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1869A - 다층 필름 및 용기 - Google Patents

다층 필름 및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1869A
KR20010021869A KR1020007000433A KR20007000433A KR20010021869A KR 20010021869 A KR20010021869 A KR 20010021869A KR 1020007000433 A KR1020007000433 A KR 1020007000433A KR 20007000433 A KR20007000433 A KR 20007000433A KR 20010021869 A KR20010021869 A KR 20010021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ensity
ethylene
resin
multilay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0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2305B1 (ko
Inventor
덴포우다카유키
가타오카다모쓰
핫토리게이이치
Original Assignee
오쓰카 요시미쓰
가부시키가이샤오쓰카세이야쿠코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쓰카 요시미쓰, 가부시키가이샤오쓰카세이야쿠코죠 filed Critical 오쓰카 요시미쓰
Publication of KR20010021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3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2Separating means
    • A61J1/2024Separating means having peelable se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3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for products to be mix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7/00Methods of manufacture, assembly or pro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2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8Weight, e.g. weight per square 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3HDPE, i.e. high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80Medical packa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34Nonself-supporting tubular film or bag [e.g., pouch, envelope, packe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92Density or compression of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Packag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Wrappers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도가 0.930 내지 0.95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진 제1 층, 밀도가 0.890 내지 0.92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진 제2 층, 밀도가 0.900 내지 0.930g/cm3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진 제3 층, 밀도가 0.890 내지 0.92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진 제4 층 및 밀도가 0.915 내지 0.95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진 제5 층을 차례로 포함하는 다층 필름을 제공한다. 당해 용기는 의학 분야에서 액상 약물 또는 혈액 등을 담는데 유용하다.

Description

다층 필름 및 용기{Multilayer film and container}
주입액 백과 같은 의학용 가요성 플라스틱 용기에 있어서, 이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층 필름을 원료로서 사용하는 시도가 있어왔다.
통상적인 의학용 다층 용기의 예로서는 다음 폴리에틸렌 수지가 있다:
외층과 내층의 밀도가 각각 0.920g/cm3이상이고, 중간층의 밀도가 0.920g/cm3미만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3층 백[참조: 일본 코카이(공개)특허공보 제62-64363호],
외층과 내층의 밀도가 각각 0.910 내지 0.940g/cm3이고, 중간층의 밀도가 0.880 내지 0.905g/cm3이며, 이들 사이의 밀도차가 0.01g/cm3이상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3층 용기[참조: 일본 코카이(공개)특허공보 제63-248633호],
밀도가 0.920g/cm3이상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외층, 밀도가 0.915g/cm3이하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중간층 및 밀도가 0.918g/cm3이상인 측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내층을 포함하는 3층 백[참조: 일본 코카이(공개)특허공보 제3-277365호],
밀도가 0.930g/cm3이하인 장쇄 측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밀도가 0.945g/cm3이상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5 내지 40%와 혼합함으로써 수득된 수지의 내층과 외층, 및 밀도가 0.920g/cm3이하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15% 이하와 혼합함으로써 수득된 수지의 중간층을 포함하는 3층 이상의 백[참조: 일본 코카이(공개)특허공보 제4-266759호].
그러나, 상기 통상적인 의학용 다층 용기는 다음 단점들 중 어느 하나를 갖는다.
(1) 내층과 외층이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열성이 불충분하고, 고압 증기 멸균 또는 온수 멸균과 같은 고온 조건하에 멸균 결과, 밀봉 강도 및 낙하 강도가 저하된다.
(2) 고온 조건하에서의 상기 멸균 후 점착되기 쉽다(낮은 내점착성).
(3) 필름의 강도가 낮기 때문에, 벽 두께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4) 인장 강도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백 생성율이 증가될 수 없다.
(5) 가열기의 온도를 용봉(heat sealing)시 증가시킬 수 없기 때문에, 밀봉을 단시간내에 수행할 수 없다(밀봉성이 불량하다).
(6) 투명성 및 가용성이 멸균 후 저하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의학용 용기(주입액 백)(10)를 제조하는 경우, 2개의 필름(22, 22)을 서로 적층시키고, 포트 멤버(포트)(20)를 필름들 사이에 삽입한 상태로 필름(22, 22)의 주위면을 용봉시킨다.
그러나,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22)은 포트 멤버(20)에 인접한 부분에서 크게 굴곡되기 때문에, 통상적인 다층 필름을 용봉하는 경우, 필름이 굴곡 부분(24)에서 연신되어 필름 두께가 감소된다. 따라서, 핀홀이 생기기 쉽다.
본 발명은 다층 필름 및 이를 사용하여 성형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별히, 본 발명은 의학 분야에서 액상 의약품 또는 혈액 등을 담기 위한 재료로서 사용되는 다층 필름 및 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용기의 한 양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절취한 단편의 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용기의 또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각각의 도면에서, 숫자 기호 (10)과 (12)는 둘다 용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열성, 내점착성, 강도, 밀봉성, 투명성, 가요성 및 외관이 우수하고, 용봉시 굴곡 부분에서 핀홀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층 필름, 및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광범위하게 연구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은 완성되었다.
즉, 본 발명은 다음에 관한 것이다:
(1) 밀도가 0.930 내지 0.95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진 제1 층, 밀도가 0.890 내지 0.92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진 제2 층, 밀도가 0.900 내지 0.930g/cm3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진 제3 층, 밀도가 0.890 내지 0.92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진 제4 층 및 밀도가 0.915 내지 0.95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진 제5 층을 차례로 포함하는 다층 필름;
(2) 제5 층에 사용되는 수지가, 밀도가 0.915 내지 0.95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밀도가 0.900 내지 0.930g/cm3인 폴리프로필렌과 1:3 내지 9:1의 중량비로 혼합함으로써 수득되는 혼합 수지인 상기 (1)항에 따르는 다층 필름;
(3) 제3 층에 사용되는 수지가, 밀도가 0.900 내지 0.930g/cm3인 폴리프로필렌을 밀도가 0.860 내지 0.93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60중량% 이하와 혼합함으로써 수득되는 혼합 수지인 상기 (1)항에 따르는 다층 필름;
(4) 제3 층에 사용되는 수지가, 밀도가 0.900 내지 0.930g/cm3인 폴리프로필렌을 밀도가 0.860 내지 0.93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5 내지 20중량%와 혼합함으로써 수득되는 혼합 수지인 상기 (3)항에 따르는 다층 필름;
(5) 제2 및 제4 층에 사용되는 수지가, 밀도가 0.910 내지 0.93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30 내지 60중량%, 밀도가 0.860 내지 0.90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35 내지 65중량% 및 밀도가 0.955 내지 0.970g/cm3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인 상기 (1)항 내지 (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다층 필름;
(6) 제3 층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의 용융 유량이 1 내지 40g/분(230℃)이고, 융점이 140 내지 170℃인 상기 (1)항 내지 (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다층 필름;
(7) 각각의 층의 두께 비율이, 필름의 전체 두께를 기준으로 하여, 제1 층: 5 내지 15%, 제2 층: 25 내지 45%, 제3 층: 3 내지 15%, 제4 층: 25 내지 45% 및 제5 층: 7 내지 20%의 범위내인 상기 (1)항 내지 (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다층 필름;
(8) 필름의 전체 두께가 200 내지 300㎛인 상기 (7)항에 따르는 다층 필름;
(9) 다층 필름의 제2 층을 외층으로서 포함하고 제5 층을 내층으로서 포함하는, 상기 (1)항 내지 (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다층 필름을 성형하여 수득된 용기 및
(10) 폴리에틸렌 포트 멤버를 필름들 사이에 삽입하고 포트 멤버를 필름과 용접함으로써 수득되는 상기 (9)항에 따르는 용기.
본 발명의 다층 필름에 따라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보다 내열성이 양호한 폴리프로필렌을 제3 층(중간층)에 사용하기 때문에, 전체 필름의 내열성은 향상된다. 따라서, 상기 의학용 용기(주입액 백)(10)를 제조하는 경우 핀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별히, 포트(20)의 열 용접을 비교적 고온에서 수행할 수 있고, 필름이 굴곡 부분(24)에서 과도하게 연신되지 않기 때문에, 핀홀이 이 부분에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에 있어서, 제5 층에 사용되는 수지는 밀도가 0.915 내지 0.95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밀도가 0.900 내지 0.930g/cm3인 폴리프로필렌과 1:3 내지 9:1의 중량비로 혼합함으로써 수득된 혼합 수지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층 필름에 있어서, 제3 층에 사용되는 수지는 밀도가 0.900 내지 0.930g/cm3인 폴리프로필렌을 밀도가 0.860 내지 0.93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6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중량%와 혼합함으로써 수득된 혼합 수지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층 필름에 있어서, 제2 및 제4 층에 사용되는 수지는 밀도가 0.910 내지 0.93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30 내지 60중량%, 밀도가 0.860 내지 0.90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35 내지 65중량% 및 밀도가 0.955 내지 0.970g/cm3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층 필름에 있어서, 제3 층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의 용융 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g/10분(230℃)이고, 융점은 140 내지 170℃이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에 있어서, 각각의 층의 두께의 비율은, 필름의 전체 두께를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제1 층: 5 내지 15%, 제2 층: 25 내지 45%, 제3 층: 3 내지 15%, 제4 층: 25 내지 45% 및 제5 층: 7 내지 20%의 범위내이다. 필름의 전체 두께가 200 내지 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의학용 용기는 상기 (1)항 내지 (8)항 중의 어느 한 항의 다층 필름을 성형하여 수득됨을 특징으로 하고, 당해 다층 필름의 제1 층을 외층으로서 포함하고, 제5 층을 내층으로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 및 용기와 관련하여, 내열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내점착성, 강도(특히, 인장 강도), 밀봉성 및 투명성이 향상되고, 또한 핀홀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 및 용기에서 각각의 층의 수지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층 필름 및 용기의 제조방법을 이하 상세하게 기술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정의한 모든 물리적 특성은 ASTM(The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의 규정을 기준으로 한다. 예를 들면, 밀도, 용융 유량(MFR) 및 융점은 각각 ASTM D1505, ASTM D1238 및 ASTM D2117에 따라 측정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예는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1-운데센 또는 1-도데센 등과 같은 탄소수 3 내지 12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들 중에서, 온화한/저압 방법으로 제조된, 측쇄로서 단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제1 층에 대하여:
제1 층은 기계적 강도(특히, 인장 강도)와 내열성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밀도가 0.930 내지 0.950g/cm3, 바람직하게는 0.935 내지 0.945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사용된다. 이들 중에서, 보다 적합하게는 MFR이 1.0 내지 5.0g/10분(190℃에서)이고, 융점이 120 내지 130℃인 것이 사용된다. 제1 층의 두께는, 다층 필름의 전체 두께를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의 범위내로 조절한다.
*제2 및 제4 층에 대하여:
필름 및 용기에 높은 가요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밀도가 0.890 내지 0.92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제2 및 제4 층에 사용한다. 이들 중에서, 보다 적합하게는 융점이 120 내지 130℃인 것을 사용한다.
2개 이상의 수지의 혼합물은 이러한 제2 및 제4 층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 밀도가 0.910 내지 0.93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1) 30 내지 60중량%, 밀도가 0.860 내지 0.90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2) 35 내지 65중량% 및 밀도가 0.955 내지 0.970g/cm3인 고밀도 폴리에틸렌(3) 1 내지 10중량%를 함유하는 혼합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필름의 가요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1) 중에서, 밀도가 0.915 내지 0.925g/cm3이고, MFR이 1.0 내지 5.0g/10분(190℃)이며, 융점이 115 내지 12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2) 중에서, 밀도가 0.870 내지 0.890g/cm3이고, MFR이 0.1 내지 2.0g/10분(190℃)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밀도 폴리에틸렌(3)은 단독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과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MFR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g/분(190℃)이다. 상기 성분(1) 내지 (3)의 혼합비와 관련하여, 성분(1)의 비율, 성분(2)의 비율 및 성분(3)의 비율은 각각 적합하게는 35 내지 55중량%, 40 내지 60중량% 및 3 내지 8중량%의 범위내로 조절한다.
혼합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제2 및 제4 층의 전체 수지의 밀도는 0.890 내지 0.920g/cm3의 범위내로 조절한다.
제2 및 제4 층의 두께는, 다층 필름의 전체 두께를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5%의 범위내로 조절한다. 이렇게 제2 및 제4 층을 제공하여, 전체 필름의 가요성(탄성)을 유지시킬 수 있고, 이로서 전체 필름의 강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제3 층에 대하여:
내열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밀도가 0.900 내지 0.930g/cm3인 폴리프로필렌을 제3 층에 사용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 이외에 에틸렌 또는 1-부텐 등과 같은 α-올레핀을 소량(일반적으로 10중량% 이하) 함유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또는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은 바람직하게는 MFR이 1 내지 40g/10분(230℃)이고 융점이 140 내지 170℃인 이소택틱 중합체, 보다 바람직하게는 MFR이 1 내지 7g/10분(230℃)이고 융점이 150 내지 170℃인 이소택틱 중합체이다.
제3 층에 있어서,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을 밀도가 0.860 내지 0.93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6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중량%와 혼합함으로써 수득된 혼합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밀도가 0.860 내지 0.93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있어서, 혼합 수지를 제2 및 제4 층에 사용하는 경우, 상기 성분(1) 또는 (2)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사용하거나 이들의 혼합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제3 층의 두께는, 다층 필름의 전체 두께를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의 범위내로 조절한다.
*제5 층에 대하여:
밀봉성 및 내점착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밀도가 0.915 내지 0.95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제5 층에 사용한다. 이들 중에서, 보다 적합하게는 밀도가 0.925 내지 0.935g/cm3이고, MFR이 1.0 내지 5.0g/분(190℃에서)이며, 융점이 120 내지 130℃인 것이 사용된다.
다수(2개 이상)의 챔버를 갖는 용기를 제조하는 경우, 개개의 챔버를 분할하는 위치에 제거가능한 밀봉이 필요하기 때문에, 밀도가 0.915 내지 0.950g/cm3인 폴리프로필렌과 밀도가 0.900 내지 0.93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1:3 내지 9:1,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7: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혼합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혼합 수지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의 예는 제3 층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혼합 수지를 포함한다.
제5 층의 두께는, 다층 필름의 전체 두께를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7 내지 20%의 범위내로 조절한다. 제1 내지 제5 층의 모든 수지는 높은 투명성을 갖기 때문에, 전체 필름의 투명성 또한 양호하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수냉 또는 공기냉각식 공압출 인플레이션법, 공압출 T-다이법, 건식 적층법 또는 압출 적층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성능(특히 투명성), 경제적 효율 및 위생의 관점에서, 수냉 공압출 인플레이션법과 공압출 T-다이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두 방법에서, 제조는 각각의 층의 수지가 용융되는 온도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온도가 너무 상승되는 경우, 수지의 일부가 열적으로 분해되고, 분해 생성물에 의해 성능이 약화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층 필름 제조시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15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170 내지 200℃의 범위내로 조절한다. 각각의 층을 구성하는 수지간의 MFR차가 작을수록 투명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리해진다.
이렇게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필름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100 내지 350㎛,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이나,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두께가 약 250㎛이더라도, 필름은 충분한 강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용기는, 각각 용기의 한 양태를 나타내는 도 1 및 도 3을 참조로 하여 이하 기술하고자 한다.
도 1은 단일-챔버 의학용 용기(주입백)(1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단일-챔버(10)와 관련하여, 소정의 형상과 크기를 갖는 용기(10)는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된 2개의 시트형 다층 필름을 절단하고, 이들을 내층으로서의 각각의 제5 층과 함께 적층시키고, 용기(10)의 주위면을 용봉시키고, 용봉과 같은 수단을 사용하여 포트 멤버(20)를 부착시킴으로써 제조한다. 제5 층을 내부에 두면서 다층 필름의 제5 층을 튜브로 성형시킨 후에 용봉시킴으로써 용기(10)를 제조할 수 있다. 필름의 용봉 조건으로서, 130 내지 200℃의 온도 범위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께가 약 250㎛인 필름의 경우에, 밀봉은 상기 온도 범위내에서 단시간(약 0.5 내지 6초)내에 수행할 수 있다.
포트 멤버(20)로서, 본 발명의 다층 필름에서 용접성이 우수한 수지를 제5 층과 성형시킴으로써 수득된 것(예: 폴리에틸렌 등)을 바람직하게는 사용한다.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포트 멤버(20)의 융점이 약 120 내지 130℃인 경우에, 포트 멤버는 수초 동안 먼저 가열한 후에 약 140 내지 170℃에서 약 0.5 내지 5초 동안 가열할 수 있다.
도 3은 액상 약물을 담기 위한 다수의 챔버를 갖는 의학용 용기(주입액 백)(12)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당해 도면은 2개 챔버의 예를 나타낸다). 다수의 챔버를 갖는 당해 의학용 용기(12)와 관련하여, 각각 상이한 종류의 액상 약물을 담기 위한 용기 챔버(14, 16)는 약한 밀봉 부분(18)으로 분할시킨다.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 약한 밀봉 부분(18)은 액체 압력에 의해 파괴되어 액상 약물을 혼합시킨다.
다수의 챔버를 갖는 의학용 용기(12)는 단일-챔버 의학용 용기(10)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용기 챔버(14, 16)를 분할하기 위한 약한 밀봉 부분(18)의 경우, 용봉 온도를 주위 부분보다 낮은 온도로 조절한다. 약한 밀봉 부분(14)의 용봉 조건으로서, 가열은 일반적으로 약 120 내지 150℃에서 약 3 내지 6초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다수의 챔버를 갖는 의학용 용기(12)를 제조하는 경우, 다층 필름의 제5 층은 바람
바람직하게는 밀도가 0.915 내지 0.95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밀도가 0.900 내지 0.930g/cm3인 폴리프로필렌과 1:3 내지 9:1의 중량비로 혼합함으로써 수득된 혼합 수지이다. 이와 같은 혼합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약한 밀봉 부분(18)의 밀봉성을 조절할 수 있어서 액체 압력에 의해 박리시키는데 적합한 강도를 수득할 수 있다.
다수의 챔버를 갖는 의학용 용기(12)에 있어서, 포트 멤버(20)의 용봉 조건은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5
(다층 필름의 제조)
다음 표 1에 나타낸 층 구성을 갖는 필름은 수냉 공압출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각각 성형시킨다.
표 1에 나타낸 수지 A 내지 E는 다음과 같다.
A: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제조원: Mitsui Kagaku Co., Ltd., 밀도 = 0.940g/cm3, MFR = 2.1g/10분(190℃)]
B: 다음 성분(a) 내지 (c)의 혼합 수지(혼합 수지의 밀도 = 0.906g/cm3)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a)[제조원: Mitsui Kagaku Co., Ltd., 밀도 = 0.920g/cm3, MFR = 2.1g/10분(190℃)], 45중량%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엘라스토머(b)[제조원: Mitsui Kagaku Co., Ltd., 밀도 = 0.885g/cm3, MFR = 0.5g/10분(190℃)], 50중량%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c)[제조원: Mitsui Kagaku Co., Ltd., 밀도 = 0.962g/cm3, MFR = 15g/10분(190℃)], 5중량%
C: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에틸렌 함량: 5중량% 이하)[제조원: Mitsui Kagaku Co., Ltd., 밀도 = 0.910g/cm3, MFR = 1.6g/10분(230℃)]
D: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제조원: Mitsui Kagaku Co., Ltd., 밀도 = 0.930g/cm3, MFR = 2.1g/10분(190℃)]
E: 수지 D 86중량%와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단독중합체)[제조원: Mitsui Kagaku Co., Ltd., 밀도 = 0.910g/cm3, MFR = 4.0g/10분(230℃)] 14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혼합 수지의 밀도 = 0.927g/cm3)
F: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에틸렌 함량: 5중량% 이하)[제조원: Mitsui Kagaku Co., Ltd., 밀도 = 0.910g/cm3, MFR = 40g/10분(230℃)] 45중량%와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제조원: Mitsui Kagaku Co., Ltd., 밀도 = 0.920g/cm3, MFR = 2.1g/10분(190℃)] 55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
G: 수지(a) 45중량%, 수지(b) 50중량% 및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제조원: Mitsui Kagaku Co., Ltd., 밀도 = 0.965g/cm3, MFR = 15g/10분(190℃)] 5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혼합 수지의 밀도 = 0.905g/cm3)
H: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에틸렌 함량: 5중량% 이하)[제조원: Mitsui Kagaku Co., Ltd., 밀도 = 0.900g/cm3, MFR = 1.1g/10분(230℃)] 90중량%와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제조원: Mitsui Kagaku Co., Ltd., 밀도 = 0.885g/cm3, MFR = 3.6g/10분(190℃)]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
I: 수지 A 85중량%와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단독중합체)[제조원: Mitsui Kagaku Co., Ltd., 밀도 = 0.910g/cm3, MFR = 4.0g/10분(230℃)] 15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
제1 층 제2 층 제3 층 제4 층 제5 층
실시예 1 A B C B D
20㎛ 90㎛ 20㎛ 90㎛ 40㎛
실시예 2 A B C B E
25㎛ 95㎛ 15㎛ 95㎛ 30㎛
실시예 3 A B F B D
20㎛ 90㎛ 20㎛ 90㎛ 40㎛
실시예 4 A B H G I
20㎛ 94㎛ 18㎛ 94㎛ 30㎛
실시예 5 A B H G D
20㎛ 94㎛ 18㎛ 94㎛ 30㎛
A 내지 H: 수지 종류
수치: 두께(㎛)
(용기의 제조)
실시예 1, 3 및 5의 필름을 사용하여 내부 용적이 500ml인 단일-챔버 의학용 용기(주입액 백)(10)를 각각 제조한다. 당해 의학용 용기(10)를 성형하는 경우, 용봉은 145℃에서 4.5초 동안 수행하는 반면, 포트 멤버(20)의 밀봉은 145℃에서 3초 동안 수행한다.
실시예 2 및 4의 필름을 사용하여, 다수의 챔버를 갖고 내부 용적이 900ml인 의학용 용기(주입액 백)(12)를 제조한다. 당해 의학용 용기(12)를 성형하는 경우, 용봉은 185℃에서 4.5초 동안 수행하는 반면, 약한 밀봉 부분(14)의 용봉은 135℃에서 4.5초 동안 수행하고 포트 멤버(20)의 밀봉은 160℃에서 3초 동안 수행한다.
상기 의학용 용기(10, 12)에 사용되는 포트 멤버(20)에 있어서, 밀도가 0.945g/cm3이고 융점이 약 128℃인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로 제조된 것을 밀봉 전에 가열기를 사용하여 약 740℃에서 가열한 후에 사용한다.
(시험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5의 다층 필름을 사용하여 수득된 의학용 용기(주입 백)(10, 12)에 대하여, 각종 특징의 평가 시험과 핀홀의 관찰을 다음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내열성: 용기를 증류수로 채우고, 110℃에서 40분 동안 고압 증기 멸균시킨다. 이어서, 용기의 변형, 파단 및 밀봉 누출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한다.
낙하 시험: 4℃에서 냉각시킨 후, 용기를 1m의 높이에서 세 방향으로 각각 5회씩 낙하시킨다. 파단 및 밀봉 누출 상태를 육안으로관찰한다.
가요성: 내부 액체의 자연 배출 특성을 육안으로 관찰한다.
투명성: 용기를 증류수로 채우고 위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고압 증기 멸균시킨다. 이어서, 용기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또한 450nm에서 광 투과도를 측정한다.
외관: 이는 육안으로 관찰하고, 주름, 점착, 변형 및 파단 상태를 관찰한다.
상기 내열성, 낙하 시험, 가요성, 투명성 및 외관의 평가에 있어서, 기호 "◎", "○", "△" 및 "×"는 각각 "우수", "양호", "약간 불량" 및 "불량"을 나타낸다.
핀홀의 관찰
3천개의 의학용 용기(주입액 백)를 생리식염수로 채운 후, 고무 마개로 밀봉하고, 포트(20)의 밀봉된 부분에서 핀홀의 존재 또는 부재를 15kV의 인가 전압에서 단순 정전기 용량형 핀홀 시험기를 사용하여 관찰한다.
상기 시험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내열성
낙하 시험
가요성
투명성육안 관찰투과도(%) ◎83.2 ◎82.7 ◎80.5 ◎82.5 ◎82.3
외관
핀홀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표 2의 결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용기는 내열성, 낙하 시험, 가요성, 투명성 및 외관의 어떠한 항목에서도 양호한 결과를 나타낸다. 핀홀의 관찰에 있어서, 핀홀이 있는 어떠한 결점성 생성물도 관찰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내지 5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다음 표 5에 나타내는 층 구성을 갖는 필름을 또한 성형할 수 있다. 이러한 필름은 또한 위에서 기술한 것과 동일한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표 3에 나타낸 수지 중에서, J 내지 N은 다음과 같다.
J: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제조원: Mitsui Kagaku Co., Ltd., 밀도 = 0.945g/cm3, MFR = 10g/10분(190℃)]
K: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제조원: Mitsui Kagaku Co., Ltd., 밀도 = 0.895g/cm3, MFR = 1.0g/10분(190℃)]
L: 수지(a) 55중량%, 수지 K 35중량% 및 수지(c) 10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혼합 수지의 밀도 = 0.915g/cm3)
M: 수지 J 85중량%와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단독중합체)[제조원: Mitsui Kagaku Co., Ltd., 밀도 = 0.910g/cm3, MFR = 4.0g/10분(230℃)] 15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
N: 수지(a) 85중량%와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단독중합체)[제조원: Mitsui Kagaku Co., Ltd., 밀도 = 0.910g/cm3, MFR = 4.0g/10분(230℃)] 15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
번호 제1 층 제2 층 제3 층 제4 층 제5 층
6 J K C K J
15㎛ 95㎛ 35㎛ 95㎛ 20㎛
7 J K H K J
15㎛ 95㎛ 35㎛ 95㎛ 20㎛
8 D L C L (a)
35㎛ 85㎛ 10㎛ 85㎛ 50㎛
9 J K C K M
15㎛ 95㎛ 35㎛ 95㎛ 20㎛
10 D L C L N
35㎛ 85㎛ 10㎛ 85㎛ 50㎛
(a), C, D 및 J 내지 N: 수지 종류
수치: 두께(㎛)
본 발명의 다층 필름 및 용기는 내열성, 내점착성, 강도, 밀봉성, 투명성, 가용성 및 외관에 있어서 보다 우수하고, 용봉시 굴곡 부분에서 핀홀이 발생하지 않는 것과 같은 잇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층 필름 및 용기는 주입액 백 또는 혈액 백 등과 같은 의학용 용기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997년 7월 1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원 제9-192765호는 본원에서 참조로 인용된다.

Claims (10)

  1. 밀도가 0.930 내지 0.95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진 제1 층, 밀도가 0.890 내지 0.92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진 제2 층, 밀도가 0.900 내지 0.930g/cm3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진 제3 층, 밀도가 0.890 내지 0.92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진 제4 층 및 밀도가 0.915 내지 0.95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진 제5 층을 차례로 포함하는 다층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제5 층에 사용되는 수지가, 밀도가 0.915 내지 0.95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밀도가 0.900 내지 0.930g/cm3인 폴리프로필렌과 1:3 내지 9:1의 중량비로 혼합함으로써 수득되는 혼합 수지인 다층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제3 층에 사용되는 수지가, 밀도가 0.900 내지 0.930g/cm3인 폴리프로필렌을 밀도가 0.860 내지 0.93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60중량% 이하와 혼합함으로써 수득되는 혼합 수지인 다층 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제3 층에 사용되는 수지가, 밀도가 0.900 내지 0.930g/cm3인 폴리프로필렌을 밀도가 0.860 내지 0.93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5 내지 20중량%와 혼합함으로써 수득되는 혼합 수지인 다층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및 제4 층에 사용되는 수지가, 밀도가 0.910 내지 0.93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30 내지 60중량%, 밀도가 0.860 내지 0.90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35 내지 65중량% 및 밀도가 0.955 내지 0.970g/cm3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인 다층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3 층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의 용융 유량이 1 내지 40g/10분(230℃)이고, 융점이 140 내지 170℃인 다층 필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층의 두께의 비율이, 필름의 전체 두께를 기준으로 하여, 제1 층: 5 내지 15%, 제2 층: 25 내지 45%, 제3 층: 3 내지 15%, 제4 층: 25 내지 45% 및 제5 층: 7 내지 20%의 범위내인 다층 필름.
  8. 제7항에 있어서, 필름의 전체 두께가 200 내지 300㎛인 다층 필름.
  9. 다층 필름의 제1 층을 외층으로서 포함하고 제5 층을 내층으로서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다층 필름을 사용하여 성형함으로써 수득되는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포트 멤버를 필름들 사이에 삽입하고 포트 멤버를 필름과 용접함으로써 수득되는 용기.
KR1020007000433A 1997-07-17 1998-07-06 다층 필름 및 용기 KR1003623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276597 1997-07-17
JP97-192765 1997-07-17
PCT/JP1998/003044 WO1999003679A1 (en) 1997-07-17 1998-07-06 Multilayer film and 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869A true KR20010021869A (ko) 2001-03-15
KR100362305B1 KR100362305B1 (ko) 2002-11-25

Family

ID=16296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0433A KR100362305B1 (ko) 1997-07-17 1998-07-06 다층 필름 및 용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306473B1 (ko)
EP (1) EP0996543B1 (ko)
JP (1) JP4144904B2 (ko)
KR (1) KR100362305B1 (ko)
CN (1) CN1090562C (ko)
AT (1) ATE225255T1 (ko)
AU (1) AU730490B2 (ko)
CA (1) CA2296284C (ko)
DE (1) DE69808476T2 (ko)
ES (1) ES2184287T3 (ko)
ID (1) ID23895A (ko)
MY (1) MY117691A (ko)
TW (1) TW580425B (ko)
WO (1) WO19990036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427B1 (ko) * 2001-12-28 2008-04-10 삼성토탈 주식회사 식품용기 및 김치냉장고 용기용 뚜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7103B2 (ja) * 1998-12-14 2005-01-05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多層フィルムおよび容器
US20050031815A1 (en) * 2001-12-27 2005-02-10 Yohei Kageyama Resin composition, and container packaging film, container packaging bag and container package using the resin composition
US20050208240A1 (en) 2002-05-17 2005-09-22 Yuki Manabe Multi-layer film and medicine container using the same
MY134275A (en) * 2002-05-17 2007-11-30 Otsuka Pharma Co Ltd Multi-layer film and medicine container using the same
JP4204373B2 (ja) * 2003-04-18 2009-01-07 株式会社リコー 液体収容袋、液体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液体収容袋の封止方法及び封止装置
EP1803552B1 (en) * 2004-10-18 2014-01-22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Gas barrier film for medical use and medical bags made by using the same
ZA200802769B (en) * 2005-09-29 2009-09-30 Alcon Inc Dual-chamber solution packaging system
US20100137838A1 (en) * 2007-04-11 2010-06-03 Choongwae Corporation Non-pvc system tube for biomedical
JP5566369B2 (ja) * 2009-02-26 2014-08-06 三井化学株式会社 多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フィルムで形成したバッグ
AU2011260914B2 (en) * 2010-05-31 2015-02-05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Multilayer film and bag formed from multilayer film
WO2012026520A1 (ja) * 2010-08-27 2012-03-01 株式会社細川洋行 医療用薬液容器
EP2619005A1 (en) * 2010-09-20 2013-07-31 ExxonMobil Oil Corporation Multi-layer films having improved sealing properties
USD699343S1 (en) 2011-12-20 2014-02-11 Alcon Research, Ltd. Irrigation solution bag
CN102628781B (zh) * 2012-04-25 2014-09-03 四川科伦药业股份有限公司 塑料输液容器用吊环测试方法
US20150104627A1 (en) 2013-10-11 2015-04-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Layer Polymeric Films
ES2645653T3 (es) * 2014-04-09 2017-12-07 Kuraray Co., Ltd. Recipiente para envasar líquidos
US10568807B2 (en) * 2014-07-31 2020-02-25 W. L. Gore & Associates, Inc. Storage bag
WO2018064263A1 (en) * 2016-09-29 2018-04-05 Cryovac, Inc. Multi-chamber iv bag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USD900311S1 (en) 2018-05-18 2020-10-27 Baxter International Inc. Dual chamber flexible container
JP7370343B2 (ja) 2018-05-18 2023-10-27 バクスター・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二重チャンバ可撓性容器、作製方法、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薬物製品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4363A (ja) 1985-09-17 1987-03-23 昭和電工株式会社 医療用袋
JPH0610012B2 (ja) 1987-03-30 1994-02-09 キヨ−ラク株式会社 プラスチツク容器
JP3110435B2 (ja) 1990-03-27 2000-11-20 三菱化学株式会社 医療液体用袋
AU647213B2 (en) 1990-11-14 1994-03-17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Multilayered stretchable shrink film
JP3052398B2 (ja) 1991-02-21 2000-06-12 昭和電工株式会社 医療用バッグ
JP3021258B2 (ja) * 1992-12-04 2000-03-15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多層フィルム及び容器
ATE201002T1 (de) * 1993-02-04 2001-05-15 Otsuka Pharma Co Ltd Mehrschichtiger film und behälter
JP3309191B2 (ja) * 1993-02-05 2002-07-29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医療用多層フィルム及び複室容器
TW294632B (ko) * 1993-02-05 1997-01-01 Otsuka Pharma Factory Inc
CN1128005A (zh) * 1994-03-15 1996-07-31 株式会社大塚制药工场 防污染密封膜及其制品
US5736260A (en) * 1994-10-06 1998-04-07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Multilayer packaging film
DE19515254C2 (de) 1995-04-26 1998-06-04 Fresenius Ag PVC-freie Mehrschichtfol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und deren Verwend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427B1 (ko) * 2001-12-28 2008-04-10 삼성토탈 주식회사 식품용기 및 김치냉장고 용기용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96543B1 (en) 2002-10-02
CN1264335A (zh) 2000-08-23
ID23895A (id) 2000-05-25
DE69808476T2 (de) 2003-04-03
AU730490B2 (en) 2001-03-08
CA2296284C (en) 2003-02-11
ES2184287T3 (es) 2003-04-01
CN1090562C (zh) 2002-09-11
CA2296284A1 (en) 1999-01-28
MY117691A (en) 2004-07-31
US6306473B1 (en) 2001-10-23
KR100362305B1 (ko) 2002-11-25
JP2002513343A (ja) 2002-05-08
AU7938298A (en) 1999-02-10
ATE225255T1 (de) 2002-10-15
TW580425B (en) 2004-03-21
EP0996543A1 (en) 2000-05-03
JP4144904B2 (ja) 2008-09-03
WO1999003679A1 (en) 1999-01-28
DE69808476D1 (de) 200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2305B1 (ko) 다층 필름 및 용기
KR100257632B1 (ko) 수지적층체
KR100601747B1 (ko) 다층 필름 및 이로부터 수득한 용기
RU2554223C2 (ru) Многослойная трубка для медицинского применения и медицинский инфузионный мешок
TWI401077B (zh) Pharmaceutical containers and multi-layer film
JP3021258B2 (ja) 多層フィルム及び容器
JP6106891B2 (ja) 多層フィルム、薬液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085742A (ja) 輸液バッグ用積層体および輸液バッグ
JP3076862B2 (ja) 多層フィルム及び容器
JP2706025B2 (ja) 多層フィルム及び容器
KR100187910B1 (ko) 다층 필름 및 용기
KR100347072B1 (ko) 의료용 다층 필름
JP4933529B2 (ja) 多層フィルムおよび容器
JPH06190990A (ja) 多層フィルム及び容器
JP3105101B2 (ja) 多層フィルム及び容器
JP7002105B2 (ja) フィルムバッグおよびフィルムバッグの製造方法
KR200235080Y1 (ko) 의료용 다층 필름
JPH09109341A (ja) 多層フィルムおよび容器
KR20050014261A (ko) 의료용 유연성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