수신한다. CPU는, 재생데이터 선택수단으로서, 이들 부가 정보에 따라 외부에 송출해야할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선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CPU(106)는, 스트림 데이터 선택수단으로서 버퍼메모리에 격납된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선택하여 연속데이터로서 외부 기기에 송출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CPU(106)는 데이터 추출수단으로서 버퍼메모리에 격납된 영상음성 데이터중에서 외부 기기에 송출해야할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선택하고, 연속하여 외부 기기에 송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자기디스크 장치에서는, 자기디스크(101)에 대한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신호 처리회로(110)와, 위치결정기구(103)에 구동신호를 부여하는 자기헤드(102)의 위치결정을 제어하는 구동 액튜에이터 구동회로(111)와,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회로(105)를 통하여 받은 영상음성 데이터에 따라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회로(audiovisual data processing circuit :이하, AV 데이터 처리회로로 기재함)(112)가 설치되어 있다.
AV 데이터 처리회로(112)는, 데이터 분할 관리수단으로서 영상음성 데이터의 프레임경계 정보(frame boundary information)를 관리하는 기능을 가지며, CPU(106)에 프레임경계 정보를 통지한다.
그리고, 실시예1에 있어서는, AV 데이터 처리회로(112)는, 프레임경계 정보로서,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상음성 프레임 선두 데이터(audiovisual frame head data)에 대응하는 버퍼메모리상의 격납어드레스(storage address)를 관리하고 있다.
신호 처리회로(110), 위치결정기구(positioning mechanism : 103), 자기헤드(102) 및 액튜에이터 구동회로(111)는, 기입 수단 및 판독 수단으로서 영상음성 데이터를 디스크매체에 기입하는 기능 및 디스크매체로부터 판독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신호 처리회로(110)는, 버퍼메모리(108)로부터의 기입데이터를 버퍼메모리 제어회로(109)를 통하여 받고, 입력된 데이터를 변조하여 자기헤드(102)에 입력하고, 그리고 기록신호로서 자기디스크(101)에 기록한다. 또한 신호 처리회로(110)는, 자기헤드(102)에 의하여 자기디스크(101)로부터 판독된 신호를 복조하여, 판독 데이터로서 버퍼메모리 제어회로(109)에 출력한다.
액튜에이터 구동회로(111)는, 제어신호 입출력회로(도시하지 않음)에서의 액튜에이터 제어신호에 따라 위치결정기구(103)를 제어하고, 자기헤드(102)를 구동한다.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는, 원반형상의 디스크매체인 자기디스크(101)는, 자기헤드(102)에 의하여 데이터가 기록 재생되고, 자기헤드(102)는 위치결정기구 (103)에 의하여 위치 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1에 있어서, 자기디스크(101)상의 데이터 기록영역은 512Byte 단위의 영역(이하, 섹터라 기재함)에 분할되어 있다. 자기디스크(101)에 대한 데이터 기입 및 판독 처리는, 섹터 단위로 실행되어 있다.
실시예1에 있어서의 하드디스크 장치의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처리순서를 도 80에 나타낸 플로우챠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8001에 있어서 외부에서 입력된 영상음성 데이터의 중에서 영상음성 프레임경계를 검출한다.
다음에, 스텝8002에 있어서 영상음성 데이터를 버퍼메모리에 격납한다.
다음에, 스텝8003에 있어서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상음성 프레임경계에 대응하는 버퍼메모리상의 격납어드레스를 관리하고, 버퍼메모리상의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분할 관리한다.
다음에, 스텝8004에 있어서 영상음성 데이터를 분할 관리된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디스크매체인 자기디스크(101)에 대하여 송출한다.
실시예1에 있어서의 하드디스크 장치의 영상음성 데이터의 재생처리순서를 도 82에 나타낸 플로우챠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8201에 있어서 자기디스크(101)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음성 데이터의 속에서 외부에 대하여 송출해야 할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선택한다.
다음에, 스텝8202에 있어서 선택한 영상음성 데이터를 자기디스크(101)로부터 판독된다.
다음에, 스텝8203에 있어서 판독된 영상음성 데이터를 버퍼메모리에 격납한다.
다음에, 스텝8204에 있어서 버퍼메모리에 격납된 영상음성 데이터를 순서대로 판독하여, 연속한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한다.
다음에, 스텝8205에 있어서 스트림 데이터를 외부에 대하여 송출한다.
이하, 각 기능블록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AV 데이터 처리회로(112)]
다음에, 실시예1의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AV 데이터 처리회로(112)에 관해서 설명한다.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회로(105)는, IEEE 1394-1995의 규격에 준한 데이터를 제어하고, IEC61883으로 규격화되어 있는 DV 포맷의 데이터 전송을 서포트하고 있다.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회로(105)는, 전송되어온 커맨드 및 레지스터 설정에 따라서, 외부 기기와의 데이터 전송의 제어를 시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회로(105)와 AV 데이터 처리회로(112)와의 데이터 전송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및 클럭 신호를 사용하여 행하여진다. 이 때의 데이터전송, 클럭신호에 동기시켜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시키고 있다. 그 때, 데이터가 유효인지 무효인지를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사용하여 행하고 있다.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가 하이(H)출력인 경우는, 그 데이터가 유효한 것을 나타내며, 로우(L)출력일 때는, 그 데이터신호가 무효인 것을 나타낸다.
외부 기기로부터 입출력버스(104)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는,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회로(105)로부터 AV 데이터 처리회로(112)에 출력되어 처리된다. 커맨드 및 파라미터는 CPU 인터페이스회로(107)에 출력되어, CPU(106)에 의해서 처리된다.
또한,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회로(105)는, 버퍼메모리(108)부터의 영상음성 데이터 및 CPU(106)부터의 커맨드 응답을 입출력버스(104)를 통해 외부 기기에 출력한다.
도 2는, 실시예1의 디스크 장치의 영상음성 프레임 분할 관리수단의 기능을 실현하는 AV 데이터 처리회로(112)에 관해서, 상세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AV 데이터 처리회로(112)는, 프레임 어드레스 관리수단인 프레임 어드레스 관리회로(210),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수단인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회로(205), 송수신 데이터량 산출수단인 송수신 데이터량 산출회로(208), 데이터 출력타이밍 제어수단인 데이터 출력타이밍 제어회로(211)를 갖고 있다.
영상음성 데이터는,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회로(105)로부터 입력되어, AV 데이터 처리회로(112), 버퍼메모리(108), 신호 처리회로(110)등을 지나서 자기디스크(101)에 기록된다. 그 때,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회로(205)와 프레임 어드레스 관리회로(210)는 데이터분할 관리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회로(205)는, 입력된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상음성 프레임경계를 검출한다. 프레임 어드레스 관리회로(210)는, 버퍼메모리(108)에 영상음성 데이터가 격납될 때의 프레임경계에 관한 버퍼메모리상의 어드레스를 프레임 어드레스정보로서 관리한다. CPU(106)는, 이 프레임 어드레스정보인 관리정보에 따라서, 버퍼메모리(108)에 격납된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디스크매체인 자기디스크(101)에 분할하여 전송한다.
도 80은 상기의 디스크매체에 영상음성 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하는 처리 스텝을 시계열에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우선,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상음성 프레임경계를 검출하는 스텝(8001)을 행하고, 영상음성 데이터를 버퍼메모리(108)에 격납한다(8002). 버퍼메모리(108)에 격납된 영상음성 데이터에 있어서, 그 영상음성 프레임경계의 버퍼메모리상의 어드레스를 인식하여, 버퍼메모리(108)에 격납된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분할 관리한다(8003). 다음에, 자기디스크(101)의 디스크매체에 대하여 영상음성 데이터가 분할되어 송출된다(8004).
자기디스크(101)에 기록된 영상음성 데이터는 신호 처리회로(110), 버퍼메모리(108), AV 데이터 처리회로(112)등을 지나서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 회로(105)를 통하여 외부의 영상음성 기기에 출력된다.
영상음성 데이터가 AV 데이터 처리회로(112)에 입력되면 전술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회로에 있어서 영상음성 데이터에 대한 처리가 행해진다. 이하, 그 처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회로(205)〕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회로(205)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상음성 데이터 비교수단(301), 프레임 검출신호 생성수단(302) 및 프레임 데이터량 카운트수단(303)으로 구성되다.
영상음성 데이터 비교수단(301)은, 입력데이터가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가 하이(H)일 때에, 사전에 세트되어 있는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 패턴과 일치하는지의 아닌지를 비교한다. 프레임 데이터량 카운트수단(303)은, 영상음성 데이터 비교수단(301)에 입력하는 데이터량을 카운트한다. 프레임 검출신호 생성수단(302)은, 영상음성 데이터 비교수단(301) 및 프레임 데이터량 카운트수단(303)에서의 신호에 근거하여 프레임경계를 판정하고, 프레임 검출신호 및 입력데이터를 출력제어하기 위한 게이트오픈 신호를 생성한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회로(205)를 실현하는 회로 구성도이다.
도 5에 있어서, 영상음성 데이터 비교수단(301)은, 영상음성 프레임의 데이터패턴을 기억시키는 영상음성 프레임경계 데이터패턴 기억부(401)의 데이터패턴과, 입력데이터와 클럭에 동기하여 비교하는 비교기(402)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비교기(402)는, 입력데이터가 영상음성 프레임의 데이터패턴과 일치하면, 매칭신호를 프레임 검출신호 생성수단(302)과 프레임 데이터량 카운트수단(303)에 출력한다.
프레임 데이터량 카운트수단(303)은, DV 데이터의 영상음성 프레임사이즈를 카운트하기 위하여 적어도 120,000카운트할 수 있는 데이터카운터(406)와, SR플립플롭(405)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 데이터량 카운트수단(303)은, 영상음성 데이터 비교수단(301)에 있어서 입력데이터와 영상음성 프레임의 데이터패턴이 일치하면, SR플립플롭(405)에 비교기(402)에서 신호가 입력되어, 데이터카운터(406)가 카운트동작을 개시한다.
데이터카운터(406)는, 카운트수가 사전에 설정된 수에 달하면(실시예1에서는 DV 데이터의 프레임 데이터사이즈인 120,000바이트가 설정되어 있다), 프레임 검출신호 생성수단(302)에 대하여 카운트신호를 출력한다.
프레임 검출신호 생성수단(302)은, 래치(407), 2개의 AND게이트(403) 및 AND게이트(404)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AND게이트(403)는, 영상음성 데이터비교수단(301)에서 매칭신호와, 프레임 데이터량 카운트수단(303)에서의 카운트신호에서 카운터 리세트 신호를 계산한다. 또한 AND게이트(404) 및 래치(407)에 의하여, 프레임 검출신호와 입력데이터를 출력제어하기 위한 게이트오픈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회로(205)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영상음성 데이터 비교수단(301)은, 입력하는 영상음성 데이터와, 영상음성 프레임경계 데이터 패턴기억부(401)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프레임 데이터량 카운트수단(303)에 대하여 기동을 시킨다.
프레임 데이터량 카운트수단(303)은,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프레임 데이터 사이즈를 카운트하여, 다음의 영상음성 프레임 경계데이터가 나타낼 타이밍을 산출한다. 프레임 검출신호 생성수단(302)은, 프레임 데이터량 카운트수단(303)에 의해서 산출된 타이밍에, 영상음성 데이터 비교수단(301)에 의하여 영상음성의 프레임경계 데이터를 검출할 수 없었던 경우는, 프레임 데이터량 카운트수단(303)을 리세트하여, 다시 한번 처음부터 프레임 데이터의 검출처리를 다시 한다.
한편, 영상음성 데이터 비교수단(301)에 의해서 영상음성의 프레임경계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던 경우는, 프레임 데이터가 바르게 검출되었다고 처리하고, AND게이트(403)는 카운터 리세트를 하지 않는다. 그 경우, AND 게이트(404) 및 래치(407)에 의해서 게이트오픈 신호 및 프레임 검출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프레임 검출신호 생성수단(302)을 구성하는 AND 게이트(404)를, OR 게이트로 바꾼다.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회로(205)는, 영상음성 데이터 비교수단(301)이나 프레임 데이터량 카운트수단(303)으로부터의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출력할 수 있는 경우에, 프레임 검출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 경우,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회로(205)는, 패턴매칭과 데이터량의 2점에서 프레임의 선두를 검출하는 것이 되지는 않지만, 한쪽의 신호가 어떤 원인으로 출력되지 않은 경우에, 서로 보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예1의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회로(205)는, 영상음성 프레임경계를 패턴데이터의 비교처리와 카운트량의 계측처리에 의해 검출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1의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회로(205)는, 영상음성 프레임의 검출을 패턴데이터와 데이터량을 사용하여 2개의 처리에 의해 검출한 뒤, 데이터전송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영상음성 프레임의 오류 검출에 의한 데이터전송의 개시는 확실히 방지되어 있다.
[송수신 데이터량 산출회로(208)]
도 6은, 송수신 데이터량 산출수단인 송수신 데이터량 산출회로(208)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회로(105)(도 2)부터 입력한 영상음성 데이터가, 버퍼메모리(108)에 기입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디스크매체에 대하여 라이트 동작시). 입력데이터가 버퍼메모리(108)에 기입되는 경우,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회로(205)는,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회로(105)로부터 입력하는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상음성 프레임경계를 검출한다.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회로(205)부터의 프레임 검출신호는, 송수신 데이터량 산출회로(208)에 보내여진다. 송수신 데이터량 산출회로(208)에 입력된 검출신호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셀렉터(502)를 통해 업다운 카운터(up/down 카운터)(501)에 입력된다. 입력데이터가 버퍼메모리 (108)에 기입되는 경우, 버퍼메모리(108)에 대하여 라이트 액세스가 되고, 입력된 프레임 검출신호는, 업다운 카운터(501)의 UP 카운터로서 입력된다. 업다운 카운터(501)는, 입력된 프레임 검출신호를 카운트하여 버퍼메모리(108)에 축적된 데이터량을 프레임 단위로 산출한다.
예컨대, t프레임분의 영상음성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버퍼메모리(108)는 라이트 액세스되기 때문에,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회로(205)는 t회의 펄스를 송수신 데이터량 산출회로(208)의 업다운 카운터(501)의 UP 카운터로서 출력한다. 이 때문에, 업다운 카운터(501)는 t회 인크리멘트되게 된다. DV 포맷의 영상음성 데이터는, 영상음성 프레임의 데이터수가 120,000바이트의 고정사이즈로 송신되어 가므로, 이 데이터수를 인크리멘트된 수에 승산함으로써,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회로(105)로부터 버퍼메모리에 송출된 현재의 액세스 데이터량을 파악할 수 있다.
다음에, 버퍼메모리(108)로부터 자기디스크(101)로 데이터가 전송되었을 때, 버퍼메모리(108)에 있어서의 데이터 축적량을 산출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버퍼메모리(108)로부터 자기디스크(101)로의 데이터 전송은, CPU(106)부터의 데이터 전송량을 지정한 액세스 커맨드에 의해서 기동한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량은, CPU(106)에 의해 미리 파악되어 있다. CPU(106)는, 버퍼메모리(108)로부터 판독하는 데이터량을, 송수신 데이터량 산출회로(208)에 대한, 프레임 검출신호로서 출력한다. 이 경우, 버퍼메모리(108)에 대해서는, 리드 액세스가 되기 때문에, DOWN 카운터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버퍼메모리(108)에 입출력하는 데이터량은, 업다운 카운터(501)에 의해서 프레임 단위로 파악할 수 있다.
실시예1에서는, 버퍼메모리(108)와 자기디스크(101)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CPU(106)에 의해 처리시키는 구성이지만, 새롭게 별도의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수단을 버퍼메모리(108)와 신호 처리회로(110)사이에 부가함으로써 데이터전송을 처리하는 것도 실현된다. 이 경우에, 새롭게 설치하는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수단은, 프레임 검출신호를 업다운 카운터(up/down 카운터)(501)에 입력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버퍼메모리(108)로부터 출력하는 데이터가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수단에 입력되도록 구성된다. 버퍼메모리(108)로부터 신호 처리회로(110)에 데이터가 전송되면,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수단은, t회의 펄스를 송수신 데이터량 산출회로(208)의 업다운 카운터(501)의 DOWN 카운터에 출력한다. 이 때문에, 업다운 카운터(501)로서는 버퍼메모리(108)로부터 리드된 프레임수인 t회 디크리멘트된다. 이에 따라, 버퍼메모리(108)에 입출력하는 데이터량은, 프레임 단위로 파악할 수 있다.
다음에, 자기디스크(101)에서 데이터를 판독하고, 일단 버퍼메모리(108)에 격납하여, 그 데이터를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회로(105)에 출력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디스크매체에 대하여 리드 동작시). 이 경우도 전술의 버퍼메모리(108)로부터 자기디스크(101)로의 데이터전송의 경우와 같이, 자기디스크(101)로부터 버퍼메모리(108)에의 데이터전송은, CPU(106)에 의해 기동한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량은 CPU(106)에 의해서 미리 파악할 수 있다. CPU(106)는, 버퍼메모리(108)로부터 판독하는 데이터량을, 송수신 데이터량 산출회로(208)에 대하여,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신호로서 출력한다. 이 경우, 버퍼메모리(108)에 대해서는 라이트 액세스가 되므로, UP카운터에 출력한다.
또한, 버퍼메모리(108)로부터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 회로(105)에 대해서 출력하는 경우,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회로(205)는, 버퍼메모리(108)에 대하여 리드 액세스한다. 리드 액세스한 데이터는,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회로(205)에 대하여 입력하고,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신호로서, t회의 펄스를 송수신 데이터량 산출회로(208)의 업다운 카운터(501)의 DOWN카운터에 출력한다. 따라서 송수신 데이터량 산출회로(208)는, 버퍼메모리(108)로의 데이터 입출력량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버퍼메모리(108)와 자기디스크(101)사이의 데이터 전송량을 CPU(106)에 의해서 처리시켰으나, 디스크매체로의 기입시의 예와 마찬가지로, 새로 별개의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수단(B)을 버퍼메모리(108)와 신호처리회로(110)도 실현된다.
이와 같이, CPU(106)은,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회로(205)와 송수신데이터량 산출회로(208)에 의하여, 버퍼메모리(108)에 입출력하는 데이터의 프레임 단위에서의 데이터량을 파악할 수 있다.
〔프레임 어드레스 관리회로(210)〕
다음에, 도 2에 나타낸 AV 데이터 처리회로(112)의 프레임 어드레스 관리수단인 프레임 어드레스 관리회로(21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버퍼메모리 제어수단인 버퍼메모리 제어회로(109)와 프레임 어드레스 관리회로(21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버퍼메모리 제어회로(109), CPU인터페이스회로(107), CPU(106)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버퍼메모리 제어회로(109)는, 후술하는 액세스 어드레스 제어수단인 액세스 어드레스 제어회로(209), 어드레스카운터(602) 및 RAM 라이트 데이터래치(601)로 구성되고, 버퍼메모리(108)에 대한 액세스어드레스와 데이터를 관리한다.
프레임 어드레스 관리회로(210)는, 버퍼메모리(108)에 대하여 영상음성 데이터를 기입할 때에, 영상음성 데이터의 프레임경계의 격납위치의 어드레스를 관리한다. 이 격납위치의 어드레스는,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회로(205)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 검출신호에 동기하여, 어드레스카운터(602)값을 기억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퍼메모리 제어회로(109)에는 RAM 라이트데이터 래치(601)와 어드레스카운터(60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어드레스관리회로(210)에는, 프레임 어드레스를 기억하기 위한 프레임 어드레스 기억수단인 프레임 어드레스기억회로(603)가 설치되어있다.
AV 데이터 처리회로(112)로부터 버퍼메모리(108)에 대하여 보내어지는 데이터는, RAM라이트 데이터래치(601)를 통하여, 버퍼메모리(108)에 보내여진다. 버퍼메모리(108)에의 액세스어드레스는, 어드레스카운터(602)에 있어서 결정되어 버퍼메모리(108)에 보내여진다. 이 때, 액세스 어드레스는, AV 데이터 처리회로(112)로부터 보내져오는 프레임 검출신호의 입력이 있으면, 이 신호에 동기하여 프레임 어드레스 관리회로(210)에도 보내어지고, 프레임 어드레스 기억회로(603)에 그 값이 기억된다.
도 8은, 실시예1에 있어서의 프레임 어드레스 기억수단인 프레임 어드레스 기억회로(603)를 나타내고 있다.
어드레스 카운터(602)부터의 어드레스출력은, 어드레스 폭과 같은 버스 폭의 제 1 프레임 어드레스 기억부에 입력하고, 제 1 프레임 어드레스 기억부의 출력은 제 2 프레임 어드레스 기억부를 구성하는 래치에 각각 입력한다. AV 데이터 처리회로(112)로부터 입력하는 프레임 검출신호는, 데이터가 버퍼메모리에 기입되는 타이밍에 동기되어, 프레임 어드레스기억신호(=프레임 검출신호)로서 입력하여, 어드레스를 기억하는 타이밍신호로서 사용된다.
프레임 어드레스 기억회로(603)는, 2단의 프레임 어드레스 기억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회 검출된 프레임 어드레스가 2단째의 제 2 프레임 어드레스 기억부에 격납되어, 이번에 검출된 프레임 어드레스가 1단째의 제 1 프레임 어드레스 기억부에 격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프레임 어드레스 기억부는 프레임 어드레스(A)를 출력하고, 제 2 프레임 어드레스 기억부는 프레임 어드레스(B)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2단 구성으로 프레임 어드레스 기억부를 구성함으로써, 2프레임분의 어드레스를 격납할 수가 있다.
또, 실시예1에 있어서는 프레임 어드레스 기억회로(603)를 2단의 프레임 어드레스 기억부에 의해 구성한 예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1개 이상의 프레임 어드레스 기억부가 있으면 몇 단이라도 좋고, 1단이 늘어날 때마다 그 전회에 검출된 프레임 어드레스를 격납할 수가 있다.
도 9는, 실시예1에 있어서의 프레임 어드레스 기억회로(603)의 격납 처리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챠트이다. 프레임 어드레스 기억신호는, 프레임 검출 신호를 버퍼메모리(108)에 데이터를 격납하는 타이밍으로 동기된 신호이다. 도 7의 데이터는, RAM라이트 데이터래치로부터 버퍼메모리(108)에 보내는 데이터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가 프레임경계 데이터일 때, 프레임 어드레스 기억신호(프레임 검출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어드레스카운터가 07이라고 가정하면, 이 값이 제 1 프레임 어드레스 기억부에 기억된다. 그리고, 지금까지 제 1 프레임 어드레스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던 값(도 9에서 65)은 제 2 프레임 어드레스 기억부에 기억된다.
프레임 어드레스 기억회로(603)에 기억된 2개의 격납어드레스의 값을 비교함에 의해, 버퍼메모리(108)에 격납된 영상음성 프레임의 데이터량을 격납어드레스의 차로부터 확인할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예1에 있어서의 자기디스크 장치는, 프레임 어드레스 기억회로(603)가 설치되기 때문에, 버퍼메모리(108)에 격납중일 때의 영상음성 데이터의 프레임 선두의 격납 어드레스 위치를 CPU가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레임 어드레스 기억회로(603)를 복수 구성함에 의해, 복수의 영상음성 데이터의 격납어드레스 위치를 CPU가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액세스어드레스 제어회로(209)〕
다음에, 실시예1 에 있어서의 액세스 어드레스 제어회로(209)(도 7)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액세스어드레스 제어회로(209)를 실현하는 회로구성과, 프레임 어드레스 관리회로(210), 버퍼메모리 제어회로(109)내의 어드레스 카운터(602)를 나타내고 있다.
액세스 어드레스 제어회로(209)는, 비교기(902), 제 1 어드레스 기억회로(903), 제 1 오프셋가산기(904), 제 2 오프셋가산기(905) 및 제 2 어드레스 기억회로(906)를 구비하고 있다.
도 11의 (a)는, 제 1 어드레스 기억회로(903) 및 제 2 어드레스 기억회로(906)의 구성예이며, 제 1 어드레스 기억회로(903) 및 제 2 어드레스 기억회로(906)는 복수의 래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11의 (b)는 제 1 오프셋가산기(904) 및 제 2 오프셋가산기(905)의 구성예이다. 이들 오프셋가산기는, 입력하는 프레임 어드레스에 대하여 오프셋의 값을 가산한 값을 출력한다. 제 1 오프셋가산기(904) 및 제 2 오프셋가산기(905)는 도 11의 (b)에 나타낸 회로구성에 의해 각각 실현된다.
도 10에 있어서, 프레임 어드레스 관리회로(210)는, 프레임경계 데이터에 대응하는 버퍼메모리상의 격납어드레스가 격납되면, 그 격납어드레스에 제 1 오프셋가산기(904) 및 제 2 오프셋가산기(905)에 대하여 출력한다. 제 1 오프셋가산기 (904) 및 제 2 오프셋가산기(905)는, 오프셋값(A와 B)을 가산하여, 제 1 어드레스 기억회로(903) 및 제 2 어드레스 기억회로(906)에 출력한다. 또한, 제 1 어드레스 기억회로(903) 및 제 2 어드레스 기억회로(906)에는, 프레임 검출신호에 동기한 어드레스 로드타이밍(1)이 입력되고, 그 어드레스 로드타이밍(1)에 동기한 어드레스값이 격납된다.
제 1 어드레스 기억회로(903)에 격납된 어드레스값은, 어드레스 카운터(602)(도 7)의 값과, 비교기(902)에 있어서 비교된다. 비교기(902)는, 어드레스 카운터(602)로부터의 값과 제 1 어드레스 기억회로(903)가 일치하면, 어드레스 로드타이밍(2)을 어드레스 카운터(602)로 출력한다. 어드레스 로드타이밍(2)이 어드레스 카운터(602)에 입력되면, 제 2 어드레스 기억회로(906)의 어드레스값이 어드레스 카운터(602)에 입력된다. 그리고, 어드레스 카운터(602)의 카운터는, 제 2 어드레스 기억회로(906)의 값에 세트된다.
도 12는, 액세스 어드레스 제어회로(209)에 있어서의 신호발생 타이밍을 나타낸 타이밍챠트이다.
프레임 검출신호는, 액세스 어드레스 제어회로(209)에 입력되면, 동기화되어 어드레스 로드타이밍(1)이 출력된다. 프레임 어드레스 관리회로(210)에 기억되어 있는 어드레스값은, 제 1 의 오프셋가산기(904)와 제 2 오프셋가산기(905)에 있어서 다른 오프셋값(A와 B)이 가산되어, 제 1 어드레스 기억회로(903) 및 제 2 어드레스 기억회로(906)에 각각 기억된다.
도 1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컨대 프레임 어드레스 관리회로(210)에 기억되어 있는 어드레스값이 02이며, 제 1 오프셋가산기(904)에 의해 가산되는 오프셋값을 05로 한다. 그리고 제 2 오프셋가산기(905)에 의해 가산되는 오프셋값이 33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한다면, 제 1 어드레스 기억회로(903)와 제 2 어드레스 기억회로(906)에 기억되는 어드레스 값은, 07(=05+02)과 35(=33+02)가 된다. 그 후, 어드레스 카운터(602)의 카운터값이, 제 1 어드레스 기억회로(903)에 기억된 어드레스 값 07과 같은 값이 되면, 비교기(902)로부터 어드레스 로드타이밍(2)이 어드레스 카운터(602)에 출력된다. 어드레스 카운터(602)는, 어드레스 로드타이밍(2)이 입력되면, 카운터의 값을, 제 2 어드레스 기억회로(906)의 어드레스 값인 35로 이행한다.
요컨대, 어드레스 카운터(602)의 카운터값이, 제 1 어드레스 기억회로(903)의 어드레스 값에 달하면, 카운터값을 제 2 어드레스 기억회로(906)의 값에 스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버퍼메모리(108)에의 액세스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1의 액세스어드레스 제어회로(209)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프셋값을 프레임 데이터길이의 정수배로 설정함으로써 프레임 단위에서의 액세스가 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제 1 오프셋가산기(904)의 오프셋값으로서 영상음성 프레임사이즈 N을 설정하고, 제 2 오프셋가산기(905)의 오프셋값으로서 4배의 영상음성 프레임사이즈 4N을 설정한다. 그러면,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는, 3프레임마다 액세스할 수 있는 영상음성 재생장치가 된다. 도 13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자기디스크 장치의 버퍼메모리(108)에 있어서의 스킵 액세스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퍼메모리상의 액세스 어드레스(어드레스 카운터(602))가, 제 1 어드레스 기억회로(903)에 기억되어 있는 어드레스 값에 달하면, 액세스 어드레스는, 3N분의 프레임 데이터를 뛰어넘어 제 2 어드레스 기억회로(906)에 기억되어 있는 어드레스값으로 스킵한다.
어드레스카운터(602)의 값이, 액세스어드레스 제어회로(209)에 의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갱신되기 때문에,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는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에서의 데이터 액세스가 가능하게 되며, 건너뜀 액세스 등의 처리가 실현된다.
〔데이터 출력타이밍 제어회로(211)〕
다음에, 실시예1의 AV 데이터 처리회로(112)에 있어서의 데이터출력타이밍 제어회로(211)(도 2)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의 데이터출력 타이밍 제어회로(211)는, 버퍼메모리(108)로부터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 회로(105)에 출력할 수 있는 데이터에 있어서의 타이밍을 조정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도 14는, 데이터출력 타이밍 제어회로(211)와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회로(205)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출력 타이밍 제어회로(211)는, 카운터(1301), 비교기(1302), 타이밍 정보기억부(1303) 및 FIFO 메모리(13O4)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회로(205)에 있어서 검출된 프레임 검출신호는, 데이터와 함께 FIFO 메모리(1304)에 입력된다. FIFO 메모리(1304)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와 프레임 검출신호는, 클럭에 동기하여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 회로(105)에 대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 때, 프레임 검출신호는 카운터(1301)에 대하여 동기리세트를 건다. 카운터(1301)에 동기리세트가 걸리면 카운터값은 0이 된다.
그 후, 카운터(1301)는 클럭에 동기하여 카운트업하고, 타이밍 정보기억부(1303)에 기억된 복수의 타이밍정보와 카운터(1301)의 카운터값을 비교기(1302)로 비교한다.
타이밍 정보기억부(1303)에는, FIFO 메모리(1304)로부터 취해진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늦추는 타이밍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카운터(1301)의 카운터값이 그 타이밍 정보기억부(1303)에 기억되어 있는 타이밍정보와 일치하였을 때, FIFO 메모리(1304)로부터 출력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데이터 웨이트신호를 비교기(1302)로부터 출력한다.
데이터 웨이트신호는, FIFO 메모리(1304)의 리드 인에이블 신호로서 사용됨과 동시에,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 회로(105)에 대하여도 출력할 수 있다. FIFO 메모리(1304)에 리드 인에이블 신호인 데이터 웨이트신호가 입력되면, 데이터 웨이트신호가 하이(H)출력시, 외부 기기에의 출력데이터가 효율적으로 되어, 데이터가 FIFO 메모리(1304)로부터 취해진다.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회로(105)에 출력할 수 있는 데이터 웨이트신호는,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회로(105)에의 데이터전송의 인에이블 신호로서 사용되어, 데이터 웨이트신호가 하이(H)출력인 경우만 출력데이터가 효율적으로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데이터출력 타이밍 제어회로(211)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기기에 출력할 수 있는 데이터는, 타이밍 정보기억부(1303)에 설정된 데이터타이밍으로 조정되어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1의 디스크 장치에는, 이러한 데이터 출력타이밍 제어회로(211)가 설치되기 때문에,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는 영상음성의 프레임주기로, 데이터를 외부 기기가 요구하는 타이밍(혹은 주파수)으로 조정하여 데이터 출력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06)는 외부 기기부터의 커맨드, 파라미터 등을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회로(105) 및 CPU 인터페이스회로(107)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커맨드를 해석하여 버퍼메모리 제어회로(109), 신호 처리회로(110) 및 액튜에이터 구동회로(111)를 제어한다. 그리고, CPU (106)는 외부 기기와 버퍼메모리 (108) 사이의 데이터전송, 버퍼메모리(108)와 자기디스크(101)와의 사이의 데이터 기입/판독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응답을 요하는 커맨드가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경우에는, CPU 인터페이스회로(107) 및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회로(105)를 통해 외부 기기에 대하여 커맨드 응답을 한다.
각종 커맨드에 대한 동작에 있어서는, 커맨드마다 후술한다.
버퍼메모리 제어회로(109)는, 버퍼메모리(108)에 대한 영상음성 데이터의 입출력제어를 행하고 있으며, 그 데이터의 입출력제어는 CPU(106)로부터 통지된 전송데이터 사이즈 및 전송데이터 격납어드레스에 기초하여 행하여진다. 버퍼메모리 제어회로(109)는, 버퍼메모리(108)로의 액세스를 CPU인터페이스회로(107), AV데이터 처리회로(112), 신호 처리회로(110) 및 RAM의 리프레시의 최대 4채널의 버스로부터의 액세스를 조정제어하고 있다.
도 15는 버퍼메모리 제어회로(109)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퍼메모리 제어회로(109)는, RAM 라이트 데이터래치(601), 어드레스 카운터(602) 및 액세스 어드레스 제어수단인 액세스 어드레스회로(209)를 구비하고 있다.
RAM 라이트 데이터래치(601)는, 데이터셀렉터(7401), 출력 데이터 카운터 (7403), 데이터기억부(7402)로 구성되어 있다.
출력 데이터 카운터(7403)는 버퍼메모리(108)에서 판독하는 데이터를 카운트하고, 데이터기억부(7402)는 기입데이터를 일단 버퍼링한다. 데이터셀렉터(7401)는, 버퍼메모리(108)로 액세스하는 버스의 셀렉터이다. 어드레스카운터(602)는 버퍼메모리(108)의 액세스어드레스를 생성한다.
도 16은, 도 15 및 도 10에 나타낸 액세스어드레스 제어회로(209)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블럭도이다.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는, CPU(106)로부터 어드레스 카운터(602)에 대하여 액세스어드레스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자기디스크 장치의 CPU(106)는, 제 1 어드레스 레지스터와 제 2 어드레스 레지스터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어드레스 레지스터로 설정된 어드레스값은, 비교기에 있어서 어드레스 카운터(602)의 출력과 비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비교기가 어드레스카운터(602)의 출력과 제 2 어드레스 레지스터의 어드레스값이 같게 되면, 제 1 어드레스 레지스터의 어드레스값이 어드레스 카운터의 카운터값에 로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결과,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는 버퍼메모리(108)에 대하여 링버퍼 구성으로 액세스가능하게 된다.
도 17은 실시예1에 있어서의 버퍼메모리 제어회로(109)내에 수납되어 있는 출력 데이터 카운터(7403)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에 있어서, 버퍼메모리(108)로부터 출력할 수 있는 데이터는, FIFO 메모리(7201)에 입력된다. FIFO 메모리(7201)에 격납된 데이터는, 클럭수단(도시않함)으로부터 입력된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신호 처리회로(110)(도 1)에 출력할 수 있다. 카운터(7202)는, 전원투입시에 카운터값을 0으로 되돌리고, 그후,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카운트업시킨다. 비교기(7204)는, 카운터(7202)의 카운터값과 기준정보 기억부(7203)에 기억된 DV포맷의 영상음성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터수(120,000Byte)를 비교한다. 그 비교결과가 같은 경우에는, 비교기(7204)는 CPU(106)에 대하여 신호를 출력한다. 비교기(7204)는, 동시에, 카운터(7202)에 대하여 동기리세트를 건다. 카운터(7202)는, 이 동기리세트에 응답하여 카운터값을 0으로 되돌리고, 그 후,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카운트업시킨다.
〔영상음성 데이터의 관리방법〕
다음에, 자기디스크(101)에 기록된 영상음성 데이터에 대한 관리방법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8은 자기디스크(101)의 기록영역 음성 데이터의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디스크(101)의 기록영역데이터뿐만 아니라, 자기디스크(101)의 기록영역에 있어서의 선두 어드레스(a점)에서,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c점)의 사이의 기록영역에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역정보(관리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기록영역 관리수단으로서의 CPU(106)는,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역정보로서, 자기디스크(101)의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선두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c점),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d점) 및 미기록영역 선두 어드레스(e점)를 관리하고 있다.
CPU(106)는, 자기디스크 장치의 기동처리 및 초기화의 종료후, 상술의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에 관한 영역정보를 판독하고, 그 영역정보를 CPU(106)에 내장하고 있는 랜덤액세스 메모리(이하, 내장 RAM이라 약칭함)에 기억한다.
도 18에 있어서, 기록매체인 자기디스크(101)에 영상음성 데이터가 전혀 기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미사용인 경우)에는, d점과 e점은 c점과 동일한 위치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 신규로 영상음성 데이터가 자기디스크(101)에 기입되는 경우에는 c점에서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입이 개시된다.
상기와 같이, 자기디스크(101)의 기록영역에 있어서의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미사용 상태에서 영상음성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항상 특정위치에서 기록을 개시할 수 있다.
어드레스 관리수단으로서 기능하는 CPU(106)는, 기록 또는 재생하고 있을 때에 있어서, 그 때의 자기디스크(101)상의 어드레스를 관리하고 있다. 또한, CPU(106)는, 기록 또는 재생하지 않고 있을 때, 다음에 기록 또는 재생해야할 자기디스크(101)상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포인터를 관리하고 있다.
도 19는 자기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일련의 기동/초기화 처리종료후에 있어서의, 자기디스크(101)의 기록영역의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드레스 포인터(50)는, 내장 RAM에 기억되어 있는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선두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c점)와 동일한 어드레스가 되도록 세트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는 어드레스 관리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 기기로부터 기록 또는 재생중의 현재위치(절대 트랙번호, 또는 타임코드)의 문의가 있었을 때, 즉시 대답할 수 있다.
DV포맷의 영상음성 데이터는, 1영상음성 프레임당 120,000Byte이다. DV 데이터의 1영상음성 프레임을 자기디스크(101)의 섹터 단위에 양자화하기 위해서는,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에 스터핑 바이트(stuffing bytes)(부가데이터: additional data)를 부가해야 한다. 실시예1에 있어서는, 2,880Byte의 스터핑 바이트(부가데이터)를 부가하고 122,880Byte의 기록프레임 데이터를 생성하였다. 이 122,880Byte의 기록프레임 데이터를 240섹터로 하여, 1프레임 데이터의 기록 단위로 하였다.
〔 커맨드 처리]
다음에,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가 외부 기기부터의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의 접수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0은,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의 커맨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20의 스텝1에 있어서, 외부 기기부터의 커맨드를 수신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커맨드가 수신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커맨드가 입력될 때까지 스텝1의 처리를 되풀이한다.
한편, 커맨드가 수신되어 있는 경우에는, 자기디스크(101)로부터 데이터의 판독을 개시하기 전에, 이하에 설명하는 리스폰스 처리 (response processing)및 준비처리(preparation processing)를 실행한다.
도 20의 스텝2의 리스폰스 처리에 있어서, 우선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 회로(105)(도 1)로부터 수신한 커맨드가 판독된다. CPU(106)는, 판독된 커맨드에 에러가 없는지를 해석한다. 그 해석 결과는 리스폰스로서 해당 커맨드를 송신한 외부 기기에 통지된다(스텝3).
수신한 커맨드에 에러가 없고(스텝4), 또한 외부 기기가 정상으로 자기디스크 장치부터의 리스폰스를 수신한 것을 확인한다(스텝5). 다음에, 스텝6에 있어서, CPU(106)는, 자기디스크 장치의 현재의 동작상태로부터 수신한 커맨드를 실행할 수 있는지의 판단을 한다.
커맨드를 실행가능한 경우에는, CPU(106)은 외부 기기에 대하여 수신한 커맨드를 실행가능하다는 것을 통지한다(스텝7). 또한 자기디스크(101)의 동작상태에 의해 커맨드 실행이 불가능하면 그 취지를 외부 기기에 통지한다(스텝8).
스텝9에 있어서, 외부 기기가 자기디스크 장치부터의 커맨드 실행가능통지를 정상으로 수신한 것을 확인하고, 또한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한 실행가능통지에 대한 리스폰스가 해석된다.
스텝10에 있어서, 상기의 리스폰스처리가 정상으로 종료하여, 수신한 리스폰스에 에러가 없는 것을 확인하면, 수신한 커맨드에 따라서 이하에 설명하는 준비처리를 실행한다.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한 커맨드가, 예컨대 재생계(PLAY, 특수재생을 포함한다) 또는 검색계(Search)의 커맨드이면, 다음과 같은 준비처리를 한다.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회로(105)가 접속된 버스상에 영상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서, 그 버스의 대역이나 채널을 관리하는 관리 기기에 대하여 송신채널의 취득처리와 송신하고 싶은 영상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필요한 대역의 취득처리를 실행한다.
수신한 커맨드가 기록(REC)인 경우, 영상음성 데이터를 출력중의 외부 기기에 대해서는, 그 영상음성 데이터의 출력이 다른 외부 기기에 의해 방해되지 않도록, 접속상태를 유지하는 커넥션 확립 처리(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ssing)를 실행한다.
수신한 커맨드가 정지(STOP)인 경우, 그 시점에서 실행하고 있는 커맨드에 따른 처리를 할 필요가 있다. 즉, 재생계(특수재생을 포함한다)의 커맨드를 실행하고 있었으면, 전술한 관리 기기에 대하여 취득한 대역이나 송신채널의 반환 처리(returning processing)를 실행한다. 또한, 수신한 커맨드가 정지(STOP)인 경우에 기록을 실행중이면, 커넥션절단 처리(disconnection processing)가 실행된다.
상기와 같이, 커맨드에 따른 준비처리가 정상적으로 종료하면, CPU(106)는 이하에 나타낸 커맨드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기록개시(REC) 커맨드〕
다음에 기록개시(REC) 커맨드에 대응한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기록개시(REC)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의 초기화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21의 스텝6901에 있어서, CPU(106)는, 전술한 도 1에 나타낸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 회로(105), AV 데이터 처리회로(112) 및 버퍼메모리 제어회로(109)를 제어하여 다음과 같은 수신개시처리를 실행한다.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 회로(105)는, CPU(106)부터의 수신개시요구에 따라서 외부 기기에 대한 데이터전송의 핸드쉐이크를 개시한다.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어 온 데이터로부터, IEEE 1394 버스상의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CIP(Common Isochronous Packet) 헤더 등의 헤더부분을 제거하여,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만을 AV 데이터 처리회로(112)에 전송한다.
AV 데이터 처리회로(112)는, CPU(106)으로부터의 설정에 따라서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회로(105)에서의 데이터 전송접수를 개시한다. 입력데이터로부터 영상음성 프레임경계를 검출하여, 프레임 검출신호를 카운트하여 데이터량이 카운트된다. 필요에 따라서 AV데이터 처리회로(112)는, 프레임 어드레스의 관리 및 액세스 제어를 행한다. 입력데이터는, 그대로 버퍼메모리 제어회로(109)에 전송되고, 버퍼메모리(108)에 격납된다.
버퍼메모리 제어회로(109)는, CPU(106)에서의 설정에 따라서, AV 데이터 처리회로(112)로부터의 데이터 접수를 개시하고, 버퍼메모리(108)로의 액세스제어를 개시한다. 또한, CPU(106)는, 버퍼메모리 제어회로(109)의 액세스 어드레스 제어회로(209)에 대하여, 영상음성 데이터를 격납할 버퍼메모리(108)상의 선두 어드레스 및 최종 어드레스를 통지하고, 링버퍼 구성을 설정한다. AV 데이터 처리회로(112)로부터의 데이터는, 버퍼메모리(108)상에 구성된 링버퍼 영역에 기입된다.
최종어드레스에 데이터가 기입되면, 후속의 데이터는 링버퍼 영역의 선두 어드레스에서 순서대로 기입된다.
도 22는 버퍼메모리(108)에 격납된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배치를 나타낸다. AV데이터 처리회로(112)는, 검출한 영상음성 프레임경계(A,B,C, ‥‥)에 대응하는 버퍼메모리(108)상의 어드레스(프레임 어드레스)를 CPU (106)에 통지한다. CPU(106)는, 그 프레임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일시기억한다.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회로(105), 버퍼메모리 제어회로(109) 및 AV 데이터 처리회로(112)는, CPU(106)부터의 수신정지요구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의 처리를 되풀이하여 실행한다.
도 21의 스텝6902에 있어서, CPU(106)는 AV 데이터 처리회로(112)의 송수신 데이터량 산출회로(208)(도 2)가 산출한 송수신 데이터량을 확인한다.
도 21의 스텝6903에 있어서, CPU(106)는 버퍼메모리(108)에 대한 프레임 격납수가 소정의 기입개시 프레임 수에 달했는지 어떤지를 확인한다. 프레임 격납수가 소정의 기입개시 프레임 수에 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6902에 되돌아가, 프레임 격납수의 확인처리를 되풀이하여 실행한다.
도 21의 스텝6903에 있어서, 프레임 격납수가 소정의 기입개시 프레임 수에 달한 경우에는, 스텝6904에 있어서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자기디스크(101)에 대한 기입처리를 시작한다.
〔자기디스크에 대한 기입처리〕
다음에, 그 자기디스크(101)에 대한 기입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퍼메모리(108)에는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가 배치되어 있다.
도 22에 나타낸 데이터 배치상태에 있어서, 우선, 버퍼메모리 제어회로(109)에 대하여 버퍼메모리(108)부터의 판독 개시 어드레스로서 경계(A)에 대응하는 프레임 어드레스를 통지한다.
한편, 도 1에 나타낸 액튜에이터 구동회로(111) 및 신호 처리회로(110)에 대해서는, 자기디스크(101)에의 240섹터분의 데이터기입 요구를 발행한다. 이들 액튜에이터 구동회로(111)와 신호처리회로(110)와의 협조동작에 의해서, 버퍼메모리(108)상의 경계(A)에 대응하는 프레임 어드레스의 위치로부터 240섹터분의 1프레임 데이터가 자기디스크(101)에 기입된다. 이 때, 버퍼메모리(108)상의 판독 포인터는, 다음 경계(B)를 넘어가서 도면의 파선의 위치까지 진행한다.
다음에, 버퍼메모리 제어회로(109)에 대하여 버퍼메모리(108)부터의 다음 판독 개시 어드레스로서, 경계(B)에 대응하는 프레임 어드레스를 통지한다. 또한, 액튜에이터 구동회로(111) 및 신호 처리회로(110)에 대하여 자기디스크(101)에 대한 240섹터분의 데이터기입 요구를 발행한다. 이들 액튜에이터 구동회로(111)와 신호처리회로(110)와의 협조동작에 의해서, 버퍼메모리(108)상의 경계(B)에 대응하는 프레임 어드레스의 위치에서 240섹터분의 1프레임 데이터가 자기디스크(101)에 기입된다. 이 때, 버퍼메모리(108)상의 판독 포인터는, 다음 경계(C)를 넘어 도면의 파선의 위치까지 진행된다.
이상의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버퍼메모리(108)에 연속하여 격납된 영상음성 데이터는, 스터핑 바이트(부가데이터) 2,880Byte를 포함하는 122,880 Byte(240섹터)의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분할하여 자기디스크(101)에 기입된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행하여지는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의 기입처리는, 버퍼메모리 제어회로(109)로부터 CPU(106)에 대하여 통지되는 전송종료통지를 트리거로서 개시된다.
자기디스크(101)상의 기록개시 위치는, 전술의 어드레스 포인터(50)(도 19)에 의해서 결정된다.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는 기동후에 있어서,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드레스 포인터(50)가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선두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c점)와 동일하다. 이 상태에 있어서, 기록개시(REC)가 지시되면, 자기디스크(101)상의 c점이 기록개시 어드레스로서 선택된다.
또한, 이미 자기디스크(101)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음성 데이터를 저장한 채로, 그 위에 영상음성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부가 기록 처리: additional recording)나, 영상음성 데이터를 자기디스크(101)에 기록한 뒤에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개시 위치(c점)로부터 새롭게 영상음성 데이터를 기록하는(덮어쓰기 처리: overwriting processing) 경우에는, 외부 기기부터의 REC 커맨드를 처리하기 전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FF 커맨드(빨리감기 커맨드 : fast forward command)나 REW 커맨드(되감기 커맨드: rewind command)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부가 기록 처리〕
이하, 부가 기록처리에 관해서, 도 23, 도 24 및 도 2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자기디스크상의 기록영역에서의 데이터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4는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부가 기록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25는 부가 기록처리에 있어서의 자기디스크상의 데이터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가 부가 기록처리를 행하는 경우, FF 커맨드(빨리감기 커맨드)를 수신하면, 어드레스 관리수단으로서의 CPU(106)는 어드레스 포인터(50)가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d점)로 설정된다(도 23 및 도 24의 스텝1).
다음에, REC 커맨드를 수신(도 24의 스텝2)하면, 기록 제어수단으로서의 CPU(106)은 현재의 어드레스 포인터(50)가 기록완료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d점)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도 24의 스텝3).
어드레스 포인터(50)가,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d점)와 같은 값인 경우에는, CPU(106)는, 어드레스 포인터(50)의 값을 내장 RAM상에 기억되어 있는 미기록영역 선두 어드레스(e점)와 같은 값으로 설정한다(도 24의 스텝4).
이상과 같이 어드레스 포인터(50)의 값을 미기록영역 선두 어드레스(e점)와 같은 값으로 설정하고,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드레스 포인터(50)를 부가 기록처리에 있어서의 기록개시 위치를 설정하고, REC 커맨드(기입 커맨드)를 실행한다.
〔덮어쓰기 처리〕
다음에,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덮어쓰기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어드레스 관리수단으로서의 CPU(106)는, REW 커맨드(되감기 커맨드)를 수신하면, 어드레스 포인터(50)를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선두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도 23에 있어서의 c점)의 값으로 설정된다.
이어서, 외부 기기로부터 기록(REC)이 지시되면, CPU(106)는,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선두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c점)를 기록개시 어드레스로서 선택하고,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처리함으로써, 이미 기록되어 있는 영상음성 데이터를 삭제하지 않고, 소망하는 위치에서 덮어쓰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부가 기록처리나 덮어쓰기를 행하는 경우, 자기디스크상의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역정보와 어드레스정보를 이용하여 기록처리를 행함으로써, 부가 기록처리나 덮어쓰기 처리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어드레스 포인터(50)를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선두/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어드레스의 값에 세트하기 위한 커맨드는, FF(빨리감기)/REW(되감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신규에 커맨드를 준비하고, 그 커맨드에 의해 실현하더라도 좋다.
〔분할 기록방법〕
다음에, 버퍼메모리(108)에 연속하여 입력된 영상음성 데이터를 자기디스크 (101)에 대하여 분할하여 기록하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퍼메모리(108)에는 DV 포맷의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가 격납되고, 배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CPU(106)는 버퍼메모리(108)부터의 판독 개시 어드레스로서 프레임 어드레스를 순서대로 지정하여 간다. 지정된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는, 순서대로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분할되어 자기디스크(101)에 기입된다.
〔기록계속 처리〕
다음에,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자기디스크(101)에 대한 기록계속처리에 관해서 도 2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6은 실시예1의 기록계속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판단 스텝2101에 있어서, 자기디스크(101)에 대한 기입처리가 종료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기입이 종료된 경우에는, 처리 스텝2102에 있어서 기입 프레임 수를 갱신(1프레임분 가산)한다.
처리 스텝2103에 있어서, AV 데이터 처리회로(112)(도 2)에 있어서 송수신 데이터량 산출회로(208)가 산출한 송수신 데이터량인 프레임 격납 수를 확인한다.
판단 스텝2104에 있어서, 버퍼메모리(108)의 격납프레임수로부터 기입완료 프레임 수를 감산하여 버퍼메모리(108)상의 미기입 프레임 수를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미기입 완료 프레임수가 소정의 기입개시 프레임 수 이상인지 어떤지를 확인한다. 미기입 프레임수가 기입개시 프레임 수 이상인 경우에는, 처리 스텝2106에 있어서 미기입 프레임의 중의 선두 프레임에 대한 기입개시 처리를 실행한다.
판단 스텝2107에 있어서, 정지(STOP) 또는 기록 대기(REC PAUSE) 커맨드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수신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판단 스텝2101로 되돌아가, 상기의 기록계속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판단 스텝2107에 있어서, 정지 또는 기록 대기의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에는 후술하는 기록정지 처리를 실행한다.
〔기록정지 처리〕
도 27은 자기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기록정지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실시예1의 기록정지 처리에 관해서 도 2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처리 스텝2201에 있어서,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회로(105)(도 2) 및 AV 데이터 처리회로(112)의 데이터수신처리를 정지한다.
판단 스텝2202에 있어서, 자기디스크(101)에 대한 기입처리가 종료하고 있는지 어떤지를 확인한다. 기입이 종료된 경우에는, 처리 스텝2203에 있어서 기입 프레임 수를 갱신(1프레임분 가산)한다.
판단 스텝2205에 있어서, 자기디스크(101)에 기입을 개시하고 있지 않은 미기입 개시 프레임이 버퍼메모리(108)에 있는지 어떤지를 확인한다. 미기입 개시 프레임이 있는 경우에는, 처리 스텝2205에 있어서 자기디스크(101)에 대한 기입개시 처리를 실행한다.
판단 스텝2206에 있어서, 기입을 완료하지 않는 영상음성 프레임이 버퍼메모리(108)에 격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기입을 완료하지 않은 영상음성 프레임이 버퍼메모리(108)에 격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판단 스텝2202에 되돌아가, 상기의 스톱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정지(STOP) 또는 기록 대기(REC PAUSE)가 기록정지가 지시되고, 상기의 자기디스크(101)에 대한 기록정지 처리가 종료하면, CPU(106)는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예컨대 도 18에 나타낸 영상음성 데이터의 격납상태에 있어서, 버퍼메모리(108)에 남은 마지막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를 d점에서 기록하는 경우, CPU(106)는 내장RAM상에 기억되어 있는 포인터 어드레스(50)를,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 기록개시 어드레스(d점)와 같은 값으로 갱신한다.
기록영역 관리수단으로서의 CPU(106)는, 영상음성 데이터의 자기디스크(101)상으로의 기록처리가 완료하면, 내장RAM상에 기억하고 있는 상술의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역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갱신한 내장RAM상의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역정보는 자기디스크(101)에 기록된다. 갱신한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역정보가 자기디스크(101)로의 기입이 완료한 시점에서 기록정지 또는 기록대기의 처리가 완료된다.
실시예1에서는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역정보사이즈를 일정하게 하고 있다. 그 때문에,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선두프레임 데이터 기록개시 어드레스는, 항상 c점이 된다. 한편,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 및 미기록 영역의 선두어드레스는 디스크(11)상에 기록한 영상음성 데이터량에 의해서 변화한다.
도 28은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를 갖는 기록영역에 새롭게 영상음성 데이터를 기록한 경우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컨대, 이미 미기록영역의 선두어드레스(e점) 직전의 어드레스까지 영상음성 데이터가 기록된 상태에 있어서, 또한 e'점의 직전까지 새로운 영상음성 데이터를 기록한 경우(부가 기록),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역정보는, 아래와 같이 갱신된다.
〔영역정보의 갱신처리〕
도 29는,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역정보의 갱신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기록정지 또는 기록대기의 지시를 받았을 때, 예컨대 자기디스크(101)상의 기록영역의 e'점의 직전까지 영상음성 데이터가 기록되었다고 한다(도 29의 스텝1).
다음에, 기록영역 관리수단으로서의 CPU(106)는, 내장 RAM상에 기억된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에 있어서의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d점)와, 새롭게 기록한 영상음성 데이터에 있어서의 최종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d'점)와의 비교를 행한다(스텝2).
비교의 결과, 새롭게 기록한 영상음성 데이터에 있어서의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인 d'점의 위치가 d점의 위치보다 큰 경우(도 28에 있어서 d'점의 위치가 d점의 위치보다 오른쪽방향으로 있는 경우)에는,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역정보를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를 d점에서 d'점으로 갱신하고, 미기록영역 선두 어드레스를 e점에서 e'점에 갱신한다(스텝3). 또한 갱신한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역정보를 자기디스크(101) 상에 기록한다(스텝4).
상기의 갱신처리의 결과,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역정보에는, 도 28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점, b점, c점 및 d점의 각 위치가 기록된다.
한편,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미 미기록영역의 선두어드레스(e점)직전의 어드레스까지 영상음성 데이터가 기록완료의 상태에 있어서, 새롭게 c점에서 e'점의 직전까지 영상음성 데이터를 기록한 경우(덮어쓰기)에는,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역정보는 갱신되지 않는다. 즉, 영역정보에 있어서,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어드레스는 d점, 미기록영역의 선두 어드레스는 e점인 상태가 된다.
실시예1에 있어서는, 이미 기억되어 있는,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에 있어서의 최종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와, 새로운 영상음성 데이터에 있어서의 최종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어드레스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를 기초로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갱신처리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실시예1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상기와 같은 비교를 하지 않고 기록정지마다,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에 있어서의 최종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어드레스와 미기록영역의 선두어드레스와의 2개의 어드레스정보를 갱신하여도 좋다. 이 경우, 기록하는 시간에 상관없이 가장 최근 기록한 영상음성 데이터에 관해서만의 영역정보를 기억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록영역정보의 갱신방법은, 목적에 따라서 전환가능하게 구성하여도 좋고, 상기 실시예1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재생개시(PLAY) 커맨드〕
다음에, 재생개시(PLAY) 커맨드에 대응한 디스크 장치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2는 재생개시(PLAY) 커맨드를 받았을 때의 미리읽기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우선,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가 재생개시(PLAY) 커맨드를 받았을 때, 도 32에 나타내는 미리읽기 처리(look-ahead processing)를 실행한다.
CPU(106)는, 도 32의 처리 스텝2701에서, 자기디스크(101)상의 재생개시위치로서, 전술의 기록개시 위치의 경우와 같이 어드레스 포인터(50)의 위치에 대응하는 어드레스를 선택한다.
자기디스크 장치의 기동후에 있어서, 어드레스 포인터(50)는, 어드레스관리수단으로서의 CPU(106)에 의해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선두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c점)와 동일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점이 재생개시 위치로서 선택된다.
후술한 바와 같이, 재생개시(PLAY) 커맨드 전에 빨리감기(FF) 커맨드를 수신하면, 어드레스 관리수단으로서의 CPU(106)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드레스 포인터(50)를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d점)와 일치시키므로,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선두어드레스가 재생개시 위치가 된다.
어드레스 포인터(50)가 d점(도 23)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역전재생의 지시를 받으면,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로부터 순서대로 역전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32의 처리 스텝2702에 있어서, CPU(106)가 데이터의 판독의 지시를 발행하고, 각 회로가 하기와 같은 처리를 실행한다.
우선, 액튜에이터 구동회로(111) 및 신호 처리회로(110)의 협조동작에 의하여, 자기디스크(101)로부터 판독된 영상음성 데이터가 버퍼메모리(108)에 격납된다. 버퍼메모리 제어회로(109)는, 버퍼메모리(108)에 소정수의 영상음성 데이터를 격납한 시점에서 CPU(106)에 대하여 판독 종료를 통지한다.
이 때, CPU(106)는, 버퍼메모리 제어회로(109)(도 1)에 대하여, 도 33에 나타낸 버퍼메모리(108)상의 경계(A)의 어드레스로부터 판독 데이터를 격납하도록 지시한다. 도 33은, 버퍼메모리(108)에 있어서의 영상음성 데이터의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3에 있어서의 번호첨부 화살표(1)에서 (9)는, 판독 순서와 그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버퍼메모리 제어회로(109)는, 신호처리회로(110)로부터 수신된 영상음성 데이터를 경계(A)의 어드레스로부터 버퍼메모리(108)에, 도 33의 번호첨부화살표(1)의 방향으로 순서대로 격납한다.
CPU(106)는, 판단 스텝2703(도 32)에 있어서, 버퍼메모리 제어회로(109)부터의 판독 처리종료통지가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확인된다. 판독 처리 종료 통지가 있는 경우에는, 처리 스텝27O4에 있어서, 프레임 격납 수를 갱신(1프레임분 가산)하고 기억한다.
한편, 판독 처리 통지가 없는 경우에는, 도 32의 판단 스텝2705에 있어서, CPU(106)는, 소정수의 미리읽기 프레임수의 판독 처리를 개시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판독 처리가 소정수의 미리읽기 프레임 에 미치지 못한 경우에는, 처리 스텝2706에 있어서, 다음 영상음성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판독 처리의 개시를 각 회로에 요구한다. 이 때, CPU(106)는, 버퍼메모리 제어회로(109)에 대하여, 판독 데이터를 버퍼메모리(108)의 경계(B)의 어드레스로부터 격납하도록 지시한다. 경계(B)의 어드레스는, 기록시에 부가된 부가데이터(예컨대, 스터핑 바이트;2880바이트)의 선두데이터에 대응하는 어드레스이다.
판독 데이터를 버퍼메모리(108)의 경계(B)의 어드레스로부터 격납하는 경우,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퍼메모리 제어회로(109)는, CPU (106)의 지시를 수신하여 버퍼메모리(108)의 기입 포인터를 경계(B)에 되돌리고(도 33의 화살표(2)), 신호처리회로(110)로부터 수신된 영상음성 데이터를 경계(B)의 어드레스로부터 순서대로 격납한다(도 33의 화살표(3)).
이후, 마찬가지로 영상음성 프레임마다 기입 포인터를 화살표(4), (6) 및 (8)의 방향으로 실행한다. 이 때문에, 버퍼메모리(108)상에는, 해당 영상음성 데이터가 REC 커맨드에 의해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한 상태로 순서대로 기록된다.
도 32의 판단 스텝2707에 있어서, CPU(106)는, 프레임격납수가 소정의 미리읽기 프레임 수 이상으로 된 경우에, 미리읽기 처리가 종료하였다고 판단한다. 미리읽기가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는, 판단 스텝2703에 되돌아가, 미리읽기 처리를 계속한다.
처리 스텝2708에 있어서, 버퍼메모리 제어회로(109) 및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 회로(105)를 제어하여, 외부 기기에 대한 버퍼메모리(108)에 격납된 영상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이하에 서술하는 송신처리를 개시한다.
송신처리는,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버퍼메모리(108)에 격납된 영상음성 데이터는, 영상음성 프레임검출회로 (205)에 보내여진다.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회로(205)는, 상술과 같이 영상음성 프레임경계의 검출처리를 시작한다.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회로(205)의 프레임검출신호는, 영상음성 데이터와 함께 데이터출력 타이밍 제어회로(211)에 보내여진다. 데이터출력 타이밍 제어회로(211)로서는, 프레임검출신호에 동기하여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 회로(105)에 데이터를 출력하는 타이밍을 조절한다. 데이터출력 타이밍 제어회로(211)는,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출력타이밍을 프레임경계의 검출타이밍에 동기시키고 있다.
자기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각 회로는, CPU(106)부터의 송신정지 요구가 발생할 때까지, 송신 처리를 계속한다.
다음에, 도 32에 나타낸 미리읽기 처리종료후의 재생 계속 처리에 관해서, 도 3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4는 실시예1에 있어서의 재생 계속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34의 판단 스텝2801에 있어서, CPU(106)는 자기디스크(101)부터의 영상음성 프레임의 판독 처리가 종료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판독 처리가 종료한 경우에는, 처리 스텝2802에 있어서, 판독 프레임 수를 갱신(1프레임분 가산)하여 기억한다.
한편, 판독 처리가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는, 도 34의 처리 스텝2803에 있어서, AV 데이터 처리회로(112)의 송수신 데이터량 산출회로(208)가 산출한 송수신 데이터량을 판독된다.
도 34의 판단 스텝2804에 있어서, 버퍼메모리(108) 판독 프레임 수에서 송신 프레임 수를 감산하고, 버퍼메모리 프레임 수에 있어서의 미송신 프레임 수를 산출한다. 미송신 프레임수가 소정의 판독 개시 프레임 수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다음의 영상음성 프레임에 대한 판독 처리를 개시한다(처리 스텝2805).
판단 스텝2806에 있어서, 정지(STOP) 커맨드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정지(STOP) 커맨드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판단 스텝2801에 되돌아가, 재생계속처리를 계속한다.
정지(STOP)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의 송신정지동작에 대하여 도 35에 나타낸 송신정지처리를 실행한다.
도 35의 처리 스텝2901에 있어서,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 회로(105), AV데이터 처리회로(112) 및 버퍼메모리(108)를 제어하여 송신정지 처리를 실행한다.
도 35의 판단 스텝2902에 있어서, 자기디스크(101)로부터 판독 처리중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판독 처리중인 경우에는, 처리 스텝2903에 있어서, 판독 종료통지를 판독된다.
판단 스텝2904에 있어서, 판독 처리가 종료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판독 처리가 종료하지 않은 상태이면, 처리 스텝2903으로 되돌아가, 반복하여 판독 종료 통지를 판독하고, 판독 종료 확인을 행한다.
실시예1에 있어서는, 재생데이터로서, 우선 가상 자기헤드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프레임번호를 #0으로 한다)를 선택하고 있다. 실시예1에 있어서의 하드디스크 장치인 자기디스크 장치는, 외부 기기로부터 PLAY 커맨드에 대응한 재생방향 및 재생속도 정보 등의 부가정보를 수신한다. 이들 부가정보에 따른 재생데이터 선택방법에 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또, 재생방향 및 재생속도 정보에 대응하여 선택된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는, 부가데이터도 포함시킨 기록프레임 데이터(122,880Byte) 단위로 버퍼메모리에 격납된다.
A)순방향/노멀속도 재생의 경우 :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순방향/노멀속도 재생의 경우는,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를 기록한 순서(#1,#2,‥‥)로 순서대로 선택한다. 자기디스크(101)에서 판독된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는,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퍼메모리(108)상의 연속영역에 순서대로 배치되어, 격납되고 있다.
버퍼메모리(108)상의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는, 자기디스크(101)로부터 판독된 순서(#0,#1,#2,‥‥)로 순서대로 AV 데이터 처리회로(112)에 출력할 수 있어, 스트림 데이터로서 외부 기기에 송신된다.
도 37은, 버퍼메모리(108)부터의 데이터출력순서를 설명한 도면이다.
우선, 버퍼메모리(108)는, 도 37의 화살표(1)방향으로 판독하여 가고,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0의 선두에서 120,000바이트(Byte)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 직후, 도 37의 화살표(2)의 방향으로 판독 포인터를 이동시켜, 버퍼메모리(108)로부터의 판독 포인터의 위치를 기록시에 부가한 부가 데이터분(스터핑 바이트;2,880Byte)만 이동한다.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1의 선두로부터 데이터출력을 개시한다. 다시, 120,000Byte의 데이터를 출력한(도 37의 화살표(3))후에, 판독 포인터를 부가데이터분만큼 이동한다(도 37의 화살표(4)).
이상의 처리를 반복하여 자기디스크(101)로부터 판독된 프레임 데이터중에서 스터핑 바이트분만큼 제거한 송신데이터가 추출된다.
이와 같이,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는, 추출된 영상음성 데이터를 연속하여 AV데이터 처리회로(112)를 통하여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 회로(105)에 전송한다.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 회로(105)에서는, AV데이터 처리회로(112)로부터 입력된 영상음성 데이터를 연속한 스트림 데이터로서 외부 기기에 송신한다.
B)순방향/고속(m배속) 재생의 경우:
고속재생의 실현방법으로서는, 버퍼메모리(108)상의 프레임 데이터를 선별하여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방법이 있다.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고속 재생방법의 경우는, 우선, 프레임번호 순서로(#0,#1,#2,‥‥), 순서대로 자기디스크(101)로부터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를 판독하고, 버퍼메모리(108)에 격납한다.
그리고, 버퍼메모리(108)에 격납된 데이터는, 프레임 단위로 선별하여서 외부 기기에 송신된다.
도 38은, 버퍼메모리(108)에 있어서의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격납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순방향에서의 고속재생의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1에 있어서는 버퍼메모리(108)로부터의 판독 어드레스를 1프레임 단위로 점프시킴으로써 2배의 재생을 실현하고 있다. 도 38에 있어서의 화살표(a)와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퍼메모리(108)로부터의 판독 어드레스를 1프레임 단위로 점프시킴으로써 2배속재생을 행하고 있다.
상기 고속재생방법에 있어서, 어드레스 점프하는 데이터사이즈를 프레임 단위로 증가(1프레임, 2프레임,‥‥)시킴으로써, 재생속도를 증가(2배속, 3배속,‥‥)할 수 있다.
이상의 고속재생방법에 의하여 m 배속의 고속재생을 하기 위해서는,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데이터전송속도의 m 배의 속도로 자기디스크(101)에서 데이터를 판독해야 한다. 예컨대, 표준화상의 DV스트림을 2배속 재생하는 경우에는, 자기디스크로부터 50Mbps 이상의 전송속도로 데이터를 판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보급하고 있는 하드디스크 장치의 실효전송속도는 40Mbps 정도밖에 확보할 수 없다.
한편, 자기디스크(101)로부터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를 선별하여 판독하는 경우에는, 불연속인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를 연속하여 판독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프레임마다 기계적 액세스동작시간(자기헤드의 이동시간과 회전 대기시간과의 합)을 확보해야한다.
따라서, 실시예1에 있어서는, 자기디스크(101)부터의 판독 속도가 저속도인 경우에는, 이하와 같은 고속재생 처리를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행할 수 있다.
실시예1에서의 고속재생처리순서를 도 84에 나타낸 플로우챠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8401에 있어서 자기디스크(101)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음성 데이터의 속에서 외부에 대하여 송출해야 할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선택한다. 이 때, 영상음성 데이터를 자기디스크(101)상의 영상음성 데이터중에서 선별하여(thinned out) 선택한다.
다음에, 스텝8402에 있어서 선택한 영상음성 데이터를 자기디스크(101)로부터 판독된다.
다음에, 스텝8403에 있어서 판독된 영상음성 데이터를 버퍼메모리에 격납한다.
다음에, 스텝8404에 있어서 버퍼메모리에 격납된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순서대로 복수회 판독하고, 연속한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한다.
다음에, 스텝8205에 있어서 스트림 데이터를 외부에 대하여 송출한다.
도 39는 버퍼메모리(108)에 있어서의 프레임 데이터 격납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프레임번호 #n, #n+2m, #n+4m, #n+6m,‥‥(m은 정수)의 소정프레임 데이터 간격으로 건너뛰고 건너뛰는 영상음성 프레임이 버퍼메모리(108)에 격납되어 있다.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는, 2×m(m은 정수)의 영상음성 프레임마다 재생해야 할 영상음성 프레임(#n,#n+2m,#n+4m,#n+6m,‥‥)을 자기디스크(101)에 있어서 순서대로 선택한다.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디스크(101)에서 판독된 소정 프레임 간격으로 건너뛰고 건너뛴 영상음성 프레임은, 버퍼메모리(108)의 연속영역에 순서로 배치되어, 격납된다.
버퍼메모리(108)에 격납된 프레임 데이터는, 자기디스크(101)로부터 판독된 순서(#n,#n+2m,#n+4m,#n+6m,‥‥)에 따라서, 각 프레임 데이터에 있어서 2번씩 AV 데이터 처리회로(112)에 출력되고, 스트림 데이터로서 외부 기기에 송신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는, 기계적 액세스동작이 DV스트림의 1프레임분의 송신시간내에 종료하기 때문에, 각 프레임 데이터를 재송(2회째의 송신)함으로써 DV스트림을 도중에서 끊기지 않고 재생가능하다.
자기디스크의 판독에 있어서 기계적 액세스동작시간이 더욱 긴 장치의 경우에는, 영상음성 프레임의 선택간격과 각 프레임 데이터의 재송 수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고속재생이 가능해진다.
C)순방향/슬로우 재생의 경우(m분의 1의 배속):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순방향/슬로우 재생의 경우(m분의 1배속)는, 전술한 순방향/노멀속도 재생(A)의 경우와 같이, 영상음성 프레임을 선택하고,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퍼메모리(108)에 순서대로 배치되어, 격납된다. 버퍼메모리(108)상의 영상음성 프레임을, 자기디스크(101)로부터 판독된 순서에 따라서, 각 프레임 데이터를 m회씩 AV 데이터 처리회로(112)에 출력하여, 스트림 데이터로서 순서대로 외부 기기에 송신한다.
D)역방향/노멀속도 재생의 경우 :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역방향/노멀속도 재생의 경우는, 순서대로, 1프레임 데이터전의 후속의 영상음성 프레임(#n-1, #n-2, #n-3,‥‥)을 자기디스크(101)로부터 선택한다. 또한, 선택한 영상음성 프레임을 순서대로 복수프레임씩 모아, 프레임블록(예컨대, 프레임의 #n-1,#n-2, #n-3을 하나의 프레임블록)으로서 선택한다. 자기디스크(101)부터의 판독는, 프레임블록 단위로 행하고, 프레임 블록안의 데이터의 판독 순서는, 기록한 순서와 일치시킨다. 자기디스크(101)에서 판독된 영상음성 프레임은,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퍼메모리(108)상의 연속영역에 순서에 배치되어, 격납된다. 버퍼메모리(108)상의 프레임 데이터는, 기록한 순서와 역의 순서로 AV 데이터 처리회로(112)에 순서대로 출력하여, 스트림 데이터로서 외부 기기에 순서대로 송신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1의 역방향/노멀속도 재생의 경우에는, 프레임블록내의 각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를 기록한 순서(자기디스크(101)상의 배치순서)로 판독 때문에, 프레임 블록안의 영상음성 데이터를 연속하여 고속으로 판독될 수 있다. 예컨대, 자기디스크(101)로부터의 데이터 판독 속도가 최저 50Mbps인 경우에는, 1프레임(122,880Byte)당 판독 시간은 약 19.7msec이 된다. 영상음성 데이터의 송신시간은, 1프레임당 약 33.3msec이다(디지털 VCR포맷의 경우). 따라서, 프레임블록안의 n프레임의 데이터를 연속하여 판독하는 경우, 1프레임 블록당 약 13.6×n(msec)의 여유시간이 발생한다. 이 여유시간내에 프레임블록마다 발생하는 자기헤드(102)의 기계적 액세스동작이 완료하도록 프레임 블록내 프레임 수를 설정함으로써, 역방향/노멀속도 재생을 한컷도 놓치지 않고 연속하여 실행할 수 있다.
E)역방향/고속(m 배속)재생의 경우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역방향/고속(m 배속) 재생의 경우는, (-2×m)의 영상음성 프레임마다 재생해야할 자기디스크(101)의 영상음성 프레임(#n-2m,#n-4m,#n-6m,‥‥)을 선택한다. 자기디스크(101)에서 판독된 영상음성 프레임은,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퍼메모리(108)의 연속영역에 순서대로 버퍼메모리(108)의 프레임 데이터는, 자기디스크(101)로부터 판독된 순서에 따라 2회씩 AV데이터 처리회로(112)에 출력되며, 스트림 데이터로서 외부 기기에 송신된다.
F)역방향/슬로우 재생의 경우(m분의 1배속):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역방향/슬로우 재생인 경우(m분의 1배속)는, 전술한 순방향/노멀속도 재생의 경우(D)와 동일하게 영상음성 프레임 및 프레임블록을 선택하고,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퍼메모리(108)에 순서대로 격납된다. 버퍼메모리(108)의 프레임 데이터는, 자기디스크(101)로부터 판독된 순서에 따라서, 각 프레임 데이터를 m회씩 AV 데이터 처리회로(112)에 출력되어, 스트림 데이터로서 순서대로 외부 기기에 송신된다.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가 재생개시(PLAY)의 지시를 수신하여, 순방향의 재생처리를 계속하고 있으면, 이윽고 기록한 영상음성 데이터에 있어서의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에 도달하게 된다. 반대로 소정의 위치로부터 역전재생을 계속하고 있으면, 이윽고 기록한 영상음성 데이터에 있어서의 선두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에 도달하게 된다.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는, 기록영역의 종단에 있어서, 재생대기(PLAY PAUSE)처리와 종단없는 재생(ENDLESS PLAY)처리의 2가지의 처리방법을 구비하고 있으며, 외부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이들 처리방법을 전환하여 가능하게 하고 있다.
우선, 실시예1의 제 1 처리방법인 재생대기(PLAY PAUSE) 처리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2는 자기디스크(101)의 기록영역에서의 영상음성 데이터의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3은 실시예1의 재생대기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상음성 데이터의 재생시에 있어서 어드레스 포인터(50)가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d점)와 일치하면(도 43의 스텝1), CPU(106)는 현재의 재생형상이 순방향인가 역방향인가를 검출한다(도 43의 스텝2).
도 43의 스텝2에 있어서, 재생방향이 순방향인 경우, 재생 제어수단으로서의 CPU(106)는 어드레스 포인터(50)의 위치를 신규로 커맨드를 접수할 때까지 계속 기억한다.
도 44는 어드레스 포인터(50)가 기록개시 어드레스(d점)에 있고, 재생방향이 순방향인 경우의 기록영역에서의 영상음성 데이터의 재생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디스크(101)에서는,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판독되어, 외부에서는 마치 재생대기(PLAY PAUSE)상태가 된 것처럼 보인다.
이상과 같이, 재생중에 어드레스 포인터(50)가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어드레스(d점)와 일치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역전재생시에 어드레스 포인터(50)가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선두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c점)와 일치한 경우도 같은 처리를 하고 있다. 이 처리에 의해, 자기디스크(101)로부터는,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선두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판독되어, 외부에서는 마치 재생대기(PLAY PAUSE)상태가 된 것처럼 보인다.
다음에, 실시예1에 있어서의 제 2 처리방법인 종단없는 재생(ENDLESS PLAY)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5는 자기디스크(101)의 기록영역에서의 영상음성 데이터의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6은 실시예1의 종단없는 재생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상음성 데이터의 재생시에 어드레스 포인터(50)가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어드레스(d점)와 일치하면(도 46의 스텝1), CPU(106)는 현재의 재생상태가 순방향인지 역방향인지를 검출한다(도 46의 스텝2).
재생방향이 순방향인 경우, 재생 제어수단으로서의 CPU(106)는, 어드레스 포인터(50)를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선두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c점)와 일치시킨다(도 46의 스텝3).
그 후, 자기디스크(101)상의 영상음성 데이터를 판독할 때마다, CPU(106)는 어드레스 포인터(50)의 위치를 갱신하여 간다.
그 결과, 도 4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디스크(101) 상에서는,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가 판독된 후,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선두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로부터 순서대로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가 판독되고, 외부에서는 마치 종단없는 재생(ENDLESS PLAY) 형태로 된 것처럼 보인다.
도 45에서는, 재생중에 어드레스 포인터(50)가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d점)와 일치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역전재생중에 어드레스 포인터(50)가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선두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c점)와 일치한 경우도 같은 처리를 하고 있다. 그 처리에 의하면, 자기디스크(101)상에서는,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선두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가 판독된 후,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로부터 반대순서로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가 판독되고, 외부에서는 마치 종단없는 역전의 재생(ENDLESS PLAY)상태로 된 것처럼 보인다.
이와 같이, 기록영역정보와 어드레스정보를 바탕으로, 재생제어를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종단처리가 용이하게 실현가능해진다.
이상의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영역종단에 있어서의 처리는, 재생속도에 관계없고, 예컨대 고속재생중이나, 혹은 슬로우 재생중에 있어서 기록영역종단에 달한 경우라도, 상기 처리와 동일한 처리가 실행된다.
〔REW 커맨드 및 FF 커맨드〕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는, 빨리감기(FF)나 되감기(REW)를 실행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기록동작을 행하고 있지 않을 때에 있어서, 외부에서 빨리감기(FF) 또는 되감기(REW)를 지시한 경우의 처리에 관해서 도 48, 도 49 및 도 5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8, 도 49 및 도 50은 자기디스크(101)의 기록영역에서의 영상음성 데이터의 격납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그리고, 기록시에 빨리감기(FF)나 되감기(REW)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에는, CPU(106)는 외부 기기에 실행 불가능한 것을 통지한다.
어드레스 포인터(50)가 도 48에 나타낸 위치에 있을 때, 빨리감기(FF)가 지시되면, 어드레스 관리수단으로서의 CPU(106)는, 어드레스 포인터(50)의 값을, 동일하게 내장RAM 상에 기억되어 있는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d점)와 같은 값으로 세트한다(도 49).
마찬가지로, CPU(106)는, 되감기(REW)가 지시되면, 도 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장 RAM 상에 기억하고 있는 어드레스 포인터(50)의 값을 동일하게 내장 RAM 상에 기억되어 있는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선두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자기디스크(101)상의 영상음성 데이터기록개시 위치, c점)의 값과 같은 값으로 세트한다.
〔ERASE 커맨드〕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는, 기록한 영상음성 데이터를 소거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외부에서 기록한 영상음성 데이터의 전면소거가 지시된 경우의 처리에 관해서, 도 51, 도 52 및 도 5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1과 도 53은 자기디스크(101)의 기록영역에서의 영상음성 데이터의 격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2는 실시예1의 소거의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5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디스크(101)에 영상음성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자기디스크 장치에 대하여 외부에서 기록한 영상음성 데이터의 소거의 지시가 있으면(도 52의 스텝1), 기록영역 관리수단으로서의 CPU(106)는, 내장 RAM상에 기억하고 있는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도 51의 d점)와 미기록영역 선두 어드레스(도 51의 e점)를,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도 51의 c점)에 일치시킨다(도 52의 스텝2). 다음에 갱신한 상기 영역정보를 자기디스크(101)에 기록한다(도 52의 스텝3).
도 53은 자기디스크(101)의 기록영역에서의 영상음성 데이터가 소거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53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외부에서 재생의 지시를 받더라도, 기록영역 관리수단으로서의 CPU(106)는, 내장 RAM 상에 기억된 전술의 영역정보로부터 판단하여, 자기디스크(101)상의 영상음성 데이터의 판독 처리 및 외부에의 출력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에 있어서는, 전술의 영상음성 데이터의 소거수단 뿐만 아니라, 잘못해서 전술의 영상음성 데이터소거를 실시한 경우의 복구가능한 소거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그 복구가능한 소거수단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4는 자기디스크(101)의 기록영역에서의 영상음성 데이터의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5는 실시예1의 복구가능한 소거의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51과 같이 영상음성 데이터가 자기디스크(101)에 기록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자기디스크 장치에 기록한 영상음성 데이터의 소거의 지시가 있으면(도 55의 스텝1), CPU(106)는 내장 RAM상에 기억되어 있는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를 소거전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도 54의 f점)로서 기억한다. 또한, CPU(106)은 내장 RAM 상에 기억되어 있는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미기록영역 선두 어드레스를 소거전 미기록영역 선두 어드레스(도 54의 g점)로서 기억한다(도 55의 스텝2).
그 후,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d점)와 미기록영역 선두 어드레스(e점)를,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도 54의 c점)에 일치시킨다(도 55의 스텝3).
다음에, CPU(106)는, 내장 RAM 상에 기억되어 있는 이들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역정보를 자기디스크(101)에 기록한다:(도 55의 스텝4).
상기한 바와 같이 영상음성 데이터가 소거된 상태가 영역정보에 기록된 후에, 그 소거의 취소 지시가 있었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6은 실시예1의 소거취소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57은 자기디스크(101)의 기록영역에 있어서의 소거취소처리후의 영상음성 데이터의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외부에서 영상음성 데이터의 소거지시가 있은 후에, 그 소거의 취소지시가 있던 경우(도 56의 스텝1), CPU(106)는 내장 RAM상에 기억되어 있는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도 54의 d점)와 소거전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어드레스(도 54의 f점)를 비교한다. 혹은 미기록영역 선두 어드레스(도 54의 e점)와 소거전 미기록영역 선두 어드레스(도 54의 g점)와 비교한다(도 56의 스텝2).
도 56의 스텝2에 있어서, 비교의 결과, 소거전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도 54의 f점)쪽이 큰 경우(도 54에 있어서 오른쪽방향에 있는 경우)에는, 기록영역 관리수단으로서의 CPU(106)는, 최종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도 54의 d점)를 소거전 최종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도 54의 f점)와 일치시킨다(도 56의 스텝3). 또는 소거전 미기록영역 선두 어드레스(도 54의 g점)쪽이 큰 경우(도 54에 있어서 오른쪽방향에 있는 경우)에는, 미기록영역 선두 어드레스(도 54의 e점)를 소거전 미기록영역 선두 어드레스(도 54의 g점)와 일치시킨다(도 56의 스텝3).
상기와 같이 갱신한 영역정보는, 자기디스크(101)에 기록된다(도 55의 스텝4).
상기의 복구처리의 결과, 내장 RAM 상에는, 도 5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거전에 디스크(101)상에 기록되어 있던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역정보와 같은 정보가 기억된다. 이 때문에, 소거전에 자기디스크(101)에 기록되어 있던 영상음성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해진다.
소거전 최종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어드레스(도 54의 f점)와, 소거전 미기록영역 선두 어드레스(제54도의 g점)는, 내장 RAM 상에 기억할 뿐 아니라, 자기디스크(101)상에 기록하도록 구성하여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소거 실행 후에 잘못해서 자기디스크 장치의 전원을 끈 경우라도, 전원을 재투입하면 소거전의 어드레스 정보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데이터 검색(ATN) 커맨드〕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는, 절대 트랙번호 검색, 타임코드 검색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실시예1에 있어서의 자기디스크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 사이즈가 일정한 영상음성 데이터를 취급하고 있다. 또한, 자기디스크 장치는 영상음성 데이터를 자기디스크상의 어드레스 순서로 기록하고 있다. 그 때문에, 자기디스크(101)상의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개시위치가 분명하게 되면, 타임코드 검색 등의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의 검색이 가능해진다. 또한, 자기디스크 장치에 기록하는 영상음성 데이터의 포맷으로부터, 절대 트랙번호 검색이 가능해진다.
외부로부터 절대 트랙번호 검색, 또는 타임코드 검색이 지시된 경우의 처리에 대해서 도 5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8은 절대 트랙번호 검색처리 또는 타임코드 검색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외부에서, 절대 트랙번호 또는 타임코드에 의한 검색이 지시되면, 검색수단으로서의 CPU(106)는, 지정된 트랙번호 또는 타임코드로부터 자기디스크(101)상의 어드레스(h)를 산출한다(제58도의 스텝1).
다음에, CPU(106)는, 산출한 어드레스(h)와 내장 RAM 상에 기억되어 있는 미기록 영역 선두 어드레스를 비교한다(도 58의 스텝2). 산출한 어드레스(h)가 미기록영역 선두 어드레스보다 작으면, 해당 커맨드를 송신한 외부 기기에 대하여 검색 실행가능하다는 것을 통지한다(도 58 의 스텝3).
반대로, 도 58의 스텝2에 있어서, 산출한 어드레스(h)가 미기록영역 선두 어드레스보다 크면, 해당 커맨드를 송신한 외부 기기에 대하여 검색실행 불가능하다는 것을 통지한다(도 58의 스텝4).
도 58의 스텝3에 있어서 검색실행가능을 통지한 경우, CPU(106)는 산출한 어드레스(h)가 포함되는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에 어드레스 포인터(50)를 세트한다(도 58의 스텝5)
다음에, 자기디스크(101)상의 어드레스 포인터(50)가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가 판독된다(도 58의 스텝6).
또, 검색이 지시된 경우에는, 통상의 재생(PLAY)의 경우와는 달리, 지정된 검색위치를 포함하는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를 연속하여 송출하는 정지 화상출력(PLAY PAUSE)상태가 된다.
예컨대, 절대 트랙번호로 지시된 검색위치의 어드레스가 도 59의 h점일 때, CPU(106)는 어드레스 포인터(50)를 도 59에 나타낸 어드레스(h)를 포함하는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 기록개시 어드레스에 세트한다. 그리고, 자기디스크 장치는, 도 59에 있어서 사선으로 나타낸 위치의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를 자기디스크(101)상에서 판독하여, 연속적으로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는, 테이프 매체를 사용한 기록재생 장치에 비해서, 랜덤액세스성에 우수하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특징과, 기록영역 정보를 기초로 검색 및 어드레스 포인터를 관리함으로써, 기록된 영상음성 데이터의 순간 액세스(immediate access)등, 테이프 매체를 사용한 기록재생장치로서는 실현 불가능한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가 구비하는 영상음성 데이터의 위치정보관리 및 위치정보의 외부 기기와의 송수신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마크정보 자동검출 커맨드〕
이하,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가 구비하고 있는 기능인 기록된 복수의 영상음성 데이터의 불연속점을 검출하는 방법에 관해서 도 6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60은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의 마크정보 자동검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가 기록하는 영상음성 데이터의 스트림 데이터 중에는, 영상음성 데이터뿐만 아니라, 그 영상음성 데이터가 작성된 일시 데이터나 타임코드 정보나 절대 트랙번호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 정보는, 일반적으로 서브코드 데이터(sub-code data)라고 불리고 있다.
마크정보 관리수단으로서의 CPU(106)는,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시에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의 서브코드 데이터를 추출한다(도 60의 스텝1).
도 60의 스텝2에 있어서, 서브코드 데이터의 속에 포함되는 일시(date and time) 데이터나 타임코드(time code) 데이터나 절대 트랙번호 정보를 추출하여, 그것들의 정보는 내장 RAM 상에 기억된다.
도 60의 스텝3에 있어서, CPU(106)는 전에 기록한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일시데이터나 타임코드나 절대 트랙번호 데이터와, 현재 기록중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들 차를 산출한다. 이어서, 스텝4에 있어서, 그 차가 소정의 값 이상인지를 해석한다(불연속점의 검출). 그 차가 소정 이상인 경우에는, 스텝5에 있어서, 해당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를 기록하는 자기디스크(101)상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정보와 함께, 일시 데이터정보와, 영상음성 데이터에 포함되는 타임코드정보 또는 절대 트랙번호 정보를 마크정보로서 내장 RAM 상에 기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검출된 불연속점이 영상음성 데이터를 기록 중에 여러 개 검출된 경우에는, 여러 개의 불연속점 정보를 내장 RAM 상에 기억한다. 도 61은 내장 RAM에 기억되는 여러 개의 불연속점 정보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외부에서 기록정지의 지시를 받은 뒤에, 내장 RAM 상에 기억된 도 61에 나타낸 불연속점 정보는 자기디스크(101)에 기록된다.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에 있어서는, 이들 마크정보를 디스크(101)상의 선두 어드레스와 선두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와의 사이의 영역정보 기록부에 기록하고 있다.
한편, 내장 RAM 상에 기억되어 있는 마크정보는, 자기디스크 장치의 전원을 끄면 소실되기 때문에, 자기디스크 장치의 기동처리의 종료후에 있어서, 자기디스크(101)상에서 일련의 마크정보를 판독 내장 RAM 상에 기억한다.
또한, 실시예1에 있어서의 자기디스크 장치로는, 전의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와 일시 데이터의 차로 1초, 타임코드데이터로서는 30프레임, 절대 트랙번호로서는 300트랙의 수 이상이 다른 경우에 불연속점으로서 검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차는 상기의 값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외부로부터의 지시에 의하여 변경 가능하여도 좋다.
또, 신규에 기록개시가 지시된 경우에는, 내장 RAM 상에는 전의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일시데이터나 타임코드데이터나 절대 트랙번호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CPU(106)는, 모두 불연속점으로서 검출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실시예1에 있어서의 자기디스크 장치에서는 도 60, 스텝5의 마크정보 갱신처리에 있어서, 내장 RAM상에 마크정보로서 유지되어 있는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에 덮어쓰기 등에 의하여 새롭게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가 기록된 경우에, 그 기록개시 어드레스에 관한 일련의 마크정보(일시 데이터 정보와, 영상음성 데이터에 포함되는 타임코드정보 또는 절대 트랙번호 정보)를 소거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기록되는 영상음성 데이터중의 불연속점 뿐만 아니라, 부가 기록이나, 도중에서 덮어쓰기 등을 행한 경우에도, 그 개시위치를 마크정보로서 유지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에 있어서는, 영상음성 데이터의 스트림 데이터 중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불연속점을 검출하고, 기록함으로써, 촬영일시가 다른 영상음성 데이터의 선두부 정보 등을 기억할 수 있게 되고, 외부에서 영상음성 데이터의 순간 액세스 지시가 있는 경우에. 이러한 정보를 기초로 검색할 수 있게 되어, 원하는 영상음성 데이터를 순간에 순간 액세스를 할 수 있다.
〔마크부여 커맨드(mark addition command)〕
다음에, 전술의 영상음성 데이터의 불연속점 자동 검출수단과는 다른 마크정보 작성수단에 관해서 도 6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62는 마크부여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가 영상음성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중에 있어서, 외부에서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에 대하여 마크부가(mark addition) 요구가 있으면(도 62의 스텝1), 마크지시 접수수단으로서의 CPU(106)는, 마크부가 요구를 받았을 때에 기록 또는 재생중의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를 기록하는 자기디스크(101)상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와, 영상음성 데이터에 포함되는 타임코드 데이터정보 또는 절대 트랙번호 정보를, 마크정보로서 내장 RAM 상에 기억한다(도 62의 스텝2).
또한,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에 있어서는, 이들 마크부가 요구에 의해 작성된 마크정보와, 전술의 불연속점 검출에 의하여 얻어진 마크정보를 같은 테이블 상에 관리하고 있다.
도 63은 복수의 마크정보를 갖는 경우의 자기디스크(101)에 있어서의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영역에서 복수의 마크점(1,2,3)이 있는 경우, 예컨대 불연속점 검출에 의하여 이미 복수의 마크정보가 있는 경우나, 마크부가요구가 여러 번 있는 경우에는, 여러 개의 마크를 내장 RAM 상에 기억한다. 그 후, 외부에서 기록정지 또는 재생정지의 지시를 받았을 때, 도 6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크정보를 자기디스크(101)에 있어서의 기록개시 어드레스를 순서대로 분류시키고, 일련의 마크정보를 자기디스크(101)에 기록한다. 도 64는 기록개시 어드레스, 타임코드 및 절대 트랙번호의 마크정보에 관한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4는 마크점1과 마크점2와의 사이에 마크부여 지시(마크점j)가 발생한 경우의 테이블의 다시쓰기 상태(rewriting condition)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로는, 이들 마크정보를 디스크(101)상의 선두어드레스와 선두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와의 사이에 기록하고 있다.
내장 RAM에 기억된 마크정보는, 전술의 경우와 같이, 자기디스크 장치의 전원을 끄면 없어지기 때문에, 자기디스크 장치의 기동처리의 종료후에 있어서, 자기디스크(101)로부터 일련의 마크정보가 판독되고, 내장 RAM에 기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전술한 경우와 같이, 도 62, 스텝5의 마크정보 추가·갱신처리에 있어서, 내장 RAM 상에 마크정보로서 유지되어 있는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에, 덮어쓰기(overwriting) 등에 의해서 새롭게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가 기록된 경우에는, 그 기록개시 어드레스에 관한 일련의 마크정보(일시 데이터정보와, 영상음성 데이터에 포함되는 타임코드 정보 또는 절대 트랙번호 정보)를 소거한다.
또, 마크부가 요구는,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회로(105)를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커맨드로서 접수해도 좋고, 혹은 자기디스크 장치에 설치한 하드웨어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직접 CPU(106)에 지시하여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에 있어서는, 마크지시 접수수단 및 마크정보를 관리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일련의 영상음성 데이터의 임의의 위치에 마크점을 부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러한 마크정보를 기초로, 원하는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를 순간에 검색,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마크·정보 송수신 커맨드〕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에 있어서는, 전술의 방법에 의해 작성된 일련의 마크정보를 외부 기기에 송신, 혹은 외부 기기가 작성한 일련의 마크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마크정보 송수신에 관해서 도 65에서 도 6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65는 마크정보 갱신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66은 자기디스크 장치에 기록되는 마크정보의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7은 마크정보 송신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68은 마크정보의 송신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외부 기기로부터 자기디스크 장치에 대하여, 이제부터 기록하는 영상음성 데이터에 관한 일련의 마크정보가 송신되어지면, 마크정보 수신수단으로서의 CPU(106)는, 일련의 마크정보에 포함되는 타임코드정보 또는 절대 트랙번호 정보 등을 내장 RAM에 기억한다.
그 후, 도 65의 플로우챠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에서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개시의 지시가 있으면(스텝1), 마크정보 관리수단으로서의 CPU (106)는, 기록하는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에 포함되는 타임코드정보나 절대 트랙번호 정보를 추출한다(스텝2).
또한, CPU(106)은 추출한 타임코드 정보나 절대 트랙번호 정보가, 내장 RAM 상에 기억하고 있는 외부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온 마크정보로서의 타임코드 정보 또는 절대 트랙번호 정보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스텝3).
도 65의 스텝3에 있어서, CPU(106)는 내장 RAM에 기억되어 있는 마크정보와 일치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를 검출한다. 그리고, CPU(106)는 검출된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를 기록하는 자기디스크(101)의 기록개시 어드레스를, 마크정보로 하여 기억하고 있는 타임코드 정보 또는 절대 트랙번호 정보와 동시에, 내장 RAM에 기억한다(스텝4).
도 65의 스텝5에 있어서, 일련의 영상음성 데이터를 자기디스크(101)에 기록한 뒤, 외부부터의 기록정지 지시를 검출한다. 기록정지 지시를 검출하였을 때, 도 6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금까지 자기디스크 장치가 내장 RAM에 기억하고 있는 마크정보와 함께 기록개시 어드레스를 순서대로 분류하고, 분류에 의해 갱신된 마크정보를 자기디스크(101)에 기록한다(스텝6).
도 6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디스크 장치에 있어서는 기록개시 어드레스정보나 타임코드정보나 절대 트랙번호 정보는 그것들에 붙여진 번호의 순서로 기록된다.
또, 전술한 경우와 같이, 도 65, 스텝6의 마크정보 갱신처리에 있어서, 내장 RAM 상에 마크정보로서 유지되어 있는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에, 덮어쓰기 등에 의해서 새롭게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가 기록된 경우에는, 그 기록개시 어드레스에 관한 일련의 마크정보(일시 데이터정보와, 영상음성 데이터에 포함되는 타임코드정보 또는 절대 트랙번호정보)를 소거한다.
도 66의 경우, 자기디스크가 유지되어 있는 마크정보로서의 기록개시 어드레스(AD4)상에 새롭게 영상음성 데이터가 기록되었기 때문에, 기록개시 어드레스(AD4)에 관한 일련의 마크 정보(기록개시 어드레스(AD4), 타임코드 (TC4), 절대 트랙번호(ATN4))가, 마크정보 갱신처리의 결과 소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 도 6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기기로부터 마크정보의 취득요구가 있으면(스텝1), 마크정보 통지수단으로서의 CPU (106)는, 마크 관리수단으로서의 CPU(106)가 내장 RAM 상에 기억하고 있는 일련의 마크정보로부터 자기디스크(101)상에의 기록개시 어드레스를 제외한 타임코드 데이터정보 또는 절대 트랙번호 정보를 도 68에 나타내는 포맷에 의해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 회로(105)를 통해 외부 기기로 송출한다(도 67의 스텝2). 도 68에 나타낸 마크정보의 송신포맷에는, 마크 정보 수, 절대 트랙번호가 기재되어 있다. 또, 실시예1에 있어서 마크정보 통지수단과 마크관리수단은 CPU(106)에 있어서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에 의해 실시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는, 마크정보 수신수단 및 마크정보 통지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일련의 마크정보를 외부 기기와 공유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일련의 마크정보를 외부 기기로 통지하기 위한 포맷은, 도 68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도 68의 절대 트랙번호 정보 대신에 타임코드정보에 의하여 구성하여도 좋고, 절대 트랙번호와 타임코드 정보에 의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실시예1에서는, 마크정보로서,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어드레스와, 영상음성 데이터에 포함되는 타임코드 데이터정보 또는 절대 트랙번호 정보를 기억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와,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자기디스크(101)의 타임코드정보 또는 절대 트랙번호 정보이더라도 좋다. 일련의 마크정보를 외부에서 수신한 뒤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마크정보와 일치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된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를 기록하는 자기디스크(101)에의 기록개시 어드레스를 확정하였을 때, 외부에서 수신한 마크정보에 포함되는 타임코드 정보 또는 절대 트랙번호를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자기디스크(101)의 타임코드정보 또는 절대 트랙번호정보에 갱신하여 기억한다.
<실시예2>
다음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예2의 자기디스크 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9는, 실시예2의 자기디스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9에 있어서, 실시예2의 자기디스크 장치는, CPU(106)와, 이 CPU (106)로부터의 커맨드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CPU 인터페이스회로(107)와, 일시 기억 회로인 버퍼메모리(108)와, 버퍼메모리(108)에 대한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버퍼메모리 제어회로(109)를 갖고 있다. 또한, 자기디스크 장치에는, 원반형상의 디스크매체인 자기디스크(101)에 대한 데이터입출력을 제어하는 신호 처리회로(110)와, 위치결정 기구(103)에 구동신호를 주어 자기헤드(102)의 위치결정 제어를 하는 액튜에이터 구동회로(111)와,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 회로(105)를 통해 수신된 영상음성 데이터에 따라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AV 데이터 처리회로(112)가 설치된다. 외부 기기부터의 커맨드 및 데이터는, 입출력버스(104)에 의해 전송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 회로(105)는 입출력버스(104)를 통해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커맨드, 데이터, 파라미터를 송수신한다. 이들 회로의 구성 및 기능은 전술의 실시예1의 회로와 동일하여, 같은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2의 자기디스크 장치가 전술한 실시예1과 다른 점은, AV데이터 처리회로(112)와 버퍼메모리 제어회로(109) 사이에 데이터 부가수단으로서의 데이터 부가회로(6201)를 구비한 점이다. 또한 실시예2에 있어서의 신호처리회로(110)는, 데이터 추출수단으로서 자기디스크(101)로부터 판독된 영상음성 데이터중에서 외부 기기에 송출해야할 데이터만을 추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실시예2에 있어서의 하드디스크 장치의 기록처리 순서를 도 81에 나타낸 플로우챠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8101 에서 외부에서 입력된 영상음성 데이터의 속에서 영상음성 프레임경계를 검출한다.
다음에, 스텝8102에 있어서 영상음성 데이터를 버퍼메모리에 격납한다.
다음에 스텝8103에 있어서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상음성 프레임경계에 대응하는 버퍼메모리상의 격납어드레스를 관리하고, 버퍼메모리상의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분할 관리하다.
다음에 스텝8104에 있어서 영상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영상음성 프레임마다 소정의 데이터를 부가하고, 기록데이터 패킷을 생성한다.
다음에 스텝8105에 있어서 영상음성 데이터를 기록데이터 패킷 단위로 자기디스크(101)에 송출한다.
다음에 실시예2에 있어서의 하드디스크 장치의 재생처리 순서를 도 83에 나타낸 플로우챠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8301에 있어서 자기디스크(101)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음성 데이터중에서 외부에 대하여 송출해야할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선택한다.
다음에 스텝8302에 있어서 선택한 영상음성 데이터를 자기디스크(101)로부터 판독된다. 이 때, 판독되는 영상음성 데이터는, 도 81에서 설명한다. 기록데이터 패킷 단위로 판독된다.
다음에 스텝8303에 있어서, 판독된 기록데이터 단위의 영상음성 데이터의 속에서 외부에 송출 영상음성 데이터를 추출한다.
다음에, 스텝8304에 있어서, 추출한 영상음성 데이터를 버퍼메모리에 격납한다.
다음에, 스텝8305에 있어서 버퍼메모리에 격상한 영상음성 데이터를 순서대로 판독하고, 연속한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한다.
다음에, 스텝8306에 있어서 스트림 데이터를 외부에 대하여 송출한다.
이하, 실시예2의 자기디스크 장치가 전술의 실시예1과 다른 기능블록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70은 실시예2에 있어서의 데이터 부가회로(620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데이터 부가회로(6201)는, AV데이터 처리회로(112)부터의 데이터출력 허가신호인 프레임 검출신호에 따라서 도 71에 나타낸 데이터처리를 개시한다. 도 71은 데이터 부가회로(6201)에 있어서의 데이터 부가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71의 처리 스텝(7301)에 있어서는, AV데이터 처리회로(112)에서 검출된 프레임 검출신호가 데이터와 함께 FIFO(선입력선출력) 메모리(6301)에 입력 FIFO 메모리(6301)로부터 출력된 프레임 신호는 입력 데이터 카운터수단으로서의 카운터(6304)에 대하여 동기리세트 처리를 한다. 비교기(6302)는, 이 동기리세트 처리에 동기하여 셀렉터(6303)에 입력데이터 전환 신호를 출력한다. 셀렉터(6303)는, 이 입력데이터 전환 신호에 동기하여 FIFO 메모리(6301)부터의 입력데이터의 출력을 시작한다. 카운터(6304)에 있어서는, 동기리세트 처리와 동기하여 카운터값을 0으로 되돌리고, 그 후 클럭에 동기하여 카운트업한다.
도 7l의 처리 스텝7302에 있어서는, 비교기(6302)가 카운터(6304)의 카운터값을 판독된다. 다음에, 판단 스텝7303에 있어서, 비교기(6302)가 카운터(6304)로부터 판독된 카운터값과 기준정보(6305)에 기억된 DV포맷의 영상음성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터수(120,000Byte)를 비교한다.
판단 스텝7303에 있어서, 카운터값이 120,000Byte 이상인 경우에는 처리 스텝7304로 진행한다. 처리 스텝7304에 있어서, 비교기(6302)는 FIFO 메모리(6301)부터의 데이터출력을 대기시키기 위해서 웨이트신호를 출력한다. FIFO 메모리(6301)는, 웨이트 신호를 리드 인에이블 신호로서 사용하고, 웨이트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기간에 있어서 출력데이터를 갱신하지 않는다. 비교기(6302)는, 동시에, 셀렉터 (6303)에 입력데이터 전환하고 신호를 출력한다. 셀렉터(6303)는, 이 전환 신호에 따라서, 카운터(6304)에 대하여 동기리세트함과 동시에, 입력데이터를 부가데이터 패턴에 전환한다. 카운터(6304)는, 동기리세트에 동기하여 카운터값을 0으로 되돌린 후, 클럭에 동기하여 카운트업시킨다.
처리 스텝7305에 있어서는, 비교기(6302)가 카운터(6304)의 카운터값을 판독된다. 다음에, 판단 스텝7306에 있어서, 비교기(6302)가, 카운터(6304)로부터 판독된 카운터값과 기준정보(6305)에 기억된 부가데이터의 데이터수(2,880Byte)를 비교한다.
카운터값이 2,880Byte이상인 경우에는, 처리 스텝7307에 있어서, 비교기(6302)는 AV 데이터 처리회로(112)부터의 데이터출력 허가신호를 판독된다.
판단 스텝7308에 있어서, 비교기(6302)가 판독된 데이터출력 허가신호에 따라서 데이터출력이 허가되어 있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 FIFO 메모리(6301)로부터의 데이터출력이 허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처리 스텝7301에 되돌아가, 카운터(6304)에 대하여 동기리세트함과 동시에, 셀렉터(6303)에 대하여 입력데이터 전환신호를 출력한다. 셀렉터(6303)는, 이 입력데이터 전환 신호에 동기하여 FIFO 메모리(6301)로부터의 입력데이터의 출력을 개시한다. 카운터(6304)는, 동기리세트에 동기하여 카운터값을 0으로 되돌리고, 그 후, 클럭에 동기하여 카운트업시킨다. 이와 같이, 셀렉터(6303)는, 비교기(6302)부터의 입력데이터 전환 신호에 동기하고, FIFO 메모리(6301)로부터의 입력데이터와 부가데이터 패턴을 교대로 입력데이터로서 선택한다.
한편, 판단 스텝7308에 있어서, 출력 정지명령을 수신한 경우에는, 데이터부가 처리는 종료한다.
실시예2의 자기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영상음성 프레임에 소정수의 부가데이터를 부가하고, 수신한 영상음성 프레임에 소정수의 부가데이터를 부가한 기록프레임 데이터를 버퍼메모리(108)에 출력하여, 격납한다.
도 72는, 버퍼메모리(108)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2에 있어서, 수신한 프레임 데이터(DV스트림의 경우에는, 120,000 BYTE)에 부가데이터로서 2,880 BYTE(스터핑 바이트)를 부가하여, 기록프레임 데이터를 생성하고 있다. 버퍼메모리(108)상의 입력 데이터는, 기록프레임 단위로 순서에 자기디스크(101)에 전송되어, 기록된다.
<실시예3>
다음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예3의 자기디스크 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73은, 실시예3의 자기디스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3에 있어서, 실시예3의 자기디스크 장치는, CPU(106)와, 이 CPU(106)로부터의 커맨드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CPU 인터페이스회로(107)와, 일시 기억회로인 버퍼메모리(108)와, 버퍼메모리(108)에 대한 데이터입출력을 제어하는 버퍼메모리 제어회로(109)를 갖고 있다. 또한, 자기디스크 장치에는, 원반형상의 디스크매체인 자기디스크(101)에 대한 데이터입출력을 제어하는 신호 처리회로(110)와, 위치결정 기구(103)에 구동신호를 주고 자기헤드(102)의 위치결정 제어를 하는 액튜에이터 구동회로(111)와,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회로(105)를 통해 수신된 영상음성 데이터에 따라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AV 데이터 처리회로(112)가 설치된다. 외부 기기부터의 커맨드 및 데이터는, 입출력버스(104)에 의해 전송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회로(105)는 입출력버스(104)를 통해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커맨드, 데이터, 파라미터를 송수신한다. 이들 회로의 구성 및 기능은 전술의 실시예1의 회로와 같으며, 같은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3의 자기디스크 장치가 전술의 실시예1과 다른 점은, 버퍼메모리 제어회로(109)와 신호 처리회로(110)와의 사이에 데이터 부가수단으로서의 데이터 부가회로(6501)를 구비한 점이다. 또한, 실시예3에 있어서의 버퍼메모리 제어회로(109)는, AV 데이터 처리회로(112)로부터 수신된 프레임 검출신호를 기억하여, 그 프레임 검출 신호와 프레임 검출 신호와 대응하는 데이터를 데이터 부가회로(6501)에 출력한다.
데이터 부가회로(6501)는, 전술의 실시예2에 있어서의 데이터 부가회로(6201)와 같이 도 70에 나타낸 내부구성을 갖고, 버퍼메모리 제어회로(109)로부터 출력할 수 있는 데이터와 프레임 검출신호에 따라서 데이터부가회로(6201)와 같은 동작을 실행한다.
실시예3에 있어서는, 도 70에 나타낸 카운터(6304)가 버퍼메모리로부터 출력할 수 있는 데이터수를 계수하는 출력 데이터 카운터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실시예3의 데이터 부가회로(6501)는, 내부에 소정의 패턴의 데이터를 2,880 Byte 출력하는 부가데이터 생성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실시예3에 자기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외부 기기로부터 REC 커맨드가 입력되면,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회로(105) 및 AV 데이터 처리회로(112)는, 전술의 실시예1과 동기의 기록처리를 실행한다. 도 74는 실시예3에 있어서의 버퍼메모리(108)에 있어서의 데이터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버퍼메모리(108)상에는, 수신한 영상음성 프레임(120,000 Byte)이 도 7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순번(#0,#1,#2,‥‥)에 격납된다.
버퍼메모리(108)에 격납되어 있는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는, 경계(A)에 대응하는 프레임 어드레스로부터 순서대로, 데이터부가회로(6501)에 전송된다. 예컨대, 데이터부가회로(6501)는, 영상음성 프레임(#0)의 데이터를 120,000 Byte 카운트한 후에 있어서, 입력신호를 전환하여 소정의 패턴의 데이터를 2,880 Byte 출력한다.
상기의 처리를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반복 행함으로써, 도 75의 상단에 나타낸 입력데이터에 대하여, 하단에 나타낸 출력데이터를 신호처리회로(110)에 출력한다. 도 75는 데이터 부가회로(6501)에 있어서 입력되는 데이터와 출력할 수 있는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으며, 각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 (120,000 Byte)에 2,880 Byte의 부가데이터가 가해져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문에, 자기디스크(101)에 출력할 수 있는 각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는 122,880 Byte이며, 240섹터로 되어 섹터 단위로 자기디스크(101)에 격납된다.
실시예3의 자기디스크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데이터 부가회로(6501)가 설치되기 때문에, 영상음성 프레임마다 섹터 단위로 양산화할 수 있는 데이터를 자기디스크(101)에 기록할 수가 있다.
<실시예4>
다음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예4의 자기디스크 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4에 있어서의 자기디스크 장치의 구성은, 전술한 도 1에 나타낸 실시예1과 같은 구성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은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4의 자기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전술의 실시예1의 자기디스크 장치와 같이, 버퍼메모리(108)에는,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DV 포맷의 영상음성 데이터가 연속하여 입력된다. 버퍼메모리(108)에 격납된 영상음성 데이터의 배치는, 도 76에 나타낸 상태이다. 도 76은 실시예4의 자기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영상음성 데이터의 격납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AV 데이터 처리회로(112)는,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상음성 프레임경계를 검출하여, CPU(106)에 통지한다. CPU(106)는, AV 데이터 처리회로(112)부터의 프레임경계의 검출통지에 따라서, 이하의 처리를 한다.
우선, 영상음성 프레임(#0)(도 76)의 선두 헤더(경계A)에 대한 검출통지에 따라서, AV 데이터 처리회로(112)에 대하여, 경계(A')로부터 경계(B)로의 어드레스 스킵설정을 한다. 이 때문에, AV 데이터 처리회로(112)는, 전술의 실시예1과 같은 동작을 하여, 경계(A)에서 경계(A')까지 1영상음성 프레임분의 데이터를 격납한 뒤, 어드레스 포인터를 경계(B)에 이동하여, 영상음성 프레임(#2)의 데이터의 격납처리를 시작한다.
AV 데이터 처리회로(112)는, 영상음성 프레임(#2)의 선두 헤더를 검출하면, 다시 CPU(106)에 프레임 검출통지를 한다. CPU(106)는, 프레임 검출통지에 따라서 경계(B')에서 경계(C)로의 어드레스 스킵설정을 한다. AV데이터 처리회로(112)는, 이 스킵설정에 따라서 경계(B')로부터 경계(C)로의 어드레스 스킵을 한다.
이상의 처리를 반복 실행함으로써, 버퍼메모리(108)에는 수신한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에 공백영역을 부가한 기록프레임 데이터를 생성할 수가 있다.
버퍼메모리(108)상의 기록프레임 데이터는, 프레임 단위로 순서에 자기디스크(101)에 기입처리가 행하여진다.
또, 전술의 실시예1로부터 4에 있어서는, 1영상음성 프레임이 120,000 Byte의 영상음성 데이터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는 1영상음성 프레임의 데이터사이즈가 고정길이이면, 프레임 단위로 전술의 실시예1로부터 4의 디스크 장치와 같은 처리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5>
다음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예5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700)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77은, 실시예5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7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7에 나타내는 실시예5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700)는, 외부 기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커맨드 및 데이터를 전송하는 입출력버스(7708)에 접속되어 있고, 이 입출력버스(7708)를 통하여 외부 기기, 예컨대 영상음성 기기와의 사이에서 커맨드, 데이터 및 파라미터를 송수신하는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 회로(7707)가 설치되어 있다.
도 7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5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700)는, CPU(7706)와, 이 CPU(7706)로부터의 커맨드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CPU인터페이스(7705)와, 일시 기억 회로인 버퍼메모리(7709)와, 이 버퍼메모리(7709)와, 이 버퍼메모리(7709)에 대한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버퍼메모리 제어수단으로서의 버퍼메모리 제어회로(7704)를 갖고 있다.
CPU(7706)는, 부가데이터 생성수단으로서 버퍼메모리(7709)에 격납된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상음성 프레임에 소정사이즈의 더미데이터를 부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CPU(7706)는,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한 PLAY 커맨드 등에 따른 재생방향 및 재생속도 정보 등의 부가정보를 수신한다. CPU(7706)는, 재생데이터 선택수단으로서, 이들 부가정보에 따라서 외부에 송출해야 할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선택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CPU(7706)는, 스트림 데이터 선택수단으로서 버퍼메모리(7709)에 격납된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선택하여 연속데이터로서 외부 기기로 송출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CPU(7706)은 데이터 추출수단으로서 버퍼메모리(7709)에 격납된 영상음성 데이터의 속에서 외부 기기 송출해야 할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선택하고, 연속하여 외부 기기에 송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실시예5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700)는,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 회로(7707)를 통해 수신된 영상음성 데이터에 따라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AV 데이터 처리회로(7703)가 설치되어 있다.
AV 데이터 처리회로(7703)는, 데이터분할 관리수단으로서 영상음성 데이터의 프레임경계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가지며, CPU(7706)에 프레임경계 정보를 통지한다. 실시예5에 있어서, AV 데이터 처리회로(7703)는, 프레임경계 정보로서,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상음성 프레임 선두데이터에 대응하는 버퍼메모리상의 격납어드레스를 관리하고 있다.
또한, 실시예5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700)에는, 외부의 디스크 장치(7702),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에 영상음성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7701)가 설치된다. 이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700)에 접속되는 디스크 장치(7702)는, 신호 처리회로(110), 위치결정기구(103), 자기헤드(102) 및 액튜에이터 구동회로(111)등의 기입 수단 및 판독 수단을 갖고 있고, 영상음성 데이터를 디스크매체에 기입된 기능 및 디스크매체로부터 판독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 실시예5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700)에 접속되는 디스크 장치(7702)는,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디스크 장치(7702)를 전제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디스크 장치(7702)에는 실시예1로 나타낸 영상음성 데이터를 처리를 하기 위한 AV 데이터 처리회로(112)가 구비되어져 있지 않다.
실시예5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700)는, 전술한 실시예1의 디스크 장치로부터, 영상음성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회로부분을 빼어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700)로서 구성한 것이다. 이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700)는,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디스크 장치(7702)에 접속되고, 실시예1에 있어서 나타낸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재생 처리와 같은 처리를 행한다. 따라서, 실시예5에 있어서는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재생 처리에 대하여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5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700)는, 전술의 실시예1의 디스크 장치의 구성과 다르고, 기록매체로서의 자기디스크(101)이나 액튜에이터 구동회로(111)나 신호처리 회로(110)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그 대신 디스크 장치(7702)와의 인터페이스 제어를 하는 외부 디스크 인터페이스 회로(770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예5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는, 종래의 디스크 장치(7702)와 영상음성 기기가 접속되고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회로(7701)와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 회로(7707)를 통하여, 전술의 실시예1에 있어서의 영상음성 데이터의 처리와 같은 처리가 행하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5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는, 실시예1의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처리와 같이, 외부의 영상음성 기기로부터 입력된 영상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외부의 디스크 장치(7702)에 격납함과 동시에, 외부 기기부터의 각종 요구에 응답하여 디스크 장치(7702)에 지령을 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실시예5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는, 전술의 실시예1에서 나타낸 디스크 장치에 의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종래의 디스크 장치에 대하여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재생 처리 기능을 부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6>
다음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예6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800)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78은, 실시예6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8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8에 있어서, 실시예6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800)는, CPU(7706)와, 이 CPU(7706)부터의 커맨드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CPU 인터페이스회로(7707)와, 일시 기억 회로인 버퍼메모리(7709)와, 이 버퍼메모리(7709)에 대한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버퍼메모리 제어회로(7704)를 갖고 있다. 또한, 실시예6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800)는,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 회로(7707)를 통해 수신된 영상음성 데이터에 따라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AV 데이터 처리회로(7703)가 설치되어 있다. 외부 기기, 예컨대 영상음성 기기부터의 커맨드 및 데이터는, 입출력 버스(7708)에 의해 전송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 회로(7707)는 인파모기 버스(7708)를 통해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커맨드, 데이터, 파라미터를 송수신한다. 이들 회로의 구성 및 기능은 전술의 도 69에 나타낸 실시예2 및 실시예5의 회로와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6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800)에는, 외부의 디스크 장치(7702),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에 영상음성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외부디스크인터페이스회로(7701)가 설치된다. 이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에 접속되는 디스크 장치(7702)는, 신호 처리회로(110), 위치결정 기구(103), 자기헤드(102) 및 액튜에이터 구동회로(111) 등의 기입 수단 및 판독 수단을 갖고 있고, 영상음성 데이터를 자기디스크(101)에 기입하는 기능 및 자기디스크(101)로부터 판독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실시예6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800)가 전술의 실시예5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700)와 다른 점은, AV 데이터 처리회로(7703)와 버퍼메모리 제어회로(7704)와의 사이에 데이터부가수단으로서의 데이터부가회로(6201)를 구비한 점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6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800)는, 전술의 실시예2에서 나타낸 디스크 장치로부터, 영상음성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회로부분을 뽑아 내어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800)로서 구성하여,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디스크 장치(7702)와 접속하여 사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800)에 접속되는 디스크 장치(7702)는,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디스크 장치를 전제로 하고 있다. 따라서, 디스크 장치(7702)에는 실시예2로 나타낸 영상음성 데이터가 처리를 하기 위한 AV 데이터 처리회로(112)는 구비되어 있지 않다.
실시예6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800)는,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디스크 장치(7702)에 접속되어, 실시예2에 있어서 나타낸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재생 처리와 같은 처리를 한다. 따라서, 실시예6에 있어서는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재생 처리에 관해서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6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800)는, 전술의 실시예2의 디스크 장치의 구성과 다르고, 기록매체로서의 자기디스크(101)이나 액츄에이터 구동회로(111)이나 신호 처리회로(110)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그 대신에 디스크 장치(7702)와의 인터페이스 제어를 하는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회로(7701)가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예6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800)는, 종래의 디스크 장치(7702)와 외부 기기가 접속되어,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회로(7701)와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회로(7707)를 통하여, 전술의 실시예2에 있어서의 영상음성 데이터의 처리와 같은 처리가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6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800)는, 실시예2의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처리와 같이, 외부의 영상음성 기기로부터 입력된 영상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외부의 디스크 장치(7702)에 격납됨과 동시에, 외부 기기부터의 각종 요구에 응답하여 디스크 장치(7702)에 지령을 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실시예6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800)는, 전술의 실시예2로 나타낸 디스크 장치에 의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종래의 디스크 장치 에 대하여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재생 처리기능을 부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7>
다음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예7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900)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79는, 실시예7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9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9에 있어서, 실시예7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900)는, CPU(7706)와, 이 CPU(7706)부터의 커맨드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CPU 인터페이스회로(7705)와, 일시 기억 회로인 버퍼메모리(7709)와, 이 버퍼메모리(7709)에 대한 데이터입출력을 제어하는 버퍼메모리 제어회로(7704)를 갖고 있다. 또한, 실시예7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900)는,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회로(7707)를 통해 수신된 영상음성 데이터에 따라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AV 데이터 처리회로(7703)가 설치된다. 외부 기기, 예컨대 영상음성 기기부터의 커맨드 및 데이터는, 입출력 버스(7708)에 의해 전송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회로(7707)는 입출력 버스(7708)를 통해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커맨드, 데이터, 파라미터를 송수신한다. 이들 회로의 구성 및 기능은 전술의 도 73에 나타낸 실시예3, 실시예5 및 실시예6의 회로와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7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900)가 전술의 실시예5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와 다른 점은, 버퍼메모리 제어회로(7704)와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회로(7701)와의 사이에 데이터 부가수단으로서의 데이터부가회로(6501)를 구비한 점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7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900)는, 전술의 실시예3에서 나타낸 디스크 장치로부터, 영상음성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회로부분을 뽑아 내어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900)로서 구성하고,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디스크 장치(7702)와 접속하여 사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900)에 접속되는 디스크 장치(7702)는,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디스크 장치를 전제로 하고 있다. 따라서, 디스크 장치(7702)에는 실시예3에서 나타낸 영상음성 데이터가 처리를 하기 위한 AV 데이터 처리회로(112)는 구비되어 있지 않다.
실시예7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900)는,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디스크 장치(7702)에 접속되어, 실시예3에 있어서 나타낸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재생 처리와 같은 처리를 한다. 따라서, 실시예7에 있어서는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재생 처리에 관해서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7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900)는, 전술의 실시예3의 디스크 장치의 구성과 다르고, 기록매체로서의 자기디스크(101)이나 액츄에이터 구동회로(111)나 신호 처리회로(110)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그 대신에 디스크 장치(7702)와의 인터페이스제어를 하는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회로(770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예7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900)는, 종래의 디스크 장치(7702)와 외부 기기가 접속되어,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회로(7701)와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회로(7707)를 통하여, 전술의 실시예3에 있어서의 영상음성 데이터의 처리와 같은 처리가 행하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7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900)는, 실시예3의 디스크 장치 에 있어서의 처리와 같이, 외부의 영상음성 기기로부터 입력된 영상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외부의 디스크 장치(7702)에 격납함과 동시에, 외부 기기부터의 각종 요구에 응답하여 디스크 장치(7702)에 지령을 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실시예7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7900)는, 전술의 실시예3에서 나타낸 디스크 장치에 의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종래의 디스크 장치에 대하여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재생처리기능을 부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8>
다음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예8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8에 있어서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는, 전술의 도 77에 나타낸 데이터 처리장치와 같은 구성이다. 실시예8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는, 전술의 실시예4의 자기디스크 장치로부터 영상음성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회로부분을 빼내어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실시예8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에는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디스크 장치가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8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의 구성은 전술의 도 77에 나타낸 실시예5와 같은 구성이며, 그 동작은 도 76에 나타낸 실시예4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이하의 설명은 도 76 및 도 7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8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있어서, 전술의 실시예5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와 마찬가지로, 버퍼메모리(7709)에는, 외부 기기에서 입력된 DV포맷의 영상음성 데이터가 연속하여 입력된다. 버퍼메모리(7709)에 격납된 영상음성 데이터의 배치는, 도 76에 나타낸 상태이다. 도 76은 실시예4의 자기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영상음성 데이터의 격납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AV 데이터 처리회로(7703)는,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상음성 프레임경계를 검출하고, CPU(7706)에 통지한다. CPU(7706)는, AV데이터 처리회로(7703)로부터의 프레임경계의 검출통지에 따라서,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우선, 영상음성 프레임(#0)(도 76)의 선두헤더(경계A)에 대한 검출통지에 따라, AV데이터 처리회로(7703)에 대하여, 경계(A')에서 경계(B)로의 어드레스 스킵설정을 행한다. 이 때문에, AV 데이터 처리회로(7703)는, 전술의 실시예5와 같은 동작을 하고, 경계(A)에서 경계(A')까지 1영상음성 프레임분의 데이터를 격납한 후, 어드레스 포인터를 경계(B)에 이동하여, 영상음성 프레임(#2)의 데이터의 격납처리를 시작한다.
AV 데이터 처리회로(7703)는, 영상음성 프레임(#2)의 선두헤더를 검출하면, 다시 CPU(7706)에 프레임 검출통지를 한다. CPU(7706)는, 프레임 검출통지에 따라서 경계(B)'로부터 경계(C)로의 어드레스 스킵설정을 한다. AV 데이터 처리회로(7703)는, 이 스킵설정에 따라서 경계(B)'로부터 경계(C)로의 어드레스 스킵을 한다.
이상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함으로써, 버퍼메모리(7709)에는 수신한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에 공백영역을 부가한 기록프레임 데이터를 생성할 수가 있다.
버퍼메모리(7709)상의 기록프레임 데이터는,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회로(7701)로부터 디스크 장치(7702)에 송출된다.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로부터 송출된 기록청구항데이터는, 프레임 단위로 순서대로 디스크 장치(7702)의 자기디스크(101)에 기입된다.
상기와 같이, 실시예8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있어서, 영상음성 기기로부터의 영상음성 데이터가 처리되고,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회로(7701)를 통하여 디스크 장치(7702)에 전송되어, 기록재생 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5, 6, 7 및 8에 있어서, 1영상음성 프레임이 120,000 Byte의 영상음성 데이터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는 1영상음성 프레임의 데이터사이즈가 고정길이면, 프레임 단위로 전술한 실시예5, 6, 7 및 8과 동일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 점에서 명백하듯이, 본 발명은 다음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음성 데이터인 스트림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분할하여 처리하고, 디지털 VCR에 있어서의 각 커맨드의 처리기능을 구비하며, 외부 기기로부터 스트림 데이터에 대한 각종 처리요구에 대하여 대응가능한 디스크 장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영상음성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장치 및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는,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한 영상음성 데이터인 스트림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분할하여 디스크매체에 격납하기 위한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를 형성하고, 또한 디스크매체로부터 판독된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를 결합하여 스트림 데이터에 형성하여, 외부 기기에 연속하여 영상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는 등의 영상음성 데이터의 처리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 및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는, 영상음성 데이터의 처리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외부 기기와의 커맨드의 송수신을 실시할 필요가 없고, 영상음성 데이터를 연속하여 수신할 수가 있다. 이 결과,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은 데이터전송효율을 갖는 디스크 장치 및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크 장치 및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에 영상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는 외부 기기가 영상음성 데이터의 분할 등의 처리를 하기 위한 기능을 가질 필요가 없기 때문에, 외부 기기에 대한 영상음성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기능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장치 및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는,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상음성 프레임경계를 검출하고, 검출한 영상음성 프레임경계에 따라서 외부에서 연속하여 수신한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에 분할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크매체에 대하는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입을 분할된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제어할 수가 있다. 이 결과,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장치 및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는, 디스크매체에 대한 기입을 기존의 기술을 사용하여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에서 연속하여 수신한 영상음성 데이터의 디스크매체에 대한 기입 제어를 간단하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영상음성 제어 방법은,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상음성 프레임경계를 검출하고, 검출한 영상음성 프레임경계에 따라서 외부에서 연속하여 수신한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에 분할하여, 디스크매체에 대한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입을 분할된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제어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관한 영상음성 제어 방법에 의하면, 디스크매체에 대한 기입을 기존의 기술을 사용하여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져, 외부에서 연속하여 수신한 영상음성 데이터의 디스크매체에 대한 기입 제어를 간단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장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영상음성 제어 방법은,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경계를 검출한 타이밍에 의해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디스크매체에 기입할 수 있고, 영상음성 프레임을 주기적으로 수신한 경우(IEEE1394 버스상에 전송되어 있는 DV 데이터 등)에는, 디스크매체에 대한 영상음성 프레임의 기록을 주기적으로 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크매체에 대한 기록타이밍 제어를 간단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장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영상음성 제어 방법은, 디스크매체에 대하여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기록한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의 선두로부터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판독되어, 외부로 송신함으로써, 외부에 접속된 표시기기에 있어서 원하는 영상음성 프레임의 선두로부터 영상이 흐트러지지 않게 재생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장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영상음성 제어 방법은, 외부부터의 재생 커맨드나, 이 재생 커맨드에 대응한 재생방향 및 재생속도 정보 등의 부가정보에 따라서 디스크매체에 기록된 영상음성 데이터의 속에서 외부에 송신해야 할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선택한 영상음성 데이터의 재생처리를 계속 실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디스크 장치에 접속된 외부 기기는, VCR 기기에 대한 재생개시 커맨드와 같은 순서로 디스크매체에 격납된 영상음성 데이터를 재생할 수가 있고, 외부 기기에 대하여 VCR 기기와 같은 조작성을 본 발명은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장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영상음성 제어 방법은, 디스크매체로부터 판독된 영상음성 데이터의 속에서 외부에 송신해야 할 영상음성 데이터를 추출하기 때문에, 디스크매체에 대한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입 혹은 판독 단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디스크매체에 대한 기입/판독 제어를 간단히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장치 및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는,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수단이 출력하는 검출신호에 의하여, CPU는 디스크 장치에 입출력하는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시간 단위로 파악할 수 있다. 그 결과, CPU는 버퍼메모리내의 데이터량을 리얼타임으로 파악하고, 버퍼메모리가 오버플로우나 언더플로우하지 않도록 데이터전송 제어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장치 및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는, 프레임 어드레스 관리수단 등과 조합하여, 버퍼메모리중의 격납 프레임경계 어드레스를 시간 단위로 파악할 뿐만 아니라, 데이터량 단위로 파악할 수 있는 구성이 된다. 그 결과, CPU가 버퍼메모리내의 영상음성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액세스하고, 격납순서에 구애되지 않고 액세스가 가능하고, 특수재생 등이 간단하게 실현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영상음성 제어 방법은,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선두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정보와,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어드레스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정보와, 디스크매체상의 미기록영역 선두 어드레스정보를 관리, 갱신하고, 디스크매체상의 소정의 영역에 기입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복잡한 관리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디스크매체에 기록한 영상음성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영상음성 제어 방법은, 어드레스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디스크매체상의 영상음성 데이터를 재생함으로써, 디스크매체상의 영상음성 데이터 미기록부의 재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어드레스정보를 바탕으로, 디스크매체상으로 영상음성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미기록영역을 발생시키지 않고, 연속적으로 부가 기록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상의 효과는, 영상음성 제어 방법에 있어서의 처리 스텝을 장치한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실현할 수 있으며, 컴퓨터용의 소프트웨어 혹은 기기 조립 마이콘용의 소프트웨어로서 실장한 경우에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영상음성 데이터의 축적·전달 등을 하는 영상서버로서 하드디스크를 사용하여, 영상음성 데이터를 용이하게 기록재생할 수 있는 디스크 장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영상음성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59)

  1. 데이터를 기록 재생가능한 디스크매체,
    영상음성 데이터를 일단 격납하는 버퍼메모리,
    상기 버퍼메모리에 대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버퍼메모리 제어수단,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로부터 영상음성 프레임경계를 검출하고, 또한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수단,
    상기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한 데이터의 관리정보를 형성하는 데이터분할 관리수단, 및
    상기 관리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상기 디스크매체에 기입하는 기입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의 소정의 데이터를 부가하여 기록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데이터 부가수단을 더욱 구비하며,
    상기 기입수단은, 상기 기록데이터패킷을 상기 디스크매체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부가수단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음성 데이터수를 계측하는 입력데이터 카운터수단과, 계측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수에 따라 부가데이터를 생성하는 부가데이터 생성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부가수단은, 상기 버퍼메모리에서 출력된 영상음성 데이터수를 계측하는 출력데이터카운터수단과, 계측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수에 따라 부가데이터를 생성하는 부가데이터 생성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5. 데이터를 기록 재생가능한 디스크매체,
    영상음성 데이터를 일단 격납하는 버퍼메모리,
    상기 디스크매체에 기록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중에서 외부에 대하여 출력하는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선택하는 재생데이터 선택수단,
    상기 재생데이터 선택수단에 의하여 선택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상기 디스크매체로부터 판독하는 판독 수단,
    상기 디스크매체로부터 판독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상기 버퍼메모리에 격납하는 버퍼메모리 제어수단, 및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격납데이터를 결합하여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연속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스트림 데이터 생성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데이터 생성수단은,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복수회 결합하여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연속하여 외부로 출력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데이터 선택수단은, 상기 버퍼메모리의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중에서 외부로 출력해야할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선택하여, 선택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에 대응한 버퍼메모리상의 격납어드레스를 버퍼메모리 제어수단에 통지하고,
    상기 버퍼메모리 제어수단은, 상기 격납어드레스에 따라 버퍼메모리상의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선별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데이터 선택수단은, 상기 디스크매체에 기록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중에서 외부로 출력되어야 할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순서대로 선택하고, 선택된 복수의 상기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를 대응하는 상기 디스크매체상의 배치순으로 분류하여 판독 수단에 통지하고,
    상기 판독 수단은, 상기 재생데이터 선택수단으로부터 통지된 상기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를 상기 디스크매체상의 배치순서로 판독하여 상기 버퍼메모리 제어수단으로 전송하고,
    상기 버퍼메모리 제어수단은, 상기 판독 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해야할 순서대로 상기 버퍼메모리에 격납하고,
    상기 스트림 데이터 생성수단이,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상기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해야할 순서대로 순차 결합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데이터 선택수단은, 상기 디스크매체에 기록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선별하여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데이터 선택수단은, 상기 디스크매체에 기록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중에서,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선별하여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외부에 대한 출력 데이터로서 선택하고,
    상기 스트림 데이터 생성수단은,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복수회 결합하여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1. 데이터를 기록 재생가능한 디스크매체,
    상기 디스크매체에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행하는 기록재생수단,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일단 격납하는 버퍼메모리,
    상기 버퍼메모리에 대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버퍼메모리 제어수단,
    외부에 대한 출력데이터를 선택하는 재생데이터 선택수단,
    상기 재생데이터 선택수단에 의하여 선택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상기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수단을 통하여 상기 디스크 장치로부터 상기 버퍼메모리에 판독하는 판독 수단,
    상기 디스크매체로부터 판독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중에서 외부로 출력하는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수단, 및
    상기 데이터 추출수단에 의하여 추출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결합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스트림 데이터 생성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2. 데이터를 기록 재생가능한 디스크매체,
    상기 디스크매체에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행하는 기록재생수단,
    상기 기록재생수단과 외부와의 인터페이스사이에 배치되고 영상음성 데이터를 일단 격납하는 버퍼메모리,
    상기 버퍼메모리에 대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버퍼메모리 제어수단, 및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로부터 영상음성 프레임경계를 검출하고, 또한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수단에 의한 영상음성 프레임경계의 검출 수에 따라 상기 버퍼메모리 제어수단으로의 데이터 입출력량을 산출하는 송수신데이터량 산출수단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음성 프레임경계의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어드레스값을 기억하는 프레임 어드레스 관리수단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음성 프레임경계의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어드레스값을 기억하는 프레임 어드레스 관리수단, 상기 프레임 어드레스 관리수단의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버퍼메모리 제어수단의 액세스 어드레스를 제어하는 액세스 어드레스 제어수단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수단에 의하여 영상음성 프레임을 검출하는 타이밍에 동기하여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의 출력타이밍을 제어하는 데이터출력타이밍 제어수단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7. 데이터를 기록 재생가능한 디스크매체,
    상기 디스크매체에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행하는 기록재생수단, 및
    기록이 완료된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영역정보를 관리, 갱신하는 기록영역 관리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기록재생수단과 상기 디스크매체상의 어드레스 순으로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하고,
    상기 기록영역 관리수단은, 상기 기록이 완료된 영상음성 데이터의 선두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정보와, 상기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정보와, 상기 디스크매체상의 미기록영역 선두어드레스 정보를 관리, 갱신하고, 상기 디스크매체상의 소정의 영역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영역 관리수단은,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정지 또는 기록대기를 실행하였을 때, 상기 기록이 완료된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정보와, 상기 디스크매체상의 미기록영역 선두어드레스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영역 관리수단은, 외부에서의 상기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소거 요구에 따라, 상기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 및 상기 디스크매체상의 미기록영역 선두 어드레스에, 상기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선두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영역 관리수단은, 외부에서의 상기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소거 요구에 따라, 상기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 및 상기 디스크매체상의 미기록 영역 선두어드레스를, 각각 소거전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 및 소거전 미기록영역 선두어드레스로서 일시 기억하며, 또한
    외부로부터의 상기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에 대한 소거취소 요구에 따라, 상기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와 상기 소거전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를 기록개시어드레스를 비교하고, 상기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가 상기 소거전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에 비하여 기록영역의 최종끝단으로부터 먼 경우에, 상기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와 상기 디스크매체상의 미기록영역 선두 어드레스를, 소거전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와 소거전 상기 디스크매체상의 미기록 영역 선두 어드레스에, 일치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현재 기록 또는 재생하고 있는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선두어드레스, 혹은 다음에 기록 또는 재생해야할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어느 하나의 상기 디스크매체상의 선두어드레스를 관리하는 어드레스관리수단을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관리수단은, 외부에서의 빨리감기 또는 되감기 요구에 다라, 다음에 기록/재생할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선두어드레스로서, 상기 기록영역 관리수단에 의하여 관리되고 있는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 또는 선두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상기 디스크매체상의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영역정보 또는 상기 선두어드레스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의 재생제어를 행하는 재생 제어수단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영역 관리수단 또는 상기 어드레스관리수단에 의하여 관리되는 정보에 따라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제어를 행하는 기록 제어수단을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25. 제 21 항에 있어서, 외부에서의 검색요구에 따라서 절대 트랙번호 또는 타임코드에 따라 상기 디스크매체상에 기록한 영상음성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수단을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26. 제 17 항에 있어서, 기록하는 영상음성 데이터중에서 소정의 정보를 검출하는 정보 검출수단 및
    상기 정보검출수단에 의하여 소정의 정보가 검출된 경우에, 적어도 상기 소정의 정보를 검출한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에 대응하는 기록개시 어드레스정보와,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 중에 포함되는 타임코드정보 또는 절대 트랙번호 정보를 관리하고, 갱신하는 마크정보 관리수단을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장치가 관리하는 일련의 마크정보를 외부에 통지하는 마크정보 통지수단을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28. 제 17 항에 있어서, 외부에서의 마크부가 요구를 접수하는 마크지시 접수수단, 및
    외부에서의 마크부가 요구에 따라, 적어도 마크부가 요구 발생시점에 기록 또는 재생하고 있는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에 대응하는 기록개시 어드레스 정보와,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 중에 포함되는 타임코드 정보 또는 절대 트랙번호 정보를 관리하고, 갱신하는 마크정보 관리수단을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장치가 관리하는 일련의 마크정보를 외부에 통지하는 마크정보통지수단을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30. 제 17 항에 있어서, 외부에서 통지된 마크정보를 수신하는 마크정보 수신수단, 및
    영상음성 데이터기록시에, 외부에서 통지된 마크정보에 포함되는 타임코드 정보 또는 절대 트랙번호 정보에 대응한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한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크매체상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정보와, 상기 검출한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에 포함되는 타임코드정보 또는 절대 트랙번호 정보를 관리하고, 갱신하는 마크정보 관리수단을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장치가 관리하는 일련의 마크정보를 외부에 통지하는 마크정보 통지수단을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32. 디스크 장치에 대한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제어하는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수단,
    영상음성 기기에 대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제어하는 외부 영상음성 기기 인터페이스수단,
    상기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수단과 상기 영상음성 기기 인터페이스수단 사이에 있고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일단 격납하는 버퍼메모리,
    상기 버퍼메모리에 대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버퍼메모리 제어수단,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로부터 영상음성 프레임경계를 검출하고, 또한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수단, 및
    상기 영상음성 프레임경계에 따라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한 데이터의 관리정보를 형성하는 데이터분할 관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수단은, 상기 관리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상기 디스크 장치에 데이터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에 따라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에 소정의 데이터를 부가하여 기록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데이터 부가수단,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디스크 장치에 기입하는 상지 디스크 인터페이스수단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34. 디스크 장치에 대한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제어하는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수단,
    영상 음성 기기에 대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제어하는 외부 영상음성 기기 인터페이스수단,
    상기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수단과 상기 영상음성 기기 인터페이스수단 사이에 있고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일단 격납하는 버퍼메모리,
    상기 버퍼메모리에 대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버퍼메모리 제어수단,
    상기 디스크 장치에 기록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중에서 상기 외부 영상음성 기기 인터페이스수단에 대하여 송출하는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선택하는 재생데이터 선택수단,
    상기 재생데이터 선택수단에 의하여 선택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상기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수단을 통하여 상기 디스크 장치로부터 상기 버퍼메모리에 판독하는 판독 수단, 및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격납데이터를 결합하여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외부 영상음성 기기 인터페이스수단을 통하여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연속하여 외부 기기에 송출하는 스트림 데이터 생성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데이터 선택수단은, 상기 디스크매체에 기록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중에서,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선별하여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외부에 대하여 출력데이터로서 선택하고,
    상기 스트림 데이터 생성수단은,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복수회 결합하여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36. 외부의 디스크 장치에 대한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제어하는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수단,
    외부의 영상음성 기기에 대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제어하는 외부 영상음성 기기 인터페이스수단,
    상기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수단과 상기 외부 영상음성 기기 인터페이스수단 사이에 배설되고,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일단 격납하는 버퍼메모리,
    상기 버퍼메모리에 대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버퍼메모리 제어수단,
    상기 디스크 장치에 기록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중에서 상기 외부 영상음성 기기 인터페이스수단에 대하여 송출하는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선택하는 재생데이터 선택수단,
    상기 재생데이터 선택수단에 의하여 선택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상기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수단을 통하여 상기 디스크 장치로부터 상기 버퍼메모리로 판독하는 판독 수단,
    상기 디스크 장치에서 판독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중에서 외부로 출력하는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수단, 및
    상기 데이터 추출수단에 의하여 추출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결합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스트림 데이터 생성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37. 외부의 디스크 장치에 대한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제어하는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수단,
    외부의 영상음성 기기에 대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제어하는 외부 영상음성 기기 인터페이스수단,
    상기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수단과 상기 외부 영상음성 기기 인터페이스수단 사이에 배설되고,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일단 격납하는 버퍼메모리,
    상기 버퍼메모리에 대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버퍼메모리 제어수단, 및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로부터 영상음성 프레임경계를 검출하고, 또한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수단에 의한 영상음성 프레임경계의 검출 수에 따라 상기 버퍼메모리 제어수단으로의 데이터 입출력량을 산출하는 송수신 데이터량 산출수단을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3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음성 프레임경계의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어드레스값을 기억하는 프레임 어드레스 관리수단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40.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음성 프레임경계의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어드레스값을 기억하는 프레임 어드레스 관리수단, 및
    상기 프레임 어드레스 관리수단의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버퍼메모리 제어수단의 액세스어드레스를 제어하는 액세스 어드레스 제어수단을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41.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음성 프레임 검출수단에 의하여 영상음성 프레임을 검출하는 타이밍에 동기하여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의 출력타이밍을 제어하는 데이터출력 타이밍 제어수단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42. 외부의 디스크 장치에 대한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제어하는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수단,
    외부의 영상음성 기기에 대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제어하는 외부 영상음성 기기 인터페이스수단, 및
    상기 디스크 장치에 기록된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역정보로서, 상기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선두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정보와, 상기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정보와, 상기 디스크 장치의 미기록영역 선두 어드레스정보를 관리, 갱신하고, 상기 디스크 장치의 소정의 영역에 기입하는 기록영역 관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43. 제 42 항에 있어서, 현재, 상기 디스크 장치가 기록 또는 재생하고 있는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 혹은 다음에 기록 또는 재생해야할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어느 하나의 선두어드레스를 관리하는 어드레스관리수단을 더욱 구비하며,
    상기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수단은, 상기 디스크 장치의 어드레스순서로 영상음성 데이터를 기록재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44.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장치에 기록하기 전의 영상음성 데이터중에서 적어도 일시데이터, 타임코드 및 절대트랙 번호 중 어느 하나의 불연속점을 검출하는 정보검출수단,
    상기 정보검출수단에 의하여 소정의 정보가 검출된 경우에, 적어도 상기 소정의 정보를 검출한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크 장치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정보와,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 중에 포함되는 타임코드정보 또는 절대트랙 번호 정보를 관리하고, 갱신하는 마크정보 관리수단을 더욱 구비하며,
    상기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수단은, 상기 디스크 장치의 어드레스순서로 영상음성 데이터를 기록재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45. 제 42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마크부가 요구를 접수하는 마크지시 접수수단,
    외부에서의 마크부가요구에 따라, 적어도 마크부가 요구 발생시점에, 디스크 장치에 기록하고자 하는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크 장치의 기록개시 어드레스 정보와,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 중에 포함되는 타임코드 정보 또는 절대 트랙번호 정보를 관리하고, 갱신하는 마크정보 관리수단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수단은, 상기 디스크 장치의 어드레스순서로 영상음성 데이터를 기록재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46. 제 42 항에 있어서, 외부에서 통지된 마크정보를 수신하는 마크정보수신수단, 및
    영상음성 데이터를 상기 디스크 장치로 기록시에, 외부로부터 통지된 마크정보에 포함되는 타임코드정보 또는 절대트랙번호를 정보에 대응한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한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크 장치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정보와, 상기 검출한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에 포함되는 타임코드정보 또는 절대 트랙번호 정보를 관리하고, 갱신하는 마크정보 관리수단을 더욱 구비하며,
    상기 외부디스크 인터페이스수단은, 상기 디스크 장치의 어드레스순으로 영상음성 데이터를 기록재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47. 영상음성 데이터를 일단 버퍼메모리에 격납하는 스텝,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상음성 프레임경계를 검출하는 스텝,
    검출한 상기 영상음성 프레임경계에 따라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한 영상음성 데이터의 관리정보를 형성하는 스텝, 및
    상기 관리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디스크매체에 송출하는 스텝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제어 방법.
  48. 제 47 항에 있어서, 분할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에 소정의 데이터를 부가하여 기록데이터패킷을 생성하는 스텝을 더욱 가지는 영상음성 제어 방법.
  49. 선택한 영상음성 데이터를 디스크매체로부터 판독하는 스텝,
    판독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버퍼메모리에 격납하는 스텝, 및
    격납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결합하여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연속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스텝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제어 방법.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스텝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매체에 기록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선별하여 선택하고,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연속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스텝에 있어서,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프레임 단위로 복수회 결합하여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제어 방법.
  51. 디스크매체에 기록한 영상음성 데이터를 선택하는 스텝,
    선택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상기 디스크매체로부터 판독 스텝,
    판독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로부터 외부로 출력하는 영상음성 데이터를 추출하는 스텝,
    추출한 영상음성 데이터를 버퍼메모리에 격납하는 스텝,
    격납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결합하여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텝, 및
    생성한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스텝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제어 방법.
  52.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음성 데이터 및 외부로 출력되는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디스크매체로 기록 재생하는 기록재생 처리 스텝, 및
    상기 디스크매체상에 기록된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역정보로서, 상기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선두 영상음성 프레임의 기록개시 어드레스 정보와, 상기 기록완료 영상음성 데이터의 최종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정보와, 상기 디스크매체상의 미기록영역 선두 어드레스정보를 관리, 갱신하고, 상기 디스크매체상의 소정의 영역으로 기입하는 기록영역관리 스텝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제어 방법.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매체상에 현재 기록하고 또는 재생하고 있는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의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 혹은 다음에 기록 또는 재생해야할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의 상기 디스크매체상의 어느 하나의 선두어드레스를 관리하는 어드레스관리 스텝을 더욱 가지며,
    상기 기록재생처리 스텝에 있어서 디스크매체상의 어드레스 순으로 기록 재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제어 방법.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정보 또는 상기 선두어드레스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의 재생제어를 행하는 재생제어 처리 스텝을 더욱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제어 방법.
  55.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정보 또는 상기 선두어드레스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의 기록제어를 행하는 재생제어 처리 스텝을 더욱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제어 방법.
  56. 제 53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검색 요구에 따라 절대 트랙번호 또는 타임코드에 따라 상기 디스크매체상에 기록한 영상음성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 스텝을 더욱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제어 방법.
  57. 제 52 항에 있어서, 기록하는 영상음성 데이터중에서 적어도 일시데이터와 타임코드와 절대 트랙번호의 어느 하나의 불연속점을 검출하는 정보검출 스텝, 및
    상기 정보검출 스텝에 의하여 소정의 정보가 검출된 경우에, 적어도 상기 소정의 정보를 검출한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에 대응하는 기록개시 어드레스정보와,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 중에 포함되는 타임코드정보 또는 절대 트랙번호 정보를 관리하고, 갱신하는 마크정보 관리 스텝을 더욱 가지며,
    상기 기록재생 처리 스텝에 있어서 디스크매체상의 어드레스 순으로 기록 재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제어 방법.
  58. 제 52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마크부가 요구를 접수하는 마크지시 접수 스텝, 및
    외부에서의 마크부가 요구에 따라, 적어도 마크부가 요구 발생시점에 있어서 기록 또는 재생하고 있는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에 대응하는 기록개시 어드레스 정보와,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 중에 포함되는 타임코드 정보 또는 절대 트랙번호 정보를 관리하고, 갱신하는 마크정보 관리 스텝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기록재생 처리 스텝에 있어서 디스크매체상의 어드레스순으로 기록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제어 방법.
  59. 제 52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통지된 마크정보를 수신하는 마크정보 수신 스텝, 및
    영상음성 데이터기록시에, 외부에서 통지된 마크정보에 포함되는 타임코드정보 또는 절대 트랙번호 정보에 대응한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한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크매체상의 기록개시 어드레스정보와, 상기 검출한 영상음성 프레임 데이터에 포함하는 타임코드정보 또는 절대 트랙번호 정보를 관리하고, 갱신하는 마크정보 관리 스텝을 더욱 구비하며,
    상기 기록재생처리 스텝에 있어서 디스크매체상의 어드레스 순서로 기록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제어 방법.
KR1020007001585A 1998-06-17 1999-06-11 디스크 장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영상음성제어 방법 KR1003551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963498 1998-06-17
JP169634 1998-06-17
JP22932498 1998-07-29
JP229324 1998-07-29
PCT/JP1999/003153 WO1999066507A1 (fr) 1998-06-17 1999-06-11 Lecteur de disques, processeur de donnees video/audio, et procede de commande video/audio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2977A true KR20010022977A (ko) 2001-03-26
KR100355181B1 KR100355181B1 (ko) 2002-10-11

Family

ID=26492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1585A KR100355181B1 (ko) 1998-06-17 1999-06-11 디스크 장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영상음성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85465B1 (ko)
EP (1) EP1003169A4 (ko)
KR (1) KR100355181B1 (ko)
CN (1) CN1253880C (ko)
TW (1) TW538409B (ko)
WO (1) WO19990665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88284C (zh) * 2001-09-18 2008-05-14 维音数码(上海)有限公司 一种数字化声像记录系统
WO2004049151A2 (en) * 2002-11-26 2004-06-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for managing removable storage media that can be connected thereto, and method, program, and system lsi for managing removable storage media
US20050050578A1 (en) * 2003-08-29 2005-03-03 Sony Corporation And Sony Electronics Inc. Preference based program deletion in a PVR
JP2006202402A (ja) * 2005-01-20 2006-08-03 Toshiba Corp 情報再生装置および情報再生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7481A (en) 1994-06-22 1998-04-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H08237588A (ja) 1995-02-27 1996-09-13 Sony Corp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H09322118A (ja) * 1996-05-28 1997-12-12 Nippon Hoso Kyokai <Nhk> ディジタル映像・音声信号用インタフェース回路
JP3363712B2 (ja) * 1996-08-06 2003-01-08 株式会社リコー 光ディスク装置
JPH1093902A (ja) 1996-09-13 1998-04-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編集制御装置
JP3637586B2 (ja) * 1996-11-15 2005-04-13 ソニー株式会社 変換装置および方法
JPH10254811A (ja) 1997-03-12 1998-09-25 Sony Corp 電子機器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3208360B2 (ja) * 1997-09-09 2001-09-10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ジタルビデオレコー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03169A4 (en) 2005-10-05
CN1253880C (zh) 2006-04-26
TW538409B (en) 2003-06-21
KR100355181B1 (ko) 2002-10-11
EP1003169A1 (en) 2000-05-24
US6785465B1 (en) 2004-08-31
CN1275232A (zh) 2000-11-29
WO1999066507A1 (fr) 1999-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3922B2 (ja) データ記録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ビデオレコーダ,隣接トラック消去の最小化方法
KR100561329B1 (ko) 정보 기록 매체 및 시스템 제어기
KR100508814B1 (ko)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파일 관리방법, 파일정보 생성방법, 파일관리방법, 관리정보 생성장치, 관리정보 해석장치, 매체
JP4151197B2 (ja)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KR100333299B1 (ko) 디스크 기록매체의 데이터 복사방법, 데이터 기록방법, 데이터편집방법 및 디스크 기록장치
KR100355181B1 (ko) 디스크 장치, 영상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영상음성제어 방법
EP1158522B1 (en) Data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JP3455698B2 (ja) ディスク装置、映像音声データ処理装置及び映像音声制御方法
JP3975586B2 (ja)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8171566A (ja) データ再生装置及びデータ記録装置、並びにデータ再生方法及びデータ記録方法
KR20000016370A (ko) 기록 재생장치
JP2000311469A (ja) ディスク制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ク装置
WO2010007727A1 (ja) 映像記録装置、映像再生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000035410A (ko) 데이터 기록 장치 및 방법과, 데이터 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JP2000105986A (ja) ディスク装置、映像音声デ―タ処理装置及び映像音声制御方法
JP3506031B2 (ja) 映像音声データ記録再生装置
US7127153B2 (en) Host system, driving apparatus, information recording and reading method for the host system, and information recording and reading method for the driving apparatus
JP3510998B2 (ja) ディスク制御装置、ディスク制御方法およびディスク装置
JP2000105974A (ja) ディスク装置及び映像音声デ―タ処理装置
JP2006324010A (ja) データ再生装置及びデータ記録装置
JPH10340533A (ja) データ記録装置及び方法
JP3552453B2 (ja) ディジタル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3558521B2 (ja) 映像音声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3457361B2 (ja) 同期再生及び記録再生装置
JP2001086448A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