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168B1 - 궤환간섭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궤환간섭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9168B1
KR100969168B1 KR1020080048770A KR20080048770A KR100969168B1 KR 100969168 B1 KR100969168 B1 KR 100969168B1 KR 1020080048770 A KR1020080048770 A KR 1020080048770A KR 20080048770 A KR20080048770 A KR 20080048770A KR 100969168 B1 KR100969168 B1 KR 100969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eedback interference
feedback
error signal
e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8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2796A (ko
Inventor
이규하
한철희
Original Assignee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8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168B1/ko
Publication of KR20090122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2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64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 H04B7/15578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by gain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DD 무선통신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중계장치에서 궤환간섭제거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궤환간섭제거방법은 단말신호 또는 기지국신호 중 한 신호와 실제궤환간섭신호가 혼합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훈련시퀀스를 기초로 계수가변필터링을 통해궤환간섭신호를 예측한 신호값인 추정신호를 생성하는 추정신호생성단계; 상기 입력신호에서 상기 추정신호의 차인 오차신호를 계산하는 오차신호계산단계; 및 상기 오차신호를 기초로 상기 계수가변필터링에 사용되는 계수값을 갱신하는 갱신단계; 를 포함한다.
궤환간섭, 궤환 채널, TDD

Description

궤환간섭제거 방법{Method for cancelling the feedback interference}
본 발명은 TDD(Time Division Duplex) 기반 무선통신망에서 동작하는 중계장치에서 궤환간섭제거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중경로 궤환뿐만 아니라 궤환경로가 변경되는 환경에서도 궤환채널의 추정 및 제거가 가능한 궤환간섭제거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해 제시한다.
TDD 기반 무선통신망에서 기지국이나 단말에서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의 송신신호가 통신이 어려운 경우, 원활한 통신을 위해 도 1 과 같이 단순신호를 증폭하는 방식으로 중계장치를 이용하여 통신을 하거나 망을 확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중계방식은 궤한(feedback)이 발생할 경우, 신호 경로에 무한루프가 형성되어 중계장치가 파손되거나 또는 중계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이상의 방식외에도 상관관계분석에 기초하여 궤환간섭을 제거하는 방식이 있으나, 이 경우 원 기지국과 단말 송신신호의 상관관계에 특성에 영향을 받고, 신호대 잡음비가 민감한 값을 갖게 된다. 그 결과, PARR(Peak-to-Average Power Ratio)이 높은 차수의 QAM 변조 방식이나 OFDM 변조 방식에서는 정확한 궤환 채널추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단순신호를 증폭하는 방식의 중계장치는 궤한(feedback)이 발생할 경우, 신호 경로에 무한루프가 형성되어 중계장치가 파손되거나 또는 중계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상관관계분석에 기초하여 궤환간섭을 제거하는 방식은 원 기지국과 단말 송신신호의 상관관계에 특성에 영향을 받고, 신호대 잡음비가 민감하여, PARR이 높은 차수의 QAM 변조 방식이나 OFDM 변조 방식에서는 정확한 궤환채널추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궤환간섭 존재유무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한 궤환간섭제거방법을 제공한다. 즉, 실제궤환간섭신호가 혼합된 입력신호에서 궤환간섭신호를 제거함으로써,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본 발명은 궤환간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만 적용가능한 종래의 단순증폭중계장치와 달리 궤환간섭 존재유무에 관계없이 적용가능하다. 매우 우수한 상관관계 특성 및 전대역 응답을 갖는 훈련시퀀스를 사용함으로써 정확한 궤환간섭채널 추정이 가능하며, 이렇게 추정된 채널을 이용하여 간섭제거를 수행함으로써, 간섭환경에서 우수한 성능으로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매 프레임마다 궤환간섭채널에 대해 적응을 수행하여 이동 환경 등의 가변 채널에서도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TDD OFDMA 기반인 WiBro 시스템인 경우, 2.3GHz 대역폭 3FA 27MHz/1FA 9MHz로 주파수대역을 사용하며, 프레임 구간은 5ms, 하향링크 송신구간 3.46ms, 상향링크 송신구간 1.73ms, RTG 74.4us, TTG 87.2us으로 구성된다. 각각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의 궤환간섭채널에 대해 매 5ms마다 적응을 수행함으로써 지속적 채널추적이 가능하며, 한번 추정된 채널은 하향링크의 경우 3.46ms, 상향링크의 경우 1.73ms동안 유지된다. 이 유지되는 채널을 코히어런스 시간(Coherence time)으로 고려하면, 0.5 상관관계에 대해 최대도플러 주파수는 하향링크의 경우 51.8Hz, 상향링크의 경우 103.3Hz로 구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궤환간섭제거방법은 단말신호 또는 기지국신호 중 한 신호와 실제궤환간섭신호가 혼합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단계;훈련시퀀스를 기초로 계수가변필터링을 통해궤환간섭신호를 예측한 신호값인 추정신호를 생성하는 추정신호생성단계; 상기 입력신호에서 상기 추정신호의 차인 오차신호를 계산하는 오차신호계산단계; 및 상기 오차신호를 기초로 상기 계수가변필터링에 사용되는 계수값을 갱신하는 갱신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갱신된 계수값을 기초로 상기 오차신호가 가장 작은 값이 나올 때까지 상기 추정신호생성단계와 상기 오차신호계산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궤환간섭제거장치는 단말신호 또는 기지국신호 중 한 신호와 실제궤환간섭신호가 혼합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훈 련시퀀스를 기초로 계수가변필터링을 통해궤환간섭신호를 예측한 신호값인 추정신호를 생성하는 추정신호생성부; 상기 입력신호에서 상기 추정신호의 차인 오차신호를 계산하는 오차신호계산부; 및 상기 오차신호를 기초로 상기 계수가변필터링에 사용되는 계수값을 갱신하는 갱신부; 를 포함한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갱신된 계수값을 기초로 상기 오차신호가 가장 작은 값이 나올 때까지 상기 추정신호생성부에서 상기 추정신호와 상기 오차신호계산부에서 상기 오차신호를 반복하여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 은 TDD 기반 무선통신망에서 단순신호증폭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중계장치의 블락도를 도시한다.
TDD 기반 무선통신망에서 기지국이나 단말에서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의 송신신호가 통신이 어려운 경우, 기존에 원활한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일 방식이 도 1에 도시되었다. 도 1의 송신전력증폭부(110)는 단순신호를 증폭하는 방식으로 중계장치를 이용하여 통신을 하거나 망을 확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중계방식은 궤한(feedback)이 발생할 경우, 신호 경로에 무한루프가 형성되어 중계장치가 파손 되거나 또는 중계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도 2 는 상관관계분석에 기초하여 궤환간섭을 제거하는 중계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과 같은 중계장치에 무한루프가 형성될 경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서는 궤환간섭제거부(210)를 더 포함하고 있다. 도 2 의 궤환간섭제거부(210)는 궤환간섭채널추정부(211)와 가변계수필터부(212)를 포함한다.
궤환간섭채널추정부(211)는 기지국과 단말 송신신호의 상관관계분석을 기반으로 궤환간섭채널을 추정한다. 그후 가변계수필터부(212)에서는 궤환간섭채널추정부(211)에서 추정된 채널모델의 역응답을 필터계수로 표현하여, 이 필터계수들을 가변계수필터부의 계수로 적용한다. 중계되는 신호를 가변계수필터의 입력으로 필터계수와 필터링을 수행하여 간섭신호를 제거한다. 여기서, 필터계수는 궤환채널에 대한 역응답으로 필터링시에 서로 상쇄를 기대하고 있으나, 궤환채널의 추정후 역채널 모델링시에 에너지가 적은 영역에서는 오차가 더욱 커지는 한계가 있다. 아울러, 이러한 방식은 시간영역에서 상관관계연산기(Correlator)을 통해 간섭채널을 추정하게 되므로, 이러한 방식은 원 기지국과 단말 송신신호의 상관관계에 특성에 영향을 받고, 신호대 잡음비가 민감한 값을 갖게 된다. 그 결과, PARR(Peak-to-Average Power Ratio)이 높은 차수의 QAM 변조 방식이나 OFDM 변조 방식에서는 정확한 궤환채널추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도 3(a)내지(c) 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궤환간섭제거 중계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궤환간섭제거 중계장치는 하향주파수변환부(310), 궤환간섭제거부(320), 상향주파수변환부(330) 및 송신전력증폭부(340)를 포함한다.
도 3(b) 는 도 3(a)에 도시된 궤환간섭제거부(320)의 내부 구성도이다. 궤환간섭제거부(320)는 훈련시퀀스(training sequence) 생성부(321), 적응필터부(324), DA 변환부(322) 및 AD 변환부(323)를 포함한다.
TDD(Time Division Duplex) 기반 무선통신망에서 하향링크의 경우와 상향링크의 경우 궤환간섭제거부(320)의 기능을 기초로 궤환간섭제거 중계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하향링크의 경우
TDD(Time Division Duplex) 기반 무선통신망에서 기지국에서 신호를 송신하여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하향링크의 경우 궤환간섭제거 중계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훈련시퀀스생성부(321)는 RTG(Receive/Transmit Transition Gap) 구간에서(도 4(a) 및 (b) 참고, 410) 훈련시퀀스를 생성하여 송신한다. 이 구간에서, 스위치는 훈련시퀀스생성부(321)에 연결된 A 단자에 연결되고, 훈련시퀀스를 송신하고 궤환간섭채널을 추정한다. 그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 스위치는 적응필터부(324)를 연결하는 B단자에 연결되고, 이 때부터는 하향링크 송신을 수행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고한다.
훈련시퀀스생성부(321)에서 생성된 훈련시퀀스는 DA변환부(322)를 거쳐 상 향주파수변환부(330), 송신안테나(350)로 송신되고, 그 후 궤환채널을 통과하여 다시 수신안테나(300)를 통해 수신된다.
훈련시퀀스생성부(321)에서 훈련시퀀스를 생성하는 예로는, PN(Psedo-random) Gold 시퀀스 등의 높은 자기상관관계 및 지연된 신호에 대해 매우 낮은 상관관계 특성을 갖는 시퀀스를 shift register 등을 이용하거나, 미리 저장된 룩업테이블 방식의 참조테이블을 이용하여 생성하는 방법이 있다. 다만, 주의할 것은 이는 훈련시퀀스를 생성하는 일 예일뿐, 본 발명의 훈련시퀀스가 본 방식에 의한 생성방법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적응필터부(323)는 입력신호 A(n)와 궤환간섭신호 값을 추정한 신호인 추정신호 y(n)값의 차를 나타내는 오차신호(e(n))를 최소화하는 궤환채널을 추정한다.
e(n)= A(n)-y(n)
수학식 1에서, 입력신호 A(n)은 수신안테나에서 기지국신호와 실제궤환간섭신호가 섞인 신호가 AD변환을 거친 신호이다. 즉, A(n)은 궤환채널을 통과하여 수신안테나로부터 직접 수신한 후 AD변환부(323)에서 AD변환을 거친 입력신호 나타낸다.
y(n)는 훈련시퀀스 생성부(321)에서 생성한 훈련시퀀스값(x(n))을 기초로 실제궤환간섭신호 값을 예측한 추정신호이다. 따라서, 수학식 1의 과정을 통해 실제궤환간섭신호와 기지국 신호가 섞인 입력신호(A(n))에서 추정된 궤환간섭신호(y(n))를 제거함으로써 궤환간섭이 제거된 원기지국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적응필터부(324)의 내부 구성도로서, 적응필터부(324)는 벌크지연부(325), 계수가변필터부(326) 및 계수갱신연산부(327)를 포함한다.
적응필터부에서 오차신호 e(n) 를 최소로 하는 궤환채널을 추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적응 필터부(323)에서는 훈련시퀀스생성부(321)로부터 훈련시퀀스를 수신하고, 이를 참조신호 x(n)로 설정한다. 그 후 설정된 참조신호 값 x(n)을 기초로 추정신호 y(n)값을 추정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신호 x(n)은 벌크지연부(325)를 통과한후, 계수가변필터부(326)에 입력되고, 필터계수와 연산을 수행한 후 추정신호 y(n)을 출력하고, 계수갱신연산부(327)의 새로운 계수생성을 위한 연산에 이용된다. 이 경우, y(n)의 초기값 설정시 사용되는 계수값은 사용자가 설정한 값으로 한다. 다만, 이상의 초기값을 설정하는 방식은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의 변경 및 치환, 개량이 가능한 점을 유념하여야 한다.
이렇게 구해진 추정신호 y(n)값을 기초로 입력신호 A(n)값과 차이를 연산하여 오차신호 e(n)을 구하고, 그 후 오차신호 e(n)값을 기초로 계수갱신연산부(327)에서 계수값들을 갱신한후, 갱신된 계수값을 계수가변필터부(326)에 적용하여, 다시 x(n)을 기초로 y(n)값을 구한다. 이런방식으로, 궤환간섭신호를 제거해나가며 가장 작은 오차신호 e(n)을 구하여 이 때의 궤환채널을 추정한다.
계수갱신연산부(327)에서는 여러가지 적응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 일 예로써, LMS(Least Mean Squre)알고리즘을 사용하여, w(n+1)=w(n)+μ e(n)x(n)의 식으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w(n)은 적응필터 계수, μ는 갱신 스텝크기로 상수, e(n)은 오차신호, x(n)은 참조신호이다. 적응필터의 계수는 궤환채널을 모델링한다.
적응필터부는 최종적으로 가장 작은 오차신호 e(n)이 정해지면, 하향링크 송신구간(도 4(a) 및 (b) 참고)에서는 계수갱신연산을 멈추고, 스위치를 B단자로 연결시킨 후, 중계경로를 연다. 중계경로에서 하향링크 송신구간 동안에는 이미 추정된 궤환채널을 기반으로 동작한다.
2. 상향링크의 경우
TDD(Time Division Duplex) 기반 무선통신망에서 단말기에서 신호를 송신하여 기지국에서 수신하는 하향링크의 경우 궤환간섭제거 중계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상향링크에서 궤환간섭제거중계장치의 동작은 하향링크에서와 유사하나, 상향링크의 경우에는 TTG(Transmit/Receive Transition Gap) 구간을 이용한다(도 4(a) 및 (b) 참고). 수신안테나에서 수신한 단말신호와 궤환간섭신호가 섞인 입력신호에서 상향링크송신구간 이전의 TTG(420)구간에서 생성한 훈련시퀀스로부터 추정한 추정신호의 차를 출력함으로써, 궤환간섭이 제거된 원 단말신호가 출력된다.
이 과정에서, 적응필터부(324)는 하향링크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오차를 최소화하는 궤환채널을 추정하기 위해, 계수갱신을 수행하고 가장 작은 오차신호를 구한 경우 계수갱신을 멈추고 스위치를 변경하여 중계경로를 연다. 그리고, 오차신호가 가장 작은 경우의 궤환간섭이 제거된 원 단말신호를 출력한다.
도 4(a)는 TDD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전송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다.
TDD 무선통신시스템은 매 프레임마다 기지국송신의 하향링크구간과 단말송신의 상향링크구간으로 나뉘고, 각 구간의 천이시, 무신호 유휴구간으로 RTG(Receive-transmit Transition Gap)와 TTG(Transmit-receive Transition Gap)으로 구성된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궤환간섭제거방법을 이용하는 중계장치에서 송신 및 기능 동작 타이밍의 일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궤환간섭제거방법을 이용하는 중계장치는 RTG(410) 구간에서는 훈련시퀀스를 송신후, 하향링크의 궤환채널을 통과한 신호를 수신하여, 궤환채널을 추정한다. 그 후, 기설정된 RTG구간이 경과한 후, RTG구간에서 추정된 궤환채널에 해당하는 필터계수로 중계신호에 대한 필터링으로써 궤환간섭신호를 생성하여, 궤환간섭신호를 제거후 원 기지국의 하향링크신호를 중계한다.
그리고, TTG(420) 구간에서는 훈련시퀀스를 송신후, 상향링크의 궤환채널을 통과한 신호를 수신하여, 궤환채널을 추정한다. 그 후, 기설정된 TTG 구간이 경과한 후, TTG구간에서 추정된 궤환채널에 해당하는 필터계수로 중계신호에 대한 필터링으로써 궤환간섭신호를 생성하여, 궤환간섭신호를 제거후 원 기지국의 하향링크신호를 중계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궤환간섭제거장치의 블락도를 도시한다.
수신부(510)에서는 단말신호 또는 기지국신호 중 한 신호와 실제궤환간섭신 호가 혼합된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추정신호생성부(520)는 훈련시퀀스를 기초로 계수가변필터링을 통해 궤환간섭신호를 예측한 신호값인 추정신호를 생성한다. 수신부(510)에서 수신한 입력신호와 추정신호생성부(520)에서 생성한 추정신호의 차이인 오차신호 오차신호계산부(530)에서 계산한다.
갱신부는 오차신호계산부(530)에서 계산한 오차신호값을 기초로 추정신호생성부(520)에서는 계수가변필터링의 계수를 조정하여 추정신호를 다시 생성하고, 재생성된 추정신호 값을 기초로 오차신호계산부(530)에서 다시 오차신호를 구한다. 이런 반복과정을 거쳐 나온 오차신호값이 가장 작은 경우, 그 때의 채널을 궤환채널로 추정한다. 즉, 이 때의 오차신호값은 궤환간섭신호가 제거된 단말신호 또는 기지국 신호가 되는 것이다.
도 6 은 기존의 상관관계방법과 본 발명에 따른 궤환간섭제거방법에 따른 경우 궤환채널의 추정오차를 도시한다.
도 6 에서 가로축은 궤환채널의 시간영역을 표시하는 시간, 세로축은 시간영역별 크기에 대한 오차인, 추정된 궤환채널에 대한 오차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방법에 비해 본 발명은 오차가 상당히 작다.
도 7 은 백색잡음 환경하에서 기존의 상관관계방법과 본 발명에 따른 궤환간섭제거방법의 추정오차에 대한 신호대잡음비를 도시한다.
궤환채널의 백색잡음 환경하에서의 궤환간섭제거에 대한 성능 비교로, 가로축은 백색잡음에 대한 신호대잡음비이고, 세로축은 궤환간섭제거후 원신호대간섭제거오차에 대한 신호대잡음비이다. 궤환채널의 신호대잡음비에 관계 없이 본 발명 의 성능이 우수함을 나타내고 있고, 신호대잡음비가 커질수록 성능이 향상됨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TDD 기반 무선통신망에서 단순신호증폭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중계장치의 블락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상관관계분석에 기초하여 궤환간섭을 제거하는 중계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a)내지(c) 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궤환간섭제거 중계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a)는 TDD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전송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궤환간섭제거방법을 이용하는 중계장치에서 송신 및 기능 동작 타이밍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궤환간섭제거장치의 블락도를 도시한다.
도 6 은 기존의 상관관계방법과 본 발명에 따른 궤환간섭제거방법에 따른 경우 궤환채널의 추정오차를 도시한다.
도 7 은 백색잡음 환경하에서 기존의 상관관계방법과 본 발명에 따른 궤환간섭제거방법의 추정오차에 대한 신호대잡음비를 도시한다.

Claims (5)

  1. TDD 기반 무선통신망에서 수행되는 궤환간섭제거방법으로서,
    단말신호 또는 기지국신호 중 한 신호와 실제궤환간섭신호가 혼합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훈련시퀀스를 기초로 계수가변필터링을 통해궤환간섭신호를 예측한 신호값인 추정신호를 생성하는 추정신호생성단계;
    상기 입력신호에서 상기 추정신호의 차인 오차신호를 계산하는 오차신호계산단계; 및
    상기 오차신호를 기초로 상기 계수가변필터링에 사용되는 계수값을 갱신하는 갱신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실제궤환간섭신호와 상기 기지국신호가 혼합된 입력신호를 수신한 경우, TTG(Transmit/Receive Transition Gap) 구간 또는 RTG(Receive/Transmit Transition Gap) 구간에서 상기 각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환간섭제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된 계수값을 기초로 상기 오차신호가 가장 작은 값이 나올 때까지 상기 추정신호생성단계와 상기 오차신호계산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경우 상기 오차신호가 가장 작은 값이란 상기 입력신호에서 상기 오차신호를 뺀 값이 상기 단말신호 또는 기지국신호 중 한 신호와 가장 가까운 신호인 경우의 상기 오차신호값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환간섭제거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DD(Time Division Duplex) 기반 무선통신망은
    하향링크와 상향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향링크의 경우 상기 TTG(Transmit/Receive Transition Gap) 구간을 이용하는 궤환간섭제거방법.
KR1020080048770A 2008-05-26 2008-05-26 궤환간섭제거 방법 KR100969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770A KR100969168B1 (ko) 2008-05-26 2008-05-26 궤환간섭제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770A KR100969168B1 (ko) 2008-05-26 2008-05-26 궤환간섭제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2796A KR20090122796A (ko) 2009-12-01
KR100969168B1 true KR100969168B1 (ko) 2010-07-14

Family

ID=41685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770A KR100969168B1 (ko) 2008-05-26 2008-05-26 궤환간섭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1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8816B1 (ko) * 2020-12-29 2022-06-15 주식회사 다빈시스템스 Tdd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간섭 제거 중계기 및 그것을 위한 채널 추정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4854A (ko) * 1997-06-03 2000-11-06 다치카와 게이지 어댑티브어레이송수신기
KR20080041409A (ko) * 2006-11-07 2008-05-13 (주)에어포인트 등화기가 포함된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를 이용한 무선중계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4854A (ko) * 1997-06-03 2000-11-06 다치카와 게이지 어댑티브어레이송수신기
KR20080041409A (ko) * 2006-11-07 2008-05-13 (주)에어포인트 등화기가 포함된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를 이용한 무선중계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2796A (ko) 200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9003B2 (ja) 干渉キャンセル・リピータにおける大信号変動の存在下のチャネル推定枝刈り
KR101295122B1 (ko) 다중반송파 시스템에서 채널계수 예측기법을 통한 반향제거기 추정/적응 방법 및 장치
WO20181833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ly-tunded digital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KR20060042106A (ko) 무선 중계 시스템, 무선 중계 장치 및 무선 중계 방법
KR101429705B1 (ko) 평준화기를 이용한 ics 중계기의 간섭제거장치 및 방법
KR20100021383A (ko) Ofdm기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동일 주파수 릴레이 및 리피터의 자기간섭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KR102331100B1 (ko) 반복 추정에 기반한 자기간섭신호 추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206846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n echo signal in a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apparatus of a communication system
CN102739578A (zh) 一种回波干扰抑制方法、装置及终端
US20100124289A1 (en) Transmission suppression
JP2012527182A (ja) 無線リピータのための周波数領域チャネル推定におけるici/isi誤差の除去
CN110868235A (zh) 一种自适应干扰抵消控制装置、系统及方法
KR101040671B1 (ko) 무선 통신 환경에서 ics 중계기를 위한 적응형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0969168B1 (ko) 궤환간섭제거 방법
KR102291145B1 (ko) 전이중 통신 시스템의 자기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0748642B1 (ko) 이동 통신 중계기의 간섭 신호 제거 방법
JP2003218827A (ja) 受信装置および伝送路推定方法
KR100941491B1 (ko) 다중 안테나를 이용한 반향신호 제거 및 에코채널 추정시스템
KR101443514B1 (ko) 무선통신 기기 내의 공존 간섭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iayani et al. Active RF cancellation with closed-loop adaptation for improved isolation in full-duplex radios
KR100976726B1 (ko) 동일채널 중계장치 및 그 방법
KR101058734B1 (ko) 통신 시스템의 신호 송수신 장치에서 반향 신호 제거 장치 및 방법
KR20130054305A (ko) Ics 중계기의 간섭 제거 방법
KR101584481B1 (ko) 전이중 방식의 통신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203955B1 (ko) 선택적 평준화기를 이용한 ics중계기의 간섭제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