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8498A - 주행전동장치의 조타기구 - Google Patents

주행전동장치의 조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8498A
KR20000048498A KR1019990702387A KR19997002387A KR20000048498A KR 20000048498 A KR20000048498 A KR 20000048498A KR 1019990702387 A KR1019990702387 A KR 1019990702387A KR 19997002387 A KR19997002387 A KR 19997002387A KR 20000048498 A KR20000048498 A KR 20000048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turning
hst
traveling
transmission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702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5150B1 (ko
Inventor
히다카시게미
Original Assignee
야마오카 타다오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오카 타다오,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오카 타다오
Publication of KR20000048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5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1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1/00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 B62D11/02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 B62D11/06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by means of a single main power source
    • B62D11/08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by means of a single main power source using brakes or clutches as main steering-eff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1/00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 B62D11/02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 B62D11/06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by means of a single main power source
    • B62D11/10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by means of a single main power source using gearings with differential power outputs on opposite sides, e.g. twin-differential or epicyclic gears
    • B62D11/14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by means of a single main power source using gearings with differential power outputs on opposite sides, e.g. twin-differential or epicyclic gears differential power outputs being effected by additional power supply to one side, e.g. power originating from secondary power source
    • B62D11/18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by means of a single main power source using gearings with differential power outputs on opposite sides, e.g. twin-differential or epicyclic gears differential power outputs being effected by additional power supply to one side, e.g. power originating from secondary power source the additional power supply being supplied hydraulically
    • B62D11/183Control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Of Trailers, Or Other Steering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와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를 함께 설치하고, 변속 레버에 의해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를 조작하고, 환형 조향 핸들에 의해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를 조작하는 구성으로 한 HST식 전동장치의 조작기구에 있어서, 저속시나 고속시에도 선회에 있어서, 조작자가 원하는 선회감각에 일치한 선회조작을 할 수 있는 조타기구를 제공한다. 즉, 변속 레버(68)에 의해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5)를 조작하고, 환형 조향 핸들(19)에 의해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를 조작하는 구성으로 한 HST식 전동장치의 조작기구에 있어서,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동조작각도에 따라 좌우 주행장치의 속도비를 변경하도록 구성했다. 또, 변속 레버(68)의 조작각의 차이에 의해,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동조작각도가 같아도, 선회반경이 상위하도록 구성하였다.

Description

주행전동장치의 조타기구{STEERING MECHANISM OF DRIVING TRANSMISSION}
종래부터 크롤러식 작업기에 있어서, 주행구동을 HST식 무단변속기구(예를들면 일본국 실개소 60-89454호 공보 참조)에 의해 행하는 기술은 이미 알려져 있다. 그러나,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와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를 구비한 HST식 전동장치는 없었다.
본 발명은, 크롤러(crawler)식 작업기에 있어서, 차속(車速)을 변속하는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와, 조향(操向)을 행하기 위한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를 구비한 HST식 전동(傳動)장치의 조작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크롤러식 작업기중에서, 콤바인에 본 발명의 HST식 전동장치를 적재한 상태의 전체측면도,
도 2는, 동일한 도 1의 콤바인의 평면도,
도 3은, 본 콤바인의 HST식 전동장치(H)와 전동 케이스(22)를 일체화한 전동장치(M)의 골격도,
도 4는, 본 발명의 HST식 전동장치(H)의 유압회로도,
도 5는, 전동 케이스(22)의 상부에 HST식 전동장치(H)를 적재해서 전체로서 전동장치(M)로 한 구성을 나타낸 후면도,
도 6은, 전동장치(M)의 우측면도,
도 7은, 전동장치(M)의 좌측면도,
도 8은, HST식 전동장치(H)의 평면 일부 단면도,
도 9는, 동일한 HST식 전동장치(H)의 정면 일부 단면도,
도 10은, HST식 전동장치(H)의 좌측면 일부 단면도,
도 11은, HST식 전동장치(H)의 선회 유압 펌프(26)와 선회 서보기구(T2)를 나타낸 우측면 일부 단면도,
도 12는, 주행변속 및 조향 조작부의 측면 설명도,
도 13은, 조작부의 정면 설명도,
도 14는, 조작부의 평면 설명도,
도 15는, 조작부의 부분 확대 측면 설명도,
도 16은, 조작부재의 측면 설명도,
도 17은, 조작부재의 정면 설명도,
도 18은, 조작부재의 평면 설명도,
도 19는, 조향 핸들부의 평면 설명도,
도 20은, 링크기구부의 평면 설명도,
도 21은, 운전 캐빈부의 측면 설명도,
도 22는, 변속용 서보 로드(111)와 선회용 서보 로드(112)와, 주행변속 조작 암(151)과 선회조작 암(162)의 연결부의 후면도,
도 23은, 변속용 서보 로드(111)와 선회용 서보 로드(112)와, 주행 변속조작 암(151)과 선회조작 암(162)의 연결부의 정면도,
도 24는, HST식 전동장치(H)의 도 23의 연결부의 확대도,
도 25는, 변속 레버(68)의 경동각이 0이고,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동각도 0인 상태의 연동 링크기구의 부감도,
도 26은, 변속 레버(68)가 전진측으로 30도 경동되고, 환형 조향 핸들(19)이 좌 선회측으로 135도 회동한 상태의 연동 링크기구의 부감도,
도 27은, 변속 레버(68)가 전진측으로 30도 경동되고, 환형 조향 핸들(19)이 우 선회측으로 135도 회동된 상태의 연동 링크기구의 부감도,
도 28은, 변속 레버(68)가 후진측으로 25도 경동되고, 환형 조향 핸들(19)이 좌 선회측으로 135도 회동된 상태의 연동 링크기구의 부감도,
도 29는, 변속 레버(68)가 후진측으로 25도 경동되고, 환형 조향 핸들(19)이 우 선회측으로 135도 경동된 상태의 연동 링크기구의 부감도, 그리고,
도 30은, 변속 레버(68)가 경동과,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동에 따른, 좌 선회시의 속도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고, 우 선회시에는, 이 도면이 반전된다.
본 발명은,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와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를 구비하고,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5)와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를 함께 설치하고, 변속 레버(68)에 의해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5)를 조작하여, 환형(丸形) 조향 핸들(19)을 스트로크 엔드까지 꺾었을 때의,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의 회전수의 비율과 일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미속(微速)에서의 환형 조향 핸들(19)의 조작감각을 향상시킨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변속 레버(68)의 조작에 의해, 변속용 서보 로드(111)를 조작하고, 상기 변속용 서보 로드(111)를,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5)의 주행변속 조작 암(151)과 연결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변속용 서보 로드(111)와 주행변속 조작 암(151)의 연결부에 간극을 설치해서, 변속 레버(68)를 어느 정도 조작하지 않으면, 주행변속 조작 암(151)이 회동을 개시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변속 레버(68)를 어느 정도 회동하지 않으면, 간극을 넘지 않으므로 전진을 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미속일 때의 변속 레버(68)의 회동각을 크게 구성하고, 이것에 의해, 환형 조향 핸들(19)을 스트로크 엔드까지 꺾었을 때의 선회조작 암(162)의 회동각을 크게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먼저 첫째로,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5)와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를 함께 설치하고, 변속 레버(68)에 의해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5)를 조작하고, 환형 조향 핸들(19)에 의해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를 조작하는 구성으로 한 HST식 전동장치의 조작기구에 있어서,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동조작 각도에 의해 좌우 주행장치의 속도비를 변경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환형 조향 핸들(19)의 선회를 위한 회동각이 커지면, 좌우의 주행 크롤러(2)의 속도차가 서서히 커지고, 환형 조향 핸들(19)의 조작각도에 따라 선회 반경을 작게 할 수 있어, 조작자의 감각에 일치한 선회각도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 둘째로,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5)와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를 함께 설치하고, 변속 레버(68)에 의해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5)를 조작하고, 환형 조향 핸들(19)에 의해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를 조작하는 구성으로 한 HST식 전동장치의 조작기구에 있어서, 변속 레버(68)의 조작각의 차이에 의해,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동조작 각도가 같아도, 선회 반경이 상위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환형 조향 핸들(19)의 같은 회동 각도에 대해서, 저속인 경우에 급선회와, 고속에서는 완(緩)선회로 할 수 있고, 저속 주행시와 고속 주행시에서, 환형 조향 핸들(19)의 조작 각도에 대해 같은 선회 반경이 되도록 설정해 두면, 고속 주행시의 선회에 있어서, 기체가 옆으로 도는 위험을 피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셋째로, 상기 첫째 및 둘째의 구성의 주행전동장치의 조타기구에 있어서, 좌우의 주행장치를 크롤러식 주행장치로 했기 때문에, 크롤러식 주행장치이면서, 축선회나 급선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주행전동장치의 조타기구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넷째로, 상기 첫째 및 둘째의 구성의 주행전동장치의 조타기구에 있어서, 변속 레버(68)에 의해 변속하는 속도가 저속인 경우에는, 환형 조향 핸들(19)에 의해 선회하는 방향측의 주행장치의 속도는 서서히 낮아지고, 고속 레버(68)에 의해 변속하는 속도가 고속인 경우에는, 선회측의 속도도, 선회방향과 반대측의 속도도 서서히 낮아지지만, 선회측의 속도의 감속율 쪽을 크게 했기 때문에, 비선회측의 속도를 증속하지 않고, 선회측의 속도를 감속하는 것을 주체로 해서 선회하므로, 무리없이 선회할 수 있고, 조작자로서는 최적의 감각으로 선회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섯째로, 네 번째에 서술한 주행전동장치의 조타기구에 있어서, 감속측의 감속비율은,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동각도가 작은 경우에는, 느리게, 회동각도가 커지면 감속비율이 커지고, 증속비율은, 회동각도가 작은 경우에는 증속비율을 크게, 회동각도가 커지면 증속비율이 작아지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동 각도에 대해서 선회조작이 무리없이 행해지고,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동각도가 작은 경우나, 완선회인 경우에도, 큰 위화감없이 선회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여섯째로, 네 번째로 서술한 주행전동장치의 조타기구에 있어서, 변속 레버(68)에 의해 변속하는 속도가 고속인 경우에는, 선회측의 속도도, 선회반향과 반대측의 속도도 서서히 낮아지지만, 선회방향과 반대측의 속도는, 일단 증속한 후에, 서서히 감속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특히 고속에 있어서의 선회조작으로, 급선회를 하지 않고, 또 완선회의 경우에도, 급선회의 경우에도, 무리없이 선회조작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해서 상술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본 발명의 전동장치(M)를 적재한 콤바인에 대해서 설명한다. 트랙 프레임(1)은 주행 크롤러(2)를 장착하고 있다. 도면부호 (3)은 상기 트랙 프레임(1)에 걸쳐서 설치한 기대, (4)는 피드 체인(5)을 좌측에 걸어서 수납통(6) 및 처리통(7)을 내장하고 있는 탈곡기인 탈곡부, (8)은 낫(9) 및 볏짚 반송기구(10) 등을 구비한 베어내기부, (11)은 배어내기 프레임(12)을 매개로 해서 배어내기부(8)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이다.
(13)은 볏짚 배출 체인(14)의 끝단을 면(面)하게 한 볏짚 배출 처리부, (15)는 탈곡부(4)로부터의 곡립을 양곡통(揚穀筒)(16)을 매개로 해서 반입하는 곡물 탱크, (17)은 상기 곡물 탱크(15)의 곡립을 기체밖으로 반출하는 배출 오거, (18)은 환형 조향 핸들(19) 및 운전석(20) 등을 구비한 운전 캐빈, (21)은 운전 캐빈(18)아랫쪽에 설치한 엔진이고, 연속적으로 볏짚을 베어내어 탈곡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전동 케이스(22)의 골격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주행 크롤러(2)를 구동하는 운전구동부인 전동장치(M)는, HST식 전동장치(H)를 전동 케이스(22)위에 적재해서 구성하고 있다.
HST식 전동장치(H)는, 1쌍의 주행 유압 펌프(23) 및 주행 유압모터(24)로 이루어진 주 변속기구인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5)와, 1쌍의 선회 유압 펌프(26) 및 선회 유압모터(27)로 이루어진 선회기구인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엔진(21)의 출력축(21a)에 주행 유압 펌프(23)의 입력축(23a)을 카운터 케이스(K), 전달 벨트(29) 등을 매개로 해서 연동 연결시키는 동시에, 선회 유압 펌프(26)의 입력축(26a)을 전달 밸트(30)를 매개로 해서, 상기 주행 유압 펌프(23)의 입력축(23a)에 연동 연결시키고 있다. 전달 벨트(30)는, 후술하는 실시예를 가리키는 도 9에 나타낸 커플링(143)을 대신한 동력전달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주행 유압모터(24)의 출력축(31)에, 전동 케이스(22)안의 부 변속기구(32) 및 차동(差動)기구(33)를 매개로 해서, 주행 크롤러(2)의 구동륜(34)을 연동 연결시키고 있다.
상기 전동 케이스(22)안의 차동기구(33)는, 좌우 대칭의 1쌍의 유성 기어기구(35·35)를 가지며, 각 유성 기어기구(35)는 1개의 태양 기어(36)와, 상기 태양 기어(36)의 외주에서 맞물리는 3개의 유성 기어(37)와, 이들 유성 기어(37)에 맞물리는 링 기어(38)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성 기어(37)는 태양 기어축(39)과 동축선상의 캐리어축(40)의 캐리어(41)에 각각 회전이 자유롭도록 축으로 지지시키고, 좌우의 태양 기어(36·36)를 끼워 좌우의 캐리어(41)를 마주 보도록 배치시키는 동시에, 상기 링 기어(38)는 각 유성 기어(37)에 맞물리는 내치를 가지고 태양 기어축(39)과는 동일축심형상으로 배치시키고, 캐리어축(40)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축으로 지지시키고 있다.
또, HST식 전동장치(H)안의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5)는, 주행 유압 펌프(23)의 회전사판의 각도변경조절에 의해, 주행 유압모터(24)의 정,역회전과 회전수의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주행 유압모터(24)의 회전출력에 의한 출력축(31)의 회전을, 전동 케이스(22)내부의 전달기어(42)로부터 각 기어(43·44·45) 및 부 변속기구(32)를 매개로 해서, 태양 기어축(39)에 고정한 센터 기어(46)에 전달해서 태양 기어(36)를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부 변속기구(32)는, 상기 기어(45)를 가진 부 변속축(47)과, 상기 센터 기어(46)에 맞물리는 기어(48)를 가진 차속 센서축(49)을 구비하고, 부 변속축(47)과 차속 센서축(49)사이에 각 1쌍의 저속용 기어(50·48), 중속용 기어(51·52), 고속용 기어(53·54)를 설치하고, 중앙위치의 기어(51)의 슬라이드조작에 의해 이들 저속·중속·고속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차속 센서축(49)에는 차속검출 기어(55)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기어(55)의 회전수로부터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센서(56)를 설치하고 있다. 또, 작업기 등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PTO축(57)의 PTO입력 기어(58)에, PTO전달 기어기구(59)를 매개로 해서, 상기 출력축(31)을 연동 연결시키고 있다.
그리고, 상기 센터 기어(46)를 매개로 해서 태양 기어축(39)에 전달된 주행 유압모터(24)로부터의 구동력을, 좌우의 유성 기어기구(35)를 매개로 해서 캐리어축(40)에 전달시키는 동시에, 상기 캐리어축(40)에 전달된 회전을, 좌우 각 1쌍의 감속 기어(60·61)를 매개로 해서, 좌우 구동륜(34)의 좌우 차륜축(34a)에 각각 전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HST식 전동장치(H)내부의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는, 선회 유압 펌프(26)의 회전 사판의 각도변경조절에 의해 선회 유압모터(27)의 정, 역회전과 회전수의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선회 유압모터(27)의 출력축(62)의 출력 기어로부터, 전동 케이스(22)안의 기어전달기구(63)를 매개로 해서 선회 입력축(64)의 입력 기어(65a,65b)에 회전출력을 전달하고, 좌측의 링 기어(38)의 외치에 대해서는 직접적으로, 또 우측의 링 기어(38)의 외치에 대해서는, 역회전축(66)의 역회전 기어(67)를 매개로 해서 전달하고, 선회 유압모터(27)의 정회전시에, 좌우의 링 기어(38)를 동일한 회전수로, 좌측 링 기어(38)를 역회전하고, 우측 링 기어(38)를 정회전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선회용 선회 유압펌프(26)의 구동을 정지시켜 좌우의 링 기어(38)를 정지 고정시킨 상태에서, 주행용 주행 유압 펌프(23)의 구동을 행하면, 주행 유압모터(24)로부터의 회전출력은, 센터 기어(46)로부터 좌우의 태양 기어(36)에 동일한 회전수로 전달되고, 좌우 유성 기어기구(35)의 유성 기어(37)·캐리어(41) 및 감소 기어(60·61)를 매개로 해서, 좌우의 차륜축(34a)에 동일한 회전방향의 동일한 회전수로 전달되어, 기체의 전후 직진주행이 행해진다.
한편, 주행용 주행 유압펌프(23)의 구동을 정지시켜 좌우의 태양 기어(36)를 정지 고정시킨 상태에서, 선회용 선회 유압 펌프(26)를 정, 역회전 구동하면, 좌측의 유성 기어기구(35)가 역 또는 정회전하고, 또 우측의 유성 기어기구(35)가 정 또는 역회전해서, 좌우 주행 크롤러(2)의 구동방향을 전후 역방향으로 하게 하고, 기체를 좌측 혹은 우측에서 스핀 턴시키는 것이다.
또, 주행용 주행 유압 펌프(23)를 구동시키면서, 선회용 선회 유압펌프(26)를 구동해서, 기체를 좌우로 선회시키는 경우에는 선회 반경이 큰 선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선회 반경은, 좌우 주행 크롤러(2)의 속도에 따라 결정된다.
그리고, 도 3에 있어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회 유압모터(27)의 출력축(62)의 타단에 중립시 제동장치(135)를 설치하고, 상기 중립시 제동장치(135)는 습식 다판 디스크기구(135a)로 구성되어 있다.
또, 주행 유압 모터(24)의 출력축(31)의 타단에도, 중립시 제동장치(134)를 배치하고, 상기 중립시 제동장치(134)는 습식 다판 디스크기구(134a)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4 내지 도 11에 의해, 전동장치(M) 및 HST식 전동장치(H)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4 등에 있어서, 본 발명의 HST식 전동장치의 유압회로를 설명한다. 상기 HST식 전동장치(H)는,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5)와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와 차지 펌프(CP)와 중립시 제동장치(135·134)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센터 섹션(C)의 전후면에 부착되어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듯이, 주행 유압펌프(23)의 입력축(23a)과, 선회 유압펌프(26)를 구동하는 입력축(26a)을 커플링(143)으로 연결하고, 상기 입력축(26a)위에 차지 펌프(CP)가 배치되어 구동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커플링(143)은, 도 3에 나타낸 전달 벨트(30)를 대신하는 동력전달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차지 펌프(CP)로부터 토출된 차지 작동유가,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5)의 폐회로와,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의 폐회로에 공급되고 있다. 상기 차지 펌프(CP)로부터의 차지 작동유가,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의 폐회로에 공급되는 부분에는, 양 측에 척 밸브 및 조임기구(137·138)가 배치되어 있다. 또, 차지 펌프(CP)로부터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5)의 폐회로로의 공급부에도, 한쪽에 척 밸브 및 조임기구(141)가 배치되어 있다.
또,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5)의 폐회로의 바이패스회로에, 유압조정 밸브(142)가 배치되어 있고,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의 폐회로의 바이패스회로에도 유압조정 밸브(144)가 장착되어 있다.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5)를 구성하는 주행 유압펌프 (23)의 사판(145)을 경동하는 주행 서보기구(T1)는, 주행변속 수동제어 밸브(V3)에 의해, 피스톤(P1)과 스풀(S1)을 조작해서 행할 뿐이다. 그러나,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를 구성하는 선회 유압펌프(26)의 사판(146)을 경동하는 선회 서보기구(T2)는, 자동선회 제어밸브(V1)와 수동선회 제어밸브(V2) 양자에 의해 피스톤(P)과 스풀(S)을 조작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도 4에 나타내듯이, 차지 펌프(CP)로부터의 차지 작동유의 일부를, 주행중립제동 전자밸브(140)와 선회 중립제동 전자밸브(139)에 도입하고, 주행 유압모터(24)의 중립시 제동장치(134)와, 선회 유압모터(27)의 중립시 제동장치(135)를 제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주행 중립제동 전자밸브(140)와 선회 중립제동 전자밸브(139)사이에는, 파이핑으로 연결하고, 차지 펌프(CP)로부터의 유압을 양쪽에 유용(流用)하고 있다.
본 발명의 HST식 전동장치(H)는, 도 5와 도 6과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 변속기구(32)나 유성 기어기구(35·35)를 구성하는 전동 케이스(22)상부에 적재되어 있고, 센터 섹션(C)을 중심으로,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5)와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를 부착해서 설치하고, 2펌프 2모터의 HST식 전동장치(H)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센터 섹션(C)에 있어서, 주행 유압펌프(23)를 부착한 측면을, 전동 케이스(22)의 측면으로의 부착설치면으로 하고 있다. 또, 센터 섹션(C)의 타측면에는, 선회 유압펌프(26)와 선회 유압모터(27)로 구성하는 HST식 무단변속기구(28)와, 주행 유압모터(24)가 부착되어 있다.
또, 주행 유압펌프(23)의 출력축(31)과, 선회 유압모터(27)의 출력축(62)은, 양쪽 모두, 센터 섹션(C)을 관통해서, 주행 유압펌프(23)를 부착한 측의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상기 주행 유압펌프(23)의 출력축(31)은, 그 상태에서 전동 케이스(22)의 내부에 끼워 넣어져서, 주행 변속장치를 구동하고 있다. 또, 선회 유압모터(27)의 출력축(62)도, 그 상태에서 전동 케이스(22)의 내부에 삽입되어, 좌우 대칭의 1쌍의 유성 기어기구(35·35)를 구동해서, 크롤러식 주행장치를 환형 조향 핸들(19)에 의해 선회 조향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8과 도 9와 도 10과 도 11에 있어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터 섹션(C)의 우측에는,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5)의 절반부를 구성하는 주행 유압펌프(23)가 부착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평면도와 같이, 입력축(23a)의 측쪽의 위치에,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5)를 구성하는 다른 절반부인 주행 유압모터(24)와 출력축(31)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출력축(31)의 출력측은, 센터 섹션(C)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젼동 케이스(22)의 내부에 삽입되어, 부 변속기구(32)와 차동기구(33)를 구동하고 있다. 상기 출력축(31)의 센터 섹션(C)의 반대쪽 타단에는, 중립시 제동장치(134)와 습식 다판 디스크기구(134a)와 주행 중립제동 전자밸브(140)가 배치되어 있다.
또, 센터 섹션(C)의 좌측으로, 주행 유압펌프(23)와 마주 보는 위치에는,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를 구성하는 선회 유압펌프(26)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주행 유압펌프(23)의 입력축(23a)과, 선회 유압펌프(26)의 입력축(26a)은, 커플링(143)으로 스플라인(spline) 연결되고, 일체적으로 엔진(21)의 회전을 전달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나타낸 전달 벨트(30)대신에 커플링(143)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입력축(23a)에는, 엔진(21)의 출력축(21a)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달 벨트(29)를 매개로 해서 전달되고 있다.
또, 커플링(143)을 매개로 해서, 구동되는 입력축(26a)의 타단에는, 차지 펌프(CP)가 사이에 끼워져 장착되어 있고, 또 차지 펌프(CP)의 부분에는, 다른 PTO의 풀리(pulley)가 고정 부착된다.
또, 선회 유압펌프(26)의 윗면에는 자동선회 제어밸브(V)1가 부착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자동선회 제어밸브(V1)와 피스톤(P2)의 내부에 배치된 수동선회 제어밸브(V2)와 피스톤(P1)과의 사이에서 전체적으로 선회 서보기구(T2)가 구성되어 있다. 또, 주행 유압펌프(23)의 근방에는 수동주행 제어밸브(V3)와 스풀(S3)과 피스톤(P2)에 의해 주행 서보기구(T1)가 구성되어 있다.
또, 선회 유압모터(27)의 출력축(62)의 타단에는, 중립시 제동장치(135)와 선회 중립제동 전자밸브(139)와 습식 다판 디스크기구(135a)가 부착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주행 서보기구(T1)와 선회 서보기구(T2)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과 도 9와 도 10에 있어서, 주행 서보기구(T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주행 서보기구(T1)는, 전자 개폐밸브에 의해 구성된 수동주행 변속밸브(V3)를 구성하는 스풀(S1)을 조작함으로써, 피스톤(P1)을 상하 이동해서, 사판(145)을 회동하고, 주행용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5)를 변속하는 것이다.
상기 주행용의 HST식 무단변속장치(25)는 중립위치에서 유지할 필요가 있어, 주행중립유지 암(148)이 설치되고, 상기 주행중립유지 암(148)의 선단에 주행중립유지 롤러(148a)가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주행변속조작 암(151)과 일체적으로, 주행중립 캠(149)이 회동하고, 상기 주행중립 캠(149)의 중앙의 오목부에 상기 주행중립유지 롤러(148a)가 삽입되어 중립을 유지한다.
또, 상기 주행변속조작 암(151)에는, 충격흡수 스프링(151a)를 개재하고, 함께 회동하는 주행 스토퍼 지렛대(15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 판(157)과 걸어 맞춰져서, 주행변속조작 암(151)의 그 이상의 회동을 저지한다.
또, 상기 주행변속조작 암(151)에는, 충격흡수 스프링(151a)을 매개로 해서 스풀(S1)을 조작하는 크랭크 암(159)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크랭크 암(159)이, 스풀(S1)의 오목부와 걸어 맞춰져 있다. 상기 스풀(S1)이 피스톤(P1)의 내부에서 미끄러짐 이동함으로써, 수동주행 변속밸브(V3)를 구성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선회 서보기구(T2)가 도 11과 같이, 선회 유압펌프(26)의 사판(146)을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선회 유압펌프(26)의 선회 서보기구(T2)는, 주행 서보기구(T1)와 대략 동일한 구성으로 대략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도 8, 도 11이나 후기하는 도 23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회조작 암(162)과 함께 회동하는 선회중립유지 암(152)과, 상기 선회중립유지 암(152)에 베어링으로 지지된 선회중립유지 롤러(152a)가 구성되어 있다. 또, 선회중립유지 롤러(152a)가 접촉하는 선회중립 캠(153)이 설치되고, 선회 스토퍼 지렛대(154)와, 상기 선회 스토퍼 지렛대(154)가 걸어 맞추는 선회 스토퍼판(156)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선회조작 암(162)에 충격흡수 스프링(162a)가 부착 설치되어 있다.
주행 서보기구(T1)와 선회 서보기구(T2)는, 대략 좌우 대칭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주행중립유지 롤러(148a)와 선회중립유지 롤러(152a)가, 주행중립 캠(149)과 선회중립 캠(153)의 방향으로 항상 힘이 가해지도록, 주행중립유지 암(148)과 선회중립유지 암(152)사이에 힘을 가하는 스프링(160)이 사이에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이들 롤러(148a·152a)가 중립 캠(149·153)의 캠면상에 형성된 중립위치에 걸어 맞춰질 때에는, 주행 크롤러(2)는 중립시에 작동정지상태로 유지된다.
다음에 도 11에 있어서,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의 선회유압 펌프(26)와 선회유압 모터(27)와 선회 서보기구(T2)의 배치를 설명한다.
센터 섹션(C)에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가 부착 설치되어 있지만, 상기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의 케이스 내부에 선회 서보기구(T2)가 매립되어 있다. 상기 구성은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5)의 경우와 동일하며, 센서 섹션(C)의 다른 면에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5)의 케이스가 그 상태로 부착 설치되어 있고, 상기 주행 유압펌프(23)의 케이스의 내부에 주행 서보기구(T1)가 매립되어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주행 서보기구(T1)와 선회 서보기구(T2)의 스풀(S1·S2)과 피스톤(P1·P2)의 슬라이딩 방향은, 주행 유압펌프(23)와 선회 유압펌프(26)에 설치한, 크레이들(cradle)형 사판의 상하회동방향과 동일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P1·P2)와, 크레이들형의 사판(146)을 연결 핀(190)으로 연결하고 있다.
도 8에 있어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지 펌프(CP)에는, 흡인구(196)와 토출구(195)가 개구되어 있고, 흡인구(196)에, 작동유 탱크로부터의 작동유를 흡인해서, 유압으로서 토출구(195)로부터 토출하여, 작동유 필터를 거친 후에, 센터 섹션(C)의 상부의 공급구(194)에 공급하고, 일부는,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5)와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의 폐회로에, 척 밸브 및 조임기구(137·138)과, 척 밸브 및 조임기구(141)을 매개로 해서 공급하고, 과잉의 작동유를 릴리프 분출밸브(199)에서,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의 내부로 토출해서 냉각유로서 사용하고 있다.
이하, 도 12내지 도 29에 있어서, 본 발명의 변속 레버(68)와 환형 조향 핸들(19)에서, 주행변속조작 암(151)과 선회조작 암(162)에 이르는 연동 링크기구를 설명한다.
도 12부터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5)에 연결하는 운전조작부인 변속 레버(68)와,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에 연결하는 환형 조향 핸들(19)을, 연동수단인 변속 및 선회 연동기구(69)에 연동 연결시키는 동시에, 상기 변속 및 선회 연동기구(29)를 주행변속 및 조향 링크기구(70·71)를 매개로 해서, 주행 및 선회용 HST식 변속기구(25·28)의 주행변속조작 암(151)과 선회조작 암(162)에 연동 연결시키고 있다.
상기 변속 및 선회 연동기구(69)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 12,도 15,도 16,도 17과 같이, 변속 레버(68)의 기단 절곡부(68a)를 통축(筒軸)(74)에 좌우로 요동이 자유롭도록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상기 통축(74)은 전후로 회동이 자유롭도록 하는 회동판(75)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동판(75)은, 기체측의 본 기체 프레임(76)과 일체화한 고정 부착판(78)에 베어링으로 지지한 제1 추축(樞軸)(77)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 변속 레버(68)의 회동에 의해 통축(74)이 회동하고, 상기 통축(74)과 일체적으로 구성한 회동판(75)이 회동한다.
상기 회동판(75)에는 상기 제1 추축(77)과 직교하는 전후방향의 제2 추축(79)이 부착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동판(75)이, 변속 레버(68)의 회동조작에 의해 제1 추축(77)을 중심으로 회동하면, 상기 제2 추축(79)도 전후로 회동한다.
도 15,도 16,도 17 등에서와 같이, 상기 제2 추축(79)에 변속 조작부재(80)와, 조향 조작부재(81)를, 따로따로 회동이 자유롭도록 지지하고 있다.
제2 추축(79)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설치한 변속조작부재(80)와, 상기 제2 추축(79)의 축둘레에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시키는 조향 조작부재(81)는, 편심위치의 각 조작출력부(80a·81a)를 주행변속 및 조향 링크기구(70·71)에 연동 연결시키고 있다.
상기 HST식 전동장치(H)의 주행변속조작 암(151)과 선회조작 암(162)에 연결하는, 주행변속 및 조향 링크기구(70·71)는, 변속 및 선회연동기구(69)의 후방의 위치에서, 본 기체 프레임(76)측에 지지된 요동축(82)의 위치에서 상기 변속 및 선회 연동기구(69)와 연동되어 있다.
그리고, 도 21에서와 같이, 상기 요동축(82)의 위치에서, 변속 및 조향용 자유자재의 이음매형 제1로드(97·98)를 매개로 해서, 운전 캐빈(18)의 회동지점축(92)의 위치인, 제1 요동 암(95·96)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요동 암(95·96)에 대해서, 변속 및 조향용 자유자재의 이음매형 제2 로드(107·108)나 제2 요동 암(109·110) 등이 연결되고, 주행변속 및 조향 링크기구(70·71)를 구성하고 있다.
주행변속 및 조향 링크기구(70·7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축(82)의 외측에 요동 통축(83)을 헐겁게 끼우고, 상기 요동 통축(83)에 변속 암(84)을 고정하고 있다.
또, 상기 요동축(82)에 조향 암(85)의 기단을 고정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추축(79)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한 변속조작부재(80)의 출력부(80a)와, 마찬가지로 제2 추축(79)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한 조향 조작부재(81)의 출력부(81a)에, 각 조작출력축(86·87)이 도 15,도 16,도 17과 같이 설치되고, 상기 조작출력축(86·87)과 각 암(84·85)사이를, 도 12, 도 14,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유자재의 이음매축(88·89)에 의해 연결하고 있다.
도 12 내지 도 15, 도 21내지 도 24와 같이, 상기 요동축(82)과 요동 통축(83)의 우단에 고정 설치한 변속 및 조향 출력 암(90·91)과, 상기 운전 캐빈(18)의 회동지점축(92)의 지점 베어링(93)에 부착한 중간 축(94)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설치한 변속 및 조향용 제1 요동 암(95·96)이, 변속 및 조향용 자유자재의 이음매형 제1 로드(97·9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중간 축(94)에는, 제1 요동 암(95·96)에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변속 및 조향용 제2 요동 암(99·100)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전동 케이스(22)상부의 베어링판(101)에 부착한 지축(102)에, 변속 및 조향용 통축(103·104)을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시키고, 각 통축(103·104)에 기단을 고정 설치하는 제1 요동 암(105·106)과 상기 제2 요동 암(99·100)의 각 선단사이를 연결하는 변속 및 조향용 자유자재의 이음매형 제2 로드(107·108)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통축(103·104)에 기단을 고정 설치하는 제2 요동 암(109·110)과 상기 컨트롤 레버(72·73)의 각 선단사이에는, 변속용 서보 로드(111)와 선회용 서보 로드(11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주행변속 및 조향 링크기구(70·71)의 구성에 의해, 상기 제1 추축(77)을 중심으로 한 변속조작부재(80)의 회동에 의해 주행변속조작 암(151)을, 또, 주행중의 제2 추축(79)을 중심으로 한 조향조작부재(81)의 회동에 의해 조향용 선회조작 암(162)을 조작해서, 변속 및 조향제어를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도 12 내지 도 20, 도 25내지 도 29에 의해, 상기 환형 조향 핸들(19)과 상기 연동기구(69)와의 연동 연결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5, 도 19와 같이, 상기 환형 조향 핸들(19)의 하단의 핸들 조작축(113)에 기어(114)를 설치하고, 이 후방의 회전축(115)에 부착한 섹터(sector) 기어(116)에 상기 기어(114)를 맞물리게 하고 있다.
또, 상기 변속 레버(68)의 위치 아래쪽에 조향축(117)의 제1 요동 암(11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요동 암(118)과, 상기 회전축(115)에 기단을 고정 설치하는 출력 암(119)과의 각 선단사이는, 조향 링크기구인 자유자재의 이음매형 조향 제1 로드(120)를 매개로 해서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조향축(117)의 제1 요동 암(118)과 일체인 제2 요동 암(121)을, 상기 자유자재의 이음매축(89)의 전단에, 자유자재의 이음매형 조향 제2 로드(122)를 매개로 해서 연결시키고 있다.
이렇게 해서, 상기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동조작에 의해 상기 제2 추축(79)을 중심으로 해서 조향조작부재(81)를 회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핸들조작 축(113)의 기어(114) 아랫쪽에 중립위치 결정판(123)을 설치하고 있고, 상기 위치 결정판(123)하면의 돌출축(124)에 조향검출 링크(125)의 일단을 연결시키고 있다.
상기 회전축(115)의 우측에 설치한 감속 암축(126)의, 제1 요동 암(127)과 상기 조향검출 링크(125)의 타단 긴 구멍(125a)을, 축(128)을 매개로 해서 연결시키고 있다.
상기 조향축(117)의 감속 암(129)과 감속 암축(126)의 제2 요동 암(130)과의 각 선단사이를, 감속링크기구인 자유자재의 이음매형 제1 감속로드(131)로 연결시키고 있다.
도 14, 도 17과 같이, 상기 변속조작부재(80)의 가장 우측단의 감속전달축(132)과, 자유자재의 이음매형 제1 감속로드(131)의 타단사이를, 자유자재의 이음매형 제2 감속로드(133)로 연결시키고, 주행상태에서 상기 환형조향 핸들(19)의 조향량을 크게 할수록, 제2 감속로드(133)를 아랫쪽으로 당겨서 주행속도를 감속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런데,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변속 및 조향조작부재(80·81)를, 축둘레에 회동이 가능하게 하는 제2 추축(79)과, 조향 암(85)과 이음매축(89)과의 자유자재의 이음매부(89a)를, 전후방향의 수평 라인(L1)상에 위치시키고 있다.
또, 상기 조작출력축(86·87)과 자유자재 이음매축(88·89)와의 자유자재 이음매부(88b·89b)와, 제1 추축(77)을, 상기 라인(L1)에 직교시키는 좌우 수평 라인(L2)상에 위치시키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변속 암(84)과 이음매 축(88)과의 자유자재 이음매부(88a)와 상기 자유자재 이음매부(89a)를, 상기 라인(L2)과 평행한 좌우 수평 라인(L3)상에 위치시키고, 변속 레버(68) 및 환형 조향 핸들(19)의 중립유지시에, 이들 어느 한 쪽이 조작되어도, 각 조작부재(80,81)를, 제1 및 제2 추축(77·79)의 축둘레에 회동시킬 뿐으로, 자유자재 이음매 축(88·89)에는 조작력을 작용시키지 않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도 16에도 나타내듯이, 변속 레버(68)의 전후진 조작으로, 제1 추축(77)을 중심으로 해서 변속조작부재(80)를 전후로 각도(α1·α2)로 경사시켰을 때, 상기 자유자재 이음매 축(88)을 당기거나 또는 밀어서, 변속 암(84)을 동작시켜 주행속도의 전후진의 전환을 행한다.
또, 도 17에 나타내듯이, 이 상태에서, 즉, 변속 레버(68)가 중립이외일 때에,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동조작으로, 제2 추축(79)을 중심으로 해서 조향 조작부재(81)를 상하로 각도(β1·β2)로 경사시켰을 때, 자유자재의 이음매 축(89)을 당기거나 또는 밀어서 조향 암(85)을 회동시켜, 기체의 좌, 우 선회를 행하는 것이다.
즉, 주변속의 중립시에 선회조작을 행해도, 자유자재 이음매 축(89)은 라인(L1)을 중심으로 한 원추면상에도 이동하는 상태로 되어, 자유자재 이음매부(89a·89b)사이의 거리는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HST식 무단변속기구(28)의 선회유압 모터(27)는 회전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 도 19에도 나타내듯이, 상기 환형 조향 핸들(19)에 설치한 검출 링크(125)는, 중립위치보다 우 혹은 좌 선회 조작 어느 것에 있어서나, 제1 요동 암(127)을 동일방향으로 각도(θ)의 범위로 회동시키고, 제2 감속 로드(133)를 항상 당김상태로 하고, 전진조작시의 변속조작부재(80)가, 도 16의 각도(α1)측으로 기울어져 있을 때에는, 자유자재의 이음매부(88a·88b)사이의 거리를 좁히고, 또, 후진조작시의 변속조작부재(80)가, 각도(α2)측으로 기울어져 있을 때에는, 자유자재의 이음매부(88a·88b)사이의 거리를 크게 해서, HST식 무단변속기구(25)의 변속에 관여하는, 도 12의 변속 암(84)을 각각 중립방향의 저속측으로 변위시키고, 그 선회량에 따라 감속을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21에 나타내듯이, 변속 및 조향의 조작력을 전달하는 상기 제1 로드(97·98)와 제1 요동 암(95·96)의 자유자재 이음매부(97a·98a)중심을, 변속 및 조향의 중립유지에 있어서는, 운전 캐빈(18)의 회동지점인 회동지점축(92)의 위치에 일치시키고, 변속 및 조향의 중립위치에 있어서는 이들 조작계를 해체하지 않고 운전 캐빈(18)의 앞방향으로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기대(3)위의 전(前)지점 받침대(134)에 고정 설치하는 지점 베어링(93)에, 상기 중간 축(94)을 일체적으로 지지시키고 있고, 변속 및 조향의 중립상태시에는 제1 로드(97·98)와 요동 암(95·96)의 자유자재 이음매부(97·98)의 중심을, 회동지점축(92)의 축심선상에 일치시켜, 회동지점축(92)을 중심으로 한 운전 캐빈(18)의 전방으로의 회동시에도, 중간 축(94)을 중심으로 해서 제1 로드(97·98)를 일체적으로 회동시켜, 제1 요동 암(95·96)과의 관계를 나쁘게 하는 일이 없는 운전 캐빈(18)의 개방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운전 캐빈(18)내부의 조작부와 전동 케이스(22)의 각 변속기구(25·28)가, 로드(97·98·107·108) 등을 이용한 링크기구(70·71)로 연결되면서, 이들을 그 때마다 해체할 필요가 없는 운전 캐빈(18)의 개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링크기구(70·71)를 매개로 해서 전달하는 운전 캐빈(18)의 진동도 최소한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듯이, 운전조작부(환형 조향 핸들 및 변속 레버(19·68)를 내장한 운전 캐빈(18)을, 회동지점축(92)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한 콤바인의 조작장치에 있어서, 캐빈외측의 운전구동부(전동 케이스)(22)와 상기 조작부(19·68)를 연동 연결하는 조작 로드(97·98·107·108)를, 상기 회동 지점 축(92)을 매개로 해서 연결 형성하는 것이지만, 운전조작부(19·68)와 운전구동부(22)를 조작 로드(97·98·107·108)로 확실하게 연결하는 구조이면서, 조작로드(97·98·107·108)를 그 때마다 해체하지 않는 용이한 운전 캐빈(18)의 개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운전 캐빈(18)의 진동이 전동기 등 운전구동부(22)에 전해지는 것을 최소한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변속조작을 행하는 변속 레버(68)와, 차속을 제어하는 유압변속기구(25)를 연동 연결하는 변속조작 로드(97·107)의 연결점을, 지점축(92)에 설치했기 때문에, 운전 캐빈(18)의 회동개방시에는 변속 레버(68)의 변속조작 로드(97·107)를 그 때마다 해체할 필요가 없는, 운전 캐빈(18)의 양호한 개방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선회조작을 행하는 환형 조향 핸들(19)과, 기체를 선회하는 유압 조향기구(28)를 연동 연결하는 선회조작 로드(98·108)의 연결점을, 회동지점축(92)에 설치했기 때문에, 운전 캐빈(18)의 회동개방시에는 환형 조향 핸들(19)의 선회조작 로드(98·108)를 그 때마다 해체할 필요가 없는, 운전 캐빈(18)의 양호한 개방적업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도 22와 도 23과 도 24에 나타낸 구성을 이용하고 있다. 즉, 변속 레버(68)의 조작에 연동해서, 상하 조작되는 변속용 서보 로드(111)에 있어서, 주행유압 펌프(23)의 사판(145)을 조작하는 주행변속조작 암(151)과의 연결부분에, 간극으로서의 긴 구멍(200)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긴 구멍(200)과, 주행변속조작 암(151)의 연결 핀(151b)을 연결해서, 변속 레버(68)로부터 주행변속조작 암(151)까지의 긴 링크기구에 있어서 발생하는 백래시(backlash)를 이 부분에서 흡수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긴 구멍(200)과 같은 간극을 설치해도, 주행유압 펌프(23)의 사판(145)은 중립위치를 유지하도록, 주행중립유지 암(148)과 주행중립유지 롤러(148a)를 배치해서, 강력하게 중립측을 힘을 가해 유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HST식 무단변속기구(25)의 변속조작은, 약간 둔한 움직이어도 되지만, HST식 무단변속기구(28)의 조향 선회조작은 충분히 예민한 감도를 구비시키기 위해, 선회용 서보 로드(112)와 선회조작 암(162)과의 사이는, 둥근 구멍과 연결 핀(162b)에 의해 연결하고 있다.
이것과 관련해서, 환형 조향 핸들(19)의 조작계통에는, 환형 조향 핸들(19)의 아랫쪽 중립위치 결정판(123)과, 상기 중립위치 결정판(123)에 연결된 조향검출 링크(125)의 타단의 긴 구멍(125a) 등의 부분에, 필요한 간극이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은, 도 25부터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속 레버(68)의 조작에 의해, 전진·후진과 주행 크롤러(2)의 속도가 변속되는 것은 당연하지만,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전에 의해, 좌우의 주행 크롤러(2)가 따로따로 변속되는 것이다.
도 25의 경우에는, 변속 레버(68)는 중립위치(N)이며, 환형 조향 핸들(19)은 직진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주 변속의 중립시이며, 환형 조향 핸들(19)을 회동하는 선회조작을 행해도, 이음매축(89)은 전후방향의 수평 라인(L1)을 중심으로 한 원추면상에 이동하는 상태로 되어 이음매부(89a·89b)사이의 거리는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HST식 무단변속기구(28)의 선회 유압모터(27)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것에 의해, 변속 레버(68)가 중립에서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환형 조향 핸들(19)을 잘못 조작해도, 주행 크롤러(2)가 HST식 무단변속기구(28)에 의해 회전을 개시해서, 축선회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6은, 도 25의 상태에서, 변속 레버(68)를 전진측으로 최대 각도인 30도 회동하고(F위치), 또한 환형 조향 핸들(19)을, 좌선회로 최대 각도인 135도 회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는, 환형 조향 핸들(19)을 크게 회동 조작해서, 급선회를 하고자 하는 상태이므로, 주행속도가 너무 빠르면 기체가 옆으로 돌거나, 조작자가 흔들려 떠러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변속 레버(68)에 의해 조작한 변속속도를,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동량에 따라 서서히 감속하고, 135도의 최대 회동량의 위치에서, 최저의 속도로 하는 것이다.
도 27에 있어서는, 변속 레버(68)는 전진 고속(F위치)으로 회동하고 있고, 환형 조향 핸들(19)을 우측으로 단숨에 135도 회동해서, 오른쪽으로의 최대 급선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는,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동을, 섹터 기어(116)에 의해 검출하고, 자유자재의 이음매형 조향 제1 로드(120)와 자유자재 이음매형 조향 제2 로드(122)에 의해, 자유자재 이음매축(89)과 조향 암(85)을 조작해서,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가 최대 증속되어 있다.
도 26과 도 27에서는, 조향조작부재(81)의 회동방향이 상하로 반대로 되어 있지만, 최대 위치에 조향조작부재(81)가 회동조작된 점은 같다.
도 28과 도 29는, 변속 레버(68)가 후진 고속측으로 최대 25도 회동되어 있고(R위치), 이 상태에서, 환형 조향 핸들(19)이 최대 135도 회동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조향조작부재(81)의 회동방향이 상하로 역방향으로 초대한도까지 회동되어 있다.
도 26,도 27,도 28,도 29의 어느 경우나, 변속 레버(68)의 회동에 의해, 자유자재의 이음매(88)를 매개로 해서,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5)가 전진측과 후진측의 최대속도까지 조작되어 있다.
이 자유자재 이음매 축(88)이 조작된 상태에서, 다시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동각이, 조향 검출 링크(125)와 제1 요동 암(127)과 제2 요동 암(130)과 자유자재 이음매형 제1 감속 로드(131)와 제2 감속 로드(133)를 매개로 해서, 자유자재 이음매축(88)이 조작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변속 레버(68)에 의해 변속한 위치에서,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동각에 따라, 감속이나 일부 증속의 조작이 행해지는 것이다.
이 조작은, 환형 조향 핸들(19)의 하부에 배치된, 핸들 조작축(113)의 기어(114)와, 섹터 기어(116)가 걸어 맞춰져 있고, 상기 섹터 기어(116)의 회동량이 자유자재 이음매형 조향 제1 로드(120)와 자유자재의 이음매형 조향 제2 로드(122)를 매개로 해서, 조향조작부재(81)에 전달되어, 상기 조향조작부재(81)가 제2 추축(79)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자유자재의 이음매축(89)을 당겨서 짧아지고, 조향 암(85)을 조작함으로써,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의 회전속도가 상승한다. 이것에 의해, 좌우의 주행 크롤러(2)의 속도비율이 커지는 것이다.
상기 환형 조향 핸들(19)의 조작이 우선회인 경우에는, 섹터 기어(116)의 회전방향이 반대이지만, 자유자재의 이음매형 조향 제1 로드(120)와 자유자재의 이음매형 조향 제2 로드(122)가 밀려 조작되고, 조향조작부재(81)가 윗쪽으로 밀려 회동되어, 자유자재의 이음매 축(89)의 길이가 짧아지고, 마찬가지로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의 회전수가 증가하여, 좌우 주행 크롤러(2)의 회전속도비율이 커진다.
그리고,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전량을 검출해서,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5)의 속도를 감속하는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구는 도 14 또는 도 19에 있어서 도시되어 있다.
즉, 환형 조향 핸들(19)의 핸들 조작축(113)에 고정 설치한 중립위치 결정판(123)에, 돌출축(124)을 매개로 해서, 조향검출 링크(125)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조향검출 링크(125)는, 도 14와 같이, 환형 조향 핸들(19)이 직진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에, 중립위치 결정판(123)의 우측 바로 옆의 위치에, 돌출축(124)이 위치하는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에서, 우선회하는 경우에도, 좌선회하는 경우에도, 환형 조향 핸들(19)을 회전하면, 먼저, 돌출축(124)이 원주방향, 접선방향으로, 앞뒤로 움직이게 되고,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동의 초기는,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동각도에 비교해서, 조향검출 링크(125)의 이동폭이 커져, 서서히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의 회전이 개시되게 되는 것이다.
이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전초기의 조향검출 링크(125)의 이동폭은, 환형 조향 핸들(19)이 어느 정도 크게 회동되면, 기어(114)의 전후 위치로 돌출축(124)이 위치하게 되고, 회전각도에 비례해서, 조향검출 링크(125)의 이동폭이 커지게 되는 것이다. 환형 조향 핸들(19)이 최대 135도 회동한 상태가 도 19이며, 이 위치에서는, 조향검출 링크(125)는 크게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따라서,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동각도가 커지면, 조향검출 링크(125)에서 제1 요동 암(127)과 제2 요동 암(130)과 자유자재의 이음매형 제1 감속 로드(131)를 매개로 해서, 제2 감속 로드(133)가 밀고 당겨져, 도 20의 변속조작부재(80)를 회동해서, 자유자재의 이음매 축(88)을 밀고 당김으로써,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를 무단변속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환형 조향 핸들(19)의 조작에 의해,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가 변속되지만, 처음에는 회전수의 상승비율이 낮고,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동각도가 커지면,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의 회전수의 상승비율이 커지게 되는 것이다.
도 30의 그래프에 있어서는, 이 환형 조향 핸들(19)의 조작에 따른, 좌우 속도차의 변화와, 환형 조향 핸들(19)의 조작에 따른 주행속도의 감소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30의 기체중심 속도선(c)이,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동각도가 커짐으로써, 조향검출 링크(125)가 조작되어,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5)의 속도가, 감속되는 경과를 도시하고 있다.
또, 도 30에 있어서는, 좌측 크롤러속도 변속선(a)과 우측 크롤러속도 변속선(b)사이의 각도가 개방상태에 있고,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동각이 커질수록, 좌우의 크롤러속도의 차가 커져 가는 과정이, 환형 조향 핸들(19)에 의해 섹터 기어(116)가 회전하고, 자유자재의 이음매 축(89)에서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를 서서히 증속해 가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30에 있어서, 좌측 크롤러속도 변속선(a)과 우측 크롤러속도 변속선(b)의 각도가 도중에서 절곡되어 있지만,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동각도가 작은 위치와, 큰 위치에서는, 좌측 크롤러속도 변속선(a)과 우측 크롤러속도 변속선(b)의 직선이 이루는 각도는 변화하지 않는다.
기체중심 속도선(c)이 도중에서, 중립위치 결정판(123)과 돌출축(124)과 조향검출 링크(125)의 위치의 관계에서, 절곡점(d)에서 절곡되어,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전각도에 대한 감속비율이 변화하므로, 이것에 따라, 좌측 크롤러속도 변속선(a)과 우측 크롤러속도 변속선(b)의 벌어진 각도가 도중에서 절곡되어 있을 뿐이다.
본 발명은, 이렇게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5)와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를 함께 설치해서, 변속 레버(68)에 의해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5)를 조작해서, 환형 조향 핸들(19)에 의해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를 조작하는 구성으로 한 HST식 전동장치의 조작기구에 있어서,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동조작각도에 따라, 좌우 주행장치의 속도비를 변경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상태는, 좌측 크롤러속도 변속선(a)과 우측 크롤러속도 변속선(b)이 이루는 각도가 서서히 벌어지고 있는 것에 의해, 작용적으로는 보여지고 있다.
또,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5)와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를 함께 설치해서, 변속 레버(68)에 의해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5)를 조작하고, 환형 조향 핸들(19)에 의해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를 조작하는 구성으로 한 HST식 전동장치의 조작기구에 있어서, 변속 레버(68)의 조작각에 의해 속도가 저속·표준·고속으로 변화함으로써, 좌측 크롤러속도 변속선(a)과 우측 크롤러속도 변속선(b)이 이루는 각도가, 각도(α)·각도(β)·각도(γ)로 상위해 가는 것에 의해,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동조작각도가 같아도, 선회반경이 상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상태는, 좌측 크롤러속도 변속선(a)과, 우측 크롤러속도 변속선(b)이 이루는 각도에서, 저속인 경우의 각도(α)가, 표준속도인 경우의 각도(β), 그리고, 고속인 경우의 각도(γ)로 됨에 따라서, 서서히 좁아지고 있는 것에 의해 보여지고 있다.
즉, 고속인 경우에는,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동폭은 같아도, 선회하기 위한 속도차를 작게 해서 선회하고, 저속인 경우에는, 같은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동각도에 대해서, 좌우의 속도차를 크게 해서 급선회를 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또, 변속 레버(68)에 의해 변속하는 속도가 저속인 경우에는, 환형 조향 핸들(19)에 의해 선회하는 방향측의 주행장치의 속도는 서서히 낮아지고, 선회 방향과 반대측의 주행속도는 서서히 높아져, 변속 레버(68)에 의해 변속하는 속도가 고속인 경우에는, 선회측의 속도도, 선회방향과 반대측의 속도도 서서히 낮아지지만, 선회측의 속도의 감속율쪽을 크게 하고 있다.
이 작용은, 도 30에 있어서, 좌측 크롤러속도 변속선(a)과 우측 크롤러속도 변속선(b)의 각각의 직선의 경사각에 의해 그대로 나타내어져 있다. 저속인 경우에나, 고속인 경우에나,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동각이 커지면, 선회측의 속도는, 서서히 작어져 0이 되며, 다시 회동하면, 역회전을 개시하는 것이다.
저속인 경우의 쪽이 속도차가 크게 되지만, 고속인 경우에는 그만큼 극단으로 속도차를 크게 잡을 수 없는 것이다.
또, 감속측의 감속비율은,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동각도가 작은 경우에는, 느리게, 회동각도가 커지면 감속비율이 크게 되고, 증속비율은, 회동각도가 작은 경우에는 증속비율을 크게, 회동각도가 커지면 증속비율이 작아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상태는 도 30에 있어서는, 기체중심 속도선(c)이, 도중의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동각도가 작은 위치에서 절곡되어 있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환형 조향 핸들(19)의 조작량이 작은 경우에는,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5)의 속도를 감속하는 조작을 너무 극단으로 행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또, 변속 레버(68)에 의해 변속하는 속도가 고속인 경우에는, 선회측의 속도도, 선회방향과 반대측의 속도도 서서히 낮아지지만, 선회방향과 반대측의 속도는, 일단 증속한 후에, 서서히 감속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상태는, 좌측 크로러속도 변속선(a)과 우측 크롤러속도 변속선(b)이, 절곡점(d)의 바로 앞의 좌측에 있어서, 저속이나 고속이라도, 우선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동각이 작은 경우에는, 선회방향과는 반대측이 증속하고,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동과 함께, 감속상태로 되어 가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주행전동장치의 조타기구는, 콤바인 등의 크롤러식 주행작업기에서, 변속 레버로 주행변속조작을 행하고, 환형 조향 핸들로 선회조작을 행하는 타입인 것에 유용하다.

Claims (6)

  1.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5)와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를 함께 설치하고, 변속 레버(68)에 의해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5)를 조작하고, 환형 조향 핸들(19)에 의해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를 조작하는 구성으로 한 HST식 전동장치의 조작기구에 있어서,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동조작 각도에 의해 좌우 주행장치의 속도비를 변경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전동장치의 조타기구.
  2.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5)와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를 함께 설치하고, 변속 레버(68)에 의해 주행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5)를 조작하고, 환형 조향 핸들(19)에 의해 선회용 HST식 무단변속기구(28)를 조작하는 구성으로 한 HST식 전동장치의 조작기구에 있어서, 변속 레버(68)의 조작각의 차이에 의해,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동조작 각도가 같아도, 선회 반경이 상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전동장치의 조타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좌우의 주행장치를 크롤러식 주행장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전동장치의 조타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변속 레버(68)에 의해 변속하는 속도가 저속인 경우에는, 환형 조향 핸들(19)에 의해 선회하는 방향측의 주행장치의 속도는 서서히 낮아지고, 선회방향과 반대측의 주행속도는 서서히 높아지며, 고속 레버(68)에 의해 변속하는 속도가 고속인 경우에는, 선회측의 속도도, 선회방향과 반대측의 속도도 서서히 낮아지지만, 선회측의 속도의 감속율 쪽을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전동장치의 조타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감속측의 감속비율은, 환형 조향 핸들(19)의 회동각도가 작은 경우에는, 느리게, 회동각도가 커지면 감속비율이 커지고, 증속비율은, 회동각도가 작은 경우에는 증속비율을 크게, 회동각도가 커지면 증속비율이 작아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전동장치의 조타기구.
  6. 제4항에 있어서, 변속 레버(68)에 의해 변속하는 속도가 고속인 경우에는, 선회측의 속도도, 선회반향과 반대측의 속도도 서서히 낮아지지만, 선회방향과 반대측의 속도는, 일단 증속한 후에, 서서히 감속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전동장치의 조타기구.
KR10-1999-7002387A 1996-09-20 1997-06-09 주행전동장치의 조타기구 KR1004651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50538 1996-09-20
JP8250538A JPH1095360A (ja) 1996-09-20 1996-09-20 走行ミッション装置の操舵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498A true KR20000048498A (ko) 2000-07-25
KR100465150B1 KR100465150B1 (ko) 2005-01-13

Family

ID=17209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2387A KR100465150B1 (ko) 1996-09-20 1997-06-09 주행전동장치의 조타기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260641B1 (ko)
EP (1) EP0927679B8 (ko)
JP (1) JPH1095360A (ko)
KR (1) KR100465150B1 (ko)
CN (1) CN1117004C (ko)
DE (1) DE69740166D1 (ko)
TW (1) TW348050B (ko)
WO (1) WO19980120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91913B1 (en) * 1997-01-23 2008-08-20 Yanmar Agricultural Equipment Co., Ltd. Mobile agricultural machine
US6629577B1 (en) 1998-07-02 2003-10-07 Tuff Torq Corporation Driving apparatus for speed changing and steering of a vehicle
US6126564A (en) * 1998-07-08 2000-10-03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Axle driving apparatus
US6540633B1 (en) * 1998-09-25 2003-04-01 Tuff Torq Corporation Transmission for speed changing and steering of a vehicle
EP1129310A4 (en) * 1998-09-25 2007-05-02 Tuff Torq Corp TRANSMISSION FOR VARIATION OF SPEED AND DIRECTION OF A VEHICLE
US6951259B2 (en) * 1998-12-03 2005-10-04 Koji Irikura Multi-wheel vehicle
US6397966B1 (en) * 1999-01-22 2002-06-04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Vehicle improved in steering
US6547685B2 (en) 1999-01-22 2003-04-15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Transaxle apparatus
JP2001208198A (ja) * 2000-01-25 2001-08-03 Furukawa Co Ltd 作業機械の油圧回路
ATE446892T1 (de) * 2000-02-03 2009-11-15 Yanmar Co Ltd Hydraulisch angetriebenes fahrzeug
JP4390349B2 (ja) * 2000-03-24 2009-12-2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装軌車両の操向方法および操向装置
JP2001301633A (ja) * 2000-04-25 2001-10-31 Showa Corp 車両用流体圧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2036900A (ja) * 2000-07-31 2002-02-06 Seirei Ind Co Ltd 作業車
US6805218B2 (en) 2000-10-30 2004-10-19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Motorized vehicle
WO2003033329A2 (en) * 2001-10-17 2003-04-24 Lonmore, Lc Variable flow control devices, related applications, and related methods
JP4258598B2 (ja) * 2002-01-28 2009-04-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運転操作装置
JP3950358B2 (ja) * 2002-04-24 2007-08-01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作業車の操向装置
US7621353B2 (en) * 2003-04-24 2009-11-24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Vehicle transmission
US7371422B2 (en) * 2003-05-13 2008-05-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ereal grain kernels fortified with iron and calcium
JP4266781B2 (ja) * 2003-11-11 2009-05-20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ポンプユニット
JP2006137335A (ja) 2004-11-12 2006-06-01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油圧変速装置の容積制御機構
US7942220B2 (en) * 2006-12-22 2011-05-17 Caterpillar Inc. Differential steering control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machine
CN104541752B (zh) * 2015-01-20 2016-05-18 延寿县闪电农业装备有限公司 全液压驱动履带式联合收割机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505B2 (ja) * 1976-08-02 1984-03-2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装軌車両の操向制御装置
US4174762A (en) * 1977-02-02 1979-11-20 Caterpillar Tractor Co. Hydrostatic transmission with differential steering
DE3012220C2 (de) * 1980-03-28 1985-04-25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Ag, 7990 Friedrichshafen Überlagerungslenkgetriebe für Arbeitsmaschinen
US4471669A (en) * 1982-01-21 1984-09-18 J. I. Case Company Track drive system with dual mode steering
JPS6064557A (ja) * 1983-09-19 1985-04-13 Fujitsu Ltd 発信規制方式
JPS6089454U (ja) 1983-11-28 1985-06-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流体トランスミツシヨン装置
AT383556B (de) * 1984-07-30 1987-07-27 Steyr Daimler Puch Ag Antriebs- und lenkeinrichtung, insbesondere fuer gleiskettenfahrzeuge
US4882947A (en) * 1986-01-29 1989-11-28 Barnard Jan H Track-laying device
US4700794A (en) * 1986-07-14 1987-10-20 Caterpillar Inc. Vehicle steering apparatus
JPS63251379A (ja) * 1987-04-07 1988-10-18 Kubota Ltd トラクタの自動片ブレ−キ装置
JPH089342B2 (ja) * 1989-11-30 1996-01-31 株式会社新潟鐵工所 作業用車両の走行装置
JP3268568B2 (ja) * 1992-04-28 2002-03-25 井関農機株式会社 走行車輌の操向制御装置
JP2576804Y2 (ja) * 1992-11-20 1998-07-16 三菱農機株式会社 トラクタにおける安全装置
JP2600061B2 (ja) * 1993-07-14 1997-04-1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装軌車の操向装置
JP3213166B2 (ja) * 1994-06-08 2001-10-02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作業車の操作部構造
JP2892293B2 (ja) * 1994-11-17 1999-05-17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走行農作業機の操向装置
JPH08156821A (ja) * 1994-12-07 1996-06-18 Kubota Corp 作業車の操向装置
GB9606638D0 (en) * 1996-03-29 1996-06-05 Ecc Int Ltd Treatment of solid containing material derived from effluent
JP3436830B2 (ja) * 1995-05-16 2003-08-18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作業車両におけるトランスミッショ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7004C (zh) 2003-08-06
KR100465150B1 (ko) 2005-01-13
JPH1095360A (ja) 1998-04-14
WO1998012098A1 (fr) 1998-03-26
EP0927679B1 (en) 2011-04-06
EP0927679A1 (en) 1999-07-07
TW348050B (en) 1998-12-21
DE69740166D1 (de) 2011-05-19
CN1230930A (zh) 1999-10-06
EP0927679B8 (en) 2011-07-06
US6260641B1 (en) 2001-07-17
EP0927679A4 (en)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5150B1 (ko) 주행전동장치의 조타기구
JP3655516B2 (ja) クローラ作業車
JP3687704B2 (ja) Hst式ミッション装置の操作機構
JP3976820B2 (ja) Hst式ミッション装置の操作機構
JP3644769B2 (ja) Hst式ミッション装置の操作機構
JPH1142012A (ja) コンバイン
JP3636265B2 (ja) Hst式ミッション装置の操作機構
JP3662458B2 (ja) クローラ作業車
JP3463874B2 (ja) 作業車
JP3590365B2 (ja) 作業車
JPH1054462A (ja) Hst式ミッション装置の中立保持機構
JPH1132555A (ja) コンバイン
JP3429501B2 (ja) 作業車
JP3675972B2 (ja) Hst式ミッション装置
JP3626002B2 (ja) コンバイン
JPH1096470A (ja) Hst式ミッション装置の操作機構
JP3198411B2 (ja) 移動農機
JP4508337B2 (ja) 走行装置
JP3277360B2 (ja) 移動農機の走行装置
JP2000153772A (ja) クロ―ラ作業車
JP3256850B2 (ja) 移動農機
JPH1095363A (ja) 走行車両の動力制御装置
JP2005059852A (ja) クローラ作業車
JPH104719A (ja) コンバインの操作装置
JPH1054451A (ja) Hst式ミッ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