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7401A - 테이프 카세트 - Google Patents

테이프 카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7401A
KR20000077401A KR1020000028019A KR20000028019A KR20000077401A KR 20000077401 A KR20000077401 A KR 20000077401A KR 1020000028019 A KR1020000028019 A KR 1020000028019A KR 20000028019 A KR20000028019 A KR 20000028019A KR 20000077401 A KR20000077401 A KR 20000077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lid
cassette
lock member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8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0679B1 (ko
Inventor
오타슈이치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00077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7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6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11B23/08707Details
    • G11B23/08735Cov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테이프형 기록 매체를 감은 테이프 릴을 내부에 수납한 카세트 셸(20)에 이 카세트 셸의 전면(前面)에 노출되어 있는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전면측을 덮는 프런트 리드를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전면측을 덮는 덮개 폐쇄 위치와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전면측을 개방한 덮개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테이프 카세트로서, 프런트 리드는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전면측을 덮는 메인부(main portion)와 이 메인부의 사이드 에지(side edge)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측면부를 가지며, 프런트 리드를 덮개 폐쇄 위치에 로크하는 리드 로크 부재를 프런트 리드의 측면부 내면에 이 프런트 리드의 측면부 내측에서 회전하도록 설치했다.

Description

테이프 카세트 {TAPE CASSETTE}
테이프형 기록 매체를 감은 테이프 릴을 내부에 수납한 카세트 셸(shell)에 상기 카세트 셸의 전면(前面)에 노출되어 있는 상기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전면측을 덮는 프런트 리드(fornt lid)를 상기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전면측을 덮는 덮개 폐쇄 위치와 상기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전면측을 개방한 덮개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한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는, 불사용 시에 프런트 리드가 제멋대로 개방 위치로 이동해 버리지 않도록 프런트 리드를 덮개 폐쇄 위치에 로크하는 로크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 상기 로크 기구는 카세트 셸에 설치되어 있었다.
프런트 리드의 로크 기구를 카세트 셸에 설치하는 경우, 예를 들면, 카세트 셸의 외측에 설치한 경우에는, 덮개 폐쇄 시에 프런트 리드의 내측에 숨겨둘 수 있더라도, 프런프 리드가 개방 위치로 이동하면, 로크 기구가 외부에 노정(露呈)되어 버려, 손가락으로 건드리거나 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로크 기구를 구성하는 부재가 떨어져 버리거나 하는 사고가 일어날 우려가 있다.
또, 로크 기구를 카세트 셸의 내부에 설치한 경우에는, 카세트 셸의 내부에 그만큼 여분의 스페이스를 요하게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원 출원인은 본 발명에 관련된 다음 3개의 미합중국 특허를 소유하고 있다.
1. 미합중국 특허 제5,322, 237호(발명의 명칭: 자기 테이프의 전면 및 후면을 보호하는 테이프 카세트용 리드 어셈블리; Lid ASSEMBLY FOR A TAPE CASSETTE WHICH PROTECTS FRONT AND REAR SURFACES OF A MAGNETIC TAPE)
2. 미합중국 특허 제5,412,525호(발명의 명칭: 슬라이드 가능한 셔터를 래치하기 위한 이동 가능한 핑거를 가지는 테이프 카세트; TAPE CASSETTE HAVING A ROCKABLE FINGER FOR LATCHING A SLIDABLE SHUTTER)
3. 미합중국 특허 제5,5O2,608호(발명의 명칭: 기록/재생 장치의 자기 헤드 드럼용 마우스를 구비한 케이스를 가지는 테이프 카세트; TAPE CASSETTE HAVING A CASE WITH A MOUTH FOR MAGNETIC HEAD DRUM OF A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그래서, 본 발명은 프런트 리드의 로크 기구를 카세트 셸의 외측에 설치하면서, 프런트 리드가 어떠한 상태에 있어도, 로크 기구가 외부에 노정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프런트 리드(front lid)가 덮개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본 발명의 테이프 카세트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프런트 리드, 백 리드 모두 덮개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하(下)셸(lower shell) 유닛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상(上)셸(upper shell)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슬라이더 유닛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상셸 유닛과 슬라이더 유닛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슬라이더 유닛을 내장한 상셸 유닛과 하셸 유닛을 서로 분리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테이프 카셋의 우측면도.
도 9 (A) 및 9 (B)는 도 8의 IX-IX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며, 도 9 (A)는 좌단부를, 도 9 (B)는 우단부를 각각 나타냄.
도 10 (A) 및 10 (B)는 도 8의 X-X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며, 도 10 (A)는 좌단부를, 도 10 (B)는 우단부를 각각 나타냄.
도 11 (A) 및 11 (B)는 도 8의 XI-XI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며, 도 11(A)는 좌단부를, 도 11 (B)는 우단부를 각각 나타냄.
도 12는 카세트 셸의 좌측면도.
도 13은 카세트 셸의 우측면도.
도 14는 카세트 홀더에 테이프 카세트가 삽입되기 시작한 상태를 요부를 절결(切缺)하여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15는 카세트 홀더에 테이프 카세트가 삽입되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
도 16은 리드 로크 부재에 의한 로크가 해제된 상태를 요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17은 도 16에 연속되는 상태를 요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18은 프런트 리드가 개방 위치에 달한 상태를 요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19는 슬라이더가 후퇴하여 프런트 리드 및 백 리드가 모두 덮개 개방 위치에 달한 상태를 요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20 (A) 및 20 (B)는 도 19의 XX-XX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며, 도 20 (A)는 좌단부를, 도 20 (B)는 우단부를 나타냄.
도 21 (A) 및 21 (B)는 프런트 리드의 회전에 연속하여 후방으로의 이동이라고 하는 순서 동작을 행하게 하기 위한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21 (A)는 폐쇄 상태를, 도 21 (B)는 후방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냄.
도 22는 테이프 카세트가 기록/재생 장치의 소정 장착 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23은 테이프 카세트가 기록/재생 장치의 소정 장착 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
도 24는 테이프 카세트가 기록/재생 장치의 소정 장착 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개략 수평 단면도.
도 25는 슬라이더가 전단(前端)으로 이동하기 시작한 상태를 요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26은 슬라이더가 이동 범위의 전단에 달한 상태를 요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테이프 카세트, 20: 카세트 셸, 30: 자기 테이프(테이프형 기록 매체), 40: 테이프 릴, 50: 테이프 릴, 60: 프런트 리드, 61: 메인부, 62: 측면부, 67: 지지축, 68: 로크 핀(lock pin), 80: 슬라이더, 82b: 슬라이드 돌기(맞물림부), 130: 리드 로크 부재, 132: 맞물림 폴(pawl), 140: 비틀림 코일 스프링(탄발(彈發) 부재), 210: 로크 해제 캠(cam).
본 발명의 테이프 카세트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런트 리드는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전면측을 덮는 메인부(main portion)와 이 메인부의 사이드 에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 측면부를 가지고, 프런트 리드를 덮개 폐쇄 위치에 로크하는 리드 로크 부재를 프런트 리드의 측면부 내면에 이 프런트 리드의 측면부 내측에서 회전하도록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는, 프런트 리드가 어떠한 자세로 되어도, 리드 로크 부재는 프런트 리드의 측면부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 외부에 노정되는 일이 없다.
이하, 본 발명의 테이프 카세트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카세트 테이프(10)에서, 테이프형 기록 매체인 자기 테이프(30)는 테이프 릴(40, 50) 주위에 감기고, 이들 테이프 릴(40, 50)은 얇은 상자형을 한 카세트 셸(20)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카세트 테이프(10)는 카세트 셸(20)의 전면(前面)에 따라 위치하는 자기 테이프(30)의 전면측을 덮는 프런트 리드(60) 및 이 자기 테이프(30)의 후측을 덮는 백 리드(70)를 구비한다. 상기 백 리드(70)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카세트 셸(20)에 지지되고 있는 슬라이더(80)와 일체로 형성되고, 또 상기 프런트 리드(60)는 상기 슬라이더(8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카세트 셸(20)은 얇은 상자형으로 디자인되고,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카세트 셸(20)의 전체 또는 테이프 릴(40, 50)에 대향하는 카세트 셸(20)의 일부는 테이프 릴(40, 50)이 카세트 셸(20)의 상측으로부터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하게 디자인되어 있다.
카세트 셸(20)의 전부(前部)에는 "마우스부(mouth portion)"라고 불리는 큰 오목부(凹部)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마우스부(21)는 전방 및 상하방에 개구되어 있다.
이 마우스부(21)의 이면(裏面) 중 카세트 셸(20) 내에 배치된 테이프 릴(40, 50)의 최대 외경부(外徑部)에 대향한 부분을 피한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 스트라이프(21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카세트 셸(20)의 마우스부(21) 양 옆 부분은 각통(角筒)을 눕게 한 것 같은 형상을 한 테이프 인출부(22)로 되고, 이 테이프 인출부(22)의 전단(前端)(22a)이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자기 테이프(30)는 테이프 인출부(22)의 개구(22a)로부터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마우스부(21)의 전면을 가로 지르도록 개구(22a) 사이로 뻗어 걸쳐 있다.
카세트 셸(20)의 저면벽에는 좌우로 나란히 2개의 릴대 삽입구(23)가 형성되어 있고, 이 릴대 삽입구(23)를 통해 상기 테이프 릴(40, 50)의 도시하지 않은 맞물림공(孔)이 하방으로 면해 있고, 테이프 카세트(10)가 도시하지 않은 기록/재생 장치에 장착되면, 기록/재생 장치에 설치된 릴대가 상기 릴대 삽입구(23)로부터 카세트 셸(20) 내로 삽입되어, 릴대에 설치된 릴 맞물림축이 테이프 릴(40, 50)의 맞물림공에 맞물리는 동시에 테이프 릴(40, 50)이 릴대에 탑재된다.
카세트 셸(20) 내의 후부(後部)에는 2개의 릴 로크 부재(90)가 배치되고, 불사용시에는 이 릴 로크 부재(90)의 폴(91)이 테이프 릴(40, 50)의 하(下)플랜지에 형성된 맞물림 돌기(41 및 51)에 맞물려 테이프 릴(40, 50)이 제멋대로 회전해 버리지 않도록 로크되어 있다. 그리고, 릴 로크 부재(90)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테이프 릴(40, 50)을 로크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그리고, 테이프 카세트(10)가 도시하지 않은 기록/재생 장치에 장착되면, 기록/재생 장치에 형성된 로크 해제 핀이 카세트 셸(20)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구(24)로부터 삽입되어 릴 로크 부재(90)를 로크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테이프 릴(40, 50)에의 로크가 해제된다.
카세트 셸(20)의 상기 마우스부(21) 이면의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 내측에는 차광통(25)이 형성되고, 이 차광통(25)은 하면에 개구(25a)되고, 또한 좌우에 절결(25b)이 형성되어 있다.
카세트 셸(20)의 측면벽 전단 근처 위치에는 투광공(25c)이 형성되어 있고, 이 투광공(25c)으로부터 상기 차광통(25)의 절결(25b)을 내다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테이프 인출부(22)의 전단면 중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22b)의 거의 상반부에는 전방으로 돌출한 캠부(2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단면(22b)은 다른 3개의 전단면보다 약간 후방으로 끌어당겨져 있고, 이 전단면(22b)과 상하의 전단면(22c, 22d)과는 테이프 카세트(10)가 도시하지 않은 카세트 홀더에 삽입될 때 카세트 홀더에 설치된 스토퍼에 접촉하여 테이프 카세트(10)의 카세트 홀더에의 삽입 한도를 규정하는 전진 스토퍼로 되어 있다.
또한, 테이프 인출부(22) 내측의 내면 중 개구(22a)와 접한 위치에는 반원주형을 한 카세트 내 가이드(22e)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불사용 시에서의 자기 테이프(30)는 상기 카세트 내 가이드(22e)에 감겨진 상태에서 테이프 인출부(22) 사이로 뻗어 걸쳐 있다.
카세트 셸(20)의 한쪽, 즉, 마주 보아 우측의 측면에는 하단 근처의 위치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향의 단차부(27a)가 형성되고, 좌측 측면의 후반부 하단 근처 위치에는 하향의 단차부(27b)가 형성되고, 또, 양 측면의 상단 근처 위치에 전후 방향에서의 중앙보다 약간 후방 위치로부터 전단 근처까지 연장되는 슬라이드 홈(28a 및 28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슬라이드 홈은 2단으로, 즉, 얇은 슬라이드 홈(28b)의 상측에 깊은 슬라이드 홈(28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카세트 셸(20)의 후단부에는 좌우 및 상방으로 돌출한 돌부(突部)(29)가 형성되고, 이 돌부(29)의 좌우 양 측면에는 상단 근처의 위치로부터 하단에 걸쳐 홈(29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카세트 셸(20)은 상셸(100)과 하셸(110)이 상하로 맞대어져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각부는 각각 상셸(100)과 하셸(110)로 분담하여 형성된다.
상셸(100)에는 카세트 셸(20)의 상면 전부(全部)를 이루는 상면부(101)와, 카세트 셸(20)의 후면 상반분을 이루는 후면부(102)와, 카세트 셸(20)의 측면 중 대략 후반 부분의 하단부를 제외한 대부분을 이루는 측면 후부(103)와, 카세트 셸(20)의 측면 나머지 부분의 상단 부분을 이루는 측면 전부(前部)(1041(좌), 104r(우))와, 카세트 셸의 전면, 즉, 마우스부(21) 이면의 중앙부를 제외한 양 측부의 대략 상측 반분 부분을 이루는 전면부(105)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좌측의 측면 전부(1041)는 상면부(101)의 사이드 에지로부터 약간 내측으로 끌어당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하셸(110)은 카세트 셸(20)의 저면 전부를 이루는 저면부(111)와, 카세드 셸(20) 후면의 하반분을 이루는 후면부(112)와, 카세트 셸(20)의 측면 중 대략 후반 부분의 하단부를 이루는 측면 후부(113)와, 카세트 셸(20) 측면의 나머지 부분의 상단부를 제외한 부분을 이루는 측면 전부(114)와, 카세트 셸(20)의 전면, 즉, 마우스부(21) 이면의 중앙부를 이루는 전면 중앙부(115)와, 마우스부(21) 양 측부의 대략 하측 반분의 부분을 이루는 전면 측부(116) 및 테이프 인출부(22)의 내측 측면부를 이루는 내측 측면부(117)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마주 보아 우측의 측면 전부(114)의 후반부 중 상셸(100)의 측면 후부(103)의 하단에 대응한 부분(114a)은 얇은 두께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이 부분(114a)의 외면은 움푹 들어간 상태로 되어, 이 부분(114a)의 상단부에 하향의 단차부(114b)가 형성된다. 이 단차부(114b)는 깊은 위치에 상방으로 움푹 들어간 홈(114b')이 형성되어 있다. 또, 마주 보아 좌측 측면 전부(114)의 외면은 상셸(100)의 측면 후부(103) 외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끌어당겨진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측면 전부(114)의 후단 근처 부분에는 상단에 개구된 절결(114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면 전부(114)의 내면(114d)은 전단으로 감에 따라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테이프 인출부(22)는 개구(22a)에 근접함에 따라 외측으로 향해 넓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측면 전부(114) 외면 상단부의 전단부를 제외한 부분에 전후로 연장되는 좁고 긴 오목부(凹部)(114e 및 114f)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14e)는 측면 전부(114)에 형성된 얇은 오목부이며, 이 오목부(114e)의 상측에 깊은 오목부(114f)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면 후부(113)는 상셸(100)의 측면 후부(103)보다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마우스부(21) 이면의 오목 스트라이프(1a)는 상셸(100)의 전면부(105)와 하셸(110)의 전면 측부(116)에 형성되어 있다. 또, 릴대 삽입구(23), 삽입구(24) 및 차광통(25)은 하셸(110)의 저면부(111)에 형성되고, 캠부(26)는 하셸(110)의 측면 전부(114) 전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차부(27a, 27b)는 상셸(100)의 측면 후부(103) 하단에 의해 형성되고, 그 중 마주 보아 우측의 단차부(27a)는 하셸(110)의 마주 보아 우측 측면 전부(114)에 형성된 단차부(114b)와 연속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슬라이드 홈(28a 및 28b)은 상셸(100)의 측면 전부(1041, 104r)와 하셸(110)의 측면 전부(114) 상단부에 형성된 오목부(114f 및 114e)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부(29)는 상셸(100)의 상면부(101), 측면 후부(103) 및 하셸(110)의 측면 후부(113)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투광공(25c)은 하셸(110)의 측면 전부(114)에 형성된 절결(114c)의 상단이 상셸(100)에 의해 막혀 형성된다.
상기한 상셸(100)과 하셸(110)이 상하에서 맞대어져, 나사(120)에 의해 서로 결합됨으로써 카세트 셸(20)이 형성된다.
슬라이더(80)는 얇은 금속판, 가능하면,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판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더(80)는 좌우 방향으로 긴 오목 형상을 한 상면부(81)와 이 상면부(81)의 좌우 양사이드 에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측면부(82)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측면부(82)의 전단부는 대략 하반부가 절결되고, 이 절결의 상에지부에 대략 3/4 원형의 축지지부(82a)가 형성된다. 또, 측면부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앙보다 약간 앞쪽에서 상단 근처 위치에 내측으로 잘라 세운 모양으로 슬라이드 돌기(82b, 82c)가 형성된다. 이들 슬라이드 돌기(82b, 82c)는, 마주 보아 좌측의 것(82b)이 우측의 것(82c)보다 길게 형성되고, 각 슬라이드 돌기(82b, 82c)의 선단부(82b', 82c')는 상방으로 굴곡되어 있다. 또한, 측면부(82)의 하단부가 내측으로 되접어 꺾여 단면 U자형을 이루는 슬라이드 맞물림부(82d)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더(80)에 백 리드(7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백 리드(70)는 그 상단 에지가 슬라이더(80)의 상면부(81) 전(前)에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백 리드(70)는 수직으로 연장되어 좌우의 폭이 상기 마우스부(21)의 좌우폭과 동일한 메인부(71)와, 이 메인부(71)의 하단 에지로부터 전방으로 또한 약간 하방으로 향해 연장되는 하단 폐색부(72)와, 상기 하단 폐색부(7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접촉부(73)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접촉부(73)의 하단부는 뒤쪽, 즉, 후방으로부터 되접어 꺾여 있다. 이 되접어꺾기부(73a)가 형성됨으로써, 접촉부(73)의 하단에는 예리한 에지가 생기지 않는다. 이와 같이 예리한 에지가 생기지 않는 것은, 백 리드(70)에 의해 자기 테이프(30)나, 메커니컬 데크(mechanical deck)측의 부재, 예를 들면, 핀치 롤러 등을 손상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백 리드(70)의 메인부(71)에는 후방으로 쳐서 내도록 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rib)(71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리브(71a)가 형성됨으로써, 백 리드(70)의 강도가 증대되어, 백 리드(70)를 강성이 작은 재료, 예를 들면, 얇은 금속판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중량을 경감할 수 있다. 나아가, 이 리브(71a)는 카세트 셸(20)의 마우스부(21) 이면에 형성된 오목 스트라이프(21a)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백 리드(70)가 후퇴했을 때에는, 리브(71a)는 오목 스트라이프(21a) 내로 들어가고, 이에 따라 백 리드(70)는 가능한 한 후퇴할 수 있어, 리브(71a)를 형성함으로써 사용 시에 있어서의 마우스부(21)의 크기가 작아져 버린다고 하는 일이 없다. 나아가, 상기 오목 스트라이프(21a)는 카세트 셸(20) 내에 배치된 테이프 릴(40, 50)의 최대 외경부에 대향한 부분을 피한 위치에 형성되므로, 이 오목 스트라이프(21a)가 형성됨으로써 카세트 셸(20)의 크기, 특히, 전후의 크기가 커져 버리는 일이 없다.
슬라이더(80)는 다음과 같이 하여 카세트 셸(20)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슬라이더(80)의 메인부(81)를 상셸(100)의 상면부(101) 전단부에 얹은 상태에서, 슬라이더(80)를 후방으로 슬라이드시켜 간다. 슬라이더(80)의 슬라이드 맞물림부(82d)가 상셸(100)의 측면 후부(103) 하단 에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맞물린다. 또, 슬라이더(80)의 슬라이드 돌기(82b, 82c)는 상셸(100)의 측면 전부(1041, 104r)의 하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방에 굴곡된 선단부(82b', 82c')가 상기 측면 전부(1041, 104r)의 내면에 맞물린 상태로 된다.
그래서, 하셸(110)과 상셸(100)을 결합하면, 상셸(100)의 사이드 에지부와 하셸(110)의 오목부(114e)에 의해 형성되는 전후 방향으로 긴 홈(28a) 내에 슬라이더(80)의 슬라이드 돌기(82b, 82c)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위치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80)는 카세트 셸(20)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슬라이더(80)의 이동 범위 후단은 슬라이더(80)의 메인부(81) 후단이 카세트 셸(20)의 돌부(29)와 접촉한 위치이며, 전단은 슬라이더(80)의 우측 슬라이드 맞물림부(82d)가 카세트 셸(20) 우측의 얇은 두께부(114a)의 전단과 접촉한 위치 또는 슬라이더(80)의 맞물림 돌기((82b, 82c)가 카세트 셸(20)의 오목부(114f) 전단에 접촉한 위치이다.
상기한 슬라이더(80)의 전단부에 프런트 리드(6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프런트 리드(60)는 대략 좌우 방향으로 긴 띠형을 한 전면부(61)와, 이 전면부(61)의 좌우 양 에지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 측면부(62)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전면부(61)의 상단부(61a)는 상방으로 감에 따라 후방으로 변위되도록 완만하게 만곡되어 있다.
측면부(62) 내면의 전면부(61)와의 접합부에 접한 부분에 두꺼운 두께부(63)가 형성되고, 이 두꺼운 두께부(63)에 측방에서 보아 원호면(圓弧面)을 이루는 규제면(64)이 형성된다. 또, 측면부(62) 내면의 대략 중앙부에서 상기 규제면(64)에 대향한 부분에 회전 지점축(rotational fulcrum shaft)(65, 66)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전 지점축(65, 66)의 기부(基部)에는 환형(環形)의 홈(65a, 66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마주 보아 좌측의 회전 지점축(65)은, 환형의 홈(65a)에 연속하여 대경부(65b)와 소경부(65c)가 이 순서로 연달아 설치되어 있고, 전체의 길이는 마주 보아 우측의 회전 지점축(66)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규제면(64)은 회전 지점축(65, 66)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면에 형성되어 있다.
마주 보아 좌측의 측면부(62) 내면의 회전 지점축(65)으로부터 후방 하방으로 이간(離間)된 위치에 지지축(67)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좌측의 측면부(62) 내면의 회전 지점축(65)의 후방에는 로크 핀(68)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측면부(62)에는 회동 지점축(65, 66)의 바로 후방 상방에 투광공(69)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전면부(61)의 마주 보아 좌단 부분의 하단 근처 위치에는 전방과 측방에 개구한 맞물림 오목부(61b)가 형성되고, 또, 전면부(61)의 하(下)에지 좌단 근처에 삽입 통과 절결(61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런트 리드(60)의 회전 지점축(65, 66)의 환형 홈(65a, 66a)이 슬라이더(80)의 축 지지부(82a)에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고, 이에 따라, 프런트 리드(60)는 슬라이더(80)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프런트 리드(60)의 마주 보아 좌측의 측면부(62) 내측에는 리드 로크 부재(130)가 장착된다. 리드 로크 부재(130)는 전체 가늘고 길게 형성되며, 중앙부에 지지공(1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지지공(131)에 프런트 리드(60)의 마주 보아 좌측 측면부(62)의 지지축(67)이 끼워져 통과되며, 이에 따라 이 측면부(6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리드 로크 부재(130)가 좌측에서 보아 우하강(右下降)의 자세일 때(도 14 참조), 상단부에 전방으로 향해 돌출한 맞물림 폴(132)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80)의 마주 보아 좌측의 측면부(82)에 형성된 슬라이드 돌기(82b)의 상면에 후방으로부터 맞물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맞무림 폴(132)이 형성된 선단 근처 위치에 경사 상방 및 프런트 리드(60) 좌측의 측면부(62) 내면에 대향하는 측에 개구한 맞물림 오목부(13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공(131)과 하단과의 사이의 부분에서 상기 측면부(62)에 대향한 면과 반대측 면을 절결하여 형성한 스프링걸이면(1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단면의 앞쪽 부분(135)은 원호면으로 되어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140)이 설치됨으로써, 프런트 리드(60) 및 리드 로크 부재(130)가 각각 소정의 방향으로 가압된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140)의 코일부(141)는 프런트 리드(60)의 좌측 측면부(62)에 형성된 회전 지점축(65)의 대경부(65b)에 밖에서 끼워지고, 한쪽의 암 피스(arm piece)(142)는 슬라이더(80)의 좌측부(82)에 형성된 슬라이드 돌기(82b) 상면에 앞쪽으로부터 탄성 접촉되고, 또, 다른 쪽의 암 피스(243)는 리드 로크 부재(130)의 스프링걸이면(134)에 탄성 접촉되어 있다(도 14 참조). 이에 따라, 리드 로크 부재(130)는 좌측에서 보아 시계 회전 방향으로 가압되고, 또, 프런트 리드(60)는 리드 로크 부재(130) 및 지지축(67)을 통해 좌측에서 보아 시계 회전 방향, 즉, 메인부(61)에 의해 마우스부(21)의 앞쪽을 폐색하는 폐색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와 같이, 리드 로크 부재(130) 및 비틀림 코일 스프링(140)은 프런트 리드(60)의 측면부(62) 내측에 위치되므로, 리드 로크 부재(130)가 회전해도 리드 로크 부재(130)나 비틀림 코일 스프링(140)이 외부에 노정되지 않고, 따라서, 슬라이더(80)를 카세트 셸(20)로부터 분리하지 않는 한, 리드 로크 부재(130)나 비틀림 코일 스프링(140)을 손가락으로 건드리거나, 분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 프런트 리드(60)가 회전해도, 리드 로크 부재가 표면에 노정되는 일은 없다. 또한, 리드 로크 부재(130)는 프런트 리드(60)가 열리는 것을 로크하고 있지만, 프런트 리드(60)와 슬라이더(80)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140)의 힘으로 누르고 있게도 되므로, 프런트 리드(60) 및 슬라이더(80)의 백래시(backlash)도 흡수하고 있다.
하셸(110)의 마주 보아 우후단부에 형성된 메모리 수용홈(118)에는 카세트 내 메모리(150)가 수납된다. 이 카세트 내 메모리(150)는 횡장(橫長) 직사각형을 한 기판(151)의 중앙부에 메모리 소자(152)가 탑재되고, 기판(151)의 표리(表裏) 양면에 도전 패턴에 의해 소용돌이형으로 통신용 안테나(153)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카세트 내 메모리(150)는 안테나(153)를 통해 외부와 통신되어, 자기 테이프의 종류, 기록 내용 등의 데이터가 기록되도록 되어 있다.
상셸(100)의 상면부(101) 하면에는 릴 누름 스프링(160)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고, 이 릴 누름 스프링(160)의 타단부에 의해 테이프 릴(40, 50)의 상단 중앙을 누르고, 릴(40, 50)을 하셸(110)의 저면부(111)에 눌러 놓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테이프 카세트(10)의 조립은,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하셸(110)에 각 부재를 내장한 하셸 유닛, 상셸 유닛(100)에 각 부재를 내장한 상셸 유닛 및 슬라이더(80)에 리드 로크 부재(130) 등을 내장한 프런트 리드(60)를 내장한 슬라이더 유닛의 3개 유닛을 형성하고, 이어서, 슬라이더 유닛을 상셸 유닛에 내장하고, 최후로, 슬라이더 유닛을 내장한 상셸 유닛과 하셸 유닛을 결합한다고 하는 수순에 의해 이루어진다.
하셸 유닛은 하셸(110)에 자기 테이프(30)를 감은 테이프 릴(40, 50), 릴 로크 부재(90), 카세트 내 메모리(150) 등을 내장하여 형성한다(도 3, 도 7 참조). 상셸 유닛은 상셸(100)에 릴 누름 스프링(160)을 내장하여 형성한다(도 4 참조). 그리고, 슬라이더 유닛은 리드 로크 부재(130) 및 비틀림 코일 스프링(140)을 내장한 프런트 리드(60)를 슬라이더(80)에 지지하여 형성한다(도 5 참조).
상기한 슬라이더 유닛을 프런트 리드(60)를 상방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셸 유닛에 내장한다. 즉, 슬라이더(80)의 메인부(81)를 상셸(100)의 상면부(101) 전단부에 얹은 상태에서, 슬라이더(80)를 후방으로 슬라이드 시켜 간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80)의 슬라이드 맞물림부(82d)가 상셸(100)의 측면 후부(103) 하단 에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맞물린다(도 20 참조). 또, 슬라이더(80)의 슬라이드 돌기(82b, 82c)는 상셸(100)의 측면 전부(1041, 104r) 하측에 위치하고, 또한, 내면에 맞물린 상태로 된다(도 6, 도 7 참조). 도 7에 나타낸 상태가 프런트 리드(60)를 슬라이더(80)에 내장한 슬라이더 유닛을 상셸 유닛에 내장한 상태이다.
그래서, 슬라이더 유닛을 내장한 상셸 유닛을 하셸 유닛과 결합한다. 즉, 상셸 유닛의 상셸(100) 각부의 하단과 하셀 유닛의 하셸(110) 각부의 상단을 상하에서 맞대고, 이 상태에서 슬라이더(80)를 전단까지 슬라이드 시키고, 또한, 프런트 리드(60)를 하방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슬라이더(80)의 마주 보아 우측의 슬라이드 맞물림부(82d)가 하셸(110)의 단차부(114b) 및 홈(114b')에 맞물리고(도 11 참조), 상셸(100)과 하셸(110)이 슬라이더(80)를 통해 가(假)결합되어, 상셸(100)과 하셸(110)이 떨어지지 않게 되어, 다음 작업을 행하기 쉽게 된다. 또, 프런트 리드(60)의 마주 보아 좌측의 회전 지점축(65)의 소경부(65c)는 카세트 셸(20)의 마주 보아 좌측의 측면에 형성된 얇은 슬라이드 홈(28b)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맞물리고, 우측의 회전 지점축(66)은 카세트 셸(20)의 우측 측면에 형성된 얇은 슬라이드 홈(28b)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맞물린다. 따라서, 프런트 리드(60)의 회전 지점축(65, 66)은 각각 얇은 슬라이드 홈(28b)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상하의 셸(100, 110)을 나사(120)에 의해 결합한다(도 7 참조). 이에 따라, 테이프 카세트(10)가 완성된다(도 1 참조).
이와 같이, 테이프 카세트(10)에 있어서는, 전체의 구성 부품을 상기한 바와 같이, 하셸 유닛, 상셸 유닛 및 슬라이더 유닛의 3개 부분으로, 마치 3개의 부품과 같이 정리해 두고, 이들을 상기한 바와 같이 차례로 조립하므로, 조립 도중에서의 부품 관리가 용이하고, 또한, 조립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불사용 상태에 있어서, 자기 테이프(30)는 그 전후가 프런트 리드(60)와 백 리드(70)에 의해 덮히고, 하측은 백 리드(70)의 하단 폐색부(73)로 덮히고, 상측은 프런트 리드(60)의 메인부(61) 상단부(61a)로 덮힌다. 따라서, 자기 테이프(30)에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자기 테이프(30)에 이물(異物)이 접촉하거나, 자기 테이프(30)를 손가락으로 건드려 버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테이프 인출부(22)의 전단면, 즉, (22b, 22c, 22d) 등도 프런트 리드(60)의 메인부(61)에 의해 덮혀, 볼품이 양호하게 된다. 그리고, 리드 로크 부재(130)의 맞물림 폴(132)이 슬라이더(80)의 슬라이드 돌기(82b) 상면에 후측으로부터 맞물리고, 이에 따라, 프런트 리드(60)가 도 1에 나타낸 폐색 위치에 로크된다.
그리고, 도시는 생략했지만, 카세트 셸(20)의 배면에는 오소거 방지 태그(tag)가 카세트 셸(20)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기록 가능 상태 또는 기록 불가 상태를 나타낸다.
다음에, 상기한 테이프 카세트(10)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테이프 카세트(10)를 지지하고, 그리고, 이 테이프 카세트(10)를 기록/재생 장치의 소정 위치에 장착하는 도시하지 않은 카세트 홀더의 테이프 카세트(10)의 마주 보아 좌측 단부(端部)에 대응한 위치에 판형의 지지 부재(1701)가 세워 설치되며, 이 지지 부재(1701)에 리드 오프너(lid opener)(180)와 리드 누름 돌기(190)가 형성된다.
리드 오프너(180)는 긴 암(arm)형을 이루며, 그 상단부가 지지 부재(1701)의 마주 보아 우측면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리드 오프너(180)의 회전 단부의 마주 보아 우측면에는 맞물림 돌기(181)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200)의 코일부(201)가 리드 오프너(180)의 회전축(182)에 밖에서 끼워지고, 한쪽의 암(202)이 지지 부재(1701)의 일부를 잘라 세운 모양으로 마주 보아 우측으로 돌출시켜 형성한 스프링걸이 피스(171)에 상방으로부터 탄성 접촉하고, 다른 쪽의 암(203)이 리드 오프너(180)의 앞 에지 중 회전 지점 근처 위치에 탄성 접촉되고, 이에 따라, 리드 오프너(180)는 왼쪽에서 보아(도 14 참조) 시계 회전 방향으로 가압된다. 그리고, 리드 오프너(180)는 상단 근처 부분이 스프링걸이 피스(171)에 접촉함으로써 회전단이 하단에 위치하는 수직의 자세로 유지된다.
리드 누름 돌기(190)는 지지 부재(170) 상단부의 마주 보아 우측 측면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 부재(1710)의 기단부의 마주 보아 우측 측면에 근접하여 로크 해제 캠(21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로크 해제 캠(210)은 테이프 카세트(10)가 삽입되어 오는 측의 단면이 경사부(211)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로크 해제 캠(210)의 좌우폭은 프런트 리드(60)의 메인부(61)에 형성된 삽입 통과 절결(61c)의 폭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카세트 홀더의 테이프 카세트(10)의 마주 보아 우측 단부에 대응한 위치에도 상기 지지 부재(1701)와 동일한 지지 부재(170r)가 세워 설치되고, 이 지지 부재(170r)의 마주 보아 좌측면의 상단부에 리드 누름 돌기(190)가 형성된다.
그래서, 테이프 카세트(10)를 카세트 홀더에 전면측, 즉, 프런트 리드(60)측으로부터 도 14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삽입해 가면, 테이프 카세트(10)의 전단부가 지지 부재(1701 및 170r)와의 사이로 들어간다. 또, 로크 해제 캠(210)은 프런트 리드(60)의 메인부(61)에 형성된 삽입 통과 절결(61c)로부터 프런트 리드(60)의 내측에 상대적으로 삽입되어 간다. 그리고, 리드 오프너(180)의 맞물림 돌기(181)가 프런트 리드(60)의 맞물림 오목부(61b)에 맞물리고, 또, 로크 해제 캠(210)의 경사부(211)를 리드 로크 부재(130)의 하단 원호면(135)이 미끄러져 올라가고, 이에 따라, 리드 로크 부재(130)가 도 16에서 보아 시계 회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맞물림 폴(132)의 슬라이더(80)의 슬라이드 돌기(82b)에의 맞물림이 풀린다. 따라서, 프런트 리드(60)의 폐색 위치에의 로크가 해제된다. 그리고, 리드 로크 부재(130)는 로크 해제 캠(210)으로부터 떨어지므로, 로크 해제 캠(210)은 깊은 위치까지 삽입 가능하여, 정지 위치에 관해 정밀도가 불필요하다.
또한, 테이프 카세트(10)가 카세트 홀더 내에 삽입되면, 즉, 도면 중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되면, 리드 오프너(180)는 회전단에 형성한 맞물림 돌기(181)가 화살표 A 방향으로 눌리므로, 도 17에서 보아 시계 회전 반대 방향, 즉, 도면 중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되며, 따라서, 상기 맞물림 돌기(181)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이 맞물림 돌기(181)와 맞물림 오목부(61b)가 맞물려 있는 프런트 리드(60)가 시계 회전 반대 방향, 즉, 도면 중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해 간다.
그리고, 슬라이더(80)는 프런트 리드(60)를 통해 리드 오프너(180)의 맞물림 돌기(181)에 의해 카세트 셸(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하는 힘을 받지만, 프런트 리드(60)의 규제면(64)이 카세트 셸(20)의 캠부(26)와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카세트 셸(20)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할 수 없어, 프런트 리드(60)만이 상방으로 회전해 간다. 그리고, 프런트 리드(60)에 형성한 로크 핀(68)이 리드 로크 부재(130)의 맞물림 오목부(133)에 맞물린다(도 17 참조).
그리고, 프런트 리드(60)가 최초의 상태(도 14에 나타낸 폐색 상태)로부터 화살표 B 방향으로 90°회전하면, 프런트 리드(60)의 규제면(64)과 카세트 셸(20)의 캠부(26)와의 맞물림이 풀려(도 18 참조), 슬라이더(80)가 카세트 셸(20)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또, 리드 로크 부재(130)는 맞물림 오목부(133)가 프런트 리드(60)의 로크 핀(68)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로크 핀(68)에 눌려 프런트 리드(60)와 함께 회전된다. 또, 이 도 18에 나타낸 상태에서, 지지 부재(1701, 170r)에 지지된 리드 누름 돌기(190)는 프런트 리드(60)의 메인부(61) 상단에 후방으로부터 근접한 상태로 된다.
도 18의 상태로부터 또한 테이프 카세트(10)를 카세트 홀더의 깊은 위치로, 즉,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프런트 리드(60)는 맞물림 오목부(61b)에 리드 오프너(180)의 맞물림 돌기(181)가 맞물려 있기 때문에, 프런트 리드(60) 및 이 프런트 리드(60)가 지지되고 있는 슬라이더(80)는 화살표 A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고, 그 장소에 놓이게 되는 형이 되므로, 슬라이더(80)가 프런트 리드(60)와 함께 카세트 셸(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백 리드(70)도 카세트 셸(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한다. 백 리드(70)는 바로 후방으로 이동하여 자기 테이프(30)로부터 이간되므로, 종래의 백 리드를 캠을 이용하여 경사 상후방(上後方)으로 이동시켜 자기 테이프로부터 이간시키는 것과 비교하여, 자기 테이프(30)를 감아 넣기 힘들어, 백 리드(70)에 의한 감아 넣기에 의해 자기 테이프(30)에 손상을 줄 우려가 없다. 또, 백 리드(70)를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판에 의해 슬라이더(80)와 일체로 형성했으므로, 백 리드(70)가 대전(帶電)되기 어려워, 정전기에 의해 자기 테이프(30)를 감아 넣어 버릴 우려가 없다. 그러므로, 소정의 장착 위치에의 장착 시에, 자기 테이프(30)가 가이드 등에 얹혀 버리는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전진 스토퍼인 테이프 인출부(22)의 각 전단면(22b, 22c, 22d)이 카세트 홀더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에 접촉한 곳이 테이프 카세트(10)의 카세트 홀더에의 삽입 완료 위치이다(도 19 참조).
이 삽입 완료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백 리드(70)는 마우스부(21)의 가장 깊은 위치까지 후퇴하고 있으며, 리브(71a)가 마우스부(21)의 깊은 위치에 형성된 오목 스트라이프(21a)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마우스부(21)의 깊이가 가능한 한 커진다. 또, 슬라이더(80)는 이동 범위의 후단에 위치하고 있지만, 상면부(81)는 좌우 방향으로 긴 오목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테이프 릴(40, 50)의 상측 플랜지나 카세트 셸(20)의 상면부를 투명한 재료로 형성해 두면, 자기 테이프(30)의 잔량을 시각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프런트 리드(60)의 측면부(62)에 형성한 투광공(69)이 카세트 셸(20)의 측면에 형성된 투광공(25c)과 일치한다. 그리고, 불사용 시에 있어서는, 카세트 셸(20)의 투광공(25c)은 슬라이더(80)의 측면부(82)에 의해 폐색되어 있어, 이 투광공(25c)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이 카세트 셸 내에 침입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테이프 카세트(10)는 카세트 홀더로부터 떠오르지 않도록, 하방으로 눌러 두는 것이 필요하지만, 이 경우, 금속제인 슬라이더(80)를 통해 테이프 카세트(10)를 하방으로 눌러 두도록 하면 된다. 이 경우, 슬라이더(80)를 누르는 부재를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하고, 이 부재를 카세트 홀더의 그라운드 부재와 접촉시켜 놓음으로써 백 리드(70)의 대전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프런트 리드(60)는 카세트 셸(20)의 상면에 탄성 접촉하기 때문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140)의 탄발력이 카세트 셸(20)을 카세트 홀더로부터 떠오르게 하도록 작용하는 일은 없다. 즉, 종래, 프런트 리드의 덮개 개방 상태는 기록/재생 장치측에 설치된 덮개 개방 부재에 의해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프런트 리드를 덮게 폐쇄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는 스프링의 탄발력이 상기 덮개 개방 부재에 작용하고, 그 반력이 카세트 셸을 카세트 홀더로부터 떠오르게 하도록 작용하고 있었지만, 상기 테이프 카세트(10)에 있어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40)의 탄발력은 프런트 리드(60)를 카세트 셸(20)의 상면에 탄력 접촉시키도록 작용할 뿐이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리드(60, 70)를 덮개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하는 암인 리드 오프너(180)라고 하는 간단한 구조를 사용하면서, 카세트 셸(20)에 캠부(26)를 형성하고, 이 캠부(26)를 프런트 리드(60)의 규제면(64)을 맞물리게 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먼저, 프런트 리드(60)가 덮개 개방 위치까지 회전하고, 이어서, 슬라이더(80)가 후퇴하여 백 리드(70)가 개폐 위치까지 이동한다고 하는, 순서 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순서 동작은 다른 구조에 의해서도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런트 리드의 회전 지점축에 대략 소판형(小判形)을 한 제어부(300)를 형성하고, 카세트 셸에 형성한 안내부(310)에 맞물리게 한다. 안내부(310)는 대경부(311)와 이 대경부(31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부(312)로 이루어지고, 덮개 폐쇄 상태에서는, 도 21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300)는 안내부(300)의 대경부(311) 내에 길이 방향이 수직 방향에 따르도록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어부(300), 즉, 프런트 리드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없다. 도 21 (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프런트 리드가 90°회전되면, 제어부(300)의 길이 방향이 수평 방향에 따르도록, 즉, 안내부(310)의 슬라이드부(312)가 연장되는 방향에 따르게 되므로, 제어부(300)는 안내부(310)의 슬라이드부(312)를 슬라이드하여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며(도 21 (B) 참조), 따라서, 프런트 리드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테이프 카세트(10)가 도시하지 않은 카세트 홀더에 상기한 삽입 완료 위치까지 삽입되면, 카세트 홀더가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통상은 하강)하여, 테이프 카세트(10)를 소정의 장착 위치에 장착한다.
테이프 카세트(10)가 소정의 장착 위치에 장착되면, 도시하지 않은 릴대가 릴대 삽입구(23)로부터 카세트 셸(20) 내에 침입하여 테이프 릴(40, 50)이 릴대에 탑재되는 동시에 릴대에 설치한 릴 맞물림축이 테이프 릴(40, 50)의 맞물림공에 맞물려, 마우스부(21)에 회전 헤드 드럼(220), 도시하지 않은 인출 가이드, 핀치 롤러 등이 삽입된다. 또, 차광통(25) 내에는 자기 테이프(30)의 시단(始端) 및 종단(終端)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의 발광부가 삽입되고, 이 센서의 수광부가 프런트 리드(60)의 상기 투광공(69)(카세트 셸(20)의 투광공(25c)과 겹치고 있음)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의 발광부와 수광부가 자기 테이프(30)를 사이에 두고 대향된다.
그리고, 인출 가이드나 핀치 롤러 등이 이동하여 자기 테이프(30)를 카세트 셸(20)로부터 인출하여, 자기 테이프(30)를 회전 헤드 드럼(220)에 소정의 감기각으로 감는 동시에 소정의 테이프 패스를 형성한다.
이 테이프 카세트(10)에 있어서는, 프런트 리드를 단지 상방으로 회전시켜 덮개를 여는 것 및 덮개를 열 때에 백 리드를 마우스부의 상측에 수납하는 타입의 것과 달리 마우스부(21)의 상방이 개방된다. 따라서, 회전 헤드 드럼(220)을 마우스부(2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위치시킬 (도 22 참조)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회전 헤드 드럼(220)의 경사각을 크게 하여 기록 트랙의 방위각을 크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록 트랙 간의 크로스토크(crosstalk)를 적게 하여 기록 밀도를 올릴 수 있다.
자기 테이프(30)에 대한 기록 또는 재생이 종료되면, 인출 가이드나 핀치 롤러 등의 부재가 마우스부 내로 이동하여, 한쪽의 테이프 릴(40)에 여분의 자기 테이프(30)가 감긴다.
그리고, 카세트 홀더가 상기 삽입 완료 위치까지 되돌아가고, 이어서, 테이프 카세트(10)가 꺼냄 방향, 즉, 도면 중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된다(도 25 참조).
테이프 카세트(10)가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되면, (1701), (170r)에 형성한 리드 누름 돌기(190)가 프런트 리드(60)의 메인부(61) 상단부의 양측을 상대적으로 화살표 C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누르고, 이에 따라, 프런트 리드(60) 및 슬라이더(80)(백 리드(70)도 함께)는 카세트 셸(20)의 전단 방향으로 향해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더(80)가 이동 범위의 전단에 달하면(도 26 참조), 프런트 리드(60)의 두꺼운 두께부(63)의 하단부(63a)가 카세트 셸(20)의 상면으로부터 떨어지므로, 프런트 리드(60)는 하방으로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되고, 리드 로크 부재(130), 로크 핀(68)을 통해 가해지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40)의 가압력에 의해, 프런트 리드(60)는 하방으로 회전하여 덮개 폐쇄 위치에 달하고, 전진해오고 있는 백 리드(70)와 협동하여 자기 테이프(30)를 덮는다. 그리고, 리드 로크 부재(130)의 맞물림 폴(132)이 슬라이더(80)의 슬라이드 돌기(82b) 상면에 맞물리고, 거기에서 또한 프런트 리드(60)가 덮개 폐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로크 핀(68)이 리드 로크 부재(130)의 맞물림 오목부(132)로부터 이간된다. 그리고, 테이프 카세트(10)는 도시하지 않은 카세트 홀더로부터 꺼내진다.
그리고, 카세트 셸(20)의 후단부에 형성된 돌부(29)는, 측방으로는 슬라이더(80)의 측면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돌출되어 있고, 테이프 카세트의 오토 체인저(automatic changer)를 사용하는 경우에, 체인저에 의한 손잡이부가 된다.
이상 기재한 것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테이프 카세트는 테이프형 기록 매체를 감은 테이프 릴을 내부에 수납한 카세트 셸에 이 카세트 셸의 전면에 노출되어 있는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전면측을 덮는 프런트 리드를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전면측을 덮는 덮개 폐쇄 위치와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전면측을 개방한 덮개 개방 위치와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한 테이프 카세트로서, 프런트 리드는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전면측을 덮는 메인부와 이 메인부의 사이드 에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 측면부를 가지고, 프런트 리드를 상기 덮개 폐쇄 위치에 로크하는 리드 로크 부재를 프런트 리드의 측면부 내면에 이 측면부의 내측에서 회전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는, 프런트 리드가 어떠한 자세로 되어도, 리드 로크 부재는 프런트 리드의 측면부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 외부에 노정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그러므로, 외부로부터 리드 로크 부재에 접촉할 수 없고, 따라서, 리드 로크 부재 및 이에 관련된 부재가 장난으로 손가락을 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는, 카세트 셸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를 설치하고, 이 슬라이더의 전단부에 상기 프런트 리드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했으므로, 프런트 리드를 개방 위치로 회전한 후,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는, 상기 리드 로크 부재는, 일단부에 형성된 맞물림 폴과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맞물림부 사이에서 맞물림으써 상기 프런트 리드를 덮개 폐쇄 위치에 로크하고, 리드 로크 부재는, 타단부가 기록/재생 장치에 설치된 로크 해제 캠의 캠면을 상대적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회전되어 상기 맞물림 폴이 슬라이더의 맞물림부로부터 풀리도록 했으므로, 리드 로크 부재와 로크 해제 캠과의 상대 위치를 엄밀히 규정하지 않아도, 리드 로크 부재를 확실하게 로크 해제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Claims (18)

  1. 테이프형 기록 매체를 감은 테이프 릴을 내부에 수납한 카세트 셸(shell)에 상기 카세트 셸의 전면(前面)에 노출되어 있는 상기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전면측을 덮는 프런트 리드(front lid)를 상기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전면측을 덮는 덮개 폐쇄 위치와 상기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전면측을 개방한 덮개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한 테이프 카세트로서,
    상기 프런트 리드는 상기 테이프형 기록 매체의 전면측을 덮는 메인부(main portion)와 상기 메인부의 사이드 에지(side edge)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측면부를 가지고, 상기 프런트 리드를 상기 덮개 폐쇄 위치에 로크(lock)하는 리드 로크 부재를 상기 프런트 리드의 측면부 내면에 상기 프런트 리드의 상기 측면부 내측에서 회전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셸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전단부에 상기 프런트 리드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테이프 카세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로크 부재는 일단부(一端部)에 형성된 맞물림 폴(pawl)과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맞물림부 사이에서 맞물림으로써 상기 프런트 리드를 덮개 폐쇄 위치에 로크하고, 상기 리드 로크 부재는, 타단부가 기록/재생 장치에 설치된 로크 해제 캠(cam)의 캠면을 상대적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회전되어 상기 맞물림 폴이 상기 슬라이더의 맞물림부로부터 풀리는 테이프 카세트.
  4. 제1항에 있어서,
    리드 로크 부재는 탄발(彈發) 부재에 의해 상기 프런트 리드를 상기 덮개 폐쇄 위치에 로크하도록 탄발 가압되어 있는 테이프 카세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로크 부재는 탄발 부재에 의해 상기 프런트 리드를 상기 덮개 폐쇄 위치에 로크하도록 탄발 가압되어 있는 테이프 카세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로크 부재는 탄발 부재에 의해 상기 프런트 리드를 상기 덮개 폐쇄 위치에 로크하도록 탄발 가압되어 있는 테이프 카세트.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 부재의 탄발력은 상기 리드 로크 부재 및 상기 프런트 리드의 측면부 내면에 설치된 상기 리드 로크 부재의 지지축을 통해 상기 프런트 리드를 상기 덮개 폐쇄 방향으로 가압하는 테이프 카세트.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 부재의 탄발력은 상기 리드 로크 부재 및 상기 프런트 리드의 측면부 내면에 설치된 상기 리드 로크 부재의 지지축을 통해 상기 프런트 리드를 상기 덮개 폐쇄 방향으로 가압하는 테이프 카세트.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 부재의 탄발력은 상기 리드 로크 부재 및 상기 프런트 리드의 측면부 내면에 설치된 상기 리드 로크 부재의 지지축을 통해 상기 프런트 리드를 상기 덮개 폐쇄 방향으로 가압하는 테이프 카세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리드의 측면부 내면에 로크 핀(lock pin)이 형성되고, 상기 프런트 리드가 상기 덮개 개방 위치로 향해 이동될 때 상기 로크 핀이 상기 리드 로크 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리드 로크 부재를 상기 프런트 리드와 함께 회전시키는 테이프 카세트.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리드의 측면부 내면에 로크 핀이 형성되고, 상기 프런트 리드가 상기 덮개 개방 위치로 향해 이동될 때 상기 로크 핀이 상기 리드 로크 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리드 로크 부재를 상기 프런트 리드와 함께 회전시키는 테이프 카세트.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리드의 측면부 내면에 로크 핀이 형성되고, 상기 프런트 리드가 상기 덮개 개방 위치로 향해 이동될 때 상기 로크 핀이 상기 리드 로크 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리드 로크 부재를 상기 프런트 리드와 함께 회전시키는 테이프 카세트.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리드의 측면부 내면에 로크 핀이 형성되고, 상기 프런트 리드가 상기 덮개 개방 위치로 향해 이동될 때 상기 로크 핀이 상기 리드 로크 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리드 로크 부재를 상기 프런트 리드와 함께 회전시키는 것을 테이프 카세트.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리드의 측면부 내면에 로크 핀이 형성되고, 상기 프런트 리드가 상기 덮개 개방 위치로 향해 이동될 때 상기 로크 핀이 상기 리드 로크 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리드 로크 부재를 상기 프런트 리드와 함께 회전시키는 테이프 카세트.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리드의 측면부 내면에 로크 핀이 형성되고, 상기 프런트 리드가 상기 덮개 개방 위치로 향해 이동될 때 상기 로크 핀이 상기 리드 로크 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리드 로크 부재를 상기 프런트 리드와 함께 회전시키는 테이프 카세트.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리드의 측면부 내면에 로크 핀이 형성되고, 상기 프런트 리드가 상기 덮개 개방 위치로 향해 이동될 때 상기 로크 핀이 상기 리드 로크 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리드 로크 부재를 상기 프런트 리드와 함께 회전시키는 테이프 카세트.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리드의 측면부 내면에 로크 핀이 형성되고, 상기 프런트 리드가 상기 덮개 개방 위치로 향해 이동될 때 상기 로크 핀이 상기 리드 로크 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리드 로크 부재를 상기 프런트 리드와 함께 회전시키는 테이프 카세트.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리드의 측면부 내면에 로크 핀이 형성되고, 상기 프런트 리드가 상기 덮개 개방 위치로 향해 이동될 때 상기 로크 핀이 상기 리드 로크 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리드 로크 부재를 상기 프런트 리드와 함께 회전시키는 테이프 카세트.
KR1020000028019A 1999-05-25 2000-05-24 테이프 카세트 KR100700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45534A JP2000339905A (ja) 1999-05-25 1999-05-25 テープカセット
JP99-145534 1999-05-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7401A true KR20000077401A (ko) 2000-12-26
KR100700679B1 KR100700679B1 (ko) 2007-03-27

Family

ID=15387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019A KR100700679B1 (ko) 1999-05-25 2000-05-24 테이프 카세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45778B1 (ko)
EP (1) EP1058258B1 (ko)
JP (1) JP2000339905A (ko)
KR (1) KR100700679B1 (ko)
CN (1) CN100334650C (ko)
DE (1) DE60012089T2 (ko)
HK (1) HK10337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9906A (ja) * 1999-05-25 2000-12-08 Sony Corp テープカセット及びテープカセットの組立方法
JP4370487B2 (ja) * 1999-11-17 2009-11-25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JP2001351358A (ja) * 2000-06-09 2001-12-21 Sony Corp テープカセット及びカセットホルダー
JP2007265541A (ja) * 2006-03-29 2007-10-11 Tdk Corp 情報媒体
EP3590382B1 (en) * 2018-07-03 2021-01-27 Samsonite IP Holdings S.ÀR.L. Identification tag for luggage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5989A (en) * 1982-03-10 1984-12-04 Hitachi Maxell, Ltd. Recording tape cassette
US4628389A (en) * 1983-09-13 1986-12-09 Tdk Corporation Lock member for the lid of a magnetic tape cassette
DE3580684D1 (de) * 1984-02-16 1991-0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Bandkassette fuer kurzzeitige aufnahme.
JPH0748288B2 (ja) * 1988-07-22 1995-05-24 ソニー株式会社 磁気テープカセット
CN1022145C (zh) * 1988-12-06 1993-09-15 株式会社Skc 磁带盒的盒盖锁定装置
US5084799A (en) * 1988-12-06 1992-01-28 Skc Limited Lid locking device for tape cassette
JP3239384B2 (ja) 1991-08-27 2001-12-17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JPH05242637A (ja) 1992-02-27 1993-09-21 Sony Corp テープカセット
JPH0668644A (ja) * 1992-06-19 1994-03-11 Sony Corp テープカセット
JPH06259920A (ja) * 1993-03-05 1994-09-16 Sony Corp テープカセット
JPH06295556A (ja) * 1993-04-09 1994-10-21 Canon Inc テープカセット
US5596464A (en) * 1993-10-12 1997-01-21 Sony Corporation Locking assembly for a lid member of a tape cassette
JPH07182827A (ja) * 1993-12-20 1995-07-21 Hitachi Maxell Ltd 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H10228748A (ja) * 1997-02-18 1998-08-25 Sony Corp テープカセ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339905A (ja) 2000-12-08
US6345778B1 (en) 2002-02-12
DE60012089D1 (de) 2004-08-19
DE60012089T2 (de) 2005-07-21
EP1058258A2 (en) 2000-12-06
HK1033781A1 (en) 2001-09-21
EP1058258A3 (en) 2002-05-08
CN1274927A (zh) 2000-11-29
EP1058258B1 (en) 2004-07-14
KR100700679B1 (ko) 2007-03-27
CN100334650C (zh) 200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8096B1 (ko) 테이프 카세트
EP0189324B1 (en) Cassette holder i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for magnetic tape cassette
JPH06500522A (ja) 磁気テープカセットの収容器
JP3710406B2 (ja) 記録テープカートリッジ
KR100700679B1 (ko) 테이프 카세트
JP3710405B2 (ja) 記録テープカートリッジ
EP1056088B1 (en) Tape cassette and tape cassette fabricating method
KR20000077412A (ko) 테이프 카세트
EP0793231B1 (en) Tape cartridge
KR100710400B1 (ko) 테이프 카세트
EP1058261A2 (en) Tape cassette an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2003157650A (ja) 記録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2003157649A (ja) 記録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3503327B2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2001319456A (ja) テープカセット
JP2005085380A (ja) 記録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2000339907A (ja) テープカセット
JP3550857B2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H06295556A (ja) テープカセット
JP2005025796A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2002015538A (ja) テープカセット
JP2002032974A (ja) テープカセット
JP2001332061A (ja) テープカセット
JPH06208774A (ja) テープカセット
JPH07122030A (ja) カセットとカセット装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