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8860A -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8860A
KR20000068860A KR1019997003723A KR19997003723A KR20000068860A KR 20000068860 A KR20000068860 A KR 20000068860A KR 1019997003723 A KR1019997003723 A KR 1019997003723A KR 19997003723 A KR19997003723 A KR 19997003723A KR 20000068860 A KR20000068860 A KR 20000068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ylene
ethylene
flow rate
polypropylene
melt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3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카자와도오루
시모무라요조
가와조에순지
Original Assignee
고토 기치
칫소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토 기치, 칫소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토 기치
Publication of KR20000068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886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 C08F297/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coordination type
    • C08F297/0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coordination type polymerising mono-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 C08F297/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coordination type
    • C08F297/0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coordination type polymerising mono-olefins
    • C08F297/08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coordination type polymerising mono-olefins the monomers being ethylene or propylene
    • C08F297/08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coordination type polymerising mono-olefins the monomers being ethylene or propylene the block polymer contains at least three bl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융 유속(ASTM D-1238)이 15 내지 99g/10분이고 타이 분자(tie molecule) 체적분율(β)이 1.38% 이상인 프로필렌 중합체를 최종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60 내지 95중량%의 양으로 제조한 다음, 제2 단계에서 에틸렌의 함유량이 20 내지 80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최종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40중량%의 양으로 제조함으로써 제조된, 용융 유속이 1 내지 80g/10분인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이다. 상기 조성물은 강성, 인성, 내충격성 등의 조화가 뛰어나다.

Description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Polypropylene/propylene-ethylene copolymer composition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비교적 염가이고 또한 뛰어난 여러가지 특성을 갖기 때문에, 종래부터 다방면의 분야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내충격성, 특히 저온하에서의 내충격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지금까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많은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일반적으로는, 우선 최초에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성분을 형성시킨 다음,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성분을 도입함으로써 프로필렌계 블럭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행하여지고 있다. 프로필렌 블럭 공중합체는 프로필렌 중합체와 비교하여 내충격성이 향상되는 반면, 강성, 경도 및 내열성이 저하한다.
이들의 단점을 개량하는 방법으로서, 제1 단계 중합체와 제2 단계 중합체의 용융 유속(melt flow rate)의 비를 미심사된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평)5-117342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조절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자동차, 가전 분야 등의 각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미심사된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평)5-117342호에 따른 방법에서도 강성, 인성, 내충격성 등의 조화는 여전히 불충분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강성, 인성, 충격 강도가 뛰어난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 문제점에 감안하여 프로필렌-에틸렌 블럭 공중합체의 강성, 인성/내충격성간의 조화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하였다. 이 결과, 제1 단계 중합체의 생성물로서 타이 분자 체적분율(tie molecule volume content)(β)이 1.38% 이상인 폴리프로필렌을 생성시키고, 제2 단계에서 제1 단계에서 생성된 폴리프로필렌의 주위에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를 생성시키는 방법으로 2단계 중합을 통해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을 수득함으로써 고강성, 고인성, 고충격성이 뛰어난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이 수득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및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이하,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로 칭함)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강성, 인성, 내충격성 등의 조화가 뛰어난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 특허 청구되는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프로필렌을 고입체 규칙성 촉매 및 수소 존재하에 중합시켜, 용융 유속(ASTM D-1238, 이하 동일)이 15 내지 99g/10분의 범위내이고 배향된 샘플로부터 수득되고 하기 수학식 1로 정의되는 바와 같은 타이 분자 체적분율(β)이 1.38% 이상인 프로필렌 중합체를 최종적으로 수득되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60 내지 95중량%의 양으로 제조하는 제1 단계(중합 공정(I)); 및
후속적으로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에틸렌의 함유량이 20 내지 80중량%가 되도록 제1 단계의 생성물에 공급하여,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를 최종적으로 수득되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40중량%의 양으로 제조하는 제2 단계(중합 공정(II))를 통해 수득되는, 용융 유속이 1 내지 80g/10분인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β=(1-0.01Xc)E/(41-0.01Xc·E)
상기식에서,
Xc는 결정화도(%)이고,
E(GPa)는 탄성율이다.
(2) 중합 공정(I)에서 수득되는 프로필렌 중합체의 용융 유속(MFR(i)) 대 중합 공정(II)에서 수득되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의 용융 유속(MFR(ii))의 비 MFR(i)/MFR(ii)의 상용대수의 값이 2 내지 9인 상기 (1)에 기재된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3) 중합 공정(I)에서 수득되는 프로필렌 중합체의 용융 유속(MFR(i)) 대 중합 공정(II)에서 수득되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용융 유속(MFR(ii))의 비 MFR(i)/MFR(ii)의 상용대수의 값이 4 내지 7인 상기 (1)에 기재된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4) 용융 유속이 20 내지 30g/10분인 상기 (1)에 기재된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5) 용융 유속이 40 내지 80g/10분인 상기 (1)에 기재된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6) 프로필렌 중합체가 하기 화학식 1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지고, 10,000 내지 60,000의 수평균 분자량, 0.90 내지 0.92g/㎤의 밀도, 1.38% 이상의 타이 분자 체적분율(β)을 갖는 프로필렌 중합체인 상기 (1)에 기재된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7) 고입체 규칙성 촉매를 사용하여, 프로필렌을 고입체 규칙성 촉매 및 수소 존재하에 중합시켜, 용융 유속(ASTM D-1238, 이하 동일)이 15 내지 99g/10분의 범위내이고, 배향된 샘플로부터 수득되고 하기 수학식 1로 정의되는 바와 같은 타이 분자 체적분율(β)이 1.38% 이상인 프로필렌 중합체를 최종적으로 수득되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60 내지 95중량%의 양으로 제조하는 제1 단계(중합 공정(I)); 및
후속적으로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에틸렌의 함유량이 20 내지 80중량%가 되도록 제1 단계의 생성물에 공급하여,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를 최종적으로 수득되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40중량%의 양으로 제조하는 제2 단계(중합 공정(II))를 포함하는, 용융 유속이 1 내지 80g/10분인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수학식 1
β=(1-0.01Xc)E/(41-0.01Xc·E)
상기식에서,
Xc는 결정화도(%)이고,
E(GPa)는 탄성율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중합 공정(I)은 프로필렌 중합체의 용융 유속(MFR(i))의 범위는 15 내지 99g/10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9g/10분이고, 타이 분자 체적분율(β)이 1.38% 이상이 되도록 수행한다.
β 값의 측정은 문헌[참조: Masaru Ishikawa et al., Polymer., Vol. 37, No. 24, 5375-5379(1996)]에 제안되어 있는 방법에 기초하여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 방법을 사용한다.
버진(virgin) 중합체 100중량부에, 페놀계 열안정화제인 IRGAN0X 1010(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제조원: Ciba-Geigy Ltd.) 0.1중량부 및 스테아린산칼슘 0.1중량부를 가한다. 이들 성분을 고속 교반식 혼합기(예를 들어, 상품명: 헨쉘 믹서)로 실온하에서 2분 동안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스크류 직경 40㎜의 압출 조립기를 사용하여 200℃에서 조립한다. 이어서, 상기 조립물을 프레스기로 용융 수지 온도 230℃ 및 4MPa의 조건하에서 3분 동안 가열한 다음, 30℃ 및 14.8MPa의 조건하에서 3분 동안 냉각한 후, 금형으로부터 꺼내어, 두께 0.5㎜의 압축 성형 시트를 수득한다. 이 압축 시트로부터 세로 50㎜, 가로 6㎜의 스트립을 펀칭하여, 시험편을 수득한다. 동양 정기 스트로그래프(Toyo Seiki Strograph)를 사용하여, 40℃ 및 변위 속도 10㎜/분에서 종축 방향으로 상기 시험편을 척(chuck)간 거리(10㎜)의 7배 연신한다. 연신된 상기 인장 시험편의 넥 부분을 가위로 절단한다. 다음, 상기 절단편의 두께(a), 폭(b)를 측정한다. 재차 40℃ 및 변위 속도 10㎜/분에서 종축 방향으로 시험편을 연신하여 탄성율 E(GPa)을 측정한다. 또한, 시차열 주사 열량계(109형 DSC, 제조원: E.I. du Pont de Nemours and Co.)로 7배 연신한 잘라낸 시험편을 10㎎ 충전하고, 승온 속도 20℃로 가열하였을 때에 수득되는 서모그램(thermogram)의 피크로부터 결정화도 Xc(%)를 측정한다.
상기 측정으로 수득된 탄성율 E 및 결정화도 Xc(%)를 하기 수학식 1에 대입하여 타이 분자 체적분율 β를 구한다.
수학식 1
β=(1-0.01Xc)E/(41(GPa)-0.01Xc·E)
중합 공정(I)의 중합체의 β 값이 1.38%보다 작은 경우에는 성형품의 인성이 저하한다. 또한, MFR(i)이 15g/10분 미만인 경우에는 중합체의 용융 유동성이 저하하고, 99g/10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중합체의 인성이 저하한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중의 프로필렌 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지고, 10,000 내지 60,000의 수평균 분자량, 0.90 내지 0.92g/㎤의 밀도, 1.38% 이상의 타이 분자 체적분율(β)을 갖는 프로필렌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화학식 1
프로필렌 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이 10,000 미만에서는 내충격성이 저하하고, 60,00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동성이 저하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밀도가 0.90g/㎤ 미만에서는 제품의 강성이 저하하고, 0.92g/㎤을 초과할 경우에는 제품의 내충격성이 저하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중합 공정(II)에서,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부는 프로필렌과 에틸렌과의 공중합에 의해 형성되고, 공중합체내의 에틸렌 함유량은 20 내지 8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5중량%이다. 에틸렌 함유량이 상기 범위외인 경우에는 수득되는 중합체의 내충격성이 저하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은, 상기 중합 공정(I)의 프로필렌 중합체 및 중합 공정(II)의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당해 조성물에서, 중합 공정(I)에서 수득된 중합체의 비율은 60 내지 95중량%이고, 중합 공정(II)에서 수득된 공중합체의 비율은 5 내지 40중량%이다. 중합 공정(I)에서 수득된 프로필렌 중합체의 비율이 6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제품의 강성이 저하한다. 이의 비율이 9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저온 충격 강도의 개선이 불충분하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의 용융 유속(230℃에서의 하중 2.16㎏을 가한 경우의 10분간의 용융 수지의 토출량, 이하 MFR이라 약기한다)은 1 내지 80g/10분이다. 강성이 내충격성과 가장 조화되는 MFR 범위는 20 내지 30g/10분이다. 그러나, 특히 성형성을 중요시하는 용도에서는, 조성물의 MFR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g/10분이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은 기계적 강도, 특히 강성 및 인성/내충격성간의 조화가 우수하고, 사출 성형용 또는 압출 성형용 수지로서 적합하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중합 공정(I) 및 (II)에 사용되는 촉매의 예는 마그네슘, 티탄, 할로겐 및 폴리카복실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고체 촉매 성분으로부터 수득된 고입체 규칙성 촉매와 유기알루미늄 화합물 및 전자 공여성 화합물로부터 수득된 고입체 규칙성 촉매(예를 들어, 미심사된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평)3-220207호 및 제(평)4-103604호), 및 하기 메탈로센 화합물을 사용하여 수득된 고입체 규칙성 시스템을 포함한다. 그러나, 사용가능한 촉매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메탈로센 화합물의 예는 하기 화학식 2의 키랄 전이 금속 화합물 및 알루미녹산 화합물을 포함한다.
Q(C5H4-mR1 m)(C5H4-nR2 n)MXY
상기식에서,
(C5H4-mR1 m) 및 (C5H4-nR2 n)은 각각 치환된 사이클로펜타디에닐 그룹이고;
m 및 n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R1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탄소수 1 내지 20의 탄화수소 그룹, 규소 함유 탄화수소 그룹, 또는 사이클로펜타디에닐 환 중의 2개의 탄소원자에 결합하여 하나 이상의 탄화수소로 임의로 치환된 하나 이상의 탄화수소 환을 형성하는 탄화수소 그룹이고;
Q는 (C5H4-mR1 m)를 (C5H4-nR2 n)에 가교결합시키는 각각 2가의 탄화수소 그룹, 비치환된 실릴렌 그룹 또는 탄화수소-치환된 실릴렌 그룹이고;
M은 티탄, 지르코늄 및 하프늄으로부터 선택된 전이 금속이고;
X 및 Y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수소, 할로겐 또는 탄화수소 그룹이다.
상기 화학식 2의 메탈로센 화합물의 예는 디메틸실릴렌(3-t-부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플루오레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렌(3-t-부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플루오레닐)하프늄 디클로라이드, rac-에틸렌비스(인데닐)지르코늄 디메틸, rac-에틸렌비스(인데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rac-디메틸실릴렌비스(인데닐)지르코늄 디메틸, rac-디메틸실릴렌비스(인데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rac-에틸렌비스(테트라하이드로인데닐)지르코늄 디메틸, rac-에틸렌비스(테트라하이드로인데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rac-디메틸실릴렌비스(테트라하이드로인데닐)지르코늄 디메틸, rac-디메틸실릴렌비스(테트라하이드로인데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rac-디메틸실릴렌비스(2-메틸-4,5,6,7-테트라하이드로인데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rac-디메틸실릴렌비스(2-메틸-4,5,6,7-테트라하이드로인데닐)지르코늄 디메틸, rac-에틸렌비스(2-메틸-4,5,6,7-테트라하이드로인데닐)하프늄 디클로라이드, rac-디메틸실릴렌비스(2-메틸-4-페닐인데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rac-디메틸실릴렌비스(2-메틸-4-페닐인데닐)지르코늄 디메틸, rac-디메틸실릴렌비스(2-메틸-4-페닐인데닐)하프늄 디클로라이드, rac-디메틸실릴렌비스(2-메틸-4-나프틸인데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rac-디메틸실릴렌비스(2-메틸-4-나프틸인데닐)지르코늄 디메틸, rac-디메틸실릴렌비스(2-메틸-4-나프틸인데닐)하프늄 디클로라이드, rac-디메틸실릴렌비스(2-메틸-4,5-벤조인데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rac-디메틸실릴렌비스 (2-메틸-4,5-벤조인데닐)지르코늄 디메틸, rac-디메틸실릴렌비스(2-메틸-4,5-벤조인데닐)하프늄 디클로라이드, rac-디메틸실릴렌비스(2-에틸-4-페닐인데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rac-디메틸실릴렌비스(2-에틸-4-페닐인데닐)지르코늄 디메틸, rac-디메틸실릴렌비스(2-에틸-4-페닐인데닐)하프늄 디클로라이드, rac-디메틸실릴렌비스(2-메틸-4,6-디이소프로필인데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rac-디메틸실릴렌비스(2-메틸-4,6-디이소프로필인데닐)지르코늄 디메틸, rac-디메틸실릴렌비스(2-메틸-4,6-디이소프로필인데닐)하프늄 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렌(2,4-디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3',5'-디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티탄 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렌(2,4-디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3',5'-디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렌(2,4-디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3',5'-디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메틸, 디메틸실릴렌(2,4-디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3',5'-디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하프늄 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렌(2,4-디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3',5'-디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하프늄 디메틸, 디메틸실릴렌(2,3,5-트리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2',4',5'-트리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티탄 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렌(2,3,5-트리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2',4',5'-트리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렌(2,3,5-트리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2',4',5'-트리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메틸, 디메틸실릴렌(2,3,5-트리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2',4',5'-트리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하프늄 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렌(2,3,5-트리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2',4',5'-트리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하프늄 디메틸을 포함한다.
이 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할로겐화 하프늄 화합물 및 할로겐화 지르코늄 화합물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할로겐화 하프늄 화합물이다.
이러한 메탈로센 화합물의 대표적인 합성 방법은 디메틸실릴렌(2,4-디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3',5'-디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하프늄 디클로라이드를 예로 들어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즉, 디메틸실릴렌(2,4-디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3',5'-디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나트륨을 디클로로디메틸실란과 반응시켜, 디메틸실릴렌(2,4-디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3',5'-디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실란을 수득하고, 이를 사염화하프늄과 반응시켜 디메틸실릴렌(2,4-디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3',5'-디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하프늄 디클로라이드를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원료는, 프로필렌 및 에틸렌이지만, 필요에 의해, 본 발명의 목적이 손상되지 않는 정도의 다른 α-올레핀, 비공액화 디엔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중합 공정(I)은 고결정성, 고 용융 유속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제조하는 공정이고, 중합 공정(II)는 저 용융 유속의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공정이다. 상기 중합은 연속식 또는 배치식이라도 좋다. 즉, 중합 공정(I)과 중합 공정(II)는 연속하여 동일계내에서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중합 공정(I)에서 수득한 폴리프로필렌을 분리한 후, 이에 새롭게 촉매를 가하거나 또는 가하지 않고서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공급하고, 상기 폴리프로필렌과 반응하도록 중합 공정(II)를 수행할 수 있다.
중합 공정(I)에 있어서는 프로필렌을 탄화수소 용매, 예를 들어, n-헥산, n-헵탄, n-옥탄, 벤젠 또는 톨루엔 중에서 수행하는 슬러리 중합, 액화 프로필렌 중에서 수행하는 벌크 중합 및 기상(vapor-phase) 중합에서 채용할 수 있다. 중합 공정(I)에 있어서, 슬러리 중합의 경우, 중합 온도는 2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이고, 중합 압력은 0 내지 5MPa이다. 또한, 기상 중합의 경우, 중합 온도는 20 내지 150℃이고, 중합 압력은 0.2 내지 5MPa이다.
중합 공정(II)는, 슬러리 중합, 기상 중합 모두 2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의 중합 온도 및 0 내지 5MPa의 압력에서 수행한다. 제2 단계(중합 공정(II))의 생성물 중의 에틸렌의 함유량이 20 내지 80중량%가 되도록 에틸렌의 공급 비율을 조정하여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공급하여 공중합을 수행한다.
분자량 조절을 위해 수소를 사용한다. 중합 공정(I)에 있어서는, 고 용융 유속의 중합체를 수득하기 위해서 수소 농도를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예를 들어, 수소/프로필렌 농도비(몰비)는 0.15 이상이다). 또한, 중합 공정(II)에서는 저 용융 유속의 공중합체를 수득하기 위해서 극히 수소 농도를 억제하거나(예를 들어, 1몰% 이하), 또는 무수소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공정(I)에서 수득되는 중합체의 용융 유속(MFR(i)) 대 중합 공정(II)에서 수득되는 중합체의 용융 유속(MFR(ii))의 비 MFR(i)/MFR(ii)의 상용대수의 값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9이다. 바람직한 인성, 왜곡 탄성율, 아이조드(Izod) 충격 강도를 수득하기 위해서는, 상기 값은 2 이상이 바람직하고, 안정한 제조를 위해서는 9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이다. 4 이상으로 조절함으로써 보다 양호한 인성, 왜곡 탄성율, 아이조드 충격 강도가 수득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4 내지 7이다. 7 이하로 조절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제조 조건이 수득된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블럭 공중합체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 즉, 본 발명의 범위외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단독중합체, 공중합체가 프로필렌 단위를 70중량% 이상 함유하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부텐-1, 펜텐-1, 헥센-1 및 옥텐-1과 같은 1종 이상의 α-올레핀과의 저결정성 내지 결정성 랜덤 공중합체 또는 결정성 블럭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비닐 아세트테이트 또는 아크릴산 에스테르와의 공중합체 또는 해당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프로필렌과 불포화 실란 화합물과의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불포화 카복실산 또는 이의 무수물과의 공중합체 또는 해당 공중합체의 유도체, 예를 들어, 해당 공중합체와 금속 이온 화합물과의 반응 생성물, 또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를 불포화 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로 변성시켜 수득한 변성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를 불포화 실란 화합물로 변성시켜 수득한 실란-변성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종 탄성중합체(예를 들어, 저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비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비공액화 디엔 3원 공중합체, 저결정성 에틸렌-부텐-1 랜덤 공중합체, 저결정성 프로필렌-부텐-1 랜덤 공중합체, 저결정성 에틸렌-헥센-1 랜덤 공중합체, 저결정성 에틸렌-옥텐-1 랜덤 공중합체, 비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비결정성 에틸렌-부텐-1 랜덤 공중합체, 비결정성 프로필렌-부텐-1 랜덤 공중합체, 비결정성 에틸렌-헥센-1 랜덤 공중합체, 비결정성 에틸렌-옥텐-1 랜덤 공중합체,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클로로프렌, 염소화 폴리에틸렌, 염소화 폴리프로필렌, 불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고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수소첨가 (스티렌/1,4-부타디엔-1,2-부타디엔/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수소첨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수소첨가 (스티렌/1,4-부타디엔-이소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수소첨가 (스티렌/1,4-부타디엔-1,2-부타디엔-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수소첨가 (스티렌/1,4-부타디엔-1,2-부타디엔) 블럭 공중합체, 수소첨가 (스티렌/1,2-부타디엔-이소프렌) 공중합체, 수소첨가 (스티렌/이소프렌) 블럭 공중합체, 에틸렌/에틸렌-부틸렌/에틸렌 블럭 공중합체, 에틸렌/에틸렌-부틸렌 블럭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부틸렌/에틸렌 블럭 공중합체, 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에틸렌 블럭 공중합체, 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 블럭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에틸렌 블럭 공중합체 및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에틸렌 블럭 공중합체) 또한 열가소성 합성 수지(예를 들어,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비결정성 에틸렌/사이클로알켄 공중합체(예를들어, 비결정성 에틸렌/테트라사이클로도데센 공중합체), 폴리부텐 및 폴리(4-메틸펜텐)과 같은 결정성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제외하는 폴리올레핀, 어택틱 폴리스티렌,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메타크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불소 수지, 석유 수지(예를 들어, C5계 석유 수지, 수소첨가 C5계 석유 수지, C9계 석유 수지, 수소첨가 C9계 석유 수지, C5-C9공중합체 석유 수지, 수소첨가 C5-C9공중합체 석유 수지 및 산-개질 C9계 석유 수지와 같은 연화점 80 내지 200℃의 석유 수지), DCPD 수지(예를 들어, 사이클로펜타디엔계 석유 수지, 수소첨가 사이클로펜타디엔계 석유 수지, 사이클로펜타디엔-C9공중합체 석유 수지, 수소첨가 사이클로펜타디엔-C9공중합체 석유 수지, 사이클로펜타디엔-C5-C9공중합체 석유 수지 및 수소첨가 사이클로펜타디엔-C5-C9공중합체 석유 수지와 같은 연화점 80 내지 200℃의 DCPD 수지 등)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는, 통상 결정성 프로필렌 중합체에 첨가되는 각종의 첨가제, 예를 들어, 페놀계, 티오에테르계, 인 화합물계 등의 산화방지제, 광안정화제, 중금속 불활성화물(구리 억제제), 투명화제, 조핵제, 윤활제, 대전방지제, 방담제(antifogging agent), 안티블럭킹제, 무적제(antidripping agent), 과산화물과 같은 라디칼 발생제, 난연제, 난연조제, 안료, 할로겐 보충제, 금속 비누류 등의 분산제 또는 중화제, 유기 또는 무기 항균제, 무기 충전제(예를 들어, 운모, 월라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펄라이트, 규조토, 석면, 탄산칼슘 , 탄산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하이드로탈사이트, 이산화규소,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규산알루미늄, 유리 섬유, 티탄산칼륨, 탄소 섬유, 카본 블랙, 흑연 및 금속 섬유), 커플링제(예를 들어, 실란계, 티타네이트계, 보론계, 알루미네이트계 또는 지르코알루미네이트계)와 같은 표면 처리제로 표면 처리된 상기 무기 충전제 또는 유기 충전제(예를 들어, 목분, 펄프, 폐지, 합성지, 천연 섬유 등)를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에 통상의 결정성 프로필렌 중합체에 첨가되는 상술의 각종 첨가제의 각각 소정량을 통상의 혼합 장치, 예를 들어, 헨쉘 믹서(상품명), 슈퍼 믹서, 리본 블렌더, 밴버리(Banbury) 믹서 등을 사용하여 혼합하고, 통상의 단축 압출기, 이축 압출기, 브라벤더(Brabender) 또는 롤 등으로, 용융 혼련 온도 170℃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190℃ 내지 2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90℃ 내지 220℃에서 용융, 혼련, 펠릿화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수득된 조성물은 사출 성형법, 압출 성형법, 흡입 성형법 등의 각종 성형법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성형품의 제조에 제공된다.
본 발명은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수득된 조성물의 특성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측정한다.
(1) 용융 유속
ASTM D-1238(단위: g/10분)에 준거하고, 측정 온도 230℃에서 하중 2.16㎏하에 수행한다.
(2) 타이 분자 체적분율(β)
중합 공정(I)에 있어서의 β 값의 측정은 문헌[참조: Masaru Ishikawa et al., Polymer., Vol. 37, No. 24, 5375-5379(1996)]에 제안되어 있는 방법에 기초하여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 방법을 사용한다.
버진 중합체 100중량부에, 페놀계 열안정화제인 IRGANOX 10l0(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제조원: Ciba-Geigy Ltd.) 0.1중량부 및 스테아린산칼슘 0.1중량부를 가하여, 고속 교반식 혼합기(예를 들어, 상품명 헨쉘 믹서)로 실온하에서 2분 동안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스크류 직경 40㎜의 압출 조립기를 사용하여 200℃에서 조립한다. 이어서, 상기 조립물을 프레스기로 용융 수지 온도 230℃, 4MPa의 조건하에서 3분 동안 가열한 후, 30℃, 14.8MPa의 조건하에서 3분 동안 냉각한 다음, 금형으로부터 꺼내어, 두께 0.5㎜의 압축 성형 시트를 수득한다. 이 압축 시트로부터 세로 50㎜, 가로 6㎜의 스트립을 펀칭하고, 시험편을 수득한다. 동양 정기 스트로그래프를 사용하고, 40℃ 및 변위 속도 10㎜/분에서 종축 방향으로 상기 시험편을 척간 거리(10㎜)의 7배 연신하여, 연신된 상기 인장 시험편의 넥 부분을 가위로 절단한다. 다음, 상기 절단편의 두께(a), 폭(b)을 측정하고, 다시 40℃ 및 변위 속도 10㎜/분에서 종축 방향으로 시험편을 연신하여 탄성율 E(GPa)을 측정한다. 또한, 시차 열주사 열량계(109형 DSC, 제조원: E.I. du Pont de Nemours and Co.)에 7배 연신한 잘라낸 시험편을 10㎎ 충전하고, 승온 속도 20℃로 가열하였을 때에 수득되는 서모그램의 피크에서 결정화도 Xc(%)를 측정한다.
상기 측정으로 수득된 탄성율 E 및 결정화도 Xc(%)를 하기 수학식 1에 대입하여 타이 분자 체적분율 β를 구한다.
수학식 1
β=(1-0.01Xc)E/(41(GPa)-0.01Xc·E)
(3)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내의 에틸렌 함량
미리 다양한 비율의 프로필렌 및 에틸렌을 반응시켜 공중합체를 제조하고, 이들 공중합체를 표준 샘플로서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에 의해 검량선을 작성한다. 이 검량선을 사용하여,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에 의해 전체 중합체내의 에틸렌 함량 및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내의 에틸렌 함량을 구한다. 또한, 전체 중합체내의 에틸렌 함량은 IR의 720㎝-1에서의 흡수로부터 구하고,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내의 에틸렌 함량은 720㎝-1대 730㎝-1에서의 IR 흡수비로부터 구한다.
(4) 중합 공정(I)의 중합체 대 중합 공정(II)의 중합체의 중량비
상술한 전체 중합체내의 에틸렌 함량 및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내의 에틸렌 함량의 값을 사용하여, 중합 공정(I)의 중합체 대 중합 공정(II)의 중합체의 중량비를 구한다.
A=(B/C)×100
A: 전체 중합체내의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중량
B: 전체 중합체내의 에틸렌 함량
C: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내의 에틸렌 함량
(5) 강성
강성은 다음 방법으로 왜곡 시험에 의해 평가한다. 수득된 공중합체 조성물의 펠릿을 사용하여, 길이 100㎜, 폭 10㎜, 두께 4㎜의 시험편을 사출 성형기로 실린더 온도 210℃, 금형 온도 40℃에서 성형시키고, 상기 시험편의 왜곡 탄성율을 측정(JISK 7203에 준거)함으로써 강성을 평가한다. 고강성의 재료란 왜곡 탄성율이 큰 것을 말한다.
(6) 내충격성
내충격성은 다음 방법으로 아이조드 충격 시험에 의해 평가한다. 수득된 공중합체 조성물의 펠릿을 사용하여, 길이 63.5㎜, 폭 13㎜, 두께 3.5㎜의 시험편(노치 있음)을 사출 성형기로 실린더 온도 210℃, 금형 온도 40℃에서 성형시키고, 상기 시험편을 사용하여 23℃에서의 아이조드 충격 강도를 측정(JISK 7110에 준거)함으로써 내충격성을 평가한다. 내충격성이 뛰어난 재료란 아이조드 충격 강도가 큰 것을 말한다.
실시예 1
a) 촉매의 제조
마그네슘 에톡사이드 150g, 2-에틸헥실 알콜 275㎖ 및 톨루엔 300㎖의 혼합물을 0.3MPa의 이산화탄소 대기하에 93℃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이에 톨루엔 400㎖ 및 n-데칸 400㎖를 가한다. 생성된 용액을 이하 탄산마그네슘 용액이라 칭한다.
톨루엔 100㎖를 클로로벤젠 30㎖, 테트라에톡시실란 9㎖, 사염화티탄 8.5㎖ 및 Isopar G 100㎖(평균 탄소수 10의 이소파라핀계 탄화수소, 비점 156 내지 176℃)와 함께 30℃로 5분 동안 교반하고, 이에 상기 탄산마그네슘 용액을 50㎖ 첨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5분 동안 교반한 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2㎖와 함께 6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다. 교반을 정지하고 상등액을 제거한다. 이후, 수득한 고체를 톨루엔 50㎖로 세정한다. 수득된 고체에 클로로벤젠 100㎖ 및 사염화티탄 100㎖를 첨가하여 13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다.
교반을 정지하고, 상등액을 제거한다. 이후, 클로로벤젠 250㎖, 사염화티탄 100㎖ 및 디-n-부틸 프탈레이트 2.1㎖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35℃에서 1.5시간 교반한다.
상등액을 제거한 후, 톨루엔 600㎖, Isopar G 800㎖ 및 헥산 400㎖로 순차적으로 고체를 세정하여 고체 촉매 성분을 수집한다. 이 고체 촉매 성분의 조성은 티탄 2.3중량%, 염소 55중량%, 마그네슘 17중량% 및 디-n-부틸 프탈레이트 7.5중량%이다.
b) 예비 활성화 촉매의 제조
내용적 50ℓ의 경사 블레이드 장착 스테인레스제 반응기를 질소 기체로 치환한 후, n-헥산 40ℓ를 투입하고, 상기의 고체 생성물 75g, 트리에틸알루미늄 13g을 실온에서 가한 후, 프로필렌 100g을 120분간에 걸쳐서 공급하고, 미반응 프로필렌을 제거하여, 예비 활성화 촉매 슬러리를 수득한다.
c) 중합 공정(I)
200ℓ의 제1 중합기에 매시간 프로필렌 7㎏/시간, n-헥산 26ℓ/시간, 트리에틸알루미늄 8.9g/시간 및 유기규소 화합물로서 디이소프로필디메톡시실란 6.9g/시간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용기내 온도가 70℃, 전체압이 0.8MPa가 되도록 상기 예비 활성화 슬러리를 첨가(400㎖/시간)하고, 기상부의 수소/프로필렌 농도비를 0.24로 유지하면서, 프로필렌과 수소를 공급하여 중합을 수행한 후, 중합 슬러리를 제2중합기에 공급하고, 계속해서 프로필렌과 수소를 공급하고 용기내 온도를 70℃, 전체압을 1.0MPa, 기상부의 수소/프로필렌 농도비를 O.24로 유지하면서 또한 중합을 수행한 후, 중합 슬러리를 제1 낙압조(pressure drop tank)에 공급한다.
제1 낙압조는 60℃, 0.5㎏/㎠G로 조절하고,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를, 고체 촉매 중의 Ti l몰당, 10.0몰(즉, 10.0몰/Ti몰) 첨가한다.
제1 낙압조로부터 배출된 슬러리는 제3 중합기로 공급한다.
d) 중합 공정(II)
60℃로 유지하면서, 제3 중합기에 프로필렌을 1.7㎏/시간, 에틸렌을 0.5㎏/시간, 기상 수소 농도가 1몰%로 되도록 수소를 공급한다. 제3 중합기에서 유출한 슬러리를 제2 낙압조에 도입시켜, 메탄올로 각 촉매를 실활시키고, 또한 가성 소다 용액으로 중화한 후, 수세, 파우더 분리, 건조 공정을 거쳐서 제품 파우더를 회수한다(약 8㎏/시간). 수득된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을 분석하고, 이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e) 사출 성형품의 제조
위에서 수득된 제품 파우더 3.0㎏에, 페놀계 열안정화제 0.003㎏, 스테아린산칼슘 0.003㎏을 가하고, 고속 교반식 혼합기(주: 헨쉘 믹서, 상품명)로 실온하에 2분 동안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스크류 직경 40㎜의 압출 조립기를 사용하여 200℃에서 조립한다. 이어서, 상기 조립물을 사출 성형기로 용융 수지 온도 210℃, 금형 온도 40℃로 JIS 형의 시험편을 성형시키고, 또한 시험편을 습도 50%, 실온 23℃의 실내에서 72시간 유지하여 상태 조정하고, 기계 물성 평가용의 시료를 수득한다. 평가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촉매계 중, 디이소프로필디메톡시실란 대신에 디사이클로펜틸디메톡시실란 및 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2종의 유기규소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을 수행한다. 이의 결과는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3 내지 6
실시예 1과 동일한 촉매 및 동일한 중합 방법을 사용하여 에틸렌/프로필렌 비율 및 수소 농도를 변화시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각종 공중합체 조성물을 합성하고, 물성을 측정한다. 이의 결과는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촉매 중, 고체 촉매 성분을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소)58-201816호의 실시예 1에 기재되어 있는 환원형 촉매로, 트리에틸알루미늄을 디에틸알루미늄클로라이드로, 디이소프로필디메톡시실란을 p-톨루산 메틸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한다. 이의 결과는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내지 4
실시예 1의 중합 조건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한다. 이의 결과는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중합 공정(I) 중합 공정(II)
중합 비율(wt%) MFR(I)(g/10분) 밀도(g/㎤) β(%) 중합 비율(wt%) MFR(II)(g/10분) C3/C2[wt%(비)] log(MFR(I)/ MFR(II))
실시예 1 90 96 0.90 1.39 10 0.001 60/40 5.0
실시예 2 90 93 0.90 1.38 10 0.001 60/40 5.0
실시예 3 90 99 0.90 1.38 10 0.001 60/40 5.0
실시예 4 90 71 0.90 1.50 10 0.00001 60/40 6.9
실시예 5 94 98 0.90 1.38 6 0.0001 60/40 6.0
실시예 6 90 89 0.90 1.40 10 0.0001 75/25 5.9
비교예 1 90 95 0.90 1.11 10 0.001 60/40 5.0
비교예 2 90 96 0.90 1.39 10 0.0007 90/10 5.1
비교예 3 90 94 0.90 1.39 10 0.0007 10/90 5.1
비교예 4 50 95 0.90 1.38 50 0.002 60/40 4.7
전체 중합체 조성물
MFR(I)(g/10분) 왜곡탄성율(MPa) 아이조드 충격 강도(J/m, 23℃)
실시예 1 29 1580 99
실시예 2 30 1580 82
실시예 3 31 1589 85
실시예 4 15 1616 230
실시예 5 43 1598 80
실시예 6 23 1616 95
비교예 1 30 1110 70
비교예 2 29 1349 30
비교예 3 29 1252 45
비교예 4 0.4 500 400
상기 실시예에서도 입증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은 용융 유속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고강성이고, 고인성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중합 공정을 연속으로 실시할 수 있고, 또한 조성의 제어도 용이하다. 따라서, 제품 격차의 작은 공중합체 조성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7)

  1. 프로필렌을 고입체 규칙성 촉매 및 수소 존재하에 중합시켜, 용융 유속(ASTM D-1238, 이하 동일)이 15 내지 99g/10분의 범위내이고 배향된 샘플로부터 수득되고 하기 수학식 1로 정의되는 바와 같은 타이 분자 체적분율(β)이 1.38% 이상인 프로필렌 중합체를 최종적으로 수득되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60 내지 95중량%의 양으로 제조하는 제1 단계(중합 공정(I)); 및
    후속적으로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에틸렌의 함유량이 20 내지 80중량%가 되도록 제1 단계의 생성물에 공급하여,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를 최종적으로 수득되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40중량%의 양으로 제조하는 제2 단계(중합 공정(II))를 통해 수득되는, 용융 유속이 1 내지 80g/10분인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수학식 1
    β=(1-0.01Xc)E/(41-0.01Xc·E)
    상기식에서,
    Xc는 결정화도(%)이고,
    E(GPa)는 탄성율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중합 공정(I)에서 수득되는 프로필렌 중합체의 용융 유속(MFR(i)) 대 중합 공정(II)에서 수득되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의 용융 유속(MFR(ii))의 비 MFR(i)/MFR(ii)의 상용대수의 값이 2 내지 9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중합 공정(I)에서 수득되는 프로필렌 중합체의 용융 유속(MFR(i)) 대 중합 공정(II)에서 수득되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용융 유속(MFR(ii))의 비 MFR(i)/MFR(ii)의 상용대수의 값이 4 내지 7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용융 유속이 20 내지 30g/10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용융 유속이 40 내지 80g/10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중합체가 하기 화학식 1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지고, 수평균 분자량이 10,000 내지 60,000이고, 밀도가 0.90 내지 0.92g/㎤이고, 타이 분자 체적분율(β)이 1.38% 이상인 프로필렌 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화학식 1
  7. 고입체 규칙성 촉매를 사용하여, 프로필렌을 고입체 규칙성 촉매 및 수소 존재하에 중합시켜, 용융 유속(ASTM D-1238, 이하 동일)이 15 내지 99g/10분의 범위내이고 배향된 샘플로부터 수득되고 하기 수학식 1로 정의되는 바와 같은 타이 분자 체적분율(β)이 1.38% 이상인 프로필렌 중합체를 최종적으로 수득되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60 내지 95중량%의 양으로 제조하는 제1 단계(중합 공정(I)); 및
    후속적으로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에틸렌의 함유량이 20 내지 80중량%가 되도록 제1 단계의 생성물에 공급하여,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를 최종적으로 수득되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40중량%의 양으로 제조하는 제2 단계(중합 공정(II))를 포함하는, 용융 유속이 1 내지 80g/10분인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수학식 1
    β=(1-0.01Xc)E/(41-0.01Xc·E)
    상기식에서,
    Xc는 결정화도(%)이고,
    E(GPa)는 탄성율이다.
KR1019997003723A 1997-08-29 1998-08-28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000688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994297 1997-08-29
JP97-249942 1997-08-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860A true KR20000068860A (ko) 2000-11-25

Family

ID=17200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3723A KR20000068860A (ko) 1997-08-29 1998-08-28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01069B1 (ko)
EP (1) EP0942020A4 (ko)
KR (1) KR20000068860A (ko)
AU (1) AU8886898A (ko)
TW (1) TW523523B (ko)
WO (1) WO19990116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5280B1 (en) * 1998-06-05 2004-11-30 Japan Polychem Corporation Propylene block copolymer and propylene resin composition
FR2791991B1 (fr) 1999-03-24 2003-08-29 Atochem Elf Sa Procede de copolymerisation et copolymeres ainsi obtenus
JP2001072815A (ja) 1999-09-07 2001-03-21 Chisso Corp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JP4538768B2 (ja) * 2000-02-03 2010-09-08 チッソ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384142B1 (en) * 2000-02-08 2002-05-07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pylene impact copolymers
EP1167404A1 (en) 2000-06-23 2002-01-02 Borealis GmbH Polyolefin products with improved toughness,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JP2002018887A (ja) 2000-07-12 2002-01-22 Chisso Corp ポリプロピレン樹脂発泡成形体
JP2002241452A (ja) * 2001-02-21 2002-08-28 Chisso Corp プロピレン・エチレンブロック共重合体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て得られる成形品
KR100893234B1 (ko) 2001-10-12 2009-04-10 헌츠만 폴리머스 코포레이션 고탄성율, 고연성 폴리올레핀
JP4186798B2 (ja) * 2003-11-14 2008-11-26 チッソ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樹脂製多層多孔膜
US7662888B2 (en) * 2005-04-29 2010-02-16 Japan Polypropylene Corporation Polypropylene based heat shrinkable film
US9644092B2 (en) 2005-06-22 2017-05-09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Heterogeneous in-situ polymer blend
US9745461B2 (en) 2005-06-22 2017-08-29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Vulcanized polymer blends
US20060293462A1 (en) * 2005-06-22 2006-12-28 Sunny Jacob Heterogeneous polymer blend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PL2145923T5 (pl) 2008-07-16 2019-06-28 Borealis Ag Rura o wysokiej sztywności zawierająca heterofazową kompozycję polimerową
US7851554B2 (en) * 2008-10-27 2010-12-14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pylene impact copolymers with balanced impact strength and stiffness
KR102184390B1 (ko) * 2017-09-29 2020-11-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관용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구성 예측 방법
KR102486846B1 (ko) * 2018-02-06 2023-0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올레핀계 고분자
JP6942245B2 (ja) 2017-09-29 2021-09-29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配管用樹脂組成物の長期耐久性予測方法及び配管用樹脂に用いられるオレフィン系高分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7076B2 (ja) 1986-07-21 1997-08-06 三井石油化学工業 株式会社 プロピレンブロツク共重合体の製法
JP3162441B2 (ja) 1991-10-28 2001-04-25 三菱化学株式会社 高剛性プロピレン共重合体組成物
KR100341040B1 (ko) * 1994-08-18 2002-11-23 칫소가부시키가이샤 고강성프로필렌-에틸렌블록공중합체조성물및이의제조방법
JP3355806B2 (ja) 1994-08-18 2002-12-09 チッソ株式会社 高剛性プロピレン・エチレンブロック共重合体の製造法
EP0751160B1 (en) 1995-06-26 1998-12-09 Japan Polyolefins Co., Ltd. Propylene block copolymer,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and propylen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same
CN1119364C (zh) * 1995-08-31 2003-08-27 智索公司 丙烯-乙烯共聚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8886898A (en) 1999-03-22
WO1999011684A1 (fr) 1999-03-11
US6201069B1 (en) 2001-03-13
EP0942020A1 (en) 1999-09-15
EP0942020A4 (en) 2000-01-05
TW523523B (en) 200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68860A (ko)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6365689B1 (en) Propylene/ethylene random copolymer, molding material, and molded article
EP0536503B1 (en) Olefin polymer composition
CA2153625C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KR10021533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U731735B2 (en) Polypropylene/propylene-ethylene copolymer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4414513B2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10005690B1 (ko) 폴리올레핀 조성물
JP2008163157A (ja) 中空成形用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US5478890A (en) Olefin polymer composition
EP0977808A1 (en) Amorphous propylene-polyene copolymers and compositions thereof
US6777497B2 (en) Polypropylene-based resin composition,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injection molded article
EP0700944A2 (en) Propylene block copolymer, process for producting the same, and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MXPA02005641A (es) Articulos formados a partir de copolimeros de propileno y dieno.
US6107388A (en) Polyolefin resin compositions
JPH02255845A (ja) 耐衝撃性改良ポリマー
WO1996010607A1 (fr) Composition de resine de propylene pour materiau d'interieur d'automobiles et materiau d'interieur d'automobiles
US5438100A (en) Olefin polymer composition
JPH0873547A (ja) プロピレンブロック共重合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組成物
JP2607099B2 (ja) 高剛性エチレン−プロピレンブロック共重合体組成物
JPH083009B2 (ja) 高剛性プロピレン単独重合体組成物
JPS63260943A (ja) ポリオレフイン組成物
JPH07118486A (ja) 結晶性プロピレン重合体組成物
JPH07242793A (ja) 結晶性プロピレン重合体組成物
JP2562915B2 (ja) 高剛性高溶融粘弾性エチレン−プロピレンブロック共重合体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