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6800A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6800A
KR20010016800A KR1019990031926A KR19990031926A KR20010016800A KR 20010016800 A KR20010016800 A KR 20010016800A KR 1019990031926 A KR1019990031926 A KR 1019990031926A KR 19990031926 A KR19990031926 A KR 19990031926A KR 20010016800 A KR20010016800 A KR 20010016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pairs
data line
semiconductor memory
memory device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용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31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6800A/ko
Publication of KR20010016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80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2Disposition of storage elements, e.g. in the form of a matrix array
    • G11C5/025Geometric lay-out considerations of storage- and peripheral-blocks in a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ram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방법을 공개한다. 이 방법은 복수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각각에 연결된 복수개의 데이터 라인쌍들, 상기 복수개의 데이터 라인쌍들에 연결된 복수개의 센스 증폭기들, 및 상기 복수개의 센스 증폭기들에 연결된 복수개의 메인 데이터 라인쌍들을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데이터 라인쌍들과 상기 복수개의 메인 데이터 라인쌍들의 신호 라인쌍들을 적어도 2개이상의 층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고집적화에 따른 신호 간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방법{SIGNAL LINE LAYOUT METHOD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집적화에 따른 신호 간섭 현상을 줄일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방법은 데이터 라인과 메인 데이터 라인이 단일층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신호 라인들은 최소 공정 룰보다 2 ~4배 정도의 공간을 두어 배선배치를 하여, 신호 간섭 현상을 줄이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신호 라인 배치방법은 고집적화에 따라 신호 라인의 수가 많아지게 됨으로써 배선배치의 면적이 커지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도1은 종래의 일실시예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10-1, 10-2, ..., 10-n), 센스 증폭기들((12-11, 12-12, ..., 12-1k), (12-21, 12-22, ..., 12-2k), ..., (12-n1, 12-n2, ..., 12-nk)), 데이터 라인쌍들((DL11, DL11B), ..., (DL1k, DL1kB), (DL21, DL21B), ..., (DL2k, DL2kB), ..., (DLn1, DL1nB), ..., (DLnk, DLnkB)), 및 메인 데이터 라인쌍들((MDL1, MDL1B), ..., (MDLk, MDLkB))로 구성되어 있다.
도1에 나타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로부터 알 수 있듯이, 각각의 데이터 라인쌍은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센스 증폭기들은 각각의 데이터 라인쌍에 연결되고, 해당 센스 증폭기들((12-11, 12-21, ..., 12-n), (12-12, 12-22, ..., 12-n2), ...,(12-1k, 12-2k, ..., 12-nk))의 출력 신호쌍은 메인 데이터 라인쌍에 공통 연결되어 있다.
먼저, 라이트 동작시에는 데이터가 메인 데이터 라인쌍들을 통하여 전송되고, 메인 데이터 라인쌍들을 통하여 라이트 드라이버로 인가되고, 라이트 드라이버를 통하여 데이터 라인쌍들로 전송된다.
그리고, 리드 동작시에는 데이터가 데이터 라인쌍들로 전송되고, 데이터 라인쌍들로 전송된 데이터는 센스 증폭기들을 통하여 증폭되어 메인 데이터 라인쌍들로 전송된다.
그런데,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신호 라인의 배치 방법이 신호 라인들이 단일층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집적화가 될수록 신호 라인사이의 공간이 줄어들게 되어 신호 간섭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2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이웃하는 두 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의 데이터 라인쌍들 각각이 센스 증폭기를 공유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도2에 나타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10-1, 10-2)에 연결된 데이터 라인쌍들((DL11, DL11B)(DL21, DL21B))의 반전 데이터 라인과 비반전 데이터 라인이 각각 공통으로 연결되어 센스 증폭기(12-11)에 연결되어 있고, 이와같은 방법으로 데이터 라인쌍들((DL1k, DL1kB)(DL2k, DL2kB))의 반전 데이터 라인과 비반전 데이터 라인이 각각 공통으로 연결되어 센스 증폭기(12-1k)에 연결되어 있다.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10-(n-1), 10-n)에 연결된 데이터 라인쌍들도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센스 증폭기(12-(n/2)1, 12-(n/2)k)에 연결되어 있다.
도2에 나타낸 반도체 메모리 장치도 도1에 나타낸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마찬가지로, 신호 라인이 단일층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집적화가 되어감에 따라서 신호 라인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어 신호 간섭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집적화에 따른 신호 간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방법은 복수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각각에 연결된 복수개의 데이터 라인쌍들, 상기 복수개의 데이터 라인쌍들에 연결된 복수개의 센스 증폭기들, 및 상기 복수개의 센스 증폭기들에 연결된 복수개의 메인 데이터 라인쌍들을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데이터 라인쌍들과 상기 복수개의 메인 데이터 라인쌍들의 신호 라인쌍들을 적어도 2개이상의 층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종래의 일실시예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2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도1에 나타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블록도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도1에 나타낸 블록도와 동일한 블록들은 동일 번호로 표시하였다.
도3에 나타낸 블록도와 도1에 나타낸 블록도와의 차이점은 실선으로 표시한 데이터 라인쌍과 점선으로 표시한 데이터 라인쌍이 서로 다른 층에 존재한다는 것이 서로 상이하다.
즉, 모든 데이터 라인쌍들을 하나의 층에 배치하면 신호 라인들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어 신호 간섭 현상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데이터 라인쌍들을 교대로 서로 다른 층에 배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메인 데이터 라인쌍들도 데이터 라인쌍들과 마찬가지 문제가 발생함으로 데이터 라인쌍들과 마찬가지로 교대로 서로 다른 층에 배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도4에서 도1에 나타낸 블록도와 동일한 블록들은 동일 번호로 나타내었다.
도4에 나타낸 신호 라인 배치방법은 도3에 나타낸 방법과 마찬가지로, 신호 라인을 2층으로 배치한 것은 동일하나, 도3에 나타낸 것과 달리, 비반전 데이터 라인들과 반전 데이터 라인들을 서로 다른 층에 배치한 것이 상이하다. 또한, 메인 데이터 라인들의 배치도 데이터 라인들의 배치와 같은 방법으로 배치한 것이다.
즉, 도4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비반전 라인들을 1층에 배치하였다면, 점선으로 표시한 반전 라인들은 2층에 배치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방법은 신호 라인의 배치를 2층으로 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였던 신호 라인 간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방법을 설명하기 블록도로서, 도2에 나타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블록도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5에서, 도2에 나타낸 블록들과 동일한 블록들은 동일 번호로 나타내었다.
도5에 나타낸 블록도와 도2에 나타낸 블록도의 차이점은 실선으로 표시한 데이터 및 메인 데이터 라인쌍들과 점선으로 표시한 데이터 및 메인 데이터 라인쌍들이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서로 상이하다.
도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도2에 나타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블록도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6에서, 도2에 나타낸 블록들과 동일한 블록들은 동일 번호로 나타내었다.
도6에 나타낸 블록도는 실선으로 표시한 비반전 데이터 및 메인 데이터 라인들과 점선으로 표시한 반전 데이터 및 메인 데이터 라인들이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즉, 도5 및 도6에 나타낸 블록도는 도2에 나타낸 신호 라인 배치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신호 라인들을 2층으로 배치함으로써 고집적화에 따른 신호 간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신호 라인을 2층으로 배치하는 것만을 나타내었지만, 신호 라인을 2층이상으로 배치함으로써 고집적화에 따라 신호 라인의 간격이 좁아짐에 따른 신호 간섭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의 배치방법은 신호 라인을 소정수의 층에 교대로 배치함으로써 신호 간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복수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각각에 연결된 복수개의 데이터 라인쌍들;
    상기 복수개의 데이터 라인쌍들에 연결된 복수개의 센스 증폭기들; 및
    상기 복수개의 센스 증폭기들에 연결된 복수개의 메인 데이터 라인쌍들을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데이터 라인쌍들과 상기 복수개의 메인 데이터 라인쌍들의 신호 라인쌍들을 적어도 2개이상의 층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라인쌍들의
    반전 신호 라인들과 비반전 신호 라인들을 서로 다른 층에 교대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라인쌍들과 메인 데이터 라인쌍들의 신호 라인쌍들을 서로 다른 층에 교대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방법.
KR1019990031926A 1999-08-04 1999-08-04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방법 KR200100168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926A KR20010016800A (ko) 1999-08-04 1999-08-04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926A KR20010016800A (ko) 1999-08-04 1999-08-04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800A true KR20010016800A (ko) 2001-03-05

Family

ID=19606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926A KR20010016800A (ko) 1999-08-04 1999-08-04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68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575B1 (ko) * 2004-09-10 2006-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배치 방법
US7983288B2 (en) 2004-04-28 2011-07-19 Hynix Semiconductor Inc. Data transmission line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83288B2 (en) 2004-04-28 2011-07-19 Hynix Semiconductor Inc. Data transmission line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615575B1 (ko) * 2004-09-10 2006-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배치 방법
US7295454B2 (en) 2004-09-10 2007-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arrangement method thereof
US7391636B2 (en) 2004-09-10 2008-06-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arrangement method thereof
US7679985B2 (en) 2004-09-10 2010-03-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arrangement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4926B2 (ja) グランド又は電源回路より伝送線をシールドするための装置
US6847576B2 (en) Layout structures of data input/output pads and peripheral circuits of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s
JP2004086906A (ja) 分割されたシステムデータバスに連結されるメモリモジュールを具備する半導体メモリシステム
US9978438B2 (en) Device having multiple switching buffers for data paths controlled based on IO configuration modes
KR0164391B1 (ko) 고속동작을 위한 회로 배치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10016800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방법
JP3781819B2 (ja) 三重ポートを有する半導体メモリ装置
JP2012114215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レイアウト方法
JP3154650B2 (ja) 半導体装置
KR100326823B1 (ko) 반도체 장치
KR100261901B1 (ko) 클럭 드라이버 회로 및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US8451676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signal lines and shield lines
KR100350590B1 (ko) 칩 사이즈가 감소된 dram
JP3529751B2 (ja) 半導体メモリ装置
US6678194B2 (en) Sense amplifier arrangement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489355B1 (ko) 노이즈감소를위한메모리소자
KR100498448B1 (ko) 데이터 버스 사이의 커플링을 최소화하는 동기식 반도체장치 및 방법
JPH02238662A (ja) 半導体集積回路
JPH09153286A (ja) 半導体記憶装置
KR20030043410A (ko) 글로벌 입출력 라인간의 커플링이 최소화되는 구조를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20035907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센스앰프 연결 구조
KR100715970B1 (ko) 메모리 모듈
JP2859195B2 (ja) 半導体集積回路の配線構造とその配線方法
JPH03225697A (ja) 半導体集積回路
JP2005260092A (ja) 半導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