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9041A - 자동차의 측면충돌용 에어백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측면충돌용 에어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9041A
KR20000069041A KR1019997004439A KR19997004439A KR20000069041A KR 20000069041 A KR20000069041 A KR 20000069041A KR 1019997004439 A KR1019997004439 A KR 1019997004439A KR 19997004439 A KR19997004439 A KR 19997004439A KR 20000069041 A KR20000069041 A KR 20000069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protection part
inflator
ches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4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4316B1 (ko
Inventor
스나바시리유키사다
사사키히로시
세오가스미
Original Assignee
하나와 요시카즈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와 요시카즈,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나와 요시카즈
Publication of KR20000069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9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4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43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5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rear seat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24Inner walls crating separate compartments, e.g. communicating with 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자동차의 에어백에서 격벽포(6)의 뒤쪽(6a)가 탑승자(M)의 어깨부근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이 격벽포(6)가 인플레이터의 길이 방향에 대한 직교방향Y 보다도 아래쪽으로 향하는 각도 θ1으로 앞쪽으로 연장된다. 격벽포(6)가 아래쪽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슴보호부(A)의 용량이 작아지고, 가스(G)에 의한 가슴보호부(A)의 앞쪽으로의 전개속도를 향상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측면충돌용 에어백장치{AIR BAG DEVICE FOR SIDE COLLISION OF AUTOMOBILE}
자동차의 측면충돌을 대비한 에어백장치로는, 차량의 충돌시에 등받이의 측면부로부터 에어백을 앞쪽으로 전개시켜, 이 에어백에 의해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한 측면돌출용 에어백장치가 있다(유사한 기술로는 일본공개공보 H9-136598을 참고하기 바란다).
이러한 종류의 종래의 에어백장치는, 대략 L형을 하고 있으며, 내부에 설치된 격벽포(partitioning wall cloth)에 의해 위쪽의 머리보호부와 아래쪽의 가슴보호부로 구획되어 있다. 에어백의 입구에는 인플레이터(inflator)가 설치되어 이 인플레이터의 측면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가스는 우선 가슴보호부로 들어가서 가슴보호부를 앞쪽으로 전개시키고. 그 후 격벽포에 설치된 통기공으로부터 머리보호부로 들어가서 이 머리보호부를 위쪽으로 전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우선 에어백의 가슴보호부가 앞쪽으로 전개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이 가슴보호부의 전개 속도가 대단히 중요하다. 즉, 측면충돌용 에어백의 경우에는, 탑승자와 차체 측벽과의 틈이 적으므로, 순간적으로 가슴보호부를 탑승자와 차체측벽의 사이에 확실히 전개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그래서, 가슴보호부의 전개 속도를 더욱 높게하도록 새로운 에어백 장치가 제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요청에 따른 것이며, 에어백에서 가슴보호부의 전개 속도를 높일 수 있는 자동차의 측면충돌용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명은, 자동차의 측면충돌을 대비한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측면충돌용 에어백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에어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 중의 화살표 Ⅲ-Ⅲ선을 따라 절단하여 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측면충돌용 에어백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 중의 화살표 Ⅴ-Ⅴ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원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르면, 측면에 분출구를 가지고 이 분출구로부터 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와, 등받이의 측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대략 L자형으로 전개되는 것과 함께 위쪽의 머리보호부와 아래쪽의 가슴보호부를 구비하는 에어백, 및 이 에어백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위쪽의 머리보호부와 상기 아래쪽의 가슴보호부로 상기 에어백을 구획하며, 상기 인플레이터의 측면 분출구로부터 상기 가슴보호부 내부로 분출되는 가스를 상기 머리보호부로 도입하는 통기공을 설치하는 자동차의 측면충돌용 에어백장치에 있어서, 상기 격벽포의 뒤쪽 단부가 시트에 앉은 탑승자의 어깨부근에 위치하여서 상기 인플레이터의 길이방향에 대한 직교방향보다도 아래로 향한 각도로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제1실시형태에 따르면, 격벽포의 뒤쪽 단부가 탑승자의 어깨부근에 위치하므로 가슴보호부의 상단(즉, 격벽포의 뒤쪽 단부)이 적어도 탑승자의 탑승자의 겨드랑이 위치보다도 높게 되고, 그래서 에어백이 탑승자의 겨드랑이 사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에어백의 가슴보호부는 탑승자와 차체 측벽과의 사이에서 확실히 전개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가슴보호부의 필요한 높이는 확실히 한 채, 격벽포를 인플레이터의 길이방향에 대한 직교방향보다도 아래쪽으로 향하는 각도로 앞쪽으로 연장시켰으므로, 가슴보호부의 용량이 적게 되고, 그 결과 가슴보호부의 앞쪽으로의 전개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가스분출구가 인플레이터 측면의 아래쪽 단부에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스분출구가 인플레이터 측면의 아래쪽 단부에 형성되어져 있어서, 가스가 가슴보호부의 저면으로부터 내면을 따라서 분출되므로, 가슴보호부의 전개가 가속화되어 전개속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 에어백이 앞좌석에 놓여진 경우에는, 통기공을 격벽포의 뒤쪽에 설치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격벽포의 뒤쪽에 형성된 통기공이, 정확히 탑승자의 어깨부근에 위치하게 된다. 어깨부근에는 어깨로부터 바로 위에 탑승자의 목이 위치하게 되고, 이 근방에서는 신체의 몸통부분에 비해서 차체 측벽과의 사이에 공간적인 여유가 있으므로, 이 여유 공간에 형성된 통기공을 통해서 가스를 확실히 머리보호부 안쪽으로 도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머리보호부 전개의 확실성 및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 에어백이 뒷좌석에 놓여진 경우에는, 통기공을 격벽포의 앞쪽에 설치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스가 격벽포의 앞쪽에 설치된 통기공으로부터 머리보호부의 앞쪽 내면을 따라서 도입된다. 머리보호부의 앞쪽 내면을 따라 도입된 가스는 그대로 머리보호부의 내면을 따라서 뒤쪽으로 향하는 상태로 되므로, 머리보호부는 약간 뒤쪽방향으로 전개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머리보호부가 뒷좌석 부근에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는 리어 필라(rear pillar)에 대해서, 보다 직각에 가까운 상태로 맞닿게 되고, 에어백이 리어 필라의 단차(step)를 타넘고 전개하기 쉽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가슴보호부 내부에 에어백의 좌우면을 연결하고, 에어백의 좌우방향에서의 팽창을 규제하는 전개폭 규제포를 설치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개폭 규제포에 의해 가슴보호부의 용량이 더욱 작아지게 되므로 가슴보호부의 전개속도를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에어백의 차실 내측면에 에어백의 일부를 소정의 전후폭에 걸쳐서 중첩시켜 봉합한 주름단(tuck portion)을 설치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 주름단의 형성에 의해서 에어백의 차실 내측면 쪽이 짧아지므로 에어백이 차실 내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전개하게 된다. 따라서, 에어백의 차체 측벽에 대한 간섭력이 약해지고, 에어백 전개에서의 확실성을 향상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3 중에서 X1은 차실 안쪽 X2는 차량 바깥쪽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운전석 쪽(오른쪽)의 앞좌석 등받이(1)를 오른쪽(차량 바깥쪽)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이 등받이(1)의 오른쪽에는 에어백 모듈(2)이 내장되어 있어서, 이 에어백 모듈(2) 내부에는 접혀진 에어백(3)과, 그것을 전개시키기 위한 가스(G)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4)가 수납되어 있다.
인플레이터(4)는 에어백(3)의 입구에 설치되어 있어서, 등받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가스(G)가 이 인플레이터(4)의 측면 하단부 측면에 형성된 분출구(5)로부터 이 인플레이터(4)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방향 Y을 향해서 분출될 수 있도록 한다.
에어백(3)은 대략 L자형으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에어백(3)의 공간을 아래쪽의 가슴보호부(A)와 위쪽의 머리보호부(B)로 구획하는 격벽포(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격벽포(6)는 에어백(3)의 전후방향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가지며, 이 에어백(3)의 좌우 양측면에 대해서 봉합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격벽포(6)는 에어백(3)을 가슴보호부(A)와 머리보호부(B)로 구획하는 기능만 아니라, 전개한 때에 에어백(3)의 좌우방향으로의 팽창을 규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격벽포(6)의 뒤쪽 단부(6a)는 탑승자의 어깨(S) 부근(등받이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뒤쪽 단부(6a)로부터 인플레이터(4)의 길이방향에 대한 직교방향 Y보다도 아래쪽으로 향하는 각도 θ1으로 앞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이 격벽포(6)는 뒤쪽에 통기공(7)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통기공(7)은 인플레이터(4)로부터 가슴보호부(A) 안쪽으로 분출되는 가스(G)를 머리보호부(B)로 도입하기 위한 것이다.
가슴보호부(A)의 내부에는, 좌우측면을 연결하여서 가슴보호부(A)의 좌우방향으로의 팽창을 규제하는 전개폭 규제포(width-restricting cloth: 8)가 봉합되어 있다. 이 전개폭 규제포(8)는 가스(G)의 흐름을 저지하지 않는 크기이며, 또한 상기 인플레이터(4)의 길이방향에 대한 직교방향 Y보다도 아래로 향하는 각도인 하향각θ2로 설치되어 있다. 이 하향각θ2는 탑승자(M)로서의 인체 모형(ECE Regulation No. 95 EUROSIDE-1)의 윗팔(上膊)(R)을 따르는 각도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인체모형(EUROSIDE-1) 윗팔(R)의 하향각θ2는 윗팔(R)의 정해진 각도로부터 구해질 수 있다(윗팔(R)은 늑골(rib) 전면에 접하는 면에 대해서 35°~ 45°로 설정된다).
또한, 머리보호부(B)에서 차실 내측면에는, 그 일부를 소정의 전후방향 폭에 걸쳐서 중첩되게 봉제한 주름단(tuck portion)(9)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백(3)은 차실 내측면 쪽이 짧게 된다.
다음으로, 차량의 측면충돌시에 에어백(3)의 전개상태를 설명한다. 차량이 측면충돌을 일으키면, 인플레이터(4) 내부의 약제가 폭발하고, 발생한 가스(G)가 분출구(5)로부터 인플레이터(4)의 직교방향으로 분출된다.
분출된 가스(G)는, 우선 가슴보호부(A) 내로 들어가고, 등받이(1)의 표피덮개를 절개하면서 앞쪽으로 전개한다. 이 때, 격벽포(6)를 상기 직교방향 Y보다도 아래로 향하는 각도θ1으로 하여서 가슴보호부(A)의 용량이 작게 되므로, 가슴보호부(A)가 앞쪽으로 전개하는 속도는 빠르게 된다. 따라서, 에어백(3)의 가슴보호부(A)는 탑승자(M)의 가슴과 차체측벽 사이에서 확실히 전개한다. 전개폭 규제포(8)에 의해 가슴보호부(A)의 좌우폭을 억제하는 것과 함께, 가슴보호부(A)의 용량을 작게하는 것도 가능하게 하며, 이것에 의해 가슴보호부(A)의 전개 속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격벽포(6)의 뒤쪽 단부(6a)가 탑승자의 어깨(S) 부근(등받이(1)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가슴보호부(A)의 위쪽 단부 위치(즉, 뒤쪽 단부(6a))는, 탑승자(M)의 겨드랑이 위치보다 높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슴보호부(A)의 용량을 작게 하더라도, 앞쪽으로 전개할 때에 가슴보호부(A)가 탑승자(M)의 겨드랑이 아래로 들어가는 경우가 없다. 그 결과, 가슴보호부(A)는 탑승자(M)와 차체측벽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전개하여, 탑승자(M)의 가슴을 보호할 수 있다.
가스(G)의 분출구(5)를 인플레이터(4)의 측면 하단부에 설치하는 것은, 가슴보호부(A)의 전개속도의 향상에도 도움을 준다. 즉, 가스(G)가 가슴보호부(A)의 저면으로부터 내면을 따라서 분출되므로, 가슴보호부(A)의 전개에 힘을 부여하여, 그 전개속도를 더욱 높이게 된다.
가슴보호부(A)를 전개시키는 가스(G)는 격벽포(6)의 통기공(7)로부터 앞쪽으로 향하는 각도로 머리보호부(B)로 도입된다. 여기서 통기공(7)이 격벽포(6)의 뒤쪽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통기공(7)은 정확히 탑승자(M)의 어깨(S) 부근에 위치하게 된다. 어깨(S)의 바로 위에는 목이 놓이게 되므로, 어깨(S) 부근에서는 몸체부근에 비해서 차체 측벽과의 사이에 공간적 여유가 있다. 따라서 통기공(7)으로부터 머리보호부(B) 쪽으로 가스(G)를 도입하는 것에 의해서, 머리보호부(B)를 어깨(S)부근의 여유공간을 이용하여 확실히 전개할 수 있다.
머리보호부(B)에 가스(G)가 들어가는 것에 의해서, 머리보호부(B)가 위쪽으로 전개하며, 이 머리보호부(B)에 의해 탑승자(M)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이 머리보호부(B)의 차실 내측면에는 주름단(9)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머리보호부(B)가 차실 내측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전개한다. 따라서, 머리보호부(B)의 차실 내측에 대한 간섭력이 약해지고 머리보호부(B)의 전개가 더욱 확실하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뒷좌석의 좌측단부를 우측으로부터(차량 바깥쪽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이 제2실시예는 이 뒷좌석의 등받이(10)의 오른쪽 단부에 에어백(11)과 인플레이터(12)를 내장한 에어백모듈(13)을 수납한 것이다. 에어백(11)에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격벽포(14)와 전개폭 규제포(15)가 설치되어 있다. 제2실시예와 제1실시예의 차이는 격벽포(14)에 설치된 통기공(16)의 위치이다. 이 제2실시예에서는 통기공(16)이 격벽포(14)의 앞쪽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슴보호부(A)로부터 통기공(16)을 통해서 도입하는 가스(G)는, 머리보호부(B)의 앞쪽 내면을 따라서 머리보호부(B) 전체로 도입된다. 머리보호부(B) 앞쪽 내면을 따라서 도입된 가스(G)는 그대로 머리보호부(B)의 내면을 따라서 뒤쪽으로 향하는 상태로 되므로, 머리보호부(B)는 약간 뒤쪽으로 전개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머리보호부(B)가 등받이(10)의 부근에서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리어 필러(17)에 대해서, 보다 직각으로 가깝게 닿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11)의 차실 내측의 탑승자 쪽에 형성된 주름단(9)에 의해서, 에어백(11)은 주름단(9)보다 위쪽 부분이 차실 안쪽으로 경사지게 되고, 그래서 이 경사진 머리보호부(B)의 끝자락이 리어 필러의 단차를 타넘기 쉽게 된다. W는 뒷문 윈도우 패널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측면충돌용 에어백장치는, 자동차가 측면충돌된 경우에 차량 탑승자의 보호를 도모하는 데 유용하다.

Claims (6)

  1. 측면에 분출구를 가지고 이 분출구로부터 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와,
    등받이의 측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대략 L자형으로 전개되는 것과 함께 위쪽의 머리보호부와 아래쪽의 가슴보호부를 구비하는 에어백, 및
    이 에어백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위쪽의 머리보호부와 상기 아래쪽의 가슴보호부로 상기 에어백을 구획하며, 상기 인플레이터의 측면 분출구로부터 상기 가슴보호부 내부로 분출되는 가스를 상기 머리보호부로 도입하는 통기공을 설치하고 있고, 또한 뒤쪽 단부가 시트에 앉은 탑승자의 어깨부근에 위치하여서 상기 인플레이터의 길이방향에 대한 직교방향보다도 아래로 향한 각도로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격벽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충돌용 에어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가스분출구가 인플레이터 측면의 아래쪽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충돌형 에어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앞좌석의 에어백에서는 통기공을 격벽포의 뒤쪽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충돌형 에어백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뒷좌석의 에어백에서는 통기공을 격벽포의 앞쪽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충돌형 에어백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보호부에서 에어백의 좌우면을 연결하고, 에어백의 좌우방향에서의 팽창을 규제하는 전개폭 규제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충돌형 에어백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에어백의 차실 내측면에 에어백의 일부를 소정의 전후폭에 걸쳐서 중첩시켜 봉합한 주름단(tuck portion)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충돌형 에어백장치.
KR1019997004439A 1997-09-19 1999-05-19 자동차의 측면충돌용 에어백장치 KR1002943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563297A JP3365271B2 (ja) 1997-09-19 1997-09-19 自動車の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JP97-255632 1997-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9041A true KR20000069041A (ko) 2000-11-25
KR100294316B1 KR100294316B1 (ko) 2001-06-15

Family

ID=17281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4439A KR100294316B1 (ko) 1997-09-19 1999-05-19 자동차의 측면충돌용 에어백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61539B1 (ko)
EP (1) EP0940302B1 (ko)
JP (1) JP3365271B2 (ko)
KR (1) KR100294316B1 (ko)
DE (1) DE69835735T2 (ko)
WO (1) WO19990153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624B1 (ko) * 2007-06-12 2008-02-19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측면 에어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0835B2 (ja) * 1996-09-26 2003-07-2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ク装置
DE60018158T8 (de) * 2000-02-01 2006-08-24 Delphi Automotive Systems Sungwoo Corp. Seitenairbagsystem und dessen Herstellungsverfahren
US7108278B2 (en) * 2001-01-23 2006-09-19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Air bag apparatus for side crash
US20040124615A1 (en) * 2001-06-08 2004-07-01 Toshinori Tanase Side air bag device
EP1393997A4 (en) * 2001-06-08 2008-03-26 Toyoda Gosei Kk SIDE AIR BAG DEVICE
DE10137824C2 (de) * 2001-08-02 2003-05-28 Daimler Chrysler Ag Insassenrückhaltesystem im Fondbereich eines Kraftfahrzeugs
JP4569592B2 (ja) * 2002-03-11 2010-10-27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4618271B2 (ja) * 2002-03-11 2011-01-26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20030168836A1 (en) 2002-03-11 2003-09-11 Eiji Sato Side airbag apparatus
JP4392155B2 (ja) * 2002-07-30 2009-12-24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自動車の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JP4285167B2 (ja) * 2003-01-30 2009-06-24 タカタ株式会社 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JP4367119B2 (ja) 2003-05-07 2009-11-18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GB2402912A (en) * 2003-06-20 2004-12-22 Autoliv Dev Side air-bag
GB2403457A (en) 2003-06-30 2005-01-05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US20050062274A1 (en) * 2003-09-18 2005-03-24 Snellgrove Brett Stewart Inflatable airbag spinal protector for paraglider pilots
GB2408023A (en) 2003-11-11 2005-05-18 Autoliv Dev Side air bag with internal tether
DE202004009451U1 (de) * 2004-06-15 2004-10-28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Fahrerseitige Insassen-Rückhalteeinrichtung
US20060012155A1 (en) * 2004-07-01 2006-01-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ide airbag apparatus and seat containing same
US20060022439A1 (en) * 2004-07-30 2006-02-02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with differentially pressurized chambers
US7232001B2 (en) * 2004-08-24 2007-06-19 Sam Hakki Collision air bag and flotation system
WO2006049101A1 (ja) * 2004-11-05 2006-05-11 Autoliv Development Ab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サイドエアバッグシステム
EP1657123B1 (en) * 2004-11-16 2008-05-28 Takata Corporation Airbag apparatus
JP4822693B2 (ja) * 2004-11-16 2011-11-24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4552840B2 (ja) * 2005-04-01 2010-09-29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4621119B2 (ja) * 2005-11-18 2011-01-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衝突物保護装置
JP4793104B2 (ja) * 2006-06-01 2011-10-12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4640325B2 (ja) * 2006-12-01 2011-03-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20080252054A1 (en) * 2007-04-16 2008-10-16 Hyundai Mobis Co., Ltd. Air bag cushion
JP5259136B2 (ja) * 2007-08-09 2013-08-07 タカタ株式会社 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DE102007042130A1 (de) 2007-09-05 2009-03-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Kissen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mit aufblasbarem Luftsack und Kraftfahrzeugsitz mit einem solchen Kissen
JP4600472B2 (ja) * 2007-12-20 2010-12-1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4992790B2 (ja) * 2008-03-28 2012-08-08 豊田合成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DE102009005834A1 (de) 2009-01-21 2009-06-04 Takata-Petri Ag Gassack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Gassacks
JP5252000B2 (ja) * 2011-02-04 2013-07-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401495B2 (ja) * 2011-03-17 2014-01-29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乗員保護装置及び乗員保護方法
US9211820B2 (en) 2012-11-01 2015-12-15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Child safety seat with side impact energy redirection
DE102014209665B4 (de) * 2014-05-21 2018-01-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itenairbagvorrichtung für Fahrzeuge
DE102014209664A1 (de) * 2014-05-21 2015-11-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itenairbagvorrichtung für Fahrzeuge
JP6422911B2 (ja) * 2015-04-14 2018-11-14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7109694A (ja) * 2015-12-18 2017-06-22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
US9827940B2 (en) * 2016-03-16 2017-11-28 Autoliv Asp, Inc. Side airbag with internal diffuser
US10369956B2 (en) * 2017-03-20 2019-08-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airbag with necking chamber
US10988100B2 (en) 2019-08-29 2021-04-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airbag including non-expandable region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8479A (ja) 1989-07-04 1991-02-19 Yamaha Motor Co Ltd 小型車両の荷物収納箱装置
JPH0338479U (ko) * 1989-08-25 1991-04-15
US5306043A (en) * 1991-10-24 1994-04-2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Dashboard top mounted vehicle air bag assembly
US5310214A (en) * 1992-04-02 1994-05-10 Talley Automotive Products, Inc. Air bag system for restraining movement of an adult and/or a child
JP2668332B2 (ja) 1994-03-30 1997-10-27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H08123864A (ja) * 1994-10-26 1996-05-17 Kao Corp 仕様書印刷装置
JP3047772B2 (ja) * 1995-03-09 2000-06-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側突用エアバッグ
JPH0999793A (ja) * 1995-10-04 1997-04-15 Toyoda Gosei Co Ltd 助手席用エアバッグ
DE19538657A1 (de) * 1995-10-17 1997-04-24 Trw Repa Gmbh Gassack-Seitenaufprall-Schutzeinrichtung
JP3596124B2 (ja) 1995-10-26 2004-12-02 豊田合成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
JPH09136598A (ja) 1995-11-16 1997-05-27 Toyota Motor Corp 胸部頭部一体式エアバッグ装置
JP2962225B2 (ja) * 1996-04-08 1999-10-1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側面衝突用エアバッグ
US5848804A (en) * 1996-05-29 1998-12-1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ide impact air bag module
JP3430835B2 (ja) * 1996-09-26 2003-07-2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ク装置
JPH10100827A (ja) 1996-09-26 1998-04-21 Mitsubishi Motors Corp エアバッグ装置
US5813696A (en) * 1996-10-28 1998-09-2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with tether
JP3038479U (ja) 1996-12-04 1997-06-20 センサ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6142507A (en) * 1996-12-25 2000-11-07 Kansei Corporation Side air bag
US5791685A (en) * 1997-02-20 1998-08-11 Alliedsignal Inc. Three-chambered side impact air bag
JPH10297409A (ja) * 1997-02-27 1998-11-10 Toyoda Gosei Co Ltd 側面衝突用エアバッグ
US5906391A (en) * 1997-08-05 1999-05-25 Takata, Inc. Dual chamber airbag with improved assembly features
DE69838939T2 (de) * 1997-09-19 2008-04-30 Nissan Motor Co., Ltd., Yokohama Vorrichtung zum schützen der insassen eines fahrzeuges bei einem seitenaufprall
EP0940301B1 (en) * 1997-09-19 2004-03-24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Structure and method for folding air bag
WO1999015366A1 (fr) * 1997-09-19 1999-04-01 Nissan Motor Co., Ltd. Dispositif d'airbag
JP3805875B2 (ja) * 1997-11-26 2006-08-09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624B1 (ko) * 2007-06-12 2008-02-19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측면 에어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40302A1 (en) 1999-09-08
KR100294316B1 (ko) 2001-06-15
EP0940302B1 (en) 2006-08-30
JPH1191477A (ja) 1999-04-06
DE69835735T2 (de) 2006-12-28
EP0940302A4 (en) 2005-02-02
DE69835735D1 (de) 2006-10-12
JP3365271B2 (ja) 2003-01-08
WO1999015373A1 (fr) 1999-04-01
US6561539B1 (en) 2003-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4316B1 (ko) 자동차의 측면충돌용 에어백장치
EP3357764B1 (en) Vehicle seat with side airbag device
JP4285167B2 (ja) 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US6460878B2 (en) Airbag module and airbag arrangement and method thereof
KR100260876B1 (ko) 조수석용 에어백장치
US6073960A (en) Air bag assembly
WO2016147684A1 (ja) エアバッグ装置
EP1944201B1 (en) Occupant leg part restraining apparatus and retainer
CN109383440B (zh) 车辆用帘式气囊装置
US20040075257A1 (en) Head protecting airbag device
JP2003267179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及び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7288510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4196250A (ja) 乗員拘束装置
JP2004210171A (ja) 乗員拘束装置
JP2001277966A (ja)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JP4123048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KR100260874B1 (ko) 에어백장치의 모듈커버
JP2008221925A (ja) コラム付けニーエアバッグ装置
JP3266983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6872373B2 (ja) エアバッグ
JP2003182499A (ja) 自動車の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KR100244543B1 (ko) 차량탑승자의 보호장치
JP2000185620A (ja) 自動車の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JPH1191493A (ja) エアバッグ装置
JP5195734B2 (ja) 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