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145B1 - 전이중 통신 시스템의 자기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이중 통신 시스템의 자기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145B1
KR102291145B1 KR1020200020595A KR20200020595A KR102291145B1 KR 102291145 B1 KR102291145 B1 KR 102291145B1 KR 1020200020595 A KR1020200020595 A KR 1020200020595A KR 20200020595 A KR20200020595 A KR 20200020595A KR 102291145 B1 KR102291145 B1 KR 102291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nalog
interference
digital
duplex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인웅
박재돈
박종성
김태훈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200020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145B1/ko
Priority to US17/177,005 priority patent/US1153315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4Circuits using the same frequency for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04B1/56Circuits using the same frequency for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with provision for simultaneous communication in two dir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04B1/52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 H04B1/525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with means for reducing leakage of transmitter signal in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27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assessing signal quality or detecting noise/interference for the receiv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2Neutralising, balancing, or compen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2Neutralising, balancing, or compensation arrangements
    • H04B1/123Neutralising, balancing, or compensation arrangements using adaptive balancing or compensation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1Suppression of signals in the return path, i.e. bidirectional control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의 자기 간섭 제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 안테나, 아날로그 제거 회로를 구성하는 소자 값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아날로그 제거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송신 신호에 포함된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 아날로그 제거부 및 상기 송신 신호에 포함된 잔류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 디지털 제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이중 통신 시스템의 자기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DEVICE FOR SELF INTERFERENCE CANCELLATION OF FULL DUPLEX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 OF}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의 자기 간섭 제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 증폭기의 비선형성을 고려한 통신 시스템의 자기 간섭 제거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이중 통신 시스템은 송신기 및 수신기가 같은 대역에서 동시에 송신과 수신을 수행하여 채널 용량을 2배 가깝게 증가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채널 용량을 증가시키는 전이중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기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자기 간섭 신호의 제거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종래의 자기 간섭 신호의 제거 방식은, 송신기로부터 제공된 송신 신호와 자기 간섭 신호와의 차이로부터 자기 간섭 채널 특성을 추정하고, 추정된 자기 간섭 채널 특성을 이용하여 생성한 자기 간섭 신호의 추정 값을 수신 신호에서 제거함으로써 자기 간섭 신호를 제거한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자기 간섭 신호의 제거 방식은 아날로그 회로를 이용한 방식과 디지털 신호처리를 이용한 방식을 함께 사용한다.
아날로그 자기 간섭 제거 방식을 이용하면, 송수신 안테나부의 신호 누출 및 다중 경로 채널을 포함하는 선형 자기 간섭 채널을 추정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후, 아날로그 자기 간섭을 제거한 잔류 자기 간섭 신호는 수신부에서 하향 변환 및 디지털로 변환되어 디지털 도메인에서 추가 제거된다.
이때, 수신기에 주어지는 송신 신호는 전력 증폭기를 거친 뒤 전력 증폭기의 비선형적 특성에 의하여 비선형을 나타내며, 디지털 자기간섭 제거 방법을 이용하여 신호의 비선형성을 고려하여 자기 간섭을 제거한다.
그러나 종래의 자기 간섭 제거 방식은 전력 증폭기에 의한 신호의 비선형성이 함께 자기 간섭 채널에 포함되어 추정되며, 전체 전이중 통신 시스템의 자기 간섭 제거 방식의 성능이 감소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실시예는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자기 간섭 제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은, 능동 아날로그 자기 간섭 제거 과정에서 전력 증폭기의 비선형성에 의한 송신 신호의 왜곡이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자기 간섭 제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은, 능동 아날로그 자기 간섭 제거과정에서 수행하는 자기 간섭 채널 추정 결과에 전력 증폭기의 비선형성에 의한 신호 왜곡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전체 자기 간섭 제거 성능을 향상하기 위함이다.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의 자기 간섭 제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는, 송신 신호에 대응되는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 안테나, 아날로그 제거 회로를 구성하는 소자 값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아날로그 제거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수신 신호에 포함된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 아날로그 제거부 및 상기 수신 신호에 포함된 잔류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 디지털 제거부를 포함한다.
실시예는, 상기 아날로그 제거 회로의 임펄스 응답을 측정하여 상기 아날로그 제거 회로를 구성하는 소자 값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소자 값을 이용하여 상기 간섭 신호를 추정하는 아날로그 제거부를 포함한다.
실시예는, 상기 수신된 수신 신호에서 상기 추정된 간섭 신호를 제거하여 상기 디지털 제거부에 전송하는 아날로그 제거부를 포함한다.
실시예는, 상기 송수신 안테나에서 송출한 파일럿 신호(pilot signal)와 상기 주파수 하향 변환된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잔류 간섭 신호를 추정하는 디지털 제거부를 포함한다.
실시예는, 상기 간섭 신호가 제거된 수신 신호에서 상기 잔류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 디지털 제거부를 포함한다.
실시예는, 상기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변조부 및 상기 생성된 송신 신호를 증폭하고 주파수 상향 변환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는, 상기 송신 신호와 상기 잔류 간섭 신호가 제거된 수신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송신 신호의 선형 성분을 분리하는 연산을 수행하는 디지털 제거부를 포함한다.
실시예는, 상기 분리된 선형 성분을 입력 받아 상기 소자의 값을 설정하도록 연산을 수행하는 조정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아날로그 제거부를 포함한다.
실시예는, 송수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송신 신호에 대응되는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아날로그 제거부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제거 회로를 구성하는 소자 값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아날로그 제거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수신 신호에 포함된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 단계 및 디지털 제거부는 상기 수신 신호에 포함된 잔류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중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실시예는, 상기 수신된 수신 신호에 포함된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 단계에서, 상기 아날로그 제거 회로의 임펄스 응답을 측정하여 상기 아날로그 제거 회로를 구성하는 소자 값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소자 값을 이용하여 상기 간섭 신호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간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서 상기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는, 상기 수신된 수신 신호에서 상기 추정된 간섭 신호를 제거하고 주파수 하향 변환하여 상기 디지털 제거부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는, 상기 수신 신호에 포함된 잔류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 단계에서,
상기 송수신 안테나에서 송출한 파일럿 신호(pilot signal)와 상기 주파수 하향 변환된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잔류 간섭 신호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는, 상기 수신 신호에 포함된 잔류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 단계에서, 상기 추정된 잔류 간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주파수가 하향 변환된 수신 신호에서 상기 잔류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는, 변조부가 상기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송신부가 상기 생성된 송신 신호를 증폭하고 주파수 상향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는, 상기 아날로그 제거부는 아날로그 제거 회로를 구성하는 소자 값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디지털 제거부가 변조부에 의해 변조된 신호와 수신부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송신부 내 전력 증폭기의 출력 중 선형 성분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는, 상기 아날로그 제거부는 아날로그 제거 회로를 구성하는 소자 값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아날로그 제거부가 상기 분리된 선형 성분을 입력 받아 상기 소자 값을 설정하도록 연산을 수행하도록 조정 알고리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자기 간섭 제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은, 능동 아날로그 자기 간섭 제거 과정에서, 전력 증폭기의 비선형성에 의한 송신 신호의 왜곡이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자기 간섭 제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은, 능동 아날로그 자기 간섭 제거과정에서 수행하는 자기 간섭 채널 추정 결과에 전력 증폭기의 비선형성에 의한 신호 왜곡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전체 자기 간섭 제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능동 아날로그 자기간섭 제거 과정에서 수행하는 자기간섭 채널 추정결과에 전력 증폭기의 비선형성에 의한 신호 왜곡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전체 자기간섭 제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이중 통신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이중 통신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전이중 통신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제거부에서 간섭신호를 추정하고 제거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제거부에서 잔류 간섭신호를 추정하고 제거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간섭제거 단계를 이용한 아날로그 간섭 제거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기 간섭 제거 제어 방법의 실험 결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이중 통신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이중 통신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전이중 통신장치(1)는 송신기 및 수신기가 같은 대역에서 동시에 송신과 수신을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전이중 통신장치(1)는 변조부(10), 송신부(20), 송수신 안테나(30), 아날로그 제거부(40), 수신부(50), 디지털 제거부(60), 복조부(70)로 구성된다.
변조부(10)는, 기저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생성한다.
송신부(20)는, 상기 변조부(10)에서 생성된 기저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증폭하고 주파수 상향 변환한다.
송수신 안테나(30)는, 상기 송신부(20)에서 증폭되고, 주파수 상향 변환된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아날로그 제거부(40)는, 송수신 안테나(30)에 수신된 수신 신호에 포함된 자기 간섭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송수신 안테나(30)에서 송출된 신호는 송수신 안테나(30) 내부에서 신호의 누출과 다중경로에 의해 왜곡되어 상기 송수신 안테나(30)에 수신된 자기 간섭 신호가 실제 수신이 요구되는 신호와 함께 수신된다.
수신부(50)는, 상기 자기 간섭 신호가 제거된 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하여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디지털 제거부(60)는, 상기 자기 간섭 신호가 제거된 수신 신호에 포함된 잔류 자기 간섭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복조부(70)는, 상기 잔류 자기 간섭 신호가 제거된 신호를 복조한다. 또한, 변조부(10)에서 생성된 기저 대역의 신호를 곧바로 수신하여 잔류 자기 간섭 신호가 제거된 후 복조된 신호와 비교할 수 있다.
이하,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이중 통신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이중 통신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단계(S210)에서는, 아날로그 제거부(40)를 구성하는 아날로그 회로 자체의 임펄스 응답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송신부(20), 송수신 안테나(30), 수신부(50)와 연결하지 않고 아날로그 제거부(40)를 구성하는 아날로그 회로 자체의 임펄스 응답을 측정한다.
단계(S211)에서는, 자기 간섭 채널 추정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송출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송신부(20), 송수신 안테나(30), 수신부(50)을 아날로그 제거부(40)에 연결한 후에 자기 간섭 채널 추정을 위한 1개의 파일럿 프레임과
Figure 112020017860750-pat00001
개의 데이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변조부(10)에서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를 송신부(20)에서 주파수 상향 변환하여 송수신 안테나(30)에서 송출한다.
단계(S212)에서는, 상기 측정된 임펄스 응답과 상기 자기 간섭 채널 추정을 위한 1개의 파일럿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아날로그 회로를 구성하는 능동 소자값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이중 통신장치(1)를 구성하는 전체 회로를 구성한 후 채널 추정을 위한 상기 1개의 파일럿 신호와 상기 측정된 임펄스 응답을 이용하여 상기 아날로그 회로를 구성하는 능동 소자값을 설정한다. 이때, 상기 능동 소자는 시간 지연기, 감쇄기, 이상기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시간 지연기의 값은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단계(S213)에서는, 상기 아날로그 제거부(40)는 자기 간섭 신호를 추정하고 상기 수신된 송신 신호에서 제거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변조부(10)에서 생성된 신호는 송수신 안테나(30)에서 수신될 때 자기 간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날로그 제거부(40)는 상기 설정된 능동 소자값을 이용하여 자기 간섭 신호를 추정하고, 상기 송수신 안테나(30)에서 수신된 신호에서 상기 추정된 자기 간섭 신호를 제거한다.
단계(S214)에서는, 상기 자기 간섭 신호가 제거된 신호를 수신부(50)에서 기저대역 신호로 주파수 하향 변환한다.
단계(S215)에서는, 디지털 제거부(60)에서 잔류 자기 간섭을 제거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아날로그 제거부(40)에서 상기 자기 간섭이 1차적으로 제거된 후에도 상기 수신 신호에는 잔류 자기 간섭이 존재한다. 즉, 상기
Figure 112020017860750-pat00002
개의 데이터 프레임에서 디지털 제거부(60)에서 추정한 잔여 자기 간섭을 제거한다.
단계(S216)에서는, 복조부(70)에서 상기 잔여 자기 간섭이 제거된 신호를 복조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도2에 다른 전이중 통신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전이중 통신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변조부(310)는 기저 대역의 디지털 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03
)를 생성한다.
송신부(320)는 상기 생성된 디지털 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04
)를 증폭 및 주파수가 상향 변환한 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05
)를 생성한다.
송수신 안테나(330)는 상기 변환된 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06
)를 공기 중으로 송출한다.
송수신 안테나(330) 내부의 신호 누출과 다중경로에 의한 왜곡된 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07
)가 다시 송수신 안테나(330)에 수신된다. 상기 수신된 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08
)에는 자기 간섭 신호가 실제 수신이 요구되는 신호와 함게 수신된다.
아날로그 제거부(340)는, 상기 수신된 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09
)에서 자기 간섭 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10
)를 제거한다.
수신부(350)는, 상기 자기 간섭 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11
)가 제거된 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12
)의 주파수를 하향 변환하여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13
)로 변환한다.
디지털 제거부(360)는, 상기 변환된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14
)에 포함된 잔류 자기 간섭 신호를 제거한 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15
)를 생성하여 복조부(370)에 전송한다.
복조부(370)는 상기 전송된 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16
)에서 송신한 신호를 복조한다.
이하,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제거부에서 자기 간섭 신호를 추정하고 제거하는 단계를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제거부에서 자기 간섭 신호를 추정하고 제거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아날로그 제거부에서 자기 간섭 신호를 추정하는 방법에서 송신 신호와 자기 간섭 신호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설명한다.
송수신 안테나의 출력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17
)는 [수학식 1]로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20017860750-pat00018
이때,
Figure 112020017860750-pat00019
는 수신 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20
는 자기 간섭 채널 임펄스 응답,
Figure 112020017860750-pat00021
는 전력 증폭기의 출력 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22
는 백색잡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아날로그 제거부에서 자기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 단계에서는 수신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23
)는 없이 자기 간섭 신호만 있는 상황임을 가정한다. 이는 송신부, 송수신 안테나, 수신부와 연결하지 않고 아날로그 제거부를 구성하는 아날로그 회로 자체의 임펄스 응답을 측정함을 의미한다.
이때, 송수신 안테나 출력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24
)는 [수학식 2]로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20017860750-pat00025
또한, 아날로그 제거부를 구성하는 회로는 시간 지연기, 감쇠기, 이상기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시간 지연기의 값은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단계(S410)에서, 시간 영역의 자기 간섭 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26
)의 채널을 추정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날로그 제거부에서 추정할 자기 간섭 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27
)는 시간 영역에서 [수학식 3]로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20017860750-pat00028
Figure 112020017860750-pat00029
는 아날로그 제거 회로를 모사한 자기 간섭 채널 임펄스 응답,
Figure 112020017860750-pat00030
는 시간 지연기 값,
Figure 112020017860750-pat00031
는 감쇠기 값,
Figure 112020017860750-pat00032
는 이상기 값,
Figure 112020017860750-pat00033
는 전체 탭 수를 의미한다.
단계(S420)에서, 상기 시간 영역의 자기 간섭 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34
)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컨벌루션의 연산없이, 아날로그 제거 회로를 모사한 자기 간섭 채널 임펄스 응답 (
Figure 112020017860750-pat00035
)을 추정하기 위하여 [수학식 3]을 [수학식 4]의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112020017860750-pat00036
Figure 112020017860750-pat00037
Figure 112020017860750-pat00038
의 푸리에 트랜스폼 변환,
Figure 112020017860750-pat00039
Figure 112020017860750-pat00040
의 푸리에 트랜스폼 변환,
Figure 112020017860750-pat00041
Figure 112020017860750-pat00042
의 푸리에 트랜스폼 변환한 주파수 영역의 신호이다.
또한,
Figure 112020017860750-pat00043
는 시간 지연기 값,
Figure 112020017860750-pat00044
는 감쇠기 및 이상기 값(
Figure 112020017860750-pat00045
,
Figure 112020017860750-pat00046
) 의 주파수 영역의 표현이다.
시간 지연기 값(
Figure 112020017860750-pat00047
)의 주파수 영역(
Figure 112020017860750-pat00048
)는 [수학식 5]로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112020017860750-pat00049
또한, 감쇠기 및 이상기 값의 주파수 영역(
Figure 112020017860750-pat00050
)는 [수학식 6]로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6]
Figure 112020017860750-pat00051
이때, 시간 지연기 값의 주파수 영역 값(
Figure 112020017860750-pat00052
)을 고정하면, [수학식6]은 [수학식 7]로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7]
Figure 112020017860750-pat00053
이때,
Figure 112020017860750-pat00054
이며, K는 주파수 샘플링의 해상도를 결정하는 푸리에 트랜스폼의 크기이다.
[수학식 7]의 해를 이용하여 감쇠기와 이상기의 값을 설정하는 식을 [수학식 8]로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8]
Figure 112020017860750-pat00055
[수학식 8]에서,
Figure 112020017860750-pat00056
Figure 112020017860750-pat00057
의 모든 원소들에 켤레복소수(conjugate)를 취한 벡터이다.
단계(S430)에서, 시간 지연기 모델을 아날로그 제거 회로의 임펄스 응답으로 대체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날로그 제거 회로의 실제 채널 임펄스 응답이 회로를 구성하는 능동소자의 단순한 선형 모델인 수학식 3 ~ 수학식 6과는 차이가 있다.
즉, 시간 지연기 값(
Figure 112020017860750-pat00058
)을 일정한 값으로 고정한 아날로그 제거 회로의 채널 임펄스 응답이 실제 회로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수학식 3]의
Figure 112020017860750-pat00059
과 동일하지 않다.
따라서, 능동적으로 자기 간섭 채널의 변화에 따라 소자 값을 설정하는 감쇠기와 이상기에 해당하는 모델인 [수학식 6]이 아닌 시간 지연기 모델 [수학식 7]을 아날로그 제거 회로의 임펄스 응답 측정 값으로 대체한다.
또한, 감쇠기, 이상기 값은 1과 0으로 설정하여, 자기 간섭 제거를 위한 값 조정 이전 상태의 주파수 응답 측정을 한다.
또한, 파일럿 프레임과 실 데이터로 구성된 데이터 프레임들을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송출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감쇠기, 이상기의 값을 설정한 뒤 변조부에서 1개의 파일럿 프레임과
Figure 112020017860750-pat00060
개의 실 데이터로 구성된 데이터 프레임들을 송신부와 송수신 안테나부를 통하여 송출한다.
이하, 상기 송출된 1개의 파일럿 프레임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제거부에서 자기 간섭 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61
)의 추정 과정을 설명한다.
단계(S440)에서, 자기 간섭 채널 주파수의 응답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측정된 아날로그 제거 회로의 주파수 응답을
Figure 112020017860750-pat00062
라 하면, [수학식 7]을 [수학식 9]로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9]
Figure 112020017860750-pat00063
이때,
Figure 112020017860750-pat00064
는 [수학식 10]로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10]
Figure 112020017860750-pat00065
또한,
Figure 112020017860750-pat00066
는 [수학식 11]로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11]
Figure 112020017860750-pat00067
또한,
Figure 112020017860750-pat00068
는 [수학식 12]로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12]
Figure 112020017860750-pat00069
[수학식 10] ~ [수학식 12]를 이용하여 [수학식 9]의 최소 제곱법 해를 계산한 결과식은 [수학식 13]로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13]
Figure 112020017860750-pat00070
이때, 자기 간섭 채널 주파수 응답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71
의 추정은 이상적으로는 자기 간섭 채널의 입력 신호인 송신부 출력(
Figure 112020017860750-pat00072
)와 송수신 안테나부 출력 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73
)의 차이를 자기 간섭 채널로 정의함으로 시작되어야 하나, 아날로그 도메인의 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 응답의 신호처리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변조부의 디지털 도메인 기저대역 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74
)와 수신부 출력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75
)의 차이를 자기 간섭 채널로 정의하여 자기 간섭 신호를 추정한다.
이때, 변조부의 디지털 도메인 기저대역 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76
)의 주파수 변환된 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77
)와 수신부 출력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78
)의 주파수 변환된 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79
)를 이용하여 자기 간섭 채널 주파수 응답을 추정한다. 이하, [수학식 14]로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14]
Figure 112020017860750-pat00080
단계(S450)에서, 감쇠기와 이상기의 값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학식 14]로부터 계산한
Figure 112020017860750-pat00081
를 [수학식 13]에 대입하여 아날로그 제거 회로를 구성하는 이상기, 감쇠기의 값을 설정한다.
이하,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제거부에서 자기 간섭 신호를 추정하고 제거하는 단계를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제거부에서 잔여 자기 간섭 신호를 추정하고 제거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단계(S510)에서, 파일럿 프레임과 실 데이터로 구성된 데이터 프레임들을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송출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감쇠기, 이상기의 값을 설정한 뒤 변조부에서 1개의 파일럿 프레임과
Figure 112020017860750-pat00082
개의 실 데이터로 구성된 데이터 프레임들을 송신부와 송수신 안테나부를 통하여 송출한다. 상기 송출 과정은 도2의 단계(S211)과 동일한 과정으로서, 아날로그 제거부에서의 자기 간섭 신호를 추정하거나 디지털 제거부에서 잔류 자기 간섭 신호를 추정하는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아날로그 제거부를 거친 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83
)는 수신부를 거쳐 기저대역 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84
)가 생성된다.
수신부 출력의 기저대역 시간영역 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85
)에는 잔여 자기 간섭 신호와 송신부 내부 전력 증폭기의 혼변조(intermodulation)특성에 의한 비선형 신호 왜곡이 포함되어 있다.
이때, PH(Parallel Hammerstein)모델링을 적용하여 잔여 자기 간섭 신호를 추정하여 제거한다.
단계(S520)에서, 송출 신호에서 비선형성을 포함하는 성분을 분리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송신부 내부 전력 증폭기 출력(
Figure 112020017860750-pat00086
)의 비 선형성은 [수학식 15]로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15]
Figure 112020017860750-pat00087
[수학식 15]에서 모든 신호는
Figure 112020017860750-pat00088
와 같이 정의된 이산신호이며,
Figure 112020017860750-pat00089
Figure 112020017860750-pat00090
는 각각 상기 PH모델에서 P차 혼변조 성분에 대한 유한 필터 임펄스 응답(FIR, finite filter impulse response)계수와 PH모델의 최고차 값이다.
즉,
Figure 112020017860750-pat00091
는 송신부 입력 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92
)의 홀수차 항의 선형 결합으로 구성되며, 자기 간섭 신호가 아날로그 제거부에서 일차 제거된 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093
) 또한 PH 모델링할 수 있다. 이하 [수학식 16]로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16]
Figure 112020017860750-pat00094
이때,
Figure 112020017860750-pat00095
는 자기 간섭 채널을 아날로그 제거 회로에서 일차 제거한 후의 채널 임펄스 응답과
Figure 112020017860750-pat00096
의 컨볼루션으로 정의한다.
Figure 112020017860750-pat00097
단계(S530)에서, 잔여 자기 간섭 신호를 추정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PH모델링된
Figure 112020017860750-pat00098
신호에서 디지털 제거부를 통해 잔여 자기 간섭을 제거한 신호벡터(
Figure 112020017860750-pat00099
)는 [수학식 17]로 정의한다.
[수학식 17]
Figure 112020017860750-pat00100
이때, 관련된 행렬과 벡터를 [수학식 18]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8]
Figure 112020017860750-pat00101
이때, 벡터 g는 디지털 간섭 제거부에서 추정해야 할 아날로그 간섭 제거 이후의 잔여 간섭 채널 성분과 전력 증폭기에서 발생한 비선형 신호 왜곡 성분이 결합 되어있다.
특히, 벡터g를 구성하는 벡터
Figure 112020017860750-pat00102
중 첫 번째 벡터
Figure 112020017860750-pat00103
는 전력 증폭기 출력 중 선형 출력 성분이다.
또한, 나머지,
Figure 112020017860750-pat00104
는 전력 증폭기 출력 중 혼변조에 의한 비선형 성분이다.
잔여 자기간섭 신호를 최소화하도록 벡터g를 추정하는 문제는 [수학식19]로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19]
Figure 112020017860750-pat00105
또한, 상기 [수학식 19]에 따라 해를 구하는 식은 [수학식 20]로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20]
Figure 112020017860750-pat00106
이때, [수학식 20]의 추정 결과인 벡터
Figure 112020017860750-pat00107
를 [수학식 17]에 대입하여 최종 자기간섭 제거 신호인
Figure 112020017860750-pat00108
를 생성한다.
또한, 벡터
Figure 112020017860750-pat00109
를 생성하는 과정에는 이 과정을 위해 준비된 별도의 파일럿 프레임을 이용하여 수행하며, 상기 생성된 벡터
Figure 112020017860750-pat00110
는 디지털 제거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후 자기 간섭 채널의 변화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발생하기 전까지 변경하지 않고 시스템에서 정한 숫자의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디지털 자기간섭 제거 과정에 사용된다.
또한,
Figure 112020017860750-pat00111
를 추정하는 빈도는 시스템이 운용되는 채널 환경에 따라서 설계할 수 있다.
단계(S510)에서, 상기 추정된 잔여 자기 간섭신호를 디지털 제거부에서 제거한다.
이하,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간섭제거 단계를 이용한 아날로그 간섭제거 단계를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간섭제거 단계를 이용한 아날로그 간섭제거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날로그 간섭 제거부에서 자기 간섭 채널의 추정에 있어서 상기 [수학식 14]에 따른 모델은 전력 증폭기에 의한 비선형 신호왜곡이 채널추정 결과에 포함된다.
따라서, 전력 증폭기에 의한 신호 왜곡을 포함시키지 않고 자기 간섭 채널의 추정을 하기 위하여 디지털 제거부의 출력이 선형 성분과 비 선형 성분의 분리가 가능한 형태로
Figure 112020017860750-pat00112
를 추정하는 특성을 이용한다.
단계(S610)에서, 시간 영역의 변조부의 출력 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113
)와 수신부의 출력 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114
)를 디지털 제거부에 입력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학식 14]는 자기간섭 채널의 추정을 기저대역 주파수 영역 디지털 신호인 변조부의 출력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115
)와 수신부 출력 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116
)를 이용하나, 같은 신호의 시간 영역 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117
Figure 112020017860750-pat00118
를 디지털 제거부에 입력하여 [수학식 19]를 [수학식 20]과 같이 풀어낸다.
[수학식 18]의 g의 정의에 의하면 g의 첫 번째 (Q+R+1)개 원소들(
Figure 112020017860750-pat00119
)은 PH모델에서
Figure 112020017860750-pat00120
의 계수인 선형 채널 응답의 추정 값이며, g의 남은 원소들은
Figure 112020017860750-pat00121
의 홀수 차의 비 선형 채널 응답에 해당한다.
단계(S620)에서, 변수 g의 성분 중 선형 채널 응답의 추정 값을 아날로그 제거부의 조정 알고리즘으로 전달한다.
이때, 디지털 제거부에서
Figure 112020017860750-pat00122
을 추정하여 아날로그 제거부의 조정 알고리즘으로 전달하면, 상기 조정 알고리즘은
Figure 112020017860750-pat00123
을 주파수 신호(
Figure 112020017860750-pat00124
)로 변환한 뒤 [수학식 13]의
Figure 112020017860750-pat00125
에 대입한다.
단계(S630)에서, 상기 [수학식 13]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제거 회로의 감쇄기와 이상기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하,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기 간섭 제거 제어 방법의 실험 결과를 설명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기 간섭 제거 제어 방법의 실험 결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전력 증폭기의 비선형성이 매우 작은 p1값이 23 dB인 경우 자기 간섭 제거 성능에 있어서, 기존의 방식(Conventional Method)과 본 발명의 자기 간섭 제거 방법(Digital NL SIC Aided Method)의 차이가 매우 작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존 방식의 아날로그 자기 간섭 제거 방법을 이용하면, 74.4660dB을 제거할 수 있으며, 디지털 비선형 자기 간섭 제거 방법을 이용하면, 40.7658dB을 제거하여, 총 115.2318dB의 자기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아날로그 자기 간섭 제거 방법을 이용하면, 72.8964dB을 제거할 수 있으며, 디지털 비선형 자기 간섭 제거 방법을 이용하면, 42.7331dB을 제거하여, 총 115.6295dB의 자기 간섭을 제거하여 기존의 방식과 본 발명의 자기 간섭 제거 방법의 차이가 적음을 알 수 있다.
다만, p1값이 5dB인 경우 자기 간섭 제거 성능에 있어서, 기존 방식의 경우 비선형 왜곡 성분이 유입되어 자기 간섭 제거 성능이 감소하며, 본 발명의 자기 간섭 제거 방법은 비 선형성이 증가하더라도 강건한 자기간섭 제거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존 방식의 아날로그 자기 간섭 제거 방법을 이용하면, 37.0702dB을 제거할 수 있으며, 디지털 비선형 자기 간섭 제거 방법을 이용하면, 10.8983dB을 제거하여, 총 47.9684dB의 자기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아날로그 자기 간섭 제거 방법을 이용하면, 73.0662dB을 제거할 수 있으며, 디지털 비선형 자기 간섭 제거 방법을 이용하면, 42.0396dB을 제거하여, 총 115.1057dB의 자기 간섭을 제거하여 비 선형성이 증가하더라도 강건한 자기간섭 제거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실시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실시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예시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실시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실시예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1: 전이중 통신장치
10: 변조부
20: 송신부
30: 송수신 안테나
40: 아날로그 제거부
50: 수신부
60: 디지털 제거부
70: 복조부
310: 변조부
320: 송신부
330: 송수신 안테나
340: 아날로그 제거부
350: 수신부
360: 디지털 제거부
370: 복조부

Claims (16)

  1. 송수신 안테나;
    변조된 신호를 전력 증폭기로 증폭하여 상기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전이중 통신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송신부;
    아날로그 제거 회로를 구성하는 소자 값을 설정하고, 상기 송신부의 출력 신호와 상기 송수신 안테나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아날로그 제거 회로가 상기 송수신 안테나의 출력 신호에서 상기 설정된 소자 값에 대응하여 간섭 신호를 제거해 출력하는 아날로그 제거부; 및
    상기 아날로그 제거부의 출력 신호를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의 출력 신호에 포함된 잔류 간섭 신호를 제거해 출력하는 디지털 제거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지털 제거부는 상기 변조된 신호와 상기 수신부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의 출력 중 선형 성분을 추정하고,
    상기 아날로그 제거부는 상기 추정된 선형 성분에 기초하여 상기 소자 값을 설정하는
    전이중 통신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제거부는,
    상기 송수신 안테나에서 송출한 파일럿 신호(pilot signal)와 상기 수신부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잔류 간섭 신호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중 통신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제거부는,
    상기 변조된 신호의 시간 영역 신호와 상기 수신부의 출력 신호의 시간 영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선형 성분을 추정하는 연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중 통신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제거부는,
    상기 추정된 선형 성분을 주파수 신호로 변환한 후, 변환된 선형 성분에 기초하여 상기 소자의 값을 설정하도록 연산을 수행하는 조정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중 통신 장치.
  9. 전이중 통신 장치에서 수행하는 전이중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전이중 통신 장치는,
    송수신 안테나;
    변조된 신호를 전력 증폭기로 증폭하여 상기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전이중 통신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송신부;
    아날로그 제거 회로를 구성하는 소자 값을 설정하고, 상기 송신부의 출력 신호와 상기 송수신 안테나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아날로그 제거 회로가 상기 송수신 안테나의 출력 신호에서 상기 설정된 소자 값에 대응하여 간섭 신호를 제거해 출력하는 아날로그 제거부; 및
    상기 아날로그 제거부의 출력 신호를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의 출력 신호에 포함된 잔류 간섭 신호를 제거해 출력하는 디지털 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이중 통신 방법은,
    상기 디지털 제거부가 상기 변조된 신호와 상기 수신부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의 출력 중 선형 성분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아날로그 제거부가 상기 추정된 선형 성분에 기초하여 상기 소자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이중 통신 장치의 전이중 통신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성분을 추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디지털 제거부가 상기 변조된 신호의 시간 영역 신호와 상기 수신부의 출력 신호의 시간 영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선형 성분을 추정하는 연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중 통신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 값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아날로그 제거부가 상기 추정된 선형 성분을 주파수 신호로 변환한 후, 변환된 선형 성분에 기초하여 상기 소자 값을 설정하도록 연산을 수행하도록 조정 알고리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중 통신 방법.
KR1020200020595A 2020-02-19 2020-02-19 전이중 통신 시스템의 자기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2291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595A KR102291145B1 (ko) 2020-02-19 2020-02-19 전이중 통신 시스템의 자기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US17/177,005 US11533158B2 (en) 2020-02-19 2021-02-16 Device for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of full duplex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595A KR102291145B1 (ko) 2020-02-19 2020-02-19 전이중 통신 시스템의 자기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145B1 true KR102291145B1 (ko) 2021-08-18

Family

ID=77273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595A KR102291145B1 (ko) 2020-02-19 2020-02-19 전이중 통신 시스템의 자기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533158B2 (ko)
KR (1) KR1022911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14269A (en) * 2021-12-22 2023-07-05 Forefront Rf Ltd Filter structures
CN115001913B (zh) * 2022-08-02 2022-11-29 北京理工大学 一种基于数字辅助的全双工频域自干扰消除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9975A (ko) * 2014-11-19 2016-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이중 송수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92513A (ko) * 2015-01-27 2016-08-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기 간섭 제거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306902A (ko) * 1972-05-26 1973-11-28
US20030189974A1 (en) * 2001-05-03 2003-10-09 Chester Ferry Wireless full-duplex transmission system
KR100879334B1 (ko) * 2007-03-06 2009-01-19 (주)에어포인트 초소형 일체형 간섭 제거 무선중계 장치 및 그 방법
US9184902B2 (en) * 2012-04-25 2015-11-10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full-duplex communications
US9059768B1 (en) * 2015-01-30 2015-06-16 Rockwell Collins, Inc. Interference cancellation system and method
US10491249B2 (en) * 2017-10-20 2019-11-26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f-interference cancelation in a full duplex networ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9975A (ko) * 2014-11-19 2016-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이중 송수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92513A (ko) * 2015-01-27 2016-08-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기 간섭 제거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58134A1 (en) 2021-08-19
US11533158B2 (en) 202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27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oss-talk cancellation
US969883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itigation of self-interference in spectrally efficient full duplex communications
Korpi et al. Nonlinear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in MIMO full-duplex transceivers under crosstalk
US8649743B2 (en) Transmitter linearized using inversing and non-inversing transform processing sections and method therefor
CN107566308B (zh) 用于预失真校准的方法、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US10797750B2 (en) System architecture for supporting digital pre-distortion and full duplex in cable network environments
US10075324B2 (en) Predistor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291145B1 (ko) 전이중 통신 시스템의 자기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EP2779469A1 (en) All digital transmitter noise correction
US10505571B1 (en) Estimation of interference suppression filters using selective signal switching
US20100124289A1 (en) Transmission suppression
Shen et al. Adaptive nonlinear equalizer for full-duplex underwater acoustic systems
JP2003174392A (ja) 無線中継装置
CN109412640B (zh) 一种应用于全双工通信收发机的非线性数字自干扰消除装置及方法
Paireder et al. Spline-based adaptive cancellation of even-order intermodulation distortions in LTE-A/5G RF transceivers
Motz et al. Low-complex digital cancellation of transmitter harmonics in LTE-A/5G transceivers
CN115001913B (zh) 一种基于数字辅助的全双工频域自干扰消除方法
US200901688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Equalization of In-Package Signals
Ling Achievable performance and limiting factors of echo cancell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JP4017323B2 (ja) 回り込みキャンセラ
KR100909356B1 (ko) 증폭 및 전달 중계기를 기반으로 한 양방향 전송 시스템의수신장치 및 자기간섭 제거 방법
CN110350938B (zh) 一种高速全双工路由器
EP41955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wer amplifier linearization with echo cancelation capabilities
JP202404223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Le-Ngoc et al. Self-interference-cancellation in full-duplex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