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4854A - 어댑티브어레이송수신기 - Google Patents

어댑티브어레이송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4854A
KR20000064854A KR1019980707940A KR19980707940A KR20000064854A KR 20000064854 A KR20000064854 A KR 20000064854A KR 1019980707940 A KR1019980707940 A KR 1019980707940A KR 19980707940 A KR19980707940 A KR 19980707940A KR 20000064854 A KR20000064854 A KR 20000064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ssion
feedback
complex
base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7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2836B1 (ko
Inventor
가즈히코 후카와
Original Assignee
다치카와 게이지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치카와 게이지,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filed Critical 다치카와 게이지
Publication of KR20000064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4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8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05Control of transmission; Equali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2605Array of radiating elements provided with a feedback control over the element weights, e.g. adaptive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2605Array of radiating elements provided with a feedback control over the element weights, e.g. adaptive arrays
    • H01Q3/2611Means for null steering; Adaptive interference nu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45Weighted combining per branch equalization, e.g. by an FIR-filter or RAKE receiver per antenna bran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48Joint weighting
    • H04B7/0857Joint weighting using maximum ratio combining techniques, e.g. signal-to- interference ratio [SIR], received signal strenght indication [R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복수의 안테나(111내지 11Q)로부터의 수신 기저대역신호에 대하여, 가중값을 승산하여 선형합성되고, 판정신호를 1기호지연시켜, 이에 귀환형필터계수(wb *)를 승산하여, 부호간 간섭을 생성하고, 이것을 선형합성출력 y(i)에서 공제하고, 그 출력을 부호판정하여 출력하고, 판정기(17)의 입력과 판정신호와의 차의 오차신호(e(i))를 얻어, 이 오차신호(e(i))의 2승이 최소로 되도록 가중값계수(w1 *내지 wQ *) 및 귀환형 필터계수(wb *)를 파라미터 추정부(71)에서 추정한다. 송신측에서는 송신신호를 1T지연시켜 wb *을 승산하고, 부호간 간섭을 송신신호로부터 감산하여 변형을 부여하고 그 출력에 w1 *내지 w4 *를 각각 승산하여 안테나 111내지 114에의 송신 기저대역을 만든다.

Description

어댑티브 어레이 송수신기
디지털 이동통신에 있어서, 주파수의 유효한 이용을 도모하기위해 주파수 영역을 재사용하고 있고, 동일채널간섭에 대한 대책이 중요한 과제의 하나이다. 간섭제거기의 일종인 어댑티브 어레이가 유망한 기술의 하나이고, 상향 회선에 있어서 기지국 수신을 예로, 그 동작을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어댑티브 어레이에 의하면, 어레이 안테나(11)를 구성하는 복수의 안테나로부터의 수신신호의 위상, 진폭을 제어하여 합성함으로써, 전체 어레이 안테나의 지향성(10)을 적응 제어하여 간섭신호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기지국(BS)이 이동국(M1)으로부터의 송신파를 수신하는 경우는 간섭국으로되는 이동국(M2 및 M3)으로부터의 수신파를 억제하기 위하여, 이동국(M2 및 M3)의 방향에 대하여 어레이안테나(11)의 안테나 이득을 내려 수신되는 간섭을 억제하고, 이동국(M1) 방향의 안테나 이득을 높게하여 희망 신호가 충분히 큰 레벨로 수신되도록 하고 있다.
도 2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에 있어서 프레임 구성을 도시한다. TDD 방식에서는,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예를들면 이동국(M1,M2,M3)이 동일주파수의 반송파를 시분할로 사용하고, 게다가 각 이동국이 사용하는 상향 회선(업링크)(UL)과 하향 회선(다운링크)(DL)의 반송 주파수도 같다. 따라서, 예를들면 이동국(M1)은 도2행 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주어진 타임슬롯의 상향 회선(UL)에서 버스트 상으로 신호를 기지국에 송신하고, 하향 회선(DL)에서 버스트 형태로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한다. 각 버스트 신호는 훈련 신호(TR)와 거기에 계속하는 데이터신호(DATA)로 구성되고, 상 버스트신호와 하 버스트신호는 보호시간(TG)을 사이에 끼고 인접하고있다. 따라서, 전송로의 충격 응답이 상하 버스트 사이에 급격히 변동하지 않으면 상향 회선과 하향 회선의 전송로 충격 응답은 거의 같다고 간주된다. 보호시간(TG)은 전송로의 비교적 긴 전송로 지연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이와같이, TDD 방식과 같이 상향 회선과 하향 회선에서 동일한 반송 주파수를 사용하는 방식에서는, 인접하는 상 버스트신호와 하 버스트신호는 거의 같은 전송로로 전파된다고 간주되므로, 상향 회선과 하향 회선의 전송로의 충격 응답도 같다고 간주된다. 따라서, 상향 회선에서 얻어진 수신안테나 이득의 패턴을 하향 회선의 송신안테나 패턴으로서 사용하면 하향 회선의 이동국에 있어서 수신간섭을 저감할 수 있다. 이 사실을 도 1로 설명하면, 수신안테나 이득이 송신안테나 패턴(10)으로서 사용되면, 이동국(M2 및 M3)의 방향으로 전파가 송신되지않고 이동국(M1)의 방향으로 송신파가 송신되므로, 이동국(M2 및 M3)에 있어서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송신방식을 사용한 어댑티브 어레이 송수신기가 예를 들면 도미사토 시게루, 마츠모도 다다시에 의한 "TDD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어댑티브 어레이 송수어레이의 효과", B-5-87, 1997년 전자정보통신학회 총합대회에 표시되어 있고, 그의 구성을 다소 보충하여 도 3에 도시한다. 더구나, 도 3에 있어서는 수신 기저대역 신호의 샘플링주기(TS)는 변조의 기호주기(T)와 같다고 한다.
어레이 안테나(11)를 구성하는 Q(Q는 2이상의 정수)개의 송수신 공용안테나(111내지 11Q)로부터 송수전환기(121내지 12Q)를 지난 수신파는, 각각 대응하는 기저대역 수신신호발생기(131내지 13Q)에서 기저대역대로 변환되어, 수신 기저대역 신호로서 출력단자(141내지 14Q)로부터 출력된다. 여기서 기저대역 수신신호는 동위상 성분과 직교성분을 갖는 신호이고, 도면의 기저대역 수신신호발생기(131내지 13Q)는 수신부(13)를 구성하고 있다. 이후, 모든 기저대역신호는 동위상 성분을 실수부, 직교성분을 허수부로 하는 복소수 표시로 나타낸다. 송수신 공용안테나(111내지 11Q)로부터 고주파수신신호에 대응하는 기저대역 수신신호(x1(i) 내지 xQ(i))는, 복소수 승산기(151내지 15Q)에서 각각 가중계수(w1 *내지 wQ *)에 의해 승산된 후, 그 승산기 출력은 복소수 가산기(16)에 의해 함께 가산되어 합성신호(y(i)로서 출력된다. 이 가중계수(w1 *내지 wQ *)를 적응 제어하는 것으로 어레이 안테나(11)의 수신안테나 이득의 지향성을 제어할 수 있고, 따라서 간섭신호를 억제하도록 합성신호(y(i))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복소수 승산기(151내지 15Q)와 복소수 가산기(16)는 선형합성부(20)를 구성하고 있다. 판정기(17)는 합성신호(y(i))를 정확히 판정하여 판정신호를 출력단자(18)로부터 출력한다.
파라미터 추정의 초기수렴을 위하여 기지의 훈련신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수신신호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훈련신호후에 데이터 신호가 계속하여 버스트 구성으로 송신된다. 스위치회로(19)는, 훈련신호 구간에서는 훈련신호 메모리(21)가 출력하는 훈련신호를, 계속하는 데이터신호구간에서는 판정신호를 출력한다. 복소수 감산기(22)는, 스위치회로(19)의 출력과 복소수 가산기(16)로 부터의 합성신호와의 차분을 오차신호(e(i))로서 출력한다. 여기서, 판정기(17), 스위치회로(19), 훈련신호 메모리(21)와 복소수 감산기(22)는 신호판정부(24)를 구성하고있다. 파라미터 추정부(23)는, 기저대역 수신신호(x1(i) 내지 xQ(i))과 오차신호(e(i))를 입력으로하여 오차신호(e(i))의 2승평균이 최소로 되도록 최소 2승법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가중계수(w1 *내지 wQ *)를 추정한다.
한편, 송신신호는 입력단자(25)로부터 입력하고 하이브리드(26)를 통하여, 복소수 승산기(271내지 27Q)로 입력된다. 복소수 승산기(271내지 27Q)에서는, 송신신호에 상기 가중계수(w1 *내지 wQ *)를 각각 승산한다. 이는, 송신안테나 패턴을 수신안테나 패턴에 일치시키는 것과 등가인 조작이다. 여기서 하이브리드(26)와 복소수 승산기(271내지 27Q)는 송신기저대역 생성부(30)를 구성하고있다. 복소수 승산기(271내지 27Q)의 Q개의 출력신호는, 송신 기저대역신호로서 RF변조파발생기(281내지 28Q)로 각각 RF 주파수대로 변환되고, 송수전환기(121내지 12Q)를 거쳐 대응하는 송수신 공용안테나(111내지 11Q)로부터 송신된다. 여기서, RF 변조파발생기(281내지 28Q)는 송신부(28)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의 기저대역 수신신호발생기(131내지 13Q)와 RF변조파발생기(181내지 18Q)는, 반송파 신호 발생기(29)가 출력하는 반송파 신호에 의하여, 주파수 하향 변환 및 상향 변환을 행한다. 도 4에 기저대역 수신신호발생기(13q(q=1,…, Q))의 구성을 도시한다. 입력단자(31q)를 통해 입력되는 수신신호는 저잡음 앰프(32)로 증폭된 후에 하이브리드(33)에 의해 분기된다. 그 하나의 신호는, 입력단자(34)로부터 반송파 신호를 승산기(35)로 승산된 후에, 저역통과 필터(36)로 입력되고, 그후, A/D 변환기(37)에 의해 샘플링주기(TS)마다 샘플링되어 디지털신호로 변환된다. 하이브리드(33)로부터의 다른편의 신호는 이상기(38)로 90도 위상 회전한 반송파 신호에 의해 승산기(39)에서 승산되어, 저역통과 필터(41)로 입력된 후에 A/D 변환기(42)로 샘플링되어 디지털신호로 변환된다. 이 조작은 준동기검파이고, A/D 변환기(37 및 42)의 출력은 검파신호의 동위상 성분 및 직교성분에 상당하고, 2개를 합하여 수신 기저대역신호(Xq)로서 출력단자(14q)로부터 출력되어, 도 3의 승산기(15q)에 공급된다.
다음에 도 5에 RF 변조파발생기(28q)(q=1,…,Q)의 구성을 도시한다. 입력단자(44q)로부터 송신된 기저대역신호(vq)가 입력된다. 송신기저대역신호(vq)의 동위상 성분은 승산기(45)에서 입력단자(34)로부터의 반송파 신호가 승산된다. 한편 직교성분은 이상기(46)에서 90도 위상회전한 반송파 신호가 승산기(47)에 의하여 승산된다. 승산기(45 및 47)의 출력은 가산기(48)에서 합성된후, 송신앰프(49)에서 증폭되고, 출력단자(51q)로부터 출력되고, 도 3의 송수전환기(12q)를 경유하여 안테나(11q)로 공급된다.
그런데, 도 3에 도시한 어댑티브 어레이 송수신기에서는, 지연파의 지연시간이 변조의 기호주기(T)의 0.2배보다 길게되면 부호간 간섭을 무시할 수 없게 된다. 그와같은 지연파가 도래하는 경우, 즉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 조건에 있어서, 희망국으로부터의 지연파는 간섭신호로서 제거되므로, 희망국으로부터의 전파가 유효하게 수신되지 않는다. 게다가, 안테나의 수를 Q로 하고, 희망 신호의 지연파도 포함하여 간섭신호의 수를 Q이상으로하면, Q-1까지의 간섭신호 밖에 제거할 수 없으므로, 희망 신호의 지연파를 제거하는 몫, 다른 간섭국으로부터의 전파를 제거할 수 없게 되어, 수신전송특성이 열화된다. 또 어댑티브 어레이 송수신기의 송신파를 수신하는 이동국은, 지연파에 의한 부호간 간섭의 열화를 억제하기 때문에, 수신기에 등화기의 기능을 부가하여야하고, 이동국의 수신기의 하드웨어규모는 방대한 것으로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어댑티브 어레이 송수신기에서는, 주파수선택성 페이딩 조건에서, 희망국으로부터의 전파를 유효하게 수신할 수 없게, 타국으로부터의 간섭신호를 제거할 수 없으므로 수신 전송 특성이 열화되고, 게다가, 송신파를 수신하는 이동국의 수신기에 등화기의 기능이 필요하게 되고, 하드웨어화가 곤란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 조건의 경우에도 수신전송특성이 열화되지 않고, 동시에 이동국의 수신기에 등화기의 기능을 필요로 하지않는 어댑티브 어레이 송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무선통신에 있어서의 간섭신호 및 부호간 간섭에 의한 열화를 억제하는 어댑티브 어레이 송수신기에 관한 것이고, 특히, 상향 회선과 하향 회선에서 동일 반송주파수를 사용하는 TDD방식에 있어서 어댑티브 어레이 송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기지국에 있어서 종래의 어댑티브 어레이의 안테나 지향특성과 기지국 및 이동국위치의 관계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TDD에 있어서 버스트 신호의 프레임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종래의 어댑티브 어레이 송수신기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 기저대역 수신신호발생기(13)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도 3에 있어서 RF 변조파 발생기(28)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기능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2)의 어댑티브 어레이 등화수신부의 기능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도 7에 있어서 비터비 알고리즘에 의한 격자 구조의 도.
도 9는 도 7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하는 기능구성의 블록도.
도 10은 도 7의 다른 변형실시예를 도시하는 기능구성의 블록도.
도 11은 도 6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하는 기능구성의 블록도.
도 12는 도 7의 다시 다른 변형실시예를 도시하는 기능구성의 블록도.
도 13은 승산기로서 횡파필터를 사용한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 횡파필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5는 분수간격형 횡파필터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6A는 훈련 신호 구간에 있어서 복소수 승산기(77)에 부여하는 이득제어신호를 도시하는 파형도.
도 16B는 도 16A의 이득제어신호에 의하여 펄스화된 송신변형신호(b(i))의 파형도.
TDD 방식을 사용하는 본 발명에 의한 어댑티브 어레이 송수신기는:
Q(Q는 2이상)개의 송수신 공용안테나로부터의 수신파를 기저대역으로 변환하고 수신 기저대역 신호를 출력하는 수신수단,
상기 수신 기저대역신호에 대하여 각각 가중 계수에 의하여 가중을 행하고, 그로인하여 얻어진 가중된 수신 기저대역신호를 보태어 합하여서 합성신호를 생성하는 선형합성수단,
귀환 복소수 기호신호와 귀환용필터계수를 중첩하고, 그로서 얻어진 연산결과를 귀환신호로서 출력하는 귀환형 필터수단,
상기 합성신호와 상기 귀환신호를 입력으로서 신호판정을 행하고 판정신호를 출력하고, 게다가 그 신호판정에 동반하는 오차신호와 상기 귀환 복소수 기호신호와 파라미터추정용 복소수 기호를 출력하는 신호판정수단,
상기 수신기저대역 신호와 상기 파라미터추정용 복소수 기호신호와 상기 오차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오차신호의 2승평균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가중계수와 상기 귀환형 필터계수를 추정하고 출력하는 파라미터 추정수단,
상기 귀환형필터계수를 지연한 송신변형신호와 중첩하여 추정전송로 변형을 얻고, 송신신호로부터 상기 추정전송로 변형을 감산하고, 그 감산결과를 상기 송신변형신호로서 생성하는 송신변형수단,
상기 송신변형신호와 상기 가중계수와의 가중연산을 행하고, Q개의 송신 기저대역신호를 생성하는 송신기저대역 생성수단, 및
상기 송신 기저대역신호를 RF주파수로 변환하여 대응하는 상기 송수신 공용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신호판정수단은, 합성신호를 정확히 판정하는 판정귀환을 행하는 것도 좋고, 중복 신호와의 차분을 오차신호로서, 이 오차신호를 기초로 최대 개연성 순차 추정에 의하여 신호판정을 행하는 최대 개연성 추정을 행하는 것도 좋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1)의 구성을 도 6에 도시한다. 다만, 어레이 안테나(1), 송수전환부(12), 기저대역 수신신호발생부(13), 및 RF 변조파발생부(28)의 구성은 도 3에 있어서의 것과 동일하므로, 도면에는 블록만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샘플링주기(TS)는 기호주기(T)와 같고, 희망 신호의 지연파의 최대지연시간을 1T로 한다. 단자(141내지 14Q)로부터 수신 기저대역신호(x1(i) 내지 xQ(i))가 입력된다. 송수신 공용안테나(111∼11Q)로부터의 고주파수신신호에 대응하는 수신 기저대역신호(x1(i) 내지 xQ(i))는, 복소수 승산기(151내지 15Q)에서 가중계수(w1 *내지 wQ *)에 의해 각각 승산된후, 복소수 가산기(16)에 의해 서로 가산되고, 합성신호(y(i))로서 출력된다. 이 가중계수(w1 *내지 wQ *)를 적응 제어하는 것으로 수신안테나 이득의 지향성을 제어할 수 있고, 간섭신호를 억제하도록 합성신호(y(i))가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소수 승산기(151내지 15Q)와 복소수 가산기(16)는 선형합성부(20)를 구성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파라미터 추정의 초기수렴을 위하여 스위치 회로(19)가, 훈련신호구간에서는 훈련 신호메모리(21)로부터 판독된 주지의 훈련신호를 감산기(22)에 부여하고, 합성신호와의 오차신호(e(i))를 얻는다. 이 오차신호에 의거하여, 후술하는 바와같이 파라미터 추정부(71)는 전송로의 충격응답(귀환형 필터계수(wb *)에 대응) 및 가중계수(w1 *내지 wQ *)를 추정한다. 훈련신호에 계속하는 데이터신호구간에서 스위치회로(19)는 판정기(17)가 출력하는 판정신호를 감산기(22)에 부여하여 합성신호와 비교하고, 그들 사이의 오차(e(i))에 의거하여 파라미터 추정회로(71)는 귀환형필터계수(wb *)와 가중계수(w1 *내지 wQ *)를 적응되게 갱신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스위치회로(19)의 출력인 복소수 기호신호(aR(i))를 지연소자(62)로 1T 지연시켜, 복소수 승산기(63)에서 귀환형 필터계수(wb *)를 중첩하고(승산)하고, 귀환신호로서 출력한다. 귀환신호는 지연파에 의한 부호간 간섭을 추정한 것이고, 복소수 승산기(63)는 귀환형 필터부(64)로 구성된다. 복소수 감산기(65)는 부호간 간섭을 제거하기 위하여 합성신호(y(i))로부터 귀환신호를 추출하여 부호간 간섭제거신호를 생성하고, 판정기(17)에 부여한다. 판정기(17)는 신호를 정확히 판정하여 판정신호를 출력단자(18)로부터 출력한다. 복소수 감산기(22)는, 부호간 간섭 제거신호와, 판정신호인 스위치회로(19)의 출력(aR(i))와의 차분을 오차신호(e(i))로서 출력하고, 파라미터 추정부(71)에 부여한다. 지연소자(62), 복소수 감산기(22 및 65), 판정기(17), 스위치회로(19)와 훈련신호 메모리(21)는 신호판정부(67)를 구성하고, 신호판정부(67)와 귀환형 필터부(64)는 판정 귀환형의 등화기(66)를 구성하고 있다. 또 선형합성부(20)와 등화기(66)를 합하여 어댑티브 어레이 등화수신부(60)라고 불릴 것이다.
파라미터 추정부(71)는, 수신기저대역 신호(x1(i) 내지 xQ(i)), 지연된 판정신호인 지연소자출력(aR(i-1)), 및 오차신호(e(i))를 입력으로 하여, 오차신호(e(i))의 평균 2승이 최소로 되도록 최소 2승법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가중계수(w1 *내지 wQ *)와 귀환형 필터계수(wb *)를 추정하고 출력한다.
상기 신호판정부(67)에서는 지연파에 의한 부호간 간섭을 제거하고 있으므로, 상기 선형합성부(20)에 있어서 희망 신호의 지연파는 제거되어 있지 않다. 선형합성부(20)에 있어서는, 안테나의 수를 Q라 하면 Q-1까지의 간섭신호 밖에 제거할 수 없으므로 희망 신호의 지연파를 제거하지 않고 끝나는 몫, 기타의 간섭국으로부터의 전파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종래의 것은, 신호판정부(24)에 있어서 합성신호로부터 부호간 간섭을 제거하는 구성으로 되지 않고, 파라미터 추정부(23)에 있어서 적응알고리즘에 의하여 도리어 희망국으로부터의 지연파 성분은 간섭신호로 간주되어, 선형합성부(20)에 의한 가중계수(w1 *내지 wQ *)를 제어하는 것으로 제거되어 버리므로, 그 몫 만큼, 다른 간섭국에서 제거할 수 있는 간섭신호의 수가 감소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편이보다 다른 간섭국으로부터의 전파를 제거할 수 있는 몫, 수신전송특성이 개선된다.
다음에 도 6의 송신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TDD방식에서 상향 회선과 하향 회선은 동일 반송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기때문에, 상향 회선, 하향 회선의 전송로는 대략 같다고 간주할 수 있다. 그래서, 송신측에서는, 수신측에서 상향 회선 신호의 최후의 기호를 수신하였을때에 산출한 귀환형필터계수(wb *)를 복소 승산기(74)에서 그대로 사용하고, 예측되는 부호간 간섭에 의한 전송로 변형을 생성하고, 그 전송로 변형을 송신하여야할 기저대역(aT(i))으로부터 미리 감산기(75)로 감산하는, 즉 선 부호화를 행한다. 게다가, 계수(wb *)를 그대로 사용하여 송신기저대역 생성부(30)에 대하여 사용함으로써, 어레이 안테나(11)의 수신안테나 패턴과 같은 안테나패턴을 송신시에 설정한다. 즉, 송신변형신호(b(i))는 지연소자(73)로 1T 지연된후, 복소수 승산기(74)에서 귀환형필터계수(wb *)에 의해 승산된다. 복소수 감산기(75)에서는, 입력단자(25)를 통해 입력되는 송신복소수 기호신호(aT(i))로부터, 이 승산결과를 뺀다. 송신변형신호(복소수 기호신호)(b(i))의 I축 및 Q축에 있어서 신호점의 수를 M이라 하면 모듈로 연산부(72)는 그 감산결과 {aT(i)-(wb *b(i-1)}에 대하여 모듈로 2M 연산을 행한다. 즉 다음식
b(i) = {aT(i)-wb *b(i-1)} mod 2M (1)
를 연산하며, 복소수 감산기(75)의 감산결과의 실수부 또는 허수부가 -M∼+M의 영역외에 있는 경우, 그 실수부 또는 허수부에 대하여 2M의 정수배를 감산 또는 가산하는 것으로 되고, -M∼+M의 영역내로 시프트될 수 있다. QPSK 변조의 경우, M=2이다. 이 처리는, 송신변형신호(b(i))가 지연소자(73), 및 복소수 승산기(74)를 경유하여 복소수 감산기(75)로 귀환됨으로써, 전송로의 상태에 의하여 귀환루프가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게다가, 이동국의 수신기는 이 모듈로 연산을 고려하여 신호판정을 할 필요가 있다. 이와같은 모듈로 연산에 의한 발산방지는, 예를들면 하라시마 등의 "부호간 간섭있는 전송로에 대한 정합전송기술"이 미국 전기전자 통신학회 번역문인 1972년 8월 통신-20 권 페이지 774-780에 표시되어 있지 않다.
식(1)에 의하여 얻어진 신호를 새로운 송신변형신호(b(i))라 한다. 여기서, 복소수 감산기(75), 모듈로 연산기(72), 지연소자(73) 및 복소수 승산기(74)는 송신변형부(76)를 구성하고 있다. 승산기(77, 78)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이득(GO=G1=1)을 승산하기로 한다.(즉, 이 실시예에서는 생략하여도 좋다). 이와같이 송신신호를 선 부호화하는 목적은, 이 송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단에 있어서, 지연파에 의한 부호간 간섭을 받지않는 수신파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고, 전송로에서 수신할 것이라고 생각되는 부호간 간섭에 상당하는 변형분을 송신신호(aT(i))에서 감산함으로써, 수신단에서 그 변형이 취소되도록 한다.
송신변형부(76)의 출력신호인 송신변형신호(b(i))는 송신필터부(79)에 있어서 소정의 대역으로 제한된 다음 하이브리드(26)를 경유하여 복소수 승산기(271내지 28Q)로 입력된다. 복소수 승산기(271내지 27Q)에서는, 대역이 제한된 송신변형신호(b(i))에 상기 가중계수(w1 *내지 wQ *)를 승산한다. 이것은, 송신안테나 패턴을 수신안테나 패턴에 일치시키는 것과 등가인 조작이다. 복소수 승산기(271내지 27Q)의 Q개의 출력신호는, 송신기저대역 신호로서, 출력단자(441내지 44Q)로부터 RF 변조파 발생부(28), 송수전환기(12)를 경유하여 어레이 안테나(11)에 공급된다. 여기서, 송신필터부(79), 하이브리드(26)와 복소수 승산기(271내지 27Q)는 송신기저대역 생성부(30)를 구성하고, 송신변형부(76)와 송신기저대역 생성부(30)는 송신어레이 선 부호화부(70)를 구성하고 있다.
송신변형신호(b(i))를 송신하면, 수신단에 있어서 수신파가 부호간 간섭을 받지않는것은 이미 설명하였다. 다음에 이것을 식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선형합성부(20)의 출력신호인 합성신호(y(i))는, 스위치회로(19)의 출력(aR(i)), 귀환형필터계수(wb *) 및 오차신호(e(i))를 사용하여 표시하면
y(i) = aR(i)+wb *aR(i-1)+ e(i) (2)
로 된다. y(i)의 z 변환을 Y(z-1), aR(i)의 z변환을 AR(z-1), 및 e(i)의 z변환을 E(z-1)로 하여, 식(2)를 z변환으로 표시하면,
Y(z-1)=(1+ wb *z-1) AR(z-1)+ E(z-1) (3)
로 된다. 따라서, 전송로 충격 응답의 z변환을 H(z-1)로 하면,
H(z-1)= (1+ wb *z-1) (4)
로 된다. 다음에, 송신변형신호(b(i))를 송신신호(aT(i)와 귀환형필터계수(wb *)를 사용하여 표시하면,
b(i) = aT(i)-wb *b(i-1) + 2Mc(i) (5)
로 된다. 여기서, c(i)는 실수부와 허수부가 정수되는 이산 복소수이다. b(i)의 z변환을 AT(z-1), c(i)의 z변환을 c(z-1)로 하여, 식(5)를 z 변환으로 나타내면,
(1+wb *z-1)B(z-1) = AT(z-1) + 2MC(z-1) (6)
로 된다. 게다가 식(4)를 사용하면, 식(6)은
H(z-1)B(z-1) = AT(z-1) + 2MC(z-1) (7)
로 된다. 여기서, H(z-1)B(z-1)은 수신단에 있어서 수신신호이고, 이것이 aT(i)의 z변환 A(z-1)과 2Mc(i)의 z변환 2MC(z-1)와의 합과 같다라는 것은, 수신신호에 이산 복소수가 가해지더라도, 수신신호는 지연파에 의한 부호간 간섭을 받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같이,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 조건에서도 수신신호가 지연파에 의한 부호간 간섭을 받지 않으므로 이동국의 수신기에 등화기의 기능이 불필요하며 하드웨어화가 간단하게 된다.
실시예 2
상기 도 6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어댑티브 어레이 등화수신부(60)의 등화기(66)는, 신호판정부(67)에 있어서 합성신호로부터 지연파에 의한 부호간 간섭을 제거하고 있으므로 희망 신호의 지연파의 전력이 유효하게 사용되지 않고 있다. 이 전력을 유효하게 사용하는 어댑티브 어레이 등화수신부(60)의 실시예를 도 7에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등화기(66)의 신호판정부(67)에 최대 개연성 판정법을 사용한다. 더구나, 기타의 어레이 안테나(11), 송수전환기(12), 기저대역 수신신호 발생부(13), RF변조파발생부(28), 송신어레이 선 부호화부(70) 등은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은 것을 적용하도록 하고, 도시하지 않는다. 또, 샘플링주기(TS)는, 기호주기(T)와 같고, 희망 신호의 지연파의 최대지연시간을 1T로 한다.
단자(141내지 14Q)로부터의 수신기저대역 신호(xi(i) 내지 xQ(i))는 복소수 승산기(151내지 15Q)에서 가중계수(w1 *내지 wQ *)에 의해 각각 승산된후, 복소수 가산기(16)에서 서로 가산되고, 합성신호(y(i))로서 출력된다. 이 가중계수(w1 *내지 wQ *)를 적응 제어하는 것으로 수신안테나 이득의 지향성을 제어하고, 간섭신호가 억제된 희망 신호의 합성신호(y(i))를 생성할 수 있다.
신호판정부(67)는 복소수 감산기(86), 2승 연산회로(87), 비터비 알고리즘 연산회로(81), 스위치회로(19), 및 훈련신호 메모리(21)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스위치회로(19)에 의하여 수신신호의 훈련신호 구간에서는, 메모리(21)로부터 판독된 훈련신호가 선택되고, 데이터신호구간에서는 비터비 알고리즘 연산회로(81)로부터의 수신신호에 대한 후보기호신호가 선택되고, 귀환형 필터부(85)에 부여된다. 비터비 알고리즘 연산회로(81)가 출력하는 복소 기호 후보(am(i))는 스위치회로(19)를 경유하여 귀환형 필터부(85)에 있어서 지연소자(82)에 부여되어 1T 지연되고, 다른편에서 복소수 가산기(84)에 부여된다. 이 지연소자에 의하여 지연된 복소수 기호후보(am(i-1))는 파라미터추정부(71)에 부여됨과 동시에, 복소수 승산기(83)에 부여되어 피라미터 추정부(71)로부터의 귀환형필터계수(wb *)가 중첩(여기서는 승산)된다. 승산결과는 지연전의 복소수 기호후보(am(i))와 더하여 복소수 가산기(84)로 합해지고, 귀환신호로서 복소수 감산기(86)에 부여된다. 여기서 지연소자(82), 복소수 승산기(83) 및 복소수 가산기(84)는, 귀환형 필터부(85)를 구성하고, 도 6의 실시예에 있어서 귀환형 필터부(64)에 대응한다. 복소수 가산기(84)가 출력하는 귀환신호는 전송로 지연과 전송로 변형을 받은 수신신호를 추정한 중복 신호이다.
복소수 감산기(86)는, 합성신호(y(i))와 중복 신호와의 차분을 오차신호(e(i))로서 출력한다. 2승연산회로(87)는, 오차신호(e(i))의 절대치 2승에 음의 상수를 승산한 값을 개연성 정보, 즉, 분기 행렬로서 출력한다. 비터비 알고리즘 연산회로(81)는, 상기 복소수 기호 후보를 출력하고, 비터비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최대 개연성 추정에 의한 신호판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복소 기호계열후보마다 분기행렬의 누적치로서 로그 개연 함수, 즉, 경로행렬을 계산하고, 경로행렬을 최대로 하는 복소수 기호계열 후보를 비터비 알고리즘에 의하여 구한다. 게다가, 선택된 복소수 기호계열후보의, 판정지연만큼 앞의 복소수 기호를 판정신호로서 출력단자(18)로 출력한다. 파라미터 추정부(71)에는, 수신 기저대역신호(x1내지 xQ), 지연복소수 기호(am(i-1)), 및 오차신호(e(i))가 부여되고, 오차신호(e(i))의 파워가 최소로 되도록, 최소 2승법 알고리즘에 의하여 귀환형 필터계수(wb *)와 가중계수(w1 *내지 wQ *)를 결정한다. 이 신호판정부(67)와 귀환형 필터부(85)는 최대 개연성 추정을 사용한 등화기(66)를 구성한다.
예를들면 변조방식이 QPSK 변조로, 전송로가 1T 지연이 있는 2개의 경로 전파인 경우, 최대 개연성 추정에 비터비 알고리즘을 사용하면, 그 격자구조의 도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각 시각(i)에서 살아남은 모든 경로에, 즉, 각 상태 (S1, S2, S3, S4)에 그 상태에 대응하는 복소수 기호(am(i))를 복소수 기호후보로서 출력하고, 파라미터추정부(71)에서 파라미터 추정을 행한다. 따라서, 각 시각에서는 상태수(도 8에서는 4) 부분에 대하여 파라미터 추정을 행할 필요가 있고, 연산량이 늘지만, 전송로의 변동을 충분히 추종할 수 있다. 더구나, 송신기저대역 생성부(30)에 설정하는 가중계수(w1 *내지 wQ *) 및 송신변형부(76)에 설정하는 귀환형필터계수(wb *)는, 수신 버스트의 최종기호로 최대 개연성에 대응하는 상태의 것이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지연후의 복소수 기호신호(am(i-1))에 대하여 귀환형필터계수(wb *)를 승산하였지만, 도 9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지연전의 기호신호(am(i))에 귀환용 필터계수(wb *)를 승산하여도 좋다. 그 경우에는, 송신측의 송신변형부(76)(도 6참조)의 복소수 승산기(74)의 가중 계수 및 복소수 승산기(78)의 이득(G1)으로서 각각 (wb *)-1을 부여한다. 다만, 복소수 승산기(78)는 결국 단순히 증폭기로서 작용할 뿐이므로 이득(G1=(wb *)-1)대신에 G1=1을 부여하여도 좋다(즉, 승산기(78)를 생략하여도 좋다.). 기타의 구성은 도 7과 동일하다.
도 7의 실시예에 있어서, 지연후의 기호신호(am(i-1)) 대신에,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터비 알고리즘 연산회로(81)의 판정출력을 파라미터 추정부(71)에 부여하도록 변형하여도 좋다. 비터비 알고리즘은 판정지연을 동반하고, 판정신호는 현시점에서 판정지연분만큼 지연하지만, 전송로의 변동이 그 판정지연사이에 무시할 수 있으면 문제는 없고, 각 시각(i)에서 상태수 부분만큼 파라미터 추정을 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연산량이 감소될 수 있다. 이 경우, 파라미터 추정부(71)는 판정지연을 고려하여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신 기저대역신호(x1(i),…, xQ(i))와 오차신호(e(i))에 대하여 각각 판정지연분만큼 지연회로(71C1내지 71CQ및 71B)에 의하여 각각 지연시킨다음 파라미터 추정회로(71A)에 부여한다.
도 11은 도 6의 실시예에 있어서 훈련신호 구간에 추정한 파라미터(wb *및 w1 *내지 wQ *를 데이터 신호구간에 변경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의 실시예이다. 이 경우, 파라미터 추정부(71)에는 훈련신호를 복소수 기호열(aR(i), aR(i+1), …)로서 순차 부여하고, 오차신호(e(i))와 훈련 기호신호(aR(i)) 및 수신 기저대역신호(x1내지 xQ)로부터 최소 2승법에 의하여 축차, 가중계수(w1 *내지 wQ *)와 귀환형필터계수(wb *)를 결정하고, 훈련신호의 최후의 기호신호에 대하여 결정된 그들 가중계수(w1 *내지 wQ *)와 귀환형필터계수(wb *)를 데이터 신호구간에 그대로 변경하지 않고 사용한다.
도 12의 실시예는, 도 9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 11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훈련신호구간에서 추정한 피라미터(w1 *내지 wQ *)를 데이터 신호구간에 있어서 변경하지않고 사용하는 경우의 실시예이다. 이 경우도 훈련신호구간에 있어서 파라미터의 추정은 훈련신호 메모리(21)로부터의 복소기호신호(am(i))가 직접 파라미터 추정부(71)에 부여되어, 그의 훈련 기호신호와, 수신 기저대역신호(x1내지 xQ)와, 복소수 감산기(86)로부터의 오차신호(e(i))로부터 최소 2승법 알고리즘에 의하여 축차 파라미터(w1 *내지 wQ *및 wb *)를 추정한다. 훈련신호의 최후의 복소수 기호신호에 대하여 추정된 파라미터는, 데이터신호 구간에 변경되지 않고, 그대로 사용된다.
도 7,9,10,12의 실시예에 있어서 등화기(66)에서는, 도 6의 실시예에 있어서 등화기(66)와 다르고, 지연파에 의한 부호간 간섭은 제거하고 있지 않으므로, 희망 신호의 지연파의 전력을 유효하게 이용하고 있고, 도 6 및 11의 실시예보다 수신전송특성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각 실시예에서는, 선형합성부(20)에 있어서 복소수 승산기(151내지 15Q)를 사용하고, 또 송신 기저대역 신호생성부(30)에 있어서 복소수 승산기(271내지 27Q)를 사용하여 각각 가중계수(w1 *내지 wQ *)를 승산하는 경우를 표시하였지만, 이들의 승산기 대신에 횡파필터를 사용하여, 가중계수(w1 H내지 wQ H)를 각각 필터계수로서 부여하여도 좋다. 그 경우의 실시예를 도 13에 도시한다. 도 13에 있어서, 등화기(66)는 신호판정부(67)로서 도 6, 11에 도시한 바와같은 정확한 판정을 행하는 것이거나, 도 7,9,10,12에 도시한 바와같은 최대 개연성 추정을 행하는 것이거나 어느것도 좋다. 파라미터 추정부(71)는 수신베이스신호(x1(i) 내지 xQ(i))와, 오차신호(e(i))와, 수신기호(aQ(i)), 또는 aR(i-1))로부터 귀환형 필터계수(wb *)와 필터계수(w1 H내지 wQ H)를 추정한다. 이들 필터계수는 선형합성부(20)의 횡파필터(911∼91Q)에서 수신기저대역신호(x1(i) 내지 xQ(i))와 각각 중첩이 행해지고, 송신기저대역 생성부(30)의 횡파필터(921내지 92Q)에서 각각 송신변형신호(b(i))와 중첩이 행해진다.
도 13의 실시예는, 샘플링주기(TS)가 기호주기(T)와 같은 경우이다. 이경우, 선형합성부(20)의 각 횡파필터(91q(q=1, …, Q)는, 예를들면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지연시간이 기호주기(T)와 같은 지연소자(9A)가 복수개로 직렬 접속되고, 이들 지연소자의 직렬접속의 입력신호(xq(i))와, 각각의 지연단의 출력(xq(i-1), xq(i-2)…)에 각각 승산기(9B)에 의하여 가중계수(필터계수)(w1 *, w2 *, w3 *)가 승산되고, 이들의 승산결과는 가산기(9C)에 의하여 가산된다. 즉, 입력신호(xq(i)가 필터계수 벡터(wq H)와 중첩되어 출력된다. 송신 기저대역 생성부(30)의 횡파필터(921내지 92Q)도 동일하게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샘플링주기(TS)가 기호주기(T)와 같으면 샘플링클록의 타이밍오프세트에 의하여 대폭으로 평균 BER 특성이 열화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열화를 피하기 위해서는, 샘플링주기를 기호주기(T)미만, 예를들면 T/2로 하는 분수간격 샘플링을 행하는 것이 유효하다. 이와같은 분수간격 샘플링주기를 실현하려면, 도 13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형합성부(20)와 송신기저대역 생성부(30)의 각 횡파필터(91q, 92q(q=1, …, Q))를, 예를들면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도 14의 횡파필터의 지연소자(9A)를 각각 지연시간이 샘플링 주기(T)의 1/2의 지연소자(9A')로 치환하면 된다. 이 구성은 도 13의 모든 횡파필터(911내지 91Q, 921내지 92Q)에 적용한 경우, 송신변형부(76)의 출력신호는 기호주기(T)마다 출력되므로 송신필터부(79)에서 샘플링주기(TS)의 1/2마다의 신호로 변환한후, 횡파필터(921내지 92Q)에 입력할 필요가 있다. 이 송신필터부(79)로서는 잘 알려져 있는 코사인 롤오프 필터 또는 루트 롤오프 필터등을 사용하면 좋다.
도 6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기지국의 송신어레이 선 부호화부(70)의 송신변형부(76)에서는, 귀환루프가 발산하는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듈로 연산부(72)를 설치하여 있다. 한편, 이동국은 기지국에서 송신되는 버스트신호의 훈련신호 구간에 수신신호에 대한 동기를 확립하고, 계속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지만, 기지국에서 모듈로 연산부(72)에 의하여 2M의 정수배를 입력신호{aT(i)-wb *b(i-1)}에 대하여 감산 또는 가산한 경우, 이동국측에서 그것을 수신하는 경우에, 반송파 동기가 곤란하게 되는 문제가 생긴다. 특히, 반송파 동기가 훈련신호 구간에서 동기되지 못하면, 이동국은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신호를 바르게 수신할 수 없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하는 복소수 승산기(77)에 예를 들면 도 16A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증폭율이 1과 0을 반복하여 변화하는 이득제어신호(GO)를 1로 설정한다. 이 훈련신호구간의 이득제어는 상술한 어느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희망 신호의 지연파의 최대지연시간을 1T로 하고 있었지만, 최대지연시간(NT)(N는 2 이상의 정수)의 경우의 확장은 용이하고, 도 6, 도 11의 귀환형 필터부(64)의 복소수 승산기(63)와, 송신변형부(76)의 복소수 승산기(74) 및 도 7,9,12,13의 귀환형 필터부(85)의 복소수 승산기(83)를, 각각 N탭의 기호간격형 횡파필터로 치환하고, 그 탭계수를 귀환형 필터계수로 하면 좋다. 다만, 도 9의 구성예에서는 지연소자(82)의 지연시간을 NT로 할 필요가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 조건의 경우에도 수신전송특성이 열화되지 않고, 동시에 송신신호를 필터링하는 것으로 지연파에 의한 부호간 간섭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이동국의 수신기에 등화기의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는 어댑티브 어레이 송수신기가 제공될 수 있다.
동일채널간섭이 무시될 수 없는, 고속전송을 행하는 무선시스템에 이용하면 효과적이다.

Claims (15)

  1. TDD 방식의 어댑티브 어레이 송수신기는:
    2이상의 정수인 Q개의 송수신 공용안테나로부터의 수신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고 수신된 기저대역 신호를 출력하는 수신수단,
    상기 수신된 기저대역 신호 각각을 가중 계수에 의하여 가중하고, 이에 따라 얻어진 가중되어 수신된 기저대역신호를 합하여 합성신호를 생성하는 선형합성수단,
    귀환 복소수 기호신호와 귀환용 필터계수를 중첩하고, 이에따라 얻어진 연산결과를 귀환신호로서 출력하는 귀환형 필터수단,
    상기 합성신호와 상기 귀환신호를 입력으로서 신호판정을 행하고 판정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신호판정로부터 발생되는 오차신호, 상기 귀환 복소수 기호신호, 및 파라미터추정용 복소수 기호신호를 출력하는 신호판정수단,
    상기 수신된 기저대역신호와 상기 파라미터추정용 복소수 기호신호와 상기 오차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오차신호의 2승평균이 최소로 되도록, 상기 가중계수와 상기 귀환형 필터계수를 추정하고 출력하는 파라미터 추정수단,
    상기 귀환형필터계수를 지연된 송신변형신호와 중첩하여 추정전송로 변형을 얻고, 송신신호로부터 상기 추정전송로 변형을 감산하고, 이 감산결과를 상기 송신변형신호로서 생성하는 송신변형수단,
    상기 송신변형신호와 상기 가중계수와의 가중연산을 행하고, Q개의 송신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송신 기저대역 생성수단, 및
    상기 송신 기저대역신호를 RF주파수로 변환하여 대응하는 상기 송수신 공용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티브 어레이 송수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변형신호를 소정의 대역으로 제한하고, 그로 인하여 대역이 제한된 상기 송신변형을 상기 송신기저대역 생성수단에 부여하는 송신 필터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티브 어레이 송수신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변형신호의 전력이 소정의 범위내로 되도록 상기 송신변형 신호에 대하여 모듈로 연산을 행하는 모듈로 연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티브 어레이 송수신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판정수단은, 상기 합성신호로부터 상기 귀환신호를 감산하여 부호간 간섭제거신호를 생성하는 제 1 감산수단, 상기 부호간 간섭제거신호를 정확히 판정하여 상기 판정신호를 출력하는 판정기, 상기 판정신호를 지연하여 상기 귀환 복소수 기호신호와 상기 파라미터 추정용 복소수 기호신호로서 출력하는 지연소자, 및 상기 부호간 간섭제거신호와 상기 판정신호와의 차분을 상기 오차신호로서 출력하는 제 2 감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티브 어레이 송수신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판정수단은, 상기 합성신호로부터 상기 귀환신호를 감산해서 상기 오차신호를 생성하는 감산수단, 및 개연성 정보인 상기오차신호의 2승을 최대 개연성 추정수단에 의하여 신호판정을 행하고, 상기 판정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복소수 기호후보를 상기 귀환복소수 기호신호로서 출력하는 최대 개연성 추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티브 어레이 송수신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귀환형 필터수단은, 과거의 상기 복소수 기호후보와 상기 귀환형 필터계수와의 중첩하는 승산수단, 중첩결과와 현시점의 상기 복소수 기호후보를 가산하고, 가산결과를 상기 귀환신호로서 출력하는 복소수 가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티브 어레이 송수신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귀환형필터수단은 상기 복소수 기호후보와 상기 귀환용 필터계수를 중첩하는 복소수 승산수단, 중첩결과와 과거의 상기 복소수 기호후보를 가산하고, 가산결과를 상기 귀환신호로서 출력하는 복소수 가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티브 어레이 송수신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추정수단은, 상기 신호판정수단의 최대 개연성 추정의 상태마다 상기 파라미터 추정용 복소수 기호신호로서 입력된 상기 복소수 기호후보, 상기 오차신호, 그리고 상기 수신 기저대역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가중계수와 상기 귀환형 필터계수를 추정하는 수단이고, 수신된 버스트의 최종기호로 최대 개연성에 대응하는 상기 상태의 상기 가중계수와 상기 귀환형 필터 계수를 상기 송신변형수단과 상기 송신 기저대역 생성수단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티브 어레이 송수신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추정수단은, 상기 파라미터 추정용 복소수 기호신호로서 상기 판정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수신 기저대역 신호를 상기 신호판정수단의 판정지연분만큼 지연시키는 제 1 지연수단, 상기 오차 신호를 상기 판정지연분만큼 지연시키는 제 2 지연수단, 및 지연된 상기 오차신호와 지연된 상기 수신 기저대역신호와 상기 판정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가중계수와 상기 귀환형 필터계수를 추정하는 파라미터 추정회로를 포함하고, 수신된 버스트의 최종기호에서 계산된 상기 상태의 상기 가중계수와 상기 귀환형 필터계수를 상기 송신변형수단과 상기 송신기저대역 생성수단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티브 어레이 송수신기.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추정수단은, 수신신호중 훈련신호 구간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추정용 복소수 기호신호로서 수신 훈련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수신 훈련신호의 최종기호로 파라미터 추정을 종료하여, 이때의 상기 가중계수와 상기 귀환형 필터계수를 상기 송신 변형수단과 상기 송신 기저대역 생성수단에 설정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티브 어레이 송수신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판정수단은, 훈련신호가 내장된 훈련신호 메모리, 및 수신신호의 훈련신호구간에 있어서 상기 훈련신호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훈련신호를 상기 귀환복소수 기호신호로서 출력하는 스위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티브 어레이 송수신기.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합성수단은, 상기 수신 기저대역 신호를 각각 승산기에 의해 상기 가중계수로 승산하는 제 1 복소수 승산기, 그 승산결과를 더하여 합한 것을 상기 합성신호로서 출력하는 제 1 복소수 가산기를 갖고, 상기 송신 기저대역 생성수단은, 상기 송신변형필터신호에 상기 가중계수를 승산하는 제2 복소 승산기를 포함하며, 그 승산결과를 Q개의 상기 송신 기저대역 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티브 어레이 송수신기.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합성수단은, 상기 수신기저대역 신호에 상기 가중계수를 탭 계수로서 중첩하는 제 1 횡파필터와, 그 중첩결과를 더하여 합하고 상기 합성신호로서 출력하는 제1 복소수 가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기저대역 생성수단은, 상기 송신 변형신호에 상기 가중계수를 탭계수로서 중첩하는 제 2 횡파필터를 포함하고, 그 연산결과를 Q개의 상기 기저대역 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티브 어레이 송수신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합성수단과, 상기 송신 기저대역 생성수단의 상기 제 1 및 제 2 횡파필터는 분수간격형 횡파필터이고, 상기 송신 필터수단은, 상기 송신변형 필터신호를, 상기 분수간격형 횡파필터의 지연소자의 지연시간을 샘플링 주기로 하는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티브 어레이 송수신기.
  1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변형수단은, 송신 훈련신호 구간에 있어서, 증폭율을 제어하여 상기 모듈로 연산수단의 출력을 펄스파형으로 만드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티브 어레이 송수신기.
KR1019980707940A 1997-06-03 1998-06-02 어댑티브어레이송수신기 KR1003128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45343 1997-06-03
JP14534397 1997-06-03
PCT/JP1998/002421 WO1998056121A1 (fr) 1997-06-03 1998-06-02 Emetteur-recepteur adaptati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4854A true KR20000064854A (ko) 2000-11-06
KR100312836B1 KR100312836B1 (ko) 2001-12-28

Family

ID=15382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7940A KR100312836B1 (ko) 1997-06-03 1998-06-02 어댑티브어레이송수신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243412B1 (ko)
EP (1) EP0961416B1 (ko)
JP (1) JP3375139B2 (ko)
KR (1) KR100312836B1 (ko)
CN (1) CN1127228C (ko)
CA (1) CA2248345C (ko)
DE (1) DE69839960D1 (ko)
WO (1) WO19980561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168B1 (ko) * 2008-05-26 2010-07-14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궤환간섭제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9455B2 (ja) * 1997-06-17 2003-03-24 三洋電機株式会社 アダプティブアレイ装置およびその補正方法
JP3779063B2 (ja) * 1998-05-28 2006-05-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6647070B1 (en) * 1998-09-10 2003-11-1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ating impulse noise in digital communications channels
US7076228B1 (en) * 1999-11-10 2006-07-11 Rilling Kenneth F Interference reduction for multiple signals
US6295289B1 (en) * 1998-11-30 2001-09-25 Nokia Mobile Phones, Ltd. Power control in a transmitter
US6611511B1 (en) * 1999-03-04 2003-08-26 Cellco Partnership Cellular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using sector splitting for improved performance
CN100380842C (zh) 1999-06-23 2008-04-09 日本国立北海道大学学长 无线装置
JP2001102970A (ja) * 1999-09-29 2001-04-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通信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4369581B2 (ja) * 1999-12-17 2009-11-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基地局装置および干渉抑圧送信方法
JP2001203619A (ja) * 2000-01-19 2001-07-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6754511B1 (en) 2000-02-04 2004-06-22 Harris Corporation Linear signal separation using polarization diversity
US7339520B2 (en) 2000-02-04 2008-03-04 The Directv Group, Inc. Phased array terminal for equatorial satellite constellations
EP1158694B1 (en) * 2000-03-27 2009-01-28 NTT DoCoMo, Inc. Spatial and temporal equalizer and equalization method
DE10025287B4 (de) * 2000-05-22 2006-06-08 Siemens Ag Verfahren und Kommunikationssystem zur Schätzung einer Störungs-Kovarianzmatrix für die Abwärtsverbindung in zellularen Mobilfunknetzen mit adaptiven Antennen
WO2001091331A2 (en) * 2000-05-22 2001-11-29 Sarnoff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multipath distortion in a wireless lan system
US20020106040A1 (en) * 2001-02-02 2002-08-08 Sarnoff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multipath distortion in a wireless ian system
JP3660209B2 (ja) 2000-05-25 2005-06-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US7415285B2 (en) * 2001-09-27 2008-08-1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Reducing power control error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082174B1 (en) 2000-07-24 2006-07-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modulated signal using an equalizer and a rake receiver
US7720472B1 (en) 2000-09-14 2010-05-18 The Directv Group, Inc. Stratospheric-based communication system having interference cancellation
US7369847B1 (en) 2000-09-14 2008-05-06 The Directv Group, Inc. Fixed cell communication system with reduced interference
US7317916B1 (en) 2000-09-14 2008-01-08 The Directv Group, Inc. Stratospheric-based communication system for mobile users using additional phased array elements for interference rejection
US6388634B1 (en) 2000-10-31 2002-05-14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Multi-beam antenn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7000175B2 (en) * 2000-11-03 2006-02-14 Ager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ipelined joint equalization and decoding for gigabit communications
CN1248431C (zh) 2000-12-27 2006-03-29 三洋电机株式会社 无线装置、调换检测方法
EP1346435B1 (en) * 2000-12-29 2005-02-16 Nokia Corporation Base station, base station module and method for estimating parameters of uplink signals
US8396513B2 (en) 2001-01-19 2013-03-12 The Directv Group, Inc. Communication system for mobile users using adaptive antenna
US7809403B2 (en) 2001-01-19 2010-10-05 The Directv Group, Inc. Stratospheric platform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daptive antennas
US7187949B2 (en) 2001-01-19 2007-03-06 The Directv Group, Inc. Multiple basestatio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daptive antennas
US7068733B2 (en) 2001-02-05 2006-06-27 The Directv Group, Inc. Sampling technique for digital beam former
ATE421807T1 (de) * 2001-05-31 2009-02-15 Magnolia Broadband Inc Kommunikationseinrichtung mit intelligenter antenne, die ein qualitätsanzeigesignal verwendet
US7039363B1 (en) * 2001-09-28 2006-05-02 Arraycomm Llc Adaptive antenna array with programmable sensitivity
US7317764B2 (en) * 2003-06-11 2008-01-08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of signal transmission to multiple users from a multi-element array
KR100617843B1 (ko) * 2003-07-26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응 안테나 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981571B1 (ko) * 2003-07-26 2010-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적응 안테나 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JP4403010B2 (ja) * 2004-02-03 2010-01-2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信号分離装置
JP2006287622A (ja) * 2005-03-31 2006-10-19 Fujitsu Ltd 高周波通信制御装置および高周波通信制御方法
JP4633600B2 (ja) * 2005-10-28 2011-02-16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信号処理方法
JP2007143072A (ja) 2005-11-22 2007-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複素係数フィルタ、周波数変換器及び通信システム
US8249514B2 (en) 2006-04-27 2012-08-21 Kyocera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equalizing a signal
CN100553184C (zh) * 2006-11-24 2009-10-21 普天信息技术研究院 一种信号预编码方法
KR20110031165A (ko) * 2008-07-04 2011-03-24 각고호우징 게이오기주크 멀티캐리어 통신 시스템
DE102009017552B3 (de) * 2009-04-17 2010-09-30 Sew-Eurodrive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rührungslosen Übertragung elektrischer Leistung und Information
US8291294B2 (en) * 2009-05-21 2012-10-16 Seagate Technology Llc Intersymbol interference encoding in a solid state drive
JP5288622B2 (ja) * 2009-06-16 2013-09-11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JP6532777B2 (ja) * 2015-07-02 2019-06-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等化器
WO2017157471A1 (en) * 2016-03-18 2017-09-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munication circuit for multi-antenna apparatus
EP3989447A1 (en) 2017-09-15 2022-04-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ulti-antenna communication data-converter clockin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4912A (ja) * 1982-10-05 1984-04-13 Nec Corp デイジタルフイルタ
JP2589811B2 (ja) * 1989-06-30 1997-03-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受信装置
US5142551A (en) * 1991-02-28 1992-08-25 Motorola, Inc. Signal weighting system for digital receiver
US5274844A (en) 1992-05-11 1993-12-28 Motorola, Inc. Beam pattern equalization method for an adaptive array
JP2663820B2 (ja) * 1992-12-28 1997-10-15 日本電気株式会社 判定帰還形等化器
JP2885612B2 (ja) * 1993-06-25 1999-04-26 日本電気株式会社 干渉波除去装置
JPH0795655A (ja) 1993-09-20 1995-04-07 Toshiba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
JP2734953B2 (ja) * 1993-12-16 1998-04-02 日本電気株式会社 Cdma受信装置
JP3180240B2 (ja) * 1993-12-27 2001-06-2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適応等化器
JP2561031B2 (ja) * 1994-06-07 1996-12-04 日本電気株式会社 送受信装置
FR2738967B1 (fr) * 1995-09-15 1997-12-05 France Telecom Dispositif d'egalisation adaptatif pour systemes de communications numeriqu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168B1 (ko) * 2008-05-26 2010-07-14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궤환간섭제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43412B1 (en) 2001-06-05
CA2248345C (en) 2001-08-21
JP3375139B2 (ja) 2003-02-10
CN1223038A (zh) 1999-07-14
EP0961416A1 (en) 1999-12-01
CA2248345A1 (en) 1998-12-03
KR100312836B1 (ko) 2001-12-28
CN1127228C (zh) 2003-11-05
EP0961416A4 (en) 2001-01-17
EP0961416B1 (en) 2008-09-03
WO1998056121A1 (fr) 1998-12-10
DE69839960D1 (de) 200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2836B1 (ko) 어댑티브어레이송수신기
US969883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itigation of self-interference in spectrally efficient full duplex communications
Kiayani et al. Adaptive nonlinear RF cancellation for improved isolation in simultaneous transmit–receive systems
US7324437B1 (en) Method for co-channel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JP3338747B2 (ja) 干渉波除去装置
US6301316B1 (en) Frequency sharin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quipped with diversity receiver incorporated with shared wave canceller
US5335251A (en) Diversity receiver
JP2001094524A (ja) 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受信装置、送信方法、受信方法、および、情報記録媒体
US7369631B1 (en) Symbol synchronizer for software defined communications system signal combiner
US6665286B1 (en) Adaptive receiving device removing interference from users and multi-paths by antenna directivity control
EP0477183B1 (en) Space-diversity digital radio mobile receiver and relevant process
EP0844759B1 (en) Artificial fading for frequency offset mitigation
JP4990510B2 (ja) Cdmaシステムにおいて受信器がcdma信号を処理する方法
US75024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response characteristic, and receiving method and receiver utilizing the same
JP4925418B2 (ja) 送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EP3704820B1 (en) Orthogonal training signals for transmission in an antenna array
Duarte et al. Full duplex MIMO digital beamforming with reduced complexity AUXTX analog cancellation
JP2007228057A (ja) 衛星通信システム及び衛星通信用送信局
WO1996008088A1 (en) Diversity receiver with combiner for equalization and diversity transmitter with splitter and delay
JP202006846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送信局装置および受信局装置
WO2021176532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送信装置
JPH07154129A (ja) Lms方式のアダプティブアレイアンテナ装置
JP2000013128A (ja) アダプティブアレイ送受信機
WO2005002067A2 (en) Multi-carrier spread spectrum using non-linear modification of sub-carrier bands
JP202014117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送信局装置および受信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