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2970A - 스피커 및 스피커장치 - Google Patents

스피커 및 스피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2970A
KR20010042970A KR1020007011800A KR20007011800A KR20010042970A KR 20010042970 A KR20010042970 A KR 20010042970A KR 1020007011800 A KR1020007011800 A KR 1020007011800A KR 20007011800 A KR20007011800 A KR 20007011800A KR 20010042970 A KR20010042970 A KR 20010042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speaker
magnetic
ring magnet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1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지히라마사오
야마기시마코토
미즈우치타카유키
시노하라이쿠오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05082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253490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08656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278792A/ja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10042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297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04R9/063Loudspeakers using a plurality of acoustic dr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9/00Details of transducers of the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covered by H04R9/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9/022Aspects regarding the stray flux internal or external to the magnetic circuit, e.g. shielding, shape of magnetic circuit, flux compensation coils

Abstract

간단한 구성으로 자기실드형의 스피커를 얻는 동시에 마그넷의 자기력을 유효하게 이용하도록 하고 진동판(6)을 구동하는 자기력을 증대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피커 및 스피커장치{Speaker and speaker apparatus}
종래, 소형의 스피커(17)로서, 도 11에 나타내는 것같은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스피커는 도 11에 나타내는 것같이, 상하 방향으로 N극 및 S극이 착자된 링형 마그넷(1)과, 이 링형 마그넷(1)을 끼우는 것같이 부착된 링형의 플레이트(2) 및 센터폴(3a)과 플랜지(3b)를 일체로 성형된 요크(3)를 설치하고, 이 플레이트(2)의 내주면과 이 요크(3)의 센터폴(3a)의 외주면과 사이에 자기공극(4)을 형성한다.
또, 플레이트(2)에는 스피커의 프레임(5)이 부착되고, 진동판(6)의 외주부에는 에지(7)가 설치되고, 이 에지(7)에 의해 콘형의 진동판(6)의 외주부가 프레임(5)에 유지되어 있다. 부호(8)는 가스켓이다.
한편, 진동판(6)의 내주부에 보이스코일 보빈(9)이 부착되어 있고, 이 보이스코일 보빈(9)에는 보이스코일(10)이 권장되고, 이 보이스코일(10)은 플레이트(2) 및 요크(3)의 센터폴(3a)에 의해 형성된 자기공극(4) 내에 삽입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11에 있어서, 부호(11)는 보이스코일(10)을 이 자기공극(4) 내에 유지하기 위한 댐퍼이다. 이 댐퍼(11)로서 예를 들면 포지에 합성수지를 함침시킨 소용돌이형 댐퍼를 사용한다.
또, 부호(12)는 입력단자를 나타내고, 이 입력단자(12)로부터의 음향신호를 금사선(13)을 거쳐서 보이스코일(10)에 공급하는 것같이 한다. 부호(14)는 보이스코일 보빈(9)의 상면을 덮는 더스트침입 방지용의 캡이다.
이런 도 11에 나타내는 것같은 스피커(17)에 있어서는, 링형 마그넷(1)→플레이트(2)→자기공극(4)→요크(3)의 센터폴(3a)→플랜지(3b)→링형 마그넷(1)과 자기회로를 구성하고, 이 보이스코일(10)에 음향신호를 공급함으로써, 프레밍의 왼손 법칙에 의해, 이 자기공극(4) 내에서 이 보이스코일(10)을 구동하고, 이것에 의해 진동판(6)을 구동하여, 이 진동판(6)에서 음을 방사한다.
이런 스피커는 상술한 자기회로를 구성하는바, 이 플레이트(2)와 요크(3)의 플랜지(3b)와는 극성은 다르므로, 이 플레이트(2)에서 요크(3)의 플랜지(3b)에 직접 자속이 흐르는 누설자속을 발생시키고, 이 링형 마그넷(1)의 자기력의 1/3 정도밖에 진동판(6)을 구동하는데 이용하고 있지 않는 불편이 있었다.
이런 누설자속을 없애도록 한 스피커로서, 도 12에 나타내는 것같은 캔슬 마그넷을 이용한 스피커가 제안되어 있다. 이 도 12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도 11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도 12에 있어서는, 도 11의 요크(3)의 플랜지(3b)의 하면 외주근방에 주 구동용의 링형 마그넷(1)과 반대방향으로 착자된 링형의 캔슬 마그넷(15)을 부착하고, 다시 플레이트(2)에서 이 캔슬 마그넷(15)을 덮는 형태로 유저원통형의 실드커버(16)를 부착하여 누설자속을 없애도록 하고 있다. 기타는 도 11과 동일하게 구성한다.
이런 도 12에 나타내는 것같은 스피커(17)에 있어서는, 자기실드형으로 하기 위해 캔슬 마그넷(15)을 필요로 하고, 이 캔슬 마그넷(15)은 주된 링형 마그넷(1)과 역극성에 착자(着磁)하여, 이 주된 링형 마그넷(1)의 후면에 접착하고, 그 위에 또 자기실드커버(16)를 설치할 필요가 있고, 이 자기회로 구성이 크게 되는 동시에, 자기실드형의 스피커의 진동판(6)을 구동하는 자기공극(4)의 자기력(자속)이 그다지 증대하지 않는, 예를 들면 1, 2배 정도밖에 증대하지 않고, 이 2개의 마그넷(1 및 15)의 자기력의 1/5 정도밖에 이 진동판(6)의 구동에 사용되어 있지 않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런 점에 감안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마그넷의 자기력을 유효하게 이용하도록 하고, 진동판을 구동하는 자기력(자속)을 증대하고, 또 하나의 마그넷으로 방자효과를 얻도록 한 스피커 및 스피커장치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소형 스피커에 적용하기에 바람직한 스피커 및 스피커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피커의 실시형태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스피커의 실시형태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스피커의 실시형태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피커의 서브플레이트의 부착방법 및 자기회로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스피커의 실시형태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스피커의 실시형태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스피커의 실시형태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스피커의 실시형태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스피커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스피커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스피커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스피커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프레임 6. 진동판
9. 보이스코일 보빈 10,10a,10b. 보이스코일
11. 댐퍼 14. 캡
17b,17c,17d,17e,17f,17g,17h. 스피커
20. 항아리형 요크 20a,31a. 저면요크
20b,31b. 측벽요크 21,23,30. 링형 마그넷
22. 요크 22a. 센터폴
22b. 플랜지 24,26. 플레이트
25,27. 자기공극
본 발명의 스피커는 센터폴과 링형 마그넷으로 형성된 외자형의 자기회로와, 프레임 내에 형성한 진동계로 구성된 스피커이며, 자기회로를 위요하는 요크와 프레임을 일체로 구성시킨 프레임겸용 요크를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과 자기회로를 위요(圍繞)하는 측벽요크를 일체로 구성시켰으므로, 프레임과 실드커버의 부착작업의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고, 하나의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마그넷으로 방자형의 스피커 및 스피커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하나 또는 2개의 링형 마그넷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제 1자기공극 상에 다시 서브플레이트를 설치하는 것으로, 하나 또는 2개의 마그넷의 총기자력의 이용율이 향상하고, 총기자력을 유효하게 이용 가능하고, 감도 및 음질이 향상 가능한 스피커 및 스피커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자기공극과 제 2자기공극을 구성하는 서브플레이트사이에 비자성의 링형의 기밀부재를 개재시켰으므로, 보이스코일의 내외경에 의한 공기박류저항을 증대시켜서 스피커의 최저 공진주파수에 있어서의 공진예도(Q)를 작게하여 소형의 스피커로 저역의 확대를 용이하게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스피커는 저면요크 및 측벽요크로 이루는 항아리형 요크의 저면요크 상에 배치한 제 1링형 마그넷과, 이 제 1링형 마그넷 상에 배치한 센터폴과 플랜지가 일체로 성형된 요크와, 이 요크의 플랜지 상에 배치한 이 제 1링형 마그넷과 같은 방향으로 착자된 제 2링형 마그넷과, 이 제 2링형 마그넷 상에 내주면과 이 센터폴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제 1자기공극을 형성하는 것같이 배치한 제 1플레이트와, 이 센터폴의 외주면과 내주면과의 사이에 제 2자기공극을 형성하는 동시에, 외주연부를 이 항아리형 요크의 측벽요크의 상단부에 연속하는 것같이 배치한 제 2플레이트를 가지며, 이 제 1 및 제 2자기공극의 양편 또는 어느 한편에서 진동판을 구동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및 제 2링형 마그넷의 각각의 N극으로부터의 자속은, 제 1 및 제 2플레이트, 저면요크 및 측벽요크로 이루는 항아리형 요크, 센터폴 및 플랜지가 일체로 성형된 요크를 통과하여, 이 제 1 및 제 2링형 마그넷의 각각의 S극으로 되돌아가는 자기회로를 구성함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자기실드형의 스피커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및 제 2자기공극에 각각 제 1 및 제 2링형 마그넷으로부터의 동방향의 자속이 흐르고, 이 제 1 및 제 2자기공극에 각각 종래에 비하여, 예를 들면 2배의 자기력이 얻어지고, 이 제 1 및 제 2자기공극의 어느 한편에서 진동판을 구동하였을 때에는, 예를 들면 종래의 2배의 자기력으로 구동하게 되고, 또 이 제 1 및 제 2자기공극의 양편에서 진동판을 구동하였을 때에는, 예를 들면 종래의 4배의 자기력으로 구동하게 되고, 이 진동판을 구동하는 제 1 및 제 2링형 마그넷의 자기력의 유효이용이 증대하고, 감도 및 음질이 향상하는 동시에 스피커의 저음의 최저 공진주파수에 있어서의 공진예도(Q)를 작게할 수 있고, 소형의 스피커박스를 사용하였을 때의, 저음의 재생대역을 확대할 수 있는 스피커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저면요크 및 측벽요크로 이루는 항아리형 요크와, 이 항아리형 요크의 저면요크 상에 배치한 제 1링형 마그넷과, 이 제 1링형 마그넷 상에 배치한 제 1링형 마그넷과는 역방향으로 착자된 제 2링형 마그넷과, 이 제 2링형 마그넷 상에, 내주면과 이 센터폴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제 1자기공극을 형성하는 것같이 배치한 제 1플레이트와, 이 센터폴의 외주면과 내주면과의 사이에 제 2자기공극을 형성하는 동시에, 외주연부를 이 항아리형 요크의 측벽요크의 상단부에 연소하는 것같이 배치한 제 2플레이트를 가지며, 이 제 1 및 제 2자기공극에서 진동판을 구동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및 제 2링형 마그넷이 서로 역극성이며, 또 이 제 1 및 제 2링형 마그넷의 각각의 N극으로부터의 자속은, 제 1 및 제 2플레이트, 저면요크 및 측벽요크로 이루는 항아리형 요크, 센터폴 및 플랜지가 일체로 성형된 요크를 통과하여, 이 제 1 및 제 2링형 마그넷의 각각의 S극으로 되돌아가는 자기회로를 구성함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자기실드형의 스피커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자기공극에 제 2링형 마그넷으로부터의 자속이 흐르고, 제 2자기공극에 제 1링형 마그넷으로부터의 자속이 흐르고, 이들 제 1 및 제 2자기공극의 각각에 각각 종래와 같은 자기력이 얻어지고, 이 제 1 및 제 2자기공극에서 진동판을 구동함으로, 이 진동판을 예를 들면 종래의 2배의 자기력으로 구동하게 되고, 이 진동판을 구동하는 제 1 및 제 2링형 마그넷의 자기력의 유효이용이 증대하고, 감도 및 음질이 향상하는 동시에 스피커의 저음의 최저 공진주파수에 있어서의 공진예도(Q)를 작게할 수 있고, 소형의 스피커박스를 사용하였을 때의, 저음의 재생대역을 확대할 수 있는 스피커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피커의 실시형태의 일 예를 도 1 내지 도 8에 의해 설명한다. 이하, 도면에 있어서 도 11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나타낸다.
도 1의 스피커(17b)는 깔때기형의 프레임(5)과 유저(有底)원통형의 실드부를 형성하는 저면요크(31a)와 측벽요크(31b)를 금속부재로 일체로 성형하여, 저면요크(31a)의 중앙위치에 투명공(31c)을 뚫도록 되어 있다. 저면요크(31a)에 뚫은 투명공(31c)과 동심원형으로 마그넷 가이드(31d)를 단형으로 형성한다.
이 저면요크(31a)에 형성한 투명공(31c)에 센터폴(22a)과 플랜지(22b)가 대략 역T자형으로 일체로 성형된 요크(22)의 플랜지(22b)가 저면요크(31a)의 이면측에 당접하기까지 센터폴(22a)을 삽통시켜서 플랜지(22b)의 상면을 저면요크(31a)에 접착 고정한다.
실드부를 형성하는 유저원통형의 저면요크(31a)의 마그넷 가이드(31d)를 단부에 링형 마그넷(23)의 내경부를 끼워맞춰서, 저면요크(31a) 상에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접합한다.
링형 마그넷(23)은 상하의 두께방향에 N극 및 S극과 착자되어, 원통형의 측벽요크(31b)의 내경에서 소경의 외경으로 이루고 있다.
이 링형 마그넷(23)의 N극 상에 링형의 플레이트(24)를 접착 고정하는 동시에, 이 플레이트(24)의 내주면과 요크(22)의 센터폴(22a)과의 사이에서 제 1자기공극(25)을 형성한다.
또, 본 예의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는, 측벽요크(31b)의 상단부에 연속하여 링형의 서브플레이트(26)를 설치한다. 이 경우, 이 플레이트(26)의 내경부와 요크(22)의 센터폴(22a)의 외주면과의 사이에서 제 2자기공극(27)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플레이트(26)의 외주연부를 측벽요크(31b)의 상단부 또는 측벽부에 연속하는 것같이 한다. 본 예에서는, 이 서브플레이트(26)를 측벽요크(31b)와 일체화하는 경우에, 도 1 혹은 도 4b에 나타내는 것같이, 서브플레이트(26)는 링형 원판의 주변부를 상편으로 절곡하여 원통형부(26a)로 이루고, 이 원통형부(26a)를 측벽요크(31b)의 내경내에 끼워붙여서, 스폿용접 등으로 측벽요크(31b)와 일체화하도록 고정한다. 도 3과 같이 서브플레이트(26)를 구성하면 제 1링형 마그넷(23) 및 후술하는 제 1링형 마그넷(30)의 두께방향의 치수의 불균일을 흡수하기 쉬운 구성이 된다.
도 4a의 경우는 프레임(5)과 유저원통형의 측벽요크(31b) 및 저면요크(31a)를 일체로 형성할 때에, 깔때기형의 프레임(5)과 측벽요크(31b)사이에 단부(35)를 형성하고, 이 링형으로 형성된 단부(35) 상에 스폿용접 등으로 링형의 서브플레이트(26)를 재치 고정하도록 한 경우이다.
이 서브플레이트(26)의 중심공의 내경과 센터폴(22a)의 외경사이에 형성된 제 2자기공극(27)을 통하여 플레이트(24)의 중심공의 내경과 센터폴(22a)의 외경사이에 형성된 제 1자기공극(26) 내에 보이스코일 보빈(9)을 삽통한다. 보이스코일 보빈(9)의 선단의 제 1자기공극(25)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보이스코일(10)이 두루 감겨서 배치되도록 댐퍼(11)를 거쳐서, 요동 자재로 댐퍼(11)의 외경을 프레임(5) 혹은 서브플레이트(26) 상에 고정하는 것으로, 보이스코일 보빈(9)을 유지한다. 이 댐퍼(11)로서는 포지에 합성수지를 함침시킨 동심원형의 파형댐퍼 등이 이용된다.
보이스코일 보빈(9)의 상부에는 콘형의 진동판(6)의 내경부가 접합되고, 진동판(6)의 외경부를 에지(7)를 거쳐서 프레임(5)의 최대직경 개구부에 가스켓(8)을 거쳐서 접합하고, 보이스코일 보빈(9)의 상부에는 돔형의 더스트방지용 캡(14)을 설치한다. 또, 프레임(5)의 소정위치에 설치한 입력단자(12)에서 음향신호를 금사선(13)을 거쳐서, 보이스코일(10)에 공급한다.
상술의 구성의 스피커(17b)의 자기회로에 의하면, 링형 마그넷(23)의 N극에서 나온 자속은 N극의 상측에 접합된 링형의 플레이트(24)→제 1자기공극(25)→요크(22)의 센터폴(22a)을 하측으로 향해서 플랜지(22b)에 들어가 링형 마그넷(23)의 S극에 달하는 자로(Φ1) 및 링형 마그넷(23)의 N극에서 나온 자속은, 플레이트(24)→제 1자기공극(25)→요크(22)의 센터폴(22a)을 상측으로 향해서 제 2자기공극(27)을 거쳐서, 서브플레이트(26)에서 측벽요크(31b)에 들어가고, 요크(22)의 저면요크(31a)를 거쳐서, 링형 마그넷(23)의 S극에 이르는 자로(Φ2)가 발생한다.
이 경우, 제 1자기공극(25) 내에서는 Φ1 + Φ2의 자로의 자속이 서로 가산되기 때문에 도 11이나 도 12에 비하여 제 1자기공극에서의 기자력이 증대하는 것은 이해할 수 있다. 링형 마그넷(23)의 기자력은 2개의 제 1 및 제 2자기공극(25 및 27) 내의 자기저항(R1, R2)이 비등하다고 하면, Φ1의 자로에서는 제 1자기공극(25)을 1회 통과하는 뿐임으로 기자력을 「1」로 하면 Φ2의 자로에서는, 제 1 및 제 2자기공극(25 및 27)을 2회 통과함으로 기자력은 「0.5」가 된다. 이 경우, 제 1자기공극(25)을 통과하는 자로(Φ1 및 Φ2)의 자속은 동일방향이므로, 기자력은 「1.5」로 간주하여도 좋다.
이하에 실제의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지금, 링형 마그넷(23)의 크기를 외경 40Φmm × 내경 22Φmm × 두께 6mm로 하고, 서브플레이트(26)의 두께를 0.6mm, 플레이트(24)의 상면과 서브플레이트(26)의 하면까지의 거리를 5.5mm로 하였을 때의 도 11에서의 자기공극(4)에서의 기자력은 7200가우스이며, 본 도 1예에 나타내는 제 1자기공극(25)에서의 기자력은 12800가우스 이었다.
이것은, 제 1 및 제 2자기공극(25 및 27)의 자기저항(혹은 투자율μ)을 같다고 고려하지 않고 R1=0.3R로 하면, 제 1자기공극(25) 내의 기자력은 대략 12800/7200=1.78≒1.8배가 된다.
종래와 같이 링형 마그넷(1)에서는, 총기자력의 1/3밖에 이용되고 있지 않다고 하면, 본 발명의 1개의 마그넷을 이용하는 경우의 기자력은 1.8배/3배로 향상한다.
또한, 도 1의 구성의 스피커(17b)에서는, 플레이트(24)와 서브플레이트(26)사이는 역극성이 되기 때문에, 소정의 거리를 둘 필요가 있다. 본 예에서는, 플레이트(24)의 상면과 서브플레이트(26)의 하면까지의 거리를 5,5mm로 취하였으나, 이 거리를 4mm로 취하였을 때의 제 1자기공극(25)의 기자력은 9800가우스 였으므로, 이 거리는 4mm 내지 5.5mm 이내로 충분하고, 5.5mm 이상 떨어질 필요는 없다.
상술과 같이, 도 1의 구성의 스피커(17b)에 의하면 제 1자기공극(25) 내의 기자력은 대략 1.8배/3배 정도까지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5dB정도의 감도향상이 가능하게 될 뿐만아니라, 누설자속(ΦL)은 측벽요크(31b)와 저면요크(31a)를 통과하기 때문에, 하나의 링형 마그넷(23)만으로 방자형 스피커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예를 나타내는 스피커(17c)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의 스피커(17c)는, 도 1의 스피커(17b)의 플레이트(24)와 서브플레이트(26) 사이에 비자성부재로 이루는 기밀부재(32)를 접합시킨 것이다. 이 기밀부재(32)는 합성수지부재를 링형으로 형성하여 접착제 등으로 플레이트(24)의 상면과 서브플레이트(26)의 하면사이에 접합시킨 이외는 도 1과 전적으로 동일한 구조이므로, 동일부호를 붙여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도 2의 구성에서는, 진동판(6)이 보이스코일(10)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의 센터폴(22a)의 외경과 보이스코일 보빈(9)의 내경간 및 보이스코일 보빈(9)의 외경사이를 통과하는 기류(공기의 흐름)(33)의 저항을 크게 하는 것으로, 스피커(17b)의 최저 공진주파수에 있어서의 공진예도(Q)를 작게하여 소형의 스피커(17c)라도 저역의 확대가 용이하게 되도록 한 것이다.
도 3의 경우는, 도 2의 비자성체로 이루는 기밀부재(32) 대신에, 플레이트(24)와 서브플레이트(26) 사이에 제 1링형 마그넷(23)과 역으로 착자한 제 2링형 마그넷(30)을 설치한 이외는 도 2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도 2와의 대응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의 경로를 도 4a의 자기회로를 나타내는 확대도에서 설명한다.
제 1링형 마그넷(23)의 상측의 N극 상에 접합한 플레이트(24) 상에 제 2링형 마그넷(30)의 상측의 N극측을 대향하여 플레이트(24) 상에 접합시킨다. 따라서, 제 2링형 마그넷(30)의 서브플레이트(26)와 접하는 접합면은 S극으로 된다.
이 구성의 자기회로에서는, 제 1링형 마그넷(23)으로부터는 도 1에서 설명한 자로(Φ1 및 Φ2)가 생긴다.
또한, 제 2링형 마그넷(30)의 N극에서 나온 자속은 플레이트(24)→제 1자기공극(25)→센터폴(22a)을 상향→제 2자기공극(27)→서브플레이트(26)→제 2링형 마그넷(30)의 S극을 통과하는 폐자로(Φ3) 및 제 2링형 마그넷(30)의 N극→플레이트(24)→제 1자기공극(25)→센터폴(22a)을 하향→요크(22)의 플랜지(22b)→저면요크(31a)→측벽요크(31b)→서브플레이트(26)→제 2링형 마그넷(30)의 S극에 이르는 폐자로(Φ4)가 형성된다.
도 4a 및 도 4b의 경우는, 폐자로(Φ1+Φ2+Φ3+Φ4)를 통과하는 자속은 제 1자기공극(25) 내를 서로 가산되도록 통과하기 위한 Φ3+Φ2는 2개의 자기공극(25 및 27)을 통과하기 위해 0.5+0.5=1이 되고, Φ1+Φ4는 하나의 자기공극(25)만을 통과하기 위해 1+1=2가 되고, Φ1+Φ2+Φ3+Φ4=3이 되고, 제 1자기공극(25) 내의 기자력의 실측치는 3700가우스가 되고, 대략 3.3배에 달함에 따라서, 마그넷의 이용율은 대략 3.3/6까지 상승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강력한 기자력을 사용하는 스피커(17d)의 음압은 10dB정도 올릴 수 있다.
또 도 9는, 도 2의 스피커(17c)를 소형의 스피커박스(50)에 부착한 스피커장치의 예를 나타낸다. 이 도 9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도 9에 있어서 부호(50)는 소형의 스피커박스를 나타내고, 이 스피커박스(50)의 전면에 설치한 배플판(51)에 뚫은 스피커방음공(51a)에 대향하여, 이 도 2에 나타내는 것같이 스피커를 고정한다.
또, 스피커박스(50)의 외부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입력단자(52)로부터의 음향신호를 접속선(53)을 거쳐서 스피커의 입력단자(12)에 공급하고, 이 입력단자(12)로부터의 음향신호를 금사선(13)을 거쳐서 보이스코일(10)에 공급하도록 한다.
또, 배플판(51)의 배플판(51)에 뚫은 스피커방음공(51a)과 동일면에 개구(54a)를 가지는 덕트(54)를 설치하고, 스피커의 진동판(6)의 배면에서 나온 음의 위상을 반전하여, 이 덕트(54)에서 스피커박스(50)의 외부에 방사하고, 이 진동판(6)의 전면에서 나오는 음의 저음역을 넓히도록 한다. 이 도 9는, 위상반전형의 스피커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본 예에 의한 스피커장치는, 상술과 같이 스피커의 진동판(6)을 구동하는 자기력이 크므로, 이 스피커장치의 감도 및 음질이 향상하는 동시에, 스피커의 저음의 최저 공진주파수에 있어서의 공진예도(Q)를 작게할 수 있고, 소형 스피커박스(50)를 사용하였을 때의 저음의 재생대역을 확대할 수 있는 스피커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 상술의 도 1 및 도 3의 스피커(17b 및 17d)를 도 9와 동일하게, 소형의 스피커박스(50)에 부착하여 스피커장치를 얻도록 하여도 좋다. 이들의 경우도, 도 9와 동일한 작용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또, 도 5의 예의 스피커(17c)에 있어서는, 소정 크기의 저면요크(20a)와 측벽요크(20b)로 이루는 항아리형 요크(20)의 저면요크(20a) 상에, 상하방향으로 N극 및 S극이 착자된, 이 항아리형 요크(20)의 측벽요크(20b)의 내경보다도 소경의 링형 마그넷(21)을 이 S극이 이 항아리형 요크(20)의 저면요크(20a) 상에 당접하는 것같이 접착 고정한다. 또 부호(20c)는 이 저면요크(20a)에 설치한 마그넷가이드이다.
이 링형 마그넷(21)의 N극 상에 센터폴(22a)과 플랜지(22b)가 일체로 성형된 요크(20)의 이 플랜지(22b)의 하면이, 이 링형 마그넷(21)의 N극 상에 당접하는 것같이 접착 고정한다. 이 경우, 이 요크(20)의 플랜지(22b)의 외경을 이 링형 마그넷(21)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한다.
이 요크(20)의 플랜지(22b) 상에, 상하방향으로 N극 및 S극이 착자된 링형 마그넷(23)을 이 S극이 이 플랜지(22b) 상에 당접하는 것같이 접착 고정한다. 이 경우, 이 링형 마그넷(23)을 이 요크(20)의 센터폴(22a)이 관통하는 하는 것같이 이룬다. 또 이 링형 마그넷(23)은, 이 링형 마그넷(21)과 대략 동일형태로 하는 동시에, 대략 동일의 자기의 강도로 한다. 또 본 예에서는, 이 링형 마그넷(23)과 이 링형 마그넷(21)과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착자된 것으로 된다.
이 서로 역방향 상에 링형 마그넷(24)을 접착 고정하는 동시에, 이 플레이트(24)의 내주면과 요크(20)의 센터폴(22a)의 외주면과의 사이에서 제 1자기공극(25)을 형성하도록 한다.
또, 도 5에 있어서는 항아리형 요크(20)의 측벽요크(20b)의 상단부에 연속하여 플레이트(26)를 설치한다. 이 경우, 이 플레이트(26)의 내주면과 요크(20)의 센터폴(22a)의 외주면과의 사이에서 제 2자기공극(25)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플레이트(26)의 외주연부를 측벽요크(20b)의 상단부에 연속하도록 한다. 본 예에서는, 이 플레이트(26)와 측벽요크(20b)를 일체로 성형하도록 한다.
이 플레이트(26)와 플레이트(24)와는 서로 역방향의 자속이 흐르므로, 소정간격을 떨어트려서 배치하도록 한다.
이 플레이트(26)의 상면에 스피커의 프레임(5)을 그 저부를 접착 고정하여 부착하고, 이 프레임(5)의 외주부에 에지(7)가 설치된 콘형의 진동판(6)의 외주부를 가스켓(8)에 의해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이 진동판(6)의 내주부에 보이스코일 보빈(9)을 부착하고, 이 보이스코일 보빈(9)에 소정간격 떨어트려서, 2개의 보이스코일(10a 및 10b)을 감고, 이 보이스코일(10a 및 10b)을 각각 자기공극(25 및 27) 내에 삽입하도록 한다. 이 경우, 자기공극(25 및 27)의 자속의 방향이 서로 역방향이 되므로, 보이스코일(10a 및 10b)의 두루 감는 방향을 서로 역방향으로 하거나, 또는 공급하는 음향신호를 서로 역극성이 되도록 한다.
도 5에 있어서는, 링형 마그넷(23)의 N극으로부터의 자속은 링형 마그넷(23)의 N극→플레이트(24)→자기공극(25)→요크(22)의 센터폴(22a)→플랜지(22b)→링형 마그넷(23)의 S극의 자기회로와, 링형 마그넷(23)의 N극→플레이트(24)→자기공극(25)→요크(22)의 센터폴(22a)→자기공극(27)→플레이트(26)→항아리형 요크(20)의 측벽요크(20b)→저면요크(20a)→링형 마그넷(21)의 S극→N극→요크(22)의 플랜지(22b)→링형 마그넷(23)의 S극의 자기회로(이 자기회로는 링형 마그넷(21)의 자속(자기력)도 가산된다)를 흐른다.
또, 링형 마그넷(21)의 N극으로부터의 자속은, 링형 마그넷(21)의 N극→요크(22)의 플랜지(22b)→센터폴(22a)→자기공극(27)→플레이트(26)→항아리형 요크(20)의 측벽요크(20b)→저면요크(20a)→링형 마그넷(21)의 S극의 자기회로를 흐른다.
따라서, 자기공극(25 및 27)의 자기력은, 예를 들면 이들 자기공극(25 및 27)의 용적을 도 11의 종래의 자기공극(4)의 용적과 같으게 하고, 링형 마그넷(21 및 23)의 자기력을 같으게 하고, 이 도 11의 자기공극(4)의 자기력을 「1」로 하였을 때는, 이 자기공극(25 및 27)의 각각의 자기력은 「2」가 된다.
이 경우, 링형 마그넷(1)으로부터의 자속이 1개의 자기공극(4)을 흐르는 자기력을 「1」로 하고 있고, 자기공극(25 및 27)에는 각각 2개의 링형 마그넷(21, 23)으로부터의 자속이 각각 같은 방향으로 흐르므로, 이 자기공극(25 및 27)의 각각의 자기력은 「2」가 되어 자기력(자속)이 증대한다.
또, 이 보이스코일(10a 및 10b)을 각각 자기공극(25 및 27) 내에 댐퍼(11)에 의해 유지하도록 한다. 이 댐퍼(11)로서, 예를 들면 포지에 합성수지를 함침시킨 소용돌이 댐퍼를 사용한다. 이 보이스코일 보빈(9)의 상면을 덮는 것같이, 더스트 침입방지용의 캡(14)을 설치한다. 또, 플레이트(5)의 소정위치에 설치한 입력단다(12)로부터의 음향신호를 금사선(13)을 거쳐서, 보이스코일(10a 및 10b)에 공급하도록 한다.
본 예는, 상술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링형 마그넷(21, 23)의 각각의 N극으로부터의 자속은 상술과 같이, 플레이트(24, 26), 센터폴(22a)과 플랜지(22b)를 일체로 성형한 요크 및 저면요크(20a)와 측벽요크(20a)에 의해 이루는 항아리형 요크(20)를 통과하여 링형 마그넷(21, 23)의 각각의 S극에 되돌아오는 자기회로를 구성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자기실드형의 스피커를 얻을 수 있다.
또, 도 5에 의하면 누설자속이 없어지고, 자기공극(25 및 27)에 각각 링형 마그넷(21 및 23)으로부터의 같은 방향의 자속이 흐르고, 이 자기공극(25 및 27)에 각각 종래에 비하여, 예를 들면 2배의 자기력이 얻어지고, 본 예에 의하면 2개의 자기공극(25 및 27)에 의해 진동판(6)을 구동함으로, 종래에 비하여 예를 들면 4배의 자기력으로, 이 진동판(6)을 구동하게 되고, 이 진동판(6)을 구동하는 링형 마그넷(21 및 23)의 자기력의 이용율을, 예를 들면 2/3과 도 12의 종래예의 1/5에 비하여 향상할 수 있다.
또, 도 5에서는, 2개의 보이스코일(10a 및 10b)을 이용하고 있음으로, 스피커의 허용입력을 보이스코일이 하나의 2배로 할 수 있고, 또 스피커의 음압출력(자기력)을 종래의 예컨데 4배로 할 수 있으므로 실질적으로는 8배의 허용입력이 있는 것과 같게 되고, 감도 및 음질이 향상하는 동시에, 스피커의 저음최저 공진주파수에 있어서의 공진예도(Q)를 작게 할 수 있고, 소형의 스피커박스를 사용하였을 때의 저음의 재생대역을 확대할 수 있는 스피커장치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피커의 제조방법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요크(22)의 플랜지(22b)의 상면에 링형 마그넷(23)을 마그넷가이드에 맞쳐서 접착 고정하고, 이 링형 마그넷(23)의 상면에 링형의 플레이트(24)를 접착 고정한다. 이 경우 센터폴(22a)의 외주면과 링형의 플레이트(24)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들어가는 갭가이드를 찔러 끼워 넣어둔다.
다음에, 저면요크(20a)의 상면에 링형 마그넷(21)을 접착 고정하고, 이 저면요크(20a)의 외주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또 링형 마그넷(21)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앞서 접착 고정한 요크(22)의 플랜지(22b)의 하면을 링형 마그넷(21) 상에 올려놓고, 플레이트(26)가 일체로 성형된 측벽요크(20b)를 상술한 갭가이드에 이 플레이트(26)의 내주면이 들어가도록 하여, 저면요크(20a)의 외주와 측벽요크(20b)의 하단부를 접착 고정하는 동시에, 링형 마그넷(21) 상에 요크(22)의 플랜지(22b)의 하면을 접착 고정한다.
접착제가 건조된 후, 상술의 갭가이드를 센터폴부(22a)에서 뽑아내면, 본 예의 자기회로는 착자하지 않은 상태에서 완성한다.
이 플레이트(26)의 상면에 스피커의 프레임(5)을 부착한 보이스코일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보이스코일(10a, 10b), 댐퍼(11), 에지(7)가 부착한 진동판(6)을 접착 고정하고, 접착제가 건조된 후 보이스코일(10a, 10b)의 인출선을 처리하고, 금사선(13)을 입력단자(12)에 납땜 고정하고, 이 보이스코일 스페이서를 센터폴부(22a)에서 뽑아내서, 보이스코일 보빈(9)의 선단부에 캡(14)을 접착 고정하고, , 그후 자기회로 중의 2개의 링형 마그넷(21 및 23)은 동방향 착자이므로, 한번에 이 2개의 링형 마그넷(21 및 23)을 착자하면 스프커는 완성이다.
상술의 도 5에서는, 2개의 자기공극(25 및 27)에서 진동판(6)을 구동하는 것같이 기술하였으나, 도 5에 있어서는 보이스코일(10a 및 10b)의 한편만을 설치하고, 이 진동판(6)을 어느 한편의 자기공극에서 구동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때는, 예를 들면 종래의 2배의 자기력으로 구동하게 되고, 이 경우도, 이 진동판(6)을 구동하는 링형 마그넷(21 및 23)의 자기력의 이용율을 예를 들면 1/3로 종래에 비해 향상하고, 이 경우도 상술과 동일한 작용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스피커의 실시형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이 도 6 내지 도 8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도 5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나타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도 5의 링형 마그넷(21)을 착자방향을 역방향으로 한 링형 마그넷(30)으로 한 것이다.
즉, 소정 크기의 저면요크(20a)와 측벽요크(20b)에 의해 이루는 항아리형 요크(20)의 저면요크(20a) 상에, 상하방향으로 N극 및 S극이 착자된 이 항아리형 요크(20)의 측벽요크(20b)의 내경보다도 소경의 링형 마그넷(30)을, 이 N극이 이 항아리형 요크(20)의 저면요크(20a) 상에 당접하도록 접착 고정한다.
이 링형 마그넷(30)의 S극 상에 센터폴(22a)과 플랜지(22b)가 일체로 성형된 요크(22)의 플랜지(22b)의 하면이, 이 링형 마그넷(30)의 S극 상에 당접하도록 접착 고정한다. 이 경우, 이 요크(22)의 플랜지(22b)의 외경을 이 링형 마그넷(30)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한다.
이 요크(22)의 플랜지(22b) 상에 상하방향으로 N극 및 S극이 착자된 링형 마그넷(23)을 이 S극이 이 플랜지(22b) 상에 당접하도록 접착 고정한다. 이 경우, 이 링형 마그넷(23)을 이 요크(22)의 센터폴(22a)이 관통하도록 이룬다. 또 이 링형 마그넷(23)은 이 링형 마그넷(30)과 대략 동일형태로 하는 동시에, 대략 동일한 자기의 강도로 한다. 또 본 예에서는, 이 링형 마그넷(23)과 링형 마그넷(30)과는 서로 역방향으로 착자된 것으로 된다.
이 도 6은 기타의 도 5와 동일하게 구성한다.
이 도 6에 있어서는, 링형 마그넷(23)의 N극으로부터의 자속은, 링형 마그넷(23)의 N극 →플레이트(24) →자기공극(25) →요크(22)의 센터폴(22a) →플랜지(22b) →링형 마그넷(23)의 S극의 자기회로를 흐른다.
또 링형 마그넷(30)의 N극으로부터의 자속은, 링형 마그넷(30)의 N극→항아리형 요크(20)의 저면요크(20a)→측벽요크(20b)→플레이트(26)→자기공극(27)→요크(22)의 센터폴(22a)→플랜지(22b)→링형 마그넷(30)의 S극의 자기회로를 흐른다.
따라서, 도 6에 의한 자기공극(25 및 27)의 자기력은, 예를 들면 이들 자기공극(25 및 27)의 용적을 도 11의 종래 예의 자기공극(4)의 용적과 같게 하고, 이 링형 마그넷(23 및 30)의 자기력을 도 11의 종래 예의 링형 마그넷(1)의 자기력과 같게 하고, 이 도 11의 종래 예의 자기공극(4)의 자기력을 「1」로 하였을 때는, 이 자기공극(25 및 27)의 각각의 자기력은 「1」이 된다.
이 경우, 링형 마그넷(1)으로부터의 자속이 1개의 자기공극(4)을 흐르는 자기력을 「1」로 하고 있고, 도 6의 자기공극(25 및 27)에는 각각 링형 마그넷(23 및 30)으로부터의 자속이 흐르므로, 이 자기공극(25 및 27)의 각각의 자기력은 「1」이 된다.
이 도 6에 의하면, 링형 마그넷(23 및 30)의 착자방향이 서로 역방향이고, 링형 마그넷(30)이 링형 마그넷(23)의 캑슬 마그넷을 구성하고, 또 링형 마그넷(23 및 30)의 각각의 N극으로부터의 자속은 플레이트(24, 26), 저면요크(20a) 및 측벽요크(20b)로 이루는 항아리형 요크(20), 센터폴(22a) 및 플랜지(22b)가 일체로 성형된 요크(20)를 통과하여, 이 링형 마그넷(23 및 30)의 각각의 S극으로 되돌아오는 자기통로를 구성함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자기실드형의 스피커(17f)를 얻을 수 있다.
또, 이 도 6에 의하면, 자기공극(25)에 링형 마그넷(23)으로부터의 자속이 흐르고, 자기공극(27)에 링형 마그넷(23)으로부터의 자속이 흐르고, 이들 자기공극(25 및 27)의 각각에 각각 예를 들면 종래와 같은 자기력이 얻어진다. 이 2개의 자기공극(25 및 27)에서 진동판(6)을 구동함으로, 이 진동판(6)을 예를 들면 종래의 2배의 자기력으로 구동하게 되고, 이 진동판(6)을 구동하는 자기력의 유효이용이 예를 들면 1/3로 증대한다.
따라서, 도 6의 스피커(17f)에 의하면 감도 및 음질이 향상하는 동시에, 스피커의 저음의 최저 공진주파수에 있어서의 공진예도(Q)를 작게 할 수 있고, 소형의 스피커박스를 사용하였을 때의 저음의 재생대역을 확대할 수 있는 스피커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 저면요크(20a)와 측벽요크(20b)로 이루는 항아리형 요크(20)를 스피커의 프레임(5)을 연장하고, 이 프레임(5)의 중앙부를 일체 성형에 의한 저면요크(31a)와 측벽요크(31b)로 이루는 항아리형 요크(31)로 하고, 플레이트(26)의 외주연부를 이 항아리형 요크(31)의 측벽요크(31b)의 상단부에 연속하도록 접착 고정한다.
또, 이 도 7에 있어서는, 플레이트(24 및 26)를 접근하여 배치하고, 자기공극(25 및 27)을 접근하여 설치하도록 하고, 또 보이스코일 보빈(9)에 비교적 긴 보이스코일(10)을 하나만 감고, 이 하나의 보이스코일(10)을 이 2개의 자기공극(25 및 27) 내에 삽입하도록 하고, 이 2개의 자기공극(25 및 27)에서 하나의 보이스코일(10)을 구동하도록 한다.
이 경우, 자기공극(25 및 27)에 흐르는 자속은 같은 방향이므로, 2개의 플레이트(24 및 26)를 접근하여 배치하여도 서로 간섭하지 않고, 하나의 보이스코일(10)을 공동하여 구동할 수 있고, 이 자기공극(25 및 27)의 자기력을 가산한 자기력으로 구동판(6)을 구동할 수 있다. 이 도 7에 있어서, 기타는 도 6과 동일하게 구성한다.
이런 도 7의 스피커(17g)에 있어서도, 도 6과 동일한 작용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도 5에 있어서, 저면요크(20a)와 측벽요크(20b)로 이루는 항아리형 요크(20)를 스피커의 프레임(5)을 연장하고, 이 프레임(5)의 중앙부를 일체 성형에 의한 저면요크(31a)와 측벽요크(31b)로 이루는 항아리형 요크(31)로 하고, 플레이트(26)의 외주연부를 이 항아리형 요크(31)의 측벽요크(31b)의 상단부에 연속하도록 접착 고정한다. 이 도 8에 있어서, 기타는 도 5와 동일하게 구성한다.
이런 도 8의 스피커(17h)에 있어서도, 도 5와 동일한 작용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도 10은, 도 5의 스피커(17e)를 소형의 스피커박스(50)에 부착한 스피커장치의 예를 나타낸다. 이 도 10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도 10에 있어서 부호(50)는 소형의 스피커박스를 나타내고, 이 스피커박스(50)의 전면에 설치한 버플판(51)에 뚫은 스피커 방음공(51a)에 대향하여, 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피커(17e)를 고정한다.
또, 스피커박스(50)의 외부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입력단자(52)로부터의 음향신호를 접속선(53)을 거쳐서 스피커의 입력단자(12)에 공급하고, 이 입력단자(12)로부터의 음향신호를 금사선(13)을 거쳐서 보이스코일(10a, 10b)에 공급하도록 한다.
또, 버플판(51)의 스피커 방음공(51a)과 동일면에 개구(54a)를 가지는 덕트(54)를 설치하고, 스피커의 진동판(6)의 배면에서 나온 음의 위상을 반전하여, 이 덕트(54)에서 스피커박스(50)의 외부로 방사하고, 이 진동판(6)의 전면에서 나오는 음의 저음역을 넓히도록 한다. 이 도 10의 예는, 위상반전형의 스피커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본 예에 의한 스피커장치는, 상술과 같이 스피커의 진동판(6)을 구동하는 자기력이 크므로, 이 스피커장치의 감도 및 음질이 향상하는 동시에, 스피커의 저음의 최저 공진주파수에 있어서의 공진예도(Q)를 작게 할 수 있고, 소형 스피커박스(50)를 사용하였을 때의 저음의 재생대역을 확대할 수 있는 스피커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 상술의 도 6∼도 8의 스피커를 도 10과 동일하게 소형 스피커박스(50)에 부착하여서 스피커장치를 얻도록 하여도 좋다. 이들의 경우도, 도 10과 동일한 작용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예에 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고, 기타 여러 가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10)

  1. 센터폴과 링형 마그넷으로 형성된 외자형의 자기회로와,
    프레임 내에 형성한 진동계로 구성된 스피커이며,
    상기 자기회로를 위요하는 요크와 상기 프레임을 일체로 구성시킨 프레임 겸용요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2. 스피커박스의 전면에 버플판에 부착한 스피커를 가지는 스피커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가 제 1항기재의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장치.
  3. 센터폴과 링형 마그넷으로 형성된 외자형의 자기회로의 제 1자기공극의 상부에, 상기 센터폴과 상기 자기회로를 위요하는 요크 및 상기 프레임을 일체로 구성시킨 겸용요크와의 사이에 서브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제 2자기공극을 형성시켜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자기공극을 형성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서브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상기 링형 마그넷과 두께방향으로 역극성에 착자한 링형 마그넷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자기공극을 형성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서브플레이트와의 사이에, 링형의 비자성부재로 이루는 기밀부재를 설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6. 저면요크 및 측벽요크로 이루는 항아리형 요크와, 이 항아리형 요크의 저면요크 상에 배치한 제 1링형 마그넷과,
    이 제 1링형 마그넷 상에 배치한 센터폴과 플랜지가 일체로 성형된 요크와,
    이 요크의 플랜지 상에 배치한 상기 제 1링형 마그넷과 같은 방향으로 착자된 제 2링형 마그넷과,
    이 제 2링형 마그넷 상에, 내주면과 상기 센터폴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제 1자기공극을 형성하도록 배치한 제 1플레이트와,
    상기 센터폴의 외주면과 내주면과의 사이에 제 2자기공극을 형성하는 동시에, 외주연부를 상기 항아리형 요크의 측벽요크의 상단부에 연속하도록 배치한 제 2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자기공극의 양편 또는 어느 한편에서 진동판을 구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7. 스피커박스의 전면에 버플판에 부착한 스피커를 가지는 스피커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가 제 6항기재의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장치.
  8. 저면요크 및 측벽요크로 이루는 항아리형 요크와,
    이 항아리형 요크의 저면요크 상에 배치한 제 1링형 마그넷과,
    이 제 1링형 마그넷 상에 배치한 센터폴과 플랜지가 일체로 성형된 요크와,
    이 요크의 플랜지 상에 배치한 상기 제 1링형 마그넷과는 역방향으로 착자된 제 2링형 마그넷과,
    이 제 2링형 마그넷 상에, 내주면과 상기 센터폴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제 1자기공극을 형성하도록 배치한 제 1플레이트와,
    상기 센터폴의 외주면과 내주면과의 사이에 제 2자기공극을 형성하는 동시에, 외주연부를 상기 항아리형 요크의 측벽요크의 상단부에 연속하도록 배치한 제 2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자기공극에서 진동판을 구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플레이트를 접근하여 배치하고, 상기 제 1 및 제 2자기공극에서 진동판에 설치한 1개의 보이스코일을 구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10. 스피커박스의 전면에 버플판에 부착한 스피커를 가지는 스피커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가 제 8항기재의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장치.
KR1020007011800A 1999-02-26 2000-02-24 스피커 및 스피커장치 KR200100429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050821 1999-02-26
JP11050821A JP2000253490A (ja) 1999-02-26 1999-02-26 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装置
JP99-086567 1999-03-29
JP11086567A JP2000278792A (ja) 1999-03-29 1999-03-29 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装置
PCT/JP2000/001059 WO2000052962A1 (fr) 1999-02-26 2000-02-24 Haut-parleur et dispositif incorporant celui-ci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2970A true KR20010042970A (ko) 2001-05-25

Family

ID=26391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1800A KR20010042970A (ko) 1999-02-26 2000-02-24 스피커 및 스피커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10042970A (ko)
CN (1) CN1302523A (ko)
WO (1) WO20000529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9401B2 (ja) * 2006-09-29 2009-10-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ピーカと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WO2009072275A1 (ja) 2007-12-03 2009-06-11 Panasonic Corporation スピーカ
US8891809B2 (en) * 2010-08-25 2014-11-18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 Split magnet loudspeaker
JP6132492B2 (ja) * 2012-08-29 2017-05-24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ボイスコイルスピーカ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542Y1 (ko) * 1970-07-23 1977-03-14
JPH04121191U (ja) * 1991-04-19 1992-10-29 三洋電機株式会社 増幅器内蔵スピー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02523A (zh) 2001-07-04
WO2000052962A1 (fr) 2000-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56311A2 (en) Speaker
JPH09238395A (ja) スピーカ装置
KR20010042970A (ko) 스피커 및 스피커장치
JPH08154296A (ja) スリム矩形スピーカ
JPH08317489A (ja) スピーカ装置
JP2008118331A (ja) スピーカ
JP2000138996A (ja) スピーカ装置
JPH11155194A (ja) スピーカー装置
JP2000278792A (ja) 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装置
JP2000253490A (ja) 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装置
JP2000188798A (ja) 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装置
KR200308085Y1 (ko) 증대된 자속을 갖는 스피커
JP2000165989A (ja) 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装置
JP2000261888A (ja) 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装置
KR200314357Y1 (ko) 방자형 스피커
JPH08289385A (ja) スピーカ
JP2000184493A (ja) スピーカ
JPS62150997A (ja) スピ−カ
JPH1155785A (ja) スピーカ装置
JPH04324799A (ja) スピーカ
JP2000308183A (ja) スピーカ装置
JP2000188797A (ja) スピーカ
JP2000032589A (ja) スピーカ
JPH10322793A (ja) スピーカ装置
KR19990054238A (ko) 직진 음향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