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790B1 - 연료 공급 장치의 본체에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연료 공급 장치의 본체에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790B1
KR100561790B1 KR1019997000978A KR19997000978A KR100561790B1 KR 100561790 B1 KR100561790 B1 KR 100561790B1 KR 1019997000978 A KR1019997000978 A KR 1019997000978A KR 19997000978 A KR19997000978 A KR 19997000978A KR 100561790 B1 KR100561790 B1 KR 100561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pport
fuel supply
main body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0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8065A (ko
Inventor
브라운한스-페터
뵈르즈스테판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00068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8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4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covered by groups F02M69/02 - F02M69/44
    • F02M69/54Arrangement of fuel pressure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4Arrangements of injectors with respect to engines; Mounting of injectors
    • F02M61/145Arrangements of injectors with respect to engines; Mounting of injectors the injection nozzle opening into the air intake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4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covered by groups F02M69/02 - F02M69/44
    • F02M69/462Arrangement of fuel conduits, e.g. with valves for maintaining pressure in the pipes after the engine being shut-down
    • F02M69/465Arrangement of fuel conduits, e.g. with valves for maintaining pressure in the pipes after the engine being shut-down of fuel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a rotary external sleeve or ring on one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고정 부품(50)이 유닛(20)을 본체(2)에 지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에 있어서는 지지 방향에 대해 횡방향인 적어도 하나의 탄성 영역의 탄성 예비 응력을 통하여 유닛(20)과 고정 부품(50) 사이의 확실한 전기적 접속이 보장된다. 그리하여 유닛(20)을 고정 부품(50)을 통하여 간단하고 용이하게 일정 전위와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고정 장치는 특히 자동차의 내연기관의 연료 공급 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유닛, 본체, 지지방향, 고정부품, 지지부품, 고정장치

Description

연료 공급 장치의 본체에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Securing device for fixing a unit to the body of a fuel supply installation}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연료 공급 장치의 본체에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자동차 내연 기관의 연료 공급 장치는 통상적으로 다수의 유닛을 포함한다. 연료 공급 장치에서 연료펌프는 연료를 연료저장 용기로부터 여러 유닛을 통해, 연료가 최종적으로 내연 기관의 연소실에 도달할때 까지 이송한다. 유닛중 하나는 예컨대 압력 조절기, 감압기, 연료 저장기, 압력 댐퍼, 연료 필터 등이다.
유닛 중의 하나, 예컨대 압력 조절기 또는 감압기는, 그 자체가 또는 유닛의 일 부품이 도전성이지만, 그 도전성 부품 또는 유닛은, 예컨대 유닛이 비 도전성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본체에 배치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절연 배치될 수 있다.
도전성 부품을 가진 유닛에서 전기적 전하 분리에 의해 도전성 부품의 정하전(electrostatic charging)이 발생할 수 있다. 도전성 부품의 정하전은 통상적으로 아무 문제도, 특히 아무 기능 장애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도전성 부품의 정하전은 보통 인식되지 않거나 적어도 주의되지 않는다. 예컨대 연료가 빠른 유속으로 좁은 틈을 통해 흐르게 하는 유닛, 예컨대 압력 조절기 또는 감압기에서는, 도전성 부품의 정하전은 대단히 클 수 있다.
다행이 드물기는 하지만, 때때로 연료 공급 장치에서는 해명되지 않은 원인으로 화재나 폭발이 일어났었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이들 해명되지 않은 화재 중의 적어도 일부는 연료 공급 장치의 유닛의 전기 절연 부품의 정하전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한다.
적은 비용으로 연료 공급 장치를 조립할 수 있기 위해서는, 유닛을 연료 공급 장치의 본체에 설치하기 위한 작업 비용이 낮은 것이 중요하며, 유닛이 확실하게 본체에 지지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독일 특허 공보 DE 40 07 436 C2 호는 압력 조절기용 고정 장치를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압력 조절기는 냄비 모양의 수납부를 통해 연료 공급 장치와 연결되어 있고 수납부의 칼라 내에 맞물려 있는 고정 부품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고정 부품은 반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인 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링은 수납부 내에 포지티브 결합방식으로 맞물려 있다. 상기 고정 장치에서는 고정 부품과 압력 조절기 사이의 확실한 전기 접촉이 보장되지 않는다. 또한, 이 고정 장치에서는 고정 부품을 수납부 내에 설치하기 위해서 특별한 공구가 필요하다.
압력 조절기와 고정 부품은 어떤 상황하에서도 함께 압축되는 것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압력 조절기와 고정 부품 사이의 지속적이고 확실한 전기 접촉이 보장되지 않는다.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는 이와 달리 어떠한 경우에도 유닛과 고정 부품 사이의 확실한 전기 접촉이 보장되는 장점을 갖는다.
유닛과 고정 부품 사이의 확실한 전기 접촉으로 인해, 고정 부품을 통한 유닛의 정하전을 방지하고 이로써 위험원을 제거할 수 있는 간단하고 바람직한 방법이 제공된다.
고정 부품을 통한 유닛의 전기 접촉의 가능성으로 인해, 바람직하게 유닛을 일정한 전기 전위에 접속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 유닛에 어떤 변경도 가할 필요가 없다.
고정 부품에 지지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양호한 탄성을 제공하는 것이 간단하기 때문에, 치수 공차가 큰 경우에도 유닛과 고정 부품 사이의 양호한 전기 접촉이 용이하게 보장된다.
종속항들에 기재된 조치에 의해 청구범위 독립항에 제시된 고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및 개선이 가능하다.
고정 부품에 있는 접속부에 의해, 전기 도체가 고정 부품에 간단히 연결될 수 있는 장점이 제공된다.
접속부가 플랫 플러그 접점의 형태로 구성되면, 전기 도체가 간단히 고정 부품에 삽입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고정 부품이 적어도 탄성 영역에서 지지 방향으로 보다 지지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더 얇게 구현되면, 유닛이 지지 방향으로는 비교적 강성으로 본체에 지지되지만, 지지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는 고정 부품이 비교적 양호하게 탄성적으로 가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양호한 탄성을 갖는 장점이 있다.
지지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탄성을 갖고, 장착 상태에서 고정 부품 뒤로 맞물리는 지지 부품을 본체에 배치하면, 고정 부품을 매우 간단하게 본체에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록킹 부품에 의해, 고정 부품을 본체에 설치한 후, 고정 부품을 많은 재료 비용 없이 본체에 지속적으로 확실하게 지지하는 것이 보장되고, 특히 지지 부품은 본체에 비교적 재료 절감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이 달성된다.
도 1은 비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연료 공급 장치 내 본체의 횡단면도.
도 2는 도 1의 몇 가지 부품의 분해도.
도 3은 도 1의 본체의 측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고정 부품의 상세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체의 변형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고정 부품의 평면도.
도 7은 도 3 및 5에 도시된 본체의 다른 변형예의 사시도.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면에 간략히 도시되어있고, 이하의 기재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 내지 7은 상이하게 구현된 실시예의 세부 사항과 도면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된 고정 장치는 유닛을 연료 공급 장치의 본체에 지지시키는 데 사용된다. 연료 공급 장치에서는 연료가 내연 기관에 공급된다. 내연 기관으로서는 예컨대 오토(Otto) 엔진이 고려될 수 있다. 연료는 예컨대 쉽게 발화 가능한 가솔린이다.
연료 공급 장치는 통상 하나 또는 대개 다수의 유닛이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부품 또는 다양한 본체로 구성된다. 연료 공급 장치는, 예컨대 연료 저장 용기를 덮기 위한, 비도전성 플라스틱으로된 덮개를 포함하고, 덮개 또는 상기 본체 내에는 유닛이 설치되고 유닛은 예컨대 압력 조절기 또는 감압기일 수 있다. 연료 공급 장치의 연료 분배관은, 예컨대 압력 조절기, 감압기, 어큐뮬레이터, 압력 댐퍼, 필터 또는 유사한 유닛이 설치되어 있는 본체를 구성한다. 연료 공급 장치의 조립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는, 유닛이 간단하고 용이하고 확실하게 본체와 연결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1은 특히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은 연료 공급 장치에 포함되는 본체(2)를 도시한다. 본체(2)는 예컨대 비 도전성 물질,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본체는, 일정한 전위에 대한 도전 연결부를 갖지 않도록, 그 주변에 배치된다.
본체(2)를 통해 여러 유로가 통과한다. 유로들 중의 하나는 연료 공급로(4)로 이용된다. 연료 공급로(4)를 통해 연료 펌프에 의해 이송된 연료가 유입될 수 있다. 연료 펌프는 명료함을 위해 도시되지 않았다. 연료 공급로(4)에서 분기된, 도시되지 않은 관을 통해 연료는 예컨대 도시되지 않은 연료 분사 밸브에 도달한다. 연료 환류관 역할을 하는 다른 유로를 통해, 연료는 예컨대 명료함을 위해 도시되지 않은 연료 저장 용기로 환류될 수 있다. 상기 유로는 이하에서 연료 연장유로(6)로 지칭될 것이다.
또한 연료가 연료 연장유로(6)를 통해 예컨대 보다 명료함을 위해 도시되지 않은 연료 분배관 또는 도시되지 않은 분사 밸브에 도달하는 경우도 있다.
본체(2)는 외측을 향한 단부면측 숄더(8)를 갖고 있다. 숄더(8)는 외측을 향해 돌출할 수도 있고 또는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본체(2) 내에 깊이 장착될 수도 있다. 원통형 네크(10)는 단부면측 숄더(8)로부터 시작하여 본체(2)에 이른다. 더 작은 원통형 홀(12)이 네크(10)에 대해 동축으로 본체(2)에 이른다. 네크(10)는 연료 공급로(4)에 연결되어 있고 홀(12)은 연료 연장유로(6)와 연결되어 있다.
네크(10)에 유닛(20)이 삽입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선택된 실시예에서 유닛(20)은 압력 조절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유닛(20)은 예컨대 감압 밸브, 어큐뮬레이터, 압력 댐퍼, 연료 필터, 분사 밸브 등일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도시된 유닛(20)은 하우징(22), 막 유닛(24), 밸브 스프링(26), 안내 링(28), 시일(30), 디스크(32), 노즐(34), 및 시일(36)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우징(22)은 제 1 하우징 부재(22a)와 제 2 하우징 부재(22b)로 구성되어 있다. 막 유닛(24)는 막(24a), 제 1 디스크(24b), 제 2 디스크(24c) 및 폐쇄체(24d)를 포함한다.
두 하우징 부재(22a, 22b)는 플랜지 연결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다. 플랜지 연결로 인해 하우징(22)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주변 융기부(38)가 생긴다. 융기부(38)는 숄더(8)를 향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면(38b)과 본체(2)의 반대편,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면(38a)을 갖고 있다. 하우징(22)의 하우징 부재(22a)는 원통형 또는 대략 원추형의 외주면(22c)을 갖는다.
막(24a)은 중앙홀을 갖고 있고, 막은 상기 홀을 통해 두 디스크(24b, 24c) 사이에서 밀폐 방식으로 견고하게 장착되어 있다. 막 유닛(24)의 막(24a)의 외주는 융기부(38)를 형성하는 플랜지 연결부의 영역에서 두 하우징 부재(22a, 22b) 사이에 밀폐 방식으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막 유닛(24)는 하우징(22) 내에서 압력실(40)을 밸브실(42)로부터 분리한다.
노즐(34)은 막 유닛(24)의 폐쇄체(24d)를 향한 내부 단부면을 갖는다. 노즐(34)의 내부 단부면은 밸브 시트 또는 밸브 면(34e)으로 이용된다. 개구(35)는 밸브 면(34e)으로부터 시작하여 동축으로 노즐(34)을 통해 연료 연장유로(6)에 까지 이르고 있다. 압력실(40)내의 압력, 밸브실(42)내의 압력, 밸브 스프링(26)의 힘, 및 노즐(34)을 관통하는 개구(35)에서의 압력에 의존하여, 폐쇄체(24d)가 밸브 면(34e)으로부터 들어올려지거나, 또는 폐쇄체(24d)에 있는 밸브 면(24e)이 노즐(34)의 밸브 면(34e)에 접촉함으로써, 개구(35)가 압력실(40)로부터 분리되고 어떤 연료도 연료 공급로(4)로부터 유닛(20)을 통해서 연료 연장유로(6) 내로 흐를 수 없게 된다. 압력실(40)에서의 압력이 일정치를 초과하면, 가동 막 유닛(24)의 밸브 면(24e)은 하우징에 고정된 밸브면(34e)으로부터 들어 올려지고, 연료는 연료 공급로(4)로부터 밸브 면들(24e, 34e) 사이의 좁은 틈을 통해 연료 연장유로(6) 내로 흐를 수 있다.
안내 링(28)과 디스크(32)는 유닛(20)이 네크(10) 내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게 해 준다. 시일(30)은 연료가 본체(2)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누출되지 못하게 하며, 시일(36)은 연료 연장유로(6)를 연료 공급로(4)로부터 분리시킨다.
본체(2)에는 지지 부품(44)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부품(44)내로는 고정 부품(50)이 삽입되어 있다. 지지 부품(44)에 의해 지지된 고정 부품(50)은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유닛(20)이 네크(10)로부터 빠져나올 수 없도록 유닛(20)을 본체(2)에 지지하고 있다.
도 1은 유닛(20) 및 본체(2)의 일부 영역을 종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3은 본체(2), 유닛(20), 및 유닛(20)을 본체(2)에 지지하는 고정 부품(50)을 조립된 상태에서 측면으로부터 기울어진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2는 본체(2), 유닛(20) 및 고정 부품(50)을 측면으로부터 기울어진 소위 분해도로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꺽여 연장된 절단면은, 도 3에서 Ⅰ-Ⅰ로 표시된 일점 쇄선으로 도시된다.
모든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동일 작용의 부재는 동일한 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반대 사실이 언급되어 있지 않거나 도면에 도시되지 않으면, 도면 중의 하나를 참고로 한 설명과 도시는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된다. 또한, 달리 설명되지 않으면, 여러 실시예들의 세부 사항들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록킹 부품(52)이 있다. 록킹 부품(52)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고정 부품(50)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 클립(52a)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2)에는 지지 부품(44)이 제공된다. 두 개 이상의 지지 부품이 본체(2)에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본체(2)에 두 개의 지지 부품(44 및 44')(도 2, 도 3, 도 5, 및 도 7)이 형성된다. 지지 부품(44')은 지지 부품(44)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부품(50)에는 하나의 컷아웃(50d)(도 4)이 배치되거나 또는 다수의 컷아웃이 배치될 수도 있다. 본체(2)에는 두 개의 지지 부품(44, 44')이 있기 때문에, 지지 부품(44, 44')이 각각 적당한 위치에서 고정 부품(50)에 맞물릴 수 있도록, 고정 부품(50)에는 동일한 형상의 두 개의 컷아웃(50d, 50d')이 바람직하다.
록킹 부품(52) 외에 다수의 추가 록킹 부품이 설치될 수도 있다. 본체(2)에는 두 지지 부품(44, 44')이 있기 때문에, 고정 부품(50)에는 두 개의 록킹 부품(52 및 52')이 바람직하다. 록킹 부품(52')은 록킹 부품(52)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1에는 도면부호 54로 표시된 화살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화살표는 고정 부품(50)이 유닛(20)을 본체(2)에 지지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이 방향을 지지 방향(54)으로 지칭할 것이다.
도 4는 고정 부품(50)을 상세하게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고정 부품(50)에서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록킹 부품(52, 52')이 생략되어 있다. 록킹 부품(52, 52')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 부품(50)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고정 부품(50)은 종방향 영역(50a), 종방향 영역(50a'), 횡방향 영역(50b) 및 횡방향 영역(50b')을 갖고 있다. 고정 부품(50)은 만곡된 또는 스탬핑된 박판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횡방향 영역(50b, 50b')에는 종방향 영역(50a, 50a')으로의 전이부가 각을 이루고 있다. 고정 부품(50)은 융기부(38)(도 1)측 하면(50g)을 갖고 있다(도 1). 조립 상태에서 하면(50g)은 실질적으로 융기부(38)의 단부면(38a)에 대해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지지 방향(54)에 대해 횡으로 연장된다. 종방향 영역(50a, 50a')과 횡방향 영역(50b, 50b') 사이의 전이부에서의 꺽어짐으로 인해(도 4), 종방향 영역(50a, 50a')의 측면들은 실질적으로 지지 방향(54)(도 1)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종방향 영역(50a, 50a')의 지지 방향(54)으로의 폭은 지지 방향(54)에 대해 횡으로의 종방향 영역(50a, 50a')의 두께 보다 훨씬 크다. 그렇기 때문에, 횡방향 영역들(50b, 50b')은 두 종방향 영역(50a, 50a')을 통하여 교량 모양으로 서로 강성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횡방향 영역(50b, 50b')이 지지 부품(44, 44')에 삽입된 뒤에 고정 부품(50)은 유닛(20)을 본체(2)에 대해 거의 휘어짐 없이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유닛(20)에 작용하는 힘 때문에 유닛(20)이 본체(2)로부터 분리될 것을 염려할 필요 없이 유닛(20)과 본체(2) 사이의 강성 결합을 얻을 수 있다.
고정 부품(50)의 종방향 영역들(50a, 50a') 사이에는 자유 간격(50c)(도 4)이 있다. 조립 전에는 그 간격(50c)은 유닛(20)의 외주면(22c)(도 1)의 직경 보다 작다. 종방향 영역(50a, 50a')은 지지 방향(54)에 대해 횡으로는 상당히 얇기 때문에, 종방향 영역(50a, 50a')은 지지 방향(54)에 대해 횡으로는 충분히 양호한 탄성을 가지며, 따라서 간격(50c)이 작은데도 불구하고 고정 부품(50)은 그다지 경비를 들이지 않고도, 융기부(38)를 향한, 고정 부품(50)의 하면(50g)이 단부면(38a)(도 1)에 접하게 되기까지, 유닛(20)의 하우징(22)의 외주면(22c)위에 배치될 수 있다.
횡방향 영역(50b)에서 컷아웃(50d)은 에지(50f)를 갖는다. 상응하게 횡방향 영역(50b')에서 컷아웃(50d')은 에지(50f')를 갖는다. 컷아웃(50d, 50d')의 서로 반대편 에지들(50f, 50f')은 상호간에 도면에서 50e로 표시된 간격을 갖는다(도 4).
지지 부품(44)은 그의 외측 단부에 지지 두부(44d)를 갖고 있다. 지지 두부(44d)에는 외측으로 향한 경사면(44a)과 본체(2)에 대향하는 방향을 바라보는 지지 면(44b)이 있다(도 1 및 도 2). 지지 두부(44d)와 본체(2) 사이에서는 지지 부품(44)에 탄성 영역(44c)이 제공된다(도 1). 탄성 영역(44c)은 간단한 방법으로, 지지 두부(44d)와 지지 부품(44)의 부착물 사이에서 본체(2)에 긴 포스트가 배치되게 함으로써 형성된다. 두 지지 부품(44, 44')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지지 부품(44')은 지지 두부(44d'), 경사면(44a'), 지지면(44b') 및 마찬가지의 탄성 영역을 갖는다.
에지들(50f, 50f') 사이의 간격(50e)은, 고정 부품(50)을 본체(2)를 향해 슬라이딩할 때 에지(50f, 50f')들이 경사면(44a, 44a')에 접하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이제 고정 부품(50)이 본체(2)에 대해 가압되면, 지지 두부(44d, 44d')는 탄성 영역(44c)으로 인해, 에지(50f, 50f')가 지지면(44b, 44b')의 측면에 도달할 때까지 반경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진다. 그래서 지지 두부(44d, 44d')는 탄성적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스냅되기 때문에 고정 부품(50)은 에지(50f, 50f')들에서 지지 부품(44, 44')의 지지면(44b, 44b')에 의해 지지된다.
고정 부품(50)이 지지 부품(44, 44') 위로 슬라이딩되는 동안 지지 두부(44d, 44d')(도 2)가 탄성적으로 반경 방향 내측으로 편향되면, 클립(52a)은 지지 두부(44d)로부터 그리고 클립(52a')은 지지 두부(44d')로부터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된다. 고정 부품(50)이 지지 부품(44, 44') 위로 슬라이딩되는 것의 종료와 더불어 지지 두부(44d, 44d')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구부러지면, 클립(52a, 52a')도 도 1에 표시된 위치로 복귀될 수 있고, 상기 위치에서, 클립(52a)은 에지(50f) 반대편에 놓인 지지 두부(44d)의 측면에 그리고 클립(52a')은 에지(50f') 반대편에 놓인 지지 두부(44d')의 측면에 위치하게 되어, 경우에 따라 큰 힘이 발생할 때에도 클립(52a 또는 52a')으로 인해 지지 두부(44d 또는 44d')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의 구부러짐은 불가능하다. 이로써 클립(52a)은 지지 부품(44)과 협력해서 록킹 부품(52)을 형성하는데, 이 록킹 부품은 큰 힘이 발생할 경우에도 고정 부품(50)이 지지 부품(44)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게 한다. 상응하게 클립(52a')은 고정 부품(50)이 지지 부품(44')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록킹 부품(52')을 형성한다. 그럼으로써 지지 부품(44 또는 44')의 탄성 영역(44C)은 비교적 연질로 형성될 수 있고, 그렇기 때문에 지지 부품(44 및 44')을 제조하는데 많은 재료가 요구되지 않는다.
고정 부품(50)이 의도치않게 본체(2)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확실하게 배제하기 위해서, 록킹 부품(52, 52')의 수를 본체(2)에 제공된 지지 부품(44, 44')의 수와 동일하게 선택한다.
지지 방향(54)으로 볼 때, 지지면(44b)과 본체(2)의 단부측 숄더(8)(도 1) 사이의 거리는, 하우징(22)의 융기부(38)가 본체(2)의 단부면측 숄더(8)에 대해 가압될 필요 없이, 고정 부품(50)이 지지 부품(44, 44')에 맞물려질 수 있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이렇게 하면 유닛(20)은 본체(2)에 훨씬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 지지면(44b, 44b')과 단부면측 숄더부(8) 사이에 설치된 고정 부품(50)과 융기부(38) 사이에는 작은 유극(s)(도 1)이 존재한다. 이 유극(s)으로 인해, 고정 부품(50)의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영역(50a 및/또는 50a')이 지지 방향(54)에 대해 횡으로 하우징(22)에 대해 탄성적으로 가압되지 않는다면, 고정 부품(50)과 하우징(22) 사이의 전기적 접촉은 어떤 상황하에서도 보장될 수 없을 것이다. 안내 링(28)과 디스크(32)가 바람직하게 비도전성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여기서도 전기적 접촉이 보장될 수 없다. 게다가, 본체(2)의 재료로서도 점차 비도전성 플라스틱이 사용되고 있다. 그결과 유닛(20)은 전기 절연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특히 연료가 높은 유속으로 유닛(20)을 통해 흐르면, 유닛(20)의 정하전이 발생할 수 있다. 정상적으로 하우징(22)은 도전성 재료, 특히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22)의 정하전은 경우에 따라서는 위험한 방전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제시된 고정 장치의 경우에 고정 부품(50)은 유닛(20)의 하우징(22)과 양호한 전기적 접촉을 갖기 때문에, 유닛(20)이 고정 부품(50)을 통해 일정한 전위에 접속될 수 있고, 따라서 유닛(20)의 하우징(22)의 정하전이 배제된다.
고정 부품(50)이 예컨대 일정 전위에 연결된 와이어의 납땜 또는 용접에 의해 전위에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일정 전위는 예컨대 자동차의 접지 또는 자동차 내의 음극 또는 양극이다.
고정 부품(50)을 일정 전위에 용이하게 접속시키기 위해서, 고정 부품(50)에 접속부(60)를 설치하고, 그것을 통해 도체(62)(도 1), 예컨대 케이블의 가닥이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게 하는 것이 제안된다. 접속부(60)는 도체(62)와 고정 부품(50) 사이의 확실한 전기적 접속을 보장한다. 도체(62)는 일정한 전위로 안내된다. 접속부(60)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플랫 플러그 접점(60a)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플랫 플러그 접점(60a)은, 자동차에서 흔히 사용되는 플러그(62a)가 용이하게 고정 부품(50)에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치수가 정해져 있다. 플러그(62a)는 도체(62)에 연결된다. 플랫 플러그 접점(60a)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고정 부품(50)을 스탬핑할 때 상응하게 스탬핑된 박판 영역이 외측으로 휘어지고, 따라서 플러그(62a)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도 5는 특히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고정 부품(50)은 박판 스트립으로 구성되어있고, 그 형상은 도 6에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밴드 재료로 제조된 고정 부품(50)은, 평면도에서 볼 때, 바람직하게는 도 6에서처럼 형성된다. 밴드 재료는, 예컨대 횡방향 영역(50b)의 범위에서 서로 연결되어있는 두 개의 단부를 갖고 있다. 밴드 재료의 두 단부의 연결은 예컨대 호스 클램프에서 처럼 통상적으로 수행된다.
고정 부품(50)이 유닛(20)의 하우징(22)에 삽입되기 전, 종방향 영역(50a, 50a')이 직경(50h)을 가진 가상 원을 둘러싼다. 직경(50h)을 가진 가상 원은 도 6에서 일점 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직경(50h)(도 6)은 하우징(22)의 외주면(22c)(도 5)의 직경 보다 작다. 가상 원의 직경(50h)은 외주면(22c)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또한 고정 부품(50)은 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 부품(50)이 하우징(22) 위로 슬라이딩된 후에는, 종방향 영역(50a, 50a')은 지지 방향(54)에 대해 횡으로 하우징(22)에 대해 탄성적으로 고정된다. 이것은 본 실시예에서도 하우징(22)과 고정 부품(50) 사이의 확실한 전기 접촉을 제공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지지 부품(44)에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고 있는 홈(44e)이 있다. 상응하게 지지 부품(44')도 홈(44e')을 갖고 있다. 고정 부품(50)을 하우징(22) 위로 슬라이딩된 후, 고정 부품(50)을 약간 회전시킴으로써 횡방향 영역(50b)은 홈(44e) 내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횡방향 영역(50b')도 홈(44e') 내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 부품(50)은 지지 방향(54)으로 비교적 치수가 크기 때문에, 고정 부품(50)은 지지 방향(54)으로 상당한 강성을 갖고 따라서 유닛(20)을 지지 방향(54)으로 양호하고 강성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고정 부품(50)은 지지 방향(54)에 대해 횡으로는 비교적 얇은 재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방향 영역(50a, 50a')은 지지 방향(54)에 대해 횡으로는 비교적 양호하게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고, 따라서 고정 부품(50)은 하우징(22) 위로 용이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고정 부품(50)에는,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영역(50a, 50a')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벌지(bulge)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벌지에 의해 고정 부품(50)에는 맞물림 위치(50k, 50k')가 생긴다(도 6). 이 맞물림 위치(50k, 50k')에 공구가 용이하게 놓일 수 있으므로 아무 문제 없이 종방향 영역들(50a, 50a')을 서로 떨어지도록 약간 끌어당기고, 그럼으로써 고정 부품(50)이 하우징(22)의 외주면(22c)위에 용이하게 배치되게 할 수 있다.
맞물림 위치(50k, 50k')를 당길 때에(도 6) 두 횡방향 영역(50b, 50b') 사이의 거리가 짧아져, 고정 부품(50)은 상기한 비틀림 없이 축방향으로 유닛(20)의 하우징 부재(22a) 위로 융기부(38)의 단부면(38a)에 도달할 때까지 슬라이딩될 수 있다(도 5). 맞물림 위치(50k, 50k')의 해제 후에 맞물림 위치(50k, 50k')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유닛(20)의 외주면(22c)에 대해 구부러진다. 그래서 고정 부품(50)의 횡방향 영역(50b, 50b')도 반경 방향 외측으로 구부러지고 그리하여 지지 부품(44, 44')의 홈(44e, 44e') 내에 견고하게 맞물린다. 이것은 비틀림 없이 고정 부품(50)이 간단히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 및 6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스탬핑에 의해 접속부(60)용 플랫 플러그 접점(60a)이 고정 부품(50)에, 재료를 추가할 필요 없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지지 부품(44)에서 도 1에 도시된 탄성 영역(44c)이 생략될 수 있다.
도 7은 특히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지지 부품(44)에 단부면측 숄더(8)를 향한 지지면(44f)이 배치되어 있다. 지지 부품(44')은 대응하는 지지면(44f')을 갖고 있다. 평강으로 구성된 고정 부품(50)은 유닛(20)이 본체(2)에 설치된 후 유닛(20)의 단부면(38a)과 지지 부품(44, 44')의 지지면(44f, 44f') 사이에 삽입된다. 고정 부품(50)의 삽입 후에 밴드 재료의 단부들은 호스 클램프에서 흔히 행해지는 것처럼 함께 접합된다. 그럼으로써 유닛(20)은 휘어짐 없이 또한 확실하게 본체(2)에 지지되고, 동시에 지지 방향(54)에 대해 횡으로 탄성으로 인해 그리고 종방향 영역(50a) 및/또는 종방향 영역(50a')이 지지 방향(54)에 대해 횡으로의 하우징(22)에 대해 탄성적으로 가압됨으로써 하우징(22)과 고정 부품(50) 사이의 양호한 전기 접촉이 보장된다.
고정 부품(50)에 의한 유닛(20)의 전기 접촉으로 인해, 유닛(20)을 일정 전위에 접속시킬 수 있기 위해 유닛(20)에 어떤 변경 조치도 행할 필요가 없다.
고정 부품(50)이 지지 방향(54)에 대해 횡으로 양호한 탄성을 가짐으로써 유닛(20)에서의 치수 공차가 큰 경우에도 유닛(20)과 고정 부품(50) 사이의 양호한 전기 접촉이 보장된다.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유닛(20)의 외주면(22c)은 원통형이다. 그러나 예컨대 외주면(22c)이 원추대형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종방향 영역들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 영역의 탄성에 의한 예비 응력의 방향은 적절하게 조정되므로, 탄성 영역이 지지 방향(54)에 대해 예컨대 60° 내지 90°의 각도로 유닛에 대해 탄성적으로 예비 응력을 받는다.
고정 부품(50)은 유닛(20)을 본체(2)에 지지시킨다. 여기에 제안된 고정 장치의 경우에는, 지지 방향(54)에 대해 횡으로 적어도 하나의 탄성 영역(50a, 50a')의 탄성적 예비 응력에 의해, 유닛(20)과 고정 부품(50) 사이의 확실한 전기 접속이 보장된다. 그럼으로써 고정 부품(50)을 통해 유닛(20)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일정 전위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고정 장치는 특히 자동차의 내연기관의 연료 공급 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Claims (7)

  1. 본체(2)에 대해 유닛(20)을 지지방향(54)으로 지지하는, 전기 접속부(60)를 갖는 고정부품(50)을 포함하는, 연료 공급 장치의 상기 본체(2)에 상기 유닛(20)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탄성 영역(50a, 50a')이 상기 고정 부품(50)에 제공되고, 상기 탄성 영역은 상기 지지방향(54)에 대해 횡으로 상기 유닛(20, 22c)에 대해 탄성적으로 예비 응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의 본체에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60)는 도체(62)의 접속을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의 본체에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60)는 상기 고정 부품(50)에 형성된 플랫 플러그 접점(60a)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의 본체에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품(50)은 탄성 영역(50a, 50a')에 있어 지지 방향(54)으로 보다 지지 방향(54)에 대해 횡방향으로 더 얇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의 본체에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에는 상기 고정 부품(50) 뒤로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지지 부품(44, 44')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의 본체에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품(44, 44')은 지지 방향(54)에 대해 횡방향으로 탄성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의 본체에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품(50)에는 이 고정 부품(50)으로부터 지지 부품(44, 44')의 분리를 방지하는 하나이상의 록킹 부품(52, 52', 52a, 52a')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의 본체에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
KR1019997000978A 1997-06-07 1998-02-25 연료 공급 장치의 본체에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 KR1005617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24165A DE19724165A1 (de) 1997-06-07 1997-06-07 Befestigungsanordnung zum Halten eines Aggregats an einem Körper einer Kraftstoffversorgungsanlage
DE19724165.4 1997-06-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065A KR20000068065A (ko) 2000-11-25
KR100561790B1 true KR100561790B1 (ko) 2006-03-21

Family

ID=7831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0978A KR100561790B1 (ko) 1997-06-07 1998-02-25 연료 공급 장치의 본체에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283772B1 (ko)
EP (1) EP0918929B1 (ko)
JP (1) JP2000517024A (ko)
KR (1) KR100561790B1 (ko)
BR (1) BR9806042A (ko)
DE (2) DE19724165A1 (ko)
ES (1) ES2224371T3 (ko)
WO (1) WO19980570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15258C1 (de) * 1999-04-03 2000-12-07 Bosch Gmbh Robert Gehäuse für eine mit einem Elektromotor angetriebene Förderpumpe
DE19928631A1 (de) * 1999-06-23 2000-12-28 Mannesmann Vdo Ag Gehäuse für eine Lastverstellvorrichtung
JP3828701B2 (ja) * 1999-12-29 2006-10-04 株式会社ケーヒン 燃料分配管への燃料噴射弁の取付け構造
DE10003603A1 (de) 2000-01-28 2001-08-02 Volkswagen Ag Brennkraftmaschine mit Einspritzventilen
DE10009592A1 (de) * 2000-02-29 2001-08-30 Bosch Gmbh Robert Druckventil
FR2812065B1 (fr) * 2000-07-24 2003-08-01 Caillau Ets Embout de connexion rapide
US6457456B1 (en) * 2000-07-28 2002-10-01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Clip for injector to fuel supply assembly
ITTO20001229A1 (it) * 2000-12-29 2002-06-29 Fiat Ricerche Sistema di montaggio di un iniettore di combustibile per un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US7278401B1 (en) 2004-10-29 2007-10-09 Walbro Engine Management, L.L.C. Fuel pressure regulator housing
DE102006019306A1 (de) * 2006-04-26 2007-10-31 Robert Bosch Gmbh Rastpratze
DE102007026670A1 (de) 2007-06-08 2008-12-11 Robert Bosch Gmbh Halteelement zum Halten eines Aggregates in einer Halterung und Befestigungsanordnung
EP2388469B1 (en) * 2010-05-18 2013-03-13 Continental Automotive GmbH Fuel cup
DE102010034411B4 (de) * 2010-08-14 2018-10-11 Audi Ag Brennkraftmaschine mit Einspritzventil
US10001095B2 (en) * 2013-03-12 2018-06-19 Walbro Llc Retainer with grounding feature for fuel system component
DE102014200603A1 (de) * 2014-01-15 2015-07-16 Robert Bosch Gmbh Brennstoffeinspritzanlage mit einer Brennstoff führenden Komponente, einem Brennstoffeinspritzventil und einem Verbinder
US9982640B2 (en) * 2014-08-27 2018-05-29 Robert Bosch Gmbh Fuel pump module with replaceable filter unit
JP2018127962A (ja) * 2017-02-09 2018-08-16 愛三工業株式会社 燃料系部品の取り付け構造
EP3578801B1 (en) * 2018-06-06 2021-11-10 Delphi Technologies IP Limited Fuel pump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9825A (en) * 1975-12-17 1976-12-28 De Laval Turbine Inc. Tubing coupling with electrical bonding
US4107452A (en) * 1976-10-14 1978-08-15 Razvi Masood H Electrically conductive pipe fitting
US4367718A (en) * 1980-10-20 1983-01-11 Jacob Heine Fuel preheating device
JPH03209088A (ja) * 1990-01-11 1991-09-12 Kyukichi Sugiyama ねじなしカップリング用気密内筒体及びねじなしカップリング
DE4007436C2 (de) * 1990-03-09 1996-07-1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Befestigungsanordnung für einen Druckregler an einer Kraftstoffversorgungsanlage
US5070844A (en) * 1990-07-23 1991-12-10 Siemens Automotive L.P. Composite fuel rail socket for bottom- and side-feed fuel injectors
US5092300A (en) * 1991-01-31 1992-03-03 Siemens Automotive L.P. Plastic fuel rail end joint
US5146896A (en) * 1991-07-25 1992-09-15 Siemens Automotive L.P. Mounting fuel injection system components on a fuel rail
US5281761A (en) * 1992-02-25 1994-01-25 Burndy Corporation Grounding pipe/water pipe with compression connectors
EP0704034B1 (en) * 1993-06-15 1997-05-14 Imi Marston Limited Connectors
DE19712155A1 (de) * 1997-03-22 1998-09-24 Bosch Gmbh Robert Kraftstoffversorgungsanl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57061A1 (de) 1998-12-17
DE59811630D1 (de) 2004-08-05
EP0918929A1 (de) 1999-06-02
US6283772B1 (en) 2001-09-04
EP0918929B1 (de) 2004-06-30
DE19724165A1 (de) 1998-12-10
ES2224371T3 (es) 2005-03-01
BR9806042A (pt) 1999-08-24
JP2000517024A (ja) 2000-12-19
KR20000068065A (ko) 200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1790B1 (ko) 연료 공급 장치의 본체에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
US6435163B1 (en) Fuel supply device
US20060124110A1 (en) Connection of two coaxially in-line elements in a fuel supply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511527A (en) Fuel rail assembly with crossover hose
US5479900A (en) Device for attaching and securing a valve
US5724946A (en) Fuel rail and injector assembly
US5226391A (en) Electrically actuatable fuel injection valve
EP1304477B1 (en) Multi-point fuel injection module
US6840227B2 (en) Fastening device for a fuel injection valve
JP3834797B2 (ja) インタンク式燃料ポンプ装置
US4922880A (en) Fuel injec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3956533B2 (ja) 燃料濾過装置
JP4291273B2 (ja) 支持エレメント
US5630722A (en) Ignition cable connection fitting
US6098903A (en) Fuel injector with solenoid and terminal assemblies
JP4135189B2 (ja) インタンク式燃料ポンプ装置
US6012418A (en) Distributor device for fuel injection systems
US9553440B2 (en) Wire seal assembly
US7225777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mprising a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a first section of a wire harness on a cylinder head housing to a second section of the same
WO2023068222A1 (ja) 燃料噴射弁の支持構造
US20220282796A1 (en) Valve Unit, Filter Head for a Valve Unit, and Filter System
CN110959069B (zh) 燃料喷射阀
US20190139700A1 (en)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00186194A1 (en) Holding element for holding an assembly in a holder, and fastening arrangement
JPH0913987A (ja) インタンク式燃料ポ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