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7382A - 스피커 - Google Patents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7382A
KR20000077382A KR1020000027656A KR20000027656A KR20000077382A KR 20000077382 A KR20000077382 A KR 20000077382A KR 1020000027656 A KR1020000027656 A KR 1020000027656A KR 20000027656 A KR20000027656 A KR 20000027656A KR 20000077382 A KR20000077382 A KR 20000077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coil
coil bobbin
speaker
pole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7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지히라마사오
토쿠시게켄지
시노하라이쿠오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00077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738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Abstract

콘형(cone type) 진동판의 내주부에 음성코일보빈(voice coil bobbin)을 부착하는 동시에 이 음성코일보빈에 음성코일을 권취하고, 이 음성코일을 자기공간(magnetic gap)에 삽입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스피커에 있어서, 이 음성코일보빈을 도전성 재료로 형성하는 동시에 이 음성코일보빈에 음성코일을 연질의 접착제로 고정하고, 초고음역에 있어서 이 음성코일이 구동코일로서 동작하는 동시에 이 음성코일보빈이 쇼트코일(short coil)로서 동작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피커{Speake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70kHz까지의 초고음역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한 광대역 재생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은 구경, 예를 들면 39mm의 구경을 갖는 전대역 스피커는 1개의 콘형 페이퍼로 이루어진 진동판(diaphram)의 내주부에 음성코일보빈을 부착하는 동시에 이 음성코일보빈에 음성코일은 권취하고, 이 음성코일을 자기공간에 삽입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스피커에 있어서도, 초고음역음을 재생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고, 또 스피커에 의한 재생래인지는 음성코일의 중량이 크다는 이유에서 최대 40kHz까지가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70kHz까지의 초고음역을 재생할 수 있는 콘형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룩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콘형 진동판의 내주부에 음성코일보빈을 부착하는 동시에 이 음성코일보빈에 음성코일을 권취하고, 이 음성코일을 자기공간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음성코일보빈을 도전성 재료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음성코일보빈에 상기 음성코일을 연질의 접착제로 고정하고,
초고음역에 있어서, 상기 음성코일이 구동코일로서 동작하는 동시에 상기 음성코일보빈이 쇼트코일로서 동작하도록 하는 스피커를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음역, 중간음역, 고음역에 있어서, 40kHz까지는 통상의 스피커와 마찬가지로 이 음성코일에 의해 콘형 페이퍼로 이루어진 진동판을 구동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연질의 접착제에 의해 음성코일을 음성코일보빈에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초고음역에 있어서는 이 연질의 접착제에 의한 접착력이 저하하게 된다. 그 결과, 음성코일보빈과 음성코일은 서로 분리된 상태가 되며, 이 음성코일이 구동코일로서 동작하는 동시에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음성코일보빈이 쇼트코일로서 동작하는 전자기유도형 스피커를 구성한다. 따라서, 진동판은 매우 가벼운 음성코일보빈의 진동에 의해 구동하게 되고, 이 음성코일보빈으로부터 분리되기 전에 음성코일은 질량을 가지지 않게 됨으로써, 이 질량의 차이에 의해 예를 들면 70kHz까지의 초고음역를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피커에 사용되는 음성코일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피커의 일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피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스피커에 사용되는 음성코일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스피커부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20. 보호덮개 요크 2,4,21,23,26. 고리형 자석
3,22. 요크 3a,22a. 센터폴
3b,22b. 플랜지 5,24,27. 플래이트
6,25,28. 자기공간 7. 프레임
8. 진동판 11. 음성코일보빈
12. 음성코일 13. 보강테이프
29. 중저음용 음성코일 30. 중고음용 음성코일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 2의 예에 있어서, 고리형 저석(2)은 소정의 사이즈를 갖는 항아리형 보호덮개겸 요크(1)의 바닥부(1a)상에 두께방향으로 자화된 N극과 S극을 가지며, 고리형 자석(2)의 N극이 이 항아리형 보호덮개겸 요크(1)의 바닥부(1a)에 접하도록 하여 접착고정한다. 이 경우, 항아리형 보호덮개겸 요크(1)의 바닥부(1a)상에 설치된 자석가이드(1b)에 의해 이 고리형 자석(2)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요크(3)는 센터폴(3a)과 플랜지(3b)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방식으로 구성되며, 요크(3)가 고리형 자석(2)의 S극상에 고정됨으로써, 이 요크(3)의 플랜지(3b)의 바닥면은 S극에 대하여 접하게 된다.
또한, 고리형 자석(4)은 요크(3)의 플랜지(3b)상에 두께방향으로 자화되는 N극 및 S극을 가지며, 고리형 자석(4)은 S극이 요크(3)의 플랜지(3b)에 대하여 접하도록 접착고정된다. 이 경우, 이 요크(3)의 센터폴(3a)은 고리형 자석(4)을 통하여 관통하는 동시에 요크(3)의 플랜지(3b)상에 설치된 자석가이드(3c)에 의해 고리형 자석(4)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이 고리형 자석(4)의 N극상에 고리형 플래이트(5)를 접착고정함으로써, 이 플래이트(5)의 내주면과 센터폴(3a)의 외주면사이에 자기공간(6)을 형성을 형성하도록 한다. 또, 이 플래이트(5)의 외주면을 항아리형 보호덮개겸 요크(1)의 측벽의 상단의 내주면에 대하여 접하도록 한다.
이 경우, 이들 고리형 자석(2, 4)은 서로 역방향으로 자화되어 고리형 자석(2)이 캔슬자석으로 작용하도록 하고, 항아리형 보호덮개겸 요크(1)에 의해 고리형 자석(2, 4)의 외부 둘레를 덮고 있도록 함으로써, 자기보호형 스피커가 구성된다.
또한, 이 플래이트(5)의 상부면에 스피커 프레임(7)을 부착하고, 이 프레임(7)의 외주부에 외부 둘레에 에지(9)가 설치된 콘형 진동판(8)이 캐스킷(10)에 의해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음성코일보빈(11)은 진동판(8)의 내주부에 부착되며, 이 음성코일보빈(11)에 음성코일(12)을 권취하는 동시에 접착고정한다. 또한, 이 음성코일(12)을 플래이트(5)의 내주면과 요크(3)의 센터폴(3a)의 외주면사이에 형성된 자기공간(6)내에 삽입되도록 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코일보빈(11)이 도전성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 시트(얇은 막)로 형성되며, 이 음성코일보빈(11)의 전체 래인지는 도전(쇼트(short))상태에 있게 된다.
음성코일보빈(11)을 보강하는 보강테이프(13)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의 얇은 막으로 이루어진 음성코일보빈(11)의 외주표면에 권취되는 동시에 이 음성코일보빈(11)에 음성코일(12)을 권취하여 또한 그것에 접착고정한다. 도 1에서, 12a 및 12b는 각각 음성코일(12)의 음향신호를 공급하는 음성코일 인출선이다. 또한, 도면부호(17)는 카튼(cotton)으로 둘러싼 와이어를 나타내며, 카튼으로 둘러싼 와이어(17)는 일단이 음향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자(16)에 접속되며, 타단은 보강테이프(13)상에 접착고정된다. 2개의 카튼으로 둘러싼 와이어(17)의 타단은 각각 음성코일 인출선(12a, 12b)에 납땜된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음성코일(12)을 음성코일보빈(11)에 접착고정하기 위한 접착제로서 연질의 접착제를 사용한다. 이 연질의 접착제로서는 락니스(rock varnish)와 같은 알콜재활성의 접착제를 사용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코일(12)은 뎀퍼(damper)(14)에 의해 자기공간(6)내에 유지된다. 이 뎀퍼(14)로서는 나선형 뎀퍼가 사용되며, 예를 들면 직물에 합성수지를 함침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또한, 음성코일보빈(11)의 상부면을 덮기 위하여 방진(dustproof)용의 켑(15)을 설치한다.
스피커 프레임(7)의 소정 위치에 입력단자(16)를 설치하고, 이 입력단자(16)에 공급되는 음향신호를 카튼으로 둘러싼 와이어(17)를 통하여 음성코일(12)에 공급하도록 한다.
도 2에 나타낸 스피커에서는 고리형 자석(4)의 N극에서의 자속이 다음의 자기회로, 즉 고리형 자석(4)의 N극→ 플래이트(5)→ 자기공간(6)→ 요크(3)의 센터폴(3a)→ 플랜지(3b)→ 고리형 자석(4)의 S극을 통하여 흐른다.
또한, 고리형 자석(2)의 N극에서의 자속은 다음의 자기회로, 즉 고리형 자석(2)의 N극→ 보호덮개 및 요크(1)의 바닥부분(1a)→ 보호벽→ 플래이트(5)→ 자기공간(6)→ 요크(3)의 센터폴(3a)→ 플랜지(3b)→ 고리형 자석(2)의 S극을 통하여 흐른다.
따라서, 입력단자(16)로부터 음성코일(12)에 음향신호가 공급될 때에는 이 음향신호에 따라서 음성코일(12)이 구동되고 진동판(8)을 구동시킨다. 이 경우, 진동판(8)은 음성코일(12)에 의해 예를 들면 약 40kHz까지 구동된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음성코일보빈(11)을 도전성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 얇은 막(시트)으로 형성되고, 또 음성코일(12)은 연질의 접착제에 의해 음성코일보빈(11)에 고정된다. 예를 들면, 40kHz 이상의 초고음역에서는 이 연질의 접착제의 접착력이 저하하게 되며, 그 결과 음성코일보빈(11)과 음성코일(12)은 서로 분리된 상태가 된다. 이 때, 음성코일보빈(11)과 음성코일(12)은, 음성코일(12)이 구동코일로서 동작하고 알루미늄의 얇은 막으로 형성된 음성코일보빈(11)이 쇼트코일로서 동작하는, 전자기유도형 스피커를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진동판(8)은 단지 매우 가벼운 음성코일보빈(11)에 의해서만 진동하게 되며, 이 음성코일보빈(11)으로부터 분리되기 전의 음성코일(12)은 질량을 가지지 않는다. 이 질량의 차이에 의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음압레벨 주파수특성을 갖는 예를 들면 70kHz까지의 초고음역를 재생할 수 있는 스피커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다른 실시의 형태를 나타낸다. 도 4를 설명하는 경우에, 도 4에 있어서 도 2에 대응하는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나타낸 예에서, 고리형 자석(21)은 소정의 사이즈를 갖는 항아리형 보호덮개겸 요크(20)의 바닥부분(20a)의 중앙부분에 두께방향으로 자화된 N극과 S극을 가지며, 고리형 자석(21)은 항아리형 보호덮개겸 요크(20)의 바닥부분(20a)에 대하여 S극이 접하도록 접착고정된다.
요크(22)는 센터폴(22a)과 플랜지(22b)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며, 요크(22)의 플랜지(22b)의 바닥면이 N극에 대하여 접하도록 고리형 자석(21)의 N극상에 고정된다.
또한, 고리형 자석(23)은 요크(22)의 플랜지(22b)상에 두께방향으로 자화된 N극 및 S극을 가지며, S극이 요크(22)의 플랜지(22b)에 대하여 접하도록 접착고정된다. 이 경우, 요크(22)의 센터폴(22a)은 고리형 자석(23)을 통하여 관통하는 동시에, 이 요크(22)의 플랜지(22b)에 설치된 자석가이드(22c)에 의해 이 고리형 자석(23)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고리형 플래이트(24)는 고리형 자석(23)의 N극상에 접착고정하는 동시에 이 플래이트(24)의 내주면과 센터폴(22a)의 외주면사이에 자기공간(25)을 형성하도록 한다.
또, 고리형 자석(26)은 플래이트(24)상의 두께방향으로 자화된 N극 및 S극을 가지며, 상기 N극이 플래이트(24)에 대하여 접하도록 접착고정된다. 이 경우, 이 고리형 자석(26)을 통하여 이 요크(22)의 센터폴(22a)이 관통하도록 한다. 이들 고리형 자석(26, 23)은 서로 역방향으로 자화된 것이다.
고리형 플래이트(27)는 고리형 자석(26)의 S극상에 접착고정되는 동시에 이 플래이트(27)의 내주면과 센터폴(22a)의 외주면사이에 자기공간(28)을 형성하도록 된다. 이 경우, 플래이트(27)의 내주측은 자기공간(28)의 자속이 집속되도록 뾰족하게 되어 있다. 더욱이, 이 플래이트(27)의 외주면은 항아리형 보호덮개겸 요크(1)의 측벽의 상단의 내주면에 대하여 접하게 된다.
이 경우, 고리형 자석(21, 23, 26)의 각 자속은 보호덮개겸 요크(20, 22)와 플래이트(24, 27)를 통하여 흐른다. 따라서, 자속의 누설이 저감하게 되고, 자기보호형 스피커가 구성된다.
또한, 이 플래이트(27)의 상부면에 스피커 프레임(7)을 부착하고, 이 프레임(7)의 외주에 에지(9)가 설치된 콘형 진동판(8)의 외주부를 캐스킷(10)에 의해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음성코일보빈(11)은 진동판(8)의 내주부에 부착되고, 중저음용의 음성코일(29)과 중고음용의 음성코일(30)이 각각 음성코일보빈(11)에 권취되는 동시에 그것에 접착고정된다. 이 중저음용의 음성코일(29)은 플래이트(24)의 내주면과 요크(22)의 센터폴(22a)의 외주면사이에 형성된 자기공간(25)내에 삽입된다. 한편, 중고음용의 음성코일(30)은 플래이트(27)의 내주면과 요크(22)의 센터폴(22a)의 외주면사이에 형성된 자기공간(28)내에 삽입된다.
도 4의 예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코일보빈(11)은 도전성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의 얇은 막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이 음성코일보빈(11)의 전체 영역이 도통(쇼트)상태가 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음성코일보빈(11)의 외주면에 이 음성코일보빈(11)을 보강하는 보강테이프(reinforcing tape)(13)를 권취하도록 하는 동시에, 이 음성코일보빈(11)에 각각 중저음용 음성코일(29) 및 중고음용 음성코일(30)을 권취하고, 그것에 접착고정한다. 이 도 5에 있어서, 도면부호(29a 및 29b)는 중저음용 음성코일(29)의 음향신호 공급용의 음성코일 인출선이며, 도면부호(30a 및 30b)는 중고음용 음성코일(30)의 음향신호 공급용의 음성코일 인출선이다.
도 4 및 도 5의 예에 있어서, 이 음선코일보빈(11)에 중저음용 음성코일(29) 및 중고음용 음성코일(30)을 접착고정시키는 접착제(bonding agent)로서는 연질의 접착제를 사용한다. 이 연질의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락니스 (rock varnish) 등의 알콜재활성의 접착제를 사용한다.
또한, 도 4의 예에 있어서, 중저음용 음성코일(29) 및 중고음용 음성코일(30)은 뎀퍼(damper)(14)의 사용에 의해 각각 자기공간(25, 28)내에 유지된다. 또, 이 음성코일보빈(11)의 상면을 덮기 위해서는 방진용의 캡(15)을 설치한다.
또, 스피커의 프레임(7)의 소정위치에 입력단자(16a 및 16b)를 설치하고, 이 입력단자(16a 및 16b)에 공급되는 음향신호를 카튼으로 감싼 와이어(17a)를 통하여 중저음용 음성코일(29)에 공급하도록 하는 동시에, 입력단자(16b)에 공급되는 음향신호를 카튼으로 감싼 와이어(17b)를 통하여 중고음용 음성코일(30)에 공급하도록 한다.
이 경우, 자기공간(25 및 28)의 각 자속의 방향이 서로에 반대이며, 이러한 이유로, 이 입력단자(16a 및 16b)에 공급되는 음향신호는 서로에 역극성으로 되고, 입력단자(16b)에는 저역커트(low-pass cut) 필터를 구성하는 콘덴서를 통하여 이 음향신호를 공급하도록 한다. 또, 이 경우 중저음용 음성코일(29) 및 중고음용 음성코일(30)의 권취방향을 서로에 반대로 하여 같은 극성을 갖는 음향신호를 공급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4의 나타낸 스피커에 있어서는 고리형 자석(21)의 N극에서의 자속은 다음의 자기회로, 즉
고리형 자석(21)의 N극→ 요크(22)의 플랜지(22b)→ 센터폴(22a)→ 자기공간(28)→ 플래이트(27)→ 보호덮개 및 요크(20)의 측벽→ 바닥부(20a)→ 고리형 자석(21)의 S극의 자기회로를 통하여 흐른다.
또, 고리형 자석(23)의 N극에서의 자속은 다음의 자기회로, 즉
고리형 자석(21)의 N극→ 플래이트(24)→ 자기공간(25)→ 요크(22)의 센터폴(22a)→ 플랜지(22b)→ 고리형의 자석(23)의 S극의 자기회로를 흐른다.
고리형 자석(26)의 N극에서의 자속은 다음의 자기회로, 즉
고리형 자석(26)의 N극→ 플래이트(24)→ 자기공간(25)→ 요크(22)의 센터폴(22a)→ 자기공간(28)→ 플래이트(27)→ 고리형 자석(26)의 S극의 자기회로를 흐른다.
따라서, 입력단자(16a 및 16b)로부터 각각 중저음용 음성코일(29) 및 중고음용 음성코일(30)에 고, 중, 저음역의 음향신호를 공급할 때에는 이 음향신호에 따라서 중저음용 음성코일(29) 및 중고음용 음성코일(30)을 구동하고, 이것에 의해 진동판(8)을 구동한다. 이 경우, 이 중저음용 음성코일(29) 및 중고음용 음성코일(30)에 의한 진동판(8)의 구동은 예를 들면 40kHz정도까지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음성코일보빈(11)을 예를 들면 알루미늄의 얇은 막(시트(sheet))으로 이루어진 도전성 재료로 구성하고, 또한 연질의 접착제에 의해 음성코일보빈(11)에 중저음용 음성코일(29) 및 중고음용 음성코일(30)을 고정시킨다. 예를 들면, 40kHz 이상의 초고음역의 음향신호가 공급될 때에는 이 연질의 접착제에 의한 접착력이 저하하게 되고, 그 결과 음성코일보빈(11)과 이 음성코일(29 및 30)은 서로 분리된 상태가 된다. 이 때, 음성코일보빈(11)과 이 음성코일(29 및 30)은, 음성코일(29 및 30)이 구동코일로서 동작하는 동시에 예를 들면 알루미늄의 얇은 막으로 이루어진 음성코일보빈(11)이 쇼트코일로서 동작하는, 전자기유도형의 스피커를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진동판(8)은 매우 가벼운 음성코일보빈(11)에 의해서만 진동하게 되므로, 이 질량의 차이에 의해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음압레벨 주파수특성을 갖는, 예를 들면 70kHz까지의 초고음역까지 재생할 수 있는 스피커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4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70kHz까지의 초고음역까지 재생할 수 있는 광대역 재생 스피커를 소형의 스피커박스(40)에 부착된 구성인 위상반전형의 스피커장치를 나타낸다. 이 도 6의 예를 설명하는 경우에, 이 도 6에 있어서, ABS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대략 직방체의(rectangular) 박스로 형성된 스피커박스(40)의 전면에 설치한 배플판(baffle plate)(41)에 형성된 스피커 방음구멍(41a)에 대향하여 이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은 스피커를 고정한다.
또, 스피커박스(40)의 외부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입력단자(42)에서 음향신호를 접속선(43, 44)를 통하여 스피커의 입력단자(16a, 16b)에 공급하고, 이 입력단자(16a)에서의 음향신호를 카튼으로 감싼 와이어(17a)를 통하여 중저음용 음성코일(29)에 공급하는 동시에 이 입력단자(16b)로부터 얻어지는 음향신호를 카튼으로 감싼 와이어(17b)를 통하여 중고음용의 음성코일(30)에 공급하도록 한다.
또, 배플판(41)의 스피커 방음구멍(sound radiation hole)(41a)의 동일면에 개구(45a)를 갖는 도관(duct)(45)을 설치함으로써, 스피커의 진동판(8)의 배면에서 생성된 음의 위상을 반전하여, 이 도관(45)으로부터 스피커박스(40)의 밖으로 방사하도록 한다.
이 경우, 이 스피커의 진동판(8)의 배면에서 생성된 음의 위상을 반전하여, 이 도관(45)으로부터 스피커박스(40)의 밖으로 방사함으로써, 이 진동판(8)의 전면에서 생성되는 음의 저음역을 넓게 할 수 있다.
이 실시의 형태에 의한 스피커장치에 의하면, 소형으로 예를 들면 70kHz까지의 초고음역까지 재생할 수 있는 광대역 재생의 스피커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그 외의 각종의 구성이 얻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는 바,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의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실행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성코일보빈을 예를 들면 알루미늄의 얇은 막으로 이루어진 도전성 재료로 구성하는 동시에 음성코일보빈에 연질의 접착제에 의해 음성코일을 고정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40kHz 이상의 초고음역의 음향신호가 공급될 때에는 이 연질의 접착제에 의한 접착력이 저하하고, 음성코일보빈과 이 음성코일과 분리된 상태가 되며, 이 음성코일이 구동코일로서 동작하는 동시에 예를 들면 알루미늄의 얇은 막으로 이루어진 음성코일보빈이 쇼트코일로서 동작하는 전자기유도형의 스피커를 구성하고, 매우 경량의 음성코일보빈에 의해서만 진동판을 진동하는 것이 되며, 이 질량의 차이에 의해 예를 들면 70kHz까지의 초고음역까지 재생할 수 있는 스피커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콘형 진동판의 내주부에 음성코일보빈을 부착하는 동시에 이 음성코일보빈에 음성코일을 권취하고, 이 음성코일을 자기공간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음성코일보빈을 도전성 재료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음성코일보빈에 상기 음성코일을 연질의 접착제로 고정하고,
    초고음역에 있어서, 상기 음성코일이 구동코일로서 동작하는 동시에 상기 음성코일보빈이 쇼트코일로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KR1020000027656A 1999-05-26 2000-05-23 스피커 KR200000773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46771A JP2000341789A (ja) 1999-05-26 1999-05-26 スピーカ
JP99-146771 1999-05-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7382A true KR20000077382A (ko) 2000-12-26

Family

ID=15415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656A KR20000077382A (ko) 1999-05-26 2000-05-23 스피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42617B1 (ko)
EP (1) EP1056311A2 (ko)
JP (1) JP2000341789A (ko)
KR (1) KR20000077382A (ko)
CN (1) CN1275876A (ko)
SG (1) SG82078A1 (ko)
TW (1) TW4635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99919B1 (fr) * 1999-10-19 2002-10-11 Sagem Actionneur a aimant permanent et bobine electrique d'excitation, notamment haut-parleur de telephone mobile
US20040190747A1 (en) * 2001-07-23 2004-09-30 Toshio Chikama Magnetic shielding of loud speaker sensing coil
AU2003247106A1 (en) * 2002-07-31 2004-02-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acoustic transducer with built in transducer circuit
GB0221995D0 (en) * 2002-09-21 2002-10-30 Kh Technology Corp Improvements in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US6996247B2 (en) * 2002-11-05 2006-02-07 Step Technologies, Inc. Push-push multiple magnetic air gap transducer
US20040131223A1 (en) * 2003-01-06 2004-07-08 Stiles Enrique M. Electromagnetic transducer having a hybrid internal/external magnet motor geometry
US7006654B2 (en) * 2003-02-07 2006-02-28 Step Technologies, Inc. Push-pull electromagnetic transducer with increased Xmax
US7227970B2 (en) * 2004-02-26 2007-06-05 Step Technologies Inc. Shorting ring fixture for electromagnetic transducer
US20060188120A1 (en) * 2005-02-23 2006-08-24 Michael Fisher Multiple active coil speaker
US7362168B2 (en) * 2005-05-05 2008-04-22 Audera International Sales Inc. Audio amplifier
US20070297639A1 (en) * 2006-06-21 2007-12-27 Noll Michael A Multiple magnet loudspeaker
US8009857B2 (en) 2007-02-15 2011-08-30 Wisdom Audio Corp. Induction motor for loudspeaker
WO2008156844A1 (en) * 2007-06-20 2008-12-24 Hpv Technologies Llc Configurations and methods for broadband planar magnetic induction transducers
CN102741630B (zh) * 2010-02-13 2016-03-16 纽文迪斯公司 合成射流喷射器及辅助其大批量生产的设计
US20170280248A1 (en) * 2014-10-01 2017-09-2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Magnetic circuit and loudspeaker using same
US11184712B2 (en) * 2015-05-19 2021-11-23 Bose Corporation Dual-field single-voice-coil transducer
CN204733374U (zh) * 2015-06-23 2015-10-28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扬声器
US9668060B2 (en) * 2015-08-04 2017-05-30 Curtis E. Graber Transducer
US11172308B2 (en) 2015-08-04 2021-11-09 Curtis E. Graber Electric motor
US10375479B2 (en) * 2015-08-04 2019-08-06 Curtis E. Graber Electric motor
US10634130B2 (en) * 2016-09-07 2020-04-28 Sung Won Moon Compact voice coil driven high flow fluid pumps and methods
KR102035637B1 (ko) * 2018-04-26 2019-10-23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자석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석 모듈 어셈블리
CN109218933B (zh) * 2018-08-04 2021-06-15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微型发声器件
US20200128331A1 (en) * 2018-10-22 2020-04-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ibration reduction moving coil speaker
EP3922040A1 (fr) 2019-02-06 2021-12-15 Oltramare, Michel Systeme de refroidissement de la bobine fixe d'un moteur inductif
EP4094451A1 (en) * 2020-01-21 2022-11-30 Clean Energy Labs, LLC Electroacoustic drivers and loudspeakers containing same
WO2021205295A1 (fr) 2020-04-08 2021-10-14 OLTRAMARE, Michel Haut-parleur inductif a double flux magnetique axia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9035A (en) * 1983-05-23 1984-10-23 Philippbar Jay E Ceramic voice coil assembly
JPS6175696U (ko) * 1984-10-23 1986-05-21
DE3844702A1 (de) * 1988-09-15 1991-04-25 Filip Keller Elektro-wandler fuer lautsprecher und anderes
EP0409429A3 (en) * 1989-07-19 1992-03-18 Sony Corporation Loudspeaker drive unit
JP2940588B2 (ja) * 1993-04-19 1999-08-25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ボイスコイルの構造
JPH09238389A (ja) * 1996-02-29 1997-09-09 Sony Corp スピー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75876A (zh) 2000-12-06
EP1056311A2 (en) 2000-11-29
TW463512B (en) 2001-11-11
US6542617B1 (en) 2003-04-01
SG82078A1 (en) 2001-07-24
JP2000341789A (ja) 200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77382A (ko) 스피커
EP1257148A2 (en) Loudspeaker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6587571B1 (en) Speaker
JP2000152381A (ja) 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装置
JPH08317489A (ja) スピーカ装置
JP3168750B2 (ja) スピーカ装置
JP2007318346A (ja) スピーカ装置の製造方法、スピーカ装置、およびスピーカ装置の組立治具
JP2000165989A (ja) 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装置
JP2000188798A (ja) 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装置
KR20010042970A (ko) 스피커 및 스피커장치
JP2000253490A (ja) 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装置
JP2000278792A (ja) 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装置
JP2000197189A (ja) スピ―カ及びスピ―カ装置
JP2000261888A (ja) 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装置
JPH1141685A (ja) スピーカ装置
JPH11155194A (ja) スピーカー装置
JP2000354295A (ja) スピーカ
JP2000175294A (ja) 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装置
JP2000308183A (ja) スピーカ装置
JP2000165991A (ja) 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装置
JP2000350289A (ja) スピーカ
JPH0984187A (ja) スピーカ
JP2000188797A (ja) スピーカ
JP2000069586A (ja) スピーカ
JP2000059886A (ja) スピー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