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0261A - 필기구용 수성 잉크 - Google Patents

필기구용 수성 잉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0261A
KR20000070261A KR1019997006489A KR19997006489A KR20000070261A KR 20000070261 A KR20000070261 A KR 20000070261A KR 1019997006489 A KR1019997006489 A KR 1019997006489A KR 19997006489 A KR19997006489 A KR 19997006489A KR 20000070261 A KR20000070261 A KR 20000070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aqueous
ballpoint pen
water
visco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6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4729B1 (ko
Inventor
미야자키시게루
다케우치요지
미야모토마사루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엔피츠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엔피츠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엔피츠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70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0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4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47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16Writing 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착색제, 분산제, 물 및 극성 용제로 이루어진 필기구용 수성 잉크에 있어서, 잉크는 잉크 총중량에 대하여, 덱스트린, 또는 말토덱스트린을 0.5 내지 20 중량% 함유하며, 내건조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필기구용 수성 잉크{Water-Base Ink For Writing Utensils}
종래부터, 볼펜용 잉크로서는 용제가 물 등의 수성 용매로 이루어지면서, 잉크의 점도가 10 mPa·s 이하인 저점도의 수성 볼펜용 잉크와, 용제가 광물유, 다가 알콜, 지방산, 셀로솔브 등의 유성 용매로 이루어지면서, 잉크의 점도가 1000 내지 20000 mPa·s인 유성 볼펜용 잉크가 일반적이다.
유성 볼펜용 잉크를 사용하는 유성 볼펜은 좁은 잉크 수납관을 통해 펜 끝의 볼에 부착한 잉크가 볼의 회전에 의해 지면에 전사되고, 그 전사된 분량 만큼의 잉크가 수납관에서 볼로 공급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수성 볼펜용 잉크를 사용하는 수성 볼펜은 가는 섬유를 굳힌 중계 유도심의 모세관 작용에 의해 볼면이나 지면 잉크가 공급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수성 볼펜용 잉크 및 유성 볼펜용 잉크는 각각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수성 볼펜용 잉크는 점성이 낮기 때문에 잉크 공급의 원리는 모세관 작용이 이용되고, 이를 사용하는 볼펜은 볼펜 선단부와 종이가 접촉되기만 되면, 그 접점에 모세관 작용이 일어나 잉크가 공급되고, 필압을 너무 가하지 않더라도 지면에 양호한 필적을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선 갈라짐, 긁힘이나 잉크 뭉침이 잘 일어나지 않게 된다. 그 반면, 잉크 수납관에 직접 잉크를 수용하면, 진동, 충격, 외기의 온도 상승등이 원인으로 잉크가 새어나와 볼에 공급되는 양이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가는 섬유로 굳힌 중계 유도심을 가진 복잡한 구조가 필요해지고, 또한, 잉크 잔량을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유성 볼펜용 잉크를 사용하는 볼펜에서는 잉크의 점성이 높기 때문에, 펜끝으로부터의 잉크의 뭉침을 방지할 수 있고, 좁은 잉크 수납관에 직접 잉크를 수납할 수 있어 볼펜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점과, 잉크의 수납관에 투명한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잉크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는 반면, 회전한 볼과 접촉한 지면에만 잉크가 전사되기 때문에, 볼의 회전이 불안정한 거동을 보이면 선이 갈라지거나 긁힘이 발생하기 쉽고, 지면에 잉크가 침투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미전사된 잉크에 의해 더러움이 생기는 잉크 뭉침이 생기기 쉽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수용성 잉크에 겔화제나 수용성 호제를 첨가하고, 잉크에 특수한 점도 특성을 부여한 수성 볼펜용 잉크(이하, 의소성 수성 잉크라 칭함)가 제공되고 있다.
이 의소성 수성 잉크를 이용한 수성 볼펜은 필기시에는 칩 선단의 볼의 회전에 의해, 잉크에 전단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잉크 점도가 저하되고, 수성 볼펜과 같은 매끄러운 필기가 가능해지며, 지면에 양호한 필적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또한, 비필기시에는 잉크의 점도가 높기 때문에 펜끝으로부터의 잉크의 뭉침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의소성 수성 잉크를 이용한 수성 볼펜에서는 잉크 수납관에 직접 잉크를 수납할 수 있어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고, 잉크 수납관에 투명한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잉크 잔량의 확인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의소성 수성 볼펜용 잉크를 이용하면, 수성 볼펜과 유성 볼펜의 쌍방의 특징을 겸비한 필기구가 된다.
수성 잉크는 주용제가 물이기 때문에, 그 수분이 증발하면, 예를 들면 필기구의 선단에 있어서 잉크중의 용해물이나 혼합물이 농축, 석출, 건조고화되어 막힘 및 잉크의 점도 상승을 일으키고, 재필기에 지장이 생긴다는 폐해가 있다. 그 때문에, 종래부터 요소, 티오요소, 다가 알콜, 또는 그 유도체,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알콜, 4-메톡시-4-메틸펜탄-2온, P-톨루엔설폰아미드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티오디에탄올알칸올아민 등의 난휘발성 염료 가용화제 또는 염료 용해조제, 소르비톨 등을 첨가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각 첨가제를 배합한 잉크는 건조방지 효과가 불충분하거나, 첨가제 자체가 독성을 가져서 첨가물로서 부적당하거나, 잉크 점도를 증대시켜 잉크의 추종불량을 일으키는 폐해가 있는 등의 이유로, 만족할만한 필기구용 수성 잉크를 얻을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내건조성이 우수하면서 안전하고 잉크의 점도가 상승하는 일이 없는 필기구용 수성 잉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의소성 수성 볼펜용 잉크로서 적합한 수성 잉크를 제공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적어도 착색제, 분산제, 물 및 극성 용제로 이루어진 필기구용 수성 잉크에 있어서 당해 잉크는 전잉크 중량에 대하여 덱스트린, 또는 말토덱스트린을 0.5 내지 2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용 수성 잉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적어도 착색제, 분산제, 물, 극성 용제에 추가로 점도 조절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의소성 수성 볼펜용 잉크는 본 발명의 적합한 한 형태이다.
본 발명의 필기구용 수성 잉크중에는 다르게 요구되는 수용성 유기 용제가 일종 단독으로, 또는 복수 조합하여 첨가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신규한 필기구용 수성 잉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의소성 수성 볼펜용 잉크를 포함하는 내건조성이 우수한 필기구용 수성 잉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필기구용 수성 잉크에서 사용되는 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필기구용 수성 잉크에 첨가되는 덱스트린 또는 말토덱스트린은 식용 감미료로서도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독성이 없는 안전한 당류로,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고, 매우 우수한 수분 유지성을 가진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 덱스트린 또는 말토덱스트린을 함유한 필기구용 수성 잉크는 안전하고, 잉크 점도를 경시적으로 상승시키는 등의 폐해를 일으키는 일 없이 내건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덱스트린 또는 말토덱스트린은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수성 잉크의 성질에 대하여 악영향을 주지 않고, 잉크중의 수소 이온농도 등을 변화시키는 일도 없으므로, 음이온 및 양이온성 물질에 대해서도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따라서 착색제로서는 모든 수성 염료 및 유기 또는 무기안료중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수성 잉크중의 덱스트린 또는 말토덱스트린의 함유량은 잉크 전량에 대해서 0.5 내지 20 중량%가 바람직하다. 0.5 중량%보다 적으면 내건조성의 효과가 적고, 20 중량%보다 많으면 방사성이 강해져서 필기감을 저하시킨다.
착색제로서는 수성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가능한 염료 및 안료가 모두 사용가능하고, 그 구체예를 들면, 에옥신, 플록신, 워터 옐로 #6-C, 애시드 레드, 워터 블루 #105, 브릴리안트 블루 FCF, 니그로신 NB 등의 산성염료, 다이렉트 블렉 154, 다이렉트 스카이 블루 5B, 바이올렛 BB 등의 직접 염료, 로더민, 메틸 바이올렛 등의 염기성 염료, 이산화티탄, 카본 블랙, 군청 등의 무기안료, 및 각종 금속 분말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1종 또는 2종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착색제로서 안료를 이용한 경우에는 수용성 고분자 분산제나 계면활성제 등을 적절하게 선택, 배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아크릴산염,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염, 스티렌-말레인산 공중합체의 염, 비닐나프탈렌-말레산 공중합체의 염, β-나프탈렌설폰산 포르말린 축합물 등의 음이온성 고분자나,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의 비이온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물은 주요제로서 사용할 수 있고, 극성용제로서는 물에 상용성이 있는 극성기를 가진 모든 용제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글리세린, 피롤리돈, 트리에탄올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점도 조절제는 잉크에 의소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폴리아크릴산염, 가교형 아크릴산 중합체,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염, 스티렌-말레산 공중합체의 염,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의 비이온성 고분자, 크산탄 검, 구아 검, 카제인, 아라비아 고무, 젤라틴, 카라기난, 아르긴산, 트라간트 검, 로커스트 빈 검 등의 다당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점도 조절제에 의해 조정된 잉크의 점도범위는 전단속도가 3.84s-1인 경우에 있어서, 100 내지 4000mPa·s가 바람직하다. 상기 조건하에서 점도가 100mPa·s보다 낮으면, 펜끝에서 잉크가 뭉쳐 버린다. 또한, 이산화티탄이나 금속 분말등 비중이 큰 착색제를 이용했을 때에는 착색제 침강방지를 위하여 점도를 높게 조정할 필요가 있는 데, 그 상한치는 4000mPa·s가 바람직하다. 4000mPa·s를 초과하면 잉크의 추종불량에 의한 필기성 저하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상기 성분이외의 다른 조절제로서는 윤활제로서 폴리알킬렌 글리콜 유도체, 지방산 알칼리염,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불소계 계면활성제 등이, 방청제로서 벤조트리아졸, 사포닌류등이, pH 조절제로서 수산화 칼륨, 인산 칼륨등이, 방부제로서 나트륨 오마딘, 1, 2-벤조이소티아졸린 등을 필요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기구용 수성 잉크의 제조법은 상기 성분을 필요에 따라서 가열용해, 혼합 교반함으로써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어떠한 한정도 되지 않는다.
실시예 1
하기 배합으로 청색 수성 볼펜용 안료 잉크를 조제하였다.
프탈로시아닌 블루 : 8.0 중량%
스티렌-아크릴산 수지 암모늄염 : 3.0 중량%
에틸렌 글리콜 : 20.0 중량%
덱스트린 : 5.0 중량%
인산 에스테르 : 0.7 중량%
바이오덴 : 0.3 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 0.3 중량%
벤조트리아졸 : 0.2 중량%
이온 교환수 : 나머지
실시예 2
하기 배합으로 청색 수성 볼펜용 안료 잉크를 조제하였다.
프탈로시아닌 블루 : 8.0 중량%
스티렌-아크릴산 수지 암모늄염 : 3.0 중량%
에틸렌 글리콜 : 20.0 중량%
말토덱스트린 : 4.0 중량%
인산 에스테르 : 0.5 중량%
바이오덴 : 0.3 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 0.3 중량%
벤조트리아졸 : 0.2 중량%
이온 교환수 : 나머지
실시예 3
하기 배합으로 흑색 수성 볼펜용 안료 잉크를 조제하였다.
카본 블랙 : 8.0 중량%
스티렌-말레산 수지 암모늄염 : 3.0 중량%
말토덱스트린 : 3.0 중량%
에틸렌 글리콜 : 20.0 중량%
바이오덴 : 0.3 중량%
아미노메틸 프로판올 : 0.3 중량%
벤조트리아졸 : 0.2 중량%
이온 교환수 : 나머지
비교예 1
실시예 1의 잉크에 있어서, 덱스트린을 제외하고 청색 수성볼펜용 잉크를 조제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2의 잉크에 있어서, 말토덱스트린을 제외하고 요소를 5중량% 첨가하여 청색 수성 볼펜용 잉크를 조제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3의 잉크에 있어서, 말토덱스트린을 제외하고 흑색 수성 볼펜용 잉크를 조제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2의 처방에 의해 수득된 잉크와 비교예 1 내지 2의 처방에 의해 수득된 잉크를 각각 볼 직경 0.7mm를 가지는 볼펜체에 충전하고, 또한, 실시예 3 및 비교예 3의 처방에 의해 수득된 잉크를 시판하는 싸인펜에 충전하여 캡을 뗀채로 방치하여 긁힘이 생길 때까지의 일시를 측정하고, 추가로 잉크의 50℃, 1개월간 보존후의 점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잉크의 성능평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긁힘까지의 시간 30일 30일 16시간 15일 20일 5시간
점도 변화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상승 없음
실시예 4
하기 배합으로 청색 의소성 수성 볼펜용 안료 잉크를 조제하였다.
프탈로시아닌 블루 : 8.0 중량%
스티렌-아크릴산 수지 암모늄염 : 3.0 중량%
에틸렌 글리콜 : 20.0 중량%
덱스트린 : 5.0 중량%
인산 에스테르 : 0.7 중량%
바이오덴 : 0.3 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 0.3 중량%
벤조트리아졸 : 0.2 중량%
폴리아크릴산염(아크릴계 합성 고분자) : 0.4 중량%
이온 교환수 : 나머지
실시예 5
하기 배합으로 청색 의소성 수성 볼펜용 안료 잉크를 조제하였다.
프탈로시아닌 블루 : 8.0 중량%
스티렌-아크릴산 수지 암모늄염 : 3.0 중량%
에틸렌 글리콜 : 20.0 중량%
말토덱스트린 : 4.0 중량%
인산 에스테르 : 0.5 중량%
바이오덴 : 0.3 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 0.3 중량%
벤조트리아졸 : 0.2 중량%
폴리아크릴산염(아크릴계 합성 고분자) : 0.4 중량%
이온 교환수 : 나머지
실시예 6
하기 배합으로 흑색 의소성 수성 볼펜용 안료 잉크를 조제하였다.
카본 블랙 : 8.0 중량%
스티렌-말레산 수지 암모늄염 : 3.0 중량%
말토덱스트린 : 3.0 중량%
칼리 비누 : 0.5 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 20.0 중량%
바이오덴 : 0.3 중량%
아미노메틸 프로판올 : 0.3 중량%
벤조트리아졸 : 0.2 중량%
가교형 아크릴산 중합체 : 0.4 중량%
이온 교환수 : 나머지
비교예 4
실시예 4의 잉크에 있어서, 덱스트린을 제외하고 청색 수성 볼펜용 잉크를 조제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5의 잉크에 있어서, 말토덱스트린을 제외하고 요소를 5 중량% 첨가하여 청색 수성 볼펜용 잉크를 조제하였다.
비교예 6
실시예 6의 잉크에 있어서, 말토덱스트린을 제외하고 흑색 수성 볼펜용 잉크를 조제하였다.
상기 실시예 4 내지 6의 처방에 의해 수득된 잉크와 비교예 4 내지 6의 처방에 의해 수득된 잉크를 각각 볼 직경 1.0mm를 가지는 볼펜체에 충전하고, 캡을 뗀 채로 방치하여 긁힘이 생길 때까지의 일시를 측정하고, 추가로 초기의 잉크의 전단 속도 3.84s-1에 있어서의 점도, 및 그 50℃, 1개월간 보존후의 점도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잉크의 성능평가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긁힘까지의 시간 10일 14일 14일 3일 5일 5일
잉크 초기점도mPa·s 700 500 500 750 800 550
점도 변화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상승 없음
본 발명의 필기구용 수성 잉크는 매우 안전하고,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도가 상승하는 폐해없이 내건조성이 매우 우수하며, 싸인펜이나 볼펜, 특히 의소성 수성 잉크는 수성 볼펜용에 적합하다.

Claims (4)

  1. 적어도 착색제, 분산제, 물 및 극성 용제로 이루어진 필기구용 수성 잉크에 있어서, 잉크 총중량에 대하여, 덱스트린 또는 말토덱스트린을 0.5 내지 2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용 수성 잉크.
  2. 제 1 항에 기재된 필기구용 수성 잉크에 있어서, 점도 조절제를 가하여 의소성을 부여한 수성 볼펜용 잉크.
  3. 제 2 항에 있어서,
    전단 속도가 3.84s-1인 경우에, 상기 잉크의 점도가 100 내지 4000mPa·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볼펜용 잉크.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점도 조절제가 폴리아크릴산염, 가교형 아크릴산 중합체,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염, 스티렌-말레산 공중합체의 염,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 글리콜, 크산탄 검, 구아 검, 카제인, 아라비아 고무, 젤라틴, 카라기난, 알긴산, 트라간트 검, 로커스트 빈 검에서 선택된 하나이상의 수성 볼펜용 잉크.
KR1019997006489A 1997-01-20 1998-01-12 수성볼펜용잉크 KR1003447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7941 1997-01-20
JP794197 1997-01-20
JP97-13758 1997-01-28
JP1375897 1997-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261A true KR20000070261A (ko) 2000-11-25
KR100344729B1 KR100344729B1 (ko) 2002-07-20

Family

ID=26342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6489A KR100344729B1 (ko) 1997-01-20 1998-01-12 수성볼펜용잉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76910B1 (ko)
EP (1) EP0953617A4 (ko)
KR (1) KR100344729B1 (ko)
CN (1) CN1140595C (ko)
AU (1) AU5343198A (ko)
TW (1) TW353106B (ko)
WO (1) WO19980317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630A (ko) *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윌켐코리아 타이어 마킹용 친환경 수성 잉크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938098A (en) * 1997-07-07 1999-02-08 Mitsubishi Pencil Kabushiki Kaisha Aqueous ink composition for writing utensils
US6769829B1 (en) * 2000-06-30 2004-08-03 Avery Dennison Corporation Drawable and/or traceable binder
US7045199B2 (en) * 2001-06-14 2006-05-16 Avery Dennison Corporation Drawable and writable photo album
US7241335B2 (en) * 2002-04-25 2007-07-10 Sakura Color Products Corporation Aqueous ink for ball point pens
JP4979182B2 (ja) * 2004-03-18 2012-07-18 三菱鉛筆株式会社 ミニチュア模型用水性塗装液塗布具セット及びミニチュア模型用水性塗装液描線の調整方法
EP2356184B2 (en) 2008-11-18 2021-06-16 Sun Chemical Corporation Printing ink and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derivatives of starch and modified starch
CN100590162C (zh) * 2008-12-19 2010-02-17 刘丙阳 圆珠笔用假塑性水基染料型油墨
JP5750273B2 (ja) * 2011-01-31 2015-07-15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ボールペン
JP5885965B2 (ja) * 2011-08-19 2016-03-16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水性ボールペン用インキ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水性ボールペン
JP5764037B2 (ja) * 2011-10-24 2015-08-12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ボールペン用水性インキ組成物及びそれを内蔵したボールペン
JP6223764B2 (ja) * 2012-10-12 2017-11-01 三菱鉛筆株式会社 水性ボールペン用インク組成物
US9433644B2 (en) 2013-07-25 2016-09-06 Rutgilli Pharmaceuticals, Llc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oral inflammation, injury, or pain
JP6100646B2 (ja) * 2013-08-23 2017-03-22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ボールペン用水性インキ組成物及びそれを内蔵したボールペン
JP6916094B2 (ja) * 2017-11-17 2021-08-11 ゼネラル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
JP7016244B2 (ja) * 2017-11-17 2022-02-21 ゼネラル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
CN111410697B (zh) * 2020-05-29 2021-12-17 上海晨光文具股份有限公司 一种水包油型乳化墨水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9132A (en) * 1972-05-25 1976-04-06 The Gillette Company Marking boards and erasable ink compositions therefor
JPS5412924A (en) * 1977-06-30 1979-01-31 Pilot Ink Co Ltd Aqueous ink composition
JPS58125770A (ja) * 1982-01-21 1983-07-26 Pentel Kk ボ−ルペン用水性インキ
JPS60166347A (ja) * 1984-02-09 1985-08-29 Taoka Chem Co Ltd 染料溶液組成物
JPS63223077A (ja) * 1987-03-13 1988-09-16 Mitsubishi Pencil Co Ltd 水性インキ組成物
US5302195A (en) * 1991-05-22 1994-04-12 Xerox Corporation Ink compositions containing cyclodextrins
JPH05140498A (ja) * 1991-11-21 1993-06-08 Sailor Pen Co Ltd:The 水性インキ
JPH0790215A (ja) * 1993-09-22 1995-04-04 Nippon Fine Chem Kk ホワイトボード用水性マーカーインキ
EP0719846B1 (en) * 1994-12-27 2003-03-19 Seiko Epson Corporation Ink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3019191B2 (ja) * 1995-04-05 2000-03-13 千葉製粉株式会社 新規デキストリン脂肪酸エステル及びその用途
US5854320A (en) * 1995-08-03 1998-12-29 Sakura Color Products Corporation Water base erasable ink compositions
US5954866A (en) * 1996-06-11 1999-09-21 Seiko Epson Corporation Ink for ink jet recording and image 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630A (ko) *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윌켐코리아 타이어 마킹용 친환경 수성 잉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53617A4 (en) 2000-05-10
EP0953617A1 (en) 1999-11-03
US6176910B1 (en) 2001-01-23
AU5343198A (en) 1998-08-07
CN1140595C (zh) 2004-03-03
WO1998031755A1 (fr) 1998-07-23
TW353106B (en) 1999-02-21
CN1244210A (zh) 2000-02-09
KR100344729B1 (ko) 2002-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4729B1 (ko) 수성볼펜용잉크
US7322767B2 (en) Water-based ink composition for ballpoint pen and water-based ballpoint pen
US5993098A (en) Aqueous gel ink-filled ball point pen
US5990201A (en) Pseudo-plastic aqueous ink for ball point pen
JP3534118B2 (ja) 筆記具用水性インキ組成物
JP2006111861A (ja) キャップレスボールペン用水性インキ組成物及びそれを収容したキャップレスボールペン
EP0999244B1 (en) Pseudoplastic water-base ball pen ink
JP7145605B2 (ja) 筆記具
JP2007297514A (ja) ボールペン用水性インキ組成物及びそれを内蔵したボールペンレフィル、ボールペン
JP4326867B2 (ja) ボールペン用水性インキ組成物及びそれを内蔵したボールペン
JP4771676B2 (ja) ボールペン
JP2002235025A (ja) ボールペン用水性インキ組成物
JP4326912B2 (ja) 水性ボールペン
JPH11293175A (ja) ボールペン用水性インキ及びそれを用いたボールペン
JP4008150B2 (ja) 筆記具用水性インキ組成物
JP6100646B2 (ja) ボールペン用水性インキ組成物及びそれを内蔵したボールペン
JPH0848930A (ja) 直液式筆記具用水性インキ組成物
JP2007297448A (ja) ボールペン用水性インキ組成物及びそれを内蔵したボールペンレフィル、ボールペン
JP2007290196A (ja) 変色性ボールペン
JP4004696B2 (ja) ボールペン用水性インキ組成物
JP2000086964A (ja) ボールペン用水性インキ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ボールペン
JP4294551B2 (ja) ボールペン
JP3816368B2 (ja) ボールペン用水性インキ組成物及びそれを内蔵したボールペン
JP2018053205A (ja) ボールペン用水性インキ組成物及びそれを内蔵したボールペン
JP2005036156A (ja) 筆記具用水性インキ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