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5191A - 프린터의 부하 완충 장치 - Google Patents

프린터의 부하 완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5191A
KR20010015191A KR1020000038472A KR20000038472A KR20010015191A KR 20010015191 A KR20010015191 A KR 20010015191A KR 1020000038472 A KR1020000038472 A KR 1020000038472A KR 20000038472 A KR20000038472 A KR 20000038472A KR 20010015191 A KR20010015191 A KR 20010015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load
printer
roller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8039B1 (ko
Inventor
다키자와히로시
시미즈마나부
시카노히로시
Original Assignee
야스카와 히데아키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스카와 히데아키,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스카와 히데아키
Publication of KR20010015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5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0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1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weighted or spring-pressed mov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16Means for tensioning or winding the web
    • B41J15/165Means for tensioning or winding the web for tensioning continuous copy material by use of redirecting rollers or redirecting nonrevolving guides

Landscapes

  • Unwinding Webs (AREA)
  • Handling Of Continuous Sheets Of Paper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 Memory System Of A Hierarchy Structure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부하 완충 장치는 부드러운 롤 페이퍼 운송 및 프린터 내에 설치하는데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부하 완충 장치는 페이퍼 롤(R)이 회전하는 축 둘레의 특정 각을 이동시키는 아암을 갖는다. 롤러(23)는 페이퍼 롤의 방사상 외측 지점에서 상기 아암으로부터 롤 페이퍼에 대해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운송 롤러(14)가 상기 페이퍼를 진행시키도록 구동될 때, 페이퍼에 가해진 장력은 아암을 롤러(23)를 거쳐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스프링과 같은 가압 수단은 롤러(23)와 아암을 대향 방향으로 가압하고, 롤러(23)의 양 측부상에 동일한 장력을 유지시켜, 부드러운 롤 페이퍼 운송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프린터의 부하 완충 장치{Load buffering device for printer}
본 발명은 페이퍼가 페이퍼 롤로부터 인출되어 인쇄를 위한 인쇄 유니트로 이송되는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페이퍼 롤과 인쇄 유니트 사이에 제공되어 페이퍼가 인출될 때 페이퍼상에 작용하는 부하를 완충하기 위한 부하 완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페이퍼 롤로부터 공급되는 페이퍼상에 인쇄하도록 되어 있는 프린터는 폭넓게 공지되어 있다. 빈번한 페이퍼 교환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형태의 프린터에는 일반적으로 대직경의 페이퍼 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페이퍼 롤의 직경이 커질수록, 프린터가 페이퍼 롤로부터 페이퍼의 인출을 개시할 때마다의 페이퍼 롤의 회전에 저항하는 관성이 커진다. 일반적으로, 페이퍼는 "정지-및-진행" 방식으로 간헐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페이퍼 롤로부터 인출되는 페이퍼는 종종 큰 관성에 의해 큰 장력을 받게 된다. 이는 프린터의 운송 롤러와 페이퍼 사이에 미끄러짐을 발생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페이퍼를 찢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프린터가 페이퍼의 이송을 개시할 때마다 페이퍼상에 작용하는 상기와 같은 순간적으로 높은 장력을 피하기 위해, 다수의 부하 완충 또는 댐퍼 장치가 제안되어 왔다.
도 1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상기 종래의 부하 완충 장치의 일례는 JP-U-57-159461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참조번호 1로 표시된 부하 완충 장치는 페이퍼 롤(R)과 인쇄 유니트(5) 사이에 배치된다. 케이스(도시되지 않음)상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는 일단부와, 페이퍼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며 페이퍼의 비권취 부분(r)을 고정하는 롤러(3)를 지지하는 타단부를 갖는 아암(2)을 상기 장치가 포함한다. 스프링(4)은 아암(2)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 이동을 저지하도록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아암(2)을 편향시킨다. 운송 롤러(6)가 페이퍼를 인출할 때 페이퍼에 적용되는 장력은 상기 피봇 운동을 저지하는 스프링(4)의 힘과 상기 페이퍼 롤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균형을 이룰 때까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계방향으로 아암(2)을 피봇시킨다. 아암(2)의 이러한 운동은 부하 완충 장치 없이 발생하는 급격한 증가와는 대조적으로 페이퍼 롤로부터 페이퍼가 인출되는데 필요한 양으로 점진적으로 장력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종래의 부하 완충 장치에는 다수의 문제가 존재한다.
(1) 운송 롤러(6)가 페이퍼의 인출을 개시할 때, 페이퍼가 인출되는 방향과 아암(2)이 이동되는 방향은 실질적으로 서로 대향된다. 결과적으로, 페이퍼의 부드러운 진행이 방해받는다.
(2) 부하 완충 장치(1)는 아암(2)의 충분한 이동 범위를 보장하도록 프린터 케이스 내부에 충분한 공간을 필요로 한다. 이는 프린터 크기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
(3) 페이퍼 롤과 인쇄 유니트의 위치에 대한 부하 완충 장치의 위치의 정확도는 부하 완충 장치의 안정적인 작동을 달성하기 위해 중요하다. 그러나, 상기 세개의 소자는 개별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대량 생산에 있어서 필요한 정확도를 보장하는 것은 곤란하다.
(4) 프린터의 설치에 따라, 페이퍼 롤이 프린터 케이스에 대해 위치되는 위치를 변화시키거나, 롤 페이퍼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것 즉, 풀리는 페이퍼의 측부가 특정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화를 조절하기 위해 종래의 부하 완충 장치의 구성 또는 설치를 유동적으로 변형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5) 페이퍼가 롤상에 거의 남지 않았을 때를 검출하기 위한 단부-근방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상술한 형태의 프린터에는 통상적이다. 그러나, 부하 완충 장치가 상기 (4)에서 주지된 바와 같이 변형될 때, 단부-근방 센서의 위치 또한 변화 및 조절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제거하는 특히, 부드러운 페이퍼 운송을 간섭하지 않으며, 종래의 장치보다 작은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고, 대량 생산에서조차 완충 장치와 페이퍼 롤의 상대 위치에서의 높은 정확도를 허용하는 부하 완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예를 들어, 페이퍼 롤이 프린터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위치가 변화되거나 페이퍼의 인쇄면의 방향이 변화될 때, 설치 위치가 매우 용이하게 변화될 수 있는 부하 완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부하 완충 장치의 위치가 변화될 때 단부-근방 센서의 재조정이 필요 없는 상기 부하 완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은 청구항 1에 청구된 바와 같은 부하 완충 장치와 청구항 14에 청구된 바와 같은 프린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에 기재된 내용이다.
후술하는 장점이 본 발명과 그 실시예에 의해 달성된다.
(1)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아암 이동 범위의 보다 큰 부분이 페이퍼 롤이 수용되는 공간 내에 포함된다. 결과적으로, 프린터 공간에 대한 부하 완충 장치에 필요한 설치 공간의 비율이 매우 작으므로, 프린터의 소형화를 방해하지 않는다.
(2) 롤러 이동 경로는 페이퍼 롤이 회전하는 축과 원호형으로 동심을 이룬다. 그러므로, 페이퍼의 인출된 외측 부분을 지지하는 부하 완충 장치의 롤러의 양 측부상의 장력은 아암의 각도 위치에 따라 변화되지 않으므로, 페이퍼는 부드럽게 인출될 수 있다.
(3) 축이 페이퍼 롤, 아암, 롤러, 및 가압 수단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유니트는 프린터 케이스에 설치 및 제거될 수 있고, 페이퍼 롤의 위치에 대해 완충 장치가 설치되는 장확도는 용이하게 향상될 수 있으므로, 대량 생산되는 프린터에서조차 안정적인 부하 완충작용이 보장될 수 있다.
(4) 부하 완충 장치를 단일 유니트로서 제공함으로써, 최종 사용자가 프린터 적용 및 설치에 따라 페이퍼 롤 설치 위치를 프레임상에서 변화시키거나 사용자에 의해 공급되는 롤 페이퍼를 바꾸고자 할 때, 인쇄될 롤 페이퍼의 측면은 유동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5) 페이퍼 롤 설치 위치의 변화와 관련하여 단부-근방 센서의 설치를 변경하거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페이퍼 롤 설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다 완벽한 이해에 더불어 다른 목적 및 기능은 첨부 도면에 따라 취해지는 양호한 실시예의 하기 설명을 참조로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부하 완충 장치를 구비한 프린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부하 완충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조립된 상태의 부하 완충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부하 완충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부하 완충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부하 완충 장치를 구비한 프린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부하 완충 장치의 분해도.
도 8은 도 6의 부하 완충 장치의 측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다른 장착 구멍을 사용하는 스프링 장치의 측면도.
도 10은 프린터 내에서의 도 6의 부하 완충 장치의 선택적인 설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종래의 부하 완충 장치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린터 11 : 페이퍼 출구
12 : 프린트 헤드 13 : 페이퍼 절단 기구
14 : 운송 롤러 15 : 저장 기구
16 : 페이퍼 통로 17 : 저장 트레이
18 : 가이드 롤러 20 : 부하 완충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부하 완충 장치를 구비한 프린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 도면은 내부 구조만을 도시할 뿐이고, 프린터의 케이스는 생략되어 있다.
프린터(10)는 예를 들어, 영수증을 인쇄하기 위한 POS 단말기와 함께 사용되는 프린터이고, 페이퍼 롤(R) 형태의 페이퍼 공급기를 구비한다. 프린트 헤드(12), 페이퍼 절단 기구(13), 복수의 운송 롤러(14), 및 가이드 롤러(18)는 페이퍼 롤(R)을 수용하는 하우징으로부터 페이퍼 출구(11)까지 이어지는 페이퍼 통로를 따라 배치된다. 운송 롤러(14)는 호스트로부터의 인쇄 명령에 따라 적절하게 구동되고, 페이퍼는 페이퍼 롤로부터 간헐적으로 인출된다. 프린트 헤드(12)는 페이퍼상에 소망 문장 및 부호를 인쇄하도록 구동된다. 계속해서, 페이퍼의 인쇄된 부분은 페이퍼 출구(11)쪽으로 진행된다. 인쇄된 부분의 늘어지는 단부가 페이퍼 절단 기구(13)에 대한 특정 위치에 이를 때, 페이퍼 절단 기구(13)는 풀려진 페이퍼로부터 인쇄된 부분을 분리하기 위해 페이퍼 롤로부터 페이퍼를 절단한다. 그후, 분리된 부분은 페이퍼 출구(11)로부터 단일 영수증으로서 소비자에게 공급된다.
상기 프린터(10)는 소비자에 의해 취해지지 않도록 제공되는 영수증 저장 기구(15)를 추가로 포함한다. 영수증이 일정 시간동안 페이퍼 출구(11)에 잔류될 경우, 운송 롤러(14; 플래튼 롤러 즉, 프린트 헤드(12)에 대향되게 도시된 운송 롤러는 제외)는 호스트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프린터(10) 내의 저장 트레이(17) 내로 페이퍼 경로(16)를 통해 영수증을 인출한다.
상기 프린터(10)는 운송 롤러가 롤로부터 페이퍼의 인출을 개시할 때 페이퍼상에서 부하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기능하는 롤 페이퍼용 부하 완충 장치(20)를 부가로 포함한다. 프린터(10)에 설치된 부하 완충 장치는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부하 완충 장치는 도 1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후술된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 완충 장치(20)는 디스크형 고정판(21),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아암(22a)을 갖는 회전판(22), 및 롤러(23)를 포함한다. 상기 판(21)은 프린터의 프레임(10a)에 부하 완충 장치(20)를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축(24)은 판(21)과 일체로 형성되고, 프린터의 프레임(10a)에 판(21)을 부착시킴으로써 축(24)도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다. 페이퍼 롤(R)은 축(24)상에서 지지되어 축 둘레로 회전할 수 있다. 장력 스프링(25a, 25b)의 일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추가로 후술되는 걸이못(21a)은 판(21)의 외측 둘레부에 형성되거나 고정된다.
회전판(22)은 고정판(21)에 부합하는 디스크 형상을 갖는다. 아암(22a)은 판(22)과 일체로 형성되어 롤러(23)를 지지한다. 원형 구멍(22b)은 판(22)의 중심에 형성되고, 그 구멍(22b)을 통해 축(24)을 통과시킴으로써, 판(22)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축(24)상에 지지된다. 판(22)을 부착한 후에, 고정 링(26)은 판(22)이 축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축(24)에 고정된다.
판(21)과 면하는 측부상의 외측 둘레 에지 근처에서, 판(22)은 판(22)과 동심인 원형 가이드 링(22c)과 고정된 걸이못(22d)을 구비한다. 두개의 장력 코일 스프링(25a, 25b)은 가이드 링(22c)의 방사상 외측부상에 배치된다. 각 스프링(25a, 25b)의 일단부는 각각의 걸이못(22d)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판(21)에 고정되는 걸이못(21a)과 결합된다.
판(22)이 판(21)에 대해 회전될 때, 회전 운동 방향에 따른 스프링(25a) 또는 스프링(25b)중 하나는 신장되고 다른 스프링은 수축되므로, 신장된 스프링은 판(22)상의 두 스프링의 힘들이 서로를 보상하는 위치인 초기 위치 즉, 균형 위치로 판(22)을 복귀시키는 경향이 있다. 스프링(25a, 25b)은 가이드 링(22c)을 따라 팽창 및 수축되기 때문에, 스프링의 신장 및 수축에는 아주 작은 공간만이 필요해지며, 상기 공간은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스프링이 작용하는 방향은 판(22)의 회전 방향을 따른다. 그러므로, 스프링력은 거의 분산되지 않고, 신장된 스프링에 저장되는 에너지는 판(22)으로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의 스프링(25a, 25b)의 신장 및 수축에 의한 스프링 에너지는 판(22)의 회전각에 비례한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롤러(23)는 아암(22a)의 단부에 회전식으로 고정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퍼 롤(R)로부터 인출되는 페이퍼 부분(이하, 인출된 부분(r)으로서 인용됨)은 롤러(23) 둘레를 경유한다. 페이퍼 이동에 대한 마찰 및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롤러(23)는 페이퍼 표면과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는 수단으로서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얇은 원형 블레이드(23a)를 갖는다. 판(22)이 그 초기 위치에 있을 때, 롤러(23)는 인쇄 유니트의 상류의 가이드 롤러(18)의 축선과 축(24)의 축선을 연결하는 라인(L) 위에 위치된다. 페이퍼의 인출된 부분(r)을 롤러(23) 둘레에 권취함으로써, 페이퍼는 필요한 특정 장력이 페이퍼상에 유지되는 페이퍼 경로를 따라 안내된다.
부하 완충 장치(20)의 상술된 부분이 단일 유니트로 조립된 후, 그 유니트가 프린터의 프레임(10a)상에 장착된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축(24)과 롤러(23)의 상대 위치는 양호한 정확도로 유지되고, 예를 들어, 프린터에 설치하는 동안의 부정확한 위치로부터 야기되는 문제는 회피될 수 있다.
부하 완충 장치(20)의 작동은 후술된다. 운송 롤러(14)가 호스트로부터의 인쇄 명령에 따라 페이퍼의 인출된 부분(r)의 운송을 개시할 때, 인출력은 운송 롤러(14)가 롤로부터 페이퍼를 인출하려고 할 때 페이퍼 롤(R)상에 작용한다. 관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 완충 장치가 실질적으로 하향으로 당겨지도록 하는 상기 인출력에 따라 페이퍼 롤이 즉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판(22)은 스프링(25a)의 힘에 대항하는 임의 각도를 통해 회전되고, 페이퍼가 운송된다. 롤러(23)의 양 측부상의 페이퍼에 가해지는 양호하게 균형잡힌 장력 분포는 롤러(23)가 페이퍼 롤의 회전축선 둘레에서 특정 각도로 회전되기 때문에 달성된다. 따라서, 장력이 일측부상에서는 높고 다른 측부상에서는 낮은 상황이 회피된다. 결과적으로, 페이퍼는 안정적으로 운송될 수 있다.
부하 완충 장치의 판(22)이 페이퍼를 인출하는 운송 롤러(14)에 의해 회전될 때, 스프링(25a)은 신장된다. 운송 롤러(14)가 페이퍼의 인출을 중단하거나 운송 롤러의 속도가 가속 후에 정속으로 될 때, 스프링(25a)에 저장되는 에너지는 판(22)을 대향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초기 위치(균형 위치)로 복귀하는 상기 판(22)의 회전은 페이퍼 롤 둘레로 원주둘레로 감긴 페이퍼의 인출된 부분(r)을 인출한다. 이는 페이퍼 롤을 점차로 푸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페이퍼는 부드럽게 풀린다. 롤러(23)를 둘러싸는 판(22)의 회전 축선이 페이퍼 롤의 회전 축선과 동일하기 때문에, 페이퍼의 인출된 부분(r)은 페이퍼 롤의 원주 방향으로 인출된다. 그러므로, 토크를 페이퍼 롤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페이퍼가 부드럽게 인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부하 완충 장치는 페이퍼의 인출된 부분(r)이 롤러(23; 도 1 및 도 4에 도시됨)의 상측부와 접촉하는 상태에서 라인(L) 위에 위치된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페이퍼 롤(R)의 푸는 방향은 반시계방향이다. 그러나, 롤러(23)가 라인(L) 아래에 위치하도록 페이퍼 롤이 장착되는 방향을 전환(즉, 페이퍼가 롤의 상부로부터 인출되어 푸는 방향이 시계방향이 되도록)하여, 페이퍼의 인출된 부분(r)이 바닥부쪽으로 경로가 정해져 홀러(23)의 하측부와 접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부하 완충 장치의 다른 스프링(25b)은 스프링(25a)을 참조로 상술된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부하 완충 장치(20)는 페이퍼가 페이퍼 롤의 상부로부터 인출되거나 바닥부로부터 인출되는 경우에 무관하게 사용될 수 있다(도 8 및 도 9 참조).
본 실시예의 부하 완충 장치는 페이퍼에 대한 프린트 헤드의 위치 및 페이퍼 경로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해진다. 페이퍼 롤의 내측을 향하는 인쇄 표면을 갖는 페이퍼와, 롤의 외측을 향하는 인쇄 표면을 갖는 페이퍼는 모두 부하 완충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페이퍼의 인쇄 표면이 미리 결정되기 때문에 말단 페이퍼 또는 사전 인쇄된 페이퍼가 사용될 때 특히 유리하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부하 완충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와 실시예 1에서의 유사 부분은 유사 참조번호로 지시되고, 추가의 설명은 생략된다. 실시예 2는 회전판(22)의 가압 수단이 축(24)상에 장착되는 토션 스프링(30)이라는 점에서 실시예 1과 다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30)의 일단부는 판(22)에 형성되는 구멍(31)과 결합되고, 타단부는 축(24)의 단부 내의 슬롯(32)과 결합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축(24)은 프린터의 프레임(10a)에 대해 고정된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관형 커버(33)는 토션 스프링(30)을 덮도록 제공되고 나사(34)에 의해 축(24)에 고정되므로, 페이퍼 롤(R)과 토션 스프링(30)은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페이퍼가 운송 롤러(14)에 의해 인출되고 판(22)이 초기 위치로부터 회전될 때, 토션 스프링(30)은 비틀려서 그 초기 위치까지 판(22)을 복귀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작동의 결과로서, 페이퍼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부드럽게 풀린다.
실시예 3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부하 완충 장치를 갖는 프린터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는 도 1에 도시된 프린터(10)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기본 구성의 추가 설명은 생략된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60)의 프레임(61)은 페이퍼 롤(R)이 고정되는 내부 저장 영역을 형성한다. 페이퍼 롤(R)을 회전식으로 지지하는 축(62)은 프레임(61)의 측벽에 고정된다. 축(62)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복수의 구멍(61a 내지 61c)은 프레임(61)의 벽에 형성되므로, 축(62)은 본 적용예에 따른 상기 구멍(61a 내지 61c)중 하나에 적절하게 고정될 수 있다.
프린터(60)는 축(62)상에 장착되는 부하 완충 장치(70)를 부가로 포함한다. 본 실시예 3에 따른 부하 완충 장치(70)는 판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아암(71a)을 구비하는 회전판(71)과, 롤러(72)와, 장력 코일 스프링(73a, 73b)과, 롤 페이퍼 공급기가 사용되는 때를 검출하기 위한 단부-근방 센서로서 기능하는 광간섭기(74: photointerrupter)를 포함한다.
판(71)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판(2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디스크 형상이고, 롤러(72)를 지지하기 위한 아암(71a)을 갖는다. 축(62)의 구멍(71b)은 판(71)의 중심에 형성된다. 따라서, 판(71)은 축(62) 위의 구멍(71b)을 통과함으로써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축(62)상에 지지될 수 있다. 축(62)상에 판(71)을 장착한 후에, 판(71)이 축(62)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 링(75)이 축(62)에 끼워맞춰진다. 페이퍼 롤 홀더(76)는 판(71)이 설치된 후에 축(62)상으로 끼워맞춰진다. 그후, 페이퍼 롤(R)은 홀더(76)상으로 끼워맞춰질 수 있다.
지지판(63)은 프린터 프레임(61)상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프레임(61)의 측벽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 1 위치와 그 측벽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지지판(63) 내의 구멍은 지지판(63)이 제 1 위치에 위치될 때 축(62)의 타단부를 지지하도록 제공된다. 지지판(63)은 홀더(76)상에서 운반되는 페이퍼 롤(R)의 안내부 및 축(62)의 추가 지지부로서 기능한다. 슬라이드판(64)은 지지판(63)에 부착되므로, 지지판(63)에 대해 약간 미끄럼이동할 수 있다. 구멍(64a)은 지지판(63) 내의 구멍으로부터 약간 오프셋되는 슬라이드판(64) 내에 형성되므로, 축(62)의 단부가 이들 구멍을 통해 삽입될 때 구멍(64a)의 에지는 축(62)의 단부에서 홈과 결합한다. 지지판(63)은 페이퍼 롤(R)이 축(62)상에 장착될 때 제 2 위치 내로 개방되고, 페이퍼 롤(R)과 프린터가 사용중일 때 제 1 위치에 유지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가이드 채널(71c)은 프레임(61)에 면하는 측부상에서 판(71)의 외측 주변부에 제공된다. 두개의 장력 스프링(73a, 73b)은 가이드 채널(71c)의 내부에 배치된다. 각각의 스프링(73a, 73b)의 일단부는 판(71)상에 고정되는 각각의 걸이못(71d)과 결합하고, 각각의 스프링의 타단부는 프레임(61)에 고정되는 공통 걸이못(77)과 결합한다. 결과적으로, 판(71)이 프레임(61)에 대해 회전될 때, 스프링중 하나는 판(71)을 그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신장되고, 다른 스프링은 수축된다.
그러므로, 판(71)의 초기 각도 위치 즉, 균형잡힌 각도 위치와 프레임(61)에 대한 롤러(72)의 위치는 판(71)상의 두 스프링(73a, 73b)에 의해 가해지는 힘들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이다. 걸이못(77)에 대한 복수의 장착 구멍(61d)은 축(62)과 동심인 원호를 따라 프레임(61)의 벽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걸이못(77)이 설치되는 위치와 판(71)의 초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9는 걸이못(77)이 도 8에 도시된 경우에서 사용된 것과는 다른 구멍(61d) 내로 삽입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61)에 대한 판(71)(및 롤러(72))의 초기 각도 위치는 걸이못(77)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변화될 수 있다. 축(62)이 구멍(61b 또는 61c)에 고정될 때, 구멍(61e 또는 61f)중 하나는 걸이못(77)을 고정하는데 사용된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롤러(72)는 판(71)의 아암(71a)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 롤러(72)는 상술된 실시예의 롤러(23)와 동일하므로, 그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페이퍼의 인출된 부분(r)을 롤러(72) 둘레로 늘어뜨림으로써, 페이퍼 경로가 형성되고, 페이퍼상에 필요한 특정 장력이 상술된 바와 같이 유지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3에 따른 부하 완충 장치(70)는 광간섭기(74)의 형태로 단부-근방 센서를 갖는다. 광간섭기(74)는 판(71)상에 브래킷(78)을 통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78)은 그 단부에 장착부(78a, 78b)를 가지며 그 사이에 광간섭기(74)의 장착 영역을 갖는 긴 판이다.
브래킷(78)의 장착부(78a)는 판(71)에 고정되는 스터드(80)상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된다. 브래킷(78)의 장착부(78b)는 판(71)에 고정되는 장착부(81)와 결합한다. 장착부(81)는 스터드(80)와 동심인 호형 나사 채널(81a)을 가지며, 복수의 나사 구멍(81b)이 나사 채널(81a)을 따라 배치된다. 브래킷(78)의 장착부(78b)는 나사 구멍(81b)중 하나 또는 나사 채널(81a)을 따르는 임의의 다른 중간 위치에서 고정 나사(82)에 의해 채결된다. 브래킷(78)상의 광간섭기(74)의 작동 표면은 실질적으로 판(71)의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며 스터드(80)와 동심인 슬릿(83)을 통해 노출된다. 따라서, 광간섭기(74)는 스퍼트(80)상의 브래킷(78)을 적절하게 회전시키고 고정 나사(82)에 의해 나사 채널(81a) 내로 고정시킴으로써 축(62)으로부터의 임의의 바람직한 방사 거리에 고정될 수 있다. 브래킷이 나사 구멍(81b)중 하나의 위치에 고정될 때, 축(62)으로부터의 광간섭기의 작동 표면의 거리는 계단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부하 완충 유니트(70)는 페이퍼 단부 센서로서 광간섭기(84)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광간섭기(84)는 아암(71a)의 단부상에 제공되고, 롤러(72) 주위로 늘어지는 페이퍼와 면하는 작동 표면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광간섭기(84)는 모든 페이퍼 롤(R)이 사용되었을 때 페이퍼 단부가 광간섭기(84)를 통과하는 것을 검출한다. 이 시점에서 광간섭기(84)는 페이퍼의 단부를 지시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광간섭기(84)의 설치 위치는 부하 완충 유니트(70) 설치에 따라 특히, 롤러(72)상에서의 롤 페이퍼의 방향 및 각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실시예 3의 선택적인 설치
도 10은 프린터 프레임상으로의 부하 완충 유니트(70)의 선택적인 설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예에 있어서, 축(62)상의 페이퍼 롤(R)상의 페이퍼의 인쇄될 표면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과 대향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 페이퍼는 롤러(72)의 상부를 통과해 페이퍼 롤의 바닥부로부터 인출되어, 인쇄 유니트로 이송된다. 하기의 단계는 도 8에 도시된 설치를 도 10에 도시된 것에 대해 변화시킨다.
먼저, 부하 완충 유니트(70)는 축(62)으로부터 제거된다. 이는 걸이못(77)을 제거하고 페이퍼 롤 홀더(76)와 고정 링(75)을 제거함으로써 달성된다. 다음으로, 축(62)은 프레임(61) 내의 구멍(61a)으로부터 제거되고 구멍(61c)에 재설치된다. 그후, 부하 완충 유니트(70)는 축(62)상으로 끼워맞춰지고 고정 링(75)과 페이퍼 롤 홀더(76)에 의해 고정된다. 그후, 걸이못(77)은 판(71)의 소망 초기 각도 위치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는 하나의 구멍(61f) 내로 삽입되고, 각각의 스프링(73a, 73b)의 일단부는 걸이못(77)과 결합된다. 마지막으로, 광간섭기(84)는 부하 완충 유니트(70) 설치 위치의 변화를 완성하도록 조절된다.
상기 절차에서 중요한 것은 부하 완충 유니트(70)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이 축(62) 및 페이퍼 롤의 중심에 대한 광간섭기(74)의 위치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부하 완충 유니트(70)의 위치가 변화될 때 단부-근방 센서로서 사용되는 광간섭기(74)의 위치를 변화 또는 조절하는 것이 불필요하다는 것이다.
돌출부(71c)가 가이드 채널(71c)의 내측부에 인접한 판(71)상에 배치되고 스프링(73a, 73b)을 안내하고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 채널을 보조한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돌출부(71e)는 회전판(71)이 회전될 때 걸이못(77)과 접촉하도록 추가로 배치되고, 판(71)이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멈춤부로서 기능한다.
판(22, 71)이 디스크형 부재로서 설명되었지만, 롤러(23, 72)가 각각 페이퍼 롤(R)을 지지하는 축(24, 62)에 동심인 원호상에서 이동될 수 있는 한 다른 형상이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부드러운 페이퍼 운송을 간섭하지 않으며, 종래의 장치보다 작은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고, 대량 생산에서조차 완충 장치와 페이퍼 롤의 상대 위치에서의 높은 정확도를 허용하는 부하 완충 장치를 제공하고, 페이퍼 롤이 프린터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위치가 변화되거나 페이퍼의 인쇄면의 방향이 변화될 때, 설치 위치가 매우 용이하게 변화될 수 있는 부하 완충 장치를 제공하며, 부하 완충 장치의 위치가 변화될 때 단부-근방 센서의 재조정이 필요 없는 상기 부하 완충 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16)

  1. 페이퍼 롤(R)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24; 62)과,
    피봇 축선 둘레로 피봇식 이동을 위해 배치된 아암(22, 22a; 71, 71a)과,
    상기 아암(22, 22a; 71, 71a)상에 지지되며 상기 피봇 축선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페이퍼 롤로부터 인출되는 페이퍼가 그 둘레로 안내되는 롤러(23; 72)와,
    페이퍼가 운송 롤러(14)에 의해 공급될 때, 페이퍼에 의해 적용되는 힘에 따라 롤러(23; 72)에 대해 피봇하는 아암(22, 22a; 71, 71a)을 제 2 방향에 대향하는 제 1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25a, 25b; 30; 73a, 73b)을 포함하는, 페이퍼가 페이퍼 롤(R)로부터 운송 롤러(14)에 의해 인쇄 유니트로 공급될 때 롤 페이퍼에 적용되는 부하를 완충하기 위해 프린터에 사용하는 부하 완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봇 축선은 상기 축(24; 62)의 축선이고, 상기 롤러(23; 72)는 페이퍼 롤(R)의 방사상 외측 위치에서 상기 아암(22, 22a; 71, 71a)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완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24; 62)의 축선에 동심인 호형 가이드(22, 22c; 71, 71c)를 부가로 포함하고, 상기 가압 수단은 일단부가 프린터의 프레임(10a; 61)에 대해 고정되며 타단부가 상기 아암(22, 22a; 71, 71a)에 대해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를 따라 연장되는 장력 스프링(25a; 73a)을 포함하는 부하 완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디스크형 판(22; 71)의 방사상 연장부(22a; 71a)이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판 내에 또는 판상에 형성되는 부하 완충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73a)의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61)상에 조절 가능하게 위치되는 장착 수단(77)에 고정되는 부하 완충 장치.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제 2 방향으로 아암(22, 22a; 71, 71a)을 가압하기 위한 제 2 장력 스프링(25b; 73b)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22, 22c; 71, 71c)를 따라 연장되고 일단부가 프레임(10a; 61)에 대해 고정되며 타단부가 아암에 대해 고정되는 부하 완충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프링(73b)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장착 수단(77)에 고정되는 부하 완충 장치.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22, 22c; 71, 71c)는 상기 아암(71, 71a)이 피봇할 때 상기 장착 수단(77)에 접촉하는 돌출부(71e)를 포함하는 부하 완충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일단부가 프린터의 프레임(10a)에 대해 고정되고 타단부가 아암(22, 22a)에 대해 고정되며 축(24) 둘레로 감기는 토션 스프링(30)인 부하 완충 장치.
  9.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축(24), 아암(22, 22a), 롤러(23), 및 가압 수단(25a, 25b; 30)은 프린터의 프레임(10a)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유니트를 형성하는 부하 완충 장치.
  10.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퍼 롤(R)상에 남아 있는 페이퍼의 양이 특정량보다 적은지 또는 동일한지를 검출하기 위한 단부-근방 센서(74)를 부가로 포함하는 부하 완충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근방 센서(74)는 축(62)에 대한 방사 방향으로의 거리가 조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부하 완충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는 계단식으로 조절 가능한 부하 완충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는 임의 범위 내에서 연속하는 방식으로 조절 가능한 부하 완충 장치.
  14.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8 항에 기재된 부하 완충 장치를 포함하는 프린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페이퍼 롤(R)로부터 인출되는 페이퍼의 단부를 검출하기 위한 페이퍼 단부 센서(84)를 부가로 포함하고, 상기 페이퍼 단부 센서는 상기 부하 완충 장치의 롤러(72)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프린터.
  16. 제 14 항에 있어서, 프레임(61)상에 상기 부하 완충 장치를 위한 다중 설치 위치를 갖는 프린터.
KR20000038472A 1999-07-09 2000-07-06 프린터의 부하 완충 장치 KR1003480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96608 1999-07-09
JP19660899 1999-07-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5191A true KR20010015191A (ko) 2001-02-26
KR100348039B1 KR100348039B1 (ko) 2002-08-09

Family

ID=16360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00038472A KR100348039B1 (ko) 1999-07-09 2000-07-06 프린터의 부하 완충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367731B1 (ko)
EP (1) EP1066972B1 (ko)
KR (1) KR100348039B1 (ko)
CN (1) CN1178796C (ko)
AT (1) ATE253463T1 (ko)
DE (1) DE60006320T2 (ko)
ES (1) ES2208186T3 (ko)
HK (1) HK10344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8959B2 (en) * 2000-12-13 2004-03-02 Fuji Photo Film Co., Ltd. Printer for printing paper roll having a position regulating device
DE10113558B4 (de) * 2001-03-20 2005-09-22 Avery Dennison Corp., Pasadena Kombi-Drucker
JP2003141639A (ja) * 2001-11-05 2003-05-16 Nec Infrontia Corp レシート発券方法およびレシートプリンタ
US7011464B2 (en) * 2003-03-06 2006-03-14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detecting an end portion of a recording medium
JP4492125B2 (ja) 2004-01-06 2010-06-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ロールシートホルダ及びテープ印刷装置
JP4694633B2 (ja) * 2009-02-10 2011-06-0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印刷装置
JP4824786B2 (ja) * 2009-03-11 2011-11-3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テンションローラ機構
JP2011110812A (ja) * 2009-11-27 2011-06-09 Seiko Epson Corp 記録装置、及び、記録装置の記録媒体供給構造
KR101432362B1 (ko) 2011-06-29 2014-08-20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프린터 장치
JP6051613B2 (ja) * 2012-06-22 2016-12-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KR101639326B1 (ko) * 2014-10-21 2016-07-13 주식회사 디지아이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인쇄지용 권취장치
KR101739641B1 (ko) * 2015-03-05 2017-05-25 주식회사 빅솔론 프린터
WO2016140440A1 (ko) * 2015-03-05 2016-09-09 주식회사 빅솔론 프린터
US10974925B2 (en) * 2018-12-14 2021-04-13 Transact Technologies Incorporated Spindle assembly for a printer for accommodating paper rolls of different size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88255A (en) * 1931-04-23 1935-01-15 Hoffman Soons Electrical And E Indicating and operating mechanism
US3222008A (en) * 1963-05-16 1965-12-07 Teletype Corp Reel accelerator and brake mechanism
US3507459A (en) * 1968-02-19 1970-04-21 Ex Cell O Corp Tape transport control system
US3912191A (en) * 1974-04-18 1975-10-14 Scandia Packaging Mach Tape tensioning control assembly
AR206447A1 (es) * 1975-04-16 1976-07-23 Fmc Corp Suministrador de tira para una maquina atadora para alimentar la tira alrededor de un articulo
US4174078A (en) * 1978-10-16 1979-11-13 Interface Mechanisms, Inc. Tape tensioning apparatus particularly useful in printing apparatus
JPS57174450A (en) 1981-04-21 1982-10-27 Canon Inc Production of photoconductive member
JPS57159461A (en) 1981-03-30 1982-10-01 Shimadaya Honten:Kk Thawing of frozen boiled noodle
JPS5895061A (ja) * 1981-11-30 1983-06-06 Toshiba Corp 記録装置ほおける記録紙終了検出方法
JPS58130853A (ja) * 1982-01-29 1983-08-04 Fujitsu Ltd 媒体ニアエンド検出機構
JPS5955777A (ja) 1982-09-25 1984-03-30 Ricoh Co Ltd 記録装置
US4555071A (en) * 1984-10-30 1985-11-26 Nordlof Richard D Stock reel dancer
JPH0455000Y2 (ko) * 1987-11-02 1992-12-24
JPH0261860A (ja) 1988-08-26 1990-03-01 Toshiba Corp ビデオディスク再生装置
US4958782A (en) * 1988-12-28 1990-09-25 Pitney Bowes Inc. Reeled tape supply
JP3254921B2 (ja) * 1994-09-13 2002-02-12 ノーリツ鋼機株式会社 ペーパ処理装置における短尺ペーパの取出し装置
JPH08127167A (ja) * 1994-11-01 1996-05-21 Arutetsuku Kk ロール紙終端検知装置及び方法
US5884861A (en) * 1996-03-06 1999-03-23 Seiko Epson Corporation Paper termination detec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8796C (zh) 2004-12-08
EP1066972B1 (en) 2003-11-05
US6367731B1 (en) 2002-04-09
KR100348039B1 (ko) 2002-08-09
EP1066972A2 (en) 2001-01-10
CN1281792A (zh) 2001-01-31
DE60006320D1 (de) 2003-12-11
ES2208186T3 (es) 2004-06-16
ATE253463T1 (de) 2003-11-15
EP1066972A3 (en) 2001-10-04
HK1034492A1 (en) 2001-10-26
DE60006320T2 (de) 200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8039B1 (ko) 프린터의 부하 완충 장치
EP0349471B1 (en) Paper roll towel dispenser
JP3940880B2 (ja) プリンタにおけるロール紙の引き出し負荷緩衝装置
US5400982A (en) Dispenser for multiple rolls of sheet material
US7500420B2 (en) Paper towel dispenser apparatus
US6363824B1 (en) Paper-wipe dispensing machine
JP4615382B2 (ja) プリンタ
US2308840A (en) Web dispenser
US4277034A (en) Paper roll holder with dancer bar for use with printers and the like
US6109805A (en) Recording apparatus with a recording paper mounted in an open/close cover
US8191816B2 (en) Roll-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H09295436A (ja) プリンタ
JP3118707U (ja) ロール紙収納機構
JP5206101B2 (ja) ロール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120074U (ja) ロール紙保持機構
JPH09254476A (ja) プリンタ
EP3525643B1 (en) Paper towel dispenser damping system
JPH10218437A (ja) ロール紙ホルダ及びこれを用いたロール紙給紙装置
US6601792B2 (en) Winding device
JP2000016652A (ja) レシートプリンタ
JP2868967B2 (ja) 印字装置
JP4536643B2 (ja) プリンタおよびロール紙収納体
US5244163A (en) Construction of supporting shaft of roll of paper
EP0986986B1 (en) Dispensing device
JP2000272787A (ja) ロール紙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