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8190A - 대전 부재,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대전 부재,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58190A KR20000058190A KR1020000009281A KR20000009281A KR20000058190A KR 20000058190 A KR20000058190 A KR 20000058190A KR 1020000009281 A KR1020000009281 A KR 1020000009281A KR 20000009281 A KR20000009281 A KR 20000009281A KR 20000058190 A KR20000058190 A KR 200000581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rging
- charging member
- fluorine resin
- resin
- fluororesi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03G15/02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 G03G15/02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by bringing a charging member into contact with the member to be charged, e.g. roller, brush chargers
- G03G15/0233—Structure, details of the charging member, e.g. chemical composition, surface proper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접촉 배치되어 전압의 인가시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표면을 정전기적으로 대전시키는 대전 부재에 관한 것이다. 대전 부재는 도전성 지지부와 도전성 지지부 상에 형성된 기부층 및 표면층을 포함한다. 표면층은 충전재로서 불소 수지 입자 및 결합제 수지로서 불소 수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대전 부재,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복사기와 페이지 프린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 대전 부재를 정전기적으로 대전시키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접촉하게 되는 대전 부재, 이런 대전 부재를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화상 담지 부재로서 사용되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처음으로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수단으로서, 와이어에 고압을 가해서 코로나 대전을 발생시키는 코로나 대전 조립체와 이렇게 생성된 코로나에 노광되는 대전된 부재인 감광 부재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대전 부재를 감광 부재와 접촉하도록 배치해서 대전 부재에 전압을 가해서 감광 부재의 표면을 정전기적으로 대전시키는 접촉 대전식 대전 수단도 개발되어서 실질적인 사용에 이르게 되었다.
이러한 접촉 대전은 표면 상에 소정의 전위가 대전되도록 하기 위해 감광 부재에 필요한 인가 전압이 비접촉식 코로나 대전의 전위보다 낮을 수 있고 대전시에 오존을 소량으로 발생시킨다는 장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된다.
종래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서 대전 부재의 하나의 실시예가 도6에 도시되어 있다.
대전 부재인 대전 롤러(2')는 공급기 전극으로서도 사용되는 도전성 지지부(21')와, 그 위에 마련된 탄성층(22')과, 다시 그 위에 마련된 저항층(23')과, 다시 그 위에 마련된 보호층(24')으로 구성된다.
탄성층(22')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RB)와 같은 강성 고무, 이소프렌 고무 또는 실리콘 고무가 사용된 합성 고무로 형성된다. 이들 고무에는 내부에 카본 블랙 또는 금속 분말과 같은 도전성 재료를 분산시킴으로서 도전성이 부여되어 있다.
탄성층(23')은 폴리아미드 수지, 에피클로로하이드린 고무, 우레탄 고무 또는 실리콘 고무가 사용된, 대전 롤러(2')에 적절한 저항을 가하기 위한 층이다. 이들 재료에는 내부에 카본 블랙 또는 금속 분말과 같은 도전성 재료를 분산시킴으로서 도전성이 부여되어 있다.
보호층(24')은 대전 롤러(2')의 표면 성능을 보장하고, 감광 부재 표면이 저항층(23')의 물질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를 위한 재료는 N-메톡시메틸레이티드 나일론과 같은 폴리아미드 수지와 우레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감광 부재 표면이 이런 접촉 대전에 의해 정전기적으로 대전되더라도, 몇몇의 경우 불균일 대전으로 인해 균일한 대전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어서 불완전 화상을 발생시킨다. 이것은 감광 부재 표면 상에 부착되는 현상제(토너)가 비록 아주 작은 양이기는 하지만 대전 수단에 부착되게 되어서 불균일 대전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전 부재를 그의 표면부에서 불소 수지 입자와 합체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어 왔다(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3-293682호).
그러나, 이 방법은 대전 부재의 표면에 존재하게 될 불소 입자가 소량이 혼합될 때, 특히 저온 및 저습 환경에서 불량 세척 성능을 발생킴으로써 현상제가 대전 부재에 대량으로 부착되도록 해서 불균일 대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불소 수지 입자가 대량으로 혼합될 때에는, 입자의 분산이 어렵게 되어서 막 성형 특성이 저하됨으로써 크랙과 박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10-148995호는 보호층에 불소 수지를 합체시키는 방법에 대한 개념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입자 형태가 아닌 이런 불소 수지는 입자 형태의 수지에 비해 불균일 대전을 방지하는데 낮은 효과를 갖는다. 또한, 효과적이도록 대량으로 합체되는 경우에도, 보호층은 보호층과 그의 하부층 사이에 낮은 부착성을 갖는 높은 해제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습기 응축이 감광 부재 및 대전 부재의 표면 상에서 발생하고 습기가 응축된 표면이 서로 접촉하게 될 때, 물은 대전 부재 및 감광 부재 사이의 접촉 닙(nip)에 모이게 된다. 이것은 보호층과 감광 부재 사이가 용접되도록 해서 대전 부재의 보호층만이 부분적으로 벗겨지는 "박리"를 발생시켜서 감광 부재의 표면 상에 잔류하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단점을 극복하고 감광 부재 표면 상의 토너가 대전 부재에 부착될 때 발생하는 불균일 대전이 야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박리를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는 대전 부재,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런 대전 부재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전성 지지부와 도전성 지지부 상에 형성된 기부층 및 표면층을 포함하며, 표면층은 충전재로서 불소 수지 입자 및 결합제 수지로서 불소 수지를 포함하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접촉 배치되어 전압의 인가시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표면을 정전기적으로 대전시키는 대전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대전, 노광 및 현상시 가시 화상이 형성되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접촉 배치되어 전압의 인가시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표면을 정전기적으로 대전시키는 대전 부재를 포함하며, 전자 사진 감광 부재 및 대전 부재는 하나의 유닛으로서 지지되고 전자 사진 장치의 본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며, 대전 부재는 도전성 지지부와 도전성 지지부 상에 형성된 기부층 및 표면층을 포함하며, 표면층은 충전재로서 불소 수지 입자 및 결합제 수지로서 불소 수지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접촉 배치되어 전압의 인가시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표면을 정전기적으로 대전시키는 대전 부재를 포함하며, 대전 부재는 도전성 지지부와 도전성 지지부 상에 형성된 기부층 및 표면층을 포함하며, 표면층은 충전재로서 불소 수지 입자 및 결합제 수지로서 불소 수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대전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2는 실시예 1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3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3은 실시예 1에서 불소 수지 혼합비와 접촉각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4는 실시예 3 및 실시예 6의 감광 드럼 및 대전 블레이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5는 실시예 4 및 실시예 7의 본 발명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6은 종래 기술의 대전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감광 드럼
2 : 대전 부재
4 : 현상 조립체
5 : 전사 조립체
6 : 세척 조립체
7 : 정착 조립체
21 : 도전성 지지부
22 : 탄성층
23 : 저항층
24 : 보호층
본 발명의 대전 부재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접촉 배치되고 전압의 인가시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정전기적으로 대전시키고 도전성 지지부와 도전성 지지부 상에 형성된 기부층과 표면층을 포함한다. 표면층은 충전재로서 불소 수지 입자와 결합제 수지로서 불소 수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충전재로서의 불소 수지 입자는 결합제 수지로서의 불소 수지와 실질적으로 일치하지 않고 결합제 수지 내에서 입자의 형태로 존재한다. 이러한 입자는 1 ㎛ 이하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가질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이하이다. 1 ㎛ 이상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가지는 것은 분산 능력을 저하시켜 크랙을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다. 평균 입자 직경은 코울터 카운터(Coulter Counter) 방법에 의해 부피 기준의 입자 직경 분포의 누적 백분율의 50%의 직경으로서 정의된다.
충전재로서의 불소 수지 입자와 결합제 수지로서의 불소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표면층의 총 중량에 대한 총 함유량으로서 50 내지 95 중량%의 함유량 내에 있을 수 있다. 50 중량%보다 작은 함유량일 경우, 토너 부착에 기인한 불완전 대전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95 중량%보다 많은 함유량일 경우, 막 형성 특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크랙과 박리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부수적으로, 이러한 충전재와 결합제 수지로 결합하여 사용 가능한 재료로서, 에스테르 수지 또는 비닐 수지와 같은 수지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와 같은 합성 고무와 천연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재로서의 불소 수지 입자와 결합제 수지로서의 불소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중량 비율(불소 수지 입자 : 불소 수지)로서 1:1 내지 1:2의 비율일 수 있다. 불소 수지 입자가 극히 작은 양일 경우, 토너 부착에 기인한 불완전 대전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불소 수지 입자가 너무 큰 양일 경우, 막 형성 특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크랙과 박리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 표면층은 바람직하게는 감광 부재가 양전위의 메모리를 유지할 때 발생된 초기 단계 화상 재생성에서의 불완전 화상(수평선)을 방지할 목적으로 양전기 대전 가능한 재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감광 드럼 상의 양전위 메모리는 불소 수지 재료의 높은 음전기의 대전성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지고 예를 들어 시장 배포를 위한 수송 중에 큰 충격 수단에 의해 대전 부재와 감광 부재 사이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였다. 이러한 메모리는 특히 저습도의 환경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양전기 대전 가능한 재료는 대전열에서 감광 부재보다 더 양전기 측에 위치한 재료를 말하고 감광 부재와의 마찰시 양전기로 대전 가능하다. 양전기 대전 가능한 재료는 표면층의 총 중량에 기초하여 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1 중량%보다 작은 경우, 불완전 화상을 방지하는 효과는 어렵게 획득될 수 있다. 15 중량%보다 큰 경우, 충전재로서의 불소 수지 입자와 결합제 수지로서의 불소 수지의 효과는 어렵게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실시예를 여기에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대전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대전 부재는 롤러 형상의 대전 부재, 즉 대전 롤러(2)이다. 대전 롤러(2)는 공급기 전극으로서 역할하고 그 주위에 탄성층(22), 저항층(23) 및 표면층으로서의 보호층(24)의 순서로 제공된 금속 및 플라스틱 도전성 지지부(21)를 포함한다. 이는 약 12 mm의 외경을 갖는다.
탄성층(22)은 대전 롤러(2)의 기부층으로서 역할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는 우레탄 발포수지로 형성되고 금속 산화물이 도전성을 가지도록 첨가되었다. 이는 약 1.7 mm의 두께를 가졌다.
저항층(23)은 첨가된 카본 블랙을 갖는 수성 아크릴 수지를 딥-코팅(dip-coating)함으로써 탄성층 상에 형성된다. 저항층은 코팅 후 100℃의 환경에서 5 내지 6 시간동안 자연 건조에 의해서 약 300 ㎛의 두께로 형성되었다.
보호층(24)은 표면층으로서 역할하고, 0.4 ㎛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불소 수지 입자와 충전재로서의 카본을 불소 수지, 에스테르 수지 및 딥-코팅에 의해 저항층(23)상에 형성되고 이후에 건조되는 양전기 대전 가능한 재료로서의 아크릴 수지에 첨가함으로써 마련된 혼합물을 코팅함으로써 형성되었다. 여기에서, 결합제 수지로서 사용된 불소 수지를 위하여,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FF)이 사용되었다. 아크릴 수지를 위하여, 에틸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메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에멀션(emulsion) d유형이 사용되었다. 충전재로서 사용된 불소 수지 입자를 위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이 사용되었다. 보호층은 약 10 ㎛의 두께로 형성되었다. 불소 수지 입자, 카본, 불소 수지, 에스테르 수지 및 아크릴 수지는 중량 비율로서 35:5:45:5:10의 비율이었다.
<실시예 2>
대전 롤러는 보호층이 불소 수지와 에스테르 수지로만 이루어진 결합제 수지와, 충전재로서 불소 수지 및 카본을 사용해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되었다(아크릴 수지가 없는 조성). 불소 수지 입자, 카본, 불소 수지, 에스테르 수지 및 아크릴 수지는 중량 비율로서 35:5:45:5:0의 비율이었다.
비교예로서 다음의 대전 롤러가 또한 마련되었다.
<비교예 1>
대전 롤러는 보호층이 불소 수지, 에스테르 수지 및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진 결합제 수지와, 충전재로서의 카본만을 사용해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되었다(불소 수지 입자가 없는 조성). 불소 수지 입자, 카본, 불소 수지, 에스테르 수지 및 아크릴 수지는 중량 비율로서 0:5:80:5:10의 비율이었다.
<비교예 2>
대전 롤러는 보호층이 불소 수지 및 에스테르 수지로만 이루어진 결합제 수지와, 충전재로서 카본만을 사용해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되었다(아크릴 수지와 불소 수지 입자가 없는 조성). 불소 수지 입자, 카본, 불소 수지, 에스테르 수지 및 아크릴 수지는 중량 비율로서 0:5:80:15:0의 비율이었다.
<비교예 3>
대전 롤러는 보호층이 에스테르 수지 및 아크릴 수지로만 이루어진 결합제 수지와, 충전재로서 불소 수지 입자와 카본을 사용해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되었다(불소 수지가 없는 조성). 불소 수지 입자, 카본, 불소 수지, 에스테르 수지 및 아크릴 수지는 중량 비율로서 80:5:0:5:10의 비율이었다.
<비교예 4>
대전 롤러는 보호층이 에스테르 수지로만 이루어진 결합제 수지와, 충전재로서 불소 수지 입자와 카본을 사용해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되었다(불소 수지와 아크릴 수지가 없는 조성). 불소 수지 입자, 카본, 불소 수지, 에스테르 수지 및 아크릴 수지는 중량 비율로서 80:5:0:15:0의 비율이었다.
<비교예 5>
대전 롤러는 보호층이 에스테르 수지로만 이루어진 결합제 수지와, 충전재로서 카본만을 사용해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되었다(불소 수지, 아크릴 수지 및 불소 수지 입자가 없는 조성). 불소 수지 입자, 카본, 불소 수지, 에스테르 수지 및 아크릴 수지는 중량 비율로서 0:5:0:95:0의 비율이었다.
도2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레이저 프린터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2에서, M은 프린터 엔진으로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를 나타낸다. 도면 부호 1은 화상 담지 부재로서 원통형 전자 사진 감광 부재(감광 드럼)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되지 않은) 구동 수단에 의해 화살표(R1) 방향으로 회전식으로 구동된다. 감광 드럼(1)은 대전 닙(N1)을 형성하기 위해 표면이 대전 롤러(2)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표면은 화살표(R2)의 방향으로 회전되는 대전 롤러(2)에 의해 균일하게 정전기적으로 대전된다. 따라서, 정전기 잠상은 노광 조립체(3)에 의해 드럼 표면에 형성된다.
현상 조립체(토너 화상 형성 수단; 4)는 토너(T)를 저장 또는 보유하기 위한 토너 홀더인 호퍼와 토너 지지 부재인 현상 슬리브(4a)를 갖고 감광 드럼(1)에 형성된 정전기 잠상을 현상시킨다. 화살표(R4)의 방향으로 회전되는 현상 슬리브(4a)의 주변에 제공된 현상 블레이드(4b)는 토너 조절 부재이다.
또한, DC 바이어스 상에 AC 바이어스를 중첩시킴으로써 형성된 현상 바이어스는 화상 형성 장치와,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바이어스를 공급하는 고압 회로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갖는 엔진 제어 유닛(8)을 통해 감광 드럼(1) 및 현상 슬리브(4a)를 가로질러 인가된다. 따라서, 토너 화상이 부착되는 감광 드럼(1) 상에 형성된 정전기 잠상은 토너 화상으로서 현상된다.
감광 드럼(1) 상의 토너 화상은 화살표(R5) 방향으로 회전되는 전사 조립체(전사 수단; 5)에 의해 종이와 같은 전사 재료(P)에 전사된다. 전사 재료(P)는 (도시되지 않은) 급지 카세트 내에 유지되며 (도시되지 않은) 급지 롤러에 의해 공급되고 감광 드럼(1)과 전사 조립체(5) 사이의 전사 닙(N2)으로 저항 롤러(9)에 의해 감광 드럼(1)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과 동기화식으로 전송된다. 전사 재료(P)에 전사된 토너 화상은 전사 재료(P)와 함께 정착 조립체(7)로 이송되고 기억 화상이 되도록 전사 재료(P)에 정착되기 위해 가열되고 가압된다.
반면, 전사 재료에 전사되지 않고 토너 화상의 전사 후에 감광 드럼(1) 상에 잔류하는 토너(P; 이하에서는 "전사 잔류 토너")는 세척 조립체(세척 수단; 6) 내에 제공된 세척 블레이드(6a)에 의해 제거된다. 전사 잔류 토너가 제거된 감광 드럼(1)은 대전 조립체(2)에 의한 대전으로부터 시작하는 다음 화상 형성으로 이르게 되고, 상기 화상 형성의 과정이 반복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생성된 대전 롤러는 진동 시험을 하기 위해 도2에 도시한 것과 같은 화상 형성 장치 내에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화상 재생성 시험은 15.0℃의 온도 및 10.0%의 습도인 저온 및 저습 상태(즉, "L/L 상태")와 23.5℃의 온도 및 60.0%의 습도인 정상 온도 및 습도 상태(즉, "N/N 상태")에서 4%의 인쇄 백분율(화상 면적 백분율)로 A4 크기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2000매에 걸쳐 수행되었다. 평가는 마찰 메모리(memory-by-rubbing)이던 아니던 간에 시각적으로 나타났고 불완전 대전이 감광 부재 상에서 발생되었다.
JISZ0232에 따라 수행된 진동 시험은 진동 상태(진동 수)가 10 내지 100㎐이고 스위프 타임은 5분(1회전)이고 사인파의 가속도는 9.8 ㎨이고 진동 시간이 1시간(12회전)이고 진동 방향이 x, y 및 z 방향인 상태에서 수행되었다.
또한, 1,400g의 하중이 인가된 상태에서 대전 롤러가 감광 드럼에 접촉된 후 대전 롤러 표면 및 감광 드럼 표면을 시험함으로써 보호층의 임의의 박리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이들은 온도 및 습도가 40℃/95%의 상태에서 한달 동안 유지되었다.
표1은 상기 평가의 결과를 보여준다. 표1에서, 마찰 메모리의 평가의 결과에서 진동 시험 후 L/L 상태에서 초기 단계 화상 재생성으로 형성된 중간 명암의 화상의 경우에, 마찰 메모리에 의한 수평선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는 "A"로 평가되고, 약간 나타나지만 문제되지 않는 수준이 되기에 충분한 저밀도의 경우는 "B"로 평가되고, 수평선이 전체적인 세로 영역에 걸쳐 뚜렷이 나타나는 경우는 "C"로 평가되었다.
불균일 대전(불완전 대전)에 대한 평가의 결과에서, 불균일 대전에 의한 불완전 화상은 L/L 상태 및 N/N 상태에서 2000매의 화상 재생성을 통해 발생되지 않는 경우는 "A"로 평가되고, 문제되지 않는 수준으로 약간 나타나는 경우는 "B"로 평가되고, 공차 범위를 넘어서 발생되는 경우는 "C"로 평가되었다.
박리에 대한 평가의 결과와 관련해서, 박리에 대한 평가 방법에 따라 대전 롤러 표면 및 감광 부재 표면에 문제가 없는 경우는 "A"로 평가되고, 박리의 자국이 대전 롤러 표면 및 감광 부재 표면에 부착된 박리 파편에서 볼 수 있는 경우에는 "C"로 평가되었다.
표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층이 불소 수지 입자 및 탄소로 구성된 충전재와 불소 수지, 에스테르 수지 및 아크릴 수지로 구성된 결합제 수지를 이용해서 형성된 형성된 실시예 1에서, L/L 및 N/N 상태에서 2000매의 운전이 완료될 때까지 마찰 메모리에 의한 수평선은 발생하지 않고 불균일 대전에 의한 어떠한 불완전 화상도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충전재가 불소 수지 입자 및 탄소로 구성되고 결합제 수지가 단지 불소 수지 및 에스테르 수지로 구성된 실시예 2(아크릴 수지가 없는 조성)에서, L/L 및 N/N 상태에서 불균일 대전에 의한 불완전 화상은 발생하지 않지만 마찰 메모리에 의한 수평선이 발생한다.
충전재가 단지 탄소로 구성되고 결합제 수지가 불소 수지, 에스테르 수지 및 아크릴 수지로 구성된 비교예 1(불소 수지 입자가 없는 조성)에서, 불균일 대전은 N/N 상태에서 발생하지 않지만 운전 시험이 완료되기 전에 N/N 상태에서 공차 범위를 넘어서 발생되었다. 아크릴 수지가 제거된 비교예 1에 대응하는 비교예 2에서, 마찰 메모리가 공차 범위 내에 있었지만 다소 심각하게 발생되는 경향이 있었다.
충전재가 불소 수지 입자 및 탄소로 구성되고 결합제 수지가 단지 에스테르 수지 및 아크릴 수지로 구성된 비교예 3(불소 수지가 없는 조성)에서, 불균일 대전은 N/N 상태에서 약간의 수준으로 발생되지만, 작동 시험이 완료되기 전에 L/L 상태에서 공차 범위를 넘어서 발생되었다. 아크릴 수지가 제거된 비교예 3에 대응하는 비교예 4에서, 마찰 메모리는 공차 범위 내에 있었지만 다소 심각하게 발생되는 경향이 있었다.
충전재가 단지 탄소로만 구성되고 결합제 수지 또한 단지 에스테르 수지로만 구성된 비교예 5(불소 수지, 아크릴 수지 및 불소 수지 입자가 없는 조성)에서, 불균일 대전은 L/L 및 N/N 상태에서 심각한 수준으로 발생되었다.
상기 설명된 것으로부터, 아크릴 수지가 혼합되지 않은 조성에서, 감광 드럼과 대전 롤러는 초기 단계 진동 시험에서 서로에 대해 마찰되어 불소 수지 함유 대전 롤러를 음전기로 대전되게 하여, 감광 드럼은 유도 양전기 대전을 갖고 메모리로서 잔류되어 수평선을 발생시킨다. 다른 한편, 양전기 대전 가능한 재료인 아크릴 수지의 혼합은 음전기 대전 가능한 불소 수지의 전위를 제거하여 대전 롤러가 마찰에 의해 대전되기 어렵게 하여 메모리에 의한 수평선은 방지될 수 있다.
다른 형태의 불소 수지의 혼합에서, 불소 수지 입자 및 불소 수지 또한 보호층 내에서 표면 막 형성 특성을 발생시키고 동시에 표면 해제성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킨다. 단지 불소 수지 또는 단지 불소 수지 입자의 혼합은 표면 해제성을 개선시키는 데에 효과적이지 않고, 또는 많은 양의 혼합은 보호층의 낮은 막 형성 특성을 갖게 하여 박리를 발생시킨다.
도3은 대전 롤러 보호층에서의 불소 수지 재료의 혼합비가 실시예 1(검은색 원)에서의 조성에 있어서 불소 수지 입자 및 불소 수지에 대해, 비교예 1(흰색 원)에서의 조성에 있어서 불소 수지에 대해, 그리고 비교예 3(흰색 정사각형)에서의 조성에 있어서 불소 수지 입자에 대해 변경되는 경우에, 순수한 물과 박리 한계(박리점: X)에 대한 대전 롤러 표면의 접촉각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해제성을 관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접촉각을 측정하기 위해, 교와 가이멘 가가꾸 케이. 케이.(Kyowa Kaimen Kagaku K.K.)에 의해 제조된 CA-X형 접촉각 측정기가 사용되며, 대전 롤러는 길이 방향으로 중간부 또는 양단부에서 3.1 ㎕의 물 액적으로 자연히 젖게되고 세 개의 지점에서의 측정치의 평균치가 구해진다. 각각의 불소 수지 재료의 혼합비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전체 재료에서의 중량비로서 계산된다. 박리에 대한 평가는 전술한 박리 평가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3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실시예 1의 조성에 있어서 불소 수지 입자 및 불소 수지가 12 중량%의 혼합비일 때 접촉각은 90°가 되며, 이후에 접촉각은 혼합비가 60 중량%일 때 박리가 발생할 때까지 100°보다 약간 큰 접촉각이 된다. 비교예 1의 조성에 있어서, 박리는 불소 수지의 혼합비가 75 중량%를 초과할 때까지 발생하지 않지만, 접촉각은 약 70°에서 포화에 대한 경향을 보여준다. 비교예 3의 조성에 있어서, 접촉각은 90°보다 약간 작은 각에 도달하지만, 박리는 불소 수지 입자의 혼합비가 35 중량%에 도달할 때 발생한다. 이것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불소 수지는 결합제 수지로서의 기능을 가지며, 따라서 박리에 있어서 양호하게 작용한다. 그러나, 접촉각(해제성)에 대해서 불소 수지는 어떤 결합제 수지보다 우수하지만, PTFE의 불소 수지 입자 등보다는 열등하다. 한편, 불소 수지 입자는 불량한 막 형성 특성 때문에 박리를 야기하는 경향이 있고, 큰 비율의 혼합은 불소 수지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큰 접촉각(높은 해제성)이 국부적으로 얻어질 수 있지만, 전체의 평균으로 보았을 때는 다른 재료에 의한 영향 때문에 그렇게 큰 접촉각(높은 해제성)이 얻어질 수 없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충전재로서 불소 수지 입자의 사용과 결합제 수지로서 불소 수지의 사용이 낮은 혼합비에서의 개별적인 사용을 이루며, 따라서 큰 접촉각(높은 해제성)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박리에 대해 양호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운전이 완료될 때까지 L/L 환경에서의 불균일 대전을 방지하기 위해, 불소 수지 입자와 불소 수지가 사용되고 접촉각이 90° 이상인 것이 양호하다.
전술한 결과로부터, 감광 부재와의 마찰로 인한 어떤 수직선도 야기하지 않고, L/L 환경에서도 불균일 대전을 야기하지 않고, 또한 보호층 표면층이 적어도 불소 수지 재료를 함유하는 대전 롤러가 사용되고, 양전기 대전 가능한 재료와 불소 수지 재료가 충전재로서의 불소 수지 입자와 결합제 수지로서의 불소 수지일 때 표면층의 어떠한 박리도 야기하지 않으면서 양호한 화상이 얻어질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대전 롤러의 표면 상의 접촉각이 90°이상인 동안은 불량한 세척 성능의 원인이 되는 L/L 환경일지라도 운전이 완료될 때까지 불균일 대전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러한 접촉각은 양호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는 양전기 대전 가능한 재료로서 사용되지만,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면 결코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이한 조성을 갖는 아크릴 수지와 폴리아미드 수지도 사용 가능하다. 대전의 관점에서, 아크릴 수지는 양전기 대전 가능한 재료로서 가장 이롭고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PTFE는 충전재 불소 수지 입자로서 사용되지만,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PFA(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FEP(플르오로에틸렌-프로필렌) 및 PCTFE가 사용될 수도 있다. 더 높은 해제성을 얻기 때문에, PTFE와 PFA, 특히 PTFE가 양호하다. 결합제 수지 불소 수지에 대해 PCTFE가 이런 실시예에서 사용되지만, 불소 수지 재료는 결합제로서 역할하는 충전재로서 사용된 불소 수지 입자와는 상이하다. 예컨대, 낮은 융점을 갖는 불소 수지가 양호하다. 그러한 불소 수지는 PCTFE 외에 FEP(플루오로 에틸렌 프로필렌), PVF(폴리비닐 플로라이드), PVDF(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 ETFE(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ECTFE(트리플루오로 클로리네이티드 에틸렌-에틸렌)를 포함한다. 충전재로서 사용된 불소 수지 입자의 관점에서, 불소 수지가 이러한 재료들로부터 선택적으로 선택될 수 있는 것이 양호하다. 우수한 막 형성 특성과 해제성의 관점에서, PCTFE가 양호하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 도4에 도시된 블레이드형 부재가 대전 부재(2)로서 사용된다.
대전 부재(2)로서의 이러한 대전 블레이드는, 공급기 전극으로서도 역할하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도전성 지지부(21)와, 지지부 상에 지지된 우레탄 발포 기부 재료(22)와, 감광 드럼(1)의 측면 상의 기부 재료(22)의 표면 상에 제공된 저항층(23)과, 저항층(23)을 덮는 표면층으로서의 보호층(24)을 포함한다. 저항층(23)과 보호층(24)용 재료는 실시예 1의 대전 부재(2)로서 사용된 대전 롤러의 각각의 저항층과 보호층용 재료와 동일하다.
대전 부재(2)로서의 그러한 대전 블레이드(20)에 대해, 감광 드럼(1)과 접촉하게 되는 부분에서의 순수한 물에 대한 접촉각이 측정되고, 불완전 화상을 시험하기 위한 운전 시험이 L/L 환경에서 이루어진다. 결과적으로, 실시예 1에서의 결과와 같이, 표면층이 적어도 불소 수지 재료를 함유하는 대전 블레이드가 사용되고, 양전기 대전 가능한 재료와 불소 수지 재료가 충전재로서의 불소 수지 입자와 결합제 수지로서의 불소 수지일 때 마찰 메모리 및 불균일 대전으로 인한 수평선이 양호하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접촉각이 90° 이상인 동안은 불량한 세척 성능의 원인이 되는 L/L 환경일지라도 운전이 완료될 때까지 불균일 대전은 발생하지 않고, 표면층의 어떠한 박리도 발생하지 않는다.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서, 롤러형 또는 블레이드형 부재는 대전 부재(2)로서 사용된다. 그러한 형상에 제한없이, 표면층이 충전재로서의 불소 수지 입자와 결합제로서의 불소 수지를 함유하는 대전 부재라면 어떠한 부재도 사용될 수 있다. 대전 균일성의 관점에서, 롤러형 부재가 양호하다.
<실시예 4>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단면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은 실시예 1에 설명된 대전 부재(2)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식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고정시키기 위해 카트리지 케이싱(15) 내에 하나의 유닛으로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5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16)에서, 감광 드럼(1), 대전 부재(2), 현상 수단(4) 및 세척 수단(6)이 프로세스 카트리지(16)를 고정시키기 위해 하나의 유닛으로서 설치된다.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6)는 감광 드럼(1) 등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원과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바이어스를 공급하는 고압 회로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장착되고, 토너 화상은 감광 드럼(1) 상에 형성된다.
감광 드럼(1)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제공된 전사 조립체(5)(도2 참조)에 의해 전사 재료(P)에 전사되고, 정착 조립체(7)에 의해 정착된다. 전사 재료(P)에 전사되지 않고 감광 드럼(1) 상에 잔류된 전사 잔류 토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6)에 제공된 세척 수단(6)에 의해 제거된다.
따라서, 불완전 대전이 전술한 실시예 1의 경우에서와 같이 양호하게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고, 유지 보수가 필요없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5 및 비교예 6 내지 비교예 8
대전 부재는 아크릴 수지가 사용되지 않았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각각 실시예 1, 비교예 4, 비교예 5 및 비교에 3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얻어진 대전 부재는 진동 시험 및 마찰 메모리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되고, 접촉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측정된다.
상기에서 얻어진 결과를 표2에 나타냈다.
표2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보호층을 불소 수지 입자 및 탄소로 구성된 충전재와 불소 수지 및 에스테르 수지로 구성된 결합제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한 실시예 1에서는, 2,000매의 운전 시험이 완료되었을 때까지 불균일 대전에 기인한 어떠한 불완전 화상도 L/L 환경 및 N/N 환경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충전재를 불소 수지 입자 및 탄소로 구성하고 결합제 수지를 에스테르 수지로만 구성한 비교예 6에서는, N/N 환경에서는 불균일 대전에 기인한 불완전 화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2,000 매의 운전 시험이 완료되기 직전에 L/L 환경에서 공차 한계를 넘어서는 불균일 대전이 일어났다. 또한, 충전재를 탄소만으로 구성하고 결합제 수지를 불소 수지 및 에스테르 수지로 구성한 비교예 7에서는, N/N 환경에서는 단지 약간의 수준으로만 불균일 대전이 일어났으나 L/L 환경에서는 운전 시험이 완료되기 전에 공차 한계를 넘어서는 불균일 대전이 일어났다. 또한, 충전재를 탄소만으로 구성하고 결합제 수지를 에스테르 수지로만 구성한 비교예 8에서는, L/L 환경 및 N/N 환경 모두에서 불균일 대전이 심각하게 일어났다.
접촉각에 있어서는 불균일 대전의 관점에서 양호한 결과가 얻어질수록 접촉각이 크다. 이는 이들 사이의 상관 관계를 고려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실시예 4의 보호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충전재 불소 수지 입자 및 결합제 수지 불소 수지로 된 혼합비가 제어된다. 이렇게 얻어진 대전 부재를 사용해서 2,000매의 운전 시험이 불균일 대전에 대하여 평가되었고 이들의 접촉각 또한 측정되었다. 그 결과, 실시예 4의 보호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불균일 대전은 접촉각이 80° 이상인 경우에는 L/L 환경에서 확실한 수준까지 제어할 수 있었다. 접촉각이 90°이상인 경우에는 운전 시험이 완료될 때까지 불균일 대전이 일어나지 않았다.
이는 80°이상의 순수한 물에 대한 접촉각에 기인하며, 이는 대전 롤러 표면과 토너 등의 이물질 사이의 접촉 경계면에서 작용하는 계면 응력을 극도로 작게 하여 토너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항상 균일한 대전을 얻을 수 있게 해준다.
보호층의 박리에 대하여 설명하면, 박리는 전혀 일어나지 않는다.
한편, 비교예 6 및 비교예 7의 보호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불소 수지 입자 또는 불소 수지의 혼합비는 접촉각이 80°이상이 되도록 하기 위해 커진다. 이 경우에, 비교예 6에서는 보호층을 형성하기 어렵다. 또한, 비교예 7에서는 혼합비가 커짐으로써 접촉각이 80°이상으로 되지만, 앞에서 설명한 평가 방법에 의해서 수행된 박리의 평가에서 보호층의 박리가 일어났으며 필요로 하는 대전 롤러를 얻을 수 없었다.
앞의 설명으로부터, 이전에 설명한 것과 동일한 기구를 고려하면 다음과 같다. 충전재로서의 불소 수지 입자는 해제성에 크게 기여하고, 결합제 수지로서의 불소 수지는 해제성 및 막 형성 특성에 기여한다. 따라서, 실시예 4의 보호층의 형성시에 충전재로서의 불소 수지 입자 및 결합제 수지로서의 불소 수지가 작은 혼합비로 되더라도, 이들의 상호 협동 효과는 높은 해제성 및 큰 접촉각을 얻을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이들의 작은 혼합비 때문에 표면층의 박리가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비교예 6에서는 큰 접촉각을 만들기 위해 불소 수지 입자가 많은 양전기 혼합되어야 하며, 이로써 충전재의 비율이 결합제 수지에 비해서 커지게 되어 보호층을 형성하기 어렵다. 비교예 7에서도 큰 접촉각을 만들기 위해 불소 수지를 많은 양으로 혼합해야 하며, 이로써 보호층이 하부층에 대한 낮은 접착력을 갖게 되어 박리를 일으키게 된다.
상기 결과로부터, 양호한 화상은 L/L 환경에서도 어떠한 불균일 대전도 일으키지 않고 얻을 수 있으며, 적어도 충전재로서 불소 수지 재료를 포함하고 결합제 수지로서 불소 수지를 포함하는 보호층 표면층을 갖는 대전 롤러를 사용할 때 표면층의 어떠한 박리도 일으키지 않고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대전 롤러의 표면 상의 접촉각은 80°이상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이상이며, 여기서 운전 시험이 완료될 때까지는 L/L 환경에서도 세척 성능을 열악하게 하는 불균일 대전이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접촉각이 양호하다.
본 실시예에서, 충전재 불소 수지 입자로서 PTFE를 사용하였으나, PFA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렇게 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제 수지 불소 수지로서 PCTFE룰 사용하였으나 이 재료에 한정되지 않으며, 결합제로서 작용할 수 있고 PTFE 및 PFA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FEP, PVF, PVDF, ETFE 및 ECTFE 등의 불소 수지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6>
본 실시예에서는 도4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블레이드형 부재가 실시예 5에 사용된 대전 부재(2)로서 사용되었다.
대전 부재(2)로서의 상기 대전 블레이드는 공급기 전극으로서도 작용하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도전성 지지부(21)와, 상기 지지부 상에 지지된 우레탄 포움 기부 재료(22)와, 감광 드럼(1)의 측면 상에서 기부 재료의 표면에 마련된 저항층(23)과, 상기 저항층(23)을 덮는 표면층으로서의 보호층(24)을 포함한다. 저항층(23) 및 보호층(24)의 재료는 실시예 1에서 대전 부재(2)로서 사용된 대전 롤러의 저항층 및 보호층과 각각 동일한 재료이다.
대전 부재(2)로서의 대전 블레이드(20)에서, 감광 드럼(1)에 접촉하게 되는 부분에서의 순수한 물에 대한 접촉각이 측정되고, 불완전 화상을 시험하기 위한 운전 시험은 L/L 환경에서 수행되었다. 그 결과, 실시예 1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불균일 대전은 충전재로서의 불소 수지 입자 및 결합제로서의 불소 수지를 포함하는 보호층 표면층을 갖는 대전 블레이드를 사용할 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촉각이 90° 이상이면, 운전 시험이 완료될 때까지 L/L 환경에서도 세척 성능을 열악하게 하는 불균일 대전이 일어나지 않으며, 표면층의 어떠한 박리도 일어나지 않는다.
<실시예 7>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실시예 5에 기재된 대전 부재(2)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도록 카트리지 케이싱(15)의 하나의 유닛으로서 정착된다는 것이다. 도5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서 감광 드럼(16), 대전 부재(2), 현상 수단(4) 및 세척 수단(6)은 프로세스 카트리지(16)를 장착하도록 하나의 유닛으로서 정착된다.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16)는 감광 드럼(1) 등을 구동하기 위한 동력원과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바이어스를 공급하는 고압 회로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장착되고, 토너 화상은 감광 드럼(1) 상에 형성된다.
감광 드럼(1)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마련된 전사 조립체(5; 도2)에 의해 전사 재료(P)에 전사되고, 정착 조립체(7)에 의해 정착된다. 전사 재료(P)에 전사되지 않고 감광 드럼(1) 상에 잔류하는 전사 잔류 토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6)에 마련된 세척 수단(6)에 의해 제거된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 1의 경우에서처럼 불완전 대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유지 보수 필요성이 거의 없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마련할 수 있다.
보호층의 조성 | 마찰 메모리(L/L) | 불균일 대전 | 박리 | |||
충전재 | 결합제 수지 | L/L | N/N | |||
실시예 1 | 불소 수지 입자 + 탄소 | 불소 수지 + 에스테르 수지 + 아크릴 수지 | A | A | A | A |
실시예 2 | 불소 수지 입자 + 탄소 | 불소 수지 + 에스테르 수지 | C | A | A | A |
비교예 1 | 탄소 | 불소 수지 + 에스테르 수지 + 아크릴 수지 | A | C | B | A |
비교예 2 | 탄소 | 불소 수지 + 에스테르 수지 | B | C | B | A |
비교예 3 | 불소 수지 입자 + 탄소 | 에스테르 수지 + 아크릴 수지 | A | C | A | C |
비교예 4 | 불소 수지 입자 + 탄소 | 에스테르 수지 | B | C | A | C |
비교예 5 | 탄소 | 에스테르 수지 | A | C | C | A |
보호층의 조성 | 불균일 대전 | 접촉각(도) | |||
충전재 | 결합제 수지 | L/L | N/N | ||
실시예 5 | 불소 수지 입자 + 탄소 | 불소 수지 + 에스테르 수지 | A | A | 98 |
비교예 6 | 불소 수지 입자 + 탄소 | 에스테르 수지 | C | A | 76 |
비교예 7 | 탄소 | 불소 수지 + 에스테르 수지 | C | B | 74 |
비교예 8 | 탄소 | 에스테르 수지 | C | C | 49 |
본 발명에 따르면, 감광 부재 표면 상의 토너가 대전 부재에 부착될 때 발생하는 불균일 대전이 야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박리를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는 대전 부재,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런 대전 부재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접촉 배치되어 전압의 인가시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표면을 정전기적으로 대전시키는 대전 부재에 있어서,도전성 지지부와 상기 도전성 지지부 상에 형성된 기부층 및 표면층을 포함하며,상기 표면층은 충전재로서 불소 수지 입자 및 결합제 수지로서 불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부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로서의 불소 수지 입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부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 수지로서의 불소 수지는 충전재로서의 불소 수지 입자를 함유하는 불소 수지와 다른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부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로서의 불소 수지는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플루오리네이티드 에틸렌 프로필렌, 폴리비닐 플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트리플루오리네이티드 클로리네이티드 에틸렌-에틸렌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부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로서의 불소 수지 입자는 약 1 μm 이하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부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수지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0.5 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부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로서의 불소 수지 입자 및 결합제 수지로서의 불소 수지는 표면층의 총 중량에 대해 총 50 중량% 내지 95 중량%의 양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부재.
-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로서의 불소 수지 입자 및 결합제 수지로서의 불소 수지의 비는 중량비로서 1:1 내지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부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양전기 대전 가능한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부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양전기 대전 가능한 물질은 아크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부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80° 이상의 순수한 물에 대한 접촉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부재.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각은 9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부재.
- 대전, 노광 및 현상시 가시 화상이 형성되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접촉 배치되어 전압의 인가시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표면을 정전기적으로 대전시키는 대전 부재를 포함하며,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 및 상기 대전 부재는 하나의 유닛으로서 지지되며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며,상기 대전 부재는 도전성 지지부와 상기 도전성 지지부 상에 형성된 기부층 및 표면층을 포함하며,상기 표면층은 충전재로서 불소 수지 입자 및 결합제 수지로서 불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접촉 배치되어 전압의 인가시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표면을 정전기적으로 대전시키는 대전 부재를 포함하며,상기 대전 부재는 도전성 지지부와 상기 도전성 지지부 상에 형성된 기부층 및 표면층을 포함하며,상기 표면층은 충전재로서 불소 수지 입자 및 결합제 수지로서 불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4920499 | 1999-02-25 | ||
JP99-049204 | 1999-02-25 | ||
JP24208999 | 1999-08-27 | ||
JP99-242089 | 1999-08-2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58190A true KR20000058190A (ko) | 2000-09-25 |
KR100370534B1 KR100370534B1 (ko) | 2003-01-30 |
Family
ID=26389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09281A KR100370534B1 (ko) | 1999-02-25 | 2000-02-25 | 대전 부재,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6317574B1 (ko) |
EP (1) | EP1031888B1 (ko) |
KR (1) | KR100370534B1 (ko) |
CN (1) | CN1184541C (ko) |
DE (1) | DE60031467T2 (ko) |
TW (1) | TW526398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810225B2 (en) * | 2001-07-11 | 2004-10-26 | Bridgestone Corporation | Conductive member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incorporating the conductive member |
US6741824B2 (en) | 2002-04-23 | 2004-05-25 | Canon Kabushiki Kaisha | Charging system,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US6978100B2 (en) * | 2002-09-30 | 2005-12-20 | Canon Kabushiki Kaisha | Process cartridge, developing cartridge and developing roller |
CN100570502C (zh) * | 2004-12-28 | 2009-12-16 | 佳能株式会社 | 充电构件、处理盒和电子照相设备 |
US20070127935A1 (en) * | 2005-11-30 | 2007-06-07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cartridges are detachably mountable |
JP2007298775A (ja) * | 2006-04-28 | 2007-11-15 | Sharp Corp | 画像形成装置、帯電ローラ、帯電ローラの製造方法、帯電ローラの製造装置 |
JP5087904B2 (ja) * | 2006-11-02 | 2012-12-05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帯電ローラ、電子写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JP2010514061A (ja) * | 2006-12-22 | 2010-04-30 | フォーム ユーケ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クライアントのネットワーク活動をチャネリング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
JP5264355B2 (ja) * | 2008-07-31 | 2013-08-14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5665505B2 (ja) | 2010-01-08 | 2015-02-04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US8620187B2 (en) * | 2011-06-28 | 2013-12-31 | Xerox Corporation | Surface coatings for the bias charging roller |
JP6112971B2 (ja) | 2013-01-11 | 2017-04-12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収納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KR102128342B1 (ko) | 2016-07-04 | 2020-07-08 |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 현상 장치의 재생산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93682A (ja) * | 1990-04-12 | 1991-12-25 | Canon Inc | 帯電用部材 |
JP3005130B2 (ja) | 1992-01-10 | 2000-01-31 | キヤノン株式会社 | 帯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
DE69316828T2 (de) * | 1992-11-04 | 1998-06-25 | Canon K.K., Tokio/Tokyo | Aufladungsteil und Gerät hiermit |
JPH0792775A (ja) | 1993-04-28 | 1995-04-07 | Canon Inc | 帯電部材、帯電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EP0840176B1 (en) | 1993-07-30 | 2001-10-31 | Canon Kabushiki Kaisha | Charging member, charg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detachably mountable to image forming apparatus |
JPH07219407A (ja) * | 1994-01-31 | 1995-08-18 | Canon Inc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US5659854A (en) * | 1994-08-30 | 1997-08-19 | Bridgestone Corporation | Electrostatic charging member and photoconductor device |
JPH0934156A (ja) * | 1995-07-17 | 1997-02-07 | Canon Inc |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
US5792533A (en) * | 1995-08-16 | 1998-08-11 | Ricoh Company, Ltd. | Electrostatic charging roller |
JPH0973211A (ja) | 1995-09-05 | 1997-03-18 | Canon Inc | 帯電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JPH10148995A (ja) | 1995-12-13 | 1998-06-02 | Bridgestone Corp | 帯電部材及び帯電装置 |
US6020054A (en) * | 1995-09-19 | 2000-02-01 | Bridgestone Corporation | Charging member and device |
JP3028057B2 (ja) * | 1996-02-21 | 2000-04-04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帯電部材 |
JPH09325571A (ja) * | 1996-05-31 | 1997-12-16 | Canon Kasei Kk | 帯電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装置 |
JP3438505B2 (ja) * | 1997-01-14 | 2003-08-18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帯電用部材 |
JP3432103B2 (ja) * | 1997-02-12 | 2003-08-04 | キヤノン株式会社 | 導電性チューブ、該導電性チューブの製造方法及び該導電性チューブを有する帯電ローラ |
US6067430A (en) * | 1998-03-02 | 2000-05-23 | Xerox Corporation | Fluorinated carbon filled foam biasable components |
-
2000
- 2000-02-22 US US09/510,341 patent/US631757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0-02-23 TW TW089103180A patent/TW526398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02-24 EP EP00103875A patent/EP1031888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02-24 DE DE60031467T patent/DE60031467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0-02-25 CN CNB001067346A patent/CN1184541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0-02-25 KR KR10-2000-0009281A patent/KR10037053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266206A (zh) | 2000-09-13 |
EP1031888B1 (en) | 2006-10-25 |
EP1031888A3 (en) | 2004-02-04 |
EP1031888A2 (en) | 2000-08-30 |
TW526398B (en) | 2003-04-01 |
DE60031467T2 (de) | 2007-08-23 |
CN1184541C (zh) | 2005-01-12 |
US6317574B1 (en) | 2001-11-13 |
KR100370534B1 (ko) | 2003-01-30 |
DE60031467D1 (de) | 2006-1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70534B1 (ko) | 대전 부재,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 |
JP6519362B2 (ja) | 導電性部材、帯電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US5312662A (en) | Conductive roll | |
JP2649163B2 (ja) | 導電性ロール | |
US5792533A (en) | Electrostatic charging roller | |
JP2004037551A (ja) | 現像ローラ及びそれを有する現像装置 | |
JPH02311868A (ja) | 導電性ロール | |
US6219510B1 (en) | Charging member employing layers formed with aqueous resin | |
JP2009223214A (ja) | 帯電装置、画像形成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2632578B2 (ja) | 導電性ロール | |
JP3465317B2 (ja) | 帯電部材及び帯電装置 | |
JP2001142283A (ja) | 帯電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JP7358207B2 (ja) | 現像部材、電子写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
JP2000291634A (ja) | 帯電部材、該部材を用い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2004245863A (ja) | 帯電ローラー | |
JPH11160959A (ja) | 帯電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JPH07295332A (ja) | 帯電部材及びこれを有する電子写真装置 | |
JP2003207993A (ja) | 帯電部材、画像形成装置、帯電方法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 |
JPH11316486A (ja) | 帯電部材、画像形成装置および中間転写体 | |
JP3423143B2 (ja) | 帯電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 |
JPH11316487A (ja) | 帯電部材、帯電装置、プロセスカ―トリッジおよび中間転写体 | |
JP2649163C (ko) | ||
JP2004264724A (ja) | 帯電部材及び画像形成装置 | |
JPH11184206A (ja) | 帯電ローラ | |
JP2004101918A (ja) | 荷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