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8354A - 화상판독장치와 흑화소 검색방법 및 백지원고검출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판독장치와 흑화소 검색방법 및 백지원고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8354A
KR20000048354A KR1019990060842A KR19990060842A KR20000048354A KR 20000048354 A KR20000048354 A KR 20000048354A KR 1019990060842 A KR1019990060842 A KR 1019990060842A KR 19990060842 A KR19990060842 A KR 19990060842A KR 20000048354 A KR20000048354 A KR 20000048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support
original
detection
read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0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4018B1 (ko
Inventor
요코노마사하루
오기하라나미오
Original Assignee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이토가 미찌야
Publication of KR20000048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0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795Reading arrangements
    • H04N1/0079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or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H04N1/00801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or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 H04N1/00803Presence or absence of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795Read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지원고검출을 사용환경에 따라 효율적이고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없다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미리 선밀도별로 대응부여된 임계값을 RAM(9)에 기억하여 두고 원고 판독시에 설정된 선밀도를 선밀도판별부(14)로 판별하며, 이 선밀도에 대응 부여된 값으로 임계값 선택부(15) 및 설정부(16)에 의해 전환하여 백지원고 검출을 행한다. 또한 RAM(9)에 기억한 선밀도별로 대응 부여된 임계값은 이용자의 변경지시에 의하여 혹은 통상의 원고로 하고자 하는 흰 부분이 많은 원고로부터 판독한 흑화소수에 의거하여 자동적으로 변경된다.

Description

화상판독장치와 흑화소 검색방법 및 백지원고검출방법{IMAGE READING APPARATUS, METHODS FOR SEARCHING BLACK PIXELS AND FOR DETECTING EMPTY PAGES THEREOF}
본 발명은 팩시밀리 장치나 컴퓨터에 접속되는 스캐너 혹은 원고 자동급지기능을 갖는 복사기 등, 원고를 주사하여 이 원고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화상판독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백지원고의 검출을 효율적이고도 고정밀도로 행하는 데 적합한 화상판독장치와 흑화소(黑畵素) 검색방법 및 백지원고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팩시밀리 장치나 컴퓨터에 접속되는 스캐너 혹은 원고 자동급지 기능을 갖는 복사기 등과 같은 원고판독장치에는 판독대상인 원고를 세트하는 경우, 이미지 센서의 판독위치에 따라서 원고의 안팎이 결정되어 있다. 이하, 앞면에 정보가 기재되고 뒷면에는 아무것도 기재되어 있지 않는 백지인 원고를 대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원고를 안팎 반대로 세트했을 경우에는 백지의 화상정보나 복사가 출력되어 버린다. 그 결과 통신비며 기록지의 낭비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번호 제5-48835호에 기재된 것이 있다. 그러나 이 일본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팩시밀리장치 등 화상판독장치에 있어서 판독한 원고가 백지인지 여부를 판단할 때, 1라인의 화상데이터가 전부 백(白)이고 이것이 1 페이지 전체를 구성하고 있는 경우에 그 원고를 백지로 판단한다. 그 때문에 이미지 센서로부터 판독한 데이터에 이미지 센서의 성능 등으로 먼지 따위가 있는 경우, 실제로는 백지의 원고임에도 불구하고 백지로 판단할 수 없다.
또 종래 기술로서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6-261168호에 기재된 기술은 팩시밀리장치 등에 있어서, 메모리 송신의 경우는 메모리내에 일단 저장된 각 화상정보의 유효 도트(dot; 흑화소)수가 전부 소정값 이하이면, 또 리얼 타임 송신의 경우는 소정의 장수만 연속하여 화상정부의 유효 도트(흑화소)수가 소정값 이하이면 원고가 안팎이 반대로 세트된 것으로 판단하여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기술로는 팩시밀리장치에 있어서 여저 장의 원고가 세트된 경우, 송신함/송신하지 않음의 결정까지는 시간을 요한다. 즉, 리얼 타임 송신의 경우라도 최종 페이지까지 소정의 장수에 이르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메모리 송신과 동일한 시간을 요한다. 이 결과 팩시밀리장치의 이용자는 정상 판독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모든 원고에 대한 판독동작이 종료할 때까지 팩시밀리장치로부터 떠나지 않고 감시하지 않으면 안되어 효율적이지 못하다.
또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10-229484호에는 1라인별로 흑화소수를 카운트하여 원고가 백지인지를 여부를 판단하고 백지원고이면 화상데이터를 삭제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백지원고의 검출기술을 포함하여 화상판독장치의 백지원고 검출기구는 종래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장치의 사용환경에 따라 이용자가 임의로 백지원고 검출기구를 선택할 수 없어 효율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종래 기술로는 백지원고를 효율적이고도 고정밀도로 검지할 수 없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이들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여 팩시밀리장치나 스캐너장치 등의 성능과 신뢰성의 향상 및 편의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화상판독장치와 흑화소검색방법 및 백지원고검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화상판독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2는 도1의 팩시밀리장치가 본 발명에 따라 백지원고를 검출하는 부분의 제1시스템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3은 도1의 팩시밀리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백지원고 검출처리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흑화소의 검색처리예의 1/2부분을 나타낸 설명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흑화소의 검색처리예의 2/2부분을 나타낸 설명도.
도6은 도1의 팩시밀리장치가 본 발명에 따라 백지원고를 검출하는 부분의 제2 시스템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7은 도6의 백지원고 검출시스템을 구비하는 팩시밀리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처리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8은 도1의 팩시밀리장치가 본 발명에 따라 백지원고를 검출하는 부분의 제3시스템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9는 도8의 백지원고 검출시스템을 구비하는 팩시밀리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처리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10은 도1의 팩시밀리장치가 본 발명에 따라 백지원고를 검출하는 부분의 제4시스템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11은 도10의 백지원고 검출시스템을 구비하는 팩시밀리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처리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12는 도1의 팩시밀리장치가 본 발명에 따라 백지원고를 검출하는 부분의 제5시스템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13은 도12의 백지원고 검출시스템을 구비하는 팩시밀리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처리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14는 도12의 백지검지시스템에 의한 흑화소의 검색처리예의 1/2부분을 나타낸 설명도.
도15는 도12의 백지검지시스템에 의한 흑화소의 검색처리예의 2/2부분을 나타낸 설명도.
도16은 도1의 팩시밀리장치가 본 발명에 따라 백지원고를 검출하는 부분의 제6 시스템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17은 도16의 백지원고 검출시스템을 구비한 팩시밀리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백지원고 검출처리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18은 본 발명의 화상판독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19는 도18의 팩시밀리장치의 백지원고검출에 따른 부분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20은 도18의 팩시밀리장치에 의한 본 발명의 백지원고검출방법 처리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21은 도19의 제1검출부의 본 발명에 따른 처리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22는 도19의 제2검출부의 본 발명에 따른 처리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23은 도19의 제3검출부의 본 발명에 따른 처리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24는 본 발명의 화상판독장치에 따른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25는 도24의 팩시밀리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판독처리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26은 도24의 팩시밀리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출력처리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27는 도24의 팩시밀리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판독처리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 스캐너
1b : 자동양면원고급지장치([ARDF])
2, 2a : 부호화 복호화부
3, 3a : 화상메모리
4, 4a : 플로터
5, 5e : 조작표시부
5a : LCD
5b : 임계값변경화면
5c : 화소수검출화면
5d : 백지검지 임계값 자동변경화면
6, 6a : 스위치(SW)
7, 7a : CPU
8, 8a : ROM9
9, 9a : RAM
10, 10a : 모뎀
11, 11a : 네트제어부
12, 12a : 버스
13,13a : 임계값제어처리부
14 : 선밀도판별부
14a : 판독모드·선밀도판별부
15, 15a : 임계값선택부
16,16a : 설정부
17, 17a : 원고판별부
18, 18a : 화소수카운트부
19, 19a : 비교·판별부
20 : 임계값 변경부
21 : 선밀도별 임계값 표시부
22 : 임계값 변경부
23 : 화소수 표시부
24 : 임계값 변경·설정부
25 : 선밀도특정부
26 : 흑화소수카운트부
27 : 화소수 산출부
28 : 임계값갱신부
31 : 백지원고통지부
32 :강제출력부
33 : 임계값변경부
51 : 스캐너
52 : 표시부
53 : 조작부
54 : 통신부(NCU)
55 : 컨트롤러
56 : ROM
57 : RAM
58 : 플로터
59 : 내부버스
60 : 원고
61 : CIS(밀착형 이미지센서)
62 : A/D(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
63 : 백지판정부
64 : 제1검지부
65 : 제2검지부
66 : 제3검지부
67 : 선택부
68 : 통지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화상판독장치는 미리 선밀도(線密度) 각각에 대응하도록 부여된 임계값을 기억하여 두고, 원고판독 선밀도를 판별하여 이 선밀도에 대응하는 임계값으로 바꾸어 백지원고를 검출한다. 이 화상판독장치에 있어서 기억부에 기억한 선밀도 각각에 대응 부여된 임계값을 표시하며 이 표시한 선밀도별의 임계값을 이용자의 지시에 따라 변경한다.
이 때 카운트한 원고의 흑화소수를 표시함으로써 이용자의 임계값 변경조작을 용이하게 한다. 혹은 이용자가 통상의 원고로 하고자 하는 흰 부분이 많은 원고를 판독하여 그 흑화소수로 그 선밀도에 대응하는 임계값을 자동적으로 변경한다.
또한, 임계값을 선밀도뿐만 아니라 원고가 선화상이나 하프톤(halftone)인 경우에 선택하는 판독모드에도 대응되도록 부여하여 기억하고, 선택된 판독모드에 최적의 임계값을 근거로 하여 백지원고를 검출한다.
또 본 발명의 화상판독장치의 흑화소 검색방법에서는 메인 주사 1라인을 4개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1블록을 각 라인의 판독대상범위로 하고, 다음 라인은 앞 라인의 다음의 블록을 판독대상범위로 하며, 각 블록에서는 1바이트 걸러 흑화소 검색을 행하며 각 블록의 검색 개시 어드레스는 4라인 걸러 홀수와 짝수의 교대로 행함으로써 원고 전체 면적의 약 1/8을 대상으로 흑화소를 검출한다. 또한 검색대상의 1바이트 중 1도트 및 2도트의 고립점은 이미지 센서의 먼지 등에 의한 잘못된 검지로 보고 흑화소로서 카운트하지 않는다.
또 선밀도 및 원고의 판독모드별로 흑화소수를 카운트하는 순서를 복수개 구비하고 선택된 선밀도 및 판독모드에 대응하여 순서를 전환하여 흑화소수를 카운트한다.
백지원고로 판별한 경우에도 이용자가 강제송신을 지지하면, 그 때의 흑화소수에 근거하여 새로운 임계값으로 변경한다. 예컨대 소정 횟수의 강제송신후에 그 평균치로 변경한다. 또한 이 변경은 이용자의 확인을 거쳐 행한다.
또 본 발명의 화상판독장치 및 그 백지원고검출방법은 미리 제1 검지기능(1장이라도 백지원고라고 판정하면 검지결과를 출력한다.), 제2 검지기능(소정 장수의 백지원고를 판정할 때까지 검지결과의 출력을 기다린다.), 제3 검지기능(모든 원고를 백지원고라고 판정하지 않으면 검지결과를 출력하지 않는다.)를 설정하여 두고 이용자에게 그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이용자는 원고에 맞게 최적의 백지원고 검지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바, 장치의 성능 및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 이용자에게 통지할 때에는 동작을 정지시켜 이용자에게 조작을 다시 하거나 또는 처리를 계속하도록 선택하게 하고, 그 선택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장치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화상판독장치에 따른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예의 화상판독장치는 팩시밀리장치이며 스캐너(1), 부호화복호화부(2), 화상메모리(3), 플로터(4), 조작표시부(5), 스위치(도면중에는 "SW"로 표시)(6), CPU(Central Processing Unit)(7), ROM(Read Only Memory)(8), RAM(Random Access Memory)(9), 모뎀(10), 망제어부(11)를 버스(12)를 통하여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캐너(1)는 CIS(Contact-type Image Sensor,밀착형 이미지센서) 등으로 되어 원고의 판독을 행한다. 부호화복호화부(2)는 스캐너(1)로 판독한 원고의 화상데이터의 부호화 및 수신한 화상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한다. 화상메모리(3)는 스캐너(1)로 판독한 화상데이터나 수신한 화상데이터를 축적한다.
플로터(4)는 수신한 화상데이터나 스캐너(1)로 복사용으로 판독한 화상데이터 등을 인쇄 출력한다. 조작표시부(5)는 원터치 키나 LCD(Liquid Crystal Display)등으로 되며, 이용자와의 대화형 입출력처리에 이용된다.
스위치(6)는 전원 스위치나 커버 스위치 등과 같은 것이다.
CPU(7)는 본 발명의 백지원고 검출동작에 따른 처리를 포함한 팩시밀리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ROM(8)은 CPU(7)의 동작 프로그램 등을 기억한다.
RAM(9)은 CPU(7)에서 생성되는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모뎀(10)은 팩시밀리장치로 송수신하는 화상데이터의 변조처리 및 복조처리를 행한다.
네트제어부(11)는 전화회선을 통한 상대방측 장치와의 접속제어를 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팩시밀리장치에서, CPU(7), ROM(8),RAM(9) 등에 의해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백지원고 검출시스템이 구성된다.
도2는 도1의 팩시밀리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백지원고검출을 행하는 부분의 제1 시스템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1 예의 백지원고검출시스템은 스캐너(1), 조작표시부(5), RAM(9) 및 CPU(7), ROM(8), RAM(9) 등에 의해 구성되는 임계값 제어처리부(13)와 원고판별부(17)로 이루어진다.
임계값 제어처리부(13)는 선밀도판별부(14), 임계값선택부(15), 설정부(16)로 이루어지며 선밀도판별부(14)에서는 조작표시부(5)를 통해 이용자가 지시한 선밀도를 판별하여 임계값선택부(15)로 통지한다. 임계값선택부(15)는 RAM(9)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선밀도 각각에 대한 흑화소수의 임계값 일람을 참조하여 선밀도판별부(14)로부터 통지된 선밀도에 대응하는 흑화소수의 임계값을 특정하여 설정부(16)로 통지한다. 설정부(16)는 임계값선택부(15)로부터 통지된 흑화소수의 임계값을 RAM(9)을 이용하여 기억한다.
원고판별부(17)는 화소수 카운트부(18)와 비교·판별부(19)로 이루어지며, 화소수 카운트부(18)는 스캐너(1)로 판독한 화상데이터의 흑화소수를 카운트하여 그 결과를 비교·판별부(19)로 통지한다. 비교·판별부(19)는 화소수 카운트부(18)로부터 통지된 흑화소수와, 설정부(16)에 의해 기억된 흑화소수의 임계값을 비교하여 스캐너(1)로 판독한 화상데이터가 백지원고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이와 같은 백지원고 검출시스템을 구비한 도1의 팩시밀리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처리동작을 도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3은 도1의 팩시밀리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백지원고 검출처리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원고의 판독을 개시할 때 등, 이용자는 몇 종류의 판독 선밀도로부터 한개의 선밀도를 선택한다(단계 301).
선택된 선밀도로부터 도1의 RAM(9)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각 선밀도에 대응하는 백지검지의 임계값을 읽어 내어(단계 302), 원고를 판독하며(단계 303), 흑화소수를 검출한다(단계 304).
판독이 종료한 시점에서(단계 305), 그 검출한 흑화소수와(단계306), 단계 302에서 RAM(9)으로부터 읽어 낸 임계값을 비교하고(단계 307), 판독한 원고의 흑화소수가 RAM(9)으로부터 읽어 낸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백지검출 플래그를 RAM(9)에 세트하고(단계 308), 백지원고를 판독하였다고 판단한다(단계 309). 또 판독한 원고의 흑화소수가 RAM(9)으로부터 읽어 낸 임계값보다 큰 경우, RAM(9) 내의 백지검출플래그를 리세트하고(단계 310), 통상의 원고를 판독하였다고 판단한다(단계 311).
또한 이 RAM(9) 내의 플래그가 세트상태로 된 경우, 도1의 CPU(7)는 조작표시부(5)의 표시부나 버저(Buzzer)를 통하여 이용자에게 백지원고를 판독한 것을 통지하며 화상 데이터를 원고로부터 화상 메모리(3)로 축적을 중단하거나 모뎀(10) 및 네트제어부(11)를 통한 교신 등을 중단한다. 혹은 이와 같은 중단은 행해지지 않고 조작표시부(5)의 표시부나 버저를 통하여 이용자에게 백지원고를 판독하였다는 것을 경고하는 것만으로도 좋다.
다음에 도4 및 도5를 이용하여 발명에 따른 흑화소수의 검색기술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4 및 도5는 발명에 따른 흑화소의 검색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원고를 CIS 등으로 1라인씩 판독하며 라인 버퍼(buffer)로 전송된 화상중의 흑화소를 이하와 같이 샘플링(검색)한다.
우선, 메인 주사 1라인을 4개로 분할한 블록 중 1개를 그 라인의 샘플링 대상범위로 하고 더 나아가 그 대상블록에 대해 1바이트 걸러 샘플링한다.
다음의 라인은 앞 라인에서 대상범위로 한 블록의 다음 블록을 대상범위로 한다.
도4(a)에서 제1라인에 대해서는 도면 중 2중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A]블록이 대상범위로 되며, 제2라인에 대해서는 그 다음의 2중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블록이 대상범위로 된다.
대상범위의 샘플링 개시 어드레스는 도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4라인 걸러 홀수 스타트, 짝수 스타트를 교대로 행한다.
즉, A의 대상범위에서는 최초의 어드레스 요컨대 홀수 어드레스(도면에서 별표[*])로부터 샘플링을 스타트하고 B의 대상범위에서는 두번 째 어드레스 요컨대 짝수 어드레스(도면에서 별표[*])로부터 샘플링을 스타트한다.
또 원고의 선단으로부터 10 mm와, 1라인의 양 옆 8 mm(8바이트)분은 커트(삭제)하여 샘플링하지 않는다.
이상의 샘플링에 의해 원고의 전체 면적의 약 1/8을 대상으로 하여 흑화소를 샘플링(검색)하는 것으로 되어 처리량을 삭감하여 처리속도를 높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판독 폭 1라인중의 검색바이트수는 이하와 같이 된다.
A4 폭의 경우: ((216바이트 - 16바이트)/4)/2 = 25바이트
B4 폭의 경우: ((256바이트 - 16바이트)/4)/2 = 30바이트
또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샘플링 대상의 1바이트중 1도트 혹은 2도트의 고립점은 흑화소수로서 카운트하지 않는다.
다음에 도6 및 도7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백지원고 검출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6은 도1의 팩시밀리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백지원고검출을 행하는 부분의 제2시스템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예의 백지원고검출시스템은 조작표시부(5), RAM(9) 및 도1의 CPU(7), ROM(8), RAM(9) 등에 의해 구성된 임계값 갱신부(20)로 이루어지며 이 임계값갱신부(20)는 선밀도별 임계값표시부(21), 임계값변경부(22)를 구비하고 있다.
본 예는 도2 구성의 백지원고 검출시스템의 조작성을 더욱 개선하는 것이다. 즉, 각 판독선밀도로 한개의 백지검출임계값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 다수의 이용자가 사용할 때 이용자에 따라 화상으로서 인식해 받고싶은 원고의 백지정도가 다르다. 그래서 본 예의 백지원고 검출시스템에서는 백지검출임계값을 이용자가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선밀도별 임계값표시부(21)는 RAM(9)에 등록되어 있는 각 판독선밀도와 그것에 대응하는 백지검출 임계값을 읽어 내어 조작표시부(5)의 LCD(5a)의 임계값 변경화면(5b)에 표시한다. 이 임계값 변경화면(5b)을 참조하여 이용자는 조작표시부(5)의 키 조작에 의해 각 선밀도에서의 백지검출임계값을 이용자의 사용환경에 맞는 임계값으로 변경하고 확정 키([Yes]등)를 누른다.
이 조작표시부(5)에서의 키 조작 결과에 의거하여 임계값 변경부(22)는 RAM(9)의 등록내용을 고쳐 쓴다. 또한 RAM(9)은 백업용의 전원이 접속되어 있어서 이와 같은 값의 고쳐 씀이 행해지지 않는 한 전원스위치를 꺼서 전원을 끊어도 현재의 값을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백지임계값의 변경처리동작을 도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7은 도6의 백지원고검출시스템을 구비하는 팩시밀리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처리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조작표시부(5)에 선밀도 각각에 대한 임계값을 표시한다.(단계 701)
이 표시내용에 대해 조작표시부(5)로부터 변경(임계값의 변경) 지시가 있으면(단계 702), 그 변경지시에 대응한 변경을 일시 기억하고(단계 703), 조작표시부(5)로부터의 확정 키가 눌러지기를 기다린다 (단계 704) . 확정키가 눌러지면 일시 기억한 변경내용으로 RAM(9) 등록내용을 고쳐 쓴다(단계 705).
다음에 도8 및 도9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백지원고검출 시스템의 제3예를 설명한다.
도8은 도1의 팩시밀리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백지원고검출을 행하는 부분의 제3시스템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예의 백지원고검출시스템은 스캐너(1), 조작표시부(5), RAM(9) 및 도1에 있어서의 CPU(7), ROM(8), RAM(9) 등에 의해 구성된 도2의 원고판별부(17)와 도6의 임계값 갱신부(20) 및 화소수 표시부(23)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예의 백지원고 검출시스템은 도6의 백지원고 검출시스템에서의 이용자에 의한 선밀도별의 임계값 변경조작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즉, 이용자는 적어도 여기까지는 화상으로 판단해 받고 싶은 원고를 우선 스캐너(1)로 판독한다. 이 원고의 화소수를 원고판별부(17)의 흑화소 카운트부(18)로 카운트하고 그 결과를 화소수표시부(23)에 의해 조작표시부(5)의 LCD(5a)의 화소수검출화면(5c)에 표시한다.
이용자는 이 화소수검출화면(5c)의 표시내용을 참조하여 임계값 변경화면(5b)을 통하여 임계값 즉, 흑화소수를 변경함으로써 원하는 임계값으로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변경결과는 임계값 변경부(20)를 통하여 RAM(9)에 반영된다.
이와 같은 임계값의 변경동작을 도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9는 도8의 백지원고검출시스템을 구비하는 팩시밀리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처리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용자가 세트한 원고(최소한 여기까지는 화상으로 판단해 받고 싶은 원고)를 스캐너(1)로 판독한다.(단계 901)
이 원고를 판독한 화상데이터의 흑화소수를 통상의 백지원고 검출동작에 의해 검출하여 백지인지 여부를 판단함(단계 902)과 동시에 그 흑화소수를 조작표시부(5)의 LCD(5a)의 화소수 검출화면(5c)에 표시한다. (단계 903)
이용자로부터의 이 화소수 검출화면(5c)의 표시내용을 참조한 임계값(흑화소수)의 변경지시에 근거하여 도7에 나타낸 처리를 행하며 RAM(9)에 등록되어 있는 임계값을 변경한다. (단계 904)
다음에 도10과 도11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백지원고 검출시스템의 제4예를 설명한다.
도10은 도1의 팩시밀리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백지원고검출을 행하는 부분의 제4시스템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예의 백지원고 검출시스템은 스캐너(1), 조작표시부(5), RAM(9) 및 도1의 CPU(7), ROM(8), RAM(9) 등에 의해 구성된 임계값 갱신·설정부(24)로 구성된다.
임계값 갱신·설정부(24)에는 선밀도특정부(25), 흑화소수 카운트부(26), 화소수 산출부(27), 임계값 갱신부(28)가 설정되어 있고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본 예의 백지원고 검출시스템은 도8의 백지원고검출시스템에서의 이용자에 의한 선밀도별의 임계값 변경조작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즉, 우선, 임계값 갱신·설정부(24)는 조작표시부(5)를 통하여 이용자가 본 예의 임계값 자동변경 모드를 선택한 것을 판별하면 조작표시부(5)의 LCD(5a)에 백지검지 임계값 자동변경 화면(5d)을 표시한다. 이 백지검지 임계값 자동변경 화면(5d)의 표시상태에 있어서, 이용자는 스캐너(1)를 통하여 통상의 키 조작으로 우선 최소한 여기까지는 화상으로 판단해 받고 싶은 원고 예컨대, 백지에 도장이 찍혀있는 원고를 원하는 판독선밀도를 선택하여 판독시킨다. 여기서 선택된 선밀도를 선밀도특정부(25)에 의해 판독하여 RAM(9)에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또 이와 같이 하여 판독한 화상데이터의 흑화소수를 흑화소수 카운트부(26)로 카운트하고, 화소수 산출부(27)에서 그 카운트값에 예컨대 [0.7]을 곱해서 이 흑화소수에 마진(margin)을 가지게 한다.
그리고 그 값을 새로운 백지검지 임계값으로서 임계값갱신부(28)에 해선밀도특정부(25)에 의해 RAM(9)에 일시 기억한 선밀도와 대응하도록 부여하여 RAM(9)에 등록한다.
이렇게 하면 카운트한 흑화소의 수가 [100]일 때 [70]이 새로운 임계값으로 되며 이 임계값 설정이 종료된 다음에는 설정된 선밀도로를 이용한 판독에서는 검출된 흑화소수가 [70]이하인 경우, 백지원고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 임계값 ([70])을 결정하기 위해 판독한 원고(흑화소수[100])는 백지로는 판독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임계값의 변경처리동작을 도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1은 도10의 백지원고검출시스템을 구비하는 팩시밀리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처리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조작표시부(5)의 LCD에 예컨대 백지검지 임계값 자동변경화면 등의 화면을 표시한다.(단계 1101)
그리고 이용자가 이 화면위에서 원고로 판단해 받고 싶은 최저 농도의 원고(백지부분이 많은 원고)를 스캐너(1)에 세트하고(단계 1102), 판독선밀도를 선택하여(단계 1103), 스타트 키를 누르면 스캐너(1)에 의해 원고의 판독을 개시한다(단계 1104).
이 판독동작 중에 흑화소수를 검출한다(단계 1105, 1106). 원고 1페이지분의 흑화소수를 검출했으면(단계 1107), 그 흑화소수를 [0.7]배 하여(단계 1108), 그 값을 단계 1103에서 선택된 선밀도에 대응한 백지검출 임계값으로 하여 RAM(9)의 등록내용을 갱신한다(단계 1109) .
다른 판독선밀도에서의 백지검지 임계값의 변경을 행하는지 여부 등을 LCD에 표시하며 이용자가 다른 판독선밀도에서 백지검지 임계값을 변경한다고 지시한 경우, 단계 1102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하고(단계 1110), 변경하지 않는다고 선택한 경우는, 화면을 통상의 대기화면으로 복귀하여 (단계 1111)처리를 종료한다.
이상, 도1∼도11을 이용하여 설명한 화상판독장치로서의 팩시밀리장치는 미리 선밀도별로 대응하여 부여된 임계값을 RAM(9)에 기억하여 두고, 원고를 판독할 때 설정된 선밀도를 선밀도판별부(14)에서 판별하고, 이 선밀도에 대응한 임계값으로 바꾸어 임계값선택부(15) 및 설정부(16)에 의해 전환하여 백지원고를 검출한다.
또 RAM(9)에 기억한 선밀도별로 대응하여 부여된 임계값을 선밀도별 임계값 표시부(21)에 의해 조작표시부(5)에 표시하며 이 표시한 선밀도별의 임계값에 대한 이용자의 변경지시에 의거하여 임계값 변경부(22)에 의해 RAM(9)내의 기억내용을 변경한다.
이 때, 화소수 카운트부(18)로 카운트한 원고의 흑화소수를 화소수 표시부(23)에 의해 조작표시부(5)에 표시함으로써 이용자의 임계값 변경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혹은 이용자가 통상의 원고로 하고 싶은 흰 부분이 많은 원고를 판독하여 그 흑화소수에 근거하여 화소수 산출부(27)에서 산출한(0.7곱한) 값으로 임계값 갱신부(28)에 의해 그 선밀도에 대응하는RAM(9)내의 임계값을 자동으로 변경한다.
또한, 이 흑화소 검색방법에서는 메인 주사 1라인을 4개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1블록을 각 라인의 판독대상범위로 하고, 또한 다음 라인은 앞 라인의 다음의 블록을 판독대상범위로 하며, 각 블록에서는 1바이트 걸러 흑화소 검색을 행하며 각 블록의 검색 개시 어드레스는 4라인 걸러 홀수와 짝수의 교대로 행한다.
이것에 의해 원고 전체 면적의 약 1/8을 대상으로 흑화소를 검출하게 되는 바, 처리량이 감소하여 고속의 흑화소 검색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검색대상의 1바이트 중 1도트 및 2도트의 고립점은 이미지센서의 먼지 등에 의한 오류검지로 보고 흑화소로서 카운트하지 않는다.
다음에 도12∼도15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백지원고검출 시스템의 제5예를 설명한다.
본 예는 판독모드(판독대상의 원고가 하프톤의 원고인가 통상의 선화상 원고인가)의 설정에 대응하여 임계값 선택을 제어하는 것이다.
즉, 원고를 판독하는 모드(선화상, 하프톤)에 대해 한개의 백지검지 임계값만 대응부여되어 있는 경우, 판독한 화상출력의 특징(예컨대 하프톤의 출력은 미세한 점의 집합체에 의해 출력된다)에 따라서는 이하의 예와 같이, 실제로는 백지로 인식해 받고싶은 원고라도 백지라고 판단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예컨대, 하프톤 판독모드에서 원 바탕이 짙은 종이를 원고로서 판독한 경우, 다소의 농담(濃淡)의 차라도 짙은 부분은 화상으로 판독되어 버린다. 이 경우, 실제로는 원고위에는 화상이 존재하지 않지만 원고의 본 바탕을 판독하여 다수의 미세한 흑화소 점으로 출력해 버릴 가능성이 높다. 그 결과, 원고상에는 화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도 선화상 모드라고 판독한 경우에 비하여 판독한 흑화소수가 많아지며 선화상 모드에서는 백지라고 판단할 수 있은 경우라도 하프톤에서는 백지라고 판단할 수 없는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도12에 나타낸 구성의 백지원고 검출시스템을 이용한다.
도12는 도1의 팩시밀리장치가 본 발명에 따른 백지원고를 검출하는 부분의 제5 시스템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러한 제5예의 백지원고 검출시스템은 스캐너(1), 조작표시부(5), RAM(9) 및 도1의 CPU(7), ROM(8), RAM(9) 등에 의해 구성된 임계값제어처리부(13a)와 원고판별부(17a)로 이루어진다.
본 예에서 RAM(9)에는 판독대상의 원고가 하프톤 원고인가 통상의 선화상 원고인가로 구별되는 판독모드별로 선밀도 각각에 대한 흑화소수 임계값의 일람이 미리 기억되어 있고, 또 판독모드별 및 선밀도별로 원고판별부(17a)의 화소수 카운트부(18a)에 의한 흑화소의 카운트순서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임계값제어처리부(13a)는 판독모드·선밀도판별부(14a), 임계값선택부(15a), 설정부(16a)로 구성되며 판독모드·선밀도판별부(14a)에서는 조작표시부(5)를 통하여 이용자가 지시한 판독모드와 선밀도를 판별하여 임계값선택부(15b) 및 원고판별부(17a)에 통지한다.
임계값선택부(15a)는 RAM(9)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판독모드별 및 선밀도별의 흑화소수 임계값의 일람을 참조하여 판독모드·선밀도판별부(14a)로부터 통지된 판독모드와 선밀도에 대응하는 흑화소수 임계값을 특정하여 설정부(16a)에 통지한다. 설정부(16a)는 임계값선택부(15a)로부터 통지된 흑화소수의 임계값을RAM(9)을 이용하여 기억한다.
원고판별부(17a)는 화소수 카운트부(18a)와 비교·판별부(19a)로 이루어지며 화소수 카운트부(18a)는 스캐너(1)로 판독한 화상데이터의 흑화소수를 카운트하여 그 결과를 비교·판별부(19a)로 통지한다. 이 카운트를 행할 때 화소수 카운트부(18a)는 판독모드·선밀도판별부(14a)로 판별한 판독모드나 선밀도에 대응하는 카운트순서를 RAM(9)으로부터 읽어 내어 이 순서에 의거하여 흑화소의 카운트를 행한다. 예컨대 하프톤 원고의 판독모드나 미세한 선밀도가 선택되어 있으면 도5에서 나타낸 고립점이라도 카운트한다.
비교·판별부(19a)는 화소수 카운트부(18a)로부터 통지된 흑화소수와, 설정부(16a)에 의해 RAM(9)에 기억된 흑화소수 임계값을 비교하여 스캐너(1)로 판독한 화상데이터가 백지원고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이와 같은 백지원고 검출시스템을 구비한 팩시밀리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처리동작을 도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3은 도12의 백지원고 검출시스템을 구비한 팩시밀리장치가 본 발명에 따라 백지원고를 검출하는 처리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원고의 판독을 개시할 때 등, 이용자는 몇 종류의 판독 모드 및 판독 선밀도로부터 판독 모드와 선밀도를 선택한다.(단계 1301)
선택된 판독모드와 선밀도에 대응하는 흑화소의 카운트순서를 도12의 RAM(9)으로부터 선택한다(단계 1302).
또 선택된 판독모드와 선밀도로부터 도12의 RAM(9)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각 판독모드와 선밀도에 대응하는 백지검지 임계값을 선택하고 (단계 1303), 원고를 판독하며 (단계 1304), 흑화소수를 검출한다 (단계 1305) .
판독이 종료하면(단계 1306), 단계 1302에서 선택한 카운트순서에 의거하여 원고내의 흑화소수를 확정한다(단계 1307).
이와 같이 하여 확정한 흑화소수와, 단계 1303에서 RAM(9)으로부터 판독한 임계값을 비교하고(단계 1308), 판독한 원고의 흑화소수가 RAM(9)으로부터 읽어 낸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백지검출 플래그를 RAM(9)내로 세트하고(단계 1309), 백지원고를 판독하였다고 판단한다(단계 1310).
또 판독한 원고 흑화소수가 RAM(9)으로부터 읽어 낸 임계값보다 큰 경우, RAM(9) 내의 백지검출 플래그를 리세트하고(단계 1311), 통상의 원고를 판독하였다고 판단한다(단계 1312).
이와 같이 판독한 원고면의 흑화소수와 미리 정해진 흑화소수 임계값을 비교하여 백지인지 여부를 판단할 때 백지원고검출을 위한 임계값을 판독모드에 따라 변경할 수 있는데, 예컨대, 하프톤 원고에 대해서도 보다 고정밀도의 백지검지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RAM(9)내의 플래그가 세트상태로 된 경우, 도1의 팩시밀리장치에서는 조작표시부(5)의 표시부나 버저(Buzzer)를 통하여 이용자에게 백지원고를 판독한 것을 통지하며 화상 데이터를 원고로부터 화상 메모리(3)로 축적하는 것을 중단하거나 모뎀(10) 및 네트제어부(11)를 통하여 교신 등을 중단한다. 혹은 이와 같은 중단은 행해지지 않고 조작표시부(5)의 표시부나 버저를 통하여 이용자에게 백지원고를 판독하였다는 것을 경고하는 것만으로도 좋다.
다음에 도14 및 도15를 이용하여 도12에 있어서의 백지원고 검출시스템에 의한 발명에 따른 흑화소 검색기술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4 및 도15는 도12의 백지검지시스템에 의한 흑화소의 검색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본 예는 이미지센서로부터 판독한 데이터에 이미지센서의 성능 등으로 먼지와 같은 데이터가 들어 있는 경우에 실제로는 백지의 원고임에도 불구하고 백지로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에 대해 판독모드의 차이에 따라 먼지 데이터를 화상으로서 판단하지 않고 화상으로서의 흑화소를 정밀도 높은 정밀도로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예에서는 복수의 순서로서 흑화소를 카운트할 때에 이용하는 환산테이블(흑화소 카운트 환산테이블)을 복수개 설치하고 판독모드나 선밀도에 대응하여 이 흑화소 카운트 환산테이블을 선택하여 흑화소 카운트순서를 전환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흑화소 카운트 환산테이블이라는 것은 CIS 등으로 판독한 화상데이터가 1라인 단위로 라인버퍼(RAM9)로 전송되고 이 화상데이터의 흑화소수를 1바이트단위로 산출할 때에 1바이트의 흑화소 출현 패턴으로부터 흑화소수를 환산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예컨대 도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송된 1바이트의 데이터가 [FF(HEX)]라는 데이터이면 흑화소수가 8개, [77(HEX)]라는 데이터이면 흑화소수는 6개로 환산한다. 이 환산된 수를 전부 가산함으로써 원고 1페이지분의 흑화소수를 환산한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판독모드나 선밀도의 차이에 따라 화상데이터로부터 흑화소수를 환산하는 수를 이하와 같이 한다.
예컨대 하프톤 모드로 원고를 판독한 경우나 미세한 선밀도로 원고를 판독한 경우에는 도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1바이트의 화상데이터중에 1화소나 2화소 정도의 고립점이라도 화상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 1바이트 데이터도 정확히 1화소, 2화소로 환산하는 테이블을 선택하여 각각 카운트한다.
또 선화상 모드로 원고를 판독한 경우나 성긴 선밀도로 원고를 판독한 경우에는, 도1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상데이터는 원고 위에 있는 오점이나 그 외 먼지데이터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0]화소로 환산하는 테이블을 선택하여 각각을 카운트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환산테이블에 따라 어느 정도의 고립점을 먼지데이터로서 판단하는가는 CIS나 CCD 등 판독소자의 성능이나 백지로 판단하고 싶은 원고에 의존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장치에 따라 미리 실제로 흑화소를 측정하여 평가하여 결정한다.
즉, 원고의 판독을 개시할 때 이용자는 판독 화상에 따라 선화상 모드 또는 하프톤 모드를 선택한다. 이와 같이 선택된 모드로부터 미리 RAM이나 ROM 등에 준비되어 있는 흑화소 카운트 환산테이블을 선택한다. 예컨대 판독모드가 하프톤이면 미리 하프톤 용으로 준비된 흑화소카운트 환산테이블을 참조하여 흑화소수를 카운트한다.
이와 같이 흑화소수를 카운트하는 순서(흑화소 카운트 테이블)를 복수개 가지고 원고를 판독하는 모드(선화상, 하프톤)나 선밀도에 따라 최적의 순서를 선택함으로써 판독한 흑화소가 먼지데이터인가 화상데이터인가의 판단을 높은 정밀도로 할 수 있어 화상데이터로서의 흑화소수 카운트 정밀도가 향상된다. 그리고 화상데이터의 흑화소수 카운트정밀도가 향상됨으로써 원고가 백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흑화소수 임계값이 보다 정확한 것으로 되어 백지검지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다음에 도16 및 도17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백지원고 검출시스템의 제6예를 설명한다.
본 예는 상술한 도1∼도15에서 설명한 각 기술에 의해 설정·변경한 백지원고의 판별용 임계값을 더욱 이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변경하는 것이다.
즉, 도1∼도15에서 설명한 각 기술에 의해 백지원고의 판별용 임계값을 설정·변경한 후, 이용자가 백지원고의 검지를 위한 임계값을 밑도는 원고를 사용한 경우에는 백지원고라고 잘못 검지해 버린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 도16에 나타낸 구성의 백지원고 검출시스템을 이용한다.
도16은 도1의 팩시밀리장치가 본 발명에 따라 백지원고를 검출하는 부분의 제6시스템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제6 예의 백지원고 검출시스템은 조작표시부(5), RAM(9) 및 도1의 CPU(7), ROM(8), RAM(9) 등에 의해 구성된 원고판별부(17), 백지원고통지부(31), 강제출력부(32), 임계값변경부(33)를 구비하고 있다.
원고판별부(17)는 판독한 원고로부터 검출한 흑화소수가 백지를 검지하는 흑화소수 임계값 이하이면 백지원고라고 판단한다. 이 판단결과에 의거하여 백지원고통지부(31)는 조작표시부(5)를 통하여 버저 등 음성수단이나 LCD, LED 등 표시수단을 이용하여 이용자에게 백지원고를 판독한 가능성을 경고한다.
이 경고에 대해 이용자는 조작표시부(5)에 구비된 백지검지 취소 키 혹은 스위치 등으로 경고를 취소하여 원고 송신을 계속함을 지시한 경우, 강제송신부(32)는 백지원고라고 판단한 원고로부터 읽어 들인 화상데이터를 도1의 모뎀(10)이나 네트제어부(11)를 통하여 송신한다.
이와 같이 강제송신부(32)에 의해 백지원고라고 판단한 원고로부터 판독한 화상데이터가 송신되면 임계값변경부(33)는 그 원고의 흑화소수를 이용하여 RAM(9)에 기억되어 있는 임계값을 변경한다.
예컨대, 임계값변경부(33)는 송신한 원고의 흑화소수에 마진을 갖게 하기 위해 0.7을 곱한 값을 새로운 임계값으로 하여 RAM(9)의 소정 어드레스에 기록한다. 판독한 흑화소의 수가 [100]인 경우, [70]이 새로운 임계값으로 되고, 이후 검출된 흑화소수가 [70]이하인 원고의 경우에 백지원고로서 판별되지만 흑화소수가 [100]인 상기 송신한 원고는 이후에도 백지원고로서 판별되지 않는다.
또한, 경고를 보내고 일정 시간 예컨대, 1분이 경과하여도 이용자로부터의 경고 취소가 없는 경우, 그대로 송신을 계속한다. 이 경우, 백지를 검지하기 위해 이용하는 흑화소수 임계값 변경은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백지를 검지하기 위해 이용하는 흑화소수 임계값을 변경함으로써 이용자가 사용하는 원고에 알맞는 백지검지를 할 수 있다.
또, 임계값변경부(33)는 다음과 같이 하여 새로운 임계값을 RAM(9)에 기록할 수도 있다.
즉 강제송신부(32)에 의해 화상데이터가 송신되면 임계값변경부(33)는 이 화상데이터의 흑화소수를 로그데이터로서 RAM(9)의 소정 어드레스에 보존한다. 또한 판독모드나 선밀도 등의 판독조건에 대응하여 로그데이터를 보존할 영역은 구분하여 둔다.
그리고, 동일한 판독조건의 복수회(예컨대5회) 보존동작별로 그 평균치를 구하며 그 평균치에 마진을 갖게 하기 위해 [0.7]을 곱한 값을 새로운 임계값으로 하여 RAM(9)의 소정 어드레스에 기록한다. 또한 로그데이터로부터 평균치를 산출하는 동작횟수는 조작표시부(5)를 통하여 이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임계값의 변경처리를 함으로써 이용자가 사용하는 원고의 변화에 대응한 임계값 설정이 될 수 있어 이용자의 사용원고에 알맞는 백지원고의 검지를 행할 수 있다. 또 통상은 사용하지 않는 특수한 원고만을 읽어 들여 백지로 검지해도 임계값을 변경함이 없이 강제송신할 수 있다.
또, 임계값변경부(33)는 강제송신부(32)에 의해 화상데이터의 송신이 행해지면 조작표시부(5) 위의 LCD등 표시장치로 이번에 판독한 흑화소수에 의거하여 새로운 임계값을 구하여 RAM(9)에 등록할 것인지 말것인지를 이용자가 선택하도록 하는 표시를 하며 이 표시에 의거하여 이용자가 등록하겠다고 지시한 경우에RAM(9)의 당해 임계값을 새로운 값으로 변경한다. 등록지시가 없으면 로그데이터를 RAM(9)의 소정 영역에 보존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은 백지원고 검출시스템을 구비한 팩시밀리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처리동작을 도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7은 도16의 백지원고 검출시스템을 구비한 팩시밀리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백지원고검출 처리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설정된 판독조건(판독모드, 선밀도)으로 원고를 판독하여(단계 1701), 그 결과 백지원고로 판단하면(단계 1702), 도1의 조작표시부(5)를 통하여 버저나 LCD등으로 이용자에게 경고한다(단계 1703).
이용자가 이 경고를 취소하여 원고의 송신을 계속할 것을 지시하면(단계 1704), 그 원고의 흑화소수를 판독조건에 대응부여하여 로그데이터로서 도1의 RAM(9)에 보존한다(단계 1705).
이 로그데이터 수가 이용자가 미리 임의로 설정한 값(MAX)으로 되면(단계 1706), 로그데이터를 이용하여 새로운 임계값을 산출하고(단계 1707), RAM(9)에 기억하고 있는 임계값을 산출한 임계값으로 변경한다(단계 1708). 또한 이 새로운 임계값으로의 변경은 이용자의 지시에 근거하여 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백지를 검지하기 위해 이용하는 흑화소수 임계값을 변경함으로써 이용자가 사용하는 원고의 변화에 대응한 임계값의 설정이 될 수 있어 이용자의 사용원고에 알맞는 백지원고를 검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18∼도2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화상판독장치에 따른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18은 본 발명의 화상판독장치에 따른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예의 화상판독장치는 팩시밀리장치이며 스캐너(51), 표시부(52), 조작부(53), 통신부(도면중 [NCU]로 기재)(54), 컨트롤러(55), ROM(56), RAM(57), 플로터(58)를 내부버스(59)를 통하여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캐너(51)는 특히 본 발명의 화상판독장치에 따른 부분이며 송신화상 및 복사화상을 판독한다.
표시부(52)는 LCD 등으로 구성되며, [통신중]이거나 [에러상태] 등 팩시밀리장치의 동작상태 등을 이용자(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한다.
조작부(53)는 텐 키 또는 원터치 키 등을 구비하며 이용자가 팩시밀리장치 를 사용할 때에 조작된다.
통신부(4)는 모뎀이나 네트제어장치 등으로 구성되고 다이얼펄스 발신이나 착신신호의 검출, 전화와 팩시밀리의 전환 등을 행하며 공중회선이나 전용회선 등을 통하여 상대방측 장치와의 접속제어를 행한다.
컨트롤러(55)는 CPU 등으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 따른 백지원고 검출처리를 포함한 팩시밀리장치의 전체동작을 제어한다.
ROM(56)은 컨트롤러(55)의 CPU 동작용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한다.
RAM(57)은 CPU 제어용 데이터 예컨대, 에러 발생시의 데이터나 수신데이터를 기억한다.
플로터(58)는 레이저 프린터 기구를 구비하며 스캐너(51)로 판독한 복사화상, 혹은 통신부(54)에서 수신한 화상데이터를 프린트 출력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예의 팩시밀리장치 동작을 설명한다.
오퍼레이터가 스캐너(51)에 원고를 세트하고 조작부(52)의 원터치 키 등으로 상대방을 지정하여 스타트키를 누르면 컨트롤러(55)는 스캐너(51)를 기동하여 원고를 스캐너(51)내로 반입하여 원고의 판독을 개시한다.
판독한 화상데이터를 부호화 복호화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부호화하여 일단 RAM(57)에 저장한다.
그리고 통신부(54)를 통하여 조작부(52)로 지정된 상대방과의 접속을 행하며 접속이 완료했으면 RAM(57)에 저장된 화상데이터를 송출한다.
이와 같은 처리에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스캐너(51)에 원고를 안팎 반대로 세트했을 경우에는 백지의 화상데이터가 송신되어 버리므로 이와 같은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본 예의 팩시밀리장치에서는 다음의 도19에 나타낸 구성의 백지원고 검출기구를 구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백지원고 검출을 행하고 있다.
도19는 도18의 팩시밀리장치의 백지원고 검출에 따른 부분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19에서 60은 원고, 61은 CIS, 62는 A/D(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 63은 백지판정부, 64는 제1검지부, 65는 제2검지부, 66은 제3검지부, 67은 선택부, 68은 통지부이며 백지판정부(63), 제1∼제3검지부(64∼66), 선택부(67), 통지부(68) 각각은 컨트롤러(55) 내에 구성된다.
CIS(61)는 도18의 스캐너(51)에 설치되며 오퍼레이터가 세트한 복수의 원고로부터 1장씩 이송되어 온 원고(60)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전기신호(아날로그)로 변환한다.
A/D변환부(62)는 CIS(61)로부터의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이 A/D변환부(62)에서 변환된 디지털신호, 즉 화상데이터는 RAM(57)에 저장되어 컨트롤러(55)의 처리에 의해 송신 또는 복사된다.
백지판정부(63), 제1∼제3검지부(64∼66), 선택부(67) 및 통지부(68)는 특히 본 발명의 백지원고검출에 따른 부분을 구성하는 것이다.
즉, 백지판정부(63)는 원고(60)별로 A/D변환부(62)로부터 출력되는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이 원고(60)가 백지원고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1 검지부(64)에서는 백지판정부(63)가 원고(60)를 백지원고라고 판정한 경우, 즉시 검지결과를 출력한다.
또, 제2 검지부(65)에서는 백지판정부(63)에서 백지원고라고 판정한 원고(60)의 합계 장수가 소정장수에 도달한 시점에서 검지결과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3 검지부(66)에서는 백지판정부(63)가 오퍼레이터가 세트한 원고 전부를 백지원고로서 판정한 경우, 검지결과를 출력한다.
선택부(67)는 이들 제1∼제3 검지부(64∼66) 중 하나를 조작부(53)를 통한 오퍼레이터로의 지시에 근거하여 선택하여 동작시킨다.
이와 같이 선택부(67)에 의해 기동된 제1∼제3 검지부(64∼66) 중 어느 하나의 검지결과출력이 통지부(68)로 보내진다.
통지부(68)에서는 제1∼제3 검지부(64∼66) 중 어느 하나의 검지결과출력이 있으면 표시부(52)를 통하여 오퍼레이터에게 세트한 원고의 체크를 재촉하는 통지를 출력한다.
이 통지부(68)에 의한 통지에 응하여 오퍼레이터는 원고의 인쇄농도 등을 확인하여 원고를 재세트하는가 그대로 송신하는가 혹은 동작을 정지시키는가 등을 결정하고 조작부(53)를 통하여 지시한다.
오퍼레이터로부터 계속지시가 있으면 컨트롤러(55)는 원고 판독을 계속하거나 판독한 화상정보의 송신을 행하며, 또 정지지시가 있으면 원고의 판독 혹은 판독한 화상정보의 송신을 정지한다.
이하, 이와 같은 백지원고검출동작을 도20 내지 도2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20은 도18의 팩시밀리장치에 의한 본 발명의 백지원고검출방법의 처리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조작부(53)에서 스타트키가 눌러 지면(단계 2001), 원고가 세트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2002).
원고가 세트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표시부(52)에 에러를 표시한다(단계 2003). 원고가 세트되어 있으면 첫 장의 원고를 반입하여 (단계 2004), 화상데이터를 판독한다(단계 2005).
여기서 조작부(53)를 통하여 백지원고의 검출지시가 되어 있는지를 판별한다(단계 2006).
백지원고의 검출지시가 되어 있지 않으면 다음 원고의 유무를 확인하고(단계 2010), 다음의 원고가 있으면 단계 2004의 다음 원고의 반입으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하고, 원고가 없으면 처리를 계속한다.
또 단계 2006에서의 백지원고의 검출지시가 되어 있으면 우선 제1, 제2 검출부(64, 65) 중 어느 것이 선택되어 있는지를 판별한다(단계 2007).
제1, 제2 검출부(64, 65)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있으면 선택된 검출부를 기동하여 백지원고를 검출한다(단계 2008).
제1, 제2 검출부(64, 65) 중 선택된 검출부로부터 백지원고의 검출결과가 나오지 않으면(단계 2009), 다음의 원고 유무를 확인하고(단계 2010), 원고가 없으면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2009에서 백지원고 검출결과가 나오면 통지부(67)에 의해 표시부(52)를 통하여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한다(단계 2011).
또, 단계 2007에서 제1, 제2 검출부(64, 65) 이외의 검출부 즉, 제3 검출부(66)가 선택되어 있으면 이 제3 검출부(66)를 기동하여 백지원고를 검출한다(단계 2012).
이 제3 검출부(66)에서의 백지원고의 검출은 세트된 전부의 원고가 백지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인데, 우선 다음의 원고가 없어질 때까지(단계 2013), 단계 2004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그리고 이 제3 검출부(66)로부터의 백지원고 검출결과가 나오지 않으면(단계 2014), 그대로 백지원고 검출처리를 종료하며, 백지원고 검출결과가 나오면 통지부(67)에 의해 표시부(52)를 통하여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한다(단계 2011).
도21은 도19에서 제1 검출부의 본 발명에 따른 처리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19의 백지판정부(63)의 판정결과를 입력하고(단계 2101), 그 판정결과가 [백지원고]가 아니면(단계 2102), 다음의 원고(단계 2103)에 대한 백지판정부(63)의 판정결과를 입력한다(단계 2101). 또한 다음의 원고가 없으면 처리를 종료한다.
백지판정부(63)의 판정결과가 [백지원고]이면 도19의 통지부(68)에 대해 백지원고를 검지했다는 정보(백지원고검지결과)를 출력한다(단계 2104). 이와 같이 제1 검출부(64)에서는 백지판정부(63)가 원고를 백지라고 판정할 때마다 백지원고검지결과의 출력을 제어한다.
도22는 도19에서 제2 검출부의 본 발명에 따른 처리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19에서 백지판정부(63)의 판정결과를 입력하고(단계 2201), 그 판정결과가 [백지원고]가 아니면(단계 2202), 다음의 원고(단계 2203)에 대한 백지판정부(63)의 판정결과를 입력한다(단계 2201). 또한 다음의 원고가 없으면 처리를 종료한다.
백지판정부(63)의 판정결과가 [백지원고]이면 카운트값(t)을 한 개 가산하고(단계 2204), 가산한 결과 카운트값(t)이 소정값(T)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2205). 도달하지 않았으면 다음의 원고(단계 2203)에 대한 백지판정부(63)의 판정결과를 입력한다(단계 2201).
카운트값(t)이 소정값(T)에 도달한 경우, 도19의 통지부(68)에 대해 백지원고를 검지했다는 정보(백지원고 검지결과)를 출력한다(단계 2206).
이와 같이 제2 검출부(65)에서는 백지판정부(63)의 원고에 대한 백지판정결과(백지원고 장수)가 소정값(T)에 도달한 시점에서 백지원고 검지결과 출력을 제어한다.
도23은 도19에서 제3 검출부의 본 발명에 따른 처리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19의 백지판정부(63)의 판정결과를 입력하고(단계 2301), 그 판정결과가 [백지원고]이면 (단계 2302), 소정의 플러그를 ON한다.(단계 2303)
그리고, 다음의 원고(단계 2304)에 대한 백지판정부(63)의 판정결과를 입력하고, 단계 2301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하며, 다음의 원고가 없으면 즉, 모든 원고에 대해서 백지판정부(63)의 판정결과가 [백지원고]이면 도16의 통지부(68)에 대해 백지원고를 검지했다는 정보(백지원고검지결과)를 출력한다(단계 2305).
또, 단계 2302에서 백지판정부(63)의 판정결과가 [백지원고]가 아니면 단계 2303에서 ON한 플러그를 OFF로 하여(단계 2306),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제3검출부(66)에서는 백지판정부(63)가 모든 원고에 대해 백지라고 판정했을 경우만 백지원고 검지결과를 출력한다.
이상, 도18 내지 도23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예의 화상판독장치로서의 팩시밀리장치 및 그 백지원고검출방법에서는 제1 검지기능(64)(1장이라도 백지원고라고 판정하면 검지결과를 출력한다.), 제2 검지기능(65)(소정 장수의 백지원고를 판정할 때까지 검지결과의 출력을 기다린다.), 제3 검지기능(66)(모든 원고를 백지원고라고 판정하지 않으면 검지결과를 출력하지 않음)을 구비하여 두고 이용자에게 그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는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예컨대, 제1검지기(64)가 선택된 경우, 백지판정부(63)가 원고(60)를 백지라고 판정하면 제1검지부(64)는 즉시 백지원고를 검지했다는 정보(백지원고검지결과)를 출력한다. 이 제1검지부(64)의 출력에 의거하여 팩시밀리장치는 그 후의 원고에 대한 화상정보 판독을 정지시키거나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한다. 이것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다수의 원고(60) 전부에 대한 판독 동작이 종료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도 원고의 안팎을 반대로 한 오류 세트 등을 인식할 수 있다.
또, 제2 검출부(65)나 제3 검출부(66)에서는 백지판정부(63)에 의해 어느 정도의 장수 혹은 모든 원고가 백지라고 판정될 때까지는 최종적인 결과가 출력되지 않아 오퍼레이터의 확인을 위한 시간이 길어져 버리지만 이와 같은 모드를 오퍼레이터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퍼레이터는 원고에 따라 최적의 백지원고 검지기능을 선택할 수 있어 팩시밀리장치의 성능 및 편의성이 향상된다.
다음에 도24 내지 도27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화상판독장치에 따른 또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2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판독장치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예의 화상판독장치는 팩시밀리장치이며, 특히 스캐너(1a)에 자동 양면 원고 급지장치 (도면 중 [ARDF]로 기재)(1b)가 구비되어 있다는 점 이외는 도1에 나타낸 팩시밀리장치와 거의 마찬가지로, 부호화 복호화부(2a), 화상메모리(3a), 플로터(4a), 조작표시부(5e), 스위치(도면 중 [SW]로 기재)(6a), CPU(7a), ROM(8a), RAM(9a), 모뎀(10a), 네트제어부(11a)를 버스(12a)를 통하여 접속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자동 양면 원고 급지장치(1b)를 구비함으로써 본 예의 스캐너(1a)에서는 통상의 단면 원고의 자동급지뿐만 아니라 조작표시부(5e)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복수 장이 세트된 원고를 순차적으로 이송하여 화상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각 원고의 안팎을 자동으로 반전시켜서 원고 양면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다.
그리고, 예컨대, 복수 원고를 통상의 단면 연속 판독을 행하여 화상데이터를 화상메모리(3a)로 압축하여 축적하고 있을 때에 상술한 각 종의 검지기능에 의해 백지원고를 검출한 경우, 본 예의 팩시밀리장치에서는 자동 양면 원고 급지장치(1b)를 이용하여 백지 검지한 원고를 반전시켜서 그 반대 면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한다.
이것에 의해 안팎 반대로 겹쳐진 원고가 섞여 있을 경우에도 자동적으로 정확한 화상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어 불필요한 출력을 피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처리동작을 도25와 도26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25는 도24의 팩시밀리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판독처리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자동 양면 원고 급지장치(1b)에 세트된 원고를 이송하여 그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화상메모리(3a)에 압축하여 축적한다.(단계 2501)
축적한 화상데이터가 백지원고인지 여부를 도1∼도23을 이용하여 설명한 흑화소 검색기술이나 백지원고 검출기술(임계값 설정기술) 등에 근거하여 판별한다(단계 2502). 원고를 백지로서 검출한 경우, 판독 원고 페이지 관리용의 RAM, 즉 도24의 RAM(9a)에 있어서 그 원고에 대응부여하여 백지검지 플래그를 세트한다.(단계 2503)
그리고 이 백지원고 검출이 통상의 원고 이송시에 발생했는가 혹은 반전하여 이송한 때에 발생했는 가를 RAM(9a)에 세트되는 원고 반전 플래그를 참조하여 판별한다(단계 2505).
원고 반전 플래그가 세트(ON)되어 있지 않으면 통상의 원고 이송이고, 원고반전플래그를 세트(ON)하여 그 원고를 도24의 자동 양면 원고 급지장치(1b)를 통하여 반전시키고(2507), 단계 2501의 처리로 복귀하여 반전시킨 원고에 대한 화상데이터의 판독동작을 반복한다(단계 2508).
원고 반전 플래그가 세트(ON)되어 있는 경우는 이미 반전된 원고이고, 원고 반전 플래그를 리세트하여(단계 2506), 단계 2501로 복귀하여 다음 원고로부터의 화상데이터 판독 동작을 반복한다(단계 2508, 2509). 또한 이 경우, 그 원고 양면의 화상데이터 어느 것이나 다음의 도26으로 나타낸 출력처리에서의 출력 대상외로 된다.
또 단계 2502에서, 백지원고가 아니라는 판단결과가 있으면, RAM(9a)의 백지검지 플래그를 리세트하고(단계 2504), 다음 페이지의 원고에 대한 화상데이터의 판독동작을 행한다(단계 2509).
도26은 도24의 팩시밀리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출력처리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25에 나타낸 동작으로 판독한 화상데이터를 출력할 때, 우선 그 원고에 대응하는 도24의 RAM(9a)의 백지검지 플래그가 세트(ON)되어 있는지 여부를 참조한다(단계 2601).
백지검지 플래그가 세트(ON)되어 있지 않으면 통상대로 화상메모리에 축적되어 있는 그 화상데이터를 출력장치, 여기서는 도24의 모뎀(10a)과 네트제어부(11a)를 통하여 송신 출력한 후(단계 2602), 화상메모리로부터 삭제하고(단계 2603), 다음 페이지의 원고에 대한 처리를 반복한다(단계 2604).
또, 단계 2601에서 백지검지 플래그가 세트(ON)되어 있지 않으면 그 원고는 백지임을 나타내는 것이며, 화상메모리에 축적되어 있는 그 화상데이터를 출력하지 않고 화상메모리로부터 삭제한다(단계 2603).
이와 같이 하여 백지로 판단한 페이지의 원고는 송신 출력하지 않고 정상 원고의 페이지만을 연속하여 송신한다.
도27은 도24의 팩시밀리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판독처리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예는 도25에 나타낸 동작에서, 백지라고 검출한 원고에 대한 유효·무효의 결정을 이용자의 판단에 맡기는 것이며, 도25의 단계 2502의 처리 다음에 단계 2703, 2704를 구비하고 있다.
즉, 단계 2502에 있어서 화상데이터를 판독한 원고를 백지라고 검출한 경우에는 우선, 그 뜻을 예컨대 도24의 조작표시부(5a)를 통하여 버저나 표시 등으로 이용자에게 통지한다(단계 2703).
그리고 이용자가 백지라고 판단하고 그것의 결정을 조작표시부(5a)에 구비된 특정 키 등에 의해 입력하면(단계 2704), 단계 2503에 있어서의 RAM(9a)으로의 백지검지 플래그의 세트 이후의 처리를 행하며, 또 옅은 원고라도 백지원고가 아니라고 결정되면 단계 2504에 있어서의 통상의 원고에 대한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에 의해 그 원고의 양면이 백지라고 검지된 경우라도 이용자의 확인에 근거하여 어느 것인가 정당한 화상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 도1∼도27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예의 화상판독장치와 그 흑화소검색방법 및 백지원고 검출방법에서는 백지원고를 고정밀도이면서도 효과적으로 검지할 수 있고 팩시밀리장치나 스캐너장치 등 성능과 신뢰성의 향상, 및 편의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예의 화상판독장치로서의 팩시밀리장치는 미리 선밀도별로 대응부여된 임계값을 기억하여 두고, 원고 판독선밀도를 판별하고 이 선밀도에 대응한 임계값으로 전환하여 백지원고를 검출한다. 이것에 의해 백지원고를 고정밀도로 검지할 수 있다.
또, 이 팩시밀리장치에 있어서 기억부에 기억한 선밀도별로 대응부여된 임계값을 표시하고 이 표시한 선밀도별의 임계값을 이용자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변경한다. 이것에 의해 백지원고의 검지를 더욱 고정밀도화 할 수 있다.
나아가 그 때, 카운트한 원고의 흑화소수를 표시함으로써 이용자의 임계값 변경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혹은 이용자가 통상의 원고로 하고 싶은 흰 부분이 많은 원고를 판독하고 그 흑화소수로 그 선밀도에 대응하는 임계값을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고 나아가 임계값 변경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임계값을 선밀도뿐만 아니라 원고가 선화상이나 하프톤으로 된 경우에 선택하는 판독모드에도 대응부여하여 기억하고, 기억된 판독모드에 최적의 임계값을 근거로 백지원고를 검출한다. 이것에 의해 원고의 종별에 대응한 고정밀도의 백지원고를 검지할 수 있다.
또 본 예의 화상판독장치로서의 팩시밀리장치의 흑화소 검색방법에서는 메인 주사 1라인을 4개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1블록을 각 라인의 판독대상범위로 하고, 또한 다음 라인은 앞 라인의 다음의 블록을 판독대상범위로 하며, 각 블록에서는 1바이트 걸러 흑화소 검색을 행하며 각 블록의 검색 개시 어드레스는 4라인 걸러 홀수와 짝수의 교대로 행함으로써 원고 전체 면적의 약 1/8을 대상으로 흑화소를 검출한다. 이것에 의해 흑화소 검색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또 이 흑화소 검색에 있어서 검색대상의 1바이트 중의 1도트 및 2도트의 고립점은 이미지센서의 먼지 등에 의한 오류검지로 보고 흑화소로서 카운트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흑화소의 검색을 더욱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선밀도별 및 원고의 판독모드별로 흑화소수를 카운트하는 순서를 복수 구비하고 선택된 선밀도 및 판독모드에 대응하여 순서를 전환하여 흑화소수를 카운트한다. 이것에 의해 원고 종별에 대응한 최적의 흑화소수 카운트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백지원고로 판별한 경우에도 이용자가 강제송신을 지지하면, 그 때의 흑화소수에 근거하여 새로운 임계값으로 변경한다. 예컨대 소정횟수의 강제송신 후에 그 평균치로 변경한다. 이것에 의해 이용자는 임계값의 변경·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예의 화상판독장치로서의 팩시밀리장치 및 그 백지원고검출방법은 미리 제1 검지기능 (1장이라도 백지원고라고 판정하면 검지결과를 출력한다.), 제2 검지기능 (소정 장수의 백지원고를 판정할 때까지 검지결과의 출력을 기다린다.), 제3 검지기능 (전부의 원고를 백지원고라고 판정하지 않으면 검지결과를 출력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두고 이용자에게 그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는 원고에 응한 최적한 백지원고 검지기능을 선택할 수 있어 장치의 성능 및 편의성이 향상한다.
또 이용자에게 통지할 때에는 동작을 정지시키고 이용자에게 조작을 고쳐 하게 하거나 또는 처리의 계속을 선택시켜 그 선택에 응한 처리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장치의 편의성이 향상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1 내지 도27을 이용하여 설명한 각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예에서는 팩시밀리장치를 화상판독장치로서 설명했지만 자동 원고 급지기능을 갖는 복사기이거나 컴퓨터에 접속되는 스캐너장치이어도 좋다. 또 원고를 이동시켜서 주사를 행하는 팩시밀리장치로 설명했지만 원고를 고정시켜 광학계를 이동시켜서 주사하는 구성의 팩시밀리장치에도, 또 자동 원고 급지기능이 붙어 있지 않는 복사기에도 적용가능하다.
또 도19∼도23에서 설명한 백지원고검출부를 도2∼도17에서 상세히 설명한 도1의 팩시밀리장치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19의 통지부(68)의 통지결과에 근거하여 도16의 강제송신부(32)에 의한 백지원고라고 판단한 원고에 대한 송신 및 임계값 변경부(33)에 의한 RAM(9)에 기억하고 있는 임계값의 변경을 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백지원고의 검지를 사용환경에 따라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고, 또 이용자는 원고에 맞게 최적의 백지원고의 검지기능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팩시밀리장치나 스캐너장치 혹은 원고 자동 급지기능이 붙은 복사기 등 화상판독장치의 신뢰성, 조작성, 편의성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구성에 따르면, 선밀도별로 임계값을 자동으로 바꿈으로써 장치의 사용환경에 따라 고정밀도로 백지원고를 검지할 수 있다.
또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구성에 따르면, 자동 양면 원고 급지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화상판독장치에 있어서도 선밀도별로 임계값을 자동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장치의 사용환경에 응한 고정밀도의 백지원고를 검지할 수 있으므로 백지원고라고 잘못 검지하여 그 원고를 반전시켜 화상데이터를 재판독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 청구항 제3항에 기재된 구성에 따르면, 자동 양면 원고 급지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화상판독장치의 불필요한 백지원고 출력을 피할 수 있다.
또 청구항 제4항에 기재된 구성에 따르면, 선밀도 각각에 대한 임계값 변경을 이용자가 조작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가 사용하는 원고의 종별에 응하여 최적의 임계값으로 백지원고검지를 행할 수 있다.
또 청구항 제5항에 기재된 구성에 따르면, 설정되어 있는 선밀도 각각에 대해 임계값을 표시하므로 이용자는 그 변경을 보다 정확하고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청구항 제6항에 기재된 구성에 따르면, 각 종별의 원고별 및 선밀도별의 임계값 변경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청구항 제7항 및 제8항에 기재된 구성에 따르면, 선밀도뿐만 아니라 하프톤 등 판독모드별의 임계값의 변경·설정을 행할 수 있어 보다 고정밀도의 백지원고검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 청구항 제9항에 기재된 구성에 따르면, 이용자의 판단조작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화상판독장치에 있어서의 불필요한 백지원고 출력과 불필요한 재판독동작을 피할 수 있음과 동시에 농도가 극히 옅은 원고라도 그 판독 및 출력이 가능하게 된다.
또 청구항 제10항 및 제11항에 기재된 구성에 따르면, 이용자가 강제출력시켰을 때의 흑화소수로 임계값을 자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 그 후의 동일한 원고에 대한 판독 및 출력이 용이하게 된다.
또 청구항 제12항에 기재된 구성에 따르면, 강제출력에 의한 임계값 변경을 복수회행한 평균으로 구함으로써 정확한 백지원고 검지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제13항에 기재된 구성에 따르면, 강제출력에 의한 임계값 변경의 실행을 이용자가 선택지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상의 원고에 대한 백지원고검지에 미치는 특별한 원고의 악영향을 피할 수 있다.
또 청구항 제14항 내지 제18항에 기재된 구성에 따르면, 백지원고검지의 결정 타이밍을 복수개 중에서 이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자는 원고에 응한 최적의 백지원고 검지기능을 선택할 수 있어 장치의 성능과 편의성이 향상한다.
또 청구항 제19항에 기재된 구성에 따르면, 이용자에게 백지원고를 검지할 때에는 장치동작을 정지하고 이용자에게 조작을 고쳐 하거나 계속하는 것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어 장치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한다.
또 청구항 제20항 및 제21항에 기재된 구성에 따르면, 화상판독장치에 있어서의 흑화소 검색처리순서로 함으로써 처리시간을 단축시켜 화상판독장치에 있어서의 흑화소 검색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청구항 제22항에 기재된 구성에 따르면, 먼지와 같은 흑화소의 계산을 회피할 수 있어 화상판독장치에 있어서의 흑화소 검색을 더욱 고정밀도화 및 효율화 할 수 있다.
또 청구항 제23항에 기재된 구성에 따르면, 판독모드별의 순서로 흑화소 검색을 행함으로써 화상판독장치에 있어서의 흑화소 검색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또 청구항 제24항에 기재된 구성에 따르면, 선밀도 각각의 순서로 흑화소 검색을 행함으로써 화상판독장치에 있어서의 흑화소 검색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또 청구항 제25항 내지 제29항에 기재된 구성에 따르면, 화상판독장치에 있어서의 백지원고 검출을 복수의 순서로부터 이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고별로 고정밀도의 백지원고검지를 행할 수 있다.
또 청구항 제30항에 기재된 구성에 따르면, 화상판독장치에 있어서의 백지원고의 검출 및 이용자로 통지시에는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켜 조작을 고쳐 하거나 처리를 계속함을 이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장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0)

  1. 원고를 주사하여 화상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수단과, 이 판독수단으로 판독한 화상데이터의 흑화소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수단과, 이 카운트수단으로 카운트한 흑화소수와 미리 기억한 흑화소수(임계값)의 비교에 의거하여 상기 원고가 백지원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판독장치로,
    원고판독의 선밀도를 판별하는 선밀도판별수단과, 미리 복수의 선밀도별로 대응 부여된 상기 임계값을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이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선밀도판별수단으로 판별한 선밀도에 대응 부여된 임계값을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구비하고 원고를 판독하는 선밀도에 대응하여 상기 임계값을 전환하여 백지원고 검출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2. 원고를 주사하여 화상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수단과, 이 판독수단으로 판독한 화상데이터의 흑화소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수단과, 이 카운트수단으로 카운트한 흑화소수와 미리 기억한 흑화소수(임계값)의 비교에 의거하여 상기 원고가 백지원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판독장치로,
    원고판독의 선밀도를 판별하는 선밀도판별수단과,
    미리 복수의 선밀도별로 대응 부여된 상기 임계값을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이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선밀도판별수단으로 판별한 선밀도에 대응 부여된 임계값을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판독한 원고면의 흑화소수와 상기 선택수단으로 선택한 임계값을 비교하여 백지원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과,
    상기 원고가 백지원고라고 판단하면 이 원고를 반전시키고 이 반전시킨 면을 주사하여 화상정보를 판독하는 원고반전판독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원고로부터 판독한 화상정보를 유지하는 유지수단과, 이 유지수단으로부터 상기 화상정보를 판독하여 출력하는 출력수단과, 상기 백지원고로 판단된 원고의 화상정보의 상기 출력수단에 의한 출력을 제지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한 상기 선밀도별로 대응부여된 임계값을 표시하는 수단과, 이 수단으로 표시한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한 선밀도별의 임계값을 이용자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변경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수단으로 카운트한 원고의 흑화소수를 표시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용자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는 상기 판독수단에 의한 특정원고의 판독을 판별하는 수단과, 이 수단이 상기 특정원고의 판독을 판별할 때, 상기 선밀도판별수단으로 판별한 상기 특정원고 판독시의 선밀도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한 임계값을 상기 카운트수단으로 카운트한 상기 특정원고의 흑화소수로 변경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밀도별로 대응부여된 상기 임계값을 선화상 모드와 하프톤(Halftone)모드를 포함하는 판독모드별로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이용자가 선택한 상기 판독모드를 판별하는 모드판별수단과,
    상기 모드판별수단으로 판별한 판독모드와 상기 선밀도판별수단으로 판별한 선밀도에 대응부여된 임계값을 선택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원고를 판독하는 판독모드와 선밀도에 대응하여 상기 임계값을 전환하여 백지원고의 검출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8. 원고를 주사하여 화상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수단과,
    이 판독수단으로 판독한 화상데이터의 흑화소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수단과,
    이 카운트수단으로 카운트한 흑화소수와 미리 기억한 흑화소수(임계값)의
    비교에 의거하여 상기 원고가 백지원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판독장치로,
    이용자가 선택한 선화상 모드와 하프톤 (Halftone)모드를 포함하는 판독모드를 판별하는 모드판별수단과,
    미리 상기 판독모드별로 대응부여된 상기 임계값을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모드판별수단으로 판별한 판독모드에 대응부여된 임계값을 선택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판독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임계값을 전환하여 백지원고의 검출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9. 제1항, 제2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가 백지원고라는 판단결과를 이용자에게 통지하는 수단과,
    이용자의 지시에 의거하여 백지원고라고 판단한 원고의 화상정보를 출력함/출력하지 않음을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10. 제1항, 제2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가 백지원고라는 판단결과를 이용자에게 통지하는 수단과,
    백지원고의 판단결과라도 이용자의 출력지시에 의거하여 상기 백지원고라고 판단된 원고를 출력하는 강제출력수단과,
    이 강제출력수단으로 출력한 원고의 흑화소수에 의거하여 상기 백지원고인지 여부의 판단에 이용하는 임계값을 변경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11. 원고를 주사하여 이 원고로부터 화상정보를 판독하는 화상판독장치로,
    판독한 원고면의 흑화소의 수와 미리 정해진 흑화소수의 임계값을 비교하여 백지원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과,
    상기 원고가 백지원고라는 판단결과를 이용자에게 통지하는 수단과,
    백지원고의 판단결과라도 이용자의 출력지시에 의거하여 상기 백지원고로서 판단된 원고를 출력하는 강제출력수단과,
    이 강제출력수단으로 출력한 원고의 흑화소수에 의거하여 상기 백지원고인지 여부의 판단에 이용하는 임계값을 변경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출력수단의 출력별로 당해 원고의 흑화소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강제출력수단의 출력횟수를 카운트하여 미리 정해진 횟수가 되면 상기 기억한 각 흑화소수의 평균치를 구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평균치에 의거하여 상기 백지원고인지 여부의 판단에 이용하는 임계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출력수단으로 출력한 원고의 흑화소수에 의거하여 상기 백지원고의 판단에 이용하는 임계값의 변경을 행하는지 여부를 이용자가 선택하도록 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이용자로부터 변경선택지시가 있으면 상기 임계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14. 제1항, 제2항, 제8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고가 백지원고라는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각각 다른 순서로 상기 원고가 백지원고라는 검지결과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검지수단과, 이용자의 지시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개의 검지수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구비하고, 이 선택수단으로 선택한 검지수단으로부터 검지결과 출력이 있으면 이용자에게 원고의 체크를 재촉하는 통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15. 원고를 주사하여 이 원고로부터 화상정보를 판독하는 화상판독장치로,
    원고가 백지원고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이 판정수단의 백지원고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각각 다른 순서로 상기 원고가 백지원고라는 판정결과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검지수단과, 이용자의 지시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개의 검지수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이 선택수단으로 선택한 검지수단으로부터 검지결과 출력이 있으면 이용자에게 원고의 체크를 재촉하는 통지를 출력하는 통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검지수단으로서 상기 원고를 백지원고라고 판정한 경우, 즉시 이 원고가 백지원고라는 검지결과를 출력하는 제1검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검지수단으로서, 백지원고로 판정한 원고가 소정 장수로 된 경우에 백지원고라는 검지결과를 출력하는 제2검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검지수단으로서, 모든 원고를 백지원고라고 판정한 경우에 백지원고라는 검지결과를 출력하는 제3검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를 재촉하는 통지가 출력된 경우, 상기 원고에 대한 화상정보의 판독을 정지하는 정지수단과, 이 정지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정보의 판독을 정지한 후, 이용자로부터 계속지시가 있으면 상기 원고의 판독을 계속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20. 원고를 주사하여 이 원고로부터 화상정보를 판독하는 화상판독장치로서, 원고가 백지원고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이 판정수단의 백지원고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각각 다른 순서로 상기 원고가 백지원고라는 판정결과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검지수단과, 이용자의 지시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개의 검지수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이 선택수단으로 선택한 검지수단으로부터의 검지결과 출력이 있으면 이용자에게 원고의 체크를 재촉하는 통지를 출력하는 통지수단을 구비하는 화상판독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크를 재촉하는 통지가 출력된 경우, 상기 원고에 대한 화상정보의 판독을 정지하는 정지수단과, 이 정지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정보의 판독을 정지한 후, 이용자로부터 계속지시가 있으면 상기 원고의 판독을 계속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판독장치에 의한 흑화소의 검색방법으로,
    원고판독의 메인 주사1라인을 4개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1블록을 각 라인의 판독대상범위로 하고, 다음 라인은 앞 라인의 다음의 블록을 판독대상범위로 하며, 각 블록에서는 1바이트 걸러 흑화소 검색을 행하며, 각 블록의 검색 개시 어드레스는 4라인 걸러 홀수와 짝수의 교대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의 흑화소 검색방법.
  21. 원고를 주사하여 판독한 화상데이터의 흑화소수 검색을 행하는 화상판독장치에 있어서의 흑화소 검색방법으로,
    원고판독의 메인 주사1라인을 4개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1블록을 각 라인의 판독대상범위로 하고, 다음 라인은 앞 라인의 다음 블록을 판독대상범위로 하며, 각 블록에서는 1바이트 걸러 흑화소 검색을 행하며, 각 블록의 검색 개시 어드레스는 4라인 걸러 홀수와 짝수의 교대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의 흑화소 검색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검색대상의 1바이트 중 1도트 및 2도트의 고립점은 흑화소로서 카운트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의 흑화소 검색방법.
  23.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미리 선화상 모드 및 하프톤 모드를 포함한 판독모드별로 상기 흑화소 카운트순서를 기록하여 두고, 이용자가 선택한 판독모드에 대응한 상기 카운트순서에 근거하여 흑화소의 카운트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의 흑화소 검색방법.
  24.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미리 선밀도별로 흑화소 카운트순서를 기록하여 두고, 선밀도에 대응한 상기 카운트순서에 근거하여 흑화소의 카운트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의 흑화소검색방법.
  25. 원고를 주사하여 이 원고로부터 화상정보를 판독하는 화상판독장치로서, 원고가 백지원고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이 판정수단으로의 백지원고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각각 다른 순서로 상기 원고가 백지원고라는 판정결과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검지수단과, 이용자의 지시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개의 검지수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이 선택수단으로 선택한 검지수단으로부터 검지결과 출력이 있으면 이용자에게 원고의 체크를 재촉하는 통지를 출력하는 통지수단을 구비하는 화상판독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크를 재촉하는 통지가 출력된 경우, 상기 원고에 대한 화상정보의 판독을 정지하는 정지수단과, 이 정지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정보의 판독을 정지한 후, 이용자로부터 계속지시가 있으면 상기 원고의 판독을 계속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판독장치에 의한 백지원고 검출방법으로,
    상기 원고가 백지원고라는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각각 다른 순서로 상기 세트된 원고가 백지원고라는 검지결과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검지순서로부터 이용자의 지시에 대응한 한 개를 선택하는 단계과, 이 단계에서 선택한 검지순서로부터 검지결과 출력이 있으면 이용자에게 원고의 체크를 재촉하는 통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의 백지원고 검출방법.
  26. 원고를 주사하여 이 원고로부터 화상정보를 판독하는 화상판독장치의 백지원고 검출방법으로,
    원고가 백지원고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이 단계의 백지원고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각각 다른 순서로 상기 세트된 원고가 백지원고라는 검지결과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검지순서로부터 이용자의 지시에 대응한 한 개를 선택하는 단계와, 이 단계에서 선택한 검지순서로부터의 검지결과 출력이 있으면 이용자에게 원고의 체크를 재촉하는 통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의 백지원고 검출방법.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검지순서로서 상기 원고가 백지원고로서 판정된 경우, 즉시 이 원고가 백지원고라는 검지결과를 출력하는 제1 검지순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의 백지원고 검출방법.
  28.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검지순서로서 상기 백지원고로 판정된 원고가 소정 장수로 된 경우에 상기 원고가 백지원고라는 검지결과를 출력하는 제2검지순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의 백지원고 검출방법.
  29.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검지순서로서 전부의 원고를 백지원고로서 판정한 경우에, 원고가 백지원고라는 검지결과를 출력하는 제3검지순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백지원고 검출방법.
  30.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에게 원고의 체크를 재촉하는 통지가 출력된 경우, 상기 원고에 대한 화상정보의 판독을 정지하는 단계과, 이 단계에 의한 상기 화상정보의 판독을 정지한 후, 이용자로부터 계속지시가 있으면 상기 원고의 판독을 계속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의 백지원고 검출방법.
KR1019990060842A 1998-12-24 1999-12-23 화상판독장치와 흑화소 검색방법 및 백지원고검출방법 KR1003040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368240 1998-12-24
JP36824098 1998-12-24
JP98-368239 1998-12-24
JP36823998 1998-12-24
JP24696299 1999-09-01
JP99-246962 1999-09-01
JP99-290499 1999-10-13
JP29049999A JP4061787B2 (ja) 1998-12-24 1999-10-13 画像読取装置の黒画素検索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354A true KR20000048354A (ko) 2000-07-25
KR100304018B1 KR100304018B1 (ko) 2001-11-03

Family

ID=27478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0842A KR100304018B1 (ko) 1998-12-24 1999-12-23 화상판독장치와 흑화소 검색방법 및 백지원고검출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061787B2 (ko)
KR (1) KR100304018B1 (ko)
CN (1) CN100388750C (ko)
DE (1) DE19961750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21826C (zh) * 2002-03-27 2007-06-20 尼司卡股份有限公司 纸张输送装置及成像装置
CN100465625C (zh) * 2005-10-21 2009-03-04 京元电子股份有限公司 晶片影像检视方法及系统
JP4622932B2 (ja) 2006-05-11 2011-02-02 村田機械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8022276A (ja) * 2006-07-12 2008-01-3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5089311B2 (ja) 2007-09-26 2012-12-0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956350B2 (ja) 2007-09-28 2012-06-2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495201B2 (ja) * 2007-10-10 2010-06-30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する記録媒体
JP5333400B2 (ja) 2010-09-30 2013-11-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5804720B2 (ja) * 2011-02-10 2015-11-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5666521B2 (ja) * 2012-07-31 2015-02-1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6060734B2 (ja) 2013-02-28 2017-01-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CN103522749A (zh) * 2013-09-23 2014-01-22 余姚市骋骐电子开发有限公司 具备自动页面选择功能的打印设备
CN103522775A (zh) * 2013-09-29 2014-01-22 余姚市骋骐电子开发有限公司 具备打印页面选择功能的打印设备
JP6311599B2 (ja) * 2014-12-27 2018-04-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WO2017054171A1 (en) * 2015-09-30 2017-04-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ing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8674A (en) * 1987-11-07 1992-08-11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Image reader capable of detecting blank documents
JPH01123567A (ja) * 1987-11-07 1989-05-16 Minolta Camera Co Ltd 画像読取装置
JPH0548835A (ja) * 1991-08-15 1993-0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読み取り装置
JPH05300313A (ja) * 1992-04-20 1993-11-12 Konica Corp ファクシミリ装置
JP3207003B2 (ja) * 1993-01-20 2001-09-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通信装置
JPH06261168A (ja) * 1993-03-03 1994-09-16 Canon Inc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7281562A (ja) * 1994-04-07 1995-10-2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8307574A (ja) * 1995-04-28 1996-11-2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0229484A (ja) * 1997-02-12 1998-08-25 Oki Data:Kk 画像読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4018B1 (ko) 2001-11-03
CN1261754A (zh) 2000-08-02
CN100388750C (zh) 2008-05-14
DE19961750A1 (de) 2000-06-29
DE19961750B4 (de) 2005-08-25
JP2001143050A (ja) 2001-05-25
JP4061787B2 (ja) 2008-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4018B1 (ko) 화상판독장치와 흑화소 검색방법 및 백지원고검출방법
US5282050A (en) Dual-side recording apparatus
JP2008072753A (ja) 画像読取装置とその黒画素検索方法および白紙原稿検出方法
KR920001182B1 (ko) 팩시밀리의 자국 멀티-카피방법
JP3912376B2 (ja) 画像読取装置
JP2005191886A (ja) 画像読取装置
JPH09107430A (ja) 画像出力装置の操作解析装置
JPH11231726A (ja) 原稿読取記録装置
JP2005049546A (ja) 画像形成装置
JP3591520B2 (ja) 原稿読取記録装置
JP4257592B2 (ja) 画像読取装置
JP3314742B2 (ja) 原稿読取記録装置
JP3755511B2 (ja) 原稿読取装置
KR960014302B1 (ko) 팩시밀리의 송신 원고 매수 표시 방법
JP2706785B2 (ja) 画像読取装置
JPH0937009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S62254571A (ja) フアクシミリ送信機
KR100200964B1 (ko) 팩시밀리에서 수신용지 절약을 위한 프린팅방법
JP2961232B2 (ja) 画像送信装置
JP3622079B2 (ja) 画像処理装置
KR910010226B1 (ko) 하나의 키를 이용하는 팩시밀리의 오퍼레이션방법
KR19980083956A (ko) 멀티 페이지 전송중 에러 발생시 재전송 페이지 알림방법
JPH05252351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8223384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9205511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