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2469A - 섬유상구조, 칫수안정성을 갖는 미세기공성필름 및 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섬유상구조, 칫수안정성을 갖는 미세기공성필름 및 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2469A
KR20010012469A KR1019997010424A KR19997010424A KR20010012469A KR 20010012469 A KR20010012469 A KR 20010012469A KR 1019997010424 A KR1019997010424 A KR 1019997010424A KR 19997010424 A KR19997010424 A KR 19997010424A KR 20010012469 A KR20010012469 A KR 20010012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density polyethylene
microporous
low density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0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디포토제임스
헤든차드엠
Original Assignee
낸시 엠. 테일러
트레드거 코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낸시 엠. 테일러, 트레드거 코포레이숀 filed Critical 낸시 엠. 테일러
Publication of KR20010012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246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5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 A61F13/5145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being air-pervious or breathable
    • A61F13/51462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being air-pervious or breathable being defined by a value or para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8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by squeezing between surfaces, e.g.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01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7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 A61F2013/5148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with specially shaped backsheets
    • A61F2013/5149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with specially shaped backsheets being emboss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 45% 내지 60중량%의 충전재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고밀도 폴리에틸렌 블렌드의 균형된 혼합물 또는 다른 내열중합체으로 구성된 연질 섬유상구조의 비변형성 미세기공성필름에 관한 것이다. 비변형성의 안정된 섬유상구조의 미세기공성필름은 조성물을 필름으로 압출 후 인터메시 기어롤에 통과시켜 필름에 방향성을 주어서 제조한다. 방향성이 부여된 필름은 어닐링, 재 가열, 그리고 임의적으로 엠보싱처리하여 비교적 고온에서도 변형이 없는 연질 섬유상구조의 미세기공성필름이 제조된다.

Description

섬유상구조, 칫수안정성을 갖는 미세기공성필름 및 그 제조방법{TEXTURED, DIMEMSIONALLY STABLE MICROPOROUS FILM AND METHOD OF MAKING SAME}
필름의 미세기공도(microporosity)는 전형적으로 수증기투과율(moisture vapor transmission rate)즉 MVTR로표시된다. 이것은 보통 필름의 통기성(breathability)이라고도 한다.
필름의 MVTR을 결정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ASTM E96∼93에 규정된 시험절차를 사용한다.
쉽게 생각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용도는 생리대, 기저귀, 요실금대와 같이 위생을 위해서 또는 의료용 패드, 외과용 처치용품, 침대 등을 위해 사용하는 일회용 천(disposable garment)을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물품과 같은 제품이나 침낭의 안감과 같은 다른 제품에서의 액 불침투성층을 포함한다.
기저귀, 요실금대, 외과용 드레일 커튼(drape)과 같은 흡수성 물품은 흡수코어(absorbent core)내에 액체를 받아들여 유지하도록 고안되어 있다. 흡수성물품은 흡수된 액체가 흡수코어를 통해 누설되거나 스며드는 것을 필름은 덮개나 백시트를 그 외부에 갖는다. 방수(liquid∼proof)백시트는 코어안에 있는 유체의 증발에 의한 흡수성물품의 자체건조를 현저히 감소시킨다. 외부의 방수백시트는 흡수물을 뜨겁고, 습하게 하여 궁극적으로는 착용하기 불편하게 만드는데 일조 한다. 그러므로, 기체는 교환되지만 유체는 보존되는 통기성 물질(breathable material)을 방수 백시트로 사용할 수 있다면 유용할 것이다.
통기성 필름의 한 형태로 미세기공성 필름이 있는데, 이것은 필름의 일 외부 표면에서 필름의 타 외부 표면까지 연결된 구불구불한 경로를 통해 서로 연결된 다수의 미세기공을 가진다.
이러한 형태의 미세기공성필름은 적어도 한 종류의 충전재(filler)물질을 포함하는 필름을 인발하여 형성된다. 상기 충전재는 필름으로부터 제거되거나, 필름 내에 온전한 상태로 있거나, 필름에 기공(pore)을 제공하도록 압력을 받아 압착될 수도 있다. 상기 충전재 입자는 또한 상호 연결된 미세기공을 형성하도록 신장(streching) 과정 중에 열가소성 폴리머로부터 분리되게 할 수도 있다.
미세기공성 필름을 생성하도록 플라스틱 재료에 충전재 물질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원리를 짚어주는 특허로는(Aoyama 등, U.S.Patent Nos.4,841,124 및 4,921,653 ;Nishizawa등, U.S.Patent No.4,626,252 : Sugimoto U.S.Patent No.4,472,328;
Schwarz U.S.Patent Nos.4,833,172, 4,116,892, 4,289,832, 4,153,571 및 4,091,164)이 있다. 미세기공성 필름을 생성하기 위해 추가적인 성분을 사용하는 개질 무기물 충전재를 기술한 다른 특허로는 Hwang U.S.Patent No.4,824,718;Toyoda 등, U.S.Patent No.4,418,112;Takashi 등, U.S. Patent No. 4,319,950 ; Suzuki U.S. Patent No. 3,969,562; Ikeda 등, U.S.Reissue Patent No.28,608 ; Ikeda 등, U.S.Patent Nos.3,738,904 및 3,903,234;Elton 등, U.S. Patent Nos. 3,870,593 및 3,844,865;Ita 등,U.S.Patent No.4,705,812 ; Hogue U.S. Patent No. 4,350,656; Antoon,Jr.등, U.S.Patent Nos. 5,008,296 및 4,879,078 ; Okuyama 등,U.S.Patent Nos.4,704,238 및 4,585,604 ; Doi 등, U.S.Patent Nos.4,335,193, 4,331,622 및 4,210,709; Kaneko 등, U.S.Patent No. 5,445,862;McCormick PCT 출원 WO 95/16562 ;Sheth U.S.Patent No.4,929,303 및 4,777,073 ; Sheth 등, U.S.Patent No. 5,055,338; Cancio 등, U.S.Patent Nos. 5,055,338, 4,380,564 및 4,298,647 ; Gurewitz U.S. Patent No. 5,364,695 ; Seiss 등, U.S. Patent No. 4,716,197; Sheth U.S.Patent No. 4,777,073 ; 및 Exxon PCT 출원 WO 98/04397가 있다.
섬유상구조의 미세기공필름에 다량의 충전재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까지는 공지된 상기 필름제조 기술을 사용할 때 여러 난점이 발생된다.
열가소성필름의 물리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필름을 연신 및 방향성 부여시키는(stretch and orient) 여러 방법들이 사용되었다.
한 방법은 필름을 상이한 속도에서 작동되는 롤세트를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다른 방법은 필름을 연신 시키는 인터메시기어롤에 필름을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필름을 신장시키기 위해 인터메시기어를 사용하는 일반원리를 보여주는 여러 특허로는 Schwarz U.S. Patent Nos. 4,116,892 ; 4,153,751 ; 4,251,585 ;4,223,059; 4,285,100 ;4,289,832 ;4,368,454 및 4,435,167 이 있으며 이 모두가 본 발명에 인용된다. 본 발명 이전의 과거에는 필름을 신장시키기 위해 인터메시기어 연신 공정(intermeshing qear orienting processes)이 사용되었으나, 섬유상 구조을 갖는, 부드럽고, 가용성이며 칫수적으로 안정한 개선된 미세기공필름을 얻기 위해, 다량의 충전재를 포함하는 필름을 일방향 또는 이방향으로 신장시키는데 성공한 사람은 없다.
과거에, 충전재를 포함하는 미세기공필름은 만족할 정도로 부드럽고 가용성인지 못했으며 일회용품 제품에 사용할 것으로 고려되지 않았다. 과거에, 미세기공필름은 필름의 섬유상구조, 연질 및 가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엠보싱화(embossed)되었다. 그러나 다량의 충전재를 포함하는 미세기공필름은 필름의 물성을 크게 손상시키지 않고서는 엠보싱화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연신(orientation)전의 용융 엠보싱화(melt embossing) 또는 엠보싱화는 연신에 필름이 보다 두꺼운 부분과 얇은 부분을 갖게 만든다. 얇은 부분은 연신 중에 또는 후공정중에 핀홀(pinhole)이 발생하거나 찢어지기 쉽다. 더욱이, 미세기공필름의 재가열 엠보싱화(reheat embossing)는 일반적으로 통기성의 악화를 초래한다. 미세기공필름에 있는 다량의 충전재는 필름의 열전도도를 증가시킨다. 열전도도의 증가는 엠보싱화 단계 중에 충전재 입자를 둘러싸는 폴리머를 완화(relaxing)시킨다. 폴리머의 완화는 폴리머가 필름의 공동으로 유동케하며 필름의 기공도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전까지, 이런 현상은 엠보싱화후 미세기공필름의 통기성을 현저히 감소시킨다.
필름 제조시 충전재의 존재는 필름 제조공정에 또 다른 제한을 가한다. 필름에 다량의 충전재 존재는 필름의 열전도성을 변화시킨다. 본 발명의 전까지, 압출(extrusion) 및 필름 제조공정중 발생된 열은 필름의 미세기공에 손상을 주지 않고서는 섬유상 구조을 가지며 칫수상으로 안정한 미세기공성 필름을 얻는 것을 사실상 불가능케 한다.
다량의 충전재를 사용하는 방법은 후공정 단계 또는 최종제품화 되었을 때, 충전재를 포함하는 필름의 열특성이 다른 문제를 초래한다. 충전재는 신속히 가열되므로, 필름의 가열, 필름에 고온의 아교나 접착제의 사용은 미세기공성필름에 수축, 오그라듬 및/ 또는 구멍을 초래한다.
공지의 필름이 기저귀나 생리대와 같은 일회용 제품에 사용될 때 접착스트립(adhesive strip)이 일회용 물품을 고정시키는 데 사용된다. 평평한 미세기공필름의 표면상에 충전재 입자가 존재하는 것이 통상적으로, 접착스트립 필름으로 부터 이 스트립을 떼어 내거나 필름이 부착된 물품으로 부터 필름을 떼어내는 것이 곤란한 정도로 일회용 제품에 접착된다. 떼어내는데 큰 힘이 들기 때문에 종종 필름 또는 필름이 부착된 물품의 파열을 초래하며, 이는 소비자에게 용인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 전까지는 미세기공필름의 접착스트립을 떼어내는 힘을 감소시키는 것이 거의 불가능했다.
방향성이 주어진 필름은 고온에서 번형안전성이 없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고온에서의 칫수안정성 결핍은 미세기공필름의 열전도도 증가에 의해 악화된다. 이는 후공정중 및 적송시 문제를 일으킨다. 예를 들면, 트레일러 트럭은 140 ℉에 이를 수 있으며, 이는 필름을 수축케 할 수 있다. 수축은 둘둘 말려있는 상태의 필름의 겹들이 들러붙게 만들어서 필름을 펼칠 수 없게 만들므로 용인될 수 없다. 본 발명전까지 미세기공필름은 고온에서 낮은 칫수안정성을 갖고 있었다.
종래 필름에 다량의 충전재 존재는 필름의 신장성을 포함하는 필름의 물성을 제한하였다. 충전재 물질은 비탄성이므로, 충전재를 포함하는 필름은 항복점에 도달하기 전 제한된 양만큼만 신장된다. 충전재를 포함하는 필름이 일단 자신의 항복점을 초과하면, 필름은 급속히 파단점에 도달했다. 항복점과 파단점사이 구간의 짧음은 필름이 후속공정이나 변화단계에서 더욱 신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갖지 못하게 한다. 필름을 흡수성 일회용 제품으로 변환시 최종 사용자가 필름을 더욱 안장시키면, 필름의 물성은 열화 된다. 공지의 필름은 다소 뻣뻣하며 종이 같은 성질을 갖고 있었다. 이들 장치의 필름은 본 발명의 필름과 같은 부드럽고 가용성을 갖는 특성이 없었다.
종래 열가소성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여러 조성물이 사용되어 왔으나, 어느 누구도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다른 내열 폴리머와 선형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배합물 및 높은 백분율의 충전재 물질을 갖는 칫수상 안정하고 섬유상 구조을 갖는 미세기공필름을 제조한 적이 없다. 선택에 따라서 필름 배합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가공용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회용 물품에 유용한 섬유상 구조의 변형이 없는미세기공필름 또는 시트와 그와 같은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칫수안정성의 부가적인 특성은 이런 미세기공필름에 훨씬 큰 유용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변화 중에 더욱 신장될 수 있으며 필름에 대한 최종용도 요구조건에 맞출 수 있는 칫수안정성 미세기공필름 제조를 위해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요약
본 발명은 기체는 투과하나 액은 투과할 수 없으며, 고온에서 칫수안정성을 가지며 섬유상 구조을 갖는 미세기공필름을 제공한다. 먼저, 섬유상 구조을 갖는 칫수안정한 미세기공필름의 제조방법이 기술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배합은 원하는 물성을 갖는 필름을 제공하도록 선형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이나 다른 내열폴리머, 그리고 일부 실시예의 경우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폴리올레핀 배합물과 나머지는 다량의 충전재로 이루어진다. 일실시예에서, 시차주사 열량계(DSC)로 측정할 때 120 ℃ 이하의 일차용 융점을 갖는 배합물 역시 사용될 수 있다. 내열폴리머는 120 ℃ 이상의 용융점을 갖는 다른 열가소성 또는 엘라스토머릭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일차용 융점은 최대영역 또는 흡열에너지 유동을 갖는 피크로 정의된다. 내열폴리머의 예로는 폴리프로필렌, 고무변성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의 중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스틸렌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block copolymers)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의 필름 제조방법으로 부터 얻어지는 장점 중에는 필름이 핀홀형성없이 원하는 데로 제어할 수 있는 투과성을 얻도록 용이하게 연신 된다는 것이다.
필름의 개선된 수증기 통기성은 몇 가지 요소들의 결합으로 부터 얻어진다.
첫째 요소는 필름의 배합이 고백분율의 충전재 물질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둘째 효소는 필름의 인터메시기어 지향으로, 이 때 균등연신(balanced orientation)가 필름에 얻어진다.
셋째요소는 연신된 필름의 어닐링(annealing)으로, 이 때 어닐링 수단의 온도와 인장력이 필름의 미세기공을 고화 또는 경화시킨다. 선택에 따라서 포함되는 넷째 요소는 어닐링된 필름의 재가열 및 엠보싱화로, 이 때 엠보싱화 온도 및 재가열롤과 홈형성로간 인장력이 소망하는 수증기 통기성을 감소시키지 않은 채 필름에 부더러움을 제공한다.
상기 필름 제조방법으로 부터 얻어지는 또 다른 장점은 필름의 잔류 연신성이다. 잔류 연신은 필름을 최종용도 제품으로 변환 중에 필름이 더욱 연신 될 수 있게 한다. 잔류 연신성, 즉 필름의 파단 연신과 필름의 항복 연신간의 차이는 기계에서의 필름의 인터메시기어 연신과 횡방향 및 인터메시기어 연신에 사용되는 결합 깊이에 관계된다. 또한 잔류연신성은 필름 배합에 의존한다. 필름의 연신 능력은 필름 배합에 사용된 폴리머 배합물에 의존한다. 필름의 연신 능력은 원하는 수증기 통기성을 갖기 위해 얼마나 필름이 연신 되어야 하는 가에 영향을 준다.
본 발명의 필름배합의 장점은 원하는 수증기 투과율을 얻기 위해 저연신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또 다른 장점은 필름에 충전재의 양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내열성을 갖는다는 것이다. 필름의 내열성은 필름의 후속 가열 중에 필름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필름의 내열성은 필름을 최종 용도의 제품으로 변환중 고온 융체 접착제 물질이 필름에 가해질 때 필름에 핀홀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또 다른 장점은 고온에서 칫수안정성을 가지며 쉽게 수축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칫수안정성은 인터메시기어 연신과 필름배합에 관계된다. 어닐링과정중에 롤간의 인장력, 어닐링롤의 온도 및 필름이 어닐링롤과 접촉하는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필름에 더욱 큰 칫수안정성이 부여된다. 또한 필름의 칫수안정성은 엠보싱화 예열온도 및 예열롤과 엠보싱화수단의 홈형성롤간의 인장력을 제어함으로써 증가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장점은 필름의 충격강도이다. 필름의 충격강도는 기계장치의 밸런싱(balancing)과 횡방향 인장에 의해 향상된다.
또 다른 장점은 필름의 외관을 좋게 하며 필름에 대한 접착제 박리력을 감소시키는 섬유상 구조을 갖는 필름의 제조이다. 필름의 엠보싱화는 접착스트립과 미세기공필름간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킨다. 떼어 내는 힘의 감소는 필름이 기저귀나 생리대 같은 일회용 제품에 사용될 때의 장점이 된다. 본 발명의 미세기공필름은 필름의 찢어짐이 없이 체결 테입이 제거되거나 필름이 부착된 물품으로 부터 필름이 제거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미세기공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변형이 없는 섬유상구조의 미세기공성필름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 1 도는 비변형성의 섬유상구조을 갖는 미세기공필름 제조를 위한 장치의 개략도.
제 2 도는 다양한 충전재를 다량 포함하는 여러 필름에 대한 수증기 투과율을 보여주는 그래프.
본 발명은 연질의 섬유상 구조을 가지며 변형안전성이 높은 미세기공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필름은 선형의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다른 내열폴리머의 혼합에 의해 제조된다. 또한 필름은 필름이 연신력을 받을 때 미세기공을 생성시키는 충전재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미세기공필름은 필름이 고온에 있을 때 필름에 보다 큰 칫수안정성을 제공하도록 어닐링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필름이 엠보싱화 된다.
충전재와 함께 고밀도 폴리에틸렌(또는 다른 내열폴리머) 및 선형의 저밀도 폴리에틸렌간의 균형은 원하는 충격강도, 칫수안정성(내수측성), 및 신장성과 함께 원하는 수증기 투과율을 갖는 필름을 제공한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양의 증가는 보다 높은 결정화도에 의해 필름의 수증기 투과율과 내열성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약 20%를 초과하면, 필름의 모듈러스
(modulus), 경화도(stiffness) 및 소음 특성에 영향을 주어서 소비자에 대한 제품 호소력을 감소시킨다.
선형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필름에 일회용 제품에 요구되는 부드러운 촉감성을 부여한다. 또한 선형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그 연신성에 의해 필름이 용이하게 신장되도록 한다. 또한 필름 배합시 선형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존재는 필름의 연신성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필름은 약 45∼65%, 바람직하게는 약 50∼55%의 충전재물질, 약 25∼55%의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약 0∼20%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다른 내열폴리머, 약 0∼5%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약 0∼3%처리첨가제 및 약 0 ∼10%의 백화제(whiteners)나 다른 착색제같은 안료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필름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바람직한 열가소성 필름 배합은 약 50∼56 % 탄산칼슘 카보네이트 충전재, 약 30∼40%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약 5∼10% 고밀도
폴리에틸렌이나 다른 내열 폴리머,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Viton플루모로카본을 포함하는 약 2%의 가공 조제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티타늄 다이옥사이드를 혼합한 약 2%의 백색농축물이다.
본 발명의 필름은 매우 양호한 내열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배합물은 다소 낮은 용융점 물질(약 122℃의 용융점을 갖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같은 물질)과 보다 높은 용융점 물질(약 130℃의 용융점을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같은 물질)로 구성된다. 필름의 내열성은 필름이 다량의 충전재를 가지므로 대단히 약하다. 종래, 핫멜트 접착제는 미세기공필름에 가해지면 수축, 오그라듬 또는 구멍을 초래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사용된 고충전재 배합은 어닐링 처리되어 접착지역에 수축, 오그라듬 또는 구멍 같은 필름에 대한 손상이 없다.
투과성, 즉 필름의 MVTR은 충전재의 양과 입자크기 및 필름에 사용된 수지종류들간의 관계에 의해 영향받는다. 종래 필름에 존재할 수 있는 충전재의 백분율은 충전재 입자크기에 의존한다. 예정된 크기 범위의 충전재입자들이 원주(또는 표면적)와 부피의 범위를 결정하였다. 충전재입자의 원주와 부피는 필름의 수증기 통기율에 영향을 준다. 충전재입자의 원주와 부피는 일정크기 구멍 및 통로가 필름에 형성토록 한다. 위에 언급된 수지와 같이 사용시 약 12.5 미크론 이상의 크기를 갖는 충전재 입자는 액이 누설될 수 있는 구멍을 필름에 초래한다. 약 0.5∼5 미크론의 평균크기, 약 1∼3 미크론의 평균크기를 갖는 충전재 입자가 원하는 수준의 통기성을 갖는 필름제조를 위해 특히 효율적인 것으로 밝혀져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무기물 충전재 물질로는 탄산칼슘, 활석, 점토, 카올린, 규조토, 탄산마그네슘, 탄산바륨, 황산바륨, 황산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아연, 산화티타늄, 또는 이산화티타늄, 알루미나, 운모, 유리분말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충전재는 별도로 또는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적당한 충전재물질은 탄산칼슘이다. 탄산칼슘은 수지조성물에 보다 균일한 분산을 얻을 수 있도록 스테아린산 또는 다른 스테아린산 화합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복될 수 있다.
필름의 질량에 대한 약 38 질량%의 충전재를 갖는 필름의 통기성은 상대적으로 낮으며, 약 53∼55% 충전재를 갖는 필름은 높은 MVTR 을 갖는다. 약 53∼55 %이상의 충전재가 필름에 더해질 수 있으나 수증기통기율의 큰 증가는 없다. 약 60%이상의 충전재는 필름이 부드럽고 가용성이기 보다는 취성이고 종이같이 되게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섬유상구조, 칫수안정성을 갖는 필름은 필름의 인터메시기어
(IMG)신장에 의한 필름의 신장으로 개선된 통기성을 갖는다. 필름이 기계방향만으로 신장될 때, 바람직한 신장은 약 5∼10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15∼100 %이다. 약15%신장된 필름은 약1000∼1500 g/m2/day(그램/제곱메터/일)의 MVTR 을 갖는다.
기어가 인터메시기어상에서 맞물리는 또는 중첩되는 조립깊이는 필름의 연신 또는 신장량을 변화시키위해 변경될 수 있다. 인터메시기어의 결합 깊이 증가는 필름의 통기성을 증가시킨다. 인터메시기어의 기어이간 거리 피치 역시 필름의 연신 또는 신장량을 변화시키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 실제로, 약 30 ∼ 200 mm 의 기어이 간격("피치") 및 IMG 롤 상의 약 5 ∼ 200 mm 결합깊이(DOE)가 약 500 ∼ 5000 g/m2/day 의 MVTR 을 갖는 필름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피치 범위는 약 50 ∼ 100 mm, 바람직한 결합깊이는 약 20 ∼ 75 mm 이고 이는 약 1500 ∼ 3000 g/m2/day 의 MVTR 을 갖는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연신단계와 조합된 필름배합은 필름이 더욱 신장될 수 있도록 충분한 잔류연신성을 필름에 부여한다. 필름의 신장은 필름을 일회용제품으로 변환중에 흔히 소비자에 의해 행해진다. 필름의 부가적인 신장을 허용하는 중요한 특성은 잔류연신성, 즉 필름의 항복연신과 파단연신 사이의 차이이다. 연신은 ASTM D 882 에 규정된 인장시허기에 의해 측정된다. 항복연신 백분율과 파단연신 백분율 간의 차이가 다른 필름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연신구역(window of elongation)"이다. 본 발명의 필름은 파단연신 백분율과 항복연신 백분율간의 차이로 측정할 때 기계 방향으로 약 75 % 이상 횡방향으로 약 300 % 이상의 잔류연신성을 갖는다. 기계방향(machine direction ; MD)으로 약 150 % 이상 및 횡방향(transveres direction ; TD)으로 약 500 % 이상의 잔류연신을 갖는 필름은 특히 효율적인 것으로 밝혀져 있다. 이것은 필름의 충격강도를 증가시킨다.
필름배합과 인터메시기어 연신의 조합역시 필름의 충격강도에 영향을 준다. 충격강도는 ASTM D 1709 ∼ 80 에 규정된 것처럼, 필름 다트를 낙하시켜서 측정된다. 필름이 일방향으로만 신장될 때 충격강도는 낮다. 또한 필름이 신장될수록 충격강도는 낮다. 캐스트필름 실시예의 경우, 캐스트필름에서의 TD 방향 연신의 결핍으로 기계방향 보다 횡방향으로 필름을 신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조중 필름에 부여되는 기계방향 연신과 적어도 어느정도의 횡방향 연신간에 균형을 잡는것이 필요하다. 블로운필름의 경우, 고유횡방향 연신은 횡방향 인터메시기어 연신이 불필요할 정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배합에서, 필름내 고연신성 폴리머 배합물과 함께 고백분율의 충전재는 통기성을 제공하며 보다 낮은 신장량을 참작한다.
본 발명의 필름은 공지의 필름보다 고온에서 개선된 칫수안정성을 갖는다. 연신된 필름은 고온에서의 칫수안정성과 내열성을 갖도록 어닐링된다. 어닐링은 필름배합내 폴리올레핀의 응력을 받는 폴리머체인에 약간의 분자완화를 허용한다. 어닐링단계는 성형 및 연신단계에서 오는 응력을 제거하기 위해 제어된 인장력에서 필름에 열을 가한다. 어닐링단계에서 일어나는 완화로 인해 30 분간 170 ℉ 공기에 노출후에는 필름의 수축이 약 15 % 보다 적다. 어닐링된 필름이 후속공정을 거칠때, 어닐링온도가 이보다 낮은 온도에 노출되더라도 필름은 수축하지 않는다. 어닐링된 필름은 이후 필름이 변환단계 및/또는 선적환경하에서 받게되는 열에 견딜 수 있다. 필름은 미세기공필름을 다른 구성부품에 고정시키기 위해 가열아교가 사용되는 것과 같은 후속변환단계에서도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어닐링단계중에 어닐링롤간의 인장력 제어는 중요하다. 어닐링롤간의 양방향견인을 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양방향견인은 필름을 신장시키며 고온에서의 칫수안정성을 감소시켜서 바람직하지 않다. 제1롤이 제2롤보다 빠르도록 하여 필름이 어닐링롤을 통과할때 음방향견인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롤이 제 2롤보다 빠를때, 필름 속도는 다소느리고 필름은 완화된다. 롤의 상대속도는 필름의 완화도를 결정한다. 제2어닐링롤속도가 제 1 어닐링롤 속도의 약 0.90 ∼ 1.00 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너무 큰 완화는 필름의 미세기공을 밀폐시킬 것이다. 예를들면, 제 2 롤 속도가 제 1 롤 속도의 약 0.85 ∼ 0.89 배인 경우, 필름의 미세기공은 밀폐되는 경향이 있어서 필름의 통기성을 감소시킨다. 어닐링단계중 필름의 완화로 인해 필름 두께의 소량증가가 생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필름의 칫수안정성은 필름이 어닐링되는 온도까지만 증가된다. 따라서 필름 배합의 연화점(softening point) 및 필름의 예상되는 최종사용온도를 고려한 어닐링온도를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어닐링롤의 표면온도는 필름이 어닐링롤에 들러붙기 시작하는 필름의 연화점보다 높아서는 안된다. 또한, 어닐링온도는 필름이 후속변환단계(필름을 일회용제품의 일부분에 고정시키기 위한 가열아교를 바르는 것) 또는 상황에 따라(선적 또는 저장중의 고온) 필름이나 일회용 제품이 겪게될 온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대개의 실시예에서, 필름은 약 180 ∼ 200 ℉ 에서 어닐링된다. 필름은 충분히 가열되도록 어닐링롤과 충분한 시간 접촉한다. 필름이 롤사이에서 빠져나오기 전에 필름을 원하는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 중요하다. 바람직한 실시예, 각 어닐링 롤에서의 체류시간은 약 1 초 이하이다.
어닐링은 필름의 응력을 제거하고, 필름을 고화시키고, 필름의 수축을 방지하며, 필름의 미세기공이 밀폐되는 것을 방지한다. 어닐링된 필름은 원하는 수분통기율, 칫수안정성 또는 연신특성의 손실없이 재가열 및 엠보싱화될 수 있다. 필름이 인터메시기어 연신공정을 사용하여 연신되어며 어닐링단계없이 엠보싱화되면, 미세기공은 밀폐되어 필름의 통기성이 손상받게 될 것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필름은 엠보싱처리될 수 있다. 엠보싱처리단계는 연신 및 어닐링된 미세기공필름에 원하는 섬유상구조을 부여한다. 엠보싱화단계에 의해 부여된 표며조직은 심미성을 높이며 필름에 다른 물리적 장점을 제공한다. 특히 유용한 일장점은 필름의 엠보싱화가 압력에 민감한 접착제 스트립과 미세기공필름간의 접촉면적을 감소시켜서 이 접착제 스트립을 필름으로부터 제거하거나 필름을 필름이 부착된 물품으로부터 떼어내는데 적은 제거력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제 1 도는 부드러운 섬유상구조, 칫수안정한 미세기공필름 제조 장치의 개략도 이다. 제 1 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충전재의 필름배합이 다이(10)로부터 블로운튜브(10)로 압출된다. 그러나 실시예로 캐스트압출(cast extrusion) 방법이 필름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블로운 및/또는 캐스트필름의 여러 제조방법이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시의 편의상, 취입필름방법만이 제 1 도에 도시된다. 튜브(12)는 일조의 닙롤(14)을 통과함으로써 절첩된다. 튜브(12)는 이 튜브(12)를 두겹의 필름(16, 18)으로 분할하는 분할장치(30)를 통과한다. 두겹의 필름(16, 18)은 필름을 횡방향으로 신장시키는 제 1 세트 인터메시기어롤(20)을 통과하여 2 축으로 연신되고, 그 후 두겹의 필름(16, 18)을 기계방향으로 신장시키는 제 2 세트 인터메시기어롤(24)을 통과한다. 다른 실시예로, 두겹의 필름이 기계방향 또는 횡방향 인터메시기어를 통과하여 1 축으로 연신되는 것을 고려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두겹의 필름(16, 18) 연신후 분리된다. 필름(18)은 약 180 ∼ 200 ℉ 온도에 있는 일조의 어닐링롤(40)을 통과한다. 어닐링된 필름(18)은 약 180 ∼ 200 ℉ 에서 특정 온도까지 재가열시키는 가열수단(50)을 통과한다. 어닐링후 재가열된 필름(18)은 이 필름(18)에 유연성과 섬유상구조을 부여하는 엠보싱패턴을 제공하는 일조의 엠보싱화롤(60)을 통과할 수 있다. 물론 필름(18)이 어닐링롤(40)을 통과한 후 후속가열없이 엠보싱화롤을 통과하는 것도 본 발명의 고려되는 범위내에 있다. 필름이 엠보싱화될 때 필름 온도는 필름 배합의 용융점이하이나 연화점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엠보싱처리된 필름(18)은 필름(18) 표면에 고저압을 인가하는 코로나 처리수단(70)을 통과한다. 그러나 필름(18)은 코로나처리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필름(18)은 권취기(89)를 지나 롤(82)에 권취한다. 제 1 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필름(16) 역시 상기 필름(18)에에서 설명된 것과 마찬가지로 어닐링수단(140), 재가열수단(150), 엠보싱화수단(16), 코로나 처리수단(170)을 지나며 롤(180)에 권취한다.
두겹의 필름(16, 18)이 별도로 연신될 수 있는 것 역시 본 발명의 고려되는 범위내에 있다. 제 1 도에 가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튜브(12)는 이 튜브를 두개의 별도의 겹으로 된 필름(16', 18)으로 분할하는 분할장치(30)를 지난다. 필름(16')은 필름을 횡방향으로 신장시키는 제 1 세트의 인터메시기어롤(120)을 통과하여 2 축 연신된다. 그후 필름(16')은 이 필름(16')을 기계방향으로 신장시키는 제 2 세트의 인터메시기어롤(124)을 통과한다. 그 후 필름(16')은 상술한 것처럼 어닐링롤 (140), 가열수단(150) 및 엠보싱화롤(180)을 지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하에 후술되나, 이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실시예 1
본 발명 필름의 여러 배합과 수증기통기율간의 관계가 평가되었다 필름내 고밀도 폴리에틸렌성분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성분간의 균형은 필름을 기계방향으로 신장시키기 위해 인터메시기어롤을 사용하여 제조된 미세필름의 수증기통기성에 영향을 준다. 이 실시예에서는 다음 배합이 사용되었다 : 50 중량 % 탄산칼슘, x 중량 % 고밀도 폴리에틸렌, 46∼x중량%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2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 내 백색농축물, 및 2 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 내 플루오로카본 가공조제. 모든 필름은 1.5 mm두께로 만들어졌으며 50 mils 결합깊이에서 인터메시기어를 사용하여 기계방향으로 신장되었다. 이 배합의 수증기통기율이 표 1 에 도시된다. 표 1 의 MVTR 시험결과는 약 2 in2개방면적을 갖는 샘플컵을 사용하여 38 ℃, 75 % 상대습도에서 ASTM E96 ∼ 93 규정에 의해 결정되었다.
실시예 2
여러 배합의 필름 샘플들이 "접착제손상"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시험되었다. "접착제손상"이란 접착제가 후속변환중 접하는 영역에 구멍이나 융체가 필름에 생기는 것을 의미한다. 접착제손상은 일회용물품에 사용되는 필름에는 허용될 수 없는 특성이다. 손상시험결과는 0 ∼ 3 의 척도로 구분되었는바, 0 은 무손상, 3 은 심한 손상을 의미한다. 이들은 시험을 수행하는 수행자의 관찰에 의해 결정되었다. 아래 표 2 에 되시된 데이터가 접착제손상결과를 보여준다.
실시예 3
필름 배합내 충전재의 양과 수증기통기율간의 관계가 평가되었다. 제 2 도는 x 중량% 탄산칼슘충전재, 86∼x 중량%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10 중량 % 고밀도 폴리에틸렌, 2 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 내 백색 농축물, 및 2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 내 플루오로카본 가공조제를 포함하며 기계방향으로 연신된 필름의 결과를 보여준다. 이 배합은 50 mm 결합깊이의 인터메시기어롤을 사용하여 기계방향으로 연신된 1.5 mm 두께 필름을 얻기위해 사용되었다. 충전재 백분율이 50 % 에 근접할 때 수증기통기율은 급격히 증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충전재양은 약 45 ∼ 60 % 범위이다. 가장 바람직한 충전재 양은 약 50 ∼ 54 % 이다. 칼슘 카보네이트의 백분율이 약 54 ∼ 55 % 를 초과하면, 수증기 통기율은 더이상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지 않는다.
실시예 4
인터메시기어연신된 미세기공필름의 물성에 대한 어닐링 효과가 평가되었다. 필름의 어닐링은 미세기공 필름이 통기성 감소없이 수축하는 경향을 감소시킨다. 시험은 50 중량% 충전재, 34.06중량% LLDEP, 12 중량% HDPE, 1 중량% LDPE, 2 중량% 티타늄 옥사이드 농축물, 및 0.04중량% 플루오로폴리머 농축물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필름을 사용하여 행해졌다. 인터메시기어의 횡방향 및 종방향 결합깊이는 각각 20 및 50 mm 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어닐링롤은 180 ℉ 의 일정온도로 유지되었다. 롤 속도는 분당 43 및 115 ft. 의 두 수준에서 측정되었다.
제어필름은 어닐링없이 필름을 인터메시기어롤에 통과시켜 얻어졌다. 어닐링된 필름은 망체의 인장을 최소화하고 분자완화 발생을 허용토록 음방향견인을 갖는 어닐링롤을 통과했다. 수축시험은 5 분 동안 비억제상태 160 ℉ 에서 수행되었다. 표 3 은 수축 백분율이 통기성 감소없이 제어된 비어닐링필름의 약 1/2 ∼ 1/4 임을 보여준다. 표 3 의 MVTR 수치는 실시예 1 에서와 같이 수정 ASTM 96 ∼ 93 규정에 의해 얻어졌다.
실시예 5
홑겹의 필름이 아닌 튜브의 인터메시기어 연신의 영향이 평가되었다. 튜브는 인터메시기어연신 및 어닐링후 폐색되지 않는다. 오히려 튜브는 용이하게 홑겹들로 분리된다. 취입튜브의 인터메시기어롤 연신 및 어닐링은 동등한 두겹의 필름을 만든다.
실시예 6
어닐링된 MD IMG 연신 미세기공필름에 대한 엠보싱화 효과가 평가되었다. 어닐링된 MD IMG 연신 미세기공필름은 재가열 및 세 엠보싱화 패턴을 사용하여 엠보싱화 되었다.
1.40 mil 프리커서(precursor) 필름은 다음 배합으로 구성되었다 : 54 중량 % CaCO3, 33.96 중량 % LLDPE, 10 중량 % HDPE, 0.67 중량 % LDPE, 1.33 중량 % 티타늄 다이옥사이드, 및 0.04 중량 % 플루오로카본 필름은 압출, 신장 및 어닐링되었다. 어닐링된 MD IMG 연신 미세기공필름은 재가열된 후 370 lb/in 의 닙압력으로 엠보싱화되었다. 모든 샘플에 대해 예비엠보싱화롤 온도는 190 ℉, 홈형성롤 온도는 125 ℉, 냉각롤온도는 95 ℉ 이었다. 모든 샘플에 대해 선속도는 150 ft/mi 이었다.
매크로 헥사고날 패턴(Mac), 대형 다이아몬드 및 소형 다이아몬드의 세 엠보싱화 패턴이 표 4 에 보인 것처럼 MVTR 또는 열수축값의 큰 변화없이 MD IMG 연신된 미세기공필름으로 엠보싱화되었다. 섬유상구조의 레벨은 엠보싱화 전·후의 저하중두께(low load thickness)의 차이와 상관될 수 있다. 표 4 의 MVTR 값은 실시예 1 에서와 같이 수정된 ASTM 96 ∼ 93 규정에 의해 얻어졌다.
실시예 7
하기 표 5 는 본 발명의 필름과 기저귀 백시트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른 필름의 비교를 보여준다. 기저귀 백시트로 사용되는 통기성 필름의 주요 물서어은 다음과 같다 : 통기성(MVTR), 잔류연신, 변환 및 적송중 고온에서의 칫수안정성, 사용시 충격강도, 및 섬유상구조. 표 5 의 MVTR 값은 실시예 1 에서와 같이 수정된 ASTM 96 ∼ 93 규정에 의해 얻어졌다.
다음 샘플들이 시험되었다. 샘플 1 은 종래 사용되었던 기저귀 백시트필름으로 Tradegar Industries 사에 의해 시판되는 hts∼5 필름이다. 비교샘플 2 는 현재 사용되는 기저귀 백시트필름으로 Tredegar Industries 사에 의해 시판되는 CPC2 필름이다. 비교샘플 3 ExxonExxaire 는 구매가능한 통기성 필름이다. Ex.A 는 IMG 연신후 비어닐링된 통기성 필름이다. Ex.B∼1 및 B∼2 는 IMG 연신 후 어닐링된 통기성 필름이다. Ex.C 는 IMG 연신, 어닐링 및 엠보싱화된 통기성 필름이다. 샘플 A, B∼1, B∼2 및 C 는 55 중량 % CalO3, 31 중량 % LLDPE, 10 중량 % HDPE, 2 중량 % 백색농축물 및 2 중량 % Vifon플루오로카본 농축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필름은 파단연신의 백분율과 항복연신의 백분율간 차이로 측정될 때, 기계방향으로의 경우 약 200 %, 횡방향의 경우 약 300 % 의 바람직한 잔류연신을 갖는다.
본 발명의 특정실시예들이 예시 및 기술되었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일탈함이 없어 여러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것이다. 후술될 청구범위에서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는 이같은 모든 변형들로 커버하기 위한 것이다.

Claims (28)

  1. 약 45 내지 65중량% 충전재, 약 25 ∼ 55 중량%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약 0 ∼ 22 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다른 내연성폴리머, 약 0 ∼ 5 중량 % 저밀도 폴리에틸렌, 약 0 ∼ 10중량% 안료, 및 약 0 ∼ 3중량% 가공용 첨가제를 포함하는 연질의 섬유상구조의 열안정성을 갖는 인터메시기어 처리된 미세기공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필름이 적어도 약 500 g/m2/day 의 수증기 투과율을 갖는 미세기공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필름이 30 분 동안 170 ℉ 공기에 노출된 후 약 15 % 보다 낮은 수축률을 갖는 미세기공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필름이 파단연신 백분율과 항복연신 백분율간의 차이로 측정될 때 기계방향으로 약 75 % 이상 횡방향으로 약 300 % 이상의 잔류연신률을 갖는 미세기공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필름이 파단연신 백분율과 항복연신 백분율간의 차이로 측정될때 기계방향으로 약 150 % 이상 횡방향으로 약 400 % 이상의 잔류연신률을 갖는 미세기공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충전재가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미세기공필름.
  7. 제 6 항에 있어서, 칼슘 카보네이트 충전재가 스테아르산 또는 다른 스테아르산염 화합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복되는 미세기공필름.
  8. 제 7 항에 있어서, 배합이 약 50 ∼ 56 중량 % 칼슘 카보네이트 충전재, 약 30 ∼ 55 중량 %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약 10 ∼ 12 중량 %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내열 폴리머, 약 0 ∼ 5 중량 % 저밀도 폴리에틸렌, 약 0 ∼ 2 중량 % 티타늄 옥사이드, 및 약 0 ∼ 0.05 중량 % 플루오로카본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미세기공필름.
  9. 제 8 항에 있어서, 배합이 약 53 ∼ 56 중량%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미세기공필름.
  10. 제 9 항에 있어서, 배합이 약 53 ∼ 56 중량%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미세기공필름.
  11. 약 50 중량% 탄산칼슘충전재, 약 35 중량% LLDPE, 약 12중량% LDPE, 약 2 중량 % 산화티타늄 및 약 0.04 중량% 플루오로카본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연질의 섬유상구조을 가지며, 고온에서 칫수안정하고 인터메시기어 연신된 미세기공필름.
  12. 약 56 중량% 탄산칼슘충전재, 약 30 중량% LLDPE, 약 10 중량% HDPE, 약 0.67중량% LDPE, 약 1.33중량% 산화티타늄, 및 약 0.04중량% 플루오로카본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연질의 섬유상구조을 가지며, 고온에서 칫수안정하고 인터메시기어 연신된 미세기공필름.
  13. 약 45~65중량%의 충전재 약 25 ∼ 55중량%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약 0 ∼ 22중량%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다른 내열폴리머, 약 0 ∼ 5 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 약 0 ∼ 10중량% 안료 및 약 0 ∼ 3 중량% 플루오로카본으로 조성된 필름배합조성물을 필름으로 압출성형하고, 한세트이상의 인터메시기어롤에 도입하여 연신처리하며, 연신된 필름을 어닐링수단에 통과시켜 필름을 어닐링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연질의 섬유상구조의 열안정성을 갖는 인터메시기어 처리된 미세기공필름.
  14. 제 13 항에 있어서, 필름에 어닐링된 필름을 재가열하고, 필름이 엠보싱화롤의 닙을 통과시켜 재가열된 필름을 엠보싱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엠보싱화된 필름을 코로나 방전처리하는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필름이 금형압출성형법을 사용하여 압출되는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필름이 블로운필름성형법을 사용하여 압출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필름을 블로운성형하며, 두겹의 튜브를 형성하도록 블로운 필름을 절첩하고, 튜브의 두겹을 함께 연신시키는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필름을 블로운성형하며, 이 방법이 두겹의 튜브를 형성하도록 블로운필름을 절첩하고, 튜브를 제 1 필름의 겹과 제 2 필름의 겹으로 분리시키고, 각 필름의 겹을 별도로 연산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0. 제 13 항에 있어서, 인터메시기어 세트가 필름을 기계방향으로 연신시키는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필름을 회방향으로 연신시키는 또다른 인터메시기어 세트 또한 포함하는 방법.
  22. 제 13 항에 있어서, 인터메시기어 세트가 필름을 횡방향으로 연산시키는 방법.
  23. 제 13 항에 있어서, 필름이 기계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약 5 ∼ 100 % 신장되는 방법.
  24. 제 13 항에 있어서, 필름이 기계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약 15 ∼ 60 % 신장되는 방법.
  25. 제 13 항에 있어서, 필름을 연신시키는 인터메시기어가 약 30 ∼ 200 mm 피치로 이격된 다수의 기어이를 가지며 기어이는 약 5 ∼ 200 mm 의 결합깊이를 갖는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피치가 약 50 ∼100 mm 의 범위이고 결합깊이가 약 20 ∼ 75 mm 의 범위인 방법.
  27. 약 50 중량 % 탄산칼슘, 약 35 중량 %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약 12 중량 % 고밀도 폴리에틸렌, 약 1 중량 % 저밀도 폴리에틸렌, 약 2 중량 % 이산화티타늄 다이옥사이드, 및 약 0.04 중량 % 플루오로카본 가공조제 구성된 필름성형조성물을 필름으로 압출성형하고, 필름을 연신시키기 위해 필름을 적어도 한세트의 인터메시기어롤로 도입하고, 필름을 어닐링시키기 위해 연신된 필름이 어닐링수단을 통과하게하며, 어닐링된 필름을 재가열하며, 필름에 엠보싱패턴을 부여하기 위해 필름이 엠보싱화롤의 닙을 통과케하여 재가열된 필름을 엠보싱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의 미세기공필름 제조방법.
  28. 약 56 중량 % 칼슘 카보네이트, 약 30 중량 %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약 10 중량 % 고밀도 폴리에틸렌, 약 0.67 중량 % 저밀도 폴리에틸렌, 약 1.33 중량 % 이산화티타늄 다이옥사이드, 및 약 0.04 중량 % 플루오로카본 가공조제 구성된 필름성형 조성물을 필름으로 압출하고, 인터메시기어롤에 진입시켜 필름에 대한 방향성을 주며, 일방향 연신된 필름을 어닐링수단으로 통과시켜 필름을 어닐링하며 어닐링된 필름을 재가열하며, 필름에 엠보싱패턴을 부여하기 위해 필름이 엠보싱화롤의 닙을 통과케하여 재가열된 필름을 엠보싱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미세기공필름 제조방법.
KR1019997010424A 1997-11-04 1998-11-04 섬유상구조, 칫수안정성을 갖는 미세기공성필름 및 그제조방법 KR200100124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418597P 1997-11-04 1997-11-04
US60/064,185 1997-11-04
US16065298A 1998-09-25 1998-09-25
US9/160,652 1998-09-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2469A true KR20010012469A (ko) 2001-02-15

Family

ID=26744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0424A KR20010012469A (ko) 1997-11-04 1998-11-04 섬유상구조, 칫수안정성을 갖는 미세기공성필름 및 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1) EP1028842B1 (ko)
JP (1) JP2002509496A (ko)
KR (1) KR20010012469A (ko)
CN (1) CN1259078A (ko)
AU (1) AU1304999A (ko)
BR (1) BR9813939A (ko)
CA (1) CA2299440A1 (ko)
DE (1) DE69807734T2 (ko)
ES (1) ES2185231T3 (ko)
HU (1) HUP0002615A3 (ko)
PL (1) PL187956B1 (ko)
TR (1) TR200001210T2 (ko)
WO (1) WO19990229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7688B2 (ja) * 1998-06-12 2007-11-14 花王株式会社 透湿フィルム及び吸収性物品
JP4007687B2 (ja) * 1998-06-12 2007-11-14 花王株式会社 透湿フィルム及び吸収性物品
US20070202767A1 (en) 2006-02-24 2007-08-30 Anderson Barry J Method of making laminate structures for mechanical activation
US6605172B1 (en) 1999-09-30 2003-08-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 breathable and liquid impermeable web
JP2001294717A (ja) * 2000-02-09 2001-10-23 Mitsui Chemicals Inc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及び該組成物から得られるポリオレフィンフィルム
JP2002249622A (ja) * 2001-02-22 2002-09-06 Mitsui Chemicals Inc 多孔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38978B1 (ko) * 2006-03-06 2011-06-03 (주)엘지하우시스 올레핀 소재를 이용한 통기성 벽지 및 그 제조방법
CN102181087B (zh) * 2011-03-03 2015-12-02 杭州全兴塑业有限公司 一种间歇式拉伸透气材料的工艺流程
JP4994507B1 (ja) * 2011-07-25 2012-08-08 丸栄産業株式会社 ベッドシーツの製造方法
CN102275317B (zh) * 2011-08-12 2014-04-23 重庆和泰塑胶有限公司 流延膜三级拉伸工艺
CN103009620B (zh) * 2011-09-20 2017-11-24 上海华义化工科技有限公司 管状薄膜坯管的加热方法及加热装置
CN103131070B (zh) * 2011-11-29 2015-04-08 上海紫华企业有限公司 一种低透气性高强度薄膜及其制备方法
US9631063B2 (en) * 2013-03-14 2017-04-25 Frito-Lay North America, Inc.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king a flexible packaging film
US9492332B2 (en) 2014-05-13 2016-11-15 Clopay Plastic Products Company, Inc. Breathable and microporous thin thermoplastic film
KR20230017318A (ko) * 2015-07-10 2023-02-03 베리 글로벌 인코포레이티드 마이크로다공성 통기성 필름 및 마이크로다공성 통기성 필름의 제조 방법
KR20180083871A (ko) 2015-11-05 2018-07-23 베리 글로벌 인코포레이티드 중합체 필름 및 중합체 필름의 제조 방법
US11472085B2 (en) 2016-02-17 2022-10-18 Berry Plastics Corporation Gas-permeable barrier film and method of making the gas-permeable barrier film
PL3222406T3 (pl) * 2016-03-22 2019-02-28 Rkw Se Sposób wytwarzania napełnionej wstęgi folii
JP6859324B2 (ja) * 2016-04-08 2021-04-14 株式会社トクヤマ 延伸多孔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EP4214052A1 (en) * 2016-06-19 2023-07-26 Laskus, Przemyslaw Marcin Knurled multilayer polyolefin films for use as antiadhesive interleaves, as well as process and technological line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3574043A1 (en) * 2017-01-24 2019-12-04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Textured polymer compositions
CN106696300A (zh) * 2017-03-10 2017-05-24 苏州普来安高分子材料有限公司 一种聚乳酸透气膜的生产线
CN108437496A (zh) * 2018-04-04 2018-08-24 中山松德新材料装备有限公司 一种流延法电子保护膜的退火定型装置
US11584111B2 (en) 2018-11-05 2023-02-21 Windmoeller & Hoelscher Kg Breathable thermoplastic film with reduced shrinkage
WO2020163079A1 (en) * 2019-02-06 2020-08-13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Films and backsheets for hygiene articles
DE102021000710A1 (de) 2021-02-11 2022-08-11 Bb Engineering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cken von Kunststofffoli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6892A (en) * 1975-03-31 1978-09-26 Biax-Fiberfilm Corporation Process for stretching incremental portions of an orientable thermoplastic substrate and product thereof
AU551948B2 (en) * 1983-12-16 1986-05-15 Mitsui Toatsu Chemicals Inc. Producing porous film
JPS62151429A (ja) * 1985-12-26 1987-07-06 Nippon Petrochem Co Ltd 多孔質フイルムまたはシ−トの製法
US4923650A (en) * 1988-07-27 1990-05-08 Hercules Incorporated Breathable microporous film and methods for making 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07734T2 (de) 2003-06-05
AU1304999A (en) 1999-05-24
PL339695A1 (en) 2001-01-02
CA2299440A1 (en) 1999-05-14
DE69807734D1 (de) 2002-10-10
EP1028842A1 (en) 2000-08-23
WO1999022930A1 (en) 1999-05-14
BR9813939A (pt) 2000-09-26
HUP0002615A2 (hu) 2001-06-28
PL187956B1 (pl) 2004-11-30
JP2002509496A (ja) 2002-03-26
EP1028842B1 (en) 2002-09-04
ES2185231T3 (es) 2003-04-16
CN1259078A (zh) 2000-07-05
TR200001210T2 (tr) 2000-10-23
HUP0002615A3 (en) 200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12469A (ko) 섬유상구조, 칫수안정성을 갖는 미세기공성필름 및 그제조방법
JP7130696B2 (ja) 通気性を有する微孔性熱可塑性の薄いフィルム
US6843949B2 (en) Process for adjusting WVTR and other properties of a polyolefin film
EP1226018B1 (en) Coextruded, elastomeric breathable films
RU2192512C2 (ru) Дышащий пленочный слоистый материал с наполнителем
EP1218181B1 (en) Breathable multilayer films with breakable skin layers
US6264864B1 (en) Process for producing polyolefin microporous breathable film
WO1998004397A1 (en) Process of adjusting wvtr of polyolefin film
RU2734515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ногослойного пленочного полотна
KR100574736B1 (ko) 개선된 차단용 필름 및 라미네이트 및 그의 제조 방법
WO1999047590A1 (en) Segmented conformable breathable films
AU2020269289A1 (en) Breathable film
JPH01144432A (ja) 通気性フィルム
MXPA99010243A (en) Texturized microporosa film, stable dimensionally, and method for factory
KR20080064251A (ko) 통기성 필름
MXPA01001556A (en) Breathable microporous film
MXPA99010300A (en) Method for forming a breathable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