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0974A - 차량 부속품용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부속품용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0974A
KR20000070974A KR1019997007240A KR19997007240A KR20000070974A KR 20000070974 A KR20000070974 A KR 20000070974A KR 1019997007240 A KR1019997007240 A KR 1019997007240A KR 19997007240 A KR19997007240 A KR 19997007240A KR 20000070974 A KR20000070974 A KR 20000070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ccessory
retaining member
opening
vehic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뮐러미하엘
Original Assignee
볼프강 후텐로커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프강 후텐로커,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볼프강 후텐로커
Publication of KR20000070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097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 B60Q1/043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the housing being fastened onto the vehicle body usin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9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built in the vehicle body
    • B60Q1/2623Details of the fastening means
    • B60Q1/2626Screw-nut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 부재 또는 다수의 차체 부재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넘어 돌출되는 전조등과 같은 차량 부속품을 고정시키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고정 장치는 하나 이상의 유지 부재와, 이 유지 부재를 차량 부속품에 유지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고정 수단을 구비하고 유지 부재(4)는 차량 부속품과 함께 개구부(3) 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유지 부재(4) 또는 그것의 적어도 일부는 실질적으로 차량 부속품(1)을 둘러싸고, 개구부(3)의 가장자리(9)는 고정 수단(6, 23)에 의해 유지 부재(4)를 차량 부속품(1)에 고정시킴으로써, 유지 부재와 차량 부속품과의 사이에 클램핑식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러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의해, 구멍, 고정 캐치 등을 필요로 함이 없이 차체 부재의 개구부 내에 전조등과 같은 차량 부속품을 고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부속품용 고정 장치{FASTENING DEVICE FOR AUTOMOBILE ACCESSORIES}
차체 개구부 내에 배치되는 차량 부속품을 위한 종래의 공지된 고정 장치의 경우, 통상적으로 차체 개구부의 가장자리 구역에는 차량 부속품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멍, 홈 또는 고정 캐치가 마련되어야만 한다. 차체 부재나 차량 부속품에 적용되는 제작 정밀도에서는, 차량 부속품을 차체 부재에 조립하는 것이 곤란할 수 있다.
독일 특허 DE 42 42 439 C1호에는, 지지체의 나사부 상에 장착되고, 이 지지체를 나사부가 통과하여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 개구부가 마련된 받침부에 맞대어 클램핑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유지 부재를 구비하는 조명등용 고정 장치,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전조등용 고정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 고정 장치에서는 유지 부재가 나사부 상에 조립되기 전에 이미 고정 및 클램핑 부품에 의해서 고정 유지되고, 이 고정 및 클램핑 부품이 유지 부재를 나사부와 함께 받침부에 맞대어 클램핑시킨다. 그 경우, 유지 부재는 수납 개구부 내로 삽입될 때에 나사 볼트 상에서 기울어져서 추가로 압입시킬 경우에 수납 개구부를 통과하여 나오게 되도록 지지체에 유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정 장치에서는, 유지 부재가 단지 그 둘레의 일부에만 걸쳐 받침부에 접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조명등을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유지 부재가 마련되어야만 한다. 특히, 고정시키려는 차량 부속품이 소형인 경우에는, 유지 부재도 역시 그에 상응하는 작은 크기로 되어야 하기 때문에 복수의 유지 부재를 배치하는 것도 곤란하다. 그러한 형식의 고정 장치에서는 차량 부속품을 유지 부재만에 의해서 고정시킨다는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차체 부재의 개구부 내에 또는 복수의 차체 부재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넘어 돌출되는 차량 부속품, 특히 전조등을 고정시키는 차량 부속품 고정 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유지 부재와, 이 유지 부재를 차량 부속품에 유지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고정 수단을 구비하는 차량 부속품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 중에서,
도1은 차량 전조등용 고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슬릿이 있는 유지 부재를 구비한 차량 전조등용 고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3은 차량 전조등과 유지 부재와의 사이에 스프링 수단을 구비한 차량 전조등용 고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4는 차량 전조등을 차체 개구부 내에 삽입하는 시점에서의 차량 전조등용 고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5는 유지 부재가 맞물려 결속된 상태에서의 차량 전조등용 고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6은 차량 전조등과 차량 부속품과의 사이에 밀봉체가 배치된 고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두에 전제된 고정 장치를 소형의 차량 부속품까지도 간단하고 시간 절감적으로 확실하게 조립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에 의해 특정지워진 특징들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구성 및 추가의 구성은 종속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유지 부재는 차량 부속품을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개구부의 가장자리는 고정 수단에 의해 유지 부재를 차량 부속품에 고정시킴으로써 유지 부재와 차량 부속품과의 사이에 클램핑식으로 유지될 수 있다.
다른 구성에 따르면, 유지 부재는 차량 부속품과 함께 개구부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유지 부재나 적어도 유지 부재의 일부는 삽입시에는 압축될 수 있고 삽입 후에는 확장되어 개구부의 가장자리의 배후에 맞물리는 형식으로 결속되며, 개구부 가장자리는 고정 수단에 의해 유지 부재가 차량 부속품에 고정됨으로써 유지 부재와 차량 부속품과의 사이에 클램핑식으로 유지될 수 있다.
고정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너트부 내에서 회전되거나 그 위에서 너트부가 회전될 수 있고 그에 의해 궁극적으로 유지 부재와 차량 부속품과의 사이에 있는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작용하는 소정의 클램핑력을 생성하는 데 필요한 유지 부재와 차량 부속품과의 사이의 연속적인 조정 이동을 제공할 수 있는 나사부일 수 있다.
나사부는 유지 부재 아니면 차량 부속품과 고정적으로 결합되는데, 그 경우에 나사부와 결합되는 각각의 부품에는 나사부와 상호 작용하는 암나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유지 부재에는 나사부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가 마련된다.
유지 및 클램핑 부품은 나사부가 차량 부속품에 대해 2 내지 3의 나사 피치만큼 조여짐에 의해 유지 부재가 분실됨이 없이 차량 부속품에 유지되도록 해준다. 나사부는 예를 들어 유지 부재의 개구부 내에 삽입되어 차량 부속품에 나사부 체결될 수 있는 고정 나사일 수 있다. 그 경우, 나사 헤드는 유지 부재의 개구부를 넘어 돌출되어 나사부의 나사 체결시에 클램핑 부품 또는 고정 부품으로서 작용한다.
나사부는 개구부를 통해 돌출되어 그 자유 단부 상에 너트가 나사 체결될 수 있는 나사 핀일 수 있다. 그 경우, 너트부는 유지 부재의 개구부를 넘어 돌출되어, 고정 부품 또는 클램핑 부품으로서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유지 부재가 맞물림 연부를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에 의해, 유지 부재는 처음에 삽입할 때에 차체 부재의 개구부 속에 맞물려져서 미리 정해진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이어서, 고정 수단에 의해 최종적인 고정이 실행된다. 이로 인해, 차량 부속품이 유지 부재와 함께 차체 부재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는 가능성이 제한되기 때문에 조립이 훨씬 수월해 진다.
유지 부재는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차체 부재 쪽을 향한 유지 부재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슬릿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릿은 유지 부재가 차체 개구부 내에 삽입될 때에 압축될 수 있도록 해준다. 이것은, 유지 부재가 한편으로는 압축될 수 있게 형성되어야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소정의 클램핑력의 생성에 필요하도록 클램핑력의 방향으로 최소한의 형상 소성을 갖추어야 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차량 부속품은 개구부 내에 삽입될 때에 유지 부재나 그 일부를 그 속에 수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자유 공간을 구비한다. 그에 의해, 차체 부재의 개구부의 구역에서 차량 부속품의 외측 윤곽이 개구부에 꼭 들어 맞춰져서 고정되는 조명등이 최대한으로 틈새가 없이 장착될 수 있게 된다. 그 경우, 유지 부재나 그 일부는 차량 부속품을 개구부 내에 삽입시킬 때에 자유 공간 속에 수납된다. 이로써, 차량 부속품은 유지 부재를 고정적으로 클랭핑시키지 않더라도 차체 부재의 개구부 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한 자유 공간은 그것이 거의 전 둘레에 걸쳐 연장되고 차량 부속품이 개구부의 구역에 쇼울더를 구비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간단하고 저렴하며 요건에 합당한 재료로서 추천할 수 있는 것은 플라스틱, 특히 폴리아미드, 바람직하게는 PA 66이다.
또 다른 구성에서는, 유지 부재와 차량 부속품과의 사이에 스프링 수단이 마련된다. 이런 스프링 수단에 의해 유지 부재는 차량 부속품으로부터 떨어지도록 가압되어 차체 부재의 개구부 내에 삽입될 때에 소정의 위치에 유지된다. 이러한 소정의 위치는 유지 부재가 압축시에 차량 부속품의 자유 공간 속에 틈새로 수납될 수 있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량 부속품은 유지 부재를 향하는 쪽에 유지 부재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돌출되고 그 자유 단부에 적어도 일부가 개구부를 넘어 돌출되는 핀 헤드가 마련된 핀을 구비할 수 있다. 유지 부재는 핀 헤드에 의해 분실됨이 없이 차량 부속품에서 유지된다. 그에 의해, 유지 부재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나사부를 1 내지 2의 나사 피치만큼 조이는 것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차량 부속품과 개구부의 가장자리와의 사이에는 밀봉 수단이 마련되고, 이에 의해 오염물 및 습기의 침투가 저지된다. 그 경우, 유지 부재가 차량 부속품을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둘레측에서 둘러싸서 유지 부재의 고정에 의해 실질적으로 균등한 클램핑력이 밀봉 수단에 작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에는 예를 들어 차량 전조등과 같은 차량 부속품(1)용의 고정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고정 장치는 또 다른 차량 부속품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차량 전조등(1)은 유지 부재(4, 17)와, 본 실시예에서 고정 나사로서 도시된 나사부(6, 23)에 의해 차체 부재(2)의 차체 개구부(3) 내에 고정된다. 차량 전조등(1)은 하우징(5) 및 체결 원판(7)이 마련되어 있다. 체결 원판(7)은 차체 개구부(3)의 가장자리(9)를 빛이 나오는 쪽에서 면(8)에 의해 차폐한다. 빛이 나오는 쪽의 반대쪽을 향한 하우징(5)의 대향측에는 유지 부재(4 및 17)가 배치된다. 이러한 유지 부재(4, 17)에는 고정 나사부(6, 23)가 그 속에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11, 24)가 마련된다. 그 경우, 유지 부재(4, 17)는 고정 나사(6, 23)를 개구부(11, 24) 속에 삽입하여 그 고정 나사(6, 23)를 나사부 구멍(12, 25) 속에서 1 내지 2의 나사 피치만큼 조임에 의해 분실됨이 없이 하우징(5)에서 유지된다. 하우징(5)에는 조명등, 예를 들어 관형의 백열 전조등(13)이 배치되어 있고, 이 전조등의 전류 공급은 유지 부재(4, 17)들 사이의 분리 지점을 통해 실행된다. 그러나, 전류 공급은 차량 전조등(1)을 고정시키는 단지 하나의 유지 부재(4; 17)만이 마련되도록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 나사(6 및 23)의 나사 체결에 의해, 차체 부재(2)의 가장자리(9)가 유지 부재(4, 17)의 단부들(4a, 17a)과 체결 원판(7) 과의 사이에 클램핑식으로 유지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8)과 가장자리(9)와의 사이에는 밀봉 수단(30)이 마련되고, 그에 의해 습기의 침투가 저지된다. 유지 부재(4 및 17)는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차량 부속품을 둘러싸서 밀봉 수단(3)에 균등한 클램핑력이 가해짐으로써 양호한 밀봉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한 클램핑력에 의해 보장하여 차량 부속품(1)이 차체 부재(1)의 개구부(3)에 대해 정향되어, 즉 센터링되어, 차체 부재(2)의 표면에 고정되는 것이 보장된다.
중요한 것은, 차량 부속품(1)과 유지 부재(4 및 17)와의 사이에 그 폭이 최소한 차체 부재(2)의 두께에 밀봉 수단(30)을 위한 여분을 더한 크기에 해당하는 틈새(40)를 마련하는 것으로, 그에 의해 충분한 클램핑력이 개구부(3)의 가장자리(9)에 가해질 수 있게 된다.
도2에는 차체 개구부(3) 내에 삽입할 때의 고정 나사(6) 및 유지 부재(17)와 함께 하우징(5)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고정 나사(6)는 대략 1 내지 2의 나사 피치만큼 나사 구멍(12) 속에 조여 넣어져서 유지 부재(17)가 분실됨이 없이 고정 나사(6)의 헤드와 차량 전조등과의 사이에 유지되도록 한다. 그 경우, 고정 나사부(6)의 헤드는 고정 부품으로서 작용하여 유지 부재(17)를 고정시킨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5)에 고정되거나 조여 넣어지고 유지 부재를 통해 돌출되는 그 자유 단부 상에 너트가 조여지는 나사부를 마련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너트가 고정 및 클램핑 부품으로서 작용하여, 그 너트에 의해 유지 부재(17)가 고정된다. 이어서, 차량 전조등(1)의 고정은 나사부에 대해 너트를 조임으로써 이루어진다. 유지 부재(17)와 하우징(5)과의 사이에는 스프링 수단(26)이 마련된다. 이러한 스프링 수단(26)에 의해 유지 부재(17)가 차량 전조등(1)으로부터 떨어지도록 가압되어, 유지 부재(17)의 단부(17a)가 압축시에 하우징(5)의 자유 공간(18) 속에 수납된다. 유지 부재(17)가 차체 개구부(3) 내에 삽입된 후에는, 유지 부재(17)가 복원 변형 하에 확장되어 맞물림 연부(17b)에 의해 차체 부재(2)의 가장자리의 배후에 맞물리는 형식으로 결속된다. 그에 의해, 하우징(5)은 차체 개구부(3)의 구역에서 그 둘레가 차체 개구부(3)의 외측 윤곽에 꼭 들어 맞게 되어 확실하고도 가능한 한 틈새가 없이 차체 개구부(3) 내에 장착된다. 유지 부재(17)는 그 단부(17a)에 단(phase, 15)을 구비하고, 그에 의해 유지 부재(17)의 단부(17a)를 압축 및 삽입함에 의해 차량 전조등(1)을 용이하게 해체시킬 수 있다.
도3에는 고정된 상태에서의 차량 전조등(1)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차체 부재(2)의 가장자리는 나사 구멍(12)에 고정 나사(6)를 고정적으로 나사 체결시킴에 의해 체결 원판의 면(8)과 유지 부재(17)의 단부(17a) 사이에 클램핑식으로 유지된다. 유지 부재(17)의 단부(17a) 또는 전체의 유지 부재(17)는 형상 소성의 플라스틱, 예를 들어 PA 66으로 제조되고, 그에 따라 클램핑력의 방향으로 유지 부재(17)를 실질적으로 변형시킴이 없이 소정의 클램핑력이 유지 부재(17)를 경유하여 도입될 수 있게 된다.
하우징(5)은 차체 개구부(3)의 구역에 쇼울더(16)를 구비함으로써 가능한 한 틈새가 없이 차체 개구부(3)의 외측 윤곽에 꼭 들어 맞게 된다.
도4에는 유지 부재(4 및 17)의 단부(4a 및 17a) 사이에 슬릿(14)이 마련되어 있는 유지 부재(4 및 17)가 도시되어 있다. 이 슬릿(14)에 의해 유지 부재(4 및 17)의 단부(4a 및 17a)가 반경 방향으로 용이하게 압축될 수 있다.
도5에는 유지 부재(17)를 분실됨이 없이 차량 전조등(1)에 유지시키는 또 다른 양태가 도시되어 있다. 유지 부재(4 및 17) 쪽을 향한 하우징(5)의 측면(21)에는 유지 부재(17)의 개구부(22)를 통해 돌출되고 그 자유 단부에 개구부(22)보다 더 큰 직경의 핀 헤드(20)가 위치되는 핀(19)이 배치된다. 유지 부재(17)는 이러한 핀 헤드(20)에 의해 분실됨이 없이 하우징(5)에 유지된다. 이로써, 유지 부재(17)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조립에 앞서 고정 나사(6)를 1 내지 2의 나사 피치만큼 나사 구멍(12) 속에 조여 넣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Claims (18)

  1. 차체 부재의 개구부 또는 복수의 차체 부재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넘어 돌출되는 전조등과 같은 차량 부속품을 고정시키는 고정 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유지 부재와, 이 유지 부재를 차량 부속품에 유지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고정 수단을 구비하는 차량 부속품용 고정 장치에 있어서,
    유지 부재(4)는 차량 부속품(1)을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개구부(3)의 가장자리(9)는 고정 수단(6, 23)에 의해 유지 부재(4)를 차량 부속품(1)에 고정시킴으로써 유지 부재(4)와 차량 부속품(1)과의 사이에 클램핑식으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속품용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유지 부재(4)는 차량 부속품(1)과 함께 상기 개구부(3)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유지 부재(4) 또는 그것의 적어도 일부는 삽입시에는 압축될 수 있고, 삽입 후에는 확장되어 개구부(3)의 가장자리(9)의 배후에 맞물리는 형식으로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속품용 고정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고정 수단(6, 23)은 나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속품용 고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나사부는 차량 부속품(1)과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속품용 고정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나사부는 유지 부재(4)와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속품용 고정 장치.
  6.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 부속품(1) 또는 유지 부재(4)에는 나사부와 상호 작용하는 암나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속품용 고정 장치.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사부의 자유 단부에는 고정 부품 또는 클램핑 부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속품용 고정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 부재(4)는 맞물림 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속품용 고정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 부재(4)는 개구부 내에 삽입되기 전에 분실됨이 없이 차량 부속품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속품용 고정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 부재(4)는 하나 이상의 슬릿(1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속품용 고정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슬릿(14)은 차체 부재(2) 쪽을 향한 유지 부재(4)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속품용 고정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 부속품(1)은 개구부(3) 내에 삽입될 때에 유지 부재(4) 또는 그 일부를 수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자유 공간(1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속품용 고정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 부재(4)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속품용 고정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플라스틱은 폴리아미드, 바람직하게는 PA 6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속품용 고정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 부재(4)와 차량 부속품(1)과의 사이에는 스프링 수단(26)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속품용 고정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 부재(4) 쪽을 향한 차량 부속품(1)의 측면(21) 상에는 유지 부재(4)의 개구부(22)를 통해 돌출되고 그 자유 단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구부(22)를 넘어 돌출되는 핀 헤드(20)를 구비한 핀(19)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속품용 고정 장치.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 부재(4)는 차량 부속품(1) 쪽을 향한 그 단부에 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속품용 고정 장치.
  18.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 부속품(1)과 개구부(3)의 가장자리(9)와의 사이에는 밀봉 수단이 마련되고, 유지 부재(4)는 차량 부속품(1)을 둘레측에서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둘러싸서 유지 부재(4)의 고정에 의해 실질적으로 균등한 클램핑력이 밀봉 수단에 가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속품용 고정 장치.
KR1019997007240A 1997-02-27 1998-02-25 차량 부속품용 고정 장치 KR200000709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07949A DE19707949C1 (de) 1997-02-27 1997-02-27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teil
DE19707949.0 1997-0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974A true KR20000070974A (ko) 2000-11-25

Family

ID=7821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240A KR20000070974A (ko) 1997-02-27 1998-02-25 차량 부속품용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963307B1 (ko)
JP (1) JP2001513044A (ko)
KR (1) KR20000070974A (ko)
CN (1) CN1096972C (ko)
DE (3) DE19707949C1 (ko)
ES (1) ES2157657T3 (ko)
PT (1) PT963307E (ko)
WO (1) WO19980380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72961A (zh) * 2014-04-03 2015-10-14 F·波尔希名誉工学博士公司 紧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13596B4 (de) * 1998-03-27 2007-06-28 Volkswagen Ag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teil
JP3898376B2 (ja) * 1999-05-11 2007-03-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DE19950948A1 (de) * 1999-10-22 2001-04-26 Hella Kg Hueck & Co Leuchte für Fahrzeuge und Verfahren zum Anbringen einer Leuchte
DE10219977B4 (de) * 2002-05-03 2004-10-07 Daimlerchrysler Ag Einbauleuchte
US7572043B2 (en) * 2004-03-10 2009-08-11 Truck-Lite Co., Inc. Anti-theft vehicle mini lamp
JP4569444B2 (ja) * 2005-11-09 2010-10-27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2007320373A (ja) 2006-05-30 2007-12-13 Ichikoh Ind Ltd 車両用ランプ、車両用ランプの取付方法、車両用ランプの取付構造及び車両
CN102285336A (zh) * 2011-08-31 2011-12-21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行李箱尾灯安装结构
US20130093212A1 (en) * 2011-10-14 2013-04-18 Nsv Llc Vehicle mounting system and method of mounting an accessory to a vehicle
ES2580327B1 (es) * 2015-02-20 2017-06-01 Illinois Tool Works Inc. Dispositivo de fijación
DE102015107393A1 (de) * 2015-05-12 2016-11-1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Heckleuchte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DE102017219904A1 (de) * 2017-11-09 2019-05-0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 Leuchteneinheit eines Fahrzeugs, Leuchteneinheit für ein Fahrzeug sowie Fahrzeug
NL2025026B1 (en) * 2020-03-02 2021-10-14 Daf Trucks Nv A vehicle comprising a lamp unit and a mounting ring unit for attaching a lamp unit to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2405Y2 (ja) * 1979-08-29 1985-09-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部品取付構造
DE3137342A1 (de) * 1981-09-19 1983-04-07 Gebr. Happich Gmbh, 5600 Wuppertal Frontspoiler aus kunststoff mit anordnung zum befestigen von zusatzleuchten
DE4242429A1 (de) 1992-04-27 1993-10-28 Bayer Ag Kationische Triazatrimethinfarbstoffe
DE4242439C1 (de) * 1992-12-16 1994-03-24 Reitter & Schefenacker Gmbh Befestigung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Leuchten, vorzugsweise für Kraftfahrzeugleuchten
DE19519655B4 (de) * 1995-05-30 2010-04-08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An einem Frontteil eines Fahrzeugs angeordnete Beleuchtungseinrichtung
DE19520313C1 (de) * 1995-06-02 1996-05-15 Hella Kg Hueck & Co Fahrzeugleuchte
FR2753147B1 (fr) * 1996-09-06 1998-12-04 Valeo Vision Feu pour vehicule automobile, pour montage depuis l'exterieu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72961A (zh) * 2014-04-03 2015-10-14 F·波尔希名誉工学博士公司 紧固装置
US10124718B2 (en) 2014-04-03 2018-11-1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Attachm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800724D1 (de) 2001-06-21
EP0963307B1 (de) 2001-05-16
EP0963307A1 (de) 1999-12-15
PT963307E (pt) 2001-09-28
DE19707949C1 (de) 1998-08-06
CN1248943A (zh) 2000-03-29
WO1998038063A1 (de) 1998-09-03
ES2157657T3 (es) 2001-08-16
CN1096972C (zh) 2002-12-25
DE29714472U1 (de) 1997-10-16
JP2001513044A (ja) 2001-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70974A (ko) 차량 부속품용 고정 장치
KR100590156B1 (ko) 유압 제어 실린더를 자동차의 차체 구조 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
US6685350B2 (en) Fastening device for taillights of vehicles, preferably motor vehicles
JP4751006B2 (ja) 車両ブレーキ系の液圧式ユニットを車両に弾性的に支承するための装置
US5344112A (en) Canister bracket
KR20060100239A (ko) 차량 루프 안테나 장착용 조립체
US11788564B2 (en)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wo components with a space in between
EP3599386B1 (en) Stud locking tool
US6325667B2 (en) Modular connector fitting structure
CN113464523B (zh) 紧固元件
US20050169725A1 (en) Housing comprising a locking device for fixing the same to a carrier plate
JP3517094B2 (ja) ランプソケット
KR200142430Y1 (ko) 호오스의 연결장치
JP2002144951A (ja) 自動車用前照灯
JP3526915B2 (ja) 照明器具
JPH0132627Y2 (ko)
MXPA99006737A (en) Fastening device for automobile accessories
KR19980046792U (ko) 자동차용 커넥터 결합 구조
JP3666041B2 (ja) 電子部品の取付バンド及びその取付構造
KR19980050878A (ko) 와이어링 고정용 클램프
KR0129398Y1 (ko) 자동차 혼 체결구조
KR0132937Y1 (ko) 자동차용 배터리 터미널구조
KR100205901B1 (ko) 케이블 및 와이어링 고정용 더블 클립 어셈블리
KR200152863Y1 (ko) 트림 결합용 블랭킹 커버 및 클립
WO2020219617A1 (en) Holding element for holding a component to be secured, and holding system with such an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