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6792U - 자동차용 커넥터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커넥터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6792U
KR19980046792U KR2019960059946U KR19960059946U KR19980046792U KR 19980046792 U KR19980046792 U KR 19980046792U KR 2019960059946 U KR2019960059946 U KR 2019960059946U KR 19960059946 U KR19960059946 U KR 19960059946U KR 19980046792 U KR19980046792 U KR 199800467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eans
circumferential surface
connector
outer circumferential
coupl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99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한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599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6792U/ko
Publication of KR199800467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6792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커넥터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암몸체의 외주면에는 일정 구간에 걸쳐 나사산이 형성하고, 수몸체의 외주면에는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상기 나사산과 치합가능한 체결수단을 설치하여서, 암몸체에 수나사를 끼운 상태에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하나로 조합가능하게 함으로써, 암수몸체의 체결력을 더욱 높여 진동이나 기타 여러 가지 요인으로 각 몸체가 분리되면서 각 구성품에 공급되는 전원이 중단되는 것을 막아, 각 구성품들이 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커넥터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커넥터 결합 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용 커넥터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암몸체의 외주면에 나사부를 형성하고, 탄성스프링이 일체로 된 수몸체에 체결수단을 설치하여서, 암수몸체를 하나로 끼운 상태에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 함으로써, 진동이나 기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커넥터의 결합이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자동차용 커넥터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부에는 각 전기/전자 구성품들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전기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특히, 상기 각 구성품들은 탈거 및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커넥터를 이용하여 서로 통전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첨부도면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암수로 된 제 1몸체(10)와 제 2몸체(2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 1몸체(10)를 제 1몸체(20)의 내부에 끼워 하나로 조합하여 통전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기존의 커넥터 결합 구조는 암수몸체를 하나로 끼워 설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차량이 주행 중 받는 진동이나 기타 여러 가지 요인으로 암수몸체가 분리되어, 각 구성품들이 제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암몸체의 외주면에는 일정 구간에 걸쳐 나사산이 형성하고, 수몸체의 외주면에는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상기 나사산과 치합가능한 체결수단을 설치하여서, 암몸체에 수나사를 끼운 상태에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하나로 조합가능하게 함으로써, 암수몸체의 체결력을 더욱 높여 진동이나 기타 여러 가지 요인으로 각 몸체가 분리되면서 각 구성품에 공급되는 전원이 중단되는 것을 막아, 각 구성품들이 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커넥터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커넥터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결합 구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 1몸체11 : 나사부
20 : 제 2몸체21 : 체결수단
22 : 걸림부23 : 하우징
24 : 탄성스프링25 : 암나사부
26 : 지지바27 : 걸림턱
28 : 설치구멍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외주면의 일부 구간에 걸쳐 나사부(11)가 형성된 제 1몸체(10)와,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상기 나사부(11)와 치합가능하도록 체결수단(21)이 구비되어 있으면서 상기 제 1몸체(10)와 하나로 조합가능한 제 2몸체(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체결수단(21)은 상기 제 2몸체(20)의 후부에 설치된 탄성스프링(24)에 걸려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걸림부(22)와, 이 걸림부(22)와 일체로 움직이면서 그 내부에는 상기 나사부(11)와 치합가능한 암나사부(25)가 형성된 하우징(2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22)는 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그 외주면에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끝단에 걸림턱(27)이 형성된 지지바(26)가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23)은 얇은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그 바닥면 중앙에는 설치구멍(2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2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도, 도면부호 3은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결합 구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면부호 10과 20은 각각 전원이 통전가능하도록 된 커넥터의 제 1몸체와 제 2몸체를 각각 나타낸다.
본 고안은 상기 제 1몸체(1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11)을 형성하고, 상기 제 2몸체(20)의 외주면에는 탄성지지를 받아 이 제 2몸체(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체결수단(21)을 설치하여서, 상기 체결수단(21)이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나사산(11)에 치합되어서 제 1몸체(10)와 제 2몸체(20)가 하나로 조합가능하게 하여, 그 체결력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21은 체결수단을 나타낸다.
상기 체결수단(21)은 제 2몸체(20)의 후부에 설치된 탄성스프링(24)의 지지를 받아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걸림부(22)와, 이 걸림부(22)와 일체로 움직이면서 회전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나사부(11)에 치합가능하도록 된 하우징(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22)는 환 형상의 봉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내주면에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끝단에 걸림턱(27)이 형성된 2개의 지지바(26)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걸림부(22)는 환 형상의 직경이 제 2몸체(20) 보다는 다소 크게 형성하여 이 제 2몸체(20)에 끼워져서 슬라이드 가능하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지지바(26)는 그 걸림턱(27)이 제 2몸체(20)의 후부에 고정된 탄성스프링(24)에 설치되어 길이방향으로 탄성지지를 받게 된다.
상기 하우징(23)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용기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바닥면 중앙에는 설치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설치구멍(28)은 걸림부(22)의 직경보다는 다소 작으면서 2개의 지지바(26)를 지나는 직경보다는 다소 크게 형성하여서, 이 설치구멍(28)에 끼워진 지지바(26)가 상기 걸림부(22)를 회전시킴에 따라 서로 간섭을 받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23)은 그 입구부로부터 일정 구간에 걸쳐 상기 나사부(11)와 치합가능한 암나사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암나사부(25)의 안쪽으로는 미도시된 걸림돌기가 안쪽으로 돌출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하우징(23)은 그 내부에 지지바(26)가 설치구멍(28)에 끼워져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걸림부(22)가 끼워지게 되며, 이 하우징(23)과 지지바(26) 사이에는 탄성스프링(24)이 구비된 제 2몸체(20)가 끼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22)는 걸림턱(27)이 탄성스프링(24)에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23)은 그 바닥면과 미도시된 걸림돌기 사이에 끼워진 걸림부(22)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별도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23)은 제 1몸체(10)와 제 2몸체(20)가 하나로 조합된 상태에서 앞쪽으로 잡아 당김에 따라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길이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23)을 회전시키게 되면 나사부(11)에 암나사부(25)가 치합되어 상기 제 1몸체(10)와 제 2몸체(20)의 결속력을 높여 주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제 1몸체의 외주면에는 일부 구간에 걸쳐 나사부를 형성하고, 제 2몸체의 외주면에는 탄성지지를 받아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이 나사부에 치합가능하도록 체결수단을 구비하여서, 제 1몸체와 제 2몸체가 하나로 끼움설치된 상태에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하나로 조합가능하게 함으로써, 제 1몸체와 제 2몸체의 결속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되어, 진동 등에 의하여 커넥터가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외주면의 일부 구간에 걸쳐 나사부(11)가 형성된 제 1몸체(10)와,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상기 나사부(11)와 치합가능하도록 체결수단(21)이 구비되어 있으면서 상기 제 1몸체(10)와 하나로 조합가능한 제 2몸체(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커넥터 결합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21)은 상기 제 2몸체(20)의 후부에 설치된 탄성스프링(24)에 걸려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걸림부(22)와, 이 걸림부(22)와 일체로 움직이면서 그 내부에는 상기 나사부(11)와 치합가능한 암나사부(25)가 형성된 하우징(2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커넥터 결합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22)는 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그 외주면에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끝단에 걸림턱(27)이 형성된 지지바(26)가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커넥터 결합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3)은 얇은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그 바닥면 중앙에는 설치구멍(2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커넥터 결합 구조.
KR2019960059946U 1996-12-28 1996-12-28 자동차용 커넥터 결합 구조 KR1998004679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9946U KR19980046792U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용 커넥터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9946U KR19980046792U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용 커넥터 결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792U true KR19980046792U (ko) 1998-09-25

Family

ID=53998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9946U KR19980046792U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용 커넥터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679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9714A (ko) * 2019-08-13 2021-0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방진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9714A (ko) * 2019-08-13 2021-0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방진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6992B2 (en) Connection system, in particular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JP5294084B2 (ja) スタッドボルト組立体及びスタッドボルト組立体を備えた電気接続箱
US4531796A (en) Electrical plug-and-socket connector
US6685350B2 (en) Fastening device for taillights of vehicles, preferably motor vehicles
US6113431A (en) Flat F-port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CA2273534A1 (en) Bumper mounted cord set
US6179654B1 (en) Bumper mounted cord set
KR20000070974A (ko) 차량 부속품용 고정 장치
US20080214046A1 (en) Connecting device having a locking mechanism
KR19980046792U (ko) 자동차용 커넥터 결합 구조
KR960030492A (ko) 볼트를 갖춘 커넥터
JP2011134519A (ja)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US6488382B1 (en) Exterior rearview mirror for vehicles, in particular, motor vehicles
KR100230937B1 (ko) 연장 지지판을 가지고 있는 가동 커넥터
US7513648B2 (en) Headlamp for vehicles
JP3517094B2 (ja) ランプソケット
US5659282A (en) Cylindrical fuse holder with a socket movable axially in the holder
JP3531684B2 (ja) 端子係止機構
KR0132833Y1 (ko) 자동차 헤드램프 전원공급 와이어 고정구조
JP2005093194A (ja) 防水コネクタ用の防水栓
JPS6226951Y2 (ko)
JP4255152B2 (ja) 雑音吸収装置
KR100488700B1 (ko) 아크 방전 저감용 콘넥터
KR0132937Y1 (ko) 자동차용 배터리 터미널구조
JP6519782B2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