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4543B1 - 차량탑승자의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차량탑승자의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4543B1
KR100244543B1 KR1019920022002A KR920022002A KR100244543B1 KR 100244543 B1 KR100244543 B1 KR 100244543B1 KR 1019920022002 A KR1019920022002 A KR 1019920022002A KR 920022002 A KR920022002 A KR 920022002A KR 100244543 B1 KR100244543 B1 KR 100244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seat
vehicle
center
occup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2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6281A (ko
Inventor
모토쯔네 키타카와
아키라 오가구치
미사오 가이야마
타타유키 아토오
Original Assignee
다카다 쥬이치로
다카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다 쥬이치로, 다카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다 쥬이치로
Publication of KR930016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6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4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45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목적)
차량탑승자의 다리부분의 보호용의 에어백장치가 차량승객의 발밑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구성)
좌석(20)의 중앙전방에 스티어링(14)이 배치되어 있다. 이 중앙전방에서 오른쪽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 있어서 인스트리먼트패널(10)의 하면에 에어백장치(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에어백장치(12)는, 차량이 충돌등의 긴급상황에 처한 경우, 에어백을 좌석(20)의 중앙전방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연속하여 전개시킨다.
(효과)
에어백장치(12)가 좌석(20)의 중앙전방에서 측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차량승객의 발밑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 그 에어백장치(12)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탑승자의 발밑주위의 공간을 넓게 채용할 수 있고, 차량실내의 거주성이 향상한다.

Description

차량탑승자의 보호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장치를 표시하는 차량내부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실시예에 사용되는 에어백장치의 배면사시도이다.
제3도는 제2도의 III-III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제4도는 에어백의 접어개는 방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제5도는 에어백의 접어개는 방법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제6도는 에어백의 접어개는 방법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제7도는 에어백의 접어개는 방법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제8도는 에어백의 접어개는 방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제9도는 에어백의 접어개는 방법을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제10도는 접어갠 에어백을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제11도는 제3도의 요부확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스틀먼트 패널 12 : 에어백장치
14 : 스티어링 16 : 스티어링 칼럼의 커버
18 : 프런트 글라스 20 : 좌석
26 : 에어백 28 : 가스발생기
본 발명은 차량탑승자의 보호장치에 관하며, 특히 니이백 장치라고 불리우는 탑승자의 다리부분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좌석에 착석한 승객의 다리부분 전방으로 전개되는 에어백(니이백)을 보유하는 차량 탑승자의 보호장치는, 실공소 47-24110호 공보. 특개평 3-2805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이 니이백을 전개시키므로써, 탑승자의 서브머린운동(좌석의 전방하부로 잠입해 들어가는 신체의 움직임)을 저지하여, 승객의 하반신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한 각 공보에서 공지의 차량탑승자의 보호장치에 있어서는, 에어백 장치를 좌석의 중앙전방으로 배치하고 있다. 이때문에, 에어백장치가 승객의 발밑 근처에 위치하게 되어, 차량내의 거주성이 약화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운전석에 있어서는 스티어링컬럼이 좌석중앙전방 근처에 있어, 에어백장치의 배치가 더욱 곤란하다.
청구항 1의 차량탑승자의 보호장치는, 좌석의 전방으로, 또한 그 좌석의 시이트면 높이 부근을 포함하는 높이의 영역으로 전개되는 에어백과, 절첩된 에어백을 수납하고 있는 케이스와, 그 케이스에 설치된 가스발생기를 보유하는 차량탑승자의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케이스를 좌석중앙전방에서 좌우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한 에어백을 그 좌우의 다른쪽으로까지 확대할 수 있는 크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2의 차량탑승자의 보호장치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에어백은 횡방향으로 긴 전개형상인 것으로서, 이 횡방향의 일단측의 배면에 가스발생기의 연결구가 개구되어 있으며, 그 에어백의 장변방향의 상부 가장자리측과 하부가장자리측이 각각 에어백의 전방면측으로 접어지고, 에어백의 횡방향의 상기한 타단측이 상기한 일단측에 향해서 접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차량승객의 보호장치가 좌석의 중앙전방으로부터 좌우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승객의 발밑에서 에어백까지의 거리가 커지고, 승객의 발밑 주위의 공간을 넓게 채용하도록 된다.
청구항 2의 차량승객의 보호장치에 의하면, 에어백을 좌석의 중앙전방영역으로 신속하게 전개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차량승객의 보호장치를 구비한 승용차의 운전석부분의 사시도, 제2도는 에어백장치를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III-III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4도 내지 제10도는 에어백의 절첩방법을 표시하는 사시도, 제11도는 제3도의 요부확대단면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승용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하면측에 에어백장치(12)가 설치되어 있다. 부호 14는 스티어링, 16은 스티어링(14) 및 스티어링컬럼커버, 18은 앞유리, 20은 좌석이다. 이 스티어링(14) 및 스티어링컬럼커버(16)는 운전좌석의 중앙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에어백장치(12)는 이 좌석 중앙전방에서 좌우한쪽(본 실시예에서는 오른쪽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에어백장치(12)는, 제2도, 제3도 및 제11도에 표시하듯이, 리테이너(22)와 모듈커버(24) 등으로 케이스가 구성되어 있고, 그안에 에어백(26)이 절첩되어 배치되고, 에어백(26)을 전개시키기 위하여 리테이너(28)가 부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11도의 부호 30은 가스발생기(28)의 플랜지, 32는 플랜지(30)를 개재하여 가스발생기(28)를 리테이너(22)에 고정하고 있는 볼트이다. 이 플랜지(30)와 리테이너(22) 사이에 에어백(26) 개구(34)의 가장자리부가 협지되고, 이것에 의하여 에어백(26)이 리테이너(22)에 고정되어 있다.
부호 36은 에어백(26)의 개구(34) 가장자리부에 겹쳐져서 봉합부착된 보강포를 표시한다. 또, 부호 38은 가스발생기(28)의 가스분출구멍을 표시한다. 이 에어백(26)은 제4도에 표시하듯이 전개했을 때에 가로가 길게되는 형상의 것이고, 상기한 개구(34)는 이 횡방향 일단의 배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에어백(26)의 절첩방법에 대하여 제4도 내지 제10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5도에 표시하듯이, 에어백(26)의 횡방향의 단축의 팽출부분(26a)을 약간 에어백(26)의 내부측으로 절입한다.
계속하여, 제6도에 표시하듯이, 에어백(26) 장변의 한쪽을 에어백(26)의 표면측으로 접는다. 또 제7도와 같이, 다른쪽의 장변부분을 에어백(26)의 표면측으로 접는다. 이것에 의하여, 에어백(26)은 전체로서 횡방향으로 세장형상으로 된다.
다음에, 제8도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개구(34)가 설치된 측과 반대측을 에어백(26)의 표면측으로 접고, 그 접는 방향의 선단측을 복수의 동일 방향으로 권입하듯이 절첩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9도의 상태로 된다.
그리고, 다음에 에어백(26)의 횡방향의 다른쪽 단부를 에어백(26)의 표면측으로 접는다. 이것에 의하여, 제10도에 표시하듯이 콤펙트하게 절첩된 상태로 된다.
제3도와 같이, 이렇게 절첩한 에어백(26)을 케이스내에 수납해 두면, 가스발생기(28)가 가스를 발생했을 때에, 에어백(26)은 횡방향으로 신속하게 전개하도록 된다. 이 결과, 에어백장치(12)가 좌석의 중앙전방으로 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도, 차량충돌시 등에 있어서는 에어백(26)을 좌석에 착석한 탑승자의 발밑전방전체에 급속히 전개할 수 있다.
물론, 에어백장치(12)를 이와같이 좌석의 중앙전방으로 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해 주므로서, 좌석(20) 중앙전방의 공간을 넓게 채용할 수 있어, 차량실내의 거주성이 향상한다.
또한, 에어백(26)이 제4도에 표시한 가로가 긴 형상으로 규칙적으로 전개하도록 하기 위하여, 에어백(26)의 내부에 스트랩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에어백장치(12)를 좌석(20)의 전방우측에 배치하고 있지만, 좌석(20)의 전방좌측에 그 에어백장치(12)를 설치해도 좋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하면측에 에어백장치(12)를 설치하고 있지만, 계기판(40)에 에어백장치(12)를 설치해도 좋다. 또 상기한 실시예는 운전석용의 보호장치를 표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조수석용의 보호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차량탑승자의 보호장치에 의하면, 차량승객의 다리부분의 보호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장치에 있어서는, 에어백장치가 좌석중앙의 정방에서 좌우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좌석 탑승자의 발주위의 공간을 넓게 채용할 수 있어, 차량실내의 거주성이 향상된다.
또한, 청구항 2의 보호장치에 의하면, 에어백의 측방향으로의 전개속도가 크고, 에어백장치가 좌석중앙전방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도, 차량의 충돌등, 긴급시에 있어서는 승객의 다리부분 전방영역으로 신속하게 에어백을 전개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좌석의 전방으로, 또한 그 좌석의 시이트면 높이 부근을 포함하는 높이의 영역으로 전개되는 에어백과, 절첩된 에어백을 수납하고 있는 케이스와, 그 케이스에 설치된 가스발생기를 보유하는 차량탑승자의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케이스를 좌석중앙전방에서 좌우 한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한 에어백을 그 좌우의 다른쪽에까지 확대되는 크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승자의 보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에어백은 횡방향으로 긴 전개형상의 것이고, 이 횡방향의 일단측의 배면에 가스발생기의 연결구가 개구되어 있고, 그 에어백의 장변방향의 상부 가장자리측과 하부가장자리측이 각각 에어백의 전방면측으로 접혀지고, 에어백의 횡방향의 상기한 타단측이 상기한 일단측으로 향해서 접혀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승자의 보호장치.
KR1019920022002A 1992-01-31 1992-11-21 차량탑승자의 보호장치 KR1002445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016359 1992-01-31
JP01635992A JP3151907B2 (ja) 1992-01-31 1992-01-31 車両乗員の脚部保護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281A KR930016281A (ko) 1993-08-26
KR100244543B1 true KR100244543B1 (ko) 2000-07-01

Family

ID=11914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2002A KR100244543B1 (ko) 1992-01-31 1992-11-21 차량탑승자의 보호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51907B2 (ko)
KR (1) KR1002445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8281A (en) * 1995-03-31 1996-07-2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Folded air bag
DE69638006D1 (de) * 1996-03-29 2009-10-01 Toyoda Gosei Kk Bag für Fahrzeug Air-bag Vorrichtung mit Gasdurchfluss-Regulator aus Stoff
EP0829395B1 (en) * 1996-03-29 2006-01-04 Toyoda Gosei Co., Ltd. Bag for an air bag unit for a vehicle
JP4270794B2 (ja) 2002-02-18 2009-06-03 タカタ株式会社 乗員脚部保護装置
JP4449452B2 (ja) * 2003-05-30 2010-04-14 タカタ株式会社 乗員脚部保護装置
JP6233198B2 (ja) * 2014-06-10 2017-11-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281A (ko) 1993-08-26
JP3151907B2 (ja) 2001-04-03
JPH05208648A (ja) 199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0262B2 (en) Inflatable airbag deployment guide
KR100294316B1 (ko) 자동차의 측면충돌용 에어백장치
KR100260876B1 (ko) 조수석용 에어백장치
US6073960A (en) Air bag assembly
KR100244541B1 (ko) 차량 운전자의 보호장치
KR930017754A (ko) 차량 탑승자의 보호장치
US20060028009A1 (en) Airbag device
EP1010591A3 (en) Inflatable safety restraint for vehicle occupant protection
JPH06171447A (ja) 裂開可能な縫い目の付いたエアバッグ・クッション用の係留ベルト
JPH05139232A (ja) サイドエアバツグ装置
GB2327066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KR100244542B1 (ko) 차량 승원의 보호장치
JP3278463B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配設構造
KR100260874B1 (ko) 에어백장치의 모듈커버
KR100244543B1 (ko) 차량탑승자의 보호장치
US20050225062A1 (en) Integrated passenger airbag and instrument panel and assembly method
JPH07125603A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938327B1 (ko) 무릎 에어백
JP3262599B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配設構造
JP3263133B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およびエアバッグユニット
KR100196187B1 (ko) 조수석 에어백의 도어 장치
JP3392811B2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JP2001260796A (ja) 自動車乗員頭部の保護装置
EP4234342A1 (en) Air bag device for pedestrian protec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0419735B1 (ko) 차량 센터필라 트림의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