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3162A - 기록장치 - Google Patents

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3162A
KR20000053162A KR1019990704101A KR19997004101A KR20000053162A KR 20000053162 A KR20000053162 A KR 20000053162A KR 1019990704101 A KR1019990704101 A KR 1019990704101A KR 19997004101 A KR19997004101 A KR 19997004101A KR 20000053162 A KR20000053162 A KR 20000053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paper
opening
recording
closing cov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704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4115B1 (ko
Inventor
오노가즈야스
간베히데오
노나카다다시
스즈키간지
Original Assignee
아키오 스즈끼
스타 마이크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296724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139237A/ja
Priority claimed from JP8296723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139224A/ja
Priority claimed from JP8296722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138589A/ja
Application filed by 아키오 스즈끼, 스타 마이크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아키오 스즈끼
Publication of KR20000053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3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4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41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0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retarding devices, e.g. acting on web-roll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05Curl smoothing, i.e. smoothing down corrugated printing material, e.g. by pressing means acting on wrinkled prin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45Guides for prin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45Guides for printing material
    • B41J11/005Guides in the printing zone, e.g. guides for preventing contact of conveyed sheets with print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95Detecting means for copy material, e.g. for detecting or sensing presence of copy material or its leading or trailing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48Apparatus for condensed record, tally strip, or like work using two or more papers, or sets of papers, e.g. devices for switching over from handling of copy material in sheet form to handling of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and vice versa or point-of-sale printers comprising means for printing on continuous copy material, e.g. journal for tills, and on single sheets, e.g. cheques or receip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54Handling sheets of differing leng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2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loading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into printers, e.g. for replacing a used-up paper roll; Point-of-sale printers with openable casings allowing access to the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16Means for tensioning or winding the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04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having dual functions or combined with, or coupled to, apparatus performing other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2Supporting web roll
    • B65H16/06Supporting web roll both-ends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65H2301/4134Both ends type arrangement
    • B65H2301/41346Both ends type arrangement separate elements engaging each end of the roll (e.g. chuck)

Landscapes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Handling Of Continuous Sheets Of Paper (AREA)

Abstract

기록장치는 장치본체, 선회축을 중심으로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 사이를 축선회(pivot)하도록 장치본체에 장착된 개폐덮개(32), 개폐덮개(3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반송경로를 통하여 반송되는 기록지롤(82), 및 기록지롤(82)로부터의 기록지(100)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프린트수단(72)을 포함한다. 개폐덮개(32)에는, 기록지롤(82)에 제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제동력부여수단이 제공되고, 개폐덮개(32)가 닫힌 위치를 향하여 선회하면, 제동력부여수단의 작용에 의해, 기록지롤은 개폐덮개(32)의 일치하게 축선회하고, 이에 따라 기록지롤(82)은 기록지롤(82)로부터 인출된 기록지(100)를 감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Description

기록장치{Recording apparatus}
종래로부터, 기록지로서 롤(roll)형의 것을 사용한 기록장치가 실용에 널리 공급되고 있다. 이 종류의 기록장치로서, 예를 들면 영수증 등에 프린트하는 프린터, 전송된 신호들을 기록하는 팩시밀리 등이 있다. 이러한 장치는, 장치본체, 장치본체에 제공된 반송경로, 반송경로를 통해서 반송되는 롤형 기록지, 및 반송경로를 통해서 반송되는 기록지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장치본체에는, 그 선회축(pivot)을 중심으로 하여 열린 위치 및 닫힌 위치 사이를 선회하는 개폐덮개가 장착된다. 이 개폐덮개에는 기록지롤을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유지하고 있는 기록지유지수단이 제공된다. 기록지는 기록지롤로부터 인출되어 그 선단부가 반송경로를 통하여 요구되는 대로 반송된다.
이 종류의 기록장치에 사용되는 기록지롤은, 일반적으로 얇은 원통형코어부재를 구비하고 이 코어부재에 길고 폭 좁은 기록지를 요구된 만큼 감는 것에 의해 구성된다. 사용한 기록지롤을 새로운 기록지롤로 교환하는 경우, 우선, 개폐덮개가 열린 위치로 열려진다. 그리고, 열린 위치로 유지된 상태에서, 기록지롤(약간의 기록지가 남아 있는 경우도 있으나, 기록지가 전혀 없고 코어부재 만으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은 기록지유지수단으로부터 제거되고, 새로운 기록지롤이 기록지유지수단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장착된 후, 기록지의 선단부는 기록지롤로부터 끌어내어져 반송경로에 도입되고, 프린트수단 또는 프린트수단 쪽으로 기록지를 공급하는 한 쌍의 반송롤러들에 의해 집어져(nipped) 기록지가 공급 가능하게 된다. 그 후, 개폐덮개는 닫힌 위치로 위치된다. 이런 식으로, 오래된 기록지 대신 새로운 기록지롤이 장착되어진다.
이 종류의 기록장치에서는, 통상, 새로운 기록지롤이 장착되면, 이 기록지롤로부터 반송경로로 도출된 기록지를 적절하게 잡아당긴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고, 기록지롤로부터 당겨 내어진 기록지는 어느 정도 느슨해져 있다. 종래의 기록장치에서는, 이와 같이 기록지가 느슨해지는 것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록지롤이 교환된 후에는 어느 정도 느슨해진 상태로 기록지가 반송경로에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기록지에 기록을 행하면, 기록지의 공급에 의해 상술한 느슨함이 해소될 때에, 기록지롤을 회전시키기 위한 힘이 충격적으로 기록지에 작용하여, 이 충격력에 의해 기록지표면 상의 프린트가 흐트러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 종류의 기록장치에서는, 기록지롤의 회전중심(일반적으로, 기록지롤은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원통형태로 감겨져 있기 때문에, 이 기록지롤의 회전중심에 그 무게중심이 위치한다)과 개폐덮개의 선회중심이 다르며, 이것에 기인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가 존재한다. 즉, 기존의 기록장치에서는, 개폐덮개의 선회중심은 장치본체의 후단부에 배치되고, 또한 기록지롤의 회전중심은 상기 선회중심보다도 어느 정도 간격을 두고 그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개폐덮개가 닫힌 위치에서 열린 위치 쪽으로 열려질 때, 또는 열린 위치에서 닫힌 위치 쪽으로 닫아질 때, 기록지롤은 선회운동 할 때의 부하로서 작용하여, 개폐덮개가 부드럽게 열리거나 닫아지지 않는다.
특히, 개폐덮개가 크게 열리어 기록지롤이 각도상으로 최상의 위치를 넘어서게 이동되는 형태의 것에 있어서는, 개폐덮개가 열린 위치로부터 닫힌 위치 쪽으로 닫히고 있는 동안, 기록지롤은 상기 최상의 위치를 넘어서고 아래쪽으로의 이동을 시작하는 지점으로부터의 닫히는 방향, 즉 낙하방향으로 작용하여, 닫히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급격히 커진다. 이 닫히는 방향의 힘은, 사용하는 기록지롤이 클수록 커지며, 또한 개폐덮개의 선회중심과 기록지롤의 회전중심간의 간격이 클수록 커진다. 이와 같은 닫히는 방향의 힘이 커지면, 닫기조작시, 개폐덮개는 닫힌 위치를 향하여 낙하되기 쉽고, 개폐덮개가 파손되기 쉬우며, 또한 조작자가 손가락을 낄 위험성이 있다.
더욱이, 종래부터, 발주전표, 영수증 등과 같이 전표라 불리는 전표지(slip paper)("낱장 기록지"라고 총칭함)에 프린트하는 장치로서, 낱장 기록지를 손으로 공급하여 프린트를 실행하는 기록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실개소62-150148호 공보(1987), 일본 실개평2-8781호 공보(1990)). 이 종류의 기록장치는, 장치본체, 장치본체에 규정된 반송경로, 이 반송경로를 통해서 낱장 기록지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수단, 반송경로에 배치된 기록수단을 구비한다. 반송경로의 한 말단에는 삽입/배출구가 배치되고, 낱장 기록지는 삽입/배출구를 통해 반송경로에 삽입되어, 삽입된 낱장 기록지는, 반송경로를 통해 반송되는 동안 기록수단에 의해 그 표면에 프린트가 실시되고, 프린트된 후의 낱장 기록지는, 상술한 삽입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반송되어 삽입/배출구에서 배출된다. 또한, 반송경로의 옆쪽에는 슬릿이 제공되고, 이 슬릿을 통하여 낱장 기록지를 반송경로에 공급할 수 도 있다.
또한, 삽입/배출구의 위쪽에는, 낱장 기록지를 검출하기 위한 낱장검출수단이 배치된다. 이 낱장검출수단은, 삽입/배출구를 통해 삽입 또는 배출되는 낱장 기록지를 검출하며, 이러한 낱장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반송수단이 요구된 대로 제어된다.
이 종류의 기록장치에서, 삽입/배출구를 통하여 삽입 및 배출되는 낱장 기록지는, 낱장검출수단의 아래쪽을 통과하여 삽입방향 및 삽입방향과 반대가 되는 배출방향으로 반송된다. 낱장 기록지가 반송경로에 삽입될 때, 손을 사용하여 낱장 기록지의 선단부를 낱장검출수단의 아래쪽을 통과시켜 삽입/배출구에 이끌고, 이에 의해 낱장 기록지가 반송경로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프린트후의 낱장 기록지를 삽입/배출구를 통해서 외부에 배출할 때에는, 예를 들면 이 낱장 기록지가 위쪽으로 구부러지고, 그 구부러진 정도가 비교적 큰 경우, 배출되는 낱장 기록지의 선단부가 낱장검출수단의 아래쪽으로 이끌어지는 것이 아니고, 낱장검출수단의 위쪽으로 공급될 우려가 있다. 낱장 기록지가 낱장검출수단의 위쪽으로 공급되면, 낱장검출수단에 의해 배출동작이 저해되어, 이 기록지는 삽입/배출구를 통해서 외부에 배출되지 않아, 장치본체 내에서 종이가 막히게 된다.
낱장검출수단에 기인하여 이와 같은 종이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낱장 기록지의 후단부(삽입방향으로 반송될 때의 후단부)가 낱장검출수단을 통과하지 않도록 낱장 기록지의 반송을 제어하면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제어하는 경우, 기록수단과 낱장검출수단 사이의 간격은 프린트불능지역이 되고, 이 간격이 큰 장치에서는, 프린트불능지역이 커져, 기록지의 기록영역이 크게 제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기록지롤을 장착했을 때에 발생하기 쉬운 기록지의 느슨함을, 덮개 및 롤지(roll paper)유지기구에 새로운 부재(member)를 추가하는 일없이 해소할 수 있는 기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폐덮개를 부드럽게 개폐할 수 있는 기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낱장 기록지를 낱장검출수단의 아래쪽으로 확실하게 이끌 수 있고,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한 경우에 있어서도 기록불능지역을 줄일 수 있는 기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롤형 기록지에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과, 특색 및 이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 한층 더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기록장치를 배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기록장치의 구성의 개요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기록장치의 개폐덮개를 열린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를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 기록장치의 개폐덮개 및 그 주변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 기록장치의 개폐덮개의 열기 및 닫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5 개폐덮개의 기록지지지부 및 그 주변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단면이다.
도 8은 도 1 기록장치의 개폐덮개의 상부하우징에 대한 장착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각각 개폐덮개의 닫힘 방향으로의 축선회에 의한 기록지의 되감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1 기록장치의 낱장검출수단 및 그 부근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변형예의 안내리브를 지닌 기록장치의 낱장검출수단 및 그 부근을 보여주는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본체, 자신의 선회축(pivot)을 중심으로 열린 위치 및 닫힌 위치 사이를 선회하도록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된 개폐덮개, 상기 장치본체에 제공된 반송경로, 상기 개폐덮개에 의해 자신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자신으로부터의 기록지가 상기 반송경로를 통해 반송되어지는 기록지롤(roll), 및 상기 반송경로를 통해 반송되는 기록지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덮개에는 기록지롤에 제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제동력부여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개폐덮개가 상기 열린 위치로부터 상기 닫힌 위치를 향하여 선회하면, 상기 제동력부여수단의 작용에 의해 상기 기록지롤은 상기 개폐덮개와 일치하게 선회되며, 이에 따라 기록지롤은 그로부터 인출된 기록지를 되감는 방향으로 회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기록장치에서는, 개폐덮개에는 기록지롤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동력부여수단이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기록지롤이 교환되며 개폐덮개가 닫힌 위치를 향하여 선회하면, 이 개폐덮개와 일치하게 기록지롤이 선회된다. 그리고, 기록지롤의 이러한 축선회(pivoting)에 의해 기록지롤은 그곳에서 인출된 기록지를 실질적으로 되감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기록지롤이 교환될 때에 약간의 느슨함이 생겨도, 이러한 느슨함은 기록지롤의 회전에 의해 해소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개폐덮개에는, 기록지롤을 상기 선회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한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록지유지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개폐덮개의 상기 선회축과 상기 기록지롤의 상기 회전축선이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 기록장치에서는, 기록지롤의 회전축선과 개폐덮개의 선회축이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개폐덮개의 개폐를 부드럽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회축과 상기 회전축선이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개폐덮개가 열린 위치로부터 닫힌 위치로 축선회하면, 기록지롤은 그곳에서 인출된 기록지를 되감는 방향으로 확실하게 회전되어, 이러한 회전에 의해 기록지의 느슨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기록지롤은, 심(core)부재와 이 심부재에 감겨진 기록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동력부여수단은 상기 심부재에 작용하여 제동력을 기록지롤에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기록장치에서는, 제동력부여수단은 기록지롤의 심부재에 작용하여 제동력을 부여하기 때문에, 기록지의 사용 상황에 관계없이 일정한 제동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기록수단은 프린트헤드와 이 프린트헤드에 눌려지는 대향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프린트헤드 및 상기 대향부재에 의한 기록지의 집기력은, 상기 제동력부여수단에 의해 기록지롤에 부여되는 제동력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기록장치에서는, 프린트헤드와 대향부재에 의한 집기력이 제동력부여수단에 의한 제동력보다도 크기 때문에, 기록지의 느슨함이 적은 경우, 이 느슨함이 해소된 후의 기록지롤이 개폐덮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되며, 프린트헤드 및 대향부재에 의한 기록지의 집는(nipping) 상태가 실질적으로 변화하는 일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본체, 자신의 선회축을 중심으로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 사이를 선회하도록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된 개폐덮개, 상기 장치본체에 제공된 반송경로, 상기 반송경로를 통해 반송되어지는 기록지의 롤, 및 상기 반송경로를 통해 반송되어지는 기록지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록지롤은, 상기 선회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개폐덮개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개폐덮개의 상기 선회축과 상기 기록지롤의 상기 회전축선이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기록장치에서는, 개폐덮개의 선회중심과, 개폐덮개에 지지된 기록지롤의 회전중심이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개폐덮개가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의 사이를 축선회하더라도, 기록지롤은 이 선회운동의 부하로서 실질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개폐덮개는 부드럽게 개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개폐덮개에는, 상기 반송경로를 통하여 반송된 기록지롤을 배출하는 배출개구와, 상기 배출개구를 통하여 배출된 상기 기록지롤을 상기 장치본체의 바깥쪽으로 이끌기 위한 안내리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기록장치에서, 개폐덮개에는, 기록지롤을 장치본체 바깥으로 이끌기 위한 안내리브가 제공되기 때문에,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기록지롤의 선단이 장치본체및 개폐덮개 사이의 간극(clearance)에 침입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본체, 이 장치본체에서 규정된 반송경로, 상기 반송경로의 한 말단에 제공된 삽입/배출구(port)를 통해 낱장 기록지를 삽입방향 및 삽입방향에 대향하는 배출방향으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수단, 상기 반송경로에 배치되어 상기 반송경로를 통해 반송된 낱장 기록지에 기록하는 기록수단, 및 낱장 기록지를 검출하기 위한 낱장(sheet)검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낱장검출수단은 상기 삽입/배출구의 위쪽에 배치되고, 낱장 기록지는 상기 낱장검출수단의 아래쪽을 통과하는 상기 반송경로에 삽입되고 상기 반송경로로부터 배출되며, 상기 장치본체에는, 자신의 선회축을 중심으로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 사이를 선회 할 수 있는 개폐덮개가 제공되고, 상기 개폐덮개에는, 낱장 기록지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리브가 제공되어지고, 상기 계폐덮개가 상기 닫힌 위치로 유지되면, 상기 안내리브는 상기 삽입/배출구 근처에서 삽입/배출구의 위쪽에 위치되어 상기 반송경로의 일부를 규정하고, 상기 반송경로를 통해 배출방향으로 반송된 낱장 기록지를 상기 낱장검출수단의 아래쪽으로 이끄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기록장치에서는, 장치본체에 축선회하게 장착된 개폐덮개에는 안내리브가 제공되고, 이 개폐덮개가 닫힌 위치로 위치되면, 안내리브가 반송경로의 삽입/배출구 근처에서 삽입/배출구의 위쪽에 위치하여 반송경로의 일부를 규정한다. 따라서, 삽입/배출구를 향하여 반송되는 배출방향의 낱장 기록지의 선단부는, 안내리브에 의해 안내되어 낱장검출수단의 아래쪽으로 확실하게 이끌어지고, 기록지의 종이막힘이 방지된다. 또한, 안내리브는 기록지의 배출방향에서 보았을 때 낱장 부재의 상류 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낱장 기록지의 배출방향 선단부가 이 안내리브의 아래쪽으로 위치하도록 반송수단을 제어하면 기록지는 삽입/배출구를 통해서 확실하게 배출되게 된다. 그런 이유로, 안내리브의 존재에 따라 기록불능지역도 작아져, 낱장 기록지 상의 기록 제한도 적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기록수단은 상기 개폐덮개에 근접하게 개폐덮개 안쪽에 설치되고, 상기 낱장검출수단은 상기 개폐덮개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덮개가 상기 열린 위치로 선회되면, 상기 장치본체의 일부가 열려져 상기 기록수단이 외부에 크게 노출되고, 한편 상기 개폐덮개가 상기 닫힌 위치로 선회되면, 상기기록수단은 상기 개폐덮개에 의해 덮어짐과 동시에, 상기 개폐덮개의 상기 안내리브가 상기 기록수단 및 상기 낱장검출수단 사이에서 상기 반송경로의 일부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기록장치에서는, 기록수단은 개폐덮개에 근접하게 그 안쪽에 배치되고, 개폐덮개가 열린 위치에 위치되면 기록수단이 크게 외부에 노출된다. 따라서, 개폐덮개가 열린 위치에 위치됨에 의해 열리는 개구를 이용하여, 기록수단의 부품, 예를 들면 프린트리본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개폐덮개가 닫힌 위치에 위치되면, 안내리브가 기록수단 및 낱장검출수단의 사이에서 반송경로의 일부를 규정하기 때문에, 기록수단으로부터 삽입/배출구에 반송되는 낱장 기록지는 안내리브에 의해 안내되어 낱장검출수단의 아래쪽으로 이끌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안내리브에는, 상기 배출방향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진 경사안내면이 제공되고, 상기 배출방향으로 반송되는 낱장 기록지는, 상기 경사안내면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낱장검출수단의 아래쪽으로 이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기록장치에서, 안내리브에는 배출방향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진 경사안내면이 제공되기 때문에, 낱장 기록지가 배출방향으로 반송될 때, 낱장 기록지의 배출방향 선단부가 만곡되어 있더라도 이 배출방향 선단부는 상기 경사안내면에 의해 안내되어 낱장검출수단의 아래쪽으로 확실하게 이끌어진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낱장검출수단은, 빛을 방출하는 발광수단, 이 발광수단으로부터의 광을 수광하는 수광수단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수단 및 상기 수광수단 중의 하나는 상기 삽입/배출구의 위쪽에 배치되며, 그것들 중의 다른 하나는 상기 삽입/배출구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수단 및 상기 수광수단 중의 상기 하나는, 센서덮개에 의해서 덮어져 있고, 이 센서덮개의 하단부에는, 삽입방향으로 이동되는 낱장 기록지를 그 아래쪽으로 이끌기 위한 제 1경사면과, 배출방향으로 이동되는 낱장 기록지를 그 아래쪽으로 이끄는 제 2경사면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기록장치에서는, 낱장검출수단이 발광수단과 수광수단의 조합을 포함하고, 삽입/배출구의 위쪽에 배치된 이것들 중의 하나는 센서덮개에 의해 덮여지고, 이 센서덮개의 하단부에 제 1경사면과 제 2경사면이 마련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낱장 기록지가 삽입/반송구를 향하여 삽입될 때, 낱장 기록지의 삽입방향 선단부는 상기 제 1경사면에 의해 안내되어 센서덮개의 아래쪽으로 이끌어지고, 그 아래쪽을 통해서 반송경로에 삽입된다. 또한, 낱장 기록지가 배출방향으로 반송될 때에는, 낱장 기록지의 배출방향 선단부는 상기 제 2경사면에 의해 안내되어 센서덮개의 아래쪽으로 이끌어지고, 그 아래쪽을 통해서 장치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기록장치는 장치본체(2)를 구비하며, 장치본체(2)는, 예를 들면 테이블 등 위에 놓여진 하부하우징(4)과, 하부하우징(4)에 장착된 상부하우징(6)을 포함한다. 하부하우징(4)에는 테이블(8)이 마련되고, 테이블(8)은 장치본체(2)의 앞단(도 1에서 우하부)에서 뒷단(도 1에서 좌상부)을 향하여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부하우징(4) 및 상부하우징(6)의 사이에는 한 쪽(도 1에서 좌하측)으로 열려있는 좁고 긴 슬릿(10)이 제공되고, 이 테이블(8)은 이 슬릿(10) 속에서 연장된다. 복수 매의 복사지 등으로 구성되는 전표(12)는, 이 슬릿(10)을 통해서 테이블(8)의 상부표면에 위치되며, 테이블(8)을 따라 반송되는 동안, 전표(12)의 표면에 프린트 등의 소정의 정보기록이 행해진다. 이러한 낱장 기록지로서의 전표(12)는, 예를 들면 신용카드용 복사지이며, 가게, 고객, 점원 등을 위하여 필요 매수의 사본들을 동시에 작성할 때에 사용된다.
하부하우징(4) 앞의 오른쪽에는, 조작패널(16)이 마련된다. 이 조작패널(16)에는, 프린트형태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들(18, 20)이 마련됨과 동시에, 여러 가지 표시램프들(22, 24 및 26)이 마련되어 있다. 스위치(18)는, 전표(12)에 프린트하는 것을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 이 스위치(18)를 누름으로써, (뒤에서 설명될) 제 1기록수단에 의해 전표에 프린트를 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20)는 (뒤에서 설명될) 기록지롤에 프린트하는 것을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 이 스위치(20)를 누름으로써, (뒤에서 설명될) 제 2 기록수단에 의해 기록지롤에 프린트를 할 수 있다. 램프(22)는 연속 점등함으로써 기록장치가 파워온 상태임을 표시하며, 점멸함으로써, 전표가 반입상태인 것을 표시한다. 램프(24)는 연속 점등함으로써 전표(12)가 반출상태임을 표시하며, 점멸함으로써 기록장치에 고장이 발생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램프(26)는 연속 점등함으로써 전표(12)가 방출 상태임을 표시하며, 점멸함으로써 외부의 호스트장치, 예를 들면 호스트컴퓨터와 오프라인 상태임을 표시한다.
상부하우징(6)은 양 옆에 설치된 측벽덮개(26 및 30)를 가지며, 이 측벽덮개들(28 및 30)의 사이에 개폐덮개(32)가 배치되어 있다. 개폐덮개(32)는 도 1 및 도 2에 보여진 닫힌 위치 및 도 4에 보여진 열린 위치 사이를 축선회(pivot)하도록 상부하우징(6)에 장착된다. 닫힌 위치에 있을 때, 개폐덮개(32)는 상부하우징(6)의 앞면, 천장면(ceiling surface), 뒷면의 상부 및 양 측면의 상부를 덮고, 그것에 장착된 (뒤에서 설명될) 기록지롤은, 소정 위치에 위치된다. 한편, 열린 위치까지 선회하면, 상부하우징(6)의 앞면 및 천장면이 열리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기록지롤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부하우징(6)의 오른쪽의 뒷부분에는, 외부의 호스트장치에 의해 지시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34)이 제공된다. 표시수단(34)은 상부하우징(6)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지지로드(36)를 가지며, 지지로드(36)의 상부에는 표시부(38)가 마련되어 있다. 표시부(38)의 표면에는 직사각형의 표시패널(40)이 배치되고, 이 표시패널(40)에 호스트장치로부터의 데이터가 표시된다.
다음으로, 주로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기록장치의 구성의 개략을 설명한다. 하부하우징(4)의 테이블(8)의 소정 부분들에 복수개 개구들(openings)이 마련된다. 개구(42)에 대응하게 낱장검출수단(44)이 제공된다. 광센서(pohtosensor)를 포함하는 낱장검출수단(44)은 테이블(8) 위의 전표를 검출한다. 이 낱장검출수단(44) 및 그에 관련한 구성은 나중에 상세히 설명된다. 개구(46)에 대응하게 롤러쌍(48)과 제 1 프린트수단(50)이 설치되어 있다. 롤러쌍(48)은, 한 쌍의 롤러들(52 및 54)로 구성되며, 전표(12)(도 1)를 화살표(56)로 보여진 삽입방향으로 반송할 때 화살표로 보여진 방향으로 회전되고, 삽입/배출구(58)를 향하여 반송할 때에는 화살표로 보여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 1프린트수단(50)은, 이 실시예에서, 충격식 프린트수단으로 구성되며, 프린트헤드를 포함하는 프린트부(60)와 프린트부(60)와 대향하는 프린트판(platen)(62)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린트부(60)에는 도 4로 이해되는 바와 같이, 리본카세트(64)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테이블(8)의 위쪽에는 또한, 전표(12)의 반송방향으로 서로간에 간격을 두고 안내판들(66 및 68)이 마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블(8), 롤러(52) 및 프린트판(62)은, 하부하우징(4)에 마련되어 전표(12)를 반송하기 위한 제 1반송경로(70)의 아래쪽을 규정한다. 롤러(54), 프린트부(60) 및 안내판들(66 및 68)은 상부하우징(6)에 마련되어 상기 제 1반송경로(70)의 위쪽을 규정한다. 이 제 1반송경로(70)는 하부하우징(4) 및 상부하우징(6) 사이의 슬릿(10)에 대응하게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 1프린트수단(50)의 위쪽에 제 2프린트수단(72)이 마련되어 있다. 제 2프린트수단(72)은 감열기록식 프린트수단으로 구성되며, 라인형 열(thermal)헤드를 갖는 프린트헤드(74)와 이 프린트헤드(74)에 대향하는 프린트판롤러(76)를 구비한 프린트부(78)를 포함한다. 프린트판롤러(76)는 점선화살표로 보여진 방향으로 회전된다. 프린트판롤러(76)는 용수철 등의 치우침부재(미도시)에 의해 프린트헤드(74)에 대해 눌려지고, 프린트헤드(74) 및 프린트판롤러(76) 사이로 제 2반송경로(80)가 연장되어 있다. 제 2반송경로(80)의 상류끝단에는 기록지롤(82)이 배치되고, 이 기록지롤(8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개폐덮개(32) 위에 교환가능하게 부착된다.
프린트부(78)에는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안내판들(84 및 86)이 장착되어 있다. 제 2프린트수단(72)의 위쪽에는 절단부(88)가 배치되어 있다. 절단부(88)는, 고정날(fixed blade, 90) 및 고정날(90)을 향하여 움직일 수 있는 가동날(movable blade, 92)을 구비하여, 기록지롤(82)을 소정 길이로 절단한다. 절단부(88)에는 또한,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안내판들(94 및 96)이 마련되어 있다. 이 기록장치에서, 제 2반송경로(80)가 위쪽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것에 관련하여, 개폐덮개(32)의 상면에 제 2배출구(98)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안내판(84), 프린트헤드(74), 안내판(94) 및 고정날(90)은 기록지롤(82)을 반송하기 위한 제 2반송경로(80)의 한 쪽을 규정하고, 안내판(86), 프린트판롤러(76), 안내판(96) 및 가동날(92)이 제 2반송경로(80)의 다른 쪽을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기록지롤(82)로부터 인출된 기록지(100)의 선단부는, 기록지롤(82)의 아래쪽으로부터 개폐덮개(32)가 개방되는 쪽, 즉 장치본체의 앞쪽 상부에서 제 2프린트수단(72)을 향하여 연장되어 제 2반송경로(80)에 이끌어진다.
이 기록장치에서, 낱장 기록지인 전표(12)(도 1)에 프린트하는 경우, 전표(12)는 제 1반송경로(70)를 통하여 반송되고, 제 1반송경로(70)를 통해 반송되는 동안, 제 1프린트수단(50)에 의해 그 표면에 소정의 프린트기록이 행해지고, 프린트가 종료된 전표는 삽입/배출구(58)를 통해 장치본체(2) 밖으로 배출된다. 또한, 기록지롤(82)에 프린트하는 경우, 기록지롤(82)로부터 인출된 기록지는 제 2반송경로(80)를 통해 반송되고, 제 2반송경로(80)를 통해 반송되는 동안, 제 2프린트수단(72)에 의해 그 표면에 소정의 프린트기록이 행해지고, 기록되어진 기록지는 이점쇄선(100)으로 표시된 것처럼, 개폐덮개(32)의 제 2배출구(98)로부터 장치본체(2)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기록지롤(82)에 대한 기록은 예컨대, 고객에게 주기 위한 영수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전표(12) 및 기록지롤(82) 둘 다에 프린트를 행하는 경우, 제 1반송경로(70)를 통해 전표(12)가 반송되며 제 2반송경로(80)를 통해 기록지롤(82)이 반송된다. 이 기록장치에서, 제 1프린트수단(50)은 낱장 기록지에 프린트 기록하기 위한 기록수단으로 기능하며, 또한 제 2프린트수단(72)은 기록지롤(82)에 프린트 기록하기 위한 기록수단으로 기능한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개폐덮개(32)의 개폐구조 및 기록지롤(82)의 지지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부하우징(6)의 양쪽의 측벽덮개들(28 및 30)(도 1 및 도 2)의 안쪽에는 측(lateral)방향(도 4에서 좌하에서 우상 방향, 도 5에서 좌우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상부지지벽들(102 및 104)이 마련되어 있다. 이 상부지지벽들(102 및 104)은 측벽덮개들(28 및 30)과 별개로 형성되어 있지만, 측벽덮개들(28 및 30)과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 상부지지벽들(102 및 104)의 안쪽 표면에는 각각,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일직선으로 연장하는 안내요부들(106 및 107)이 형성되고, 안내요부들(106 및 107)의 하단부에는 원형홈부(108, 109)가 설치되어 있다(도 8 참조). 한편, 개폐덮개(32)는 상부하우징(6)의 앞면을 덮는 앞벽(110), 상부하우징(6)의 천장면을 덮는 천장벽(112), 상부하우징(6)의 천면후부 및 후면을 덮는 호상(弧狀)후벽(114)(도 2 및 도 4) 및 상부하우징(6)의 양 옆면들의 상부들을 덮는 양측벽들(116 및 118)을 가지고 있다. 양측벽들(116 및 118)의 뒤쪽 바깥면에는 양 옆으로 돌출하는 지지돌출부들(120 및 122)이 일체가 되게 마련되어 있다. 지지돌출부(120 및 122)의 각각은 원형요부들(108 및 109)의 각각에 대응하는 짧은 원통모양으로 형성되고, 요부들(108 및 109)의 대향하는 부분들은 직선형상으로 새긴 금(notch)이 만들어져 있다. 이 지지돌출부들(120 및 122)의 짧은 폭 W1은 안내요부(106 및 107)의 폭 W2 보다 조금 작게 설정되어 있다(도 8).
개폐덮개(32)가 도 6에 이점쇄선 32A로 보여진 위치, 즉 도 6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닫힌 위치(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위치) 및 도 6에서 이점쇄선 32B로 나타낸 열린 위치(도 4에 보인 위치) 사이의 대략 중간 위치로 이동하면, 상부지지벽들(102 및 104)의 안내요부들(106 및 107)과 개폐덮개(32)의 측벽들(116 및 118)의 지지돌출부들(120 및 122)은 도 8에 보인 위치관계, 즉 지지돌출부들(120 및 122)이 안내요부들(106 및 107)과 일치하여 상하방향으로 좁고 길게 위치하는 위치관계로 위치된다. 따라서, 지지돌출부들(120 및 122)을 측벽들(116 및 118)의 안내요부들(106 및 107)을 통해 원형요부들(108 및 109) 내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렇게 위치시킴으로써, 개폐덮개(32)가 상부하우징(6)의 측벽들(l16 및 118)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지지돌출부들(120 및 122)이 원형요부들(108 및 109)에 장착된 상태에서, 지지돌출부들(120 및 122)의 중심축선들은 장치본체(2)의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개폐덮개(32)는 닫힌 위치 및 열린 위치의 사이를, 지지돌출부들(120 및 122)의 중심축선들을 선회축(pivot, 124)(도 5)으로 하여 선회하게 된다. 이 개폐덮개(32)가 닫힌 위치(또는 열린 위치)로 선회되면, 도 8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돌출부들(120 및 122)의 양단부들은 원형요부들(108 및 109)내에 위치되어, 지지돌출부들(120 및 122)의 원형요부들(108 및 109)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상술한 위치관계에서, 지지돌출부들(120 및 122)과 안내요부들(106 및 107)이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지지돌출부들(120 및 122)을 안내요부들(106 및 107)을 통해 위쪽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렇게 이동시킴으로써 개폐덮개(32)는 상부하우징(6)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개폐덮개(32) 측벽들(116 및 118)의 뒤 부분들에는 각각, U자형상의 절단홈들을 설치함으로써 탄성편(126)(도 6에서 측벽(116)에 마련된 것만이 도시된다)이 일체적으로 마련되며, 각 탄성편(126)의 선단부에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반구형 돌기(128)가 설치되어 있다(도 5에 2개 도시). 한 쪽의 측벽(116)에 마련된 탄성편(126)의 돌기(128)는, 탄성편(126) 자체의 탄성에 의해 상부지지벽(102)의 안쪽 표면에 눌려지며, 다른 쪽의 측벽(118)에 마련된 탄성편(126)의 돌기(128)는 탄성편(126) 자체의 탄성에 의해 다른 쪽 상부지지벽(104)의 안쪽 표면에 눌려진다. 따라서, 반구형 돌기들(128)과 상부지지벽들(102 및 104)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개폐덮개(32)가 선회될 때의 제동력으로 작용하여, 개폐덮개(32)를 선회시키는 데 알맞은 선회력이 필요하게 되어, 개폐덮개(32) 자체의 무게에 의한 회전이 방지되며,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 제동력은, 돌기(128)의 크기, 다시 말하면, 탄성편(126)의 변형의 정도를 바꾸는 것에 의해 조정할 수가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개폐덮개(32)가 닫힌 위치에 위치되면, 도 1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앞벽(110) 하단의 일부가 하부하우징(4)의 일부 상면(조작패널(16)이 마련된 부분의 부근의 상면)에 기대어 있고, 이에 따라 개폐덮개(32)의 닫힌 위치를 넘어서는 선회운동이 방지된다. 개폐덮개(32)에는 개폐덮개(32)를 닫힌 위치로 잠그기 위한 잠금(lock)부재(후술함)가 마련된다. 한편, 개폐덮개(32)가 열린 위치에 위치되면, 도 2 내지 도 4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원호형 뒷벽(114)의 일부가 상부하우징(6)의 뒷벽(130)의 상부 테두리에 기대어져, 개폐덮개(32)의 닫힌 위치를 넘는 선회운동이 저지된다.
이 실시예에서,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덮개(32)의 원호형 뒷벽(114)의 하단부에, 측방향(도 2의 좌하에서 우상의 방향, 도 3의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안내리브들(134)이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안내리브들(134)은 거의 삼각형이며, 개폐덮개(32)가 닫힌 위치에 있을 때 상부하우징(6)의 뒷벽(130) 상부 테두리의 약간 위쪽에 위치한다. 각 안내리브(134)의 경사진 상면은 뒷벽(130) 상부 테두리의 위쪽에서 개폐덮개(32)의 바깥 표면부터 뒷벽(130)의 뒷쪽까지 직선적으로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리브들(134)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개폐덮개(32)의 배출구(98)를 통해서 배출된 기록지(100)는 개폐덮개(32)의 상부 표면을 따라 이동하며, 기록지(100)의 선단부가 개폐덮개(32)의 원호형 뒷벽(114)과 상부하우징(6)의 뒷벽(130)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에 침입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하여, 이 실시예와 같이 안내리브들(134)이 마련된 경우, 배출구(98)를 통해서 배출된 기록지(100)의 선단부는 안내리브들(134)의 상부 표면을 따라 하부하우징(4) 뒷벽(130)의 바깥쪽으로 이끌어지고, 기록지(100)의 선단부가 간극에 침입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이 실시예에서, 개폐덮개(32)가 열린 위치를 향하여 선회운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부하우징(6)의 뒷벽(130)의 상단부에는 안내리브들(134)에 대응하여 직사각형의 노치들(136)(도 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개폐덮개(32)가 선회될 때, 안내리브들(134)은 노치들(136)를 통해 이동된다. 이러한 안내리브들(134) 및 노치들(136)이 기록지(100)를 보다 확실하게 뒷벽(130) 바깥쪽으로 이끌기 위하여, 장치본체(2)의 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3개 이상의 안내리브들(134) 및 노치들(136)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기록지롤(82)의 지지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개폐덮개(32)의 원호형 뒷벽(114)의 안쪽에는 측방향(도 5에서 좌우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탑재돌출부(mounting projection)들(142 및 144)이 마련되어 있다. 측벽(116)의 안쪽에 배치된 탑재돌출부(142)에는 고정나사(mounting screw, 146)에 의해 지지부재(148)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재(148)는 탑재돌출부(142)로부터 도 5의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본체부(150)를 가지며, 이 본체부(150)의 선단부에 기록지지지부(152)가 마련되어 있다. 지지부재(148)에서 본체부(150)의 선단부로부터 거의 역L자형으로 연장되는 조작부(154)가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측벽(118)의 안쪽에 배치된 탑재돌출부(144)에는 고정나사(156)에 의해 지지부재(158)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재(158)는 탑재돌출부(144)로부터 도 5의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본체부(160)를 가지며, 이 본체부(160)의 선단부에 기록지지지부(162)가 마련되어 있다. 지지부재들(148 및 158)의 기록지지지부들(152 및 162)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하나의 지지부(15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서, 기록지지지부(152)는 원형의 제 1돌출부(164)를 가지며, 제 1돌출부(164)는 본체부(150)의 선단부 안쪽 표면에 탑재되어 있다. 제 1돌출부(164)는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제 1돌출부(164)의 선단면에는 더욱 안쪽으로 돌출하는 원형의 제 2돌출부(166)가 동심형으로 마련되어 있다. 지지부재들(148 및 158)의 제 2돌출부(166)의 중심축선(167)(도 7)은 장치본체(2)의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개폐덮개(32)의 선회축(124)과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있다. 지지부재들(148 및 158)의 각각은 합성수지를 일체로 성형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지지부재들(148 및 158) 자체는 약간의 탄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부재(148)의 조작부(154)가 화살표(168)로 나타낸 바깥쪽으로 눌려짐으로써, 지지부재(148)는 도 5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바깥쪽으로 약간 탄성변형하여, 지지부재들(148 및 158)의 기록지지지부들(152 및 162)사이의 간격을 얼마쯤 넓힐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재들(148 및 158)은, 기록지롤(82)을 유지하는 기록지유지수단을 구성한다.
개폐덮개(32)의 기록지유지수단에 장착되는 기록지롤(82)은,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즉, 기록지롤(82)은, 좁고 긴 원통형의 심부재(170)를 가지며, 이 심부재(170)의 외주면에 수많은 기록지(100)가 감겨져 있다. 심부재(170)는 비교적 빳빳한 종이로 형성되며, 그 중심은 속이 빈(hollow) 것으로 되어 있다. 심부재(170)의 축선방향의 길이 및 기록지(100)의 폭(롤 형태로 감은 경우의 축선방향의 길이)은 실질적으로 비슷하며, 따라서 심부재(170)에 기록지(100)를 감은 상태에서 그 끝단 표면들 둘 다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끝단 표면들을 규정한다(도 5 및 도 7 참조).
이 실시예에서, 기록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지지부재들(l48 및 158)의 제 1돌출부(164)의 외경은 기록지롤(82)의 심부재(170)의 외경보다도 약간 작게 설정된다. 지지부재들(148 및 158)의 제 2돌출부들(166) 각각의 외경은 심부재(170)의 속빈홀(172)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비슷하고, 혹은 이보다도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들 제 2돌출부(166)는 심부재(170)의 속빈홀(172) 내에 삽입 및 이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더욱이, 심부재(170)의 축선방향의 길이는, 지지부재들(148 및 158)의 제 1돌출부들(164) 간의 간격보다도 약간 길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것과 같이 기록지롤(82)을 탑재하면, 심부재(170)의 양쪽 단면들이 제 2돌출부(166)의 선단면에 작용하여 지지부재들(148 및 158)은 양 쪽으로 얼마쯤 탄성변형된다.
이어서, 기록지롤(82)의 장착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록지롤(82)이 장착되는 경우(예컨대 사용시 새로운 기록지롤(82)이 탑재되는 경우), 개폐덮개(32)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닫힌 위치(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고 도 6에서는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부터 열린 위치(도 4에 도시되고 도 6에서는 이점쇄선 32B로 나타낸 위치)로 위치되어진다. 이러한 위치하기(positioning)는 개폐덮개(32)의 예컨대 앞벽(110)을 들어올림으로써 행해질 수 있으며, 개폐덮개(32)는 선회축(124)을 중심으로 선회된다.
개폐덮개(32)가 열린 위치에 위치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덮개(32)의 안쪽이 바깥쪽으로 개방되어, 개폐덮개(32) 및 제 2프린트수단(72) 사이에 기록지롤(82)을 장착하기 위한 공간이 생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절단부(88)는 제 2프린트수단(72)의 프린트부(78) 위에 닫힌 위치(도 3에 나타낸 위치) 및 열린 위치(도 4에 나타낸 위치) 사이를 선회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 이 절단부(88)는, 통상 닫힌 위치에 유지되어 기록지롤(82)로부터의 기록지(100)를 절단하지만, 기록지롤(82)을 장착할 때에는 열린 위치에 위치된다. 절단부(88)가 열린 위치에 위치되면,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린트부(78) 및 절단부(88) 사이의 공간이 개방된다. 더욱이, 개폐덮개(32)가 열린 위치에 위치되면, 상부하우징(6)의 앞면이 개방되고, 그로 인하여 리본카세트(64)는 프린트부(6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가 있다.
다음으로, 개폐덮개(32)가 개방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48)의 조작부(154)가 화살표(168)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되어져 지지부재들(148 및 158)의 기록지지지부들(152 및 162) 사이의 간격은 얼마쯤 넓혀진다. 이와 같이 넓힌 상태에서, 기록지롤(82)의 심부재(170)의 속빈홀(172) 내에 지지부재들(148 및 158)의 제 2돌출부(166)가 위치되고(도 7 또한 참조) 그런 다음, 조작부(154)에 의한 지지부재(148)의 탄성변형이 해제된다. 이렇게 하면,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들(148 및 158)의 제 2돌출부(166)가 심부재(170)에 삽입되며, 기록지롤(82)은 한 쌍의 지지부재들(148 및 158)의 제 2돌출부(166)에 의해 지지되고, 제 2돌출부(166)의 중심축선(167)을 회전축선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유지상태에서, 지지부재들(148 및 158)의 제 1돌출부들(164) 사이의 간격은 심부재(170)의 길이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부재들(148 및 158)의 탄성작용에 의해 제 1돌출부들(164)의 선단면들이 기록지롤(82)의 심부재(170)의 끝단 표면들과 압력에 의해 접촉되어지고, 기록지(100)가 인출될 때의 기록지롤(82)의 회전에 대해 제동력이 부여되고, 인출된 기록지(100)가 헐거워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 실시예에서, 지지부재들(148 및 158)의 제 1돌출부(164)는 제동력부여수단으로서 기능하여, 기록지롤(82)의 심부재(170)에 작용한다. 기록지롤(82)의 기록지(100)는 사용에 따라 감소하지만, 심부재(170)는 그 직경이 변화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제 1돌출부(164)가 작용함으로써, 기록지(100)의 사용상황에 실질적으로 무관하게 일정한 제동력이 부여된다. 또, 기록지(100)의 사용상황에 따라 제동력이 크게 변화하지 않는 경우, 제 1돌출부들(166)의 선단면들이 심부재(170) 및 기록지(100)의 끝단 표면들에 눌리어 접촉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실시예에서, 기록지롤(82)을 부착하거나 분리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지지부재들(148 및 158)의 제 2돌출부들(166)의 선단부들에 제 1경사부(166a) 및 제 2경사부(166b)가 마련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경사부(166a)는 개폐덮개(32)가 닫힌 위치에 있을 때 거의 위쪽 및 안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고, 제 2돌출부들(166)의 제 1경사부들(166a)에 따라 기록지롤(82)의 심부재(170)를 이동시킴으로써 한 쌍의 지지부재들(148 및 158)은 바깥쪽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록지롤(82)은 제 2돌출부(166)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 2경사부(166b)는 개폐덮개(32)가 닫힌 위치에 있을 때 거의 아래쪽 및 안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으며, 이 제 2경사부(166b)를 이용함으로써 기록지롤(82)(기록지(100)가 없어졌을 때에는 심부재(170))을 제 2돌출부들(166) 사이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기록지롤(82) 부착의 용이성을 우위에 두기 위하여, 제 1경사부(166a)는 회전축선(167)을 넘게 연장되고 제 2경사부(166b) 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기록지롤(82)(또는 심부재(170))을 분리하는 것은 지지부재(148)의 조작부(154)를 바깥쪽으로 눌러 지지부재들(148 및 158) 간의 간격을 커게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그 후, 도 3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기록지롤(82)로부터 기록지(100)의 선단부는 잡아 당겨져 제 2반송경로(80)를 통해 배출구(98)로부터 바깥쪽으로 도출되고, 그런 다음 개폐덮개(32)는 선회되어 닫힌 위치에 위치된다. 프린트헤드(74) 및 프린트판롤러(76)는 압접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록지(100)가 프린트헤드(74) 및 프린트판롤러(76) 사이를 통해 삽입될 때, 이러한 압접상태는 해제되며, 기록지(100)의 선단부는 그것들 간에 삽입된다. 이 기록장치에서, 개폐덮개(32)의 선회중심과 기록지롤(82)의 회전중심이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개폐덮개(32)가 열린 위치에서 닫힌 위치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선회되더라도, 기록지롤(82)의 개폐덮개(32)에 작용하는 모멘트(moment)힘은 실질적으로 영이며, 기록지롤(82)은 개폐덮개(32)의 선회축을 중심으로 축선회할 뿐이다. 그로 인하여, 선회각도에 무관하게 개폐덮개(32)는 부드럽게 선회될 수 있으며, 개폐시 개폐덮개(32)의 선회모멘트가 크게 변화되는 일이 없으며, 개폐조작 동안의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개폐덮개(32)의 닫히는 방향의 선회운동에 의해 기록지롤(82)의 느슨함이 해소될 수 있다. 주로 도 9를 참조하여 더 설명하면, 개폐덮개(32)에 마련된 제동력부여수단의 작용에 의해, 기록지롤(82)은 개폐덮개(3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며(도 5참조), 기록지롤(82)은 개폐덮개(32)의 선회운동과 일체적으로 선회축을 중심으로서 선회된다. 이와 같이 기록지롤(82)이 선회축을 중심으로서 선회하면, 개폐덮개(32)가 닫힌 위치에 있을 때의 기록지롤(82)의 지점(P)(기록지(100)가 인출되는 지점)(도 9a 참조)은, 개폐덮개(32)가 닫힌 위치까지 선회되면 도 9b에 도시된 위치까지 이동하여, 개폐덮개(32)에 유지된 기록지롤(82)은 인출된 기록지(100)를 되감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기록지롤(82) 및 제 2프린트수단(72)(프린트헤드(74) 및 프린트판롤러(76)) 사이에서 느슨해진 기록지(100)는 기록지롤(82)의 상술한 움직임에 의해 기록지롤(82)에 감겨져, 기록지(100)의 느슨함이 해소된다. 특히, 이 실시예에서, 개폐덮개(32)의 선회축(124)과 기록지롤(82)의 회전축선(167)이 실질적으로 일치하기 때문에, 개폐덮개(32)의 닫힌 위치방향의 선회운동에 의해 기록지롤(82)은 확실하게 감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그 이동량은 개폐덮개(32)의 열린 위치 및 닫힌 위치 사이의 선회각도에 대응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느슨해진 기록지(100)는 기록지롤(82)에 되감겨질 수 있다.
이 기록장치에서, 제 2프린트수단(72)의 프린트헤드(74) 및 프린트판롤러(76)(프린트헤드(74)에 눌려지는 대향부재를 구성한다)에 의한 기록지(100)의 집기력은 제동력부여수단에 의해 부여되는 제동력보다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동력을 설정함으로써, 기록지(100)의 헐거워진 양이 작은 경우에는, 기록지(100)의 헐거워짐이 해소된 후에는 기록지롤(82)이 회전축선(167)을 중심으로 개폐덮개(32)에 대해 상대적으로 화살표(180)(도 9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얼마쯤 회동되어, 기록지롤(82)로부터 인출된 기록지(100)에 큰 인장력이 작용하는 일이 없고, 또한 기록지(100)는 프린트헤드(74) 및 프린트판롤러(76)에 의해 집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기록지롤(82)로부터 도출된 기록지(100)의 선단부는 우선, 제 2프린트수단(72)의 프린트헤드(74) 및 프린트판롤러(76)에 집어지는 구성이며 따라서, 프린트헤드(74) 및 프린트판롤러(76)에 의한 집기력이 관계되지만, 기록지롤(82)로부터의 기록지(100)가 우선 반송롤러쌍에 집어지는 구성인 경우, 반송롤러쌍의 니프력이 관계한다. 즉, 이 경우에, 반송롤러쌍에 의한 집기력이 제동력부여수단에 의한 제동력보다도 커도록 설정되며,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상술한 것과 같은 작용효과가 달성된다.
다음으로, 도 1, 도 3, 도 4 및 도 10을 참조하여 낱장검출수단(44) 및 그에 관련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낱장검출수단(44)은 개폐덮개(32)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낱장검출수단(44)은 발광소자를 구비한 발광수단(45)과 수광소자를 구비한 수광수단(47)의 조합을 포함한다. 발광수단(45)은 제 1반송경로(70)의 삽입/배출구(58)의 위쪽에 배치되고, 수광수단(47)은 삽입/배출구(58)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삽입/배출구(58) 내에 전표(12)가 존재하면, 발광수단(45)으로부터의 광은 수광수단(47)에 도달하지 않고 낱장검출수단(44)은 전표(12)를 검출한다. 이 실시예에서, 발광수단(45)이 삽입/배출구(58)의 위쪽에 배치되고, 수광수단(47)이 삽입/배출구(58)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반대로, 발광수단(45)이 삽입/배출구(58)의 아래쪽에 그리고 수광수단(47)이 삽입/배출구(58)의 위쪽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낱장검출수단(44)으로서 투과형 검출수단이 사용되고 있지만, 반사형 검출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발광수단 및 수광수단은 삽입/배출구(58)의 위쪽에 배치된다.
발광수단(45)은 하부하우징(4)에 장착된 센서덮개(182)에 탑재되어 있다. 센서덮개(182)의 하단부에는, 제 1경사면(182a) 및 제 2경사면(182b)이 마련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경사면(182a)은 화살표(56)로 나타낸 삽입방향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일직선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고, 테이블(8) 위에서 삽입방향(56)으로 제 1반송경로(70)를 향하여 이동하는 전표(12)를 센서덮개(182)의 아랫쪽, 즉 발광수단(45)의 아래쪽으로 이끈다. 제 2경사면(182b)은 화살표(57)로 나타낸 배출방향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일직선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고, 테이블(8) 위에서 배출방향(57)에서 장치본체(2) 밖을 향하여 이동하는 전표(12)를 센서덮개(182)의 아래쪽으로 이끈다. 이와 같이 센서덮개(182)에 제 1 및 제 2경사면들(182a 및 182b)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전표(12)는 확실하게 센서덮개(182)의 아래쪽을 통과하여 반송된다.
개폐덮개(32)에는 도 3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표(12)를 센서덮개(182)의 아래쪽으로 이끌기 위한 안내리브(184)가 마련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안내리브(184)는 개폐덮개(32)의 앞벽(110)의 선단부(닫힌 위치에 유지되었을 때에 테이블(8)에 대향하는 끝단)의 안쪽 표면에 이것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안내리브(184)는 앞벽(110)의 선단부에서 약간 아래쪽으로 돌출하며, 안내리브(184)의 하부 끝단에는 화살표(57)로 나타낸 배출방향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경사안내면(184a)이 마련되고, 이 경사안내면(184a)의 선단부는 원호형으로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리브(184)는 낱장검출수단(44)에 대응하여 개폐덮개(32)의 앞벽(110)의 오른쪽 부분에 배치되고, 개폐덮개(32)가 닫힌 위치에 있을 때 센서덮개(182) 및 반송롤러쌍(48)의 사이에서 제 1반송경로(70)의 위쪽에 위치되어 이 반송경로(70)의 상측의 일부를 규정하여, 화살표(57)로 나타낸 배출방향으로 이동하는 전표(12)를 센서덮개(182)의 아래쪽을 향하여 안내한다. 안내리브들(184)은 제 1반송경로(70)의 폭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앞벽(110)의 선단부가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안내리브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개폐덮개(32)의 안쪽에는 개폐덮개(32)에 근접하게 제 1프린트수단(5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 위치에 있을 때 개폐덮개(32)는 제 1프린트수단(50) 등을 덮고 있지만, 열린 위치에 위치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프린트수단(50)의 앞쪽 표면 쪽이 외부에 크게 노출된다. 따라서, 이 개방된 앞쪽 표면을 통해 리본카세트(64)가 프린트부(6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새로운 리본카세트(64)로의 교환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 새로운 리본카세트(64)가 장착될 때, 개폐덮개(32)가 열린 위치에 위치되어, 하부의 반송롤러(52)가 도 10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비작용위치(non-service position)에 위치되고, 집는 상태가 해제된 반송롤러쌍(48)의 사이를 통하여 리본카세트(64)의 리본(64a)이 삽입됨으로써 새로운 리본카세트(64)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기록장치에서, 도 10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낱장검출수단(44) 및 제 1프린트수단(50) 사이의 간격은 비교적 크게 설정되어 있고, 이에 관련하여, 낱장검출수단(44) 및 반송롤러쌍(48) 간의 간격도 커지고 있다. 그러므로, 낱장검출수단(44) 및 반송롤러쌍(48) 사이의 큰 간격을 이용하여 리본카세트(64)를 용이하게 부착하고,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롤러쌍(48)은 리본카세트(64)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트부(60)의 중심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개폐덮개(32)를 닫힌 위치로 잠그기 위한 잠금부재(186)에 대하여 설명한다. 잠금부재(186)는 개폐덮개(32)의 앞벽(110)의 오른쪽 끝단으로부터 더 돌출하도록 마련되고, 잠금부재(186)의 선단부에는 맞물림발톱(engaging pawl, 186a)이 일체가 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부하우징(4)에는 조작패널(16)의 근방에 맞물림구멍(engaging hole, 188)이 마련되어 있다. 개폐덮개(32)가 선회축(124)을 중심으로 닫힌 위치로 선회하면, 잠금부재(186)의 맞물림발톱(186a)이 맞물림구멍(188)에 맞물려, 개폐덮개(32)는 닫힌 위치에 유지된다. 또, 개폐덮개(32)가 개방될 때, 잠금부재(186)는 눌려져 맞물림발톱(186a) 및 맞물림구멍(188) 간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고 그런 다음, 개폐덮개(32)가 열린 위치로 선회된다.
상술한 기록장치에서, 전표(12)에 대한 프린트 기록은, 다음과 같이 행하여진다. 주로 도 3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전표(12)는 테이블(8) 위에 놓이고 낱장검출수단(44)이 전표(12)를 검출하는 위치에 위치되어진다. 테이블(8) 위에 위치시키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장치본체(2)의 옆으로부터 슬릿(10)을 통하여 행해지거나 또는 장치본체(2)의 앞면 쪽으로부터 직접 행할 수도 있다. 장치본체(2)의 앞면 쪽으로부터 행할 때에는, 센서덮개(182)의 제 1경사면(182a)이 안내면으로서 역할하기 때문에, 전표(12)의 선단부는 센서덮개(182)의 아래쪽을 통해 제 1반송경로(70)로 확실하게 이끌어질 수 있다. 전표(12)는 앞면 쪽으로부터 삽입될 때 반송롤러쌍(48)에 눌려지는 위치까지 삽입된다.
다음으로, 조작패널(16)의 스위치(18)는 눌러진다. 이렇게 하면, 전표(12)에의 프린트동작이 개시되어, 우선, 반송롤러쌍(48)이 화살표로 나타낸 소정 방향으로 회전되어, 테이블(8) 위의 전표(12)는 반송롤러쌍(48)의 동작에 의해 화살표(56)로 나타낸 삽입방향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전표(12)의 삽입방향 후단부가 낱장검출수단(44)을 통과하면, 그 시점부터 소정 시간 경과한 후, 반송롤러쌍(48)의 회전이 역전된다. 이 소정 시간은 예를 들면, 전표(12)의 삽입방향후단부가 반송롤러쌍(48)의 집는부분 바로 이전까지 반송되는 데 필요한 시간으로 설정된다. 이와 같은 시간으로 설정한 경우, 전표(12)에 대한 프린트 기록이 불가능하게 되는 기록불가능지역이 작아져, 전표(12)에 대한 기록제한이 적어진다. 또한, 이 소정 시간은 예를 들면, 전표(12)의 삽입방향후단부가 안내리브(184)의 꼭대기를 통과하기 직전까지 반송되는 데 필요한 시간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시간으로 설정한 경우, 전표(12)의 기록불가능지역이 조금 커지지만, 전표(12)의 삽입방향후단부, 다시 말하면, 전표(12)의 배출방향선단부가 안내리브(184)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전표(12)는 삽입/배출구(59)를 향하여 확실하게 반송될 수 있고, 안내리브(184) 부근에서 종이가 막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전표(12)의 기록불가능지역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안내리브(184)가 도 10에서의 롤러쌍(48) 부근에 배치되면 좋다. 더욱이, 안내리브(184)의 형상을 꼭대기부분이 반송방향으로 길게 되도록 형성하면, 기록불가능지역을 감소시킬 수 있고 종이막힘의 확실한 방지도 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한 경우, 용지반송의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꼭대기부분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돌기(184b)를 마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송롤러쌍(48)이 역전하여, 전표(12)가 화살표(57)로 나타낸 배출방향으로 반송되는 동안, 제 1프린트수단(50)에 의해 전표(12)에 대한 프린트가 필요한 대로 행해지며, 프린트 후의 전표(12)는 삽입/배출구(58)를 통해 장치본체(2)의 외부로 배출된다. 전표(12)가 배출방향으로 반송될 때, 이 전표(12)의 배출방향선단부는 안내리브(184)의 안내경사면(184a)에 의해 안내되어 시트덮개(182)의 아래쪽으로 이끌어지고, 더욱이 센서덮개(182)의 제 2경사면(182b)에 안내되어 그 아래쪽을 통해 배출되고, 이렇게 하여 전표(12)에 프린트가 정해진 바대로 행해진다.
이 기록장치에서, 개폐덮개(32)에 안내리브(184)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덮개(32)가 열린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이 안내리브(184)는 제 1프린트수단(50)의 전방에서 많이 떨어져서 제 1프린트수단(50)의 상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 1프린트수단(50)의 전면의 공간과 낱장검출센서(44) 및 반송롤러쌍(48) 사이의 공간이 개방되어, 이 공간을 통해 리본카세트(64)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개폐덮개(32)가 닫힌 위치에 위치되면, 안내리브(184)는 낱장검출수단(44) 및 반송롤러쌍(48) 사이의 공간의 상측에 위치하여 제 1반송경로(70)의 일부를 규정한다. 따라서, 굽어진 전표(12)라도 안내리브(184)의 작용에 의해 배출방향선단부가 낱장검출수단(44)의 아래쪽으로 이끌어져, 굽어진 상태에서 낱장검출수단(44)의 상측으로 반송되는 경우는 없으며, 낱장검출수단(44)의 부근에서 종이가 막히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르는 기록장치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여러 가지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개폐덮개(32)에 한 쌍의 지지부재(148, 158)를 탑재하여, 이 지지부재들(148 및 158)에 기록지지지부들(152 및 162)이 말련되고 있으나, 그 대신에, 지지부재들(148 및 158)의 하나 또는 둘 다를 생략하고 기록지지지부들(152 및 162)의 하나 또는 둘 다를 개폐덮개(32)의 측벽들(116 및 118)의 안쪽에 직접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전표(12)에 프린트하는 제 1프린트수단(50)과 기록지롤(82)에 프린트하는 제 2프린트수단(72)을 구비한 기록장치에 적용하여 설명했지만, 기록지롤(82)에 관련한 발명은 기록지롤(82)에 프린트하는 프린트수단만을 구비한 기록장치에도 당연히 적용할 수 있다.
더욱이,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전표(12)에 프린트 기록하는 제 1프린트수단(50) 및 기록지롤(82)에 프린트 기록하는 제 2프린트수단(72)을 구비한 기록장치에 적용하여 설명했지만, 낱장 기록지(전표(12))에 관련한 발명에 관해서는, 낱장 기록지에 프린트하는 프린트수단만을 구비한 기록장치에도 당연히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낱장검출수단(44)이 개폐덮개(32)의 바깥쪽에 배치된 실시형태로 설명하였지만, 낱장검출수단(44)이 개폐덮개(32)의 안쪽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안내리브(184)는 낱장검출수단(44) 및 반송롤러쌍(48)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면 좋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 특징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들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나타내는 것으로, 명세서 본문에는 조금도 구속되지 않는다.
더욱이, 특허청구의 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전부 본 발명의 범위내의 것이다.
이상과 같이, 기록지롤에 관련되는 본 발명의 기록장치는, 발주전표, 영수전표 등의 전표와 영수증 등에 이용하는 기록지롤에 기록하는 장치로서 유용하며, 또한 기록지롤을 사용하는 팩시밀리, 영수증 등을 작성하는 프린터 등에도 유용하다. 더욱이, 낱장 기록지에 관련되는 본 발명의 기록장치는, 전표와 기록지롤에 기록을 하는 장치로서, 또한 전표에 기록하는 전용장치로서 유용하다.

Claims (10)

  1. 장치본체, 자신의 선회축(pivot)을 중심으로 열린 위치 및 닫힌 위치 사이를 선회하도록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된 개폐덮개, 상기 장치본체에 제공된 반송경로, 상기 개폐덮개에 의해 자신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자신으로부터의 기록지가 상기 반송경로를 통해 반송되어지는 기록지롤(roll), 및 상기 반송경로를 통해 반송되는 기록지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덮개에는 기록지롤에 제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제동력부여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개폐덮개가 상기 열린 위치로부터 상기 닫힌 위치를 향하여 선회하면, 상기 제동력부여수단의 작용에 의해 상기 기록지롤은 상기 개폐덮개와 일치하게 선회되며, 이에 따라 기록지롤은 그로부터 인출된 기록지를 되감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덮개에는, 기록지롤이 상기 선회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기록지롤을 지지하는 기록지유지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개폐덮개의 상기 선회축과 상기 기록지롤의 상기 회전축선이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지롤은, 심(core)부재와 이 심부재에 감긴 기록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동력부여수단은 상기 심부재에 작용하여 제동력을 기록지롤에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은 프린트헤드와 이 프린트헤드에 대고 눌려지는 대향부재를 가지고, 상기 프린트헤드 및 상기 대향부재에 의한 기록지의 집기력(nip force)은, 상기 제동력부여수단에 의해 기록지롤에 부여되는 제동력 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5. 장치본체, 자신의 선회축을 중심으로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 사이를 선회하도록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된 개폐덮개, 상기 장치본체에 제공된 반송경로, 상기 반송경로를 통해 반송되어지는 기록지의 롤, 및 상기 반송경로를 통해 반송되어지는 기록지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록지롤은, 상기 선회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개폐덮개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개폐덮개의 상기 선회축과 상기 기록지롤의 상기 회전축선이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덮개에는, 상기 반송경로를 통해 반송된 기록지롤의 기록지를 배출하는 배출개구, 상기 배출개구를 통해 배출된 상기 기록지를 상기 장치본체의 바깥쪽으로 안내하는 안내리브(rib)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7. 장치본체, 이 장치본체에서 규정된 반송경로, 상기 반송경로의 한 말단에 제공된 삽입/배출구(port)를 통해 낱장 기록지를 삽입방향 및 삽입방향에 대향하는 배출방향으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수단, 상기 반송경로에 배치되어 상기 반송경로를 통해 반송된 낱장 기록지에 기록하는 기록수단, 및 낱장 기록지를 검출하기 위한 낱장(sheet)검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낱장검출수단은 상기 삽입/배출구의 위쪽에 배치되고, 낱장 기록지는 상기 낱장검출수단의 아래쪽을 통과하는 상기 반송경로에 삽입되고 상기 반송경로로부터 배출되며,
    상기 장치본체에는, 자신의 선회축을 중심으로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 사이를 선회 할 수 있는 개폐덮개가 제공되고, 상기 개폐덮개에는, 낱장 기록지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리브가 제공되어지고,
    상기 계폐덮개가 상기 닫힌 위치로 유지되면, 상기 안내리브는 상기 삽입/배출구 근처에서 삽입/배출구의 위쪽에 위치되어 상기 반송경로의 일부를 규정하고, 상기 반송경로를 통해 배출방향으로 반송된 낱장 기록지를 상기 낱장검출수단의 아래쪽으로 이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은 개폐덮개의 근처에서 개폐덮개의 안쪽에 배치되며, 상기 낱장검출수단은 상기 개폐덮개의 바깥쪽에 배치되고, 상기 개폐덮개가 상기 열린 위치로 축선회하면, 상기 장치본체는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상기 기록수단이 외부에 크게 노출되고, 상기 개폐덮개를 상기 닫힌 위치로 축선회하면, 상기 기록수단은 상기 개폐덮개로 덮여지며 상기 개폐덮개의 상기 안내리브는 상기 기록수단 및 상기 낱장검출수단 사이에서 상기 반송경로의 일부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리브는, 상기 배출방향을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경사안내면이 제공되고, 상기 배출방향으로 반송되는 낱장 기록지는, 상기 경사안내면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낱장검출수단의 아래쪽으로 이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낱장검출수단은, 광을 방출하는 발광수단, 이 발광수단으로부터의 광을 수광하는 수광수단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수단 및 상기 수광수단 중의 하나는 상기 삽입/배출구의 위쪽에 배치되며 그것들 중의 다른 하나는 상기 삽입/배출구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수단 및 상기 수광수단의 상기 하나는, 센서덮개로 덮어져 있고, 이 센서덮개의 하단부에는, 삽입방향으로 움직이는 낱장 기록지를 센서덮개의 아래쪽으로 이끌기 위한 제 1경사면과, 배출방향으로 움직이는 낱장 기록지를 센서덮개의 아래쪽으로 이끄는 제 2경사면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KR1019997004101A 1996-11-08 1999-05-07 기록장치 KR1002941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96724A JPH10139237A (ja) 1996-11-08 1996-11-08 記録装置
JP8296723A JPH10139224A (ja) 1996-11-08 1996-11-08 記録装置
JP8-296723 1996-11-08
JP8-296722 1996-11-08
JP8296722A JPH10138589A (ja) 1996-11-08 1996-11-08 記録装置
JP8-296724 1996-1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162A true KR20000053162A (ko) 2000-08-25
KR100294115B1 KR100294115B1 (ko) 2001-06-15

Family

ID=27338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4101A KR100294115B1 (ko) 1996-11-08 1999-05-07 기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09805A (ko)
EP (1) EP0943446A4 (ko)
KR (1) KR100294115B1 (ko)
CN (1) CN1083775C (ko)
WO (1) WO19980210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00765A3 (en) 1998-01-06 2000-08-0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ribbon cartridge
US20020186993A1 (en) 1998-01-06 2002-12-1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ribbon cartridge
US6991388B2 (en) 1998-01-06 2006-01-3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ribbon cartridge having takeup-side cover with opening positioned beneath protrusion in cover
US6261013B1 (en) * 1999-04-01 2001-07-17 Eltron International, Inc. Door mounted roll support
ES2286352T3 (es) 2000-03-31 2007-12-0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ispositivo de formacion de imagen y cartuco de cinta de tinta montada en un dispositivo de formacion de imagen.
US7090345B2 (en) * 2004-09-21 2006-08-15 Cynthia Pierce Portable printer
JP4086869B2 (ja) * 2005-09-14 2008-05-14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プリンタ、排出機構、及び用紙ジャム防止方法
US7986420B2 (en) * 2006-11-29 2011-07-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nsing paper jam, out-of-paper, and cover open in a printer
JP4938067B2 (ja) * 2009-09-08 2012-05-23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プリント装置
JP5871503B2 (ja) * 2011-07-27 2016-03-01 キヤノン株式会社 搬送装置
EP2886354B1 (de) * 2013-12-20 2017-02-01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zum Bedrucken und Scannen von bedruckbaren Medien
US20190001718A1 (en) * 2016-04-07 2019-01-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oor extension
FR3065451B1 (fr) * 2017-04-25 2019-06-21 Peripheriques Et Materiels De Controle P M C Distributeur de papier en bobine, terminal de jeux et imprimante munis d’un tel distributeu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4084A (en) * 1980-01-25 1981-08-19 Canon Inc Electronic apparatus with printer
JPS62150148A (ja) * 1985-12-25 1987-07-04 Mitsui & Co Ltd 化学物質の分析方法
JPH0796623B2 (ja) * 1987-04-22 1995-10-18 東レ・ダウコーニング・シリコーン株式会社 シリコーンゴム粒状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170558U (ko) * 1987-10-30 1989-05-11
JPH01174147A (ja) * 1987-12-28 1989-07-10 Toshiba Corp データ量測定方式
JPH01174147U (ko) * 1988-05-31 1989-12-11
JP2556098B2 (ja) * 1988-06-27 1996-11-20 松下電工株式会社 人体検出装置
JP2791892B2 (ja) * 1988-09-16 1998-08-27 エヌシーアール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プリンタの記録媒体搬送ガイド
JPH0442141A (ja) * 1990-06-07 1992-02-12 Canon Inc 画像読取装置
US5077614A (en) * 1990-07-02 1991-12-31 Xerox Corporation Scanner with document and copy sheet registration means
JPH0442141U (ko) * 1990-08-10 1992-04-09
JPH04249174A (ja) * 1991-02-06 1992-09-04 Brother Ind Ltd プリンタの用紙送り装置
JP3050622B2 (ja) * 1991-03-27 2000-06-12 シャープ株式会社 印字装置
JP2783055B2 (ja) * 1992-04-20 1998-08-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端末機器
US5516219A (en) * 1994-08-01 1996-05-14 Lasermaster Corporation High resolution combination donor/direct thermal pri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4115B1 (ko) 2001-06-15
US6109805A (en) 2000-08-29
EP0943446A4 (en) 2000-02-02
CN1236343A (zh) 1999-11-24
CN1083775C (zh) 2002-05-01
WO1998021041A1 (fr) 1998-05-22
EP0943446A1 (en) 1999-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0315B2 (en) Paper discharge mechanism for a printer, and a printer
KR100294115B1 (ko) 기록장치
EP0914960B1 (en) Image recording device having detachable web roll cassette
EP0872353B1 (en) Web roll and web roll cassette detachably mounted in printer
KR100893440B1 (ko) 롤 페이퍼 프린터
US6017159A (en) Tape printing apparatus
US7011463B2 (en) Printer
EP0684142B1 (en) Cutting mechanism and printer using same
JP5082896B2 (ja) プリンタ
EP1120265B1 (en) Platen and printing apparatus
JPH11349197A (ja) プリンタ
JP4246843B2 (ja) プリンタ
JPH11227953A (ja) 印刷装置、シート収納マガジン及び印刷装置へのシート収納マガジンの装着装置
JP2000044099A (ja) プリンタ
JP3907288B2 (ja) ロール紙を使用するプリンタ装置
JPH10139224A (ja) 記録装置
JP4121254B2 (ja) プリンタ
JPH10138589A (ja) 記録装置
JP3904316B2 (ja) 切断装置
JP2000128402A (ja) プリンタ
JPH0331150B2 (ko)
JPH10139237A (ja) 記録装置
JP2001102771A (ja) カバー体のロック装置
JPH0667044U (ja) 給紙装置のカバーのロック機構
JP2004262059A (ja) ロール紙装着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