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5592A -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 - Google Patents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5592A
KR20010015592A KR1020007002832A KR20007002832A KR20010015592A KR 20010015592 A KR20010015592 A KR 20010015592A KR 1020007002832 A KR1020007002832 A KR 1020007002832A KR 20007002832 A KR20007002832 A KR 20007002832A KR 20010015592 A KR20010015592 A KR 20010015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ed
magnet
pressed
flow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2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7420B1 (ko
Inventor
사카이미에코
Original Assignee
사카이 미에코
가부시키가이샤 도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카이 미에코, 가부시키가이샤 도펠 filed Critical 사카이 미에코
Publication of KR20010015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5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4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Landscapes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시트상 자석기판(1)의 한 면에, 건조한 눌러 말린 꽃(2)이 용융고착(3)등에 의해 밀봉고정된 시트체(3)가 일체화 배설되어 있는 것으로, 점착에 의한 배설위치의 선택, 변경, 눌러 말린 꽃의 종류의 변경등의 자유도를 크게 하여 재활용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Magnet having dry pressed flower sealed therein}
종래로부터, 자성체분말을 수지 바인더(binder)에 의해서 염화비닐수지등의 수지시트상에 고착 일체화하고, 이어서 이를 착자(着磁)시켜 되는 시트상 자석이 알려지고 있다. 그리고, 이 시트상 자석의 수지시트의 한 면에는 문자나 기호, 혹은 동물, 인물, 풍경, 화초등의 캐릭터(character)를 컬러(color)인쇄층 등으로 설치하고, 이들을 악세사리(accessory)나 실내장식용품, 혹은 문구, 교육용품 등으로서 활용하는 것이 실용적인 것으로 되어 왔다.
그렇지만, 이러한 종래의 마그네트 시트품은, 고급감이 있는 실내장식용품, 가구용품으로서 이용하기에는 수지시트상의 인쇄층의 도안이나 색조에 한계가 있고, 장식기능품으로서는 만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한편, 종래로부터 건조한 눌러 말린 꽃을 수지에 의해서 라미네이트한 시트나 씰(seal), 혹은 카드등이 수많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이들 라미네이트품을 전보 커버지, 플라스틱판, 혹은 목질판이나, 유리, 금속판등에 점착시킨 제품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눌러 말린 꽃장식품에 관해서도, 지금까지는 보다 범용적인 성격을 가지는 제품으로서는 그다지 고려되어 오지 않았다. 예를 들면 벽면이나 가구의 표면에 대하여, 수시로 그 배설위치를 변화시키거나, 별종의 눌러 말린 꽃제품으로 교환하거나, 게다가 재활용을 위해 눌러 말린 꽃의 주위 근방을 베어내어 이용하는 것, 그리고 이를 위한 기술적 수단은 고려되어 오지 않았다.
그래서, 본 출원 발명은 종래의 마그네트 시트품 및 건조한 눌러 말린 꽃장식품의 각각의 과제를 해결하고, 더구나 이들 종래품으로부터는 착상도 되지 않았던 보다 고급감이 있는 악세사리 장식품으로서 눌러 말린 꽃 밀봉품의 장점을 가지고, 더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범용성을 가지고, 베어냄에 의한 재활용도 가능한 새로운 마그넷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이라고 하고 있다.
본 출원 발명은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출원 발명은 자연스러운 색조와 형상의 건조한 눌러 말린 꽃이 주택, 사무실등의 실내장식(interior)이나, 자동차등의 장식품으로서, 금속판, 금속 제품등의 표면에 자재로 점착되고, 그 취출이나 변환도 용이한 신규한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1예를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별도의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끈어낼 수 있는 것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경우의 이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출원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시트상 자석기판의 한 면에 건조한 눌러 말린 꽃이 밀봉고정된 시트체가 일체화로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청구항 1)을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 발명은 시트체는 건조한 눌러 말린 꽃이 수지필름에 의해 자루상에 밀봉된 것인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청구항 2), 시트체는 건조한 눌러 말린 꽃이 수지필름의 라미네이트에 의해 밀봉된 것인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청구항 3), 시트체는 건조한 눌러 말린 꽃이 핫 멜트(hot melt)제의 용융고착에 의해 밀봉된 것인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청구항 4), 시트상 자석기판은 자성체분말을 수지바인더에 의해서 수지시트에 자성층으로서 배설하고, 이를 착자시킨 것인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청구항 5), 시트상 자석기판은 시트상 영구자석을 수지시트에 점착한 것인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청구항 6)등도 그 태양으로서 제공한다.
그리고, 본 출원 발명은 기판에 대하여 시트체가 핫멜트재의 용융고착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는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청구항 7)을 비롯하여, 기판에 대하여 시트체가 점착재에 의해 점착 일체화되어 있는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청구항 8), 시트체는 최외층에 커버필름층을 일체로서 가지고 있는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청구항 9), 핫멜트재는 핫멜트 필름 또는 핫멜트 파우더인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청구항 10), 시트상 자석기판의 위에는 핫멜트 필름, 건조한 눌러 말린 꽃, 핫멜트 필름 및 필요에 응해서 설정되는 커버필름이 순차 재치되고, 감압분위기로 가열가압되어 되는 것인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청구항 11)등도 제공한다.
더구나, 본 출원 발명은 구체예로서, 시트상 자석기판의 한 면에 건조된 눌러 말린 꽃제품이 융융수지에 의해 밀봉된 중간층과, 그 상부의 투명필름 표면층이 적층 일체화되어 있는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으로서, 중간층은 용융성 다공질 수지필름이 진공감압하에서 가열 가압되고, 용융한 수지가 눌러 말린 꽃제품에 밀착하여 이를 밀봉한 것임과 동시에, 용융한 수지에 의해 기판 및 투명필름 표면층에 고착되어 있는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청구항 12)을 비롯하여, 용융성 다공질 수지필름은 3차원의 다공 연통구조를 가지고 있는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청구항 13), 용융성 다공질 수지필름은 평균구멍경이 1.0㎜ 이하인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청구항 14), 용융성 다공질 수지필름은 110℃ 이하에서 용융하는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청구항 15), 용융성 다공질 수지필름의 용융에 의해 눌러 말린 꽃제품이 밀착 밀봉되어 있는 중간층의 두께는 4000㎛ 이하인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청구항 16), 중간층은 진공건조된 눌러 말린 꽃제품을 실질적으로 그 주변에 기포가 없도록 밀봉하고 있는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청구항 17), 투명필름 표면층은 300㎛ 이하인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청구항 18), 투명필름 표면층은 다층 적층필름인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청구항 19), 투명필름 표면층은 최외표면층으로서 경질피복(hard coating)층을 가지고 있는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청구항 20), 그리고 상기의 어느 한 항에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으로서, 시트상 자석기판과 중간층과의 사이에는 핫멜트재가 용착되어 있는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청구항 21)등의 태양을 제공한다.
본 출원 발명은 이상과 같은 특징을 가지는 것이지만, 이하 도면에 따라 보다 빠짐없이 본 발명에 관해서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의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제품으로서의 단면사시도가 도 1이고, 분해사시도가 도 2이다.
예를 들면, 먼저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시트상 자석(11)을 수지시트(12)에 배설한 시트상 자석기판(1)의 한 면에는 건조한 눌러 말린 꽃(2)이 핫멜트재의 용융고착층(31)에 의해 밀봉고정된 시트체(3)가 일체화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예로서는, 시트체(3)는 최외층으로서 커버필름층(32)을 가지고도 있다.
도 2는 보다 빠짐없이 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의 시트상 자석기판(1)의 위에는 핫멜트 필름(311), 건조한 눌러 말린 꽃(2), 핫멜트 필름(312) 및 커버필름(32)이 재치되고, 감압 분위기하에 가열가압하여 핫멜트 필름(311)(312)을 용융시키고, 건조한 눌러 말린 꽃(2)을 용융밀봉하고, 상기한 바와 같은 건조한 눌러 말린 꽃의 용융밀봉층(31)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것을 시트상 자석기판(1)및 커버필름(32)에 접착 일체화하고도 있다.
이상의 예에 있어서는, 핫멜트재로서의 핫멜트 필름(311)(312)을 써서 용융고착층(31)을 형성하는 것 대신에, 건조한 눌러 말린 꽃(2)의 주위의 점착부에 접착제층을 가지는 수지필름에 의해 자루상으로 한 간극내에 눌러 말린 꽃(2)을 밀봉하도록 하더라도 좋고, 혹은 접착제층을 가지는 라미네이트수지필름에 의해 눌러 말린 꽃(2)을 라미네이트 밀봉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단지, 이들 자루상 필름피복부내로 눌러 말린 꽃제품을 장입한 것이나 눌러 말린 꽃 라미네이트품은 눌러 말린 꽃의 주위에 공기층을 잔존시키기 쉽고, 더구나 완전히는 외부의 공기나 습기와의 접촉을 차단할 수 없다는 염려가 있기 때문에, 눌러 말린 꽃의 색채나 모양의 열화가 진행하고, 장기에 걸쳐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한, 라미네이트품등은 실제로는 눌러 말린 꽃의 주위의 용착 씰부만에 있어서 밀봉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이 씰부 안쪽의 눌러 말린 꽃의 주위근방을 베어내고 재활용하는 것은 반드시 현실적이지는 않다. 씰상태가 없어져서 눌러 말린 꽃이 직접 외기와 접촉하는 상태에 놓여지기 쉽고, 그 열화가 급속히 진행하는 때문이다. 단, 목적, 용도에 의해서는 상기의 라미네이트에 의한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 등에서도 역할을 다하기 때문에 그 나름대로 유용하다.
한편, 핫멜트재에 의한 것은 공기, 습기의 차단성이 뛰어나고, 아름다운 색채와 형상을 장기에 걸쳐 보지할 수 있는 새로운 건조한 눌러 말린 꽃밀봉품을 제공한다. 이것은 제어된 감압분위기하에서 건조한 눌러 말린 꽃을 수지의 용융에 의해 밀봉 봉입한 것이어서 높은 품질을 가지는 것으로서 주목받는다.
도 1 및 도 2의 예에 있어서는, 상기 시트상 자석(11)은 시트상 성형품, 혹은 소결체로서의 영구자석이더라도 좋고, 보다 유연성이 있어 시트상 자석기판(1)에 굴곡성을 주도록 예를 들면, 각종의 자성체 분말을 수지바인더에 의해서 수지시트(12)에 자성층으로서 적층하고, 이것을 착자시켜 자석으로 한 것이라도 좋다. 연질자석의 경우는 시트상 자석(11)은 접착재, 점착재에 의해서 수지시트(12)에 일체화하더라도 좋다.
또한, 시트상 자석(11)의 종류나 접착성에 따라서는, 수지시트(12)를 쓰지 않고 상기한 바와 같은 건조한 눌러 말린 꽃을 밀봉한 시트체(3)를 직접 일체화하더라도 좋다. 수지시트(12)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교적 강도가 있는 염화비닐수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에폭시수지, 폴리이미드등의 수지시트가 적합하게 쓰이는 것으로 된다.
핫멜트재는 상기와 같이 핫멜트필름(311)(312)으로서 쓰는 것이 취급성이나, 밀봉성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지만, 분말상의 것으로서 쓰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도 2에 있어서, 핫멜트 필름(311)(312)중 어느 한편, 또는 양쪽에 교대하여 분말상의 핫멜트재를 쓰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후술의 다공질 필름은 유용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건조한 눌러 말린 꽃의 밀봉성도 양호로 하기 위해서는 핫멜트재로서는 건조한 눌러 말린 꽃과의 밀착성과 탈기성이 뛰어난 것으로서, 열가소성의 폴리올레핀이나, 폴리비닐알콜계, 폴리초산비닐계, 폴리비닐에테르계등의 셀루로스친화성이 뛰어나 건조한 눌러 말린 꽃의 표면조직에 밀착하고, 감압하에서의 탈기성이 좋은 것이 적합하게 쓰인다.
또, 상기의 커버필름은 내열성이 있는 필름으로서 적당한 것을 쓰더라도 좋고, 후가공으로서 시트상 자석기판(1)에 일체화된 시트체(3)의 최외표면에 도포나, 분무하여 경화층을 형성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보다 대광성(對光性)이 뛰어난 아크릴계, 메타크릴계등의 수지를 쓰도록 하더라도 좋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예를 게시하고 있다. 본 도 3의 예로서는 시트상 자석기판(1)에 대하여 건조한 눌러 말린 꽃을 핫멜트 용융고착층(31)에 밀봉한 시트체(3)는 예를 들면, 그 기판(33)을 구비하도록 하고 양면점착테이프재(4)등의 점착재, 접착재에 의해서 점착 일체화 하고 있다.
또한,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핫멜트재를 쓴 본 발명의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의 경우에는 건조한 눌러 말린 꽃(2)이 상기의 핫멜트 용융고착층(31)에 밀봉된 채로의 상태로 그 주위근방(A)까지 시트상 자석기판(1)으로 시트체(3)가 가위(5)등에 의해 일체화로서 잘라낼 수 있다는 것이 좋은 것중 하나로 열거된다.
이 예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시트상의 제품에 복수의 눌러 말린 꽃(2A)(2B)…이 밀봉되는 것으로 하고, 적절히 원하는 눌러 말린 꽃(2A)의 주위근방(A)을 떼어내어, 예를 들면 도 5와같이, 냉장고(6)등의 상기 기기나 가구의 금속성표면에 장식품(7)으로서 마그네트 점착하고, 게다가 이것을 적당히 떼어내어 다른 장식품으로 바꾸거나, 혹은 마그네트 점착부위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은 마그네트에 의한 점착에 의해서, 착탈자재로 원하는 위치에 배설할 수가 있고, 그 범용적 성격이 실현됨과 동시에, 도 4의 예와 같이 떼어낼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더욱더 편리성과, 가구, 실내장식효과가 높아지게 된다.
떼어내기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시트상 자석기판(1) 그 자체가 절단용이하게 이루어 진다. 그 의미로서는 상기와 같이 유연성이 있어 분말자성재료를 바인더수지에 의해 수지시트에 적층 일체화 한 것이 적합하게 된다.
또한, 시트체(3)에 있어서는, 종래의 라미네이트품과는 상위하여 핫멜트재에 의해 건조한 눌러 말린 꽃은 그 표면부위까지 치밀히 밀봉되어 있으므로, 극히 근방의 위치에서 절단했다고 해도 밀봉성이 없어지지는 않는다. 이러한 것은 종래의 수지라미네이트품으로서는 전혀 실현되지 않았던 것이다.
더구나, 도 4의 예와 같이 절단가능하게 한 본 발명의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으로서는 소망 범위의 떼어내기에 의해 재활용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카드나 판, 혹은 명찰 시트로서 사용한 것이더라도 원하는 눌러 말린 꽃의 주위를 원하는 평면형상, 예를 들면 원형, 다각형, 그위에 각종 이형형상으로 잘라내어 마그네트 점착에 의한 장식품으로서 재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더구나 구체적으로 예시 설명하면, 도 1에 나타낸 핫멜트재의 용착에 의한 용착고착부(31)에 있어서는 용융성의 다공질 수지필름을 쓰는 것에 따라 더욱더 효과적으로 된다.
용융성 다공질 수지필름은 이를 구성하는 미세구멍에 의해서 진공감압하에서 용융될 때에, 건조한 눌러 말린 꽃(2)의 주위와 그 표면의 공기, 습기를 이 미세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고, 더구나 눌러 말린 꽃(2)에 밀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융성 다공질 수지필름의 배설부위의 전체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공기, 습기를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3차원의 다공 연통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 종류에 의해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건조한 눌러 말린 꽃의 색조, 형상, 조직을 파괴하지 않고 매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위해서는 적절한 용융접착성을 더 구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용융성 다공질 수지필름은 3차원의 미세구멍 연통구조를 가지고,그 평균구멍경은 1.5㎜ 이하, 예를 들면 0.05∼1.5㎜, 보다 좋기로는 1.0㎜ 이하, 예를 들면 0.1∼1.0㎜ 정도으로서, ASTM 체눈규격으로서는 18∼140 메쉬(mesh), 타일러메쉬(Tyler mesh)로 16∼150에 상당하고, 공극체적율로서는 85%이하, 예를 들면 30∼80% 정도로, 또한, 120℃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이하, 그 위에 60∼85℃ 정도의 온도에서 용융용착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의 용융고착층(31)으로서의 도 6에 나타낸 중간층(30)의 두께는 4000μ이하, 보다 일반적으로는 100∼1000㎛ 정도가 적당한 것이므로, 용융성 다공질 수지필름은 그 두께가 150∼1500㎛ 정도의 것을 한 장 또는 복수매 쓰는 것이 적당하다.
평균구멍경은 이 필름의 두께와도 관계하지만, 일반적으로는 평균구멍경이 0.05㎜ 미만의 경우에는 필름 그 자체의 입수가 용이하지 않을뿐 아니라 진공감압에 의한 공기, 습기의 제거효율은 낮추는 경향에 있다. 또한, 1.5㎜을 넘어서 커지면, 용융한 수지의 눌러 말린 꽃제품으로의 밀착도, 즉 매립을 위한 충진도가 부족한 경향이 보여진다. 이로부터, 두께 150∼1500㎛ 정도의 용융성 다공질 수지필름으로서는 용융온도가, 바람직하게는 110℃, 더욱이는 60∼85℃ 정도로서, 평균구멍경이 0.05∼1.5㎜,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0.1∼1.0㎜을 눈대중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상과 같은 용융성 다공질 수지필름은 소재로 되는 수지의 미분말(微粉末)의 부분용융체나 그 후분체(厚粉體)로서 제조된 것, 발포체로서 제조된 것, 혹은, 필름의 빛이나, 프라즈마, 방사선조사에 의해 처리되어 제조된 것 등으로서 제공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소재로서의 수지에 있어서는 눌러 말린 꽃제품(2)과의 밀착친화성이나, 용융온도, 용융시의 유동성, 그리고 다공질 필름의 제조성등을 고려하여 선택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에틸렌-에틸 아크릴레트 코폴리머, 에틸렌-초산비닐 코폴리머, 에틸렌-아크릴산 코폴리머, 에틸렌-메타크릴산 코폴리머등등이 적당한 것으로 열거된다.
에틸렌-초산비닐 코폴리머는 적합한 것의 하나이지만, 그 부분 비누화물, 예를들면 약 10당량% 이하의 비누화물은 눌러 말린 꽃제품과의 친화성에 있어서 양호하기도 하다.
이들 용융성 다공질 수지필름(또, 필름의 용어에 있어서 시트라고 부르더라도 실질적인 차이는 없다)에 의해서 눌러 말린 꽃(2)을 매입하여 밀봉하는 것으로 중간층(30)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시트상 자석기판(1)상에 눌러 말린 꽃(2)을 얹어 놓고, 그 위에 용융성 다공질 수지필름과, 투명필름 표면층(8)을 형성하는 비용융성 수지필름을 순차로 놓아두고 고진공감압하에서 가열 가압하던가, 혹은 시트상 자석기판(1)의 위에 먼저 용융성 다공질 수지필름을 놓아두고 그 위에 눌러 말린 꽃(2)을 얹어 놓고, 게다가 다시 용융성 다공질 수지필름을 놓아두고, 상기와 같이 하여 비용융성의 투명수지필름을 놓아둔 뒤에 고진공감압하에서 가열가압하는 것이 적당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후자의 수단을 채용하는 것이 좋다.
또, 이때는, 눌러 말린 꽃(2)의 표면이나 그 근접 주위면에는 용융성 다공질 수지필름과 동종 수지의 미분말을 미리 산포하여 가열가압하더라도 좋다. 보다 두꺼운 눌러 말린 꽃(2)인 경우에는 이 미분말의 산포는 유효하기도 하다. 이 경우의 입경으로서는 0.5㎜ 이하 0.05㎜ 이상의 것이 적당하다.
또한, 용융성 다공질 수지필름 더욱이는 상기의 미분말은 용융경화하여 중간층(30)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기에는 투명성이 높은 것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들은 밀봉한 눌러 말린 꽃(2)이 그 아름다운 자연의 빛깔을 보다 선명히 보이게 하기 위해서이다. 물론, 소망에 따라서는 색소등의 첨가에 의해서 중간층(30)이 특유의 색조를 가지는 것으로 하고, 눌러 말린 꽃(2)과 함께 상승적으로 그 아름다움을 발현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도 투명도가 높은 것이 적당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본 출원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용융성 다공질 수지시트를 쓰는 것으로 눌러 말린 꽃(2)의 밀봉에 있어서, 진공감압하에서 눌러 말린 꽃(2)의 주위, 그 표면근방에 공기 굄이나 기포를 남기지 않고 이들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가 있어 용융한 수지를 눌러 말린 꽃(2)의 모든 표면에 빠짐없이 밀착시켜 이를 매립 밀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잔존하는 공기중의 산소나, 습기에 의해서 눌러 말린 꽃(2)이 열화하여 변/퇴색하는 것을 장기에 걸쳐 방지하고, 자연의 선명한 색조를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매립 밀봉에 의해, 가령 외력에 따라서 투명필름 표면층(8)으로부터의 손상이 있더라도, 눌러 말린 꽃(2)에 그 상처가 이르지 않은 한은 밀봉성은 깨여지지는 않고 눌러 말린 꽃제품의 열화는 생기지 않는다. 또한, 상기 용융성 다공질 수지필름의 사용에 의해서 큰 평면적의 눌러 말린 꽃밀봉품을 얻는 것도 가능해진다. 진공감압은 전평면역에 걸쳐 신속하게 공기를 배출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종류나 두께가 다른 복수의 눌러 말린 꽃(2)을 동일평면상에 배치한 경우라도 마찬가지로서, 벽면 판, 사이 칸막이 등의 큰 면적으로, 장식성이 뛰어난 눌러 말린 꽃제품의 제공도 가능해진다.
더구나,본 발명에 의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베어냄에 의한 재활용도 가능해진다. 눌러 말린 꽃(2)에 접하지 않는 한 원하는 범위를 베어내어 별도로 이용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메세지(message)카드나 전보 대지에 본 발명의 눌러 말린 꽃 밀봉품을 구성하는 경우, 이를 절취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이것은 눌러 말린 꽃(2)이 빠짐없이 용융한 수지에 밀착되어 경화중간층(30)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눌러 말린 꽃(2)으로서는 진공건조한 각종의 화초이어도 좋고, 코스모스, 펜지, 안개꽃, 장미, 밀등의 각종의 꽃, 잎, 줄기, 열매가 적당히 조합된 것이어도 좋다.
투명필름 표면층(8)에 대해서는, 중간층(30)을 형성하는 가열가압시에도 용융하지 않아서 투명성이 높고도 그 최외표면은 외력에 의해서도 손상, 마모하기 어렵고, 빛이나 온도에 의해서 열화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두께에 있어서는 특히 한정은 없지만, 제조 비용이나, 투명도등을 고려하여 통상은 300μ 이하, 40∼300㎛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그리고, 이 투명필름 표면층(8)에 있어서는, 다층구조로 해도 좋고, 중간층(30)에 접하는 부분에는 밀착성이 좋은 것으로 하고, 최외표면에는 경도가 있어 상처가 나기 어렵고, 빛, 열등에 대하여 내성의 큰 경질피복층이 배설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투명 필름의 중간층(30)측에 접착층, 특히 열접착층(heat sealing layer)을 마련하고, 최외층에 경질피복층을 마련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투명 필름으로서는 투명성, 내열성등이 양호한 것으로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예를들면 PET 필름등을 쓸 수 있다. 열접착층으로서는 일반적으로는, 60∼100℃ 정도의 상기의 가열가압하에있어서 접착성을 나타내는 필름을 쓰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면, 이러한 필름으로서는 폴리에틸렌,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초산비닐 코폴리머등이 예시된다. 또한, 경질피복산으로서는 산화규소막등의 무기막, 혹은 아크릴계수지, 유기규소계수지, 경질 우레탄(urethane)계수지 등이 예시된다. 그리고, 이들 경질피복층에는 표면의 내마모성과 함께 반사방지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실리카 미립자나, TiO2, ZrO2, SnO2등의 미립자를 분산시켜 놓더라도 좋다. 또한, ITO(indium tin oxide)등의 도전성미립자를 분산시켜 두는 것으로, 표면에 정전기에 의한 먼지가 부착하기 어렵도록 하더라도 좋다.
반사방지성이나 대전방지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밀봉된 눌러 말린 꽃(2)은 보다 선명히 그 색조를 발현하게 된다.
접착성의 필름은 그 두께는 10∼200㎛ 정도로 하고, 경질피복층은 1∼4㎛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물론, 접착성 필름이나 경질피복층등은 반드시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눌러 말린 꽃밀봉품의 용도에 응해서 투명필름 표면층(8)의 구성이 정해지는 것으로 된다.
시트상 자석기판(1)에 있어서는, 중간층(30)과의 접착성을 더욱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와 같은 접착층을 마련하더라도 좋고, 혹은 프라즈마나 에칭(etching)액에 의해 조면화 하고 엥커(anchor)효과를 부여해 놓더라도 좋다.
시트상 자석기판(1)을 상기한 바와 같이 시트상 자석(11)과 수지시트(12)에 의해 구성하는 경우에는, 수지시트(12)는 수지층의 적층체로서 좋다. 시트상 자석기판(1)을 형성할 때에 이 적층체를 구성하더라도 좋고, 혹은, 형성후에 더하여 수지층을 적층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수지시트의 적층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시트상 자석의 위에 순차로
예 1 염화비닐수지(PVC)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예 2 염화비닐수지(PVC)
폴리프로필렌(PP)
예 3 염화비닐수지(PVC)
폴리에틸렌(PE)
예 4 염화비닐수지(PVC)
에틸렌-초산비닐 코폴리머(EVA)
예 5 폴리에스테르(PET)
폴리에틸렌(PE)
에틸렌-초산비닐 코폴리머(EVA)
와 같이 적층한 것이어도 좋다.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등의 표면에 상기와 같이 프라즈마, 코로나등의 처리를 하여 엥커효과를 증대시키더라도 좋다.
그리고, 평편한 기판으로서 수지시트(12)를 쓰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해서 뒤집힘(curl)이나 비틀림이 생기지 않는 구성도 제공된다. 또한, 밀봉된 눌러 말린 꽃(2)의 색조를 보다 선명히 하기 위한 배경으로서, 기판(1)의 색조를 조정(control) 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비교적 형상보지성이 뛰어 난 염화비닐수지,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폴리프로필렌등의 필름(시트)을 복수매 적층 일체화하는 것으로, 상기의 가열가압에 동반하는 기판(1)의 휘어짐이나 비틀림을 효과적으로 억지할 수가 있다. 또한, 적층구조의 중간층, 최외층, 혹은 양자에 컬러인쇄층이나 컬러연입층(練入層)을 설치함으로써, 기판에 의한 배경효과를 보다 큰 것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판에는 백색 필름(시트)을 쓰고 접착층으로서의 열접착층등을 통해 컬러인쇄층과 함께 적층한다.
컬러인쇄층은 백색 필름의 바탕의 배경색에 대하여 눌러 말린 꽃(2)의 색조를 그대로 떠오르게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지만, 배경색을 변경하는 경우나 배경을 디자인(design)지로 하는 경우에 설치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중간층(30)의 색조가 약간 칙칙한 경우에 크림색의 컬러인쇄층이나 컬러연입층을 설치함으로써 눌러 말린 꽃제품의 색조를 선명하게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 접착층으로서는 상기와 같은 것이 고려된다. 그리고, 기판을 구성하는 복수매의 필름(시트)의 경우에는 그 두께는 일반적으로는 20∼200㎛ 정도로 하고, 접착층에 있어서는 10∼100㎛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시트상 자석기판(1)에 있어서는 그 두께에 제한은 없지만, 실용상의 관점에서는 0.1∼10㎜ 정도가 예를들면 고려된다. 수지시트(12)에 있어서는, 전체로서 예를들면 2000㎛ 이하, 더욱이는 100∼1000㎛ 정도로 하는 것이 고려된다.
또, 컬러인쇄층, 컬러연입층에 있어서는, 적당한 착색잉크, 안료, 색소가 쓰이고, 그위에 금속에 의한 분말이나, 그 고착, 혹은 증착한 디자인으로서도 좋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본 발명에 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진공감압 압착장치를 써서 감압흡인을 위한 개공을 가지는 지지대위에서, 4주변에 배치한 고무에 둘러싸인 평면역(300×300㎜)에 면포를 두고, 이어서 시트상 자석기판을 두었다.
이 시트상 자석기판은 상층으로부터 하층으로 다음 구성과 두께의 것으로 했다.
폴리에틸렌(PE) : 20㎛
폴리프로필렌(PP) : 30㎛
백색 염화비닐수지(PVC) : 0.5㎜
시트상 자석 : 1.5㎜
이 기판의 위에는, 용융온도 75℃, 평균구멍경이 약 0.2㎜에서, 두께 0.6 ㎜(ASTM 70 mesh에 상당)의 에틸렌-초산비닐 코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용융성 다공질 수지필름, 펜지의 진공건조한 눌러 말린 꽃, 상기와 같은 용융성 다공질 수지필름 및 두께 150㎛ PET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필름을 순차 포개어 약 80℃의 온도에 있어서 760㎜Hg의 절대진공도에 한하지 않고 그 가까운 상태로 진공감압하여 윗쪽으로부터 약 1atm 정도로 눌렀다.
얻어진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밀봉품은 중간층 800㎛, 투명필름 표면층 150㎛의 두께를 가지고, 중간층에는 눌러 말린 꽃이 용융한 수지에 밀착되어 밀봉되어 있고, 공기 굄, 기포는 완전히 인식되지 않았다.
또한, 기판에 있어서는 뒤집힘이나 비틀림이 인식되지 않았다.
눌러 말린 꽃은 6개월 이상의 장기에 걸쳐 자연의 빛깔을 유지하고, 그 색조는 선명하고 아름다움도 가졌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용융성 다공질 수지시트로서 5당량% 부분 비누화물을 쓰고, 평균구멍경 0.5㎜에서 두께 1.3㎜(ASTM 35 mesh에 상당)의 것을 써, 두께가 약 1000㎛의 중간층을 형성했다.
실시예 1과 같이 뛰어난 품질의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밀봉품을 얻었다.
또한, 상기 어느쪽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자석과 함께 소요의 모양으로 가위로 베어내더라도 밀봉성이 파괴되지 않고 마그네트 점착의 장식품으로서 재활용도 가능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상의 예에 의해서 어떠한 한정이 되는 것이 아니다. 그 세부에 관해서 여러가지 태양이 가능하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대로, 본 출원 발명에 의해서 밀봉된 눌러 말린 꽃이 마그네트 점착에 의해서 착탈자재로 그 점착 위치의 선택, 변경, 눌러 말린 꽃의 교환등의 자유도가 큰 것으로 되고 범용성은 크게 향상한다.
떼어냄이 가능한 것에 있어서는 더더욱 이상의 효과는 큰 것으로 되고, 또한, 사용된 것이어도 재활용이 가능해진다.

Claims (21)

  1. 시트상 자석기판의 한 면에, 건조한 눌러 말린 꽃이 밀봉고정된 시트체가 일체화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
  2. 제 1항에 있어서, 시트체는 건조한 눌러 말린 꽃이 수지필름에 의해 자루상에 밀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
  3. 제 1항에 있어서, 시트체는 건조한 눌러 말린 꽃이 수지필름의 라미네이트에 의해 밀봉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
  4. 제 1항에 있어서, 시트체는 건조한 눌러 말린 꽃이 핫멜트재의 용융고착에 의해 밀봉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
  5. 제 1항에 있어서, 시트상 자석기판은 자성체분말을 수지 바인더에 의해서 수지시트에 자성층으로서 배설하고, 이를 착자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
  6. 제 1항에 있어서, 시트상 자석기판은 시트상 영구자석을 수지시트에 점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
  7.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기판에 대하여 시트체가 핫멜트재의 용융고착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
  8. 제 1항에 있어서, 기판에 대하여 시트체가 점착재에 의해 점착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
  9. 제 1항에 있어서, 시트체는 최외층에 커버필름층을 일체화로 하여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
  10. 제 4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핫멜트재는 핫멜트 필름 또는 핫멜트 파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
  11. 제 10항에 있어서, 시트상 자석기판의 위에는 핫멜트 필름, 건조한 눌러 말린 꽃, 핫멜트 필름 및 필요에 응해서 설치되는 커버필름이 순차로 재치되고, 감압분위기로 가열가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시트상 자석기판의 한 면에 건조된 눌러 말린 꽃제품이 용융수지에 의해 밀봉된 중간층과, 그 상부의 투명필름 표면층이 적층 일체화되어 있는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밀봉품으로서, 중간층은 용융성 다공질 수지필름이 진공감압하에서 가열가압되고, 용융한 수지가 눌러 말린 꽃제품에 밀착하여 이를 밀봉한 것임과 동시에, 용융한 수지에 의해 기판 및 투명 필름표면층에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
  13. 제 12항에 있어서, 용융성 다공질 수지필름은 3차원의 다공 연통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용융성 다공질 수지필름은 평균구멍경이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
  15. 제 12항 내지 제 14항중 어느하나에 있어서, 용융성 다공질 수지필름은 110℃ 이하에서 용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
  16. 제 12항 내지 제 15항중 어느하나에 있어서,용융성 다공질 수지필름의 용융에 의해 눌러 말린 꽃제품이 밀착 밀봉되어 있는 중간층의 두께는 4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
  17. 제 12항에 있어서, 중간층은 진공건조된 눌러 말린 꽃제품을 실질적으로 그 주변에 기포가 없도록 밀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
  18. 제 12항에 있어서, 투명필름 표면층은 3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
  19. 제 12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투명필름 표면층은 다층 적층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
  20. 제 19항에 있어서, 투명필름 표면층은 최외표면층으로서 경질피복층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
  21. 제 12항 내지 제 20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시트상 자석기판과 중간층과의 사이에는 핫멜트재가 용착되어 있는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
KR1020007002832A 1997-09-17 1998-09-17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 KR1005474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52550 1997-09-17
JP25255097A JP3612411B2 (ja) 1997-09-17 1997-09-17 マグネット押し花密封品
PCT/JP1998/004190 WO1999014063A1 (fr) 1997-09-17 1998-09-17 Aimant dans lequel est scellee une fleur dessechee sous pres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5592A true KR20010015592A (ko) 2001-02-26
KR100547420B1 KR100547420B1 (ko) 2006-01-31

Family

ID=17238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2832A KR100547420B1 (ko) 1997-09-17 1998-09-17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683520B1 (ko)
EP (1) EP1024029B1 (ko)
JP (1) JP3612411B2 (ko)
KR (1) KR100547420B1 (ko)
CN (1) CN1097520C (ko)
CA (1) CA2303905C (ko)
DE (1) DE69837489T2 (ko)
WO (1) WO19990140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08700B1 (en) * 2001-03-05 2006-03-07 3-Form Architectural laminate panel with embedded compressible object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7691470B2 (en) * 2001-03-05 2010-04-06 3Form Laminate structure with polycarbonate sheets
ES2213437B1 (es) * 2002-01-14 2005-10-01 Montserrat Cert De Luna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 plaquitas, preferentemente para adornos de bisuteria, con incorporacion de hojas y flores naturales deshidratadas.
US7267857B1 (en) * 2003-03-21 2007-09-11 D & K International, Inc. Mounting and laminating system
US20050138853A1 (en) * 2003-12-24 2005-06-30 Yen-Ho Chiang Ornamental panel with an adhesive layer
US20050139739A1 (en) * 2003-12-31 2005-06-30 Hamerski Michael D. Magnetic-adhesive mounting device
KR100693268B1 (ko) * 2005-04-12 2007-03-13 경기도 고양시 아크릴을 이용한 압화 제작방법 및 그 아크릴압화
US20080104872A1 (en) * 2006-11-02 2008-05-08 Gina Mertz Ornamental magnets
AU2008248328B2 (en) 2007-05-08 2010-10-07 Hunter Douglas Industries Switzerland Gmbh Multivariate color system with texture application
CA2635796A1 (en) * 2008-04-17 2009-10-17 Claire M. Lapesky Magnetic photo gallery
US20110284489A1 (en) * 2010-05-19 2011-11-24 Shih-Ming Lin Shelf Assembly Having A Removable Ornamental Unit
US8522464B2 (en) * 2010-08-31 2013-09-03 Margaret L. Rehnberg Magnetic blocks with images thereon,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D691289S1 (en) 2012-09-05 2013-10-08 3Form, Inc. Panel with cut and aligned thatch interlayer
ITMI20130178U1 (it) * 2013-05-08 2014-11-09 Gemelli & C O S R L Struttura decorativa presentante caratteristiche tridimensionali
CN107878104A (zh) * 2017-11-28 2018-04-06 苏州科技大学 一种失电性磁铁的枯山水景观装置及其使用方法
WO2021081982A1 (en) * 2019-11-01 2021-05-06 Performance Materials Na, Inc. Overmolded transparent structure
CN113116073A (zh) * 2021-03-29 2021-07-16 深圳市铂晶艺术文化有限公司 树脂包埋标本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2955Y1 (ko) * 1970-06-18 1975-07-10
US4287676A (en) * 1978-05-22 1981-09-08 Weinhaus Robert S Magnetically secured display apparatus
US4605292A (en) * 1985-06-28 1986-08-12 Bright Of America, Inc. Mirror with adhesive/magnetic mirror supporting strips
JPH0417956Y2 (ko) * 1986-10-31 1992-04-22
JPH0164497U (ko) * 1987-10-21 1989-04-25
JPH0441401A (ja) * 1990-06-07 1992-02-12 Sakai Mieko 樹脂密封押花及びその製作方法
CN1046237C (zh) * 1993-04-14 1999-11-10 吴明坤 具有凹凸表面图形的软性立体磁片的制造方法及其产品
US5478613A (en) * 1993-11-12 1995-12-26 Sugino; Nobuo Pressed flower ornament
JP2724445B2 (ja) * 1995-05-23 1998-03-09 株式会社クリエイト 押し花を樹脂で封入した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使用した家具及び建築用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9014063A1 (fr) 1999-03-25
EP1024029A1 (en) 2000-08-02
CA2303905C (en) 2007-04-24
JP3612411B2 (ja) 2005-01-19
CN1097520C (zh) 2003-01-01
CN1278214A (zh) 2000-12-27
KR100547420B1 (ko) 2006-01-31
DE69837489D1 (de) 2007-05-16
EP1024029B1 (en) 2007-04-04
EP1024029A4 (en) 2001-05-16
JPH1178399A (ja) 1999-03-23
CA2303905A1 (en) 1999-03-25
DE69837489T2 (de) 2007-12-13
US6683520B1 (en) 2004-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7420B1 (ko) 마그네트 눌러 말린 꽃 밀봉품
KR100547419B1 (ko) 눌러 말린 꽃 밀봉품
CA2185767A1 (en) A base fabric for air bags, a process for producing it and an air bag comprising it
JP3998957B2 (ja) 射出成形同時加飾用シート及び加飾成形品
JP4544622B2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積層体及びその用途
JP3717649B2 (ja) 押し花密封品
CN208530020U (zh) 热转印膜及热转印制品
CN217499131U (zh) 一种复合丝纸
JPH0211200Y2 (ko)
CN216946841U (zh) 一种pvc复合装饰膜
CN213812671U (zh) 一种压力测试胶片
CA2446813A1 (en) Graphics transfers for use in rotational molding
GB2318546A (en) Laminate film for making a printable and markable balloon
CN209240624U (zh) 一种降温防爆彩晶玻璃
CN208359644U (zh) 静电吸附复合膜
CN201220499Y (zh) 一种硅胶与塑料复合而成的硅胶薄板
JP2854336B2 (ja) 押し花シ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S587275A (ja) 模型玩具
JPH0747026A (ja) 押し花成型コー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92532A (ja) スチレン系樹脂成形品のための成形用シート
JPH04332644A (ja) 化粧材の製造方法
MXPA96006246A (en) Non-conductive globe that can be printed and marcary method for factory
JPH06155672A (ja) 装飾テント生地及びその製造方法
JPS6389399A (ja) 装飾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ITRM960769A1 (it) Palloncino gonfiabile, non conduttore stampabile e marcabile, e proce dimento per la sua fabbricazi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