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8065A - 연료 공급 장치의 본체에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연료 공급 장치의 본체에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8065A
KR20000068065A KR1019997000978A KR19997000978A KR20000068065A KR 20000068065 A KR20000068065 A KR 20000068065A KR 1019997000978 A KR1019997000978 A KR 1019997000978A KR 19997000978 A KR19997000978 A KR 19997000978A KR 20000068065 A KR20000068065 A KR 20000068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pport
main body
fuel supply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0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1790B1 (ko
Inventor
브라운한스-페터
뵈르즈스테판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00068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8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7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4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covered by groups F02M69/02 - F02M69/44
    • F02M69/54Arrangement of fuel pressure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4Arrangements of injectors with respect to engines; Mounting of injectors
    • F02M61/145Arrangements of injectors with respect to engines; Mounting of injectors the injection nozzle opening into the air intake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4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covered by groups F02M69/02 - F02M69/44
    • F02M69/462Arrangement of fuel conduits, e.g. with valves for maintaining pressure in the pipes after the engine being shut-down
    • F02M69/465Arrangement of fuel conduits, e.g. with valves for maintaining pressure in the pipes after the engine being shut-down of fuel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a rotary external sleeve or ring on one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고정 부품(50)이 유닛(20)을 본체(2)에 지지한다. 여기에 추천된 고정 장치에 있어서는 지지 방향에 횡 방향인 적어도 한 탄성 영역의 탄성 인장력을 통하여 유닛(20)과 고정 부품(50) 사이에 확실한 전기적 연결이 보장된다. 그리하여 유닛(20)을 고정 부품(50)을 통하여 간단하고 용이하게 일정 전위와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 고정 장치는 특히 자동차의 내연기관의 연료 공급 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 공급 장치의 본체에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Securing device for fixing a unit to the body of a fuel supply installation}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에 있어 내연 기관의 연료 공급 장치는 통상적으로 다수의 장치를 포함한다. 연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연료펌프는 연료 저장 용기내의 연료를 연료저장 용기로부터 여러 장치를 통해 연료가 최종적으로 연소 기관의 연소실에 도달하기까지 수송한다. 장치는 예컨대 압력 조절기, 압력 강하기, 압력 완충기, 연료 여과기 들중의 하나이다.
장치 중의 하나, 예컨대 압력 조절기나 압력 강하기는, 그 자체가 또는 이 장치의 일부가 전기 전도성이지만, 그 전기 전도성 부분 또는 장치는, 예컨대 장치가 비 전도성 합성 수지로 구성된 본체에 배치되게 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절연 배치될 수 있다.
전기 전도성 부품을 가진 장치에 있어서는 전기적 전하 분리에 의해 전기 전도성 부품의 정전기 충전이 일어날 수 있다. 전기 전도성 부품의 정전기 충전은 통상적으로 아무 문제도, 특히 아무 기능 장애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전기 전도성 부품의 정전기 충전은 보통 유의되지 않거나 적어도 주의되지 않는다. 예컨대 빠른 유속을 가진 연료가 좁은 틈을 통해 흐르는 장치, 예컨대 압력 조절기나 압력 강하기가 있기 때문에, 전기 전도성 부품의 정전기 충전은 대단히 강도가 높을 수 있다.
대체로, 다행히도 대단히 드물게, 연료 공급 장치에서는 해명되지 않은 원인으로 화재나 폭발이 일어날 수 있었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이들 해명되지 않은 화재 중의 적어도 일부는 연료 공급 장치의 장치의 전기 절연 부품의 정전기적 충전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적은 비용으로 연료 공급 장치를 조립할 수 있기 위해서는, 유닛을 연료 공급 장치의 본체에 설치하기 위한 작업 비용이 낮은 것이 중요하며, 유닛이 확실하게 본체에 지지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독일 특허 공보 DE 40 07 436 C2 호는 압력 조절기용 고정 장치를 기재하고 있는데, 이 장치는 냄비 모양의 수납부를 통해 연료 공급 장치와 연결되어 있고 수납부의 칼라 내에 맞물려 있는 고정 부품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그 고정 부품은 반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하는 링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링은 수납부 내에 확고하고 강력하게 맞물려 있다. 이 고정 장치에서는 고정 부품과 압력 조절기 사이에 확실한 전기 접촉이 보장되지 않는다. 더욱이 이 고정 장치에서는 고정 부품을 수납부 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공구가 필요하다.
압력 조절기와 고정 부품은 어떤 상황하에서도 압축되는 것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압력 조절기와 고정 부품 사이에는 내구적인 확실한 전기 접촉이 확보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상위개념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의 본체에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 부품, 유닛 및 본체의 일부를 도시한 종 단면도.
도 2는 본체, 유닛 및 고정 부품을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체가 조립된 상태에서의 유닛을 도시한 측면 사시도.
도 4는 고정 부품을 도시한 상세도.
도 5는 추가의 실시예에 의한 본체, 유닛 및 고정 부품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바람직한 추가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청구항 1의 특징을 가진 본 발명에 의한 고정 장치는 상술된 것에 반하여 모든 상황하에서 유닛과 고정 부품 사이에 확실한 전기 접촉이 보장되는 이점을 갖는다.
유닛과 고정 부품 사이에 확실한 전기 접촉으로 인해, 고정 부품을 통한 유닛의 정전기 충전을 방지하고 그래서 위험원을 제거할 수 있는 간단하고도 유리한 가능성이 얻어진다.
고정 부품을 통한 유닛의 전기 접촉의 가능성으로 인해, 유닛을 일정하게 전원에 접속시킬 수 있기 위해 유닛에 어떤 변경도 가할 필요가 없는 유리한 점이 있다.
간단하게 고정 부품에는 지지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양호한 탄성이 부여될 수 있기 때문에, 측정 공차가 큰 경우에도 유닛과 고정 부품 사이에는 유리하게도 용이하게 양호한 전기 접촉이 보장된다.
종속항들에 기재된 조치에 의해 청구범위의 독립항에 표시된 고정 장치의 유리한 추가 양태 및 개선이 얻어질 수 있다.
고정 부품에 있는 접속부에 의해, 전기 도선이 고정 부품에 간단히 연결될 수 있는 이점이 생긴다.
접속부가 평평한 삽입 접점의 형태로 구성되면, 전기 도선이 간단히 고정 부품에 삽입될 수 있는 이점이 얻어진다.
고정 부품이 적어도 탄성 영역에 있어 지지 방향으로 보다 지지 방향에 대한 횡 방향으로 더 얇게 형성되면, 유닛이 지지 방향으로는 비교적 휘어지지 않게 본체에 지지되지만, 지지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는 고정 부품은 비교적 양호하게 탄성적으로 휘어져 양호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이점이 얻어진다.
지지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탄성을 갖고, 장착 상태에서 고정 부품과 맞물리는 지지 부품을 본체에 배치하면, 고정 부품을 매우 간단히 본체에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지지 부품에 의해, 고정 부품을 본체에 설치한 후, 고정 부품은 본체에 내구성 있고 확실하게 지지될 수 있고 그러면서도 그것을 위해 큰 재료가 요구되지도 않으며, 특히 지지 부품는 본체에 비교적 재료 절약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이점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하게 선정된 특히 유리한 실시예가 도면에 간략히 표시되어있고, 이하의 기재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고정 장치는 유닛을 연료 공급 장치의 본체에 지지시키는 데 사용된다. 연료 공급 장치에서는 연료가 내연 기관에 공급된다. 내연 기관으로서는 예컨대 차량 엔진이 고려될 수 있다. 연료로는 예컨대 용이하게 인화 가능한 휘발유이다.
연료 공급 장치는 정상적으로는, 한 장치 또는 대체로는 다수의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구성부재 또는 여러개 본체로 구성된다. 연료 공급 장치는, 예컨대 연료 저장 용기를 덮기 위한, 전기 비 전도성 합성 수지로된 덮개를 포함하는데, 그 덮개나 그 본체 내에는 유닛이 설치되고 그 유닛은 예컨대 압력 조절기 또는 압력 강하기일 수 있다. 연료 공급 장치의 연료 분배 관로 또한, 예컨대 압력 조절기, 압력 강하기, 압력 축적기, 압력 완충기, 여과기 또는 유사한 유닛이 설치되어 있는 본체를 구성한다. 연료 공급 장치의 조립을 간단화 하기 위해서는, 유닛이 간단하고 용이하고 확실하게 본체와 연결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1은 제 1의 바람직하게 선정되는 특히 유리한 실시예를 표시한다.
도 1은 연료 공급 장치에 속하는 본체(2)를 나타낸다. 본체(2)는 예컨대 전기 비 전도성 물질, 바람직하게는 합성 수지로 구성되거나, 또는 이 본체는, 이것이 일정한 전위를 나타낼 만큼 전기 전도적 연결을 갖지 않도록, 그의 주변부 내에 배치된다.
본체(2)를 통해 여러 유로가 통과한다. 유로 중의 하나는 연료 공급로(4)로 이용된다. 연료 공급로(4)를 통해 연료 펌프에 의해 수송된 연료가 유입될 수 있다. 연료 펌프는 명료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았다. 연료 공급로(4)에서 분기된, 도시되지 않은 관을 통해 연료는 예컨대 도시되지 않은 연료 분사 밸브에 도달한다. 연료 환류관 역할을 하는 추가의 유로를 통해, 연료는, 예컨대 명료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은 연료 저장 용기에 환류될 수 있다. 이 유로는 이하에서 연료 연장유로(6)로 지칭될 것이다.
또한 연료가 연료 연장유로(6)를 통해 예컨대 보다 나은 명료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은 연료 분배관이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분사 노즐에 도달하는 경우도 있다.
본체(2)에는 외측을 향한 단부(8)를 갖고 있다. 단부(8)는 외측을 향해 돌출할 수도 있고 또는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깊이 본체(2)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원통형 삽입부(10)는 정면측 단부(8)로부터 시작하여 본체(2) 내로 뻗고 있다. 작은 원통형 홀(12)이 삽입부(10)에 동축으로 본체(2) 내로 뻗고 있다. 삽입부(10)는 연료 공급로(4)에 연결되어 있고 홀(12)은 연료 연장유로(6)와 연결되어 있다.
삽입부(10) 내로는 유닛(20)이 삽입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선정된 실시예에서는 유닛(20)은 압력 조절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유닛(20)은 예컨대 압력 밸브 강하 밸브, 압력 축적기, 압력 완충기, 연료 여과기, 분사 밸브 등일 수도 있음을 참고해야 할 것이다.
예시된 유닛(20)은 하우징(22), 막 장치(24), 밸브 스프링(26), 안내 링(28), 패킹(30), 원판(32), 노즐(34), 및 패킹(36)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우징(22)은 제 1 하우징 부재(22a)와 제 2 하우징 부재(22b)로 구성되어 있다. 막 장치(24)는 막(24a), 제 1 접시체(24b), 제 2 접시체(24c) 및 폐쇄체(24d)를 포함한다.
두 하우징 부재(22a,22b)는 연부 절곡 연결에 의해 서로 강고히 연결되어 있다. 절곡 연결로 인해 하우징(22)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환형 융기부(38)가 생겨 있다. 융기부(38)는 단부(8) 쪽에서 반경 방향으로 뻗는 정면(38b)과 본체(2)의 반대쪽에서 반경 방향으로 뻗는 정면(38a)을 갖고 있다. 하우징(22)의 하우징 부재(22a)는 원통형 또는 약간 원추형의 외피면(22c)을 갖는다.
막(24a)은 중앙에 구멍을 갖고 있고 막은 그 구멍을 통해 두 부재(24b,24c) 사이에서 밀폐적이고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막 장치(24)의 막(24a)의 외주부는 융기부(38)를 형성하는 두 하우징 부재(22a,22b) 사이의 연부 절곡 연결부의 영역에 고정 밀폐로 끼어 있다. 막 장치(24)는 하우징(22) 내에서 압력실(40)을 밸브실(42)에 대해 분리한다.
노즐(34)은 막 장치(24)의 폐쇄체(24d) 쪽의 내부 정면을 갖는다. 노즐(34)의 내부 정면은 밸브 시트 또는 밸브 면(34e)으로 이용된다. 개구(35)는 노즐(34)을 통해 동축적으로 밸브 면으로부터 시작하여 연료 연장유로(6)에 까지 이르고 있다. 압력실(40)에 지배하는 압력에 따라, 밸브실(42)에 지배하는 압력에 따라, 밸브 스프링(26)의 힘에 따라, 또한 노즐(34)을 관통하는 개구(35)에서의 압력에 따라, 폐쇄체(24d)는 밸브 면(34e)으로부터 분리하거나, 또는 폐쇄체(24d)에 있는 밸브 면(24e)이 노즐(34)의 밸브 면(34e)에 접촉하여, 개구(35)가 압력실(40)로부터 분리되고 어떤 연료도 연료 공급로(4)로부터 유닛(20)을 통해서 연료 연장유로(6) 내로 흐를 수 없게 된다. 압력실(40)에서의 압력이 일정 치를 초과하면, 가동 막 장치(24)의 밸브 면(24e)은 하우징 측 밸브면(34e)으로부터 상승하고, 연료는 연료 공급로(4)로부터 밸브 면들(24e,34e) 사이의 좁은 틈을 통해 연료 연장유로(6) 내로 흐를 수 있다.
안내 링(28)과 원판(32)은 유닛(20)이 삽입부(10) 내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게 해 준다. 패킹(30)은 연료가 본체(2)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누출하지 못하게 하며 패킹(36)은 연료 연장유로(6)를 연료 공급로(4)에 대해 분리시킨다.
본체(2)에는 지지 부품(44)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부품(44)내로는 고정 부품(50)이 매달려 있다. 지지 부품(44)에 의해 지지된 고정 부품(50)은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유닛(20)이 삽입부(10)로부터 탈락될 수 없도록 유닛(20)을 본체(2)에 지지하고 있다.
도 1은 장치(20) 및 본체(2)의 일부 영역을 통한 종 단면도를 보여 준다. 도 3은 본체(2)가 조립된 상태에서 측면으로부터 비스듬한 사시도로 유닛(20) 및 유닛(20)을 본체(2)에 지지하는 고정 부품(50)을 보여 준다. 도 2는 본체(2), 유닛(20) 및 고정 부품을 소위 분해도로서 측면 경사 사시도로 보여 준다. 도 1에 표시된, 각도 하에 뻗는 단면 평면은, 도 3에 있어서는 Ⅰ-Ⅰ로 표시된 쇄선에 대응한다.
모든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동일 작용의 부재는 동일한 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반대되는 기재나 도면 표시가 없는 한, 도면 중의 하나에 따라 행한 설명과 도시는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된다. 설명과 다른 결과가 일어나지 않는 한, 여러 실시예들의 상세 사항들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저지 부품(52)이 있다. 저지 부품(52)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고정 부품(50)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 플랩(52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체(2)에는 지지 한 부품(44)이 있다. 두 개이상의 지지 부품이 본체(2)에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본체(2)에 두 개의 지지 부품(44 및 44')(도 2,3,5,7)이 형성된다. 지지 부품(44')은 지지 부품(44)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부품(50)에는 한 공허부(50d)(도 4)가 배치되거나 또는 수개의 공허부가 배치될 수도 있다. 본체(2)에는 두 개의 지지 부품(44,44')이 있기 때문에, 지지 부품(44,44')의 각각이 적당한 위치에서 고정 부품(50)에 맞물릴 수 있도록, 고정 부품(5)에는 같은 형상의 두 공허부(50d,50d')가 바람직하다.
저지 부품(52) 외에 수개의 추가 저지 부품이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체(2)에는 두 지지 부품(44,44')이 있기 때문에, 고정 부품(50)에는 두 저지 부품(52 및 52')이 바람직하다. 저지 부품(52')는 저지 부품(52)과 같은 형상의 것이다.
도 1에는 번호 54로 표시된 화살표가 나타나 있다. 번호 54의 화살표는 고정 부품(50)이 유닛(20)을 본체(2)에 고정 지지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이 방향을 지지 방향(54)으로 지칭될 것이다.
도 4는 고정 부품(50)을 상세도로 보여준다.
도 4에 도시된, 예로서 정선된 고정 부품(50)에서는, 도 1 내지 3에 표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저지 부품(52,52')이 생략되어 있다. 저지 부품(52,52')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4에 표시된 실시예에 있어 고정 부품(50)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고정 부품(50)은 종 영역(50a), 종 영역(50a'), 횡 영역(50b) 및 횡 영역(50b')을 갖고 있다. 고정 영역(50)은 만곡된 또한 스탬핑된 박판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횡 영역(50b,50b')에는 종 영역(50a,50a')에의 이행부가 각도를 이루어 배치되어 있다. 고정 부품(50)은 융기부(38)(도 1) 쪽에 하면(50g)을 갖고 있다(도 1). 조립 상태에서는 하면(50g)은 실질적으로 융기부(38)의 정면(38a)에 평행하게 또한 실질적으로 지지 방향(54)에 대해 횡 방향으로 뻗는다. 종 영역(50a,50a')과 횡 영역(50b,50b') 사이의 이행부에서의 각도로 인해(도 4), 종 영역(50a,50a')의 측면들은 실질적으로 지지 방향(54)(도 1)에 평행으로 뻗는다. 종 영역(50a,50a')의 지지 방향(54)으로의 길이(높이)는 지지 방향(54)에 대해 횡 방향인 종 영역(50a,50a')의 두께 보다 훨씬 크다. 그렇기 때문에, 횡 영역들(50b,50b')은 두 종 영역(50a,50a')을 통하여 교량 모양으로 서로 강성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횡 영역(50b,50b')이 지지 부품(44,44')에 매달린 뒤에 고정 부품(50)은 유닛(20)을 본체(2)에 거의 느슨하게 함이 없이 지지할 수 있다. 그래서 유닛(20) 위에 작용하는 힘 때문에 유닛(20)이 본체(2)로부터 탈락하는 지를 염려할 필요 없이 유닛(20)과 본체(2) 사이에 강성 결합을 얻을 수 있다.
고정 부품(50)의 종 방향 영역들(50a,50') 사이에는 자유 간격(50c)(도 4)이 있다. 조립 전에는 그 간격(50c)은 장치(20)의 외부 외피 면(22c)(도 1)의 직경 보다 작다. 종 영역(50a,50a')은 지지 방향(54)에 대해 횡 방향으로는 상당히 얇기 때문에, 종 영역(50a,50a')은 지지 방향(54)에 대해 횡 방향으로는 충분히 양호하게 탄성 변형되고, 따라서 간격(50c)이 작은데도 불구하고 고정 부품(50)은 그다지 경비를 들이지 않고도, 고정 부품(50)의 융기부(38) 쪽 하면(50g)이 정면(38a)(도 1)에 접하게 되기까지, 유닛(20)의 하우징(20)의 외피 면(22c)을 통해 씌워질 수 있다.
횡 영역(50b)에 있어 공허부(50d)에 연부(50f)가 있다. 대응적으로 횡 영역(50b')에 있어 공허부(50d')에는 연부(50f')가 있다. 공허부(50d,50d')의 서로 대향하는 연부들(50f,50f')은 상호간에 도면에서 50e로 표시된 간격을 갖는다(도 4).
지지 부품(44)는 그의 외단부에 지지 두부(44d)를 갖고 있다. 지지 두부(44d)에는 외측으로 향한 경사면44)과 본체(2)에 대향하는 방향을 바라보는 지지 면(44b)이 있다(도 1,2). 지지 두부(44d)와 본체(2) 사이에서는 지지 부품(44)에 탄성 영역(44c)이 있다(도 1). 탄성 영역(44c)은 간단한 방법으로, 지지 두부(44d)와 지지 부품(44)의 부가부 사이에서 본체(2)에 긴 손잡이가 배치되게 함으로써 형성된다. 두 지지 부품(44,44')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지지 부품(44')은 지지 두부(44d'), 경사 면(44a'), 지지 면(44b') 및 마찬가지의 탄성 영역을 갖는다.
연부들(50f,50f') 사이의 간격(50e)은, 고정 부품(50)을 본체(2) 쪽으로 끼울 때 연부(50f,50f')가 경사 면(44a,44a')에 접하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이제 고정 부품(50)을 본체(2) 쪽에 누르면, 지지 두부(44d,44d')는 탄성 영역(44c)으로 인해 연부(50f,50f')가 지지 면(44b,44b')의 측면에 도달할 때까지 탄성 변형된다. 그래서 지지 두부(44d,44d')는 탄성적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스냅되기 때문에 고정 부품(50)은 연부(50f,50f')에서 지지 부품(44,44')의 지지 면(44b,44b')에 의해 지지된다.
고정 부품(50)이 지지 부품(44,44') 위에 끼워지는 동안 지지 두부(44d,44d')(도 2)가 탄성적으로 반경 방향 내향으로 편향되는 한, 플랩(52a)은 지지 두부(44d)로부터 또한 플랩(52a')은 지지 두부(44d')로부터 장착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된다. 고정 부품(50)이 지지 부품(44,44') 위에 끼워지는 것의 종료와 더불어 지지 두부(44d,44d')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 이동되는 즉시, 플랩(52a,52a')도 도 1에 표시된 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것으로, 플랩(52a)은 지지 두부(44d)의 연부(50f) 반대쪽에 또한 플랩(52a')은 지지 두부(44d')의 연부(50f) 반대쪽에 위치하게 되어, 어쩌다가 큰 힘이 걸릴 때에도 플랩(52a,52a')으로 인해 지지 두부(44d 및 44d')의 반경 방향 내향으로의 탄성이동은 불가능하다. 그리하여 플랩(52a)은 지지 부품(44)과 더불어 저지 부품(52)을 구성하는데, 이 부품은 큰 힘이 발생할 경우에도 고정 부품(50)을 지지 부품(44)으로부터 탈락되지 않게 방지한다. 그와 유사하게 플랩(52a')은 고정 부품(50)이 지지 부품(44')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저지 부품(52')을 구성한다. 그럼으로써 지지 부품(44 및 44')의 탄성 영역(44C)은 비교적 약하게 제작될 수 있고, 그렇기 때문에 지지 부품(44 및 44')을 제조하는데 큰 재료가 요구되지 않는다.
고정 부품(50)이 본체(2)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확실하게 배제하기 위해서, 저지 부품(52,52')의 수를 본체(2)에 존재하는 지지 부품(44,44')의 수와 같게 선정할 것이 추천된다.
지지 방향(54)으로 고려해 볼 때, 지지 면(44b)과 본체(2)의 정면측 단부(8)(도 1) 사이의 거리는, 하우징(22)의 융기부(38)가 본체(2)의 정면측 단부(8)에 눌러질 필요 없이, 고정 부품(50)이 지지 부품(44,44')에 맞물려질 수 있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이렇게 하면 유닛(20)은 본체(2)에 훨씬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조립 완성된 상태에서, 지지 면(44b,44b')과 정면측 단부(8)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 부품(50)과 융기부(38) 사이에는 작은 유극(s)(도 1)이 존재한다. 이 유극(s)으로 인해 고정 부품(50)의 적어도 한 종 영역(50a) 및/또는 (50a')이 지지 방향(54)에 대해 횡 방향으로 하우징(22)에 대해 탄성적으로 눌러지지 않는다면, 고정 부품(50)과 하우징(22) 사이의 전기적 접촉은 어떤 상황하에서도 보장될 수 없을 것이다. 안내 링(28)과 원판(32)도 목적에 맞게 전기 비 전도성 합성수지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여기서도 전기적 접촉이 보장될 수 없다. 그 위에 본체(2)의 재료로서도 점차 전기 비 전도성 합성수지가 사용되고 있다. 그런 결과로 장치는 전기 절연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특히 연료가 높은 유속으로 유닛(20)을 통해 흐를 때에는 유닛(20)이 정전기로 충전될 수 있을 것이다. 정상적으로는 하우징(22)은 전기 전도성 재료, 특히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22)의 정전기 충전은 경우에 따라서는 위험한 방전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추천된 고정 부품의 경우에는 고정 부품(50)은 유닛(20)의 하우징(22)과 양호한 전기적 접촉을 갖기 때문에, 유닛(20)을 고정 부품(50)을 통해 일정한 전위에 접속할 수 있고 그리하여 유닛(20)의 하우징(22)의 정전기 충전 가능성을 배체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하다.
고정 부품(50) 자체는 예컨대 일정 전위에 연결된 와이어의 납땜 또는 용접에 의해 전위에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다. 일정 전위는 예컨대 자동차의 실체(덩이) 또는 자동차 내의 음극 또는 양극이다.
고정 부품(50)을 일정 전위에 용이하게 접속시키기 위해서, 고정 부품(50)에 접속부(60)를 설치하고, 그것을 통해 전기 도선(62)(도 1), 예컨대 케이블 코드가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게 할 것이 추천된다. 접속부(60)는 도선(62)과 고정 부품(50) 사이에 확실한 전기적 접속을 보장한다. 전기 도선(62)은 일정 전위부에 도달한다. 접속부(60)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평판 삽입 접점(60a)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평판 삽입 접점(60a)은, 자동차에서 흔히 사용되는 플러그(62a)가 용이하게 고정 부품(50)에 연결될 수 있도록, 그 치수가 정해져 있다. 플러그(62a)는 전기 도선(62)에 연결 형성된다. 평판 삽입 접점(60a)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고정 부품(50)을 스탬핑으로 제조할 때 플러그(62a)가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적절히 스탬핑된 박판 영역이 구부러져 돌출하게 한다.
도 5는 추가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고정 부품(50)은 박판 스트립으로 구성되어있고, 그 형상은 도 6에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밴드 재료로 제조된 고정 부품(5)은, 고려된 평면도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도 6에서처럼 형성된다. 밴드 재료는, 예컨대 횡 영역(50b)의 부위에서 서로 연결되어있는 두 단부를 갖고 있다. 밴드 재료의 두 단부의 연결은 예컨대 호스 클램프에서 처럼 통상적으로 수행된다.
고정 부품(50)이 유닛(20)의 하우징(22)에 끼워지기 전, 종 영역(50a,50a')이 직경(50h)을 가진 가상 원을 둘러싼다. 직경(50h)을 가진 가상 원은 도 6에서 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직경(50h)(도 6)은 하우징(22)의 외피면(22c)(도 5)의 직경 보다 작다. 가상 원의 직경(50h)은 외피면(22c)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또한 고정 부품(50)은 탄성 재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 부품(50)이 하우징(22) 위에 삽입된 후에는, 종 영역(50a,50a')은 지지 방향(54)에 대해 횡 방향으로 하우징(22) 위에 밀착된다. 이에 의해 이 실시예에서도 하우징(22)과 고정 부품(50) 사이에는 확실한 전기 접촉이 얻어진다.
도 5에 표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지지 부품(44)에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고 있는 홈(44e)이 있다. 그와 유사하게 지지 부품(44')도 홈(44e')을 갖고 있다. 고정 부품(50)을 하우징(22)에 삽입한 후, 고정 부품(50)을 약간 회전시킴에 의해 횡 영역(50b)은 홈(44e) 내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횡 영역(50b')도 홈(44e') 내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 부품(50)은 지지 방향(54)으로 비교적 치수가 크기 때문에, 지지 부품(50)은 지지 방향(54)으로 상당히 큰 강성을 갖고 따라서 유닛(20)을 지지 방향(54)으로 양호하고 휘어지지 않게 고정 지지할 수 있다. 한편 고정 부품(50)은 지지 방향(54)에 횡 방향으로는 비교적 얇은 재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 영역(50a,50a')은 지지 방향(54)에 대해 횡 방향으로는 비교적 양호하게 탄성 만곡될 수 있고, 따라서 고정 부품(50)은 하우징(22) 위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고정 부품(50)에는, 바람직하게는 종 영역(50a,50a')에는, 반경 방향 외향으로 뻗는 돌출부가 있다. 이 돌출에 의해 고정 부품(50)에는 맞물림 자리(50k,50k')가 생겨 있다(도 6). 이 맞물림 자리(50k,50k')에는 공구를 용이하게 넣어 아무 문제 없이 종 영역들(50a,50a')을 서로 양쪽으로 끌어당기고 그럼으로써 고정 부품(50)이 하우징(22)의 외피 면(22c)위에 용이하게 삽입되게 할 수 있다.
맞물림 자리(50k,50k')를 서로 당길 때에(도 6) 두 횡 영역(50b,50b') 사이의 거리가 짧아져, 고정 부품(50)은 상기한 비틀어짐 없이 축 방향으로 유닛(20)의 하우징 부재(22a) 위로 융기부(38)의 정면(38a)에 이르기까지 삽입될 수 있다(도 5). 맞물림 자리(50k,50k')를 놓아 준 뒤에는 맞물림 자리(50k,50k')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유닛(20)의 외피면(22c)으로 탄성 수축된다. 그래서 고정 부품(50)의 횡 영역(50b,50b')도 반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 팽창하고 그리하여 지지 부품(44,44')의 홈(44e,44e') 내에 강고히 맞물려 고정된다. 이리하여 부품들의 비틀어짐 없이 고정 부품(50)은 간단히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 및 6으로부터 볼 수 있는 것처럼, 스탬핑에 의해 접속부(60)를 위한 평판 삽입 접점(60a)이 고정 부품(50) 위에 형성될 수 있고 그러면서도 추가의 재료는 요구되지 않는다.
도 5 및 6에 표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지지 부품(44)에 있어 도 1에 도시된 맞물림 영역(44c)이 생략되어 있다.
도 7은 다시 바람직한 추가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7에 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지 부품(44)에 정면측 단부(8) 방향으로 향한 지지면(44f)이 배치되어 있다. 지지 부품(44')도 대응하는 지지면(44f')을 갖고 있다. 강판으로 구성된 고정 부품(50)은 유닛(20)이 본체(2)에 설치된 후 장치(20)의 정면(38a)과 지지 부품(44,44')의 지지면(44f,44f') 사이에 삽입된다. 고정 부품(50)의 설치 후에는 밴드 재료의 양단은 호스 클램프에서 흔히 행해지는 것처럼 서로 접합되게 한다. 그럼으로써 유닛(20)은 휘어짐 없이 또한 확실하게 본체(2)에 고정 지지되고, 동시에 지지 방향(54)에 대해 횡 방향의 탄성으로 인해 또한 종 영역(50a) 및/또는 종 영역(50a')이 지지 방향(54)에 대해 횡 방향으로 하우징(22)에 탄성적으로 가압됨에 의해 하우징(22)과 고정 부품(50) 사이에는 양호한 전기 접촉이 확실하게 보장된다.
고정 부품(50)을 통한 유닛(20)의 전기 접촉으로 인해 바람직하게도 유닛(20)을 일정 전위에 접속시킬 수 있기 위해 장치(20)에 어떤 변경 조치도 행할 필요가 없다.
고정 부품(50)이 지지 방향(54)에 대해 횡 방향으로 양호한 탄성을 가짐으로 인해 유닛(20)에서의 측정 공차가 큰 경우에도 유닛(20)과 고정 부품(50) 사이에는 양호한 전기 접촉이 보장될 수 있다.
표시된 실시예들에서는 유닛(20)의 외피면(22c)은 원통형이었다. 그러나 예컨대 외피면이 원추대형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종 영역들에 위치하는 적어도 한 탄성 영역의 탄성 인장력의 방향은, 그 탄성 영역이 지지 방향(54)에 대해 예컨대 60。 내지 90。의 각도 하에 장치에 대해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적절히 적합화 될 수 있다.
고정 부품(50)은 유닛(20)을 본체(2)에 지지시킨다. 여기에 추천된 고정 장치의 경우에는, 지지 부품(54)에 대해 횡 방향인 적어도 하나의 탄성 영역(50a,50a')의 탄성적 인장력에 의해, 유닛(20)과 고정 부품(50) 사이에 확실한 전기 접속이 보장된다. 그럼으로써 고정 부품(50)을 통해 유닛(20)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일정 전위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고정 장치는 특히 자동차의 내연기관의 연료 공급 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Claims (7)

  1. 유닛(20)을 본체(2)에 지지 방향(54)으로 지지하는 고정 부품(50)을 가지며, 유닛(20)을 연료 공급 장치의 본체(2)에 지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품(50)에는 지지 방향(54)에 대해 횡 방향으로 유닛(20,22c)에 대항하여 탄성적으로 인장되는 하나이상의 탄성 영역(50a,50a')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의 본체에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품(50)에는 전기적 도선(62)을 연결시키기 위한 접속부(60)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의 본체에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60)는 고정 부품(50)에 형성된 평판 삽입 접점(60a)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의 본체에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품(50)은 탄성 영역(50a,50a')에 있어 지지 방향(54)으로 보다 지지 방향(54)에 대해 횡 방향으로 더 얇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의 본체에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에는 고정 부품(50)과 맞물리는 하나이상의 지지 부품(44, 44')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의 본체에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품(44,44')은 지지 방향(54)에 대해 횡 방향으로 탄성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의 본체에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
  7. 제 5 항 또는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품(50)에는 이 고정 부품(50)에의해 지지 부품(44,44')의 분리가 방지되는 하나이상의 저지 부품(52, 52', 52a, 52a')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의 본체에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
KR1019997000978A 1997-06-07 1998-02-25 연료 공급 장치의 본체에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 KR1005617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24165A DE19724165A1 (de) 1997-06-07 1997-06-07 Befestigungsanordnung zum Halten eines Aggregats an einem Körper einer Kraftstoffversorgungsanlage
DE19724165.4 1997-06-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065A true KR20000068065A (ko) 2000-11-25
KR100561790B1 KR100561790B1 (ko) 2006-03-21

Family

ID=7831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0978A KR100561790B1 (ko) 1997-06-07 1998-02-25 연료 공급 장치의 본체에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283772B1 (ko)
EP (1) EP0918929B1 (ko)
JP (1) JP2000517024A (ko)
KR (1) KR100561790B1 (ko)
BR (1) BR9806042A (ko)
DE (2) DE19724165A1 (ko)
ES (1) ES2224371T3 (ko)
WO (1) WO19980570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15258C1 (de) * 1999-04-03 2000-12-07 Bosch Gmbh Robert Gehäuse für eine mit einem Elektromotor angetriebene Förderpumpe
DE19928631A1 (de) * 1999-06-23 2000-12-28 Mannesmann Vdo Ag Gehäuse für eine Lastverstellvorrichtung
JP3828701B2 (ja) * 1999-12-29 2006-10-04 株式会社ケーヒン 燃料分配管への燃料噴射弁の取付け構造
DE10003603A1 (de) 2000-01-28 2001-08-02 Volkswagen Ag Brennkraftmaschine mit Einspritzventilen
DE10009592A1 (de) * 2000-02-29 2001-08-30 Bosch Gmbh Robert Druckventil
FR2812065B1 (fr) * 2000-07-24 2003-08-01 Caillau Ets Embout de connexion rapide
US6457456B1 (en) * 2000-07-28 2002-10-01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Clip for injector to fuel supply assembly
ITTO20001229A1 (it) * 2000-12-29 2002-06-29 Fiat Ricerche Sistema di montaggio di un iniettore di combustibile per un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US7278401B1 (en) 2004-10-29 2007-10-09 Walbro Engine Management, L.L.C. Fuel pressure regulator housing
DE102006019306A1 (de) * 2006-04-26 2007-10-31 Robert Bosch Gmbh Rastpratze
DE102007026670A1 (de) 2007-06-08 2008-12-11 Robert Bosch Gmbh Halteelement zum Halten eines Aggregates in einer Halterung und Befestigungsanordnung
EP2388469B1 (en) * 2010-05-18 2013-03-13 Continental Automotive GmbH Fuel cup
DE102010034411B4 (de) * 2010-08-14 2018-10-11 Audi Ag Brennkraftmaschine mit Einspritzventil
US10001095B2 (en) * 2013-03-12 2018-06-19 Walbro Llc Retainer with grounding feature for fuel system component
DE102014200603A1 (de) * 2014-01-15 2015-07-16 Robert Bosch Gmbh Brennstoffeinspritzanlage mit einer Brennstoff führenden Komponente, einem Brennstoffeinspritzventil und einem Verbinder
US9982640B2 (en) * 2014-08-27 2018-05-29 Robert Bosch Gmbh Fuel pump module with replaceable filter unit
JP2018127962A (ja) * 2017-02-09 2018-08-16 愛三工業株式会社 燃料系部品の取り付け構造
EP3578801B1 (en) * 2018-06-06 2021-11-10 Delphi Technologies IP Limited Fuel pump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9825A (en) * 1975-12-17 1976-12-28 De Laval Turbine Inc. Tubing coupling with electrical bonding
US4107452A (en) * 1976-10-14 1978-08-15 Razvi Masood H Electrically conductive pipe fitting
US4367718A (en) * 1980-10-20 1983-01-11 Jacob Heine Fuel preheating device
JPH03209088A (ja) * 1990-01-11 1991-09-12 Kyukichi Sugiyama ねじなしカップリング用気密内筒体及びねじなしカップリング
DE4007436C2 (de) * 1990-03-09 1996-07-1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Befestigungsanordnung für einen Druckregler an einer Kraftstoffversorgungsanlage
US5070844A (en) * 1990-07-23 1991-12-10 Siemens Automotive L.P. Composite fuel rail socket for bottom- and side-feed fuel injectors
US5092300A (en) * 1991-01-31 1992-03-03 Siemens Automotive L.P. Plastic fuel rail end joint
US5146896A (en) * 1991-07-25 1992-09-15 Siemens Automotive L.P. Mounting fuel injection system components on a fuel rail
US5281761A (en) * 1992-02-25 1994-01-25 Burndy Corporation Grounding pipe/water pipe with compression connectors
EP0704034B1 (en) * 1993-06-15 1997-05-14 Imi Marston Limited Connectors
DE19712155A1 (de) * 1997-03-22 1998-09-24 Bosch Gmbh Robert Kraftstoffversorgungsanl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57061A1 (de) 1998-12-17
DE59811630D1 (de) 2004-08-05
EP0918929A1 (de) 1999-06-02
US6283772B1 (en) 2001-09-04
EP0918929B1 (de) 2004-06-30
DE19724165A1 (de) 1998-12-10
ES2224371T3 (es) 2005-03-01
BR9806042A (pt) 1999-08-24
JP2000517024A (ja) 2000-12-19
KR100561790B1 (ko) 2006-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68065A (ko) 연료 공급 장치의 본체에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
KR100633269B1 (ko) 연료 공급 장치
US6142126A (en) Fuel supply apparatus
US5785032A (en) Fuel supply system
US5479900A (en) Device for attaching and securing a valve
US8434413B2 (en) Gas generator
US20050006495A1 (en) Sealing element for the piezo actuator of a fuel injection valve
JP3834797B2 (ja) インタンク式燃料ポンプ装置
JP2009220590A (ja) 燃料給油装置とアース線接続構造
US4922880A (en) Fuel injec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3956533B2 (ja) 燃料濾過装置
US6056314A (en) Initiator retainer for air bag inflator
JPH04279756A (ja) 内燃機関の電気的に励起可能な複数のユニットを一緒に電気的に接触接続するためのコンタクテイングストリップ
KR20000064884A (ko) 연료시설용 장치
US4482093A (en) Fuel injection nozzl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4135189B2 (ja) インタンク式燃料ポンプ装置
KR20020097260A (ko) 동축으로 연달아 배열된, 내연 기관의 연료 공급 장치의 2개의 소자의, 지지 클립을 통한 연결
US6012418A (en) Distributor device for fuel injection systems
JP4082738B2 (ja) 内燃機関の燃料装置用の装置
US8459694B2 (en) Gas generating device
US10946738B2 (en) Vehicle fuel tank assembly
US20150136472A1 (en) Wire seal assembly
JP5080866B2 (ja) 電磁継電器
US20060042602A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mprising a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a first section of a wire harness on a cylinder head housing to a second section of the same
CN114069943B (zh) 用于电机的定位垫圈、固定装置以及固定电机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